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9767B1 - 마스터실린더와 푸시로드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마스터실린더와 푸시로드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9767B1
KR100199767B1 KR1019960067827A KR19960067827A KR100199767B1 KR 100199767 B1 KR100199767 B1 KR 100199767B1 KR 1019960067827 A KR1019960067827 A KR 1019960067827A KR 19960067827 A KR19960067827 A KR 19960067827A KR 100199767 B1 KR100199767 B1 KR 100199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rod
boot
diameter portion
master cylind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7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9154A (ko
Inventor
정원태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67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9767B1/ko
Publication of KR19980049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9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9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97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8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 F16D25/088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the line of action of the fluid-actuated members being distinctly separate from the axis of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8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8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 F16D2025/081Hydraulic devices that initiate movement of pistons in slave cylinders for actuating clutches, i.e. master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2Control by fluid pressure
    • F16D2048/0227Source of pressure producing the clutch engagement or disengagement action within a circuit; Means for initiating command action in power assisted devices
    • F16D2048/023Source of pressure producing the clutch engagement or disengagement action within a circuit; Means for initiating command action in power assisted devices by pedal actu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12Mounting or asse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유압식 클러치 조작기구나 브레이크 조작기구에 채용되는 마스터 실린더의 부트와 푸시로드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푸시로드와 마스터 실린더 부트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푸시로드(10)는 푸시로드(10)의 로드부가 대직경부(12)와 소직경부(13)로 구분되어 형성되며 대직경부(12)와 소직경부(13)의 접합면에는 소직경부(13)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원추형의 경사면(14)이 형성된다.
한편, 마스터실린더(2)의 선단에 장착되는 부트(20)에는 푸시로드(10)의 대경부(12)의 종단에 형성된 원추형 경사면(14)과 접하도록 형성된 절곡부(21)가 형성된 연결공(23)이 형성되며 별도의 공기구멍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부트(20)와 푸시로드(10)의 연결구조는 부트(20)내의 부압 상태나 공기의 압축상태에서, 외부의 공기나 내부의 공기를 푸시로드(10)의 소직경부(13)와 부트(20)의 연결공(23)사이의 직경차에 의해 발생하는 환형의 통공을 통하여 유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푸시로드(10)의 작동중 푸시로드(10)의 로드부(12,13)와 부트(20)의 연결공(23) 사이에 마찰이 없어 부트(20)의 변형에 따른 소음의 발생이 억제되며, 푸시로드의 소단부(13)와 부트(20)의 연결공(23) 주위의 환형의 통공을 이용하여 공기의 유입 및 유출 면적이 확대되므로 이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한 소음의 발생도 크게 저감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마스터실린더와 푸시로드의 연결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의 유압식 클러치 조작기구나 브레이크 조작장치에 사용되는 마스터실린더에 관한 것이며, 특히는 마스터 실린더의 부트와 푸시로드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브레이크와 클러치는 페달에 의해 작동되며, 페달은 브레이크와 클러치를 작동하기 위한 마스터실린더의 푸시로드와 연결되어 있다.
예컨데, 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에서는 브레이크페달을 작동시키면 페달아암에 요크로 연결된 푸시로드에 의해 마스터 실린더내의 피스톤이 전진하여 실린더내의 브레이크 오일을 압축하므로써 전,후륜측의 브레이크라인을 통해 브레이크 오일을 압축하게 되며, 브레이크라인의 종단과 연통된 캘리퍼(전륜측)나 브레이크슈(후륜측)의 휠실린더로 고압의 브레이크 오일을 공급하여 라이닝이나 패드를 브레이크드럼(내부확장식, 후륜)이나 디스크(캘리퍼식, 전륜측)에 압착하여 마찰에 의한 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브레이크페달을 해방시키면 압축되었던 브레이크 오일이 마스터 실린더로 복귀하며 브레이크가 해제되게 된다.
한편, 수동변속 자동차에 있어서, 유압식 클러치는 클러치페달을 밟으면 클러치페달에 연결된 마스터실린더의 푸시로드가 마스터실린더 내의 피스톤이 클러치 오일을 압축하여 릴리즈포크를 작동시켜 클러치를 분리하여 동력전달을 차단하게 된다.
제1도에 종래의 일반적인 페달과 마스터실린더와의 연결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페달이나 클러치페달은 페달지지부재(2)의 바아나파이프로 구성되는 회전축에 페달아암(1)이 상단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며, 페달아암(1)의 상부에 브레이크나 클러치의 마스터실린더(3)내의 피스톤(도시하지 않음)과 연결된 푸시로드(4)의 종단에 형성된 ㄷ자형의 요크(5)를 사용하여 핀으로 체결되어 있다.
이에따라, 페달을 밟게 되면 페달아암(1)이 회전하며 푸시로드(4)를 밀어 마스터실린더(3)내의 오일을 압축하여 브레이크나 클러치를 작동시키게 된다.
한편, 종래의 푸시로드(4)와 페달아암(1)의 체결구조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페달아암(1)은 클레비스핀(6)에 부싱(9)을 통해 견고히 고정되며, 클레비스핀(6)과 요크(5)는 스냅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결합되게 된다.
이를 위해, 클레비스핀(6)의 종단에는 탄성부쉬(7)를 개재하여 핀홀(6a)에 스냅핀(snap pin)이 설치되어 요크(5)와 클레비스핀(6)과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푸시로드(4)는 요크(5)와 용접되거나,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시로드(4)의 선단에 숫나사를 가공하여 요크(5)와 너트(4a)를 이용하여 체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부트(9)의 구조는 부트(9)와 푸시로드(1a)의 마찰에 따른 소음 및 공기구멍(9a)으로 공기의 유입이나 유출시 부트(9)와 푸시로드(1a)의 마찰로 인해 부트(9)가 변형되거나, 또한, 공기구멍을 통한 소음의 발생 등 페달작동에 의한 소음의 원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부트(9)는 푸시로드(1a)와 밀착되게 설치되므로 이 부분이 푸시로드(1a)와의 마찰로 인해 마모되거나 변형되어 부트(9)의 수명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푸시로드(1a)의 작동과는 상관없이 공기구멍(9a)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이를 통한 마스터실린더(2)내의 오염도 마스터 실린더(2)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일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마스터 실린더의 부트 및 푸시로드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트의 마모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는 마스터 실린더의 부트 및 푸시로드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스터 실린더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마스터 실린더의 부트 및 푸시로드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인 클러치 조작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제2도는 종래의 마스터실린더의 부트와 푸시로드의 연결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실린더 부트와 푸시로드의 연결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페달 2 : 마스터 실린더
5 : 클러치 릴리즈 실린더 7 : 클러치
10 : 푸시로드 12 : 대직경부
13 : 소직경부 14 : 원추형 경사면
20 : 부트 21 : 절곡부
23 : 연결공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마스터실린더내의 피스톤과 접하는 푸시로드의 선단에 인접하여 대직경부를 형성하고, 대직경부로부터 페달과 결합할 종단부까지 소직경부를 형성한 푸시로드 및 전면의 중앙에 대직경부의 직경보다 작고 소직경부의 직경 보다는 큰 직경의 연결공을 형성한 마스터 실린더용 부트로 구성되는 마스터실린더와 푸시로드의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직경부의 소직경부와 접하는 종단부에 소직경부를 향하여 경사진 원추형 경사면을 형성하고, 부트의 연결공의 내측으로 경사면에 대응하는 절곡부를 형성하여 구성되는 마스터실린더와 푸시로드의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부트와 푸시로드의 체결구조는 푸시로드의 로드부와 부트의 연결공의 형상을 변경하므로써, 푸시로드의 작동중 부트와의 사이에 마찰이 없어 부트의 변형에 따른 소음의 발생이 억제되며,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공기구멍과는 달리 푸시로드의 소직경부와 부트의 연결공 주위의 환형의 통공을 통해 공기가 출입하므로 공기의 유입 및 유출 면적이 크게되어 이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한 소음의 발생도 크게 저감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트와 푸시로드의 체결구조에서는 푸시로드와 부트가 푸시로드의 전,후진시 서로 마찰되지 않으므로 마찰에 따른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소음의 발생은 물론, 부트의 연결부의 마모나 부트의 파손이 발생할 우려도 없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실린더의 부트와 푸시로드의 연결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에 본 발명에 따른 부트와 푸시로드의 연결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푸시로드(10)는 푸시로드(10)의 로드부가 대직경부(12)와 소직경부(13)로 구분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와 결합될 부트(20)에는 푸시로드(10)의 대경부(12)의 종단의 원추형 경사면(14)과 접하도록 형성된 절곡부(21)가 형성되는 외에 별도의 공기구멍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부트(20)와 푸시로드(10)의 연결구조는 부트(20)내 공간부(25)에서 피스톤(2a)의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부압상태나 압축상태시, 외부의 공기나 내부의 공기를 푸시로드(10)의 소직경부(13)와 부트(20)의 연결공(23)사이의 직경차에 의해 발생하는 환형의 통공을 통하여 유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도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푸시로드(10)가 페달(1)에 의해 전진하면, 대직경부(12)는 마스터 실린더(2) 내로 진입하며 대직경부(12) 후단의 원추형 경사면(14)이 부트(20)의 절곡부(21)와 분리되면서 푸시로드(10)의 소직경부(13)와 부트(20)의 연결공(23) 사이에는 환형의 통공이 남게되어 이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므로써 부압을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브레이크작동이 해제되어 푸시로드(10)가 후진하면, 대직경부(12)의 후단의 원추형 경사면(14)과 부트(20)의 연결공(22) 내측으로 절곡형성된 절곡부(21)가 접할 때까지는 푸시로드(10)의 소직경부(13)와 부트(20)의 연결공(23) 사이에는 환형의 통공이 유지되므로 푸시로드(10)가 원위치로 복귀할 때까지 푸시로드(10)와 부트(20)의 연결공(22) 사이에 형성되는 통공에 의해 자연스럽게 공기의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부트(20)와 푸시로드(10)의 체결구조는 푸시로드(10)의 로드부(12,13)와 부트(20)의 연결공(23)의 형상을 변경하므로써, 푸시로드(10)의 작동중 부트(20)와의 사이에 마찰이 없어 부트(20)의 변형에 따른 소음의 발생이 억제되며,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공기구멍과는 달리 푸시로드의 소단부(13)와 부트(20)의 연결공(23) 주위의 환형의 통공을 이용하므로 공기의 유입 및 유출 면적이 크므로 이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한 소음의 발생도 크게 저감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트(20)와 푸시로드(10)의 체결구조에서는 푸시로드(10)와 부트(20)가 푸시로드(10)의 전,후진시 서로 마찰되지 않으므로 마찰에 따른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소음의 발생은 물론, 부트(20)의 연결부의 마모나 부트의 파손이 발생할 우려도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트(20)와 푸시로드(10)의 체결구조에서는 부트(20)에 별도의 공기구멍을 형성하지 않고도 공기의 입출이 가능하므로 공기구멍(9a)의 형성에 따른 먼지의 유입으로 인한 마스터실린더(2)의 오염의 우려도 없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마스터실린더내의 피스톤과 접하는 푸시로드의 선단에 인접하여 대직 경부를 형성하고, 대직경부로부터 페달과 결합할 종단부까지 소직경부를 형성한 푸시로드 및 전면의 중앙에 대직경부의 직경보다 작고 소직경부의 직경 보다는 큰 직경의 연결공을 형성한 마스터 실린더용 부트로 구성되는 마스터실린더와 푸시로드의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부의 소직경부와 접하는 종단부에 소직경부를 향하여 경사진 원추형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부트의 연결공의 내측으로 대직경부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절곡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실린더와 푸시로드의 연결구조.
KR1019960067827A 1996-12-19 1996-12-19 마스터실린더와 푸시로드의 연결구조 KR100199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7827A KR100199767B1 (ko) 1996-12-19 1996-12-19 마스터실린더와 푸시로드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7827A KR100199767B1 (ko) 1996-12-19 1996-12-19 마스터실린더와 푸시로드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154A KR19980049154A (ko) 1998-09-15
KR100199767B1 true KR100199767B1 (ko) 1999-06-15

Family

ID=19489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7827A KR100199767B1 (ko) 1996-12-19 1996-12-19 마스터실린더와 푸시로드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976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154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9767B1 (ko) 마스터실린더와 푸시로드의 연결구조
KR200388388Y1 (ko) 자동차용 디스크 브레이크
KR100224411B1 (ko) 마스터실린더의 입구밸브용 밸브케이스
KR100326380B1 (ko) 자동차용 디스크 브레이크의 가이드 핀 연결장치
KR200184503Y1 (ko) 페달 연결부의 그리스홈 구조
KR200147144Y1 (ko)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체결장치
KR0129241Y1 (ko) 브레이크페달 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바아의 체결장치
KR0123109Y1 (ko) 휠실린더를 갖춘 드럼브레이크
KR100192300B1 (ko)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연결장치
KR200145059Y1 (ko) 자동차 제동장치의 휠 실린더 구조
KR100694015B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KR100694014B1 (ko) 차량용 디스크블레이크의 패드리턴스프링
KR100217682B1 (ko) 자동차용 마스터실린더
KR0147694B1 (ko) 드럼브레이크
KR19980027067U (ko)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체결장치
KR200147145Y1 (ko)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연결장치
KR20020052314A (ko) 자동차의 디스크브레이크
KR200153508Y1 (ko) 자동차 제동장치의 휠 실린더 푸쉬로드 설치구조
KR100771039B1 (ko) 디스크 브레이크의 가이드 로드
KR100217675B1 (ko) 브레이크슈 어저스팅장치를 구비한 휠실린더
KR20040041969A (ko) 디스크브레이크의 구조
KR19980049040A (ko) 자동차의 디스크식 브레이크용 브레이크오일의 누설방지구조
KR19980024221U (ko) 브레이크의 복귀력 증강장치
KR19980054339U (ko) 캘리퍼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패드
KR19980028806A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레버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