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7144Y1 -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7144Y1
KR200147144Y1 KR2019960051260U KR19960051260U KR200147144Y1 KR 200147144 Y1 KR200147144 Y1 KR 200147144Y1 KR 2019960051260 U KR2019960051260 U KR 2019960051260U KR 19960051260 U KR19960051260 U KR 19960051260U KR 200147144 Y1 KR200147144 Y1 KR 2001471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arm
push rod
clevis pin
master cylind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12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8199U (ko
Inventor
최상대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512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144Y1/ko
Publication of KR199800381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81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1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1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18Connection thereof to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2Control by fluid pressure
    • F16D2048/0227Source of pressure producing the clutch engagement or disengagement action within a circuit; Means for initiating command action in power assisted devices
    • F16D2048/023Source of pressure producing the clutch engagement or disengagement action within a circuit; Means for initiating command action in power assisted devices by pedal act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브레이크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요크의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체결장치는 종래의 클레비스핀의 양단에 원주형의 요홈(13,14)를 구비한 연장부(11,12)를 구비한 클레비스핀(10)과 페달아암 (1)의 전면의 요크(5) 대향부위에 고정되는 지지바아(20) 및 클레비스핀(10)의 요홈(13,14)과 지지바아(20)를 연결하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링 (30,31)으로 구성된다.
이에따라, 클레비스핀(10)이 스프링(30, 31)에 의해 페달아암(10)측으로 탄성적으로 당겨져 페달아암(1), 요크(5) 및 클레비스핀(10)간의 유격이 제거되어 페달의 작동에 따른 소음의 발생이 방지되게 된다.

Description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체결장치
제1도는 종래의 페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제2도는 종래의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요크의 결합부의 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브라켓 및 클레비스핀의 사시도이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브라켓 및 클레비스핀의 정면도이다.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브라켓의 체결부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페달아암 2 : 브레이크멤버
3 : 회전축 4 : 푸시로드
5 : 요크 10 : 브라켓
11 : 암고정너트부 12 : 연장부
13 : 수평부
본 고안은 자동차의 페달에 관한 것이며, 특히는 페달의 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와의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브레이크와 클러치는 페달에 의해 작동되며, 페달은 브레이크와 클러치를 작동하기 위한 마스터실린더의 푸시로드와 연결되어 있다.
자동차의 브레이크시스템으로는 기계식, 유압식 및 공기압식이 개발되어 있으나, 유압식의 브레이크시스템이 주로 사용된다.
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은 브레이크페달을 작동시키면 페달아암에 요크로 연결된 푸시로드에 의해 마스터 실린더내의 피스톤이 전진하여 실린더 내의 브레이크 오일을 압축하므로서 전,후륜측의 브레이크라인을 통해 브레이크 오일을 압축하게 되며, 브레이크라인의 종단과 연통된 캘리퍼(전륜측)나 브레이크슈(후륜측)의 실린더로 고압의 브레이크 오일을 공급하여 라이닝이나 패드를 브레이크드럼(내부확장식,후륜)이나 디스크(캘리퍼식, 전륜측)에 압착하여 마찰에 의한 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브레이크 페달을 해방시키면 압축되었던 브레이크 오일이 마스터 실린더로 복귀하며 브레이크가 해제되게 된다.
한편, 수동변속 자동차에 있어서, 유압식 클러치는 클러치페달을 밟으면 클러치페달에 연결된 마스터실린더의 푸시로드가 마스터실린더 내의 피스톤이 클러치오일을 압축하여 릴리즈포크를 작동시켜 클러치를 분리하여 동력전달을 차단하게 된다.
제1도에 종래의 일반적인 페달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페달이나 클러치페달은 페달부재(2)의 바아나 파이프로 구성되는 회전축(3)에 페달아암(1)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며 브레이크나 클러치의 마스터실린더(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된 푸시로드(4)의 종단에 형성된 ㄷ자형의 요크(5)와 핀(6)을 이용하여 체결되어 있다.
이에따라, 페달을 밟게 되면 페달아암(1)이 회전하며 푸시로드(4)를 밀어 마스터실린더내의 오일을 압축하여 브레이크나 클러치를 작동시키게 된다.
제2도에 종래의 페달아암(1)과 요크(5)의 결합방식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푸시로드(4)의 선단에는 숫나사가 형성되어 요크(5)와 너트(4a)를 이용하여 나사체결된다. 한편, 페달아암(1)은 클레비스핀(6)에 부싱(9)을 통해 견고히 고정되며, 클레비스핀(6)과 요크(5)는 스냅핀(8)에 의해 결합되게 된다. 이를 위해, 클레비스핀(6)의 종단에는 탄성부쉬(7)를 개재하여 핀흘(6a)에,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스냅핀 (snap pin,8)이 설치되어 요크(5)와 클레비스핀(6)과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페달아암(1)과 마스터실린더와 요크(5)의 결합방식은 클레비스핀(6)과 스냅핀(8)의 체결에 따라의 단지 구성부품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에 그치게 되며, 또한, 제조공차 등에 따라 핀(6)과 요크(5)의 관통공 사이의 유격에 의해 소음의 원인이 된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클레비스핀(6)과 페달아암(1) 및 요크(5)의 결합구조상 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은 소음의 우려가 없는 페달아암과 마스터 실린더의 푸시로드의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푸시로드와 결합하기 위한 수평부, 수평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연장부로 구성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연장부에서 수평부와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연장부에 고정된 클레비스핀으로 구성되는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체결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체결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에 본 고안에 따른 브라켓(1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브라켓(10)은 클레비스핀(6)이 고정된 ㄱ자형의 브라켓(10)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브라켓(10)은 푸시로드(4)와 결합하기 위한 수평부(13)와 클레비스핀(6)을 고정하기 위한 연장부(12)로 구성되며, 수평부(13)에는 숫나사가 형성된 푸시로드(4)의 종단과 결합하기 위한 암나사가 형성된 고정너트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연장부(12)에는 클레비스핀(6)을 삽입설치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클레비스핀(6)이 고정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브라켓(10)은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수평부(13) 와 연장부(12)의 외측을 향하여 부재의 양측 모서리를 직각으로 돌출형성하여 ㄷ자형의 변형에 강한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브라켓(10)의 연장부(12)에는 클레비스핀(6)과의 유격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기위해 클레비스핀(6)의 헤드부가 용접되어 용접부(12a)를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브라켓(10)을 사용하여 푸시로드(4)와 페달아암(1)을 체결한 상태가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종래의 페달의 구조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클레비스핀(6)이 용접된 브라켓(10)의 수평부(13)는 푸시로드(4)와 너트(4a)를 사용하여 고정되며, 클레비스핀(6)에는 부싱(9)을 개재하여 페달아암(1)을 장착하고 페달아암(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부싱(9)의 종단에는 스냅핀(8)과의 유격을 방지하기 위한 플라시틱와셔(14)를 사용하여 스냅핀(8)을 사용하여 고정하게 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브라켓(10)을 사용한 페달아암(1)의 체결부에는 브라켓(10)과 클레비스핀(6)은 용접되어 유격이 없으며, 브라켓(10)과 페달아암(1)은 물론 페달아암(1)과 클레비스핀(6)과의 사이에 접촉이 없으므로 스틸제의 부품간의 유격에 따른 소음의 발생이 방지되게 된다.
이에따라, 본 고안에 따른 브라켓(10)을 사용하므로서 페달아암(1)과 브라켓(10) 및 클레비스핀(6) 사이의 접촉이나 유격이 방지되어 페달아암의 작동에 따른 소음의 우려가 없는 체결장치가 제공되어 차량의 실내소음 방지에 기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예컨데, 본 고안은 페달과 마스터실린더의 푸시로드의 체결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클레비스핀을 이용하여 체결이 이루어지는 다양한 부재간의 체결방법으로도 그대로 혹은 단순한 설계변경을 통하여 적용 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푸시로드와 결합하기 위한 수평부, 수평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연장부로 구성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연장부에서 수평부와 평행하게 연장 하도록 연장부에 고정된 클레비스핀으로 구성되는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체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레비스핀이 브라켓의 연장부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체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이 외측으로 ㄷ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체결장치.
KR2019960051260U 1996-12-19 1996-12-19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체결장치 KR2001471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1260U KR200147144Y1 (ko) 1996-12-19 1996-12-19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1260U KR200147144Y1 (ko) 1996-12-19 1996-12-19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8199U KR19980038199U (ko) 1998-09-15
KR200147144Y1 true KR200147144Y1 (ko) 1999-06-15

Family

ID=19480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1260U KR200147144Y1 (ko) 1996-12-19 1996-12-19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14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011B1 (ko) * 1996-12-27 2004-07-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8199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7144Y1 (ko)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체결장치
US3482657A (en) Disk brake with mechanical actuator and adjusting means
KR100192289B1 (ko)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체결장치
KR200147145Y1 (ko)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연결장치
KR19980027067U (ko)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체결장치
KR100192300B1 (ko)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연결장치
KR19980035539A (ko)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체결장치
KR0129242Y1 (ko) 브레이크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요크의 체결장치
KR0129241Y1 (ko) 브레이크페달 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바아의 체결장치
KR19980027070U (ko) 탄성와셔
KR100199767B1 (ko) 마스터실린더와 푸시로드의 연결구조
KR19980038367U (ko)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연결장치
KR19980038369U (ko) 자동체결식 클레비스핀
KR200184503Y1 (ko) 페달 연결부의 그리스홈 구조
KR19990032348U (ko) 페달의 힌지부 구조
KR0184822B1 (ko) 푸시로드 선형 작동장치
KR19980016529U (ko) 브레이크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요크의 고정장치
KR19980038368U (ko)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요크 체결용 스프링와셔
KR100432011B1 (ko)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연결장치
KR100461436B1 (ko) 차량용 클러치페달의 간격조절수단
US4387791A (en) Parking brake for front wheel drive vehicle including brake band for universal joint
KR200191183Y1 (ko) 장착이 용이한 릴리즈 포크
KR200152691Y1 (ko) 브레이크 페달암의 소음 방지 접속구조
KR0180876B1 (ko) 브레이크 파이프와 호스의 연결장치
KR0147694B1 (ko) 드럼브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