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711B1 - 자동차용 목 디스크 예방 및 근력 강화 기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목 디스크 예방 및 근력 강화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3711B1
KR101983711B1 KR1020170154916A KR20170154916A KR101983711B1 KR 101983711 B1 KR101983711 B1 KR 101983711B1 KR 1020170154916 A KR1020170154916 A KR 1020170154916A KR 20170154916 A KR20170154916 A KR 20170154916A KR 101983711 B1 KR101983711 B1 KR 101983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motor
neck
passenge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복영
Original Assignee
신복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복영 filed Critical 신복영
Priority to KR1020170154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76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ssag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목 디스크 예방 및 근력 강화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목 디스크 예방 및 근력 강화 기구는, 운전석 및 조수석 탑승자의 목 및 머리 부분을 고정하여 견인하는 상부 헤드레스트와; 상부 헤드레스트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부 헤드레스트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부 헤드레스트와 함께 상기 탑승자의 목 및 머리 부분을 고정하여 주는 하부 헤드레스트와; 하부 헤드레스트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부 헤드레스트의 견인력을 위한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모터의 축에 설치되어 상부 및 하부 헤드레스트를 기계적으로 서로 연결하며, 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여 상부 헤드레스트가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하는 스크류 볼트; 및 하부 헤드레스트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부 헤드레스트와 하부 헤드레스트, 모터 및 스크류 볼트를 포함하는 상부 구조체를 하부에서 지지 및 고정하는 헤드레스트 지지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 헤드레스트가 운전자 및 조수석 탑승자의 목 및 머리 부분을 받쳐준 상태에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탑승자의 목 및 머리를 하부에서 상부로 견인해 줌으로써, 탑승자의 경추의 경직 상태를 풀어주어 목 디스크를 예방하고 목주변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목 디스크 예방 및 근력 강화 기구{Apparatus for cervical disk prevention and strengthening of muscle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목 디스크 예방 및 근력 강화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운전석 및 조수석의 등받이 상부에 설치되어 운전자 및 조수석 탑승자의 목 및 머리 부분을 받쳐준 상태에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운전자 및 조수석 탑승자의 목 및 머리를 하부에서 상부로 견인해 줌으로써, 운전자 및 조수석 탑승자의 경추의 경직 상태를 풀어주어 목 디스크를 예방하고 주변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는 자동차용 목 디스크 예방 및 근력 강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재해발생 보고서에 따르면 질병이 있는 근로자 중에 상당수의 근로자가 허리 통증과 뒷목 통증을 호소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서비스업, 요식업, 의료업, 건설업 등 많은 직업군의 근로자들이 척추 디스크에 시달리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평소에 장시간 앉아서 업무를 보는 사무직이 허리 디스크 및 목 디스크의 발병 위험이 더욱 큰 것으로 밝혀졌다.
장시간 의자에 앉아 공부를 하는 학생 또는 사무업무를 하는 직장인들은 운동량이 부족하여 척추 근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척추의 뼈와 뼈 사이의 디스크(추간판)가 빠져나와 신경을 눌러 허리나 목 등이 아프거나 다리가 저리는 증상이 발생한다. 특히, 장시간 컴퓨터 모니터를 보면서 업무를 보는 사무직 직장인들은 목이 앞으로 쭉 빠지는 듯이 등은 굽어 있는 이른바 자라목(거북목) 현상으로 목관절과 어깨관절의 통증에 시달리고 있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허리 및 목의 통증을 해소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일단 평소에 의자에 앉아 공부를 하거나 업무를 볼 때, 자세를 바르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이미 허리 디스크나 목 디스크가 발병한 사람의 경우는 자세 교정은 물론 물리적인 보조기구를 통해 허리 디스크나 목 디스크가 치료될 수 있도록 또는 더 이상 증상이 악화되지 않도록 꾸준히 노력해야 한다.
한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10064호(특허문헌 1)에는 "경추보호기능을 가지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가 개시되어 있는바, 이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는, 시트(31)를 구성하는 시트쿠션(32)의 후미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승차자의 등부위를 지지하는 시트백(33) 상단부에 결합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30)를 구성함에 있어서, 시트백(33)의 상단부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돌출되는 결합바(35)를 가지는 메인프레임(36)과; 상기 메인프레임(36)에 구비되어 승차자의 머리부분을 지지하고 보호하기 위한 헤드쿠션(40)과 경추부분을 보호하고 턱을 보호하는 한 쌍의 턱쿠션(41)으로 구성하고; 상기 메인프레임(36)은 결합바(35)의 상측부위 내측에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호형상으로 구비되는 횡바(37)와; 상기 횡바(37)의 중앙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헤드쿠션(4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호형상으로 돌출시키는 헤드바(38)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쿠션(40)과 턱쿠션(41)의 내부에는 형상유지를 위한 헤드프레임(42)과 턱프레임(43)을 구비하고; 상기 헤드프레임(42)과 턱프레임(43)의 외부에는 완충작용이 가능하도록 쿠션재(45,46)로 피복하고; 상기 헤드쿠션(40)은 쿠션재(45)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연결구(50)를 이용하여 메인프레임(36)의 헤드바(38)와 연결하고; 상기 턱쿠션(41)은 턱프레임(43)의 내측단부에 더 구비되는 결합링(51)을 결합바(35) 상단부에 구비되는 연결구(52)에 삽입하여 고정너트(53)로 체결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허문헌 1의 경우, 기존의 헤드레스트 구조를 개선하여 승차자의 운전 자세를 바르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 자세로 야기될 수 있는 통증이나 피로감을 배제하고, 충돌이나 추돌과 같은 사고 발생시의 충격력으로부터 경추부를 보호하여 신체적인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어느 정도 있을지는 몰라도, 턱쿠션(41)이 단지 승차자의 얼굴 양측 및 턱부위를 감싸는(잡아주는) 구조로 되어 있어 승차자의 목 근육을 운동시키는 기능은 없으며, 이에 따라 목 디스크를 치료하거나 목 디스크 발병을 예방하기는 어렵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10064호(2003.02.05.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항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운전석 및 조수석의 등받이 상부에 설치되어 운전자 및 조수석 탑승자의 목 및 머리 부분을 받쳐준 상태에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운전자 및 조수석 탑승자의 목 및 머리를 하부에서 상부로 견인해 줌으로써, 운전자 및 조수석 탑승자의 경추의 경직 상태를 풀어주어 목 디스크를 예방하고 목주변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는 자동차용 목 디스크 예방 및 근력 강화 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목 디스크 예방 및 근력 강화 기구는,
자동차의 운전석 및 조수석의 의자의 등받이부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운전석 및 조수석 탑승자의 목 및 머리 부분을 고정하여 견인하는 상부 헤드레스트와;
상기 상부 헤드레스트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부 헤드레스트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부 헤드레스트와 함께 상기 탑승자의 목 및 머리 부분을 고정하여 주는 하부 헤드레스트와;
상기 하부 헤드레스트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헤드레스트의 견인력을 위한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헤드레스트를 기계적으로 서로 연결하며, 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여 상기 상부 헤드레스트가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하는 스크류 볼트; 및
상기 하부 헤드레스트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헤드레스트와 하부 헤드레스트, 모터 및 스크류 볼트를 포함하는 상부 구조체를 하부에서 지지 및 고정하는 헤드레스트 지지체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모터를 고정하여 상기 하부 헤드레스트의 후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모터 고정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 볼트와 결합되어 상기 상부 헤드레스트 후면에 고정됨으로써, 상부 헤드레스트를 고정시키고 상부 헤드레스트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상부 헤드레스트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헤드레스트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모터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헤드레스트는 탑승자의 목 및 머리 부분과 접촉되는 부위가 오목하게 만곡된 목침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헤드레스트는 탑승자의 목 및 머리 부분과 접촉되는 부위가 오목하게 만곡된 목침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헤드레스트의 소정 부위에는 상기 모터를 온/오프 시키기 위한 모터 온/오프 스위치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로는 스테핑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 제어부에는 상기 상부 헤드레스트의 상,하 이동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자동으로 반복되도록 하는 제어 프로그램이 탑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 헤드레스트의 후면부 전체를 커버하여 내부의 구조물을 보호하는 후면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 헤드레스트가 운전자 및 조수석 탑승자의 목 및 머리 부분을 받쳐준 상태에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탑승자의 목 및 머리를 하부에서 상부로 견인해 줌으로써, 탑승자의 경추의 경직 상태를 풀어주어 목 디스크를 예방하고 목주변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목 디스크 예방 및 근력 강화 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조립 상태에서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목 디스크 예방 및 근력 강화 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조립 상태에서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목 디스크 예방 및 근력 강화 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상태에서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목 디스크 예방 및 근력 강화 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상태에서의 후면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말아야 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목 디스크 예방 및 근력 강화 기구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조립 상태에서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조립 상태에서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분해 상태에서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분해 상태에서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목 디스크 예방 및 근력 강화 기구(100)는 자동차의 운전석 및 조수석의 의자의 등받이부(90)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부 헤드레스트(110), 하부 헤드레스트(120), 모터(130), 스크류 볼트(132), 헤드레스트 지지체(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 헤드레스트(110)는 운전석 및 조수석 탑승자의 목 및 머리 부분을 고정하여 견인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이와 같은 상부 헤드레스트(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의 목 및 머리 부분과 접촉되는 부위가 오목하게 만곡된 목침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상부 헤드레스트(110)는 폴리우레탄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하부 헤드레스트(120)는 상부 헤드레스트(11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부 헤드레스트(1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부 헤드레스트(110)와 함께 상기 탑승자의 목 및 머리 부분을 고정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이와 같은 하부 헤드레스트(120)는 마찬가지로 탑승자의 목 및 머리 부분과 접촉되는 부위가 오목하게 만곡된 목침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하부 헤드레스트(120)는 폴리우레탄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은 하부 헤드레스트(120)의 소정 부위에는 후술하는 모터(130)를 온/오프 시키기 위한 모터 온/오프 스위치 (130s)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모터(130)는 하부 헤드레스트(120)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부 헤드레스트(110)의 견인력을 위한 회전 구동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이와 같은 모터(130)로는 스테핑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모터(130)의 축에는 후술하는 스크류 볼트(132)와의 기계적인 결합을 통해 모터(130)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을 스크류 볼트(132)에 전달해주는 커플링(131)이 설치된다. 여기서, 또한 이상과 같은 모터(130)의 구동을 위한 전원으로는 자동차의 시거잭 부분을 통해 자동의 배터리 전원을 사용할 수도 있고, 하부 헤드레스트(120) 내부에 별도의 건전지 혹은 충전용 배터리를 구비함으로써 전원으로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스크류 볼트(132)는 커플링(131)을 통해 모터(130)의 축에 연장 설치되어 상부 헤드레스트(110)와 하부 헤드레스트(120)를 기계적으로 서로 연결하며, 모터(130)의 정역회전에 따라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여 상부 헤드레스트(110)가 상승 또는 하강 이동하도록 한다.
헤드레스트 지지체(140)는 하부 헤드레스트(12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부 헤드레스트(110)와 하부 헤드레스트(120), 모터(130) 및 스크류 볼트(132) 등을 포함하는 상부 구조체를 하부에서 지지 및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이와 같은 헤드레스트 지지체(140)는 자동차 좌석 등받이부(9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 홀(90h)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부 구조체를 좌석의 등받이부(90)에 고정하는 한 쌍의 수직 지지봉(141)과, 한 쌍의 수직 지지봉(141)을 연결하는 수평 지지바(142) 및 하부 헤드레스트(120)의 밑면에 결합되어 하부 헤드레스트(120)를 지지 및 고정하는 하부 헤드레스트 고정판(1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목 디스크 예방 및 근력 강화 기구(100)는 모터(130)를 고정하여 하부 헤드레스트(120)의 후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모터 고정 브라켓(1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와 같은 모터 고정 브라켓(133)에는 모터(스테핑 모터)(133)를 고정하는 한편 스크류 볼트(132)의 관통을 위한 스테핑 모터 고정홀(133h)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 볼트(132)와 결합되어 상부 헤드레스트(110) 후면에 고정됨으로써, 상부 헤드레스트(110)를 고정시키고 상부 헤드레스트(110)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상부 헤드레스트 고정부재(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상부 헤드레스트 고정부재(134)에는 스크류 볼트(132)의 가이드를 위한 가이드 홀(134h)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헤드레스트(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모터(13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모터 제어부(13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와 같은 모터 제어부(130c)에는 상부 헤드레스트(110)의 상,하 이동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자동으로 반복되도록 하는 제어 프로그램이 탑재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모터 제어부(130c)로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가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함께 패키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헤드레스트(110) 및 하부 헤드레스트(120)의 후면부 전체를 커버하여 내부의 구조물(모터(130), 커플링(131), 스크류 볼트(132), 모터 고정 브라켓(133), 상부 헤드레스트 고정부재(134) 등)을 보호하는 후면 커버(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목 디스크 예방 및 근력 강화 기구(100)가 자동차의 운전석 및 조수석의 등받이부에 적용된 상태에서, 예를 들면, 사용자(운전자)가 장거리 운전을 하는 과정에서, 목덜미 부분이 뻐근하거나 뒷머리 부분이 무거운 느낌이 들 때, 하부 헤드레스트(120)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모터 온/오프 스위치(130s)를 누르면, 모터 제어부(130c)가 이를 감지하여 모터(130)에 구동 명령을 내리고, 이에 따라 모터(130)가 구동하게 된다. 모터(130)가 구동하면, 모터(130)의 회전축에 커플링(131)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스크류 볼트(132)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스크큐 볼트(132)에 연결되어 있는 상부 헤드레스트 고정부재(134)가 연동하여 천천히 상부로 이동한다. 그러면, 상부 헤드레스트 고정부재(134)에 고정되어 있는 상부 헤드레스트(110)가 동시에 상부로 천천히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상부 헤드레스트(110)가 사용자(운전자)의 뒷목 부분(목과 머리가 연결되는 부분)을 위로 밀어올리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운전자)의 뒷목 근육은 인장력(견인력)을 받아 이완하게 되고, 이는 곧 장시간의 운전으로 긴장되어 수축되어 있던 뒷목 근육을 이완시켜 풀어주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이상과 같은 상부 헤드레스트(110)의 견인 동작으로 뒷목 부분의 근육을 운동시켜 근육을 강화하게 된다. 여기서, 이상과 같은 견인 작동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예컨대, 5초 동안) 지속되다가 다시 원상 복귀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일련의 구동 메커니즘은 미리 작성된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반복 수행된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목 디스크 예방 및 근력 강화 기구는 상부 헤드레스트가 자동차의 운전자 및 조수석 탑승자의 목 및 머리 부분을 받쳐준 상태에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운전자 및 조수석 탑승자의 목 및 머리를 하부에서 상부로 견인해 줌으로써, 운전자 및 조수석 탑승자의 경추의 경직 상태를 풀어주어 목 디스크를 예방하고 목주변의 근력을 강화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응용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상부 헤드레스트 120: 하부 헤드레스트
130: 모터 131: 커플링
132: 스크류 볼트 133: 모터 고정 브라켓
134: 상부 헤드레스트 고정부재 135: 스크류 너트
140: 헤드레스트 지지체 141: 수직 지지봉
142: 수평 지지바 143: 하부 헤드레스트 고정판
150: 후면 커버 130c: 모터 제어부
130s: 모터 온/오프 스위치 133h: 모터 고정 홀
134h: 가이드 홀 90: 자동차 의자 등받이부
90h: 삽입 홀

Claims (10)

  1. 자동차의 운전석 및 조수석의 의자의 등받이부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운전석 및 조수석 탑승자의 목 및 머리 부분을 고정하여 견인하는 상부 헤드레스트와;
    상기 상부 헤드레스트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부 헤드레스트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부 헤드레스트와 함께 상기 탑승자의 목 및 머리 부분을 고정하여 주는 하부 헤드레스트와;
    상기 하부 헤드레스트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헤드레스트의 견인력을 위한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헤드레스트를 기계적으로 서로 연결하며, 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여 상기 상부 헤드레스트가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하는 스크류 볼트; 및
    상기 하부 헤드레스트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헤드레스트와 하부 헤드레스트, 모터 및 스크류 볼트를 포함하는 상부 구조체를 하부에서 지지 및 고정하는 헤드레스트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헤드레스트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모터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터 제어부에는 상기 상부 헤드레스트의 상,하 이동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자동으로 반복되도록 하는 제어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목 디스크 예방 및 근력 강화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를 고정하여 상기 하부 헤드레스트의 후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모터 고정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목 디스크 예방 및 근력 강화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볼트와 결합되어 상기 상부 헤드레스트 후면에 고정됨으로써, 상부 헤드레스트를 고정시키고 상부 헤드레스트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상부 헤드레스트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목 디스크 예방 및 근력 강화 기구.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헤드레스트는 탑승자의 목 및 머리 부분과 접촉되는 부위가 오목하게 만곡된 목침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목 디스크 예방 및 근력 강화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헤드레스트는 탑승자의 목 및 머리 부분과 접촉되는 부위가 오목하게 만곡된 목침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목 디스크 예방 및 근력 강화 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헤드레스트의 소정 부위에는 상기 모터를 온/오프 시키기 위한 모터 온/오프 스위치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목 디스크 예방 및 근력 강화 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스테핑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목 디스크 예방 및 근력 강화 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헤드레스트의 후면부 전체를 커버하여 내부의 구조물을 보호하는 후면 커버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목 디스크 예방 및 근력 강화 기구.
KR1020170154916A 2017-11-20 2017-11-20 자동차용 목 디스크 예방 및 근력 강화 기구 KR101983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916A KR101983711B1 (ko) 2017-11-20 2017-11-20 자동차용 목 디스크 예방 및 근력 강화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916A KR101983711B1 (ko) 2017-11-20 2017-11-20 자동차용 목 디스크 예방 및 근력 강화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3711B1 true KR101983711B1 (ko) 2019-05-29

Family

ID=66672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916A KR101983711B1 (ko) 2017-11-20 2017-11-20 자동차용 목 디스크 예방 및 근력 강화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371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4954B1 (ko) * 1999-12-31 2002-02-28 이계안 자동차용 시트의 자동 조절장치
KR20030010064A (ko) 2001-07-25 2003-02-05 최영철 경추보호기능을 가지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CN201360762Y (zh) * 2009-01-22 2009-12-16 钟謇 具有头颈防护功能的座椅
JP2016538188A (ja) * 2013-11-27 2016-12-08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ゲー・エム・ベー・ハー 自動車シート
KR20170001242U (ko) * 2015-10-01 2017-04-11 박상욱 여객 수송수단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4954B1 (ko) * 1999-12-31 2002-02-28 이계안 자동차용 시트의 자동 조절장치
KR20030010064A (ko) 2001-07-25 2003-02-05 최영철 경추보호기능을 가지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CN201360762Y (zh) * 2009-01-22 2009-12-16 钟謇 具有头颈防护功能的座椅
JP2016538188A (ja) * 2013-11-27 2016-12-08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ゲー・エム・ベー・ハー 自動車シート
KR20170001242U (ko) * 2015-10-01 2017-04-11 박상욱 여객 수송수단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06520B (zh) 向用户提供上提力的椅子
US7789463B2 (en) Chair which is used in waist enhancement
US6626494B2 (en) Chair and method for correcting an improper alignment of spinal vertebrae
KR101618638B1 (ko) 자세교정용 어깨걸이 의자
CN101287426A (zh) 躺椅脊柱牵引设备
JP2006345882A (ja) 牽引装置
KR101906672B1 (ko) 척추 및 경추 견인용 의자
WO2017014661A2 (en) Chair
KR101725227B1 (ko)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WO1989009557A1 (en) An adjustable lumbar cushion used for chairs, arm-chairs and others
KR101983711B1 (ko) 자동차용 목 디스크 예방 및 근력 강화 기구
JP2020531229A (ja) 起立補助椅子及び車椅子
KR101647461B1 (ko) 안장형 척추 건강 의자
KR101481811B1 (ko) 의자 보조기구
JP2634542B2 (ja) 座席装置
KR101102894B1 (ko)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
JP2634540B2 (ja) 座席装置
JP2633778B2 (ja) 座席装置
KR101196317B1 (ko)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
KR200340688Y1 (ko) 자세교정용 의자
KR20060097783A (ko) 의자용 목받침대
KR20120100786A (ko) 다기능 헤드레스트
KR102147959B1 (ko) 스마트의자
KR100607537B1 (ko)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
KR20160128201A (ko) 자세교정용 어깨걸이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