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2755Y1 -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 경사각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 경사각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2755Y1
KR200152755Y1 KR2019950047569U KR19950047569U KR200152755Y1 KR 200152755 Y1 KR200152755 Y1 KR 200152755Y1 KR 2019950047569 U KR2019950047569 U KR 2019950047569U KR 19950047569 U KR19950047569 U KR 19950047569U KR 200152755 Y1 KR200152755 Y1 KR 2001527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seat
buckle
drive moto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75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5571U (ko
Inventor
이판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475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2755Y1/ko
Publication of KR9700355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55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27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27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022/208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by automatic or remote 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리어 시트에 적용되는 버클이 미착용시 시트백에 형성되어 있는 수납부에 수납되도록하여 승하차시 승객의 신체부위와 간섭을 일으키는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시트벨트 경사각 조절장치를 제공할 목적으로; 시트벨트의 버클을 시트의 일측으로 장착함에 있어서, 시트벨트 버클의 지지간 중간부를 힌지 고정하고, 그 하측단에 섹터기어를 형성하되, 상기 섹터기어는 구동모터의 피니언과 치합하고, 이의 구동모터는 컨트롤 유닛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연결하며, 상기 컨트롤 유닛은 시트벨트 리트렉터의 일측으로 배치되어 이의 동작을 센싱하는 시트벨트 작동센서와 연결되어 이의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한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 경사각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 경사각 조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시트의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전기적인 계통도.
제4도는 종래 버클의 장착상태를 시트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시트벨트 버클 8 : 지지간
10 : 섹터기어 12 : 구동모터
14 : 피니언 16 : 컨트롤 유닛
18 : 리트렉터 20 : 작동센서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 경사각 조절장치에 관한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어 시트에 적용되는 버클이 미착용시 시트백에 형성되어 있는 수납부에 수납되도록하여 승하차시 승객의 신체부위와 간섭을 일으키는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시트벨트 경사각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있어서는 운전자를 비롯한 탑승객의 안전 도모를 위하여 시트 벨트가 장착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이의 시트벨트 착용을 법규화하고 있는 실정 이다.
이러한 시트벨트의 버클을 리어시트에 장착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제4도에서와 같이, 리어시트를 형성하는 시트 쿠션(100)과 시트 백(102)을 지지하는 리어 플로워(104)에 완전 고정식으로 고정 하는것이 일반적이다.
이에따라 시트벨트에 연결되어 있는 텅(Tongue)을 상기 버클(106)에 삽입 고정함으로써, 시트벨트를 체결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버클(106)을 고정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버클(106)의 상단부가 시트 쿠션(100)의 상측으로 크게 돌출되는 바, 승객이 타고 내릴 때 히프에 걸리게 되어 불편을 주게 된다.
그리고 외관으로도 좋지 않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리어 시트에 적용되는 버클이 미착용시 시트백에 형성되어 있는 수납부에 수납되도록하여 승하차시 승객의 신체부위와 간섭을 일으키는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시트벨트 경사각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시트벨트의 버클을 시트의 일측으로 장착함에 있어서, 시트벨트 버클의 지지간 중간부를 힌지 고정하고, 그 하측단에 섹터기어를 형성하되, 상기 섹터기어는 구동모터의 피니언과 치합하고, 이의 구동모터는 컨트롤 유닛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연결하며, 상기 컨트롤 유닛은 시트벨트 리트렉터의 일측으로 배치되어 이의 동작을 센싱하는 시트벨트 작동센서와 연결되어 이의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한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 경사각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처뭅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것으로서, 부호 2는 시트벨트 버클을 지칭한다.
상기 시트벨트 버클(2)은 시트쿳션(4)과 시트백(6) 사이의 경계부 일측에 장착되어 미도시한 시트벨트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텅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시트벨트 버클(2)을 장착함에 있어서, 본 고안은 시트벨트 버클(2)의 지지간(8) 중간부를 힌지 고정하고, 그 하측단에 섹터기어(10)를 형성하였다.
상기 섹터기어(10)는 구동모터(12)의 피니언(14)과 치합되며, 이의 구동모터(12)는 컨트롤 유닛(16)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연결된다.
상기에서 컨트롤 유닛(16)은 시트벨트 리트렉터(18)의 일측으로 배치되어 이의 동작을 센싱하는 시트벨트 작동센서(20)와 연결되어 이의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12)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에서 구동모터(12)는 정,역회전 모터가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본 고안의 경사각 조절장치에 의하면 먼저 시트벨트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도 및 제2도에서와 같이 버클(2)의 수직의 상태에서 시트 백(6)의 수납부(22)에 수납된상태를 유지한다.
이의 상태에서는 승객이 승하차 하는데, 방해요소로 작용하지 않으며,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바, 미관을 해치지 않게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승객이 탑승하여 시트벨트를 착용하고자 시트벨트를 리트렉터(18)로부터 인출시키면, 이의 동작이 시트벨트 동작센서(20)에 의하여 감지되며, 이에 감지된 신호는 컨트롤 유닛(16)으로 보내어진다.
그러면 구동모터(12)는 정회전하여 섹터 기어(10)를 구동시킴으로써, 버클(2)이 제1도 및 제2도의 가상선과 같이 기울어지게 한다.
이와같은 상태는 시트벨트를 착용하는데 가장 편리한 자세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하차를 위해 시트벨트를 풀으면 시트벨트가 리트렉터(18)에 감기면서 이의 신호가 시트벨트 동작센서(20)를 통해 컨트롤 유닛(16)으로 입력되면, 구동기어(12)가 역회전하면서 버즐(2)을 수납시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리어 시트에 적용되는 버클이 미착용시 시트백에 형성되어 있는 수납부에 수납되도록하여 승하차시 승객의 신체부위와 간섭을 일으키는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것이다.

Claims (1)

  1. 시트벨트의 버클을 시트의 일측으로 장착함에 있어서, 시트벨트 버클(2)의 지지간(8) 중간부를 힌지 고정하고, 그 하측단에 섹터기어(10)를 형성하되, 상기 섹터기어(10)는 구동모터(12)의 피니언(14)과 치합하고, 이의 구동모터(12)는 컨트롤 유닛(16)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연결하며, 상기 컨트롤 유닛(16)은 시트벨트 리트렉터(18)의 일측으로 배치되어 이의 동작을 센싱하는 시트벨트 작동센서(20)와 연결되어 이의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 경사각 조절장치.
KR2019950047569U 1995-12-26 1995-12-26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 경사각 조절장치 KR2001527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7569U KR200152755Y1 (ko) 1995-12-26 1995-12-26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 경사각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7569U KR200152755Y1 (ko) 1995-12-26 1995-12-26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 경사각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5571U KR970035571U (ko) 1997-07-26
KR200152755Y1 true KR200152755Y1 (ko) 1999-07-15

Family

ID=19438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7569U KR200152755Y1 (ko) 1995-12-26 1995-12-26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 경사각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27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118B1 (ko) * 2002-11-15 2004-1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레저차량의 조수석 시트벨트 버클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118B1 (ko) * 2002-11-15 2004-1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레저차량의 조수석 시트벨트 버클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5571U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8835B2 (en) Belt locking device for a vehicle seat
US20020089164A1 (en) Seat belt restraint system with movable lap belt guides
JPS6261859A (ja) 自動調節式安全シ−トベルト装置
JP2006160041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US4635963A (en) Seat belt device
US4317584A (en) Passive vehicle occupant restraint belt system
JP3796961B2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US4575119A (en) Seat belt device
KR200152755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 경사각 조절장치
US4597587A (en) Seatbelt system
JPH0334357Y2 (ko)
JPH07267046A (ja) シートベルトのバックル装置
US4437684A (en) Automatic seatbelt system
US4283075A (en) Passive occupant shoulder belt
KR200152756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어퍼 앵커 이동장치
JPS635965Y2 (ko)
JPH0431872Y2 (ko)
CA1054113A (en) Vehicle occupant restraining belt with device to provide an arrangement in which shoulder belt is prevented from touching seated occupant's neck
EP0039176B1 (en) Passive safety belt system
KR100324954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자동 조절장치
JP2005247059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KR910006989Y1 (ko) 차내 승객을 보호하는 안전망장치
KR100203486B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당김 장치
KR100235656B1 (ko) 시트버클 수납장치
KR100218999B1 (ko) 리어 시트벨트용 버클 수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