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4520A -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 기록장치 - Google Patents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 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4520A
KR19980024520A KR1019970046630A KR19970046630A KR19980024520A KR 19980024520 A KR19980024520 A KR 19980024520A KR 1019970046630 A KR1019970046630 A KR 1019970046630A KR 19970046630 A KR19970046630 A KR 19970046630A KR 19980024520 A KR19980024520 A KR 19980024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orage unit
input
signal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6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1659B1 (ko
Inventor
겐이찌 이이다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브유끼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브유끼,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브유끼
Publication of KR19980024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1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16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6Storage of analogue signals in digital stores using an arrangement comprising analogue/digital [A/D] converters, digital memories and digital/analogue [D/A] convert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0Memory cell initialisation circuits, e.g. when powering up or down, memory clear, latent image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6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16Solid state audio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22Control and timing of internal memory operations
    • G11C2207/2227Standby or low power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ad Only Memory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마이크로폰과, 반도체 메모리와, 조작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반도체 메모리에는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출력신호가 기입되고, 기입된 신호가 반도체 메모리로부터 독출된다. 조작부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의해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기입하고, 반도체 메모리에 기억된 디지털신호를 독출하고, 반도체 메모리에 기억된 디지털신호를 소거하는 입력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는 조작부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해서 마이크로폰 출력신호를 반도체 메모리에 기입하는 기입과, 반도체 메모리에 기억된 디지털신호를 독출하는 독출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만일 기억부에 기입된 신호가 독출될 때 조작부에 의해 소거용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에, 기억부로부터의 신호를 소정 시간 동안 독출한 후에 조작부에 의해 소거용 입력이 다시 입력되면, 기억부로부터 독출되는 신호를 소거하는 제어를 행한다.

Description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 기록장치
본 발명은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별히, 기록매체로써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성기록장치로써, 테이프 레코더, 디지털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DAT) 또는 광자기 디스크를 이용하는 장치가 광범위하게 이용된다. 만일, 예를들어 이들 기록장치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매체로부터 소거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원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번지를 지정한 후 그 오디오 데이터를 소거하기 위해 소거버튼을 누른다.
소정 정보신호를 기록매체로부터 소거하는 경우에, 일단 소거버튼이 눌리면 소거 내용을 확인할 수 없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부주의하게 소거하기 원치 않는 정보신호를 소거하게 될 위험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IC레코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IC레코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IC레코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4는 IC레코더의 전원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IC레코더의 녹음작동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도이다.
도 6은 IC레코더의 재생작동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도이다.
도 7은 IC레코더의 소거작동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도이다.
도 8은 IC레코더의 조작모드의 변경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도이다.
도 9는 IC레코더의 백라이트의 제어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IC레코더 9. 반도체 메모리
10. 기록부 11. 마이크로폰
14. 부호기 15. 버퍼 메모리
20. 재생부 21. 복호기
30. 제어부 32. CPU
33. 타이머 35. 수정 발진기
40. 표시부 41. 액정표시패널
42. 백라이트 50. 전원부
51. 전지 55. 덮개열림 검출 스위치
60. 조작부 61. 조작버튼(누름버튼)
71. 전지 수납공간 72. 덮개
본 발명에 의하면, 마이크로폰, 기억부, 조작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가 제공된다.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출력신호는 기억부에 기입되고, 기입된 신호가 기억부로부터 독출된다. 조작부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부터 출력된 디지털신호를 기입하고, 기억부에 기억된 디지털신호를 독출하며, 기억부에 기억된 디지털신호를 소거하기 위한 입력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는, 조작부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해서 마이크로폰 출력신호를 기억부에 기입하는 기입과 기억부에 기억된 디지털신호를 독출하는 독출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즉, 만일 기억부에 기입되어 있는 신호가 기억부로부터 독출될때 조작부에 의해 소거용 입력이 입력된다면, 기억부로부터 신호를 소정 기간 동안 독출한 후에, 조작부에 의해 소거용 입력(소거를 위한 입력)이 다시 입력되면, 기억부로부터 독출되는 신호가 소거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이크로폰, 기억부, 검출기구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도 또한 제공된다. 마이크로폰의 출력신호와 그 출력신호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데이터가 기억부에 기입된다. 검출기구는 전지 수납부를 열고 닫기 위한 덮개가 전지 수납부를 여는 위치로 이동했음을 검출한다. 제어부는 마이크로폰 출력신호를 기억부에 기입하는 기입을 제어한다. 검출기구에 의해 덮개가 전지 수납부를 여는 방향으로 이동했음이 검출될 때, 제어부는 마이크로폰 출력신호를 기억부에 기입하는 것은 중단하고, 기입-금지된 마이크로폰 출력신호를 기억부에 기입하기 위한 제어를 관리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이크로폰, 기억부, 조작부, 조명부, 표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도 또한 제공된다. 마이크로폰의 출력신호와 그 출력신호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데이터가 기억부에 기입된다. 조작부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의해 출력된 디지털신호를 기입하고, 기억부에 기억된 디지털신호를 독출하고, 기억부에 기억된 디지털신호를 소거하기 위한 입력처리를 수행한다. 조명부는 표시부를 밝힌다. 제어부는, 조작부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해서 마이크로폰 출력신호를 기억부에 기입하는 기입과 기억부에 기억된 신호를 독출하는 독출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또한 조작부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해서, 조명부가 표시부를 밝히도록 제어한다.
이하에는 첨부 도면을 참고해서 본 발명의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예를들어 기억매체로써 반도체 기억장치를 이용하며, 상기 반도체 기억장치에 음성을 기억하도록 구성되며, 이하에서 IC레코더로 호칭될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예를들어 설명한다.
도 1에서, IC레코더(1)는, 마이크로폰(11)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반도체 메모리(9)에 기억시키기 위한 기록부(10)와, 반도체 메모리(9)에 기억된 음성데이터를 독출하여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24)를 구동하기 위한 재생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C레코더(1)는 예를들어 기록부(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와, 작동상태나 작동순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40)와, 예를들어 제어부(3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50)와, 사용자가 각종 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록부(10)는, 마이크로폰(11)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12)와, 증폭기(12)에 의해 증폭된 출력신호의 레벨을 적당한 레벨로 조정하기 위한 자동 이득 제어기(AGC)(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록부(10)는 AGC(13)의 출력신호를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부호기(14)와, 부호기(14)로부터의 오디오 데이터를 지연시키기 위한 버퍼 메모리(1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이크로폰(11)은 입력된 음성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그것을 증폭기(12)에 공급한다. 증폭기(12)는 오디오신호를 증폭하여 그것을 AGC(13)에 보낸다. AGC(13)는 증폭기(12)에 의해 증폭된 오디오신호를 적절한 레벨로 증폭시키고, 그 결과신호를 부호기(14)에 보낸다.
오디오신호는 강한 상관을 나타내므로, 부호기(14)는 예를들어 적응 차분 펄스 코드 변조(ADPCM: 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에 의해 적은 데이터량으로 오디오신호를 부호화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발생하고 그것을 버퍼 메모리(15)에 공급한다.
버퍼 메모리(15)는 소정 지연시간에 대응하는 용량을 가지며, 부호기(14)로부터 공급된 오디오 데이터를 소정 시간 지연시켜 그 지연된 데이터를 반도체 메모리(9)에 공급한다. 버퍼 메모리(15)는,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같이 누름버튼을 누를 때 작동되는 스위치 접촉의 전환시에 발생되는 잡음이 메모리(9)에 기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용된다.
반도체 메모리(9)는, 메모리장치의 기억내용이 소거되지 않으며, 메모리의 구동전원이 오프될 때에도 남게 되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의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로 이루어진다. 반도체 메모리(9)는 버퍼 메모리(15)로부터 공급된 오디오 데이터를 기억할 뿐만 아니라,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어느 영역에 기억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관리데이터도 기억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반도체 메모리(9)는 예를들어 16MByte의 용량을 가지며, 따라서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같이 SP모드에서는 200∼3400Hz의 음성에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8분간 기억할 수 있으며 반면, LP모드에서는 200∼1700Hz의 음성에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16분간 기억할 수 있다.
재생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반도체 메모리(9)로부터 독출된 음성데이터를 소위 PAM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복호기(21) 및 필터(22)와, 필터(22)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증폭하여 증폭된 오디오신호를 스피커(24)에 공급하기 위한 증폭기(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호기(21)는 기록부(10) 내의 부호기(14)의 대응부이며, 반도체 메모리(9)로부터 독출된 오디오 데이터(이것은 ADPCM에 의거해서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임)를 복호화하여, 소위 PAM신호를 발생한다. 필터(22)는 상기 PAM신호에서 음성 대역보다 높은 고주파수 성분을 제거하여 오디오신호를 출력한다. 증폭기(23)는 복호기(21)로부터 공급된 오디오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24)를 구동한다. 이러한 식으로, 녹음된 음성이 스피커(24)로부터 출력된다.
도 1에서, 제어부(30)는 IC레코더(1)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ROM(31)과, 반도체 메모리(9)나 기록부(10)를 제어하기 위해 ROM(31)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 컴퓨터(CPU)(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30)는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33)와, 시간이나 프로그램 수행의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RAM(Random Access Memory)(3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30)에는 조작부(60)의 각종 누름버튼(61)으로부터의 신호가 공급된다. 다수 누름버튼(61) 중 어느 하나가 눌리게 되면, 그 누름버튼(61)에 관련된 프로그램이 ROM(31)으로부터 독출되고, 각종 부품을 제어하도록 수행된다. 예를들어 녹음 시작 버튼(61k)이 눌리면, CPU(32)는 ROM(31)으로부터 기록에 대한 프로그램을 독출 및 실행하여, 증폭기(12)와, AGC(13)와 부호기(14)를 작동하며, 버퍼 메모리(15)에 의해 소정 시간 지연된 오디오 데이터를 반도체 메모리(9)의 비어 있는 영역에 기입하여 기억시킴으로써, 누름버튼(61) 조작 시에 발생되는 잡음이 기록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30)는 반도체 메모리(9)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의 기입 및 독출을 제어함으로써, 반도체 메모리(9)의 2개 파일(A, B)에 99개 오디오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인덱스 번호를 첨부하여, 오디오 데이터와 인덱스 번호를 기입하는 제어와, 인덱스 번호에 의거해서 오디오 데이터를 독출하는 제어를 행한다. 타이머(33)를 가동시키기 위한 수정 발진기(35)는, 반도체 메모리(9)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를 소정 시각에 독출하기 위해서, 반도체 메모리(9)에 접속된다. 표시부(40)도 제어부(30)에 접속되며, CPU(32)는 IC레코더의 작동상태나 작동순서를 표시부(40) 상에 표시하게 된다. 표시부(40)는 낮은 전력소비의 액정표시패널(41)과, 액정표시패널(41)을 밝히기 위한 백라이트(back-light)(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들어, 조작부(60)의 메뉴/이송버튼(61a)이 눌릴 경우, CPU(32)는 날짜와 시간을 표시부(40) 상에 표시하게 하므로, 사용자는 그 표시를 보고 타이머(33)를 세팅할 수 있다. 백라이트(42)의 작동에 대해서는 이하에 설명할 것이다.
만일 녹음작동 중에 덮개열림 검출 스위치(55)의 누름 상태가 취소(해제)되는 경우, CPU(32)는 녹음작동 또는 재생작동을 종료하는 프로그램과 ROM(31)으로부터 TOC정보를 기입하는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수행함으로써, 녹음작동 또는 재생작동을 종료시키는 동시에, 오디오 데이터가 어느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가를 나타내는 관리정보를 기억한다. 만일 덮개열림 검출 스위치(55)의 눌림 상태가 취소된다면, CPU(32)는,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같이, ROM(31)으로부터 통상의 전력소비 모드에서 낮은 전력소비 모드로 전환하는 프로그램을 독출하고, 독출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모드전환처리를 행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해서, 조작부(6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IC레코더(1)는 휴대용이며, 손바닥 크기의 외측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설명된 기록부(10)와 재생부(20)와 같은 전기회로를 지니고 있는 프린트 회로기판이 설치된다. IC레코더(1)는 왼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이 레코더는 오른손을 이용하는 통상의 녹음작동에 이용될 수 있다. 외측 케이스(1a) 상에는, 조작부(60)를 구성하는 다수의 누름버튼(61)이 설치되어 있다. 외측 케이스(1a) 상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IC레코더(1)의 운반에 이용되는 손잡이가 장착된다.
조작부(60)는, 메뉴-이송버튼(61a)과, 재생을 시작하기 위한 재생버튼(61b)과, 인덱스 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리턴/이송버튼(61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작부(60)는 파일 전환을 위한 파일전환 버튼(61d)과, 기록을 정지하기 위한 정지버튼(61e)과, SP모드와 LP모드 사이에서 전환하기 위한 SP/LP버튼(61f)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작부(60)는 백라이트(42)를 켜기 위한 라이트 버튼(61g)과, 표시 버튼(61h)과, 인덱스를 설정하기 위한 인덱스 버튼(61i)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작부(60)는 마지막으로 반도체 메모리(9)에 기억된 오디오 데이터를 소거하기 위한 소거 버튼(61j)과, 녹음을 시작하기 위한 녹음시작 버튼(61k)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조작버튼 중, 자주 사용되는 재생버튼(61b)과 리턴/이송버튼(61c)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측 케이스(1a)의 상측 좌편부에 잘려진 형태의 측부에 설치되므로, 왼손 엄지손가락으로 이들 버튼을 쉽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역시 자주 이용되는 녹음시작 버튼(61k)은 외측 케이스(1a)의 주면(major surface)에 큰 크기로 설치되는 누름버튼으로 형성되므로, 왼손 엄지손가락으로 이들 버튼을 쉽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조작부(60)는 홀드 스위치(62)와, 녹음 또는 재생이 계속됨을 나타내는 녹음 및/또는 재생램프(63)와, 재생음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볼륨(64)과, 이어폰 잭(65)을 더 포함한다. 녹음 및/또는 재생램프(63)는 외측 케이스(1a)의 주면에 설치되므로, 사용 중에 용이하게 가시검사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비교적 덜 이용되는 홀드 스위치(62)와, 볼륨(64) 및 이어폰 잭(65)은 외측 케이스(1a)의 측면에 설치된다.
상기 설명된 마이크로폰(11)과 스피커(24)등은 외측 케이스(1a)의 주면에 설치된다. IC레코더(1)의 크기를 작게 하여 IC레코더(1)의 휴대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마이크로폰(11)과 녹음시작 버튼(61k)을 서로 근접하게 설치한다.
이하에는 전원부(5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원부(50)는 전지(51)와, 전지(51)의 출력전압을 올리기 위한 DC/DC변환기(52)와, 전지(51)의 출력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검출회로(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원부(50)는 DC/DC변환기(52)의 출력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커패시터(54)와, 전지 수납공간이 열린 것을 검출하기 위한 덮개열림 검출 스위치(5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IC레코더(1)는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운반상의 편의를 위해서 손바닥 크기이다. 이 전지(51)는, 장치의 크기를 작게 하기 위해서 하나의 tan-4건전지이며, 이 전지(5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측 케이스(1a)의 배면에 형성된 tan-4건전지를 홀드하기 위한 어느 정도 크기의 전지 수납공간(71)에 수납된다. 전지 수납공간(71)은 덮개(72)에 의해 덮인다. 전지 수납공간(71)에는 각각 전지(51)의 플러스측과 마이너스측에 해당하는 접속부(73a, 73b)가 설치된다. 전지(51)가 전지 수납공간에 수납될 때, 접속부(73a, 73b)가 전지(51)에 접속되어, 전류가 IC레코더(1)의 회로부에 공급된다.
DC/DC변환기(52)는, 1.5V인 전지(51) 출력전압을 증폭기(12, 23)나 CPU(32)의 회로부를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전압까지 승압해서, IC레코더(1)의 회로부에 상기 전압의 전류를 공급한다.
전압검출회로(53)는 전지(51)의 출력전압을 검출하여, 전지(51)의 출력전압이 예를들어 50V와 같게 될 때 DC/DC변환기(52)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그 출력이 예를들어 0.8V인 소정 값과 같게 된 후에는 전지(51)에 축전된 전력은 소비되지 않는다. 즉, DC/DC변환기(52)를 이용하더라도, 전지(51)의 전압이 그로 인해 갑자기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액체 누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커패시터(54)는, 단지 DC/DC변환기(52)와 제어부(30)의 타이머(33)와 접속되며 전원라인과 접지(ground) 사이에 접속된 소위 백업 커패시터이다. 즉, 만일 DC/DC변환기(52)가 작동 중이라면, 즉 모드가 통상의 전력소비 모드라면, 장치는 DC/DC변환기(52)로부터 공급된 전류에 의해 작동되며, 반면 전지(51)의 출력전압이 낮아지거나 전지교환을 위해 전지(51)가 꺼내진 경우와 같이 DC/DC변환기(52)가 정지한 경우라면, 즉, 낮은 전력소비 모드라면, 장치는 커패시터(52)로부터의 전류에 의해 작동된다. 커피시터(54)의 가능한 백업시간은 예를들어 대략 3분 정도이다.
덮개열림 검출 스위치(55)는 덮개(72)가 열려진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이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위치(55)는 전지 수납공간(71)의 측면에 설치된다. 덮개(72)가 닫혀 있다면, 덮개(72)에 설치된 돌출부(74)에 의해 상기 스위치가 눌릴 것이다. 만일 사용자가 외측 케이스(1a)에 대해 수납공간(71)을 여는 방향으로 덮개(72)를 이동시킬 경우, 돌출부(74)에 의해 눌린 상태가 취소되며, 따라서 덮개(72)가 열렸음을 나타내는 신호가 제어부(30)에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돌출부(74)는 덮개의 한쪽 말단부에 형성되며, 도시생략된 리테이너(retainer)는 덮개(72)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 형성된다. 외측 케이스(1a)의 배면에는 전지 수납공간(71)을 둘러싸는 숄더(shoulder)(75)가 형성된다. 숄더(75)의 좌측면과 우측면 상에는 도시생략된 보유홈(retention recess)이 형성되어 있다. 숄더(75)의 좌측 및 우측부에서 숄더(75) 좌측부 및 우측부의 보유홈에 리테이너를 끼워맞춤으로써, 덮개(72)는 외측 케이스(1a) 상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따라서 수납공간(71)을 열고 닫을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보유홈을 따라 리테이너를 미끄러지도록 밀게 되면, 덮개(72)의 열림 및 닫힘이 행해진다. 만일 덮개(72)가 닫혀 있는 경우, 덮개열림 검출 스위치(55)는 돌출부(74)에 의해 눌려진 상태에 있으며, 따라서 덮개(72)가 밀려서 열릴 경우, 돌출부(74)에 의한 스위치의 눌린 상태가 취소된다. 이러한 취소된 상태에서, 덮개 (72)가 열려진 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가 제어부(30)에 공급된다.
도 5를 참고해서, 상기 설명된 IC레코더(1)에서의 음성 녹음작동의 순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스텝(ST1)에서, 기록 시스템이 LP모드 또는 SP모드인지를 선택하기 위해서 SP/LP버튼(61f)을 누른다. 'SP'나 'LP'표시가 액정표시패널(41)에 표시된다. 그후, 스텝(ST2)에서, 반도체 메모리(9)에 제공되어 있는 파일 'A' 또는 'B'를 선택하기 위해서 파일전환 버튼(61d)을 누른다. 선택된 파일명은 액정표시패널(41)에 표시된다.
만일 스텝(ST3)에서 녹음시작 버튼(61k)이 눌릴 경우, 녹음/재생 램프(63)가 켜지고 녹음상태가 시작된다. 만일 사용자가 마이크로폰(11)에 대고 말하면, 오디오 데이터가 반도체 메모리(9)의 지정영역에 기입된다. 스텝(ST4)에서 정지버튼(61e)이 눌리게 되면 녹음/재생 램프(63)가 꺼지고, 녹음상태가 취소된다. 이때, 반도체 메모리(9)에는 오디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TOC정보, 파일번호 및 기록된 음성데이터도 기록된다. 만일 사용자가 또 다른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기 원할 경우에는, 최초 음성데이터의 기록 직후 상기 다른 데이터의 기록이 행해진다면, 초기 설정된 모드 및 파일과 동일한 영역에, 상기 최초로 부여된 인덱스 번호의 다음 인덱스 번호로 기록된다. 즉, 스텝(ST1)과 스텝(ST2)의 모드선택 작동과 파일선택 작동이 생략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록된 음성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작동 순서는 다음과 같다. 우선, 스텝(S11)에서, 파일 전환 버튼(61d)을 누른다. 그로인해 반도체 메모리(9)에 준비된 파일'A'이나 파일'B'을 선택하게 되고 선택된 파일이 액정표시패널(41) 상에 표시된다. 스텝(ST12)에서, 반도체 메모리(9)에 기록되어 있는 희망하는 인덱스 번호를 선택하기 위해 리턴/이송버튼(61c)을 누른다. 스텝(ST13)에서, 재생버튼(61b)과 녹음/재생 램프(63)가 켜지고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된다. 만일 IC레코더(1)에 의한 재생작동이 정지되어야 하는 경우에, 정지버튼(61e)을 누르게 되면 녹음/재생 램프(63)가 꺼짐과 동시에 재생작동이 정지된다. 만일 다음 항목으로 진행하거나 되돌리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녹음 또는 재생작동이 중단된 상태에서 리턴/이송버튼(61c)을 누르게 되면, 다음 인덱스 번호나 바로 전 인덱스 번호가 선택 및 재생된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기록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반도체 메모리(9)에서 소거하기 위한 작동 순서는 다음과 같다. 만일 스텝(ST21)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되고 있는 상태에서 소거버튼(61j)이 눌릴 경우, 처리는 스텝(ST22)으로 진행하며, 여기서 CPU(32)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 중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만일 소거버튼(61j)이 눌리지 않을 경우, 처리절차는 스텝(ST31)으로 진행해서 여기서 녹음/재생작동의 부재에 해당하는 대기모드를 설정한다. 만일 스텝(ST22)에서,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 중이라면, 처리절차는 스텝(ST23)으로 진행해서 소거확인모드를 설정한다. 이 소거확인 모드에서는, 모드가 소거확인모드임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표시ERASE가 액정표시패널(41)에 표시된다.
만일 스텝(ST23)에서 소거확인모드가 설정되면, 스텝(ST24)에서 CPU(32)는 소거버튼(61j) 이외의 다른 조작버튼(61)이 눌렸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만일 상기 소거확인모드 상태에서, 정지버튼(61e)이 눌리면, 처리절차는 스텝(ST31)으로 진행하여 대기상태를 설정한다. 만일, 재생버튼(61k)이나 녹음시작 버튼(61k) 등과 같이 정지버튼(61e) 이외의 조작버튼이 눌릴 경우에도, 유사하게 처리절차는 스텝(ST31)으로 진행하여 대기모드를 설정한다. 본 IC레코더(1)의 경우에, 만일 사용자가 실수로 소거확인모드에서 정지모드(61e) 이외의 다른 조작버튼(61)을 눌렀다면, 그 모드는 스텝(ST31)의 대기모드로 설정되어서, 부주의로 인해 오디오 데이터를 소거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만일 스텝(ST24)에서 조작버튼(61)이 눌리지 않았다면, 처리절차는 스텝(ST25)으로 진행해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고 현재 재생 중인 오디오 데이터가 10초 이상 계속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만일 재생데이터가 10초 미만 동안 계속된다면, 처리절차는 스텝(ST26)으로 진행하게 되고, 여기서 오디오 데이터 전체가 재생된다. 만일 오디오 데이터가 10초 이상 계속되었다면, 처리절차는 스텝(ST27)으로 진행하게 되어, 재생중인 오디오 데이터의 앞부분 5초부분과 뒷부분 5초부분이 재생된다. 스텝(ST26)에서는 소거될 오디오 데이터 전체를 재생하고, 스텝(ST27)에서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앞부분 5초부분과 뒷부분 5초부분을 재생하므로, 사용자는 소거될 오디오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스텝(ST26) 또는 스텝(ST27)에서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되고 있는 중에, 스텝(ST28)에서 소거버튼(61j)이 다시 눌리게 되면, 처리절차는 스텝(ST29)으로 진행하고, 여기서 CPU(32)는 RAM(32)에 기억되어 있는 소거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반도체 메모리(9)에 기록되어 있는 소정 오디오 데이터를 소거한다. 만일, 파일'A'에 4개 항목의 음성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고, 1∼4의 인덱스 번호가 주어질 때, 인덱스 번호 3에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가 소거될 경우, 인덱스 번호 4에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가 인덱스 번호 3을 새롭게 부여받는다. 즉, 다수 항목의 오디오 데이터에 인덱스 번호가 주어지고, 다수 오디오 데이터 중 중간에 위치하는 어느 항목이 소거되는 경우에, 그 소거를 보상하기 위해서 인덱스 번호가 패딩(padding)된다.
만일 오디오 데이터가 소거되면, 처리절차는 스텝(ST31)으로 진행하여 대기모드를 설정한다. 만일 스텝(ST28)에서 소거버튼(61j)이 눌리지 않았다면, 처리절차는 스텝(ST30)으로 진행하고, 여기서 다시금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여 CPU(32)는 재생 횟수가 10을 초과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만일 오디오 데이터가 10회 이상 재생되지 않았다면, 처리는 스텝(ST23)으로 진행하여 소거확인모드를 유지한다. 만일 스텝(ST30)에서 오디오 데이터가 10회 이상 재생되었다면, 처리절차는 스텝(ST31)으로 진행하여 대기상태를 설정한다.
상기에서는 반도체 메모리(9)로부터 오디오 데이터 항목을 하나씩 소거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만일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체적으로 소거하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파일전환 버튼(61d)을 눌러서 파일'A'이나 파일'B을 선택한 후, 소거버튼(61j)과 정지버튼(61e)을 동시에 누른다. 그러면, IC레코더(1)는 소거버튼(61j)과 정지버튼(61e)을 동시에 누르는 복합작동을 수행하여, 파일'A'이나 파일'B'에 기록되어 있는 전체 오디오 데이터를 부주의하게 소거하는 것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설명된 IC레코더(1)에 의하면, 소거버튼(61j)을 눌러서 소거확인모드를 설정한 후에 사용자가 반도체 메모리(9)로부터 소거하기 원하는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되기 때문에, 파일'A'이나 파일'B'에 기록된 모든 오디오 데이터를 부주의하게 소거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소거될 오디오 데이터가 10초 이상 계속되는 경우에는, 오디오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해 요구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앞부분 5초부부분과 뒷부분 5초부분 만이 재생되므로, 오디오 데이터를 필요한 시간 이상 재생하지 않고도 오디오 데이터를 쉽게 소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IC레코더(1)는, 소거확인모드에서 정지버튼(61e)과 함께 녹음시작 버튼(61k)이나 재생버튼(61b)이 눌리는 경우에도, 소거확인모드에서 대기모드로 진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잘못된 오디오 데이터의 소거를 방지할 수 있다.
만일 녹음 도중 사용자의 부주의한 취급으로 인해 IC레코더(1)가 떨어져서, 떨어지는 충격에 의해 덮개(72)가 수납공간(71)의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전지(51)가 빠져나가는 경우에, 덮개열림 검출 스위치(55)는 덮개(72)의 열림을 검출하여, 그에 해당하는 검출신호를 제어부(30)에 공급한다. 만일 덮개(72)가 열렸음을 나타내는 신호가 IC레코더(1)의 제어부(30)에 공급되면, 제어부(30)는 녹음작동을 종료하는 한편, 기입된 오디오 데이터가 어느 영역에 기억되었는지를 나타내기 위해서 TOC정보를 기입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IC레코더(1)에 있어서, 어떤 이유에 의해 녹음 도중 전지(51)로부터의 전류공급이 갑자기 중단되면, 기입된 TOC정보에 기초해서 오디오 데이터를 독출하여, 녹음된 음성을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덮개(72)가 열렸음을 나타내는 신호가 IC레코더(1)에 공급되면, 모드는, 녹음작동의 종료처리 이후와 같이, 통상의 전력소비 모드에서 낮은 전력소비 모드로 전환된다. 낮은 전력소비 모드는, 녹음작동이나 재생작동이 중단되고 액정표시패널(41) 상에 어떠한 표시도 되지 않으며, 시간 계수만을 위해서 커패시터(54)에 의해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타이머(33)만이 작동되는 그러한 전력모드이다.
IC 레코더(1)의 전력모드 선택은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선택된다. 즉, 스텝(ST41)에서, 전지 수납공간(71)의 덮개(72)가 열렸는지 여부를 우선 판별한다. 덮개(72)가 열렸다면, 스텝(ST42)에서, 낮은 전력소비 모드가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만일 낮은 전력소비 모드가 설정되지 않았다면, 즉, 모드가 통상의 전력소비 모드라면, 스텝(ST43)에서는, 녹음 또는 재생과 같은 작동이 계속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만일 녹음 또는 재생 등의 작동이 계속된다면, ROM(31)으로부터 작동종료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작동종료 처리를 수행한다. 스텝(ST44)에서는, 작동종료 처리를 행함과 동시에, TOC정보 기입 프로그램을 ROM(31)으로부터 독출하여 TOC정보기입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이들 처리작동이 끝나게 되면, 스텝(ST45)에서, 모드가 통상의 전력소비 모드에서 낮은 전력소비 모드로 전환된다. 만일 스텝(ST43)에서 녹음 또는 재생작동이 계속되지 않는다면, 스텝(ST44)에서의 처리를 행하지 않고, 곧 바로 모드를 통상의 전력소비 모드에서 낮은 전력소비 모드로 전환된다.
IC레코더(1)에 있어서, 이러한 방식으로 모드가 낮은 전력소비 모드로 전환되며, 따라서, 만일 실수로 전지(51)가 빠져나가게 되어 전지로부터의 전류공급이 갑자기 중단되면, 커패시터(54)로부터의 전력공급이 유지되며, 따라서 커패시터(54)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타이머(33)에 의한 시간계수가 계속될 수 있으며, 따라서 시간계수에 있어서의 혼란을 방지하게 된다. 커패시터(54)의 백업전력이 유지되는 3분 이내에 전지(51)를 제 위치에 다시 끼워넣기만 하면 통상의 기능이 회복될 수 있다.
IC레코더(1)에 있어서, 만일 녹음하는 동안 실수로 전지(51)가 떨어져 나가게 되어 녹음이 중단되면, 전지(51)를 다시 제 위치에 끼워넣고 전지 수납공간(71)의 덮개(72)를 덮을 수 있다. 이때, 덮개열림 검출 스위치(55)로부터의 신호가 멈추게 된다. 그러나, 이때 기록내용에 대응하는 인덱스 번호가 자동적으로 선택되어서, 기록중단 바로 전의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프로그래밍이 행해질 수 있다. 기록하는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동하는 화상 데이터와 같은 다이내믹 데이터일 수도 있다.
IC레코더(1)의 액정표시패널(41) 상에는, 타이머(33)의 출력에 기초해서 날짜와 시간이 표시된다. 이러한 기능을 설정하기 위해서, 우선 메뉴/이송버튼(61a)을 누른다. 그러면, 액정표시패널(41) 상에 날짜를 표시하여 날짜 설정 모드를 설정한다. IC레코더(1)에서, 리턴/이송버튼(61c)을 누름으로써 날짜를 설정할 수 있다. 만일 이 상태에서 메뉴/이송버튼(61a)이 눌리면, IC레코더(1)는 시간 설정 모드로 전환되어서, 액정표시패널(41) 상에 시간을 표시하게 된다. IC레코더(1)에서, 리턴/이송버튼(61c)을 누름으로써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정지버튼(61e)을 누름으로써 시간설정모드가 종료된다.
IC레코더(1)는 액정표시패널(41)에 표시된 인덱스 번호에 대응해서 오디오 데이터의 표시내용을 전환할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가 반도체 메모리(9)에 기록될 때, IC레코더(1)는 기록시간 및 날짜와 기록시간을 동시에 기록할 수 있다. 표시버튼(61h)이 눌릴 경우, IC레코더(1)의 액정표시패널(41) 상에 표시되는 표시내용을 변경하는 프로그램이 ROM(31)으로부터 독출되어, 액정표시패널(41)의 표시내용을 변경한다. 구체적으로, 표시버튼(61h)을 누르면, 기록날짜, 기록시간 및 나머지 기록가능 시간이 액정표시패널(41) 상에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사용자가 IC레코더(1)를 어두운 곳에서 조종하는 경우, 백라이트(42)가 표시부(40)를 밝힐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라이트 버튼(61g)이 눌리면, IC레코더(1)의 CPU(32)는 스텝(ST51)으로 진행하여, 라이트 버튼(61g)이 눌렸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만일 라이트 버튼(61g)이 눌렸다면, 처리절차는 스텝(ST52)으로 진행하며, 그렇지 않다면 처리절차는 스텝(ST56)으로 진행한다. 스텝(ST52)에서, CPU(32)는 타이머(33)를 리셋하여 시간계수를 시작한다. 타이머(33)가 리셋되면, 처리절차는 스텝(ST53)으로 진행하여, 백라이트(42)가 10초 동안 온(on)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백라이트(42)가 켜진지 10초 이내라면, 백라이트(42)는 계속해서 켜져 있을 것이며, 반면 10초의 시간이 경과했다면, 스텝(ST55)에서 백라이트(42)가 꺼진다.
만일 스텝(ST54)에서 백라이트(42)가 계속해서 켜져 있다면, CPU(32)는 스텝(ST51)으로 되돌려서, 라이트 버튼(61g)이 눌렸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만일 라이트 버튼(61g)이 눌리지 않았음이 CPU(32)에 의해 판별되는 경우에, 처리절차는 스텝(ST56)으로 진행한다. 스텝(ST56)에서, CPU(32)는 백라이트(42)가 켜진 상태에서 타이머(33)의 누름버튼(61) 중 어느 하나가 눌렸는지를 판별한다. 만일 백라이트(42)가 켜진 상태에서 타이머(33)의 누름버튼(61) 중 어느 하나가 눌렸음을 CPU(32)가 판별하는 경우에, CPU(32)는 스텝(ST57)에서 타이머(33)를 다시 리셋하여 시간계수를 시작한다. 만일 누름버튼(61)중 어느 것도 눌리지 않았다면, 처리절차는 다시 스텝(ST53)으로 되돌아간다. 스텝(ST53)에서는, 타이머(33)에 의해 계수된 10초 동안 백라이트(42)가 켜져 있는지를 판별한다. 켜지기 시작한 후 10초 이내라면, 켜진 상태가 계속 유지되는 한편, 만일 10초의 시간이 경과했다면, 스텝(ST55)에서 백라이트(42)가 꺼진다.
상기 설명에서는, 모든 누름버튼(61)이 눌리게 될 경우, 타이머(33)가 리셋된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누름버튼이라고 하면 사용자가 액정표시패널(41)의 표시내용을 체크할 때 작동하기 원하는 누름버튼, 즉 재생 또는 기록작동을 위한 누름버튼으로 한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부적절한 누름버튼(61)을 누를 경우에는 타이머(33)가 리셋되지 않기 때문에, 백라이트(42)는 10초 이내에 오프(off) 되므로, 쓸데 없는 전력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
IC레코더(1)에 있어서, 백라이트(42)가 켜져 있는 동안에 소정의 누름버튼(61)이 눌리게 되면, 타이머(33)가 리셋된다. 따라서, 만일 사용자가 어두운데서 액정표시패널(41)을 체크하면서 조작하는 경우, 백라이트(42)는 항상 켜진 상태이다. IC레코더(1)의 타이머가 매 10초 마다 리셋되므로, 부주의하게 백라이트(42)가 켜져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기억부에 기입된 신호가 기억부로부터 독출될 때 상기 조작부에 의해 소거용 입력이 입력될 경우, 소정기간 동안 기억부로부터 신호를 독출한 후에 상기 조작부로부터 소거용 입력이 다시 입력되면 상기 기억부로부터 독출되는 신호를 소거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이용자는 소거하는 오디오신호의 확인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IC레코더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소형 전자장치가 운반이 용이하므로 사용자가 어두운데서 빈번히 조작하기 때문에, 기록매체로써 디스크 카트리지를 갖추어 구성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와 같이, 휴대하기 간편한 소형 전자장치에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기록되는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에만 한정되지 않고, 이동하는 화상 데이터와 같은 다이내믹 데이터에도 이용될 수 있다.

Claims (27)

  1.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의 출력신호가 그 내부에 기입되고, 기입된 신호가 독출되어 나오는 기억부와,
    마이크로폰의 출력신호를 상기 기억부에 기입하고,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신호를 독출하고,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신호를 소거하기 위한 입력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해서 마이크로폰의 출력신호를 상기 기억부에 기입하는 기입과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신호를 독출하는 독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만일 상기 기억부에 기입된 신호가 기억부로부터 독출될 때 상기 조작부에 의해 소거용 입력이 입력될 경우, 소정기간 동안 기억부로부터 신호를 독출한 후에 상기 조작부로부터 소거용 입력이 다시 입력되면, 상기 기억부로부터 독출되는 신호를 소거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만일 기억부로부터 독출되는 신호가 소정 값보다 짧으면, 상기 기억부로부터 독출되는 신호 전체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독출되도록 제어하며, 그후 조작부로부터 소거용 입력이 다시 입력되면, 기억부로부터 독출된 디지털신호를 기억부로부터 소거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만일 상기 기억부에 기입된 신호가 기억부로부터 독출될 때 상기 조작부에 의해 소거용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기억부로부터 독출된 디지털신호를 끝부분에서 소정 횟수 독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만일 상기 기억부로부터 독출되고 있는 신호가 소정 값보다 길다면, 상기 기억부로부터 독출되는 신호의 앞 부분과 뒷 부분을 상기 기억부로부터 독출하며, 그후 상기 조작부로부터 소거용 입력이 다시 입력되면, 상기 기억부로부터 독출되고 있는 디지털신호를 상기 기록부로부터 소거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만일 상기 기억부에 기입된 신호가 기억부로부터 독출될 때 상기 조작부에 의해 소거용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기억부로부터 독출되는 디지털신호를 끝부분에서 소정 횟수 독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만일 상기 기억부에 기입된 신호가 독출될때 상기 조작부에 의해 소거용 입력이 입력될 경우, 만일 상기 기억부로부터 독출된 디지털신호가 소정 시간 동안 독출된 후에 상기 조작부에 의해 소거용 입력 이외의 입력이 입력되면, 소거작동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전원이 정상적인 상태로 공급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만일 상기 검출기구의 출력에 기초해서 전원이 정상적인 상태로 공급되고 있지 않다고 판별되는 경우에, 상기 기억부로부터의 신호독출이나 마이크로폰의 출력신호를 상기 기억부에 기입하는 기입을 종료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구는, 덮개와, 상기 덮개가 상기 전지수납부를 열고 있음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스위치에 의해 상기 덮개가 상기 전지수납부를 열고 있음이 검출되는 경우에, 상기 마이크로폰의 출력신호를 상기 기억부에 기입하는 기입작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마이크로폰 출력신호를 상기 기억부에 기입하는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기억부에 기입된 마이크로폰 출력신호에 해당하는 관리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에 기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스위치에 의해 상기 덮개가 전지수납부를 열고 있음이 검출되는 경우에,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장치의 작동을 유지하기 위한 작동 유지(holding) 회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유지 회로는 상기 전지에 의해 충전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스위치에 의해 상기 덮개가 전지수납부를 열고 있음이 검출되는 경우, 소정 시간동안 작동을 유지시키기 위해 타이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표시부와, 상기 조작부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해서 상기 표시부를 밝히기 위한 조명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해서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조명부를 발광(發光)하도록 작동하여 상기 표시부를 밝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부의 발광시간 측정을 시작하기 위해 상기 조작부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해서 시작되는 타이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만일 소정 시간의 측정 동안 어떤 입력이 다시 입력되면, 상기 타이머는 조명부의 발광시간을 상기 입력이 다시 입력되는 때부터 다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폰의 출력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와, 반도체 메모리로부터 독출된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반도체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8. 기록장치에 있어서,
    마이크로폰과,
    출력신호와 상기 출력신호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데이터를 기입하기 위한 기억부와,
    전원이 정상의 상태로 공급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구와,
    상기 마이크로폰의 출력신호를 상기 기억부에 기입하는 기입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이 정상적인 상태로 공급되고 있지 않음을 상기 검출기구가 판별할 경우, 마이크로폰 출력신호의 기입을 중단하고, 상기 마이크로폰 출력신호에 대한 관리데이터를 기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구는 전지를 수납하는 전지수납부를 개폐하기 위한 덮개와, 상기 덮개에 의한 전지수납부의 열림을 검출하는 검출스위치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덮개가 상기 전지수납부를 열고 있음을 상기 검출스위치가 검출할 경우, 마이크로폰 출력신호를 상기 기억부에 기입하는 기입작동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가 상기 전지수납부를 열고 있음을 상기 검출기구가 검출할 경우, 장치의 작동을 소정 시간 동안 계속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작동 유지 회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유지 회로는 상기 전지수납부에 수납된 전지에 의해 충전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유지 회로에 의해 상기 덮개가 전지수납부를 열고 있음이 검출되는 경우에, 작동을 소정 시간 동안 계속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시계(timepiece) 기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23.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반도체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24.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마이크로폰과,
    마이크로폰의 출력신호가 기입되며, 기입된 신호가 독출되어 나오는 기억부와,
    마이크로폰의 출력신호를 상기 기억부에 기입하고,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신호를 독출하고,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신호를 소거하기 위한 입력 조작부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를 밝히기 위한 조명부와,
    상기 조작부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해서 마이크로폰의 출력신호를 상기 기억부에 기입하는 기입을 제어하고,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신호의 독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해서 상기 조명부가 소정 시간 동안 상기 표시부를 밝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부의 발광시간의 측정을 시작하기 위해서, 상기 조작부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해서 시작되는 타이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 동안의 측정 동안에 어떠한 입력이 다시 입력되는 경우, 상기 타이머는 조명부의 조명시간을 상기 입력이 다시 입력되는 시간부터 다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7.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반도체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KR1019970046630A 1996-09-18 1997-09-10 기록및/또는재생장치 KR1005016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668696A JP3593814B2 (ja) 1996-09-18 1996-09-18 記録再生装置
JP96-246686 1996-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520A true KR19980024520A (ko) 1998-07-06
KR100501659B1 KR100501659B1 (ko) 2005-10-28

Family

ID=17152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6630A KR100501659B1 (ko) 1996-09-18 1997-09-10 기록및/또는재생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7) US6289253B1 (ko)
JP (1) JP3593814B2 (ko)
KR (1) KR100501659B1 (ko)
CN (1) CN1149575C (ko)
DE (1) DE19741195B4 (ko)
ID (1) ID18928A (ko)
SG (1) SG650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5341B1 (en) * 1996-09-18 2005-08-02 Sony Corporation Recording apparatus, 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7409252B2 (en) * 1996-09-18 2008-08-05 Sony Corporatio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apparatus
JP4040125B2 (ja) * 1996-09-18 2008-01-30 ソニー株式会社 音声信号記録装置
US7610109B2 (en) * 1996-09-18 2009-10-27 Sony Corporatio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apparatus
JP3593814B2 (ja) 1996-09-18 2004-11-24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US7415315B2 (en) * 1996-09-18 2008-08-19 Sony Corporatio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apparatus
US6490235B1 (en) * 1997-08-07 2002-12-03 Sony Corporation Storage and reproduction apparatus with rotary control element for controlling operations
KR100287366B1 (ko) 1997-11-24 2001-04-16 윤순조 엠피이지 방식을 이용한 휴대용 음향 재생장치 및 방법
US20020191801A1 (en) * 2001-06-18 2002-12-19 Jose Lopez Device for aiding the process of memorization
US7577264B2 (en) 2004-06-07 2009-08-18 Konstantin A. Caploon Audio recordation and reproduction spring clips
GB2432272A (en) * 2005-06-30 2007-05-16 Nokia Corp Capture and deletion of audio data during image capture
US7370433B1 (en) * 2006-03-20 2008-05-13 Albert Caraway Tape measure mountable digital recorder device
CN105162241B (zh) * 2015-07-24 2018-06-19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的检测处理方法和装置
US10391915B2 (en) * 2017-03-02 2019-08-27 Textron Innovations, Inc. Breakover release pin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0254B2 (ja) 1985-07-09 1997-01-08 ソニー株式会社 Pcm信号の記録再生装置
JP2630769B2 (ja) * 1987-01-19 1997-07-16 株式会社トリオ電子 録音再生装置を備えたカード及びメール
JP2590920B2 (ja) 1987-08-24 1997-03-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伝言装置
JPH01173409A (ja) * 1987-12-28 1989-07-10 Canon Inc 音声信号消去装置
US5079651A (en) 1988-07-21 1992-01-07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Digital audio tape recorder and music program jump selecting method thereof
US5226090A (en) * 1989-12-29 1993-07-06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Voice-operated remote control system
JP3163119B2 (ja) * 1991-07-19 2001-05-08 シャープ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JPH0562102A (ja) * 1991-08-30 1993-03-12 Kyocera Corp ビデオフロツピー記録画消去方法
DE4207447A1 (de) * 1992-03-09 1993-09-16 Provera Ges Fuer Projektierung Verfahren und geraet zur digitalen aufzeichnung und wiedergabe von informationen
US5508984A (en) 1992-10-30 1996-04-16 Kabushiki Kaisha Kenwood Optical disc player having program title display
KR950010730B1 (ko) * 1992-12-31 1995-09-22 엘지전자주식회사 셀룰라폰의 후광조명장치 및 방법
US5387108A (en) * 1993-02-05 1995-02-07 Crowell; Christopher S. Multi-purpose, universally applicable re-recordable, audible, message delivery system
JP3320486B2 (ja) 1993-03-05 2002-09-0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パワーアンプの保護回路
JPH06350949A (ja) 1993-06-08 1994-12-22 Kyocera Corp マルチ画面を利用したスチルビデオ画像消去方式
JP3579910B2 (ja) 1993-10-27 2004-10-20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US5491774A (en) * 1994-04-19 1996-02-13 Comp General Corporation Handheld record and playback device with flash memory
US6055500A (en) * 1994-07-13 2000-04-25 Olympus Optical Co., Ltd. Information transfer,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H08115100A (ja) * 1994-10-13 1996-05-07 Olympus Optical Co Ltd 音声データ処理装置
AU4160896A (en) * 1994-11-14 1996-06-06 Norris Communications Corp. Method for editing in hand held recorder
JP3222704B2 (ja) * 1994-11-28 2001-10-29 シャープ株式会社 留守番電話機
US5533190A (en) * 1994-12-21 1996-07-02 At&T Global Information Solutions Company Method for maintaining parity-data consistency in a disk array
JPH08205014A (ja) * 1995-01-31 1996-08-09 Casio Comput Co Ltd 電子スチルカメラ
US5740453A (en) * 1995-03-03 1998-04-14 Compaq Computer Corporation Circuit for reducing audio amplifier noise during powering on and off
GB2303471B (en) * 1995-07-19 2000-03-22 Olympus Optical Co Voice activated recording apparatus
US5687242A (en) * 1995-08-11 1997-11-11 Resistance Technology, Inc. Hearing aid controls operable with battery door
US5903868A (en) * 1995-11-22 1999-05-11 Yuen; Henry C. Audio recorder with retroactive storage
KR0175028B1 (ko) * 1995-12-02 1999-04-01 김광호 소형기억장치의 지워진 데이터의 저장방법 및 복원방법
JP3127813B2 (ja) 1995-12-05 2001-01-29 ヤマハ株式会社 オーディオ用アンプの保護回路
KR0183802B1 (ko) * 1995-12-29 1999-05-15 윤종용 데이타 보호 기능을 갖는 기억장치 제어방법
JPH09265731A (ja) * 1996-01-24 1997-10-07 Sony Corp 音声再生装置及び方法、音声録音装置及び方法、音声録音再生システム、音声データの転送方法、情報受信装置、記録媒体
US5841878A (en) * 1996-02-13 1998-11-24 John J. Arnold Multimedia collectible
US6055550A (en) * 1996-03-21 2000-04-25 Oracle Corporation Auto sizing of fields for displaying computer forms
US7415315B2 (en) 1996-09-18 2008-08-19 Sony Corporatio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apparatus
JP3593814B2 (ja) * 1996-09-18 2004-11-24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US7610109B2 (en) 1996-09-18 2009-10-27 Sony Corporatio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apparatus
US7409252B2 (en) 1996-09-18 2008-08-05 Sony Corporatio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apparatus
JPH1139769A (ja) * 1997-07-17 1999-02-12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情報処理装置及び省電力装置
US6490235B1 (en) 1997-08-07 2002-12-03 Sony Corporation Storage and reproduction apparatus with rotary control element for controlling operations
JPH11143500A (ja) * 1997-11-05 1999-05-28 Sony Corp Ic記録再生機
US6321129B1 (en) * 1998-03-17 2001-11-20 Dictaphone Corporation Enhanced user control operations for portable digital audio recorder
JP4304734B2 (ja) 1998-04-17 2009-07-29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データの再生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0123460A (ja) 1998-10-21 2000-04-28 Hitachi Ltd 記録再生装置
US6590730B2 (en) * 2001-01-05 2003-07-08 Creative Technology Ltd. System for managing power in a portable music p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15723B2 (en) 2012-11-20
US20060047352A1 (en) 2006-03-02
US8725281B2 (en) 2014-05-13
JPH1091198A (ja) 1998-04-10
US20130261780A1 (en) 2013-10-03
KR100501659B1 (ko) 2005-10-28
DE19741195A1 (de) 1998-03-19
US9064558B2 (en) 2015-06-23
US6975912B1 (en) 2005-12-13
CN1149575C (zh) 2004-05-12
ID18928A (id) 1998-05-20
US20010011195A1 (en) 2001-08-02
US20130046401A1 (en) 2013-02-21
SG65018A1 (en) 1999-05-25
US7127306B2 (en) 2006-10-24
US20150242184A1 (en) 2015-08-27
CN1179605A (zh) 1998-04-22
US9811306B2 (en) 2017-11-07
JP3593814B2 (ja) 2004-11-24
DE19741195B4 (de) 2010-06-17
US6289253B1 (en) 2001-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1306B2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apparatus
US20140081439A1 (en) Recording apparatus, 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7610109B2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apparatus
US7409252B2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apparatus
US7574275B2 (en) Recording apparatus, 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7415315B2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apparatus
JPH1091540A (ja) 記録再生装置
TW397988B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3518870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4631892B2 (ja) 音声信号記録装置
JPH1090648A (ja) 電子機器
KR930000215B1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멀티메모리 제어방법
JP4678019B2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記録再生方法
JPH1091200A (ja) 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