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4954B1 - 자동차용 시트의 자동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의 자동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4954B1
KR100324954B1 KR1019990067668A KR19990067668A KR100324954B1 KR 100324954 B1 KR100324954 B1 KR 100324954B1 KR 1019990067668 A KR1019990067668 A KR 1019990067668A KR 19990067668 A KR19990067668 A KR 19990067668A KR 100324954 B1 KR100324954 B1 KR 100324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headrest
drive motor
worm gear
seat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7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6086A (ko
Inventor
안효원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67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4954B1/ko
Publication of KR20010066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6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4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49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871Worm and worm gear articu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6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using sensors or detectors for adapting the seat or seat part, e.g. to the position of an occup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의 자동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트에 착좌 상태인 승객의 신체와 헤드레스트 및 시트백이 밀착되도록 시트가 자동 조절되게끔 구성하여 자동차의 후방충돌시 승객의 목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용 시트의 자동 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의 자동 조절장치{Automatic control apparatus of seat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의 자동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에 착좌 상태인 승객의 신체와 헤드레스트 및 시트백이 밀착되도록 시트가 자동 조절되게끔 구성하여 자동차의 후방충돌시 승객의 목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용 시트의 자동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시트백 상단에는 운전자나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줄 수 있는 헤드레스트가 장착되어 주행중 탑승자의 머리를 편하게 받쳐주는 기능을 갖는다.
첨부한 도 3은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에 탑승자의 착좌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써, 헤드레스트(30)는 시트백(50)의 상단에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줄 수 있도록 장착된다.
한편, 자동차의 후방 충돌시 관성에 의해 탑승자의 몸이 후방으로 밀리게되고, 이때 탑승자 상체의 후방속도와 머리의 후방속도의 차이에 의해 목이 꺽여지면서 목부상이 발생되며 탑승자의 머리와 헤드레스트(30) 사이의 간격(d)이 좁을수록 탑승자의 목부상 위험은 줄어든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헤드레스트(30)가 장착된 자동차는 탑승자의 머리와 헤드레스트(30) 사이의 간격(d)이 조절되는 별도의 장치가 없으므로 자동차의 후방 충돌시, 관성에 의해 탑승자의 몸은 시트백(50)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에 탑승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면서 목부상을 입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시트에 착좌 상태인 승객의 신체와 헤드레스트 및 시트백이 밀착되도록 시트가 자동 조절되게끔 구성하여 자동차의 후방충돌시 승객의 목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용 시트의 자동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자동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자동 조절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3은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에 탑승자의 착좌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감지센서 20 : ECU
30 : 헤드레스트 32 : 제 1 워엄
34 : 제 1 워엄기어 36 : 구동전달수단
38 : 구동모터 40 : 시트백 상단부
42 : 제 2 워엄 44 : 제 2 워엄기어
46 : 구동전달수단 48 : 구동모터
50 : 시트백 52 : 피니언
54 : 래크 56 : 지지봉
58 : 구동모터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자동 조절장치는 센터필러 상단에 장착되어 탑승자의 착좌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0)와, 내부 양측에 각각 두 개의 제 1 워엄(32)과 상기 제 1 워엄(32)에 치합되는 제 1 워엄기어(34)가 장착된 헤드레스트(30)와, 내부 양측에 각각 두 개의 제 2 워엄(42)과 상기 제 2 워엄(42)에 치합되는 제 2 워엄기어(44)가 장착된 시트백 상단부(40)와, 내부에 장착된 구동모터(58)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52)과 상기 피니언(52)에 치합되는 래크(54)가 장착된 시트백(50)과, 상기 감지센서(10)로부터 인가받은 신호로 헤드레스트(30)와 시트백 상단부(40)의 전/후 및 상/하 방향의 이동을 조절하는 ECU(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시트백 상단부(40) 내부에는 구동모터(38)가 장착되어 상기 구동모터(38)의 회전력은 헤드레스트(30) 양측에 장착된 제 1 워엄기어(34)로 구동전달수단(36)에 의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트백(50) 내부에는 구동모터(48)가 장착되어 상기 구동모터(48)의 회전력은 시트백 상단부(40) 양측에 장착된 제 2 워엄기어(44)로 구동전달수단(46)에 의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트백(50) 내부에 장착된 래크(54)는 상기 시트백 상단부(40)와 연결된 지지봉(56)과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자동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자동 조절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트는 헤드레스트(30)와, 탑승자의 신체 상부, 즉 어깨부위를 지지하는 시트백 상단부(40)와, 시트백(50)으로 구성된다.
또한, 센터필러(center pillar) 상단에는 착좌 상태인 탑승자와 헤드레스트(30) 사이의 간격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0)가 장착되어, 상기 감지센서(10)로부터 인가받은 신호로 ECU(20)에 의해 탑승자의 착좌 상태에 따라 언제나 일정한 탑승자의 머리와 헤드레스트(30) 사이의 밀착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헤드레스트(30)와 시트백 상단부(40)의 위치를 조절한다.
구동모터(38)(48)의 회전력을 제 1 워엄기어(34) 및 제 2 워엄기어(44)로 전달하는 구동전달수단(36)(46)은 와이어 형상으로 상기 제 1 워엄기어(34) 및 제 2 워엄기어(44)의 중앙부위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에 와이어 형상의 구동전달수단(36)(46)을 설치하여 벨트 형식으로 구동모터(38)(48)의 회전력을 제 1 워엄기어(34) 및 제 2 워엄기어(44)로 전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감지센서(10)에 의해 탑승자의 머리와 헤드레스트(30) 사이의 간격이 감지되면, ECU(20)에 의해 헤드레스트(30)와 시트백 상단부(40)를 전/후 및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조절하여 탑승자의 신체와 헤드레스트(30) 및 시트백 상단부(40)가 밀착되어 언제나 탑승자의 머리와 헤드레스트(30) 사이에 밀착된 간격이 형성되도록 조절한다.
이에 따라, ECU(20)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38)의 정/역 회전에 의해 구동전달수단(36)은 제 1 워엄기어(34)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 1 워엄기어(34)와 치합하는 제 1 워엄(32)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헤드레스트(30)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조절하여 탑승자의 머리와 헤드레스트(3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ECU(20)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48)의 정/역 회전에 의해 구동전달수단(46)은 제 2 워엄기어(44)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 2 워엄기어(44)와 치합하는 제 2 워엄(42)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시트백 상단부(40)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조절하여 탑승자의 신체 상단부를 시트백에 밀착시킬 수 있다.
한편, 구동모터(58)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58)에 의해 정/역 회전되는 피니언(52)에 의해 상기 피니언(52)과 치합하는 래크(54)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래크(54)에 일체로 연결되며 양단이 시트백 상단부(40)에 연결된 지지봉(56)이 상/하 이동하여 헤드레스트(30)와 시트백 상단부(40)의 상/하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헤드레스트(30)의 역할은 탑승자의 머리와 목이 후방충돌에 의해 뒤로 젖혀지면서 탑승자가 목부상 당하는 것을 방지하고, 시트백 상단부(40)는 탑승자의 시신체 상단부의 후방향 이동을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자동 조절장치에 의하면 시트에 착좌 상태인 승객의 신체와 헤드레스트 및 시트백이 밀착되도록 시트가 자동 조절되게끔 구성하여 자동차의 후방충돌시 승객의 목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센터필러 상단에 장착되어 탑승자의 착좌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0)와,
    내부 양측에 각각 두 개의 제 1 워엄(32)과 상기 제 1 워엄(32)에 치합되는 제 1 워엄기어(34)가 장착된 헤드레스트(30)와,
    내부 양측에 각각 두 개의 제 2 워엄(42)과 상기 제 2 워엄(42)에 치합되는 제 2 워엄기어(44)가 장착된 시트백 상단부(40)와,
    내부에 장착된 구동모터(58)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52)과 상기 피니언(52)에 치합되는 래크(54)가 장착된 시트백(50)과,
    상기 감지센서(10)로부터 인가받은 신호로 헤드레스트(30)와 시트백 상단부(40)의 전/후 및 상/하 방향의 이동을 조절하는 ECU(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자동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상단부(40) 내부에는 구동모터(38)가 장착되어 상기 구동모터(38)의 회전력은 헤드레스트(30) 양측에 장착된 제 1 워엄기어(34)로 구동전달수단(36)에 의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자동 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50) 내부에는 구동모터(48)가 장착되어 상기 구동모터(48)의 회전력은 시트백 상단부(40) 양측에 장착된 제 2 워엄기어(44)로 구동전달수단(46)에 의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자동 조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50) 내부에 장착된 래크(54)는 상기 시트백 상단부(40)와 연결된 지지봉(56)과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자동 조절장치.
KR1019990067668A 1999-12-31 1999-12-31 자동차용 시트의 자동 조절장치 KR100324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668A KR100324954B1 (ko) 1999-12-31 1999-12-31 자동차용 시트의 자동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668A KR100324954B1 (ko) 1999-12-31 1999-12-31 자동차용 시트의 자동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086A KR20010066086A (ko) 2001-07-11
KR100324954B1 true KR100324954B1 (ko) 2002-02-28

Family

ID=19634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7668A KR100324954B1 (ko) 1999-12-31 1999-12-31 자동차용 시트의 자동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49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711B1 (ko) * 2017-11-20 2019-05-29 신복영 자동차용 목 디스크 예방 및 근력 강화 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3946A (ja) * 1993-03-01 1994-09-13 Daihatsu Motor Co Ltd ヘッドレスト位置調整装置
KR970036812A (ko) * 1995-12-28 1997-07-22 김태구 차량의 헤드 레스트 장치
KR19980055115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자동차 좌석의 머리 받침대의 자동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3946A (ja) * 1993-03-01 1994-09-13 Daihatsu Motor Co Ltd ヘッドレスト位置調整装置
KR970036812A (ko) * 1995-12-28 1997-07-22 김태구 차량의 헤드 레스트 장치
KR19980055115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자동차 좌석의 머리 받침대의 자동 조절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711B1 (ko) * 2017-11-20 2019-05-29 신복영 자동차용 목 디스크 예방 및 근력 강화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086A (ko) 200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7973A (en) Headrest control device and headrest drive mechanism for use in an automotive seat
US5011226A (en) Headrest
JP3286001B2 (ja) ヘッドレスト位置調整装置
KR100332208B1 (ko) 차량용 헤드 레스트의 각도 조절장치
US7458640B1 (en) Adjustable vehicle headrest assembly
KR100324954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자동 조절장치
KR20060094128A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EP1369290A2 (en) Controlling head rest according to vehicle occupant size
KR100384018B1 (ko) 자동차용 시트백의 볼스터 조절 장치
CN109532601B (zh) 汽车座椅头枕后碰防护系统及汽车
KR20100089661A (ko) 헤드레스트의 자동조절장치
JP4210578B2 (ja) 車両用サンバイザ装置
KR20020055976A (ko) 자동차용 시트백 자동 조절 장치
KR200145828Y1 (ko) 자동차의 룸미러 각도 조절장치
KR200170935Y1 (ko) 차량의 시트 보호대 조절장치
JP3007775B2 (ja) 電動シート装置
KR200152755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 경사각 조절장치
KR19980055115U (ko) 자동차 좌석의 머리 받침대의 자동 조절 장치
KR100456544B1 (ko) 측면 충돌시 승객 상해를 줄이기 위한 자동차 시트 회전장치
KR19980029390U (ko) 자동차의 전동식 헤드레스트
KR20040095385A (ko) 헤드레스트 장착 뒷좌석용 에어백 장치 및 방법
KR19980030599A (ko) 차량의 사이드미러 자동조정장치
KR0127558Y1 (ko) 차량의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JPH0576912U (ja) シートベルト自動装着装置
KR0171720B1 (ko) 자동차 시트벨트의 자동 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