KR19980027070U - 탄성와셔 - Google Patents

탄성와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7070U
KR19980027070U KR2019960039989U KR19960039989U KR19980027070U KR 19980027070 U KR19980027070 U KR 19980027070U KR 2019960039989 U KR2019960039989 U KR 2019960039989U KR 19960039989 U KR19960039989 U KR 19960039989U KR 19980027070 U KR19980027070 U KR 199800270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elastic washer
washer
rubber plate
pedal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99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태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399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7070U/ko
Publication of KR199800270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070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3/00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페달아암과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의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간의 체결수단인 탄성와셔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탄성와셔(10)는 플레인와셔(11)에 원주형 돌기(12)를 가진 고무판(13)을 접착하여 구성된다. 고무판(13)은 클레비스핀(6)을 설치하기 위한 관통공(14) 주위에 동심적으로 형성된 환형의 돌기(12)를 구비한 원판형의 부재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고무판(13)은 종래의 평판형 플레인와셔(11) 상에 접착제 등으로 접착하여 탄성와셔(10)를 구성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고무판을 구비한 탄성와셔를 사용하므로써, 페달아암과 푸시로드 및 클레비스핀 간의 유격에 따른 소음의 발생이 없으므로, 차량 실내의 소음 감소에 기여하게 된다.

Description

탄성와셔
본 고안은 자동차의 페달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는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연결 등에 사용되는 탄성와셔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브레이크와 클러치는 페달에 의해 작동되며, 페달은 브레이크와 클러치를 작동하기 위한 마스터실린더의 푸시로드와 연결되어 있다.
예컨대, 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은 브레이크페달을 작동시키면 페달아암에 요크로 연결된 푸시로드에 의해 마스터실린더내의 피스톤이 전진하여 실린더내의 브레이크 오일을 압축하므로써 전,후륜측의 브레이크라인을 통해 브레이크 오일을 압축하게 되며, 브레이크라인의 종단과 연통된 캘리퍼(전륜측)나 브레이크슈(후륜측)의 실린더로 고압의 브레이크 오일을 공급하여 라이닝이나 패드를 브레이크드럼(내부확장식, 후륜)이나 디스크(캘리퍼식, 전륜측)에 압착하여 마찰에 의한 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브레이크페달을 해방시키면 압축되었던 브레이크 오일이 마스터실린더로 복귀하며 브레이크가 해제되게 된다.
한편, 수동 변속 자동차에 있어서, 유압식 클러치는 클러치페달을 밟으면 클러치페달에 연결된 마스터실린더의 푸시로드가 마스터실린더내의 피스톤이 클러치 오일을 압축하여 릴리즈포크를 작동시켜 클러치를 분리하여 동력전달을 차단하게 된다.
도 1에 종래의 일반적인 페달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페달이나 클러치페달은 페달부재(2)의 바아나 파이프로 구성되는 회전축(3)에 페달아암(1)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며 브레이크나 클러치의 마스터실린더(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된 푸시로드(4)의 종단에 형성된 ㄷ자형의 요크(5)와 클레비스핀(6)을 이용하여 체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페달을 밟게 되면 페달아암(1)이 회전하며 푸시로드(4)를 밀어 마스터실린더내의 오일을 압축하여 브레이크나 클러치를 작동시키게 된다.
도 2에 종래의 페달아암(1)과 요크(5)의 결합방식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아암(1)은 클레비스핀(6)에 부싱(9)을 통해 견고히 고정되며, 클레비스핀(6)과 요크(5)는 스냅핀(8)에 의해 결합되게 된다. 이를 위해, 클레비스핀(6)의 종단에는 탄성부시(7)를 개재하여 핀홀(6a)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스냅핀(snap pin, 8)이 설치되어 요크(5)와 클레비스핀(6)과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페달아암(1)과 마스터실린더의 요크(5)의 결합방식은 클레비스핀(6)과 스냅핀(8)의 체결에 따라 단지 구성부품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에 그치게 되며, 제조공차 등에 따라 핀(6)과 요크(5)의 관통공 사이의 유격(G)에 의해 소음의 원인이 된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클레비스핀(6)과 페달아암(1) 및 요크(5)의 결합구조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의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의 푸시로드의 연결에 있어서 유격을 흡수하여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와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페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결합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의 (A),(B)는 각기 본 고안에 따른 탄성와셔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탄성와셔를 사용한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결합부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페달아암2:페달지지멤버
3:회전축5:요크
6:클레비스핀8:스냅핀
10:탄성와셔11:플레인와셔
12:돌기13:고무판
14:관통공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중앙에 관통공을 가진 플레인와셔; 및 플레인와셔상에 고정되며, 중앙에 관통공을 가진 판형부재와 편형부재 상에 관통공 주위로 동심적으로 형성된 환형의 돌기를 구비한 고무판으로 구성되는 탄성와셔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클레비스핀과 푸시로드 및 페달아암 사이의 유격을 제거하여 소음의 발생이 없으므로, 자동차의 실내 소음 감소에 기여하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탄성와셔 및 이를 이용한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의 푸시로드의 연결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본 고안에 따른 탄성와셔(1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탄성와셔(10)는 중앙에 관통공(11a)를 가진 플레인와셔(11)에 환형 돌기(12)를 가진 고무판(13)을 접착하여 구성된다.
고무판(13)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클레비스핀(6)을 설치하기 위한 관통공(14) 주위에 동심적으로 형성된 환형의 돌기(12)를 구비한 원판형의 부재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고무판(13)은 종래의 평판형 플레인와셔(11) 상에 접착제 등으로 접착하여 탄성와셔(10)를 구성하게 된다.
도 4에 본 고안에 따른 탄성와셔(10)를 사용하여 페달아암(1)과 마스터실린더의 요크(4)를 결합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탄성와셔(10)는 스냅핀(8)을 삽입할 방향으로 고무판(13)의 돌기(12)가 향하도록 클레비스핀(6)의 종단에 삽입한 후 스냅핀(8)을 삽입하면 스냅핀(8)과 탄성와셔(10)의 돌기부(12)가 맞닿아 요크(5)와 클레비스핀(6)간의 간극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고무판(13)은 탄성율이 큰 부드러운 러버로 제조되므로 요크(5)와 클레비스핀(6)간의 간극에 따라 돌기(12)가 스냅핀(8)과 접촉하여 탄성변형되어 압축되므로써 클레비스핀(6)과 요크(5) 사이를 탄성적으로 압축하는 상태로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클레비스핀과 푸시로드 및 페달아암 사이의 유격을 제거하여 소음의 발생이 없으므로, 자동차의 실내 소음 감소에 기여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예컨대, 본 고안에 따른 탄성와셔의 용도는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의 푸시로드의 체결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스냅핀을 이용하여 체결이 이루어지는 다양한 부재간의 체결에도 그대로 혹은 단순한 설계변경을 통하여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 4에 예시된 푸시로드와 페달아암과의 연결은 본 고안에 따른 탄성와셔의 용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

  1. 중앙에 관통공을 가진 플레인와셔; 및 플레인와셔상에 고정되며, 중앙에 관통공을 가진 판형부재와 판형부재 상에 관통공 주위로 동심적으로 형성된 환형의 돌기를 구비한 고무판으로 구성되는 탄성와셔.
KR2019960039989U 1996-11-14 1996-11-14 탄성와셔 KR1998002707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9989U KR19980027070U (ko) 1996-11-14 1996-11-14 탄성와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9989U KR19980027070U (ko) 1996-11-14 1996-11-14 탄성와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070U true KR19980027070U (ko) 1998-08-05

Family

ID=53983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9989U KR19980027070U (ko) 1996-11-14 1996-11-14 탄성와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707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31785B2 (en) 2015-06-30 2018-11-20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impact resistance and light reliability and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31785B2 (en) 2015-06-30 2018-11-20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impact resistance and light reliability and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94469A (en) Caliper supporting device in a disc brake for vehicles
KR19980027070U (ko) 탄성와셔
KR100192300B1 (ko)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연결장치
KR0129241Y1 (ko) 브레이크페달 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바아의 체결장치
KR200147144Y1 (ko)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체결장치
KR100192289B1 (ko)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체결장치
KR200184503Y1 (ko) 페달 연결부의 그리스홈 구조
KR19980027067U (ko)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체결장치
KR200147145Y1 (ko)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연결장치
KR19980038369U (ko) 자동체결식 클레비스핀
KR100383989B1 (ko) 자동차의 디스크브레이크
KR0129242Y1 (ko) 브레이크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요크의 체결장치
KR100432011B1 (ko)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연결장치
KR19980038368U (ko)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요크 체결용 스프링와셔
KR19980038367U (ko)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연결장치
KR200388388Y1 (ko) 자동차용 디스크 브레이크
KR19980035539A (ko)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체결장치
KR100199767B1 (ko) 마스터실린더와 푸시로드의 연결구조
JP2595786Y2 (ja) 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の摩擦パッド戻し構造
KR19980016527U (ko) 브레이크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요크의 체결장치
KR100270585B1 (ko) 프론트 브레이크의 진동 방지장치
KR0147694B1 (ko) 드럼브레이크
KR100759881B1 (ko) 디스크 브레이크
JPH08232999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KR0119230Y1 (ko) 푸트 브레이크 페달의 연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