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8285A - 삽입 설부를 구비한 끼워맞춤 부분을 인체 공학상 바람직한 프리젠테이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삽입 설부를 구비한 끼워맞춤 부분을 인체 공학상 바람직한 프리젠테이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8285A
KR19980018285A KR1019970036808A KR19970036808A KR19980018285A KR 19980018285 A KR19980018285 A KR 19980018285A KR 1019970036808 A KR1019970036808 A KR 1019970036808A KR 19970036808 A KR19970036808 A KR 19970036808A KR 19980018285 A KR19980018285 A KR 19980018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swivel arm
vehicle seat
slide rod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6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쉐크 요아힘
빌러 디터
페치 위르겐
Original Assignee
요아힘 베. 히르쉬
테에르베 오커판트 레스트레인트 시스템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아힘 베. 히르쉬, 테에르베 오커판트 레스트레인트 시스템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요아힘 베. 히르쉬
Publication of KR19980018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28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60R22/03Means for presenting the belt or part thereof to the wearer, e.g. foot-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삽입 설부 구비한 차량 시트(seat) 벨트의 끼워맞춤 부분을 탑승자가 차량에 타고 내리기에 적합한 대기 위치로부터 탑승자가 끼워맞춤 부분을 쉽게 잡을 수 있는 인체 공학상 바람직한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는 시트 벨트에 고정된 스터럽(stirrup) 핸들(3)과 스터럽 핸들(3)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17)를 포함한다. 스터럽 핸들(3)은 스위블 아암(5)에 장착되어 대기 위치와 프리젠테이션 위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다.

Description

삽입 설부를 구비한 끼워맞춤 부분을 인체 공학상 바람직한 프리젠테이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
본 발명은 삽입 설부를 구비한 끼워맞춤 부분을 탑승자가 차에 타고 내리기에 적합한 대기 위치로부터 탑승자가 끼워맞춤 부분을 쉽게 잡을 수 있는 인체 공학상 바람직한 프리젠테이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때 상기 장치는 시트(seat) 벨트를 속박하고 있는 스터럽(stirrup) 핸들과 스터럽 핸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한다.
공지된 장치로는 B-필러(pillar)로부터 측면 지붕 필러로 연장하는 레일 가이드를 채용한 장치가 있다. 스터럽 핸들이 부착된 슬라이더는 탑승자가 탑승한 후에 버클을 채우기 위하여 그의 상체를 비틀지 않고도 스터럽 핸들에 대기된 끼워맞춤 부분을 쉽게 잡을 수 있는 위치인 탑승자의 머리 앞까지 레일을 따라 주행한다.
또 다른 공지된 장치는 차량 측벽의 B-필러 영역에 일체로 형성된 선형 가이드를 포함한다. 탑승자가 탑승한 뒤에, 로드는 스터럽 핸들이 탑승자의 어깨 앞에 자리하도록 측면 트림(trim)으로부터 전방으로 선형 이동된다. 이 공지된 장치는 고가이며 B-필러 영역 내에 비교적 큰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B-필러와 C 필러 사이의 측벽 영역의 공간적 구성을 크게 제한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작용의 제한이 없이, 다양한 설치 상황에 쉽게 적용될 수 있는 보다 간편하며 경제적인 장치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소형의 구조로서, 차량 내에서 상호 멀리 떨어져 있는 각 위치에 그 개개의 부품들이 수용될 수 있다. 전술한 종류의 장치의 경우에 있어 이와 같은 특성은 본 발명으로부터 스터럽 핸들을 스위블 아암에 장착하여 대기 위치와 프리젠테이션 위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게 함으로써 얻어진다. 관련 스위블 장착부는 선형 가이드보다 소형이며 저렴하다. 설치된 스위블 장착부에 기인하여, 스위블 아암은 매우 작은 피드(feed) 이동에 의해서 스위블 아암의 자유단에서 비교적 큰 조정 이동이 달성되어 추가로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더욱이, 스위블 장착부는 다양한 구동 개념에 의해 달성될 수 있어서, 차량의 공간 활용을 위해 필요하다면, 구동부를 수용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스위블 아암은 관련 차량의 형태에 관계없이 B-필러 영역, 차량 시트 영역의 측면, 또는 차량 프레임의 길이 방향 빔(beam)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을 이루는, 구동부는 설치된 종동부의 편심을 조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한 편심 구동부이다.
다른 유익한 실시예에서, 구동부는 스위블 아암에 피벗된 슬라이드 로드에 접속된다. 슬라이드 로드를 사용함으로써 스위블 장착부과 구동부 사이의 간격은 특히 클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선회 범위의 위치와 그에 따른 선회 각도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장치는 근본적으로 상이한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다른 유형의 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과 장점은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과 참조 도면을 통해서 설명된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되었다.
도1은 편심 구동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2는 슬라이더 크랭크 기구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3은 슬라이더 크랭크로서 기어 래크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4는 스핀들(spindle) 구동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5 내지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변형된 장착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치
3 : 스터럽(stirrup) 핸들
5 : 스위블(swivel) 아암
7 : 스위블 장착부
9 : 가이드 슬롯
11 : 종동부
13 : 디스크
15 : 편심 기구
17 : 전기 구동부
19 : 크랭크 기구
21 : 슬라이드 로드
23 : 피벗점
25 : 이붙이 래크
27 : 피니언
29 : 스핀들(spindle) 구동부
31 : 스핀들 너트
32 : 스핀들
33 : 필러(pillar)
35 : 빔
37 : 볼트
39 : 등받침
차량 시트 벨트의 삽입 설부(도시 생략)를 탑승자가 차량에 타고 내리기에 적합한 대기 위치로부터 인체 공학상 바람직한 프리젠테이션 위치로 안내하는 장치(1)의 제 1 실시예가 도1에 도시된다. 프리젠테이션 위치에서, 탑승자는 설부가 구비된 끼워맞춤 부분을 잡아서 용이하게 버클을 채울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시트 벨트가 관통 연장하는 삼각형 형태의 스터럽 핸들(3)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서, 스터럽 핸들(3)은 시트 벨트 상에서 미끄러지는 끼워맞춤 부분 아래에 항시 배치됨으로써, 그 끼워맞춤 부분은 도1에 도시된 대기 위치에서 스터럽 핸들(3)로 까지 미끄러져서 그 스터럽 핸들(3)과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스터럽 핸들(3)은 스위블 아암(5)의 자유단에 고정된다. 스위블 아암(5)의 타단부는 차량의 스위블 장착부(7)를 통해 피벗될 수 있다. 스위블 장착부(7) 영역에 있는 스위블 아암(5)의 오목부는 디스크(13)에 편심되게 고정된 종동부(11)를 위한 가이드 슬롯(9)을 형성한다. 디스크(13)는 전기 구동부(17)에 의한 편심 기구(15)의 작용을 통해 회전하게 된다. 수반되는 편심 구동력에 의해, 탑승자가 차량내에 앉자 마자 아암(5)이 선회됨으로써 스터럽 핸들(3)은 스터럽 핸들(3)에 위치된 끼어맞춤 부분을 따라 시트 벨트와 함께 인체 공학상 바람직한 프리젠테이션 위치로 이동된다.
도1에 도시된 편심 구동부의 경우에, 설치된 전기 모터는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디스크(13)가 회전하면 스터럽 핸들(3)은 대기 위치로부터 프리젠테이션 위치로 후방으로 이동된다. 선회각을 조정하기 위하여 디스크(13) 종동부(11)의 편심은 조정 가능하다. 이것에 추가하여, 디스크(13)의 중간축과 스위블 장착부(7)의 중간축의 거리는 조정 가능하기 때문에, 선회 각도와 또한 스위블 아암(5)의 토오크는 알맞게 적용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실시예의 장치(1)에는 슬라이더 크랭크 기구(19)가 설치된다. 스위블 아암(5) 상의 피벗점(23)에 슬라이드 로드(21)의 일단부가 그리고 디스크(13)의 종동부(11)에 슬라이드 로드(21)의 타단부가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스위블 아암(5)의 위치와 선회각은 피벗점(23)과 종동부(11)의 편심이 바뀜에 따라 변화된다. 이외에도, 비록 도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슬라이드 로드(21)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또한 도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서, 구동부(17)는 항상 일정한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스위블 아암(5)은 반드시 단일 아암 레버로 구성될 필요는 없으며, 한쪽 아암에 구동부가 연결되는 2-아암 레버식 아암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실시예는 슬라이드 로드가 이붙이 래크(25)로 구성되고 그리고 디스크가 피니언(27)으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구별된다. 피벗점(23)에서 이붙이 래크(25)는 스위블 아암(5)에 접속되며 타단부에서 이붙이 래크(25)의 톱니는 피니언(27)의 톱니와 맞물린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 스터럽 핸들(3)을 프리젠테이션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로 복귀시키려면 구동부(17)의 회전 방향을 바꿀 필요가 있다. 스위블 아암(5)의 선회 속도는 톱니 구조를 알맞게 배치함에 따라, 부가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로드(21)는 스핀들 구동부(32)에 의해 이동되도록 제공되지만 그와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된다. 이를 위해 슬라이드 로드(21)의 구동 단부는 스핀들(32)에 배치된 스핀들 너트(31)에 선회 가능하게 고정된다. 스핀들 너트(31)는 슬라이드 로드(21)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기 때문에 스핀들(32)의 회전에 의해 회전 방향에 따라 축을 따라 이동한다. 이 실시예에서, 구동부(17)로서 설치된 전기 모터는 또한 역회전할 수 있어야 한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다르게,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서 구동부(17)는 설치된 슬라이드 로드(21)나 이붙이 래크(25)에 의해 스위블 아암(5)에서 더 멀리 위치된다. 따라서, 구동부(17)는 비교적 부피가 큰 구동부(17)가 용이하게 수용되는 차량의 위치 내에, 필요한 경우 편심 기구(15)와 함께 통합될 수 있다.
특히, B-필러의 영역에서, 장치(1)를 통합하기에 유용한 공간은 벨트 리트랙터와 필요한 경우에 벨트 리트랙터에 설치되는 벨트 텐셔너에 의해 상대적으로 좁아지게 된다.
상기 장치(1)를 통합시킬 수 있는 상황들이 도5 내지 도8에 도시된다.
도5에서 스위블 장착부(7)는 B-필러(33)와 길이 방향 빔의 교차 영역에 배치된다. 스위블 장착부(7)는 단지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볼트(37)에 의해서 차량 프레임에 고정된다. 차량이 정차된 상태의 대기 위치에서, 스위블 아암(5)은 B-필러(33)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하지만, 탑승자가 승차하면 스위블 아암(5)은 구동부(17)의 작동에 기인하여 점선으로 표시된 프리젠테이션 위치로 전방 선회되는데, 그 위치에서 탑승자는 버클을 채울 때 스터럽 핸들(3)에 위치된 끼워맞춤 부분을 쉽게 잡을 수 있다. 후속하여, 스위블 아암(5)은 차량의 이동 중에도 취할 수 있는 대기 위치로 복귀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체된 상태의 변형예의 경우, 스위블 장착부(7)는 B-필러의 상부 영역에 설치되는데, 스위블 아암(5)은 B-필러의 상부 영역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며 소정의 각도로 윗쪽으로 선회하여 프리젠테이션 위치로 온다.
도시된 장치(1)는 도7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차량 시트의 일부일 수도 있다. 스위블 장착부(7)는 등받침(39) 아래의 시트 프레임(도시 생략)에 고정된다. 스위블 아암(5)은 그 스위블 아암(5)이 등받침에 평행하게 뻗어있는 대기 위치로부터 프리젠테이션 위치로 이동되어 탑승자의 횡격막 부위의 전방에 배치된다. 위와같이 상기 장치의 합체를 위한 상기 변형예에서, 상기 장치(1)는 차량 시트의 전방 또는 후방 변위에 동반 이동되고 끼워맞춤 부분은 탑승자의 신장의 크기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8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 스위블 아암(5)은 B-필러 전방의 길이 방향 빔(35)에 고정되는데, 대기 위치로부터 길이 방향 빔(35)에 평행하게 전방으로 연장되거나 도8에서 도시되는 것처럼 후방으로 연장된다. 탑승자가 승차하고 나면, 스위블 아암(5)은 거의 수직 위치로 옳겨진다.
본 발명은 다양한 설치 상황에 쉽게 적용될 수 있는 보다 간편하며 경제적인 장치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소형의 구조로서, 차량 내에서 상호 멀리 떨어져 있는 각 위치에 그 개개의 부품들이 수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시트 벨트에 고정된 스터럽 핸들(3)과 스터럽 핸들(3)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17)를 포함하며, 삽입 설부를 구비한 차량 시트 벨트의 끼워맞춤 부분을 탑승자가 차량에 타고 내리기에 적합한 대기 위치로부터 탑승자가 끼워맞춤 부분을 쉽게 잡을 수 있는 인체 공학상 바람직한 프리젠테이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터럽 핸들(3)은 스위블 아암(5)에 장착되어 상기 대기 위치와 상기 프리젠테이션 위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벨트의 끼워맞춤 부분 이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 아암(5)은 차량의 B-필러(33) 영역에 장착되며, 상기 프리젠테이션 위치를 향해 하향 혹은 상향 선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벨트의 끼워맞춤 부분 이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 아암(5)은 차량 시트 하부 영역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벨트의 끼워맞춤 부분 이동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 아암(5)은 차량 프레임 중 길이 방향 빔(35)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벨트의 끼워맞춤 부분 이동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7)는 편심 구동부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벨트의 끼워맞춤 부분 이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7)는 종동부(11)가 편심되게 장착된 디스크(13)를 회전시키며, 상기 종동부(11)는 상기 스위블 아암(5)에 있는 가이드 슬롯(9)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벨트의 끼워맞춤 부분 이동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부(11)의 편심은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벨트의 끼워맞춤 부분 이동 장치.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 암(5)은 크랭크, 케이블, 체인, V형 벨트, 및 이붙이 벨트의 유형 중 하나의 기구를 통해 상기 구동부(17)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벨트의 끼워맞춤 부분 이동 장치.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붙이 래크(25) 구성의 슬라이드 로드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슬라이드 로드는 그 일단부가 상기 스위블 아암(5) 상에서 피벗되며 타단부에서 피동 피니언(27)과 톱니 대 톱니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벨트의 끼워맞춤 부분 이동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로드(21)의 길이와 상기 스위블 아암(5) 상의 슬라이드 로드(21)의 피벗점(23)의 위치중 적어도 하나는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벨트의 끼워맞춤 부분 이동 장치.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스위블 아암(5)에서 피벗되며 타단부가 스핀들 너트(31)에서 선형 이동될 수 있는 슬라이드 로드(21)를 포함하며, 상기 스핀들 너트(31)와 결합된 스핀들(32)은 상기 구동부(17)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벨트의 끼워맞춤 부분 이동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로드(21)의 길이와 상기 스위블 아암(5) 상의 슬라이드 로드(21)의 피벗점(23)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는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벨트의 끼워맞춤 부분 이동 장치.
  13.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7)는 슬라이더 크랭크 기구(19)에 접속되며, 슬라이더 크랭크 기구(19)의 슬라이드 로드(21)의 일단부가 상기 스위블 아암(5)에서 피벗되며 그리고 타단부는 상기 구동부(17)에 의하여 회전되는 디스크(13)에 편심되게 피벗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벨트의 끼워맞춤 부분 이동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로드(21)의 길이와 상기 스위블 아암(5) 상의 슬라이드 로드(21)의 피벗점(23)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는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벨트의 끼워맞춤 부분 이동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로드(21)의 피벗점(11)의 편심은 상기 구동부(17)에 의하여 회전되는 디스크(13)에서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벨트의 끼워맞춤 부분 이동 장치.
KR1019970036808A 1996-08-02 1997-08-01 삽입 설부를 구비한 끼워맞춤 부분을 인체 공학상 바람직한 프리젠테이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 KR199800182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9613427U DE29613427U1 (de) 1996-08-02 1996-08-02 Einrichtung zum Bewegen einer Steckzunge eines Sicherheitsgurtes in eine ergonomisch günstige Präsentationsstellung
DE29613427.9 1996-08-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285A true KR19980018285A (ko) 1998-06-05

Family

ID=8027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6808A KR19980018285A (ko) 1996-08-02 1997-08-01 삽입 설부를 구비한 끼워맞춤 부분을 인체 공학상 바람직한 프리젠테이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34759A (ko)
EP (1) EP0823357B1 (ko)
JP (1) JPH1067299A (ko)
KR (1) KR19980018285A (ko)
DE (2) DE29613427U1 (ko)
ES (1) ES2118688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8986B1 (en) 1999-04-16 2001-10-30 Joalto Design, Inc. Restraint belt presenter
US6485058B1 (en) 2000-08-04 2002-11-26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Seat belt buckle and tongue presenter system
JP4590801B2 (ja) * 2001-08-07 2010-12-01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前席用シートベルト構造
GB2401350A (en) * 2003-05-08 2004-11-10 Autoliv Dev Seat occupant dependent belt presentation mechanism
DE102004017457B4 (de) * 2004-04-08 2015-01-15 Trw Automotive Gmbh Gurtschloßbringer
JP2007030528A (ja) * 2005-02-16 2007-02-08 Takata Corp タング取出し補助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ベルト装置
DE102008020911B4 (de) 2008-04-17 2009-12-24 Bos Gmbh & Co. Kg Vorrichtung zur Zuführung eines Sicherheitsgurtes
WO2009134173A1 (en) * 2008-04-29 2009-11-05 Autoliv Development Ab Seat-belt presenter arrangement for a vehicle seat
JP5319346B2 (ja) * 2008-05-15 2013-10-16 アスモ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装置の補助機構
JP2011178313A (ja) * 2010-03-02 2011-09-15 Aisin Seiki Co Ltd シートベルト取出し装置
KR101305812B1 (ko) 2011-10-05 2013-09-06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차량용 시트벨트의 웨빙가이드 회전장치 및 그 회전 제어방법
KR101356180B1 (ko) * 2011-12-02 2014-01-2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전동 리프트 버클장치
ITMI20120659A1 (it) 2012-04-20 2013-10-21 Italdesign Giugiaro Spa Dispositivo per estendere una cintura di sicurezza
JP2016193707A (ja) * 2015-03-31 2016-11-17 正信 大城 シ−トベルト着用支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43627A1 (fr) * 1976-03-15 1977-10-07 Honda Motor Co Ltd Dispositif de retenue pour ceintures de securite de vehicules automobiles
US4496170A (en) * 1981-09-30 1985-01-29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Seat belt device for vehicles
JPS60226342A (ja) * 1984-04-23 1985-11-11 N S K Warner Kk シ−トベルト装置
GB8506079D0 (en) * 1985-03-08 1985-04-11 Britax Wingard Ltd Safety belt presenter
DE3616452A1 (de) * 1986-05-15 1987-11-19 Bosch Gmbh Robert Einrichtung zum verstellen eines langgestreckten gliedes
DE3816834A1 (de) * 1988-05-18 1989-11-23 Keiper Recaro Gmbh Co Fahrzeugsitz mit einem sicherheitsgurtsystem
JPH04103451A (ja) * 1990-08-23 1992-04-06 Takata Kk シートベルトリーチャ装置
US5431446A (en) * 1992-08-05 1995-07-11 Ford Motor Company Seat belt prese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18688T1 (es) 1998-10-01
EP0823357B1 (de) 2001-09-12
JPH1067299A (ja) 1998-03-10
DE29613427U1 (de) 1996-11-28
US5934759A (en) 1999-08-10
ES2118688T3 (es) 2002-01-01
DE59704586D1 (de) 2001-10-18
EP0823357A1 (de) 1998-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18285A (ko) 삽입 설부를 구비한 끼워맞춤 부분을 인체 공학상 바람직한 프리젠테이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
US7413246B2 (en) Safety device for motor vehicle
US5086663A (en) Adjustable pedal
US6364414B1 (en) Apparatus for adjusting a headrest on a backrest of a vehicle seat
KR101969743B1 (ko) 차량 시트의 등받이를 조절하기 위한 자동 잠김 방지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
US5622406A (en) Seat cushion adjustment for vehicle seats
US7059676B2 (en) Child automotive safety seat with integral seat belt tensioner
KR20060011935A (ko) 시트 받침대 조정 장치 및 방법
US7131695B2 (en) Vehicle seat section adjusting device
US20120025582A1 (en) Seat assembly having an adjustable head restraint assembly
CN1810538A (zh) 座椅滑动装置
CN113263966A (zh) 机动车辆座椅
US4627639A (en) Safety belt system
US20030126941A1 (en) Clutch pedal designed to equip a motor vehicle
JPH03169767A (ja) 安全ベルト装置の上部のベルト固定点又はベルト方向変換点の高さを調整する装置
JPH0334357Y2 (ko)
JPH08183426A (ja) シートベルトのバックル駆動装置
KR100475867B1 (ko) 자동차용 버클의 자동위치 조절구조
JPH05112204A (ja) 車両等の座席におけるシートベルト装置
KR100335944B1 (ko) 자동차의 가변위식 센터 콘솔 및 센터패시아 장치
JPH0840205A (ja) シートベルトプリローダー
CN216886288U (zh) 一种副仪表板调节机构及汽车
KR100324954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자동 조절장치
CN211918533U (zh) 一种车载可移动储物系统
JP2006131079A (ja) 乗員拘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