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9053A - 잉크 젯 기록용 쉬트(ink jet recording sheet) - Google Patents

잉크 젯 기록용 쉬트(ink jet recording she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9053A
KR19980019053A KR1019970041377A KR19970041377A KR19980019053A KR 19980019053 A KR19980019053 A KR 19980019053A KR 1019970041377 A KR1019970041377 A KR 1019970041377A KR 19970041377 A KR19970041377 A KR 19970041377A KR 19980019053 A KR19980019053 A KR 19980019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coat layer
jet recording
ink jet
sheet
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1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0937B1 (ko
Inventor
나오노부 스기야마
가즈오 도타니
가즈아키 오오시마
Original Assignee
오오쿠니 마사히코
오지 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쿠니 마사히코, 오지 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오쿠니 마사히코
Publication of KR19980019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9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02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materials
    • B41M5/506Intermediat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18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inorganic additives, e.g. pigments, c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51Intermediate layer is 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 Y10T428/24868Translucent outer layer
    • Y10T428/24876Intermediate layer contains particulate material [e.g., pigment, etc.]

Landscapes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내수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위에 깨끗한 잉크 화상을 기록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잉크 젯 기록용 쉬트는 기판 중합체 필름 또는 쉬트 기판위에 형성되고 유리 전이 온도가 50℃ 또는 그 이하인 중합체 바인더와 선택적으로 오일 흡수량이 250ml/100g 또는 그 이하인 및/또는 종횡비가 2.0 내지 100.0 인 안료 입자를 포함하는 언더코트층 및 안료와 중합체 바인더를 포함하는 잉크 수용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잉크 젯 기록용 쉬트
본 발명은 잉크 젯 기록용 쉬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종래의 목재가 없는 종이 쉬트 및 코팅된 종이 쉬트와 동일한 정도로 가공 및 기록될 수 있고, 착색된 잉크 화상이 그 위에 우수한 선명성과 만족할만한 돗트 형상으로 기록될 수 있으며, 우수한 내수성을 가지고 있는 잉크 젯 기록용 쉬트에 관한 것이다.
잉크 젯 방식의 프린터의 성능, 예를 들면 인쇄 속도 및 해상도 및 기록된 착색 화상의 채도에서의 상당한 발전으로 인하여, 기록 재료들은 향상된 성능, 예를 들면 고도의 잉크 흡수 속도, 고도의 잉크 흡수 용량, 조절된 잉크 퍼짐성 등을 가지도록 요구되고 있으며, 그래서 표면상에 형성된 잉크 수용코팅층을 각각 가지고 있는 다양한 코팅지 유형의 잉크 젯 기록용 쉬트가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소 번호 62-158,084 호 공보에는 미세한 합성 실리카 입자들을 함유하고 있고 고도의 잉크흡수성, 색 재현성 및 색 농도를 나타내는 잉크 수용층을 가지고 있는 잉크 젯 기록 매체가 개시되어 있다. 즉, 상기 언급된 요구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잉크 젯 기록용 쉬트는 주성분으로서, 예컨대 미세한 합성 실리카 입자와 같은, 우수한 잉크흡수성을 가지고 있는 백색 안료를 포함하고 있고, 주성분으로서 셀룰로오스성 펄프를 포함하고 있는 기판(substrate)의 표면위에 형성되어 있는 코팅층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잉크 젯 프린터의 사용이 확대됨으로 인하여, 잉크 젯 기록용 쉬트의 사용은 종래의 서류, 예를 들면 사무용 서류로부터 색(color)을 주로 사용하는 광고물, 특히 구매시점에서의 광고물 (POS 광고물)에 이르기까지 확대되고 있다.
잉크 젯 기록 시스템은 인쇄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인쇄 시스템과는 명확하게 구별된다. 그러므로, 잉크 젯 기록 시스템은 소량의 인쇄가 가능하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종래의 잉크 젯 기록용 쉬트는 종래의 셀룰로오스성 펄프로부터 형성된 기판 쉬트를 가지고 있음으로 인하여 기록용 쉬트가 낮은 내수성을 가지고 있으며, 물에 젖었을 때 쉽게 손상된다는 점에서 불리하다. 또한, 기판 종이 쉬트에 내수성-향상 처리가 수행되는 경우에도, 그 결과의 기록용 쉬트는 여전히 연신성, 주름짐 및 컬링 (curling) 현상에 대한 내성면에서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즉, 종래의 잉크 젯 기록용 쉬트는 그것의 내수성면에서 만족스럽지 못하다.
일본 특개소 번호 64-36,478 호 공보에는 주성분으로서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고 있는 필름으로부터 형성된 기판과 그 기판위에 형성되어 있는 소수성 잉크흡수 및 정착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수한 내수성을 나타내는 잉크 젯 기록용 쉬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 유형의 잉크 젯 기록용 쉬트는 우수한 내수성을 가지고 있으며 POS 광고물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유형의 잉크 젯 기록용 쉬트는 단지 오일 잉크를 사용하는 잉크 젯 프린터에만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언급된 잉크 젯 기록용 쉬트는 수성 잉크를 사용하는 잉크 젯 프린터에는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소수성 잉크흡수 및 정착층은 언제나 높은 내수성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또한, 주성분으로서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고 있는 내수성 필름이 기판 쉬트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라도, 종래의 잉크 수용층이 기판 쉬트위에 형성되어 있어서, 그것이 물방울에 젖어 손가락이나 펜으로 문질러지는 경우에는, 잉크 수용층은 그것의 빈약한 내수성으로 인하여 잉크 수용층과 기판 쉬트 사이의 계면에서 쉽게 박리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만족할만한 내수성을 나타내는 수성 잉크수용층을 가지고 있는 잉크 젯 기록용 쉬트는 아직 공급되지 못하고 있다.
일본 특개평 번호 1-225,585 호 및 5-051,470 호 공보에는 기판 쉬트와 잉크수용층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언더코트층을 가지고 있는 잉크 젯 기록용 쉬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공보들의 언더코트층은 기록용 쉬트의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없는 잉크보유층 또는 잉크수용층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품위의 수성 잉크 화상이 잉크 젯 기록용 프린터에 의하여 고속으로 기록될 수 있고 우수한 내수성을 가지고 있는 잉크 젯 기록용 쉬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언급된 목적은 중합체 필름(polymeric film) 또는 쉬트를 포함하고 있는 기판 안료 및 중합체 바인더를 포함하고 있는 잉크 수용층 및 기판과 잉크 수용층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50℃ 또는 그 이하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고 있는 중합체 바인더를 포함하고 있는 언더코트층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잉크 젯 기록용 쉬트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 젯 기록용 쉬트에서, 잉크 수용층의 안료는 다수의 미세한 비정질 실리카 입자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잉크 젯 기록용 쉬트에서, 언더코트층은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언더코트층의 안료는 일본 공업규격 K 5101에 따라 측정된 250ml/ 100g 또는 그 이하의 오일 흡수량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잉크 젯 기록용 쉬트에서, 언더코트층의 중합체 바인더는 바람직하게도 50℃ 또는 그 이하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고 있는 수분산성 수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잉크 젯 기록용 쉬트에서, 언더코트층에 사용된 중합체 바인더는 가교제와 교차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 젯 기록용 쉬트에서, 언더코트층은 0.2 내지 15.0g/m2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잉크 젯 기록용 쉬트에서, 기판용 중합체 필름은 바람직하게도 2축 연신된 필름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잉크 젯 기록용 쉬트에서, 언더코트층의 중합체 바인더는 바람직하게도 -30 내지 50℃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잉크 젯 기록용 쉬트에서, 언더코트층은 0.5 내지 8.0g/m2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잉크 젯 기록용 쉬트에서, 언더코트층에 대한 가교제는 바람직하게도 최소한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잉크 젯 기록용 쉬트에서, 언더코트층은 일본 공업규격 P 8137 에 따라 측정된 R6 또는 그 이상의 발수성(water repellency)을 나타내튼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잉크 젯 기록용 쉬트에서, 기판용 중합체 필름 또는 쉬트는 무기 안료 및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2축 연신된 필름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잉크 젯 기록용 쉬트에서, 언더코트층에 함유되고 50℃ 또는 그 이하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고 있는 중합체 바인더는 수성 아크릴계 수지 에멀젼으로부터 유도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잉크 젯 기록용 쉬트에서, 언더코트층은 바람직하게는 안료 입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입자의 장축 길이 대 단축 길이의 비인 종횡비(aspect ratio)가 2.0 내지 100.0인 무기안료 입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잉크 젯 기록용 쉬트는 중합체 필름 또는 쉬트로부터 형성된 기판, 기판의 표면위에 형성되고 50℃ 또는 그 이하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고 있는 중합체 바인더를 포함하는 언더코트층, 및 언더코트층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미세한 비정질 실리카 입자들과 소수성 중합체 바인더를 포함하는 잉크 수용층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잉크 젯 기록용 쉬트는 기판과 잉크 수용층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특유의 언더코트층을 특징으로 한다.
잉크 수용층이 2축 연신된 중합체 필름 또는 쉬트로부터 형성된 기판의 표면위에 직접 형성되어 있는 종래의 잉크 젯 기록용 쉬트에서는, 잉크 수용층이 높은 수성 잉크흡수량을 가지도록 요구되기 때문에 잉크 수용층이 기판에 단단하게 정착되는 것이 어렵다. 특히, 잉크 젯 기록용 쉬트가 물에 젖었을 때, 물은 잉크 수용층과 기록용 쉬트의 단면을 통해서 기판과 잉크 수용층 사이의 계면으로 스며들게 되고, 그 결과 잉크 수용층은 기판으로부터 쉽게 박리된다. 즉, 내수성 잉크 수용층을 제공하는 것이 어렵다. 그러나, 본 발명의 언더코트층이 기판과 잉크 수용층 사이에 형성되는 경우, 언더코트층은 기판에뿐만 아니라 잉크 수용층에도 단단하게 밀착될 수 있고, 따라서 잉크 수용층이 언더코트층을 통해 기판에 단단하게 결합된다. 그러므로, 기판과 잉크 수용층 사이의 계면으로 물이 스며드는 것은 어렵다. 만약 물이 계면으로 스며들 수 있다 하여도, 스며드는 물은 언더코트층을 통해서 결합되어 있는 기판과 잉크 수용층 사이의 결합이 열화되도록 작용하지 못한다. 따라서, 잉크 수용층은 향상된 내수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 젯 기록용 쉬트에서, 기판은 중합체 필름 또는 쉬트, 특히 내수성 중합체 필름 또는 쉬트로부터 형성된다. 중합체 필름은 주성분으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및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중합체 필름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중합체 쉬트는 상기 언급된 수지들로부터 제조된 합성 종이 쉬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가 미세한 무기 입자들과 혼합되는 경우, 혼합물은 필름으로 형성되고, 필름은 2방향으로 연신되며, 천연 종이 쉬트의 촉감과 유사한 촉감을 가지는 합성 종이-유사 쉬트(synthetic paper-like sheet) 또는 층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서, 기판은 바람직하게도 최소한 하나의 합성 종이-유사 층을 포함하는 다층 쉬트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다층 합성 종이 쉬트는 바람직하게는 코아 층과 하나 또는 두 개의 합성 종이-유사 표면층을 포함하고 있는 2 또는 3-층 쉬트이거나, 또는 상기 언급된 2 또는 3-층 쉬트의 합성 종이-유사 층들위에 형성되어 있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상부코트(uppercoat)층을 가지고 있는 3 내지 5-층 쉬트이다. 이런 유형의 다층 쉬트는 또한 필름법 합성지 쉬트로도 불리운다.
열가소성 수지에 혼합될 미세한 무기 입자들로는, 코아층 및 합성 종이-유사 층에 대해서는 칼슘 카보네이트(탄산칼슘), 소성크레이, 규조토, 탈크 및 평균 입자 크기가 20㎛ 또는 그 이하인 실리카 입자들이 있으며, 상부코트층에 대해서는 칼슘 카보네이트, 티타늄 다이옥사이드 및 황산 바륨 입자들이 있다. 미세한 무기 입자들은 합성 종이 쉬트안에 바람직하게는 8 내지 65%의 양으로 존재한다. 만약 무기 입자의 함량이 너무 작으면, 연신된 쉬트는 만족스럽지 못한 종이-유사 촉감, 외관 및 잉크 흡수성을 가질 것이다. 또한, 만약 무기 입자의 함량이 너무 크면, 쉬트는 기계적 강도면에서 만족스럽지 못할 것이다.
기판용 2축 연신된 필름은 합성 종이 쉬트로서 알려져 있는 시중에서 구매가능한 열가소성 필름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들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0㎛의 두께 및 10 내지 150g/m2의 기준 중량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잉크 젯 기록용 쉬트에서, 기판위에 형성될 언더코트층은 50℃ 또는 그 이하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고 있는 중합체 바인더와 선택적으로 안료 및/또는 다른 첨가제를 포함한다.
언더코트층용 중합체 바인더는 수불용성 중합체의 라텍스, 예를 들면 공액 디엔계 중합체들, 예컨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계 중합체, 예컨대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의 단일 중합체 및 공중합체, 비닐계 중합체, 예컨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변성 작용기, 예를 들면 카르복실기 및/또는 양이온성 기를 가지고 있는 상기 언급된 중합체 및 공중합체의 변성 반응 생성물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열경화성 수지, 예를 들면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수지 수불용성 점착성 수지, 예를 들면 무수말산 공중합체 수지, 폴리아크릴아미드 수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 및 알키드 수지 및 수용성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비닐 알코올 및 셀룰로오스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은 50℃ 또는 그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또는 그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또는 그 이하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다. 언더코트층은 기판과 잉크 수용층 사이의 결합 강도를 증가시키는데 기여한다.
중합체 바인더의 유리 전이 온도에 대해서는 하한은 없다. 통상적으로, 잉크 젯 기록용 쉬트의 제조 방법에서, 언더코트층이 기판상에 형성되어 그 결과 제조된 라미네이트 쉬트가 잉크 수용층이 코팅되는 단계전에 감겨져서 보관되는 경우, 언더코트층에 대한 중합체 바인더는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30℃ 이상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다. 이런 유형의 중합체 바인더는 결과적으로 얻어진 감겨있는 라미네이트 쉬트가 블록킹(blocking) 현상을 나타내도록 유도하지는 않는다.
언더코트층에 대해서, 중합체 바인더는 바람직하게도 고도의 내수성을 가지고 있는 수분산성 중합체들로부터 선택된다. 만약 수용성 수지가 언더코트층에 대해 사용된다면, 그 결과 얻어진 언더코트층의 수용성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교차결합되어 자신들을 수불용성으로 만들게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크릴산 중합체 라텍스들은 우수한 내수성을 가지고 있는 언더코트층을 형성하는데 유용하다. 아크릴산 중합체 라텍스들이 중합체 바인더로서 사용되는 경우, 그 결과의 언더코트층은 건조후에 물에 대해 우수한 배리어 성능을 나타내며, 그로써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만약 중합체 바인더의 유리 전이 온도가 50℃ 이상이라면, 그 결과의 언더코트층은 기판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필름 또는 쉬트) 및 잉크 수용층에 대하여 만족스럽지 못한 결합 강도를 나타내며, 언더코트층이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기판 및 잉크 수용층에 대하여 만족스럽지 못한 결합 강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만족스럽지 못한 내수성을 나타낸다. 또한, 만약 중합체 바인더의 유리 전이 온도가 -30℃ 이하라면, 그 결과의 언더코트층은 점착 성질을 나타낼 것이다. 이런 경우에, 언더코트층으로 기판 쉬트를 코팅함으로써 제조된 라미네이트 쉬트가 롤 주위에 감기게 되면, 잉크 수용층을 코팅하기 전에 감겨진 라미네이트 쉬트 층들이 상호간에 점착하여 블록킹 현상을 나타낼 것이다. 그러므로, 이런 경우에, 언더코트층에 대한 중합체 바인더는 -30℃ 또는 그 이상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언더코트층-코팅 단계와 잉크 수용층-코팅 단계가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코팅 기계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중합체 바인더의 유리 전이 온도에는 하한이 없다.
중합체 바인더는 언더코트층의 총 고체 중량을 기초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점착 성질을 가지고 있는 중합체 바인더가 너무 많은 양으로 사용되고, 그 결과의 언더코트층-코팅된 라미네이트가 롤 주위로 감기게 되면, 상기 언급된 블록킹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만약 중합체 바인더가 너무 적은 양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그 결과의 언더코트층의 기판 쉬트 및 잉크 수용층에 대한 결합 강도가 충분하지 못하게 될 것이며, 그로써 잉크 젯 기록용 쉬트는 만족스럽지 못한 내수성을 나타낼 것이다. 또한, 그 결과의 언더코트층은 불충분한 발수성 및 감소된 내수성을 나타내며, 그로 인해 물이 언더코트층과 기판 사이의 계면으로 언더코트층을 통해 스며들 수 있다.
우수한 내수성을 가지는 잉크 젯 기록용 쉬트를 얻기 위해서는, 언더코트층이 일본 공업규격 (JIS) P 8137에 따라 측정된 R6 또는 그 이상의 발수성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록킹 현상을 유발하지 않는 언더코트층은, 중합체 바인더가 낮은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중합체 바인더를 가교제와 함께 교차 결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런 관계로, 중합체 바인더를 가교제와 교차 결합시킴에 의해 그 결과의 언더코트층 표면은 증가된 경도를 나타내고, 점착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언더코트층에 대한 가교제는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예컨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폴리페닐 이소시아네이트, 톨루일렌디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티타늄 킬레이트 화합물, 예컨대 테트라-이소-프로폭시-비스(트리에탄올아민) 티타네이트, 테트라프로필 티타네이트, 및 트리에탄올아민 티타네이트 알콕실란 화합물, 예컨대 트리메톡시실란, 디메틸디메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디메톡시실란, 트리메틸에톡시실란, 디메틸디에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및 메틸디에톡시실란 실란올 화합물, 예컨대 디페닐실란디올 비닐 실란 화합물, 예컨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및 비닐트리에톡시실란 황, 유기 황 화합물, 옥심 화합물 및 니트로소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하나의 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언급된 화합물들중에서, 아크릴계 수지 에멀젼에 대한 가교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들이 효과적이며,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가교제는 단독으로 또는 그것들의 둘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가교제는 언더코트층에 대한 중합체 바인더의 건조 중량을 기초로 하여 0.2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만약 가교제의 양이 너무 적고 -30℃ 보다 낮은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고 있는 중합체 바인더에 대해 사용된다면, 그 결과의 언더코트층은 불충분한 블록킹 내성을 나타낼 것이다. 또한 만약 가교제의 양이 너무 많으면, 언더코트층의 교차 결합력은 너무 강해질 것이며, 그 결과의 언더코트층은 너무 높은 경도를 나타낼 것이다.
언더코트층에 대해 사용할 수 있는 안료는 무기 안료, 예를 들면 칼슘 카보네이트, 크레이, 소성 크레이, 카올린, 규조토, 탈크, 알루미늄 옥사이드, 실리카, 화이트 카본, 마그네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마그네슘 카보네이트, 황산 바륨, 티타늄 옥사이드,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및 마그네슘 하이드록사이드 및 유기 안료, 예를 들어 스티렌 단일 중합체 및 공중합체 수지 및 아크릴산 에스테르 단일 중합체 및 공중합체 수지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 젯 기록용 쉬트의 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언더코트층에 대해 사용할 수 있는 안료는, 일본 공업규격 R 1600에 따라 측정된 안료 입자들의 장축 길이 대 단축 길이의 비를 말하는 종횡비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인 다수의 안료 입자들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장축은 안료의 프라이머리 입자들의 폭에 상응하며, 단축은 안료의 프라이머리 입자들의 두께에 상응한다.
언더코트층에 대한 바람직한 안료는 무기 안료, 특히 칼슘 카보네이트 안료이다.
만약 안료 입자들의 종횡비가 너무 작으면, 그 결과의 언더코트층은 잉크 수용층 및 기판에 대하여 불충분한 결합 강도를 나타낼 것이며, 그 결과 긴 시간에 걸쳐 잉크 화상을 나타내기에는 내수성이 불충분하다. 또한, 만약 종횡비가 너무 크면, 그 결과의 언더코트층은 만족스럽지 못한 표면 강도를 나타낼 것이다. 그런 경우에, 점성층(tack layer)을 가지고 있는 투명한 수지 필름인 과라미네이트(overlaminate) 쉬트는 잉크 젯 기록용 쉬트의 잉크 화상-기록된 표면위에 코팅되며, 그것의 표면에서 문질러지는 경우, 언더코트층에 물이 도포되지 않은 경우에조차도 잉크 화상-기록 층이 언더코트층으로부터 과라미네이트 쉬트와 함께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잉크 젯 기록용 쉬트의 잉크 화상-기록 표면이, 특히 커다란 절단 크기에서, 예를 들면 AO 크기에서 과라미네이트 쉬트로 과잉 코팅되는 경우, 그 결과의 라미네이트 쉬트는, 잉크 젯 기록용 쉬트가 정상적인 조건하에서 사용될 수 있고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하여도 장기간의 표시에는 적당하지 않다. 나아가, 만약 종횡비가 너무 크면, 그 결과의 언더코트층의 표면 강도는 낮아지고, 그로써 언더코트층의 표면은 물이 언더코트층에 도포되지 않는다 하여도 경미한 힘, 예를 들면 손톱으로 표면을 살짝 문지르기만 하여도 손상되거나 또는 절단될 수 있다. 그러므로, 그 결과의 언더코트층은 취급이 어렵다. 따라서, 언더코트층의 안료 입자들의 종횡비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 범위내에 있는 것이 좋다.
안료 입자들의 종횡비의 효과에 대한 근거는 명확하지 않다. 그러나, 안료 입자들이 종횡비가 2.0 또는 그 이상인 평평한 얇은 판 형태이고, 안료 입자-함유 코팅액이 기판의 표면위에 코팅될 때, 안료의 평평한 얇은 입자들이 평평한 면-대-평평한 면 방식으로 상호간에 축적되어 언더코트층에 다수의 미세한 구멍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 결과 생성된 층위에 잉크 수용층에 대한 코팅액이 코팅될 때, 미세한 구멍들은 잉크 수용층에 대한 코팅액이 그곳을 통해 흘러서, 그 결과 잉크 수용층이 언더코트층에 단단하게 고정되고, 언더코트층과 잉크 수용층 사이의 계면이 증가된 내수성을 나타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만약 종횡비가 2.0 이하이면, 안료 입자들은 입방체에 가까운 형태가 되고, 그로써 결과의 언더코트층에 미세한 구멍들이 충분한 수로 형성될 수 없으며, 그 결과 언더코트층은 잉크 수용층에 대하여 만족할만한 결합 강도를 나타낼 수 없고, 충분한 내수성도 나타낼 수 없다. 만약 종횡비가 7.0 이상이지만 100.0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안료 입자들은 판 또는 막대 형태이며, 종횡비가 7.0 또는 그 이하이고 스핀들 (spindle) 형태인 안료 입자들의 기계적 강도보다 약간 낮은 기계적 강도를 나타낼 것이다. 만약 종횡비가 100.0 이상이면, 안료 입자들은 바늘 형태일 것이며, 감소된 기계적 강도를 나타낼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료 입자들이 방적 스핀들, 판 또는 막대의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에는, 입자들의 종횡비가 2.0 내지 7.0의 범위내에 있는 경우이다. 그러므로, 상기 언급된 안료 입자들의 형태는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무기 안료에서, 통상적으로, 입자들의 장축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0㎛ 의 범위내에 있다. 장축이 0.5㎛ 또는 그 이상인 경우에는, 그 결과의 언더코트층은 보통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나타낸다. 장축이 50.0㎛ 이하인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그 결과의 언더코트층은 높은 평활도를 나타내고, 그 결과 잉크 젯 기록용 쉬트는 우수한 외관을 갖는다.
나아가, 만약 언더코트층에 함유되어 있는 안료가 너무 높은 오일 흡수량을 가지고 있으면, 그 결과의 언더코트층은 R6 이하의 발수성 및 감소된 내수성을 나타낼것이고, 그로써 물은 잉크 수용층 표면을 통해서 언더코트층으로 스며들 수 있다. 따라서, 그 결과의 잉크 젯 기록용 쉬트는 만족스럽지 못한 내수성을 나타낼 것이다. 그러므로, 언더코트층에 대한 안료의 오일 흡수량은 250ml/100g 또는 그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언더코트층에 함유된 무기 안료의 오일 흡수량이 100ml/100g 이상인 경우에, 약 100㎛의 직경을 가지고 있는 미세한 구형 입자들이 예를 들면 약 10 입자/cm2의 분포 밀도로 언더코트층위에 코팅된 잉크 수용층의 표면에 생성된다. 이들 구형의 입자들은 어떠한 실제적인 문제도 일으키지는 않는다. 그러나, 때로 인쇄된 잉크 젯 기록용 쉬트의 화상-기록된 표면상에 있는 구형 입자들은 빛속에서 반짝거리며, 그로써 화상-기록된 잉크 젯 기록용 쉬트의 외관의 열화를 유발한다. 구형 입자들의 생성 원인은 명확하지 않다. 그러나, 언더코트층에 함유된 무기 안료 입자들의 오일 흡수량이 100ml/100g 이상인 경우에, 무기 안료 입자들이 또한 고도의 물 흡수성을 가지며, 그로써 그 결과의 언더코트층이 잉크 수용층에 함유된 안료 입자들의 물 흡수성과 유사한 높은 물 흡수성을 가지고 있는 무기 안료 입자들을 함유하도록 유발하고, 따라서 낮은 물-보유성을 가지고 있는 잉크 수용층 코팅액이 언더코트층위에 코팅될 때, 잉크 수용층 코팅액의 일부가 언더코트층에 재빠르게 흡수되어 언더코트층에 있는 미세한 구멍들에 보유되어 있던 미세한 공기 거품을 밀어내어, 코팅액층의 표면위에 공기 거품이 밀려나가 부유하는 것을 유발함으로써 미세한 구형 입자들을 형성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언더코트층에 대한 안료 입자들이 JIS K 5101에 따라 측정된 100ml/100g 또는 그 이하의 오일 흡수량을 가지는 것이 좋다.
특히, 언더코트층의 안료입자의 오일 흡수량은 20ml/100g 또는 그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오일 흡수량이 20ml/100g 또는 그 이상인 경우에, 언더코트층위에 코팅된 잉크 수용층에 대한 코팅액의 일부가 언더코트층에 있는 미세한 구멍안으로 스며들어 잉크 수용층에 대한 고정자로서 작용하고, 그로써 잉크 수용층은 언더코트층에 단단하게 결합될 수 있고, 그 결과의 잉크 젯 기록용 쉬트는 향상된 내수성을 나타낸다. 언더코트층에 대한 안료 입자들의 오일 흡수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20ml/100g 내지 70ml/100g 이다. 오일 흡수량이 70ml/100g 보다 작으면, 안료 입자들은 많은 구멍을 갖지 못하고, 따라서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나타내며, 그 결과의 언더코트층은 특히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갖게 된다.
바람직한 것은, 안료 입자들이 언더코트층의 총 건조 고체 중량을 100부로 하였을 때 100부당 9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중량부의 함량으로 함유되는 것이다. 만약 안료 입자들의 함량이 너무 높으면, 그 결과의 언더코트층의 기판 및 잉크 수용층에 대한 결합 강도가 떨어질 것이고, 그 결과 언더코트층은 만족스럽지 못한 발수성을 나타낼 것이다.
안료 함량이 너무 낮은 경우에는, 그 결과의 언더코트층은 점착성질을 나타낼 것이다. 기판과 그 기판위에 코팅되어 있는 언더코트층으로 이루어진 라미네이트가 잉크 수용층이 언더코트층위에 코팅되기 전에 롤 주위에 감기는 경우에는, 감겨진 라미네이트의 언더코트층의 표면이 언더코트층과 접촉하게 되는 기판의 후면에 점착할 수 있게 되어 블록킹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잉크 수용층이 연속적으로 감김없이 언더코트층위에 코팅되는 경우, 상기 언급된 블록킹 현상은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언더코트층으로 코팅된 라미네이트가 감기게 되면, 언더코트층은 바람직하게는 안료 입자들을 함유하여서 블록킹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언더코트층에 함유될 안료 입자들은 주요 입자 크기가 0.2 내지 2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안료 입자의 주요 입자 크기가 너무 작으면, 그 결과의 안료는 높은 오일 흡수량을 가지게 되고, 그에 따라 때로 상기 언급된 구형 입자들이 잉크 수용층안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만약 입자 크기가 너무 크면, 때로 안료 입자들은 언더코트층의 두께와 비교하여 너무 커지게 되고, 낮은 오일 흡수량을 가지고 있는 안료 입자들의 일부는 언더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잉크 수용층으로 향하게 됨으로써 기록된 화상이 울퉁불퉁하게 되는 것과, 그 결과의 잉크 젯 기록용 쉬트위에 잉크 화상이 기록될 때 화상에 돗트가 결여되는 것을 유발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안료 입자들의 오일 흡수량은 안료 입자들의 입자 형태 및 입자 크기에 따라 가변적이다. 그러므로, 너무 높은 오일 흡수량을 가지고 있는 안료 입자들은 안료 입자들이 그것의 오일 흡수량이 원하는 수준으로 조정되도록 물리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처리되는 때 언더코트층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언더코트층에 대해 사용될 수 있는 안료들은 단독으로 또는 그것의 둘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기판위에 언더코트층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언더코트층은 코팅기 또는 인쇄기, 예를 들면 바 코팅기 (bar coater), 에어 나이프 코팅기 (air knife coater), 블레이드 코팅기 (blade coater) 및 커튼 코팅기 (curtain coater) 를 사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 젯 기록용 쉬트중의 언더코트층의 양은 잉크 젯 기록용 쉬트의 최종 용도를 고려하여 정립된다. 언더코트층의 양은 그 결과의 잉크 젯 기록용 쉬트가 만족할만한 내수성, 잉크 화상-기록 성능, 및 보관 성질을 나타낼 수 있도록 조정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언더코트층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5.0g/m2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0g/m2이다.
만약 언더코트층의 양이 너무 적으면, 그 결과의 언더코트층의 기판에 대한 결합 강도는 약간 불만족스럽게 될 것이며, 때로 언더코트층이 물을 함유하고 있을 때 언더코트층위에 형성된 잉크 수용층의 표면이 잉크 수용층과 작은 접촉 면적을 가지는 물품, 예를 들면 강한 압력하에 펜의 맨 끝으로 강하게 문질러지게 되면, 잉크 수용층은 언더코트층과 함께 기판과 언더코트층 사이의 계면으로부터 분리될 것이며, 한편으로 잉크 수용층 표면이 손가락으로 문질러지면 문제는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만약 언더코트층의 양이 매우 적으면, 언더코트층의 기판에 대한 결합 강도는 불충분하게 될 것이고, 따라서 그 결과의 잉크 젯 기록용 쉬트는 내수성 면에서 만족스럽지 못하게 될 것이고, 언더코트층이 물을 함유하고 있을 때 잉크 수용층의 표면이 손가락으로 문질러지면, 잉크 수용층은 언더코트층과 기판 사이의 계면으로부터 시작하여 언더코트층으로부터 분리될 것이다.
또한, 만약 언더코트층의 양이 너무 많으면, 상기 언급된 미세한 구형 입자들이 언더코트층위에 코팅된 잉크 수용층의 표면상에 적은 수로 생성될 수 있고, 잉크 젯 기록용 쉬트의 외관이 분해되는 것을 유발할 수 있는 한편, 미세한 구형 입자들은 실제적인 사용에서는 어떠한 문제도 일으키지 않는다.
잉크 수용층에 대해 사용할 수 있는 안료들은 특정 유형의 안료로 한정되지 않는다. 잉크 수용층에 대한 안료들은 종래의 무기 안료들, 예를 들면 제올라이트, 칼슘 카보네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소성 크레이, 카올린 크레이, 탈크, 화이트 카본, 및 코팅지 쉬트에 대해 사용할 수 있는 종래의 유기 안료들 (플라스틱 안료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잉크 수용층에 대한 안료들은 바람직하게는 주성분으로서 다공성이고, 높은 잉크 흡수율을 가지고 있으며, 잉크가 깨끗한 화상을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높은 오일 흡수량을 나타내며, 높은 비표면적을 가지고 있고, 이차 입자 크기가 1 내지 10㎛ 인 미세한 비정질 실리카 입자들을 포함하는 것들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좋다. 미세한 비정질 실리카 입자들은 바람직하게는 잉크 수용층의 총 중량을 토대로 하여 50 내지 90중량%의 함량으로 함유되는 것이 좋다. 만약 미세한 비정질 실리카 입자들의 함량이 너무 작으면, 그 결과의 잉크 수용층의 잉크 흡수율이 만족스럽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만약, 미세한 비정질 실리카 입자들의 함량이 너무 크면, 그 결과의 잉크 수용층은 불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잉크 젯 기록용 쉬트의 사용 목적 및 프린터로부터 요구되는 성능에 상응하여, 잉크수용층은 비정질의 실리카입자들 외에 다른 백색안료들을 함유할 수 있다.
잉크 수용층에 대한 중합체 바인더는 바람직하게는 잉크에 대해 높은 친화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결과의 잉크 수용층이 향상된 액체-흡수력을 나타내도록 유도하는 것들, 예를 들면 폴리비닐 알코올 및 그것의 유도체, 단백질, 예를 들면 카세인 전분 및 전분 유도체, 공액 디엔 중합체의 라텍스, 예를 들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계 중합체의 라텍스, 예를 들면 아크릴산 에스테르와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의 중합체 및 공중합체 비닐 중합체의 라텍스, 예를 들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작용기, 예컨대 카르복실 및 양이온성 기를 가지고 있는 변성제를 이용한 상기 언급된 중합체들의 변성 반응 생성물인 작용기-함유 변성 중합체의 라텍스 열경화성 합성 수지, 예컨대 멜라민 수지 및 우레아 수지를 포함하고 있는 수용성 바인더 및 합성 수지 바인더, 예를 들면 무수말레산 공중합체 수지, 폴리아크릴아미드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및 알키드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최소한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들은 잉크에 대한 높은 친화성을 갖고 있고, 잉크수용층이 향상된 잉크흡수성을 나타나게 한다.
잉크 수용층내의 중합체 바인더의 함량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통상적으로, 중합체 바인더의 함량은 잉크 수용층의 총 건조 고체 중량을 토대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중량%가 좋다. 만약 함량이 너무 작으면, 그 결과의 잉크 수용층은 언더코트층에 대하여 불충분한 결합 강도 및 만족스럽지 못한 기계적 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만약, 함량이 너무 크면, 안료의 함량이 불충분해질 것이고, 그로써 그 결과의 잉크 수용층은 만족스럽지 못한 잉크 흡수를 나타낼 것이다.
기판위에 형성된 언더코트층위에 잉크 수용층을 형성하기 위한 과정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통상적으로, 잉크 수용층은 종래의 코팅기 또는 인쇄기, 예를 들면 바 코팅기, 에어 나이프 코팅기, 블레이드 코팅기 또는 커튼 코팅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기판위에 형성된 언더코트층위에 잉크 수용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제조된 쉬트는 거기에 어떠한 추가의 과정을 적용하지 않아도 기록용 쉬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쉬트는 예를 들면 슈퍼 캘린더 (super calendar) 또는 글로스 캘린더 (gloss calendar)를 사용함으로써 표면이 매끄러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 젯 기록용 쉬트에 대한 잉크 수용층의 양은 기록용 쉬트의 최종 용도를 고려하여 정립될 수 있다. 잉크 수용층의 양은 그 결과의 잉크 수용층이 만족할만한 잉크 흡수율, 기록 성능, 보관 및 불투명도를 나타내도록 적절한 수준,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g/m2의 수준으로 조정될 수 있다. 만약 잉크 수용층의 양이 너무 작으면, 그 결과의 층은 만족스럽지 못한 잉크 흡수 용량을 나타낼 수 있고, 잉크 화상은 확산될 수 있으며, 화상의 색조는 서로간에 혼합될 수 있고, 그로써 인쇄된 잉크 화상은 깨끗하지 못하게 될 것이다. 또한, 잉크 화상이 저속에서 건조되기 때문에 잉크 화상은 프린터의 롤러에 응집할 수 있어서 롤러를 더럽힌다. 그러나, 만약 잉크 수용층의 양이 너무 크면, 그 결과의 층은 너무 큰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언더코트층을 통해 기판에 대해 만족스럽지 못한 결합 강도를 나타낼 수 있으며, 잉크 젯 노즐이 블록킹되는 것을 유발할 수 있고, 그 결과 잉크 젯 기록용 쉬트의 비용이 너무 높아질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을 본 발명의 범주를 어떠한 방법으로든지 제한하지 않는 다음의 실시예에 의하여 추가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1) 언더코트층으로 코팅된 쉬트의 제조
언더코트층에 대한 코팅액을, 오일 흡수량이 60ml/100g인 칼슘 카보네이트 안료 (상표명 : Calrite SA, Shiraishi Chuokenkyusho 제조) 60중량부와 유리 전이 온도가 0℃인 아크릴산 수지의 수성 에멀젼(상표명 : AE-322, Nihon Goseigomu K.K. 제조) 40 건조 고체 중량부를 혼합한 후, 이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여 희석된 혼합물중의 건조 고체 성분의 농도가 50 건조 고체 중량%가 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제조하였다.
기판 쉬트로서는, Oji Yukagoseishi K.K. 로부터 상표명 Yupo FPG-80 으로 구입할 수 있는, 두께가 80㎛ 이고, 무기 안료와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고 있는 다수의 2축 연신된 필름으로 이루어진 다층 합성 종이 쉬트를 사용하였다.
상기 언급된 코팅액을 바 코팅기를 사용하여 기판 쉬트의 표면위에 3.0g/m2의 건조 중량으로 코팅하고 110℃의 온도에서 건조시켜서 백색의 언더코트층을 형성하였다.
(2) 잉크 젯 기록용 쉬트의 제조
잉크 수용층에 대한 코팅액을, 폴리비닐 알코올 (상표명 : PVA 117, Kuraray 사 제조) 20 건조 중량부와 400중량부의 물을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90℃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폴리비닐 알코올을 물중에 용해시킨 후, 추가로 그 결과 생성된 용액을 평균 입자 크기가 2.5㎛ 이고 오일 흡수량이 280ml/100g인 미세한 비정질 실리카 입자 (상표명 : Finesil X-40, Tokuyama 사 제조) 80 건조 중량부와, 교반하면서 혼합함으로써 제조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코팅액을 상기 언급된 언더코트층으로 코팅된 쉬트의 언더코트층의 표면위에 바 코팅기를 사용하여 코팅하였고, 코팅액층을 110℃의 온도에서 건조시킴으로써 10.0g/m2의 건조 고체 중량을 가지는 잉크 수용층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하여 백색의 잉크 젯 기록용 쉬트를 얻었다.
실시예 2
다음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잉크 젯 기록용 쉬트를 제조하였다.
기판 쉬트위에 언더코트층을 형성할 때에, 중합체 바인더로서, 40 건조 고체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 수성 아크릴산 수지 에멀젼 (상표명 : AE-322, Nihon Goseigomu K.K. 제조) 대신에, 유리 전이 온도가 -30℃인 아크릴산 수지의 수성 에멀젼 (상표명 : AE-337, Nihon Goseigomu K.K. 제조)을 40 건조 고체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3
다음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잉크 젯 기록용 쉬트를 제조하였다.
기판 쉬트위에 언더코트층을 형성할 때에, 중합체 바인더로서, 40 건조 고체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 수성 아크릴산 수지 에멀젼 (상표명 : AE-322, Nihon Goseigomu K.K. 제조, 유리 전이 온도 : 0℃) 대신에, 유리 전이 온도가 50℃ 인 아크릴산 수지의 수성 에멀젼 (상표명 : AE-116, Nihon Goseigomu K.K. 제조)을 40 건조 고체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1
다음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잉크 젯 기록용 쉬트를 제조하였다.
언더코트층을 형성하지 않았고, 잉크 수용층을 직접 기판 쉬트의 표면위에 코팅하였다.
비교예 2
다음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잉크 젯 기록용 쉬트를 제조하였다.
기판 쉬트위에 언더코트층을 형성할 때에, 중합체 바인더로서, 40 건조 고체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 수성 아크릴산 수지 에멀젼 (상표명 : AE-322, Nihon Goseigomu K.K. 제조, 유리 전이 온도 : 0℃) 대신에, 유리 전이 온도가 58℃인 아크릴산 수지의 수성 에멀젼 (상표명 : AE-121, Nihon Goseigomu K.K. 제조)을 40 건조 고체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4
다음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잉크 젯 기록용 쉬트를 제조하였다.
기판 쉬트위에 언더코트층을 형성할 때에, 안료로서, 오일 흡수량이 60ml/100g인 칼슘 카보네이트 (상표명 : Calrite SA, Shiraishi Chuokenkyusho 제조)를 60 건조 고체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한 대신에, 오일 흡수량이 83ml/100g인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상표명 : Silfonite M-12, Mizusawa Kagakukogyo K.K. 제조)를 60 건조 고체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5
다음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잉크 젯 기록용 쉬트를 제조하였다.
기판 쉬트위에 언더코트층을 형성할 때에, 안료로서, 오일 흡수량이 60ml/100g인 칼슘 카보네이트 (상표명 : Calrite SA, Shiraishi Chuokenkyusho 제조)를 60 건조 고체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한 대신에, 오일 흡수량이 115ml/100g 이고, 평균 입자 크기가 2.2㎛이며, 비표면적이 30m2/g인 미세한 비정질 실리카 안료 (상표명 : Mizukasil P-603, Mizusawa Kagakukogyo K.K. 제조)를 60 건조 고체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6
다음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잉크 젯 기록용 쉬트를 제조하였다.
기판 쉬트위에 언더코트층을 형성할 때에, 언더코트층을 3.0g/m2대신에 0.2 g/m2의 건조 고체 중량으로 형성하였다.
실시예 7
다음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잉크 젯 기록용 쉬트를 제조하였다.
기판 쉬트위에 언더코트층을 형성할 때에, 언더코트층을 3.0g/m2대신에 0.4g/m2의 건조 고체 중량으로 형성하였다.
실시예 8
다음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잉크 젯 기록용 쉬트를 제조하였다.
기판 쉬트위에 언더코트층을 형성할 때에, 언더코트층을 3.0g/m2대신에 0.5g/m2의 건조 고체 중량으로 형성하였다.
실시예 9
다음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잉크 젯 기록용 쉬트를 제조하였다.
기판 쉬트위에 언더코트층을 형성할 때에, 언더코트층을 3.0g/m2대신에 8.0g/m2의 건조 고체 중량으로 형성하였다.
실시예 10
다음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잉크 젯 기록용 쉬트를 제조하였다.
기판 쉬트위에 언더코트층을 형성할 때에, 언더코트층을 3.0g/m2대신에 9.0g/m2의 건조 고체 중량으로 형성하였다.
실시예 11
다음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잉크 젯 기록용 쉬트를 제조하였다.
기판 쉬트위에 언더코트층을 형성할 때에, 언더코트층을 3.0g/m2대신에 15.0g/m2의 건조 고체 중량으로 형성하였다.
실시예 12
다음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잉크 젯 기록용 쉬트를 제조하였다.
기판 쉬트위에 언더코트층을 형성할 때에, 중합체 바인더로서, 40 건조 고체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 수성 아크릴산 수지 에멀젼 (상표명 : AE-322, Nihon Goseigomu K.K. 제조, 유리 전이 온도 : 0℃) 대신에, 유리 전이 온도가 50℃인 카르복실-변형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라텍스 (상표명 : 0640, Nihon Goseigomu K.K. 제조)를 40 건조 고체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3
다음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잉크 젯 기록용 쉬트를 제조하였다.
기판 쉬트위에 언더코트층을 형성할 때에, 수성 아크릴산 수지 에멀젼 (상표명 : AE-322, Nihon Goseigomu K.K. 제조, 유리 전이 온도 : 0℃)를 40 건조 고체 중량부 대신에 10 건조 고체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4
다음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잉크 젯 기록용 쉬트를 제조하였다.
기판 쉬트위에 언더코트층을 형성할 때에, 유리 전이 온도가 0℃인 아크릴산 수지의 수성 에멀젼 (상표명 : AE-322, Nihon Goseigomu K.K. 제조)을 40 건조 고체 중량부 대신에 18 건조 고체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5
다음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잉크 젯 기록용 쉬트를 제조하였다.
기판 쉬트위에 언더코트층을 형성할 때에, 유리 전이 온도가 0℃인 아크릴산 수지의 수성 에멀젼 (상표명 : AE-322, Nihon Goseigomu K.K. 제조)을 40 건조 고체 중량부 대신에 20 건조 고체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6
다음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잉크 젯 기록용 쉬트를 제조하였다.
기판 쉬트위에 언더코트층을 형성할 때에, 유리 전이 온도가 0℃인 아크릴산 수지의 수성 에멀젼 (상표명 : AE-322, Nihon Goseigomu K.K. 제조)을 40 건조 고체 중량부 대신에 80 건조 고체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7
다음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잉크 젯 기록용 쉬트를 제조하였다.
기판 쉬트위에 언더코트층을 형성할 때에, 유리 전이 온도가 0℃인 아크릴산 수지의 수성 에멀젼 (상표명 : AE-322, Nihon Goseigomu K.K. 제조)을 40 건조 고체 중량부 대신에 85 건조 고체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8
다음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잉크 젯 기록용 쉬트를 제조하였다.
기판 쉬트위에 언더코트층을 형성할 때에, 유리 전이 온도가 0℃인 아크릴산 수지의 수성 에멀젼 (상표명 : AE-322, Nihon Goseigomu K.K. 제조)을 40 건조 고체 중량부 대신에 100 건조 고체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9
다음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잉크 젯 기록용 쉬트를 제조하였다.
기판 쉬트위에 언더코트층을 형성할 때에, 언더코트층에 대한 코팅액을 다음과 같은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건조고체중량부
오일 흡수량이 60ml/100g인 칼슘 카보네이트 안료(상표명: Calrite SA, Shiraishi Chuokenkyusho 제조) 60
유리 전이 온도가 -45℃인 아크릴산 수지의 수성에멀젼 (상표명: AE-220, Nihon Goseigomu K.K. 제조) 40
수성 폴리시아네이트 가교제(상표명: Elastron BN-69, Daiichi Kogyoseiyaku K.K.제조) 0.1
실시예 20
다음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잉크 젯 기록용 쉬트를 제조하였다.
기판 쉬트위에 언더코트층을 형성할 때에, 언더코트층에 대한 코팅액을 다음과 같은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건조고체중량부
오일 흡수량이 60ml/100g인 칼슘 카보네이트 안료(상표명: Calrite SA, Shiraishi Chuokenkyusho 제조) 60
유리 전이 온도가 -45℃인 아크릴산 수지의 수성에멀젼 (상표명: AE-220, Nihon Goseigomu K.K. 제조) 40
수성 폴리시아네이트 가교제(상표명: Elastron BN-69, Daiichi Kogyoseiyaku K.K.제조) 0.2
실시예 21
다음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잉크 젯 기록용 쉬트를 제조하였다.
기판 쉬트위에 언더코트층을 형성할 때에, 언더코트층에 대한 코팅액을 다음과 같은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건조고체중량부
오일 흡수량이 60ml/100g인 칼슘 카보네이트 안료(상표명: Calrite SA, Shiraishi Chuokenkyusho 제조) 60
유리 전이 온도가 -45℃인 아크릴산 수지의 수성에멀젼 (상표명: AE-220, Nihon Goseigomu K.K. 제조) 40
수성 폴리시아네이트 가교제(상표명: Elastron BN-69, Daiichi Kogyoseiyaku K.K.제조) 1.0
실시예 22
다음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잉크 젯 기록용 쉬트를 제조하였다.
기판 쉬트위에 언더코트층을 형성할 때에, 언더코트층에 대한 코팅액을 다음과 같은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건조고체중량부
오일 흡수량이 60ml/100g인 칼슘 카보네이트 안료(상표명: Calrite SA, Shiraishi Chuokenkyusho 제조) 60
유리 전이 온도가 -45℃인 아크릴산 수지의 수성에멀젼 (상표명: AE-220, Nihon Goseigomu K.K. 제조) 40
수성 폴리시아네이트 가교제(상표명: Elastron BN-69, Daiichi Kogyoseiyaku K.K.제조) 5.0
실시예 23
다음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잉크 젯 기록용 쉬트를 제조하였다.
기판 쉬트위에 언더코트층을 형성할 때에, 안료로서, 오일 흡수량이 60ml/ 100g인 칼슘 카보네이트 안료 (상표명 : Calrite SA, Shiraishi Chuokenkyusho 제조)를 60 건조 고체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한 대신에, 오일 흡수량이 230ml/100g인 미세한 비정질 실리카 입자 (상표명 : Mizukasil 802 Y, Mizusawa Kagakukogyo K.K. 제조)를 60 건조 고체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4
다음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잉크 젯 기록용 쉬트를 제조하였다.
기판 쉬트위에 언더코트층을 형성할 때에, 안료로서, 오일 흡수량이 60ml/ 100g인 칼슘 카보네이트 (상표명 : Calrite SA, Shiraishi Chuokenkyusho 제조)를 60 건조 고체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한 대신에, 오일 흡수량이 260ml/100g인 미세한 비정질 실리카 입자 (상표명 : Mizukasil P-709, Mizusawa Kagakukogyo K.K. 제조)를 60 건조 고체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5
다음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잉크 젯 기록용 쉬트를 제조하였다.
기판 쉬트위에 언더코트층을 형성할 때에, 언더코트층에 대한 코팅액을 다음과 같은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건조고체중량부
오일 흡수량이 60ml/100g인 칼슘 카보네이트 안료(상표명: Calrite SA, Shiraishi Chuokenkyusho 제조) 60
유리 전이 온도가 45℃인 폴리비닐 알코올 40
수성 폴리시아네이트 가교제(상표명: Elastron BN-69, Daiichi Kogyoseiyaku K.K.제조) 1.0
실시예 1 내지 25 및 비교예 1과 2 각각에서, 결과로 얻어진 잉크 젯 기록용 쉬트에 대해 다음의 시험을 행하였다.
(1) 화상의 색 밀도 (발색성)
잉크 젯 프린터 (상표명 : Desk Writer-C, HP Co. 제조)를 이용하여 잉크 젯 기록용 쉬트를 노란색, 심홍색 및 청록색으로 인쇄하였다. 인쇄된 착색 화상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분류 색 밀도
3 양호함
2 약간 불만족스러움
1 나쁨
(2) 인쇄전의 기록용 쉬트의 외관
인쇄를 하기 전에 각 기록용 쉬트의 외관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분류 외관
4 양호함
3 세밀하게 관찰하였을 때 적은 수의 미세한 구형입자들이 발견됨
2 실제로 사용할 수는 있지만, 미세한 구형 입자들이 표면위에 있음
1 나쁨
(3) 내수성
각 기록용 쉬트의 잉크 수용층의 표면위에, 1ml 부피의 물방울을 10초동안 놓아둔 후, 잉크 수용층 표면의 물방울이 놓여 있던 부분을 손가락으로 문질러서 문질러진 부분이 기판으로부터 벗겨지는 지의 여부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분류 내수성
5 박리가 일어나지 않음.내수성이 우수함
4 매우 경미한 박리가 일어남.내수성이 양호함
3 경미한 박리가 일어남.실제로 사용할 수 있음
2 박리가 일어남.내수성이 불만족스러움
1 박리가 쉽게 일어남.내수성이 매우 불량함
(4) 블록킹 내성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기판 쉬트위에 코팅된 언더코트층으로 구성된 라미네이트 쉬트에 대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블록킹 시험을 수행하였다.
무기 안료를 함유하고 있고 두께가 80㎛인 다층 합성 종이 쉬트 (상표명 : Yupo FPG-80, 두께 : 80㎛, Oji Yukagoseishi K.K. 제조)를 라미네이트 쉬트의 언더코트층 표면위에 포개놓고, 합성 종이 쉬트 표면에 1kg의 부하를 24시간동안 적용하였다. 그런 다음 합성 종이 쉬트가 언더코트층 표면에 점착하였는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그 관찰 결과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분류 블록킹 내성
4 블록킹이 일어나지 않음
3 매우 경미한 블록킹이 일어남.실제로 사용가능함
2 경미한 블록킹이 일어남.실제로 사용가능함
1 나쁨
(5) 발수성
언더코트층의 발수성을 다음과 같이, 일본 공업규격 (JIS) P 8237에 따라 측정하였다.
발수성은 수평판으로부터 기울어져 있는 시험될 쉬트의 표면위에 놓여 있는 물방울의 상태로 나타낸다. 수평판으로부터 45도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시험될 쉬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스탠드의 표면은 길이가 300mm이고 폭이 200mm이며, 평평하고 매끄러워서 쉬트가 그 위에 평평하게 고정될 수 있다. 약 0.1ml 부피의 물방울을 떨어뜨릴 수 있는 뷰렛을 사용하였다. 시험될 쉬트의 크기는 길이가 300mm 또는 그 이상이었고, 폭은 200mm였다. 길이 및 폭 방향 각각에 대하여 5개의 쉬트를 사용하였다.
쉬트를 스탠드의 경사진 표면위에 고정시키고, 20℃의 물을 함유하고 있는 뷰렛을, 뷰렛의 끝이 수평판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쉬트의 표면으로부터 10mm의간격만큼 떨어지도록 배열하여, 물방울을 뷰렛으로부터 떨어뜨려 경사진 쉬트 표면위에서 약 300mm의 거리내에서 아래쪽으로 흐르도록 하였다. 물방울을 경사진 쉬트 표면위로 떨어뜨리고, 물이 흐르는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방수성 물이 흐르는 상태
R0 물이 흐르는 자리는 연속적이고일정한 폭을 가지고 있다.
R2 물이 흐르는 자리는 약간 연속적이고, 물방울의 직경보다 약간 더 좁은 폭을 가지고 있다.
R4 물이 흐르는 자리는 약간 간헐적이고, 물방울의 직경보다분명하게 더 좁은 폭을 가지고 있다.
R6 물이 흐르는 자리의 반이 젖어 있다.
R7 물이 흐르는 자리의 약 1/4 이 신장된 물방울로 젖어 있다.
R8 물이 흐르는 자리의 1/4 이상에서,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있는 미세한 구형 물방울들이 위치한다.
R9 구형의 물방울들이 쉬트 표면에 국소적으로 위치한다.
R10 물방울이 완전히 쉬트 표면위를 미끄러져 흐른다.
실시예 1 내지 11 및 비교예 1과 2의 시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2 내지 25의 시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항목실시예번호 언더코트층 잉크 젯 기록용 쉬트
중합체바인더의유리전이온도(℃) 안료의오일흡수량(㎖/100g) 중합체 바인더의함량(건조 고체중량부) 코팅중량(g/㎡) 화상의 색밀도 기록전 외관 내수성 블록킹내성 발수성
실시예 1 0 60 40 3 3 4 5 4 R7
2 -30 60 40 3 3 4 5 4 R7
3 50 60 40 3 3 4 5 4 R7
비교예 1 - - - - 3 4 1 4 -
2 58 60 40 3 3 4 2 4 R7
실시예 4 0 83 40 3 3 4 5 4 R6
5 0 115 40 3 3 2 5 4 R6
6 0 60 40 0.2 3 4 4 4 R7
7 0 60 40 0.4 3 4 4 4 R7
8 0 60 40 0.5 3 4 5 4 R7
9 0 60 40 8 3 4 5 4 R7
10 0 60 40 9 3 3 5 4 R7
11 0 60 40 15 3 3 5 4 R7
항목실시예번호 언더코트층 잉크 젯 기록용 쉬트
중합체바인더의유리전이온도(℃) 안료의오일흡수량(㎖/100g) 중합체 바인더의함량(건조 고체중량부) 코팅중량(g/㎡) 화상의 색밀도 기록전 외관 내수성 블록킹내성 발수성
실시예 12 50 60 40 3 3 4 4 4 R7
13 0 60 10 3 3 4 4 4 R6
14 0 60 18 3 3 4 4 4 R6
15 0 60 20 3 3 4 5 4 R6
16 0 60 80 3 3 4 5 4 R8
17 0 60 85 3 3 4 5 3 R8
18 0 60 100 3 3 4 5 3 R9
19 -45 60 40 3 3 4 5 2 R7
20 -45 60 40 3 3 4 5 3 R7
21 -45 60 40 3 3 4 5 4 R7
22 -45 60 40 3 3 4 5 4 R7
23 0 230 40 3 3 2 5 4 R6
24 0 260 40 3 3 2 4 4 R6
25 45 60 40 3 3 4 3 4 R4
상기 표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1 내지 25의 잉크 젯 기록용 쉬트가, 그 위에 깨끗한 착색 화상을 기록할 수 있으며, 기록 전에 만족할만한 외관 및 높은 내수성을 가지며 언더코트층의 블록킹 내성이 높은 반면에, 언터코트층이 형성되지 않은 비교예 1의 잉크 젯 기록용 쉬트와 언더코트층에 대한 중합체 바인더의 유리 전이 온도가 50℃ 보다 높은 비교예 2의 잉크 젯 기록용 쉬트는 만족스럽지 못한 내수성을 나타냈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II-1
(1) 언더코트층으로 코팅된 쉬트의 제조
언더코트층에 대한 코팅액을, 평균 종횡비가 3.0이고, 장축이 1.5㎛이며, 단축이 0.5㎛이고, 입자 형태는 스핀들형이며, 오일 흡수량이 47ml/100g인 칼슘 카보네이트 안료 입자 (상표명 : TP-121, Okutama Kogyo K.K. 제조) 60중량부와, 유리 전이 온도가 0℃인 아크릴산 수지의 수성 에멀젼 (상표명 : AE-322, Nihon Goseigomu K.K. 제조) 40 건조 고체 중량부를 혼합한 후, 이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여 희석된 혼합물중의 건조 고체 성분의 농도가 50 건조 고체 중량%가 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제조하였다.
기판 쉬트로서는, Oji Yukagoseishi K.K. 로부터 상표명 Yupo FPG-80으로 구입할 수 있는, 두께가 80㎛이고, 무기 안료와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고 있는 다수의 2축 연신된 필름으로 이루어진 다층 합성 종이 쉬트를 사용하였다.
상기 언급된 코팅액을 바 코팅기를 사용하여 기판 쉬트의 표면위에 3.0g/m2의 건조 중량으로 코팅하고 110℃의 온도에서 건조시켜서 백색의 언더코트층을 형성하였다.
(2) 잉크 젯 기록용 쉬트의 제조
잉크 수용층에 대한 코팅액을, 폴리비닐 알코올 (상표명 : PVA 117, Kuraray 사 제조) 20 건조 중량부와 400중량부의 물을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90℃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폴리비닐 알코올을 물중에 용해시킨 후, 추가로 그 결과 생성된 용액을 미세한 비정질 실리카 입자 (상표명 : Finesil X-60, Tokuyama 사 제조) 80 건조 중량부와, 교반하면서 혼합함으로써 제조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코팅액을 상기 언급된 언더코트층으로 코팅된 쉬트의 언더코트층의 표면위에 바 코팅기를 사용하여 코팅하였고, 코팅액층을 110℃의 온도에서 건조시킴으로써 10.0g/m2의 건조 고체 중량을 가지는 잉크 수용층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하여 백색의 잉크 젯 기록용 쉬트를 얻었다.
실시예 II-2
다음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II-1에서와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잉크 젯 기록용 쉬트를 제조하였다.
언더코트층에 대한 코팅액을 제조할 때에, 스핀들 형태를 가지고 있고 평균 종횡비가 3.0인 칼슘 카보네이트 안료 입자 (상표명 : TP-121, Okutama Kogyo K.K. 제조) 60 건조 고체 중량부를, 막대형이고, 평균 종횡비가 8.0이며, 장축이 1.5㎛이고, 단축이 0.2㎛이며, 오일 흡수량이 63ml/100g인 칼슘 카보네이트 안료 입자 (상표명 : TP-123, Okutama Kogyo K.K. 제조) 60 건조 고체 중량부로 대신하였다.
실시예 II-3
다음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II-1에서와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잉크 젯 기록용 쉬트를 제조하였다.
언더코트층에 대한 코팅액을 제조할 때에, 스핀들 형태를 가지고 있고 평균 종횡비가 3.0인 칼슘 카보네이트 안료 입자 (상표명 : TP-121, Okutama Kogyo K.K. 제조) 60 건조 고체 중량부를, 판 형태이고, 평균 종횡비가 18.0인 카올린 안료 입자 60 건조 고체 중량부로 대신하였다.
비교예 II-1
언더코트층을 형성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II-1에서와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잉크 젯 기록용 쉬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II-4
다음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II-1에서와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잉크 젯 기록용 쉬트를 제조하였다.
언더코트층에 대한 코팅액을 제조할 때에, 스핀들 형태를 가지고 있고 평균 종횡비가 3.0인 칼슘 카보네이트 안료 입자 (상표명 : TP-121, Okutama Kogyo K.K. 제조) 60 건조 고체 중량부를, 스핀들 형이며, 평균 종횡비가 1.7이고, 장축이 0.5㎛이며, 단축이 0.3㎛이고, 오일 흡수량이 38ml/100g인 칼슘 카보네이트 안료 입자 (상표명 : TP-222H, Okutama Kogyo K.K. 제조) 60 건조 고체 중량부로 대신하였다.
실시예 II-5
다음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II-1에서와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잉크 젯 기록용 쉬트를 제조하였다.
언더코트층에 대한 코팅액을 제조할 때에, 스핀들 형태를 가지고 있고 평균 종횡비가 3.0인 칼슘 카보네이트 안료 입자 (상표명 : TP-121, Okutama Kogyo K.K. 제조) 60 건조 고체 중량부를, 플레이트형이고, 평균 종횡비가 35.0인 카올린 안료 입자 60 건조 고체 중량부로 대신하였다.
실시예 II-6
다음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II-1에서와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잉크 젯 기록용 쉬트를 제조하였다.
언더코트층에 대한 코팅액을 제조할 때에, 스핀들 형태를 가지고 있고 평균 종횡비가 3.0인 칼슘 카보네이트 안료 입자 (상표명 : TP-121, Okutama Kogyo K.K. 제조) 60 건조 고체 중량부를, 바늘형이고, 평균 종횡비가 75.0이며, 장축이 1.5㎛이고, 단축이 0.02㎛이며, 오일 흡수량이 90ml/100g인 칼슘 카보네이트 안료 입자 60 건조 고체 중량부로 대신하였다.
실시예 II-7
다음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II-1에서와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잉크 젯 기록용 쉬트를 제조하였다.
언더코트층에 대한 코팅액을 제조할 때에, 스핀들 형태를 가지고 있고 평균 종횡비가 3.0인 칼슘 카보네이트 안료 입자 (상표명 : TP-121, Okutama Kogyo K.K. 제조) 60 건조 고체 중량부를, 바늘형이고, 평균 종횡비가 120.0이며, 장축이 1.5㎛이고, 단축이 0.012㎛이며, 오일 흡수량이 90ml/100g인 칼슘 카보네이트 안료 입자 60 건조 고체 중량부로 대신하였다.
실시예 II-1 내지 II-7 및 비교예 II-1의 각각에서, 잉크 젯 기록용 쉬트에 대하여 다음의 시험을 수행하였다.
(1) 화상의 색 밀도 (발색성)
잉크 젯 프린터 (상표명 : Desk Writer-C, HP Co. 제조)를 이용하여 잉크 젯 기록용 쉬트를 노란색, 심홍색 및 청록색으로 인쇄하였다. 인쇄된 착색 화상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분류 색 밀도
3 양호함
2 약간 불만족스러움
1 나쁨
(2) 표면 강도
투명한 접착 테이프(상표명 : 셀로판 테이프, Nichiban 제조)를 기록용 쉬트의 잉크 수용층에 접착시킨 후, 그것을 박리시켰다. 그 결과의 기록용 쉬트의 표면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분류 표면 상태
5 우수함 (표면에 어떠한 변화도 일어나지 않음)
4 양호함
3 실제적인 문제는 없음
2 실제 사용에 불만족스러움
1 나쁨 (코팅된 층이 약간 박리됨)
(3) 내수성 (I)
1ml 부피의 물을 기록용 쉬트의 잉크 수용 표면위에 방울 방울 떨어뜨리고, 10초 후에, 물에 젖은 표면을 손가락으로 문질렀다. 문질러진 부분에서 기판으로부터 코팅이 분리되지 않는 내성을 육안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분류 분리 내성
4 양호함
3 실제 사용에 만족스러움
2 실제 사용에 불만족스러움
1 나쁨
(4) 내수성 (II)
기록용 쉬트를 실온에서 물에 10분동안 담가둔 후, 물로부터 꺼내었다. 그런 다음 10초 후에 기록용 쉬트의 잉크 수용 표면을 손가락으로 문질렀다. 문질러진 부분에서 기판으로부터 코팅이 분리되지 않는 내성을 육안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분류 분리 내성
4 우수함
3 양호함
2 실제로 사용할 수 있음
1 나쁨
(5) 블록킹 내성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기판 쉬트위에 코팅된 언더코트층으로 구성된 라미네이트 쉬트에 대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블록킹 시험을 수행하였다.
무기 안료를 함유하고 있고 두께가 80㎛인 다층 합성 종이 쉬트 (상표명 : Yupo FPG-80, 두께 : 80㎛, Oji Yukagoseishi K.K. 제조)를 라미네이트 쉬트의 언더코트층 표면위에 포개놓고, 합성 종이 쉬트 표면에 1kg의 부하를 24시간동안 적용하였다. 그런 다음 합성 종이 쉬트가 언더코트층 표면에 점착하였는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그 관찰 결과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분류 블록킹 내성
4 블록킹이 일어나지 않음 (우수함)
3 매우 경미한 블록킹이 일어남.실제로 사용가능함 (양호함)
2 경미한 블록킹이 일어남.실제로 사용가능함
1 나쁨
(6) 종횡비 (JIS R 1600)
안료 입자들을 1000배 배율의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입자들의 장축과 단축을 측정하였다. 각 입자의 종횡비를 다음 방정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종횡비 = (장축)/(단축)
시험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항목실시예번호 언더코트층 잉크 젯 기록용 쉬트
언더코트층의 존재 안료입자의종횡비 안료의 함량(건조 고체 중량부 화상의 색밀도 내수성(Ⅰ) 내수성(Ⅱ) 언더코트층의 블록킹내성 표면강도
실시예 Ⅱ-1 있음 3.0 60 3 4 4 4 5
Ⅱ-2 7.5 60 3 4 4 4 4
Ⅱ-3 18.0 60 3 4 4 4 4
비교예 Ⅱ-1 없음 - - 3 1 1 4 4
실시예 Ⅱ-4 있음 1.7 60 3 4 3 4 5
Ⅱ-5 35.0 60 3 4 4 4 4
Ⅱ-6 75.0 60 3 4 4 4 4
Ⅱ-7 125.0 60 3 4 4 4 3
상기 표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II-1 내지 II-7의 잉크 젯 기록용 쉬트가, 그 위에 깨끗한 착색 잉크 화상을 기록할 수 있으며, 만족할만한 표면 강도 및 내수성과 언더코트층의 높은 블록킹 내성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쉽게 제조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목재가 없는 종이 쉬트 및 코팅된 종이 쉬트와 동일한 정도로 가공 및 기록될 수 있고, 착색된 잉크 화상이 그 위에 우수한 선명성과 만족할만한 돗트 형상으로 기록될 수 있으며, 우수한 내수성을 가지고 있는 잉크 젯 기록용 쉬트가 제공된다.

Claims (12)

  1. 중합체 필름 또는 쉬트를 포함하는 기판 안료 및 중합체 바인더를 포함하는 잉크 수용층 및 기판과 잉크 수용층 사이에 형성되고 유리 전이 온도가 50℃ 또는 그 이하인 중합체 바인더를 포함하는 언더코트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젯 기록용 쉬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잉크 수용층의 안료가 미세한 비정질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젯 기록용 쉬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언더코트층이 안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젯 기록용 쉬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언더코트층의 안료가 일본 공업규격 K 5101에 따라 측정된 250ml/100g 이하의 오일 흡수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젯 기록용 쉬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언더코트층의 중합체 바인더가 유리 전이 온도가 50℃ 또는 그 이하인 수분산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젯 기록용 쉬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언더코트층내의 중합체 바인더가 가교제와 교차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젯 기록용 쉬트.
  7. 제 1 항에 있어서, 기판용 중합체 필름 또는 쉬트가 무기 안료 및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2축 연신된 필름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젯 기록용 쉬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언더코트층이 일본 공업규격 P 8137에 따라 측정된 R6 이상의 발수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젯 기록용 쉬트.
  9. 제 3 항에 있어서, 언더코트층의 안료가 종횡비가 2.0 내지 100.0인 안료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젯 기록용 쉬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언더코트층의 안료 입자의 종횡비가 2.0 내지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젯 기록용 쉬트.
  11. 제 9 항에 있어서, 언더코트층의 안료 입자가 무기 안료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젯 기록용 쉬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언더코트층의 무기 안료 입자가 칼슘 카보네이트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젯 기록용 쉬트.
KR1019970041377A 1996-08-27 1997-08-27 잉크젯기록용쉬트 KR1004609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541396A JP3209109B2 (ja) 1996-08-27 1996-08-27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シート
JP96-225413 1996-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053A true KR19980019053A (ko) 1998-06-05
KR100460937B1 KR100460937B1 (ko) 2005-02-28

Family

ID=16828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1377A KR100460937B1 (ko) 1996-08-27 1997-08-27 잉크젯기록용쉬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20469B2 (ko)
EP (1) EP0826508B1 (ko)
JP (1) JP3209109B2 (ko)
KR (1) KR100460937B1 (ko)
CN (1) CN1118596C (ko)
DE (1) DE69710974T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006B1 (ko) * 2000-12-27 2004-09-2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잉크 젯 기록 매체
KR100755013B1 (ko) * 2002-07-27 2007-09-06 후지필름 이미징 컬러런츠 리미티드 방법, 조성물 및 화합물
WO2009126133A1 (en) * 2008-04-06 2009-10-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any, L.P. Inkjet printable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61349B1 (en) * 1999-02-12 2004-10-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mage receptor medium with hot melt layer,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JP4130043B2 (ja) * 1999-09-02 2008-08-06 日清紡績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DE10047157B4 (de) * 1999-09-28 2004-05-27 Mitsubishi Paper Mills Limited Tintenstrahl-Aufzeichnungsmateria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US6677005B2 (en) * 1999-12-20 2004-01-13 Mitsubishi Paper Mills Limited Ink-jet recording material
US6423173B1 (en) * 2000-01-13 2002-07-23 Eastman Kodak Company Process for making an ink jet image display
EP1365000B1 (en) * 2001-01-30 2012-09-26 Daikin Industries, Ltd. Water- and oil-repellent composition,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thereof
CA2449938A1 (en) 2001-07-25 2003-02-06 Avery Dennison Corporation Synthetic paper skins and methods of their manufacture
KR100460998B1 (ko) * 2002-01-02 2004-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기록매체
KR100474462B1 (ko) * 2002-01-03 2005-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포토용지
FR2857681B1 (fr) * 2003-07-18 2005-09-16 Eastman Kodak Co Materiau destine a la formation d'images par impression par jet d'encre
US7713599B2 (en) * 2003-11-25 2010-05-11 Mitsubishi Paper Mills Limited Inkjet recording material
JP4106037B2 (ja) * 2004-03-01 2008-06-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媒体
JP2005280338A (ja) * 2004-03-04 2005-10-13 Oji Paper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WO2007004454A1 (ja) * 2005-07-01 2007-01-11 Oji Paper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ートの製造方法
US7553526B2 (en) * 2005-12-14 2009-06-30 Eastman Kodak Company Inkjet recording media comprising precipitated calcium carbonate
US20070218222A1 (en) * 2006-03-17 2007-09-20 Eastman Kodak Company Inkjet recording media
JP4907414B2 (ja) * 2006-09-29 2012-03-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616816B2 (ja) 2006-10-24 2011-01-19 三菱製紙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US8541063B2 (en) * 2007-02-06 2013-09-24 Fujifilm Corporation Undercoat solution, ink-jet recording method and ink-jet recording device
JP4524690B2 (ja) * 2007-03-27 2010-08-18 東洋紡績株式会社 記録材料
JP4515488B2 (ja) * 2007-05-31 2010-07-28 北越紀州製紙株式会社 記録シート
US7569255B2 (en) * 2007-09-14 2009-08-04 Eastman Kodak Company Glossy inkjet recording medium and methods therefor
JP5201955B2 (ja) * 2007-11-19 2013-06-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US8252393B2 (en) * 2007-12-28 2012-08-28 Canon Kabushiki Kaisha Surface-modified inorganic pigment, colored surface-modified inorganic pigment, recording medium and production processes thereof, and image forming method and recorded image
US8062720B1 (en) * 2008-05-27 2011-11-22 Vim Technologies Ltd Printing members for direct imaging and methods of producing same
EP2358540B1 (en) 2008-12-16 2019-03-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iquid toner digitally printable media
JP2010264600A (ja) * 2009-05-12 2010-11-25 Canon Inc 記録媒体
CA2765470A1 (en) * 2009-06-26 2010-12-29 Akzo Nobel Chemicals International B.V. Coated substrate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US20110117359A1 (en) * 2009-11-16 2011-05-19 De Santos Avila Juan M Coating composition, coated article, and related methods
US9421751B2 (en) 2009-11-23 2016-08-23 Vim-Technologies Ltd Direct inkjet imaging lithographic plates, methods for imaging and pre-press treatment
US20110120333A1 (en) * 2009-11-23 2011-05-26 Michael Karp Direct inkjet imaging lithographic plates and methods for imaging the plates
CN103124776B (zh) 2010-10-05 2015-05-20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可油墨印刷的组合物
US8993078B2 (en) 2011-01-29 2015-03-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ositions and their use
US9333737B1 (en) * 2012-12-03 2016-05-10 VIM Technologies, Inc. Methods of preparing lithographic printing members by imagewise deposition and precursors suitable therefor
CN103131309B (zh) * 2013-01-29 2016-08-03 重庆知德文化传播有限公司 高着色性醇酸漆料
CN105517809B (zh) * 2013-09-11 2019-03-12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可印刷记录介质
CN104404830A (zh) * 2014-10-26 2015-03-11 中国乐凯集团有限公司 一种信息记录材料的基材、制备方法及其应用
US9902139B2 (en) * 2015-03-30 2018-02-27 Canon Finetech Nisca, Inc. Heat sealable printing sheet
US10906345B2 (en) * 2016-09-09 2021-02-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abric print medium
EP3458640A4 (en) 2016-09-09 2019-06-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 MEDIUM IN FABRIC
US11065902B2 (en) * 2016-10-11 2021-07-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cording medium
BR112020017435A2 (pt) * 2018-03-30 2020-12-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rtigo absorvente impresso, e, processo de impressão para fazer um artigo absorvente impresso.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2247A (en) * 1984-06-29 1987-02-10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medium
JPH0796331B2 (ja) 1986-01-06 1995-10-18 三菱製紙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媒体の製造方法
GB8602593D0 (en) 1986-02-03 1986-03-12 Ici Plc Inkable sheet
GB8602594D0 (en) * 1986-02-03 1986-03-12 Ici Plc Inkable sheet
JPS6357227A (ja) * 1986-08-28 1988-03-11 日本鋼管株式会社 樹脂ラミネ−ト鋼板
JPH01225585A (ja) 1988-03-04 1989-09-08 Canon Inc 被記録材及びそれを用いた記録方法
US5185213A (en) * 1990-06-23 1993-02-09 Kanzaki Papper Manufacturing Co., Ltd. Ink jet recording sheet
JP3213630B2 (ja) * 1991-07-25 2001-10-02 三菱製紙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ート
JP3221009B2 (ja) 1991-08-23 2001-10-22 東レ株式会社 記録シート
JP3198164B2 (ja) * 1992-09-09 2001-08-13 三菱製紙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シート
EP0605840A3 (en) * 1992-12-25 1994-12-14 Mitsubishi Paper Mills Ltd Inkjet recording sheet.
DE69418815T2 (de) 1993-10-27 1999-12-23 Eastman Kodak Co Tintenstrahlaufzeichnungsmaterial
US5759673A (en) * 1993-12-28 1998-06-02 New Oji Paper Co., Ltd Ink jet recording sheet
JPH07238478A (ja) 1993-12-28 1995-09-12 New Oji Paper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シート
US5984468A (en) 1994-03-10 1999-11-16 Xerox Corporation Recording sheets for ink jet printing processes
US5662997A (en) * 1994-05-23 1997-09-02 Seiko Epson Corporation Ink jet recording film comprising cation-modified polyvinyl alcohol and recording method using the same
US5747148A (en) * 1994-09-12 1998-05-0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Ink jet printing sheet
DE4433077C1 (de) * 1994-09-16 1995-11-16 Renker Gmbh & Co Kg Aufzeichnungsmaterial für Tintenstrahldruck
US5741584A (en) 1994-10-20 1998-04-21 Canon Kabushiki Kaisha Cast coated paper for ink jet recording, process for producing the paper and ink jet recording method using the pap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006B1 (ko) * 2000-12-27 2004-09-2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잉크 젯 기록 매체
KR100755013B1 (ko) * 2002-07-27 2007-09-06 후지필름 이미징 컬러런츠 리미티드 방법, 조성물 및 화합물
WO2009126133A1 (en) * 2008-04-06 2009-10-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any, L.P. Inkjet printable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8556411B2 (en) 2008-04-06 2013-10-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kjet printable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20469B2 (en) 2003-09-16
JPH1058823A (ja) 1998-03-03
DE69710974D1 (de) 2002-04-18
US20010009712A1 (en) 2001-07-26
EP0826508A1 (en) 1998-03-04
KR100460937B1 (ko) 2005-02-28
JP3209109B2 (ja) 2001-09-17
EP0826508B1 (en) 2002-03-13
CN1178274A (zh) 1998-04-08
CN1118596C (zh) 2003-08-20
DE69710974T2 (de) 200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0937B1 (ko) 잉크젯기록용쉬트
CA2143157C (en) Printing medium, production process thereof, and ink jet printing method using the same
EP0685344B1 (en) Ink jet recording sheet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US5478631A (en) Ink jet recording sheet
US5989378A (en) Ink jet recording material and producing process thereof
JP3231245B2 (ja) 光沢層を有する記録媒体
JP3136121B2 (ja) インクジェット用記録シート
US6514598B1 (en) Ink jet recording sheet and method
EP0864438A1 (en) Recording material for the ink-jet process
JPH06183134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ート
US5958564A (en) Ink jet recording sheet
JP3307013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シート
JPH0662003B2 (ja) 耐水性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シ−ト
JP2001199160A (ja)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要素
JP3731969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シート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シートの製造方法
JPH06183131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ート
JP2000062314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紙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20304A (ja) インク受容層用塗工液、インクジェット用被記録媒体及びインクジェット用被記録媒体の製造方法
JPH06247036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JPH111059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シート
JPH09109544A (ja) インクジェット用記録シート
JP2999202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媒体
JP3584931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シート
JPH11208099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シート
JPH0367685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