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7436B1 - 성형 용기용 적층체, 성형 용기 및 포장체 - Google Patents

성형 용기용 적층체, 성형 용기 및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7436B1
KR102547436B1 KR1020190026354A KR20190026354A KR102547436B1 KR 102547436 B1 KR102547436 B1 KR 102547436B1 KR 1020190026354 A KR1020190026354 A KR 1020190026354A KR 20190026354 A KR20190026354 A KR 20190026354A KR 102547436 B1 KR102547436 B1 KR 102547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sin film
container
molding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8491A (ko
Inventor
타다시 나에무라
마코토 카라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레조낙·패키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레조낙·패키징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레조낙·패키징
Publication of KR20190108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12Mechanical treatment, e.g. roughening, deforming,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6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metal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5Prin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과제]
금속박층 및 외측 수지 필름층을 구비한 적층체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용기로서, 외관이 양호한 매트조의 외표면을 갖는 것을 염가로 제공한다.
[해결 수단]
성형 용기용 적층체(10)는 매트조의 외표면층(120)을 구성하는 외측 수지 필름층(12, 12A)이, 폴리올레핀 수지와 올레핀계 일래스토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인플레이션 필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성형 용기용 적층체, 성형 용기 및 포장체{RAMINATE FOR MOLDED CONTAINER, MOLDED CONTAINER AND PACKAGE}
본 발명은, 식품 등을 밀봉 포장하기 위한 성형 용기의 재료로서 사용되는 적층체, 동 적층체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성형 용기, 및 내용물이 충전된 동 성형 용기에 덮개를 붙여서 이루어지는 포장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트조(調)의 외표면을 갖는 성형 용기용 적층체, 성형 용기 및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양갱, 젤리, 이유식, 간호용 식품 등을 장기 보존 가능하게 포장하기 위한 용기로서, 알루미늄박 등으로 이루어지는 금속박층과, 금속박층의 양면 중 용기의 외측이 되는 면에 적층되어 있는 단층 또는 복수층의 외측 수지 필름층을 구비한 적층체를, 컵형상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성형 용기가 알려져 있다(하기한 특허 문헌 1 등 참조).
여기서, 포장 분야에서는, 외관에 고급감을 주기 위해, 매트조(무광택(艶沼し))의 외표면을 갖는 용기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하기한 특허 문헌 2에는, 엠보스 가공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을 사용함에 의해, 매트조의 외표면을 갖는 문구용 파일 등을 제작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한 특허 문헌 3에는, 최외층에 매트조의 외표면을 갖는 하드 코트층을 형성한 성형용 하드 코트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하기한 특허 문헌 4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및 일래스토머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표면이 무광택 상태의 폴리프로필렌계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개평6-345123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국 특개평5-320376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국 특개2011-148301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국 특개평2-92944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 특허 문헌 2와 같은 엠보스 가공 필름에 의해 외측 수지 필름층이 구성된 적층체를 컵형상으로 성형하면, 성형시에 엠보스 가공 필름이 늘려져서 매트조의 외표면에 얼룩이 생겨, 외관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엠보스 가공 필름을 사용하면, 비용이 불어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3과 같은 매트조의 코트층을 갖는 필름에 의해 외측 수지 필름층이 구성된 적층체를 컵형상으로 성형한 경우, 코트층에 크랙이 발생하는, 또는, 코트층이 벗겨진다는 문제가 있다. 더하여, 매트조의 코트층을 형성하는 경우도, 비용이 불어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4와 같은 무광택 상태의 시트로 표면층이 구성된 적층체를 컵형상으로 성형한 경우,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대한 폴리에틸렌 수지 및 일래스토머의 상용성(相溶性)이 낮기 때문에, 성형체의 표면에 백화(白化)가 생긴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금속박층 및 외측 수지 필름층을 구비한 적층체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용기로서, 외관이 양호한 매트조의 외표면을 갖는 것을 염가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하의 양태로 이루어진다.
1) 금속박층과, 상기 금속박층의 양면 중 용기의 외측이 되는 면에 적층되어 매트조의 외표면층을 구성하고 있는 외측 수지 필름층을 구비하고 있는 성형 용기용 적층체로서,
상기 외측 수지 필름층이, 폴리올레핀 수지와 올레핀계 일래스토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인플레이션 필름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성형 용기용 적층체.
2) 상기 금속박층과 상기 외측 수지 필름층 사이에 인쇄층이 형성되든지, 또는, 상기 외측 수지 필름층에 착색 성분이 첨가됨에 의해, 상기 외측 수지 필름층의 표면에 소정의 표시 또는 장식이 나타나 있는, 상기 1)의 성형 용기용 적층 재료.
3) 상기 금속박층의 양면 중 용기의 외측이 되는 면에 복수층의 외측 수지 필름층이 적층되어 있고, 상기 복수층의 외측 수지 필름층 중 가장 외측의 것에 의해, 상기 외표면층이 구성되어 있는, 상기 1) 또는 2)의 성형 용기용 적층 재료.
4) 상기 1)∼3)의 어느 하나의 성형 용기용 적층체를 컵형상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지고, 개구 주연에 플랜지를 갖고 있는, 성형 용기.
5) 내용물이 충전된 상기 4)의 성형 용기의 플랜지에, 성형 용기의 개구를 덮도록 덮개가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포장체.
상기 특허 문헌 4 기재의 무광택 상태의 시트를 용기로 성형한 경우,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과 일래스토머와의 계면에 보이드(공극)가 생겨서, 수지와 보이드의 굴절율의 차이에 의해, 용기의 외표면, 특히, 성형시의 연전률(延展率)이 높은 용기의 저벽과 주벽(周壁) 사이의 코너 부분에서, 백화 현상이 나타난다. 이와 같은 백화 현상은, 특히 접합된 필름의 흐름 방향인 종방향(M방향)으로 연신한 코너부에서, 보다 현저하게 나타난다.
이에 대해, 상기 1)의 성형 용기용 적층체에서는, 매트조의 외표면층이 폴리올레핀 수지와 올레핀계 일래스토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인플레이션 필름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필름의 흐름 방향인 종방향(M방향), 및 필름의 흐름 방향과 직교하는 횡방향(T방향)에서의 올레핀계 일래스토머의 변형의 치우침(偏り)이 적기 때문에, 적층체를 성형할 때에, 응력에 의해 폴리올레핀 수지상(樹脂相)과 일래스토머 성분과의 계면이 박리하여 보이드(공극)가 발생하는 것이 억제되고, 그에 의해 백화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1)의 적층체인 경우, 엠보스 가공 필름에 의해 외측 수지 필름층의 외표면이 구성된 적층체와 같이, 성형시에 늘려져서 외표면에 얼룩이 생기는 일이 없고, 또한, 매트조의 코트층을 갖는 필름에 의해 외측 수지 필름층의 외표면이 구성된 적층체와 같이, 코트층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코트층이 벗겨지거나 하는 일도 없는데다가, 비용도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1)의 성형 용기용 적층체에 의하면, 외관이 양호한 매트조의 외표면을 갖는 성형 용기가 염가로 얻어진다.
상기 2)의 성형 용기용 적층체에 의하면, 금속박층과 외측 수지 필름층 사이에 인쇄층이 형성되든지, 또는, 외측 수지 필름층에 착색 성분이 첨가됨에 의해, 외표면층의 표면에 소정의 표시 또는 장식이 나타나 있기 때문에, 동 적층체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성형 용기가 보다 우수한 외관의 것으로 된다.
상기 3)의 성형 용기용 적층체에 의하면, 상기 1)의 적층체에 관해 상술(上述)한 여러 효과를 보다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4)의 성형 용기에 의하면, 외관이 양호한 매트조의 외표면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고급감을 갖게 할 수 있다.
상기 5)의 포장체에 의하면, 생산성이 양호하고, 비용을 억제할 수 있는데다가, 성형시의 백화가 억제되어 외관이 양호한 매트조의 외표면을 갖는 용기에 의해, 고급감을 갖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성형 용기용 적층체의 2개의 양태의 층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포장체의 제조 방법을 공정 순서로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
도 3은 동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포장체의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 1∼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성형 용기용 적층체의 층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적층체(10)는, 금속박층(11)과, 금속박층(11)의 양면 중 용기(2)의 외측이 되는 면에 적층되어 있는 외측 수지 필름층(12), (12A)(12B)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의 적층체(10)는, 금속박층(11)의 양면 중 용기(2)의 내측이 되는 면에 적층되어 있는 내측 수지층(13)을 구비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말하면, 도 1(a)에 도시하는 적층체(10)에서는, 외측 수지 필름층(12)이 단층 구조이고, 동 층(12)에 의해 적층체(10)의 매트조의 외표면층(120)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b)에 도시하는 적층체(10)에서는, 외측 수지 필름층이, 적층체(10)의 매트조의 외표면층(120)을 구성하는 제1 외측 수지 필름층(12A)과, 제1 외측 수지 필름층(12A)과 금속박층(11) 사이에 개재된 제2 외측 수지 필름층(12B)으로 이루어지는 2층 구조이다.
금속박층(11)은, 성형 용기용 적층체(10)에 대해, 산소나 수분의 침입을 저지하는 배리어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금속박층(11)를 구성하는 금속박으로서는, 알루미늄박, 철박, 스테인리스강박, 구리박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알맞게는 알루미늄박이 사용된다. 알루미늄박인 경우, 순알루미늄박, 알루미늄 합금박의 어느 것이라도 좋고, 또한, 연질, 경질의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예를 들면, 철의 함유량이 0.3∼1.5질량%인 JIS H4160로 분류되는 A8000계(특히, A8079H나 A8021H)의 소둔처리 완료의 연질재(O재)라면, 성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금속박층(11)의 편면 또는 양면에는, 필요에 응하여, 화성처리 등의 하지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탈지 처리를 행한 금속박의 표면에,
1) 인산과,
크롬산과,
불화물의 금속염 및 불화물의 비금속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수용액
2) 인산과,
아크릴계 수지, 키토산 유도체 수지 및 페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와,
크롬산 및 크롬(Ⅲ)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수용액
3) 인산과,
아크릴계 수지, 키토산 유도체 수지 및 페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와,
크롬산 및 크롬(Ⅲ)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과,
불화물의 금속염 및 불화물의 비금속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수용액
상기 1)∼3) 중의 어느 하나의 수용액을 도공(塗工)한 후, 건조함에 의해, 화성처리를 시행하여, 피막을 형성한다.
상기 화성처리에 의해 금속박층(11) 표면에 형성된 피막은, 크롬 부착량(편면당)을 0.1㎎/㎡∼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2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박층(11)의 두께는, 30∼2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0∼150㎛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로 함에 의해, 충분한 배리어성과 성형 가공성을 얻을 수 있다.
외측 수지 필름층(12), (12A)(12B)은, 성형 용기(1)의 외표면에 매트조의 의장성을 갖게 함과 함께, 성형 용기용 적층체(10)에 디프드로잉 성형성(成形)이나 장출(張出) 성형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매트조의 외표면층(120)을 구성하는 외측 수지 필름층(12) 또는 제1 외측 수지 필름층(12A)은, 폴리올레핀 수지와 올레핀계 일래스토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인플레이션 필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층(12), (12A)에 의해 구성된 외표면층(120)은, 그 외표면(120a)의 광택도(그로스값)가 0.5∼30%(바람직하게는 0.5∼10%)로 되어 있다. 여기서, 「광택도」는, JIS Z8741-1997(경면 광택도-측정 방법, 방법 3(입사각도 60도))에 준거하여 측정된 광택도(그로스값)이다.
상기한 수지 조성물에서,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블록 폴리프로필렌 수지(PP-B),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PP-H), 랜덤 폴리프로필렌 수지(PP-R),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HDPE),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L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LDPE)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올레핀계 일래스토머로서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EPR), 에틸렌-부텐 공중합체(EBR), 에틸렌-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EPBR)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 이외의 모노머에 관해서는, 함유량이 5∼40질량%이고, 융점이 90℃ 미만이 된다.
또한, 외표면층(120)은, 융점이 135℃ 이상의 폴리올레핀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외표면층(120)에는, 성형 용기(2)의 외표면의 광택도를 조정하기 위해, 필요에 응하여, 무기계나 유기계의 미립자를 첨가하여도 좋다. 무기계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카, 규산알루미늄, 황산바륨 등을 들 수 있다. 유기계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비즈, 폴리스티렌 수지 비즈 등을 들 수 있다.
외측 수지 필름층이 복수층(12A)(12B)인 경우, 최외층 이외의 층(12B)은, 폴리프로필렌 수지(PP), 폴리에틸렌 수지(PE)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나일론 6(PA6), 나일론 66(PA66), MXD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수지(P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PEN)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PEs) 등으로 이루어진다.
외측 수지 필름층(12), (12A)(12B)의 두께(2층 이상인 경우는 합계 두께)는, 5∼1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80㎛가 보다 바람직하다.
외측 수지 필름층(12)에는, 적당한 깊이의 성형 용기(2)를 얻기 위해, 슬립제를 첨가하여도 좋다. 슬립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루카산아마이드, 스테아린산아마이드, 올레인산아마이드 등의 지방산아마이드, 크리스탈린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등의 왁스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슬립제의 첨가에 대신하여 또는 그에 더하여, 성형시에 적층체(10)의 표면에 실리콘 오일, 유채유 등의 윤활 오일을 도포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한 성형 용기용 적층체(10)에서는, 외측 수지 필름층(12), (12A)(12B)을 구성하는 필름으로서, 폴리올레핀 수지와 올레핀계 일래스토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을 인플레이션법에 의해 성형한 인플레이션 필름이 사용된다. 상기한 인플레이션 필름에서는, 필름의 흐름 방향인 종방향(M방향), 및 필름의 흐름 방향과 직교하는 횡방향(T방향)에서의 올레핀계 일래스토머의 변형의 치우침이 적은 것이다. 그때문에, 적층체(10)를 성형할 때에, 응력에 의해 폴리올레핀 수지상과 일래스토머 성분과의 계면이 박리하여 보이드(공극)가 발생하는 것이 억제되어, 수지와 보이드의 굴절율의 차이에 의한 투명성의 악화, 즉, 백화 현상이 방지된다.
금속박층(11)과 외측 수지 필름층(12)의 적층은, 예를 들면, 접착제층(14)을 통하여, 드라이 래미네이트법에 의해 행하여진다. 접착제층(14)으로는, 예를 들면, 2액 경화형의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수지계 접착제나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 수지계 접착제가 사용된다. 접착제층(14)의 두께는, 1∼5㎛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성형 용기용 적층체(10)의 박막화나 경량화의 관점에서 1∼3㎛로 설정된다.
외측 수지 필름층(12) 또는 제2 외측 수지 필름층(12B)의 내표면에는, 그라비어 인쇄 등에 의해, 인쇄층(15)이 전면적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인쇄층(15)에 의해, 성형 용기(2)의 외표면에, 소정의 표시 또는 장식이 나타난다. 인쇄층(15)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매트조의 외표면(120a)를 강조하여 고급감을 주는 의미에서는, 바탕색을 흑(黑) 등의 농색(濃色)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쇄층(15)에 대신하여, 외측 수지 필름층(12), (12A)(12B)에 안료 등의 착색 성분을 첨가하여도 좋다.
내측 수지층(13)은, 용기(2)의 내면(플랜지부(23)의 상면을 포함한다)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열융착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PP) 필름이나 폴리에틸렌 수지(PE) 필름 등의 범용성 필름, 또는, 이들을 접합한 복합 시트에 의해 구성된다.
내측 수지층(13)을 구성하는 필름 또는 복합 시트의 두께는, 100∼5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0∼400㎛가 보다 바람직하다.
금속박층(11)과 내측 수지층(13)을 구성하는 필름 또는 복합 시트와의 적층은, 예를 들면, 접착제층(16)를 통하여 드라이 래미네이트법에 의해 행하여진다. 접착제층(16)으로는, 예를 들면, 2액 경화형의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수지계 접착제나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 수지계 접착제가 사용된다. 접착제층(16)의 두께는, 1∼5㎛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성형 용기용 적층체(10)의 박막화나 경량화의 관점에서 1∼3㎛로 설정된다.
또한, 내측 수지층(13)은, 상기 필름 또는 복합 시트에 대신하여, 에폭시 수지나 셸락 수지 등의 코트층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2는, 상기 적층체(10)로 성형된 성형 용기(2)와, 덮개(3)를 이용하여, 식품 등의 내용물(C)를 밀봉 포장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체(4)의 제조 방법을 공정 순서로 도시한 것이다.
우선, 상기한 적층체(10)를 소정의 형상 및 치수로 커트하여, 이것을 컵형상으로 성형한다. 적층체(10)의 성형은, 디프드로잉 성형이나 장출 성형 등의 냉간 성형에 의해 행하여진다. 이렇게 하여,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성형 용기(2)가 얻어진다.
성형 용기(2)는, 저벽(21)과, 저벽(21)의 주연에서 세워진 주벽(22)과, 주벽(22)의 상단연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으로 늘어난 수평 환형상의 플랜지(23)를 구비하고 있다.
성형 용기(2)의 형상으로서는, 원형, 타원형, 장원형, 개략 정방형, 개략 장방형 등의 횡단면을 가지며, 상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로 지름이 커지는 테이퍼 통형상의 것이나, 수직 통형상의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성형 용기(2)의 깊이는, 통상 15∼50㎜가 된다.
상기한 적층체(10)로 형성된 성형 용기(2)의 외표면에는, 백화는 거의 보여지지 않는다. 이것은, 적층체(10)의 외표면층(120)을 구성하는 외측 수지 필름층(12) 또는 제1 외측 수지 필름층(12A)을 상기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인플레이션 필름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성형시의 응력에 의해 올레핀계 수지상과 일래스토머 성분과의 계면이 박리하여 보이드(공극)가 발생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되기 때문이다.
뒤이어,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성형 용기(2)에 식품 등의 내용물(C)를 충전한 후, 성형 용기(2)의 플랜지(23)의 상면에, 덮개(3)의 하면의 주연부를 열융착한다.
여기서, 덮개(3)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박 등으로 이루어지는 금속박층과, 폴리프로필렌 수지(PP) 필름이나 폴리에틸렌 수지(PE)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금속박층의 하면에 적층되어 있는 열융착성 수지 필름층과, 폴리에스테르 수지(PEs) 필름이나 폴리아미드 수지(PA)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금속박층의 상면에 적층되어 있는 외측 수지 필름층을 구비한 것이 사용된다. 또한, 덮개(3)에는, 그 외주연의 일부에, 성형 용기(2)의 플랜지(23)보다도 외방으로 돌출하도록, 개봉용 탭(3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성형 용기(2)의 플랜지(23)에 덮개(3)를 열융착하는 수단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면 플랜지(23)의 상면에 덮개(3)의 하면 주연부를 포개고, 이들 포갠 부분을, 소정 온도(예를 들면 180℃ 정도)로 가열된 열판에 의해, 소정 압력을 가하면서 소정 시간 가열함에 의해 행하여진다.
뒤이어, 상기 공정에서 얻어진 포장체(4)를, 레토르트 살균 장치(5) 내에 도입하여, 레토르트 살균 처리를 행한다.
이 레토르트 살균 처리 공정은, 성형 용기(2)의 외표면의 일부에 생긴 백화를 소실시키기 위한 가열 처리 공정을 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적층체(10)를 컵형상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성형 용기(2)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적층체(10)의 외표면층(120)을 상기 인플레이션 필름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외표면에 백화가 생기는 것이 억제되고 있지만, 만일, 외표면의 일부, 특히, 성형에 의한 변형의 정도가 큰 저벽과 주벽과의 경계의 코너 부분 등에서, 올레핀계 수지의 매트릭스와 올레핀계 일래스토머와의 계면에 생성한 보이드(공극)에 의해, 약간의 백화가 생긴 경우라도, 이 가열 처리를 행함에 의해 백화를 완전히 소실시킬 수 있다.
이 공정에서의 포장체(4)의 가열 온도는, 적층체(10)의 외표면층(120), 즉, 단층의 외측 수지 필름층(12) 또는 복수층의 외측 수지 필름층 중 최외층의 것(도 1(b)인 경우, 제1 외측 수지 필름층(12A))의 수지의 연화점 이상의 온도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열 온도는, 상기 수지의 연화점 이상이면서 융해점 미만의 온도로 한다. 가열 온도를 상기 수지의 연화점 이상의 온도로 함으로써, 성형에 의한 적층체(10)의 뒤틀림(ひずみ)이 완화되고, 보이드가 매몰되기 쉬워진다. 또한, 가열 온도를 상기 수지의 융해점 미만의 온도로 함으로써, 가열 후도 성형 용기(2)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약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100∼180℃가 된다. 가열 시간은, 5분∼3 시간 정도가 된다.
또한, 가열 처리 공정은, 레토르트 살균 처리에 의하는 것 이외라도 물론 좋고, 예를 들면, 오븐에 의한 가열 처리나, 온수에의 침지 처리 등에 의해서도 행할 수 있다. 레토르트 살균 처리 이외의 가열 처리인 경우, 포장체(4)가 되기 전의 공정에서, 성형 용기(2)만을 가열 처리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3은, 레토르트 살균 처리 후의 포장체(4)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시한 포장체(4)은, 성형에 의한 백화가 보여지지 않고, 전체의 외관이 양호한 매트조의 외표면을 갖는 성형 용기(2)를 구비하는 것이고, 수요자에 대해 고급감을 갖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례]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례에 관해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례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례 1>
금속박층으로서, JIS H4160로 분류된 A8021H-O로 이루어지고, 양면에 폴리아크릴산, 3가 크롬 화합물, 물 및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화성처리액을 도포하고, 180℃로 건조를 행하여 편면당 크롬 부착량이 5㎎/㎡의 화성처리 피막을 형성한, 두께 120㎛의알루미늄박을 준비하였다.
외측 수지 필름층으로서, 두께 50㎛의 단층의 인플레이션 성형한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CPP)을 준비하였다. 상기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CPP)에는, 수지 조성물로서 블록 폴리프로필렌 수지(PP-B)에 에틸렌-부텐-1 공중합체 러버를 10질량% 첨가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필름의 인플레이션 성형은, 토미기계공업(주)제 40㎜φ 3종 3층 다층 공냉식 인플레이션 성형기(다이스 구경 : 100㎜φ, 립폭 : 1.5㎜)를 이용하여, 실린더 온도 : 230℃, 다이스 온도 : 220℃, 블로우비(比) 2.2, 필름 폭 350㎜(접은 지름), 필름 두께 50㎛로 조정하여 행하였다.
다음에,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의 편면의 전체에, 그라비어 인쇄기를 이용하여, 흑색 잉크(DIC그래픽스사제, 품명 : 파나시아CVL-SP 특묵805)에 의한 무지(無地)의 인쇄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내측 수지층으로서, 두께 300㎛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HDPE)과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PP)의 복합 시트(층비(層比) : 50㎛/250㎛)를 준비하였다.
그리고, 알루미늄박의 편면에,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CPP)을, 인쇄층이 내측이 되도록, 2액 경화형의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수지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드라이 래미네이트함과 함께, 알루미늄박 외면에, 상기 복합 시트를, 고밀도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측이 내측이 되도록, 2액 경화형의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수지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드라이 래미네이트하여, 40℃의 환경하에서 5일간 양생함에 의해, 성형 용기용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다음에, 상기한 성형 용기용 적층체를 소정의 형상 및 사이즈로 커트하여 이루어지는 블랭크의 양면에 미량의 실록산을 도포하여 두고 나서, 수형 및 암형으로 이루어지는 금형을 이용하여 디프드로잉 가공함에 의해, 플랜지를 갖는 환형 컵형상의 용기(저경(底徑) 52㎜φ, 개구경 65㎜φ, 높이 30㎜, 플랜지 폭 8㎜)를 제작하였다.
한편, JIS H4160로 분류된 A1N30H-O로 이루어지는 두께 20㎛의 알루미늄박의 편면에, 외측 수지층으로서 두께 12㎛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 필름을, 2액 경화형의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수지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드라이 래미네이트함과 함께, 알루미늄박 외면에, 열융착성 수지층으로서 두께 30㎛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LLDPE) 필름을 2액 경화형의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수지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드라이 래미네이트하고, 40℃의 환경하에서 5일간 양생함에 의해, 덮개용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적층체를 플랜지에 맞추어서 소요 형상 및 사이즈로 컷트함에 의해, 개봉용 탭 붙음의 덮개를 제작하였다.
상기한 용기에 70㎖의 물을 넣고 나서, 용기의 플랜지 상면에, 상기 덮개를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CPP)면이 접하도록 겹치고, 이들의 겹침면에, 200℃로 가열한 도너츠형상의 열판(외경 90㎜φ, 내경 74㎜φ)을, 150㎏f의 가압력으로 3초간 눌러댐에 의해, 히트 실(열융착)을 행하였다.
이렇게 하여, 실시례 1의 포장체를 얻었다.
<실시례 2>
성형 용기용 적층체의 외측 수지 필름층으로서, 블록 폴리프로필렌 수지(PP-B)에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EBR)를 10질량% 첨가한 수지 조성을 갖는 제1의 층(=외표면층)과, 랜덤 폴리프로필렌 수지(PP-R)를 성으로 하는 제2의 층(알루미늄박측)으로 이루어지는 2층 구조의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CPP)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포장체를 제작하고, 이것을 실시례 2로 하였다.
<비교례 1>
성형 용기용 적층체의 외측 수지 필름층으로서, T다이 성형한 단층의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CPP)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포장체를 제작하고, 이것을 비교례 1로 하였다.
그리고, 상기 필름의 T다이 성형은, 요시이철공제 25㎜φ 2종 2층 다층 T다이 성형기(다이스 폭 : 300㎜)를 이용하여, 실린더 온도 : 230℃, 다이스 온도 : 220℃, 필름 폭 250㎜, 필름 두께 50㎛로 조정하여 행하였다.
실시례 1, 2 및 비교례 1의 포장체에 관해, 용기의 외표면의 광택도를 광택도 측정기(BYK가드너사제 마이크로 트리 그로스 S)에 의해 측정한 바, 실시례 1에서는 5%, 실시례 2에서는 5%, 비교례 1에서는 6%이였다.
또한, 실시례 1, 2 및 비교례 1의 포장체의 성형 용기의 외관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비교례 1에서는, 성형 용기의 외표면 중 저벽과 주벽과의 경계의 코너 부분에 강한 백화가 보여졌다. 한편, 실시례 1, 2에서는, 성형 용기의 외표면에 백화는 보여지지 않았다.
본 발명은, 식품 등을 밀봉 포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관이 양호한 매트조의 외표면을 갖는 성형 용기 및 그 성형 재료가 되는 적층체에 관해,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2) : 성형 용기
(23) : 플랜지
(3) : 덮개
(4) : 포장체
(5) : 레토르트 살균 처리 장치
(10) : 성형 용기용 적층체
(11) : 금속박층
(12) : 외측 수지 필름층
(12A) : 제1 외측 수지 필름층
(12B) : 제2 외측 수지 필름층
(120) : 외표면층
(120a) : 외표면층의 표면
(15) : 인쇄층
(C) : 내용물

Claims (5)

  1. 식품을 포장하기 위한 성형 용기로서,
    금속박층과, 상기 금속박층의 양면 중 용기의 외측이 되는 면에 적층되어 매트조의 외표면층을 구성하고 있는 외측 수지 필름층을 구비하고 있는 성형 용기용 적층제를 컵형상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지고, 개구 주연에 플랜지를 갖고 있고,
    상기 외측 수지 필름층이, 폴리올레핀 수지와 올레핀계 일래스토머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인플레이션 필름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 수지 필름층에 의해 구성되는 외표면의 광택도가 0.5∼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박층과 상기 외측 수지 필름층 사이에 인쇄층이 형성되든지, 또는, 상기 외측 수지 필름층에 착색 성분이 첨가됨에 의해, 상기 외측 수지 필름층의 표면에 소정의 표시 또는 장식이 나타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박층의 양면 중 용기의 외측이 되는 면에 복수층의 외측 수지 필름층이 적층되어 있고, 상기 복수층의 외측 수지 필름층 중 가장 외측의 것에 의해, 상기 외표면층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용기.
  4. 내용물이 충전된 제1항에 기재된 성형 용기의 플랜지에, 성형 용기의 개구를 덮도록 덮개가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5. 삭제
KR1020190026354A 2018-03-14 2019-03-07 성형 용기용 적층체, 성형 용기 및 포장체 KR1025474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47047 2018-03-14
JP2018047047 2018-03-14
JPJP-P-2019-019327 2019-02-06
JP2019019327A JP2019162863A (ja) 2018-03-14 2019-02-06 成形容器用積層体、成形容器および包装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491A KR20190108491A (ko) 2019-09-24
KR102547436B1 true KR102547436B1 (ko) 2023-06-26

Family

ID=68064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354A KR102547436B1 (ko) 2018-03-14 2019-03-07 성형 용기용 적층체, 성형 용기 및 포장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9162863A (ko)
KR (1) KR102547436B1 (ko)
CN (1) CN110271237B (ko)
TW (1) TWI761661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45737A (ja) * 2016-12-09 2017-03-02 油化電子株式会社 電池外装用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88743A (ja) * 1987-05-20 1988-11-25 Showa Alum Corp 成形容器
JP2575709B2 (ja) * 1987-06-02 1997-01-29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易開封性密封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116318B2 (ja) 1988-09-30 1995-12-13 新神戸電機株式会社 艶消しポリプロピレン系シート
JP3175306B2 (ja) 1992-05-26 2001-06-11 チッソ株式会社 艶消し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3100274B2 (ja) * 1993-09-27 2000-10-16 株式会社細川洋行 蒸着ラミネートフイルム
JP2866916B2 (ja) 1993-06-11 1999-03-08 昭和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ハイバリアー成形容器
JP3489170B2 (ja) * 1994-01-12 2004-01-19 東洋製罐株式会社 内容物を直視出来る殺菌包装カップ
JP3386878B2 (ja) * 1994-02-24 2003-03-17 三菱化学株式会社 マット調無延伸フィルム用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SE504634C2 (sv) * 1995-07-03 1997-03-24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ätt att framställa förpackningslaminat med barriäregenskaper
DE19915314A1 (de) * 1999-04-03 2000-10-05 Alkor Gmbh Verbundwerkstoff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2002321324A (ja) * 2001-04-26 2002-11-05 Toyobo Co Ltd 金属貼り合わせ用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4031951B2 (ja) * 2001-05-17 2008-01-09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塗装代替用積層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塗装代替用積層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を含む積層体
JP2003105164A (ja) * 2001-09-28 2003-04-09 Showa Denko Plastic Products Co Ltd 樹脂組成物、それからなるフィルム及び包装容器
JP2004027212A (ja) * 2002-05-10 2004-01-29 Sunallomer Ltd キャス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キャストフィルムからなる容器
JP2004058503A (ja) * 2002-07-30 2004-02-26 Dainippon Ink & Chem Inc マット調積層フィルム
US7604869B2 (en) * 2003-12-05 2009-10-20 Mitsui Chemicals, Inc. Olefinic thermoplastic elastomer laminate
CN2706426Y (zh) * 2004-05-17 2005-06-29 吴伟东 一种容器
US20080038544A1 (en) * 2004-10-22 2008-02-14 Mitsubishi Rayon Co., Ltd. Matt Acrylic Resin Filmy Product For Thermoforming,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and Laminates Comprising the Product
JP2011148301A (ja) 2009-12-22 2011-08-04 Toyobo Co Ltd 成型用マット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5458991B2 (ja) * 2010-03-17 2014-04-02 Dic株式会社 マット調積層フィルム及び該フィルムからなる包装材
CN103665540B (zh) * 2013-11-04 2016-08-17 惠州新大都合成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消光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WO2015119964A1 (en) * 2014-02-10 2015-08-13 Jindal Films Americas Llc Multilayer film structures
JP6279973B2 (ja) * 2014-05-16 2018-02-14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成形用包装材及び成形ケース
KR102468967B1 (ko) * 2015-06-01 2022-11-22 쇼와 덴코 패키징 가부시키가이샤 용기 및 포장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45737A (ja) * 2016-12-09 2017-03-02 油化電子株式会社 電池外装用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38375A (zh) 2019-10-01
TWI761661B (zh) 2022-04-21
KR20190108491A (ko) 2019-09-24
CN110271237B (zh) 2022-04-01
JP2019162863A (ja) 2019-09-26
CN110271237A (zh) 201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99516A (zh) 容器用层叠片材及容器
JP6389076B2 (ja) 食品用容器の製造方法
KR102547436B1 (ko) 성형 용기용 적층체, 성형 용기 및 포장체
JP7250482B2 (ja) 成形容器用積層体、成形容器および包装体、ならびに成形容器および包装体の製造方法
EP2145759A1 (en) Laminate and container made of the laminate by deep-drawing
TWI770360B (zh) 用於成形容器的積層體、成形容器及包裝體
JP7493075B2 (ja) 成形容器および包装体
KR102500877B1 (ko) 성형 용기용 적층체, 성형 용기 및 포장체
US20190315097A1 (en) Deep-drawable film
KR102519756B1 (ko) 성형 용기용 적층체, 성형 용기 및 포장체
CN110524976B (zh) 成型容器用层叠体、成型容器及包装体
CA3107242A1 (en) Cardboard container laminated with a rigid thermoplastic film
WO2023127621A1 (ja) 成形容器
JP7344640B2 (ja) 容器用蓋材および包装体
WO2016207826A2 (en) Tub-like container for the containment and packaging of food, made of multilayer sheet material and related method
WO2010006709A1 (en) Laminate and container made of the laminate by deep-draw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