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338B1 - 포트, 및 약액 백 - Google Patents

포트, 및 약액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338B1
KR102559338B1 KR1020177017331A KR20177017331A KR102559338B1 KR 102559338 B1 KR102559338 B1 KR 102559338B1 KR 1020177017331 A KR1020177017331 A KR 1020177017331A KR 20177017331 A KR20177017331 A KR 20177017331A KR 102559338 B1 KR102559338 B1 KR 102559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ed
fitting
port
bag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7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5252A (ko
Inventor
야스유키 가지하라
히데나리 쇼지
마사미치 오쿠바타
후미토 우에스기
류타 가즈모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츠카 세이야쿠 고죠
오오쯔까 테크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츠카 세이야쿠 고죠, 오오쯔까 테크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츠카 세이야쿠 고죠
Publication of KR20170095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5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06Septums, pierceable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61J1/1425Snap-fit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ag Fram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지(封止) 마개가 포트 본체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하는 포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트는, 중공(中空) 침을 자통(刺通) 가능한 봉지 마개와, 상기 봉지 마개가 내부에 배치되는 중공의 포트 본체와, 상기 포트 본체에 장착되는 빠짐 방지 부재를 구비하고, 포트 본체는, 상기 봉지 마개가 봉입되는 통형의 피봉지부와, 상기 피봉지부에 형성되는 피끼워맞춤부를 가지고, 빠짐 방지 부재는, 피봉지부 내에서 상기 피봉지부의 제1 단 측을 향하는 제1 면을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제1 면 상에 형성된 규제부로서, 봉지 마개에서의 피봉지부의 제2 단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와, 포트 본체의 피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추어지는 끼워맞춤부를 가진다.

Description

포트, 및 약액 백{PORT, AND DRUG SOLUTION BAG}
본 발명은, 약액(藥液)을 수용하는 백(bag) 본체에 장착되는 포트, 및 상기 포트를 구비하는 약액 백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약액(예를 들면, 약제를 함유하는 액이나, 영양제를 함유하는 액 등)을 수용하는 약액 백이 제공되고 있었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액 백(4)은, 내부에 약액이 충전(充塡)되는 백 본체(40)와, 상기 백 본체(40)에 장착되는 포트(41)를 구비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백 본체(40)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시트 부재(400)를 가진다. 한 쌍의 시트 부재(400)의 외주(外周) 에지부는, 서로 용착(溶着)되어 있다.
포트(41)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中空) 침을 자통(刺通) 가능한 봉지(封止) 마개(410)와, 상기 봉지 마개(410)가 내부에 배치되는 중공의 포트 본체(411)를 구비한다.
포트 본체(411)는, 봉지 마개(410)가 봉입(封入)되는 통형(筒形)의 피봉지부(被封止部)(411a)와, 상기 피봉지부(411a)와 연속되고, 또한 자신의 내부를 피봉지부(411a)의 내부와 연통시킨 통형의 접속부(411b)로서, 한 쌍의 시트 부재(400)의 사이에 배치되는 접속부(411b)를 구비한다. 접속부(411b)의 외주(外周)에는, 한 쌍의 시트 부재(400)가 용착된다.
약액 백(4)은, 중공 침을 봉지 마개(410)에 자통한 상태에서, 포트(41)의 피봉지부(411a)를 하방을 향하여(백 본체(40)보다 하방으로 하여)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백 본체(40) 내의 약액이 중공 침을 통하여 환자에게 투여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그런데, 전술한 구성의 약액 백(4)에서는, 예를 들면, 피봉지부(411a)가 하방으로 향하게 되면, 봉지 마개(410)에 대하여 약액의 무게에 의한 액압(液壓)이 가해진다. 즉, 백 본체(40) 내의 약액의 무게가, 봉지 마개(410)를 포트 본체(411)로부터 탈락시키는 힘으로서 작용한다.
이 때문에, 이러한 종류의 약액 백(4)에 있어서, 포트 본체(411)로부터의 봉지 마개(410)의 탈락 방지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포트(41)는, 예를 들면, 피봉지부(411a)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빠짐 방지부(411c)로서, 봉지 마개(410)와 맞닿는 빠짐 방지부(411c)를 구비한다.
빠짐 방지부(411c)는, 피봉지부(411a)에 접속된 기단(基端)과, 상기 기단의 반대측의 선단(先端)을 가진다. 빠짐 방지부(411c)는, 선단측이 봉지 마개(410) 측으로 향하도록 되돌려져서, 선단을 주위 방향 전체 주위에 걸쳐 봉지 마개(410)와 맞닿게 한다. 이로써, 포트 본체(411)로부터의 봉지 마개(410)의 탈락이 방지된다.
전술한 구성의 포트(41)에 있어서, 빠짐 방지부(411c)는, 피봉지부(411a)로부터 똑바로 연장되는 부분(이하, 벤딩 여유부라고 함)(411d)이 예열된 후 벤딩 가공되는 것에 의해 성형된다.
이 때문에, 포트(41)의 제조에는, 빠짐 방지부(411c)를 성형하기 위한 전용(專用)의 설비가 필요하다. 또한, 포트(41)의 제조는, 열을 가하여 가공을 행하므로, 제조 효율이 좋지 못하게 된다. 또한, 포트(41)의 제조 방법에서는, 빠짐 방지부(411c)의 주위 방향의 상이한 위치에서, 형상에 불균일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포트(41)에서는, 빠짐 방지부(411c)의 선단 전체 주위에서 봉지 마개(410)를 균일하게 가압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포트(41)에서는, 봉지 마개(410)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봉지 마개(410)가 포트 본체(411)로부터 탈락할 우려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4-36001호 공보
이에, 본 발명은, 포트 본체로부터의 봉지 마개의 탈락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포트, 및 상기 포트를 구비하는 약액 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포트는, 중공 침을 자통 가능한 봉지 마개와, 상기 봉지 마개가 내부에 배치되는 중공의 포트 본체와, 상기 포트 본체에 장착되는 빠짐 방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포트 본체는, 제1 단(端)과 상기 제1 단의 반대측의 제2 단을 중심선 방향으로 가지는 통형의 피봉지부로서, 상기 봉지 마개가 봉입되는 상기 피봉지부와, 상기 피봉지부의 상기 제1 단에 연결되는 통형의 접속부로서, 약액이 충전되는 백 본체에 외주가 접속되는 상기 접속부와, 상기 피봉지부의 내주면(內周面), 상기 피봉지부의 외주면(外周面), 또는 상기 피봉지부의 상기 제2 단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피(被)끼워맞춤부를 포함하고, 상기 빠짐 방지 부재는, 상기 피봉지부 내에서 상기 피봉지부의 상기 제1 단 측을 향하는 제1 면을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제1 면 상에 형성된 규제부로서, 상기 봉지 마개에서의 상기 피봉지부의 상기 제2 단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상기 규제부와, 상기 포트 본체의 상기 피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추어지는 끼워맞춤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끼워맞춤부 및 상기 끼워맞춤부는, 서로 끼워맞추어진 상태에서 상기 피봉지부의 상기 중심선 방향의 힘을 전달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진다.
본 발명의 포트는, 중공 침을 자통 가능한 봉지 마개와, 상기 봉지 마개가 내부에 배치되는 중공의 포트 본체와, 상기 포트 본체에 장착되는 빠짐 방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포트 본체는, 제1 단과 상기 제1 단의 반대측의 제2 단을 중심선 방향으로 가지는 통형의 피봉지부로서, 상기 봉지 마개가 봉입되는 상기 피봉지부와, 상기 피봉지부의 상기 제1 단에 연결되는 통형의 접속부로서, 약액이 충전되는 백 본체에 외주가 접속되는 상기 접속부와, 상기 피봉지부의 내주면, 상기 피봉지부의 외주면, 또는 상기 피봉지부의 상기 제2 단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피끼워맞춤부를 포함하고, 상기 빠짐 방지 부재는, 상기 피봉지부 내에서 상기 피봉지부의 상기 제1 단 측을 향하는 제1 면을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제1 면 상에 형성된 규제부로서, 상기 봉지 마개에서의 상기 피봉지부의 상기 제2 단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상기 규제부와, 상기 포트 본체의 상기 피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추어지는 끼워맞춤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끼워맞춤부는, 상기 피봉지부의 상기 제1 단 측을 향하는 걸어맞춤면을 포함하고, 상기 끼워맞춤부는, 상기 피봉지부의 상기 제2 단 측을 향하고, 또한 상기 피끼워맞춤부에서의 상기 걸어맞춤면과 대향하는 걸어맞춤면을 포함한다.
상기 피끼워맞춤부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 중 어느 한쪽이며, 상기 끼워맞춤부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 중 어느 다른 쪽이라도 된다.
상기 빠짐 방지 부재의 상기 끼워맞춤부가, 상기 포트 본체의 상기 피끼워맞춤부의 일부에 대하여 상기 끼워맞춤부의 주위 방향의 전체 주위 또는 복수의 위치에 있어서 접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봉지 마개는, 상기 빠짐 방지 부재와 대향하는 면 상에 형성된 홈부(溝部)를 가지고, 상기 빠짐 방지 부재의 상기 규제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홈부 내를 향해 돌출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약액 백은, 내부에 약액이 충전되는 백 본체와, 상기 어느 하나의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포트의 접속부가 상기 백 본체에 접속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약액 백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포트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봉지 마개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포트 본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빠짐 방지 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포트의 확대도로서, 도 2의 영역 VI의 확대도이다.
도 7은,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포트의 종단면도로서, 봉지 마개에 중공 침을 자통시킨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포트의 종단면도로서, 봉지 마개에 자통하고 있는 중공 침을 뽑아내고 있는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포트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포트의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포트의 부분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포트의 부분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포트의 부분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포트의 부분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포트의 부분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포트의 부분적인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종래의 약액 백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종래의 포트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액 백(1)은, 약액(예를 들면, 수액용의 약제를 함유하는 액이나, 영양제를 함유하는 액 등)이 충전되는 백 본체(2)와, 상기 백 본체(2)에 장착된 포트(3)를 구비한다.
백 본체(2)는, 중첩된 한 쌍의 시트 부재(20)를 포함한다. 백 본체(2)는, 한 쌍의 시트 부재(20)의 서로의 외주 에지부끼리를 용착한 실링부(21)를 가진다. 백 본체(2)는, 한 쌍의 시트 부재(20) 및 실링부(21)에 의해 구획되는 수용실(22)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백 본체(2)는, 한 쌍의 시트 부재(20)를 박리(剝離) 가능하게 접합한 약(弱) 실링부(23)를 가진다.
약 실링부(23)는, 수용실(22)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약 실링부(23)는, 수용실(22)을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있다. 즉, 수용실(22)은, 서로 연통시키는 것이 가능한 2개의 공간(22a, 22b)을 가진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용실(22)의 한쪽 공간(22a)을 제1 수용실(22a)이라 하고, 수용실(22)의 다른 쪽 공간(22b)을 제2 수용실(22b)로서 이하의 설명을 행한다.
제1 수용실(22a) 및 제2 수용실(22b)의 각각에는, 상이한 종류의 약액이 수용된다. 백 본체(2)에서는, 약 실링부(23)가 박리되면 제1 수용실(22a)과 제2 수용실(22b)이 연통된다. 이로써, 제1 수용실(22a) 내의 약액과 제2 수용실(22b) 내의 약액이 혼합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트(3)는, 중공 침을 자통 가능한 봉지 마개(30)와, 상기 봉지 마개(30)가 내부에 배치되는 중공의 포트 본체(31)와, 상기 포트 본체(31)에 장착되는 빠짐 방지 부재(32)를 구비한다.
봉지 마개(30)는, 빠짐 방지 부재(32) 측에 위치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의 제2 면을 가진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지 마개(30)는, 빠짐 방지 부재(32)와 대향하는 면(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면)에 형성된 환형(環形)의 홈부(300)를 가진다.
봉지 마개(30)의 제1 면에서의 중앙부(제1 면에서의 홈부(300)보다 내측의 부분)의 높이는, 봉지 마개(30)의 제1 면에서의 외주 에지부(제1 면에서의 홈부(300)보다 외측의 부분)의 높이보다 높게 설정된다. 즉, 봉지 마개(30)의 제1 면에서의 중앙부는, 포트 본체(31)의 중심선 방향에 있어서, 봉지 마개(30)의 제1 면에서의 외주 에지부보다 빠짐 방지 부재(32) 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로써, 봉지 마개(30)의 제1 면에서의 중앙부에 대한 작업(예를 들면, 알코올 소독 등)을 행하기 쉽게 된다.
봉지 마개(30)는, 빠짐 방지 부재(32) 측과는 반대측을 향하여 개방되는 환형 오목부(301)를 가진다. 환형 오목부(301)는, 제2 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봉지 마개(30)는, 제2 면의 중앙부로부터 빠짐 방지 부재(32) 측과는 반대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302)와, 상기 연장부(302)의 외주면을 에워싸는 환형 돌출부(303)를 가진다.
연장부(302)의 외주면은, 주위 방향 전체 주위에 걸쳐, 환형 돌출부(303) 측으로 팽창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트 본체(31)는, 제1 단과 상기 제1 단의 반대측의 제2 단을 중심선 방향으로 가지는 통형의 피봉지부(310)로서, 봉지 마개(30)가 봉입되는 피봉지부(310)와, 상기 피봉지부(310)의 제1 단에 연결되는 통형의 접속부(311)로서, 백 본체(2)에 외주가 용착되는 접속부(311)와, 피봉지부(310)의 내주면, 피봉지부(310)의 외주면, 또는 피봉지부(310)의 제2 단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피끼워맞춤부(312)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피봉지부(310)는, 통형으로 형성된 외벽부(310a)와 상기 외벽부(310a)와 접속부(311)를 연결하는 연속부(310b)를 가진다.
외벽부(310a)는, 제1 단과 상기 제1 단의 반대측의 제2 단을 중심선 방향으로 가진다. 외벽부(310a)의 제1 단은, 연속부(310b)를 통하여 접속부(311)에 연결되어 있다.
외벽부(310a)는, 주위 방향 전체 주위에 걸쳐 봉지 마개(30)의 외주면에 접하는 내주면을 가진다. 외벽부(310a)의 제2 단 측의 내주면에는, 피끼워맞춤부(312)로서의 오목부(홈)가 주위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피봉지부(310)(외벽부(310a)의 제2 단에는, 필 실링(P)이 박리 가능하게 접착되어 있다(도 2 참조).
외벽부(310a)의 제2 단의 두께는, 외벽부(310a)의 제1 단의 두께보다 두껍게 설정된다. 이로써, 외벽부(310a)의 제2 단의 강성(剛性)은, 외벽부(310a)의 제1 단 측의 강성보다 높게 되어 있다.
연속부(310b)는, 외벽부(310a)의 제1 단의 주위 방향 전체 주위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 방향을 향해 연장된다. 연속부(310b)의 내주 에지는, 접속부(311)에 연결된다.
피봉지부(310)는, 연속부(310b)로부터 외벽부(310a)의 제2 단 측을 향해 연장되는 환형의 지지부(310c)를 더 구비한다. 피봉지부(310)에 있어서, 지지부(310c)의 외주면 및 외벽부(310a)의 내주면은,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한다. 즉, 피봉지부(310)에 있어서, 지지부(310c)의 외주면과 외벽부(310a)의 내주면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포트(3)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310c)의 내측에 봉지 마개(30)의 연장부(302)가 봉입되거나 또는 배치된다. 이에 따라, 봉지 마개(30)의 환형 오목부(301) 내에는, 지지부(310c)가 봉입되거나 또는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장부(302)의 외주면은, 주위 방향 전체 주위에 걸쳐, 환형 돌출부(303) 측으로 팽창하고 있다. 이로써, 봉지 마개(30)의 연장부(302)와 지지부(310c)와의 밀착성이 높아져 있다.
접속부(31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봉지부(310)의 제1 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접속부(311)는, 제1 개구단과, 상기 제1 개구단의 반대측의 제2 개구단을 중심선 방향으로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속부(311)의 제1 개구단은, 피봉지부(310)에 연속되어 있다. 접속부(311)의 제2 단 측의 외주면에 대하여 한 쌍의 시트 부재(20)가 각각 용착된다(도 1 참조).
피끼워맞춤부(312)는, 피봉지부(3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오목부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피끼워맞춤부(오목부)(312)는, 피봉지부(310)의 내주면에 대하여 주위 방향 전체 주위에 걸쳐 연속되어 있다. 즉, 피끼워맞춤부(오목부)(312)는, 무단(無端) 환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피끼워맞춤부(오목부)(312)는, 외벽부(310a)의 제2 단 측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빠짐 방지 부재(32)는, 원환형(圓環形)으로 형성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빠짐 방지 부재(32)는, 피봉지부(310) 내에서 외측을 향하는 봉지 마개(30)의 제1 면에 중첩된다. 빠짐 방지 부재(32)는, 피봉지부(310)의 제1 단 측(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봉지 마개(30) 측)을 향한 제1 면을 가지는 환형의 본체부(320)와, 상기 본체부(320)의 제1 면 상에 형성된 환형의 규제부(321)로서, 봉지 마개(30)에서의 피봉지부(310)의 제2 단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환형의 규제부(321)와, 포트 본체(31)의 피끼워맞춤부(312)에 끼워맞추어지는 끼워맞춤부(322)를 가진다.
본체부(320)의 제1 면은, 피봉지부(310) 내에 배치된 봉지 마개(30)의 외측을 향하는 면(봉지 마개(30)의 제1 면)과 대향하는 대향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빠짐 방지 부재(32)가 원환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대향 영역은, 상기 본체부(320)의 외주에 의해 외주의 구획된 원환형의 영역이다. 본체부(320)는, 제1 면의 반대측의 제2 면을 가진다. 본체부(320)의 제2 면은, 피봉지부(310) 내에서 외측을 향하는 외면을 구성하고, 봉지 마개(30)의 제1 면(본 실시형태에서는, 봉지 마개(30)의 제1 면의 중앙부)과 동일 평면 상, 또는 대략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 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체부(320)의 제2 면(외면)은, 평면형으로 형성된다. 본체부(320)의 제2 면(외면)은, 포트 본체(31)의 중심선 방향에 있어서, 봉지 마개(30)의 제1 면(본 실시형태에서는, 봉지 마개(30)의 제1 면의 중앙부)과 대응하는 위치 또는 대략 대응하는 위치에 있다.
규제부(321)는, 본체부(320)의 제1 면으로부터 돌출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규제부(321)는, 본체부(320)의 제1 면으로부터 봉지 마개(30)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규제부(321)는, 본체부(320)의 제1 면 중 봉지 마개(30)와 대향하는 대향 영역을 피한 영역으로부터 봉지 마개(30)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규제부(321)는, 본체부(320)의 제1 면 중 대향 영역보다 내주측에 있는 원환형의 영역으로부터 봉지 마개(30)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규제부(321)는, 봉지 마개(30)의 홈부(300) 내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빠짐 방지 부재(32)에서는, 규제부(321)가 봉지 마개(30)와 맞닿아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따른 빠짐 방지 부재(32)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320)의 제1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규제부(321)가 봉지 마개(30)의 홈부(300) 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빠짐 방지 부재(32)는, 규제부(321)에 더하여 본체부(320)의 제1 면 중 대향 영역을 봉지 마개(30)와 맞닿게 한다.
규제부(321)는, 본체부(320)의 내주 에지부 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빠짐 방지 부재(32)에서는, 본체부(320)의 내주 에지부 측의 두께가, 본체부(320)의 외주 에지부 측의 두께보다 두껍다. 이로써, 빠짐 방지 부재(32)의 내주 에지부 측의 강성이 높아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포트 본체(31)의 피끼워맞춤부(312)는, 피봉지부(3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오목부로서, 피봉지부(310)의 내주면의 주위 방향 전체 주위에 걸쳐 연속하는 오목부이다. 이에 따라, 끼워맞춤부(322)는, 본체부(320)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본체부(320)의 외주면의 주위 방향 전체 주위에 걸쳐 연속되어 있다.
끼워맞춤부(322)의 주위 방향의 전체 주위가, 포트 본체(31)의 피끼워맞춤부(312)와 맞닿아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빠짐 방지 부재(32)의 끼워맞춤부(322)의 주위 방향의 전체 주위가, 포트 본체(31)의 피끼워맞춤부(312)에 대하여 선(線) 접촉 또는 부분적으로 면 접촉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트 본체(31)의 피끼워맞춤부(312)와 끼워맞춤부(322)(외주면)는,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포트 본체(31)의 피끼워맞춤부(312)의 곡률은, 빠짐 방지 부재(32)의 끼워맞춤부(322)의 외주면의 곡률보다 작다. 이에 따라, 끼워맞춤부(322)의 주위 방향의 전체 주위가, 포트 본체(31)의 피끼워맞춤부(312)에 선 접촉 또는 부분적으로 면 접촉한다.
이로써, 빠짐 방지 부재(32)의 탈락이 효과적으로 방지되고, 또한 포트 본체(31)의 피끼워맞춤부(312)에 대한 빠짐 방지 부재(32)의 끼워맞춤부(322)의 끼워 넣기가 용이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약액 백(1)은, 이상과 같다. 이어서, 약액 백(1)의 사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을 행한다.
약액 백(1)을 사용하는 경우(예를 들면, 백 본체(2) 내의 약액을 환자에게 주입하는 경우), 먼저, 백 본체(2)에서의 제1 수용실(22a) 또는 제2 수용실(22b)이 압압(押壓)된다. 이로써, 약 실링부(23)가 박리되어, 제1 수용실(22a)과 제2 수용실(22b)이 연통된다. 이에 따라, 제1 수용실(22a) 내의 약액과 제2 수용실(22b) 내의 약액이 혼합된다.
그 후, 피봉지부(310)의 제2 단으로부터 필 실링(P)이 박리되어,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트 본체(31)(피봉지부(310))가 하방으로 향해진 상태에서, 약액 백(1)이 링겔 스탠드(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현수(懸垂)된다. 그리고, 봉지 마개(30)에 중공 침(N)이 자통된다. 이로써, 약액이 백 본체(2)로부터 중공 침(N)을 통하여 인출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약액 백(1)의 포트(3)에 의하면, 포트 본체(31)의 피끼워맞춤부(312)와 빠짐 방지 부재(32)의 끼워맞춤부(322)가 끼워맞추는 것에 의해, 빠짐 방지 부재(32)가 포트 본체(31)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빠짐 방지 부재(32)의 규제부(321)가 주위 방향 전체 주위에 걸쳐 봉지 마개(30)와 맞닿으므로, 빠짐 방지 부재(32)는, 규제부(321)의 주위 방향의 전체 주위에서 봉지 마개(30)를 균일하게 가압한다. 따라서, 포트 본체(31)로부터의 봉지 마개(30)의 탈락이 더욱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포트 본체(31)의 피끼워맞춤부(312)에 대하여 빠짐 방지 부재(32)의 끼워맞춤부(322)가 끼워맞추어지므로, 종래와 같이 예열이나 벤딩 가공을 필요로 하는 포트에 비하여, 효율적으로 조립할 수 있다.
빠짐 방지 부재(32)의 끼워맞춤부(322)의 주위 방향의 전체 주위가, 포트 본체(31)의 피끼워맞춤부(312)에 대하여 선 접촉 또는 부분적으로 면 접촉하고 있으므로, 빠짐 방지 부재(32)의 끼워맞춤부(322)와 포트 본체(31)의 피끼워맞춤부(312)의 사이에는 접촉 부분의 상하로 간극이 형성된다.
이로써, 빠짐 방지 부재(32)는, 끼워맞춤부(322)의 피끼워맞춤부(312)에 대한 접촉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봉지 마개(30)의 경사나 위치 어긋남에 따른 상태에서 포트 본체(31)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빠짐 방지 부재(32)는, 봉지 마개(30)를 더욱 바람직하게 가압한다.
또한, 종래의 포트에서는, 봉지 마개가 포트 본체 내부에 봉입된 후, 상기 포트 본체에 벤딩 가공을 행함으로써 빠짐 방지부가 형성된다. 이 때문에, 종래의 포트에서는, 봉지 마개가 경사진 자세로 포트 본체 내부에 봉입되면, 포트 본체의 형상이 일정하게 되지 않아, 봉지 마개가 탈락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포트(3)는, 포트 본체(31)와 빠짐 방지 부재(32)가 별체이므로, 봉지 마개(30)를 포트 본체(31)의 내부에 봉입하는 것과 함께, 빠짐 방지 부재(32)를 포트 본체(31)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포트(3)에서는, 포트 본체(31)의 주위 방향의 상이한 위치에서의 형상에 불균일이 생기는 것을 바람직하게 억제하여, 봉지 마개(30)의 탈락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피봉지부(310)의 외벽부(310a)의 제2 단의 강성이 상기 피봉지부(310)의 외벽부(310a)의 제1 단 측의 강성보다 높게 되어 있다. 즉, 포트(3)에 있어서, 포트 본체(31)에서의 빠짐 방지 부재(32)가 끼워맞추어지는 부분의 강성이 높아져 있다. 이로써, 포트 본체(31)로부터의 빠짐 방지 부재(32)의 탈락이 더욱 확실하게 방지된다.
그리고, 포트(3)에서는, 빠짐 방지 부재(32)의 규제부(321)가 봉지 마개(30)의 홈부(300) 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봉지 마개(30)가 피봉지부(310)의 제2 단 측의 개구로부터 뽑히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을 받으면, 봉지 마개(30)가 빠짐 방지 부재(32) 측에 가압된다. 이에 따라, 봉지 마개(30)에는, 빠짐 방지 부재(32)로부터의 반력(反力)이 작용한다. 즉, 봉지 마개(30)에서의 홈부(300)를 구획하는 부분이, 빠짐 방지 부재(32)의 규제부(321)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약액 백(포트(3)에 의하면, 포트 본체(31)로부터의 봉지 마개(30)의 탈락이 방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약액 백(1)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약 실링부(23)를 박리하기 위하여, 백 본체(2)에서의 제1 수용실(22a)이 압압된다. 이 경우에, 봉지 마개(30)에는, 수용실(22)(제1 수용실(22a)) 내의 약액의 액압이 가해진다.
그러나, 포트(3)는, 포트 본체(31)에 고정되어 있는 빠짐 방지 부재(32)에 의해 봉지 마개(30)가 억지되어 있으므로, 봉지 마개(30)가 포트 본체(31)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약액 백(1)에서는, 피봉지부(310)를 하방으로 향하게 한 경우에도, 봉지 마개(30)에는 수용실(22) 내의 약액의 액압이 가해진다. 그러나, 포트(3)에 있어서, 포트 본체(31)에 고정된 빠짐 방지 부재(32)에 의해 봉지 마개(30)가 억지되어 있으므로, 포트 본체(31)로부터의 봉지 마개(30)의 탈락이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약액 백(1)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봉지 마개(30)에 중공 침(N)이 꽂혀진다. 이 때, 봉지 마개(30)는, 백 본체(2)의 내부측을 향해 작용하는 외력을 받는다.
이로써, 봉지 마개(30)의 환형 돌출부(303)가 포트 본체(31)의 중심부 측으로 끌어 들여지므로, 피봉지부(310)의 지지부(310c)가 환형 돌출부(303)에 의해 압압된다. 그리고, 봉지 마개(30)의 환형 돌출부(303)는, 피봉지부(310)의 지지부(310c)로부터 반력을 받는다.
따라서, 봉지 마개(30)의 환형 돌출부(303)가 피봉지부(310)의 지지부(310c)에 의해 지지되므로, 포트 본체(31) 내에 있는 봉지 마개(30)의 백 본체(2) 내로의 탈락(들어감)이 방지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약액 백(1)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지 마개(30)에 자통된 중공 침(N)이 뽑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봉지 마개(30)는, 백 본체(2)와는 반대측을 향하여 작용하는 외력을 받는다.
이로써, 봉지 마개(30)의 외주 에지부(제1 면 측의 외주 에지부)가 포트 본체(31)의 중심부 측을 향해 끌어 들여지므로, 빠짐 방지 부재(32)의 규제부(321)가 상기 봉지 마개(30)의 외주 에지부에 의해 압압된다. 그리고, 봉지 마개(30)의 외주 에지부는, 빠짐 방지 부재(32)의 규제부(321)로부터 반력을 받는다.
따라서, 봉지 마개(30)의 외주 에지부가 빠짐 방지 부재(32)의 규제부(321)에 의해 지지되어, 포트 본체(31)로부터의 봉지 마개(30)의 탈락이 방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벽부(310a)의 제2 단의 강성이 외벽부(310a)의 제1 단 측의 강성보다 높게 되어 있으므로, 포트 본체(31)(피봉지부(310)의 제2 단)에 대하여, 필 실링(P)을 바람직하게 또한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포트 본체(31)가 피봉지부(310)를 1개 가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포트 본체(31)는, 피봉지부(310)를 2개 이상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각 피봉지부(320)에 대하여, 봉지 마개(30)가 봉입되고, 또한 빠짐 방지 부재(32)가 장착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백 본체(2)는, 중첩된 한 쌍의 시트 부재(20)의 외주 에지부끼리 용착됨으로써 형성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백 본체(2)는, 통형으로 형성된 시트(또는 필름)의 양단 개구부를 폐쇄(예를 들면, 용착)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백 본체(2) 및 포트(3)가 용착에 의해 접속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백 본체(2) 및 포트(3)는, 접착제 등을 통하여 접속되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백 본체(2)의 내부에는, 2개의 공간(제1 수용실(22a), 제2 수용실(22b))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백 본체(2)의 내부에, 1개의 공간만이 형성되거나, 3개 이상의 공간이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약액 백(1)은, 백 본체(2)에 1개의 포트(3)가 장착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약액 백(1)은, 백 본체(2)에 2개 이상의 포트(3)가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봉지 마개(30)의 제1 면에서의 중앙부는, 본체부(320)의 제2 면과 동일 평면 상, 또는 대략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봉지 마개(30)의 제1 면에서의 중앙부는, 본체부(320)의 제2 면으로부터 더욱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해도, 봉지 마개(30)의 제1 면에서의 중앙부에 대한 작업(예를 들면, 알코올 소독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봉지 마개(30)의 홈부(300)가 환형으로 형성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홈부(300)는, 본체부(320)의 제1 면으로부터 돌출된 규제부(321)의 형태에 맞게 형성되면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포트 본체(31)에서는, 접속부(311)와 피봉지부(31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포트 본체(31)에서는, 접속부(311)와 피봉지부(310)가 별체로 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피끼워맞춤부(312)는, 피봉지부(310)의 제2 단 측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피끼워맞춤부(312)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봉지부(31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빠짐 방지 부재(32)가 피봉지부(310)의 제2 단 측을 덮도록 형성되고, 끼워맞춤부(322)가 피봉지부(3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피끼워맞춤부(312)와 대응하는 위치(끼워맞춤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면 된다.
또한, 피끼워맞춤부(312)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봉지부(310)의 제2 단에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본체부(320)가 피봉지부(310)의 제2 단을 올라타도록(제2 단을 부분적으로 덮도록) 형성되고, 끼워맞춤부(322)가 피봉지부(310)의 제2 단에 형성된 피끼워맞춤부(312)와 대응하는 위치(끼워맞춤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면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피끼워맞춤부(312)는, 피봉지부(310)(외벽부(310a))의 내주면의 주위 방향 전체 주위에 걸쳐 연속하는 오목부(홈)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피끼워맞춤부(312)는, 피봉지부(310)(외벽부(310a))의 내주면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 단속적(斷續的)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오목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빠짐 방지 부재(32)의 끼워맞춤부(322)는, 피끼워맞춤부(312)의 각각의 오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볼록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빠짐 방지 부재(32)의 규제부(321)는, 본체부(320)의 제1 면으로부터 봉지 마개(30) 측으로 돌출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빠짐 방지 부재(32)의 규제부(321)는, 본체부(320)의 제1 면 상에 있으면 되며, 예를 들면, 봉지 마개(30)와 맞닿을 수 있으면, 본체부(320)의 제1 면 중 적어도 일부에서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규제부(321)는, 제1 면에서의 봉지 마개(30)와 대향하는 대향 영역과 나란한 영역, 또는 대향 영역 그 자체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규제부(321)는, 주위 방향으로 연속된 것(환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규제부(321)는, 본체부(320)의 제1 면 상의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빠짐 방지 부재(32)의 규제부(321)가 봉지 마개(30)와 맞닿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규제부(321)는, 봉지 마개(30)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단, 이 경우에, 봉지 마개(30)가 피봉지부(310) 내에서 상기 피봉지부(310)의 제2 단 측으로 이동했을 때, 규제부(321)가 봉지 마개(30)와 간섭하고(맞닿고), 빠짐 방지 부재(32)(규제부(321))가 봉지 마개(30)를 피봉지부(310) 내에 유지시키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지만, 빠짐 방지 부재(32) 및 봉지 마개(30)는, 서로 분리되어 있어도 되고, 서로 접속(예를 들면, 접착)되어 일체로 되어 있어도 된다. 빠짐 방지 부재(32) 및 봉지 마개(30)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 피봉지부(310)에 대하여, 봉지 마개(30)가 봉입된 후, 빠짐 방지 부재(32)가 장착된다. 이에 비해, 빠짐 방지 부재(32) 및 봉지 마개(30)가 서로 접속(예를 들면, 접착)되어 있는 경우, 피봉지부(310)에 대하여, 봉지 마개(30)가 봉입되는 것에 따라 빠짐 방지 부재(32)가 장착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빠짐 방지 부재(32)의 본체부(320)가 봉지 마개(30)의 제1 면에 중첩되는 것에 따라, 규제부(321)도 봉지 마개(30)의 제1 면 측에 중첩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규제부(321)가 봉지 마개(30)에서의 제1 면과 제2 면의 사이에 매립되고, 빠짐 방지 부재(32)와 봉지 마개(30)가 일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빠짐 방지 부재(32)의 규제부(321)와 봉지 마개(30)가 간섭하는(맞닿는) 상태로 되어, 규제부(321)는 봉지 마개(30)에서의 피봉지부(310)의 제2 단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그리고, 이 경우에, 빠짐 방지 부재(32)의 끼워맞춤부(322)가 봉지 마개(30)의 외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체부(320)의 제2 면 측의 전역(全域)이 평면형으로 형성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빠짐 방지 부재(32)는, 본체부(320)의 제2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323)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돌출부(323)는, 본체부(320)의 구멍 중심과 직교하고 또한 본체부(320)를 지나는 가상선(가상면)을 기준으로 하여, 규제부(321)와 대칭적인 배치 및 형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빠짐 방지 부재(32)의 표리(表裏)가 없어지고, 돌출부(323)를 봉지 마개(30) 측으로 향하게 하고 빠짐 방지 부재(32)가 피봉지부(310) 내에 배치된 경우, 돌출부(323)가 규제부(321)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포트(3)의 조립 시에, 빠짐 방지 부재(32)의 표리를 확인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피끼워맞춤부(312)는, 외벽부(310a)의 내주면에 형성된 오목부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끼워맞춤부(312)는, 피봉지부(310)(외벽부(310a))의 내주면에 형성된 볼록부라도 된다. 또한, 볼록부로 구성된 피끼워맞춤부(312)는, 외벽부(310a)의 내주면의 주위 방향 전체 주위에 연속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끼워맞춤부(322)는, 피끼워맞춤부(312)를 구성하는 볼록부를 끼워넣을 수 있는 오목부이면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지만, 피끼워맞춤부(312)가 피봉지부(310)(외벽부(310a))의 내주면에 형성된 오목부 또는 볼록부 중 어느 한쪽으로 구성되고, 또한 끼워맞춤부(322)가 오목부 또는 볼록부 중 어느 다른 쪽으로 구성되는 경우, 피끼워맞춤부(312) 또는 끼워맞춤부(322) 중 어느 한쪽을 구성하는 볼록부의 돌출량을 오목부의 오목량과 비교하여 많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볼록부가 상대방을 가압하므로, 피끼워맞춤부(312)와 끼워맞춤부(322)와의 압접력(壓接力)이 높아진다. 이로써, 빠짐 방지 부재(32)가 피봉지부(310)로부터 보다 빠지기 어렵게 된다.
또한, 피끼워맞춤부(312) 또는 끼워맞춤부(322) 중 어느 한쪽을 구성하는 볼록부와 피끼워맞춤부(312) 또는 끼워맞춤부(322) 중 어느 다른 쪽을 구성하는 오목부와의 끼워맞춤량(중첩량)이 가능한 한 많아지도록, 볼록부의 돌출량 및 오목부의 깊이가 설정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끼워맞춤부(322)와 피끼워맞춤부(312)가 확실하게 걸려서, 빠짐 방지 부재(32)가 피봉지부(310)로부터 보다 빠지기 어렵게 된다.
또한, 제3자에 의한 장난을 방지하기 위해, 포트(3)에 대하여, 빠짐 방지 부재(32)가 피봉지부(310)로부터 억지로 분리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구성이 부가 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트(3)는, 피봉지부(310)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피봉지부(310) 내에 배치된 빠짐 방지 부재(32) 중 적어도 일부를 일체화한 연결부(324)를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에, 빠짐 방지 부재(32) 및 포트 본체(31) 중 적어도 피봉지부(310)는, 용융한 상태에서 혼합되는 상용성(相溶性)이 있는 수지로 구성된다. 빠짐 방지 부재(32)는, 피봉지부(310)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피봉지부(310)의 내주면, 외주면, 또는 단면(端面) 중 어느 하나(도 13에 있어서는, 피봉지부(310)의 단면)와 동일 레벨이 되는 면을 가지는 피연결부(325)를 구비한다. 연결부(324)는, 피봉지부(310)의 내주면, 외주면, 또는 단면 중 어느 하나(도 13에 있어서는, 피봉지부(310)의 단면) 중 적어도 일부와, 이것과 동일 레벨에 있는 피연결부(325)의 면 중 적어도 일부가 용융 고화(固化)됨으로써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면, 피봉지부(310)와, 상기 피봉지부(310)에 끼워넣어진 빠짐 방지 부재(32)가 일체로 되므로, 빠짐 방지 부재(32)가 분리되는 것이 저지된다.
또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빠짐 방지 부재(32)는, 본체부(320)의 제1 면에서의 대향 영역과 규제부(321)가 형성되는 영역과의 경계에서 본체부(320)를 파단(破斷)시키기 위한 파단 예정부(326)를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에, 파단 예정부(326)는, 빠짐 방지 부재(32)의 본체부(320)에서의 다른 영역보다 취약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파단 예정부(326)는, 빠짐 방지 부재(32)의 본체부(320)에서의 다른 영역보다 얇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면, 악의가 있는 제3자가 빠짐 방지 부재(32)를 분리하려고 해도, 예를 들면, 돌출부(323)가 공구(예를 들면, 펜치)를 사용하여 외측으로 당겨지거나, 빠짐 방지 부재(32)의 본체부(320)의 내주측에 공구 등이 밀어 넣어져서, 빠짐 방지 부재(32)의 본체부(320)의 내주측에 힘이 가해진 경우, 빠짐 방지 부재(32)가 취약한 파단 예정부(326)에서 파단한다.
이와 같이, 빠짐 방지 부재(32)가 부분적으로 파단함으로써, 제3자의 장난의 흔적이 남으므로, 장난친 것으로 의심되는 약액 백(1)을 사전에 배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빠짐 방지 부재(32)는, 피봉지부(310)(외벽부(310a))를 따라 배치되는 연장부(327)로서, 빠짐 방지 부재(32)의 본체부(320)의 외주단부에 접속된 기단과 상기 기단의 반대측의 선단을 피봉지부(310)의 중심선 방향으로 가지고, 끼워맞춤부(322)가 선단에 접속된 연장부(327)를 구비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연장부(327)와 상기 연장부(327)의 선단에 접속된 끼워맞춤부(322)가, 봉지 마개(30)와 피봉지부(310)(외벽부(310a))에 끼워진 상태로 된다. 이로써, 끼워맞춤부(322)는, 피끼워맞춤부(312)로부터 탈락하는 방향(피봉지부(310)의 중심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악의가 있는 제3자가 빠짐 방지 부재(32)를 분리하려고 해도, 끼워맞춤부(322)가 피끼워맞춤부(312)로부터 빠지는 것이 저지된다.
즉, 악의가 있는 제3자가 빠짐 방지 부재(32)를 분리하려고 해도, 예를 들면, 빠짐 방지 부재(32)의 본체부(320)의 내주측이 공구를 사용하여 외측으로 당겨지거나, 빠짐 방지 부재(32)의 본체부(320)의 내주측에 공구 등이 밀어 넣어져서, 빠짐 방지 부재(32)의 본체부(320)의 내주측에 힘이 가해진 경우, 빠짐 방지 부재(32)의 본체부(320)의 외주단 근방이 작용점으로 되어, 연장부(327)의 선단에 접속된 끼워맞춤부(322)가 피끼워맞춤부(312)로부터 탈락하는 방향(피봉지부(310)의 중심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끼워맞춤부(322)는, 피끼워맞춤부(312)로부터 탈락하는 방향(피봉지부(310)의 중심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으므로, 끼워맞춤부(322)가 피끼워맞춤부(312)로부터 빠지는 것이 저지된다.
또한, 연장부(327)의 선단에 접속된 끼워맞춤부(322)는, 피봉지부(310)(외벽부(310a))의 제1 단과 제2 단의 사이의 위치로서, 빠짐 방지 부재(32)의 본체부(320)보다 피봉지부(310)의 제1 단 측의 위치에 배치된다. 즉, 끼워맞춤부(322)는, 피봉지부(310) 내의 안쪽의 위치에 배치된다. 이로써, 끼워맞춤부(322)에 대하여 직접 접근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빠짐 방지 부재(32)가 피봉지부(310)로부터 분리되는 것과 같은 제3자의 장난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빠짐 방지 부재(32)의 본체부(320)는, 외주 형상의 중심과 내주 형상의 중심이 일치한 원환형으로 형성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외주 형상의 중심과 내주 형상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는 환형으로 형성되거나, 외주 형상과 내주 형상이 이형(異形)의 환형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빠짐 방지 부재(32)의 본체부(320)는, 관통공을 구획한 환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빠짐 방지 부재(32)의 본체부(320)는, 관통공 대신에 절결부(切缺部)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즉, 빠짐 방지 부재(32)의 본체부(320)는, 봉지 마개(30)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침 삽통부(揷通部)로서, 봉지 마개(30)에 중공 침(N)이 접근 가능한 침 삽통부를 가지고 있으면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포트 본체(31)의 피끼워맞춤부(312)의 곡률이, 끼워맞춤부(322)의 외주면의 곡률보다 작게 설정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트 본체(31)의 피끼워맞춤부(312)의 곡률은, 끼워맞춤부(322)의 외주면의 곡률과 동일하거나 또는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빠짐 방지 부재(32)의 끼워맞춤부(322)의 주위 방향의 전체 주위가, 포트 본체(31)의 피끼워맞춤부(312)에 대하여 선 접촉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면 접촉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빠짐 방지 부재(32)의 끼워맞춤부(322)의 주위 방향의 복수 위치가, 포트 본체(31)의 피끼워맞춤부(312)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접촉해도 된다. 즉, 포트 본체(31)의 피끼워맞춤부(312) 및 빠짐 방지 부재(32)의 끼워맞춤부(322)는, 끼워맞추어진 상태에서,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둔 복수 위치(개소(箇所))와 서로 접촉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피끼워맞춤부(312) 및 끼워맞춤부(322)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한정되지 않는다. 피끼워맞춤부(312) 및 끼워맞춤부(322)는, 끼워맞추어진 상태에서 피봉지부(310)의 중심선 방향의 힘을 전달 가능하게 형성되면 된다. 즉, 피끼워맞춤부(312) 및 끼워맞춤부(322)가 서로 끼워맞춤 가능한 것을 조건으로, 피끼워맞춤부(312)가 피봉지부(310)의 제1 단 측을 향한 걸어맞춤면(평면 또는 곡면)을 가지고, 끼워맞춤부(322)가 피봉지부(310)의 제2 단 측을 향하고, 또한 피끼워맞춤부(312)에서의 걸어맞춤면(평면 또는 곡면)과 대향하는 걸어맞춤면(평면 또는 곡면)을 가지면 된다.
그리고, 상기한 각 부재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각종 공지의 재료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각 부재는, 사출 성형법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성형할 수 있다.
본원은, 일본 특허출원2014-256410호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인용에 의해 본원 명세서의 기재에 포함된다.
1…약액 백, 2…백 본체, 3…포트, 20…시트 부재, 21…실링부, 22…수용실, 22a…제1 수용실(공간), 22b…제2 수용실(공간), 23…약 실링부, 30…봉지 마개, 31…포트 본체, 32…빠짐 방지 부재, 300…홈부, 301…환형 오목부, 302…연장부, 303…환형 돌출부, 310…피봉지부, 310a…외벽부, 310b…연속부, 310c…지지부, 311…접속부, 312…피끼워맞춤부, 320…본체부, 321…규제부, 322…끼워맞춤부, 323…돌출부, 324…연결부, 325…피연결부, 326…파단 예정부, 327…연장부, N…중공 침, P…필 실링

Claims (6)

  1. 중공(中空) 침을 자통(刺通) 가능한 봉지(封止) 마개;
    상기 봉지 마개가 내부에 배치되는 중공의 포트 본체; 및
    상기 포트 본체에 장착되는 빠짐 방지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포트 본체는,
    제1 단(端)과 상기 제1 단의 반대측의 제2 단을 중심선 방향으로 가지는 통형(筒形)의 피봉지부(被封止部)로서, 상기 봉지 마개가 봉입(封入)되는 상기 피봉지부;
    상기 피봉지부의 상기 제1 단에 연결되는 통형의 접속부로서, 약액(藥液)이 충전(充塡)되는 백(bag) 본체에 외주(外周)가 접속되는 상기 접속부; 및
    상기 피봉지부의 내주면(內周面), 상기 피봉지부의 외주면(外周面), 또는 상기 피봉지부의 상기 제2 단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피(被)끼워맞춤부
    를 포함하고,
    상기 빠짐 방지 부재는,
    상기 피봉지부 내에서 상기 피봉지부의 상기 제1 단 측을 향하는 제1 면을 가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제1 면 상에 형성된 규제부로서, 상기 봉지 마개에서의 상기 피봉지부의 상기 제2 단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상기 규제부; 및
    상기 포트 본체의 상기 피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추어지는 끼워맞춤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피끼워맞춤부 및 상기 끼워맞춤부는, 서로 끼워맞추어진 상태에서 상기 피봉지부의 상기 중심선 방향의 힘을 전달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는,
    포트.
  2. 중공 침을 자통 가능한 봉지 마개;
    상기 봉지 마개가 내부에 배치되는 중공의 포트 본체; 및
    상기 포트 본체에 장착되는 빠짐 방지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포트 본체는,
    제1 단과 상기 제1 단의 반대측의 제2 단을 중심선 방향으로 가지는 통형의 피봉지부로서, 상기 봉지 마개가 봉입되는 상기 피봉지부;
    상기 피봉지부의 상기 제1 단에 연결되는 통형의 접속부로서, 약액이 충전되는 백 본체에 외주가 접속되는 상기 접속부; 및
    상기 피봉지부의 내주면, 상기 피봉지부의 외주면, 또는 상기 피봉지부의 상기 제2 단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피끼워맞춤부
    를 포함하고,
    상기 빠짐 방지 부재는,
    상기 피봉지부 내에서 상기 피봉지부의 상기 제1 단 측을 향하는 제1 면을 가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제1 면 상에 형성된 규제부로서, 상기 봉지 마개에서의 상기 피봉지부의 상기 제2 단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상기 규제부; 및
    상기 포트 본체의 상기 피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추어지는 끼워맞춤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피끼워맞춤부는, 상기 피봉지부의 상기 제1 단 측을 향하는 걸어맞춤면을 포함하고, 상기 끼워맞춤부는, 상기 피봉지부의 상기 제2 단 측을 향하고, 또한 상기 피끼워맞춤부에서의 상기 걸어맞춤면과 대향하는 걸어맞춤면을 포함하는,
    포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끼워맞춤부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 중 어느 한쪽이며, 상기 끼워맞춤부는, 상기 오목부 또는 상기 볼록부 중 어느 다른 쪽인, 포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빠짐 방지 부재의 상기 끼워맞춤부가, 상기 포트 본체의 상기 피끼워맞춤부의 일부에 대하여 상기 끼워맞춤부의 주위 방향의 전체 주위 또는 복수의 위치에 있어서 접촉하는, 포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마개는, 상기 빠짐 방지 부재와 대향하는 면 상에 형성된 홈부(溝部)를 가지고, 상기 빠짐 방지 부재의 상기 규제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홈부 내를 향해 돌출하는, 포트.
  6. 내부에 약액이 충전되는 백 본체, 및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포트의 접속부가 상기 백 본체에 접속되는, 약액 백.
KR1020177017331A 2014-12-18 2015-12-17 포트, 및 약액 백 KR1025593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56410 2014-12-18
JP2014256410 2014-12-18
PCT/JP2015/085333 WO2016098849A1 (ja) 2014-12-18 2015-12-17 ポート、及び薬液バッ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252A KR20170095252A (ko) 2017-08-22
KR102559338B1 true KR102559338B1 (ko) 2023-07-24

Family

ID=56126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7331A KR102559338B1 (ko) 2014-12-18 2015-12-17 포트, 및 약액 백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096863B2 (ko)
EP (1) EP3235488A4 (ko)
JP (2) JP6781632B2 (ko)
KR (1) KR102559338B1 (ko)
CN (2) CN107106408B (ko)
PH (1) PH12017501087A1 (ko)
SG (1) SG11201704851TA (ko)
TW (1) TWI706778B (ko)
WO (1) WO20160988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81632B2 (ja) * 2014-12-18 2020-11-11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ポート、及び薬液バッグ
EP3519315A1 (de) * 2016-09-28 2019-08-07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Verschlusskappe für ein behältnis zum aufnehmen einer medizinischen flüssigkeit
CN111867304A (zh) * 2020-08-26 2020-10-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电器主控盒、电器和电器安装方法
USD993407S1 (en) * 2021-08-09 2023-07-25 Ilc Dover Lp Flow por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0702A (ja) 2000-06-20 2002-01-08 Ajinomoto Faruma Kk 医療用液体を封入する樹脂製容器及びポート部材
US20050059952A1 (en) 2003-09-17 2005-03-17 Giuliano Amy S. I.V. solution bag with a needleless port
US20100094242A1 (en) 2007-02-23 2010-04-15 Fujio Inoue Port member for infusion solution bag, and infusion solution bag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7149A (en) * 1978-02-27 1980-02-05 Monsanto Company Cell culture sampling system
JPS6226922A (ja) * 1985-07-29 1987-02-04 Canon Inc タイミング発生装置
JPS62179944U (ko) 1986-05-02 1987-11-14
US4728324A (en) * 1986-10-15 1988-03-01 The Kendall Company Urine meter valve with tamper indicator
EP0681493B1 (en) * 1991-12-18 2000-06-28 ICU Medical, Inc. Medical valve
JP3004139B2 (ja) 1993-02-03 2000-01-31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医療用容器
US5403293A (en) * 1994-01-03 1995-04-04 Abbott Laboratories Molded partial pre-slit reseal
JP3193260B2 (ja) 1995-03-15 2001-07-30 川澄化学工業株式会社 医療容器用口部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US5676133A (en) * 1995-06-14 1997-10-14 Apotheus Laboratories, Inc. Expiratory scavenging method and apparatus and oxygen control system for post anesthesia care patients
JPH09108301A (ja) * 1995-10-16 1997-04-28 Material Eng Tech Lab Inc 医療用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238998A (ja) * 1996-03-05 1997-09-16 Daikyo Seiko:Kk 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128317A (ja) * 1997-08-25 1999-05-18 Otsuka Pharmaceut Factory Inc プラスチック製バッグの口部材
AU7720100A (en) * 1999-09-27 2001-04-30 Essex Technology, Inc. Rotate-to-advance catheterization system
US6918500B2 (en) * 2000-12-04 2005-07-19 Jms Co., Ltd. Plug body for medical fluid container
JP2003111819A (ja) 2001-07-30 2003-04-15 Otsuka Pharmaceut Factory Inc 封止体とそれを用いた薬液容器用キャップおよび薬液容器
US8540698B2 (en) * 2004-04-16 2013-09-24 Medrad, Inc. Fluid delivery system including a fluid path set and a check valve connector
US7611503B2 (en) * 2004-04-16 2009-11-03 Medrad, Inc. Fluid delivery system, fluid path set, sterile connector and improved drip chamber and pressure isolation mechanism
DE10223560B4 (de) 2002-05-27 2006-01-19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Konnektor für medizinische Flüssigkeiten enthaltende Verpackungen und Verpackung für medizinische Flüssigkeiten
US7112177B2 (en) * 2003-03-04 2006-09-26 Wolfe Tory Medical, Inc. Apparatus for monitoring intra-abdominal pressure
US20070255167A1 (en) * 2004-03-01 2007-11-01 Wolfe Tory Medical, Inc. Apparatus for monitoring intra-abdominal pressure
JP4581331B2 (ja) * 2003-03-25 2010-11-17 味の素株式会社 薬剤入り多室バッグ
JP4053454B2 (ja) * 2003-04-18 2008-02-27 フカイ工業株式会社 バッグ栓及び薬液バッグ
JP2005028040A (ja) * 2003-07-11 2005-02-03 Medicalseed:Kk 隔壁バッグ用封止栓
US7276047B2 (en) * 2003-12-23 2007-10-02 Cytyc Corporation Ductal lavage microcatheter with user activated valve and Nitinol introducer
US7488311B2 (en) * 2004-12-23 2009-02-10 Hospira, Inc. Port closure system for intravenous fluid container
US7780650B2 (en) * 2005-05-04 2010-08-24 Spirus Medical, Inc. Rotate-to-advance catheterization system
JP2007075406A (ja) * 2005-09-15 2007-03-29 Enomoto Co Ltd 医療用具
US7842010B2 (en) * 2005-12-05 2010-11-30 Medrad, Inc. Pneumatically-operated thrombectomy catheter deployment system
KR100725653B1 (ko) * 2006-06-07 2007-06-08 용 기 강 수액팩용 밀봉캡
EP2049194A1 (en) * 2006-08-11 2009-04-22 Nypro Inc. Medical valve with expandable member
CN102264433B (zh) * 2008-12-26 2013-12-25 尼普洛株式会社 医用连接器
JP6016024B2 (ja) 2011-01-25 2016-10-26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医療用投与セット
CA2837200C (en) * 2011-05-24 2020-07-07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Hemodialysis system
CN103251507A (zh) * 2012-02-20 2013-08-21 天长市永康科技有限公司 无落屑自闭合药用塑胶组合塞
JP2014036001A (ja) 2012-08-10 2014-02-24 Hitachi Vehicle Energy Ltd 電池ブロック及びそれを有する電池モジュール
EP2968715B1 (en) * 2013-03-15 2023-07-05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Blood treatment systems
JP6781632B2 (ja) 2014-12-18 2020-11-11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ポート、及び薬液バッ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0702A (ja) 2000-06-20 2002-01-08 Ajinomoto Faruma Kk 医療用液体を封入する樹脂製容器及びポート部材
US20050059952A1 (en) 2003-09-17 2005-03-17 Giuliano Amy S. I.V. solution bag with a needleless port
US20100094242A1 (en) 2007-02-23 2010-04-15 Fujio Inoue Port member for infusion solution bag, and infusion solution b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1704851TA (en) 2017-07-28
CN113397972A (zh) 2021-09-17
JP2020146510A (ja) 2020-09-17
WO2016098849A1 (ja) 2016-06-23
US11096863B2 (en) 2021-08-24
TWI706778B (zh) 2020-10-11
US20170360656A1 (en) 2017-12-21
EP3235488A1 (en) 2017-10-25
JPWO2016098849A1 (ja) 2017-09-28
CN107106408A (zh) 2017-08-29
EP3235488A4 (en) 2018-08-22
CN107106408B (zh) 2021-07-09
JP7036352B2 (ja) 2022-03-15
JP6781632B2 (ja) 2020-11-11
TW201634033A (zh) 2016-10-01
KR20170095252A (ko) 2017-08-22
PH12017501087A1 (en) 201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9338B1 (ko) 포트, 및 약액 백
EP2455210B1 (en) Plastic cap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CN102256881B (zh) 药物容器的闭塞装置
JP2006521124A (ja) 医療用液体を収容するパック用のコネクタおよび医療用液体のパック
WO2012056958A1 (ja) 医療用キャ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25095B1 (ko) 포트의 제조 방법, 및 약액백의 제조 방법
JP2016504126A (ja) 医薬品容器用の上蓋
CA2956332A1 (en) Container having a head piece, which container can be or is filled with a medium
KR102515690B1 (ko) 의료용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용의 밀봉 캡
JP6257995B2 (ja) 医療用キャ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004094A (ja) 医療用キャ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40124201A1 (en) Cap for closing a container for administering a medica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H07479A (ja) 輸液瓶
CN111050726B (zh) 医疗用帽盖及其制造方法
JP5804613B2 (ja) 医療用キャ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5924767B2 (ja) 医療用キャ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