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570B1 - 음향 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음향 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570B1
KR102533570B1 KR1020217039208A KR20217039208A KR102533570B1 KR 102533570 B1 KR102533570 B1 KR 102533570B1 KR 1020217039208 A KR1020217039208 A KR 1020217039208A KR 20217039208 A KR20217039208 A KR 20217039208A KR 102533570 B1 KR102533570 B1 KR 102533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frequency
acoustic
low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9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7908A (ko
Inventor
레이 장
준지앙 푸
빙얀 얀
펑윈 랴오
신 기
Original Assignee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17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2Interface to dedicated audio devices, e.g. audio drivers, interface to CODE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38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using band spreading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04M1/035Improv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by means of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housing, e.g. ribs, walls, resonating chambers or cav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6Supports for loudspeaker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25Accumulators or arrangements for char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4Structural combinations of separate transducers or of two parts of the same transducer and responsive respectively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4Structural combinations of separate transducers or of two parts of the same transducer and responsive respectively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04R1/245Structural combinations of separate transducers or of two parts of the same transducer and responsive respectively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of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6Spatial arrangements of separate transducers responsive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3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1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38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ndpass type
    • H04R1/2842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ndpass type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53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using an acoustic labyrinth or a transmission line
    • H04R1/285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using an acoustic labyrinth or a transmission line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69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 H04R1/2892Mountings or supports for transducers
    • H04R1/2896Mountings or supports for transducer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 H04R1/347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for obtaining a phase-shift between the front and back acoustic w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8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in which sound waves act upon both sides of a diaphragm and incorporating acoustic phase-shifting means, e.g. pressure-gradient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44Special adaptations for subaqueous use, e.g. for hyd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preventing acoustic reaction, i.e. acoustic oscillatory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04R3/14Cross-ove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2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to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H04S7/303Tracking of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H04S7/304F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6Hearing ai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 G10L21/0216Noise filter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estimating noise
    • G10L2021/02161Number of inputs available containing the signal or the noise to be suppressed
    • G10L2021/02166Microphone arrays; Beam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low-frequency speech signals proceed in one direction on the line, while speech signals proceeding in the other direction on the line are modulated on a high-frequency carrier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3Combination of monophonic or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audio players, e.g. integrated in the head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40Details of 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covered by H04R1/4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4012D or 3D arrays of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10/00Microphones
    • H04R2410/05Noise reduction with a separate noise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3Synergistic effects of band splitting and sub-band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20Processing of the output signals of the acoustic transducers of an array for obtaining a desired directivity characteristic
    • H04R2430/21Direction finding using differential microphone array [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20Processing of the output signals of the acoustic transducers of an array for obtaining a desired directivity characteristic
    • H04R2430/23Direction finding using a sum-delay beam-form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11Positioning of individual sound objects, e.g. moving airplane, within a sound fie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 음향 출력 장치는 적어도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sound guiding holes)로부터 사운드들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 음향 구동기, 적어도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로부터 사운드들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 음향 구동기, 및 지지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지지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 음향 구동기 및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 음향 구동기를 지지하고, 적어도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 및 적어도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이 사용자의 귀의 위치로부터 떨어져 위치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음향 출력 장치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19년 9월 19일에 출원된 중국 출원 번호 제201910888067.6호의 우선권, 2019년 9월 19일에 출원된 중국 출원 제201910888762.2호의 우선권, 및 2019년 4월 30일에 출원된 중국 출원 제 201910364346.2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음향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향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방형 바이노럴 음향 출력 장치는 사용자의 특정 범위 내에서 사운드 전도를 용이하게 하는 휴대용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이다. 기존의 인-이어 및 오버-이어 헤드폰들과 비교하여, 개방형 바이노럴 음향 출력 장치는 외이도를 막거나 덮지 않는 특성들을 가질 수 있어, 사용자들이 음악을 들으면서 주변 환경에서 사운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하여 안전성과 편안함을 향상시킨다. 개방형 구조의 사용으로 인해, 개방형 바이노럴 음향 출력 장치의 누설음(sound leakage)은 기존 헤드폰들의 누설음보다 심각할 수 있다. 현재 업계에서는 2개 또는 복수의 음원들을 사용하여 특정 음장을 구성하고 음압 분포를 조정하여 누설음을 감소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방법은 누설음을 어느 정도 감소시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지만 여전히 일정한 한계들이 있다. 예를 들어, 이 방법은 누설음을 억제하지만 사용자에게 보내는 사운드의 볼륨도 감소시킬 것이다. 또한, 이 방법은 상이한 주파수 사운드들의 파장이 다르기 때문에 고-주파 누설을 억제하는 효과가 약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청취 볼륨을 증가시키고 누설을 감소시키는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들 중 하나는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 음향 출력 장치는 적어도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sound guiding holes)로부터 사운드들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 음향 구동기; 적어도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로부터 사운드들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 음향 구동기; 및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 음향 구동기 및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 음향 구동기를 지지하고, 적어도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 및 적어도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이 사용자의 귀의 위치로부터 떨어져 위치되게 하도록 구성된 지지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저-주파 음향 구동기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들은 제 1 주파수 범위에 있고, 고-주파 음향 구동기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들은 제 2 주파수 범위에 있으며, 제 2 주파수 범위는 제 1 주파수 범위보다 높은 주파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주파수 범위는 650Hz보다 작은 주파수들을 포함하고, 제 2 주파수 범위는 1000Hz를 초과하는 주파수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주파수 범위와 제 2 주파수 범위는 중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 및 적어도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은 지지 구성요소 상에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들의 진폭비가 제 1 진폭비이고, 적어도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들의 진폭비가 제 2 진폭비이다. 제 1 진폭비는 제 2 진폭비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진폭비 및 제 2 진폭비는 1 내지 1.5의 범위 내에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 음향 구동기로부터 적어도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까지의 제 1 음향 경로는 음향 저항 재료를 포함한다. 음향 저항 재료는 음향 임피던스를 가지고 제 1 진폭비에 영향을 미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 음향 구동기로부터 적어도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까지의 제 2 음향 경로는 음향 저항 재료를 포함한다. 음향 저항 재료는 음향 임피던스를 가지고 제 2 진폭비에 영향을 미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 음향 구동기는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 음향 구동기의 제 1 전방 챔버 및 제 1 후방 챔버를 규정하는 제 1 하우징에 위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 음향 구동기의 제 1 전방 챔버는 적어도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 중 하나에 음향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 음향 구동기의 제 1 후방 챔버는 적어도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 중 다른 하나에 음향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 음향 구동기는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 음향 구동기의 제 2 전방 챔버 및 제 2 후방 챔버를 규정하는 제 2 하우징에 위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 음향 구동기의 제 2 전방 챔버는 적어도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 중 하나에 음향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 음향 구동기의 제 2 후방 챔버는 적어도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 중 다른 하나에 음향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 음향 구동기의 제 1 전방 챔버 및 제 1 후방 챔버는 상이한 음향 임피던스들을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 음향 구동기의 제 2 전방 챔버 및 제 2 후방 챔버는 상이한 음향 임피던스들을 가진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 음향 구동기의 제 1 전방 챔버 및 제 1 후방 챔버의 음향 임피던스 비가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 음향 구동기의 제 2 전방 챔버 및 제 2 후방 챔버의 음향 임피던스 비를 초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 음향 구동기의 제 1 전방 챔버 및 제 1 후방 챔버의 음향 임피던스 비가 0.8 내지 1.2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음향 경로는 사운드 안내 튜브, 사운드 공동(sound cavity), 공명 공동, 사운드 홀(sound hole), 사운드 슬릿(sound slit) 또는 튜닝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음향 경로에 대응하는 사운드 안내 튜브의 직경이 1.5mm보다 작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음향 경로에 대응하는 사운드 안내 튜브의 직경이 10mm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음향 출력 장치에서 사운드 안내 튜브의 길이가 100mm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들의 위상차가 제 1 위상차일 수 있고, 적어도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들의 위상차가 제 2 위상차일 수 있다. 제 1 위상차의 절대값이 제 2 위상차의 절대값보다 작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위상차의 절대값은 160도 내지 180도 범위 내에 있고, 제 2 위상차의 절대값은 170도 내지 180도 범위 내에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 음향 구동기는 상이한 사운드 통로들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로부터 사운드들을 출력하고,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 음향 구동기는 상이한 사운드 통로들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로부터 사운드들을 출력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에 음향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 음향 구동기의 사운드 통로들의 비가 0.5 내지 2의 범위에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은 상이한 크기들 또는 형상들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은 상이한 크기들 또는 형상들을 갖는다.
본 개시내용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관점에서 더 예시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러한 예들은 제한적이지 않다. 이러한 예들에서, 동일한 번호는 동일한 구조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이중-점음원(dual-point sound source)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일정 거리를 가진 이중-점음원과 주파수를 가진 단일 점음원의 청취음들(hearing sounds) 및 누설음들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a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2개의 점음원들의 진폭비에 따른 이중-점음원의 청취음 및 누설음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b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중-점음원의 2개의 점음원들 사이의 위상차에 따른 이중-점음원의 청취음 및 누설음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음향 출력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2개의 이중-점음원들을 도시한 개략도.
도 6a 및 도 6b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상이한 사운드 주파수들에 대한 사운드 안내 튜브의 파라미터 변화들을 나타내는 그래프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사운드 안내 튜브의 길이 및 직경에 대한 사운드 출력의 변화들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길이들이 상이한 사운드 안내 튜브에 의해 출력되는 사운드의 음압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2개의 이중-점음원들을 도시한 개략도.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2개의 이중-점음원들을 갖는 음향 출력 장치의 누설음들의 예시적인 그래프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의 사운드 안내 홀들을 갖는 휴대폰을 도시하는 개략도.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기술적 방안들을 예시하기 위하여, 실시예들의 설명에 언급된 도면들의 간략한 소개가 하기에 제공된다. 명백히, 하기에 설명된 도면들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 또는 실시예들에 불과하다. 당업자라면 추가적인 창의적 노력 없이 본 개시내용을 이러한 도면들에 따른 다른 유사한 시나리오들에 적용할 수 있다. 문맥상 명백히 입수되지 않거나 문맥상 달리 예시되지 않는 한, 도면들에서 동일한 번호는 동일한 구조 또는 동작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시스템(system)", "디바이스(device)", "유닛(unit)" 및/또는 "모듈(module)"은 상이한 레벨들의 상이한 구성요소들, 요소들, 부분들, 섹션들 또는 어셈블리를 오름차순으로 구별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다만, 다른 단어들이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그 단어는 다른 표현들로 대체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들("a", "an" 및 "the")은 내용이 달리 명백하게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 지시 대상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용어들 "포함하다("comprise" 및 "include")"은 명확하게 식별된 단계들 및 요소들을 포함하도록 촉구할 뿐이며 이러한 단계들 및 요소들은 배타적인 목록을 구성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들 또는 디바이스들은 다른 단계들 및 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된 흐름도들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시스템이 구현하는 동작들을 예시한다. 전술한 또는 다음에 나오는 동작들은 순서대로 정확하게 수행될 수 없음을 유념한다. 대신에, 단계들은 역순으로 또는 동시에 처리될 수 있다. 또한, 다른 동작들이 이러한 절차들에 추가될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들이 이러한 절차들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음향 출력 장치를 착용하는 경우, 음향 출력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의 적어도 한쪽에 사용자의 귀를 막지 않고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 상에 착용(예를 들어, 안경, 머리띠 또는 기타 구조적 수단으로 착용된 비-인-이어 개방형 헤드셋(non-in-ear open headset))하거나 사용자의 다른 신체 부위들(사용자의 목/어깨 영역과 같이) 상에 착용하거나 또는 다른 수단(사용자가 잡는 방식과 같이)에 의해 사용자의 귀 근처에 위치된다. 음향 출력 장치는 적어도 한 그룹의 고-주파 음향 구동기들 및 한 그룹의 저-주파 음향 구동기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그룹들의 음향 구동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그룹의 음향 구동기들은 특정 주파수 범위의 사운드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운드는 음향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2개의 사운드 안내 홀들을 통해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이중-점음원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음향 출력 장치 상의 사운드 안내 홀들의 설정이 음향 출력 장치 상의 음향 출력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더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사운드가 사운드 안내 홀들로부터 외부로 전파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 본 개시내용은 음향 출력 장치 상의 사운드 안내 홀들을 외부로 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한 음원들로서 설명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및 예시할 목적으로만, 음향 출력 장치 상의 사운드 안내 홀들의 크기들이 작을 때, 각 사운드 안내 홀은 대략적으로 점음원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음향 출력 장치 상에 제공되는 임의의 사운드 안내 홀은 음향 출력 장치 상의 단일 점음원으로 근사화될 수 있다. 단일 점음원에 의해 생성된 음장 압력
Figure 112021138553002-pct00001
는 다음 [수학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Figure 112021138553002-pct00002
여기서
Figure 112021138553002-pct00003
는 각주파수를 나타내고,
Figure 112021138553002-pct00004
은 공기밀도를 나타내고,
Figure 112021138553002-pct00005
은 목표점과 음원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고,
Figure 112021138553002-pct00006
은 음원의 체적 속도를 나타내고,
Figure 112021138553002-pct00007
는 파수를 나타낸다. 점음원의 음장의 음장 압력의 크기는 점음원까지의 거리에 반비례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사운드를 점음원으로 출력하기 위한 사운드 안내 홀이 본 개시내용의 원리 및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실제 응용들에서 사운드 안내 홀들의 형상 및 크기를 제한하지 않을 수 있음을 유념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운드 안내 홀의 면적이 큰 경우, 사운드 안내 홀은 또한 평면 음향 소스와 동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점음원은 진동면 및 사운드 방사면과 같은 다른 구조들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당업자라면, 창의적 활동 없이, 사운드 안내 홀들, 진동면들 및 음향 방사면들과 같은 구조들에 의해 생성된 사운드들이 본 개시내용에서 논의된 공간적 규모에서 점음원들과 동등할 수 있고, 일관된 사운드 전파 특성들 및 동일한 수학적 기술 방법을 가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창의적 활동 없이, 본 개시내용에서 기술한 "음향 구동기가 적어도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로부터 사운드를 출력한다(acoustic driver outputs sound from at least two first sound guiding holes)"는 것에 의해 달성되는 음향 효과가 다른 음향 구조들, 예를 들어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방사면으로부터 사운드를 출력하는 적어도 2개의 음향 구동기들(at least two acoustic drivers each of which outputs sound from at least one acoustic radiation surface)"에 의해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제 상황들에 따라, 조정 및 조합을 위하여 다른 음향 구조들이 선택될 수 있고, 동일한 음향 출력 효과도 달성될 수 있다. 표면 음원들과 같은 구조들로 사운드를 외부로 방사하는 원리는 점음원들의 원리와 유사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음향 출력 장치 상에는 동일한 음향 구동기에 대응하는 적어도 2개의 사운드 안내 홀들이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2개의 점음원들(또한 이중-점음원으로도 지칭됨)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주변 환경으로 전달되는 사운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편의상, 음향 출력 장치로부터 주변 환경으로 출력되는 사운드는 주변의 다른 사람들에게 들릴 수 있으므로 원-거리 누설로 지칭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로부터 음향 출력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귀들로 출력되는 사운드는 음향 출력 장치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짧기 때문에 근-거리 사운드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2개의 사운드 안내 홀들(즉, 이중-점음원)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들은 특정 위상차를 갖는다. 본 개시내용에서 2개의 사운드 안내 홀들로부터 출력되는 2개의 사운드들 사이의 위상차는 2개의 사운드 안내 홀들 사이의 위상차 또는 2개의 사운드 안내 홀들에 대응하는 2개의 점음원들 사이의 위상차, 또는 이중-점음원의 위상차로 지칭될 수 있음을 유념한다. 2개의 점음원들의 위치, 진폭 및 위상차가 일정 조건들을 만족할 때, 음향 출력 장치는 근-거리(예를 들어, 사용자의 귀 위치)와 원-거리에서 상이한 사운드 효과들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사운드 안내 홀들에 대응하는 점음원들의 위상들이 반대인 경우, 즉 2개의 점음원들 사이의 위상차의 절대값이 180도일 수 있는 경우, 역위상 소거의 원리에 따라 원-거리 누설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점음원에 의해 생성되는 음장에서의 음압
Figure 112021138553002-pct00008
는 다음 [수학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Figure 112021138553002-pct00009
여기서,
Figure 112021138553002-pct00010
Figure 112021138553002-pct00011
는 2개의 점음원들의 세기들을 나타내고,
Figure 112021138553002-pct00012
Figure 112021138553002-pct00013
는 2개의 점음원들의 위상들을 나타내고,
Figure 112021138553002-pct00014
는 2개의 점음원들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고,
Figure 112021138553002-pct00015
Figure 112021138553002-pct00016
는 [수학식 3]을 만족할 수 있다:
Figure 112021138553002-pct00017
여기서,
Figure 112021138553002-pct00018
은 임의의 목표점과 공간에서의 이중-점음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고,
Figure 112021138553002-pct00019
는 목표점과 이중-점음원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과 이중-점음원이 위치될 수 있는 다른 선 사이의 각도를 나타낸다.
[수학식 3]에 따르면, 음장에서 목표점의 음압
Figure 112021138553002-pct00020
는 각 점음원의 세기, 거리
Figure 112021138553002-pct00021
, 2개의 점음원들의 위상들 및 2개의 점음원들까지의 거리들에 관련될 수 있다.
상이한 출력 효과들을 갖는 이중-점음원은 사운드 안내 홀들의 상이한 설정들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근-거리 사운드의 볼륨이 향상될 수 있고 원-거리 음의 누설이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구동기는 진동판(vibration diaphragm)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판이 진동하면, 진동판의 전방측과 후방측으로부터 사운드들이 각각 전달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에서 진동판의 전방측에는 사운드를 전달하기 위한 전방 챔버가 제공될 수 있다. 전방 챔버는 음향적으로 사운드 안내 홀과 결합될 수 있다. 진동판의 전방측으로부터 전달되는 사운드는 전방 챔버를 통해 사운드 안내 홀들에 전달되어 외부로 더 전달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에서 진동판의 후방측에는 사운드를 전달하기 위한 후방 챔버가 제공될 수 있다. 후방 챔버는 다른 사운드 안내 홀과 음향적으로 결합되며, 진동판의 후방측으로부터 전달되는 음향은 후방 챔버를 통해 사운드 안내 홀에 전달되어 외부로 더 전파될 수 있다. 진동판이 진동할 때, 진동판의 전방측 및 후방측은 각각 반대 위상들의 사운드가 발생할 수 있음을 유념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방 챔버 및 후방 챔버의 구조들은 상이한 사운드 안내 홀들에서 음향 구동기에 의해 출력되는 사운드가 특정 조건들을 만족할 수 있도록 특별히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 챔버 및 후방 챔버의 길이들은 특정 위상 관계(예를 들어, 반대 위상들)의 사운드가 2개의 사운드 안내 홀들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특별히 설계될 수 있다. 그 결과, 음향 출력 장치가 근-거리의 낮은 볼륨과 원-거리의 누설음들을 갖는 문제들이 효과적으로 해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일정 거리를 가진 이중-점음원과 주파수를 가진 단일 점음원의 청취음들 및 누설음들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특정 조건들 하에서, 단일 점음원에 비해, 이중-점음원의 원-거리 누설량은 주파수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즉, 원-거리 이중-점음원의 누설 감소 능력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할 수 있다. 추가적인 설명을 위하여, 주파수에 따른 원-거리 누설 곡선이 도 2와 관련하여 설명될 수 있다.
도 2의 2개의 점음원들 사이의 거리는 고정될 수 있고, 2개의 점음원들은 동일한 진폭과 반대 위상들을 가질 수 있다. 점선은 상이한 주파수들에서 단일 점음원의 볼륨 변화 곡선을 나타낼 수 있다. 실선은 상이한 주파수들에서 이중-점음원의 누설음의 볼륨의 변화 곡선을 나타낼 수 있다. 도면의 가로 좌표는 사운드의 주파수(f)를 나타낼 수 있고, 단위는 헤르츠(Hz)일 수 있다. 도면의 세로 좌표는 누설음의 볼륨을 평가하기 위하여 정규화 파라미터
Figure 112021138553002-pct00022
를 사용할 수 있다. 파라미터
Figure 112021138553002-pct00023
의 계산식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Figure 112021138553002-pct00024
여기서,
Figure 112021138553002-pct00025
는 원-거리 음향 출력 장치의 음압(즉, 원-거리 누설음의 음압)을 나타낸다.
Figure 112021138553002-pct00026
는 사용자의 귀들 주변의 음압(즉, 근-거리 사운드의 음압)을 나타낸다.
Figure 112021138553002-pct00027
의 값이 클수록, 근-거리 청취음에 비해 원-거리 누설이 클 수 있으며, 이는 음향 출력 장치의 원-거리 누설 감소 능력이 나빠질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가 6000Hz보다 낮을 때, 이중-점음원에 의해 생성된 원-거리 누설은 단일 점음원에 의해 생성된 원-거리 누설보다 낮을 수 있고,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주파수가 10000Hz에 가까울 때(예를 들어, 약 8000Hz 이상), 이중-점음원에 의해 생성된 원-거리 누설이 단일 점음원에 의해 생성된 원-거리 누설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중-점음원과 단일 점음원의 변화 곡선들의 교점에 대응하는 주파수는 이중-점음원이 누설을 감소시킬 수 있는 상한 주파수로 결정될 수 있다.
도 2와 관련하여, 이중-점음원의 누설음 감소 능력의 변화 경향을 통해 주파수의 주파수 분할점이 결정될 수 있다. 이중-점음원의 파라미터들은 음향 출력 장치의 누설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주파수 분할점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값(예를 들어, -60dB, -70dB, -80dB, -90dB 등)의
Figure 112021138553002-pct00028
에 대응하는 주파수는 주파수 분할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주파수 대역을 주파수 분할점보다 아래로 설정하여 근-거리 사운드를 향상시킴으로써, 그리고 주파수 대역을 주파수 분할점보다 높게 설정하여 원-거리 누설음을 감소시킴으로써 이중-점음원의 파라미터들이 결정될 수 있다. 예시할 목적으로, -80dB 값의
Figure 112021138553002-pct00029
에 대응하는 주파수 1000Hz는 주파수 분할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예를 들어, 100Hz 내지 1000Hz 범위에서), 이중-점음원의 누설음 감소 능력이 상대적으로 강할 수 있다(즉,
Figure 112021138553002-pct00030
값이 작을 수 있고, -80dB보다 작지 않다). 이러한 주파수 대역에서는 청취음의 볼륨의 증가가 최적화 목표로 결정될 수 있다.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예를 들어, 1000Hz 내지 8000Hz 범위에서), 이중-점음원의 누설음 감소 능력이 상대적으로 약할 수 있다(즉,
Figure 112021138553002-pct00031
값이 클 수 있고, -80dB보다 높다). 이러한 주파수 대역에서는, 누설음의 감소가 최적화 목표로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사운드 주파수들을 갖는 고-주파 대역(예를 들어, 고-주파 음향 구동기에 의해 출력되는 사운드) 및 상대적으로 낮은 사운드 주파수들을 갖는 저-주파 대역(예를 들어, 저-주파 음향 구동기에 의해 출력되는 사운드)은 주파수 분할점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저-주파 대역은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들을 갖는 제 1 주파수 범위를 의미하고, 고-주파 대역은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들을 갖는 제 2 주파수 범위를 의미한다. 제 1 주파수 범위 및 제 2 주파수 범위는 중첩되는 주파수 범위들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 2 주파수 범위는 제 1 주파수 범위보다 높은 주파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지 예로서, 제 1 주파수 범위는 제 1 주파수 임계값보다 낮은 주파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 주파수 범위는 제 2 주파수 임계값보다 높은 주파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주파수 임계값은 제 2 주파수 임계값보다 낮거나, 같거나, 높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주파수 임계값은 제 2 주파수 임계값보다 작을 수 있고(예를 들어, 제 1 주파수 임계값은 600Hz일 수 있고 제 2 주파수 범위는 700Hz일 수 있고), 이는 제 1 주파수 범위와 제 2 주파수 범위 사이에 중첩이 없음을 나타낸다. 다른 예로서, 제 1 주파수 임계값은 제 2 주파수 임계값과 동일할 수 있다(예를 들어, 제 1 주파수 임계값 및 제 2 주파수 임계값 모두는 650Hz 또는 다른 임의의 주파수 값들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 1 주파수 임계값은 제 2 주파수 임계값보다 클 수 있으며, 이는 제 1 주파수 범위와 제 2 주파수 범위 사이에 중첩이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제 1 주파수 임계값과 제 2 주파수 임계값 사이의 차는 제3 주파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을 수 있다. 제3 주파수 임계값은 상수 값(예를 들어, 20Hz, 50Hz, 100Hz, 150Hz, 200Hz)일 수 있거나, 제 1 주파수 임계값 및/또는 제 2 주파수 임계값(예를 들어, 제 1 주파수 임계값의 5%, 10%, 15% 등)에 관련된 값일 수 있거나, 또는 실제 장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유연하게 설정된 값이며, 여기에 제한되지 않다. 제 1 주파수 임계값 및 제 2 주파수 임계값은 다양한 상황들에 따라 유연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여기에 제한되지 않음을 유념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파수 분할점은 제 1 주파수 범위와 제 2 주파수 범위를 구분하는 신호 주파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주파수 범위와 제 2 주파수 범위 사이에 중첩 주파수 범위가 있을 때, 주파수 분할점은 중첩 주파수 범위 내의 특징점(예를 들어, 중첩 주파수 범위의 저-주파 경계점, 고-주파 경계점, 또는 중심 주파수 지점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주파수 분할점은 음향 출력 장치의 주파수와 누설음의 관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 장치의 누설음이 주파수에 따라 변하는 점을 고려하면,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누설음의 볼륨에 대응하는 주파수 지점이 도 2에서 1000Hz와 같이 주파수 분할점으로 지정될 수 있다. 일부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자는 특정 주파수를 주파수 분할점으로 직접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의 귀가 20Hz 내지 20kHz 주파수 범위의 사운드를 들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사용자는 그 범위 내의 주파수 지점을 주파수 분할점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분할점은 600Hz, 800Hz, 1000Hz, 1200Hz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주파수 분할점은 음향 구동기의 성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주파 음향 구동기와 고-주파 음향 구동기가 상이한 주파수 응답 곡선들을 가지는 점을 고려하면, 주파수 분할점은 저-주파 음향 구동기의 상한 주파수의 1/2보다 높고 고-주파 음향 구동기의 하한 주파수의 2배보다 작지 않은 주파수 범위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누설음을 측정하고 계산하는 방법은 실제 조건들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경 40cm의 이중-점음원을 중심으로 하는 구면 상의 복수의 점들의 음압 진폭의 평균값은 누설음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원-거리 위치의 하나 이상의 점들은 누설음을 측정하기 위한 위치로 취해질 수 있고, 위치의 사운드 볼륨은 누설음 값으로 취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중-점음원의 중심은 원의 중심으로 사용될 수 있고, 원-거리에서 일정한 공간 각에 따라 고르게 샘플링된 2개 이상의 지점들의 음압 진폭들이 평균될 수 있고, 평균값은 누설음의 값으로 취해질 수 있다. 이러한 측정 및 계산 방법들은 실제 조건들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도 2에 따르면, 고-주파 대역(주파수 분할점에 따라 결정되는 더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는 이중-점음원이 누설음을 감소시키는 약한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저-주파 대역(주파수 분할점에 따라 결정되는 더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는 이중-점음원이 누설음을 감소시키는 강력한 능력을 가질 수 있다. 특정 사운드 주파수에서, 2개의 점음원들의 진폭들, 위상차들 등이 다를 수 있고, 2개의 점음원들의 누설음 감소 능력이 상이할 수 있으며, 청취음의 볼륨과 누설음의 볼륨 사이의 차도 또한 상이할 수 있다. 더 나은 설명을 위하여, 2개의 점음원들 사이의 거리의 함수로서 원-거리 누설 곡선이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중-점음원에 의해 생성되는 청취음 및 누설음은 이중-점음원의 2개의 점음원들의 진폭들과 관련될 수 있다. 도 3a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2개의 점음원들의 진폭비에 따른 이중-점음원의 청취음 및 누설음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진폭비는 2개의 점음원들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들의 더 작은 진폭에 대한 더 큰 진폭의 비를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에서 2개의 사운드 안내 홀들로부터 출력되는 2개의 사운드들의 진폭비는 2개의 사운드 안내 홀들의 진폭비, 또는 2개의 사운드 안내 홀들에 대응하는 2개의 점음원들의 진폭비, 또는 이중-점음원의 진폭비라고도 지칭될 수 있음을 유념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선은 이중-점음원의 근-거리 청취음의 진폭에 따른 변화 곡선을 나타내고, 점선은 이중-점음원의 원-거리 누설음의 진폭에 따른 변화 곡선을 나타낸다. 가로 좌표는 2개의 점음원들 사이의 진폭비를 나타내고 세로 좌표는 사운드 볼륨을 나타낸다. 청취음과 누설음의 상대적인 변화들을 더욱 잘 반영하기 위하여, 청취음 볼륨은 누설음 볼륨에 기초하여 정규화될 수 있으며, 즉 세로 좌표는 누설음 볼륨에 대한 실제음 볼륨의 비(즉, |P|/|Pfar|)를 반영한다.
도 3a에 따르면, 이중-점음원의 청취음 및 누설음은 특정 주파수일 수 있다. 특정 주파수에서, 2개의 점음원들 사이의 진폭비가 특정 범위 내에서 증가할 때, 이중-점음원의 청취음 볼륨의 증가는 누출음 볼륨의 증가보다 훨씬 더 클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점음원들 사이의 진폭비 A2/A1가 1 내지 1.5 범위 내에서 변화할 때, 청취음 볼륨의 증가는 누설음 불륨의 증가보다 분명히 더 클 수 있다. 즉, 이러한 경우에, 2개의 점음원들 사이의 진폭비가 클수록 이중-점음원이 더욱 양호하게 더 높은 근-거리 청취음 볼륨을 생성하고 원-거리 누설음 볼륨을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2개의 점음원들 사이의 진폭비가 더욱 증가함에 따라, 청취음 볼륨의 정규화 곡선의 기울기는 점차적으로 0이 되는 경향이 있고, 청취음 볼륨의 정규화 곡선은 누설음 볼륨의 정규화 곡선과 점차적으로 평행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청취음 볼륨의 증가가 누설음 볼륨의 증가와 실질적으로 동일함을 나타낸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점음원들 사이의 진폭비 A2/A1가 2보다 큰 범위 내에서 변화할 때, 청취음 볼륨의 증가는 누설음 불륨의 증가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중-점음원이 더 큰 근-거리 청취음 볼륨 및 더 작은 원-거리 누출음 볼륨을 생성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2개의 점음원들 사이의 진폭비는 1 내지 5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2개의 점음원들 사이의 진폭비는 1 내지 4.5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2개의 점음원들 사이의 진폭비는 1 내지 4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2개의 점음원들 사이의 진폭비는 1 내지 3.5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2개의 점음원들 사이의 진폭비는 1 내지 3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2개의 점음원들 사이의 진폭비는 1 내지 2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2개의 점음원들 사이의 진폭비는 1 내지 1.5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중-점음원에 의해 생성되는 청취음 및 누설음은 2개의 점음원들의 위상들과 관련될 수 있다. 도 3b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중-점음원의 2개의 점음원들의 위상차에 따른 이중-점음원의 청취음 및 누설음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a와 유사하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선은 이중-점음원의 근-거리 청취음의 위상차에 따른 변화 곡선을 나타내고, 점선은 이중-점음원의 원-거리 누설음의 위상차에 따른 변화 곡선을 나타낸다. 가로 좌표는 2개의 점음원들 사이의 위상차를 나타내고 세로 좌표는 사운드 볼륨을 나타낸다. 청취음과 누설음의 상대적인 변화들을 더욱 잘 반영하기 위하여, 청취음 볼륨은 누설음 볼륨에 기초하여 정규화될 수 있으며, 즉 세로 좌표는 누설음 볼륨에 대한 실제음 볼륨의 비(즉, |P|/|Pfar|)를 반영한다.
도 3b에 따르면, 이중-점음원의 청취음 및 누설음은 특정 주파수일 수 있다. 특정 주파수에서 2개의 점음원들 사이의 위상차가 변화함에 따라, 이중-점음원의 청취음 볼륨에 대응하는 정규화된 곡선이 피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크에 대응하는 2개의 점음원들의 위상차의 절대값은 약 170도일 수 있다. 피크에서 이중-점음원은 정규화된 청취음 볼륨이 가장 크며, 이는 이중-점음원이 누설음 볼륨을 변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면서 더 큰 청취음 볼륨을 생성하거나 또는 이중-점음원이 청취음 볼륨을 유지하면서 더 작은 누설음 볼륨을 생성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상이한 주파수들에서, 청취음 볼륨의 정규화된 곡선의 피크에 대응하는 위상차가 이동되거나 변경될 수 있음을 유념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특정 사운드 주파수 범위 내(예를 들어, 인간 귀의 가청 주파수 범위 내)에서, 이중-점음원이 더 큰 근-거리 청취음 볼륨과 더 작은 원-거리 누설음 볼륨을 생성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2개의 점음원들의 위상차의 절대값이 특정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2개의 점음원들 사이의 위상차의 절대값은 180도 내지 120도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2개의 점음원들 사이의 위상차의 절대값은 180도 내지 140도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2개의 점음원들 사이의 위상차의 절대값은 180도 내지 150도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2개의 점음원들 사이의 위상차의 절대값은 180도 내지 160도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위의 설명에 따르면, 이중-점음원의 파라미터들을 특정한 방식으로 조정함으로써, 근-거리 청취음 볼륨의 증가가 원-거리 누설음 볼륨의 증가보다 클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제 응용에서, 이중-점음원의 진폭들 및/또는 위상차는 상이한 주파수들에서 이중-점음원의 사운드 특성들에 기초하여 이중-점음원의 사운드 출력 효과를 더욱 양호하게 개선하기 위하여 제한되거나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주파 이중-점음원 및 저-주파 이중-점음원이 설정될 수 있다. 각 이중-점음원의 2개의 음원들의 진폭비를 특정한 방식으로 조정함으로써, 고-주파 이중-점음원의 2개의 음원들 사이의 진폭비는 저-주파 이중-점음원의 2개의 음원들 사이의 진폭비와 상이할 수 있다. 특히, 저-주파 이중-점음원이 누설음이 더 작고(즉, 누출 감소 능력이 강함), 고-주파 이중-점음원이 누설음이 더 크다는(즉, 누출 감소 능력이 약함) 것을 고려하면, 저-주파 이중-점음원의 2개의 음원들 사이의 진폭비는 고-주파 이중-점음원의 2개의 음원들 사이의 진폭비보다 크게 설정하여 저-주파 이중-점음원의 청취음 볼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고-주파 이중-점음원 및 저-주파 이중-점음원이 설정될 수 있다. 각각의 이중-점음원의 2개의 음원들의 위상차를 특정한 방식으로 조정함으로써, 고-주파 이중-점음원의 2개의 음원들 사이의 위상차의 절대값이 저-주파 이중-점음원의 2개의 음원들 사이의 위상차의 절대값과 상이할 수 있다. 특히, 저-주파 이중-점음원 및 고-주파 이중-점음원에 대응하는 정규화된 청취음 곡선들이 상이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고-주파 이중-점음원의 2개의 음원들 사이의 위상차의 절대값은 저-주파 이중-점음원의 2개의 음원들 사이의 위상차의 절대값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음향 출력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출력 장치(100)는 전자 주파수 분할 모듈(110), 음향 구동기(140), 음향 구동기(150), 음향 경로(145), 음향 경로(155), 적어도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147), 및 적어도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157)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음향 출력 장치(100)는 제어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의 일부로서, 전자 주파수 분할 모듈(110)은 상이한 음향 구동기들에 입력되는 전기 신호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00)에서 상이한 구성요소들 사이의 연결은 유선 또는 무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주파수 분할 모듈(110)은 유선 전송 또는 무선 전송을 통해 음향 구동기(140) 및/또는 음향 구동기(150)로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주파수 분할 모듈(110)은 소스 신호의 주파수를 분할할 수 있다. 소스 신호는 음향 출력 장치(100)에 통합된 하나 이상의 음원 장치들(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로부터 올 수 있다. 또한, 소스 신호는 음향 출력 장치(100)가 유선 또는 무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자 주파수 분할 모듈(110)은 입력 소스 신호를 상이한 주파수들을 포함하는 둘 이상의 주파수-분할 신호들로 분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주파수 분할 모듈(110)은 소스 신호를 고-주파 사운드를 갖는 제 1 주파수-분할 신호(또는 주파수-분할 신호 1) 및 저-주파 사운드를 갖는 제 2 주파수-분할 신호(또는 주파수-분할 신호 2)로 분해할 수 있다. 편의상 고-주파 사운드를 갖는 주파수-분할 신호는 고-주파 신호로 지칭될 수 있고, 저-주파 사운드를 갖는 주파수-분할 신호는 저-주파 신호로 직접적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저-주파 신호는 제 1 주파수 범위의 주파수들을 갖는 사운드 신호를 지칭할 수 있다. 고-주파 신호는 제 2 주파수 범위의 주파수들을 갖는 사운드 신호를 지칭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자 주파수 분할 모듈(110)은 주파수 분할기(115), 신호 프로세서(120), 및 신호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주파수 분할기(115)는 소스 신호를 상이한 주파수 성분들을 포함하는 둘 이상의 주파수-분할 신호들, 예를 들어 고-주파 사운드 성분들을 갖는 주파수-분할 신호 1 및 저-주파 사운드 성분들을 갖는 주파수-분할 신호 2로 분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주파수 분할기(115)는 수동 필터, 능동 필터, 아날로그 필터, 디지털 필터,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중 하나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신호 분해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신호 프로세서들(120 및 130)은 후속 사운드 출력의 요건들을 만족하기 위하여 주파수-분할 신호들을 각각 더 처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신호 프로세서(120 또는 130)는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프로세서는 증폭기, 진폭 변조기, 위상 변조기, 지연기 또는 동적 이득 제어기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단지 예로서, 신호 프로세서(120) 및/또는 신호 프로세서(130)에 의한 사운드 신호의 처리는 사운드 신호의 일부 주파수들에 대응하는 진폭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신호 프로세서들(120 및 130)은 제 1 주파수 범위와 제 2 주파수 범위가 중첩되는 경우 중첩 주파수 범위의 주파수에 대응하여 사운드 신호의 세기를 조정할 수 있다(예를 들어, 중첩 주파수 범위의 주파수에 대응하여 신호의 진폭을 감소). 이는 여러 사운드 신호들의 중첩에 의해 야기된 후속 출력 사운드에서 중첩하는 주파수 범위에서 과도한 볼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신호 프로세서(120) 및/또는 신호 프로세서(130)에 의한 사운드 신호의 처리는 사운드 신호의 일부 주파수들에 대응하는 위상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프로세서(120 또는 130)에 의해 처리 동작들이 수행된 후, 주파수-분할 신호들은 음향 구동기들(140 및 150)에 각각 전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음향 구동기(140)에 전송되는 사운드 신호는 더 낮은 주파수 범위(예를 들어, 제 1 주파수 범위)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일 수 있다. 따라서, 음향 구동기(140)는 저-주파 음향 구동기로도 지칭될 수 있다. 음향 구동기(150)에 전송되는 사운드 신호는 더 높은 주파수 범위(예를 들어, 제 2 주파수 범위)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일 수 있다. 따라서, 음향 구동기(150)는 고-주파 음향 구동기로도 지칭될 수 있다. 음향 구동기(140) 및 음향 구동기(150)는 사운드 신호들을 저-주파 사운드 및 고-주파 사운드로 각각 변환한 다음, 변환된 신호들을 외부로 전파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음향 구동기(140)는 적어도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147)과 같이)에 음향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예를 들어, 2개의 음향 경로들(145)을 통해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147)에 각각 연결된다). 그 후에, 음향 구동기(140)는 적어도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을 통해 사운드를 전파할 수 있다. 음향 구동기(150)는 적어도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157)과 같이)에 음향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예를 들어, 2개의 음향 경로들(155)을 통해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157)에 각각 연결된다). 그후에, 음향 구동기(150)는 적어도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을 통해 사운드를 전파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음향 출력 장치(100)의 원-거리 누설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음향 구동기(140)는 적어도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에서 동일한(또는 대략 동일한) 진폭 및 반대(또는 대략 반대) 위상들을 갖는 저-주파 사운드들을 각각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음향 구동기(150)는 적어도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에서 동일한(또는 대략 동일한) 진폭 및 반대(또는 대략 반대) 위상들을 갖는 고-주파 사운드들을 각각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향 간섭 제거의 원리에 따라 저-주파 사운드들(또는 고-주파 사운드들)의 원-거리 누설이 감소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2, 도 3a 및 도 3b에 따르면, 저-주파 사운드의 파장이 고-주파 사운드의 파장보다 긴 점을 더 고려하고, 근-거리(예를 들어, 사용자 귀의 위치)에서 사운드의 간섭 제거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의 파라미터들과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의 파라미터들은 상이한 값들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 사이의 제 1 진폭비와,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 사이의 제 2 진폭비가 있다고 가정하면, 제 1 진폭비는 제 2 진폭비보다 클 수 있다. 다른 예로,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 사이의 제 1 위상차의 절대값과,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 사이의 제 2 위상차의 절대값이 있다고 가정하면, 제 1 위상차의 절대값은 제 2 위상차의 절대값보다 작을 수 있다. 이중-점음원의 파라미터들에 대한 더 많은 세부사항들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곳(도 5 및 도 9, 및 그에 대한 설명과 같이)에 개시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구동기(140)는 변환기(143)를 포함할 수 있다. 변환기(143)는 음향 경로(145)를 통해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147)에 사운드를 전달할 수 있다. 음향 구동기(150)는 변환기(153)를 포함할 수 있다. 변환기(153)는 음향 경로(155)를 통해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157)에 사운드를 전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변환기는 가스-전도 음향 출력 장치(gas-conducting acoustic output apparatus)의 변환기, 골-전도 음향 출력 장치의 변환기, 수중 음향 변환기, 초음파 변환기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변환기는 가동 코일 타입, 가동 철 타입, 압전 타입, 정전 타입 또는 자기 변형 타입(magneto strictive type)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음향 구동기들(저-주파 음향 구동기(140), 고-주파 음향 구동기(150)와 같이)은 상이한 특성들 또는 수를 갖는 변환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주파 음향 구동기(140) 및 고-주파 음향 구동기(150) 각각은 상이한 주파수 응답 특성들을 갖는 변환기(예를 들어, 저-주파 스피커 유닛 및 고-주파 스피커 유닛)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저-주파 음향 구동기(140)는 2개의 변환기들(예를 들어, 2개의 저-주파 스피커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고, 고-주파 음향 구동기(150)는 2개의 변환기들(153)(예를 들어, 2개의 고-주파 스피커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음향 출력 장치(100)는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을 갖는 사운드를 다른 방식에 의해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환기 주파수 분할, 음향 경로 주파수 분할 등이 있다. 음향 출력 장치(100)가 변환기 또는 음향 경로를 이용하여 사운드를 분할할 때, 전자 주파수 분할 모듈(110)(점선 테두리 내의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00)가 변환기를 이용하여 신호 주파수 분할을 달성할 때, 음향 구동기(140) 및 음향 구동기(150)는 입력된 음원 신호를 저-주파 사운드 및 고-주파 사운드로 각각 변환할 수 있다. 특히, 저-주파 음향 구동기(140)는 변환기(143)(예를 들어, 저-주파 스피커)를 통해 소스 신호를 저-주파 성분들을 갖는 저-주파 사운드로 변환할 수 있다. 저-주파 사운드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음향 경로들을 따라 적어도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147)에 전달될 수 있다. 그 후에, 저-주파 사운드는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147)을 통해 외부로 전파될 수 있다. 고-주파 음향 구동기(150)는 변환기(153)(예를 들어, 고-주파 스피커)를 통해 소스 신호를 고-주파 성분들을 갖는 고-주파 사운드로 변환할 수 있다. 고-주파 사운드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음향 경로들을 따라 적어도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157)에 전달될 수 있다. 그 후에,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157)을 통해 고-주파 사운드가 외부로 전파될 수 있다.
일부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변환기와 사운드 안내 홀들을 연결하는 음향 경로(예를 들어, 음향 경로(145) 및 음향 경로(155))는 전송된 사운드의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경로는 전송된 사운드의 위상을 어느 정도 감쇠시키거나 변경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음향 경로는 음관, 사운드 공동, 공명 공동, 사운드 홀, 사운드 슬릿 또는 튜닝 네트워크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음향 경로는 또한 특정 음향 임피던스를 가질 수 있는 음향 저항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임피던스는 5MKS Rayleigh 내지 500MKS Rayleigh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음향 저항 재료들은 플라스틱, 직물, 금속, 투과성 재료, 직조 재료, 스크린 재료 또는 망사 재료, 다공성 재료, 미립자 재료, 폴리머 재료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이한 음향 임피던스들의 음향 경로들을 설정함으로써, 상이한 음향 경로들을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들이 상이한 성분들(예를 들어, 위상들, 진폭들, 주파수들 등)을 가질 수 있도록 변환기의 음향 출력은 음향적으로 필터링될 수 있다.
일부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음향 출력 장치(100)는 신호 주파수 분할을 달성하기 위하여 음향 경로들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소스 신호는 특정 음향 구동기에 입력되어 고-주파 및 저-주파 성분들을 포함하는 사운드로 변환될 수 있다. 사운드 신호는 상이한 주파수 선택 특성들을 갖는 음향 경로들을 따라 전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 신호는 저-주파 사운드를 생성하기 위하여 저역 특성을 갖는 음향 경로를 따라 대응하는 사운드 안내 홀에 전파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저역 통과 특성을 갖는 음향 경로에 의해 고-주파 사운드가 흡수되거나 감쇠될 수 있다. 유사하게, 사운드 신호는 고-주파 사운드를 생성하기 위하여 고역 특성을 갖는 음향 경로를 따라 대응하는 사운드 안내 홀에 전파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고역 특성을 가진 음향 경로에 의해 저-주파 사운드가 흡수되거나 감쇠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안내 홀들(예를 들어,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147),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157))은 특정 개구부들을 가진 음향 출력 장치 상에 형성되어 사운드가 통과되도록 하는 작은 홀들일 수 있다. 사운드 안내 홀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정사각형, 사다리꼴, 둥근 사각형, 삼각형, 불규칙한 형상,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향 구동기(140 또는 150)에 연결되는 사운드 안내 홀들의 개수는 2개로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값, 예를 들어 3개, 4개, 6개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동일한 음향 구동기와 그에 대응하는 상이한 사운드 안내 홀 사이의 음향 경로는 상이한 상황들에 따라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운드 안내 홀(147)(또는 제 2 사운드 안내 홀(157))의 형상 및/또는 크기를 설정함으로써, 또는 음향 경로에 일정한 감쇠가 있는 내강 구조 또는 음향 감쇠 재료를 설정함으로써, 동일한 음향 구동기와 그에 대응하는 상이한 사운드 안내 홀 사이의 음향 경로는 거의 동일한 음향 임피던스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동일한 음향 구동기가 동일한 진폭과 반대 위상들을 가진 두 그룹의 사운드들을 출력함에 따라, 이러한 두 그룹의 사운드들은 상이한 음향 경로들을 통해 대응하는 사운드 안내 홀에 도달할 때 여전히 동일한 진폭과 반대 위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 및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구조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의 수 또는 개수는 2개일 수 있고,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의 수 또는 개수는 4개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과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의 형상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음향 출력 장치(100)는 제어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는 저-주파 음향 구동기(140)가 제 1 주파수 범위의 사운드(즉, 저-주파 사운드)를 출력하게 하고, 고-주파 음향 구동기(150)가 제 2 주파수 범위(즉, 고-주파 사운드)를 출력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음향 출력 장치(100)는 또한 지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구조는 음향 구동기(고-주파 음향 구동기(150), 저-주파 음향 구동기(140)와 같이)를 지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어서, 음향 구동기에 대응하는 사운드 안내 홀들이 사용자의 귀에서 떨어지게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고-주파 음향 구동기(150)와 음향적으로 결합된 사운드 안내 홀들은 사용자의 귀의 예상 위치(예를 들어, 외이도 입구)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는 반면, 저-주파 음향 구동기(140)와 음향적으로 결합된 사운드 안내 홀들은 예상 위치로부터 더 멀리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지지 구조는 음향 구동기를 패키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패키지형 음향 구동기의 지지 구조는 플라스틱, 금속, 테이프 등과 같은 다양한 재료들로 만들어진 케이싱일 수 있다. 케이싱은 음향 구동기를 캡슐화하여 음향 구동기에 대응하는 전방 챔버 및 후방 챔버를 형성할 수 있다. 전방 챔버는 적어도 2개의 사운드 안내 홀들 중 하나에 음향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후방 챔버는 적어도 2개의 사운드 안내 홀들 중 다른 하나에 음향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주파 음향 구동기(140)의 전방 챔버는 적어도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147) 중 다른 하나에 음향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저-주파 음향 구동기(140)의 후방 챔버는 다른 하나에 음향 결합될 수 있다. 고-주파 음향 구동기(150)의 전방 챔버는 적어도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157) 중 하나에 음향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고-주파 음향 구동기(150)의 후방 챔버는 적어도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157) 중 다른 하나에 음향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운드 안내 홀들(예를 들어,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147) 및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157))은 케이싱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00)에 대한 상술한 설명은 단지 예시일 수 있다. 당업자라면 음향 구동기의 구조, 수량 등에 대해 조정 및 변경할 수 있으며, 이는 본 개시내용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음향 출력 장치(100)는 임의의 수의 음향 구동기 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 장치(100)는 두 그룹들의 고-주파 음향 구동기들(150)과 두 그룹들의 저-주파 음향 구동기들(140), 또는 한 그룹의 고-주파 음향 구동기들(150)과 두 그룹들의 저-주파 음향 구동기들(140)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고-주파/저-주파 구동기들은 특정 주파수 범위의 사운드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음향 구동기(140) 및/또는 음향 구동기(150)는 추가적인 신호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프로세서는 신호 프로세서(120 또는 130)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구조적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 및 그 모듈이 도 4에 도시되어 있고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유념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스템 및 모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 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는 전용 로직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적절한 명령 실행 시스템,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전용 설계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저장소에 저장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상기 방법들 및 시스템들이 컴퓨터-실행 가능한 명령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및/또는 프로세서의 제어 코드들에 내장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제어 코드들은 디스크, CD 또는 DVD-ROM과 같은 매체, 읽기-전용 메모리(예를 들어, 펌웨어)와 같은 프로그래밍 가능한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광학 또는 전기 신호 반송파와 같은 데이터 반송파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시스템 및 모듈들은, 초대형 집적회로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하드웨어 디바이스, 게이트 어레이 칩, 로직 칩이나 트랜지스터와 같은 반도체,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회로에 의해서만 구현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본 개시내용의 시스템 및 모듈들은 또한 다양한 프로세서들에 의해 수행될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예를 들어, 펌웨어)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장치(100) 및 그 구성요소들에 대한 상술한 설명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념한다. 당업자라면 장치의 원리를 이해한 후, 이 원리에서 벗어나지 않고 임의로 각 유닛을 조합하거나 하부 구조를 형성하여 다른 유닛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신호 프로세서(120 또는 130)는 전자 주파수 분할 모듈(110)과 독립적인 일부일 수 있다. 이러한 수정들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속할 수 있다.
음향 구동기(예를 들어, 저-주파 음향 구동기(140), 고-주파 음향 구동기(150))가 적어도 2개의 사운드 안내 홀들(예를 들어, 적어도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147),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157))을 통해 사운드들을 출력할 때, 적어도 2개의 사운드 안내 홀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음향 진폭들을 갖는 사운드들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사운드 진폭들을 갖는 저-주파 사운드들을 출력하는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147)에 대하여, 도 3a에 따라, 더 작은 진폭을 갖는 저-주파 사운드에 대한 더 큰 진폭을 갖는 저-주파 사운드의 진폭비가 증가할 때, 음향 출력 장치의 근-거리 청취음의 증가는 원-거리 누설음의 증가보다 클 수 있으며, 이는 저-주파 대역에서 더 높은 청취음 볼륨 및 더 낮은 누설음 볼륨의 출력을 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이한 사운드 진폭들을 갖는 고-주파 사운드들을 출력하는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157)에 대하여, 도 3a에 따라, 더 작은 진폭을 갖는 고-주파 사운드에 대한 더 큰 진폭을 갖는 고-주파 사운드의 진폭비가 증가할 때, 음향 출력 장치의 근-거리 청취음의 증가는 원-거리 누설음의 증가보다 클 수 있으며, 이는 고-주파 대역에서 더 높은 청취음 볼륨 및 더 낮은 누설음 볼륨의 출력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주파수 분할 모듈, 변환기들, 음향 경로들 또는 사운드 안내 홀들의 구조를 합리적으로 설계함으로써, 고-주파 음향 구동기에 대응하는 사운드 안내 홀들(즉, 고-주파 이중-점음원)에서의 고-주파 사운드들의 진폭비, 및 저-주파 음향 구동기에 대응하는 사운드 안내 홀들(즉, 저-주파 이중-점음원)에서의 저-주파 사운드들의 진폭비가 특정 조건을 만족할 수 있으며, 이는 음향 출력 장치가 더욱 양한 음향 출력 효과를 가질 수 있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저-주파 이중-점음원에서 더 큰 진폭을 갖는 저-주파 사운드와 더 작은 진폭을 갖는 저-주파 사운드 사이의 제 1 진폭비가 있고, 고-주파 이중-점음원에서 더 큰 진폭을 갖는 고-주파 사운드와 더 작은 진폭을 갖는 고-주파 사운드 사이의 제 2 진폭비가 있다고 가정한다. 제 1 진폭비 및 제 2 진폭비는 임의의 값들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진폭비는 1보다 작지 않을 수 있고, 제 2 진폭비는 5보다 크지 않을 수 있고, 제 1 진폭비는 제 2 진폭비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진폭비는 1보다 작지 않을 수 있고, 제 2 진폭비는 4보다 크지 않을 수 있고, 제 1 진폭비는 제 2 진폭비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진폭비는 1.2보다 작지 않을 수 있고, 제 2 진폭비는 3보다 크지 않을 수 있고, 제 1 진폭비는 제 2 진폭비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진폭비는 1.3보다 작지 않을 수 있고, 제 2 진폭비는 2보다 크지 않을 수 있고, 제 1 진폭비는 제 2 진폭비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진폭비는 1.3보다 작지 않을 수 있고, 제 2 진폭비는 1.5보다 크지 않을 수 있고, 제 1 진폭비는 제 2 진폭비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진폭비는 1 내지 3의 범위에 있을 수 있고, 제 2 진폭비는 1 내지 2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진폭비는 제 2 진폭비의 적어도 1.2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진폭비는 제 2 진폭비의 적어도 1.5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진폭비는 제 2 진폭비의 적어도 2배일 수 있다.
이중-점음원의 음원들 사이의 진폭비가 음향 출력 장치의 출력 사운드에 미치는 영향은 도 5에 도시된 2개의 이중-점음원들에 기초하여 더 설명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의 이중-점음원(
Figure 112021138553002-pct00032
의 주파수를 갖는 저-주파 사운드들을 출력)은 저-주파 음향 구동기에 대응하는 2개의 사운드 안내 홀들의 등가를 나타내고, 우측의 이중-점음원(
Figure 112021138553002-pct00033
의 주파수를 갖는 고-주파 사운드들을 출력)은 고-주파 음향 구동기에 대응하는 2개의 사운드 안내 홀들의 등가를 나타낸다. 편의상, 고-주파 이중-점음원과 저-주파 이중-점음원은 동일한 간격 d를 가질 수 있다고 가정한다. 실제 음향 출력 장치에서 음향 출력 장치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저-주파 이중-점음원과 고-주파 이중-점음원 사이의 간격 관계(예를 들어, 저-주파 이중-점음원 사이의 거리가 고-주파 이중-점음원 사이의 거리보다 큼)와 조합하여 설정될 수 있지만, 여기에 제한되지 않음을 유념한다.
고-주파 이중-점음원 및 저-주파 이중-점음원은 위상이 반대인 고-주파 사운드 그룹과 위상이 반대인 저-주파 사운드 그룹을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저-주파 이중-점음원에서 더 큰 진폭을 갖는 점음원과 더 작은 진폭을 갖는 점음원의 진폭비는 A1이고, 고-주파 이중-점음원에서 더 큰 진폭을 갖는 점음원과 더 작은 진폭을 갖는 점음원의 진폭비는 A2이고, A1>A2일 수 있다. 도 5에 따르면, 청취음을 위한 위치(청취음 위치로도 지칭됨)는 고-주파 이중-점음원이 위치되는 라인 상에 있고, 청취음 위치와 저-주파 이중-점음원의 점음원을 연결하는 라인은 저-주파 이중-점음원이 위치되는 라인에 수직일 수 있다. 여기에서의 청취음 위치의 선택은 단지 예로서 사용될 수 있고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지 않음을 이해한다. 일부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청취음 위치는 임의의 적절한 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취음 위치는 이중-점음원의 중심 라인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청취음 위치는 이중-점음원의 수직 라인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청취음 위치는 이중-점음원의 중심에 있는 원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요건을 만족하는 진폭비는 음향 출력 장치에서 상이한 구성요소들의 구조적 파라미터들을 조정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경로들의 음향 임피던스들을 조정함으로써 사운드 안내 홀들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들의 진폭들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닝 네트들, 튜닝 코튼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감쇠 재료들이 음향 임피던스를 변경하기 위하여 음향 경로(145 또는 155)에 추가될 수 있다. 저-주파 음향 구동기의 전방 및 후방 챔버들의 음향 임피던스 비가 제 1 음향 임피던스 비라고 가정하고, 고-주파 음향 구동기의 전방 및 후방 챔버들의 음향 임피던스 비가 제 2 음향 임피던스 비라고 가정하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음향 임피던스 비 및 제 2 음향 임피던스 비는 임의의 값일 수 있고, 제 1 음향 임피던스 비는 제 2 음향 임피던스 비보다 크거나 작거나 또는 같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음향 임피던스 비는 0.1보다 작지 않을 수 있고, 제 2 음향 임피던스 비는 3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음향 임피던스 비는 0.3보다 작지 않을 수 있고, 제 2 음향 임피던스는 비율은 2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음향 임피던스 비는 0.5보다 작지 않을 수 있고, 제 2 음향 임피던스 비는 1.5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음향 임피던스 비 및 제 2 음향 임피던스 비는 0.8 내지 1.2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음향 임피던스 비는 0.5 내지 1.6의 범위에 있을 수 있고, 제 2 음향 임피던스 비는 0.6 내지 1.5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음향 임피던스 비는 1.0 내지 1.5의 범위에 있을 수 있고, 제 2 음향 임피던스 비는 0.7 내지 1.3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일부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음향 출력 장치에서 음향 경로에 대응하는 사운드 안내 튜브의 직경을 조정함으로써 음향 경로의 음향 임피던스가 변경되어, 사운드 안내 홀에서 사운드 진폭을 조정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저-주파 음향 구동기에서 2개의 사운드 안내 튜브들의 관 직경의 비(간결함을 위해 직경비로도 지칭됨)(즉, 더 작은 반경을 갖는 사운드 안내 튜브의 관 직경 대 더 큰 반경을 갖는 사운드 안내 튜브의 관 직경의 비)는 0.8 내지 1.0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저-주파 음향 구동기에서 2개의 사운드 안내 튜브들의 관 직경들의 비는 0.95 내지 1.0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고-주파 음향 구동기에서 2개의 사운드 안내 튜브들의 관 직경들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운드 안내 튜브 내의 매체의 내부 마찰 또는 점성력은 사운드의 전파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사운드 안내 튜브의 관 직경이 너무 작으면, 과도한 사운드 손실이 발생하고 사운드 안내 홀에서 사운드 볼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사운드 안내 튜브의 관 직경의 사운드 볼륨에 미치는 영향은 도 6a 및 도 6b와 함께 상이한 주파수들에서의 사운드 안내 튜브의 관 직경에 관한 다음 설명에 기초하여 더 설명될 수 있다.
도 6a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상이한 사운드 주파수들에 대한 사운드 안내 튜브의 파라미터 변화들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a는 상이한 사운드 주파수들에 대한 사운드 안내 튜브의 관 직경의 최소값의 곡선을 도시한다. 세로 좌표는 센티미터(cm) 단위의 사운드 안내 튜브의 관 직경의 최소값이고 가로 조표는 헤르츠(Hz) 단위의 사운드 주파수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 주파수가 20Hz 내지 20kHz의 범위에 있을 때, 사운드 안내 튜브의 관 직경(또는 등가 반경)은 3.5mm보다 작지 않을 수 있다. 사운드 주파수가 60Hz 내지 20kHz 범위에 있을 때, 사운드 안내 튜브의 관 직경(또는 등가 반경)은 2mm보다 작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작은 직경을 갖는 사운드 안내 튜브으로 인한 음향 출력 장치에 의해 출력되는 인간 귀의 가청 범위 내의 사운드의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음향 출력 장치에서 음향 경로에 대응하는 사운드 안내 튜브의 관 직경은 1.5mm보다 작지 않거나, 또는 2mm보다 작지 않거나, 또는 2.5mm보다 작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운드 안내 튜브의 관 직경이 너무 크고 전달된 사운드의 주파수가 특정 주파수보다 높을 때, 사운드 안내 튜브에서 고차파들이 생성되어, 궁극적으로 사운드 안내 홀으로부터 외부로 전파되는 사운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사운드 안내 튜브의 설계는 전달되는 사운드의 주파수 범위에서 고차파들이 생성되지 않고 평면파들만 사운드 안내 튜브 방향으로 전파되는 것을 보장해야 한다. 도 6b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상이한 사운드 주파수들에 대한 사운드 안내 튜브의 파라미터들의 변화들을 예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6b는 사운드 전달의 상이한 상위 차단 주파수들에 대한 사운드 안내 튜브의 관 직경의 최대값의 곡선을 도시한다. 가로 좌표는 센티미터(cm) 단위의 사운드 안내 튜브의 관 직경의 최대값이고, 세로 좌표는 킬로헤르츠(kHz) 단위의 사운드 전달의 상위 차단 주파수이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 전달의 상위 차단 주파수가 20kHz일 때, 사운드 안내 튜브의 관 직경(또는 등가 반경)은 5mm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 사운드 전달의 상위 차단 주파수가 10kHz일 때, 사운드 안내 튜브의 관 직경(또는 등가 반경)은 9mm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음향 출력 장치가 인간 귀들의 가청 범위 내에서 사운드들을 출력할 때, 고차파들을 생성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음향 출력 장치에서 음향 경로에 대응하는 사운드 안내 튜브의 관 직경은 10mm보다 크지 않거나 또는 8mm보다 크지 않거나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음향 출력 장치에서 음향 경로에 대응하는 사운드 안내 튜브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음향 경로의 음향 임피던스가 변경되어, 사운드 안내 홀에서 사운드 진폭을 조정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사운드 안내 튜브의 길이 및 종횡비(즉, 길이 대 직경의 비)는 전달된 사운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단지 예로서, 사운드 안내 튜브에 의해 전달된 사운드의 음압, 사운드 안내 튜브의 길이 및 반경은 [수학식 5]를 만족할 수 있다:
Figure 112021138553002-pct00034
여기서 P0는 음원의 음압을 나타내고, L은 사운드 안내 튜브의 길이를 나타내고, β는 [수학식 6]을 만족할 수 있다:
Figure 112021138553002-pct00035
여기서 a는 사운드 안내 튜브의 반경을 나타내고, c0는 사운드의 전파 속도를 나타내고, ω는 음파의 각 주파수를 나타내고, η/ρ0은 매질의 동점성을 나타낸다. 사운드 안내 튜브의 상이한 관 직경들에 대해, 상이한 주파수들을 갖는 사운드들의 감쇠 정도는 도 7에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운드 안내 튜브의 길이 및 종횡비와 관련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 안내 튜브의 관 직경이 일정할 때, 사운드 안내 튜브의 길이(또는 종횡비)가 클수록, 사운드 안내 튜브에서 전달되는 사운드들의 감쇠 정도가 커질 수 있고, 고-주파 대역의 사운드는 저-주파 대역의 사운드보다 감쇠 정도가 클 수 있다. 따라서, 음향 출력 장치의 사운드 감쇠가 청취음 볼륨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크지 않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음향 출력 장치의 음향 경로에 대응하는 사운드 안내 튜브의 종횡비는 200보다 크지 않거나, 또는 150보다 크지 않거나 또는 100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운드 안내 튜브과 사운드 안내 튜브 노즐의 방사 임피던스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사운드 안내 튜브에서 전달되는 특정 주파수의 사운드가 내부에서 정상파를 형성하여, 출력 사운드가 특정 주파수들에서 피크들/밸리들을 형성하게 하고 사운드 출력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사운드 안내 튜브의 길이는 정상파들의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길이들이 상이한 사운드 안내 튜브에 의해 출력되는 사운드의 음압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들이 상이한 사운드 안내 튜브들에 의해 출력된 음압의 상대값 곡선들이 도시된다. 도 8에 따르면, 사운드 안내 튜브의 길이가 길수록, 사운드 안내 튜브으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의 피크들/밸리들의 최소 주파수는 낮을 수 있고, 피크들/밸리들의 개수는 커질 수 있다. 사운드 출력 효과에 대한 피크들/밸리들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운드 안내 튜브의 길이가 특정 조건들을 만족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운드 안내 튜브의 길이는 200mm보다 크지 않을 수 있으므로, 출력 사운드는 20Hz 내지 800Hz의 범위에서 비교적 평평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운드 안내 튜브의 길이는 100mm보다 크지 않을 수 있으므로, 출력 사운드는 평평하고 20Hz 내지 1500Hz 범위에서 피크들 및 밸리들이 없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운드 안내 튜브의 길이는 50mm보다 크지 않을 수 있으므로, 출력 사운드는 평평하고 20Hz 내지 3200Hz 범위에서 피크들 및 밸리들이 없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운드 안내 튜브의 길이는 30mm보다 크지 않을 수 있으므로, 출력 사운드는 평평하고 20Hz 내지 5200Hz 범위에서 피크들 및 밸리들이 없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운드 안내 튜브의 길이 및 관 직경(또는 반경)은 특정 조건들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동시에 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운드 안내 튜브의 관 직경은 0.5mm보다 작지 않을 수 있고, 사운드 안내 튜브의 길이는 150mm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운드 안내 튜브의 관 직경은 0.5mm보다 작지 않을 수 있고, 사운드 안내 튜브의 길이는 100mm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운드 안내 튜브의 관 직경은 1mm보다 작지 않을 수 있고, 사운드 안내 튜브의 길이는 200mm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운드 안내 튜브의 관 직경은 1mm보다 작지 않을 수 있고, 사운드 안내 튜브의 길이는 150mm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운드 안내 튜브의 관 직경은 2mm보다 작지 않을 수 있고, 사운드 안내 튜브의 길이는 300mm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운드 안내 튜브의 관 직경은 5mm보다 작지 않을 수 있고, 사운드 안내 튜브의 길이는 500mm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운드 안내 튜브의 관 직경은 5mm보다 작지 않을 수 있고, 사운드 안내 튜브의 길이는 350mm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중-점음원의 음원들의 진폭비 설정은 음향 출력 장치에서 사운드 안내 홀의 구조를 조정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 장치의 각 음향 구동기에 대응하는 2개의 사운드 안내 홀들은 상이한 크기들, 상이한 면적들 및/또는 상이한 형상들로 각각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고-주파 음향 구동기에 대응하는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의 크기들과 저-주파 음향 구동기에 대응하는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의 크기들이 상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음향 출력 장치의 상이한 음향 구동기들에 대응하는 사운드 안내 홀들은 상이한 개수들로 설정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에 대한 상술한 설명은 단지 예시 및 설명일 뿐이며,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음을 유념한다. 당업자라면, 본 개시내용의 안내 하에 음향 출력 장치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 및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정들 및 변경들은 여전히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있다.
음향 구동기(예를 들어, 저-주파 음향 구동기(140), 고-주파 음향 구동기(150))가 적어도 2개의 사운드 안내 홀들(예를 들어, 적어도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147), 적어도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157))을 통해 사운드들을 출력할 때, 적어도 2개의 사운드 안내 홀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위상들을 가진 사운드들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147)로부터 상이한 위상들을 갖는 저-주파 사운드들이 출력되고, 저-주파 사운드들의 위상차의 절대값이 170도에 근접할 때, 도 3b의 설명에 따르면, 음향 출력 장치는 원-거리 누설음 볼륨을 유지하면서 더 큰 청취음 볼륨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157)로부터 상이한 위상을 갖는 고-주파 사운드들이 출력되고, 고-주파 사운드들의 위상차의 절대값이 170도에 근접할 때, 도 3b의 설명에 따르면, 음향 출력 장치는 근-거리 청취음 볼륨을 유지하면서 더 작은 누설음 볼륨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주파수 분할 모듈, 변환기들, 음향 경로들 또는 사운드 안내 홀들의 구조들을 합리적으로 설계함으로써, 고-주파 음향 구동기에 대응하는 사운드 안내 홀들(즉, 고-주파 이중-점음원)에서의 고-주파 사운드들 사이의 위상차와, 저-주파 음향 구동기에 대응하는 사운드 안내 홀들(즉, 저-주파 이중-점음원)에서의 저-주파 사운드들 사이의 위상차는 특정 조건을 만족할 수 있고, 이는 음향 출력 장치가 더욱 양호한 사운드 출력 효과를 가지게 할 수 있다.
이중-점음원 사이의 위상차가 음향 출력 장치의 출력 사운드에 미치는 영향은 도 9에 도시된 2개의 이중-점음원들에 기초하여 더 설명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2개의 이중-점음원들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상의 이중-점음원은 저-주파 음향 구동기에 대응하는 2개의 사운드 안내 홀들의 등가를 나타내고, 우측 상의 이중-점음원은 고-주파 음향 구동기에 대응하는 2개의 사운드 안내 홀들의 등가를 나타낸다. 편의상, 고-주파 이중-점음원과 저-주파 이중-점음원은 동일한 간격 d를 가질 수 있다고 가정한다. 실제 음향 출력 장치에서, 음향 출력 장치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저-주파 이중-점음원과 고-주파 이중-점음원 사이의 간격 관계와 조합하여 설정될 수 있고, 여기에 제한되지 않음을 유념한다.
편의상, 고-주파 이중-점음원 및 저-주파 이중-점음원은 동일한 진폭과 특정 위상차를 갖는 고-주파 사운드들의 세트 및 동일한 진폭과 특정 위상차를 갖는 저-주파 사운드들의 세트를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고-주파 이중-점음원에 의해 출력되는 고-주파 사운드들 사이의 위상차 및/또는 저-주파 이중-점음원에 의해 출력되는 고-주파 사운드들 사이의 위상차를 합리적으로 설계함으로써, 이중-점음원들이 단일-점음원보다 강력한 누설 감소 능력을 달성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취음을 위한 위치(청취음 위치로도 지칭됨)는 고-주파 이중-점음원이 위치되는 라인 상에 있고, 청취음 위치와 저-주파 이중-점음원의 점음원을 연결하는 라인은 저-주파 이중-점음원이 위치되는 라인에 수직일 수 있다. 여기에서의 청취음 위치의 선택은 단지 예로서 사용될 수 있고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지 않음을 이해한다. 일부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청취음 위치는 임의의 적절한 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취음 위치는 이중-점음원의 중심 라인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청취음 위치는 이중-점음원의 수직 라인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청취음 위치는 이중-점음원의 중심에 있는 원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주파 이중-점음원에서 먼-귀 음원(즉, 좌측 상단의 점음원)과 가까운-귀 음원(즉, 좌측 하단의 점음원) 사이의 위상차는 φ1로 나타낼 수 있고, 고-주파 이중-점음원에서 먼-귀 음원(즉, 우측 상단의 점음원)과 가까운-귀 음원(즉, 우측 하단의 점음원) 사이의 위상차는 φ2로 나타낼 수 있고, φ1 및 φ2는 [수학식 7]을 만족할 수 있다:
Figure 112021138553002-pct00036
일부 실시예들에서, 요건을 만족하는 위상차는 음향 출력 장치의 상이한 구성요소들의 구조적 파라미터들을 조정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 장치에서 변환기로부터 대응하는 사운드 안내 홀까지의 사운드 통로들을 조정함으로써 사운드 안내 홀들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들의 위상들이 변경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저-주파 음향 구동기에 대응하는 2개의 사운드 안내 튜브들의 사운드 통로비는 0.4 내지 2.5의 범위에 있을 수 있고, 고-주파 음향 구동기에 대응하는 2개의 사운드 안내 튜브들의 사운드 통로들은 동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저-주파 음향 구동기에 대응하는 2개의 사운드 안내 튜브들의 사운드 통로비는 0.5 내지 2의 범위에 있을 수 있고, 고-주파 음향 구동기에 대응하는 2개의 사운드 안내 튜브들의 사운드 통로들은 동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변환기로부터 사운드 안내 홀까지의 사운드 통로는 사운드 안내 튜브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저-주파 음향 구동기에 대응하는 2개의 사운드 안내 튜브들의 길이 비(즉, 긴 사운드 안내 튜브의 길이와 짧은 사운드 안내 튜브의 길이 비)는 0.4 내지 2.5의 범위에 있을 수 있고, 고-주파 음향 구동기의 2개의 사운드 안내 튜브들의 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저-주파 음향 구동기에 대응하는 2개의 사운드 안내 튜브들의 길이 비는 0.8 내지 1.25의 범위에 있을 수 있고, 고-주파 음향 구동기에 대응하는 2개의 사운드 안내 튜브들의 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의 음향 구동기에 대응하는 음향 출력 장치 상의 적어도 2개의 사운드 안내 홀들 사이의 위상차는 하나 이상의 상술한 설명들 또는 음향 구동기에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조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로부터 출력되는 저-주파 사운드들의 위상차의 절대값은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사운드들의 위상차의 절대값보다 작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로부터 출력되는 저-주파 사운드들의 위상차는 0도 내지 180도 범위에 있을 수 있고,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사운드들의 위상차는 120도 내지 180도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로부터 출력되는 저-주파 사운드들의 위상차는 90도 내지 180도 범위에 있을 수 있고,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사운드들의 위상차는 150도 내지 180도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로부터 출력되는 저-주파 사운드들의 위상차는 120도 내지 180도 범위에 있을 수 있고,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사운드들의 위상차는 150도 내지 180도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로부터 출력되는 저-주파 사운드들의 위상차는 150도 내지 180도 범위에 있을 수 있고,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사운드들의 위상차는 150도 내지 180도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로부터 출력되는 저-주파 사운드들의 위상차는 160도 내지 180도 범위에 있을 수 있고,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사운드들의 위상차는 170도 내지 180도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로부터 출력되는 저-주파 사운드들의 위상차와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사운드들의 위상차는 모두 180도일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에 대한 상술한 설명은 단지 예시 및 설명일 뿐이며,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음을 유념한다. 당업자라면, 본 개시내용의 안내 하에 음향 출력 장치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 및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정들 및 변경들은 여전히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 장치에서 이중-점음원의 음원들의 위상차는 임의의 합리적인 방식으로 음향 출력 장치의 누설음 감소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조정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2개의 이중-점음원들을 갖는 음향 출력 장치의 누설음들의 예시적인 그래프들이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점음원에 비해, 진폭비들이 상이한 2개의 이중-점음원들을 설정함으로써 누설 감소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주파 이중-점음원의 진폭비는 A1일 수 있고, 고-주파 이중-점음원의 진폭비는 A2일 수 있다. 저-주파 범위에서, 각 이중-점음원의 진폭비를 조절한 후(예를 들어, A1은 1보다 큰 값으로 설정), 근-거리 청취음의 증가가 원-거리 누설음의 증가보다 클 수 있고, 이는 저-주파 범위에서 더 높은 근-거리 청취음 볼륨을 생성할 수 있다. 저-주파 대역에서, 이중-점음원의 원-거리 누설음이 원래 매우 낮기 때문에, 이중-점음원의 진폭비를 조정한 후, 약간 증가된 누설음이 여전히 낮게 유지될 수 있다. 고-주파 대역에서, A2는 고-주파 이중-점음원에서 음원들의 진폭비를 설정하여 1과 같거나 1에 가까울 수 있으므로, 개방형 바이노럴 음향 출력 장치의 요건들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고-주파 대역에서 더 강한 누설 감소 능력이 얻어질 수 있다. 도 10a에 따르면, 2개의 이중-점음원들로 구성된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총 누설음은 7000Hz 아래의 주파수 범위에서 낮은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고, 단일-점음원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점음원에 비해, 위상차들이 상이한 2개의 이중-점음원들을 설정함으로써 누설 감소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주파 이중-점음원의 위상차는 φ1일 수 있고, 고-주파 이중-점음원의 위상차는 φ2일 수 있다. 저-주파 대역에서, 각 이중-점음원의 위상차를 조절한 후, 근-거리 청취음의 증가가 원-거리 누설음의 증가보다 클 수 있고, 이는 저-주파 범위에서 더 높은 근-거리 청취음 볼륨을 생성할 수 있다. 저-주파 대역에서, 이중-점음원의 원-거리 누설음이 원래 매우 낮기 때문에, 이중-점음원의 위상차를 조정한 후, 약간 증가된 누설음이 여전히 낮게 유지될 수 있다. 고-주파 범위에서, φ2는 고-주파 이중-점음원에서 음원들의 위상차를 설정하여 180도와 같거나 180도에 가까울 수 있으므로, 개방형 바이노럴 음향 출력 장치의 요건들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고-주파 대역에서 더 강한 누설 감소 능력이 얻어질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서 총 감소된 누설음의 곡선들은 이상적인 상황들이고 단지 원리 및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것임을 유념한다. 실제 회로 필터 특성들, 변환기 주파수 특성들, 사운드 채널 주파수 특성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아 실제 출력되는 저-주파 사운드 및 고-주파 사운드는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사운드들과 상이할 수 있다. 동시에, 저-주파 사운드 및 고-주파 사운드는 주파수 분할점 부근의 주파수 대역에서 특정 중첩(앨리어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도 10a 및/또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총 감소된 누설음이 주파수 분할점에서 갑작스러운 변화를 가지게 하는 것이 아니라, 주파수 분할점 부근의 주파수 대역에서 점진적인 변화 및 천이를 가질 수 있게 한다(예를 들어, 도 10a 및/또는 도 10b에서 가는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차들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의해 제공하는 음향 출력 장치의 전체적인 누설음 감소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0c는 사운드 안내 튜브들의 상이한 직경비 하에서의 이중-점음원의 누설음 감소 곡선들을 도시한다.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주파수 범위(예를 들어, 800Hz 내지 10kHz 범위) 내에서 이중-점음원의 누설 감소 능력은 단일-점음원보다 양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중-점음원의 사운드 안내 튜브들의 직경비가 1일 때, 이중-점음원은 더 강한 누설음 감소 능력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이중-점음원의 사운드 안내 튜브들의 직경비가 1.1일 때, 이중-점음원의 누설 감소 능력은 800Hz 내지 10kHz의 범위에서 단일-점음원보다 양호하다. 또 다른 예로서, 이중-점음원의 사운드 안내 튜브들의 직경비가 0.95일 때, 이중-점음원의 누설음 감소 능력은 단일-점음원보다 여전히 양호할 수 있다.
도 10d는 사운드 안내 튜브들의 상이한 길이 비 하에서의 이중-점음원의 누설음 감소 곡선들을 도시한다.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0Hz 내지 1kHz 범위에서, 이중-점음원의 누설음 감소 능력은 이중-점음원의 사운드 안내 튜브들의 길이 비(즉, 더 짧은 사운드 안내 튜브의 길이에 대한 더 긴 사운드 안내 튜브의 길이 비)를 조정함으로써 단일-점음원보다 양호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 비는 1, 1.05, 1.1, 1.5, 2 등이 될 수 있다. 1kHz 내지 10kHz 범위에서, 이중-점음원의 사운드 안내 튜브들의 길이 비를 1에 가깝거나 1과 같게 조정함으로써, 이중-점음원의 누설 감소 능력이 단일-점음원보다 더 양호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서, 이중-점음원에 의해 출력된 사운드들은 또한 다른 진폭들, 다른 위상들, 또는 다른 간격 관계들을 가질 수 있다. 일부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이중-점음원의 파라미터들은 원-거리 누설음을 감소시키는 음향 출력 장치의 능력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른 실행 가능한 방식들로 조정될 수 있으며, 이는 본 개시내용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저-주파 음향 구동기는 하나의 사운드 안내 홀(즉, 단일-점음원과 등가임)을 통해서만 사운드들을 출력하고, 고-주파 음향 구동기는 여전히 2개의 사운드 안내 홀들(즉, 이중-점음원과 등가임)을 통해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중 이중-점음원들은 또한 상이한 주파수 성분들을 갖는 사운드 신호들을 출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에 대한 상술한 설명은 단지 예시 및 설명일 뿐이며,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음을 유념한다. 당업자라면, 본 개시내용의 안내 하에 음향 출력 장치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 및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정들 및 변경들은 여전히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있다. 예를 들어, 음향 구동기가 300Hz 아래의 저-주파 범위에서 더 강한 저-주파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저-주파 이중-점음원의 더 큰 진폭을 갖는 점음원과 더 작은 진폭을 갖는 점음원의 진폭비가 더 크게 조정될 수 있거나, 또는 저-주파 이중-점음원의 2개의 점음원들 사이의 위상차가 0도에 가깝게 조정될 수 있어서, 저-주파 이중-점음원의 사운드 출력 효과는 단일-점음원에 가까울 수 있다. 그 결과, 음향 출력 장치는 저-주파 사운드들을 환경에 더 크게 출력할 수 있고, 근-거리 청취음에서 저-주파 성분들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단일 점음원은 저-주파 대역에 직접 설정되어 음향 출력 장치의 저-주파 신호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실제 근-거리 청취음 및 원-거리 누설 감소의 요건들에 따라, 상이한 이중-점음원들이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에서 설정될 수 있다. 주파수 부-대역들의 개수는 2개 이상일 수 있다. 각 주파수 부-대역에 대응하는 이중-점음원은 상기한 방법들 중 하나 또는 조합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설명이 음향 출력 장치의 실제 사용 시나리오를 제한하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음향 출력 장치는 사용자에게 사운드를 출력해야 하는 임의의 디바이스 또는 그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 장치는 휴대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의 사운드 안내 홀들을 갖는 휴대폰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100)의 상부(1120)(즉, 휴대폰 디스플레이의 상단면에 "수직(vertical)")에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복수의 사운드 안내 홀들이 제공된다. 단지 예로서, 사운드 안내 홀들(1101)은 저-주파 사운드들을 출력하기 위한 한 그룹의 이중-점음원들(또는 점음원 어레이들)을 구성할 수 있다. 2개의 사운드 안내 홀들(1102)은 고-주파 사운드들을 출력하기 위한 다른 그룹의 이중-점음원들(또는 점음원 어레이들)을 형성할 수 있다. 사운드 안내 홀들(1101)의 거리는 사운드 안내 홀들(1102)의 거리보다 길 수 있다. 휴대폰(1100)의 케이스 내부에는 저-주파 음향 구동기(1130)와 고-주파 음향 구동기(1140)가 제공된다. 저-주파 음향 구동기(1130)에 의해 생성된 저-주파 사운드는 사운드 안내 홀들(1101)을 통해 외부로 전달될 수 있고, 고-주파 음향 구동기(1140)에 의해 생성된 고-주파 사운드는 사운드 안내 홀들(1102)을 통해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설명된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음성 정보에 응답하기 위해 사운드 안내 홀들(1101 및 1102)을 귀 근처에 위치시킬 때, 사운드 안내 홀들(1101 및 1102)은 사용자에게 강한 근-거리 사운드를 방출할 수 있고, 동시에 주변 환경으로의 누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폰 디스플레이의 상단 대신 휴대폰 상단에 사운드 안내 홀을 설치함으로써, 휴대폰의 전면에 사운드 안내 홀을 설치하는데 필요한 공간이 절약될 수 있고, 휴대폰 디스플레이의 면적이 더욱 증가할 수 있으며, 휴대폰의 외관도 간결하고 아름다울 수 있다.
휴대폰에 사운드 안내 홀을 설정하는 상기한 설명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당업자라면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 구조를 조정할 수 있으며, 조정된 구조는 여전히 본 개시내용의 보호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 안내 홀들(1101 또는 1102)의 전부 또는 일부는 휴대폰(1100)의 다른 위치들에도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면 쉘의 상부, 측면 쉘의 상부 등, 이러한 설정은 여전히, 사용자가 사운드 정보를 수신할 때 큰 볼륨을 들을 수 있고 사운드 정보가 주변 환경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저-주파 음향 구동기(1130) 및/또는 고-주파 음향 구동기(1140)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고, 본 개시내용에 설명된 다른 방법들을 통해 휴대폰(1100)에 의해 출력되는 사운드를 분할할 수도 있으며, 이는 여기에 반복하지 않을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유익한 효과들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1) 고-주파 이중-점음원 및 저-주파 이중-점음원이 제공되어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의 사운드를 출력함으로써 더욱 양호한 음향 출력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2) 진폭비들이 상이한 이중-점음원들을 설정함으로써, 음향 출력 장치는 더 높은 주파수 대역들에서 누설음을 감소시키는 더욱 강력한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는 개방형 바이노럴 음향 출력 장치에 대한 요건들을 만족할 수 있음으로써 조용한 환경에서 양호한 사운드 출력 효과를 얻을 수 있다; (3) 위상차들이 상이한 이중-점음원들을 설정함으로써, 음향 출력 장치는 저주파 대역들에서 더 높은 청취음 볼륨을 가질 수 있고, 더 높은 주파수 대역들에서 누설음을 감소시키는 더욱 강력한 능력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개방형 바이노럴 음향 출력 장치의 사운드 출력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이한 실시예들이 상이한 유익한 효과들을 가질 수 있음을 유념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음향 출력 장치는 상기에 예시된 이점들 및 얻어질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유익한 효과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조합을 가질 수 있다.
기본 개념들을 이와 같이 설명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한 설명을 읽은 후 상술한 상세한 설명이 단지 예로서 제시되도록 의도된 것이며 제한적이지 않다는 것이 명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더라도, 다양한 변경들, 개선들 및 수정들이 발생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의도된다. 이러한 변경들, 개선들 및 수정들은 본 개시내용에 의해 제안되는 것으로 의도되고,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있다.
더욱이, 특정 용어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용어들 "일 실시예(one embodiment)", "실시예(an embodiment)" 및/또는 "일부 실시예들(some embodiments)"은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개시내용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다양한 부분들에서 "실시예" 또는 "일 실시예"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an alternative embodiment)"에 대한 둘 이상의 언급들이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이 아님을 강조하고 이해한다. 또한, 특정 특징들, 구조들 또는 특성들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적절하게 조합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본 개시내용의 양태들이 임의의 신규하고 유용한 프로세스, 기계, 제조 또는 조성물, 또는 이들의 임의의 신규하고 유용한 개선물을 포함하는 다수의 특허 가능한 등급들 또는 맥락에서 예시 및 설명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양태들은 전적으로 하드웨어, 전적으로 소프트웨어(펌웨어, 상주 소프트웨어, 마이크로-코드 등 포함) 또는 본 명세서에서 모두 일반적으로 "모듈(module)", "유닛(unit)," "구성요소(component)", "디바이스(device)" 또는 "시스템(system)"으로 지칭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조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양태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가 구현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들에서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들은 예를 들어 기저대역에서 또는 반송파의 일부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전송된 데이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전파 신호는 전자기 형태, 광학 형태 등 또는 적절한 조합 형태를 포함하여 여러 표현들을 가질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이외의 임의의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 있고, 이는 명령 실행 시스템, 디바이스, 또는 사용을 위한 프로그램의 통신, 전파 또는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디바이스와 연결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 상에 위치된 프로그램 코드는 라디오,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RF 또는 유사한 매체들, 또는 매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매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양태들에 대한 동작들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Java, Scala, Smalltalk, Eiffel, JADE, Emerald, C++, C#, VB. NET, Python 등과 같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C" 프로그래밍 언어, Visual Basic, Fortran 2003, Perl, COBOL 2002, PHP, ABAP와 같은 기존의 절차적 프로그래밍 언어들, Python, Ruby 및 Groovy와 같은 동적 프로그래밍 언어들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언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 언어들 중 임의의 조합으로 작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는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서 전적으로, 독립-실행형 소프트웨어 패키지로서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서 부분적으로,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서 부분적으로 원격 컴퓨터 상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원격 컴퓨터나 서버 상에서 전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후자의 시나리오에서, 원격 컴퓨터는 근거리 네트워크(LAN) 또는 원거리 네트워크(WAN)를 포함하는 임의의 타입의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컴퓨터에 연결될 수 있거나, 외부 컴퓨터(예를 들어,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를 이용한 인터넷을 통해)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으로, 또는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Software as a Service)와 같은 서비스를 개설하여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처리 소자들 또는 시퀀스들의 인용된 순서나, 숫자들, 문자들 또는 기타 표기들의 사용은 청구된 프로세스들 및 방법들을 청구 범위에 명시될 수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임의의 순서로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상기한 개시내용이 다양한 예들을 통해 개시내용의 많은 유용한 실시예들인 것으로 현재 고려되는 것을 논의하지만, 그러한 세부사항은 오로지 그 목적을 위한 것이고 첨부된 청구범위는 개시된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개시된 실시예들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있는 수정들 및 등가 배치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됨을 이해한다. 예를 들어, 상기에 설명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현이 하드웨어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지만, 소프트웨어 전용 솔루션, 예를 들어 기존 서버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설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대한 상술한 설명에서, 다양한 특징들이 때때로 하나 이상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이해를 돕는 개시내용을 능률화할 목적으로 단일 실시형태, 도면 또는 그의 설명으로 함께 그룹화됨을 이해한다. 그러나, 이 개시 방법은 본 개시 목적이 청구범위에서 언급된 특징들보다 많은 특징들을 요구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청구된 주제는 단일의 앞서 개시된 실시예의 모든 특징들보다 적은 부분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출원의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고 청구하는데 사용되는 성분들, 특성들 등의 양을 나타내는 숫자들은 일부 경우에 용어 "약(about)", "대략(approximate)" 또는 "실질적으로(substantially)"에 의해 수정되는 것으로 이해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약", "대략" 또는 "실질적으로"는 설명하는 값의 ±20% 변동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수치 파라미터들은 특정 실시예에 의해 얻으려고 애쓰는 원하는 특성들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근사치들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치 파라미터들은 보고된 유효 숫자들의 수에 비추어 그리고 일반적인 반올림 기술들을 적용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의 넓은 범위를 나타내는 수치 범위들 및 파라미터들이 근사치들임에도 불구하고, 특정 예들에 기재된 수치 값들은 가능한 한 정확하게 보고된다.
각 특허, 특허 출원, 특허 출원 간행물 및 본 명세서에 인용된 기사들, 도서들, 지침들, 간행물들, 문서들 등과 같은 기타 자료들은 그 전체가 참고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개시내용의 내용들과 불일치하거나 상충되는 출원 이력 문서들은 배제되며,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가장 넓은 범위로 제한하는 문서들(현재 또는 이후에 본 발명에 첨부됨)도 배제된다. 본 개시내용의 첨부된 출원에서 사용된 설명, 규정 및/또는 용어가 본 출원에서 설명된 내용들과 불일치하거나 상충되는 경우, 설명, 규정 및/또는 용어는 본 개시내용에 속할 수 있음을 유념한다.
마지막으로, 본 개시내용에 설명된 실시예들이 단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원리를 예시하는 것임을 이해한다. 채택될 수 있는 다른 수정들은 본 출원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예로서 제한하지 않고, 본 명세서의 교시내용들에 따라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대안적인 구성들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도입되고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23)

  1. 음향 출력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sound guiding holes)로부터 사운드들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 음향 구동기;
    적어도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로부터 사운드들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 음향 구동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 음향 구동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 음향 구동기를 지지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이 사용자의 귀의 위치로부터 떨어져 위치되게 하도록 구성된 지지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사운드들의 진폭비가 제 1 진폭비이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사운드들의 진폭비가 제 2 진폭비이고, 상기 제 1 진폭비는 상기 제 2 진폭비보다 큰, 음향 출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음향 구동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사운드들은 제 1 주파수 범위에 있고, 상기 고-주파 음향 구동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사운드들은 제 2 주파수 범위에 있으며, 상기 제 2 주파수 범위는 상기 제 1 주파수 범위보다 높은 주파수들을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진폭비 및 상기 제 2 진폭비는 1 내지 1.5의 범위 내에 있는, 음향 출력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 음향 구동기로부터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까지의 제 1 음향 경로는 음향 저항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음향 저항 재료는 음향 임피던스를 가지고 상기 제 1 진폭비에 영향을 미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 음향 구동기로부터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까지의 제 2 음향 경로는 음향 저항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음향 저항 재료는 음향 임피던스를 가지고 상기 제 2 진폭비에 영향을 미치는, 음향 출력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 음향 구동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 음향 구동기의 제 1 전방 챔버 및 제 1 후방 챔버를 규정하는 제 1 하우징에 위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 음향 구동기의 상기 제 1 전방 챔버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 중 하나에 음향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 음향 구동기의 상기 제 1 후방 챔버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 중 다른 하나에 음향적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 음향 구동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 음향 구동기의 제 2 전방 챔버 및 제 2 후방 챔버를 규정하는 제 2 하우징에 위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 음향 구동기의 상기 제 2 전방 챔버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 중 하나에 음향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 음향 구동기의 상기 제 2 후방 챔버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 중 다른 하나에 음향적으로 결합되는, 음향 출력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 음향 구동기의 상기 제 1 전방 챔버 및 상기 제 1 후방 챔버는 상이한 음향 임피던스들을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 음향 구동기의 상기 제 2 전방 챔버 및 상기 제 2 후방 챔버는 상이한 음향 임피던스들을 가지는, 음향 출력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음향 경로는 사운드 안내 튜브, 사운드 공동(sound cavity), 공명 공동, 사운드 홀(sound hole), 사운드 슬릿(sound slit) 또는 튜닝 네트워크(tuning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1 사운드 안내 홀들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사운드들의 위상차가 제 1 위상차이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2 사운드 안내 홀들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사운드들의 위상차가 제 2 위상차이고, 상기 제 1 위상차의 절대값이 상기 제 2 위상차의 절대값보다 작은, 음향 출력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상차의 상기 절대값은 160도 내지 180도 범위 내에 있고, 상기 제 2 위상차의 상기 절대값은 170도 내지 180도 범위 내에 있는, 음향 출력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217039208A 2019-04-30 2019-12-31 음향 출력 장치 KR1025335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364346 2019-04-30
CN201910364346.2 2019-04-30
CN201910888067.6 2019-09-19
CN201910888762.2 2019-09-19
CN201910888762 2019-09-19
CN201910888067 2019-09-19
PCT/CN2019/130884 WO2020220720A1 (zh) 2019-04-30 2019-12-31 一种声学输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908A KR20220017908A (ko) 2022-02-14
KR102533570B1 true KR102533570B1 (ko) 2023-05-19

Family

ID=7302859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9208A KR102533570B1 (ko) 2019-04-30 2019-12-31 음향 출력 장치
KR1020217038992A KR102533573B1 (ko) 2019-04-30 2020-01-06 음향 출력 디바이스
KR1020217039003A KR102511669B1 (ko) 2019-04-30 2020-04-10 음향 출력 장치 및 그 방법들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8992A KR102533573B1 (ko) 2019-04-30 2020-01-06 음향 출력 디바이스
KR1020217039003A KR102511669B1 (ko) 2019-04-30 2020-04-10 음향 출력 장치 및 그 방법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46) US11425481B2 (ko)
EP (3) EP3952336A4 (ko)
JP (4) JP2022531254A (ko)
KR (3) KR102533570B1 (ko)
BR (3) BR112021021746A2 (ko)
WO (19) WO20202207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41551B2 (en) 2011-12-23 2023-05-02 Shenzhen Shokz Co., Ltd. Bone conduction speaker and compound vibration device thereof
US11595760B2 (en) 2011-12-23 2023-02-28 Shenzhen Shokz Co., Ltd. Bone conduction speaker and compound vibration device thereof
US11716575B2 (en) 2011-12-23 2023-08-01 Shenzhen Shokz Co., Ltd. Bone conduction speaker and compound vibration device thereof
US11706574B2 (en) 2014-01-06 2023-07-18 Shenzhen Shokz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uppressing sound leakage
US11622209B2 (en) 2014-01-06 2023-04-04 Shenzhen Shokz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uppressing sound leakage
WO2020220720A1 (zh) * 2019-04-30 2020-11-05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声学输出装置
US11832060B2 (en) 2014-01-06 2023-11-28 Shenzhen Shokz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uppressing sound leakage
US11627419B2 (en) 2014-01-06 2023-04-11 Shenzhen Shokz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uppressing sound leakage
US11589171B2 (en) 2014-01-06 2023-02-21 Shenzhen Shokz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uppressing sound leakage
GB2536650A (en) 2015-03-24 2016-09-28 Augmedics Ltd Method and system for combining video-based and optic-based augmented reality in a near eye display
US10757501B2 (en) 2018-05-01 2020-08-25 Facebook Technologies, Llc Hybrid audio system for eyewear devices
EP3787543A4 (en) 2018-05-02 2022-01-19 Augmedics Ltd. REGISTRATION OF A REFERENCE MARK FOR AN AUGMENTED REALITY SYSTEM
CN112437968A (zh) * 2018-07-27 2021-03-02 索尼公司 音响输出装置
US11766296B2 (en) 2018-11-26 2023-09-26 Augmedics Ltd. Tracking system for image-guided surgery
CN109547906B (zh) 2019-01-05 2023-12-08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骨传导扬声装置
US11980506B2 (en) 2019-07-29 2024-05-14 Augmedics Ltd. Fiducial marker
US20210152907A1 (en) * 2019-08-09 2021-05-20 Sds Asia Limited, Bvi #1748971 Speaker apparatus
US20210105556A1 (en) * 2019-10-08 2021-04-08 Soniphi Llc Systems & Methods For Expanding Sensation Using Isobaric Chambers
US11382712B2 (en) 2019-12-22 2022-07-12 Augmedics Ltd. Mirroring in image guided surgery
KR20210089292A (ko) * 2020-01-07 2021-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DE102020201533A1 (de) * 2020-02-07 2021-08-1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orrichtung zur schallwandlung mit einem akustischen filter
US11304006B2 (en) * 2020-03-27 2022-04-12 Bose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broadcasting audio
US11686947B2 (en) * 2020-05-27 2023-06-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tructural fiber component for injection molding in head mounted displays
US11494160B1 (en) 2020-06-30 2022-11-08 App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manipulating audio properties of objects
CA198230S (en) * 2020-07-01 2022-02-02 Shenzhen Voxtech Co Ltd Hearing aid
CN112135216A (zh) * 2020-10-16 2020-12-25 深圳市喜来喜科技有限公司 一种可适配不同头型的蓝牙耳机
EP4177668A4 (en) * 2020-11-26 2024-03-27 Shenzhen Shokz Co Ltd PORTABLE DEVICE
CN112738680A (zh) * 2020-12-24 2021-04-30 王鑫洪 一种挂耳式个人音响设备
EP4164248A4 (en) * 2021-02-10 2023-10-11 Shenzhen Shokz Co., Ltd. HEARING AID
CN116918350A (zh) * 2021-04-25 2023-10-20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声学装置
KR20230147729A (ko) * 2021-04-27 2023-10-23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음향입출력장치
US11841554B2 (en) * 2021-04-29 2023-12-12 Brandon Gaynor Eyewear interface assembly
US11896445B2 (en) 2021-07-07 2024-02-13 Augmedics Ltd. Iliac pin and adapter
US11678103B2 (en) * 2021-09-14 2023-06-13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Audio system with tissue transducer driven by air conduction transducer
USD1022019S1 (en) * 2021-09-15 2024-04-09 Shenzhen Shokz Co., Ltd. Glasses with headphones
USD1022023S1 (en) 2021-09-15 2024-04-09 Shenzhen Shokz Co., Ltd. Endpieces of glasses with headphones
USD1022018S1 (en) * 2021-09-15 2024-04-09 Shenzhen Shokz Co., Ltd. Glasses with headphones
USD1022011S1 (en) 2021-09-15 2024-04-09 Shenzhen Shokz Co., Ltd. V-shaped part of glasses with headphones
USD1022020S1 (en) * 2021-09-15 2024-04-09 Shenzhen Shokz Co., Ltd. Glasses with headphones
USD1022016S1 (en) * 2021-09-15 2024-04-09 Shenzhen Shokz Co., Ltd. Glasses with headphones
USD1022017S1 (en) * 2021-09-15 2024-04-09 Shenzhen Shokz Co., Ltd. Glasses with headphones
WO2023084575A1 (ja) * 2021-11-09 2023-05-1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音響信号出力装置
WO2023084574A1 (ja) * 2021-11-09 2023-05-1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音響信号出力装置
JP2023554206A (ja) * 2021-11-19 2023-12-27 シェンツェン・ショックス・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オープン型音響装置
CN114157954B (zh) * 2021-11-29 2023-10-17 昆山海菲曼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平板低音增强耳机
CN114554340B (zh) * 2022-01-07 2022-12-30 深圳市丰景晟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新型气导传感结构的开放式耳机
CN114401476A (zh) * 2022-01-24 2022-04-26 高创(苏州)电子有限公司 一种分频式扬声器及其控制方法、电子设备
WO2023188345A1 (ja) * 2022-03-31 2023-10-0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音響信号出力装置
WO2024004089A1 (ja) * 2022-06-29 2024-01-0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音響信号出力装置
CN117956333A (zh) * 2022-10-28 2024-04-30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开放式耳机
CN220383196U (zh) 2022-10-28 2024-01-23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耳机
WO2024100817A1 (ja) * 2022-11-10 2024-05-1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音響信号出力装置
WO2024100815A1 (ja) * 2022-11-10 2024-05-1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音響信号出力装置
WO2024100816A1 (ja) * 2022-11-10 2024-05-1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音響信号出力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7464A (ja) * 2004-11-29 2006-06-15 Kyocera Corp 音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27320A (en) 1941-11-12 1943-08-17 Sonotone Corp Amplifying hearing aid
WO1994025957A1 (en) 1990-04-05 1994-11-10 Intelex, Inc., Dba Race Link Communications Systems, Inc. Voice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for high ambient noise conditions
US5450061A (en) 1994-04-08 1995-09-12 Detection Systems, Inc. Glass break detection using temporal sequence of selected frequency characteristics
US5572594A (en) 1994-09-27 1996-11-05 Devoe; Lambert Ear canal device holder
US5775855A (en) 1995-06-08 1998-07-07 Valenite Inc. Cutting insert and cutter for milling
JP3153113B2 (ja) 1995-09-28 2001-04-03 富士通テン株式会社 ヘッドホン装置
DE19616870A1 (de) 1996-04-26 1997-10-30 Sennheiser Electronic Am Körper eines Benutzers lagerbare Schallwiedergabevorrichtung
NL1011538C2 (nl) 1999-03-11 2000-09-12 Stertil Bv Voertuighefinrichting.
CN1121809C (zh) * 1999-04-09 2003-09-17 张凡 扬声器
EP1045544A1 (fr) 1999-04-13 2000-10-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éduction des clics pour signaux vocaux codés MICDA (ADPCM)
WO2001041496A2 (en) 1999-12-02 2001-06-07 Tokin Corporation Vibration actuator having an elastic member between a suspension plate and a magnetic circuit device
KR200190070Y1 (ko) * 2000-02-26 2000-07-15 김성일 다채널헤드폰
KR100344091B1 (ko) 2000-04-18 2002-07-24 주식회사 도우미텍 골도 진동자 및 이것을 이용한 골도 스피커 헤드셋
KR100335171B1 (en) 2000-09-25 2002-05-11 Mm Gear Multi-channel headphone system
WO2002078393A2 (en) 2001-03-27 2002-10-03 Sensimetrics Corporation A directional receiver for hearing aids
KR20040011859A (ko) * 2002-07-31 2004-02-11 주식회사 디유전자 알파벳 유자 모양의 어깨 착용형 진동 우퍼 스피커
KR100390003B1 (en) 2002-10-02 2003-07-04 Joo Bae Kim Bone-conduction speaker using vibration plate and mobile telephone using the same
US20040105568A1 (en) * 2002-12-03 2004-06-03 Po-Hsiung Lee Speaker with enhanced magnetic flux
JP2004274593A (ja) 2003-03-11 2004-09-30 Temuko Japan:Kk 骨伝導スピーカ
WO2004095878A2 (en) 2003-04-23 2004-11-04 Rh Lyon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sound transduction with minimal interference from background noise and minimal local acoustic radiation
JP4079827B2 (ja) 2003-05-14 2008-04-23 富士通テン株式会社 スピーカ装置
CA2432832A1 (en) 2003-06-16 2004-12-16 James G. Hildebrandt Headphones for 3d sound
US7327850B2 (en) 2003-07-15 2008-02-05 Bose Corporation Supplying electrical power
US7019605B2 (en) * 2003-10-30 2006-03-28 Larson Iii John D Stacked bulk acoustic resonator band-pass filter with controllable pass bandwidth
US7570777B1 (en) * 2004-01-13 2009-08-04 Step Labs, Inc. Earset assembly
CN1898939A (zh) 2004-02-20 2007-01-17 株式会社坦姆科日本 骨传导型手持器
WO2006121956A1 (en) * 2005-05-09 2006-11-16 Infinite Z, Inc. Biofeedback eyewear system
JP4631070B2 (ja) 2005-05-23 2011-02-16 並木精密宝石株式会社 骨伝導スピーカ
JP2006352367A (ja) * 2005-06-14 2006-12-28 Sony Corp 音響装置
US8457324B2 (en) * 2005-08-16 2013-06-0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irectional speaker system
US7945297B2 (en) * 2005-09-30 2011-05-17 Atmel Corporation Headsets and headset power management
US7890377B2 (en) 2005-10-31 2011-02-15 Phonak Ag Method for producing an order and ordering apparatus
FR2892886B1 (fr) * 2005-11-03 2008-01-25 Bernard Richoux Transducteur electrodynamique, applications aux haut-parleurs et geophones
US8111854B2 (en) 2006-11-29 2012-02-07 Yan-Ru Peng Methods and apparatus for sound production
GB2434708B (en) * 2006-01-26 2008-02-27 Sonaptic Ltd Ambient noise reduction arrangements
US7957541B2 (en) * 2006-01-27 2011-06-0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coustic compliance adjuster
CN101022678A (zh) * 2006-02-13 2007-08-22 致胜科技股份有限公司 骨传导多声道装置
JP2007251358A (ja) 2006-03-14 2007-09-27 Nec Tokin Corp 骨伝導スピーカ
EP2011367B1 (en) 2006-03-22 2014-12-03 Bone Tone Communications Ltd. Method and system for bone conduction sound propagation
EP1999990A2 (en) 2006-03-27 2008-12-10 Knowles Electronics, LLC Electroacoustic transducer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170249B2 (en) 2006-06-19 2012-05-01 Sonion Nederland B.V. Hearing aid having two receivers each amplifying a different frequency range
CN101098353A (zh) * 2006-06-27 2008-01-02 明基电通股份有限公司 能与移动通讯装置通讯的耳机装置
US7933427B2 (en) * 2006-06-27 2011-04-26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equal acoustics porting
US7916888B2 (en) * 2006-06-30 2011-03-29 Bose Corporation In-ear headphones
KR101135396B1 (ko) 2006-07-03 2012-04-17 아이필유(주) 다기능 초소형 스피커
EP2055138A1 (en) * 2006-07-28 2009-05-06 James G. Hildebrandt Headphone improvements
KR20090060273A (ko) 2006-09-07 2009-06-11 가부시기가이샤 템코 재팬 골전도 스피커
US7925307B2 (en) * 2006-10-31 2011-04-12 Palm, Inc. Audio output using multiple speakers
US8175316B2 (en) * 2006-12-05 2012-05-08 Sony Corporation Ear speaker device
US20080166006A1 (en) 2007-01-06 2008-07-10 Apple Inc Light diffuser
KR20080103334A (ko) * 2007-05-23 2008-11-27 (주) 지비테크 휴대용 오디오기기의 리모콘 및 이침 다이어트 이어폰
US8391534B2 (en) 2008-07-23 2013-03-05 Asius Technologies, Llc Inflatable ear device
US8238596B2 (en) 2007-12-10 2012-08-07 Klipsch Group, Inc. In-ear headphones
US8270637B2 (en) 2008-02-15 2012-09-18 Sonitus Medical, Inc. Headset systems and methods
KR20090091378A (ko) 2008-02-25 2009-08-28 정상일 골전도 마이크로폰
US8660289B2 (en) * 2008-02-29 2014-02-25 Apple Inc. Multiple receiver venting system
JP2009260524A (ja) 2008-04-15 2009-11-05 Sony Corp スピーカー装置
JP4355359B1 (ja) * 2008-05-27 2009-10-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マイクを外耳道開口部に設置する耳掛型補聴器
GB0813115D0 (en) * 2008-07-17 2008-08-27 Strong Pacific Hong Kong Ltd Earphone
CN101729955B (zh) 2008-10-15 2014-03-26 诸爱道 安全耳塞机
CN102308594B (zh) * 2009-02-09 2014-01-15 三洋电机株式会社 扬声器单元及便携式信息终端
KR101039813B1 (ko) 2009-03-30 2011-06-13 주식회사 보니아코퍼레이션 골전도와 공기전도 기능을 갖는 듀얼 이어폰
CN201426167Y (zh) * 2009-04-17 2010-03-17 富祐鸿科技股份有限公司 具导音管的开放式结构耳机
CN201774654U (zh) 2010-07-16 2011-03-23 深圳市中兴移动通信有限公司 基于手机上四段式连接的线控耳机电路
EP2670288B1 (en) 2011-01-31 2017-05-31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Articulation section with locking
US9185491B2 (en) * 2011-04-12 2015-11-10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Reinforced diaphragm for a low profile loudspeaker transducer with two sets of inner and outer magnets
US8934647B2 (en) * 2011-04-14 2015-01-13 Bose Corporation Orientation-responsive acoustic driver selection
JP2012249097A (ja) * 2011-05-27 2012-12-13 Kyocera Corp 音声出力装置
US8256566B1 (en) * 2011-08-19 2012-09-04 Rogersound Labs, LLC Speaker enclosure
US9020168B2 (en) * 2011-08-30 2015-04-28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udio delivery with different sound conduction transducers
JP5667018B2 (ja) 2011-09-06 2015-02-12 Kddi株式会社 携帯電話端末、携帯電話端末の音声伝達方法、携帯電話端末の音声伝達プログラム
JP4953490B1 (ja) 2011-09-12 2012-06-13 音茶楽株式会社 ツィンドライバーイヤホン
WO2013047609A1 (ja) 2011-09-30 2013-04-0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US20130108068A1 (en) 2011-10-27 2013-05-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Headset with two-way multiplexed communication
BR112014010230A8 (pt) 2011-10-28 2017-06-20 Magic Leap Inc sistema e método para realidade virtual e aumentada
JP5926950B2 (ja) 2011-12-22 2016-05-25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CN202435598U (zh) 2011-12-23 2012-09-12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骨传导扬声器及其复合振动装置
CN102497612B (zh) 2011-12-23 2013-05-29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骨传导扬声器及其复合振动装置
CN108873372A (zh) * 2018-08-24 2018-11-23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铰链及眼镜
US20130169513A1 (en) * 2012-01-04 2013-07-04 Google Inc. Wearable computing device
CN102647646B (zh) 2012-04-06 2016-03-30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手镯式蓝牙耳机以及手镯式蓝牙耳机电路
JP5812925B2 (ja) 2012-04-12 2015-11-17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2780938B (zh) 2012-06-06 2015-04-15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蓝牙耳机电路板
CN202679440U (zh) 2012-06-08 2013-01-16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带骨传导功能的通信装置
CN202710871U (zh) 2012-06-28 2013-01-30 黄明传 具有接口传输处理功能的眼镜
JP6006598B2 (ja) 2012-09-27 2016-10-12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EP2765786A1 (en) 2013-02-06 2014-08-13 Nagravision S.A. Method to enhance a video content in a receiving device
CN103108268B (zh) 2013-02-07 2016-08-24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扬声器模组及其使用该扬声器模组的电子装置
TWI535302B (zh) * 2013-02-08 2016-05-21 Jian-Quan Pan Multi-channel headphones
US20140253867A1 (en) * 2013-03-05 2014-09-11 Tao Jiang Pair of Projector Glasses
CN103179483B (zh) * 2013-03-12 2016-06-08 中名(东莞)电子有限公司 具有多动态驱动单元的入耳式耳机
CN103209377B (zh) 2013-03-19 2016-02-17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多功能扬声器
CN203233520U (zh) * 2013-03-27 2013-10-09 特通科技有限公司 具接近感测模组的头戴式耳机
CN103167390B (zh) 2013-04-09 2017-04-19 苏州逸巛声学科技有限公司 具有气导作用的骨传导受话器
US9118996B1 (en) * 2013-05-01 2015-08-25 Miguel A. Garcia Head band with wirelessly engaged music player
US9992568B2 (en) * 2013-05-02 2018-06-05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o playback
US8757317B1 (en) * 2013-05-03 2014-06-24 Longinesteno Technology Complex Corporation Barrel-shaped multidirectional loudspeaker enclosure structure
CN203301726U (zh) 2013-05-08 2013-11-20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一种低音扬声器及其应用该低音扬声器的电子装置
CN103260117A (zh) 2013-05-08 2013-08-21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一种低音扬声器及其应用该低音扬声器的电子装置
JP6359807B2 (ja) * 2013-06-12 2018-07-18 京セラ株式会社 音響再生機器
EP2819429B1 (en) * 2013-06-28 2016-06-22 GN Netcom A/S A headset having a microphone
US9571941B2 (en) * 2013-08-19 2017-02-14 Knowles Electronics, Llc Dynamic driver in hearing instrument
GR1008382B (el) * 2013-12-13 2014-12-19 Βασιλειος Γεωργιου Τσακιρης Ηχεια ισορροπημενης κατευθυντικοτητας
CN103716739B (zh) 2014-01-06 2016-11-02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抑制骨传导扬声器漏音的方法及骨传导扬声器
WO2020220720A1 (zh) * 2019-04-30 2020-11-05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声学输出装置
US9380374B2 (en) 2014-01-17 2016-06-28 Okappi, Inc. Hearing assistance systems configured to detect and provide protection to the user from harmful conditions
US8891800B1 (en) 2014-02-21 2014-11-18 Jonathan Everett Shaffer Earbud charging case for mobile device
CN104883635B (zh) * 2014-02-28 2019-08-16 宁波升亚电子有限公司 一种近头式扬声器装置及其应用
US9762199B2 (en) * 2014-03-31 2017-09-12 Bitwave Pte Ltd. Facilitation of headphone audio enhancement
US10313793B2 (en) * 2014-06-03 2019-06-04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Passive and active virtual height filter systems for upward firing drivers
US20150381333A1 (en) * 2014-06-26 2015-12-31 Harris Corporation Novel approach for enabling mixed mode behavior using microphone placement on radio terminal hardware
US9578412B2 (en) * 2014-06-27 2017-02-21 Apple Inc. Mass loaded earbud with vent chamber
JP6431973B2 (ja) 2014-07-18 2018-11-28 ボーズ・コーポレーションBose Corporation 音響装置
WO2016063613A1 (ja) * 2014-10-20 2016-04-28 ソニー株式会社 音響再生装置
EP3211917B1 (en) 2014-10-24 2020-02-26 Sony Corporation Earphone
JP5759641B1 (ja) 2014-10-24 2015-08-05 太陽誘電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装置及び電子機器
CN104540076B (zh) 2014-11-20 2018-09-07 歌尔股份有限公司 扬声器模组
KR102362727B1 (ko) * 2014-12-18 2022-02-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맥박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CN107005759A (zh) * 2014-12-24 2017-08-01 株式会社坦姆科日本 骨传导耳机
CN104581483A (zh) 2014-12-24 2015-04-29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开放式耳机
TWM500412U (zh) * 2015-01-14 2015-05-01 Jetvox Acoustic Corp 具有導音管之耳機結構
CN204377095U (zh) * 2015-01-22 2015-06-03 邹士磊 偶极高辐射抗型耳机
US9648412B2 (en) 2015-02-06 2017-05-09 Skullcandy, Inc. Speakers and headphones related to vibrations in an audio system, and methods for operating same
CN104863635B (zh) 2015-04-21 2017-04-05 西南石油大学 一种隧道沉降的自动监测报警装置及其使用方法
CN204810512U (zh) * 2015-06-01 2015-11-25 深圳市贝多福科技有限公司 具有独立音腔的导音结构
CN106303779B (zh) * 2015-06-03 2019-07-12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耳机
CN104869515A (zh) * 2015-06-08 2015-08-26 西安康弘新材料科技有限公司 动圈扬声器配合压电扬声器高保真音箱
US9613615B2 (en) * 2015-06-22 2017-04-04 Sony Corporation Noise cancellation system, headset and electronic device
US10375479B2 (en) 2015-08-04 2019-08-06 Curtis E. Graber Electric motor
PT3337185T (pt) * 2015-08-13 2021-08-30 Shenzhen Voxtech Co Ltd Altifalante de condução óssea
CN204859471U (zh) 2015-08-24 2015-12-09 嘉善豪声电子有限公司 使用fpc引线的手机扬声器腔体及包括该腔体的扬声器
CN204948328U (zh) * 2015-08-26 2016-01-06 成都优逸工业设计有限公司 三单元动铁耳机分频电路
CN204948329U (zh) * 2015-08-26 2016-01-06 成都优逸工业设计有限公司 四单元动铁耳机分频电路
CN205081951U (zh) 2015-09-01 2016-03-09 深圳市冠旭电子有限公司 一种线控耳机电路及线控耳机
CN204948313U (zh) * 2015-09-06 2016-01-06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骨传导无线耳机
CN105208480B (zh) 2015-09-24 2019-07-02 厦门宇特信息技术有限公司 滑动导电式头戴耳机
CN106792304A (zh) * 2015-11-21 2017-05-31 王永明 一种多驱动器入耳式耳机
CN108370465B (zh) * 2015-12-14 2020-09-22 哈曼贝克自动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包括至少一个听筒的耳机装置
CN205336486U (zh) * 2015-12-15 2016-06-22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骨传导无线耳机
EP3185589B1 (en) 2015-12-22 2024-02-07 Oticon A/s A hearing device comprising a microphone control system
US20170195795A1 (en) * 2015-12-30 2017-07-06 Cyber Group USA Inc. Intelligent 3d earphone
US9794676B2 (en) * 2016-01-12 2017-10-17 Bose Corporation Headphone
US9794677B2 (en) * 2016-01-12 2017-10-17 Bose Corporation Headphone
US9905244B2 (en) 2016-02-02 2018-02-27 Ebay Inc. Personalized, real-time audio processing
DE112017000753B4 (de) 2016-02-10 2021-12-3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Fahrzeugannäherungs-Mitteilungsvorrichtung
DE102016103477A1 (de) * 2016-02-26 2017-08-31 USound GmbH Audiosystem mit strahlformenden Lautsprechern sowie Brille mit einem derartigen Audiosystem
TWM524028U (zh) 2016-03-25 2016-06-11 Jetvox Acoustic Corp 具有集流管之耳機裝置
CN107231585A (zh) * 2016-03-25 2017-10-03 富祐鸿科技股份有限公司 耳机结构
WO2017168903A1 (ja) * 2016-03-29 2017-10-05 ソニー株式会社 音響再生装置
JP6783541B2 (ja) 2016-03-30 2020-11-11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プログラム及び仮想現実体験提供装置
CN205510154U (zh) * 2016-04-13 2016-08-2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US10277971B2 (en) * 2016-04-28 2019-04-30 Roxilla Llc Malleable earpiece for electronic devices
CN205754812U (zh) * 2016-05-12 2016-11-30 深圳市盛佳丽电子有限公司 一种动铁耳机的分频电路
US10129647B2 (en) * 2016-05-25 2018-11-13 Lg Electronics Inc. Wireless sound equipment
KR101812227B1 (ko) * 2016-05-26 2017-12-27 (주)인시그널 동작 인식 기반의 스마트 글래스 장치
US9838787B1 (en) 2016-06-06 2017-12-05 Bose Corporation Acoustic device
US9949030B2 (en) 2016-06-06 2018-04-17 Bose Corporation Acoustic device
CN106231462A (zh) * 2016-08-08 2016-12-14 珠海声浪科技有限公司 一种耳机
KR101830246B1 (ko) 2016-08-09 2018-03-29 주식회사 이엠텍 넥밴드형 무선 음향 변환 장치
US10757503B2 (en) * 2016-09-01 2020-08-25 Audeze, Llc Active noise control with planar transducers
US10075783B2 (en) * 2016-09-23 2018-09-11 Apple Inc. Acoustically summed reference microphone for active noise control
CN106375915B (zh) * 2016-10-31 2024-04-16 深圳市冠旭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扬声器及耳机
CN106324849B (zh) 2016-11-07 2018-11-27 东莞市松研智达工业设计有限公司 3d智能眼镜
CN206193360U (zh) * 2016-11-17 2017-05-24 厦门轻居科技有限公司 一种头戴式vr设备
CN106341752A (zh) * 2016-11-24 2017-01-18 深圳市雷森贝尔听力技术有限公司 一种仿生全开放式耳甲增益导声装置及其使用方法
TWI683580B (zh) 2016-12-09 2020-01-21 美律實業股份有限公司 耳機
US10397681B2 (en) * 2016-12-11 2019-08-27 Base Corporation Acoustic transducer
GB2558284B (en) 2016-12-23 2021-12-08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Virtual reality
CN107071607A (zh) * 2017-01-19 2017-08-18 诸爱道 防辐射的蓝牙耳机
US10555106B1 (en) 2017-01-27 2020-02-04 Facebook Technologies, Llc Gaze-directed audio enhancement
KR20180092155A (ko) * 2017-02-08 2018-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CN206640738U (zh) * 2017-02-14 2017-11-14 歌尔股份有限公司 降噪耳机以及电子设备
WO2018157855A1 (zh) * 2017-03-03 2018-09-07 许乐轩 一种可穿戴式立体声设备
CN206575566U (zh) * 2017-03-06 2017-10-20 深圳市冠旭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入耳式耳机
KR20230105001A (ko) * 2017-03-30 2023-07-11 매직 립, 인코포레이티드 비차단 이중 드라이버 이어폰들
US10469951B2 (en) * 2017-04-07 2019-11-05 Correlated Magnetics Research, Llc Loudspeaker magnet and earphone assembly
CN206885707U (zh) 2017-05-09 2018-01-16 硅湖职业技术学院 一体式手机包装盒
US9985596B1 (en) * 2017-05-15 2018-05-29 Bose Corporation Acoustic device
CN107094273A (zh) 2017-05-23 2017-08-25 诸爱道 安全的耳机
CN107105363A (zh) * 2017-06-08 2017-08-29 歌尔科技有限公司 颈戴式智能音箱
CN206865707U (zh) * 2017-06-20 2018-01-09 李阳君 一种新型的耳机导音结构
CN207340117U (zh) 2017-07-18 2018-05-08 深圳市深印柔性电路有限公司 用于耳机的异形fpc板
EP3657816B1 (en) 2017-07-21 2022-07-06 Sony Group Corporation Sound output device
CN207070281U (zh) * 2017-08-18 2018-03-02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骨传导耳机
CN207075075U (zh) * 2017-09-01 2018-03-06 珠海煌荣集成电路科技有限公司 一种虚拟低音生成电路及音频设备
CN207340125U (zh) * 2017-09-06 2018-05-08 深圳市冠旭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运动耳机
CN107509147B (zh) * 2017-09-21 2023-12-12 惠州迪芬尼声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u形短路环的扬声器磁路系统
CN109379654B (zh) 2017-10-05 2020-08-04 诸爱道 一种降噪空气导管麦克风、降噪安全耳机及降噪安全蓝牙耳机
DK3468228T3 (da) * 2017-10-05 2021-10-18 Gn Hearing As Binauralt høresystem med lokalisering af lydkilder
CN107820169A (zh) * 2017-10-18 2018-03-20 深圳精拓创新科技有限公司 扬声器及提高扬声器灵敏度的方法
CN208210280U (zh) * 2018-01-08 2018-12-07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骨传导扬声器的磁路组件
US10555071B2 (en) 2018-01-31 2020-02-04 Bose Corporation Eyeglass headphones
US10380989B1 (en) * 2018-02-22 2019-08-13 Cirrus Logic,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tereophonic audio content
WO2019173577A1 (en) 2018-03-08 2019-09-12 Bose Corporation Audio content engine for audio augmented reality
WO2019173573A1 (en) 2018-03-08 2019-09-12 Bose Corporation User-interfaces for audio-augmented-reality
CN207939700U (zh) * 2018-03-14 2018-10-02 东莞市和乐电子有限公司 一种独立分频的多单元耳机
US10904667B1 (en) * 2018-03-19 2021-01-26 Amazon Technologies, Inc. Compact audio module for head-mounted wearable device
CN108650597B (zh) * 2018-04-12 2020-06-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密封组件、壳体组件及电子设备
CN108535585B (zh) 2018-04-18 2023-05-02 丹阳市精通眼镜技术创新服务中心有限公司 一种光电复合式线盘断线检测眼镜及其制作方法
CN208297647U (zh) 2018-04-18 2018-12-28 丹阳市精通眼镜技术创新服务中心有限公司 一种光电复合式线盘断线检测眼镜
CN108712695B (zh) * 2018-05-18 2021-02-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麦克风模组、印制电路板pcb的制造方法及终端
CN108898516B (zh) 2018-05-30 2020-06-16 贝壳找房(北京)科技有限公司 在虚拟三维空间讲房模式进功能间的方法、服务器和终端
CN208572417U (zh) * 2018-06-28 2019-03-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09032558B (zh) * 2018-07-23 2021-08-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发声控制方法、装置、电子装置及计算机可读介质
CN109151680B (zh) * 2018-07-27 2020-09-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US11113884B2 (en) 2018-07-30 2021-09-07 Disney Enterprises, Inc. Techniques for immersive virtual reality experiences
CN209267805U (zh) 2019-01-05 2019-08-16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骨传导耳机芯及骨传导扬声装置
CN208783039U (zh) * 2018-08-24 2019-04-23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骨传导耳机及眼镜
BR112021004719A2 (pt) 2018-09-12 2021-06-22 Shenzhen Voxtech Co., Ltd. dispositivo de processamento de sinal com múltiplos transdutores elétrico acústicos
US10609465B1 (en) 2018-10-04 2020-03-31 Bose Corporation Acoustic device
US10506362B1 (en) 2018-10-05 2019-12-10 Bose Corporation Dynamic focus for audio augmented reality (AR)
CN208675298U (zh) * 2018-10-12 2019-03-29 上海闻泰信息技术有限公司 导音结构及便携式电子设备
US10631075B1 (en) * 2018-11-12 2020-04-21 Bose Corporation Open ear audio device with bone conduction speaker
WO2020116333A1 (ja) * 2018-12-04 2020-06-11 株式会社アイゾーンジャパン 眼鏡
CN117528322A (zh) * 2019-01-05 2024-02-06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骨传导扬声装置
CN209184799U (zh) 2019-01-05 2019-07-30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电池组件及骨传导扬声装置
CN117528315A (zh) 2019-01-05 2024-02-06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骨传导扬声装置
CN209358728U (zh) 2019-01-05 2019-09-06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骨传导扬声装置
CN114679656A (zh) 2019-01-05 2022-06-28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电池组件及骨传导扬声装置
CN109547906B (zh) 2019-01-05 2023-12-08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骨传导扬声装置
CN109640209B (zh) * 2019-01-24 2021-02-09 合肥星空物联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传感器智能操作的蓝牙耳机
US10812896B2 (en) 2019-03-21 2020-10-20 Facebook Technologies, Llc High compliance microspeakers for vibration mitigation in a personal audio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7464A (ja) * 2004-11-29 2006-06-15 Kyocera Corp 音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86012A1 (en) 2022-12-01
US11743627B2 (en) 2023-08-29
US20230145038A1 (en) 2023-05-11
US20210127197A1 (en) 2021-04-29
US20220030347A1 (en) 2022-01-27
US20230276160A1 (en) 2023-08-31
US11425481B2 (en) 2022-08-23
US20210160610A1 (en) 2021-05-27
US20230336902A1 (en) 2023-10-19
WO2020221359A1 (en) 2020-11-05
US20230007380A1 (en) 2023-01-05
US20240171892A1 (en) 2024-05-23
EP3942844A4 (en) 2022-08-10
US20230156390A1 (en) 2023-05-18
US11838713B2 (en) 2023-12-05
US11671738B2 (en) 2023-06-06
WO2020221254A1 (en) 2020-11-05
WO2020220719A1 (zh) 2020-11-05
US11503395B2 (en) 2022-11-15
US20210168554A1 (en) 2021-06-03
US20240073579A1 (en) 2024-02-29
WO2020220737A1 (zh) 2020-11-05
BR112021021746A2 (pt) 2021-12-28
US20210243518A1 (en) 2021-08-05
US20210168498A1 (en) 2021-06-03
US11818529B2 (en) 2023-11-14
US11516572B2 (en) 2022-11-29
US20210289281A1 (en) 2021-09-16
EP3952336A4 (en) 2022-05-18
KR102511669B1 (ko) 2023-03-21
US20210160606A1 (en) 2021-05-27
WO2020221169A1 (en) 2020-11-05
US20230232145A1 (en) 2023-07-20
US11540038B2 (en) 2022-12-27
US20230171528A1 (en) 2023-06-01
WO2020220722A1 (zh) 2020-11-05
US20230012124A1 (en) 2023-01-12
US20220021963A1 (en) 2022-01-20
US20210160602A1 (en) 2021-05-27
US20210185421A1 (en) 2021-06-17
US20210168500A1 (en) 2021-06-03
WO2020220721A1 (zh) 2020-11-05
US20230066263A1 (en) 2023-03-02
US11689837B2 (en) 2023-06-27
US11856351B2 (en) 2023-12-26
US11838712B2 (en) 2023-12-05
US11653134B2 (en) 2023-05-16
US20230396912A1 (en) 2023-12-07
US20210112329A1 (en) 2021-04-15
WO2020220724A1 (zh) 2020-11-05
EP3952331A4 (en) 2022-05-18
US11570536B2 (en) 2023-01-31
KR102533573B1 (ko) 2023-05-19
BR112021021750A2 (pt) 2021-12-28
US20210235181A1 (en) 2021-07-29
KR20220017905A (ko) 2022-02-14
US11457301B2 (en) 2022-09-27
US11985465B2 (en) 2024-05-14
JP2022531256A (ja) 2022-07-06
US11425482B2 (en) 2022-08-23
US20210168485A1 (en) 2021-06-03
US11622186B2 (en) 2023-04-04
US11178477B2 (en) 2021-11-16
US20210274276A1 (en) 2021-09-02
US20210274280A1 (en) 2021-09-02
US20210271115A1 (en) 2021-09-02
US20230070507A1 (en) 2023-03-09
US20210377645A1 (en) 2021-12-02
US11356763B2 (en) 2022-06-07
US11122359B2 (en) 2021-09-14
WO2020220947A1 (en) 2020-11-05
US20230141946A1 (en) 2023-05-11
US20210274281A1 (en) 2021-09-02
US11490188B2 (en) 2022-11-01
WO2020220734A1 (zh) 2020-11-05
JP7333829B2 (ja) 2023-08-25
WO2020221163A1 (en) 2020-11-05
EP3952331A1 (en) 2022-02-09
JP2022530813A (ja) 2022-07-01
WO2020220723A1 (zh) 2020-11-05
JP2022531254A (ja) 2022-07-06
US20210223577A1 (en) 2021-07-22
US20230156391A1 (en) 2023-05-18
US11930314B2 (en) 2024-03-12
US11496824B2 (en) 2022-11-08
US11917352B2 (en) 2024-02-27
US11689838B2 (en) 2023-06-27
US20210274278A1 (en) 2021-09-02
WO2020220736A1 (zh) 2020-11-05
US20210227306A1 (en) 2021-07-22
WO2020220738A1 (zh) 2020-11-05
US20210168494A1 (en) 2021-06-03
US11445281B2 (en) 2022-09-13
KR20220017904A (ko) 2022-02-14
US11706556B2 (en) 2023-07-18
US20210127200A1 (en) 2021-04-29
WO2020221337A1 (zh) 2020-11-05
US20220264212A1 (en) 2022-08-18
EP3952336A1 (en) 2022-02-09
US11540037B2 (en) 2022-12-27
KR20220017908A (ko) 2022-02-14
US11985466B2 (en) 2024-05-14
US11678098B2 (en) 2023-06-13
US11671737B2 (en) 2023-06-06
WO2020220733A1 (zh) 2020-11-05
US11115774B2 (en) 2021-09-07
US11595745B2 (en) 2023-02-28
BR112021021739A2 (pt) 2021-12-28
US11159870B2 (en) 2021-10-26
JP2023179772A (ja) 2023-12-19
WO2020220970A1 (en) 2020-11-05
US20230109699A1 (en) 2023-04-13
US20210168495A1 (en) 2021-06-03
EP3942844A1 (en) 2022-01-26
WO2020220735A1 (zh) 2020-11-05
US20220070570A1 (en) 2022-03-03
US20230276161A1 (en) 2023-08-31
WO2020220720A1 (zh) 202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3570B1 (ko) 음향 출력 장치
KR20220066918A (ko) 음향 출력 장치
US20230111069A1 (en) Acoustic output apparatus
US1158917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ppressing sound leakage
US1162220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ppressing sound leakage
US20220408172A1 (en) Acoustic output apparatus
RU2782985C1 (ru) Акустическое вых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WO2023245661A1 (zh) 一种耳机
RU2796796C1 (ru) Акустическое вых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