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383U - 자동차의 도어 힌지에 내장된 도어 스톱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 힌지에 내장된 도어 스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383U
KR19990028383U KR2019970041009U KR19970041009U KR19990028383U KR 19990028383 U KR19990028383 U KR 19990028383U KR 2019970041009 U KR2019970041009 U KR 2019970041009U KR 19970041009 U KR19970041009 U KR 19970041009U KR 19990028383 U KR19990028383 U KR 199900283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door hinge
fixed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10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현철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410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8383U/ko
Publication of KR199900283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383U/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도어 힌지에 스톱(STOP) 장치를 설치한 것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도어 내부의 도어 이너 패널에 설치된 도어 힌지 일측에 홈을 형성하여 이 홈 내부에 스프링과 볼을 내장시키고 보디 힌지의 내측에 복수개의 걸림홈을 형성하며 도어 힌지와 보디 힌지를 고정핀으로 고정설치함으로써 볼과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는 단순구조로 원가를 절감할수 있음과 또한 작업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 힌지에 내장된 도어 스톱(STOP)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도어(10)의 도어 이너 패널(도시하지 않음) 상·하부에 고정되는 도어 힌지(12) 일측에 결속홈(20)을 형성하고 이 결속홈(20) 내부에 스프링(24)을 안치시키며 또한, 상기 스프링(24) 상부에 볼(22)을 안치시킨다.
또한, 상기 각각의 도어힌지(12)와 고정 설치되는 보디 힌지(14) 일측 하부에 복수개의 걸림홈(18)(18a)을 형성하고 상기 보디 힌지(14)와 도어 힌지(12)를 고정핀(16)으로써 고정 설치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힌지에 내장된 도어 스톱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 힌지에 스톱(STOP) 장치를 설치한 것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도어 내부의 도어 이너 패널에 설치된 도어 힌지 일측에 홈을 형성하여 이 홈 내부에 스프링과 볼을 내장시키고 보디 힌지의 내측에 복수개의 걸림홈을 형성하며 도어 힌지와 보디 힌지를 고정핀으로 고정설치함으로써 볼과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는 단순구조로 원가를 절감할수 있음과 또한 작업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 힌지에 내장된 도어 스톱(STOP)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보디의 스타일과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구별되고 있는데, 용도에 따라 세단, 리무진, 쿠페, 왜건으로 분류되고, 지붕 형태에 따라서는 클로즈 보디, 하드톱, 소프트톱으로 분류되며, 도어 수에 따른 분류로는 2 도어(3 도어), 4 도어(5 도어)로 분류된다.
그리고 차의 뒷부분 스타일에 따라 노치백, 해치백, 패스트백으로 분류되며, 박스에 따른 분류로는 1 박스, 2 박스, 3 박스, 변형박스(1.5 박스, 2.5 박스)로 분류된다.
또한, 자동차의 보디는 도어(프런트/리어), 엔진 후드 패널, 휀더 패널, 범퍼, 필라, 윈도, 루프 패널, 미러, 트렁크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상기 범퍼는 장애물이 보디에 직접 닿는 것을 막아주기 위해 차체 앞뒤에 설치한 완충기이며, 바퀴 윗부분에 둥글게 씌운 흙받이용 철판은 휀더 패널이라고 불리고 있다.
상기 윈도는 유리창으로서 프런트 윈도, 사이드 윈도, 리어 윈도 등이 있다.
상기 필라는 윈도 옆의 기둥을 말하고 있는데, 윈드실드와 사이드 윈도 사이의 필라는 프런트 필라, 앞 뒤 사이드 필라는 센터 필라 또는 사이드 필라, 사이드 윈도와 리어 윈도 사이의 필라는 리어 필라로 명칭되어 있다.
상기 프런트 필라는 A 필라, 센터 필라는 B 필라, 리어 필라는 C 필라로도 불리고 있다.
상기 엔진 후드 패널은 엔진룸 위에 놓인 개폐용 뚜껑을 말하고 있는데 통상 보닛으로 불리고 있으며, 개폐방식에 따른 분류로는 프런트 힌지방식과 리어 힌지방식이 있다.
상기 루프 패널은 자동차의 지붕을 말하는 영국식 용어로서 미국에서는 톱이라고 한다.
상기 트렁크는 트렁크 룸과 트렁크 리드로 분류되는데, 상기 트렁크 룸을 개폐하는 뚜껑을 트렁크 리드라고 한다.
그리고 자동차의 시동키로 개폐할수 있는 부분으로는 운전석 도어 및 조수석 도어, 글로브 박스, 연료탱크의 캡, 트렁크 리드가 있는데, 이러한 각 부위마다는 시동키의 텀블러와 일치되는 록 실린더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자동차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은 모노코크 보디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 모노코크 보디는 프레임이 없는 보디로서 오늘날 승용차의 대부분이 이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보디가 섀시 프레임과 일체로 되어 있으므로 경량일 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주행중 추돌 및 충돌사고시 충격 에너지 흡수가 잘된다는 장점이 있으며, 외부의 충격을 보디 전체로 흡수완화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섀시 부분은 보디에 직접 장착되기 때문에 승차감은 프레임 구조의 승용차보다 저하되지만 근래에 들어 서스펜션이나 엔진 마운트 기술 등의 지속적인 개발로 승차감이 저하되는 단점을 해소되어지고 있다.
그리고 프레임 구조의 차체에 비교하면 차실내 바닥을 낮게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으며, 이러한 모노코크 보디는 크게 프런트 보디(front body)/ 리어 보디(rear body)/ 언더 보디(under body)/ 사이드 보디(side body)로 구성된다.
상기 프런트 보디는 엔진이나 전륜 서스펜션, 라디에이터, 스티어링 기어박스 등이 부착되며 여러 가지 강성을 지니고 있고, 또한 충돌사고시 충돌에 따른 충격 에너지를 흡수완화하여 차실내의 운전자 및 탑승자를 보호하는 기능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상용되고 있다.
상기 리어 보디는 자동차의 외형에 따른 세단이나 해치백, 왜건 등 모양에 따라 그 형상이 달라져 있다.
상기 언더 보디는 리어 서스펜션이나 종감속 기어 등의 구동장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보디 강성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서스펜션의 움직임이나 진동의 대책으로서 멤버나 보강재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 보디는 자동차의 측면 즉 프런트 도어 및 리어 도어의 주변을 사이드 보디라고 하며, 승용차의 주행중 사고에 의해 전복되었을 때 변형을 최소한으로 억제한다는 것과, 승용차의 사이드 충돌사고시 각 도어가 차실내로 밀려들어오는 것을 방지한다는 것 및 그것에 따른 내구성 등이 고려되어 제작되고 있다.
종래에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한 바와같이 도어(100)의 도어 아우터 패널(140) 내부에 설치된 도어 이너 패널(160)의 상·하단에 회전이 가능한 도어 힌지(120)를 보디 이너 패널(180)과 연결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진 것인데 상기와 같은 구성은 도어(100)를 열게되면 도어 힌지(120)의 기능이 도어(100)를 지지하고 열고 닫는 기능으로서만 사용되고 있어 도어를 정해진 위치에서 정지하기 위해서는 도어 내부 중단부에 도어 첵커(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해야 함으로써 부품이 추가되어 원가가 상승하게 되며 또한, 이에 따른 작업성 및 도어의 차음성에 나쁜 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첨부된 도면중 미설명 부호 (200)은 휀더 패널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자동차 도어의 도어 힌지 일측에 형성된 볼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는 단순구조로써 도어를 정해진 위치에서 스톱할수 있도록 도어 힌지에 내장 설치함으로 인해 원가 절감 및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 힌지에 내장된 도어 스톱(STOP)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동차 도어의 도어 이너 패널에 설치된 도어 힌지 일측에 결속홈을 형성하고 이 결속홈 내부에 볼과 스프링을 안치시키며 보디에 고정되는 보디 힌지 내측에 복수개의 걸림홈을 형성함과 또한, 이 보디 힌지와 도어 힌지를 고정핀으로 고정 설치함으로써 도어를 열었을 때 스프링에 의해 볼이 보디 힌지의 걸림홈에 결속되어 도어를 정해진 위치에서 정지시킬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도어 힌지에 내장된 도어 스톱(STOP) 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도 1 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측면예시도
도 2 는 도 1 의 A-A선 단면계략도
도 3 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자동차의 측면예시도
도 4 의 (가)는 본 고안을 나타낸 단면예시도
(나)는 본 고안을 나타낸 평면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어
(12) : 도어 힌지
(14) : 보디 힌지
(16) : 고정핀
(18)(18a) : 걸림홈
(20) : 결속홈
(22) : 볼
(24) : 스프링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자동차의 측면예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 의 (가)는 본 고안을 나타낸 단면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나)는 본 고안을 나타낸 평면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도어(10)를 차체에 고정 설치하는 도어 힌지(12)에 있어서, 상기 도어(10)의 도어 이너 패널(도시하지 않음) 상·하부에 고정되는 도어 힌지(12) 일측에 결속홈(20)을 형성하고 이 결속홈(20) 내부에 스프링(24)을 안치시키며 또한, 상기 스프링(24) 상부에 볼(22)을 안치시킨다.
또한, 상기 각각의 도어힌지(12)와 고정 설치되는 보디 힌지(14) 일측 하부에 복수개의 걸림홈(18)(18a)을 형성하고 상기 보디 힌지(14)와 도어 힌지(12)를 고정핀(16)으로써 고정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겠다.
자동차 도어(10)를 열게 되면 보디 힌지(14)와 고정핀(16)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는 도어 힌지(12)가 도어(10)를 따라 보디 힌지(14)와 고정된 고정핀(16)을 축으로 회전하면서 도어 힌지(12)의 결속홈(20)에 내장된 볼(22)이 스프링(24) 힘에 의해 보디 힌지(14)의 첫 번째 걸림홈(18)에 걸림에 따라 정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 힌지(12)의 결속홈(20)에 내장된 볼(22)이 보디 힌지(14)의 첫 번째 걸림홈(18)에 걸린 상태에서 다시 일정한 힘을 가하게 되면 도어 힌지(12)가 회전하면서 볼(22)이 보디 힌지(14)의 걸림홈(18)에서 이탈이 되어 두 번째 걸림홈(18a)에 걸리게 되므로 인해 도어(10)를 정해진 위치에서 정지할수 있게한 작용을 한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를 보디에 고정시키는 보디 힌지와 도어 힌지에 보디 힌지의 일측 하부에 복수개의 걸림홈을 형성하고 도어 힌지 일측에는 결속홈을 형성하여 이 결속홈에 볼과 스프링을 내장 설치함으로써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도어 스톱 장치인 도어 첵커를 대체할수 있는 구조로 이로 인해 원가를 절감시킬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성 및 실링(sealing)성을 향상시킬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도어(10)를 차체에 고정 설치하는 도어 힌지(12)에 있어서,
    상기 도어(10)의 도어 이너 패널(도시하지 않음) 상·하부에 고정되는 도어 힌지(12) 일측에 결속홈(20)을 형성하고 이 결속홈(20) 내부에 스프링(24)을 안치시키며 또한, 상기 스프링(24) 상부에 볼(22)을 안치시킴과,
    또한, 상기 각각의 도어힌지(12)와 고정 설치되는 보디 힌지(14) 일측 하부에 복수개의 걸림홈(18)(18a)을 형성하고 상기 보디 힌지(14)와 도어 힌지(12)를 고정핀(16)으로써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힌지에 내장된 도어 스톱(STOP) 장치.
KR2019970041009U 1997-12-26 1997-12-26 자동차의 도어 힌지에 내장된 도어 스톱장치 KR1999002838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009U KR19990028383U (ko) 1997-12-26 1997-12-26 자동차의 도어 힌지에 내장된 도어 스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009U KR19990028383U (ko) 1997-12-26 1997-12-26 자동차의 도어 힌지에 내장된 도어 스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383U true KR19990028383U (ko) 1999-07-15

Family

ID=69695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1009U KR19990028383U (ko) 1997-12-26 1997-12-26 자동차의 도어 힌지에 내장된 도어 스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838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9274A (ko) * 2020-02-27 2021-09-06 문종배 문틈 밀착형 손 끼임 방지용 여닫이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9274A (ko) * 2020-02-27 2021-09-06 문종배 문틈 밀착형 손 끼임 방지용 여닫이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5921A (en) Shock absorbing device for automobile pillar panels
KR19990028383U (ko) 자동차의 도어 힌지에 내장된 도어 스톱장치
KR0185901B1 (ko) 자동차 인사이드 핸들의 핸들 노브 복귀속도 감소장치
KR200140890Y1 (ko) 소음 방지 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
KR0185900B1 (ko) 도어 록킹 노브가 일체로 구비되는 도어 인사이드 핸들
KR200140894Y1 (ko) 자동차 도어 인사이드 핸들의 완충 구조
KR19990028380U (ko) 자동차 도어의 체크 링크에 설치되는 서포트 브라켓구조
KR19990028381U (ko) 자동차 도어의 디포지트 박스에 설치되는 가이드판 설치구조
KR19980013409U (ko)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구조
KR19980012889U (ko)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KR200144497Y1 (ko) 자동차 도어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잠금 장치
KR0185899B1 (ko) 도난 방지 구조를 갖는 자동차 도어 인사이드 핸들
KR200157037Y1 (ko) 자동차 도어 글라스의 안전장치
JPS5932573A (ja) 自動車のスペアタイヤ保持構造
KR200146885Y1 (ko) 자동차의 프린트 도어 힌지 레인포스먼트 패널 보강 구조
KR200224292Y1 (ko) 자동차용 보강 스트라이커
KR19980014072U (ko) 자동차 도어의 충격 방지 장치
KR0171805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인너 패널 보강구조
KR19980024633U (ko) 자동차 프런트 필라 로어 패널의 보강 구조
KR100368394B1 (ko) 자동차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리어로워 보강구조
KR19990012130A (ko)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 자동 닫힘 장치
KR19990028197U (ko) 자동차 에이 힌지 필러 로워부의 충격흡수구조
KR980008383U (ko) 자동차 도어 인사이드 핸들의 자동 열림 장치
KR19990020841U (ko) 자동차의 사이드 필라 트림에 내장된 코트 후크 설치구조
JPH07205838A (ja) 前部車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