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4822B1 - 푸시로드 선형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푸시로드 선형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4822B1
KR0184822B1 KR1019960053921A KR19960053921A KR0184822B1 KR 0184822 B1 KR0184822 B1 KR 0184822B1 KR 1019960053921 A KR1019960053921 A KR 1019960053921A KR 19960053921 A KR19960053921 A KR 19960053921A KR 0184822 B1 KR0184822 B1 KR 0184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rod
master cylinder
pedal
guide membe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3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5546A (ko
Inventor
박민규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53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4822B1/ko
Publication of KR19980035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4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48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러치나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에 의해 마스터실린더내로 직선으로 운동하는 푸시로드의 선형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푸시로드 선형작동장치(20)는 힌지부(23)를 설치한 한 쌍의 분할된 전,후방 푸시로드(21,22)로 분할형성하고, 마스터실린더(30)의 선단에는 전방 푸시로드(21)를 안내할 안내부재(31)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힌지부(23)에 의해 분할된 전방 푸시로드(21)는 마스터실린더(30)의 선단에 나합된 안내부재(31)에 스토퍼(32)와 스냅링(33)으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안내부재(31)는 전방 푸시로드(21)가 마스터실린더(30)내에서 직선운동하도록 지지하여 푸시로드(21)의 선단에 설치된 피스톤(37)이 경사지게 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전방 푸시로드(21)에 선단이 힌지핀(25)으로 힌지결합되는 후방 푸시로드(22)의 종단에는 종래와 같은 요크(5)가 설치되어, 페달에 연결되어 페달(1)의 운동에 따라 힌지부(23)를 중심으로 곡선운동하며 전방 푸시로드(21)에 추력을 작용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푸시로드를 분할 형성하여 후방 푸시로드(22)가 곡선운동하여도 마스터실린더(30)에 설치되는 전방 푸시로드(21)는 직선운동하게 되므로 푸시로드의 곡선운동에 따른 마스터실린더(30)나 피스톤컵의 편마모를 방지하여 마스터실린더(3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푸시로드 선형 작동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페달에 관한 것이며, 특히는 페달의 작동에 의해 마스터실린더내로 직선운동하는 푸시로드의 선형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브레이크와 클러치는 페달에 의해 작동되며, 페달은 브레이크와 클러치를 작동하기 위한 마스터실린더의 푸시로드와 연결되어 있다.
예컨대, 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에서는 브레이크 페달을 작동시키면 페달아암에 요크로 연결된 푸시로드에 의해 마스터실린더내의 피스톤이 전진하여 실린더내의 브레이크 오일을 압축하므로써 전,후륜측의 브레이크라인을 통해 브레이크 오일을 압축하게 되며, 브래이크라인의 종단과 연통된 캘리퍼(전륜측)나 브레이크슈(후륜측)의 휠실린더로 고압의 브레이크 오일을 공급하여 라이닝이나 패드를 브레이크 드럼(내부확장식, 후륜)이나 디스크(캘리퍼식, 전륜측)에 압착하여 마찰에 의한 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브레이크 페달을 해방시키면 압축되었던 브레이크 오일이 마스터실린더로 복귀하며 브레이크가 해제되게 된다.
한편, 수동변속 자동차에 있어서, 유압식 클러치는 클러치 페달을 밟으면 클러치 페달에 연결된 마스터실린더의 푸시로드가 마스터실린더내의 피스톤이 클러치 오일을 압축하여 릴리즈포크를 작동시켜 클러치를 분리하여 동력전달을 차단하게 된다.
도 1에 종래의 일반적인 페달과 마스터실린더와의 연결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이나 클러치 페달은 페달지지부재(2)의 바아나 파이프로 구성되는 회전축에 페달아암(1)이 상단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며, 페달아암(1)의 상부에 브레이크나 클러치의 마스터실린더(3)내의 피스톤(도시하지 않음)과 연결된 푸시로드(4)의 종단에 형성된 ㄷ자형의 요크(5)를 사용하여 핀으로 체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페달을 밟게 되면 페달아암(1)이 회전하며 푸시로드(4)를 밀어 마스터실린더(3)내의 오일을 압축하여 브레이크나 클러치를 작동시키게 된다.
한편, 종래의 푸시로드(4)와 페달아암(1)의 체결구조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아암(1)은 클레비스핀(6)에 부싱(9)을 통해 견고히 고정되며, 클레비스핀(6)과 요크(5)는 스냅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결합되게 된다. 이를 위해, 클레비스핀(6)의 종단에는 탄성부쉬(7)를 개재하여 핀홀(6a)에 스냅핀(snap pin)이 설치되어 요크(5)와 클레비스핀(6)과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푸시로드(4)는 요크(5)와 용접되거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시로드(4)의 선단에 숫나사를 가공하여 요크(5)와 너트(4a)를 이용하여 체결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페달아암(1)은 회전축(3)에 지지되어 회전하며 푸시로드(4)는 페달아암(1)에 힌지결합되어 있으므로 페달아암(1)의 피벗운동에 따라 푸시로드(4)는 마스터실린더(3)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전,후진하는 것이 아니라 전,후진시 회전각(θ)에 따른 수직변위를 동반하므로 푸시로드(4)는 마스터실린더(7)내로 회전각(θ)에 따라 경사지게 출입하게 되므로써 마스터실린더(7)와 피스톤간의 편마모를 발생시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의 푸시로드(4)는 요크(5)와 클레비스핀(6)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있으므로 푸시로드는 페달아암의 회전운동에 따라 직선운동이 아닌 곡선운동을 하게 되거, 이러한 곡선운동에 따른 실린더와 피스톤의 편마모는 실린더내부의 오일의 누출의 원인이 되며, 마스터실린더장치의 수명을 짧게하는 요인의 하나로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푸시로드가 직선운동하도록 하는 푸시로드 선형작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와 페달아암과의 연결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제2도는 종래의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와 페달아암의 체결구조를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로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반단면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는 푸시로드 선형 작동장치의 푸시로드와 페달아암의 연결구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 도면에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선형작동장치 21 : 전방 푸시로드
22 : 후방 푸시로드 23 : 힌지부
25 : 힌지핀 30 : 마스터실린더
31 : 안내부재 32 : 스토퍼
33 : 스냅링 37 : 피스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마스터실린더의 선단에 설치되는 안내부재, 선단이 안내부재에 삽입되고 종단에는 힌지결합부가 형성된 전방 푸시로드, 및 선단이 전방 푸시로드의 힌지결합부에 결합되는 힌지결합부를 구비하고 종단은 페달에 힌지결합되는 후방 푸시로드로 구성되는 푸시로드 선형작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방 푸시로드의 선단에 스토퍼가 설치되어 푸시로드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구성한 푸시로드 선형작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방 푸시로드의 종단에 형성되는 힌지결합부에 요홈을 형성하고 이와 결합할 후방 힌지결합부에는 요홈내에 삽입될 돌출부를 구비하여 이를 핀으로 체결하여 힌지부를 형성한 구조의 푸시로드 선형작동장치를 제공한다.
이에따라, 푸시로드를 분할 형성하여 후방 푸시로드가 곡선운동하여도 마스터실린더에 설치되는 전방 푸시로드는 직선운동하게 되므로 푸시로드의 곡선운동에 따른 마스터실린더나 피스톤컵의 편마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푸시로드 선형작동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본 발명에 따른 푸시로드 선형작동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푸시로드 선형작동장치(20)는 분할종단에 힌지부(23)를 설치한 한쌍의 전,후방 푸시로드(21,22)와, 마스터실린더(30)의 선단에는 전방 푸시로드(21)를 안내할 안내부재(31)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힌지부(23)에 의해 분할된 전방 푸시로드(21)는 마스터실린더(30)의 선단에 나합된 안내부재(31)에 스토퍼(32)와 스냅링(33)으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안내부재(31)는 전방 푸시로드(21)가 마스터실린더(30)내에서 직선운동하도록 지지하여 푸시로드(21)의 선단에 설치된 피스톤(37)이 경사지게 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내부재(31)는 마스터실린더(30)와 푸시로드(21)간의 더스트커버의 기능도 겸하게 된다.
한편, 전방 푸시로드(21)의 힌지결합부가 형성된 종단에 선단이 힌지핀(25)으로 힌지결합되는 후방 푸시로드(22)의 종단에는 종래와 같은 요크(5)가 설치되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달에 연결되어 페달(1)의 운동에 따라, 도 3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부(23)를 중심으로 곡선운동하며 전반 푸시로드(21)에 추력을 작용시키게 된다.
도 4에 본 발명에 따른 전방 푸시로드(21)와 후방 푸시로드(22)의 결합부가 일례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푸시로드(21,22)는 일측(21 또는 22)의 힌지결합부로 ㄷ자형의 요부(21a)를 형성하고, 타측(21 또는 22)의 힌지결합부로는 요부(21a)에 삽입될 돌출부(22a)를 형성하고 요부(21a)와 돌출부(22a)에 각기 천공하여 힌지핀(25)으로 체결하므로써 힌지부(23)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외에도 양자의 일측을 절반씩 절개하여 절개된 선단을 맞추어 힌지부를 형성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므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부(23)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따라, 본 발명에 따른 푸시로드(21,22)는 페달아암의 피벗운동에 따라 페달에 고정된 후방 푸시로드(22)는 곡선운동을 하게 되나, 후방 푸시로드(22)에 힌지결합된 전방 푸시로드(21)는 안내부재(31)에 안내되어 직선운동하게 되므로 마스터실린더(30) 내부의 피스톤(37)도 직선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푸시로드 선형작동장치(20)를 사용하므로써, 푸시로드를 분할 형성하여 후방 푸시로드(22)가 곡선운동하여도 마스터실린더(30)에 설치되는 전방 푸시로드(21)는 직선운동하게 되므로 후방 푸시로드(22)의 곡선운동에 따른 마스터실린더(30)나 피스톤컵의 편마모를 방지하여 마스터실린더(3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마스터실린더의 실내측 선단에 설치되는 안내부재, 선단이 안내부재에 삽입되고 종단에는 힌지결합부가 형성된 전방 푸시로드, 및 선단이 전방 푸시로드의 힌지결합부에 결합되는 힌지결합부를 구비하고 종단은 페달에 힌지결합되는 후방 푸시로드로 구성되는 푸시로드 선형작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푸시로드의 선단에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로드 선형작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푸시로드의 종단에 형성되는 힌지결합부에 요홈을 형성하고 이와 결합할 후방 힌지결합부에는 요홈내에 삽입될 돌출부를 구비하여 이를 핀으로 체결하여 힌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로드 선형작동장치.
KR1019960053921A 1996-11-14 1996-11-14 푸시로드 선형 작동장치 KR0184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921A KR0184822B1 (ko) 1996-11-14 1996-11-14 푸시로드 선형 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921A KR0184822B1 (ko) 1996-11-14 1996-11-14 푸시로드 선형 작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546A KR19980035546A (ko) 1998-08-05
KR0184822B1 true KR0184822B1 (ko) 1999-04-01

Family

ID=19481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3921A KR0184822B1 (ko) 1996-11-14 1996-11-14 푸시로드 선형 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48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81272B (zh) * 2021-08-29 2024-03-15 太原科技大学 一种用于楼梯喷洒消毒小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546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3636B2 (en) Disk brake with mechanical self-boosting
KR20000023676A (ko) 자동차 브레이크용 작동기 어셈블리 및 그러한 작동기 어셈블리를 구비한 자동차 브레이크
WO1996007576A3 (de) Bremszangeneinheit für scheibenbremsen von fahrzeugen, insbesondere schienenfahrzeugen
US7337881B1 (en) Full float multi-force caliper assembly
EP2475560B1 (fr) Système de freins à maître-cylindre et servofrein électrique
KR0184822B1 (ko) 푸시로드 선형 작동장치
US3482657A (en) Disk brake with mechanical actuator and adjusting means
GB2027826A (en) Disc brake assembly
KR970007712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
CN216969898U (zh) 可变式油压刹车结构
KR100251366B1 (ko) 클러치 페달 장착구조
KR200184503Y1 (ko) 페달 연결부의 그리스홈 구조
KR100527694B1 (ko) 자동차용 클러치 유격 조절 구조
KR19980028795A (ko)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연결장치
KR100259631B1 (ko) 자동차 브레이크 장치
KR200147144Y1 (ko)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체결장치
KR200147145Y1 (ko)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연결장치
KR100482121B1 (ko) 차량의 클러치 작동장치
RU2019445C1 (ru) Механический усилитель тормозного привода
KR200179254Y1 (ko) 마스터실린더 피스톤과 푸시로드의 연결구조
KR19990006942U (ko) 드럼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슈 작동장치
KR100432011B1 (ko)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연결장치
KR100199767B1 (ko) 마스터실린더와 푸시로드의 연결구조
KR19980027095U (ko) 푸시로드 선형 작동장치
FR2480379A1 (fr) Dispositif de freinage a tambour a machoires inter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