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0841U - 자동차의 사이드 필라 트림에 내장된 코트 후크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사이드 필라 트림에 내장된 코트 후크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0841U
KR19990020841U KR2019970034329U KR19970034329U KR19990020841U KR 19990020841 U KR19990020841 U KR 19990020841U KR 2019970034329 U KR2019970034329 U KR 2019970034329U KR 19970034329 U KR19970034329 U KR 19970034329U KR 19990020841 U KR19990020841 U KR 199900208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 hook
pillar trim
cover
trim
side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43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봉준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343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0841U/ko
Publication of KR199900208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841U/ko

Links

Landscapes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사이드 필라트림에 형성되어 있는 코트 후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이드 필라트림 내부에 코트 후크를 내장 설치하고 상기 코트 후크 외측에 결착부가 형성된 커버를 설치하며 이 결착부가 삽입될수 있도록 필라트림 일측에 홈부를 형성함으로써 코트 후크를 필요시에만 사이드 필라트림으로부터 돌출시켜 사용할수 있어 외관상 수려함과 탑승자가 필라트림에 충돌시 후크에 의해 발생되는 사고를 예방할수 있는 자동차의 사이드 필라 트림에 내장된 코트 후크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사이드 필라트림(12) 일측을 절개하여 이 공간에 고정힌지(18)로써 하단에 결착부(22)가 형성된 커버(14)를 설치하고 커버(14) 내부에는 코트 후크(16)를 상기 고정힌지(18)에 고정 설치하며 코트 후크(16) 일측에 스프링(20)을 이너패널(10)과 연결되게 설치한다.
또한, 상기 커버(14)의 결착부(22)가 삽입될수 있도록 사이드 필라트림(12)에 홈부(24)를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사이드 필라 트림에 내장된 코트 후크 설치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사이드 필라트림에 형성되어 있는 코트 후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이드 필라트림 내부에 코트 후크를 내장 설치하고 상기 코트 후크 외측에 결착부가 형성된 커버를 설치하며 이 결착부가 삽입될수 있도록 필라트림 일측에 홈부를 형성함으로써 코트 후크를 필요시에만 사이드 필라트림으로부터 돌출시켜 사용할수 있어 외관상 수려함과 탑승자가 필라트림에 충돌시 후크에 의해 발생되는 사고를 예방할수 있는 자동차의 사이드 필라 트림에 내장된 코트 후크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라(pillar)는 윈도 옆의 기둥을 말하며 도어부와 루프의 중간에 있으며 자동차의 강도를 지지하고 있다. 윈드실드와 사이드 윈도 사이의 필라는 프런트 필라, 앞· 뒤 사이드 윈도 사이의 필라는 센터 필라 또는 사이드 필라, 사이드 윈도와 리어 윈도 사이의 필라는 리어 필라로 명칭되어 있다.
상기, 프런트 필라는 A 필라, 센터 필라(사이드 필라)는 B 필라, 리어 필라는 C 필라로도 불리고 있다.
그리고, 자동차는 보디의 스타일과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구별되고 있는데, 용도에 따른 분류로는 세단,(sedan), 리무진(limousine), 쿠페(coupe), 왜건(wagon)으로 분류되고, 지붕에 따른 분류로는 클로즈 보디(closed body), 하드톱(hardtop), 소프트톱(softtop)으로 분류되며, 도어 수에 따른 분류로는 2 도어(3 도어), 4 도어(5 도어)로 분류된다.
그리고 뒷부분 스타일에 따른 분류로는 노치백(notch back), 해치백(hatch back), 패스트백(fast back)으로 분류되며, 박스에 따른 분류로는 1 박스(one box), 2 박스(two box), 3 박스(three box), 변형박스(1.5 박스, 2.5 박스)로 분류된다.
또한, 자동차의 보디는 범퍼, 엔진 후드, 펜더, 필라, 윈도, 루프, 미러, 트렁크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범퍼(bumper)는 장애물이 보디에 직접 닿는 것을 막아주기 위해 차체 앞·뒤에 설치한 완충기이며, 바퀴 윗부분에 둥글게 씌운 흙받이용 철판은 펜더(fender)라고 불리우고 있다.
상기, 윈도(window)는 유리창으로서 프런트 윈도, 사이드 윈도, 리어 윈도 등이 있다.
상기, 엔진 후드(engine hood)는 엔진룸 위에 놓인 개폐용 뚜껑을 말하고 있는데 통상 보닛으로도 불리고 있으며, 개폐방식에 따른 분류로는 프런트 힌지방식과 리어 힌지방식이 있다.
상기, 프런트 힌지방식은 엔진 후드의 뒷부분에 열리는 방식으로 고속 주행중 바람에 의해 엔진 후드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지만 정비가 불편한 결점이 있으며, 상기 리어 힌지방식은 엔진 후드의 앞부분이 열리는 결점이 있어 최근에는 상기 두 방식의 결점을 상호보완하여 리어 힌지식에 2 단계식의 록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루프(roof)는 차의 지붕을 말하는 영국식 용어로서 미국에서는 톱(top)이라고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트렁크는 트렁크 룸과 트렁크 리드로 분류되는데, 상기 트렁크 룸을 개폐하는 뚜껑을 트렁크 리드(trunk lid)라고 한다.
종래에는, 도 1 에 나타낸 바와같이 자동차의 사이드 필라트림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필라트림(100) 일측에 코트 후크(120)를 필라트림(100)에 돌출되게 고정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진 것인데 필라트림(100)에 고정된 코트 후크(120)는 영구적으로 돌출되어 사용하게끔 형성되어 있으므로 불필요시 외관상 수려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또한, 차량의 충돌시나 탑승자가 졸다가 필라트림에 형성된 후크에 부딪쳐 머리에 타박상 등 상처를 입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이드 필라트림에 형성되는 코트 후크를 필라트림 내부에 고정 설치함으로써 외관상 수려함과 안전사고를 방지할수 있는 자동차의 사이드 필라 트림에 내장된 코트 후크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이드 필라트림 일측에 결착부가 형성된 커버를 고정힌지로써 고정 설치하고 이 커버 내측에 코트 후크를 이너패널과 스프링으로 연결하며 또한, 커버의 결착부가 삽입될수 있도록 필라트림 일측에 홈부를 형성함으로 인해 사이드 필라트림 외부로 돌출되는 코트 후크를 내측으로 내장시킨 자동차의 사이드 필라 트림에 내장된 코트 후크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도 1 은 종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일측개념도
도 2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일측개념도
도 3 의 (가)는 본 고안의 내재시 측단면예시도
(나)는 본 고안의 오픈시 측단면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사이드 이너패널
(12) : 사이드 필라트림
(14) : 커버
(16) : 코트 후크
(18) : 고정힌지
(20) : 스프링
(22) : 결착부
(24) : 홈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일측개념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 의 (가)는 본 고안의 내재시 측단면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나)는 본 고안의 오픈시 측단면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사이드 필라트림에 설치되는 코트 후크에 있어서, 사이드 필라트림(12) 일측을 절개하여 이 공간에 고정힌지(18)로써 하단에 결착부(22)가 형성된 커버(14)를 설치하고 커버(14) 내부에는 코트 후크(16)를 상기 고정힌지(18)에 고정 설치하며 코트 후크(16) 일측에 스프링(20)을 이너패널(10)과 연결되게 설치한다.
또한, 상기 커버(14)의 결착부(22)가 삽입될수 있도록 사이드 필라트림(12)에 홈부(24)를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겠다.
탑승자가 코트 후크(16)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3 의 (가)에서와 같이 커버(14)의 결착부(22)를 사이드 필라트림(12)에 형성된 홈부(24)에 삽입시켜서 커버(14)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코트 후크(16)가 사이드 필라트림(12) 내부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탑승자가 코트 후크(16)를 사용할 경우에는 도 3 의 (나)에서와 같이 커버(14)의 일측을 눌러서 결착부(22)가 사이드 필라트림(12)에 형성되어 있는 홈부(24)로부터 이탈되면서 커버(14) 내측에 설치된 코트 후크(16)가 이너패널(10)과 연결되어 있는 스프링(20)에 의해서 사이드 필라트림(12) 방향으로 전진하여 코트 후크(16)를 사용할수 있게 되는 작용을 한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사이드 필라트림에 형성되어 있는 코트 후크를 사이드 필라트림 일측에 형성시킨 커버 내측에 이너패널과 스프링으로써 고정 설치하고 상기 커버 하단부에는 결착부를 형성하여 사이드 필라트림 일측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시킴으로써 코트 후크를 사용하지 않을시에는 코트 후크를 사이드 필라트림 내부에 형성시키게 되어 외관상 수려함과 탑승자가 필라트림에 충돌시 코트 후크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사이드 필라트림에 설치되는 코트 후크에 있어서,
    사이드 필라트림(12) 일측을 절개하여 이 공간에 고정힌지(18)로써 하단에 결착부(22)가 형성된 커버(14)를 설치하고 커버(14) 내부에는 코트 후크(16)를 상기 고정힌지(18)에 고정 설치하며 코트 후크(16) 일측에 스프링(20)을 이너패널(10)과 연결되게 설치함과,
    또한, 상기 커버(14)의 결착부(22)가 삽입될수 있도록 사이드 필라트림(12)에 홈부(2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 필라 트림에 내장된 코트 후크 설치구조.
KR2019970034329U 1997-11-28 1997-11-28 자동차의 사이드 필라 트림에 내장된 코트 후크 설치구조 KR1999002084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329U KR19990020841U (ko) 1997-11-28 1997-11-28 자동차의 사이드 필라 트림에 내장된 코트 후크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329U KR19990020841U (ko) 1997-11-28 1997-11-28 자동차의 사이드 필라 트림에 내장된 코트 후크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841U true KR19990020841U (ko) 1999-06-25

Family

ID=69676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4329U KR19990020841U (ko) 1997-11-28 1997-11-28 자동차의 사이드 필라 트림에 내장된 코트 후크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084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6336A (en) Hatchback door of a motor vehicle
KR19990020841U (ko) 자동차의 사이드 필라 트림에 내장된 코트 후크 설치구조
KR0185901B1 (ko) 자동차 인사이드 핸들의 핸들 노브 복귀속도 감소장치
KR200157037Y1 (ko) 자동차 도어 글라스의 안전장치
KR200144500Y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를 이용한 콘택트 스위치 오작동 방지장치
KR200140890Y1 (ko) 소음 방지 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
KR0185900B1 (ko) 도어 록킹 노브가 일체로 구비되는 도어 인사이드 핸들
KR200144498Y1 (ko) 배수 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엔진 후드 패널
KR19980014072U (ko) 자동차 도어의 충격 방지 장치
KR19990012130A (ko)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 자동 닫힘 장치
KR200146031Y1 (ko) 자동차용 도어어셈블리의 임펙트구조
KR100208590B1 (ko) 도어 스위치 내장형 오버 슬램 범퍼
KR19990028383U (ko) 자동차의 도어 힌지에 내장된 도어 스톱장치
KR200154256Y1 (ko) 자동차의 도어 보강구조
KR200148456Y1 (ko) 자동차용 도어 센터 가니쉬 조립체
KR980007868U (ko) 자동차의 전착공정시 에어 포켓 현상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필라
KR200147532Y1 (ko) 자동차 백도어의 힌지구조
KR19980013409U (ko)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구조
KR19980018667U (ko) 자동차 도어 글래스의 개폐장치
KR19990028380U (ko) 자동차 도어의 체크 링크에 설치되는 서포트 브라켓구조
KR0132910Y1 (ko) 자동차 트렁크 리드용 섀클 어셈블리의 유동방지장치
KR980006825U (ko) 자동차의 전착공정시 헤밍 실러의 유출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엔진 후드 패널
KR19980045211U (ko) 자동차의 도어포켓
KR980008383U (ko) 자동차 도어 인사이드 핸들의 자동 열림 장치
JPH0825964A (ja) 自動車のサイドド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