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5755B1 -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5755B1
KR102545755B1 KR1020227035162A KR20227035162A KR102545755B1 KR 102545755 B1 KR102545755 B1 KR 102545755B1 KR 1020227035162 A KR1020227035162 A KR 1020227035162A KR 20227035162 A KR20227035162 A KR 20227035162A KR 102545755 B1 KR102545755 B1 KR 102545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ion
acrylate
ion battery
aqueous binder
battery pos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5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3771A (ko
Inventor
펑루이 바이
치앙 리
허빈 루어
Original Assignee
푸지엔 블루 오션 앤 블랙 스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푸지엔 블루 오션 앤 블랙 스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푸지엔 블루 오션 앤 블랙 스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237018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064B1/ko
Publication of KR20220143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3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2Emulsion polymerisation
    • C08F2/24Emulsion polymerisation with the aid of emulsify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2Emulsion polymerisation
    • C08F2/24Emulsion polymerisation with the aid of emulsifying agents
    • C08F2/26Emulsion polymerisation with the aid of emulsifying agents anio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4C4-(meth)acrylate, e.g. 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or tert-but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28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08F220/281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and containing only one oxygen, e.g. furfuryl (meth)acrylate or 2-methoxy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42Nitriles
    • C08F220/44Acrylonitri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52Amides or imides
    • C08F2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08F220/56Acrylamide; Methacryl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04Azo-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28Oxygen or compounds releasing free oxygen
    • C08F4/32Organic compounds
    • C08F4/34Per-compounds with one peroxy-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8/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 C08F218/02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F218/04Vinyl esters
    • C08F218/10Vinyl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ree or mor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52Amides or imides
    • C08F2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08F220/58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namido oxygen, e.g. N-methylolacrylamide, N-(meth)acryloylmorpholine
    • C08F220/585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namido oxygen, e.g. N-methylolacrylamide, N-(meth)acryloylmorpholine and containing other heteroatoms, e.g. 2-acrylamido-2-methylpropane sulfonic acid [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8Positive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 리튬 이온 전지 양극의 적층 밀도가 상당히 낮고, 건조 후 쉽게 부서지며, 유연성이 떨어지고, 제품 수율과 생산효율이 낮은 기술문제 등을 해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의 제조 방법은 물을 분산 매질로 삼아 아크릴레이트(acrylate) 단량체, 양친매성 반응형 유화제, 고분자 사슬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특수 작용기를 가진 기능성 단량체 및 개시제를 첨가해 균일하게 교반하고, 승온시켜 중합반응을 개시해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를 수득한다.

Description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 및 그의 제조 방법 {AQUEOUS BINDER OF LITHIUM ION BATTERY ANOD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리튬 이온 전지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에너지 프로젝트는 신흥 산업 중 하나로서 국가의 에너지 절약 및 오염 저감과 지속 가능한 발전이라는 정책 방침에 부합하며, 산업 구조의 조정과 모델 전환에 상당한 도움이 된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신에너지 산업에서 아주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이며, 에너지 밀도가 높고 수명이 길며 부피가 작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안전성이 높고 환경오염이 없다는 장점 등이 있어 전기차, 항공우주, 통신 설비 및 각종 휴대 전자제품에 광범위하게 이미 응용되고 있으며 21세기에 전망이 가장 밝은 이상적인 에너지원으로 부상했다.
리튬 이온 전지는 통상적으로 전기 활성 물질, 도전제와 바인더 용액을 균일하게 혼합 연마해 슬러리로 만든 후 집전장치인 동박 또는 알루미늄박 상에 도포하며 건조, 압밀 다짐 등 공정 처리를 거쳐 제작된다. 여기에서 리튬 이온 전지 바인더는 리튬 이온 전지 제조 과정에서 필수불가결한 원료 중 하나로서 양극, 음극 전기 활성 재료와 도전제를 집전장치 상에 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리튬 이온 전지 양극 바인더는 주로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하나는 유기 용매를 분산제로 채택하는 유성 바인더로 현재 비교적 광범위하게 응용되는 것은 플루오로폴리머(fluoropolymer) 바인더이다. 예를 들어 N-메틸피롤리돈(N-methylpyrrolidone, NMP)를 용매로 한 폴리비닐 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가 있는데, 상기 바인더는 유기 용매 용량이 크고 제작과정에서 휘발되기 쉬워 환경을 오염시키는 동시에 작업자의 건강에도 비교적 큰 위해를 가할 뿐만 아니라 플루오로폴리머 및 그 용매는 가격이 비싸 생산원가가 높다. 또한 상기 PVDF 바인더는 충방전 순환 특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더 있다. 다른 하나는 물을 분산제로 채택하는 수성 바인더로 현재 중국 발명특허 CN201410731027.8에서 비교적 이상적인 리튬 이온 전지 수성 바인더를 공개하였는데, SBS에 친유성 단량체와 친수성 단량체 및 개시제를 점적하고 유성 수성 단량체를 적합한 화합반응을 통해 SBS 고분자 세그먼트 상에 그라프팅시킨다. 상기 바인더는 리튬 이온 전지 양극을 제작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전극 재료에 우수한 부착 및 분산 성능을 부여해 준다. 그러나 상기 바인더는 리튬 이온 전지 양극 극편 제작 시 적층 밀도가 상당히 낮고 건조 후 극편이 비교적 쉽게 부서지며 건조 과정에서 쉽게 끝이 말리고 균열이 생기기 쉬워 제품 수율과 공장의 생산효율을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 리튬 이온 전지 양극의 적층 밀도가 상당히 낮고 건조 후 쉽게 부서지며 유연성이 떨어지고 제품 수율과 생산효율이 낮은 기술문제 등을 해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의 제조 방법은 물을 분산 매질로 삼아 아크릴레이트(acrylate) 단량체, 양친매성 반응형 유화제, 고분자 사슬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특수 작용기를 가진 기능성 단량체 및 개시제를 첨가해 균일하게 교반하고, 승온시켜 중합반응을 개시해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를 수득한다.
여기에서, 상기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타크릴산메틸(methyl methacrylate), 메틸 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에틸 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ydroxyethyl acrylate),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아크릴산(acrylic acid),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아크릴아미드(acrylamide), 이타콘산(itaconic acid), 메타크릴산, 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hydroxypropyl acrylate) 또는 옥틸 아크릴레이트(octyl acr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여기에서, 양친매성 반응형 유화제는 아크릴아미도 이소프로필 소듐 설포네이트(acrylamido isopropyl sodium sulfonate), 알릴(allyl)을 함유한 특수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alcohol ether sulfate), 이중 결합을 가진 알코올 에테르 소듐 설포숙시네이트(alcohol ether sodium sulfosuccinate), 알릴옥시 하이드록시프로필 소듐 설포네이트(allyloxy hydroxypropyl sodium sulfonate) 또는 소듐 알킬아미드 비닐 설포네이트(sodium alkylamide vinyl sulfo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여기에서, 상기 고분자 사슬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특수 작용기를 가진 기능성 단량체는 옥타데실 아크릴레이트(octadecyl acrylate), 옥틸 아크릴레이트(octyl acrylate), 라우레이트(laurate), 헵타데실 아크릴레이트(heptadecyl acrylate), 옥타데실 메타크릴레이트(octadecyl methacrylate), 사이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cyclohexyl acrylate), 비닐 버사테이트(vinyl versatate), 벤질 아크릴레이트(benzyl acrylate) 또는 퍼플루오로알킬 아크릴레이트(perfluoroalkyl acr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여기에서, 라우레이트는 예를 들어 라우릴 아크릴레이트(lauryl acrylate)이고, 퍼플루오로알킬 아크릴레이트는 예를 들어 퍼플루오로알킬 에틸 아크릴레이트(perfluoroalkylethyl acrylate) 등이다.
여기에서, 상기 개시제는 무기 과산화계 개시제, 아조계(azo) 개시제, 유기 과산화계 개시제, 수용성 산화환원 개시제 또는 유용성 산화환원 개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여기에서, 상기 개시제는 아조디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zobisisobutyronitrile), 과산화 벤조일(benzoyl peroxide), 과황산나트륨, 과황산암모늄, 과황산염 또는 아황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여기에서, 상기 기능성 단량체 용량은 단량체 총 용량의 5% 내지 40%를 차지하고/하거나, 상기 양친매성 반응형 유화제 용량은 총 중량의 0.1% 내지 8%를 차지하고; 상기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의 고체 함량은 10% 내지 25%이다.
여기에서, 상기 양친매성 반응형 유화제 용량은 총 중량의 0.5% 내지 2%를 차지한다.
여기에서, 반응 과정 중의 교반 속도는 200 내지 800rpm이고, 상기 개시의 온도는 40℃ 내지 90℃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는 앞서 언급한 어느 하나의 상기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의 제조 방법을 통해 만들며 그 고체 함량은 10% 내지 25%이고, 점도 범위는 800mPa.s 내지 20000mPa.s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단량체는 아크릴레이트류이며 아크릴레이트류를 형성할 때 “-OH”를 제공하는 일방에 7개 이상의 탄소 원자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실시방식에 있어서, “-OH”를 제공하는 일방에 7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단량체는 사이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또는 퍼플루오로알킬 에틸 아크릴레이트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실시방식에서 제안하는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는 유리 전이 온도가 0℃보다 낮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의 유리 전이 온도는 -9℃보다 낮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인더의 유리 전이 온도는 -14℃ 내지 -24℃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서 고분자 사슬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특수 작용기를 가진 기능성 단량체는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를 제조하는데 응용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구체적인 일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단량체는 아크릴레이트류이며 아크릴레이트류를 형성할 때 “-OH”를 제공하는 일방에 7개 이상의 탄소 원자가 포함되고, 바람직하게는 “-OH”를 제공하는 일방에 7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구체적인 일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단량체는 사이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또는 퍼플루오로알킬 에틸 아크릴레이트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일측면에서,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의 제조 방법을 제안하며, 구체적으로 여기에는 제조 과정 중 고분자 사슬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특수 작용기를 가진 기능성 단량체를 첨가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의 제조 방법은 조작 방법이 간단하고 제조한 바인더의 유연성이 우수하며 점도가 적절하기 때문에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제작 시 양극 극편의 적층 밀도가 강화되고 극편이 평활하며 끝이 말리거나 분열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상기 극편으로 제조한 전지는 순환 성능이 우수하여 제품의 수율과 공장의 생산효율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1에서 제안하는 리튬 이온 양극 수성 바인더의 TGA 스펙트로그램이고;
도 2는 실시예 3에서 제안하는 리튬 이온 시험 전지의 충방전 순환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 1에서 제안하는 리튬 이온 양극 수성 바인더의 DSC 분석도이고; 및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 2에서 제안하는 리튬 이온 양극 수성 바인더의 DSC 분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 실시예의 도면을 통해 본 발명 실시예의 기술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모든 실시예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창조적인 노동력을 투입하지 않고 얻은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 일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물을 분산 매질로 삼아 일반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첨가하는 동시에 양친매성 반응형 유화제와 고분자 사슬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특수 작용기를 가진 기능성 단량체 및 개시제를 첨가한 후 교반한다. 개시제의 작용 하에서 개시 온도와 단량체의 첨가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중합반응을 개시하여 특수 기능성 단량체의 분자 중 배열 조합을 변경시켜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반응 과정 중 비교적 높은 혼합 상태로 회전 속도는 200 내지 800rpm을, 개시 온도는 40℃ 내지 90℃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일반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타크릴산메틸,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아미드, 이타콘산, 메타크릴산, 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또는 옥틸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양친매성 반응형 유화제는 공중합이 가능한 하나의 탄소 탄소 이중 결합을 포함하며, 분자의 일단은 비극성의 소수기(hydrophobic group)이고 분자의 타단은 극성 친수성의 친수기(hydrophilic group)이다. 이는 구체적으로 아크릴아미도 이소프로필 소듐 설포네이트, 알릴을 함유한 특수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예를 들어 NRS-10), 이중 결합을 가진 알코올 에테르 소듐 설포숙시네이트(예를 들어 NRS-138), 알릴옥시 하이드록시프로필 소듐 설포네이트 또는 소듐 알킬아미드 비닐 설포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양친매성 반응형 유화제의 용량은 총 중량의 0.1% 내지 8%를 차지한다.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양친매성 반응형 유화제의 용량은 총 중량의 0.5% 내지 2%를 차지한다.
본 발명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사슬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특수 작용기를 가진 기능성 단량체는 주쇄(main chain)에 하나의 중합 가능한 탄소 탄소 이중 결합을 포함하며 하나 또는 복수개의 비교적 긴 알킬기 측쇄를 포함하거나 또는 특수 구조의 기능 단량체(예를 들어 트리 구조(tree structure) 등 특수한 유연성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 이는 구체적으로 옥타데실 아크릴레이트, 옥틸 아크릴레이트, 라우레이트, 헵타데실 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 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비닐 버사테이트, 벤질 아크릴레이트 또는 퍼플루오로알킬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기능성 단량체는 단량체 총 중량의 5% 내지 40%를 차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시제는 무기 과산화계 개시제, 아조계 개시제, 유기 과산화계 개시제, 수용성 산화환원 개시제 또는 유용성 산화환원 개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이는 구체적으로 아조디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과산화 벤조일, 과황산나트륨, 과황산암모늄, 과황산염 또는 아황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를 더 제안하며, 상기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는 앞서 언급한 어느 하나의 상기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의 제조 방법을 통해 만들며 그 고체 함량은 10 내지 25%이고 점도 범위는 800mPa.s 내지 20000mPa.s이다.
본 발명 중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에 적용하는 양극 전기 활성 재료는 LiFePO4, LiCoO2, LiNiO2, LiMn2O4 및 그의 다양한 혼합물 등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리튬 이온 전지 양극 극편을 더 제안하며, 상기의 수성 바인더를 사용하여 양극 활성 물질을 혼합해 슬러리를 제조한 후 집전장치 상에 도포하여 건조시키는데, 여기에서 슬러리 중 수성 바인더의 함량은 1% 내지 8%이고,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의 제조 방법은 조작 단계가 간단하고, 본 방법으로 제조한 바인더의 유연성이 우수하며 점도가 적절하기 때문에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제작 시 양극 극편의 적층 밀도가 강화되고 극편이 평활하며 끝이 말리거나 분열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상기 극편으로 제조한 전지는 순환 성능이 우수하여 제품의 수율과 공장의 생산효율이 향상된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의 제조 방법 및 본 방법으로 제조한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 아크릴아미도 이소프로필 소듐 설포네이트, 라우레이트와 과황산나트륨을 양친매성 반응형 유화제로 채택하고, 고분자 사슬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특수 작용기를 가진 기능성 단량체 및 개시제를 채택하고, 아크릴산, 아크릴아미드 및 아크릴산부틸의 혼합물을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 채택하며, 전체 제조 과정에서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양친매성 반응형 유화제 및 기능성 단량체의 비율은 19:0.1:1이다.
구체적으로는 이하 단계를 통해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의 용액을 제조한다. 먼저 중량을 계산해 순서대로 반응기에 첨가한다. 즉 320중량부의 물, 0.4중량부의 아크릴아미도 이소프로필 소듐 설포네이트, 25중량부의 아크릴산, 15중량부의 아크릴아미드, 36중량부의 아크릴산부틸 및 4중량부의 라우레이트를 400rpm 회전 속도 조건 하에서 교반하여 혼합한다. 온도가 82℃까지 올라가면 과황산나트륨을 첨가하여 중합반응을 개시하며 반응시간은 40분이다. 그 후 회전속도를 550rpm까지 올리고 82℃ 개시 조건을 유지하며 보온 시간은 3시간으로 한다. 다시 약염기 조절 바인더를 첨가해 중성으로 조절하고(여기에서 약염기 조절 바인더는 암모니아수,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등 염기성 물질), 30분간 보온한 후 온도를 떨어뜨려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 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수성 바인더는 유연성이 우수하며 DSC 분석 결과는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조한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의 유리 전이 온도는 -20.7℃로 정상적인 사용 온도보다 낮기 때문에 사용 과정에서 바인더의 유연성을 보장해 준다. 상기 바인더는 점도가 1500mPa.s로 적합하다. 상기 바인더의 TGA 스펙트로그램은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으며, 스펙트로그램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수성 바인더는 열안정성이 탁월하며 분해온도가 350℃보다 높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과황산나트륨을 개시제로 여전히 채택하기는 하나 다른 점은 알릴옥시 하이드록시프로필 소듐 설포네이트와 veova10(비닐 버사테이트)를 양친매성 반응형 유화제로 채택하고, 고분자 사슬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특수 작용기를 가진 기능성 단량체 및 개시제를 채택하고, 아크릴산, 아크릴아미드, 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에틸 및 이타콘산의 혼합물을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 채택하고, 여기에서 이타콘산과 일부 아크릴산은 중합반응 개시 시간 구간에 일부 물과 함께 첨가한다. 전체 제조 과정에서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양친매성 반응형 유화제 및 기능성 단량체의 비율은 17:0.25:2.5이다.
구체적으로 이하 단계에 따라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의 용액을 제조한다. 먼저 중량을 계산해 순서대로 반응기에 첨가한다. 즉 260중량부의 물, 1중량부의 알릴옥시 하이드록시프로필 소듐 설포네이트, 10중량부의 아크릴산, 12중량부의 아크릴아미드, 30중량부의 아크릴산부틸 및 4중량부의 아크릴산에틸, 및 10중량부의 veova10을 200rpm 회전 속도 조건 하에서 교반하여 혼합한다. 온도가 82℃까지 올라가면 과황산나트륨을 첨가하여 중합반응을 개시하며 반응시간은 20분이다. 그 후 회전속도를 300rpm까지 올리고 8중량부의 아크릴산, 4중량부의 이타콘산 및 60중량부의 물을 첨가하고 86℃ 반응 조건을 유지하며 보온 시간은 4시간으로 한다. 다시 약염기 조절 바인더를 첨가해 중성으로 조절하고(여기에서 약염기 조절 바인더는 암모니아수,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등 염기성 물질), 30분간 보온한 후 온도를 떨어뜨려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 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수성 바인더는 점도가 4000mPa.s이며 고체 함량은 20%이고 기계 안정성이 우수하다.
DSC 분석 결과는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조한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의 유리 전이 온도는 -18.9℃로 정상적인 사용 온도보다 낮기 때문에 사용 과정에서 바인더의 유연성을 보장해 준다.
실시예 3
망간+삼성분계를 양극 전기 활성 재료로 삼고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수성 바인더 용액을 채택하여 양극 슬러리를 제조한다. 전체 양극 슬러리 중 재료의 배합비는 수성 바인더 2.0%, 양극 재료 95%, 도전제 S-P 3%이다.
상기에서 제조한 양극 슬러리의 고체 함량은 70%, 점도는 8000mPa.s이다. 상기 슬러리는 요변성이 우수하며 도포 과정에 18m의 건조 채널을 채택하고 여기에서 건조 채널 온도는 90℃-110℃-120℃-100℃-90℃로 설정하며 8m/min의 속도로 도포한다. 상기 슬러리로 제조한 양극 극편은 평활하며 끝이 말리거나 균열이 일어나지 않고 적층밀도가 높고 극편의 수율 역시 높은 장점이 있다.
상기 양극 극편을 망간산 리튬(BN-M01) 활성 물질에 매칭시켜 리튬 이온 시험 전지를 조립하여 응용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도 2는 상기 리튬 이온 시험 전지의 충방전 순환도를 도시한 것이며, 여기에서 세로 좌표는 용량 유지량이고 가로 좌표는 충반전 순환 횟수(회)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시험 전지의 첫 회 충전 용량은 90%보다 커 발휘되는 용량이 우수하고 방전 곡선 플랫폼이 안정적이다. 1c 순환 200회를 채택한 후 전지 용량이 기본적으로 떨어지지 않았고 500주기 순환 후에도 전지 용량 유지율이 현저하게 떨어지지 않고 기본적으로 90% 이상을 유지하였으며 용량 감소가 적었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아크릴아미도 이소프로필 소듐 설포네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와 과황산나트륨을 양친매성 반응형 유화제로 채택하고, 고분자 사슬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특수 작용기를 가진 기능성 단량체 및 개시제를 채택하고, 아크릴산, 아크릴아미드 및 아크릴산부틸의 혼합물을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 채택한다. 전체 제조 과정에서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양친매성 반응형 유화제 및 기능성 단량체의 비율은 19:0.15:1이다.
구체적으로 이하 단계에 따라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의 용액을 제조한다. 먼저 중량을 계산해 순서대로 반응기에 첨가한다. 즉 320중량부의 물, 0.4중량부의 아크릴아미도 이소프로필 소듐 설포네이트, 25중량부의 아크릴산, 15중량부의 아크릴아미드, 36중량부의 아크릴산부틸 및 6중량부의 라우릴 아크릴레이트를 400rpm 회전 속도 조건 하에서 교반하여 혼합한다. 온도가 82℃까지 올라가면 과황산나트륨을 첨가하여 중합반응을 개시하며 반응시간은 40분이다. 그 후 회전속도를 550rpm까지 올리고 82℃ 개시 조건을 유지하며 보온 시간은 3시간으로 한다. 다시 약염기 조절 바인더를 첨가해 중성으로 조절하고(여기에서 약염기 조절 바인더는 암모니아수,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등 염기성 물질), 30분간 보온한 후 온도를 떨어뜨려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 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수성 바인더의 DSC 분석 결과에 따르면, 유리 전이 온도는 -21.2℃로 정상적인 사용 온도보다 낮기 때문에 사용 과정에서 바인더의 유연성을 보장해 준다. 또한 상기 바인더는 점도가 2300mPa.s로 적절하며 분해 온도가 350℃보다 높다.
실시예 5
본 실시예에 있어서, 그 제조 방법은 실시예 4와 동일하나 다른 점은 각각 옥타데실 아크릴레이트, 옥틸 아크릴레이트, 헵타데실 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 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벤질 아크릴레이트 또는 퍼플루오로알킬 에틸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양친매성의 고분자 사슬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특수 작용기를 가진 기능성 단량체로 삼아 제조한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라는 것이며, DSC 분석에 따른 실험 결과는 표 1과 같다.
표 1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별 유리 전이 온도
Figure 112022106100613-pat00001
각각 옥타데실 아크릴레이트, 옥틸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헵타데실 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 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비닐 버사테이트, 벤질 아크릴레이트 또는 퍼플루오로알킬 에틸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양친매성의 고분자 사슬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특수 작용기를 가진 기능성 단량체로 삼았으며, 제조한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의 유리 전이 온도는 -9℃ 내지 -24℃이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정신과 원칙을 기반으로 진행한 임의 수정, 동등한 수준의 치환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속한다.

Claims (19)

  1.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물을 분산 매질로 삼아 아크릴레이트(acrylate) 단량체, 양친매성 반응형 유화제, 고분자 사슬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특수 작용기를 가진 기능성 단량체 및 개시제를 첨가해 균일하게 교반하고, 승온시켜 중합반응을 개시해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를 수득하고, 상기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의 유리 전이 온도는 -9℃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타크릴산메틸(methyl methacrylate), 메틸 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에틸 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ydroxyethyl acrylate),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아크릴산(acrylic acid),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아크릴아미드(acrylamide), 이타콘산(itaconic acid), 메타크릴산, 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hydroxypropyl acrylate) 또는 옥틸 아크릴레이트(octyl acr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친매성 반응형 유화제는 아크릴아미도 이소프로필 소듐 설포네이트(acrylamido isopropyl sodium sulfonate), 알릴(allyl)을 함유한 특수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alcohol ether sulfate), 이중 결합을 가진 알코올 에테르 소듐 설포숙시네이트(alcohol ether sodium sulfosuccinate), 알릴옥시 하이드록시프로필 소듐 설포네이트(allyloxy hydroxypropyl sodium sulfonate) 또는 소듐 알킬아미드 비닐 설포네이트(sodium alkylamide vinyl sulfo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사슬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특수 작용기를 가진 기능성 단량체는 옥타데실 아크릴레이트(octadecyl acrylate), 옥틸 아크릴레이트(octyl acrylate), 라우릴 아크릴레이트(lauryl acrylate), 헵타데실 아크릴레이트(heptadecyl acrylate), 옥타데실 메타크릴레이트(octadecyl methacrylate), 사이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cyclohexyl acrylate), 비닐 버사테이트(vinyl versatate), 벤질 아크릴레이트(benzyl acrylate) 또는 퍼플루오로알킬 아크릴레이트(perfluoroalkyl acr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퍼플루오로알킬 아크릴레이트가 퍼플루오로알킬 에틸 아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제는 무기 과산화계 개시제, 아조계(azo) 개시제, 유기 과산화계 개시제, 수용성 산화환원 개시제 또는 유용성 산화환원 개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제는 아조디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zobisisobutyronitrile), 과산화 벤조일(benzoyl peroxide), 과황산나트륨, 과황산암모늄, 과황산염 또는 아황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의 제조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단량체 용량은 단량체 총 용량의 5% 내지 40%를 차지하고/하거나, 상기 양친매성 반응형 유화제 용량은 총 중량의 0.1% 내지 8%를 차지하고; 상기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의 고체 함량은 10% 내지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양친매성 반응형 유화제 용량은 총 중량의 0.5% 내지 2%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의 제조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반응 과정 중의 교반 속도는 200 내지 800rpm이고, 상기 개시의 온도는 40℃ 내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의 제조 방법.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의 제조 방법을 통해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의 고체 함량은 10% 내지 25%이고, 점도 범위는 800mPa.s 내지 20000mPa.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227035162A 2017-02-08 2018-02-08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545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18515A KR102618064B1 (ko) 2017-02-08 2018-02-08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068574.6 2017-02-08
CN201710068574.6A CN106833448B (zh) 2017-02-08 2017-02-08 一种锂离子电池正极水性粘合剂及其制备方法
PCT/CN2018/075839 WO2018145646A1 (zh) 2017-02-08 2018-02-08 一种锂离子电池正极水性粘合剂及其制备方法
KR1020217038691A KR102455079B1 (ko) 2017-02-08 2018-02-08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 및 그의 제조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8691A Division KR102455079B1 (ko) 2017-02-08 2018-02-08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 및 그의 제조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8515A Division KR102618064B1 (ko) 2017-02-08 2018-02-08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771A KR20220143771A (ko) 2022-10-25
KR102545755B1 true KR102545755B1 (ko) 2023-06-22

Family

ID=59122562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0148A KR20230163001A (ko) 2017-02-08 2018-02-08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197024344A KR102508553B1 (ko) 2017-02-08 2018-02-08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237018515A KR102618064B1 (ko) 2017-02-08 2018-02-08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227035162A KR102545755B1 (ko) 2017-02-08 2018-02-08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217038691A KR102455079B1 (ko) 2017-02-08 2018-02-08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0148A KR20230163001A (ko) 2017-02-08 2018-02-08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197024344A KR102508553B1 (ko) 2017-02-08 2018-02-08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237018515A KR102618064B1 (ko) 2017-02-08 2018-02-08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8691A KR102455079B1 (ko) 2017-02-08 2018-02-08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3581596B1 (ko)
JP (1) JP6826339B2 (ko)
KR (5) KR20230163001A (ko)
CN (1) CN106833448B (ko)
ES (1) ES2900366T3 (ko)
HU (1) HUE057114T2 (ko)
PL (1) PL3581596T3 (ko)
WO (1) WO20181456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33448B (zh) * 2017-02-08 2019-02-15 北京蓝海黑石科技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正极水性粘合剂及其制备方法
CN109957360B (zh) * 2017-12-22 2020-09-1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水性粘结剂及二次电池
CN110218285B (zh) * 2019-05-09 2021-09-07 福建蓝海黑石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水性粘合剂及其制备方法
CN110627945B (zh) * 2019-10-31 2021-11-30 湖南高瑞电源材料有限公司 一种长链不饱和羧酸或其衍生物改性的丙烯酸酯粘合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087518B (zh) * 2019-11-29 2022-03-11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一种水性粘结剂及其制备方法和锂离子电池
CN110982008B (zh) * 2019-12-30 2022-01-07 浙江研一新能源科技有限公司 锂离子电池负极水性粘结剂
CN111057184B (zh) * 2019-12-30 2022-02-25 宣城研一新能源科技有限公司 负极极片水性粘结剂的制备方法
CN111500228B (zh) * 2020-01-21 2021-03-16 四川茵地乐科技有限公司 电池用粘合剂、锂离子电池负极片以及锂离子电池
WO2021253302A1 (en) * 2020-06-17 2021-12-23 Guangdong Haozhi Technology Co. Limited Conductive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CN112467142A (zh) * 2020-11-25 2021-03-09 湖南高瑞电源材料有限公司 一种水溶液型磷酸铁锂正极粘合剂、制备方法及其应用
CN113372482A (zh) * 2021-08-16 2021-09-10 江苏卓高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丙烯酸多元共聚物及其制备方法及其在正极极片中的应用
CN114752012A (zh) * 2022-05-07 2022-07-15 佛山市瑞纳新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正极导电银浆的聚丙烯酸酯树脂及其制备方法
WO2024011371A1 (zh) * 2022-07-11 2024-01-18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正极极片的粘结剂及其合成方法、以及包含其的正极极片、二次电池及用电装置
CN115304974A (zh) * 2022-08-16 2022-11-08 苏州德比电子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水性耐水型阳极功能涂层粘结剂及其制备方法及应用
CN116003676B (zh) * 2022-12-23 2023-12-05 楚能新能源股份有限公司 分散剂、其制备方法及含有该分散剂的正极浆料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76284A (zh) * 2016-02-18 2016-05-11 福建蓝海黑石科技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负极水性粘合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4063B1 (ko) * 2003-06-03 2006-1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산제가 화학결합된 전극용 복합 바인더 중합체
JP5359074B2 (ja) * 2008-07-11 2013-12-04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水系炭素材料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電池用組成物
JP5449327B2 (ja) * 2009-04-03 2014-03-19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電極用バインダー組成物
WO2012011696A2 (ko) * 2010-07-22 2012-01-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력이 우수한 이차전지용 바인더
KR101326070B1 (ko) * 2010-10-15 2013-1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력 및 인장강도가 우수한 이차전지용 바인더
CN102746813A (zh) * 2012-07-03 2012-10-24 张倩 锂离子电池用水性粘合剂的制备方法
JP6191471B2 (ja) * 2013-01-28 2017-09-06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バインダー組成物、その製造方法、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スラリー組成物、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電極、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5673987B1 (ja) * 2013-03-27 2015-02-18 Jsr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用バインダー組成物
JP6384476B2 (ja) * 2013-05-14 2018-09-0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バインダー組成物、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スラリー組成物、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電極、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並びに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バインダー組成物の製造方法
EP3116054A4 (en) * 2014-03-04 2017-10-11 Osaka Soda Co. Ltd. Binder for battery electrodes, and electrode and battery using same
CN104356979B (zh) * 2014-10-28 2017-02-15 深圳市贝特瑞新能源材料股份有限公司 用于锂离子电池电极材料的聚丙烯酸酯类水性粘结剂、制备方法及锂离子电池极片
CN104882612B (zh) * 2015-04-07 2018-02-13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粘结剂及应用该粘结剂的锂离子电池
CN105514486A (zh) * 2015-12-29 2016-04-20 东莞新能源科技有限公司 粘结剂及其锂离子电池
CN106833448B (zh) * 2017-02-08 2019-02-15 北京蓝海黑石科技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正极水性粘合剂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76284A (zh) * 2016-02-18 2016-05-11 福建蓝海黑石科技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负极水性粘合剂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07911A (ja) 2020-03-12
KR20190117547A (ko) 2019-10-16
KR102455079B1 (ko) 2022-10-17
CN106833448B (zh) 2019-02-15
KR20210147110A (ko) 2021-12-06
EP3581596B1 (en) 2021-09-29
KR102618064B1 (ko) 2023-12-27
CN106833448A (zh) 2017-06-13
KR102508553B1 (ko) 2023-03-10
JP6826339B2 (ja) 2021-02-03
KR20220143771A (ko) 2022-10-25
KR20230163001A (ko) 2023-11-29
ES2900366T3 (es) 2022-03-16
WO2018145646A1 (zh) 2018-08-16
HUE057114T2 (hu) 2022-04-28
EP3581596A1 (en) 2019-12-18
KR20230083342A (ko) 2023-06-09
EP3581596A4 (en) 2019-12-18
PL3581596T3 (pl) 2022-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5755B1 (ko) 리튬 이온 전지 양극 수성 바인더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1057184B (zh) 负极极片水性粘结剂的制备方法
CN107652390B (zh) 聚合乳液、制备方法及制备的水性粘合剂、方法及应用
CN106848270B (zh) 负极补锂浆料、负极及锂二次电池
CN105514488A (zh) 一种粘结剂及其锂离子电池
CN108336402B (zh) 一种陶瓷基复合固态电解质及其制备方法
CN104882612A (zh) 一种粘结剂及应用该粘结剂的锂离子电池
CN111533851A (zh) 一种聚合物电解质的制备方法及其在全固态电池中的应用
CN107325225B (zh) 锂离子电池负极水性粘合剂及其制备方法
CN106784842A (zh) 一种锂电池水性环保粘结剂的制备方法
CN114736632A (zh) 一种丙烯腈粘结剂粉体及其制备方法
CN109935830B (zh) 一种基于改性明胶粘结剂的锂离子电池硅碳负极极片的制备方法
CN108538633B (zh) 一种新型超级电容器用高电导率聚合离子液体电解质
CN115911386A (zh) 自交联锂离子电池正极水性粘合剂及其制备方法
CN112909252B (zh) 聚合物粘结剂及其制备和应用
JP4543442B2 (ja) ポリマー粒子、ポリマー分散組成物、電池電極用スラリー、電極及び電池
CN108767259B (zh) 一种用于锂离子电池的水性粘结剂及其制备方法
CN112820937B (zh) 固体电解质及其制备方法、高镍三元全固态电池
CN114920873A (zh) 一种锂离子电池隔膜用聚合物微球及其制备方法
CN114231193A (zh) 一种pvdf胶膜及其制备方法
CN116462800B (zh) 一种铝箔涂碳浆料用聚丙烯酸粘结剂的制备方法及粘结剂
CN103872305B (zh) 聚电解质包覆Li4Ti5O12负极材料的制备方法
CN118027859A (en)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of lithium ion battery negative electrode binder
CN116904147A (zh) 一种改性粘结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7866577A (zh) 一种用于锂离子电池的阻燃水性粘合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