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5867B1 - 자동차용 버클의 자동위치 조절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버클의 자동위치 조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5867B1
KR100475867B1 KR10-2002-0026685A KR20020026685A KR100475867B1 KR 100475867 B1 KR100475867 B1 KR 100475867B1 KR 20020026685 A KR20020026685 A KR 20020026685A KR 100475867 B1 KR100475867 B1 KR 100475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buckle
seat
seat belt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6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8917A (ko
Inventor
권호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6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5867B1/ko
Publication of KR20030088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8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8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버클의 자동위치 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벨트의 인출 작동에 의해 연계작동하면서 버클을 전방으로 틸팅시킨 후, 상방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기어 구동수단을 갖는 기어장치를 구비하는바, 상기 기어 구동수단이 상기 기어장치의 축홀을 따라 인출 또는 삽입 작동함에 따라 기어장치가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버클을 착용하기 손쉬운 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조절함으로써, 착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능상의 고급화로 자동차의 품질도 한차원 높일 수 있는 자동차용 버클의 자동위치 조절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버클의 자동위치 조절구조{Structure for adjusting location of buckle automatically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버클의 자동위치 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벨트의 인출 작동에 의해 연계작동하면서 버클을 전방으로 틸팅시킨 후, 상방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기어 구동수단을 갖는 기어장치를 구비하는바, 상기 기어 구동수단이 상기 기어장치의 축홀을 따라 인출 또는 삽입 작동함에 따라 기어장치가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버클을 착용하기 손쉬운 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조절함으로써, 착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능상의 고급화로 자동차의 품질도 한차원 높일 수 있는 자동차용 버클의 자동위치 조절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탑승자의 안전 운행을 위해 여러가지 안전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자동차의 안전 장치로는 차량 진행 방향의 시야 확보나 야간 주행 시의 시야 확보를 위한 조명 장치와, 차량의 속도나 엔진의 운전 상태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장치 이외에도 경음기, 와이퍼 장치, 에어백 장치 그리고, 시트벨트 장치 등 여러가지가 구비되어 있다.
특히, 시트벨트 장치의 장착은 법규로 지정되어 있고, 탑승자가 꼭 착용해야하는 1차적인 안전 장치로써, 프론트 시트와 리어 시트에 모두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안전 장치로서의 시트벨트 장치는 시트백 위치에 리트렉터로부터 인출되는 시트벨트의 웨빙이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하는 어퍼 앵커 플레이트인 어퍼 앵커리지와 어퍼 앵커리지 커버가 고정되어 설치되고, 상기 어퍼 앵커리지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상기 프론트 시트의 일측의 플로어 패널상에는 시트벨트의 착용 시, 그 시트벨트 상에 끼워진 버클이 설치된다.
한편, 이와 같은 시트벨트 장치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탑승자가 상기 프론트 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시트벨트를 잡아당기면, 상기 시트벨트가 리트렉터로부터 인출됨과 동시에 어퍼 앵커 플레이트에 의해 소정의 길이로 인출된 상태에서 탑승자가 시트벨트 상에 끼워진 텅을 버클에 끼워 체결하면 되는 것이다.
하지만, 승객의 승하차시나 미관상의 이유 등으로 버클이 시트에 파묻히거나 사용자의 눈에 잘 띄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출원번호 제 1999-0060537호에 제안된 자동차용 시트벨트 버클의 자동 인출구조에 대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상기 버클(1)을 인출장치(2)에 장착하고, 이 인출장치(2)가 시트벨트(110)를 잡아 당기게 되면 이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아 시트(100)로부터 버클(1)을 인출시켜 줄 수 있게 한 것으로, 상기 인출장치(2)는 버클(1)을 수납공간(120)으로부터 수납/인출시켜 시트벨트(110) 착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로 상기 버클(1)이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유도하는 작동축(3)과, 이 작동축(3)에 설치되어 실제 버클(1)을 슬라이딩시켜 주는 구동수단(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축(3)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샤프트로, 여기에는 슬라이더(5)가 삽입장착되며, 그 양단에는 이 슬라이더(5)가 일정 범위 내에서만 움직일 수 있도록 걸림턱에 의해 마감되어 있다.
상기 구동수단(4)은 일종의 실린더로, 슬라이더(5)의 뒷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ECU에 의해 제어를 받아 슬라이더(5)를 작동시켜 버클(1)이 수납공간(120)으로부터 수납/인출 가능하도록 유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기존의 자동차용 버클의 자동 인출구조는 자동차의 종방향으로 실린더가 위치하여 승객이 좌우 시트(100)간 이동 시, 방해물로 작용하여 불편함을 야기시키며, 또한 버클(1)의 위치는 법규상으로 힙포인트 대비, 사이드뷰에서 30~75도 내의 범위 안에 위치하여야 하나, 그 위치를 벗어나기가 쉬우며 버클(1)의 강도 테스트 시, 실린더에 하중이 걸려 법규적용에 어려움이 있으며, 전동모터 및 신호검출센서 등의 추가로 원가가 많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시트벨트(110)의 인출 작동에 의해 연계작동하면서 버클을 전방으로 틸팅시킨 후, 상방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기어 구동수단을 갖는 기어장치를 구비하는바, 상기 기어 구동수단이 상기 기어장치의 축홀을 따라 인출 또는 삽입 작동함에 따라 기어장치가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버클을 착용하기 손쉬운 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조절함으로써, 착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능상의 고급화로 자동차의 품질도 한차원 높일 수 있는 자동차용 버클의 자동위치 조절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시트벨트(110)를 착용 시, 시트(100)의 수납공간(120)에서 인출되도록 형성된 버클에 있어서,
상기 버클(10)의 장착위치에 이 버클(10)이 틸팅 후, 상승이송 방식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기어장치(30)가 장착되고, 상기 시트벨트(110)가 인출됨에 따라 이 시트벨트(110)와 연계되어 작동되는 기어 구동수단이 상기 기어장치(30)를 구동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기어 구동수단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작동축(20)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시트벨트(110)의 인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작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기어장치(3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그 윗면과 밑면에 길이방향으로 구간차이를 두고 연속적으로 치형구조의 작동구간(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구간(22)은 상기 버클(10)이 틸팅되도록 하는 윗면의 틸팅작동구간(21a)과, 이것과 곧이어 뒷쪽으로 버클(10)이 상승 이송되도록 하는 밑면의 인출작동구간(21b)이 상호 치형방향이 역전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어장치(30)는 상기 기어 구동수단의 이동방향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기어 구동수단의 각 작동구간(22)과 치합되어 구동되는 한쌍의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내접되면서 치합되어 상기 버클(10)을 틸팅 및 상승 이송작동하도록 하는 서로 다른 두개의 피동기어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기어 구동수단의 작동축(20)이 갖는 위아래 틸팅작동구간(21a)에 각각 치합되면서 서로 다른 두개의 피동기어에 각각 외접하여 치합되는 제1기어(31) 및 제2기어(3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피동기어는 제1기어(31)에 내접하여 치합되며 버클(10)의 제1스트랩(11)과 일체 고정된 제3기어(33)와;
상기 제2기어(32)에 내접하여 치합되며 상기 제1스트랩(11)과 가이드홀(11a)을 통해 슬라이드 가능한 동시에 버클(10)의 제2스트랩(12)에 일체 고정된 랙기어(35)와 치합된 제4기어(3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프론트 시트나 리어 시트에 모두 적용 가능한 시트벨트(110) 버클(10)장치로,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버클(10)이 장착되는 위치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시트(100)의 수납공간(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납공간(120)에는 상기 버클(10)이 인출가능하도록 수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버클(10)을 인출장치에 장착하고, 시트벨트(110)를 잡아당기게 될 시, 상기 인출장치는 시트(100)로부터 버클(10)을 연속적으로 틸팅하면서 상방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인출장치는 버클(10)을 수납공간(120)으로부터 수납/인출시켜 시트벨트(110) 착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시트벨트(110)를 리트렉터(200)로부터 인출 시, 상기 리트렉터(200)와 연계되어 작동되도록 구성된 기어 구동수단과, 상기 기어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며, 축홀(36)을 갖는 기어장치(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어 구동수단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작동축(20)으로서, 리트렉터(200)에 대응되어 상기 시트벨트(110)의 인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작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윗면과 밑면에 상기 기어장치(30)와 선택적으로 치합되어 이 기어장치(3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치형구조의 작동구간(22)이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작동축(20)의 선단부에는 버클(10)의 틸팅작동이 가능하도록 제1기어(31)를 회전시키는 틸팅작동구간(21a)으로 되어 있으며, 그 후단부에는 버클(10)이 상방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제2기어(32)를 회전시키는 인출작동구간(21b)으로 되어 있다.
상기 기어장치(30)는 한쌍의 구동기어와 서로 다른 두개의 피동기어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작동구간(22)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기어는 각각의 피동기어에 각각 외접되면서 치합되어 있는바, 상기 버클(10)을 틸팅하기 위한 구동기어인 제1기어(31)는 버클(10)의 제2스트랩(12)과 일체 고정된 피동기어인 제3기어(33)에 외접되면서 치합되어 있으며, 틸팅된 버클(10)을 상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기어인 제2기어(32)는 후술하는 랙기어(35)에 외접하여 치합된 피동기어인 제4기어(34)에 외접되면서 치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랙기어(35)는 상기와 같이 제4기어(34)에 치합되는 동시에 버클(10)의 제1스트랩(11)에 일체 고정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스트랩은 2개의 판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스트랩(11)에는 긴 슬롯형상의 가이드홀(11a)이 형성되어 있고, 제2스트랩(12)에는 핀고정이 가능한 핀홀(12a)이 형성되어 있으며, 홀끼리 맞춤고정한 후, 핀으로 고정하여 가이드홀(11a)을 따라 상방으로 버클(10)이 상승 이송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37은 베어링을 나타낸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시트벨트(110)를 리트렉터(200)로부터 인출하게 되면, 상기 시트벨트(110)와 인출방향이 리트렉터(200)에 대응하여 반대방향인 작동축(20)이 작동하게 되고, 상기 작동축(20)은 기어장치(30)의 축홀(36)로 관통/삽입하게 된다.
이때, 버클(10)이 틸팅될 수 있도록 하는 작동축(20)의 틸팅작동구간(21a)의 치형구조가 제1기어(31)의 치형구조와 치합하게 되고, 그로인해 제1기어(31)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1기어(31)와 치합된 제3기어(33)도 따라서 상기 제1기어(3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버클(10)은 소정각도로 틸팅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랙기어(35)에 외접되면서 치합되어 있는 제4기어(34)는 상기 버클(10)이 틸팅되어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랙기어(35)의 기어이에 걸려 틸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후, 상기 작동축(20)이 더 관통/삽입되어 인출작동구간(21b)의 치형구조가 제2기어(32)의 치형구조와 치합되고, 그로인해 제2기어(32)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2기어(32)와 치합된 제4기어(34)도 따라서 상기 제2기어(32)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4기어(34)와 치합된 랙기어(35)는 상승 이동하게 되고, 상기 랙기어(35)와 일체 고정된 제2스트랩(12)이 제1스트랩(11)의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버클(10)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버클(10)이 틸팅된 상태에서 스트랩 길이가 상방으로 이송되어 버클(10)을 결착하는데 있어 용이하게 하여준다.
한편, 상기 버클(10)의 틸팅각도 및 상승 이동변위는 상기 작동축(20)의 틸팅작동구간(21a) 및 인출작동구간(21b)의 길이에 따라 결정되는 동시에 기어장치(30)의 기어비에 의해서도 결정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시트(100) 수납공간(120)에 장착되어 있다가 시트벨트(110)의 결착 시, 상기 수납공간(120)에서 인출될 뿐만 아니라 소정각도로 틸팅될 수 있어 운전자를 포함한 승객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그에 따른 기능상의 고급화로 자동차의 품질도 한단계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버클의 자동위치 조절구조는 기존 기술대비, 간단한 기계식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경량화 및 원가절감을 이룰 수 있는 한편, 틸팅작동 기능을 추가하여 운전자를 포함한 승객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버클의 자동위치 조절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버클의 자동위치 조절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버클의 자동위치 조절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버클의 자동위치 조절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버클의 자동위치 조절구조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버클의 자동위치 조절구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버클의 자동위치 조절구조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버클의 자동위치 조절구조가 시트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9는 종래의 시트벨트용 버클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버클 11 : 제1스트랩
11a : 가이드홀 12 : 제2스트랩
12a : 핀홀 20 : 작동축
21 : 작동구간 21a : 틸팅작동구간
21b : 인출작동구간 30 : 기어장치
31 : 제1기어 32 : 제2기어
33 : 제3기어 34 : 제4기어
35 : 랙기어 36 : 축홀
37 : 베어링 100 : 시트
110 : 시트벨트 120 : 수납공간
200 : 리트렉터

Claims (4)

  1. 삭제
  2. 시트벨트(110)를 착용 시, 시트(100)의 수납공간(120)에서 인출되도록 형성된 버클(10)의 장착위치에 이 버클(10)이 틸팅 후, 상승이송 방식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기어장치(30)가 장착되고, 상기 시트벨트(110)가 인출됨에 따라 이 시트벨트(110)와 연계되어 작동되는 기어 구동수단이 상기 기어장치(30)를 구동할 수 있게 구성된 자동차용 시트버클의 자동위치 조절구조에 있어서,
    상기 기어 구동수단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작동축(20)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시트벨트(110)의 인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작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기어장치(3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그 윗면과 밑면에 길이방향으로 구간차이를 두고 연속적으로 치형구조의 작동구간(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버클의 자동위치 조절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간(22)은 상기 버클(10)이 틸팅되도록 하는 윗면의 틸팅작동구간(21a)과, 이것과 곧이어 뒷쪽으로 버클(10)이 상승 이송되도록 하는 밑면의 인출작동구간(21b)이 상호 치형방향이 역전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버클의 자동위치 조절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장치(30)는 상기 기어 구동수단의 이동방향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기어 구동수단의 각 작동구간(22)과 치합되어 구동되는 한쌍의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내접되면서 치합되어 상기 버클(10)을 틸팅 및 상승 이송작동하도록 하는 서로 다른 두개의 피동기어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기어 구동수단의 작동축(20)이 갖는 위아래 틸팅작동구간(21a)에 각각 치합되면서 서로 다른 두개의 피동기어에 각각 외접하여 치합되는 제1기어(31) 및 제2기어(3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피동기어는 제1기어(31)에 내접하여 치합되며 버클(10)의 제1스트랩(11)과 일체 고정된 제3기어(33)와;
    상기 제2기어(32)에 내접하여 치합되며 상기 제1스트랩(11)과 가이드홀(11a)을 통해 슬라이드 가능한 동시에 버클(10)의 제2스트랩(12)에 일체 고정된 랙기어(35)와 치합된 제4기어(3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버클의 자동위치 조절구조.
KR10-2002-0026685A 2002-05-15 2002-05-15 자동차용 버클의 자동위치 조절구조 KR100475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685A KR100475867B1 (ko) 2002-05-15 2002-05-15 자동차용 버클의 자동위치 조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685A KR100475867B1 (ko) 2002-05-15 2002-05-15 자동차용 버클의 자동위치 조절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917A KR20030088917A (ko) 2003-11-21
KR100475867B1 true KR100475867B1 (ko) 2005-03-10

Family

ID=32382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6685A KR100475867B1 (ko) 2002-05-15 2002-05-15 자동차용 버클의 자동위치 조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58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118B1 (ko) * 2002-11-15 2004-1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레저차량의 조수석 시트벨트 버클구조
CN108045341A (zh) * 2017-11-17 2018-05-18 浙江零跑科技有限公司 一种安全带高度调节装置
CN108382349B (zh) * 2018-01-09 2020-01-24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汽车安全带控制系统及汽车安全带控制方法
CN110053581B (zh) * 2018-01-19 2022-09-13 天合汽车科技(上海)有限公司 用于车辆安全带系统的安全带锁扣以及车辆
CN111434538B (zh) * 2019-01-14 2024-04-19 天合汽车科技(上海)有限公司 用于安全带锁扣头的递送装置和安全带组件
CN112918425B (zh) * 2021-03-30 2022-07-08 东风汽车有限公司 安全带锁扣组件及其控制方法和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97145A (ja) * 1987-05-29 1988-12-05 Mazda Motor Corp 車両のシ−トベルト装置
JPH11170972A (ja) * 1997-11-10 1999-06-29 Takata Europ Vehicle Safety Technol Gmbh シートベルトのアンカー装置
KR20010004476A (ko) * 1999-06-29 2001-01-15 정주호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위치 조정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97145A (ja) * 1987-05-29 1988-12-05 Mazda Motor Corp 車両のシ−トベルト装置
JPH11170972A (ja) * 1997-11-10 1999-06-29 Takata Europ Vehicle Safety Technol Gmbh シートベルトのアンカー装置
KR20010004476A (ko) * 1999-06-29 2001-01-15 정주호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위치 조정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917A (ko) 200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0196A (en) Retraction locking device for restraining belt
US5431446A (en) Seat belt presenter
US20050206150A1 (en) Seat belt buckle
GB2384465A (en) Four point seat belt restraint system
KR100475867B1 (ko) 자동차용 버클의 자동위치 조절구조
AU609896B2 (en) A seat belt retractor
US20010040369A1 (en) Restraint belt presenter with rising arm and offset rotary action
JP5567391B2 (ja) 可動バックル装置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US6193275B1 (en) Occupant belt presenter
KR19980018285A (ko) 삽입 설부를 구비한 끼워맞춤 부분을 인체 공학상 바람직한 프리젠테이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
EP1285824B1 (en) Seat belt system for a vehicle
EP2364888B1 (en) Seatbelt device
JPH0334357Y2 (ko)
JPH08183426A (ja) シートベルトのバックル駆動装置
JPH02147454A (ja) 受動的シートベルト
KR960004164B1 (ko) 자동 3지점 안전구속장치용 도어장착형 구동기구
US5102165A (en) Automatic seat belt system
GB2065453A (en) Passive seat belt system
JP2021123247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KR100435371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버클의 길이조절 장치
JP4615421B2 (ja) シートベルト着用補助装置
KR100590956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착용 보조장치
JP2013532610A (ja) 輸送車両のシートベルト用電動締付装置
JPH0754042Y2 (ja) 自動車用シートベルト装置
JPS631202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