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6180B1 - 차량용 전동 리프트 버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동 리프트 버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6180B1
KR101356180B1 KR1020110128586A KR20110128586A KR101356180B1 KR 101356180 B1 KR101356180 B1 KR 101356180B1 KR 1020110128586 A KR1020110128586 A KR 1020110128586A KR 20110128586 A KR20110128586 A KR 20110128586A KR 101356180 B1 KR101356180 B1 KR 101356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wire
vehicle
main roll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2145A (ko
Inventor
이수철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8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6180B1/ko
Publication of KR20130062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022/208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by automatic or remote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60R2022/4816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for sensing locking of buck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전동 리프트 버클장치에 관한 것으로, 승객이 시트벨트의 착용 의지가 있을 때에는 버클(15)을 자동으로 리프트 시켜주게 됨으로써 승객의 시트벨트 착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시트벨트 착용 후나 또는 시트벨트 해제시에는 리프트 된 버클(15)을 자동 다운시켜 주게 됨으로써 사고 발생시 버클(15)에 의한 승객 부상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전동 리프트 버클장치{ELECTRIC LIFT BUCKLE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용 전동 리프트 버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객의 시트벨트 착용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충돌사고 발생시 버클에 의한 승객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전동 리프트 버클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사고 발생시 승객의 상체를 구속시킴으로써 승객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시트벨트가 구비되어 있으며, 승객은 상기 시트벨트에 구비된 텅을 플로어패널로부터 돌출된 버클에 체결해서 착용하게 된다.
시트벨트의 텅을 버클에 체결할 때에는 상기 버클이 실내쪽으로 높게 돌출되어 있어야만 승객이 용이하게 시트벨트를 착용할 수 있으나, 콘솔박스의 활용성이 증가하고 있는 요즘 도 1과 같이 콘솔박스(1)의 높이가 커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버클(2)의 실내측 돌출 길이가 짧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승객이 시트벨트를 착용함에 있어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버클(2)의 실내측 돌출길이를 증가시킨 구조가 있으나, 상기 버클이 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어서 사고 발생시 높게 돌출된 상기 버클에 의해 승객의 신체가 상해를 입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시트벨트 착용시에는 버클이 실내측으로 높게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승객의 시트벨트 착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시트벨트 착용후에는 버클이 하강 이동함으로써 사고 발생시 버클에 의한 승객 부상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전동 리프트 버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용 전동 리프트 버클장치는, 실내측 하단의 차체패널에 고정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고정되는 전동모터; 상기 전동모터의 동력으로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하는 리드스크루; 상기 리드스크루가 회전할 때에 상기 리드스크루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너트; 상기 이동너트에 일단이 결합되고 버클에 타단이 결합되어서 상기 이동너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버클을 이동시키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도어센서와 버클센서 및 차속센서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이용해서 상기 전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바깥 둘레면에 상기 와이어가 밀착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와이어의 이동을 도와주는 메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메인롤러의 원호곡률을 따라 상기 메인롤러의 외측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메인롤러와 함께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서포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객이 시트벨트의 착용 의지가 있을 때에는 버클을 자동으로 리프트 시켜주게 됨으로써 승객의 시트벨트 착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시트벨트 착용 후나 또는 시트벨트 해제시에는 리프트 된 버클을 자동 다운시켜 주게 됨으로써 사고 발생시 버클에 의한 승객 부상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버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동 리프트 버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동 리프트 버클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 리프트 버클장치 및 작동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동 리프트 버클장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측 하단의 차체패널(플로어패널)에 고정 설치된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의 일단에 고정되는 전동모터(12)와, 상기 전동모터(12)의 동력으로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하는 리드스크루(13)와, 상기 리드스크루(13)가 회전할 때에 상기 리드스크루(13)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너트(14)와, 상기 이동너트(14)에 일단이 결합되고 버클(15)에 타단이 결합되어서 상기 이동너트(14)의 이동에 따라 상기 버클(15)을 이동시키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스틸(steel)재질의 와이어(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
따라서, 전동모터(12)가 작동을 하면 리드스크루(13)가 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리드스크루(13)에 결합된 이동너트(14)는 상기 리드스크루(13)를 따라 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너트(14)가 도 2의 도시상태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와이어(16)도 좌측으로 이동을 하게 되는 바, 이로 인해 버클(15)은 도시된 화살표 M1 방향으로 상승이동을 해서 리프트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너트(14)가 도 2의 도시상태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와이어(16)도 우측으로 이동을 하게 되는 바, 이로 인해 버클(15)은 도시된 화살표 M2 방향으로 하강이동을 해서 다운 상태가 된다.
상기 전동모터(12)는 컨트롤러(21)의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작동하고, 상기 컨트롤러(21)는 도어센서(22)와 버클센서(23) 및 차속센서(24)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하우징(11)에 회전축(1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바깥 둘레면에 상기 와이어(16)가 밀착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와이어(16)의 이동을 도와주는 메인롤러(18)와, 상기 메인롤러(18)의 원호곡률을 따라 상기 메인롤러(18)의 외측에서 상기 하우징(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메인롤러(18)와 함께 상기 와이어(16)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서포트롤러(19)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기 메인롤러(18)와 서포트롤러(19)는 와이어(16)의 이동을 도와주는 것으로, 특히 상기 서포트롤러(19)는 와이어(16)의 이동시 와이어(16)와의 마찰에 이한 소음발생을 없애주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리프트 버클장치의 작동방법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로 설명한다.
차량에 승객이 탑승하기 위해 도어를 열어주게 되면 도어센서(22)의 신호가 컨트롤러(21)로 전달되고(단계 S1), 상기 컨트롤러(21)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동모터(12)가 구동하고, 상기 전동모터(12)의 구동에 의해 이동너트(14) 및 와이어(16) 도 2의 도시상태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바, 이에 따라 버클(15)은 리프트(lift) 상태로 전환된다.(단계 S2)
그리고, 버클(15)이 리프트 된 상태에서 승객이 시트벨트의 텅을 상기 버클(15)에 체결시켜 주면, 버클센서(23)의 신호가 컨트롤러(21)로 전달된다.(단계 S3)
상기의 상태에서 차속이 제로(xero)이면 상기 버클(15)은 계속 리프트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차속이 제로(xero)가 아니면 즉 차량의 주행을 하게 되면 컨트롤러(21)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동모터(12)가 구동하고, 상기 전동모터(12)의 구동에 의해 이동너트(14) 및 와이어(16) 도 2의 도시상태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바, 이에 따라 버클(15)은 다운 상태(normal)로 전환된다.(단계 S4,S5)
그리고, 차속이 다시 제로상태가 되면 버클(15)은 다시 리프트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버클(15)로부터 시트벨트의 텅을 제거해 주면 상기 버클(15)은 다시 다운 상태로 전환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리프트 버클장치는, 승객이 시트벨트의 착용 의지가 있을 때에는 버클(15)을 자동으로 리프트 시켜주게 됨으로써 승객의 시트벨트 착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시트벨트 착용 후나 또는 시트벨트 해제시에는 리프트 된 버클(15)을 자동 다운시켜 주게 됨으로써 사고 발생시 버클(15)에 의한 승객 부상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1 - 하우징 12 - 전동모터
13 - 리드스크루 14 - 이동너트
15 - 버클 16 - 와이어
17 - 회전축 18 - 메인롤러
19 - 서포트롤러

Claims (7)

  1. 실내측 하단의 차체패널에 고정 설치된 하우징(11);
    상기 하우징(11)의 일단에 고정되는 전동모터(12);
    상기 전동모터(12)의 동력으로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하는 리드스크루(13);
    상기 리드스크루(13)가 회전할 때에 상기 리드스크루(13)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너트(14);
    상기 이동너트(14)에 일단이 결합되고 버클(15)에 타단이 결합되어서 상기 이동너트(14)의 이동에 따라 상기 버클(15)을 이동시키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와이어(16);
    상기 하우징(11)에 회전축(1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바깥 둘레면에 상기 와이어(16)가 밀착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와이어(16)의 이동을 도와주는 메인롤러(18); 및
    상기 메인롤러(18)의 원호곡률을 따라 상기 메인롤러(18)의 외측에서 상기 하우징(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메인롤러(18)와 함께 상기 와이어(16)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서포트롤러(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 리프트 버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도어센서(22)와 버클센서(23) 및 차속센서(24)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이용해서 상기 전동모터(12)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 리프트 버클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10128586A 2011-12-02 2011-12-02 차량용 전동 리프트 버클장치 KR101356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586A KR101356180B1 (ko) 2011-12-02 2011-12-02 차량용 전동 리프트 버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586A KR101356180B1 (ko) 2011-12-02 2011-12-02 차량용 전동 리프트 버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145A KR20130062145A (ko) 2013-06-12
KR101356180B1 true KR101356180B1 (ko) 2014-01-24

Family

ID=48860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586A KR101356180B1 (ko) 2011-12-02 2011-12-02 차량용 전동 리프트 버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618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264B1 (ko) * 2014-06-05 2015-11-05 장정염 차량용 안전벨트 버클 장치
KR101759822B1 (ko) * 2015-02-24 2017-07-19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웨빙 권취 장치 및 시트 벨트 장치
US11420587B2 (en) 2020-04-21 2022-08-23 Hyundai Motor Company Anchor pretensioner module for seat belt
US11851023B2 (en) 2021-09-24 2023-12-26 Hyundai Motor Company Pre-tensioner for seat belt
US11897416B2 (en) 2021-08-11 2024-02-13 Hyundai Motor Company Seat belt and movement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52394B (zh) * 2022-09-14 2023-11-03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安全带锁扣自动升降装置、控制方法、车辆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3426A (ja) * 1994-12-28 1996-07-16 Nissan Motor Co Ltd シートベルトのバックル駆動装置
JPH1067299A (ja) * 1996-08-02 1998-03-10 Trw Occupant Restraint Syst Gmbh シートベルトの舌状挿入部片を有する嵌合部を変位させる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3426A (ja) * 1994-12-28 1996-07-16 Nissan Motor Co Ltd シートベルトのバックル駆動装置
JPH1067299A (ja) * 1996-08-02 1998-03-10 Trw Occupant Restraint Syst Gmbh シートベルトの舌状挿入部片を有する嵌合部を変位させる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264B1 (ko) * 2014-06-05 2015-11-05 장정염 차량용 안전벨트 버클 장치
CN105270319A (zh) * 2014-06-05 2016-01-27 张玉 车辆用安全带锁扣装置
KR101759822B1 (ko) * 2015-02-24 2017-07-19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웨빙 권취 장치 및 시트 벨트 장치
US11420587B2 (en) 2020-04-21 2022-08-23 Hyundai Motor Company Anchor pretensioner module for seat belt
US11897416B2 (en) 2021-08-11 2024-02-13 Hyundai Motor Company Seat belt and movement control method thereof
US11851023B2 (en) 2021-09-24 2023-12-26 Hyundai Motor Company Pre-tensioner for seat bel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145A (ko) 201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6180B1 (ko) 차량용 전동 리프트 버클장치
KR101385861B1 (ko) 케이블철도시스템과 그 작동방법
JP6240385B2 (ja) 車両用知能型サイドステップ装置
JP6704087B2 (ja) 乗員保護装置
WO2013035533A1 (ja) 車両用シート
CN102296901A (zh) 紧凑舱体内自动启闭舱门装置
CN104044493B (zh) 一种汽车座椅左右调节装置
WO2013008534A1 (ja) 車両のシート駆動制御装置
CN105253102B (zh) 一种简易汽车安全带锁止装置
KR101874710B1 (ko) 무인반송차의 방향 전환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N201214390Y (zh) 站台间隙踏板
CN101052553A (zh) 座椅安全带装置
CN102712268B (zh) 用于控制调节装置的可调节的驱动元件的方法和调节装置
CN104444690B (zh) 一种轿顶式安全钳提拉连动装置
JP6721688B2 (ja) 車両用シート調整装置、位置調整制御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調整方法
CN106585433B (zh) 一种汽车座椅及座椅转向控制方法
JP2006298536A (ja) 天井走行車
CN104379487B (zh) 电梯的安全装置
CN211144153U (zh) 一种保护电机的汽车玻璃升降器
EP3142955B1 (en) Traction geared machine for elevator
CN110861543B (zh) 车辆座椅控制方法及装置
CN107642302A (zh) 一种站台半高屏蔽门
KR101331448B1 (ko) 차량용 시트벨트의 서브마린 방지장치
JP2013087511A (ja) 開閉体の開閉制御装置
KR20100089661A (ko) 헤드레스트의 자동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