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0420B1 - 코인 호퍼 장치 - Google Patents

코인 호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0420B1
KR100600420B1 KR1020000040929A KR20000040929A KR100600420B1 KR 100600420 B1 KR100600420 B1 KR 100600420B1 KR 1020000040929 A KR1020000040929 A KR 1020000040929A KR 20000040929 A KR20000040929 A KR 20000040929A KR 100600420 B1 KR100600420 B1 KR 100600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disk
coins
tank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1095A (ko
Inventor
구로사와모토하루
스즈카와요리오
사카이다카코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22348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05222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8552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008092A/ja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21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095A/ko
Priority to JP2001207006A priority Critical patent/JP4231937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08Feeding coins from bul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디스크상에 기립하는 코인을 감소시키며 코인 픽업(pickup)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탱크 내의 코인 브리지(coin bridge) 및 인터로킹(interlocking)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코인을 수납하기 위한 남비 형상(pot shape)의 탱크(51)와, 상기 탱크의 내측 하부에 수평으로 위치되며 회전 가능한 디스크(52), 및 상기 디스크 내로 개방되며 상기 코인을 수평 상태로 통과시키는 개구부(53)를 포함하는 코인 호퍼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호퍼 장치는 각각의 상기 코인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해 상기 디스크의 상부면에 위치되며 상기 디스크의 회전 중심 위치에 배치되는 교반 본체(10)를 적어도 포함한다.
코인 호퍼 장치, 탱크, 디스크, 교반 본체, 장착 본체, 나선형 코일, 코인 통과 개구부, 주변 평면, 코인

Description

코인 호퍼 장치{Coin Hopper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개략 우측면도.
도 3은 도 1의 개략 평면도.
도 4는 도 3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개략 확대 단면도.
도 5는 절단에 의해 도 3의 주요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종래 기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개략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코인 호퍼(50)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주요부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주요부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13은 도 12를 상부로부터 본 설명도.
도 14는 교반 본체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교반 본체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교반 본체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20,30; 교반 본체 15; 1차 제동 수단
16; 2차 제동 수단 52; 회전 디스크
53; 코인 통과 개구부 63; 장착 본체
68; 나선형 코일 C; 코인
S; 마찰면 T; 수직선
본 발명은 복수의 코인을 하나씩 강제로 방출시키기 위한 호퍼 장치(hopper equipment)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각각 산개 상태(loose condition)로 수납된 코인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코인 호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특별하게는, 본 발명은 호퍼 장치의 상부를 구성하며, 복수의 코인을 산개 상태로 수납하기 위한 탱크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코인"은 현재 유통되는 디스크 형상의 코인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코인"은 게임 기계에서 사용되는 디스크 형상의 모조 코인 또는 메달 및 토큰을 포함한다.
코인 호퍼 장치로서 다양한 기계가 지금까지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면, 코인 방출 장치가 본 출원인에 의해 일본 특개평 6-281113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개평 6-281113호는 일본 특공평 8-110960호로서 공보에 공개되었다.
상술한 코인 방출 장치와 유사한 호퍼 장치를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호퍼 장치는 복수의 코인을 산개 상태로 포함하는 남비 형상(pot-shaped)의 탱크(31)를 가진다.
상기 탱크(31)는 합성 수지 성형 제품이다. 상기 탱크(31)의 상부인 개구(32)는 대형의 4각형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음, 상기 탱크(31)의 하부인 개구(33)는 소형의 원형 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개구(32,33) 사이에는 남비 기부(pot base)와 같은 경사 구역(34)이 일체로 형성된다. 하부 개구(33)의 내부벽의 하부 에지에는, 홈(35)이 전체 원주를 따라 형성된다(도 8 참조). 다음, 상기 홈(35)을 따라 원형 디스크(41)가 회전 가능하게 수납된다.
다시 말하면, 원형 디스크(41)는 탱크(31)의 하부 개구(33)를 회전 가능하게 폐쇄한다. 또한, 디스크(41)는 하기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탱크(31)로부터 복수의 코인(C)을 하나씩 외부로 방출하는 부재이다. 상기 홈(35)의 부분에는 코인(C)의 출구(36)가 형성되며 연통된다. 즉, 홈(35)을 형성하는 개구(33)의 부분을 노치 형성함으로써, 코인(C)의 출구(36)가 형성된다. 회전 샤프트(42)는 중심에서 디스크(41) 내로 삽입된다(도 8 참조). 디스크(41)는 상기 회전 샤프트(42)에 의해 회전된다.
더욱이, 전체 디스크(41)에서, 코인 파지 구멍(43)이 일정 간격으로 원주에 형성된다. 디스크(41)의 하측에는, 코인(C)을 출구(36)로 방출하는 못(nail)(44)이 형성된다(도 8 참조).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상자형 부재는 기부 장착 장치(45)이다. 상기 기부 장착 장치(45)에는, 회전 샤프트(42)를 구동시키기 위한 기어 열 및 전기 모터 등이 수납된다(도시 않음). 또한, 하부 개구(33)의 하부 에지에는, 삼각형 플랜지(37)가 외부에 형성된다(도 7 참조). 상기 플랜지(37)상에는, Ω-형 구멍 또는 키홀(keyhole)(38)이 개방되어 있다.
다음, 상기 기부 장착 장치(45)상에는, 선두 샤프트(headed shaft)(도시 않음)가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키홀(38) 및 선두 샤프트에 의해 탱크(31)는 거의 원터치(one touch)로 기부 장착 장치(45)에 설치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코인(C)은 디스크(41)가 회전할 때 낙하되며 구멍(43) 내에 적재된다. 파지 구멍(43) 내의 대부분의 하부 코인(C)은 못(44)에 의해 기부 장착 장치(45)의 상부면으로 미끄러지며 이동된다. 다음, 마지막으로 코인(C)은 조정핀(도시 않음)에 의해 안내되며 출구(36)로부터 장치의 외부로 방출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 탱크(31)의 하부 개구(33) 내의 높이(3H)에 기인하여 코인(C)이 파지 구멍(43) 내로 낙하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즉, 상기 디스크(41)를 포위하는 탱크의 내부벽(39)의 높이(3H)가 크기 때문에(도 8 참조), 복수의 코인(C)이 기립하여 고정되는 단점이 있다.
복수의 코인(C)이 디스크(41)상에 기립하여 고정될 때, "코인 열"이라 칭하겠다(도 8 참조). 복수의 코인(C)이 적재되어 고정될 때, "코인 행"이라 칭하겠다(도시 않음). 또한 코인 열과 코인 행의 조합이 디스크(41)상에 발생된다.
상기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이 본 출원인에 의해 일본 특개평 9-36832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개평 9-36832호는 일본 특공평 10-208099호로서 공보에 개시되었다. 일본 특개평 9-36832호의 발명은 디스크(41)를 포위하는 탱크의 내부벽(39)의 높이(3H)가 작게 형성되며 코인(C)이 기립하지 않는 것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코인 방출 디스크를 포위하는 탱크의 하부벽의 높이가 작게 형성될 때, 코인 픽업(pickup)이 불량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디스크를 포위하는 탱크의 하부벽의 높이가 작게 형성될 때, 코인이 요동하기 쉬우며 상기 디스크의 파지 구멍 내로 낙하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탱크 내의 코인의 수가 감소될 때, 탱크의 하부벽이 높이를 갖지 않기 때문에, 코인이 심하게 요동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코인의 요동을 가능한한 감소시키며 코인 픽업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복수의 코인의 기립 상태를 방지하며 소수의 코인의 요동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도 4 참조), 비교적 작은 코인이 사용된다. 구 체적으로, 제 1 실시예에서, 약 25mm의 직경을 갖는 코인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도 9 참조), 비교적 큰 코인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제 2 실시예에서 약 30mm의 직경을 갖는 코인이 사용된다.
유사하게,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도 11 참조), 비교적 큰 코인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제 3 실시예에서 약 30mm의 직경을 갖는 코인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코인을 수납하기 위한 적어도 남비 형상의 하나 이상의 탱크, 및 상기 탱크의 내측 하부에 제공된 회전 가능한 디스크를 포함하며, 각각의 코인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코인 호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상기 탱크의 하부벽의 높이는 레벨 차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코인 호퍼 장치에 따르면, 상기 탱크의 하부벽의 높이는 두 개의 크고 작은 레벨 차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코인 호퍼 장치에 따르면, 상기 탱크의 하부벽의 큰 높이부는 전체 하부벽의 1/1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코인을 수납하기 위한 남비 형상의 탱크(51)와, 상기 탱크의 내측 하부에 수평으로 위치되며 회전 가능한 디스크(52), 및 상기 디스크 내로 개방되며 상기 코인을 수평 상태로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53)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코인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코인 호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의 상부면상에 위치되며 상기 디스크의 회전 중심 위치상에 배치된 교반 본체(10)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코인 호퍼 장치에 따르면, 상기 교반 본체의 둘레면은 마찰면(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코인 호퍼 장치에 따르면, 상기 교반 본체는 상기 디스크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코인 호퍼 장치에 따르면, 상기 교반 본체는 상기 디스크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코인 호퍼 장치에 따르면, 상기 교반 본체는 제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실시예]
하기에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개략 우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개략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개략 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절단에 의해 도 3의 주요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탱크(11)는 복수의 코인을 대량으로 포함하기 위해 대략 남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탱크(11)는 합성 수지 성형 제품이다. 탱크(11)의 상부인 개구(12)는 큰 앵글 배럴(angle barrel) 형상이다. 다음, 탱크(11)의 하부인 개구(13)는 작은 원형 링 형상이다. 상기 상부 및 하부 개구(12,13) 사이에는, 남비 기부와 같은 경사 구역(14,15)이 일체로 형성된다. 다음, 내부 기부의 개구(13) 내부에는, 원형 디스크(21)가 회전 가능하게 수납된다(도 3 참조). 다시 말하면, 하부 개구(13)는 회전 가능한 디스크(21)에 의해 폐쇄된다. 또한, 상기 디스크(21)는 하기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코인을 탱크(11)의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부 개구(13)의 부분에는, 코인 출구(16)가 연통적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하부 개구(13)의 부분을 노치 형성함으로써, 코인 출구(16)가 형성된다(도 2 참조). 회전 샤프트(22)는 디스크(21)의 중심으로 돌출된다(도 3 참조). 상기 디스크(21)는 상기 회전 샤프트(22)에 의해 회전된다. 더욱이, 전체 디스크(21)에서 코인 파지 구멍(23)이 일정 간격으로 원주에 형성된다. 디스크(21)의 상측에는, 코인을 출구(16)로 방출하기 위한 못(24)이 형성된다(도 4 참조).
다음, 하부 개구(13)의 내주벽에서, 출구(16)에 인접한 일부벽이 높은벽(H)을 형성하며 나머지벽은 낮은벽(L)을 형성한다(도 4 참조). 본 실시예에서, 하부 개구(13)의 내주벽의 절반은 높은벽(H)을 형성하며 나머지 절반은 낮은벽(L)을 형성한다. 다시 말하면, 360°의 하부 개구(13)의 원주벽에서 높은벽(H)은 180°를 점유한다. 또한, 높은벽(H)은 좁은 경사 구역(15)과 일체로 형성되며, 낮은벽(L)은 넓은 경사 구역(14)과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레벨 차이 구역(마찰면; S)에 의해, 두 개의 경사 구역(14,15)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도 1의 하부에 도시한 박스형 부재는 기부 장착 장치(25)이다.
상기 기부 장착 장치(25)에는, 회전 샤프트(22)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기 모터(26)와 기어 열 등(도시 않음)이 수납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디스크(21)가 회전할 때, 코인은 파지 구멍(23) 내로 낙하하며 적재된다. 적재된 코인 중 최하부 코인은 못(24)에 의해 기부 장착 장치(25)의 상부면(27)으로 미끄러지며 이동된다. 다음, 마지막으로 조정핀(도시 않음)의 안내에 의해 코인은 출구(16)로부터 장치의 외부로 방출된다(도 2의 화살표 참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탱크(11) 내부의 코인이 다량으로 존재할지라도, 코인은 출구(16)로부터 원활하게 방출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하부 개구(13)의 내주벽의 절반이 낮은벽(L)이기 때문에 복수의 코인이 기립하며 고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약 1/5 이하의 코인 직경이 디스크(21)로부터 하부벽(L)의 높이를 위해 적합하다. 이 경우, 복수의 코인은 요동하며 기립하지 않기 때문에, 코인은 파지 구멍(23) 내로 낙하하며, 그 후 출구(16)로 원활하게 방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탱크(11) 내의 코인이 소량으로 존재할지라도, 코인은 출구(16)로부터 원활하게 방출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하부 개구(13)의 내주벽의 절반이 높은벽(H)이기 때문에 소수의 코인은 매우 요동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약 1/2 이상의 코인 직경이 디스크(21)로부터 높은벽(H)의 높이를 위해 적합하다. 제 2 실시예의 탱크(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은벽(5H)은 하부 개구(53)의 내주벽의 약 1/12이다(도 6 참조). 다시 말하면, 360°의 하부 개구의 원주벽에서 높은벽(5H)이 30°를 점유할지라도, 코인의 요동은 감소한다. 또한 코인의 크기에 기초하여, 높은벽(H)은 360°의 원주벽에서 30°내지 330°의 범위를 점유할 수 있다.
이에 비례하여, 낮은벽(L)은 360°의 전체 원주벽에서 30°내지 330°의 범위를 점유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높은벽(H)과 낮은벽(L)의 두 종류가 선택되었지만, 제 3 중간벽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순한 구성품의 부가에 의해, 본 발명은 탱크 내의 모든 복수의 코인을 원활하게 방출할 수 있으며 코인의 나머지 하나까지 방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소수의 코인의 요동을 가능한 한 감소시킴으로써, 코인의 픽업 효율을 개선하는 효과가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서(도 4 참조), 비교적 작은 코인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실시예에서, 약 25mm의 직경을 갖는 코인이 사용된다.
제 2 실시예에서(도 9 참조), 비교적 큰 코인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약 30mm의 직경을 갖는 코인이 제 2 실시예에서 사용된다.
유사하게, 제 3 실시예에서(도 11 참조), 비교적 큰 코인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약 30mm의 직경을 갖는 코인이 제 3 실시예에서 사용된다.
[제 2 실시예]
도 9 및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코인 호퍼의 구조를 각각 도시한다. 도 9는 코인 호퍼(50)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주요부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호퍼(50)의 탱크(51)는 일반적으로 남비 형상이다(도 9 참조). 상기 탱크의 상부(51U)는 대형의 직사각형 튜브이다. 탱크의 하부(51L)는 원통형으로 소형으로 형성된다.
탱크 상부(51U) 및 탱크 하부(51L)는 일체로 형성되며, 남비 형상의 중간부(51M)를 갖는다. 소형의 원통형 탱크 하부(51L)에는, 회전 디스크(52)가 위치된다. 회전 디스크(52)상에는, 코인을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53)가 일정 간격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코인 통과 개구부(53)는 지불(pay-out) 코인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는다.
코인 통과 개구부(53)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좁아지는 형태의 테이퍼로 형성된다(도 10 참조). 얇은 리브(L)가 인접한 코인 통과 개구부(53) 사이에 형성된다. 교반용 돌출부(54)는 디스크(52)의 상부면상에 삼각형 형상으로 돌출된다. 회전 디스크(52)의 중심부의 상부면상에는, 원뿔대 형태의 장착 구역(56)이 형성된다.
칼라(collar)(57)가 도 10의 하방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칼라(57)는 감속기(58)의 출력 샤프트(59)에 결합되며, 가압 스크류(press screw)(60)에 의해 고정된다. 디스크(52)는 장착 구역(56)의 개방 구멍(61)을 통해 감속기(58)의 출력 샤프트(59)에 결합된다. 또한, 회전 디스크(52)는 칼라(57)의 상부면에 위치된다. 출력 샤프트(59)의 헤드는 스크류 구멍(62)을 갖는다. 상기 스크류 구멍(62)에는, 장착 본체(63)의 하부에서 스크류 구역(64)이 결합된다. 또한, 장착 본체(63)의 상부는 하부를 갖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회전 디스크(52)는 출력 샤프트(59)상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장착 본체(63)의 단 구역(stage division)(63A)은 장착 구역(56)의 상부면(56U)을 가압하며 고정시킨다. 이 고정에 의해, 회전 디스크(5)는 수평으로 위치된다. 또한, 장착 본체(63)의 하부(63U)를 갖는 파이프의 외경은 장착 구역(56)의 상부면(56U)보다 작다.
회전 디스크(52)의 하측에는, 코인을 방출하기 위한 볼록부(52P)가 형성된다. 상기 볼록부(52P)는 개구부(53)로 낙하되는 기부(65)상에 코인을 미끄럼시킴으로써, 코인을 처분 마우스(disposition mouth)(도시 않음)로 방출한다. 또한 도 9의 하부에 도시한 프레임(67)은 기부(65)를 지지한다. 도 10의 하부에 도시한 전기 모터(66)는 감속기(58)를 구동시킨다. 탄성 로드(70) 및 나선형 코일 스프링(68)은 도 10의 상부에 도시한다. 로드(70)의 하부 단부 구역은 장착 본체(63)의 하부(63B)를 갖는 구멍 내에 삽입되며, 분할 핀(69)에 의해 고정된다. 탄성 로드(70)의 상부 단부 구역에는 나선형 코일(68)의 상부 단부가 강제 결합에 의해 고정된다.
나선형 코일(68)의 하부 단부는 또한 강제 결합에 의해 로드(70)의 하부 단부 구역에 유사하게 고정된다. 다음, 복수의 비교적 큰 코인이 산개 상태로 도 9의 탱크(51) 내로 삽입된다. 따라서, 복수의 최하부 코인은 회전 디스크(52)상에 위치된다.
다음, 제 2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모터(66)(도 10)의 회전에 의해, 디스크(52)는 소정의 속도로 회전한다. 상기 회전에 의해, 디스크(52)상에 위치한 코인은 돌출부(54)와 나선형 코일(68)에 의해 교반된다. 상기 교반에 의해, 개구부(53) 내의 코인이 디스크(52)와 평행하게 될 때, 코인은 개구부(53)로 각각 낙하한다. 다음, 개구부(53)로 낙하하는 코인은 기부(65)에 도달한다. 그 후, 코인은 디스크(52)의 하측에서 볼록부(52P)에 의해 압박됨으로써 처분 마우스로 방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나선형 코일(68)은 디스크(52)와 일체로 회전된다. 따라서, 코일(68)의 권선 사이에 삽입되는 코인은 상부로 압박되며 교반된다. 코인의 일부가 돌출부(54)와 접촉할 때, 코인은 돌출부(54)의 회전에 의해 방출 및 교반된다.
유사하게, 탱크(51) 내의 코인은 강제로 교반된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의 호퍼를 사용하여, 비교적 큰 코인의 처분이 양호하게 실행된다. 본 실시예의 호퍼를 사용하여, 큰 코인의 경우, 미지불(not-pay-out) 빈도가 현저하게 감소된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의 호퍼를 사용하여, 미지불의 원인이 되는 코인 브리지 및 인터로킹 현상이 감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나선형 코일(68)은 디스크(52)와 일체로 회전한다. 복수의 코인(C)이 인접한 개구부(53) 사이의 리브(L)에 기립할 때, 코인은 디스크(52)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도 10의 일점쇄선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코인(C)의 열은 디스크(52)상에 정렬되며 개구부(53)를 폐쇄한다. 또한, 디스크(52)와 탱크 튜브 부분(51L)(도 9 참조) 사이에는, 복수의 코인(C)이 삽입된다. 다음, 삽입된 복수의 코인(C)은 지지 로드로서 작용하며, 디스크(52)의 회전은 정지한다. 디스크(52)와 탱크 튜브 부분(51L) 사이의 인터로킹 현상은 또한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코인 열이 얇은 리브(L)상에 발생하지 않으면, 코인 브리지 및 인터로킹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코인(C)이 디스크(52)상에 기립할 때, 코인(C)은 나선형 코일(68)의 권선 사이에 삽입되지 않는다(도 10 참조).
기립한 코인(C)은 나선형 코일(68)의 원주에 의해 마모될 수 있다. 그러나, 나선형 코일(68)이 사용되기 때문에, 마찰력이 작으며 코인(C)의 열을 이동시키는 힘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인 열이 성장하여 브리지 및 인터로킹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나선형 코일(68)의 하부 단부를 확장시킴으로써, 하부 단부가 장착 구역(56)의 상부면(56U)에 위치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이 경우, 코인(C)의 마찰력은 또한 작으며, 코인(C)을 이동시키는 힘은 발생하지 않는다.
[제 3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주요부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2를 상부로부터 본 설명도이며, 도 14는 교반 본체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5는 교반 본체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교반 본체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는 제 2 실시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형성되었다. 먼저, 탱크(51)의 내부벽에는, 고무로 형성된 탄성 로드(7)가 디스크(52)상의 트레일(trail)에 설치된다(도 11 참조). 상기 로드(7)에 의해, 디스크(52)의 외주부에 위치하며 상기 디스크와 함께 회전하는 코인은 제거된다. 탱크(51)의 하부의 튜브 부분(51L)에는, 대형 테이퍼 구멍이 외부로부터 개방되어 있으며, 소형 볼(5)이 회전 가능하게 구멍 내에 매설되며 스프링(3)에 의해 압박된다(도 11 참조). 상기 볼(5)을 설치함으로써, 복수의 코인은 디스크(52)와 탱크 튜브 부분(51L) 사이에 삽입되지 않는다.
또한, 디스크(52)의 회전축의 상부에는, 고무로 형성된 교반 본체(10)가 고정된다(도 12 참조). 회전하는 교반 본체(10)의 마찰에 의해, 디스크(52)의 인접한 개구부(53) 사이의 리브(L)상의 코인 열 및/또는 코인 행은 붕괴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 2 실시예의 개선이기 때문에,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도시한다.
도 12의 중앙에 도시한 교반 본체(10)는 링 형상이다. 교반 본체(10)는 원반 형상으로 형성된 마찰 본체(11)와, 상기 마찰 본체(11)의 공동 구역(cavity division)에 부착된 원통형 부시(12)로 구성된다. 또한 도 12의 마찰 본체(11)는 폴리우레탄 고무로 형성된다.
상기 마찰 본체(11)의 상부 및 하부 마진은 모따기 가공되며, 그의 중심 원주 구역(11M)은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즉, 중심 원주 구역(11M)의 주변 평면인 마찰면(S)은 디스크(52)의 회전축과 평행하며, 높이 방향으로 폭을 갖는다. 또한, 교반 본체(10)의 부시(12)는 장착 본체(63)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나선형 코일(68)의 상부 단부 구역(68U)은 탄성 로드(70)에 압축 결합된다. 또한, 나선형 코일(68)의 하부 단부 구역(68L)은 탄성 로드(70)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코일의 하부 단부 구역(68L)은 탄성 로드(70)를 따라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하부 단부 구역(68L)은 나선형 코일(68)의 스프링력에 의해 교반 본체(10)의 상부면을 가압한다.
상기 스프링압에 의해, 코일의 하부 단부 구역(68L)과 교반 본체(10)의 상부면 사이에는 마찰력이 발생한다. 유사하게, 상기 스프링압에 의해, 장착 구역(56)의 상부면과 교반 본체(10)의 하측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특정값을 초과하는 외력이 적용될 때, 교반 본체(10)는 장착 본체(63) 주위를 회전한다. 또한, 나선형 코일(68)의 하부 단부 구역과 교반 본체(10)의 상부면은 1차 제동 수단(15)을 구성한다.
또한, 장착 구역(56)의 상부면과 교반 본체(10)의 하측은 2차 제동 수단(16)을 구성한다. 마찰면(S)은 장착 구역(56)에 인접한 코인 통과 개구부(53)의 에지(F)로부터 연장되는 수직선(T)상에 위치된다(도 12 참조).
또한, 마찰면(S)의 위치는 수직선(T)에 인접하는 것이 적합하다. 마찰면(S)의 수평 방향의 길이는 코인(C)이 디스크(52)상에 기립할 때, 코인 중심이 그에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마찰면(S)의 수평 방향의 길이는 상이한 직경을 갖는 다양한 종류의 코인과 대응하도록 길게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다음,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디스크(52)가 회전할 때, 상기 디스크(52)와 접촉하는 복수의 코인(C)은 강제로 방출된다. 즉, 복수의 코인(C)의 일부는 코인 통과 개구부(53)와 돌출부(51T)에 의해 강제로 방출되며 교반된다. 또한, 나선형 코일(68)의 권선 사이에 삽입되는 복수의 코인(C)의 일부는 그의 상부로 이동됨에 따라 교반된다.
복수의 코인(C)이 기립하며 회전 디스크(52)의 리브(L)상에 열을 형성할 때, 코인은 교반 본체(10)의 마찰면(S)과 접촉한다(도 13 참조).
다시 말하면, 기립한 복수의 코인(C) 열은 디스크(52)와 일체로 화살표(U) 방향(도 13 참조)으로 회전한다. 회전하는 복수의 코인이 탱크(51)의 튜브 부분(51L)과 접촉할 때,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방향을 갖는 힘(O)이 발생한다. 또한, 회전하는 복수의 코인이 정지 상태에서 다른 코인과 접촉할 때,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방향을 갖는 힘(O)이 발생한다.
따라서, 교반 본체(10)의 마찰면(S)에 접촉된 코인(C1)은 교반 본체(10)의 마찰력에 의해 이동한다(도 13의 일점쇄선 참조). 한편, 다른 나머지 코인(C)은 회전 정지력(O)에 의해 잔류한다.
이 결과, 하나의 코인(C1)이 복수의 코인(C) 열로부터 방출된다. 따라서, 코인 열 내의 코인(C)의 이동 자유도가 커질수록, 코인 열은 외부로부터 적용되는 힘(O)에 의해 붕괴된다.
따라서, 복수의 코인 열이 성장하지 않으며, 코인 브리지 및 인터로킹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코인(C1)이 교반 본체(10)에 의해 이동되지 않을 때, 특정값을 초과하는 힘이 마찰면(S)을 통해 교반 본체(10)에 적용된다.
상기 힘이 제동 수단(15,16)의 제동력을 초과할 때, 교반 본체(10)는 화살표(O) 방향에서 장착 본체(63) 주위로 회전된다. 다시 말하면, 강하게 가압되어 있는 교반 본체(10)와 코인(C1)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디스크(52)의 회전이 반복될 때, 디스크(52)상의 정지 코인(C1)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이동된다.
다음, 도 14에 도시한 교반 본체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교반 본체(20)에는, 스테인레스 강으로 형성된 파이프 로드가 마찰 본체(11)를 위해 사용된다. 강한 마찰을 얻기 위해, 널링(knurling) 가공 처리가 실행되며 소형의 오목 및 볼록부(R)가 마찰면(S)상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금속 재료가 사용될지라도, 마찰면(S)이 코인(C1)과 마주하며 접촉할 때 소형의 오목 및 볼록부(R)에 의해 마찰이 강해진다. 따라서, 코인 열 에지의 코인(C1)은 교반 본체의 제 1 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실행된다. 다음, 마찰 본체(11)가 스테인레스 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마모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마찰면(S)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부로부터 마찰 본체(11)를 볼 때, 별(star) 형상이 선택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교반 본체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다. 마찰 본체(11)는 스테인레스 강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된 파이프 로드에 의해 형성된다. 마찰면(S)상에는, 링 형상의 홈(31A,31B,31C)이 형성된다. 폴리우레탄 고무로 형성된 링(32A,32B,32C)이 상기 홈(31A,31B,31C) 내에 결합된다.
링(32A,32B,32C)이 홈(31A,31B,31C) 내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의 외주부는 마찰면(S)으로부터 약간 돌출된다. 코인(C1)이 가압될 때, 링(32A,32B,32C) 은 변화되며 마찰면(S)과 동일한 레벨이 되며, 다음 마찰 본체(11)는 가압력을 수용한다.
따라서, 코인(C1)이 링(32A,32B,32C) 및 마찰면(S)과 면접촉 하기 때문에, 마찰이 강해진다. 따라서, 코인(C1)은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실행된다. 또한, 링(32A,32B,32C)은 변형되지만, 마찰 본체(11)의 마찰면(S)은 코인(C1)의 가압력을 수용한다. 따라서, 미끄럼이 발생할지라도, 마모량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원통형 코일 스프링이 나선형 코일(68)을 대체하여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수평 상태로 되는 코인이 교반 효과가 커지기 때문에, 파이버 권취 스핀들 형상이 적합하다.
복수의 코인을 수납하기 위한 남비 형상의 탱크(51)와, 상기 탱크의 내측 하부에 수평으로 위치되며 회전 가능한 디스크(52), 및 상기 디스크 내로 개방되며 상기 코인을 수평 상태로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53)를 포함하는 코인 호퍼 장치에서, 상기 디스크의 상부면상에 위치되며 상기 디스크의 회전 중심 방향에 배치된 교반 본체(10)가 높은 효과 또는 장점을 갖는 것을 발견하였다.
다시 말하면, 도 11의 베어링 볼(5)을 제거할지라도 마찬가지 효과를 얻는다. 유사하게, 탄성 스틱 또는 로드(7)를 제거할지라도 마찬가지 효과를 얻는다. 더욱이, 나선형 코일(68) 및 탄성 로드(70)를 제거해도 마찬가지 효과를 얻는다. 상술한 바와 관련하여 도 13을 참조하라. 따라서, 교반 본체(10)가 비교적 연성 고무로 형성되면, 상기 교반 본체는 디스크(52)상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 디스크상에 기립한 코인을 감소시키며 코인 픽업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탱크 내의 코인 브리지 및 인터로킹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단순한 구성품의 부가에 의해, 탱크 내의 모든 복수의 코인을 원활하게 방출할 수 있으며 코인의 나머지 하나까지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소수의 코인의 요동을 가능한 한 감소시킴으로써, 코인의 픽업 효율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복수의 코인을 수납하기 위한 대략 남비 형상의 탱크(51)와, 상기 탱크의 내측 하부에 수평으로 위치되며 회전 가능한 디스크(52), 및 상기 디스크 내로 개방되어 상기 코인을 수평 상태로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53)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코인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코인 호퍼 장치로서,
    상기 디스크의 상부면상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크의 회전 중심 위치에 배치되는 교반 본체(10)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 본체의 둘레면은 마찰면(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호퍼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본체는 제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호퍼 장치.
  6. 복수의 코인을 수납하기 위한 대략 남비 형상의 탱크(51)와, 상기 탱크의 내측 하부에 수평으로 위치되며 회전 가능한 디스크(52), 및 상기 디스크 내로 개방되어 상기 코인을 수평 상태로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53)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코인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코인 호퍼 장치로서,
    상기 디스크의 상부면상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크의 회전 중심 위치에 기립하는 탄성 로드(70)를 설치하고,
    상기 탄성 로드에 부착된 나선형 코일(68)을 상기 탄성 로드의 주위에 배치하고,
    상기 나선형 코일의 하단과 상기 디스크 사이의 상기 탄성 로드 주위에 회전 가능한 교반 본체(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호퍼 장치.
KR1020000040929A 1999-08-06 2000-07-18 코인 호퍼 장치 KR100600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07006A JP4231937B2 (ja) 2000-07-18 2001-07-06 コインホッ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223480 1999-08-06
JP11223480A JP2001052228A (ja) 1999-08-06 1999-08-06 コインのホッパ装置
JP2000-185529 2000-06-21
JP2000185529A JP2002008092A (ja) 2000-06-21 2000-06-21 コインホッ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095A KR20010021095A (ko) 2001-03-15
KR100600420B1 true KR100600420B1 (ko) 2006-07-13

Family

ID=26525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929A KR100600420B1 (ko) 1999-08-06 2000-07-18 코인 호퍼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569006B1 (ko)
KR (1) KR100600420B1 (ko)
ES (1) ES2226511B1 (ko)
GB (1) GB23551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3485A (ja) * 2000-10-20 2002-05-10 Asahi Seiko Kk 小形コインホッパ
JP4002967B2 (ja) * 2002-08-27 2007-11-07 旭精工株式会社 ディスクのホッパー
US20050009464A1 (en) * 2003-05-15 2005-01-13 Aruze Corp. Payment object dispensing machine
ITBO20040373A1 (it) * 2004-06-14 2004-09-14 Hopper Srl Erogatore di monete configurabili
JP2006043195A (ja) * 2004-08-05 2006-02-16 Aruze Corp 遊技機
US20060287112A1 (en) * 2005-06-15 2006-12-21 Mallory Chester L Gaming machine with a coin collector
JP4997410B2 (ja) * 2005-07-01 2012-08-08 旭精工株式会社 コインホッパ
JP5540190B2 (ja) 2010-04-30 2014-07-02 旭精工株式会社 コインホッパ
US10380820B2 (en) * 2014-12-29 2019-08-13 Tidel Engineering L.P. Increased capacity coin hopper
US9741195B2 (en) 2015-04-13 2017-08-22 Tidel Engineering, L.P.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coin hopper maintenance
US10181234B2 (en) * 2016-10-18 2019-01-15 Cummins-Allison Corp. Coin sorting head and coin processing system us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5368A (ja) * 1993-04-06 1994-10-21 Takuo Nakajima コイン払出し装置
JPH0744745A (ja) * 1993-08-03 1995-02-14 Takuo Nakajima コイン払出し装置
JPH08110960A (ja) * 1994-10-07 1996-04-30 Asahi Seiko Kk 硬貨送出装置
JPH0935107A (ja) * 1995-07-17 1997-02-07 N C L Kk パチスロメダル計数機のホッパー内メダル攪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10464U (de) * 1969-03-15 1969-10-09 Katharina Maria Reis Tragbare geldzaehlmaschine
US3942544A (en) * 1973-08-01 1976-03-09 Spiral Step Tool Company Hopper payout for various coin denominations
SE375173B (ko) * 1974-04-02 1975-04-07 Scan Coin Ab
US4148331A (en) 1977-06-10 1979-04-10 Bally Manufacturing Corporation Coin-agitating method and means for coin-counting and dispensing machines
JPS5837421B2 (ja) 1979-10-01 1983-08-16 株式会社 島アイデア・センタ− インタ−シヤ編編成方法
US4557282A (en) 1983-08-25 1985-12-10 Childers Corporation Coin-sorting wheel and counter for high-speed coin-sorting and counting apparatus
US4574824A (en) * 1984-07-10 1986-03-11 Igt Agitator for coin hopper
JPS61281385A (ja) * 1985-06-07 1986-12-11 旭精工株式会社 硬貨投出装置
JPS62117095A (ja) * 1985-11-18 1987-05-28 株式会社 ユニバ−サル コイン払い出し装置
GB8625531D0 (en) * 1986-10-24 1986-11-26 Coin Controls Coin dispensing apparatus
JPH0542537Y2 (ko) * 1986-11-14 1993-10-26
US4821920A (en) * 1987-08-28 1989-04-18 Hoppman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articles onto feeder by elevating ramp segments
USRE34934E (en) * 1987-10-27 1995-05-09 Raterman; Donald E. Coin sorter with counter and brake mechanism
US4921463A (en) * 1987-10-27 1990-05-01 Cummins-Allison Corporation Coin sorter with counter and brake mechanism
FR2633079B1 (fr) * 1988-06-21 1991-10-31 Lehong Son Dispositif de controle automatique de pieces metalliques, notamment de pieces de monnaie
JPH03158991A (ja) * 1989-11-17 1991-07-08 Olympia:Kk ホッパー型メダル払出装置
US5061222A (en) 1990-04-02 1991-10-29 Dixie-Narco, Inc. Coin hopper and dispenser
US5141443A (en) * 1990-05-14 1992-08-25 Cummins-Allison Corp. Coin sorter with automatic bag-switching or stopping
JPH07121791B2 (ja) 1990-06-08 1995-12-25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H0624930Y2 (ja) 1990-10-16 1994-06-29 旭精工株式会社 コイン送出装置
US5098339A (en) * 1991-01-23 1992-03-24 7's Unlimited, Inc. Coin feeding device
US5190495A (en) * 1991-02-14 1993-03-02 Bally Manufacturing Corporation High capacity coin hopper for a gaming machine
JPH06119521A (ja) * 1991-10-14 1994-04-28 Kazumi Chiba コイン払出装置
JPH05159126A (ja) * 1991-12-02 1993-06-25 Asahi Seiko Kk 硬貨送出装置
US5232399A (en) * 1992-03-11 1993-08-03 Atoll Technology Devices for the separation of coins, token and the like
EP0594902B1 (en) * 1992-10-27 1997-06-04 Asahi Seiko Kabushiki Kaisha Coin feeding device with an escalator
US5810230A (en) 1992-12-15 1998-09-22 Nutto; Uwe Convertible bags
KR100309355B1 (ko) 1993-09-07 2001-12-15 오까다 마사하루 경화투출장치
JP3206699B2 (ja) * 1994-06-27 2001-09-10 旭精工株式会社 硬貨送出装置
US5530730A (en) * 1994-12-13 1996-06-25 Kabushiki Kaisha Ace Denken Medal counter for counting medals used in game machine
GB9523405D0 (en) * 1995-11-16 1996-01-17 Coin Controls Coin dispensing mechanism
US5964657A (en) * 1996-01-22 1999-10-12 Asahi Seiko Co., Ltd. Coin processing device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s
JP3792766B2 (ja) * 1996-01-30 2006-07-05 アルゼ株式会社 遊技機用コイン払出装置
US5616074A (en) * 1996-04-29 1997-04-01 Chen; Chin-Nan Apparatus for counting coins
GB9611174D0 (en) * 1996-05-29 1996-07-31 Coin Controls Coin dispensing apparatus
US5695399A (en) 1996-06-21 1997-12-09 Deere & Company Foldable loading auger having a gas spring
GB9613702D0 (en) * 1996-06-29 1996-08-28 Coin Controls Coin dispensing apparatus
CN1131497C (zh) * 1996-09-20 2003-12-17 旭精工株式会社 金属圆片送出装置
JP3156845B2 (ja) * 1996-10-01 2001-04-16 旭精工株式会社 大容量形の円板体放出装置
JPH10208099A (ja) 1997-01-16 1998-08-07 Asahi Seiko Co Ltd 円板体の送り出し装置
US5897024A (en) * 1997-07-21 1999-04-27 Scriptpro Llc Medicament dispensing cell
US6093094A (en) * 1997-12-01 2000-07-25 De La Rue Systems Americas Corporation Coin feed mechanism
US6193599B1 (en) * 1998-10-20 2001-02-27 Asahi Seiko Co., Ltd. Coin hopper device
US6168513B1 (en) * 1999-03-05 2001-01-02 International Game Technology Apparatus and method for gaming device coin payou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5368A (ja) * 1993-04-06 1994-10-21 Takuo Nakajima コイン払出し装置
JPH0744745A (ja) * 1993-08-03 1995-02-14 Takuo Nakajima コイン払出し装置
JPH08110960A (ja) * 1994-10-07 1996-04-30 Asahi Seiko Kk 硬貨送出装置
JPH0935107A (ja) * 1995-07-17 1997-02-07 N C L Kk パチスロメダル計数機のホッパー内メダル攪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55104B (en) 2001-10-24
US6569006B1 (en) 2003-05-27
ES2226511A1 (es) 2005-03-16
KR20010021095A (ko) 2001-03-15
ES2226511B1 (es) 2006-05-16
GB0019137D0 (en) 2000-09-27
GB2355104A (en) 2001-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0420B1 (ko) 코인 호퍼 장치
JP7227549B2 (ja) 錠剤カセット
KR100312200B1 (ko) 상품공급장치및이것을이용한게임기
US5316517A (en) Coin dispensing device
MX2007015320A (es) Dispensador para material alargado.
JP6834281B2 (ja) 錠剤カセット及び錠剤排出方法
KR100224613B1 (ko) 밸런싱 장치
US11661222B2 (en) Storage container for a storage and dispensing station
KR100269139B1 (ko) 자기보상형 밸런서
EP0926277A3 (en) Spindle for a spinning machine
KR950009502A (ko) 경화투출장치
CA2100859A1 (en) Roulette wheel with dish
IE852381L (en) Upright cylindrical containers.
EP0223591A2 (en) Coin dispenser
US5782424A (en) Thread brake
US20180243660A1 (en) Spinning top toy
US5819519A (en) Spinning ring
KR19990061814A (ko) 자기보상형 밸런서
EP0660320B1 (en) Turntable of a disc player for both a compact disc and a mini disc
US5402952A (en) Tube coupling system for a spinning or twisting spindle
CN111485302B (zh) 夹纱装置和用于夹纱装置的装卸载机构
US5148662A (en) Rotary ring for spinning
US6848988B2 (en) Small coin hopper
US7235008B2 (en) Token dispensing device with decreased loading on a token dispensing disk
EP0080858A2 (en) Coin feeder device for coin cou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