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6768A - 자동차 인사이드 핸들의 핸들 노브 복귀속도 감소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인사이드 핸들의 핸들 노브 복귀속도 감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6768A
KR19980016768A KR1019960036455A KR19960036455A KR19980016768A KR 19980016768 A KR19980016768 A KR 19980016768A KR 1019960036455 A KR1019960036455 A KR 1019960036455A KR 19960036455 A KR19960036455 A KR 19960036455A KR 19980016768 A KR19980016768 A KR 19980016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gear
knob
door
handle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6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85901B1 (ko
Inventor
최광일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36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5901B1/ko
Publication of KR19980016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9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인사이드 핸들의 핸들 노브 작동시 핸들 노브의 복귀속도를 감소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인사이드 핸들(10)의 핸들 노브(14) 작동부에 기어부(142)를 형성하고, 이 기어부(142)와 대응하여 치합되는 기어부(38)가 형성됨과 동시에 축(32)에 의해 고정되어 가변 되는 기어 댐퍼(30)를 설치하여서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인사이드 핸들의 핸들 노브 복귀속도 감소장치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보디의 스타일과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구별되고 있는데, 용도에 따라 세단, 리무진, 쿠페, 왜건으로 분류되고, 지붕 형태에 따라서는 클로즈 보디, 하드톱, 소프트톱으로 분류되며, 도어수에 따른 분류로는 2 도어(3 도어), 4 도어(5 도어)로 분류된다.
그리고 차의 뒷부분 스타일에 따라 노치백, 해치백, 패스트백으로 분류되며, 박스에 따른 분류로는 1 박스, 2 박스, 3 박스, 변형박스(1.5 박스, 2.5 박스)로 분류된다.
또한 자동차의 보디는 도어(프런트/리어), 엔진 후드 패널, 팬더 패널, 범퍼, 필라, 윈도, 루프 패널, 미러, 트렁크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상기 범퍼는 장애물이 보디에 직접 닿는 것을 막아주기 위해 차체 앞뒤에 설치한 완충기이며, 바퀴 윗부분에 둥글게 씌운 흙받이용 철판은 팬더 패널이라고 불리고 있다.
상기 윈도는 유리창으로서 프런트 윈도, 사이드 윈도, 리어 윈도 등이 있다.
상기 필라는 윈도 옆의 기둥을 말하고 있는데, 윈드실드와 사이드 윈도 사이의 필라는 프런트 필라, 앞뒤 사이드 윈도 사이의 필라는 센터 필라 또는 사이드 필라, 사이드 윈도와 리어 윈도 사이의 필라는 리어 필라로 명칭 되어 있다.
상기 프런트 필라는 A 필라, 센터 필라는 B 필라, 리어 필라는 C 필라로도 불리고 있다.
상기 엔진 후드 패널은 엔진룸 위에 놓인 개폐용 뚜껑을 말하고 있는데 통상 보닛으로 불리고 있으며, 개폐방식에 따른 분류로는 프런트 힌지방식과 리어 힌지방식이 있다.
상기 루프 패널은 자동차의 지붕을 말하는 영국식 용어로서 미국에서는 톱이라고 한다.
상기 트렁크는 트렁크 룸과 트렁크 리드로 분류되는데, 상기 트렁크 룸을 개폐하는 뚜껑을 트렁크 리드라고 한다.
그리고 자동차의 시동키로 개폐할 수 있는 부분으로는 운전석 도어 및 조수석 도어, 글로브 박스, 연료탱크의 캡, 트렁크 리드 가 있는데, 이러한 각 부위마다는 시동키의 텀블러와 일치되는 록 실린더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자동차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은 모노코크 보디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 모노코크 보디는 프레임이 없는 보디로서 오늘날 승용차의 대부분이 이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보디가 섀시 프레임과 일체로 되어 있으므로 경량일 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주행중 추돌 및 충돌사고시 충격 에너지 흡수가 잘된다는 장점이 있으며, 외부의 충격을 보디 전체로 흡수완화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섀시 부분은 보디에 직접 장착되기 때문에 승차 감은 프레임 구조의 승용차보다 저하되지만 근래에 들어 서스펜션이나 엔진 마운트 기술 등의 지속적인 개발로 승차감이 저하되는 단점을 해소되어지고 있다.
그리고 프레임 구조의 차체에 비교하면 차 실내 바닥을 낮게 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으며, 이러한 모노코크 보디는 크게 프런트 보디(front body)/ 리어 보디(rear body)/언더 보디(under body)/사이드 보디(side body)로 구성된다.
상기 프런트 보디는 엔진이나 전륜 서스펜션, 라디에이터, 스티어링 기어박스 등이 부착되며 여러 가지 강성을 지니고 있고, 또한 충돌사고시 충돌에 따른 충격 에너지를 흡수완화하여 차 실내의 운전자 및 탑승자를 보호하는 기능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상용되고 있다.
상기 리어 보디는 자동차의 외형에 따른 세단이나 해치 백, 왜건 등 모양에 따라 그 형상이 달라져 있다.
상기 언더 보디는 리어 서스펜션이나 종감속 기어 등위 구동장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보디 강성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서스펜션의 움직임이나 진동의 대책으로서, 멤버나 보강재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 보디는 자동의 측면 즉, 프런트 도어 및 리어 도어의 주변을 사이드 보디라고 하며, 승용차의 주행중 사고에 의해 전복되었을 때 변형을 최소한으로 억제한다는 것과, 승용차의 사이드 충돌사고시 각 도어가 차 실내로 밀려들어오는 것을 방지한다는 것 및, 그것에 따른 내구성 등이 고려되어 제작되고 있다.
종래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100)은 도 4 에서와 같이 도어 이너 패널(220)과 도어 트림(240)의 사이에 핸들 하우징(120)이 고정설치되는데, 이 핸들 하우징(120)은 후면부에 하우징 고정구(180)가 형성되어, 도어 이너 패널(22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핸들 하우징(120)의 서포트 브래킷(160)과, 핸들 노브(140)의 작동부에는 박판상으로 형성된 원형의 댐퍼(300)를 설치하여 핸들 노브(140)와 핸들 하우징(120)이 접촉됨에 따라 발생되는 접촉 소음 및 충격을 저감시키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댐퍼(300)는 단순히 박판상으로 원형의 형상을 구비하고 있어, 핸들 노브(140)가 접촉됨에 따라 소음을 충분하게 흡수완화시키는 면적이 구비되지 못하여 지속적인 도어 인사이드 핸들의 사용시 접촉에 의해 마모로 발생되는 접촉 소음의 증가와 충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핸들 노브의 작동부에 기어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기어부와 치합되는 기어 댐퍼를 설치하여서 핸들 노브의 작동시 기어 댐퍼의 속도 지연에 따라 복귀속도가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소음 및 충격을 저감시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 인사이드 핸들의 핸들노브 복귀속도 감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인사이드 핸들의 핸들 노브 작동부에 기어부를 형성하고, 이 기어부와 대응하여 치합되는 기어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축에 의해 고정되어 가변 되는 기어 댐퍼를 설치하여서 되는 자동차 인사이드 핸들의 핸들 노브 복귀속도 감소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차 도어의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A - A 선 단면예시도
도 3 은 도 2 의 B 상세도
도 4 는 종래 인사이드 핸들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어 인사이드 핸들 (12) : 핸들 하우징
(14) : 핸들 노브 (16) : 서포트 브래킷
(18) : 하우징 고정구 (20) : 도어
(22) : 도어 이너 패널 (24) : 도어 트림
(30) : 기어 댐퍼 (32) : 축
(34) : 스프링 안착홈 (36) : 스프링
(38,142) : 기어부
(362,364) : 고정홈
도 1 및 도 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인사이드 핸들의 핸들 노브 복귀속도 감소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자동차 인사이드 핸들(10)의 핸들 노브(14) 복귀속도 감소장치는 도어 이너 패널(22)과 도어 트림(24)의 사이에서 핸들 하우징(12)의 후면에 형성되는 하우징 고정구(18)에 의해 결합장착되는 핸들 하우징(12)과, 이 핸들 하우징(12)의 전면부에 힌지축에 고정설치되는 핸들 노브(14) 및 기어 댐퍼(30)로 구성된다
상기 핸들 하우징(12)은 일측에 수직 및 수평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서포트 브래킷(16)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핸들 노브(14)의 작동부에는 1/4 원형의 홈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 홈에 기어부(142)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기어 댐퍼(30)는 도 3 에서와 같이 상기 기어부(142)와 대응함과 동시에 동심원을 가지며 형성되는 기어부(38)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기어부(142)가 치합되고, 축(32)에 의해 가변될 수 있도록 고정되며, 내부에는 이 축(32)과 동심원을 가지며 형성되는 스프링 안착홈(34)이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 안착홈(34)으로는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 된 스프링(36)이 안착되어 결합됨과 동시에 이 스프링(36)의 일단부는 이 스프링 안착홈(34)에 형성된 고정홈(364)에 타단부는 상기 서포트 브래킷(16)에 형성된 고정홈(362)에 각기 결합되어 고정된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인사이드 핸들(10)의 핸들 노브(14) 작동부에 기어부(142)를 형성하고, 이 기어부(142)와 대응하여 치합되는 기어부(38)가 형성됨과 동시에 축(32)에 의해 고정되어 가변되는 기어 댐퍼(30)를 설치하여서 되는 것으로, 상기 기어 댐퍼(30)에는 축(32)을 중심으로 동심원상의 스프링 안착홈(34)이 형성되어 탄성이 우수한 스프링(36)이 안착되어 결합됨과 동시에 이 스프링(36)의 양단부중 일단부는 상기 스프링 안착홈(34)에 형성된 고정홈(364)에 타단부는 핸들 하우징(12)의 서포트 브래킷(16)에 형성되는 고정홈(362)에 각각 결합하여서 되는 것이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효과에 관해 설명하겠다.
먼저 자동차 실내의 탑승객이 도어(20)를 열기 위해 인사이드 핸들(10)의 핸들 노브(14)를 당겨서 도어(20)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핸들 노브(14)를 손에서 놓으면 인장되어진 스프링(36)이 복원됨과 동시에 기어부(38,142)가 치합구동되어 핸들 노브(14)는 천천히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핸들 노브(14)는 초기에는 복귀속도가 빠르게 진행되다가 기어부(38,142)의 작동구간에서는 복귀속도가 지연되는 것으로 복귀에 따른 소음발생이 저감되고, 또한 작동감이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핸들 노브의 복귀 속도가 지연됨에 따라 소음 발생이 억제 또는 방지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인사이드 핸들의 핸들 노브 작동시 핸들 노브의 복귀속도를 감소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들 노브의 작동부에 기어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기어부와 치합되는 기어 댐퍼를 설치하여서 핸들 노브의 작동시 기어 댐퍼의 속도 지연에 따라 복귀속도가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소음 및 충격을 저감시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 인사이드 핸들의 핸들노브 복귀속도 감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Claims (2)

  1. 자동차의 탑승자가 실내에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도어 인사이드 핸들에 있어서;
    상기 인사이드 핸들(10)의 핸들 노브(14) 작동부에 기어부(142)를 형성하고, 이 기어부(142)와 대응하여 치합되는 기어부(38)가 형성됨과 동시에 축(32)에 의해 고정되어 가변되는 기어 댐퍼(30)를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인사이드 핸들의 핸들 노브 복귀속도 감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댐퍼(30)에는 축(32)을 중심으로 동심원상의 스프링 안착홈(34)이 형성되어 탄성이 우수한 스프링(36)이 안착되어 결합됨과 동시에 이 스프링(36)의 양단부중 일단부는 상기 스프링 안착홈(34)에 형성된 고정홈(364)에 타단부는 핸들 하우징(12)의 서포트 브래킷(16)에 형성되는 고정홈(362)에 각각 결합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인사이드 핸들의 핸들 노브 복귀속도 감소장치.
KR1019960036455A 1996-08-29 1996-08-29 자동차 인사이드 핸들의 핸들 노브 복귀속도 감소장치 KR0185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6455A KR0185901B1 (ko) 1996-08-29 1996-08-29 자동차 인사이드 핸들의 핸들 노브 복귀속도 감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6455A KR0185901B1 (ko) 1996-08-29 1996-08-29 자동차 인사이드 핸들의 핸들 노브 복귀속도 감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768A true KR19980016768A (ko) 1998-06-05
KR0185901B1 KR0185901B1 (ko) 1999-04-15

Family

ID=19471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6455A KR0185901B1 (ko) 1996-08-29 1996-08-29 자동차 인사이드 핸들의 핸들 노브 복귀속도 감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59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0120A (ko) * 2002-12-09 2004-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로드
KR101304890B1 (ko) * 2012-08-23 2013-09-06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의 인사이드 핸들 구조
KR101449987B1 (ko) * 2013-11-21 2014-10-15 한일이화 주식회사 인사이드 핸들부 결합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0120A (ko) * 2002-12-09 2004-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로드
KR101304890B1 (ko) * 2012-08-23 2013-09-06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의 인사이드 핸들 구조
KR101449987B1 (ko) * 2013-11-21 2014-10-15 한일이화 주식회사 인사이드 핸들부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85901B1 (ko) 199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5901B1 (ko) 자동차 인사이드 핸들의 핸들 노브 복귀속도 감소장치
KR200140890Y1 (ko) 소음 방지 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
KR0185900B1 (ko) 도어 록킹 노브가 일체로 구비되는 도어 인사이드 핸들
KR200140894Y1 (ko) 자동차 도어 인사이드 핸들의 완충 구조
KR0185899B1 (ko) 도난 방지 구조를 갖는 자동차 도어 인사이드 핸들
KR19980012889U (ko)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KR19980013409U (ko)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구조
KR200144497Y1 (ko) 자동차 도어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잠금 장치
KR19990028383U (ko) 자동차의 도어 힌지에 내장된 도어 스톱장치
KR19990028380U (ko) 자동차 도어의 체크 링크에 설치되는 서포트 브라켓구조
KR19980013379U (ko) 완충 구조를 갖는 자동차 도어 인사이드 핸들
KR980008383U (ko) 자동차 도어 인사이드 핸들의 자동 열림 장치
KR19990028381U (ko) 자동차 도어의 디포지트 박스에 설치되는 가이드판 설치구조
JP4174636B2 (ja) 自動車のドア構造
KR0124483Y1 (ko) 차량의 프론트 필러패널 보강구조
KR200148456Y1 (ko) 자동차용 도어 센터 가니쉬 조립체
KR200157037Y1 (ko) 자동차 도어 글라스의 안전장치
JP2579428Y2 (ja) 車両のシート構造
KR19980013381U (ko) 자동차 도어 인사이드 핸들의 작동 로드 고정 구조
KR19980014072U (ko) 자동차 도어의 충격 방지 장치
KR19990028197U (ko) 자동차 에이 힌지 필러 로워부의 충격흡수구조
KR19980042217U (ko) 자동차 리어 패키지 트레이의 격벽 구조
KR19990020841U (ko) 자동차의 사이드 필라 트림에 내장된 코트 후크 설치구조
KR19990007183U (ko) 자동차의 사이드아우터 패널 강도 보강구조
JPH07205838A (ja) 前部車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