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4796A - 금속제 원판체의 방출장치 - Google Patents

금속제 원판체의 방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4796A
KR19980024796A KR1019970047866A KR19970047866A KR19980024796A KR 19980024796 A KR19980024796 A KR 19980024796A KR 1019970047866 A KR1019970047866 A KR 1019970047866A KR 19970047866 A KR19970047866 A KR 19970047866A KR 19980024796 A KR19980024796 A KR 19980024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disk
disc body
medal
wi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0390B1 (ko
Inventor
히로시 아베
모토하루 구로사와
Original Assignee
히로시 아베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285813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97660A/ja
Priority claimed from JP359586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19828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9032548A external-priority patent/JP3128204B2/ja
Application filed by 히로시 아베,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시 아베
Publication of KR19980024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0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03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08Feeding coins from bul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14Apparatus driven under control of coin-sens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과제) 게임장치에 사용되는 메달 또는 여러 가지 게임장치등에 투입되는 주화에 대하여 그것이 진정인가 여부를 식별하면서 송출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수단) 이 원판체의 방출장치는 도 5 내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입된 복수개의 금속제의 원판체를 수납하는 호퍼수단(53)과, 상기 원판체를 일매씩 포착하여 이동하는 회전 자유로운 디스크 수단(5)과, 상기 디스크 수단에서 상기 원판체를 1매씩 송출하는 방출수단(34)과, 상기 디스크 수단에 의하여 밀어내어진 상기 원판체를 불출하기 위한 회전 자유로운 와이퍼수단(15)과, 상기 와이퍼 수단에 의하여 불출한 상기 원판체를 기준위치를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수단(60, 63)과, 상기 기준위치를 통과하는 상기 원판체가 진정한가 여부를 판정하는 체크수단(69)과, 상기 체크수단에 의하여 개폐가 제어되는 게이트수단(66)과를 구비하여, 진정한 원판체와 위조품의 원판체가 상이한 방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금속제 원판체의 방출장치
본 발명은 묶지 않고 그대로 쌓은 상태의 금속제 원판체를 외부에 1개씩 송출하는 원판체 방출장치에 관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묶지 않고 그대로 쌓은 상태에 투입된 화폐인 원판형 주화 또는 게임 장치등에 사용되는 원판형 메달등의 동일 종류의 금속제 원판체를 선별하면서 강제적으로 1개씩 송출하는 원판체의 방출장치에 관한다.
(종래의 기술)
종래, 원판체의 방출장치로서, 여러 가지의 것이 개발되어 있다. 예를들면, 일본 특공소 63-36040호 공보(일본 특원소 60-122626)호에는 금속제 원판체인 경화의 투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경화 투출장치를 도 1을 참조하면서 간단히 설명한다. 투입된 다수의 경화를 수용하는 직4각형 개구를 갖는 깔대기 상의 호퍼(도시하지 않음)의 하단에 원통형 케이스(2)가 기판(4)상에 고정되어 있다. 이 원통형 케이스(2)내의 기판(4)상에는 이 원통형 케이스와 동심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경화이송원판(5)이 설치되어 있다. 경화이송원판(5)의 회전축(10)에는 경화이송원판을 회전구동하는 구동장치(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경화이송원판(5)에는 투출된 경화가 들어갈 수 있는 치수의 복수개의 경화 받이구멍(11)이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간하여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각 인접하는 경화 받이구멍(11) 사이에서, 경화이송원판(5)의 하면에 돌출하는 경화이송팔(아암)(12)이 경화 받이구멍(11)의 대략 중심을 연결하는 원까지 반경 방향으로 이어서 설치되어, 경화 받이구멍(11)에 들어간 경화가 경화이송원판(5)의 회전에 동반하여 경화이송팔(12)에 의하여 기판(4)상에서 경화 받이구멍(11)에서 꺼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원통형 케이스(2)의 주벽의 일부의 하단부에는 출구구멍(1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송팔(12)에 의하여 기판(4)상에 밀고 나아가게된 경화는 상기 출구구멍(13)의 하류에서 기판(4)에 설치된 출구 안내 부재(14)에 의하여 상기 출구구멍(13)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도 1의 경화 추출 장치에서는 상기 경화이송원판(5)의 경화받이 구멍(11)과 동수의 이송날개(16)가 반경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스크레이퍼(15)가 그 이송날개(16)의 선단부가 상기 원통 케이스(2)의 주벽 하단부에 상기 출구구멍(13)과 연속하여 설치된 개구(13a)를 경유하여 원통 케이스(2)내의 경화이송원판(5)의 하측에 각 인접 경화 받이구멍(11) 사이에서 돌출하여 있다. 또 회전축(17)상에 상기 스크레이퍼(15)의 중앙부가 장치되고, 이 스크레이퍼(15)가 상기 경화이송원판(5)과 동기회전되도록 상기 스크레이퍼 회전축(17)이 상기 구동장치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원통형 케이스(2)내에 있어서 상기 경화이송원판(5)의 각 경화이송팔(12)과 상기 스크레이퍼(15)의 각 이송날개(16)가 협동하여 경화(A)를 상기 출구 안내부로 향하여 밀고 나아가게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원판체의 방출장치에는 경화 또는 메달이 진정한 것인가 위조품 인가를 판정 체크하여 위조품을 배제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았다.
특히 근년, 비디오 게임장치의 진전과 동시에 게임 센터가 많이 들어서고, 여러 가지 게임장치에 상이하는 종류의 메달이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다른 가게에서 또는 다른 게임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는 상이한 종류의 메달, 따라서 그 게임장치로서는 위조물로 되는 메달이 혼입한다라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에 비추어 본 발명에 관한 금속제 원판체의 방출장치는 사용되는 메달 또는 경화가 진정한 것인가 위조품 인가를 판정 체크하여 위조품을 선별하는 것이 가능한 금속제 원판체의 방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원판체 방출장치의 요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의 실시예에 관한 원판체 방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원판체 방출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원판체 방출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제2의 실시예에 관한 원판체 방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6의 원판체 방출장치의 다이 케이스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7는 도 6의 원판체 방출장치의 덮개 케이스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8는 도 6의 원판체 방출장치의 덮개 케이스 부분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하는 규제핀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하는 게이트의 활동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는 위조품 메달을 사용한 경우이고, 도 10b는 진정 메달을 사용한 경우이다.
도 11은 도 11a는 도 6의 원판체 방출장치의 헤드의 상세도이다. 도 11b는 덮개의 상세도이다.
도 12는 도 11a의 헤드를 덮개 케이스에 부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한 원판체의 방출장치는 예를들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입된 복수개의 금속제의 원판체를 수납하는 호퍼수단(21)과, 상기 호퍼수단내에 배치되어, 상기 원판체를 1매씩 밀어내어 이동하는 회전 자유로운 디스크 수단(22)과, 상기 디스크 수단으로부터 상기 원판체를 1개씩 송출하는 방출수단과, 송출된 상기 원판체가 통과하는 통로수단(33)과, 그 통로 수단의 상류에 배달되어, 통과하는 상기 원판체가 진정한 것인가 여부를 판정하는 체크수단(36)과, 상기 통로 수단의 하류에 배설되어, 상기 체크수단에 의하여 제어되는 게이트 수단(38)과를 구비하여 있다.
더욱, 본 발명에 관한 원판체의 방출장치는 도 5 내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투입된 복수개의 금속제의 원판체를 수납하는 호퍼수단(53)과, 상기 원판체를 1매씩 포착하여 이동하는 회전 자유로운 디스크 수단(5)과, 상기 디스크 수단에서 상기 원판체를 1매씩 송출하는 방출수단(34)과, 상기 디스크 수단에 의하여 밀어내어진 상기 원판체를 불출하기 위한 회전 자유로운 와이퍼 수단(15)과, 상기 와이퍼 수단에 의하여 불출된 상기 원판체를 기준 위치를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수단(60, 63)과, 상기 기준 위치를 통과하는 상기 원판체가 진정한 것인가의 여부를 판정하는 체크수단(69)과, 상기 체크수단에 의하여 개폐가 제어되는 게이트 수단(66)과를 구비하여, 진정한 원판체와 위조품의 원판체가 다른 방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본 발명에 관한 원판체의 방출장치는 도 5 내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자형의 수지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기어열을 수납함과 동시에, 한쌍의 회전축을 구비하여 이들의 회전축을 동기하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한 다이 케이스(51)와, 상기 다이 케이스와 꼭같은 상자형의 수지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꼭대기부에, 원판체를 1개씩 밀어내기 위한 회전 자유로운 디스크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이 밀어내어진 원판체를 불출하기 위한 회전 자유로운 와이퍼 수단과 상기 불출된 원판체가 진정한 것인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체크수단과, 상기 체크수단에 의하여 개폐가 제어되는 게이트 수단과를 갖고, 상기 다이 케이스에 얹어지는 덮개 케이스(52)와, 통형의 수지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스크 수단 가까이의 상기 덮개 케이스에 부착 자유롭게 배치된 원판체 수납용의 호퍼(53)와, 작은 상자형의 수지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와이퍼수단 가까이에 상기 덮개 케이스에 부착 자유로이 배치된 전자부품 수납용의 덮개(54)와를 구비하고 있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금속제 원판체의 방출장치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더욱 이들 실시예에서는 금속제 원판체로서, 게임장치에 사용되는 메달을 예로 취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기타 경화인 주화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1의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금속제 원판체의 방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는 이 방출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이 방출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참조수자 11은 큰 직4각형의 베이스부재이고, 이 베이스부재(11)는 도 4의 우측 부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단면이 대략 수자 7 자형의 키가 높은 프레임(12)과, 좌측부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단면이 대략 C 자형의 키가 낮은 프레임(13)에 의하여, 경사지게 고정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베이스부재(11)는 수평선에 대하여 약 40도로 경사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2의 좌상 부분에 도시되는 직4각형 개구를 갖는 깔대기상 또는 통상의 것은 호퍼, 헤드 또는 탱크(21)이고, 원판체의 메달(도시하지 않음)이 이 호퍼(21)내에 투입되어 묶지 않고 그대로 쌓은 상태로 수납된다.
이 호퍼(21)의 안바닥은 베이스부재(11)에 따라 경사하여 있고, 이 안바닥에는 원형의 디스크(메달 이송 원판)(22)이, 회전 자유로이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22)는 도 4에 도시되는 전기모터(23)의 회전축(24)에 접속되어 회전된다.
디스크(22)에는 메달을 수용하기 위한 둘레방향으로 상호로 이격한 복수개의 (도면에서는 4개의) 관통구멍(25)이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디스크(22)를 회전한 상태에서 메달을 탱크(21)내에 투입하면 메달(A)은 이 관통구멍(25)의 어느 것인가 순차 포착되어, 회전이동된다.
더욱, 디스크(22)에는 이면의 소정의 위치에 돌기아암(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아암에 의하여 메달이 1개씩, 도 2 또는 도 3에서 보아 우방향을 향하여 밀어내어지고, 디스크(22)로부터 방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디스크(22)로부터 방출된 메달의 진행방향에는 도 2 및 도 3의 우측부분에 도시되는 경사 하향의 통로(3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메달의 통로(33)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11)상에 배치된 대략 3각형의 스페이스판(31)(도 3의 우상부분 참조)과 대략 4각형의 스페이스판(32)(도 3의 좌하부분 참조)으로 둘러 쌓인 우하방을 향하여 이어지는 오목부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 오목부, 대략 3각형의 스페이스판(31) 및 대략 4각형의 스페이스판(32)의 전체를 덮도록 대략 정4각형이나 약간 두꺼운 커버판(34)이 설치되어, 오목부와 커버판(31)에 의하여 메달의 통로(33)가 형성된다.
이 통로(33)의 상류 위치의 베이스부재(11)내에는 메달의 진위를 판정하기 위한 체크수단(35)이 배설되어 있다. 이 체크수단(35)은 메달(M)의 통로(33)에 따라 배치된 예를들면 2개의 검지코일(36, 36)로 이루어지고, 이들 검지코일(36)에는 발진기(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어 있다. 금속제의 메달(M)이 검지코일(36)에 접근하면, 메달(M)에 의하여 검지코일(36)의 임피던스가 변화하고, 그결과, 발진기의 발진주파수 및 신호레벨이 변화한다. 이 변화는 당연히 메달의 직경 두께, 재질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이의 발진 주파수 및 신호레벨의 변화를 미리 기억하고 있는 진정 메달에 관한 발진 주파수 및 신호 레벨의 기준치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서, 통과하는 메달의 진정 여부가 판정된다.
통로(33)의 더욱 하류에는 직4각형의 게이트수단(38)이 설치되어 있다. 게이트수단(38)은 통로(33)의 일부의 직4각형 부분을 문짝 모양으로 개폐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이 직4각형 부분의 아래 가장자리에는 원추형 접합수단(37)이 설치되어 직4각형 부분을 예를들면 플런저형 제어용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지는 개폐 제어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개폐 제어함으로서 행해진다. 더욱 게이트수단(38)을 원추형접합(37)을 중심으로 문짝 모양으로 회전운동 자유로 하기 위하여 게이트 수단(38)의 상방의 커버판(34)의 개소는 부분적으로 절제되어 있다(도시하지 않음).
게이트수단(38)의 개폐 제어는 메달(M)의 진위의 체크수단(35)으로 부터의 검출신호에 의거하고 있다.
더욱, 도 2의 우하부분에 표시되는 소형 각 기둥형의 것은 전기 배선을 통합하여 외부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장치(40)이다.
상술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제 원판체의 송출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기모터(33)의 소위치를 온으로 하면, 디스크(22)가 도 3에서 보아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한다. 이 상태에서 같은 복수개의 메달을 호퍼(21)내에 투입하여 묶지 않고 그대로 쌓아두면, 호퍼(21)의 안바닥에 있어서 묶지 않고 그대로 쌓아둔 상태로 되어 있는 원판체의 메달은 회전하는 디스크(22)의 관통구멍(25)내로 순차 포착된다. 각 관통구멍(25)내에 포착된 메달 중, 최하위에 위치하는 메달은 디스크(22)의 회전과 함께 베이스부재(11)를 슬라이드하여 이동하고, 통로(33)의 입구의 근방에 형성된 돌기아암(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통로(33)의 상류에 1개씩 강제적으로 송출된다.
통로(33)의 상방의 입구에 강제적으로 밀어내여진 메달은 자중에 의하여 통로(33)내를 도 3에서 보아 좌상에서 우하의 방향으로 경사지어 커브하면서 낙하한다. 이때 메달(M)은 체크수단(35)의 근방을 통과하여 진정인가 여부가 판정된다.
체크수단(35)의 근방을 통과한 메달이 진정한 메달의 경우는 체크수단(35)으로부터 이송된 검출신호에 의하여 게이트수단(38)이 작동하고, 도 3에 도시하는 원추형 접합부(37)를 중심에 게이트(38)가 회전하여 개구(39)가 형성된다. 통로(33)내로 이동한 진정한 메달(M2)은 이 개구(39)내에 (도 4의 화살표(3)의 방향을 향하여) 낙하하고, 개구(39)내에 수용되어 있는 진정 메달용의 케이스(도시하지 않음) 등에 모여진다.
체크수단(35)을 통과한 메달이 위조품의 메달의 경우는 게이트수단(38)은 동작하지 않고, 유사메달(M1)은 통로(33)를 최후까지 통과시켜 도 3 및 도 4의 실선 화살표(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낙하하고, 위조품 메달용 케이스(도시하지 않음)에 수납된다.
여기서 진정한 메달의 경우에, 게이트수단(38)을 동작하여 개구(39)를 열도록 한 것은 전기배선의 단선 등에 의하여 송출장치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위조품 메달 중에 진정 메달이 혼입하는 일이 있더라도 적어도 진정 메달중에 위조품 메달이 혼입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 트러블의 발생을 회피하기 위함이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통로(33)의 개구(39)를 개폐하는 구조로 하였지만, 통로(33)에 분로를 형성하여, 메달을 진위로 가르는 구조로 하여도 좋다.
또, 기준 데이터 기억수단에는 복수종의 메달에 관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와같은 기준데이터 기억수단, 체크수단(36) 및 게이트수단(38)의 조합에 의하여 복수 종류의 메달(또는 복수 종류의 경화)일지라도 진위 판단할 수 있다.
제1의 실시예에 의하면 메달 송출장치에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부가함으로서, 메달의 진위의 판정 기능을 구비할 수가 있다.
(제2의 실시예)
도 5는 제2의 실시예에 관한 금속제 원판체의 송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송출장치는 대체로 3단의 층구조로 이루어진다. 맨 아래층의 평탄한 상자 모양의 것은 다이 케이스(51)이고, 플라스틱과 같은 수지성형품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이 케이스(51) 위에 실려진 중간층의 상자모양의 것은 덮개 케이스(52)이고, 꼭같이 수지성형품으로 형성되어 있다. 덮개 케이스(52)의 측면에는 2개의 메달 방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그중 한쪽은 진정한 메달(M2)이 배출되는 방출구(55)이고, 다른편은 위조품의 메달(M1)이 방출되는 배제구(56)이다. 덮개 케이스(52)의 좌반분상에 실린 맨 위층내의 통형상의 것은 주화, 메달 등의 금속 원판체를 수납하는 헤드, 탱크 또는 호퍼(53)이고, 꼭같은 수지성형품으로 이루어진다. 호퍼(53)의 오른쪽에 나열하여 배치된 비교적 작은 상자형상의 것은 덮개체(54)이고, 꼭같이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맨 아래층의 다이 케이스(51)로부터 위 순서로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되는 평탄한 상자형의 것은 다이 케이스(51)이고, 수지성형품으로 이루어진다. 이 다이 케이스(51)의 내부에는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되는 바와같이, 송출장치의 구동원으로서의 전기모터(71)와 이 전기모터(71)에 의하여 회전되는 여러 가지 수지제의 기어열이 수납되고, 최종적으로 디스크(5)의 중심에 있는 회전축(10)(도 7참조) 및 Y자형 와이퍼(15)의 중심에 있는 회전축(17)(도 7참조)가 동기하여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그를 위한 기어열 기구를 간단히 설명하면, 도 6의 우측에 있는 회전축(17)을 회전하기 위한 제4기어(72)는 제3기어(73)를 개재하여 제2기어(74)와 맞물러 있다. 또, 회전축(10)을 회전하기 위한 제5기어(75)는 직접적으로 제2기어(74)와 맞물려 있다. 제2기어(74)는 제1기어(70)를 통하여 전기모터(71)에 의하여 회전구동된다. 따라서 한쌍의 회전축(10, 17)은 동기하여,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된다.
회전축(17)의 중앙에는 3개의 돌편(突片)(50)을 갖는 회전링(52)이 장착되어 있다. 이들의 돌편(50)은 예를들면 Y자형 와이퍼(15)(도 7참조)의 날개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또, 이들 돌편(50)이 회전이동하였을 때 통과하는 위치에 돌편(50)의 통과를 검출하는 센서(49)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의 센서(49)와 돌편(50)의 조합에 의하여 회전축(17), 따라서 Y자형 와이퍼(15)의 회전속도의 증감이 정확히 검출할 수가 있다. 또, Y자형 와이퍼(75)의 날개 사이에 포착되어 있는 메달(M)의 정확한 위치를 특정할 수가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다이 케이스(51) 상에는 덮개 케이스(52)가 배치되어 있다. 다이 케이스(51)와 덮개 케이스(52)와는 도 6에 도시하는 다이 케이스(51)의 각부의 나사구멍(76)에 하방에서 약간 길게 나사를 삽입하여 상호 접속된다.
도 7은 덮개 케이스(52) 전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8은 이 덮개 케이스(52)의 평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덮개 케이스(52)는 상자형 형상이고, 이것도 예를들면 플라스틱과 같은 수지성형품으로 이루어진다. 덮개 케이스(52)는 그 상면이 직4각형의 베이스부재(4)에 의하여 덮여지고, 베이스부재(4)에는 2개의 원형을 연결한 대략 8자형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에서 보아 상방의 원형의 오목부(61)내에는 중심에 회전축(10)을 갖는 디스크(메달 이송원판)(5)가 회전 자유로이 수납되어 하방의 원형의 오목부(62)에는 중심에 회전축(17)을 갖는 수지제의 Y자형의 와이퍼(15)가 회전 자유로이 수납되어 있다.
도 6에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크(5)의 회전축(10)과 와이퍼(15)의 회전축(17)과는 적당한 기어열 기구를 통하여 전기모터(71)에 의하여 동기하여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즉 도 8에서 보아 디스크(5)는 반시계 방향으로, Y자형 와이퍼(15)는 시계방향으로 동기하여 회전한다.
또, 디스크(5)와 Y자형 와이퍼(15)의 중간의 베이스부재(4)상의 영역은 메달이 통과하는 통로(13)로 칭해진다. 전체적으로 말하면, 디스크(5)의 관통구멍(11)에 포착된 메달은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통로(13)에 다다르면 디스크(5)를 이탈하여 통로(13)를 진행하여 Y자형 와이퍼(15)에 포착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진정한 메달(M2)은 게이트수단(66)의 하방의 방출구(55)로부터 배출되어, 위조품의 메달(M1)은 배출구(56)로부터 배출된다. 이하 이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스크(5)에는 복수개, 도면에서는 3개의 원형의 개구인 관통구멍(11)이 둘레방향으로 상호 이격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11)의 직경은 이송출장치에 사용되는 메달 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고 메달(M)이 용이하게 수용되는 사이즈로 되어 있다.
디스크(5)가 회전하여 관통구멍(11)의 하나가 Y자형 와이퍼(15)에 접근하였을 때, 메달을 디스크(5)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하여 디스크(5) 하면의 돌기(도시하지 않음) 및 규제핀(34)이 관통구멍(11)에서 보이는 베이스부재(4)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규제핀(34)은 소정방향에서 오는 메달의 진행을 저지하여 진로를 변경하고, 반대방향에서 오는 메달의 진행에 대하여는 방해하지 않고 통과시키도록 작용한다. 이 작용은 메달이 디스크(5)와 베이스부재(4) 사이 등에 파고 들어나, 통로(13)에의 방출도중에서 막히거나 하는 등의 트러블 발생시에 디스크(5)를 역회전하여 트러블을 해소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규제핀(34)은 대체로 탄환형이고, 선단부(34A)는 원뿔형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원단부(34B)는 약간 큰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규제핀(34)은 베이스부재(4)에 형성된 원구멍(4A)내에 하방에서 삽입된다. 이 원구멍(4A)은 수지제의 베이스부재(4)에 부재 평면에 대하여 각도 경사 약 45도로 형성되어 부재표면 보다 약간 작은 직경과 약간 큰 직경의 2단계의 직경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규제핀(34)은 베이스부재(4)의 하방에서 삽입되었을 때 약간 큰 원단부(34B)에 의하여 빠짐 방지로 되어 있다. 원구멍(4A)의 약간 큰 직경의 부분에는 스프링(34C)이 삽입되어, 덮개판(34D)이 나사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규제핀(34)은 스프링의 신축 범위에서 베이스부(4)에 돌출 자유로이 설치되게 된다.
탄환형의 규제핀(34)의 선단부(34A)의 단면 각도를 약 90도로 한다. 다시 말하면, 규제핀(34)의 중심축선(34E)에 대한, 원뿔형의 각도를 약 45도로 한다. 그리고 중심축선(34E)의 기울기가 베이스부재(4)의 표면에 대하여 약 45도로 되어 있으므로, 결과로서, 선단부(34A)의 원뿔 모선과 베이스부(4)의 표면과의 사이의 각도가 약 90도 되고, 도 9로 보아 좌에서 우로 향하여, 오는 메달(M)을 스톱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도 9에서 보아, 우에서 좌로 향하여 이동하여 오는 메달(M)의 경우는 규제핀(34)의 선단부(34A)가 둔각으로 되기 때문에, 메달(M)은 규제핀(34)을 밀어 통과하는 것으로 된다.
또 규제핀(34)은 탄환형이기 때문에, 베이스부재(34)에 장치할 때에는 단순히 삽입하는 것만으로 좋고, 선단 형상에 의한 방향성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다시, 도 7 및 도 8을 참조한다. 통로(13)의 우 사이드에는 회전 자유로운 롤러로 이루어지는 가이드체(14)가 설치되어 있다. 돌기 및 규제핀(34)에 의하여 디스크(5)로부터 이탈한 메달은 가이드체(14)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그의 진행 방향을 Y축 와이퍼(15)의 회전축으로 향하게 하여 진행시킨다.
Y자형 와이퍼(15)는 회전축(17)에 장착된 원링(60)과 이 원링에서 원주방향으로 이어지는 관통구멍(11)의 구멍의 개수에 대응한 여러 매의 날개, 도면에서는 3매의 날개를 갖는다. 날개의 형상은 가이드체(14)에 따라 접근하여 오는 메달을 포착하여, 시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면에서 보아 Y자형 와이퍼(15)의 우방에는 가이드편(63)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편(63)은 Y자형 와이퍼(15)에 면하는 부분은 이동하는 메달 형상의 이동 궤적에 대응하는 윤곽을 갖고 있다. 가이드편(63)의 일단은 피벗축(64)으로 하여, 베이스부재(4)에 회전 자유로이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편(63)의 타단은 스프링(65)에 접속되어, Y자형 와이퍼(15)로 향하여 잡아 당겨지고 있다. 이 때문에 Y자형 와이퍼(15)에 포착되면서, Y자형 와이퍼와 가이드편(63) 사이를 이동하는 메달(M)은 가이드편(63)에 의하여 원링(60)을 향하여 눌러지고, 원링(60)에 접촉하면서 시계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원링(66)은 내마모성을 갖는 금속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의 Y자형 와이퍼(15)와 가이드편(63) 사이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링모양의 것은 검출코일(69)의 일부이고, 이 검출코일(69)은 베이스부재(4)의 하방에서 덮개 케이스(52)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 검출코일(69)의 다른 일부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꼭같이 덮개 케이스(52)내의 적소에 배치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검출코일(69)은 발진기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메달이 검출코일(69)의 근방을 통과하면, 검출코일(69)의 임피던스가 변화하여, 그결과, 발진기의 발진주파수 및 신호레벨이 변화한다. 이 변화분은 메달의 종류, 즉, 메달의 직경, 두께, 재질에 따라 다르다.
더욱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 송출장치는 기억수단을 갖고, 이들 발진주파수 및 신호레벨을 기억할 수가 있다. 예를들면 발진기로 부터의 발진주파수 및 신호레벨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기억수단에 기억한다. 또, 이 기억된 데이터와 다음에 검출코일(69)의 근방을 통과하는 메달로부터 검출되는 데이터와를 비교하는 비교수단을 갖고 있다. 비교수단은 예를들면, 양 데이터가 일치하였을 때 진정 메달인 것을 나타내는 검출신호 ON을 게이트(66)에 대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미리 진정한 메달을 송출장치에 보내주고 이때의 발진기의 발진주파수 및 신호레벨의 변화를 기억시켜 두고, 이를 진정 메달의 기준치 데이터로 할 수가 있다. 다음의 단계에서 진위 판정하고 싶은 메달(M)을 이 송출장치에 투입하면, 검출코일(69)의 근방을 통과하였을 때, 위조품 메달이면 검출코일의 발진기는 기준치 데이터와 상이하는 데이터를 검출하는 것으로 된다. 이 위조품 메달의 데이터와 미리 기억되고 있는 진정 메달의 데이터가 비교 수단에 의하여 비교되어 진정 메달이라면 검출신호 ON을 게이트수단(66)에 대하여 출력하고 위조품 메달이면 검출신호 OFF를 게이트수단(66)에 출력한다.
더욱, 가이드편(63)을 떨어진 메달은 베이스부재(4)의 오목부(62)내를 Y자형 와이퍼(15)의 날개에 눌러서 시계방향으로 진행하여, 게이트수단(66)으로 진행한다.
도 10a 및 b는 게이트수단(66)의 상세를 도시하고 있다. 도 7, 도 8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진정한 메달을 배출하는 방출구(55)의 상방에 게이트수단(66)이 설치되어 있다. 게이트수단(66)은 베이스부재(4)와 같은 평면을 갖고, 그의 일부에 원호상으로 만곡한 돌조(68)를 갖는 부재이다. 돌조(68)는 도 7 및 도 8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메달의 Y자형 와이퍼에 의한 시계방향의 이동을 돕는 것과 같은 만곡 형상을 갖고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게이트수단(66)의 하방에는 플런저형 제어용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지는 게이트 승강수단이 배치되어 있다. 플런저형 제어용 솔레노이드는 플런저(67)가 코일(65)내에서 직선 운동하는 형식의 전기 서보 시스템이다.
진정한 메달(M2)의 경우, 검출코일(69)을 갖는 발진기로부터 검출신호 ON이 발생되고, 코일(65)이 적당한 타이밍으로 가압되었을 때, 플런저는 67이 동작하여, 도 10b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게이트(66)가 베이스부재(4)의 면에서 상승하여, 방출구(55)에 연계되는 개구가 형성된다. 위조품의 메달(M1)의 경우, 발진기로부터 검출신호가 발생되지 않고 (즉, 검출신호 OFF로 되고), 코일(65)은 가압되지 않고,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플런저(76)는 제지한 대로이고, 메달은 돌조(68)에 따라 게이트(66)상을 Y자형 와이퍼(15)에 눌러서 이동하여 배출구(56)를 지나 배출된다. 여기서 진정한 메달(M2)의 경우에 게이트수단(66)을 개구시키도록 한 것은 송출장치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라도 적어도 방출구(55)로부터 위조품의 메달이 방출되는 것을 피하기 위함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덮개 케이스(52)상의 좌부분에 호퍼(53)가 부착 자유로이 배치되어, 우부분에 덮개(54)가 부착 자유로이 배치되어 있다. 도 11a는 이 호퍼(53)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호퍼(53)의 하부의 일단에는 2개의 돌기(82)가 설치되어 덮개 케이스(52)의 상부의 일단의 2개의 링부(81)(도 7참조)와 걸어맞춤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꼭같이, 헤드(53)의 하부의 타단에는 2개의 돌기(83)가 설치되어, 덮개 케이스(52)의 상부의 타단의 2개의 훅(83)(도 7참조)이 걸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들의 걸림부재에 의하여 헤드(53)는 덮개 케이스(52)의 디스크(5)의 위치에 위치결정되어 고정된다.
도 11b는 덮개(54)를 도시하고, 꼭같이 플라스틱과 같은 수지성형품으로 이루어진다. 이 덮개의 내부에는 최초로 진정 메달의 기준치 데이터를 메모리에 기록하기 위한 메모리 기록용 스위치(S)(도 5참조) 및 송출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CPU 기타의 전자부품을 탑재한 프린트 기판(도시하지 않음)이 수납되어 있다. 덮개(54)의 하단에는 핀축(84)이 설치되어, 이 핀축이 걸어맞춤하도록 덮개 케이스(52)의 상단에는 축받이(85)가 설치되어 있다(도 7참조). 이 걸림부재에 의하여 덮개(85)가 덮개 케이스(52) 위에 위치결정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제2의 실시예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우선, 본 송출장치에 진정한 메달(M2)을 마감한 수 예를들면 16매를 호퍼(53)내에 투입한다. 다음에 메모리 기록용 스위치(S)를 ON으로 한다. 이때, 진정한 메달(M2)에 의거한 기준치 데이터가 기억수단에 기억된다.
다음에 진위를 판정하고 싶은 복수개의 메달을 호퍼(53)내에 투입한다. 이들 복수개의 메달은 본 장치가 동작되면 호퍼(53)의 안바닥에서 회전하고 있는 디스크(5)의 관통구멍(11)에 순차 포착된다. 관통구멍(11)에 포착된 메탈은 도 8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베이스부재(4)상을 이동하여 베이스부재(4)의 돌기(도시하지 않음) 및 규제핀(34)에 의하여 관통구멍(11)에서 통로(13)로 이송된다.
통로(13)를 가이드체(4)에 따라 이동하는 메달(M)은 Y자형 와이퍼(15)의 날개 사이에 포착되어, 가이드편(63)에 의해 원링(60)에 눌려지므로, 검출코일(69)의 근방을 미리 정해진 루트를 정확히 통과한다. 이때 메달의 진위가 판정되고, 검출신호가 게이트수단(66)에 이송된다.
메달이 진정한 경우, 게이트수단(66)은 개구하고, 진정한 메달은 방출구(55)로부터 배출된다. 게이트수단(66)의 개구의 타이밍은 회전축(17)에 설치된 돌편(50)과 센서(49)의 조합에 의해 매달 위치 특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다. 반대로 메달이 위조품인 경우 게이트수단(66)은 개구하지 않고, 날개에 눌리면서 메달은 게이트 수단(66)상을 이동하여 배출구(56)로부터 배출된다.
제2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의 실시예와 꼭같이, 메달 송출장치에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부가함으로서 메달의 진위의 판정기능을 구비할 수가 있다.
더욱 제2실시예에 의하면, 검출수단의 근방을 통과하는 메달의 위치를 정확히 위치결정할 수가 있고, 이로서 메달 마다의 정확한 데이터를 검출할 수가 있다.
더욱 제2의 실시예에 의하면 송출장치의 주요 부분을 수지성형품으로 하였기 때문에 부품수가 저감됨과 동시에 경량화를 도모할 수가 있어 더욱, 송출장치의 조립·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또 규제핀에 대하여는 형상을 탄환형으로 하였으므로, 장치시에 단순히 원구멍(4A)내에 삽입하는 것 만큼 방향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라는 이익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되는 메달 또는 경화가 진정한 것인가 위조품 인가를 판정 체크하여 위조품을 선별하는 것이 가능한 금속제 원판체의 방출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13)

  1. 투입된 복수개의 금속제의 원판체를 수납하는 호퍼수단과,
    상기 호퍼수단내에 배치되어, 상기 원판체를 1매씩 포착하여 이동하는 회전 자유로운 디스크 수단과,
    상기 디스크 수단으로부터 상기 원판체를 1매씩 송출하는 방출수단과,
    송출된 상기 원판체가 통과하는 통로수단과,
    그 통로 수단의 상류에 배달되어, 통과하는 상기 원판체가 진정한 것인가 여부를 판정하는 체크수단과, 상기 통로 수단의 하류에 배설되어, 상기 체크수단에 의하여 제어되는 게이트 수단과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판체의 방출장치.
  2. 투입된 복수개의 금속제의 원판체를 수납하는 호퍼수단과,
    상기 원판체를 1매씩 포착하여 이동하는 회전 자유로운 디스크 수단과,
    상기 디스크 수단으로 부터 상기 원판체를 1매씩 송출하는 방출수단과,
    상기 디스크 수단에 의하여 밀어내어진 상기 원판체를 불출하기 위한 회전 자유로운 와이퍼 수단과,
    상기 와이퍼 수단에 의하여 불출된 상기 원판체를 기준 위치를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수단과,
    상기 기준 위치를 통과하는 상기 원판체가 진정한 것인가의 여부를 판정하는 체크수단과,
    상기 체크수단에 의하여 개폐가 제어되는 게이트 수단과를 구비하여, 진정한 원판체와 위조품의 원판체가 다른 방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판체의 방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위치를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수단이 상기 와이퍼 수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판체의 방출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위치를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수단이, 그 일단이 피벗축으로 되고 타단은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와이퍼 수단의 방향으로 끌어 당겨져 있는 가이드편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판체의 방출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수단이 회전검출수단의 일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판체의 방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검출수단의 일부가 링형으로 돌편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판체의 방출장치.
  7. 제 2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체가 게임장치에 사용되는 메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판체의 방출장치.
  8. 제 2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체가 주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판체의 방출장치.
  9. 상자형의 수지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기어열을 수납함과 동시에 한쌍의 회전축을 구비하여, 이들의 회전축을 동기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한 다이 케이스와,
    상기 다이 케이스와 꼭같은 상자형의 수지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꼭대기부에 원판체를 1개씩 밀어내기 위한 회전 자유로운 디스크 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이 밀어내어진 원판체를 불출하기 위한 회전 자유로운 와이퍼 수단과, 상기 불출된 원판체가 진정한 것인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체크수단과, 상기 체크수단에 의하여 개폐가 제어되는 게이트수단과를 갖고, 상기 다이 케이스에 얹어지는 덮개 케이스와,
    통형의 수지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스크수단 가까이의 상기 덮개 케이스에 부착 자유롭게 배치된 원판체 수납용의 호퍼수단과,
    작은 상자형의 수지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와이퍼수단 가까이의 상기 덮개 케이스에 부착 자유롭게 배치된 전자부품 수납용의 덮개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판체의 방출장치.
  10. 원판체를 1개씩 밀어내기 위한 회전 자유로운 디스크 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이 밀어내어진 원판체를 바깥 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규제핀을 구비하는 원판체의 방출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규제핀의 선단이 열쇠형임과 동시에, 이 열쇠형의 중심축선이 상기 원판체에 대하여 경사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판체의 방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체에 대한 상기 뿔형의 중심축선의 각도가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판체의 방출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핀이 탄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판체의 방출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핀은 탄환형으로 선단부가 뿔형으로 됨과 동시에, 원단부가 큰 원판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판체의 방출장치.
KR1019970047866A 1996-09-20 1997-09-20 디스크 방출장치 KR1002703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85813A JPH1097660A (ja) 1996-09-20 1996-09-20 円板体の放出装置
JP96-285813 1996-09-20
JP96-285913 1996-09-20
JP96-359586 1996-12-17
JP35958696A JP3198288B2 (ja) 1996-12-17 1996-12-17 円板体の放出装置
JP09032548A JP3128204B2 (ja) 1997-01-10 1997-01-10 円板体の放出装置
JP97-32548 1997-0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796A true KR19980024796A (ko) 1998-07-06
KR100270390B1 KR100270390B1 (ko) 2000-11-01

Family

ID=27287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7866A KR100270390B1 (ko) 1996-09-20 1997-09-20 디스크 방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39166A (ko)
EP (1) EP0831430B1 (ko)
KR (1) KR100270390B1 (ko)
CN (1) CN1131497C (ko)
DE (1) DE69703958T2 (ko)
ES (1) ES2155645T3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457B1 (ko) * 2007-04-11 2007-12-21 (주)오토코리아 쓰레기통의 종량제 칩 보관장치
KR100846753B1 (ko) * 2007-11-09 2008-07-16 (주)오토코리아 쓰레기통의 종량제 토큰 보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0401A (ja) * 1997-10-16 1999-04-30 Universal Hanbai Kk コイン送出装置
AU764752B2 (en) * 1997-10-16 2003-08-28 Universal Entertainment Corporation Coin-sending device
US6193599B1 (en) * 1998-10-20 2001-02-27 Asahi Seiko Co., Ltd. Coin hopper device
US6234248B1 (en) * 1999-03-04 2001-05-22 Roy F. Knight Well production apparatus
US6267662B1 (en) * 1999-04-13 2001-07-31 Mars Incorporated Measuring a stack of coins in a coin handling device
KR100600420B1 (ko) * 1999-08-06 2006-07-13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코인 호퍼 장치
US6431342B1 (en) * 1999-09-13 2002-08-13 Andrew Schwartz Object routing system
JP2001188931A (ja) 1999-12-29 2001-07-10 Asahi Seiko Kk コイン送り出し装置
JP2002133485A (ja) 2000-10-20 2002-05-10 Asahi Seiko Kk 小形コインホッパ
JP2002150347A (ja) * 2000-11-08 2002-05-24 Asahi Seiko Kk コインホッパ用のディスク
US6976589B2 (en) * 2003-02-03 2005-12-20 Streamline Innovations Gmbh Apparatus for sorting articles
JP4411383B2 (ja) * 2003-11-11 2010-02-10 旭精工株式会社 コイン送り出し装置のコイン逆行防止装置
GB2415692A (en) 2004-06-29 2006-01-04 Money Controls Ltd Coin dispensing apparatus for large coins
DE602006012392D1 (de) * 2005-04-28 2010-04-08 Asahi Seiko Co Ltd Münzausgabeverfahren für eine Münzausgabevorrichtung, Münzausgabevorrichtung und Münzrecyclingmaschine mit der Münzausgabevorrichtung
DE602006018138D1 (de) * 2005-06-02 2010-12-23 Coin Acceptors Inc System und verfahren zum ausgeben von münzen aus mehreren münzspeichereinheiten
JP4780494B2 (ja) * 2005-06-14 2011-09-28 旭精工株式会社 硬貨金種判別装置
JP5493759B2 (ja) 2009-11-19 2014-05-1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硬貨処理装置
US8540548B2 (en) * 2010-10-04 2013-09-24 Tech 4 Kids, Inc. Child's activity toy and disc dispenser therefor
GB2485395B (en) * 2010-11-12 2018-06-27 Crane Payment Innovations Ltd Coin apparatus
KR101376056B1 (ko) 2012-08-31 2014-03-19 주식회사 에이텍 대중교통 주화계수기의 호퍼개방 기구
CN104956408B (zh) * 2013-02-04 2019-05-03 克瑞支付创新有限公司 输送金钱物项
GB2528281A (en) * 2014-07-16 2016-01-20 Crane Payment Solutions Ltd Singulating and validating money items
CN104599394B (zh) * 2014-11-21 2017-06-06 浙江甬源塑业有限公司 硬币灌装机
JP6402332B2 (ja) * 2015-09-09 2018-10-10 旭精工株式会社 コインホッパー
JP6934677B2 (ja) * 2019-01-28 2021-09-15 旭精工株式会社 硬貨分離検知装置
CN112160355B (zh) * 2020-09-23 2021-08-03 哈尔滨铁路建设咨询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监理用桩基检测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20231A5 (ko) * 1970-10-23 1972-08-18 Cit Alcatel
ES261942U (es) * 1981-11-18 1982-05-16 Alvarez Gonzalez Pedro Pagador rotativo para maquinas recreativas .
FR2542475B1 (fr) * 1983-03-09 1985-08-09 Signaux Entr Electriques Controleur de pieces metalliques, en particulier de pieces de monnaie
US4564037A (en) * 1983-08-25 1986-01-14 Childers Corporation Coin-queueing head for high-speed coin-sorting and counting apparatus
JPS61281385A (ja) * 1985-06-07 1986-12-11 旭精工株式会社 硬貨投出装置
AU5171885A (en) * 1986-01-25 1987-07-02 Uzihara, H. Coin delivery
JP2560695B2 (ja) * 1986-07-29 1996-12-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減速制御装置
GB8628950D0 (en) * 1986-12-03 1987-01-07 Entersword Ltd Coin dispensing machines
JPH01213779A (ja) * 1987-06-18 1989-08-28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硬貨処理装置
FI895156A0 (fi) * 1989-10-31 1989-10-31 Paavo Lahtinen Myntsorteringsanordning.
JP2847402B2 (ja) * 1989-11-17 1999-01-20 株式会社オリンピア ホッパー型メダル払出装置
US5074434A (en) * 1990-11-16 1991-12-24 Himecs Co., Ltd. Apparatus for dispensing disk-shaped objects
JP2538531Y2 (ja) * 1991-06-26 1997-06-18 旭精工株式会社 コイン投出装置
KR970005402B1 (ko) * 1992-11-02 1997-04-16 아사히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경화송출장치
ES1024811Y (es) * 1993-03-26 1994-06-01 Azkoyen Ind Sa Dispositivo de recepcion y cobro de monedas.
DE4412092C2 (de) * 1994-04-08 1998-12-17 Standardwerk Eugen Reis Gmbh & Einrichtung zum Handhaben von Münzen
JP2990573B2 (ja) * 1994-10-07 1999-12-13 旭精工株式会社 収容均し形の硬貨送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457B1 (ko) * 2007-04-11 2007-12-21 (주)오토코리아 쓰레기통의 종량제 칩 보관장치
KR100846753B1 (ko) * 2007-11-09 2008-07-16 (주)오토코리아 쓰레기통의 종량제 토큰 보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31430A2 (en) 1998-03-25
DE69703958T2 (de) 2001-06-13
EP0831430A3 (en) 1999-02-03
EP0831430B1 (en) 2001-01-24
ES2155645T3 (es) 2001-05-16
CN1177785A (zh) 1998-04-01
US6039166A (en) 2000-03-21
DE69703958D1 (de) 2001-03-01
KR100270390B1 (ko) 2000-11-01
CN1131497C (zh) 2003-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0390B1 (ko) 디스크 방출장치
US4167949A (en) Coin jamming detecting device in coin sorting machine
US5484334A (en) Coin handling apparatus with coin filter and improved coin interlock
EP0266021B1 (en) Coin dispensing apparatus
KR100512053B1 (ko) 코인배분장치
JP5109035B2 (ja) コイン送り出し装置
JPH06251224A (ja) 自動販売機に投入された物体の適合を確かめ、一定順路で送るための装置
JP2008117025A5 (ko)
CN101263531B (zh) 硬币处理设备
US5435778A (en) Rotary coin counter
JP3198288B2 (ja) 円板体の放出装置
US7735622B2 (en) Coin machine with self-cleaning intake hopper and related method
JP3128204B2 (ja) 円板体の放出装置
EP1634251B1 (en) Coin dispensing apparatus
US6776702B1 (en) Coin payout device
JP4905079B2 (ja) メダル払出装置及び遊技機
JP2009230617A (ja) コインホッパ
JPS60168288A (ja) 硬貨分類装置
JP5789819B2 (ja) コインホッパ
JP2001155204A (ja) コイン投出装置
JP5564733B2 (ja) コインホッパ
JP2018092258A (ja) 硬貨繰出装置
JP2018092257A (ja) 硬貨繰出装置
JP2561259Y2 (ja) 錠剤収納取出装置
JP2000163619A (ja) コインの金種振り分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