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6476B1 -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6476B1
KR102566476B1 KR1020220104179A KR20220104179A KR102566476B1 KR 102566476 B1 KR102566476 B1 KR 102566476B1 KR 1020220104179 A KR1020220104179 A KR 1020220104179A KR 20220104179 A KR20220104179 A KR 20220104179A KR 102566476 B1 KR102566476 B1 KR 102566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unit
wrapping
cutting
wrappin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4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우영
조효숙
Original Assignee
장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우영 filed Critical 장우영
Priority to KR1020220104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6476B1/ko
Priority to KR1020230103533A priority patent/KR20240026090A/ko
Priority to KR1020230103534A priority patent/KR20240026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31B50/20Cutting sheets o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05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involving a particular layout of the machinery or relative arrangement of its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7Feeding sheets or blanks by air pressure or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10Feeding or positioning webs
    • B31B50/12Feeding or positioning webs by air pressure or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31B50/146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using tools mounted on a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는 제1 종이가 수납되는 제1 종이 수납 유닛, 상기 제1 종이를 흡착하는 롤러 형상의 제1 서포트 유닛 및 롤러 형상으로 상기 제1 서포트 유닛과 밀착되어 상기 제1 종이를 제1 포장지 및 제1 파지로 절단하는 제1 절단 유닛을 포함하는 제1 종이 절단 모듈; 제2 종이가 수납되는 제2 종이 수납 유닛, 상기 제2 종이 및 상기 제1 서포트 유닛에 흡착된 상기 제1 종이 중 어느 하나를 제공받아 흡착하는 제2 서포트 유닛 및 상기 제2 종이를 제2 포장지 및 제2 파지로 절단하는 제2 절단 유닛을 포함하는 제2 종이 절단 모듈; 상기 제2 서포트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포장지들을 제공받아 흡착 및 지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 포장지들을 분리하는 포장지 분리 유닛; 상기 제2 서포트 유닛으로부터 상기 포장지 분리 유닛으로 제공되지 않은 상기 제1 및 제2 파지들을 수거하는 파지 수거 유닛; 및 상기 포장지 분리 유닛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제1 및 제2 포장지들이 적층되는 포장지 수거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APPARATUS FOR CUTTING AND SEPERATING WRAPPER FROM PAPER OF DUAL TYPE}
본 발명은 2개의 종이 원단으로부터 포장지를 각각 재단하여 포장지 및 파지를 구분하고 포장지를 선별하여 수거하는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을 수납하는 포장 박스(wrapper box)는 주로 종이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종이가 무게가 가볍고 저렴하며 가공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종이 소재로 포장 박스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큰 평면적을 갖는 종이 원단을 재단하여 전개된 포장지 및 파지를 제작하고, 포장지 및 파지를 수작업으로 분리한 후, 포장지를 접고 접착하는 과정을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종이 원단은 칼날에 의하여 절단되는데 작업자가 포장지 및 파지를 수작업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칼날은 종이 원단으로부터 포장지 및 파지를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일부로 포장지 및 파지의 일부분을 절단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완전히 절단되지 않은 포장지 및 파지는 작업자에 의하여 분리된 후 포장지는 포장지를 접고 접착하는 박스 형성 장치로 제공되어 포장지 박스가 제조된다.
그러나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종이 원단으로부터 포장지 및 파지를 분리할 경우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고, 수작업으로 종이 원단으로부터 포장지 및 파지를 분리하는 도중 포장지의 일부가 손상되어 포장지 분량이 발생되며, 전체적으로 생산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갖는다.
최근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하여 종이 원단을 칼날로 절단, 포장지와 파지를 분리한 후 연속적으로 포장지를 접고 접착하는 박스 형성 공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는데, 포장지를 칼날로 절단, 포장지 및 파지를 분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박스 형성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보다 길어 후속 공정인 박스 형성 공정이 연속적으로 수행되지 못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함께 갖는다.
일본 특허공보 특허제4106483호, 종이의 재단 장치(등록일: 2008.04.11) 일본 특허공보 특허제3531160호, 종이의 재단면의 품질을 검사하는 방법(등록일: 2004.03.12)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34654호, 박스 포장지용 파지제거장치(등록일: 2006.12.19)
본 발명은 종이 원단을 칼날로 절단한 후 자동으로 종이 원단으로부터 분리된 포장지 및 파지를 분리하고, 포장지를 별도 수납 공간에 수납할 수 있는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2 매의 종이 원단을 연속적으로 칼날로 절단한 후 2매의 종이 원단으로부터 분리된 포장지들 및 파지들을 분리함으로써 포장지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이 박스 형성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보다 짧도록 함으로써 후속 공정인 박스 형성 공정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도록 하여 포장지 박스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를 제공한다.
종이 원단을 칼날로 절단한 후 자동으로 종이 원단으로부터 분리된 포장지 및 파지를 분리하고, 포장지를 별도 수납 공간에 수납할 수 있으며, 분리된 포장지를 촬영하여 생성된 이미지를 판독하여 불량 포장지를 별도로 배출하여 불량 포장지가 양품 포장지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한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는 제1 종이가 수납되는 제1 종이 수납 유닛, 상기 제1 종이를 흡착하는 롤러 형상의 제1 서포트 유닛 및 롤러 형상으로 상기 제1 서포트 유닛과 밀착되어 상기 제1 종이를 제1 포장지 및 제1 파지로 절단하는 제1 절단 유닛을 포함하는 제1 종이 절단 모듈; 제2 종이가 수납되는 제2 종이 수납 유닛, 상기 제2 종이 및 상기 제1 서포트 유닛에 흡착된 상기 제1 종이 중 어느 하나를 제공받아 흡착하는 제2 서포트 유닛 및 상기 제2 종이를 제2 포장지 및 제2 파지로 절단하는 제2 절단 유닛을 포함하는 제2 종이 절단 모듈; 상기 제2 서포트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포장지들을 제공받아 흡착 및 지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 포장지들을 분리하는 포장지 분리 유닛; 상기 제2 서포트 몸체로부터 상기 포장지 분리 유닛으로 제공되지 않은 상기 제1 및 제2 파지들을 수거하는 파지 수거 유닛; 및 상기 포장지 분리 유닛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제1 및 제2 포장지들이 적층되는 포장지 수거 유닛을 포함한다.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의 상기 제1 종이 절단 모듈은 상기 제1 종이 수납 유닛에 수납된 상기 제1 종이의 상면과 접촉되어 상기 제1 종이를 상기 제1 종이 수납 유닛의 외부로 밀어내는 제1 푸시 롤러 및 밀어낸 상기 제1 종이를 상기 제1 절단 유닛 및 상기 제1 서포트 유닛의 사이로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를 포함하는 제1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종이 절단 모듈은 상기 제2 종이 수납 유닛에 수납된 상기 제2 종이의 상면과 접촉되어 상기 제2 종이를 상기 제2 종이 수납 유닛의 외부로 밀어내는 제2 푸시 롤러 및 밀어낸 상기 제2 종이를 상기 제2 절단 유닛 및 상기 제2 서포트 유닛의 사이로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를 포함하는 제2 가이드 유닛을 포함한다.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의 상기 제1 푸시 롤러 및 상기 제2 푸시 롤러는 상기 제2 서포트 유닛에 상기 제1 및 제2 종이가 겹친 상태로 흡착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및 제2 종이들을 시간차를 두고 상기 제1 및 제2 종이 수납 유닛들로부터 밀어낸다.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의 상기 제1 서포트 유닛은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갖는 제1 서포트 몸체, 상기 중공과 상기 제1 서포트 몸체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제1 관통홀, 상기 중공에 삽입되며 다수개의 제1 홀이 형성되며 회전하지 않는 제1 고정 파이프 및 상기 제1 고정 파이프의 내부를 상기 제1 종이를 흡착하기 위한 제1 진공 구역 및 상기 제1 종이를 상기 제1 서포트 유닛으로부터 분리 시키기 위한 제1 대기압 구역으로 구분하는 제1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서포트 유닛은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갖는 제2 서포트 몸체, 상기 중공과 상기 제2 서포트 몸체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제2 관통홀, 상기 중공에 삽입되며 다수개의 제2 홀이 형성되며 회전하지 않는 제2 고정 파이프 및 상기 제2 고정 파이프의 내부를 상기 제1 및 제2 종이들을 흡착하기 위한 제2 진공 구역 및 상기 제1 및 제2 종이들을 상기 제2 서포트 유닛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제2 대기압 구역으로 구분하는 제2 격벽을 포함한다.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의 상기 제2 진공 구역의 상기 제2 진공압은 상기 제1 진공 구역의 상기 제1 진공압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서포트 유닛에 흡착된 상기 제1 종이는 상기 제2 서포트 유닛으로 흡착된다.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의 상기 포장지 분리 유닛은 롤러 형상으로 상기 제2 서포트 몸체의 표면과 접촉되며 축 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된 롤러 몸체, 상기 중공에 삽입되며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며 고정된 고정 파이프 및 상기 고정 파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포장지 수거 유닛과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상기 관통홀에 대기압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포장지 수거 유닛과 대응하지 않는 부분에서는 상기 관통홀에 진공압이 형성되도록 하는 격벽을 포함하여 상기 롤러 몸체에 부착된 상기 제1 및 제2 포장지를 상기 포장지 수거 유닛으로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는 제1 종이가 수납되는 제1 종이 수납 유닛, 상기 제1 종이를 흡착하는 롤러 형상의 제1 서포트 유닛 및 롤러 형상으로 상기 제1 서포트 유닛과 밀착되어 상기 제1 종이를 제1 포장지 및 제1 파지로 절단하는 제1 절단 유닛을 포함하는 제1 종이 절단 모듈; 제2 종이가 수납되는 제2 종이 수납 유닛, 상기 제2 종이 및 상기 제1 서포트 유닛에 흡착된 상기 제1 종이 중 어느 하나를 제공받아 흡착하는 제2 서포트 유닛 및 상기 제2 종이를 제2 포장지 및 제2 파지로 절단하는 제2 절단 유닛을 포함하는 제2 종이 절단 모듈; 상기 제2 서포트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포장지들을 제공받아 흡착 및 지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 포장지들을 분리하는 포장지 분리 유닛; 상기 제2 구간에서 상기 제2 서포트 유닛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제1 및 제2 파지들을 수거하는 파지 수거 유닛; 상기 포장지 분리 유닛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제1 및 제2 포장지들이 적층되는 포장지 수거 유닛; 상기 제2 서포트 유닛에 흡착된 상기 제1 및 제2 종이들을 각각 촬영하여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각각 생성하는 카메라 유닛;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를 영상 처리하여 상기 제1 및 제2 포장지들의 양부를 판별하는 포장지 양부 판정 유닛; 및 상기 포장지 분리 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1 및 제2 포장지들 중 불량으로 판정된 불량 포장지가 상기 포장지 수거 유닛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포장지 분리 유닛과 접촉되거나 이격되는 분리 부재 및 상기 분리 부재를 왕복 운동 시키는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불량 포장지 제거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는 종이 원단을 칼날로 절단한 후 자동으로 종이 원단으로부터 분리된 포장지 및 파지를 분리하고, 포장지를 별도 수납 공간에 수납할 수 있고, 2 매의 종이 원단을 연속적으로 칼날로 절단한 후 2매의 종이 원단으로부터 분리된 포장지들 및 파지들을 분리함으로써 포장지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이 박스 형성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보다 짧도록 함으로써 후속 공정인 박스 형성 공정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도록 하여 포장지 박스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분리된 포장지를 촬영하여 생성된 이미지를 판독하여 불량 포장지를 별도로 배출하여 불량 포장지가 양품 포장지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서포트 유닛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고정 파이프의 내부에 배치된 제1 격벽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2 서포트 유닛의 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포장지 분리 유닛의 II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특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특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특허에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각각 기재되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별다른 기재가 없더라도 각 실시예들은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호 병합 및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900)는 제1 종이 절단 모듈(100), 제2 종이 절단 모듈(200), 포장지 분리 유닛(300), 파지 수거 유닛(400) 및 포장지 수거 유닛(500)을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서포트 유닛의 I-I' 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종이 절단 모듈(100)은 제1 종이 수납 유닛(110), 제1 서포트 유닛(120), 제1 절단 유닛(130) 및 제1 가이드 유닛(140)을 포함한다.
제1 종이 수납 유닛(110)은 다수매의 제1 종이(111)들이 적층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수납 카세트(112)를 포함한다.
제1 수납 카세트(112)의 내측에는 다수매가 적층된 제1 종이(111)들을 승강 및 하강시키는 제1 종이 승하강 유닛(114)이 배치된다.
제1 종이 승하강 유닛(114)은 제1 수납 카세트(112)의 내부에 다수매가 적층된 제1 종이(111)들 중 최상부에 배치된 제1 종이(111)가 후술될 제1 가이드 유닛(140)의 제1 푸시 롤러(142)와 접촉되도록 한다.
제1 서포트 유닛(120)은 제1 서포트 몸체(123), 제1 관통홀(124), 제1 고정 파이프(126) 및 제1 격벽(128)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제1 서포트 유닛(120)은 제1 서포트 몸체(123)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M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포트 몸체(123)는 중공(121)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공(121)은 제1 서포트 몸체(123)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중공(121)은 제1 서포트 몸체(123)의 일측 단부 및 상기 일측 단부와 대향하는 타측 단부를 관통한다.
제1 서포트 몸체(123)는 세라믹 소재, 금속 소재, 합성수지 소재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제1 서포트 몸체(123)는 제1 모터(M1)에 의하여 회전되는데, 제1 모터(M1)의 회전축에는 평기어가 결합되고, 제1 서포트 몸체(123)의 측면에도 평기어(122)가 배치되며, 평기어(122)는 제1 모터(M1)의 회전축에 결합된 평기어와 치차 결합되며, 제1 모터(M1)의 회전에 의하여 제1 서포트 몸체(123)는 회전된다.
제1 서포트 몸체(123)에 형성된 제1 관통홀(124)은 제1 서포트 몸체(123)의 외주면 및 중공(121)을 상호 연결한다. 제1 관통홀(124)은 제1 서포트 몸체(123)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관통홀(124)은 제1 종이(111)에 형성되는 제1 포장지 및 제1 포장지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파지와 대응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된다.
제1 고정 파이프(126)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제1 고정 파이프(126)는 제1 서포트 몸체(123)의 중공(121)에 삽입된다.
제1 고정 파이프(126)는 제1 서포트 몸체(123)의 축으로서 역할하며, 제1 고정 파이프(126)는 회전되지 않고 지정된 위치에 고정된다.
제1 고정 파이프(126)에는 제1 고정 파이프(126)의 내외부를 연통하는 다수개의 제1 홀(125)들이 형성되는데, 제1 홀(125)들은 각 제1 관통홀(124)과 대응하는 제1 고정 파이프(126)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고정 파이프(126)에 대하여 제1 서포트 몸체(123)가 회전될 경우 각 제1 관통홀(124)들은 제1 고정 파이프(126)의 제1 홀(125)과 단속적으로 연통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고정 파이프의 내부에 배치된 제1 격벽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고정 파이프(126)의 내부에 배치된 제1 격벽(128)은 제1 고정 파이프(126)의 내부를 제1 진공 구역(VA) 및 제1 대기압 구역(AA)으로 구분한다.
제1 격벽(128)은 제1 고정 파이프(126)의 내부를 제1 진공 구역(VA) 및 제1 대기압 구역(AA)로 구분하기 위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고정 파이프(126) 중 제1 격벽(128)에 의하여 형성된 제1 진공 구역(VA)에는 대기압보다 낮은 진공압이 형성되고 제1 홀(125) 및 제1 홀(125)과 대응하는 제1 관통홀(124)에도 각각 진공압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서, 제1 진공 구역(VA)의 진공 압력은 제1 진공압을 갖는다.
제1 관통홀(124)에 인가된 진공압에 의하여 제1 서포트 몸체(123)의 외측면에는 제1 종이(111)가 흡착될 수 있고, 제1 진공 구역(VA)에는 대기압보다 낮은 진공압을 형성하는 진공 펌프에 연결된 호스 등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1 종이(111)가 흡착된 제1 서포트 몸체(123)가 고정된 제1 고정 파이프(126)에 대하여 회전되어 제1 관통홀(124)이 제1 대기압 구역(AA)에 형성된 제1 홀(125)과 연통되면, 제1 관통홀(124)에 형성된 진공압이 해제되면서 제1 종이(111)는 제1 서포트 몸체(123)의 외주면으로부터 분리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제1 종이 절단 모듈(100)의 제1 절단 유닛(130)은 제1 종이(111)를 제1 포장지 및 제1 포장지의 외측에 남는 제1 파지로 절단한다.
제1 절단 유닛(130)은 제1 절단 몸체(132) 및 제1 칼날(134)을 포함한다.
제1 절단 몸체(132)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절단 몸체(132)는 제1 서포트 몸체(123)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1 절단 몸체(132)의 축 방향은 제1 서포트 몸체(123)의 축 방향과 평행하다.
제1 칼날(134)은 제1 절단 몸체(132)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제1 칼날(134)은 제1 서포트 몸체(123)에 흡착된 제1 종이(111)를 절단하여 제1 종이(111)를 제1 포장지 및 제1 파지로 구분한다.
제1 칼날(134)에 의하여 절단된 제1 포장지 및 제1 파지는 제1 서포트 몸체(123)에 흡착된다.
제1 가이드 유닛(140)은 제1 푸시 롤러(142) 및 제1 가이드(144)를 포함한다.
제1 푸시 롤러(142)는 제1 종이 수납 유닛(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 수납 카세트(112)에 수납된 제1 종이(111) 중 최상부에 배치된 제1 종이(111)와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되면서 제1 종이(111)를 제1 서포트 몸체(123) 및 제1 절단 몸체(132)의 사이를 향하는 방향으로 밀어낸다. 제1 푸시 롤러(142)는 모터(미도시)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제1 가이드(144)는 제1 푸시 롤러(142)에 의하여 제1 수납 카세트(112)로부터 밀려난 제1 종이(111)를 제1 서포트 몸체(123) 및 제1 절단 몸체(132) 사이로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제1 가이드(144)는 제1 종이(111)를 가이드하는 곡면을 갖는 가이드 레일 또는 제1 종이(111)를 가이드 하는 곡면을 갖는 가이드 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2 서포트 유닛의 II-II' 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종이 절단 모듈(200)은 제2 종이 수납 유닛(210), 제2 서포트 유닛(220), 제2 절단 유닛(230) 및 제2 가이드 유닛(240)을 포함한다.
제2 종이 수납 유닛(210)은 다수매의 제2 종이(211)들이 적층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 수납 카세트(212)를 포함한다.
제2 수납 카세트(212)의 내측에는 다수매가 적층된 제2 종이(211)들을 승강 및 하강시키는 제2 종이 승하강 유닛(214)이 배치된다.
제2 종이 승하강 유닛(214)은 제2 수납 카세트(212)의 내부에 다수매가 적층된 제2 종이(211)들 중 최상부에 배치된 제2 종이(211)가 후술될 제2 가이드 유닛(240)의 제2 푸시 롤러(242)와 접촉되도록 한다.
제2 서포트 유닛(220)은 제2 서포트 몸체(223), 제2 관통홀(224), 제2 고정 파이프(226) 및 제2 격벽(228)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제2 서포트 유닛(220)은 제2 서포트 몸체(223)를 회전시키는 제2 모터(M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제2 서포트 몸체(223)는 제1 서포트 유닛(120)의 제1 서포트 몸체(123)와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2 서포트 몸체(223)는 중공(221)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공(221)은 제2 서포트 몸체(223)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중공(221)은 제2 서포트 몸체(223)의 일측 단부 및 상기 일측 단부와 대향하는 타측 단부를 관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서포트 몸체(223)의 중공(221) 및 제1 서포트 몸체(123)의 중공(121)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2 서포트 몸체(223)는 세라믹 소재, 금속 소재, 합성수지 소재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제2 서포트 몸체(223)는 제2 모터(M2)에 의하여 회전되는데, 제2 모터(M2)의 회전축에는 평기어가 결합되고, 제2 서포트 몸체(223)의 측면에도 평기어(222)가 배치되며, 평기어(222)는 제2 모터(M2)의 회전축에 결합된 평기어와 치차 결합되며, 제2 모터(M2)의 회전에 의하여 제2 서포트 몸체(223)는 회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2 서포트 몸체(223)가 제2 모터(M2)에 의하여 회전되고, 제1 서포트 몸체(123)이 제1 모터(M1)에 의하여 회전되는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이와 다르게,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 서포트 몸체(123,223)의 양쪽 단부에 치차 결합되는 기어부를 형성하고, 제1 및 제2 서포트 몸체(123,223)들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켜 제1 및 제2 서포트 몸체(123,223)들을 모두 회전시켜도 무방하다.
제2 서포트 몸체(223)에 형성된 제2 관통홀(224)은 제2 서포트 몸체(223)의 외주면 및 중공(221)을 상호 연결한다. 제2 관통홀(224)은 제2 서포트 몸체(223)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관통홀(224)은 제2 종이(211)에 형성되는 제2 포장지 및 제2 포장지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파지와 대응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된다.
제2 고정 파이프(226)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제2 고정 파이프(226)는 제2서포트 몸체(223)의 중공(221)에 삽입된다.
제2 고정 파이프(126)는 제2 서포트 몸체(223)의 축으로서 역할하며, 제2 고정 파이프(226)는 회전되지 않고 지정된 위치에 고정된다.
제2 고정 파이프(226)에는 제2 고정 파이프(226)의 내외부를 연통하는 다수개의 제2 홀(225)들이 형성되는데, 제2 홀(225)들은 각 제2 관통홀(224)과 대응하는 제2 고정 파이프(226)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2 고정 파이프(226)에 대하여 제2 서포트 몸체(223)가 회전될 경우 각 제2 관통홀(224)들은 제2 고정 파이프(226)의 제2 홀(225)과 단속적으로 연통된다.
제2 고정 파이프(226)의 내부에 배치된 제2 격벽(228)은 제2 고정 파이프(226)의 내부를 제2 진공 구역(VA) 및 제2 대기압 구역(AA)으로 구분한다.
제2 격벽(228)은 제2 고정 파이프(226)의 내부를 제2 진공 구역(VA) 및 제2 대기압 구역(AA)로 구분하기 위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고정 파이프(226) 중 제2 격벽(228)에 의하여 형성된 제2 진공 구역(VA)에는 대기압보다 낮은 진공압이 형성되고 제2 홀(225) 및 제2 홀(225)과 대응하는 제2 관통홀(224)에도 각각 진공압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진공 구역(VA)의 진공 압력은 제2 진공 압력을 갖고, 제2 진공 구역(VA)의 제2 진공 압력은 제1 진공 구역(VA)의 제1 진공 압력보다 높게 형성되고, 이로 인해 제1 서포트 몸체(123)의 외주면에 흡착된 제1 종이(111)는 제2 서포트 몸체(223)로 이동되어 흡착된다. 따라서, 제2 서포트 몸체(223)에는 제1 종이(111) 및 제2 종이(222)가 순차적으로 흡착된다.
제2 관통홀(224)에 인가된 진공압에 의하여 제2 서포트 몸체(223)의 외측면에는 제2 종이(211)가 흡착될 수 있고, 제2 진공 구역(VA)에는 대기압보다 낮은 진공압을 형성하는 진공 펌프에 연결된 호스 등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2 종이(211)가 흡착된 제2 서포트 몸체(223)가 고정된 제2 고정 파이프(226)에 대하여 회전되어 제2 종이(211)에 의하여 덮인 제2 관통홀(224)이 제2 대기압 구역(AA)에 형성된 제2 홀(225)과 연통되면, 제2 관통홀(224)에 형성된 진공압이 해제되면서 제2 종이(211)는 제2 서포트 몸체(223)의 외주면으로부터 분리된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제2 종이 절단 모듈(200)의 제2 절단 유닛(230)은 제2 종이(211)를 제2 포장지 및 제2 포장지의 외측에 남는 제2 파지로 절단한다.
제2 절단 유닛(230)은 제2 절단 몸체(232) 및 제2 칼날(234)을 포함한다.
제2 절단 몸체(232)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절단 몸체(232)는 제2 서포트 몸체(223)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2 절단 몸체(232)의 축 방향은 제2 서포트 몸체(223)의 축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2 절단 몸체(232)는 모터 등에 의하여 회전된다.
제2 칼날(234)은 제2 절단 몸체(232)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제2 칼날(234)은 제2 서포트 몸체(223)에 흡착된 제2 종이(211)를 절단하여 제2 종이(211)를 제2 포장지 및 제2 파지로 구분한다.
제2 칼날(234)에 의하여 절단된 제2 포장지 및 제2 파지는 제2 서포트 몸체(223)의 외주면에 흡착된다.
제2 가이드 유닛(240)은 제2 푸시 롤러(242) 및 제2 가이드(244)를 포함한다.
제2 푸시 롤러(242)는 제2 종이 수납 유닛(2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2 푸시 롤러(242)는 제2 수납 카세트(212)에 수납된 제2 종이(211) 중 최상부에 배치된 제2 종이(211)와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되면서 제2 종이(211)를 제2 서포트 몸체(223) 및 제2 절단 몸체(232)의 사이를 향하는 방향으로 밀어낸다. 제2 푸시 롤러(242)는 모터(미도시)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제2 가이드(244)는 제2 푸시 롤러(242)에 의하여 제2 수납 카세트(212)로부터 밀려난 제2 종이(211)를 제2 서포트 몸체(223) 및 제2 절단 몸체(132) 사이로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제2 가이드(244)는 제2 종이(211)를 가이드하는 곡면을 갖는 가이드 레일 또는 제2 종이(211)를 가이드 하는 곡면을 갖는 가이드 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포장지 분리 유닛의 III-III' 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포장지 분리 유닛(300)은 포장지 분리 몸체(310), 고정 파이프(320) 및 격벽(330)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포장지 분리 몸체(310)는 포장지 분리 몸체(310)를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포장지 분리 몸체(310)는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포장지 분리 몸체(310)는 제2 서포트 몸체(223)의 표면에 접촉된다. 포장지 분리 몸체(310)의 축 및 제2 서포트 몸체(223)의 축은 평행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포장지 분리 몸체(310)는 제2 서포트 몸체(223)의 제2 대기압 구역(AA)과 접촉된다.
포장지 분리 몸체(310)는 중공(312)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공(312)은 포장지 분리 몸체(310)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중공(310)은 포장지 분리 몸체(310)의 일측 단부 및 상기 일측 단부와 대향하는 타측 단부를 관통한다.
포장지 분리 몸체(310)에는 관통홀(314)들이 형성되는데, 관통홀(314)들은 포장지 분리 몸체(310)의 외주면 및 중공(312)을 상호 연결한다. 관통홀(314)은 제포장지 분리 몸체(31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관통홀(314)들은 제1 및 제2 종이(111,211)들의 제1 및 제2 포장지들과 부분에 각각 형성되며, 제1 및 제2 종이(111,211)들의 제1 및 제2 파지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고정 파이프(32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고정 파이프(320)는 포장지 분리 몸체(310)의 중공(312)에 삽입되며, 포장지 분리 몸체(310)는 고정 파이프(320)를 축으로 회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고정 파이프(320)는 회전되지 않고 지정된 위치에 고정된다.
고정 파이프(320)에는 고정 파이프(320)의 내외부를 연통하는 다수개의 홀(325)들이 형성되는데, 홀(325)들은 각 관통홀(314)과 대응하는 고정 파이프(32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 파이프(320)에 대하여 포장지 분리 몸체(310)가 회전될 경우, 각 관통홀(314)들은 고정 파이프(320)의 홀(325)과 단속적으로 연통된다.
고정 파이프(320)의 내부에는 격벽(330)이 배치되는데, 격벽(330)은 고정 파이프(320)의 내부를 진공 구역(VA) 및 대기압 구역(AA)으로 구분한다.
격벽(330)은 고정 파이프(320)의 내부를 진공 구역(VA) 및 대기압 구역(AA)로 구분하기 위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 파이프(320) 중 격벽(330)에 의하여 형성된 진공 구역(VA)에는 대기압보다 낮은 진공압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고정 파이프(320)의 진공 구역(VA)에 대응하는 홀(325) 및 홀(325)과 대응하는 포장지 분리 몸체(310)의 관통홀(314)에도 각각 진공압이 형성되어 제2 서포트 몸체(223)의 제2 대기압 구역(AA)에 위치한 제1 종이(111)의 제1 포장지 및 제2 종이(211)의 제2 포장지를 선택적으로 흡착한다. 물론 포장지 분리 몸체(310)에는 제1 및 제2 종이(111,211)의 제1 및 제2 파지들은 흡착되지 않는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파지 수거 유닛(400)은 제2 서포트 몸체(223) 및 포장지 분리 몸체(310)의 사이에 배치된다.
포장지 분리 유닛(300)에 의하여 제1 및 제2 종이(111,211)들로부터 제1 및 제2 포장지가 제공된 후 남겨진 제1 및 제2 종이(111,211)들의 제1 및 제2 파지는 제2 서포트 몸체(223) 및 포장지 분리 몸체(310)의 사이로 배출되어 파지 수거 유닛(400)으로 제공된다.
파지 수거 유닛(400)은,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파지를 단순 수거하여 저장하는 수거통 및 제1 및 제2 파지가 수거통으로 제공되기 이전에 제1 및 제2 파지들을 보다 작은 사이즈로 분쇄하는 분쇄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포장지 수거 유닛(500)은 포장지 분리 유닛(300)에 흡착된 후 분리된 제1 및 제2 포장지들을 적층 방식으로 수거한다.
포장지 수거 유닛(500)은 포장지 수납 카세트(510) 및 포장지 수납 카세트(510)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 포장지를 수납한 상태에서 승하강되는 승하강 유닛(520)을 포함한다.
포장지 수납 카세트(510)의 경우 포장지 분리 몸체(310)의 곡률에 맞게 포장지 수납 카세트(510)의 일측벽은 높이가 낮고, 포장지 수납 카세트(510)의 타측벽은 높이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제1 종이 수납 유닛(110)에 수납된 제1 종이(111)는 제1 가이드 유닛(140)의 제1 푸시 롤러(142)에 의하여 제1 종이 수납 유닛(110)으로부터 분리된 후, 제1 가이드(144)에 의하여 제1 서포트 유닛(120) 및 제1 절단 유닛(130)의 사이로 제공 및 절단되어 제1 종이(111)는 제1 포장지 및 제1 파지로 구분된다.
이후 제1 포장지 및 제1 파지로 구분된 제1 종이(111)는 제1 서포트 유닛(120)으로부터 제2 서포트 유닛(220)에 흡착된 후 제2 서포트 유닛(220)을 따라 이송된다.
제1 포장지 및 제1 파지로 구분된 제1 종이(111)는 포장지 분리 유닛(300) 및 제2 서포트 유닛(220)의 사이로 제공되면서, 제1 포장지는 포장지 분리 유닛(300)에 의하여 포장지 수거 유닛(500)에 적층 수납된다.
포장지 분리 유닛(300) 및 제2 서포트 유닛(220)의 사이로 제공된 제1 파지는 포장지 분리 유닛(300)으로 제공되지 못하고 파지 수거 유닛(400)으로 제공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종이(111)가 포장지 분리 유닛(300) 및 제2 서포트 유닛(220)의 사이로 제공될 때 제2 종이 수납 유닛(210)에 수납된 제2 종이(211)가 제2 가이드 유닛(240)의 제2 푸시 롤러(242)에 의하여 제2 종이 수납 유닛(210)으로부터 분리된 후, 제2 가이드(244)에 의하여 제2 서포트 유닛(220) 및 제2 절단 유닛(230)의 사이로 제공 및 절단되어 제2 종이(211)는 제2 포장지 및 제2 파지로 구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종이(111) 및 제2 종이(211)는 제2 서포트 유닛(220)에 함께 흡착된다. 제1 및 제2 종이(111,211)들은 상호 겹치치 않게 제2 서포트 유닛(220)에 흡착되는데,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종이(111,211)들이 상호 겹치지 않게 제2 서포트 유닛(220)에 흡착됨으로써 제1 및 제2 종이(111,211)들로부터 제1 및 제2 포장지, 제1 및 제2 파지들을 보다 빠른 시간 내에 분리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포장지 및 제2 파지로 구분된 제2 종이(211)는 포장지 분리 유닛(300) 및 제2 서포트 유닛(220)의 사이로 제공되면서, 제2 포장지는 포장지 분리 유닛(300)에 의하여 포장지 수거 유닛(500)에 제1 포장지와 함께 적층 수납된다.
포장지 분리 유닛(300) 및 제2 서포트 유닛(220)의 사이로 제공된 제2 종이(211)의 제2 파지는 포장지 분리 유닛(300)으로 제공되지 못하고 파지 수거 유닛(400)으로 제공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는 카메라 유닛, 양부 판정 유닛 및 불량 포장지 제거 유닛을 제외하면 앞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 및 설명된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900)는 제1 종이 절단 모듈(100), 제2 종이 절단 모듈(200), 포장지 분리 유닛(300), 파지 수거 유닛(400), 포장지 수거 유닛(500), 카메라 유닛(600), 양부 판정 유닛(650) 및 불량 포장지 제거 유닛(700)을 포함한다.
카메라 유닛(600)은 제1 및 제2 종이(111,211)들이 흡착되는 제2 서포트 유닛(220)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 종이(111,211)들을 각각 촬영하여 제1 종이(111)에 대응하는 제1 이미지 및 제2 종이(211)에 대응하는 제2 이미지를 각각 형성한다.
양부 판정 유닛(650)은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영상 처리하여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제1 포장지의 양부를 판정 및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제2 포장지의 양부를 판정한다.
불량 포장지 제거 유닛(700)은 분리 부재(710) 및 엑츄에이터(720)를 포함한다.
분리 부재(710)는 포장지 분리 유닛(300)의 포장지 분리 몸체(31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양부 판정 유닛(650)에 의하여 제1 및 제2 포장지들 중 불량으로 판정된 불량 포장지가 포장지 수거 유닛(50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포장지 분리 몸체(310)와 접촉되거나 이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분리 부재(710)는 제1 및 제2 종이(111, 211)들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갖는 얇은 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포함할 수 있다.
엑츄에이터(720)는 분리 부재(710)에 결합되어 분리 부재(710)를 왕복 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종이 원단을 칼날로 절단한 후 자동으로 종이 원단으로부터 분리된 포장지 및 파지를 분리하고, 포장지를 별도 수납 공간에 수납할 수 있고, 2 매의 종이 원단을 연속적으로 칼날로 절단한 후 2매의 종이 원단으로부터 분리된 포장지들 및 파지들을 분리함으로써 포장지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이 박스 형성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보다 짧도록 함으로써 후속 공정인 박스 형성 공정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도록 하여 포장지 박스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분리된 포장지를 촬영하여 생성된 이미지를 판독하여 불량 포장지를 별도로 배출하여 불량 포장지가 양품 포장지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 ... 제1 종이 절단 모듈 200 ... 제2 종이 절단 모듈
300 ... 포장지 분리 유닛 400 ... 파지 수거 유닛
500 ... 포장지 수거 유닛 600 ... 카메라 유닛
700 ... 양부 판정 유닛

Claims (7)

  1. 제1 종이가 수납되는 제1 종이 수납 유닛, 상기 제1 종이를 흡착하는 롤러 형상의 제1 서포트 유닛 및 롤러 형상으로 상기 제1 서포트 유닛과 밀착되어 상기 제1 종이를 제1 포장지 및 제1 파지로 절단하는 제1 절단 유닛을 포함하는 제1 종이 절단 모듈;
    제2 종이가 수납되는 제2 종이 수납 유닛, 상기 제1 서포트 유닛과 나란하게 배치 및 상기 제1 서포트 유닛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종이 및 상기 제1 서포트 유닛에 흡착된 상기 제1 종이를 상호 겹치치 않게 전달받아 흡착하는 제2 서포트 유닛 및 상기 제2 종이를 제2 포장지 및 제2 파지로 절단하는 제2 절단 유닛을 포함하는 제2 종이 절단 모듈;
    상기 제1 서포트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2 서포트 유닛으로 전달된 상기 제1 포장지 및 상기 제2 서포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된 제2 포장지들을 각각 제공받아 흡착 및 지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 포장지들을 분리하는 포장지 분리 유닛;
    상기 제2 서포트 유닛으로부터 상기 포장지 분리 유닛으로 제공되지 않은 상기 제1 및 제2 파지들을 수거하는 파지 수거 유닛; 및
    상기 포장지 분리 유닛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제1 및 제2 포장지들이 적층되는 포장지 수거 유닛을 포함하는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종이 절단 모듈은 상기 제1 종이 수납 유닛에 수납된 상기 제1 종이의 상면과 접촉되어 상기 제1 종이를 상기 제1 종이 수납 유닛의 외부로 밀어내는 제1 푸시 롤러 및 밀어낸 상기 제1 종이를 상기 제1 절단 유닛 및 상기 제1 서포트 유닛의 사이로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를 포함하는 제1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종이 절단 모듈은 상기 제2 종이 수납 유닛에 수납된 상기 제2 종이의 상면과 접촉되어 상기 제2 종이를 상기 제2 종이 수납 유닛의 외부로 밀어내는 제2 푸시 롤러 및 밀어낸 상기 제2 종이를 상기 제2 절단 유닛 및 상기 제2 서포트 유닛의 사이로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를 포함하는 제2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푸시 롤러 및 상기 제2 푸시 롤러는 상기 제2 서포트 유닛에 상기 제1 및 제2 종이가 겹친 상태로 흡착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및 제2 종이들을 시간차를 두고 상기 제1 및 제2 종이 수납 유닛들로부터 밀어내는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포트 유닛은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갖는 제1 서포트 몸체, 상기 중공과 상기 제1 서포트 몸체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제1 관통홀, 상기 중공에 삽입되며 다수개의 제1 홀이 형성되며 회전하지 않는 제1 고정 파이프 및 상기 제1 고정 파이프의 내부를 상기 제1 종이를 흡착하기 위한 제1 진공 구역 및 상기 제1 종이를 상기 제1 서포트 유닛으로부터 분리 시키기 위한 제1 대기압 구역으로 구분하는 제1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서포트 유닛은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갖는 제2 서포트 몸체, 상기 중공과 상기 제2 서포트 몸체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제2 관통홀, 상기 중공에 삽입되며 다수개의 제2 홀이 형성되며 회전하지 않는 제2 고정 파이프 및 상기 제2 고정 파이프의 내부를 상기 제1 및 제2 종이들을 흡착하기 위한 제2 진공 구역 및 상기 제1 및 제2 종이들을 상기 제2 서포트 유닛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제2 대기압 구역으로 구분하는 제2 격벽을 포함하는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진공 구역의 제2 진공압은 상기 제1 진공 구역의 제1 진공압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서포트 유닛에 흡착된 상기 제1 종이는 상기 제2 서포트 유닛으로 흡착되는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 분리 유닛은 롤러 형상으로 상기 제2 서포트 유닛의 표면과 접촉되며 축 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 및 외주면을 연결하며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된 관통홀을 갖는 포장지 분리 몸체, 상기 중공에 삽입되며 상기 관통홀과 대응하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며 고정된 고정 파이프 및 상기 고정 파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포장지 수거 유닛과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상기 관통홀에 대기압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포장지 수거 유닛과 대응하지 않는 부분에서는 상기 관통홀에 진공압이 형성되도록 하는 격벽을 포함하여 상기 포장지 분리 몸체에 부착된 상기 제1 및 제2 포장지를 상기 포장지 수거 유닛으로 제공하는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
  7. 제1 종이가 수납되는 제1 종이 수납 유닛, 상기 제1 종이를 흡착하는 롤러 형상의 제1 서포트 유닛 및 롤러 형상으로 상기 제1 서포트 유닛과 밀착되어 상기 제1 종이를 제1 포장지 및 제1 파지로 절단하는 제1 절단 유닛을 포함하는 제1 종이 절단 모듈;
    제2 종이가 수납되는 제2 종이 수납 유닛, 상기 제1 서포트 유닛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종이 및 상기 제1 서포트 유닛에 흡착된 상기 제1 종이를 상호 겹치치 않게 흡착하는 제2 서포트 유닛 및 상기 제2 종이를 제2 포장지 및 제2 파지로 절단하는 제2 절단 유닛을 포함하는 제2 종이 절단 모듈;
    상기 제1 서포트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2 서포트 유닛으로 전달된 상기 제1 포장지 및 상기 제2 서포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된 제2 포장지들을 제공받아 흡착 및 지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 포장지들을 분리하는 포장지 분리 유닛;
    상기 제2 서포트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포장지들이 제거된 상기 제1 및 제2 파지들을 수거하는 파지 수거 유닛;
    상기 포장지 분리 유닛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제1 및 제2 포장지들이 적층되는 포장지 수거 유닛;
    상기 제2 서포트 유닛에 흡착된 상기 제1 및 제2 종이들을 각각 촬영하여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각각 생성하는 카메라 유닛;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를 영상 처리하여 상기 제1 및 제2 포장지들의 양부를 판별하는 포장지 양부 판정 유닛; 및
    상기 포장지 분리 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1 및 제2 포장지들 중 불량으로 판정된 불량 포장지가 상기 포장지 수거 유닛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포장지 분리 유닛과 접촉되거나 이격되는 분리 부재 및 상기 분리 부재를 왕복 운동 시키는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불량 포장지 제거 유닛을 포함하는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
KR1020220104179A 2022-08-19 2022-08-19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 KR102566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179A KR102566476B1 (ko) 2022-08-19 2022-08-19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
KR1020230103533A KR20240026090A (ko) 2022-08-19 2023-08-08 생산성을 향상시킨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
KR1020230103534A KR20240026091A (ko) 2022-08-19 2023-08-08 개선된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179A KR102566476B1 (ko) 2022-08-19 2022-08-19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3534A Division KR20240026091A (ko) 2022-08-19 2023-08-08 개선된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
KR1020230103533A Division KR20240026090A (ko) 2022-08-19 2023-08-08 생산성을 향상시킨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6476B1 true KR102566476B1 (ko) 2023-08-14

Family

ID=8756566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179A KR102566476B1 (ko) 2022-08-19 2022-08-19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
KR1020230103534A KR20240026091A (ko) 2022-08-19 2023-08-08 개선된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
KR1020230103533A KR20240026090A (ko) 2022-08-19 2023-08-08 생산성을 향상시킨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3534A KR20240026091A (ko) 2022-08-19 2023-08-08 개선된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
KR1020230103533A KR20240026090A (ko) 2022-08-19 2023-08-08 생산성을 향상시킨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6647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160B2 (ko) 1973-08-22 1978-01-14
KR940011001A (ko) * 1992-11-02 1994-06-20 요시다 쇼오지 인공 타액(唾液)
JPH0964393A (ja) * 1995-08-25 1997-03-07 Fuji Electric Co Ltd 薄膜光電変換モジュール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KR200434654Y1 (ko) 2006-08-18 2006-12-26 최금오 박스 포장지용 파지제거장치
JP4106483B2 (ja) 2001-10-26 2008-06-25 大同工業株式会社 紙の断裁装置
KR20100131865A (ko) * 2009-06-08 2010-12-16 이성규 자체검수 타입의 복합 엠보싱장치
JP2011080762A (ja) * 2009-10-02 2011-04-21 Shibuya Kogyo Co Ltd 物品検査装置
KR102117191B1 (ko) * 2019-04-19 2020-06-01 이현주 교차 적층형 알루미늄 호일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160B2 (ko) 1973-08-22 1978-01-14
KR940011001A (ko) * 1992-11-02 1994-06-20 요시다 쇼오지 인공 타액(唾液)
JPH0964393A (ja) * 1995-08-25 1997-03-07 Fuji Electric Co Ltd 薄膜光電変換モジュール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4106483B2 (ja) 2001-10-26 2008-06-25 大同工業株式会社 紙の断裁装置
KR200434654Y1 (ko) 2006-08-18 2006-12-26 최금오 박스 포장지용 파지제거장치
KR20100131865A (ko) * 2009-06-08 2010-12-16 이성규 자체검수 타입의 복합 엠보싱장치
JP2011080762A (ja) * 2009-10-02 2011-04-21 Shibuya Kogyo Co Ltd 物品検査装置
KR102117191B1 (ko) * 2019-04-19 2020-06-01 이현주 교차 적층형 알루미늄 호일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6090A (ko) 2024-02-27
KR20240026091A (ko)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8603B1 (ko) 렌즈유닛 분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렌즈유닛 분류 시스템
KR101157442B1 (ko) 제함기의 불량품 제거 장치 및 제함기
KR100902639B1 (ko) 진단키트 검사 및 절단 포장장치
JP4264383B2 (ja) 平坦なワークピースの品質を検査するための方法及びかかる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RU2012105983A (ru) Машин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аканчика
JP4105167B2 (ja) 紙巻きタバコパック開封および紙巻きタバコ検査用の装置
CN108681113B (zh) 自动化压合设备
KR102566476B1 (ko)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
JPWO2011064857A1 (ja) シガレット検査装置
JPH04229241A (ja) パッケージ製造機械における切断・印刷の品質をモニタする方法と装置
JP5503407B2 (ja) 不良品分別装置
KR200441086Y1 (ko) 피에프씨 튜브 선별장치
CN215393711U (zh) 裁切设备
TWM466266U (zh) 硬板之雙面檢測裝置
JP2008012778A (ja) 平盤打抜き方法及び装置
AU6524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intermediate storage and/or rearrangement of printed products in scale formation
CN110626787B (zh) 物料检测系统及物料检测方法
CN215152402U (zh) 自动横切叠膜机
JPS5966563A (ja) 生地の裁断装置
KR102571377B1 (ko) 포장지 및 파지 분리 장치 및 이를 갖는 포장지 제조 장치
CN215145802U (zh) 裁切设备
KR102255377B1 (ko) 종이상자 제조 장치
CN218584003U (zh) 一种风叶自动检测机构
CN217349998U (zh) 一种一体化生产绷带枕套机的生产系统
JPH09294963A (ja) 容器仕分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