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1865A - 자체검수 타입의 복합 엠보싱장치 - Google Patents

자체검수 타입의 복합 엠보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1865A
KR20100131865A KR1020090050680A KR20090050680A KR20100131865A KR 20100131865 A KR20100131865 A KR 20100131865A KR 1020090050680 A KR1020090050680 A KR 1020090050680A KR 20090050680 A KR20090050680 A KR 20090050680A KR 20100131865 A KR20100131865 A KR 20100131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oller
embossing
uni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3661B1 (ko
Inventor
이성규
김대수
Original Assignee
이성규
김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규, 김대수 filed Critical 이성규
Priority to KR1020090050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3661B1/ko
Publication of KR20100131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3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3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4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using rollers or endles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70Maintenance
    • B29C33/72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0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2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r the configuration, e.g. dimensions, of the embossments or the shaping 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72Roughness, e.g. anti-slip
    • B29K2995/0074Roughness, e.g. anti-slip patterned, grai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물질이 없는 양질의 엠보싱 필름을 생산하고, 구매처에서 요구하는 불량기준치에 적합한 엠보싱 필름만을 제공하기 위해서, 엠보싱이 형성된 필름을 세척하고, 엠보싱 필름의 불량률을 판별할 수 있음과 동시에 모든 공정이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구성된 자체검수 타입의 복합 엠보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터와 연동하는 제1인출롤러에 의해서 필름롤러에 감긴 필름을 인출하되, 엠보싱롤러를 통하여 상기 인출되는 필름에 엠보싱을 형성하는 엠보싱부와; 상기 엠보싱부의 우측에 제1인출롤러와 동일하게 구성으로 설치되어 엠보싱부를 통과한 필름을 다시 이동시키는 제2인출롤러와; 상기 엠보싱부와 제2인출롤러 사이에 순차적으로 설치된 세척기와 제거기 및 건조기를 통하여 상기 엠보싱부를 통과한 필름을 세척하는 세척부와; 상기 세척부와 제2인출롤러 사이에 설치되되, 스캔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통하여 상기 세척부를 통과한 필름의 불량 유·무를 판별하는 검출부와; 상기 제2인출롤러 하부에 전·후진 하는 절삭날이 구비되고, 그 절삭날 하부에 절삭날의 전면으로 필름의 이동을 유도하는 제5유도롤러가 구비되어 필름을 절삭하는 절삭부와; 상기 절삭부의 우측 편으로 모터와 연동하여 상기 절삭부를 통과한 필름을 감아서 보관하는 권취롤러를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세척부를 통하여 양질의 필름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검출부를 통하여 생산된 필름의 불량률 및 불량위치를 더욱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제1인출롤러와 제2인출롤러, 권취롤러 및 제1 내지 제6유도롤러를 통하여 필름롤러에 감긴 필름이 연속적으로 이동되면서, 엠보싱부와 세척부, 검출부 및 절삭부를 통과하여 권취롤러에 감겨서 보관되는바, 연속적인 생산공정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엠보싱, 필름, 세척, 판별, 절삭

Description

자체검수 타입의 복합 엠보싱장치 { oneself testing type complex embossing machine }
본 발명은 플라스틱 재질의 투명한 필름에 엠보싱을 형성하는 필름용 엠보싱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물질이 없는 양질의 엠보싱 필름을 생산하고, 구매처에서 요구하는 불량기준치에 적합한 엠보싱 필름만을 제공하기 위해서, 엠보싱이 형성된 필름을 세척하고, 엠보싱 필름의 불량률을 판별할 수 있음과 동시에 모든 공정이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엠보싱부(100)와 제2인출롤러, 세척부, 검출부, 절삭부 및 권취부로 구성된 자체검수 타입의 복합 엠보싱장치에 관한 것이다.
엠보싱 필름(10)은 일반적으로 인쇄기판용 스페이서 필름 등에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엠보싱장치를 통하여 엠보싱(11)이 형성된 엠보싱 필름(10)은 구매처에서 요구하는 길이만큼 제단 된 후, 롤 형태로 권취된 제품으로 판매된다.
이렇게 판매된 엠보싱 필름(10)은 스크래치의 유·무와 이물질의 존재 유· 무 및 엠보싱(11)의 형성위치의 오차 우·무에 대한 불량에 대해서 구매처가 검사하게 되는데 이때, 불량기준치 이상의 불량이 있을 경우에는 그 기준치 이상의 불량이 발생한 제품과 동일한 날에 제작된 모든 제품 또는 동일한 날에 판매된 모든 제품을 회수하여야하는 현실이다.
이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양질의 엠보싱 필름(10)과 구매처에서 요구하는 불량기준치에 적합한 엠보싱 필름(10)만을 제공할 수 있는 엠보싱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일반적인 엠보싱장치는 1에서와 같이, 일반적으로 제1엠보싱롤러(21)와 모터(23)에 의해서 회전하는 제2엠보싱롤러(22) 사이로 필름이 공급되면, 제2엠보싱롤러(22)의 회전에 따라서 반대방향으로 배출되되, 제1엠보싱롤러(21)의 엠보싱돌기(a)가 제2엠보싱롤러(22)의 엠보싱홈(b)에 삽입되어 공급된 필름(10)에 엠보싱(11)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이 실시되고 있다.
상기 일반적인 엠보싱장치만으로는 엠보싱(11)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없음과 동시에 엠보싱 필름(10)의 불량 유·무를 판별할 수 없어, 구매처에서 요구하는 불량기준치에 적합한 엠보싱 필름(10)만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구매처에서 만족하는 엠보싱 필름만을 제공하기 위해서 엠보싱이 형성된 필름을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엠보싱 필름에 발생한 불량을 검출하여 불량률을 판별하되, 모든 공정이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자체검수 타입의 복합 엠보싱장치의 완성을 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모터와 연동하는 제1인출롤러에 의해서 필름롤러에 감긴 필름을 인출하되, 엠보싱롤러를 통하여 상기 인출되는 필름에 엠보싱을 형성하는 엠보싱부와; 상기 엠보싱부의 우측에 제1인출롤러와 동일하게 구성으로 설치되어 엠보싱부를 통과한 필름을 다시 이동시키는 제2인출롤러와; 상기 엠보싱부와 제2인출롤러 사이에 세척기와 제거기 및 건조기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엠보싱부를 통과한 필름을 세척하는 세척부와; 상기 세척부와 제2인출롤러 사이에 설치되되, 스캔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통하여 상기 세척부를 통과한 필름의 불량 유·무를 판별하는 검출부와; 상기 제2인출롤러 하부에 전·후진 하는 절삭날이 구비되고, 그 절삭날 하부에 상기 검출부를 통과한 필름을 절삭날의 전면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제5유도롤러가 구비되어 필름을 절삭하는 절삭부와; 상기 절삭부의 우측 편으로 모터와 연동하여 상기 절삭부를 통과한 필름을 감아서 보관하는 권취롤러를 구성함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위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세척부를 통하여 필름이 세척되고, 이물질이 제거되며, 건조됨으로써 양질의 필름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와, 에어노즐을 통해서 분사되는 고압의 공기에 의해서 발생하는 스크래치가 지그재그로 배열된 제3유도롤러에 의해서 방지되는바, 더욱 향상된 양질의 필름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검출부를 통하여 필름의 스크래치 및 엠보싱 형성위치에 대한 불량을 검출하여, 생산되는 필름의 불량률을 손쉽게 확인함으로써, 구매자가 원하는 불량기준에 적합한 제품만을 구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그 검출부에 더 설치된 도료분사노즐을 통해서 분사된 도료에 의해서 필름의 불량부분을 눈으로 식별할 수 있음으로써, 생산된 필름의 불량률 및 불량위치를 더욱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인출롤러와 제2인출롤러, 권취롤러 및 제1 내지 제6유도롤러를 통하여 필름롤러에 감긴 필름이 연속적으로 이동되면서, 엠보싱부와 세척부, 검출부 및 절삭부를 통과하여 권취롤러에 감겨서 보관되는바, 연속적인 생산공정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물질이 없는 양질의 엠보싱 필름(10)을 생산하고, 구매처에서 요구하는 불량기준치에 적합한 엠보싱 필름(10)만을 제공하기 위해서, 엠보싱이 형성된 필름(10)을 세척하고, 엠보싱 필름(10)의 불량률을 판별할 수 있음과 동시에 모든 공정이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구성된 자체검수 타입의 복합 엠보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의 도 1은 엠보싱이 형성된 엠보싱 필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엠보싱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필름을 제거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엠보싱부와 제2인출부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세척부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검출부와 제거부 및 권취부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7의 B부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7의 B부분을 기준으로 분사노즐이 더 설치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여섯 가지의 구성들로 완성되는데, 그 구성을 대략 살펴보면,
모터와 연동하는 제1인출롤러(120)에 의해서 필름롤러(110)에 감긴 필름을 인출하되, 엠보싱롤러(130)를 통하여 상기 인출되는 필름에 엠보싱을 형성하는 엠 보싱부(100)와; 상기 엠보싱부(100)의 우측에 제1인출롤러(120)와 동일하게 구성으로 설치되어 엠보싱부(100)를 통과한 필름을 다시 이동시키는 제2인출롤러(200)와; 상기 엠보싱부(100)와 제2인출롤러(200) 사이에 세척기(310)와 제거기(320) 및 건조기(330)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엠보싱부(100)를 통과한 필름을 세척하는 세척부(300)와; 상기 세척부(300)와 제2인출롤러(200) 사이에 설치되되, 스캔카메라(410)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통하여 상기 세척부(300)를 통과한 필름의 불량 유·무를 판별하는 검출부(400)와; 상기 제2인출롤러(200) 하부에 전·후진 하는 절삭날(520)이 구비되고, 그 절삭날(520) 하부에 상기 검출부(400)를 통과한 필름을 절삭날(520)의 전면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제5유도롤러(420)가 구비되어 필름을 절삭하는 절삭부(500)와; 상기 절삭부(500)의 우측 편으로 모터와 연동하여 상기 절삭부(500)를 통과한 필름을 감아서 보관하는 권취롤러(600)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첫째, 엠보싱부(100)는 일반적으로 실시되던 통상의 엠보싱장치와 동일하게 구성된 것으로, 모터(미도시)의 작동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에 필름(10)이 감기도록 원기둥 형태의 일반적인 롤러와 그 롤러의 측면에 롤러에 감긴 필름(10)을 고정하도록 가이드봉(111)으로 구성된 일반적인 필름롤러(110)가 설치된다.
그리고 필름롤러(110)의 상부 우측으로 필름롤러(110)에 감긴 필름(10)을 인출하도록 구성된 제1인출롤러(12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필름롤러(110)와 제1인출롤러(120) 사이에 모터(미도시)의 작동으로 회전하되, 엠보싱돌기(미도시)와 엠보싱홈(미도시)이 형성된 두 개의 일반적인 엠보싱롤러(130)가 서로 대응하도록 상·하로 설치되고, 상기 필름롤러(110)에 감긴 필름(10)이 제1인출롤러(120)에 의해서 이동되어 인출되되, 상기 엠보싱롤러(130) 사이를 통과하도록 일반적인 롤러로 구성된 제1유도롤러(14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인출롤러(120)는 모터(미도시)의 작동으로 회전하되, 상기 엠보싱롤러(130)에 의해서 형성된 필름(10)의 엠보싱과 간섭이 없는 크기의 원기둥 형태의 일반적인 구동롤러(121)와, 그 구동롤러(121)와 동일한 크기의 가이드롤러(122)가 구동롤러(121)와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구동롤러(121)와 가이드롤러(122)에 의해서 필름(10)이 압착되되, 모터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구동롤러(121)에 의해서 필름(10)이 당겨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엠보싱부(100)는 통상의 엠보싱장치와 동일하게 구성된 것으로, 필름롤러(110)에 필름(10)을 감은 후, 그 필름(10)을 제1유도롤러(140)를 따라서 엠보싱롤러(130) 사이를 통과시켜 제1인출롤러(120)의 구동롤러(121)와 가이드롤러(122) 사이에 구비함으로써, 모터와 연동하는 필름롤러(110)에 의해서 필름이 풀리되, 모터와 연동하는 제1인출롤러(120)에 의해서 필름이 당겨져서 이동되어 인출된다.
이때, 엠보싱롤러(130)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이동되는 필름(10)에 엠보싱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둘째, 제2인출롤러(200)는 상기 제1인출롤러(120)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엠보싱부(100)의 우측에 설치되어 그 엠보싱부(100)를 통과한 필름(10)이 연결되어 제1인출롤러(120)에 의해서 인출된 필름을 다시 당겨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셋째, 세척부(300)는 세척기(310)와 제거기(320) 및 건조기(330)로 구성된 것으로, 세척기(310)는 세척액이 담겨있되, 초음파를 발생시켜 미세한 진동을 가하여 이물질 등을 떨어뜨림과 동시에 세척시키는 일반적인 초음파세척조(311)가 설치되고, 두 개의 일반적인 롤러로 구성된 제2유도롤러(312)가 그 초음파세척조(311)의 내부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도록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세척기(310)는 상기 엠보싱부(100)와 제2인출롤러(200) 사이에 설치되되, 제1인출롤러(120)를 통해서 인출되어 제2인출롤러(200)에 의해서 다시 이동되는 필름(10)을 제2유도롤러(312)에 연결하여, 제2유도롤러(312)에 의해서 상기 엠보싱부(100)를 통과한 필름(10)이 초음파세척조(311) 내부로 유도되어 초음파세척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제거기(320)는 상·하부가 개방된 박스형태의 제거커버(321)와 세 개의 일반적인 롤러로 구성된 제3유도롤러(322)가 그 제거커버(321) 내부의 상부와 중단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그 제3유도롤러(322)의 양측으로 일반적인 에어분사기(미도시)에 연결되어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는 통상의 에어노즐(323)이 각각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유도롤러(322)의 롤러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어 그 제3유도롤러(322)에 의해서 유도된 필름(10)이 지그재그 형태로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는 제3유도롤러(322)를 따라서 유도되어 이동되는 필름(10)이 팽팽한 상태로 이동되어 상기 에어노즐(323)을 통해 분사되는 고압공기에 의한 필름(10)의 흔들림이 억제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그 고압공기의 힘에 의해서 흔들리는 필름(10)이 제3유도롤러(322)와 충돌하여 발생하는 스크래치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에어노즐(323)은 일반적인 에어노즐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원형의 관 형태로 형성되되, 한쪽 측면에 "1" 자 형태의 분사공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제3유도롤러(322)를 따라서 이동하는 필름(10)으로 분사공이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제거기(320)는 상기 세척기(310) 상부에 설치되되, 제2인출롤러(200)에 의해서 이동되어 세척기(310)의 제2유도롤러(312)를 통과한 필름(10)을 제3유도 롤러(322)에 연결하여, 그 제3유도롤러(322)에 의해서 상기 세척기(310)를 통과한 필름(10)이 제거커버(321) 내부로 유도되고, 에어노즐(323)을 통해서 분사되는 고압의 공기에 의해서 필름(10)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 및 세척액이 제거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건조기(330)는 제거커버(321)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 건조커버(331)와 그 건조커버(331) 내부의 양측에 통상의 열풍기(미도시)와 연결되어 열풍이 분사되는 일반적인 열풍노즐(332)이 각각 설치되고, 다섯 개의 일반적인 롤러로 구성된 제4유도롤러(333)가 설치되되, 건조커버(331) 상부에는 4개의 롤러가 "V" 자 형태로 설치되고, 건조커버(331) 하부에 나머지 하나의 롤러가 설치되어 "Y" 자 형상으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건조기(330)는 상기 제거기(320) 우측에 설치되되, 제2인출롤러(200)에 의해서 이동되어 제거기(320)의 제3유도롤러(322)를 통과한 필름(10)을 제4유도롤러(333)에 "Y" 자 형태로 연결하여, 제4유도롤러(333)에 의해서 건조기(330)를 통과한 필름(10)이 건조커버(331) 내부로 유도하고, 열풍노즐(332)을 통해서 분사되는 열풍으로 필름(10)에 잔존하는 수분이 증발되도록 구성된다.
위에서와 같이 구성된 세척부(300)는 상기 엠보싱부(100)와 제2인출롤러(200)의 사이에 설치되어 엠보싱부(100)에 의해서 엠보싱이 형성된 필름(10)의 표면을 세척함과 동시에 표면에 잔존하는 이물질 및 세척액을 제거한 후, 수분을 제거하여 양질의 엠보싱 필름을 생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넷째, 검출부(400)는 일반적으로 특정부분의 영상을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을 설정된 영상과 비교하여 불량 유·무를 판단하는 통상의 스캔카메라(410)와 두 개의 일반적인 롤러로 구성된 제5유도롤러(420)가 그 스캔카메라(410)의 전방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그 제5유도롤러(420)의 롤러 사이의 하부에 필름(10)의 면적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스캔카메라(410)를 마주하는 평면조명(43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캔카메라(410)와 평면조명(430) 사이에 두 개의 엠보싱조명(440)이 평면조명(430)의 양 끝단을 향하도록 각각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검출부(400)는 상기 세척부(300)의 건조기 상부에 위치하되, 제2인출롤러(200)에 의해서 이동되어 건조기(330)의 제4유도롤러(333)를 통과한 필름(10)을 제5유도롤러(420)에 연결하여, 상기 건조기(330)를 통과한 필름이 제5유도롤러(420)에 의해서 스캔카메라(410)의 전방에 설치된 평면조명(430)과 엠보싱조명(440) 사이를 통과하게 되고, 스캔카메라(410)에 의해서 영상이 촬영되어 엠보싱 필름의 불량 유·무가 검출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필름(10)의 면적과 동일한 크기로 구성되되, 제5유도롤러(420) 사이의 하부에 설치된 평면조명(430)에 의해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필름(10)을 투과하여 여타의 부품이 스캔카메라(410)의 영상으로 촬영되지 않음으로써, 불량 유·무에 사용되는 영상의 신뢰도가 향상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건조기(330)를 통과하여 제5유도롤러(420)를 통해서 이동되는 필름(10)의 엠보싱 부분을 직접조명하도록 구성된 엠보싱조명(440)에 의해서 엠보싱의 형태에 의해서 발생하는 그늘을 억제하여 스캔카메라(410)를 통한 영상의 신뢰도가 더욱 향상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더욱이, 상기 검출부(400)는 제5유도롤러(420) 상부에 도료분사기(미도시)와 연결되어 도료가 분사되는 분사노즐(450)이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분사노즐(450)은 상기 스캔카메라(410)의 작동에 따라서 검출된 불량부분에 도료를 분사하여, 불량상태를 더욱 손쉽게 판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다섯째, 절삭부(500)는 전·후 작동하는 실린더(510)의 끝단에 절삭날(520)이 구비되고, 절삭날(520) 하부에 통상의 롤러로 형성된 제6유도롤러(53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절삭부(500)는 상기 제2인출롤러(200)에 의해서 인출되되, 이하 설명될 권취롤러(600)를 통하여 감기는 필름(10)을 제6유도롤러(530)에 연결하여, 상기 검출부(400)에 의해서 검사된 필름(10)이 절삭날(520)의 전면으로 이동되도록 유도 하고, 실린더(510)의 작동에 따라서 필름(10)이 절삭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절삭부(500)의 작동을 통하여, 원하는 길의 필름을 자동으로 재단할 수 있고, 필름(10)의 불량부분을 절삭하여 불량이 없는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권취롤러(600)는 상기 필름롤러(110)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절삭부(500)의 우측 편에 설치된다.
이러한 권취롤러(600)는 모터의 작동에 따라서 회전하여 상기 절삭부(500)를 통과한 필름(10)을 감아서 보관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필름롤러(110)와 엠보싱롤러(130), 제1인출롤러(120) 및 제2인출롤러(200) 작동, 스캔카메라(410)의 불량 유·무 판별, 도료분사노즐(450)을 통한 도료의 분사, 절삭날(520) 및 권취롤러(600)의 작동은 통상의 컴퓨터를 통하여 제어하고, 불량 유·무의 판별결과를 표시할 수 있음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스캔카메라(410)를 통한 불량검출의 방법 또한, 정상의 필름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기준으로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을 대비하여 불량 유·무를 판별하 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위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실시 예를 통하여 작동관계 및 그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엠보싱부(100)의 필름롤러(110)에 감긴 필름(10)은 제1인출롤러(120)에 의해서 당겨져서 제1유도롤러(140)를 따라 엠보싱롤러(130)를 통과하여 인출되고, 제2인출롤러(200)에 의해서 다시 당겨져서 제2유도롤러(312)와 제3유도롤러(322), 제4유도롤러 및 제5유도롤러(420)를 따라서 순차적으로 세척기(310)와 제거기(320), 건조기(330) 및 검출부(400)를 통과하여 인출되며, 다시 권취롤러(600)에 의해서 당겨져서 제6유도롤러(530)를 따라서 이동되어 감기게 된다.
위에서와 같이, 필름(10)은 필름롤러(110)에서부터 권취롤러(600)까지 연속적으로 이동되면서 엠보싱부(100)와 세척부(300) 및 검출부(400)를 연속적으로 통과하게 되는데, 엠보싱롤러(130)의 회전에 의해서 필름(10)의 표면에 엠보싱이 형성되고, 그 엠보싱이 형성된 필름(10)은 제2유도롤러(312)의 유도에 따라서 세척부(300)의 세척기(310) 내부를 통과하여 세척액과 초음파진동에 의해서 세척된다.
그 후, 제거기(320)의 제3유도롤러(322)에 의해서 상기 세척된 필름(10)이 제거기(320)의 제거커버(321) 내부로 유도되어 각각의 에어노즐(323) 사이를 통과하고, 그 에어노즐(323)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공기가 필름(10)의 전·후 면에 분사되어 필름(10)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 및 세척액이 제거된다.
상기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된 제3유도롤러(322)의 유도에 따라서 필름(10)이 지그재그 형태로 이동되어 더욱 팽팽하게 유지되면서 이동된다.
이러한 제3유도롤러(322)에 의해서 분사노즐(450)을 통해서 분사되는 공기의 힘에 의해서 필름(10)의 흔들림을 억제함으로써, 필름(10)과 제3유도롤러(322)의 마찰이 억제되어 스크래치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 후, 건조기(330)의 제4유도롤러(333)에 의해서 상기 세척액과 이물질이 제거된 필름(10)이 건조기(330)의 건조커버(331) 내부로 유도되어 각각의 열풍노즐(332) 사이로 통과하고, 그 열풍노즐(332)을 통해서 방출되는 열기에 의해서 필름(10)에 잔존하는 수분이 증발되어 건조된다.
상기 제2 내지 제4유도롤러(333)를 통해서 엠보싱부(100)에서 인출된 필름이 연속적으로 세척기(310)와 제거기(320) 및 건조기(330)를 통과하여 세척됨으로써, 양질의 필름(10)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후, 검출부(400)의 제5유도롤러(420)에 의해서 상기 건조된 필름(10)이 검출부(400)의 스캔카메라(410) 및 엠보싱조명(440)과 평면조명(430) 사이로 유도되어 이동된다.
이때, 스캔카메라(410)의 작동으로 그 스캔카메라(410)와 엠보싱조명(440)의 전방을 통과하는 필름(10)의 표면이 촬영되어 이물질의 유·무 및 엠보싱의 형성위치 등의 불량이 검출되어 불량 유·무가 검사된다.
상기 제5유도롤러(420)를 통해서 상기 세척부(300)를 통과한 필름(10)이 연속적으로 검출부(400)로 이동되어 불량 유·무가 검사됨으로써, 세척완료된 필름(10)의 불량률을 용이하게 판별·인식할 수 있는바, 구매자가 원하는 불량률에 적합한 필름(10)만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후, 절삭부(500)의 제6유도롤러(530)에 의해서 상기 불량 유·무가 검사된 필름(10)이 절삭날(520)의 전방으로 유도되어 이동되고, 실린더(510)의 작동으로 절삭날(520)이 전진하여 필름(10)이 절삭된다.
그 후, 권취롤러(600)에 의해서 상기 제6유도롤러(530)를 통해서 유도된 필름이 감겨져서 보관되는 것으로 작동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 검출부(400)에 있어서, 제5유도롤러(420) 상부에 도료분사기(미도시)와 연결된 도료분사노즐(450)이 더 설치되면, 상기 불량부분의 절삭과 같은 방식으로 불량부분이 도료분사노즐(450) 하부로 이동될 때, 도료분사노즐(450)을 통하여 도료가 분사되도록 작동되어, 필름(10)의 불량부분이 도료에 의해서 표시된다.
이러한 도료분사노즐(450)이 더 설치된 검출부(400)를 통해서 필름(10)의 불량부분에 도료가 분사됨으로써, 불량 유·무의 판별 및 불량률이 사용자의 눈으로 더욱 손쉽게 식별할 수 있음과 동시에 불량발생 위치까지 손쉽게 판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러한 효과를 통해서 구매자가 필름의 불량부분을 용이하게 판별하여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절삭부(500)의 작동에 있어서, 검출부(400)에 의해서 불량이 검출되면, 그 불량이 검출된 시간과 제2인출롤러(200)의 초당 및 분당 회전수를 컴퓨터 등으로 계산하여 그 불량부분이 절삭부(500)의 절삭날(520)로 이동될 때, 불량부분이 절삭되도록 절삭부(500)를 작동시킴으로써, 불량이 없는 필름(10)만을 제공할 수도 있다.
위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세척부(300)를 통하여 세척되고, 이물질이 제거되며, 건조됨으로써 양질의 필름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와, 에어노즐(323)을 통해서 분사되는 고압의 공기에 의해서 발생하는 스크래치가 지그재그로 배열된 제3유도롤러(322)에 의해서 방지되는바, 더욱 향상된 양질의 필름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검출부(400)를 통하여 필름(10)의 스크래치 및 엠보싱 형성위치에 대한 불량이 검출되어 생산되는 필름(10)의 불량률이 손쉽게 확인됨으로써, 구매자가 원하는 불량기준에 적합한 제품만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그 검출부(400)에 더 설치된 도료분사노즐(450)을 통해서 분사된 도료에 의해서, 필름(10)의 불량부분이 눈으로 식별할 수 있음으로써, 생산된 필름의 불량률 및 불량위치를 더욱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인출롤러(120)와 제2인출롤러(200), 권취롤러(600) 및 제1 내지 제6유도롤러(530)를 통하여 필름롤러(110)에 감긴 필름(10)이 연속적으로 이동되면서, 엠보싱부(100)와 세척부(300), 검출부(400) 및 절삭부(500)를 통과하여 권취롤러(600)에 감겨서 보관되어, 연속적인 생산공정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엠보싱이 형성된 엠보싱 필름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엠보싱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필름을 제거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엠보싱부와 제2인출부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세척부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검출부와 제거부 및 권취부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9는 도 7의 B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7의 B부분을 기준으로 분사노즐이 더 설치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상세한 설명 *
10 : 필름 100 : 엠보싱부
110 : 필름롤러 111 : 가이드봉
120 : 제1인출롤러 121 : 구동롤러
122 : 가이드롤러 130 : 엠보싱롤러
140 : 제1유도롤러 200 : 제2인출롤러
300 : 세척부 310 : 세척기
311 : 초음파세척조 312 : 제2유도롤러
320 : 제거기 321 : 제거커버
322 : 제3유도롤러 323 : 에어노즐
330 : 건조기 331 : 건조커버
332 : 열풍노즐 333 : 제4유도롤러
400 : 검출부 410 : 스캔카메라
420 : 제5유도롤러 430 : 평면조명
440 : 엠보싱조명 450 : 분사노즐
500 : 절삭부 510 : 실린더
520 : 절삭날 530 : 제6유도롤러
600 : 권취롤러

Claims (5)

  1. 엠보싱장치에 있어서,
    모터와 연동하는 제1인출롤러(120)에 의해서 필름롤러(110)에 감긴 필름을 이동시켜 인출하되, 엠보싱롤러(130)를 통하여 상기 이동되는 필름에 엠보싱을 형성하는 엠보싱부(100)와;
    상기 엠보싱부(100)의 우측에 제1인출롤러(120)와 동일한 구성으로 설치되어 엠보싱부(100)를 통과한 필름을 다시 이동시켜 인출하는 제2인출롤러(200)와;
    상기 엠보싱부(100)와 제2인출롤러(200) 사이에 세척기(310)와 제거기(320) 및 건조기(330)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엠보싱부(100)를 통과한 필름을 세척하는 세척부(300)와;
    상기 세척부(300)와 제2인출롤러(200) 사이에 설치되되, 스캔카메라(410)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통하여 상기 세척부(300)를 통과한 필름의 불량 유·무를 판별하는 검출부(400)와;
    상기 제2인출롤러(200) 하부에 전·후진 하는 절삭날(520)이 구비되고, 그 절삭날(520) 하부에 상기 검출부(400)를 통과한 필름을 절삭날(520)의 전면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제5유도롤러(420)가 구비되어 필름을 절삭하는 절삭부(500)와;
    상기 절삭부(500)의 우측 편으로 모터와 연동하여 상기 절삭부(500)를 통과한 필름을 감아서 보관하는 권취롤러(6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검수 타입의 복합 엠보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300)는 초음파세척조(311)가 설치되고, 그 초음파세척조(311)의 내부에 필름의 이동을 유도하는 제1유도롤러(140)가 설치되어 상기 엠보싱부(100)를 통과한 필름을 세척하는 세척기(310)와;
    상기 세척기(310) 상부에 제거커버(321)가 구비되고, 그 제거커버(321) 내부에 필름의 이동을 유도하는 제3유도롤러(322)가 구비되며, 그 제3유도롤러(322)의 양측으로 공기가 분사되는 에어노즐(323)이 구비되어 상기 세척부(300)를 통과한 필름에 잔류하는 이물질 및 세척액을 제거하는 제거기(320)와;
    상기 제거기(320)의 우측으로 건조커버(331)가 구비되고, 그 건조커버(331) 내부의 양측에 열풍이 분사되는 열풍노즐(332)이 구비되며, 건조커버(331) 하부에 제거기(320)를 통과한 필름이 건조커버(331) 내부를 통과하도록 제4유도롤러(333)가 구비되어 상기 제거기(320)를 통과한 필름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건조기(3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검수 타입의 복합 엠보싱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유도롤러(322)는 하나 이상의 롤러가 지그재그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검수 타입의 복합 엠보싱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400)는 스캔카메라(410)가 설치되고, 그 스캔카메라(410)의 전방으로 상기 건조된 필름을 유도하는 제5유도롤러(420)가 설치되며, 그 스캔카메라(410)와 제5유도롤러(420) 사이에 이동되는 필름의 엠보싱 부분을 조명하는 엠보싱조명(440)이 설치되고, 제5유도롤러(420)와 제2인출롤러(200) 사이에 스캔카메라(410)를 마주하여 이동되는 필름의 후면 전체를 조명하는 평면조명(43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검수 타입의 복합 엠보싱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5유도롤러(420) 상부에 불량이 발생한 필름의 부위가 눈으로 식별되도록 도료가 분사되는 분사노즐(450)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검수 타입의 복합 엠보싱장치.
KR1020090050680A 2009-06-08 2009-06-08 자체검수 타입의 복합 엠보싱장치 KR101083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680A KR101083661B1 (ko) 2009-06-08 2009-06-08 자체검수 타입의 복합 엠보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680A KR101083661B1 (ko) 2009-06-08 2009-06-08 자체검수 타입의 복합 엠보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865A true KR20100131865A (ko) 2010-12-16
KR101083661B1 KR101083661B1 (ko) 2011-11-15

Family

ID=43507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680A KR101083661B1 (ko) 2009-06-08 2009-06-08 자체검수 타입의 복합 엠보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36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42005A (zh) * 2013-01-06 2013-04-17 铜陵晶能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清洁锂电池隔膜生产线中的激冷辊的方法
KR102566476B1 (ko) * 2022-08-19 2023-08-14 장우영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29708A1 (en) 2003-08-05 2005-02-10 General Electric Company Process and apparatus for embossing a film surfa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42005A (zh) * 2013-01-06 2013-04-17 铜陵晶能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清洁锂电池隔膜生产线中的激冷辊的方法
KR102566476B1 (ko) * 2022-08-19 2023-08-14 장우영 듀얼 방식 포장지 절단 및 분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3661B1 (ko) 2011-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51058B2 (ja) 紙巻煙草の端部の検査方法
JP5972400B2 (ja) 透明板の容積内で欠陥を特定する装置及び方法、並びにこの装置の使用
US200602032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defect in surface of metal roll
JP6376998B2 (ja) 光透過性の下地を用いて、透明な材料を吐出する印刷ヘッド内の動作不能インクジェットを検知するシステム
JP4930748B2 (ja) 被膜検査装置および方法
US958152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specting wound optical fiber
FR2993662A1 (fr) Procede et installation pour la detection notamment de defauts refractants
FR3016699A1 (fr)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detection notamment de defauts refractants
US20130135459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surface compliance for a glass surface
JP2011242330A (ja) 布片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MX2015002202A (es) Inspeccion del interior de envases desde abajo a traves del fondo del envase.
KR101083661B1 (ko) 자체검수 타입의 복합 엠보싱장치
JP2011089981A (ja) 検査システム及び検査方法
JP2009171967A (ja) 細長い形状の煙草製品を光学的に走査するユニット
SE1051245A1 (sv) Metod för att torka en massabana och en massatork innefattande en inspektionsanordning för analysering av massabanans position eller förekomst av massarester
US20120133761A1 (en) Uneven area inspection system
CN108535273A (zh) 缺陷检查系统、膜制造装置及方法、印刷装置及方法
KR20210112512A (ko) 크랙 검사기를 포함하는 골프공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크랙 검사 방법
JPH06129996A (ja) 織布の検反装置
JP2008126667A (ja) 印刷枚葉紙を光学的に測定する装置を作動させる方法
JP2002365225A (ja) シート材の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KR100784962B1 (ko) 비전시스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불량원료고무 검출방법
GB2354011A (en) Apparatus for forming a card web of textile fibres
JP2007298416A (ja) シート状透明体検査装置、シート状透明体の検査方法およびシート状透明体の製造方法
KR0141196B1 (ko) 음극선관의 패널 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