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958B1 - 복수의 로드체가 맞붙여지는 낚싯대 - Google Patents

복수의 로드체가 맞붙여지는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958B1
KR102560958B1 KR1020207036548A KR20207036548A KR102560958B1 KR 102560958 B1 KR102560958 B1 KR 102560958B1 KR 1020207036548 A KR1020207036548 A KR 1020207036548A KR 20207036548 A KR20207036548 A KR 20207036548A KR 102560958 B1 KR102560958 B1 KR 102560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al axis
rod
circumferential surface
inner circumferential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6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0578A (ko
Inventor
야스히로 츠카모토
아츠시 사이토
마사요시 나카오
켄지 카토
이사오 오오타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202757A external-priority patent/JP69533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243805A external-priority patent/JP695339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9004805A external-priority patent/JP7057293B2/ja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10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9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02Fishing rods with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hollow ro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Abstract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의한 낚싯대는 중심축을 따라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하는 중공의 로드체와, 상기 중심축에 대해 경사지는 외주면을 갖고,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로드체에 삽입되고, 상기 중심축을 따르는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일단보다 상기 타단측에 있는 지지 위치에서 상기 로드체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축 부재를 구비한다. 해당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로드체의 상기 내주면은 상기 축 부재의 상기 외주면보다 직경 방향 외측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위치와 상기 내주면의 상기 일단측의 단인 일단 위치를 통과하여 상기 중심축을 향해 볼록하게 되는 가상 곡선을 그었을 때에,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 위치와 상기 일단 위치 사이에 있어서, 상기 가상 곡선에서 상기 중심축을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를 갖는다.

Description

복수의 로드체가 맞붙여지는 낚싯대
본 출원은 일본국 특허출원 2018-202757(2018년 10월 29일 출원), 일본국 특허출원 2018-243805(2018년 12월 26일 출원) 및 일본국 특허출원 2019-004805(2019년 1월 16일 출원)에 의거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은 참조에 의해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복수의 로드체가 맞붙여지는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복수의 장대를 인롱계 구조 혹은 병계식으로 연결하는 인롱 계식의 낚싯대 및 병계식의 낚싯대에도 관한 것이다.
인롱 계식의 낚싯대에 있어서는 중공의 소경 로드체와 중공의 대경 로드체가 인롱 심재에 의해 연결된다. 종래의 인롱 계식의 낚싯대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3-250396호에 개시되어 있다. 인롱 계식의 낚싯대에 있어서는 인롱 심재의 일단을 대경 로드체의 팁로드측 단부에 접착 등에 의해 고정시키고, 이 인롱 심재 중 팁로드측 단부로부터 튀어나가 있는 부위를 소경 로드체에 후단(바로앞측단)으로부터 삽입하는 것에 의해, 해당 소경 로드체와 해당 대경 로드체가 인롱 심재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인롱에는 대경 장대의 선단 개구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부분에, 소경 장대의 후단 개구가 압입되고, 그 외주면의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고정 상태로 되고, 소경 장대와 대경 장대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소경 장대의 후단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응력 분산 공극부내에 연질재를 충전하거나, 그 부분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맞붙임 영역에서 강성이 높아져 버려, 휨성이 저하해 버린다. 또, 실제 조업시에, 물고기가 걸려 낚싯대에 큰 휨이 발생하면, 인롱의 외주면에는 테이퍼의 상승 부분에서 큰 압력을 받아 버려, 인롱의 외주면에는 압입된 소경 장대의 고정 위치(테이퍼의 상승 위치)에서 링 형상으로 큰 응력 집중이 생기고, 이 위치에서 인롱이 파손되기 쉽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연질재를 충전하면, 소경 장대의 삽입 이탈에 벗겨지거나, 삽입 이탈시에 저항으로 되어 버려, 착탈 조작이 안정되지 않는다. 즉, 연질재가 벗겨지면, 인롱에 대한 장착 위치에 편차가 생기기 쉬워지고, 또, 연질재가 충전되어 있으면, 압입시에 저항으로 되어 버려, 소경 장대와 인롱 외주면 사이에서 확실한 감합(끼워맞춤) 양태가 얻어지지 않아, 그 감합 고정 위치도 안정되지 않는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3-250396호
인롱 계식의 낚싯대가 구부러지면, 소경 로드체의 후단에 있어서, 해당 소경 로드체의 내주에서 인롱 심재에 응력이 집중적으로 작용한다. 이 응력의 집중을 위해, 인롱 심재는 낚싯대의 사용시에 파단되기 쉽다.
마찬가지의 문제는 병계식의 낚싯대에 있어서도 발생한다. 즉, 병계식의 낚싯대에 있어서는 소경의 소경 로드체가 대경의 대경 로드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낚싯대가 구부러지면, 소경 로드체 중, 대경 로드체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위치에 응력이 집중하기 쉽다. 이 때문에, 소경 로드체 중, 대경 로드체에 삽입되어 있는 부위가 파단되기 쉽다.
본 발명의 목적의 하나는 로드체의 맞붙임 부위에 있어서의 파단을 억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이외의 목적은 본 명세서 전체를 참조하는 것에 의해 명백하게 된다.
또, 상기 인롱에는 대경 장대의 선단 개구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부분에, 소경 장대의 후단 개구가 압입되고, 그 외주면 중의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고정 상태로 되며, 소경 장대와 대경 장대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소경 장대의 후단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응력 분산 공극부내에 연질재를 충전하거나, 그 부분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맞붙임 영역에서 강성이 높아져 버려, 휨성이 저하해 버린다. 또, 실제 조업시에, 물고기가 걸려 낚싯대에 큰 휨이 발생하면, 인롱의 외주면에는 테이퍼의 상승 부분에서 큰 압력을 받아 버려, 인롱의 외주면에는 압입된 소경 장대의 고정 위치(테이퍼의 상승 위치)에서 링 형상에 큰 응력 집중이 생기고, 이 위치에서 인롱이 파손되기 쉽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연질재를 충전하면, 소경 장대의 삽입 이탈시에 벗겨지거나, 삽입 이탈시에 저항으로 되어 버려, 착탈 조작이 안정되지 않는다. 즉, 연질재가 벗겨지면, 인롱에 대한 장착 위치에 편차가 생기기 쉬워지고, 또, 연질재가 충전되어 있으면, 압입시에 저항으로 되어 버려, 소경 장대와 인롱 외주면 사이에서 확실한 감합 양태가 얻어지지 않고, 그 감합 고정 위치도 안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인롱 부분에서의 응력 집중을 완화할 수 있는 동시에, 인롱에 대한 소경 장대의 착탈 조작을 안정하게 실행할 수 있는 인롱 계식의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소경 장대와 대경 장대를 병계식으로 연결하는 병계식의 낚싯대에 있어서, 맞붙임 부분에서의 응력 집중을 완화하여 소경 장대와 대경 장대의 착탈 조작을 안정하게 실행할 수 있는 병계식의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의한 낚싯대는 중심축을 따라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하는 중공의 로드체와, 상기 중심축에 대해 경사진 외주면을 갖고,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로드체에 삽입되고, 상기 중심축을 따르는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일단보다 상기 타단측에 있는 지지 위치에서 상기 로드체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축 부재를 구비한다. 해당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로드체의 상기 내주면은 상기 축 부재의 상기 외주면보다 직경 방향 외측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위치와 상기 내주면의 상기 일단측의 단인 일단 위치를 통과하여 상기 중심축을 향해 볼록하게 되는 가상 곡선을 그었을 때,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 위치와 상기 일단 위치 사이에 있어서, 상기 가상 곡선에서 상기 중심축을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로드체의 상기 내주면은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 위치와 상기 일단 위치 사이에 있어서, 상기 가상 곡선에서 상기 중심축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볼록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로드체의 상기 내주면은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 위치와 상기 일단 위치 사이에 있어서, 상기 가상 곡선에서 상기 중심축과는 반대측을 향해 오목하게 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로드체의 상기 내주면은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 위치와 상기 일단 위치 사이에 있어서, 상기 가상 곡선에서 상기 중심축과는 반대측을 향해 오목하게 되는 복수의 오목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내주면의 상기 일단 위치와 상기 지지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은 상기 외주면이 상기 중심축과 이루는 각도보다 큰 각도로 상기 중심축에 대해 경사져 있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내주면의 상기 일단 위치는 상기 지지 위치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있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로드체의 상기 내주면은 상기 지지 위치에서 상기 타단측으로 상기 중심축과 평행하게 또는 대략 평행하게 연장하는 평행면을 갖는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로드체는 직경 방향의 가장 내측에 마련되어 있고, 제 1 강화 섬유를 포함하는 응력 완화층과, 상기 응력 완화층의 직경 방향 외측에 마련된 제 2 강화 섬유를 포함하는 본체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강화 섬유의 인장 탄성률은 상기 제 2 강화 섬유의 인장 탄성률보다 작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의한 낚싯대는 중심축을 따라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하는 중공의 로드체와, 상기 중심축에 대해 제 1 각도만큼 경사지는 외주면을 갖고,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로드체에 삽입되는 축 부재를 구비한다. 이 로드체의 내주면은 상기 일단에서 상기 축 방향의 제 1 위치까지 상기 중심축에 대해 제 1 각도보다 큰 각도로 경사져 연장하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1 위치보다 상기 타단측에 있는 제 2 위치까지 연장하는 제 2 면과,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보다 상기 타단측에 있는 제 3 위치까지 상기 중심축과 평행하게 또는 대략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 3 면을 갖는다. 이 제 2 면은 상기 제 1 면에 연속되어 있으며 상기 중심축에 대해 상기 제 1 각도보다 큰 각도로 경사져 있는 경사부와, 상기 제 3 면에 연속되어 있고 상기 중심축과 평행하게 또는 대략 평행하게 연장하는 비경사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비경사부의 상기 제 1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중심축 주위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상기 제 2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내주면의 전체 길이의 50%이상이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의 상기 중심축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상기 제 2 면의 상기 중심축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이상이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의한 낚싯대는 상기 로드체의 외주면에 마련된 낚시줄 가이드를 더 구비한다. 상기 경사부는 상기 중심축 주위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낚시줄 가이드의 부착 위치와 반대측에 마련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중심축 주위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낚시줄 가이드의 부착 위치와 동일한 측에 마련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축 부재는 인롱 심재이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의한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축 부재는 상기 로드체보다 소경의 다른 로드체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대경 장대와 소경 장대을, 인롱에 의해서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인롱 계식의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소경 장대의 후단측에는 상기 인롱의 외주면에 대해 감입(끼워 넣음),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인롱의 외주면으로부터 상승하는 상승 위치를 구비한 개구 내주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 내주면에는 적어도 상기 상승 위치의 영역에, 둘레 방향에 걸쳐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미소 요철 및/또는 둘레 방향에 걸쳐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미소 홈을 구비한 조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인롱 계식의 낚싯대에서는 인롱의 외주면에 대해, 소경 장대의 후단측의 개구가 압입되어, 소경 장대와 대경 장대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인롱의 외주면에는 소경 장대의 압입, 고정 위치에서 링 형상에 큰 응력 집중이 발생하고, 이 위치에서 인롱이 파손되기 쉬워지지만, 상기한 구성에서는 소경 장대의 후단측의 개구 내주면의, 상기 인롱의 외주면으로부터 상승하는 상승 위치의 영역에 조면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경 장대가 휘었을 때, 조면부가 변형되어 인롱 외주면에 대한 닿음(응력 집중)이 완화되고, 인롱 부분에서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한 조면부가 형성됨으로써, 상승 위치(에지)에서의 인롱의 외주면에 대한 닿음(링 형상에 작용하는 응력)을 완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구부림 응력이나 전단 응력이 작용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 그러한 조면부는 실제로 맞붙임이 이루어지는 상승 위치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경 장대의 압입, 고정시에 확실한 위치 맞춤을 실행할 수 있는 동시에, 소경 장대의 고착을 방지할 수 있어, 소경 장대의 안정된 착탈 조작을 실행할 수 있고, 그 감합 고정 위치도 안정된다.
또한, 상기한 조면부에 대해서는 둘레 방향에 걸쳐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미소 요철 및, 둘레 방향에 걸쳐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미소 홈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포함하고 있으면 좋고, 전자의 미소 요철은 소경 장대가 휘었을 때, 인롱 외주면에 대해 찌부러지도록 변형되어 응력을 완화하고, 후자의 다수의 미소 홈은 압력이 작용했을 때에 표면 영역의 변형을 허용하여 응력을 완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조면부에 대해서는 둘레 방향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휘었을 때에, 큰 응력이 작용하는 둘레 방향의 일정 범위내에 형성한 것이어도 좋다.
또, 상기한 조면부를 갖는 맞붙임 구조에 대해서는 병계식의 낚싯대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병계식의 낚싯대에서는 소경 장대의 후단부를, 대경 장대의 선단측의 개구 내주면에 압입, 감합시키는 구조로 되지만, 대경 장대의 선단측의 개구 내주면에 상승 위치를 형성해 두고, 이 영역에, 둘레 방향에 걸쳐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미소 요철 및/또는 둘레 방향에 걸쳐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미소 홈을 구비한 조면부를 형성해 두면 좋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해서, 로드체의 맞붙임 부위에 있어서의 파단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인롱 부분에서의 응력 집중을 완화할 수 있으며, 인롱에 대한 소경 장대의 착탈 조작을 안정하게 실행할 수 있는 인롱 계식의 낚싯대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의한 낚싯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낚싯대가 갖는 대경 로드체와 소경 로드체의 맞붙임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나 있는 맞붙임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소경 로드체의 내주면의 형상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a는 대경 로드체의 내주면에 대한 축 부재의 외주면의 배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a에 있어서는 낚싯대가 휘어 있지 않을 때의 대경 로드체의 내주면에 대한 축 부재의 외주면의 배치가 나타나 있다.
도 5b는 대경 로드체의 내주면에 대한 축 부재의 외주면의 배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b에 있어서는 낚싯대가 휘었을 때의 대경 로드체의 내주면에 대한 축 부재의 외주면의 배치가 나타나 있다.
도 5c는 대경 로드체의 내주면에 대한 축 부재의 외주면의 배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c에 있어서는 낚싯대가 더욱 휘었을 때의 대경 로드체의 내주면에 대한 축 부재의 외주면의 배치가 나타나 있다.
도 6은 도 1의 낚싯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낚싯대가 갖는 대경 로드체와 소경 로드체의 맞붙임 구조를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난 낚싯대의 맞붙임 구조를 중심축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선으로 절개하여 전개한 모식도이다.
도 9는 중심축에 수직인 면에서 끝 대를 절단한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중심축에 수직인 면에서 끝 대를 절단한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의한 낚싯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도 2에 나타나 있는 맞붙임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별도의 양태에 관한 모식도이다.
도 13은 도 3에 나타난 낚싯대의 맞붙임 구조를 중심축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선으로 절개하여 전개한 별도의 양태에 관한 모식도이다.
도 14는 중심축에 수직인 면에서 끝 대를 절단한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중심축에 수직인 면에서 끝 대를 절단한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낚싯대에 있어서의 맞붙임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관한 인롱 계식 낚싯대의 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 인롱 계 부분을 확대한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19는 4점 구부림 시험의 시험 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3에 나타낸 시험에 의한 구부림 파괴 강도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1은 소경 장대의 맞붙임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소경 장대와 인롱의 맞붙임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도 6에 나타내는 맞붙임 구조를, 중심축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선으로 절개하여 전개한 모식도, 및 모식도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7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7의 C-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7의 P1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로서, 미소 요철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소경 장대의 맞붙임부에 있어서의 조면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적절히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공통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붙여져 있다. 각 도면은 설명의 편의상, 반드시 정확한 축척으로 기재되어 있다고는 할 수 없는 점에 유의하기 바란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의한 낚싯대(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의한 인롱 계식의 낚싯대(1)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낚싯대(1)에 있어서의 대경 로드체의 손잡이대(5)와 소경 로드체의 예인 끝 대(2)의 맞붙임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나타나 있는 맞붙임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4는 도 1의 끝 대(2)의 내주면의 형상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낚싯대(1)는 도시한 바와 같이, 끝 대(2)와, 이 끝 대(2)에 맞붙여지는 손잡이대(5)를 갖는다. 끝 대(2) 및 손잡이대(5)는 모두, 중심축 X를 따라 연장하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중심축 X를 따르는 방향을 축 방향 또는 중심축 방향이라고 하고, 중심축 X에서 중심축 X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방향을 직경 방향으로 하는 경우가 있다. 끝 대(2)는 그 후단(2a1)에서 그 전단(2a2)까지 연장하고 있다. 손잡이대(5)는 그 후단(5a1)에서 그 전단(5a2)까지 연장하고 있다. 끝 대(2) 및 손잡이대(5)는 예를 들면, 탄소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한 프리프레그 시트를 소성하여 관 형상의 소성체를 형성하고, 이 소성체에 연마 처리 및 도장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끝 대(2)의 제조 공정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손잡이대(5)의 후단에는 그립(4)이 마련되어 있다. 손잡이대(5)의 그립(4)의 전방에는 릴 시트(3)가 마련되어 있다. 끝 대(2) 및 손잡이대(5)의 외주면의 상단에는 복수의 낚시줄 가이드(7)가 부착되어 있다. 릴 시트(3)에는 도시하지 않은 릴이 부착된다.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릴 시트(3)에는 양 축받이형 릴이 부착된다. 양 축받이형 릴은 베이트 릴 또는 베이트캐스팅 릴이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양 축받이형 릴이 이용되는 경우에는 낚시줄 가이드(7)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끝 대(2) 및 손잡이대(5)의 외주면의 상단에 마련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릴 시트(3)에는 스피닝 릴이 부착되어도 좋다. 스피닝 릴이 이용되는 경우에는 낚시줄 가이드(7)는 끝 대(2) 및 손잡이대(5)의 외주면의 하단에 마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낚싯대(1) 또는 해당 낚싯대(1)를 구성하는 끝 대(2) 및 손잡이대(5)의 전후 방향을 언급하는 경우에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1실시형태에 있어서, 손잡이대(5)는 그 내경이 끝 대(2)의 내경보다 커지도록 구성된다. 끝 대(2)는 소경 로드체의 예이며, 손잡이대(5)는 대경 로드체의 예이다. 손잡이대(5)의 내경 및 끝 대(2)의 내경은 각각, 예를 들면 3㎜∼15㎜의 범위로 되며, 각 외경은 5㎜∼20㎜의 범위로 되도록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설명되는 끝 대(2) 및 손잡이대(5)의 치수는 예시이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끝 대(2)는 그 후단(2a1) 부근에 있어서, 응력 완화층(21)과, 응력 완화층(21)의 외표면에 마련된 본체 보호층(22)과, 본체 보호층(22)의 외표면에 마련된 본체층(23)과, 본체층(23)의 외표면에 마련된 보강층(24)을 구비한다. 응력 완화층(21), 본체 보호층(22), 본체층(23) 및 보강층(24)은 모두, 강화 섬유로 이루어지는 강화 섬유 다발을 매트릭스 수지에 함침시킨 섬유 강화 수지 시트를 소성함으로써 얻어진다. 끝 대(2)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끝 대(2)의 후단(2a1) 부근에 있어서는 그 직경 방향의 가장 내측에 응력 완화층(21)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끝 대(2)의 후단(2a1) 부근에 있어서는 응력 완화층(21)의 내주면(21A)이 끝 대(2)의 내주면(2b)을 구성한다. 응력 완화층(21)의 내주면(21A)은 중심축 X 방향에 대해 경사져 끝 대(2)의 후단(2a1)에서 전방으로 연장하는 경사면(21A1)과, 경사면(21A1)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중심축 A와 평행하게 연장하는 평행면(21A2)을 갖는다.
끝 대(2)와 손잡이대(5)는 인롱 심재(6)를 통해, 서로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인롱 심재(6)는 예를 들면, 탄소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한 프리프레그 시트를 소성하여 관 형상의 소성체를 형성하고, 이 소성체에 연마 처리 및 도장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인롱 심재(6)는 대략 원주 형상 후단부(6a)와, 후단부(6a) 앞측에 마련되어 있고 그 외주면이 중심축 X에 대해 제 1 각도 θ1만큼 경사져 있는 경사부(6b)와, 이 경사부(6b) 앞에 마련되어 있고 대략 원주 형상을 갖는 전단부(6c)를 갖는다. 전단부(6c)는 후단부(6a)보다 소경으로 되도록 형성된다. 인롱 심재(6)는 그 중심축 방향의 길이가 50㎜∼150㎜로 되고, 그 후단부(6a)의 외경이 3㎜∼15㎜로 되도록 형성된다. 경사부(6b)의 외주면이 중심축 X와 이루는 제 1 각도 θ1은 예를 들면, 0.05° 내지 5.0°의 범위로 된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경사부(6b)의 외주면의 기울기는 경사져 있는 것을 알기 쉽게 나타내기 위해 과장되어 있다. 인롱 심재(6)는 중공이어도 좋고 솔리드이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설명되는 인롱 심재(6)의 치수 및 형상은 예시이다. 예를 들면, 인롱 심재(6)는 그 외주면이 중심축 X에 대해 그 후단에서 전단까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1실시형태에 있어서, 인롱 심재(6)는 손잡이대(5)에 중심축 X 방향의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되고, 예를 들면 접착에 의해 손잡이대(5)의 내주면(5b)에 고정된다. 인롱 심재(6)는 그 일부가 손잡이대(5)의 전단(5a2)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손잡이대(5)에 대해 고정된다. 손잡이대(5)의 전단(5a2)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인롱 심재(6)를 끝 대(2)에 후단(2a1)에서 맞춤 위치까지 삽입하는 것에 의해, 끝 대(2)와 손잡이대(5)가 인롱 심재(6)를 통해 연결된다. 인롱 심재(6)는 로드체에 삽입되는 축 부재의 예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롱 심재(6)는 끝 대(2)의 맞붙임부(2a)의 내주면(2b)에 접착된다. 이 경우, 인롱 심재(6)는 끝 대(2)의 후단(2a1)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끝 대(2)에 고정된다. 인롱 심재(6) 중 이 끝 대(2)의 후단(2a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부위를 손잡이대(5)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끝 대(2)와 손잡이대(5)가 인롱 심재(6)를 통해 연결된다.
도 2에 있어서는 인롱 심재(6)가 맞춤 위치까지 삽입되어 있다. 인롱 심재(6)가 맞춤 위치에 도달했을 때, 손잡이대(5)의 전단(5a2)과 끝 대(2)의 후단(2a1)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이 간극의 중심축 X 방향의 길이는 예를 들면, 3㎜∼10㎜이다. 이 간극의 치수는 예시이다. 이 끝 대(2)와 손잡이대(5) 사이에 간극이 있기 때문에, 낚싯대(1)의 사용시에 끝 대(2) 및 손잡이대(5)가 구부려지면, 인롱 심재(6)에는 구부림 응력 및 전단 응력이 작용한다.
인롱 심재(6)가 맞춤 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 인롱 심재(6)의 외표면(6e)은 응력 완화층(21)의 내주면의 경사면(21A1)과 평행면(21A2)의 경계에 있는 위치 A1에 있어서 응력 완화층(21)의 내주면에 접한다. 따라서, 인롱 심재(6)는 위치 A1에서 응력 완화층(21)의 내주면에 지지된다. 이 위치 A1은 지지 위치의 예이다. 인롱 심재(6)가 맞춤 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 위치 A1에 있어서, 인롱 심재(6)의 외경과 응력 완화층(21)의 내경이 일치 또는 대략 일치한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여, 응력 완화층(21)의 내주면(21A)에 대해 또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주면(21A)은 경사면(21A1)과, 평행면(21A2)을 갖는다. 이 경사면(21A1)은 요철 구조를 갖는다.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경사면(21A1)은 8개의 오목부(21a1∼21a8)와, 8개의 볼록부(21b1∼21b8)를 갖는다. 이 요철 구조는 가상 곡선 Y를 기준으로 해서 정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오목부(21a1∼21a8)는 가상 곡선 Y에서 중심축 X와는 반대측(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오목하게 되어 있고, 볼록부(21b1∼21b8)는 가상 곡선 Y에서 중심축 X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이 가상 곡선 Y는 인롱 심재(6) 외주면(6e)보다 직경 방향 외측의 영역에 있어서 지지 위치 A1과 응력 완화층(21)의 내주면(21A)의 후단에 있는 일단 위치 A2를 통과하여 중심축 X를 향해 볼록하게 되는 가상적인 곡선이다. 볼록부(21b1∼21b8)는 끝 대(2)가 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인롱 심재(6)와 간섭하지 않도록, 가상 곡선 Y에서 중심축 X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끝 대(2)가 휘어 있지 않을 때에는 볼록부(21b1∼21b8)는 인롱 심재(6)의 외표면(6e)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있다. 오목부(21a1∼21a8) 및 볼록부(21b1∼21b8)는 축 방향에 있어서, 지지 위치 A1과 일단 위치 A2 사이에 있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일단 위치 A2는 지지 위치 A1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중심축 X를 포함하는 면에서 끝 대(2)를 절단한 경우, 지지 위치 A1과 일단 위치 A2를 연결하는 가상적인 직선은 중심축 X에 대해 제 1 각도 θ1보다 큰 제 2 각도 θ2만큼 경사져 있다. 제 2 각도 θ2는 예를 들면, 제 1 각도 θ1보다 큰 각도이다. 제 2 각도 θ2는 예를 들면, 0.1° 내지 10.0°의 범위로 된다. 1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각도 θ2는 2.0°로 된다.
다음에,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낚싯대(1)의 사용시에 있어서의 인롱 심재(6)의 외표면(6e)과 끝 대(2)의 내주면(2b)의 내주면(응력 완화층(21)의 내주면(21A))의 위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끝 대(2)가 휘어져 있지 않을 때 또는 끝 대(2)의 휨이 약간인 경우에는 인롱 심재(6)의 외표면(6e)은 지지 위치 A1에 있어서 끝 대(2)의 내주면(2b)에 지지되어 있지만, 그 이외의 위치에서는 끝 대(2)의 내주면(2b)에는 접해 있지 않다. 끝 대(2)의 휨이 커지면,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21b1∼21b8) 중 지지 위치 A1의 가장 근처에 있는 볼록부(21b1)가 인롱 심재(6)의 외표면(6e)에 접한다. 끝 대(2)의 휨이 커지면,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21b1∼21b8) 중 지지 위치 A1에 대해 2번째로 가까운 볼록부(21b2)가 인롱 심재(6)의 외표면(6e)에 접한다. 이와 같이, 끝 대(2)의 휨이 커짐에 따라, 볼록부(21b1∼21b8)가 지지 위치 A1에 가까운 순으로 인롱 심재(6)의 외표면(6e)에 접한다. 볼록부(21b1∼21b8)의 형상에 따라서는 끝 대(2)가 휘었을 때에 볼록부(21b1∼21b8) 중 2개 이상의 볼록부가 동시에 인롱 심재(6)의 외표면(6e)에 접해도 좋다.
상기와 같이, 인롱 심재(6)는 끝 대(2)의 맞붙임부(2a)의 내주면(2b)에 접착되어도 좋다. 이 경우, 인롱 심재(6) 중, 끝 대(2)의 후단(2a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부위를 손잡이대(5)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끝 대(2)와 손잡이대(5)가 인롱 심재(6)를 통해 연결된다. 이 경우, 손잡이대(5)의 내주면(5b)의 선단 부근이 끝 대(2)의 내주면(2b)의 후단 부근과 마찬가지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손잡이대(5)의 내주면(5b)의 선단 부근에, 경사면(21A1)에 상당하는 요철 구조를 갖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끝 대(2)의 내주면의 후단 부근에 경사면(21A1)을 형성하고, 또한, 손잡이대(5)의 내주면의 전단 부근에 경사면(21A1)에 상당하는 요철 구조를 갖는 경사면을 형성해도 좋다. 이러한 요철 구조를 갖는 경사면을 끝 대(2)와 손잡이대(5)의 양쪽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 인롱 심재(6)의 파단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인롱 심재(6)는 손잡이대(5)의 내주면에 접착되어도 좋고, 끝 대(2)의 내주면에 접착되어도 좋다.
다음에, 끝 대(2)의 제조 방법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끝 대(2)를 제조하기 위해, 우선, 맨드릴(50) 및 섬유 강화 수지 시트(51, 52, 53, 54)를 준비한다. 도시한 맨드릴(50)은 가늘고 긴 형상을 갖고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섬유 강화 수지 시트(51, 52, 53, 54)의 폭 및 길이에 대해 언급할 때에는 도 6에 직교 좌표로서 나타나 있는 W 방향(폭 방향) 및 L 방향(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해서 설명한다. 맨드릴(50)의 중심축은 L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섬유 강화 수지 시트(51, 52, 53, 54)는 강화 섬유로 이루어지는 강화 섬유 다발을 매트릭스 수지에 함침시킨 시트 형상의 복합 부재이다. 섬유 강화 수지 시트(51, 52, 53, 54)에 포함되는 강화 섬유는 예를 들면, 카본 섬유 또는 유리 섬유이다. 섬유 강화 수지 시트(51, 52, 53, 54)에 포함되는 매트릭스 수지 성분은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계 수지, 비스페놀 A계 수지, 비스페놀 F계 수지 또는 이들 조합이다.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섬유 강화 수지 시트(51, 52, 53, 54)는 모두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섬유 강화 수지 시트(51, 52, 53, 54)의 형상은 사다리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1실시형태에 있어서, 섬유 강화 수지 시트(51)에 포함되는 강화 섬유의 인장 탄성률은 섬유 강화 수지 시트(53)에 포함되는 강화 섬유의 인장 탄성률보다 작다. 1실시형태에 있어서, 섬유 강화 수지 시트(51)에 포함되는 강화 섬유는 1t/㎟이상, 1.5t/㎟이상, 2t/㎟이상, 3t/㎟이상, 4t/㎟이상, 5t/㎟이상, 6t/㎟이상, 7t/㎟이상, 8t/㎟이상, 9t/㎟이상, 또는 10t/㎟이상의 인장 탄성률을 갖는다. 1실시형태에 있어서, 섬유 강화 수지 시트(53)에 포함되는 강화 섬유는 20t/㎟∼30t/㎟, 22t/㎟∼28t/㎟ 또는 23t/㎟∼27t/㎟의 탄성률을 갖는다.
1실시형태에 있어서, 섬유 강화 수지 시트(51)에 포함되는 강화 섬유는 중심축 X주위의 둘레 방향에 병렬 배치되어 있다. 1실시형태에 있어서, 섬유 강화 수지 시트(51)에 포함되는 강화 섬유는 중심축 X를 따른 축 방향에 병렬 배치되어 있다. 섬유 강화 수지 시트(54)는 짜여진(예를 들면, 평직된) 강화 섬유를 갖고 있어도 좋다. 섬유 강화 수지 시트(51∼54)에 포함되는 강화 섬유의 배향 방향은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설명된 방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섬유 강화 수지 시트(51)와 섬유 강화 수지 시트(52)는 대략 동일한 폭 및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섬유 강화 수지 시트(51) 및 섬유 강화 수지 시트(52)는 예를 들면, 맨드릴(50)의 주위에 1플라이(ply)만큼 감길 뿐의 폭을 갖는다. 섬유 강화 수지 시트(53)는 섬유 강화 수지 시트(51)와 섬유 강화 수지 시트(52)보다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의 치수가 크다. 섬유 강화 수지 시트(53)는 예를 들면, 맨드릴(50)의 주위에 3플라이만 감길 뿐의 폭을 갖는다. 섬유 강화 수지 시트(54)의 길이 방향의 치수는 섬유 강화 수지 시트(51)와 섬유 강화 수지 시트(52)의 길이 방향의 치수보다 크고, 섬유 강화 수지 시트(53)의 길이 방향의 치수보다 작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섬유 강화 수지 시트(51)는 그 한 변이 맨드릴(50)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해당 맨드릴(50)에 대해 배치되고, 그 배치를 유지한 채 맨드릴(50)의 외주면에 감긴다. 섬유 강화 수지 시트(52)는 그 우단이 섬유 강화 수지 시트(51)의 우단과 정렬하도록 배치되고, 그 배치를 유지한 채 섬유 강화 수지 시트(51)의 외주면에 감긴다. 섬유 강화 수지 시트(53)는 그 우단이 섬유 강화 수지 시트(52)의 우단과 정렬되도록 배치되고, 그 배치를 유지한 채 섬유 강화 수지 시트(52)의 외주면에 감긴다. 섬유 강화 수지 시트(54)는 그 우단이 섬유 강화 수지 시트(53)의 우단과 정렬하도록 배치되고, 그 배치를 유지한 채 섬유 강화 수지 시트(53)의 외주면에 감긴다.
이와 같이 맨드릴(50)에 감긴 섬유 강화 수지 시트(51, 52, 53, 54)를 소성하고, 소성 후에 맨드릴(50)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서 중공의 관 형상의 소성체가 얻어진다. 섬유 강화 수지 시트(51, 52, 53, 54)는 소성되는 것에 의해 각각 응력 완화층(21), 본체 보호층(22), 본체층(23), 및 보강층(24)으로 된다. 소성된 섬유 강화 수지 시트(51)(응력 완화층(21))의 내주면은 테이퍼 리머 등의 공구를 이용해서 절삭된다. 이 절삭에 의해, 응력 완화층(21)의 내주면(21A)에 경사면(21A1)이 형성된다. 1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끝 대(2)의 후단(2a1)으로부터 내부에, 테이퍼 리머를 그 축 방향이 중심축 X에 대해 약간 기울어지도록(예를 들면, 0.05°∼2°의 범위내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삽입하여, 응력 완화층(21)의 내주면(21A)을 절삭하는 것에 의해 경사면(21A1)이 형성된다. 응력 완화층(21)을 절삭할 때에, 응력 완화층(21)의 외주면에 마련된 본체 보호층(22)의 일부가 절삭되어도 좋다. 단, 본체 보호층(22)의 외주면에 마련된 본체층(23)은 절삭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중공의 관 형상의 소성체에 연마 처리 및 도장을 적절히 실시하는 것에 의해 끝 대(2)가 얻어진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의한 낚싯대에 대해, 도 7∼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의한 낚싯대에 있어서의 대경 로드체와 소경 로드체의 맞붙임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나타난 낚싯대의 맞붙임 구조를 중심축 X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선으로 절개하여 전개한 모식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나 있는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끝 대(2)의 내주면(2b)(응력 완화층(21)의 내주면(21A))의 형상이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다르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의한 낚싯대에 있어서의 끝 대(2)의 내주면(2b)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끝 대(2)의 내주면(2b)은 중심축 X 방향에 대해 경사지고 후단(2a1)에서 전방으로 연장하는 경사면(2b1)과, 경사면(2b1)의 전단의 위치 P1에서 위치 P2까지 연장하는 응력 완화면(2b2)과, 위치 P2에서 위치 P3까지 연장하는 원통면(2b3)을 갖는다. 위치 P1은 끝 대(2)의 후단(2a1)에서 중심축 X를 따라 전방으로 L1만큼 이동한 위치를 나타내고, 위치 P2는 위치 P1에서 중심축 X를 따라 전방으로 L2만큼 이동한 위치를 나타낸다. 위치 P3은 중심축 X상에 있어서 위치 P2와 끝 대(2)의 전단(2a2) 사이에 있는 임의의 위치이다. 길이 L1은 예를 들면, 1㎜∼30㎜의 범위의 길이로 된다. 1실시형태에 있어서, 길이 L1은 1㎜∼5㎜의 범위로 된다. 길이 L2는 길이 L1 이하의 길이로 된다. 위치 P1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응력 완화면(22)이 길어지면(위치 P1을 기점으로 한 길이 L2가 커지면), 끝 대(2)에 있어서 응력 완화면(2b2)이 차지하는 비율이 커진다. 응력 완화면(2b2)은 박육화되어 있기 때문에, 길이 L2가 커지면 끝 대(2)의 후단 부근의 강도가 부족할 우려가 있다. 길이 L2를 길이 L1 이하의 길이로 함으로써, 끝 대(2)가 강도 부족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경사면(2b1)은 중심축 X에 대해 제 1 각도 θ1보다 큰 제 2 각도 θ2만큼 경사져 P1까지 연장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지지 위치 A1과 일단 위치 A2를 연결하는 가상적인 직선은 중심축 X에 대해 제 1 각도 θ1보다 큰 제 2 각도 θ2만큼 경사져 있다. 경사면(2b1)은 경사면(21A1)과 마찬가지로, 하나 또는 복수의 요철을 갖고 있다.
원통면(2b3)은 위치 P2에서 위치 P3까지 중심축 X 방향과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하게 연장한다. 원통면(2b3)의 중심축 X 방향에 대한 기울기가 제 1 각도 θ1보다 작은 경우에는 원통면(2b3)은 중심축 X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한다고 할 수 있다. 끝 대(2)는 후단에서 전단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끝 대(2)의 외주면은 중심축 X 방향과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져 연장된다. 원통면(23)은 끝 대(2)의 외주면과 평행하게 연장해도 좋다.
응력 완화면(2b2)는 끝 대(2)의 내주면(2b) 중, 경사면(2b1)과 원통면(2b3) 사이의 부위이다. 응력 완화면(2b2)은 경사부(121a, 121b, 121c, 121d)와, 비경사부(122)를 갖고 있다. 설명의 편의상, 경사부(121a, 121b, 121c, 121d)를 총칭하여 경사부(121)로 하는 경우가 있다. 경사부(121)와 비경사부(122) 사이의 경계(123a)는 경사면(2b1)과 응력 완화면(2b2) 사이의 경계(123b)에서 후방을 향해 볼록하게 되는 파형을 갖고 있다. 경계(123b)는 중심축 X 주위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경계(123a)를 응력 완화 경계로 하고, 경계(123b)를 맞춤 위치 경계(또는 지지 위치 경계)로 하는 경우가 있다.
경사부(121)는 그 후단에 있어서 경사면(2b1)과 연속되어 있다. 즉, 경사부(121)의 후단은 위치 P1에 있다. 경사부(121)의 각각은 위치 P1으로부터 중심축 X를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경사부(121)의 전단은 서로 달라도 좋다.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경사부(121a, 121b, 121c, 121d)의 4개의 경사부가 마련되어 있고, 이 중, 경사부(121a)가 원통면(2b3)과의 경계인 위치 P1까지 연장되어 있다. 경사부(121a)는 4개의 경사부 중에서 가장 전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경사부(121b), 경사부(121c) 및 경사부(121d)는 위치 P1에서, 위치 P1과 위치 P2 사이에 있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경사부(121)의 각각은 경사면(2b1)과 마찬가지로, 중심축 X에 대해 제 1 각도 θ1보다 큰 제 2 각도 θ2만큼 경사져 있다. 경사부(121)는 중심축 X 주위의 둘레 방향의 위치에 의해서 중심축 X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달라도 좋다. 예를 들면, 경사부(121a)가 중심축 X 방향과 이루는 각도는 경사부(121b)가 중심축 X 방향과 이루는 각도와 달라도 좋다. 또, 경사부(121a)가 둘레 방향의 위치 B1에 있어서 중심축 X 방향과 이루는 각도는 경사부(121a)가 둘레 방향의 위치 B2에 있어서 중심축 X 방향과 이루는 각도와 달라도 좋다. 즉, 경사부(121a)가 중심축 X 방향과 이루는 각도는 둘레 방향의 위치에 따라 달라도 좋다. 이것은 경사부(121b, 121c, 121d)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경사부(121)가 중심축에 대해 이루는 각도는 경사면(2b1)이 중심축에 대해 이루는 각도와 동일해도 좋고 달라도 좋다.
도 9 및 도 10도 참조하여, 응력 완화면(2b2)에 대해 또한 설명한다. 도 9는 끝 대(2)를 중심축 X에 수직이고 위치 B1을 통과하는 면에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끝 대(2)를 중심축 X에 수직이고 위치 C1을 통과하는 면에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중심축 X를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위치 C1은 위치 B1보다 전방에 있다.
상기와 같이, 경사부(121a)는 중심축 X에 대해 제 1 각도 θ1보다 큰 각도로 경사져 있는 한편, 비경사부(122)는 중심축 X와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응력 완화면(12b2)은 도 9의 단면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B1과 위치 B2 사이, 위치 B3과 위치 B4 사이, 및 위치 B5와 위치 B6 사이에 있는 경사부(121a)에 있어서 끝 대(2)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오목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 6에 나타나 있는 단면에 있어서도, 응력 완화면(2b2)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C1과 위치 C2 사이, 및 위치 C3과 위치 C4 사이에 있어서 끝 대(2)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오목하게 된다.
낚싯대(1)의 사용시에는 끝 대(2)는 도 9의 아래쪽을 향해 구부러지므로, 끝 대(2)의 하측의 부위가 압축된다. 끝 대(2) 중 압축되는 것은 끝 대(2)의 하단을 중심으로 해서 소정 각도 범위내에 있는 부위이다. 끝 대(2)의 하단은 도 8에 있어서의 0°의 위치를 나타낸다. 이 0°의 위치를 중심으로 해서 ±30°의 영역에 특히 압축력이 작용한다. 끝 대(2)의 하단에서 둘레 방향으로 ±30°의 범위에 있는 영역을 압축 영역 R1로 한다.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낚시줄 가이드(7)는 끝 대(2)(및 손잡이대(5))의 상단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압축 영역 R1은 중심축 X 주위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낚시줄 가이드(7)의 부착 위치와 반대측에 있다. 도 8에 입각해서 설명하면, 낚시줄 가이드(7)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180°의 위치에 마련되고, 압축 영역 R1은 0°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30°의 위치에 있다. 스피닝 릴이 사용되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낚시줄 가이드(7)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0°의 위치에 마련되므로, 압축 영역 R1은 낚시줄 가이드(7)와 마찬가지로 끝 대(2)의 하측에 마련된다.
경사부(121a, 121b, 121c, 121d) 중의 적어도 하나는 이 압축 영역 R1에 마련된다.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경사부(121a)가 압축 영역 R1내에 마련되어 있다. 경사부(121a)는 그 전부가 압축 영역 R1내에 마련되어도 좋고, 그 일부가 압축 영역 R1내에 마련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응력 완화면(2b2)은 비경사부(122)와, 이 경사부(122)로부터 끝 대(2)의 직경 방향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는 경사부(121a)를 갖고 있다. 응력 완화면(2b2)에 있어서의 경사부(121a)의 형상 및 배치는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비경사부(122)의 일부는 위치 P2에서 위치 P1까지 연장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비경사부(122)의 일부의 후단은 중심축 X 방향에 있어서 위치 P1에 위치하고 있다. 중심축 X 방향의 위치 P1에 있어서의 비경사부(122)의 둘레 방향 길이(도 8에 있어서의 길이 b1+b2+b3+b4에 상당함)의 응력 완화면(2b2)의 내주면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전체 길이(도 8에 있어서의 길이 a에 상당함)에 대한 비는 0.5이상으로 된다. 즉, (b1+b2+b3+b4)/a는 0.5이상(백분율로 나타내면 50%이상)으로 된다.
상기와 같이,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끝 대(2)의 제조를 위해서는 탄소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한 프리프레그 시트를 소성하여 관 형상의 소성체가 작성된다. 끝 대(2)의 경사면(2b1) 및 응력 완화면(2b2)은 이 관 형상의 소성체의 내주면을 예를 들면 테이퍼 리머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가공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1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끝 대(2)의 내부에, 테이퍼 리머를 그 축 방향이 중심축 X에 대해 약간 기울어지도록(예를 들면, 0.05°∼2°의 범위내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삽입하여, 끝 대(2)의 내주면을 깎는 것에 의해 경사면(2b1)을 형성하고, 그 후, 더욱 소경의 리머(예를 들면, 핀 리머)를 이용하여, 끝 대(2)의 내주면의 경사면(21)보다 안쪽에 있는 영역을 깎는 것에 의해 경사부(121a)를 형성해도 좋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우선, 핀 리머를 이용하여 끝 대(2)의 내주면을 깎는 것에 의해 경사부(121a)에 상당하는 가느다란 홈을 형성하고, 다음에 테이퍼 리머를 이용하여 끝 대(2)의 내주면을 해당 가느다란 홈보다 얕게 깎는 것에 의해, 경사면(2b1) 및 경사부(121a)를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해서, 경사면(2b1), 및 경사부(121a)가 마련된 응력 완화면(2b2)을 형성할 수 있다. 경사면(2b1)과 경사부(121a)는 어느쪽을 먼저 형성해도 좋고, 양자를 한 번에 형성해도 좋다.
상기와 같이, 인롱 심재(6)는 끝 대(2)의 맞붙임부(2a)의 내주면(2b)에 접착되어도 좋다. 이 경우, 인롱 심재(6) 중, 끝 대(2)의 후단(2a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부위를 손잡이대(5)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끝 대(2)와 손잡이대(5)가 인롱 심재(6)를 통해 연결된다. 이 경우, 손잡이대(5)의 내주면(5b)의 선단 부근이 끝 대(2)의 내주면(2b)의 후단 부근과 마찬가지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손잡이대(5)의 내주면(5b)의 선단 부근에, 경사면(2b1) 및 응력 완화면(2b2)에 상당하는 요철 구조가 형성된다.
끝 대(2)의 내주면의 후단 부근에 경사면(2b1) 및 응력 완화면(2b2)을 형성하고, 또한, 손잡이대(5)의 내주면의 전단 부근에 경사면(2b1) 및 응력 완화면(22)에 상당하는 요철 구조를 형성해도 좋다. 이러한 요철 구조를 끝 대(2)와 손잡이대(5)의 양쪽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 파단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인롱 심재(6)는 손잡이대(5)의 내주면에 접착되어도 좋고, 끝 대(2)의 내주면에 접착되어도 좋다.
다음에,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낚싯대(10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낚싯대(101)에 있어서의 맞붙임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낚싯대(101)는 병계식의 낚싯대이다. 낚싯대(101)는 손잡이대(102)와, 이 손잡이대(102)의 팁 선단에 맞붙여지는 끝 대(105)를 갖는다. 끝 대(105)는 손잡이대(102)보다 소경으로 구성된다. 손잡이대(102)는 끝 대(2)와 마찬가지로, 응력 완화층(21)과, 응력 완화층(21)의 외표면에 마련된 본체 보호층(22)과, 본체 보호층(22)의 외표면에 마련된 본체층(23)과, 본체층(23)의 외표면에 마련된 보강층(24)을 구비해도 좋다.
끝 대(105)의 외주면(105a)은 손잡이대(102)의 전단에서 내부에 맞춤 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 손잡이대(102)의 전단보다 후방에 있는 지지 위치에 있어서, 끝 대(105)의 외주면(105a)이 손잡이대(102)의 내주면에 접한다. 이 지지 위치에 있어서, 끝 대(105)의 외경과 손잡이대(102)의 내경이 일치 또는 대략 일치한다. 도 1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끝 대(105)의 후단부(손잡이대(102)에 가까운 측의 단부)가 로드체에 삽입되는 축 부재에 상당한다.
손잡이대(102)의 내주면(102b)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나 있는 끝 대(2)의 내주면(2b)(응력 완화층(21)의 내주면(21A))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즉, 손잡이대(102)의 내주면(102b)은 응력 완화층(21)의 내주면(21A)과 마찬가지로, 요철 구조를 갖는 경사면(21A1)에 상당하는 경사면과, 그 경사면에서 중심축 X와 평행하게 연장하는 평행면을 갖는다. 손잡이대(102)의 내주면(102b)의 요철 구조는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나 있는 경사면(21A1)의 요철 구조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오목부(예를 들면, 8개의 오목부(21a1∼21a8))와, 복수의 볼록부(예를 들면, 8개의 볼록부(21b1∼21b8))를 가져도 좋다.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끝 대(105)의 외주면(105a)에는 인롱 심재(6)의 경사부(6b)와 마찬가지의 경사부가 마련된다.
도 11에는 손잡이대(102)와 끝 대(105)의 2개의 대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병계식의 낚싯대는 3개 이상의 로드체가 맞붙여진 것이라도 좋다. 병계식의 낚싯대를 구성하는 각 로드체는 손잡이대(102)와 끝 대(105)의 맞붙임 구조와 마찬가지의 맞붙임 구조를 이용하여 맞붙여질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실시형태가 갖는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의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낚싯대(1)는 중공의 끝 대(2)와, 이 끝 대(2)의 내주면(2b)(응력 완화층(21)의 내주면(21A))에 지지 위치 A1에 있어서 지지되는 인롱 심재(6)를 구비하고 있다. 끝 대(2)의 내주면(2b)(응력 완화층(21)의 내주면(21A))에는 축 방향에 있어서의 지지 위치 A1과 일단 위치 A2 사이에 있어서 가상 곡선 Y에서 중심축 X를 향해 돌출되는 볼록부(21b1∼21b8)를 갖고 있다. 따라서, 도 5a∼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끝 대(2)가 휘었을 때, 이 볼록부(21b1∼21b8)가 인롱 심재(6)의 외표면(6e)과 접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인롱 심재(6)는 끝 대(2)가 휘었을 때, 축 방향에 있어서 지지 위치 A1의 1점만으로 응력 완화층(21)의 내주면(21A)에 지지되는 것이 아닌, 볼록부(21b1∼21b8)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서도 지지된다. 이것에 의해, 끝 대(2)의 내주면(2b)으로부터 인롱 심재(6)에 대해 작용하는 응력을 중심축 X 방향의 1점(지지 위치 A1)에 집중시키는 것이 아닌, 중심축 X 방향에 있어서 확산을 가진 범위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인롱 심재(6)의 파단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의 1실시형태에 있어서, 끝 대(2)는 그 최내층에 강화 섬유를 포함하는 응력 완화층(21)을 갖고, 응력 완화층(21)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강화 섬유를 갖는 본체층(23)을 갖고 있다. 이 응력 완화층(21)에 포함되는 강화 섬유의 인장 탄성률은 본체층(23)에 포함되는 강화 섬유의 인장 탄성률보다 작으므로, 경사면(21A)을 형성하기 위해 응력 완화층(21)을 절삭해도, 끝 대(2)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구부림 프로파일에 주는 영향이 작다. 바꾸어 말하면, 응력 완화층(21)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끝 대(2)의 구부림 프로파일에 큰 영향을 주는 일 없이, 끝 대(2)의 내주면에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의 1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끝 대(2)가 휘어 있지 않을 때에는 볼록부(21b1∼21b8)는 인롱 심재(6)의 외표면(6e)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있다. 이것에 의해, 인롱 심재(6)를 끝 대(2)의 내주면과 간섭시키는 일 없이, 인롱 심재(6)를 소정의 맞춤 위치까지 끝 대(2)에 삽입할 수 있다.
상기의 1실시형태에 있어서, 인롱 심재(6)가 삽입되는 끝 대(2)의 내주면(2)은 그 후단 부근에, 경사면(2b1)과, 응력 완화면(2b2)과, 원통면(2b3)을 갖고 있다. 이 응력 완화면(2b2)은 경사부(121a, 121b, 121c, 121d)와, 비경사부(122)를 갖고 있다. 경사면(121) 및 경사부(121a, 121b, 121c, 121d)는 중심축 X 방향에 대해 인롱 심재(6)의 외주면의 경사 각도보다 큰 경사 각도를 이루어 연장되어 있는 것에 반해, 비경사부(122)는 중심축 X 방향과 평행하게 또는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인롱 심재(6)를 끝 대(2)의 내주면(2b)에 끼워 맞추면, 맞춤 위치 경계(123b)에 있어서, 끝 대(2)의 내주면(2b)이 인롱 심재(6)에 접한다. 이와 같이, 끝 대(2)는 경계(123b)에 있어서 인롱 심재(6)에 지지된다. 낚싯대(1)의 사용시에 끝 대(2) 및 손잡이대(5)가 휘면, 맞춤 위치 경계(123b)에서뿐만 아니라 응력 완화 경계(123a)에 있어서도 끝 대(2)의 내주면(2b)이 인롱 심재(6)와 접하게 된다. 응력 완화 경계(123b)는 중심축 X 방향의 후단측을 향해 볼록하게 되는 파형의 형상을 가지므로, 끝 대(2)의 내주면(2b)으로부터 인롱 심재(6)에 작용하는 응력은 맞춤 위치 경계(123b)가 배치되어 있는 중심축 X 방향의 위치 P1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이 위치 P1에서 중심축 X 방향의 후방으로 시프트한 위치에 있어서도 작용한다. 즉, 끝 대(2)의 내주면(2b)으로부터 인롱 심재(6)에 대해 작용하는 응력을 중심축 X 방향의 1점(P1의 위치)이 아닌 중심축 X 방향에 있어서 확산을 가진 범위로 분산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는 응력 완화 경계(123a)상에 존재하는 위치 A, 위치 B1, 위치 C1, 및 위치 D가 나타나 있고, 이 위치 A, 위치 B1, 위치 C1, 및 위치 D는 중심축 X 방향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끝 대(2)가 휘기 전에는 끝 대(2)의 내주면(2b)은 맞춤 위치 경계(123b)에 있어서 인롱 심재(6)와 접해 있다. 끝 대(2) 및 손잡이대(5)가 휘면 응력 완화 경계(123b)가 맞춤 위치 경계(123b)에 가까운 부위부터 차례로 인롱 심재(6)에 접하게 된다. 종래의 맞붙임 구조에 있어서는 응력 완화면(2b2)에 상당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인롱 심재에 대한 응력은 끝 대(2)의 후단에 있어서 축 방향의 1점에 집중적으로 작용하고, 이것이 인롱 심재의 파괴의 원인으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해,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응력 완화면(2b2)에 의해, 인롱 심재(6)에의 응력이 중심축 X 방향에 있어서 분산해서 작용하므로, 인롱 심재의 파괴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나 있는 병계식의 낚싯대(101)에 있어서의 맞붙임 구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이유에 의해 손잡이대(102)의 내주면에서 끝 대(105)에 작용하는 응력을 중심축 방향에 있어서 분산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끝 대(105)의 파괴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의 1실시형태에 있어서, 중심축 X 방향의 위치 P1에 있아서의 비경사부(122)의 둘레 방향 길이의 응력 완화면(2b2)의 내주면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전체 길이에 대한 비는 0.5이상으로 된다. 이것에 의해, 인롱 심재(6) 또는 끝 대(105)에의 응력을 중심축 방향에 있어서 분산시키면서, 맞춤 위치로 되는 위치 P1(지지 위치 A1)에 있어서는 인롱 심재(6) 또는 끝 대(105)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의 작용 효과는 경사부(121a, 121b, 121c, 121d) 중, 압축 영역 R1에 존재하는 것에 의해서 특히 발휘된다. 경사부(121a, 121b, 121c, 121d) 중, 압축 영역 R1 밖에 있는 것은 생략되어도 좋다.
도 1, 2, 12,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의한 낚싯대(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의한 인롱 계식의 낚싯대(1)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낚싯대(1)에 있어서의 대경 로드체와 소경 로드체의 맞붙임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2에 나타나 있는 맞붙임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다른 양태의 모식도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난 낚싯대(1)의 맞붙임 구조를 중심축 X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선으로 절개하여 전개한 다른 양태의 모식도이다.
낚싯대(1)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끝 대(2)와, 이 끝 대(2)에 맞붙여지는 손잡이대(5)를 갖는다. 끝 대(2) 및 손잡이대(5)는 모두, 중심축 X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끝 대(2)는 그 후단(2a1)에서 그 전단(2a2)까지 연장되어 있다. 손잡이대(5)는 그 후단(5a1)에서 그 전단(5a2)까지 연장되어 있다. 끝 대(2) 및 손잡이대(5)는 예를 들면, 탄소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한 프리프레그 시트를 소성하여 관 형상의 소성체를 형성하고, 이 소성체에 연마 처리 및 도장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손잡이대(5)의 후단에는 그립(4)이 마련되어 있다. 손잡이대(5)의 그립(4)의 전방에는 릴 시트(3)가 마련되어 있다. 끝 대(2) 및 손잡이대(5)의 외주면의 상단에는 복수의 낚시줄 가이드(7)가 부착되어 있다. 릴 시트(3)에는 도시하지 않은 릴이 부착된다.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릴 시트(3)에는 양 축받이형 릴이 부착된다. 양 축받이형 릴은 베이트 릴 또는 베이트캐스팅 릴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양 축받이형 릴이 이용되는 경우에는 낚시줄 가이드(7)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끝 대(2) 및 손잡이대(5)의 외주면의 상단에 마련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릴 시트(3)에는 스피닝 릴이 부착되어도 좋다. 스피닝 릴이 이용되는 경우에는 낚시줄 가이드(7)는 끝 대(2) 및 손잡이대(5)의 외주면의 하단에 마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낚싯대(1) 또는 해당 낚싯대(1)를 구성하는 끝 대(2) 및 손잡이대(5)의 전후 방향을 언급하는 경우에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1실시형태에 있어서, 손잡이대(5)는 그 내경이 끝 대(2)의 내경보다 커지도록 구성된다. 끝 대(2)는 소경 로드체의 예이며, 손잡이대(5)는 대경 로드체의 예이다. 손잡이대(5)의 내경 및 끝 대(2)의 내경은 각각, 예를 들면 3㎜∼15㎜의 범위로 되고, 각 외경은 5㎜∼20㎜의 범위로 되도록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설명되는 끝 대(2) 및 손잡이대(5)의 치수는 예시이다.
끝 대(2)와 손잡이대(5)는 인롱 심재(6)를 통해, 서로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인롱 심재(6)는 예를 들면, 탄소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한 프리프레그 시트를 소성하여 관 형상의 소성체를 형성하고, 이 소성체에 연마 처리 및 도장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인롱 심재(6)는 대략 원주 형상 후단부(6a)와, 후단부(6a)의 앞측에 마련되어 있고, 그 외주면이 중심축 X에 대해 제 1 각도 θ1만큼 경사져 있는 경사부(6b)과, 이 경사부(6b)의 앞에 마련되어 있고 대략 원주 형상을 갖는 전단부(6c)를 갖는다. 전단부(6c)는 후단부(6a)보다 소경으로 되도록 형성된다. 인롱 심재(6)는 그 중심축 방향의 길이가 50㎜∼150㎜로 되고, 그 후단부(6a)의 외경이 3㎜∼15㎜로 되도록 형성된다. 경사부(6b)의 외주면이 중심축 X와 이루는 제 1 각도 θ1은 예를 들면, 0.05°내지 5.0°의 범위로 된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경사부(6b)의 외주면의 기울기는 경사져 있는 것을 알기 쉽게 나타내기 위해 과장되어 있다. 인롱 심재(6)는 중공이어도 좋고 솔리드이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설명되는 인롱 심재(6)의 치수 및 형상은 예시이다. 예를 들면, 인롱 심재(6)는 그 외주면이 중심축 X에 대해 그 후단에서 전단까지 일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1실시형태에 있어서, 인롱 심재(6)는 손잡이대(5)에 중심축 X 방향의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되고, 예를 들면 접착에 의해 손잡이대(5)의 내주면(5b)에 고정된다. 인롱 심재(6)는 그 일부가 손잡이대(5)의 전단(5a2)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손잡이대(5)에 대해 고정된다. 손잡이대(5)는 그 전단 부근에 있어서 인롱 심재(6)와 접한다. 인롱 심재(6)는 로드체에 삽입되는 축 부재의 예이다.
손잡이대(5)의 전단(5a2)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인롱 심재(6)를 끝 대(2)에 후단(2a1)으로부터 삽입하면, 인롱 심재(6)는 끝 대(2)내에 소정의 맞춤 위치까지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끝 대(2)와 손잡이대(5)가 인롱 심재(6)를 통해 맞붙여진다.
도 2에 있어서는 인롱 심재(6)가 맞춤 위치까지 삽입되어 있다. 인롱 심재(6)가 맞춤 위치에 도달했을 때, 손잡이대(5)의 전단(5a2)과 끝 대(2)의 후단(2a1)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이 간극의 중심축 X 방향의 길이는 예를 들면, 3㎜∼10㎜이다. 이 간극의 치수는 예시이다. 이 끝 대(2)와 손잡이대(5) 사이에 간극이 있기 때문에, 낚싯대(1)의 사용시에 끝 대(2) 및 손잡이대(5)가 구부려지면, 인롱 심재(6)에는 구부림 응력 및 전단 응력이 작용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롱 심재(6)는 끝 대(2)의 맞붙임부(2a)의 내주면(2)에 접착된다. 이 경우, 인롱 심재(6)는 끝 대(2)의 후단(2a1)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끝 대(2)에 고정된다. 인롱 심재(6) 중, 이 끝 대(2)의 후단(2a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부위를 손잡이대(5)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끝 대(2)와 손잡이대(5)가 인롱 심재(6)를 통해 연결된다.
다음에, 끝 대(2)의 후단(2a1) 부근에 있어서의 내주면(2b)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끝 대(2)의 내주면(2b)은 중심축 X 방향에 대해 경사져 후단(2a1)에서 전방으로 연장하는 경사면(2b1)과, 경사면(2b1)의 전단의 위치 P1에서 위치 P2까지 연장하는 응력 완화면(2b2)과, 위치 P2에서 위치 P3까지 연장하는 원통면(2b3)을 갖는다. 위치 P1은 끝 대(2)의 후단(2a1)으로부터 중심축 X를 따라 전방으로 L1만큼 이동한 위치를 나타내고, 위치 P2는 위치 P1으로부터 중심축 X를 따라 전방으로 L2만큼 이동한 위치를 나타낸다. 위치 P3은 중심축 X 상에 있어서 위치 P2와 끝 대(2)의 전단(2a2)의 사이에 있는 임의의 위치이다. 길이 L1은 예를 들면, 1㎜∼30㎜의 범위의 길이로 된다. 1실시형태에 있어서, 길이 L1은 1㎜∼5㎜의 범위로 된다. 길이 L2는 길이 L1 이하의 길이로 된다. 위치 P1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응력 완화면(2b2)이 길어지면(위치 P1을 기점으로 한 길이 L2가 커지면), 끝 대(2)에 있어서 응력 완화면(2b2)이 차지하는 비율이 커진다. 응력 완화면(2b2)은 박육화되어 있기 때문에, 길이 L2가 커지면 끝 대(2)의 후단 부근의 강도가 부족할 우려가 있다. 길이 L2를 길이 L1 이하의 길이로 함으로써, 끝 대(2)가 강도 부족으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치 P1, 위치 P2, 및 위치 P3은 각각, 중심축 X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위치, 제 2 위치, 및 제 3 위치의 예이다.
경사면(2b1)은 중심축 X에 대해 제 1 각도 θ1보다 큰 제 2 각도 θ2만큼 경사져 P1까지 연장하고 있다. 제 2 각도 θ2는 예를 들면, 제 1 각도 θ1보다 큰 각도이다. 제 2 각도 θ2는 예를 들면, 0.1° 내지 10.0°의 범위로 된다. 1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각도 θ2는 2.0°로 된다. 경사면(2b1)은 중심축 X 주위의 둘레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있어서 동일한 각도이어도 좋고, 둘레 방향의 위치에 따라 다른 각도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둘레 방향의 제 1 위치에 있어서의 제 2 각도 θ21과 둘레 방향에 있어서 해당 제 1 위치에서 소정 각도만큼 회전한 제 2 위치에서의 제 2 각도 θ22는 다른 각도이어도 좋다. 단, 제 2 각도 θ21 및 제 2 각도 θ22는 모두 제 1 각도 θ1보다는 큰 각도이다.
원통면(2b3)은 위치 P2에서 위치 P3까지 중심축 X 방향과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하게 연장한다. 원통면(2b3)의 중심축 X 방향에 대한 기울기가 제 1 각도 θ1보다 작은 경우에는 원통면(2b3)은 중심축 X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한다고 할 수 있다. 끝 대(2)는 후단에서 전단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끝 대(2)의 외주면은 중심축 X 방향과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져 연장한다. 원통면(23)은 끝 대(2)의 외주면과 평행하게 연장해도 좋다.
응력 완화면(2b2)은 끝 대(2)의 내주면(2b) 중, 경사면(2b1)과 원통면(2b3) 사이의 부위이다. 응력 완화면(2b2)은 경사부(21a, 21b, 21c, 21d)와, 비경사부(22)를 갖고 있다. 설명의 편의상, 경사부(21a, 21b, 21c, 21d)를 총칭하여 경사부(21)로 하는 경우가 있다. 경사부(21)와 비경사부(18) 사이의 경계(23a)는 경사면(2b1)과 응력 완화면(2b2) 사이의 경계(23b)에서 후방을 향해 볼록하게 되는 파형을 갖고 있다. 경계(23b)는 중심축 X 주위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경계(23a)를 응력 완화 경계로 하고, 경계(23b)를 맞춤 위치 경계로 하는 경우가 있다.
경사부(21)는 그 후단에 있어서 경사면(2b1)과 연속되어 있다. 즉, 경사부(21)의 후단은 위치 P1에 있다. 경사부(21)의 각각은 위치 P1로부터 중심축 X를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경사부(21)의 전단은 서로 달라도 좋다.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경사부(21a, 21b, 21c, 21d)의 4개의 경사부가 마련되어 있고, 이 중 경사부(21a)가 원통면(2b3)과의 경계인 위치 P1까지 연장되어 있다. 경사부(21a)는 4개의 경사부 중에서 가장 전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경사부(21b), 경사부(21c) 및 경사부(21d)는 위치 P1에서, 위치 P1과 위치 P2 사이에 있는 위치까지 연장하고 있다.
경사부(21)의 각각은 경사면(2b1)과 마찬가지로, 중심축 X에 대해 제 1 각도 θ1보다 큰 제 2 각도 θ2만큼 경사져 있다. 경사부(21)는 중심축 X 주위의 둘레 방향의 위치에 따라 중심축 X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달라도 좋다. 예를 들면, 경사부(21a)가 중심축 X 방향과 이루는 각도는 경사부(21b)가 중심축 X 방향과 이루는 각도와 달라도 좋다. 또, 경사부(21a)가 둘레 방향의 위치 B1에 있어서 중심축 X 방향과 이루는 각도는 경사부(21a)가 둘레 방향의 위치 B2에 있어서 중심축 X 방향과 이루는 각도와 달라도 좋다. 즉, 경사부(21a)가 중심축 X 방향과 이루는 각도는 둘레 방향의 위치에 따라 달라도 좋다. 이것은 경사부(21b, 21c, 21d)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경사부(21)가 중심축에 대해 이루는 각도는 경사면(2b1)이 중심축에 대해 이루는 각도와 동일해도 좋고 달라도 좋다.
도 14 및 도 15도 참조하여, 응력 완화면(2b2)에 대해 또한 설명한다. 도 14는 끝 대(2)를 중심축 X에 수직이고 위치 B1을 통과하는 면에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는 끝 대(2)를 중심축 X에 수직이고 위치 C1을 통과하는 면에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중심축 X를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위치 C1은 위치 B1보다 전방에 있다.
상기와 같이, 경사부(21a)는 중심축 X에 대해 제 1 각도 θ1보다 큰 각도로 경사져 있는 한편, 비경사부(18)는 중심축 X와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응력 완화면(2b2)은 도 14의 단면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B1과 위치 B2 사이, 위치 B3과 위치 B4 사이, 및 위치 B5와 위치 B6 사이에 있는 경사부(21a)에 있어서 끝 대(2)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오목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 15에 나타나 있는 단면에 있어서도, 응력 완화면(2b2)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C1과 위치 C2 사이, 및 위치 C3과 위치 C4 사이에 있어서 끝 대(2)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오목하게 된다.
낚싯대(1)의 사용시에는 끝 대(2)는 도 14의 아래쪽을 향해 구부려지므로, 끝 대(2)의 하측의 부위가 압축된다. 끝 대(2) 중 압축되는 것은 끝 대(2)의 하단을 중심으로 해서 소정 각도 범위내에 있는 부위이다. 끝 대(2)의 하단은 도 13에있어서의 0°의 위치를 나타낸다. 이 0°의 위치를 중심으로 해서 ±30°의 영역에 특히 압축력이 작용한다. 끝 대(2)의 하단에서 둘레 방향으로 ±30°의 범위에 있는 영역을 압축 영역 R1로 한다.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낚시줄 가이드(7)는 끝 대(2)(및 손잡이대(5))의 상단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압축 영역 R1은 중심축 X 주위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낚시줄 가이드(7)의 부착 위치와 반대측에 있다. 도 13에 입각해서 설명하면, 낚시줄 가이드(7)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180°의 위치에 마련되고, 압축 영역 R1은 0°의 위치를 중심으로 해서 ±30°의 위치에 있다. 스피닝 릴이 사용되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낚시줄 가이드(7)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0°의 위치에 마련되므로, 압축 영역 R1은 낚시줄 가이드(7)와 마찬가지로 끝 대(2)의 하측에 마련된다.
경사부(21a, 21b, 21c, 21d) 중의 적어도 하나는 이 압축 영역 R1에 마련된다.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경사부(21a)가 압축 영역 R1내에 마련되어 있다. 경사부(21a)는 그 전부가 압축 영역 R1내에 마련되어도 좋고, 그 일부가 압축 영역 R1내에 마련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응력 완화면(2b2)은 비경사부(18)와, 이 경사부(22)로부터 끝 대(2)의 직경 방향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는 경사부(21a)를 갖고 있다. 응력 완화면(2b2)에 있어서의 경사부(21a)의 형상 및 배치는 도시한 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비경사부(18)의 일부는 위치 P2에서 위치 P1까지 연장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비경사부(18)의 일부의 후단은 중심축 X 방향에 있어서 위치 P1에 위치하고 있다. 중심축 X 방향의 위치 P1에 있어서의 비경사부(18)의 둘레 방향 길이(도 13에 있어서의 길이 b1+b2+b3+b4에 상당함)의 응력 완화면(2b2)의 내주면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전체 길이(도 13에 있어서의 길이 a에 상당함)에 대한 비는 0.5이상으로 된다. 즉, (b1+b2+b3+b4)/a는 0.5이상(백분율로 나타내면 50%이상)으로 된다.
상기와 같이,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끝 대(2)의 제조를 위해서는 탄소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한 프리프레그 시트를 소성하여 관 형상의 소성체가 작성된다. 끝 대(2)의 경사면(2b1) 및 응력 완화면(2b2)은 이 관 형상의 소성체의 내주면을 예를 들면 테이퍼 리머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가공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1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끝 대(2)의 내부에, 테이퍼 리머를 그 축 방향이 중심축 X에 대해 약간 기울어지도록(예를 들면, 0.05°∼2°의 범위내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삽입하여, 끝 대(2)의 내주면을 깎는 것에 의해 경사면(2b1)을 형성하고, 그 후, 더욱 소경의 리머(예를 들면, 핀 리머)를 이용하여, 끝 대(2)의 내주면의 경사면(21)보다 안쪽에 있는 영역을 깎는 것에 의해 경사부(21a)를 형성해도 좋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우선 핀 리머를 이용하여 끝 대(2)의 내주면을 깎는 것에 의해 경사부(21a)에 상당하는 가느다란 홈을 형성하고, 다음에 테이퍼 리머를 이용하여 끝 대(2)의 내주면을 해당 가느다란 홈보다 얕게 깎는 것에 의해, 경사면(2b1) 및 경사부(21a)를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해서, 경사면(2b1) 및, 경사부(21a)가 마련된 응력 완화면(2b2)을 형성할 수 있다. 경사면(2b1)과 경사부(21a)는 어느 쪽을 먼저 형성해도 좋고, 양자를 한 번에 형성해도 좋다.
상기와 같이, 인롱 심재(6)는 끝 대(2)의 맞붙임부(2a)의 내주면(2b)에 접착되어도 좋다. 이 경우, 인롱 심재(6) 중, 끝 대(2)의 후단(2a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부위를 손잡이대(5)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끝 대(2)와 손잡이대(5)가 인롱 심재(6)를 통해 연결된다. 이 경우, 손잡이대(5)의 내주면(5b)의 선단 부근이 끝 대(2)의 내주면(2b)의 후단 부근과 마찬가지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손잡이대(5)의 내주면(5b)의 선단 부근에, 경사면(2b1) 및 응력 완화면(2b2)에 상당하는 요철 구조가 형성된다.
끝 대(2)의 내주면의 후단 부근에 경사면(2b1) 및 응력 완화면(2b2)을 형성하고, 또한, 손잡이대(5)의 내주면의 전단 부근에 경사면(2b1) 및 응력 완화면(2b2)에 상당하는 요철 구조를 형성해도 좋다. 이러한 요철 구조를 끝 대(2)와 손잡이대(5)의 양쪽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 파단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인롱 심재(6)는 손잡이대(5)의 내주면에 접착되어도 좋고, 끝 대(2)의 내주면에 접착되어도 좋다.
다음에,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낚싯대(101)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낚싯대(101)에 있어서의 맞붙임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낚싯대(101)는 병계식의 낚싯대이다. 낚싯대(101)는 손잡이대(102)와, 이 손잡이대(102)의 팁 선단에 맞붙여지는 끝 대(105)를 갖는다. 끝 대(105)는 손잡이대(102)로 소경으로 구성된다. 끝 대(105)의 외주면(105a)은 손잡이대(102)의 내부에 맞춤 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 그 맞춤 위치에 있어서의 외경이, 해당 맞춤 위치에 있어서의 손잡이대(102)의 내경과 대략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끝 대(105)를 손잡이대(102)에 맞붙여질 수 있다. 도 16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끝 대(105)의 후단부(손잡이대(102)에 가까운 측의 단부)가 로드체에 삽입되는 축 부재에 상당한다.
손잡이대(102)의 내주면(102b)은 도 12∼도 15에 나타나 있는 끝 대(2)의 내주면(2b)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즉, 손잡이대(102)의 내주면(102b)은 그 전단 부근에 있어서 경사면(2b1) 및 응력 완화면(2b2)에 상당하는 요철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끝 대(105)의 외주면(105a)에는 인롱 심재(6)의 경사부(6b)와 마찬가지의 경사부가 마련된다.
도 16에는 손잡이대(102)와 끝 대(105)의 2개의 대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병계식의 낚싯대는 3개 이상의 로드체가 이어진 것이라도 좋다. 병계식의 낚싯대를 구성하는 각 로드체는 손잡이대(102)와 끝 대(105)의 맞붙임 구조와 마찬가지의 맞붙임 구조를 이용하여 맞붙여질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실시형태가 갖는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의 1실시형태에 있어서, 인롱 심재(6)가 삽입되는 끝 대(2)의 내주면(2b)은 그 후단 부근에, 경사면(2b1)과, 응력 완화면(2b2)과, 원통면(2b3)을 갖고 있다. 이 응력 완화면(2b2)은 경사부(21a, 21b, 21c, 21d)와, 비경사부(18)를 갖고 있다. 경사면(21) 및 경사부(21a, 21b, 21c, 21d)는 중심축 X 방향에 대해 인롱 심재(6)의 외주면의 경사 각도보다 큰 경사 각도를 이루고 연장되어 있는 것에 반해, 비경사부(18)는 중심축 X 방향과 평행하게 또는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인롱 심재(6)를 끝 대(2)의 내주면(2b)에 끼워 맞추면, 맞춤 위치 경계(23b)에 있어서, 끝 대(2)의 내주면(2b)이 인롱 심재(6)에 접한다. 이와 같이, 끝 대(2)는 경계(23b)에 있어서 인롱 심재(6)에 지지된다.
낚싯대(1)의 사용시에 끝 대(2) 및 손잡이대(5)가 휘면, 맞춤 위치 경계(23b)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응력 완화 경계(23a)에 있어서도 끝 대(2)의 내주면(2b)이 인롱 심재(6)와 접하게 된다. 응력 완화 경계(23b)는 중심축 X 방향의 후단측을 향해 볼록하게 되는 파형의 형상을 가지므로, 끝 대(2)의 내주면(2b)으로부터 인롱 심재(6)에 작용하는 응력은 맞춤 위치 경계(23b)가 배치되어 있는 중심축 X 방향의 위치 P1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이 위치 P1에서 중심축 X 방향의 후방으로 시프트한 위치에 있어서도 작용한다. 즉, 끝 대(2)의 내주면(2b)으로부터 인롱 심재(6)에 대해 작용하는 응력을 중심축 X 방향의 1점(P1의 위치)이 아닌 중심축 X 방향에 있어서 확산을 가진 범위로 분산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에는 응력 완화 경계(23a)상에 존재하는 위치 A, 위치 B1, 위치 C1 및 위치 D가 나타나 있고, 이 위치 A, 위치 B1, 위치 C1 및 위치 D는 중심축 X 방향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끝 대(2)가 휘기 전에, 끝 대(2)의 내주면(2b)은 맞춤 위치 경계(23b)에 있어서 인롱 심재(6)와 접하고 있다. 끝 대(2) 및 손잡이대(5)가 휘면 응력 완화 경계(23b)가 맞춤 위치 경계(23b)에 가까운 부위부터 차례로 인롱 심재(6)에 접하게 된다. 종래의 맞붙임 구조에 있어서는 응력 완화면(2b2)에 상당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인롱 심재에 대한 응력은 끝 대(2)의 후단에 집중적으로 작용하고, 이것이 인롱 심재의 파괴의 원인으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해,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응력 완화면(2b2)에 의해, 인롱 심재(6)에의 응력이 중심축 X 방향에 있어서 분산해서 작용하므로, 인롱 심재의 파괴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6에 나타나 있는 병계식의 낚싯대(101)에 있어서의 맞붙임 구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이유에 의해 손잡이대(102)의 내주면에서 끝 대(105)에 작용하는 응력을 중심축 방향에 있어서 분산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끝 대(105)의 파괴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의 1실시형태에 있어서, 중심축 X 방향의 위치 P1에 있어서의 비경사부(18)의 둘레 방향 길이의 응력 완화면(2b2)의 내주면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전체 길이에 대한 비는 0.5이상으로 된다. 이것에 의해, 인롱 심재(6) 또는 끝 대(105)에의 응력을 중심축 방향에 있어서 분산시키면서, 맞춤 위치로 되는 위치 P1에 있어서는 인롱 심재(6) 또는 끝 대(105)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의 작용 효과는 경사부(21a, 21b, 21c, 21d) 중, 압축 영역 R1에 존재하는 것에 의해서 특히 발휘된다. 경사부(21a, 21b, 21c, 21d) 중, 압축 영역 R1 밖에 있는 것은 생략되어도 좋다.
도 17은 본 발명에 관한 인롱 계식 낚싯대의 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낚싯대(1)는 원 장대(10)의 선단측에 순차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3개의 장대(중 장대(20, 30) 및, 끝 대(40))를 구비한 4개 계 구조로 되어 있고, 각 장대의 선단은 인롱(80)이 감합 고정된 계 구조(인롱 계)를 구비하고 있다. 즉, 원 장대(10)의 선단부(12)에 고정된 인롱(80)에는 중 장대(20)의 후단부(21)가 감합 고정되고, 중 장대(20)의 선단부(22)에 고정된 인롱(80)에는 중 장대(30)의 후단부(31)가 감합 고정되고, 중 장대(30)의 선단부(32)에 고정된 인롱(80)에는 끝 대(40)의 후단부(41)가 감합 고정된다. 이 때문에, 인롱(80)은 소경측의 장대의 후단부의 개구의 내주면을 감입, 고정할 수 있도록, 각 장대의 선단부에 대해, 인롱의 선단측이 노출하도록 하여 감입,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낚싯대(1)는 전체적으로 4개의 계 구조로 되어 있지만, 맞붙임 갯수에 대해서는 한정되는 것은 없으며, 인롱(80)을 통해, 복수의 장대가 연결되어 1개의 낚싯대를 구축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대경 장대 및 소경 장대는 인롱(80)을 통해 서로 연결(맞붙임)되는 부분의 장대의 관계를 의미한다. 이 때문에, 도 17에 나타내는 중 장대(20)는 중 장대(30)와의 관계에서는 대경 장대로 되고, 원 장대(10)와의 관계에서는 소경 장대로 된다.
이하에 설명하는 맞붙임부의 확대도에서는 대경 장대를 중 장대(20)로, 소경 장대를 중 장대(30)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즉, 본 실시형태와 같은 4개 계의 낚싯대에서는 각 장대끼리의 맞붙임 구조가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대표적으로 중 장대(20)와 중 장대(30) 사이의 맞붙임 관계를 도시하여 설명한다. 또, 선단(선단측)은 도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낚싯대의 팁측을 의미하고, 후단(후단측)은 낚싯대의 손잡이측을 의미한다.
본 실시형태의 낚싯대(1)는 원 장대(10)에 대해, 중 장대(20, 30) 및, 끝 대(40)의 길이가 짧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중 장대(20, 30)에 대해서는 동일한 길이여도 좋고, 끝 대(40)는 중 장대(20, 30)보다 짧은 길이여도 좋다. 또, 중 장대(20)에서 끝 대(40)까지 순차 짧아지도록 구성해도 좋다. 상기 각 장대(10, 20, 30, 40)는 관 형상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공지와 같이, 강화 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한 프리프레그 시트를 철심에 두루 감고, 가열 처리함으로써 합성수지를 경화하고, 그 후, 탈심함으로써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각 장대는 인롱을 통해 맞붙여지는 부분이 관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이외의 부분에 솔리드 구조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원 장대(10)에는 릴이 장착되는 릴 시트(10A)와, 그 전후에 그립(프런트 그립(10B), 리어 그립(10C))이 마련되고, 상기 그립(10B, 10C)은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그립감이 양호한 재료, 예를 들면 EVA 등의 유연성을 갖는 발포재나 코르크 등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대(20, 30, 40)에는 각각 릴 시트(10A)에 고정된 릴에서 풀어내어지는 낚시줄을 삽입통과시키는 낚시줄 가이드가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장대(20)에는 하나의 낚시줄 가이드(25)가 장착되고, 장대(30)에는 2개의 낚시줄 가이드(35)가 장착되며, 끝 대(40)에는 3개의 낚시줄 가이드(45)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끝 대(40)에는 선단에 팁 가이드(46)가 장착되어 있다.
도 18은 중 장대(20)(이하, 대경 장대(20)로 함)와, 중 장대(30)(이하, 소경 장대(30)로 함)의 맞붙임 영역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인롱(80)은 대경 장대(20)의 선단부(22)의 개구측으로부터 압입, 고정되어 있으며, 인롱(80)의 후단측의 외주면(81)이 대경 장대(20)의 선단부의 개구의 내주면(22a)에 접착, 고정되어 있다. 인롱(80)은 대경 장대(20)의 선단부(22)의 개구 돌기(22b)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그 돌출되어 있는 선단측의 외주면(82)에, 소경 장대(30)의 후단부(31)의 개구의 내주면(31a)이 압입, 고정된다. 이 경우, 소경 장대(30)는 인롱(80)의 긴쪽 방향의 전체에 걸쳐 압입되는 일은 없으며, 소경 장대(30)의 후단부(31)의 개구 가장자리(31b)와, 대경 장대(20)의 선단부(22)의 개구 가장자리(22b) 사이에서, 간극 l을 통해 압입, 고정 상태로 된다.
또한, 간극 l에 대해서는 모든 장대의 맞붙임부 영역에서 존재하고 있으며, 그 간극 l의 길이에 대해서는 모든 맞붙임 부분에서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롱(80)은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탄소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한 프리프레그 시트를 소성하여 관 형상(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인롱(80)은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한 외경을 갖고 있어도 좋고, 선단으로 이행함에 따라 직경축소하는 테이퍼면(소경 장대의 후단부의 개구를 감입하여, 소경 장대가 고정되는 테이퍼면)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 인롱(80)은 솔리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지만, 본 실시형태와 같이,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인롱(80)은 예를 들면, 중심축 방향의 길이 L이 50∼150㎜, 내경 d1이 2∼10㎜, 외경 d2가 3∼15㎜ 정도로 형성되지만, 이것은 낚싯대를 구성하는 장대의 굵기, 맞붙임 부분에 의해서 적절히 변경된다. 또, 인롱의 외주면에 상기한 테이퍼면을 형성하는 경우, 그 테이퍼면은 소경 장대와의 맞붙임 영역에만 형성해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인롱 계식의 낚싯대에서는 실 조업시에 물고기가 걸려 낚싯대 전체가 휘었을 때, 인롱(80)의 외주면의 일부에서 응력 집중이 생기고, 이 부분에 구부림 응력 및 전단 응력이 작용하여, 인롱(80)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것은 낚싯대가 휘었을 때, 대경 장대(20)의 선단부(22)의 개구 가장자리(22b)의 에지(22b') 및, 소경 장대(30)의 후단부(31)의 개구 가장자리(31b)의 에지(31b')가 인롱(80)의 외주면에 대해, 링 형상에 선이 닿아 있는 것이 원인이다.
이와 같이, 인롱의 외주면에 대해 링 형상에 선이 닿는 맞붙임 구조에서는 응력 집중이 현저하게 되는 동시에, 장착시에 있어서, 덜컥거림이나 고착되기 쉽고, 확실한 맞붙임이 이루어지기 어렵게 되어 버린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롱의 외주면에 대해 간극(미소한 간극)을 개재하도록, 개구 내주면(31a, 22a)에 각각 경사면(테이퍼면)(22A, 31A)이 형성되어 있고, 에지(22b') 및 에지(31b')는 외주면에 대해 직각 형상에 선 닿지 않고, 내부의 상승 위치 P1(경사면이 인롱 외주면으로부터 상승하는 위치)에서 접촉시켜 응력 집중을 완화시키도록 하고 있다. 즉, 상승 위치 P1로부터의 경사 각도 θ1을 작게 함으로써, 인롱의 외주면에 작용하는 응력을 완화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에 의한 응력의 완화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대경 장대와 소경 장대의 단부 영역에서는 동일한 현상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소경 장대측의 경사면(31A)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경 장대(30)의 후단부(31)에, 상승 위치 P1에서 후단측을 향해 점차 직경확대하는 경사면(후술하는 경사 각도 θ1에 의한 테이퍼면)(31A)을 형성함으로써, 링 형상에 선이 닿음으로써 발생하는 응력 집중을 완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꿔 말하면, 소경 장대(30)의 개구 내주면에는 개구 가장자리(31b)에서 선단측을 향해, 일정한 축 방향 길이 L1에서 직경축소하고, 인롱(80)의 외주면(82)과의 사이에서 간극(미소 간극)을 갖도록, 소경 장대의 중심축 X에 대해 경사 각도 θ1로 경사지는 경사면(31A)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경사면(31A)은 인롱(80)의 외주면(82)에 대해, 상승 위치 P1에 있어서, 약간 경사 각도 θ1로 당접해 있기 때문에, 실제로 소경 장대가 휘었을 때, 직각 방향에서 당접하고 있는 상태와 비교하면, 압압력(전단 응력)이 완화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 경우, 소경 장대(30)의 후단부(31)에 경사면(31A)을 형성하는 것은 단부로 이행함에 따라 박육 두께화되어 버려, 강도가 저하하고 입구 깨짐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경사면(31A)을 형성하는 축 방향 길이 L1에 대해, 그다지 길게 취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고작 10㎜이하로 하는 것이 적절하며, 5㎜이하, 바람직하게는 1㎜∼3㎜의 범위이면, 상술한 특허문헌 2와 같이, 테이퍼 영역을 후육화하는 일 없이,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8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인롱(80)의 외주면을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대략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경사 각도 θ1에 대해서는 인롱(80)의 외주면에 대한 각도로서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소경 장대의 중심축 X에 대한 경사 각도를 의미한다.
도 18에 나타낸 경사 각도 θ1에 대해서는 응력 집중에 의한 파손을 억제함에 있어서 중요한 파라미터이며, 너무 커도 의미를 이루지 않기(단지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만으로는 상승 위치 P1에서의 에지가 심하게 되어 버려, 응력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없기) 때문에, 실제로, 어느 정도이면 응력 집중에 의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이하와 같은 시험을 실시하였다.
여기서는 JIS K7074에 준거한 4점 구부림 시험을 실시하고, 도 18에 나타낸 맞붙임 구조와 마찬가지로, 소경 장대와 대경 장대가 인롱에 의해서 서로 이어진 시험편에 대해, 구부림 파괴 강도를 측정함으로서 실행하였다.
도 19는 4점 구부림 시험의 개요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9에 나타내는 소경 장대(130) 및 대경 장대(120)는 모두 탄소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한 프리프레그 시트를 맨드릴에 두루 감고, 상법에 따라, 소성, 탈심함으로써 형성한 것이다. 소경 장대(130)의 내경은 8.09㎜, 대경 장대(120)의 내경은 8.20㎜이며, 소경 장대(130)의 후단부(131)에, 도 18에 나타낸 구성과 마찬가지로, 후단측을 향해 점차 직경확대하는 경사면(경사 각도 θ1)을 형성하는 동시에, 대경 장대(120)의 선단부(122)에도, 선단측을 향해 점차 직경확대하는 경사면(경사 각도 θ1)을 형성하였다. 이 경우, 경사면이 형성되는 축 방향 길이(도 18에서 나타내는 축 방향 길이 L1)에 대해서는 2㎜로 설정하였다.
소경 장대(130)는 상기 경사 각도 θ1이 다른 것(0.1°,1.0°,1.2°,10°,15°, 20°, 30°)을 7개 준비하고, 대경 장대(120)에 대해서도, 소경 장대와 마찬가지로, 상기 경사 각도 θ1이 다른 것(0.1°, 1.0°, 1.2°, 10°, 15°, 20°,30°)을 7개 준비하고, 동일한 경사 각도의 소경 장대와 대경 장대끼리를 인롱(180)으로 연결하였다.
상기 인롱(180)은 장대와 마찬가지로, 탄소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한 프리프레그 시트를 맨드릴에 두구 감고, 상법에 따라, 소성, 탈심함으로써 형성한 것이다. 인롱(180)의 내경은 3.0㎜, 선단측의 외경은 8.0㎜이고, 길이는 120㎜로 하였다. 이 경우, 인롱(180)의 외경에 대해서는 축 방향에 걸쳐 대략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하고, 인롱(180)에 대해 소경 장대(130)를 압입했을 때, 그 중간 위치 부근에서 고정시켰다.
상기한 시험편(소경 장대와 대경 장대을 인롱으로 연결한 7개의 시험편)을 설치하는 시험 장치는 지점(150)끼리의 간격 La를 800㎜, 압자(160)끼리의 간격 Lb를 240㎜로 하고, 각 시험편 각각에 대해, 속도 50㎜/분의 조건에서 구부림 파괴 강도를 측정한 결과, 도 20의 측정 결과가 얻어졌다. 도 4는 상기한 4점 구부림 시험에 의해서 측정된 구부림 파괴 강도를 플롯한 그래프이며, 횡축은 각 시험편의 경사 각도 θ1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측정된 구부림 파괴 강도(인롱(180)의 구부림 파괴 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그래프로부터, 경사 각도 θ1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인롱의 구부림 파괴 강도가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 각도 θ1에 대해서는 10°를 넘어 버리면 구부림 파괴 강도가 저하하고, 15° 부근으로부터 그 이상의 각도가 되어도 대략 일정한 수준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경사 각도 θ1이 어느 정도 크게 되어 버리면, 장대가 휘었을 때에, 상승 위치 P1에서의 급격한 각도 변화(에지)에 의해서, 충분한 응력 완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것이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소경 장대(130)의 후단부(131)에 형성되는 경사면의 축 방향 길이를 2㎜로 설정한 경우, 구부림 파괴 강도가 강한 경사 각도 θ1은 10°이하, 바람직하게는 5°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점으로 둘러싼 1°∼3°의 범위내이다. 즉, 경사 각도 θ1이 10°를 넘어 버리면, 장대가 휘었을 때, 경사면의 상승 위치(도 18에 있어서 P1로 나타냄)에서 응력 집중이 발생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파손되는 경향이 강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 1° 이하로 설정해도 응력 완화할 수 있지만, 너무 작게 해 버리면(0.1°이하), 이번에는 후단부의 개구 가장자리의 에지(31b')(도 18 참조)가 인롱의 외주면에 대해 선 닿아 버린다고 생각되고, 이것에 의해, 파손되는 경향이 강해진다고 생각된다.
이 때문에, 소경 장대의 개구 내주면에 형성되는 경사면(31A)에 대해서는 소경 장대의 중심축 X에 대해, 1°∼3°의 범위내의 경사 각도 θ1을 갖도록 하고, 축 방향 길이 L1에 대해서는 1㎜∼3㎜의 범위내에서 형성함으로써, 소경 장대(30)의 개구 부분이 손상되는 일 없이, 효과적으로 인롱(80)의 외주면에 대한 응력 집중을 완화하여, 인롱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경우, 축 방향 길이 L1에 대해서는 너무 길게 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개구 가장자리(31b)에 깨짐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개구 가장자리(31b)에서의 두께를 T로 한 경우, L1≤10T 정도에 넣음으로써, 개구 부분에서 파손되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제로 다수의 시험편으로 검증한 결과, 경사면의 축 방향 길이 L1을 2㎜로 설정한 경우, 경사 각도 θ1을 대략 2°로 함으로써, 인롱의 외주면에 대한 응력 집중을 완화하여 파손 등이 적었다는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고 있다. 이 경우, 경사 각도 θ1에 대해서는 전체 둘레에 걸쳐 대략 2°로 형성해 둘 필요는 없고, 상기한 10° 이하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5°의 범위내에 있으면, 둘레 방향에 걸쳐 다소의 편차가 있어도 좋다. 또, 그러한 경사면에 대해서는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할 필요는 없으며, 낚싯대가 휘었을 때, 인롱의 외주면에 대해 압압력이 작용하는 일정한 범위내(예를 들면, 도 24, 25에 나타내는 범위 R1내)에 형성해도 좋다.
도 21은 소경 장대의 맞붙임 영역(경사면(31A))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승 위치 P1로부터의 경사 각도 θ1을 10°이하, 바람직하게는 1°∼3°로 설정함으로써, 응력 집중을 완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지만, 이러한 맞붙임 양태에 있어서, 그 경사면(31A)의 표면은 조면화 처리를 실시하여, 조면부(31M)를 형성하고 있다. 조면부(31M)에 대해서는 그 가공의 용이함으로부터, 경사면(31A)의 전면에 형성되지만, 적어도 상승 위치 P1 부근, 바람직하게는 인롱의 외주면에 대해 링 형상에 당접하는 상승 위치 P1을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되면 좋다.
여기서, 조면화의 양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2 내지 도 26은 인롱과 소경 장대의 맞붙임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2는 소경 장대와 인롱의 맞붙임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도 22에 나타내는 맞붙임 구조를, 중심축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선으로 절개하여 전개한 모식도, 및 모식도의 A-A선을 따른 단면도, 도 24는 도 23의 B-B선을 따른 단면도, 도 25는 도 23의 C-C선을 따른 단면도, 그리고, 도 26은 도 23의 상승 위치 P1을 따른 단면도이고, 미소 요철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면화"는 둘레 방향에 걸쳐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미소 홈, 및 둘레 방향에 걸쳐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미소 요철이 해당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경 장대(30)의 후단부(31)를 인롱(80)에 압입함으로써 대경 장대(20)와 소경 장대(30)이 소정 위치에서 맞붙여지고, 후단부(31)의 개구 내주면(31a)에, 경사 각도 θ1에 의한 경사면(31A)을 형성해 둠으로써, 낚싯대가 휘어도, 인롱 부분에 대한 응력 집중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그 상승 위치 P1이 소경 장대와 인롱 사이의 감합 고정 위치로 된다.
도 2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소경 장대의 경사면(31A)의 상승 위치 P1보다 선단측을 대략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고, 소경 장대(30)를 인롱(80)의 외주면에 압입할 때, 인롱(80)의 외주면에 대해 소경 장대(3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인롱(80)의 외주면(82)에는 후단부로 이행함에 따라, 점차 직경확대하는 경사면(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다(도 22에 있어서, 중심축 X에 대한 경사 각도를 α로 나타냄). 이 경사 각도 α에 대해서는 소경 장대(30)의 후단부(31)의 경사면(31A)의 경사 각도 θ1보다 작으면, 소경 장대(30)의 압입시에, 미리 특정한 소정의 위치에서 인롱(80)과의 사이에서 고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경사면(31A)의 경사 각도 θ1을 대략 2°로 설정해 두면, 인롱(80)의 경사 각도 α에 대해서는 1°이하(실시형태에서는 대략 0.4°로 설정하고 있음) 정도이면, 소경 장대(30)를 압입했을 때에 예정한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실제의 맞붙임은 상승 위치 P1에서 이루어지며, 거기에서 후단측으로 이행함에 따라, 상기한 경사 각도 θ1에 의해서, 경사면(31A)은 점차 인롱(80)의 외주면에서 멀어져 가기 때문에, 인롱(8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는 경사 각도 θ1에 의한 간극(미소한 간극)이 생긴 상태로 된다. 상기 경사면(31A)에 대해서는 정밀도 좋게 가공함으로써, 상승 위치 P1에서는 경사 각도 θ1로 직선이 교차하는 굴곡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감입, 고정 위치를 정밀도좋게 낼 수 있다. 이 경우, 상승 위치 P1이 직선이 교차하는 굴곡 상태가 아닌 만곡된 상태로 되어 있으면, 감입, 고정 위치의 정밀도는 다소 뒤떨어지지만, 응력 완화의 효과는 높아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승 위치 P1에 있어서의 상승 상태는 어느 구성이어도 좋다.
도 22에 나타낸 구조에 있어서, 낚싯대가 휘는 것에 의해, 소경 장대(30)가 휘는 것을 고려한다(휨에 의한 만곡은 화살표 방향으로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소경 장대(30)의 후단부(31)의 내주면에는 상승 위치 P1로부터 경사 각도 θ1로 상승하는 경사면(31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후단부(31)의 개구 가장자리(31b)의 에지(31b')가 선 닿게 되는 바와 같은 일은 없고, 상승 위치 P1 부근에서 접촉할 수 있게 되며, 이것에 의해 응력 집중이 억제되고, 인롱(80)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경사면(31A)의 상승 위치 P1 부근에, 도 2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조면부(31M)를 형성함으로써, 응력 집중을 완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인롱(80)의 외주면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경사 각도 α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승 위치 P1보다 선단측에 대해서는 선단측으로 이행함에 따라, 소경 장대의 내주면에서 이간해 가지만, 상승 위치 P1 부근의 영역에서는 소경 장대가 휘었을 때에 인롱(80)의 외주면(82)를 압압하는 바와 같은 압접력이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때문에, 경사면(31A)의 기점으로 되는 상승 위치 P1을 포함하는 영역에 조면부(31M)를 형성하고 있다.
이 조면부(31M)는 상승 위치 P1 부근, 바람직하게는 상승 위치 P1을 포함하고 그것보다 선단측의 내주면(31B),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승 위치 P1을 포함하고(타고 넘어) 축 방향의 전후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면 좋고, 이러한 조면부를 형성함으로써, 소경 장대의 개구 내주면(31a)으로부터 인롱(80)의 외주면에 대해 작용하는 압압력을 효과적으로 약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조면부(31M)는 축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오목 형상으로 되는 복수의 오목부(미소 홈)(31e, 31f, 31g, 31h)를 둘레 방향에 걸쳐 비연속이 되도록 형성해서 구성되어 있다. 즉, 그 이외의 부분의 내주면(비오목부)(31m) 부분은 평탄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소경 장대가 휘었을 때, 인롱(80)의 외주면에 대해 당접 변형시켜 응력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오목부(31e, 31f, 31g, 31h)의 형상에 대해서는 특히 한정되는 일은 없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인롱(80)의 외주면(82)에는 선단측으로 이행함에 따라, 직경축소하는 경사 각도 α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선단으로 이행함에 따라, 소경 장대의 내주면(31a)에서 이간되어 가기 때문에, 각 오목부에 대해서는 상승 위치 P1보다 선단측으로 이행함에 따라 얕아지도록 경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각 오목부의 폭에 대해서도, 상승 위치 P1보다 선단측으로 이행함에 따라, 점차 폭을 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제의 소경 장대의 휨을 고려한 경우, 각 오목부의 크기에 대해서는 둘레 방향에 따라 바꾸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낚싯대가 휘면, 하측(도 18에서 확대해서 나타내는 측)이 압축측으로 되고, 상측이 인장측으로 된다(도 18에 있어서, 맞붙임부는 산 형상에 휨이 발생한다). 이 경우, 도 2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주 방향에서 가장 하측으로 되는 위치(스피닝 릴을 장착하는 낚싯대에서는 낚시줄 가이드가 취착되는 위치)를 0° 위치로 하면, 낚싯대가 휘고, 인롱의 외주면에 대해 압압력을 작용시키는 것은 대략 0° 위치를 중심으로 해서 ±30° 부근이다(도 24, 25에 있어서, 그러한 원호 형상의 범위를 부호 R1로 나타내고 있다).
이 때문에, 그러한 큰 휨이 발생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오목부(31e, 31h)에 대해서는 다른 부위의 오목부(31f, 31g)보다 폭을 넓게 하고, 더 나아가서는 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오목부(31e)에 대해서는 그 정상부 D를, 다른 오목부보다 축 방향의 선단측까지 연장하고 있고, 이 부근에 있어서도 변형을 허용하여 응력을 완화하기 쉽게 하고 있다. 즉, 조면부(31M)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복수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경우, 낚싯대가 휘었을 때의 휨 상태를 고려하여, 각각의 오목부의 크기(폭, 축 방향 길이 등)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강도의 저하를 발생시키는 일 없이, 인롱(80)의 외주면(82)에 작용하는 압압력을 효율적으로 완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상승 위치 P1에,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이면, 각 오목부의 상승 위치 P1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홈 폭을, 너무 넓게 하면, 강도가 저하하기 때문에, 비오목부(31m)를 합산한 둘레 방향 길이(도 23에 있어서, a1+a2+a3+a4)는 그 위치에 있어서의 원주 길이 a의 50%이상을 확보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오목부에 대해서는 너무 크게 하면 강도의 저하가 발생해 버린다. 오목부의 크기에 대해서는 소경 장대의 직경 등에 따라 다르지만, 그 홈 폭, 깊이, 축 방향 길이에 대해서는 5㎛이하이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1∼3㎛로 하는 것이 좋으며, 이것에 의해, 강도를 저하시키는 일 없이, 응력 집중을 효과적으로 완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조면부(31M)는 축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바와 같은 복수의 오목부 이외에도,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 방향에 걸쳐,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미소 요철(31h)로 구성해도 좋다(본 실시형태에서는 360°의 전체 둘레에 연속 형성된다). 이러한 미소 요철(31h)은 경사면(31A)의 전면에 걸쳐 형성해도 좋지만, 상승 위치 P1 부근, 바람직하게는 상승 위치 P1을 포함한 위치에 형성하면 좋다. 또, 이러한 조면부는 그 요철 높이가 0.5∼5㎛ 정도로 형성되어 있으면 좋고, 이러한 미소 요철(31h)을 포함한 조면부를 형성함으로써, 소경 장대가 휘어 인롱(80)의 맞붙임 영역에 대해 구부림 응력이 작용하면, 요철부의 큰 볼록부가 변형되면서(찌부러지면서) 인롱(80)의 외주면에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응력을 완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조면부(31M)에 대해서는 상기한 오목부(미소 홈) 및, 미소 요철 중의 어느 하나가 형성된 것이면 좋지만, 양쪽의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응력을 완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승 위치 P1 부근에 상기한 바와 같은 조면부(31M)를 형성함으로써, 소경 장대(30)를 인롱(80)에 감입할 때, 그 고정되는 영역에서, 미소 요철 부분이 변형되기 때문에, 확실한 위치 결정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정확한 위치 결정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맞붙여지는 장대끼리의 사이에서 노출되는 인롱 부분(도 18의 길이 l로 나타내는 부분)은 모든 맞붙임 부분에서 길이를 대략 균일하게 하는 것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되어, 외관상 양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7은 조면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조면부(31M')는 360°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적으로,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미소 홈(31k)을 형성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다수의 미소 홈(31k)은 상승 위치 P1 부근에서, 축 방향을 따르도록 랜덤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승 위치 P1로부터 선단측으로 연장하는 것, 상승 위치 P1로부터 후단측으로 연장하는 것, 상승 위치 P1을 타고 넘어 형성되는 것 등이 포함되어 있고, 그 홈 폭, 깊이, 길이는 불균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이어도, 소경 장대(30)가 휘었을 때, 효과적으로 응력의 집중을 완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조면부(31M, 31M')에 대해서는 관 형상의 소경 장대(30)를 성형할 때, 철심(맨드릴)의 대응하는 표면 영역을 거칠게 해 둠으로써, 장대 성형시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장대을 성형한 후에, 블라스트 처리함으로써 형성해도 좋고, 개구 부분에 가공 공구(테이퍼 리머, 핀 리머 등)를 삽입해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서는 상기한 방법을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가공 공구의 표면의 조도, 접촉 방법 등을 바꾸는 것에 의해, 그 깊이, 길이, 폭, 요철 높이를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의 공정에서 조면부를 형성해도 좋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은 조면부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 방수성 혹은 발수성이 있는 피막을 피착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종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승 위치 P1은 소경 장대의 내부에 형성했지만, 그 위치에 대해서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문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일 없이, 소경 장대의 후단 가장자리를 상기한 바와 같은 조면화 처리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로 나타낸 경사면(31A)은 후단부를 향해 점차 직경확대하는 단일의 면으로 구성했지만, 복수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만곡면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 상승 위치 P1에 대해서는 소경 장대의 내주면에 복수 개소, 존재하고 있어도 좋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은 경사면(31A)은 소경 장대을 예시하여 설명했지만, 대경 장대(30)의 선단부(32)의 개구 내면에도 마찬가지로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응력 집중을 완화시키는 구성에 대해서는 병계식의 맞붙임 부분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병계식의 낚싯대에서는 소경 장대의 후단부를, 대경 장대의 선단측의 개구 내주면에 압입, 감합시키는 구조로 되지만, 대경 장대의 선단측의 개구 내주면에, 상기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상승 위치를 형성해 두고, 이 영역에, 둘레 방향에 걸쳐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미소 요철 및/또는 둘레 방향에 걸쳐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미소 홈을 구비한 조면부를 형성하면 된다.
이 경우, 상승 위치를, 대경 장대의 선단측의 개구 내주면의 내부에 형성하면, 상기 개구 내주면은 상기 상승 위치에서 선단측을 향해 일정한 축 방향 길이로 직경확대하고, 상기 소경 장대의 후단측의 외주면과의 사이에서 간극를 갖도록, 소경 장대의 중심축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면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상승 위치는 경사면이 소경 장대의 후단측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위치로 되지만, 조면부에 대해서는 상술한 인롱 계식의 낚싯대와 마찬가지로, 상승 위치를 포함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대경 장대의 선단측의 개구 내주면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면, 가공이 용이하게 되도록, 조면부는 경사면의 전면에 걸쳐 형성해 두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각 구성요소의 치수, 재료, 및 배치는 실시형태 중에서 명시적으로 설명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 각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 임의의 치수, 재료, 및 배치를 갖도록 변형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명시적으로 설명하고 있지 않은 구성요소를, 설명한 실시형태에 부가할 수도 있으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구성요소의 일부를 생략할 수도 있다.
1,101; 낚싯대 2,105; 끝 대
2b1; 경사면 2b2; 응력 완화면
2b3; 원통면 5,102; 손잡이대
6; 인롱 심재 10; 원 장대
18; 비경사부 20, 30; 중 장대
21; 응력 완화층 21A1; 경사면
21A2; 평행면 21a, 21b, 21c, 21d; 경사부
22; 본체 보호층 23; 본체층
24; 보호층 31A; 경사면
40; 끝 대 80; 인롱
121a, 121b, 121c, 121d; 경사부 122; 비경사부
P1; 상승 위치

Claims (15)

  1. 중심축을 따라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하는 중공의 로드체와,
    상기 중심축에 대해 경사지는 외주면을 갖고,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로드체에 삽입되고, 상기 중심축을 따르는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일단보다 상기 타단측에 있는 지지 위치에서 상기 로드체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체의 상기 내주면은 상기 축 부재의 상기 외주면보다 직경 방향 외측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위치와 상기 내주면의 상기 일단측의 단인 일단 위치를 통과하여 상기 중심축을 향해 볼록하게 되는 가상 곡선을 그었을 때에,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 위치와 상기 일단 위치 사이에 있어서, 상기 가상 곡선에서 상기 중심축을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를 갖는 낚싯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체의 상기 내주면은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 위치와 상기 일단 위치 사이에 있어서, 상기 가상 곡선에서 상기 중심축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볼록부를 갖는 낚싯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체의 상기 내주면은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 위치와 상기 일단 위치 사이에 있어서, 상기 가상 곡선에서 상기 중심축과는 반대측을 향해 오목하게 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갖는 낚싯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체의 상기 내주면은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 위치와 상기 일단 위치 사이에 있어서, 상기 가상 곡선에서 상기 중심축과는 반대측을 향해 오목하게 되는 복수의 오목부를 갖는 낚싯대.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주면의 상기 일단 위치와 상기 지지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은 상기 외주면이 상기 중심축과 이루는 각도보다 큰 각도로 상기 중심축에 대해 기울어져 있는 낚싯대.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주면의 상기 일단 위치는 상기 지지 위치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있는 낚싯대.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체의 상기 내주면은 상기 지지 위치에서 상기 타단측으로 상기 중심축과 평행하게 또는 대략 평행하게 연장하는 평행면을 갖는 낚싯대.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체는 직경 방향의 가장 내측에 마련되어 있고 제 1 강화 섬유를 포함하는 응력 완화층과, 상기 응력 완화층의 직경 방향 외측에 마련된 제 2 강화 섬유를 포함하는 본체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강화 섬유의 인장 탄성률은 상기 제 2 강화 섬유의 인장 탄성률보다 작은 낚싯대.
  9. 중심축을 따라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하는 중공의 로드체와,
    상기 중심축에 대해 제 1 각도만큼 경사지는 외주면을 갖고,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로드체에 삽입되는 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체의 내주면은 상기 일단에서 상기 축 방향의 제 1 위치까지 상기 중심축에 대해 제 1 각도보다 큰 각도로 경사져 연장하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1 위치보다 상기 타단측에 있는 제 2 위치까지 연장하는 제 2 면과,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보다 상기 타단측에 있는 제 3 위치까지 상기 중심축과 평행하게 또는 대략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 3 면을 갖고 있고,
    상기 제 2 면은 상기 제 1 면에 연속되어 있고 상기 중심축에 대해 상기 제 1 각도보다 큰 각도로 경사져 있는 경사부와, 상기 제 3 면에 연속되어 있고 상기 중심축과 평행하게 또는 대략 평행하게 연장하는 비경사부를 갖는 낚싯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비경사부의 상기 제 1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중심축 주위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상기 제 2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내주면의 전체 길이의 50%이상인 낚싯대.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의 상기 중심축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상기 제 2 면의 상기 중심축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이상인 낚싯대.
  12.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체의 외주면에 마련된 낚시줄 가이드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중심축 주위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낚시줄 가이드의 부착 위치와 반대측에 마련되는 낚싯대.
  13.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체에는 낚시줄 가이드가 마련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중심축 주위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낚시줄 가이드의 부착 위치와 동일 측에 마련되는 낚싯대.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 부재는 인롱 심재인 낚싯대.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 부재는 상기 로드체보다 소경의 다른 로드체인 낚싯대.
KR1020207036548A 2018-10-29 2019-10-25 복수의 로드체가 맞붙여지는 낚싯대 KR1025609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02757A JP6953378B2 (ja) 2018-10-29 2018-10-29 複数の竿体が継合される釣竿
JPJP-P-2018-202757 2018-10-29
JPJP-P-2018-243805 2018-12-26
JP2018243805A JP6953391B2 (ja) 2018-12-26 2018-12-26 複数の竿体が継合される釣竿
JPJP-P-2019-004805 2019-01-16
JP2019004805A JP7057293B2 (ja) 2019-01-16 2019-01-16 インロー継式及び並継式の釣竿
PCT/JP2019/041888 WO2020090650A1 (ja) 2018-10-29 2019-10-25 複数の竿体が継合される釣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578A KR20210010578A (ko) 2021-01-27
KR102560958B1 true KR102560958B1 (ko) 2023-07-31

Family

ID=70462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6548A KR102560958B1 (ko) 2018-10-29 2019-10-25 복수의 로드체가 맞붙여지는 낚싯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30798B2 (ko)
EP (1) EP3874945A4 (ko)
KR (1) KR102560958B1 (ko)
CN (1) CN112638156B (ko)
AU (1) AU2019372611B2 (ko)
WO (1) WO2020090650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5431A (ja) 1999-09-28 2001-04-10 Itsuki Sensui 釣り糸絡み防止キャップ
JP2002191263A (ja) 2000-12-25 2002-07-09 Daiwa Seiko Inc 継式釣竿
WO2005086996A1 (en) 2004-03-12 2005-09-22 Tubertini S.R.L. Modular tubular member such as a fishing rod, windsurf board mast, or similar
JP2007259741A (ja) 2006-03-28 2007-10-11 Daiwa Seiko Inc 釣竿
JP2016214217A (ja) 2015-05-26 2016-12-22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振出式釣竿
WO2019189907A1 (ja) 2018-03-30 2019-10-03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インロー継式の釣竿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0650A (en) * 1880-08-03 Fishing-rod
US613903A (en) * 1898-11-08 Island
US1351473A (en) * 1919-07-01 1920-08-31 Hardy Forster Fishing-rod
US1932427A (en) * 1931-06-15 1933-10-31 Doheny Stone Drill Co Well pipe joint
US2018923A (en) * 1934-09-29 1935-10-29 Joseph L Potter Resilient attachment for handles
FR1127923A (fr) * 1955-06-13 1956-12-27 Canne à pêche
US3830008A (en) * 1972-07-17 1974-08-20 Berkley & Co Inc Ferrule structure utilizing integral male and female portions
US4070127A (en) * 1975-08-11 1978-01-24 Lamiglas Corporation Ferrule joint for sectional fishing rod
US4178713A (en) * 1977-10-17 1979-12-18 Kenichi Higuchi Fishing rod made of fiber reinforced synthetic resin
JPH0436884Y2 (ko) 1986-12-08 1992-08-31
JP2535741Y2 (ja) * 1990-02-14 1997-05-14 株式会社シマノ 並継ぎ竿
CA2036029C (en) * 1991-02-08 1994-06-21 Alexander V. Parasin Tongue and groove profile
JP2959737B2 (ja) 1991-09-09 1999-10-0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Pb信号伝送方式
CA2081650A1 (en) * 1992-01-24 1993-07-25 Geoffrey M. Bowmer High dynamic strength reinforcing bar splice and method of making
US5924235A (en) * 1998-06-15 1999-07-20 Mcculley; Andy R. Fishing rod lock system
JP2001095432A (ja) * 1999-09-30 2001-04-10 Daiwa Seiko Inc 釣 竿
KR200186643Y1 (ko) * 1999-12-23 2000-06-15 주식회사원다 낚시대 마디 결합구조(3)
TW523397B (en) * 2001-05-02 2003-03-11 Shimano Kk Fishing rod with plug-in fishing line
JP2003070385A (ja) * 2001-09-06 2003-03-11 Shimano Inc 竿体の製造方法
JP3995197B2 (ja) 2002-02-27 2007-10-24 ダイワ精工株式会社 インロー継合構造を有した釣竿
JP2004173682A (ja) * 2002-11-12 2004-06-24 Shimano Inc 釣竿及び釣竿を構成する竿体の連結構造
JP4111322B2 (ja) * 2003-01-09 2008-07-02 株式会社シマノ 釣竿
JP4530353B2 (ja) * 2005-01-06 2010-08-25 株式会社シマノ 印籠継式釣竿
JP4726112B2 (ja) * 2005-04-07 2011-07-20 株式会社シマノ 穂先竿
JP2006288288A (ja) * 2005-04-11 2006-10-26 Shimano Inc 振出竿
JP2007020498A (ja) * 2005-07-19 2007-02-01 Shimano Inc 穂先竿
KR100941004B1 (ko) * 2007-12-28 2010-02-08 주식회사천류 낚싯대 대롱의 역테이퍼형 꽂이부와 그 성형방법
US8851162B2 (en) * 2011-08-09 2014-10-07 Russell P. Rutledge Sucker rod apparatus and method
JP6035186B2 (ja) * 2013-03-29 2016-11-3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糸ガイドを備える釣竿
JP6527057B2 (ja) * 2015-09-02 2019-06-05 株式会社シマノ 釣糸ガイド及び釣竿並びにガイドフレーム
JP6944238B2 (ja) * 2015-12-10 2021-10-06 株式会社シマノ 釣竿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5431A (ja) 1999-09-28 2001-04-10 Itsuki Sensui 釣り糸絡み防止キャップ
JP2002191263A (ja) 2000-12-25 2002-07-09 Daiwa Seiko Inc 継式釣竿
WO2005086996A1 (en) 2004-03-12 2005-09-22 Tubertini S.R.L. Modular tubular member such as a fishing rod, windsurf board mast, or similar
JP2007259741A (ja) 2006-03-28 2007-10-11 Daiwa Seiko Inc 釣竿
JP2016214217A (ja) 2015-05-26 2016-12-22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振出式釣竿
WO2019189907A1 (ja) 2018-03-30 2019-10-03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インロー継式の釣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30841A1 (en) 2022-02-03
KR20210010578A (ko) 2021-01-27
US11930798B2 (en) 2024-03-19
EP3874945A4 (en) 2022-07-27
EP3874945A1 (en) 2021-09-08
CN112638156A (zh) 2021-04-09
AU2019372611B2 (en) 2022-08-18
CN112638156B (zh) 2023-01-10
WO2020090650A1 (ja) 2020-05-07
AU2019372611A1 (en) 2021-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4968B2 (ja) 釣り竿用の竿体
KR101524407B1 (ko) 낚싯줄 가이드,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및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하는 낚싯대
KR102514789B1 (ko) 스피곳 페룰식의 낚싯대
JP6664723B2 (ja) 釣り糸ガイド及びこれを備える釣り竿
EP2853158B1 (en) Fishing line guide
CN1742222A (zh) 眼镜片的保持结构及其修复方法以及眼镜
KR102560958B1 (ko) 복수의 로드체가 맞붙여지는 낚싯대
JP6953391B2 (ja) 複数の竿体が継合される釣竿
KR101198119B1 (ko) 초릿대
JP3949506B2 (ja) 釣竿
JP2007020498A (ja) 穂先竿
JP6990168B2 (ja) 複数の竿体が継合される釣竿
JP7057293B2 (ja) インロー継式及び並継式の釣竿
JP2006101779A (ja) 穂先竿及び穂先竿用竿体
JP7088824B2 (ja) インロー継式の釣竿
JP7088823B2 (ja) インロー継式の釣竿
JP4311534B2 (ja) 穂先竿
JP4315324B2 (ja) 中通し竿及び中通し竿の製造方法
JP6953378B2 (ja) 複数の竿体が継合される釣竿
JP2002101788A (ja) 釣 竿
JP6800803B2 (ja) 竿体の継合構造の改善
JP6149495B2 (ja) 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の製造方法
JP2004254650A (ja) インロー芯の製造方法
JP2005338517A (ja) 光コネクタ用フェルール及び成形コアピン
JP2000295946A (ja) 竿体の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