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380U - 자동차 도어의 체크 링크에 설치되는 서포트 브라켓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의 체크 링크에 설치되는 서포트 브라켓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380U
KR19990028380U KR2019970041006U KR19970041006U KR19990028380U KR 19990028380 U KR19990028380 U KR 19990028380U KR 2019970041006 U KR2019970041006 U KR 2019970041006U KR 19970041006 U KR19970041006 U KR 19970041006U KR 19990028380 U KR19990028380 U KR 199900283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racket
door
check link
rivet
ca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10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욱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410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8380U/ko
Publication of KR199900283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380U/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 도어에 설치되는 체크 링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도어의 체크 링크에 설치되고 있는 서포트 브라켓의 리벳 연결 부위를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리벳이 체결되는 홀을 슬롯홀로 천공함으로 인해 도어의 처짐에 의하여 리벳의 회전축이 슬롯홀내에서 유동이 되게 되므로 스퀴즈 노이즈와 도어 스윙이 발생하지 않아 견고한 장착으로 품질을 향상시킬수 있는 자동차 도어의 체크 링크에 설치되는 서포트 브라켓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서포트 브라켓(10)의 끝단부를

Description

자동차 도어의 체크 링크에 설치되는 서포트 브라켓 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에 설치되는 체크 링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도어의 체크 링크에 설치되고 있는 서포트 브라켓의 리벳 연결 부위를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리벳이 체결되는 홀을 슬롯홀로 천공함으로 인해 도어의 처짐에 의하여 리벳의 회전축이 슬롯홀내에서 유동이 되게 되므로 스퀴즈 노이즈와 도어 스윙이 발생하지 않아 견고한 장착으로 품질을 향상시킬수 있는 자동차 도어의 체크 링크에 설치되는 서포트 브라켓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보디의 스타일과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구별되고 있는데, 용도에 따라 세단, 리무진, 쿠페, 왜건으로 분류되고, 지붕 형태에 따라서는 클로즈 보디, 하드톱, 소프트톱으로 분류되며, 도어 수에 따른 분류로는 2 도어(3 도어), 4 도어(5 도어)로 분류된다.
그리고 차의 뒷부분 스타일에 따라 노치백, 해치백, 패스트백으로 분류되며, 박스에 따른 분류로는 1 박스, 2 박스, 3 박스, 변형박스(1.5 박스, 2.5 박스)로 분류된다.
또한, 자동차의 보디는 도어(프런트/리어), 엔진 후드 패널, 휀더 패널, 범퍼, 필라, 윈도, 루프 패널, 미러, 트렁크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상기 범퍼는 장애물이 보디에 직접 닿는 것을 막아주기 위해 차체 앞뒤에 설치한 완충기이며, 바퀴 윗부분에 둥글게 씌운 흙받이용 철판은 휀더 패널이라 불리고 있다.
상기 윈도는 유리창으로서 프런트 윈도, 사이드 윈도, 리어 윈도 등이 있다.
상기 필라는 프런트 필라, 앞.뒤 사이드 필라는 센터 필라 또는 사이드 필라, 사이드 윈도와 리어 윈도 사이의 필라는 리어 필라로 명칭되어 있다.
상기 프런트 필라는 A 필라, 센터 필라는 B 필라, 리어 필라는 C 필라로도 불리고 있다.
상기 엔진 후드 패널은 엔진룸 위에 놓인 개폐용 뚜껑을 말하고 있는데 통상 보닛으로 불리고 있으며, 개폐방식에 따른 분류로는 프런트 힌지방식과 리어 힌지방식이 있다.
상기 루프 패널은 자동차의 지붕을 말하는 영국식 용어로서 미국에서는 톱이라고 한다.
상기 트렁크는 트렁크 룸과 트렁크 리드로 분류되는데, 상기 트렁크 룸을 개폐하는 뚜껑을 트렁크 리드라고 한다.
그리고 자동차의 시동키로 개폐할 수 있는 부분으로는 운전석 도어 및 조수석 도어, 글로브 박스, 연료탱크의 캡, 트렁크 리드가 있는데, 이러한 각 부위마다는 시동키의 텀블러와 일치되는 록 실린더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자동차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은 모노코크 보디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 모노코크 보디는 프레임이 없는 보디로서 오늘날 승용차의 대부분이 이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보디가 섀시 프레임과 일체로 되어 있으므로 경량일 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주행중 추돌 및 충돌사고시 충격 에너지 흡수가 잘된다는 장점이 있으며, 외부의 충격을 보디 전체로 흡수완화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섀시 부분은 보디에 직접 장착되기 때문에 승차감은 프레임 구조의 승용차보다 저하되지만 근래에 들어 서스펜션이나 엔진 마운트 기술 등의 지속적인 개발로 승차감이 저하되는 단점을 해소시키고 있다.
그리고 프레임 구조의 차체에 비교하면 차실내 바닥을 낮게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으며, 이러한 모노코크 보디는 크게 프런트 보디(front body)/리어 보디(rear body)/언더 보디(under body)/ 사이드 보디(side body)로 구성된다.
상기 프런트 보디는 엔진이나 전륜 서스펜션, 라디에이터, 스티어링 기어박스 등이 부착되며 여러 가지 강성을 지니고 있고, 또한 충돌사고시 충돌에 따른 충격 에너지를 흡수완화하여 차실내의 운전자 및 탑승자를 보호하는 기능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상용되고 있다.
상기 리어 보디는 자동차의 외형에 따른 세단이나 해치백, 왜건 등 모양에 따라 그 형상이 달라져 있다.
상기 언더 보디는 리어 서스펜션이나 종감속 기어 등의 구동장차기 장착되어 있으며, 보디 강성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서스펜션의 움직임이나 진동의 대책으로서 멤버나 보강재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 보디는 자동차의 측면 즉 프런트 도어 및 리어 도어의 주변을 사이드 보디라고 하며, 승용차의 주행중 사고에 의해 전복되었을 때 변형을 최소한으로 억제한다는 것과, 승용차의 사이드 충돌사고시 각 도어가 차실내로 밀려들어오는 것을 방지한다는 것 및 그것에 따른 내구성 등이 고려되어 제작되고 있다.
종래에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자동차 도어(200)의 체크 링크(220) 구조는 하우징(260)에 관통되게 스트랩(120)을 설치하고 이 스트랩(120) 한쪽 끝단부에 스토퍼(240)를 설치하며 또한, 스트랩(120)의 다른 쪽 끝단부에는 ""형의 서포트 브라켓(100)을 리벳(160)으로 설치 형성한다.
또한, 상기 서포트 브라켓(100)의 상부 일측에는 볼트(280)가 체결되는 체결구(180)를 형성하고 하부 일측에는 리벳(160)이 결합되는 리벳홀(140)을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진 것이다.
그런데, 도어는 아웃 사이드 패널(도시하지 않음)에 힌지(도시없음)와 체크 링크로 연결되어 있는데 도어가 오픈시 도어의 중량에 의해 도어의 처짐 현상이 발생하여 상기 서포트 브라켓과 조인트되어 있는 스트랩이 아래로 기울어져 리벳 부위에서 스퀴즈 노이즈(squeeze noise)가 발생되고 아울러 스트랩이 제대로 회전되지 않아 힌지 토크(hinge torque)에 영향을 주어 도어 스윙(swing) 조건에 맞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자동차 도어에 설치되는 체크 링크의 서포트 브라켓의 형상을 변경하여 설치함으로써 도어를 열고 닫을 때 서포트 브라켓과 스트랩을 고정시키는 리벳이 하방향으로 이동되게 되어 도어가 처짐으로 스퀴즈 노이즈 및 도어의 스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장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는 자동차 도어의 체크 링크에 설치되는 서포트 브라켓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체크 링크의 서포트 브라켓을형으로 형성하고 또한 서포트 브라켓에 리벳이 체결되는 홀을 슬롯홀로 형성함으로써 도어를 오픈시 서포트 브라켓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스트랩이 하방향으로 처짐과 동시에 리벳이 서포트 브라켓의 슬롯홀을 따라 위치 이동하게 되므로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아 견고한 장착으로 품질을 향상시킬수 있는 자동차 도어의 체크 링크에 설치되는 서포트 브라켓 구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도 1 은 일반적인 체크 링크의 위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 는 종래 체크 링크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3 은 종래의 서포트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서포트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의 (가)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단면예시도
(나)는 도어가 오픈된 상태에서의 단면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서포트 브라켓
(12) : 스트랩
(14) : 슬롯홀
(16) : 리벳
(18) : 체결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는 본 고안의 서포트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 의 (가)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단면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5 의 (나)는 도어가 오픈된 상태에서의 단면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자동차 도어의 체크 링크에 설치되는 서포트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브라켓(10)의 끝단부를형으로 형성하고 이 서포트 브라켓(10)의 상부 일측에 볼트(도시하지 않음)가 체결되는 체결구(18)를 형성하며 또한, 상기 서포트 브라켓(10) 하단에 스트랩(12)과 고정시키는 리벳(16)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슬롯홀(14)을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겠다.
자동차 도어(200)의 체크 링크(220) 구조에 있어 스트랩(12)과 서포트 브라켓(10)이 리벳(16)으로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5 의 (가)에서와 같이 도어가 닫혀있을 때에는 서포트 브라켓(10)과 스트랩(12)이 수평되게 위치 고정되어 있게 되고 그리고, 도 5 의 (나)에서와 같이 도어를 오픈시켰을 때에는 서포트 브라켓(10)의 경사져 있는 면에 의하여 스트랩(12)이 하방향으로 처지게 됨과 동시에 또한, 서포트 브라켓(10) 하단에 형성된 슬롯홀(14)로 인하여 서포트 브라켓(10)과 스트랩(12)을 고정시키는 리벳(16)이 하부로 위치 이동하게 됨으로 도어의 처짐에 의해 리벳의 회전축이 움직이게 되는 작용을 한다.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의 체크 링크에 설치되는 서포트 브라켓의 하단부를 경사지게 형성하고 서포트 브라켓과 스트랩을 고정시키는 리벳의 삽입홀을 서포트 브라켓에 슬롯홀로서 형성함으로써 상기 서포트 브라켓의 경사진 면과 슬롯홀로 인하여 도어를 오픈시 서포트 브라켓 상단에 고정되는 스트랩이 하방향으로 처짐과 동시에 상기 슬롯홀에 의하여 리벳이 하부로 이동하게 되어 도어의 처짐으로 리벳의 회전축이 움직여 스퀴즈 노이즈 및 도어의 스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장착을 견고하게 함으로 품질을 향상시킬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자동차 도어의 체크 링크에 설치되는 서포트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브라켓(10)의 끝단부를형으로 형성하고 이 서포트 브라켓(10)의 상부 일측에 볼트(도시하지 않음)가 체결되는 체결구(18)를 형성하며 또한, 상기 서포트 브라켓(10) 하단에 스트랩(12)과 고정시키는 리벳(16)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슬롯홀(1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체크 링크에 설치되는 서포트 브라켓 구조.
KR2019970041006U 1997-12-26 1997-12-26 자동차 도어의 체크 링크에 설치되는 서포트 브라켓구조 KR1999002838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006U KR19990028380U (ko) 1997-12-26 1997-12-26 자동차 도어의 체크 링크에 설치되는 서포트 브라켓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006U KR19990028380U (ko) 1997-12-26 1997-12-26 자동차 도어의 체크 링크에 설치되는 서포트 브라켓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380U true KR19990028380U (ko) 1999-07-15

Family

ID=69678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1006U KR19990028380U (ko) 1997-12-26 1997-12-26 자동차 도어의 체크 링크에 설치되는 서포트 브라켓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838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5901B1 (ko) 자동차 인사이드 핸들의 핸들 노브 복귀속도 감소장치
KR19990028380U (ko) 자동차 도어의 체크 링크에 설치되는 서포트 브라켓구조
KR200140890Y1 (ko) 소음 방지 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
KR19990028383U (ko) 자동차의 도어 힌지에 내장된 도어 스톱장치
KR0185900B1 (ko) 도어 록킹 노브가 일체로 구비되는 도어 인사이드 핸들
KR200140894Y1 (ko) 자동차 도어 인사이드 핸들의 완충 구조
KR19980013409U (ko)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구조
KR200224292Y1 (ko) 자동차용 보강 스트라이커
KR200144497Y1 (ko) 자동차 도어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잠금 장치
KR19990028381U (ko) 자동차 도어의 디포지트 박스에 설치되는 가이드판 설치구조
KR200157037Y1 (ko) 자동차 도어 글라스의 안전장치
KR0185899B1 (ko) 도난 방지 구조를 갖는 자동차 도어 인사이드 핸들
KR19980012889U (ko)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KR200170963Y1 (ko) 자동차의 리어 휠 하우스 인너패널과 리어 스커트패널의 연결부 보강구조
KR200146879Y1 (ko) 자동차의 프런트 도어 힌지 레인포스먼트 패널 보강 구조
KR19980024633U (ko) 자동차 프런트 필라 로어 패널의 보강 구조
KR19990028197U (ko) 자동차 에이 힌지 필러 로워부의 충격흡수구조
JPH07205838A (ja) 前部車体構造
KR19980014072U (ko) 자동차 도어의 충격 방지 장치
KR19990020841U (ko) 자동차의 사이드 필라 트림에 내장된 코트 후크 설치구조
KR19990012130A (ko)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 자동 닫힘 장치
KR19980024588U (ko) 자동차 프런트 필라 로어 패널의 보강 구조
KR19980024587U (ko) 자동차 프런트 필라 로어 패널의 보강 구조
KR19990007183U (ko) 자동차의 사이드아우터 패널 강도 보강구조
KR19980024596U (ko) 자동차의 프런트 필라 보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