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149B1 - 힌지 캡 - Google Patents

힌지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149B1
KR102580149B1 KR1020197030944A KR20197030944A KR102580149B1 KR 102580149 B1 KR102580149 B1 KR 102580149B1 KR 1020197030944 A KR1020197030944 A KR 1020197030944A KR 20197030944 A KR20197030944 A KR 20197030944A KR 102580149 B1 KR102580149 B1 KR 102580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lid
circular
cap
hinge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0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8805A (ko
Inventor
토루 사하라
유지 타카야마
Original Assignee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8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1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33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38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 B65D47/0842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consisting of a strap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4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with drip catchers or drip-pre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성으로 내용액의 튀어나옴을 방지하고, 상부 뚜껑의 원형 수하부보다 내측의 캡 최상면이나 외주 접촉부 부근으로의 내용물의 부착을 억제함과 아울러, 상부 뚜껑의 개폐가 용이한 힌지 캡을 제공하는 것. 캡 본체(110)와 상부 뚜껑(130)을 힌지(150)로 접속한 힌지 캡(100)으로서, 캡 본체(110)의 상면측에는 통형상 주출벽(112)이 형성되고, 상부 뚜껑 최상면(131)에는 원형 수하부(132)가 형성되고, 원형 수하부(132)는 통형상 주출벽(112)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외주 접촉부(133)를 갖고, 적어도 힌지의 접속부의 반대측의 원형 수하부(132)의 하방부에 액고임 방지부(134)를 갖고 있는 것.

Description

힌지 캡
본 발명은 용기 입구부에 끼워맞춰지고, 용기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토출용 유로를 상부 뚜껑의 동작으로 개폐 가능하게 한 힌지 캡에 관한 것이다.
종래, 용기 입구부에 장착되는 캡 본체에 상부 뚜껑이 힌지 연결된 힌지 캡은 최상판부 및 최상판부의 둘레가장자리로부터 수하한 통형상 측벽의 내측에 용기 입구부가 고정되는 캡 본체와, 캡 본체와 힌지로 접속된 상부 뚜껑을 갖고, 상부 뚜껑은 상부 뚜껑 최상면 및 상부 뚜껑 최상면의 둘레가장자리로부터 수하한 스커트부를 갖고, 캡 본체에 대해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고, 예를 들면 각종 조미료가 충전된 용기의 캡으로서 여러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힌지 캡에서는 상부 뚜껑의 동작에 의해 개폐를 행하는 것이며, 상부 뚜껑을 닫아서 밀폐한 힌지 캡 내는 상부 뚜껑의 내면측까지 용기 내와 연통한 상태로 유지되므로, 한번 사용한 용기를 쓰러뜨려서 보관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상부 뚜껑의 내측에 내용액이 부착되는 일이 있다.
이 때문에, 상부 뚜껑의 내측에 내용액이 부착된 채 다시 사용할 때, 상부 뚜껑을 열었을 때의 기세에 의해, 내용액이 비산되거나, 새어 나올 우려가 있고, 이들의 문제발생의 방지를 목적으로 해서 통형상 주출벽(주출통부(15))을 가진 캡 본체(3)와, 통형상 주출벽(주출통부(15))의 내주면에 전체 둘레에 걸쳐 접촉하는 외주 접촉부(밀봉부(S))를 형성하는 원형 수하부(밀봉통(24)), 및 원형 수하부(밀봉통(24))의 주위를 둘러싸는 스커트부(환상 측벽(26))를 상부 뚜껑 최상면(최상면벽(23))으로부터 각각 수하하는 상부 뚜껑(뚜껑체(5))을 구비한 힌지 캡(토출캡(1))으로서, 통형상 주출벽(주출통부(15))의 외주 접촉부(밀봉부(S))와의 접촉 위치의 상단으로부터 선단을 확개시켜서, 통형상 주출벽(주출통부(15)) 및 원형 수하부(밀봉통(24)) 상호간에 둘레홈(28)과 둘레홈(28)에 연결되는 액고임부(30)를 각각 형성하고, 또한, 원형 수하부(밀봉통(24))의 외주면 및, 상부 뚜껑 최상면(최상면벽(23))의 이면측면 중 원형 수하부(밀봉통(24))와 스커트부(환상 측벽(26)) 사이에 형성된 환상면을 경면 표면으로 각각 구성함과 아울러, 스커트부(환상 측벽(26))의 내주면을 주름 표면으로 구성한 힌지 캡(주출캡(1))이 특허문헌 1 등에서 공지이다.
이 힌지 캡(토출캡(1))은 통형상 주출벽(주출통부(15))의 외주 접촉부(밀봉부(S))와의 접촉 위치의 상단으로부터 선단을 확개시켜서 통형상 주출벽(주출통부(15)) 및 원형 수하부(밀봉통(24)) 상호간에 둘레홈(28)과 둘레홈(28)에 연결되는 액고임부(30)를 각각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내용액을 주출했을 때에 통형상 주출벽(주출통부(15))의 선단에 부착된 내용액이 용기 내로 완전하게 되돌아오지 않는 동안에 상부 뚜껑(뚜껑체(5))을 닫아도 통형상 주출벽(주출통부(15))의 선단에 부착된 내용액은 원형 수하부(밀봉통(24))의 외주면과 통형상 주출벽(주출통부(15))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둘레홈(28)을 따라 액고임부(30)에 고이며, 상부 뚜껑(뚜껑체(5))을 다시 열었을 때에 액고임부(30)에 고인 내용액을 통형상 주출벽(주출통부(15))의 내측면을 따라 유하하고, 용기 내로 되돌릴 수 있다.
또한 원형 수하부(밀봉통(24))의 외주면 및, 상부 뚜껑 최상면(최상면벽(23))의 이면측면 중 원형 수하부(밀봉통(24))와 스커트부(환상 측벽(26)) 사이에 형성된 환상면을 경면 표면으로 각각 구성함으로써 원형 수하부(밀봉통(24))의 외주면 및 상부 뚜껑 최상면(최상면벽(23))의 환상면에 부착된 내용액을 신속하게 액고임부(30)에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스커트부(환상 측벽(26))의 내주면을 주름 표면으로 구성함으로써 스커트부(환상 측벽(26))의 내주면에 부착된 내용액을 주름 표면에 의해 유지하여 힌지 캡(주출캡(1)) 밖으로 떨어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일본 특허 제5657999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힌지 캡에 있어서는 아직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즉 내용액을 주출했을 때에 통형상 주출벽(주출통부(15))의 선단에 부착된 내용액이 용기 내로 완전히 되돌아오지 않는 동안에 상부 뚜껑(뚜껑체(5))을 닫은 후, 액고임부(30)에 내용액을 모아도, 용기를 쓰러뜨려서 보관하거나, 진동시키면, 액고임부(30)로부터 내용액이 넘쳐버릴 우려가 있었다.
또한 반복해서 상부 뚜껑(뚜껑체(5))을 개폐하고, 내용액을 주출할 때마다 상부 뚜껑(뚜껑체(5))의 원형 수하부(밀봉통(24))보다 내측의 상부 뚜껑 최상면(최상면벽(23))의 원형 수하부(밀봉통(24))의 상승부분이나, 원형 수하부(밀봉통(24))의 선단과 통형상 주출벽 사이에 서서히 내용액이 부착되어서 내용액의 표면장력에 의해 머무르고, 상부 뚜껑(뚜껑체(5))을 열었을 때의 기세로 내용액이 튀어나와 버릴 우려가 있었다.
또한 스커트부(환상 측벽(26))와 캡 본체(3) 사이의 밀폐성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경우, 상부 뚜껑(뚜껑체(5))을 열 때, 스커트부(환상 측벽(26))와 원형 수하부(밀봉통(24)) 사이의 공간용적이 일시적으로 확장됨으로써 부압상태로 되고, 헐거워지기 시작한 외주 접촉부(밀봉부(S))로부터 내용액이 빨아내어지도록 튀어나올 우려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외주 접촉부(밀봉통(S))가 힌지(7)측을 향함에 따라서 길게 수하하고 있기 때문에, 상부 뚜껑(뚜껑체(5))을 닫을 때에 액고임부(30)와 원형 수하부(밀봉통(24))가 간섭하기 쉬워 힌지 캡(주출캡(1))이 닫히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들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며, 간단한 구성으로 내용액의 튀어나옴을 방지하고, 상부 뚜껑의 원형 수하부보다 내측의 상부 뚜껑 최상면이나 외주 접촉부 부근에의 내용물의 부착을 억제함과 아울러, 상부 뚜껑의 개폐가 용이한 힌지 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힌지 캡은 최상판부 및 최상판부의 둘레가장자리로부터 수하한 통형상 측벽의 내측에 용기 입구부가 끼워맞춤 고정되는 캡 본체와, 캡 본체와 힌지로 접속된 상부 뚜껑을 갖고, 상부 뚜껑은 상부 뚜껑 최상면 및 상부 뚜껑 최상면의 둘레가장자리로부터 수하한 스커트부를 갖고, 캡 본체에 대해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 힌지 캡으로서, 최상판부의 상면측에는 최상판부로부터 돌출한 통형상 주출벽이 형성되고, 상부 뚜껑 최상면의 하면측에는 상부 뚜껑 최상면으로부터 돌출한 원형 수하부가 형성되고, 원형 수하부는 상부 뚜껑이 캡 본체에 대해서 닫혔을 때에 통형상 주출벽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외주 접촉부를 갖고, 적어도 힌지의 접속부의 반대측의 원형 수하부의 하방부에 액고임 방지부를 갖고 있음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제 1 항에 따른 힌지 캡에 의하면, 상부 뚜껑 최상면으로부터 돌출한 원형 수하부가 형성되고, 원형 수하부는 상부 뚜껑이 캡 본체에 대해서 닫혔을 때에 통형상 주출벽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외주 접촉부를 갖고, 적어도 힌지의 접속부의 반대측의 원형 수하부의 하방부에 액고임 방지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원형 수하부의 선단 부근에 부착되는 내용액이 머무는 공극을 없앨 수 있어 비산의 원인이 되는 내용액의 고임을 억제할 수 있다.
스커트부와 원형 수하부 사이의 공간용적이 일시적으로 확장됨으로써 부압상태가 되고, 통형상 주출벽과 외주 접촉부의 간극으로부터 내용액을 빨아 내는 힘이 발생하지만, 상부 뚜껑을 열 때에 통형상 주출벽과 외주 접촉부 사이의 밀폐성이 최초로 해제되는 것은 통형상 주출벽과 경사 끝면의 형성된 액고임 방지부로 밀봉되어 있는 영역이기 때문에, 빨아 내어지는 내용액의 양은 미량이며, 내용액의 튀어나옴은 발생하지 않는다.
제 2 항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액고임 방지부는 원형 수하부의 외주면 하단으로부터 중심축측을 향해서 상부 뚜껑 최상면에 접근하도록 연장되는 경사 끝면이기 때문에, 원형 수하부의 선단 부근에 부착되는 내용액이 머무는 공극을 없앨 수 있어 비산의 원인이 되는 내용액의 고임을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다.
제 3 항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힌지와의 접속부의 근방측의 원형 수하부의 하방부에 끼워맞춤 유도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부 뚜껑을 닫을 때에 힌지측의 원형 수하부와 통형상 주출벽의 접촉에 의한 저항이 저감되어 용이하게 힌지 캡을 닫을 수 있다.
제 4 항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끼워맞춤 유도부는 원형 수하부의 외주면 하단으로부터 중심축측을 향해서 상부 뚜껑 최상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유도 끝면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부 뚜껑을 닫을 때에 힌지측의 원형 수하부의 선단과 통형상 주출벽의 상단이 간섭한 경우라도, 유도 끝면을 따라 원형 수하부가 통형상 주출벽의 내주면측으로 유도되도록 닫히므로, 보다 확실하게 힌지 캡을 닫을 수 있다.
제 5 항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경사 끝면과 유도 끝면은 서서히 형상을 바꾸어서 형성된 점진 변화 끝면에 의해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경사 끝면과 유도 끝면을 직접 접속시키는 경우에 비해서 끝면형상의 스위칭이 원활하게 되어 상부 뚜껑을 닫을 때에 통형상 주출벽으로의 원형 수하부의 접촉에 의한 저항을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금형제작이나 성형 상에 있어서의 비용 감소가 가능하다.
제 6 항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상부 뚜껑이 캡 본체에 대해서 닫혔을 때의 용기 입구부와 연통하는 공간 내 중, 적어도 통형상 주출벽, 원형 수하부 및 상부 뚜껑 최상면의 표면의 일부에는 조면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뚜껑의 원형 수하부보다 내측의 상부 뚜껑 최상면의 원형 수하부의 상승부분이나, 원형 수하부의 선단 부근에 내용액이 부착되어도 조면부에 의해 내용액을 유지하고, 내용액이 1개소에 고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힌지 캡(100)의 상부 뚜껑(130)을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도, 상부 뚜껑(130)의 내면의 형성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 및, 원형 수하부(132) 부근의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힌지 캡(100)의 상부 뚜껑(130)을 다 닫지 못한 상태 및, 상부 뚜껑(130)을 닫은 상태의 단면도 및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힌지 캡(100)의 내용액(L)을 토출한 후에 상부 뚜껑(130)을 닫아서 보관하는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도 및 원형 수하부(132) 부근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힌지 캡(100)의 한번 내용액(L)을 토출하여 상부 뚜껑(130)을 닫은 후에, 상부 뚜껑(130)을 개방할 때의 힌지 캡(100)의 내면에 부착된 내용액(L)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힌지 캡(100)의 경사 끝면(136)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에,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힌지 캡(100)에 대해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힌지 캡(100)은 용기 입구부(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장착되고, 용기 내부에 수용된 내용액(L)의 토출용 유로를 상부 뚜껑(130)의 동작으로 개폐 가능하게 한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듯이, 최상판부(111) 및 최상판부(111)의 둘레가장자리로부터 수하한 통형상 측벽(120)을 갖고, 통형상 측벽(120)의 내측에 용기 입구부(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가 끼워맞춤 고정되는 캡 본체(110)와, 캡 본체(110)와 힌지(150)로 접속된 상부 뚜껑(130)을 갖고 있다.
캡 본체(110)의 최상판부(111)의 상면측에는 최상판부(111)로부터 돌출한 통형상 주출벽(112)이 형성되어 있고, 이 통형상 주출벽(112)의 상단은 나팔형상으로 퍼져서 액이 흘러내리지 않는 특성의 향상이 꾀해지고, 또한 액의 배출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최상판부(111)의 통형상 주출벽(112)보다 내측에는 얇은 홈형상으로 형성된 무단상 스코어(113)가 형성되고, 무단상 스코어(113)의 내주로부터 지주(114)가 상방을 향해서 형성되어 있다.
지주(114)의 상단에는 무단상 스코어(113)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풀링(115)이 접속되어 있고, 이 풀링(115)을 인장함으로써, 무단상 스코어(113)가 파단되고, 내용액(L)을 주출하기 위한 개구가 최상판부(111)에 형성되게 되어 있다.
또한 최상판부(111)의 하면측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용기 끼워맞춤용 이너링(122)이 형성되어 있다.
통형상 측벽(120)의 내측에는 맞물림용 돌기(121)가 형성되어 있고, 이너링(122)과 맞물림용 돌기(121) 사이에 용기 입구부(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가 끼워넣어지고, 또한 맞물림용 돌기(121)가 용기 입구부(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의 외면에 맞물림으로써, 캡 본체(110)는 용기 입구부(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끼움부착 고정된다.
통형상 측벽(120)의 상방에는 주상 돌기(123)가 형성되어 있고, 주상 돌기(123)의 상부에는 반경방향 외방으로 돌출한 볼록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뚜껑(130)은 상부 뚜껑 최상면(131) 및 상부 뚜껑 최상면(131)의 둘레가장자리로부터 수하한 스커트부(142)를 갖고, 스커트부(142)의 하단부가 캡 본체(110)에 대해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스커트부(142)의 힌지(150) 접속부와 반대측의 외주에는 캡 본체(110)로부터 상부 뚜껑(130)을 개봉하기 위한 개봉용 플랜지(14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커트부(142)의 하부 내측에는 오목부(144)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뚜껑 최상면(131) 중 상부 뚜껑(130)이 캡 본체(110)에 대해서 닫혔을 때의 최상판부(111)와 대향하는 측에는 상부 뚜껑 최상면(131)으로부터 돌출하고, 상부 뚜껑(130)이 캡 본체(110)에 대해서 닫혔을 때, 통형상 주출벽(112)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외주 접촉부(133)를 갖는 링형상의 원형 수하부(132)가 형성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듯이, 상부 뚜껑 최상면(131)으로부터 수하하는 원형 수하부(132)와 스커트부(142) 사이에는 아우터링(141)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원형 수하부(132)와 아우터링(141) 사이에는 원형 수하부(132)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유지홈(14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형 수하부(132)의 외주 접촉부(133)는 통형상 주출벽(112)의 내주면과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고, 원형 수하부(132)의 중심축으로부터, 개봉용 플랜지(143)로 연장시킨 선을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60도씩 회전시켜서 형성한 호의 범위에서, 원형 수하부(132)의 하방부에는 액고임 방지부(134)가 형성되어 있다.
액고임 방지부(134)는 접촉 가장자리(135)와 경사 끝면(136)을 갖고 있고, 접촉 가장자리(135)는 액고임 방지부(134)의 최하단에 호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통형상 주출벽(112)과 연속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경사 끝면(136)은 접촉 가장자리(135)로부터 원형 수하부(132)의 중심축측을 향해서 상부 뚜껑 최상면(131)에 접근하도록 연장되고, 액고임 방지부(134)의 하단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들에 의해, 상부 뚜껑(130)을 닫았을 때, 통형상 주출벽(112)과 액고임 방지부(134) 사이에 내용액(L)이 고이는 공극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
또, 액고임 방지부(134)의 범위는 원형 수하부(132)의 중심축으로부터 개봉용 플랜지(143)로 연장시킨 선을,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30∼70도씩 회전시켜서 형성한 호의 범위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액고임 방지부(134)의 최하단면에 경사 끝면(136)을 형성하지 않고, 접촉 가장자리(135)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시킨 선만으로 형성하고, 액고임 방지부(134)를 직사각형상으로 구성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경사 끝면(136)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형상 이외에도, 예를 들면 도 5(s)∼(u)에 나타내듯이, 오목 곡면, 직선, 볼록 곡면 등으로 접촉 가장자리(135)로부터 원형 수하부(132)의 중심축측을 향해서 서서히 상부 뚜껑 최상면(131)에 접근하도록 경사 끝면(136)을 형성하고 있으면 좋기 때문에, 접촉 가장자리(135)로부터의 연장 시작이 수평방향의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도 5(v)에 나타내듯이, 직선과 볼록 곡면과 같이, 다른 형상의 조합 등으로 경사 끝면(136)을 형성해도 좋다.
또한, 도 1(c)에 나타내듯이, 원형 수하부(132)의 중심축으로부터 힌지(150)와의 접속부로 연장시킨 선을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90도씩 회전시켜서 형성한 호의 범위에서 통형상 주출벽(112)의 내주면과 접촉 가능하게 구성된 끼워맞춤 유도부(137)를 형성하고 있고, 끼워맞춤 유도부(137)의 하단면에는 원형 수하부(132)의 외주면 하단으로부터 중심축측을 향해서 상부 뚜껑 최상면(131)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유도 끝면(138)이 형성되어 있다.
또, 끼워맞춤 유도부(137)의 형성 범위는 원형 수하부(132)의 중심축으로부터 힌지(150)와의 접속부로 연장시킨 선을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60∼90도씩 회전시켜서 형성한 호의 범위인 것이 적합하다.
이것에 의해, 도 2(d)에 나타내듯이, 상부 뚜껑(130)을 닫을 때, 원형 수하부(132)는 끼워맞춤 유도부(137)의 유도 끝면(138)에 의해 통형상 주출벽(112)의 내주면측으로 유도되고, 힌지(150)측의 원형 수하부(132)의 외주 접촉부(133)가 통형상 주출벽(112)의 내주면과 접촉한다.
이 때, 개봉용 플랜지(143)측의 원형 수하부(132)가 개봉용 플랜지(143)측으로 변형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도, 힌지(150)측의 원형 수하부(132)는 외주 접촉부(133)의 내주면으로 유도된 후이기 때문에, 원형 수하부(132)는 전체 둘레에 걸쳐 통형상 주출벽(112)의 선단에 걸리지 않고 용이하게 끼워맞출 수 있다.
또한 경사 끝면(136)과 유도 끝면(138)은 서서히 형상을 바꾸어서 형성된 점진 변화 끝면(139)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힌지 캡(100)의 상부 뚜껑(130)을 닫으면, 도 2에 나타내듯이, 주상 돌기(123)의 볼록부(124)와, 스커트부(142)의 오목부(144)가 맞물혀서 캡 본체(110)와 상부 뚜껑(130)은 끼워맞춤 고정된다.
이 때, 통형상 주출벽(112)의 선단은 원형 수하부(132)와 아우터링(141) 사이에 수용되므로, 통형상 주출벽(112)의 내주면은 원형 수하부(132)의 접촉 가장자리(135)를 하단으로 하는 외주 접촉부(133)와 밀착되어 있다.
또, 통형상 주출벽(112)의 경사 끝면(136)과의 접점보다 하방과, 상부 뚜껑 최상면(131)의 원형 수하부(132)보다 내측의 내면과, 원형 수하부(132)의 내주면과, 경사 끝면(136)과, 유도 끝면(138)과, 점진 변화 끝면(139)은 표면이 산술 평균 거칠기 Ra로 3.0∼15㎛의 조면가공이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힌지 캡(100)에 의한 내용액(L)의 토출공정에 있어서의 힌지 캡(100) 내에 부착된 내용액(L)의 움직임에 대해서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닫혀진 상부 뚜껑(130)을 열고, 풀링(115)을 인장하고, 무단상 스코어(113)를 파단함으로써 최상판부(111)에 개구를 형성한다.
다음에 용기를 기울리는 등 해서 통형상 주출벽(112)의 힌지(150) 접속부와 반대측을 따라 내용액(L)을 필요량 주출하고, 상부 뚜껑(130)을 닫는다.
이 때, 내용액(L)은 통형상 주출벽(112)의 내주면으로부터 나팔형상으로 형성된 선단에 걸쳐서 소량 부착되어 있으며, 상부 뚜껑(130)을 닫음으로써 원형 수하부(132)와 아우터링(141) 사이와, 최상판부(111)의 개구에 연통하고 있는 캡 본체(110) 및 상부 뚜껑(130)으로 형성된 공간 내의 내면에 내용액(L)이 남는 일이 있다.
이들 내용액(L)은 한번의 토출공정에서는 누설이나 떨어짐이 발생하는 양이 부착되는 일은 없지만, 토출공정을 반복하거나, 상부 뚜껑(130)을 닫아서 옆으로 넘어뜨려 보관하면, 부착되는 내용액(L)이 증가한다.
특히, 종래의 원형 수하부(132)의 형상에서는 상부 뚜껑(130)의 원형 수하부(132)보다 내측의 상부 뚜껑 최상면(131)의 원형 수하부(132)의 상승부분이나, 원형 수하부(132)와 통형상 주출벽(112) 사이에 공극이 있는 경우, 내용액(L)의 표면장력에 의해 내용액(L)이 머물고, 상부 뚜껑(130)을 열었을 때의 기세로 내용액(L)이 비산되어 버리는 일이 있지만, 도 3(g)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형태의 힌지 캡(100)의 개봉용 플랜지(143)측의 원형 수하부(132)의 하방부에는 접촉 가장자리(135) 및 경사 끝면(136)이 형성된 액고임 방지부(134)를 갖고 있기 때문에, 개봉용 플랜지(143)측의 원형 수하부(132)의 선단 부근에는 흘러내림이나 누설의 원인이 되는 양의 내용액(L)이 고이는 크기의 공극이 생기지 않고, 내용액(L)이 머무는 일은 없다.
또한 통형상 주출벽(112)의 선단에 부착된 내용액(L)은 상부 뚜껑(130)을 닫은 상태에서는 원형 수하부(132)와 아우터링(141)으로 둘러싸여진 공간 내에 수용되며, 옆으로 넘어뜨려 보관할 때 등에 있어서 유지홈(140)에 모아지고, 표면장력에 의해 유지홈(140) 내에 머무르는 일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부 뚜껑(130)을 열어도 유지홈(140)으로부터 내용액(L)이 튀어나오는 일은 없다.
또한, 주상 돌기(123)의 볼록부(124)와 스커트부(142)의 오목부(144)의 맞물림에 의해 스커트부(142)와 캡 본체(110) 사이의 밀폐성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경우, 상부 뚜껑(130)을 열 때, 스커트부(142)와 원형 수하부(132) 사이의 공간용적이 일시적으로 확장됨으로써 부압상태가 되고, 통형상 주출벽(112)과 외주 접촉부(133)의 간극으로부터 내용액(L)을 빨아 내는 힘이 발생하지만, 상부 뚜껑(130)을 열 때에 통형상 주출벽(112)과 외주 접촉부(133) 사이의 밀폐성이 최초로 해제되는 것은 통형상 주출벽(112)과 경사 끝면(136)의 형성된 액고임 방지부(134)로 밀봉되어 있는 영역이기 때문에, 빨아 내어지는 내용액(L)의 양은 미량이며, 내용액(L)의 튀어나옴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힌지(150)측의 원형 수하부(132)의 선단 부근에는 통형상 주출벽(112)과 유도 끝면(138) 사이에 큰 공극이 형성되고, 도 3(h)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용액(L)이 고이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 뚜껑(130)을 열었을 때, 밀폐성이 최초로 해제되는 것은 통형상 주출벽(112)과 경사 끝면(136)의 형성된 액고임 방지부(134)로 밀봉되어 있는 영역이기 때문에, 힌지(150)측의 원형 수하부(132)가 통형상 주출벽(112)으로부터 떨어졌을 때에는 외기와 등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내용액(L)의 튀어나옴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통형상 주출벽(112)의 접촉 가장자리(135)와의 접점보다 하방과, 상부 뚜껑 최상면(131)의 원형 수하부(132)보다 내측의 내면과, 원형 수하부(132)의 내주면과, 경사 끝면(136)과, 유도 끝면(138)과, 점진 변화 끝면(139)은 표면이 조면 가공되어 있기 때문에, 최상판부(111)의 개구에 연통하고 있는 캡 본체(110) 및 상부 뚜껑(130)으로 형성된 공간 내의 내면에 남는 내용액(L)을 조면 가공부 상에 분산 유지하고, 내용액(L)이 집중적으로 고이는 개소를 없애서 상부 뚜껑(130)을 열었을 때의 내용액(L)의 튀어나옴을 억제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고 여러가지 설계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원형 수하부의 외주 접촉부는 통형상 주출벽의 내주면과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고, 원형 수하부의 중심축으로부터 개봉용 플랜지로 연장시킨 선을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60도씩 회전시켜서 형성한 호의 범위에서, 원형 수하부의 하방부에는 접촉 가장자리와 경사 끝면을 가진 액고임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액고임 방지부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원형 수하부의 전체 둘레의 하방부에 걸쳐 액고임 방지부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원형 수하부의 중심축으로부터 힌지와의 접속부로 연장시킨 선을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90도씩 회전시켜서 형성한 호의 범위에서 통형상 주출벽의 내주면과 접촉 가능하게 구성된 끼워맞춤 유도부를 형성하고 있음과 아울러, 끼워맞춤 유도부로부터 원형 수하부의 중심측에 상부 뚜껑 최상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유도 끝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끼워맞춤 유도부 및 유도 끝면의 형성 상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유도 끝면이 없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경사 끝면과 유도 끝면은 서서히 형상을 바꾸어서 형성된 점진 변화 끝면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점진 변화 끝면의 형성상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원형 수하부의 중심으로부터 개봉용 플랜지로 연장시킨 선을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60도씩 회전시켜서 형성한 호에 위치하는 외주 접촉부의 하단으로부터 원형 수하부의 중심축측에 상부 뚜껑 최상면에 접근하도록 연장되는 경사 끝면을 형성함과 아울러, 유도 끝면을 형성하지 않고, 경사 끝면의 양단을 연결시키도록 점진 변화 끝면에 의해 접속해도 좋고, 점진 변화 끝면이 없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통형상 주출벽의 외주 접촉부보다 하방과, 상부 뚜껑 최상면의 원형 수하부보다 내측의 내면과, 원형 수하부의 내주면과, 경사 끝면과, 유도 끝면과, 점진 변화 끝면은 표면이 조면 가공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조면 가공을 실시하는 개소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경사 끝면에만 조면가공을 실시하고 있어도 좋고, 원형 수하부와 통형상 주출벽의 접촉부 이외의 힌지 캡의 전체면에 조면가공을 실시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주상 돌기의 볼록부와 스커트부의 오목부의 맞물림에 의해 스커트부와 캡 본체 사이의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스커트부와 캡 본체 사이의 관계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볼록부를 주상 돌기의 개봉용 플랜지측에만 형성하고, 스커트부와 캡 본체를 밀폐하지 않고 맞물리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뚜껑 최상면 중, 상부 뚜껑이 캡 본체에 대해서 닫혔을 때의 최상판부와 대향하는 측에는 상부 뚜껑 최상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상부 뚜껑이 캡 본체에 대해서 닫혔을 때, 통형상 주출벽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외주 접촉부를 갖는 링형상의 원형 수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원형 수하부의 형성상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중실의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100···힌지 캡
110···캡 본체
111···최상판부
112···통형상 주출벽
113···무단상 스코어
114···지주
115···풀링
120···통형상 측벽
121···맞물림용 돌기
122···용기 끼워맞춤용 이너링
123···주상 돌기
124···볼록부
130···상부 뚜껑
131···상부 뚜껑 최상면
132···원형 수하부
133···외주 접촉부
134···액고임 방지부
135···접촉 가장자리
136···경사 끝면
137···끼워맞춤 유도부
138···유도 끝면
139···점진 변화 끝면
140···유지홈
141···아우터링
142···스커트부
143···개봉용 플랜지
144···오목부
150···힌지
L ···내용액

Claims (6)

  1. 최상판부 및 상기 최상판부의 둘레가장자리로부터 수하한 통형상 측벽의 내측에 용기 입구부가 끼워맞춤 고정되는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와 힌지로 접속된 상부 뚜껑을 갖고, 상기 상부 뚜껑은 상부 뚜껑 최상면 및 상기 상부 뚜껑 최상면의 둘레가장자리로부터 수하한 스커트부를 갖고,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 힌지 캡으로서,
    상기 최상판부의 상면측에는 상기 최상판부로부터 돌출한 통형상 주출벽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뚜껑 최상면의 하면측에는 상기 상부 뚜껑 최상면으로부터 돌출한 원형 수하부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 수하부는 상기 상부 뚜껑이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닫혔을 때에 상기 통형상 주출벽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외주 접촉부를 갖고,
    적어도 상기 힌지의 접속부의 반대측의 상기 원형 수하부의 하방부에 액고임 방지부를 갖고,
    상기 액고임 방지부는 상기 원형 수하부의 외주면 하단으로부터 중심축측을 향해서 상기 상부 뚜껑 최상면에 접근하도록 연장되는 경사 끝면이고,
    상기 힌지와의 접속부의 근방측의 상기 원형 수하부의 하방부에는 끼워맞춤 유도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워맞춤 유도부는 상기 원형 수하부의 외주면 하단으로부터 중심축측을 향해서 상기 상부 뚜껑 최상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유도 끝면을 갖고,
    상기 경사 끝면과 상기 유도 끝면은 서서히 형상을 바꾸어서 형성된 점진 변화 끝면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뚜껑이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닫혔을 때의 상기 용기 입구부와 연통하는 공간 내 중, 적어도 상기 통형상 주출벽, 상기 원형 수하부 및 상기 상부 뚜껑 최상면의 표면의 일부에는 조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캡.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7030944A 2017-04-13 2018-04-10 힌지 캡 KR1025801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79552 2017-04-13
JP2017079552A JP6999225B2 (ja) 2017-04-13 2017-04-13 ヒンジキャップ
PCT/JP2018/014985 WO2018190314A1 (ja) 2017-04-13 2018-04-10 ヒンジキャッ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805A KR20190138805A (ko) 2019-12-16
KR102580149B1 true KR102580149B1 (ko) 2023-09-19

Family

ID=63792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0944A KR102580149B1 (ko) 2017-04-13 2018-04-10 힌지 캡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273960B2 (ko)
EP (1) EP3611110B1 (ko)
JP (1) JP6999225B2 (ko)
KR (1) KR102580149B1 (ko)
CN (1) CN110494370B (ko)
ES (1) ES2940481T3 (ko)
SG (1) SG11201909301VA (ko)
WO (1) WO20181903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74462B2 (ja) * 2018-12-25 2024-04-25 三笠産業株式会社 ヒンジキャップ
JP2020183280A (ja) * 2019-04-26 2020-11-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ヒンジキャップ
JP7325912B2 (ja) * 2019-11-20 2023-08-1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注出キャップ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6864Y2 (ja) * 1991-03-04 1997-09-0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破断開口部付き蓋栓
JP5657999B2 (ja) * 2010-10-29 2015-01-2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注出キャップ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79290A (en) * 1961-06-05 1965-04-20 Owens Illinois Glass Co Drip-preventing and pouring means and method for forming same
JPS5657999U (ko) 1979-10-11 1981-05-19
JPH082118Y2 (ja) * 1989-06-28 1996-01-2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蓋付き注出栓の液跳ね・液垂れ防止装置
JPH09290853A (ja) * 1996-04-26 1997-11-11 Kikkoman Corp 開封式中栓及びそのキャップ
JP4123778B2 (ja) * 2001-12-28 2008-07-23 東洋製罐株式会社 液垂れ防止液体注出キャップ
DE102004050875A1 (de) * 2004-10-18 2006-04-20 Erwes-Reifenberg Gmbh & Co. Kg Verschlusskappe mit Ausgussmündung
EP2641843B1 (en) * 2007-08-31 2016-03-02 Yoshino Kogyosho Co., Ltd. Discharge cap for bottle-like container body
US9567140B2 (en) * 2014-06-12 2017-02-14 Dart Industries Inc. Container with drip-proof cap
CN104960748A (zh) * 2015-06-16 2015-10-07 江苏龙灯博士摩包装材料有限公司 防内溢式储液容器口封闭结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6864Y2 (ja) * 1991-03-04 1997-09-0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破断開口部付き蓋栓
JP5657999B2 (ja) * 2010-10-29 2015-01-2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注出キャ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494370B (zh) 2021-10-29
SG11201909301VA (en) 2019-11-28
EP3611110A1 (en) 2020-02-19
CN110494370A (zh) 2019-11-22
KR20190138805A (ko) 2019-12-16
US11273960B2 (en) 2022-03-15
US20200039702A1 (en) 2020-02-06
EP3611110A4 (en) 2021-01-27
JP6999225B2 (ja) 2022-01-18
JP2018177297A (ja) 2018-11-15
WO2018190314A1 (ja) 2018-10-18
ES2940481T3 (es) 2023-05-08
EP3611110B1 (en) 202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0149B1 (ko) 힌지 캡
JP2009062091A (ja) 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5797585B2 (ja) 二重容器
JP6406643B2 (ja) 液吐出容器
JP5913069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6501699B2 (ja) 注出容器
JP2014231370A (ja) ヒンジキャップ
JPH072500B2 (ja) 液体容器
JP5522691B2 (ja) 注出蓋
JP2016097990A (ja) ヒンジキャップ
JP2009248978A (ja) 注出用中栓
JP6320035B2 (ja) キャップ
JP7315426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6847518B2 (ja) 注出キャップ
JP5611543B2 (ja) 液だまり防止キャップ
JP5133009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2004210354A (ja) 容器
JP5886110B2 (ja) 合成樹脂製注出キャップ
JP4966734B2 (ja) 注出筒付き蓋
JP5897380B2 (ja) 注出キャップ
JP2017088228A (ja) キャップ
JP2023158513A (ja) キャップ
JP2021121546A (ja) キャップ
JP5430840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2015205710A (ja) プッシュプル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