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7729A - 음향입출력장치 - Google Patents

음향입출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7729A
KR20230147729A KR1020237032768A KR20237032768A KR20230147729A KR 20230147729 A KR20230147729 A KR 20230147729A KR 1020237032768 A KR1020237032768 A KR 1020237032768A KR 20237032768 A KR20237032768 A KR 20237032768A KR 20230147729 A KR20230147729 A KR 20230147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output device
microphone
intensity
bone co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2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보 정
펭운 리아오
신 치
Original Assignee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47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772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69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 H04R1/2876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by means of damping material, e.g. as cladding
    • H04R1/288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by means of damping material, e.g. as cladding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1/00Transducers of moving-armature or moving-core type
    • H04R11/02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preventing acoustic reaction, i.e. acoustic oscillatory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04R9/063Loudspeakers using a plurality of acoustic dr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기계적 진동을 생성하여 음파를 전달하는 스피커 조립체; 및 음성신호원이 음성신호를 제공할 때 생성하는 제2 기계적 진동을 수신하고, 상기 제1 기계적 진동과 상기 제2 기계적 진동의 작용하에서 각각 제1 신호와 제2 신호를 생성하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며, 여기서, 일정한 주파수 범위 내에서, 제1 기계적 진동과 제1 신호의 비율값은 제2 기계적 진동과 제2 신호의 비율값보다 큰 음향입출력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향입출력장치
본 출원은 음향학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향입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 조립체는 기계적 진동을 발생하여 소리를 전달한다. 마이크로폰은 사용자가 말할 때의 피부 등 위치의 진동을 픽업하여, 사용자가 말하는 음성신호를 수신한다. 스피커 조립체와 마이크로폰이 동시에 작동할 때, 스피커 조립체의 기계적 진동은 마이크로폰에 전달되어, 마이크로폰으로 하여금 스피커 조립체의 진동신호를 수신하여 에코를 생성하게 하며, 마이크로폰이 생성하는 소리신호의 품질을 하강시키고, 사용자의 사용체험에 영향을 준다.
본 출원은 마이크로폰에 대한 스피커 조립체의 영향을 하강시키고, 마이크로폰이 생성하는 에코신호의 강도를 감소시키며, 마이크로폰이 수집하는 음성신호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음향입출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향입출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골전도 마이크로폰의 진동에 대한 스피커 조립체의 영향을 하강시키고, 골전도 마이크로폰이 생성하는 에코신호의 강도를 감소시키고, 골전도 마이크로폰이 소리신호를 픽업하는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기술적 해결방안은 아래와 같다.
음향입출력장치로서, 제1 기계적 진동을 생성하여 음파를 전달하는 스피커 조립체; 및 음성신호원이 음성신호를 제공할 때 생성하는 제2 기계적 진동을 수신하고, 상기 제1 기계적 진동과 상기 제2 기계적 진동의 작용하에서 각각 제1 신호와 제2 신호를 생성하는 마이크로폰으로서, 여기서, 일정한 주파수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기계적 진동의 강도와 상기 제1 신호의 강도의 비율값이 상기 제2 기계적 진동의 강도와 상기 제2 신호의 강도의 비율값보다 큰, 상기 마이크로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피커 조립체는 골전도 스피커 조립체이며, 골전도 스피커 조립체는 하우징 및 하우징과 연결되는 제1 기계적 진동을 생성하기 위한 진동소자를 포함하고, 마이크로폰은 하우징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가 음향입출력장치를 착용할 때, 음향입출력장치에서 사용자와 접촉하는 부분이 받는 조임력은 0.1N~0.5N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흡수구조를 더 포함하며, 마이크로폰은 진동흡수구조를 통해 스피커 조립체와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흡수구조는 탄성률이 제1 역치보다 작은 진동흡수재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흡수재료의 탄성률은 0.01Mpa~1000Mpa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흡수구조의 두께는 0.5mm~5mm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마이크로폰의 표면의 제1 부분은 제2 기계적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고, 마이크로폰의 표면의 제2 부분에는 진동흡수구조가 배치되며 진동흡수구조를 통해 스피커 조립체와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마이크로폰의 표면의 제1 부분에는 진동전달층이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전달층의 재료의 탄성률은 제2 역치보다 크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피커 조립체는 하우징과 진동소자를 포함하며, 하우징과 진동소자 사이에는 제1 연결구조를 구비하고, 마이크로폰과 하우징 사이에는 제2 연결구조를 구비하며, 제1 연결구조는 제1 진동흡수구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연결구조는 제2 진동흡수구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소자의 질량은 0.005g~0.3g의 범위 내에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가 음향입출력장치를 착용할 때, 음향입출력장치에서 사용자와 접촉하는 부분이 받는 조임력은 0.01N~0.05N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피커 조립체는 제1 진동막과 제2 진동막을 포함하며, 제1 진동막과 제2 진동막의 진동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피커 조립체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하우징은 제1 캐비티와 제2 캐비티를 포함하며, 제1 진동막과 제2 진동막은 각각 제1 캐비티와 제2 캐비티 내에 위치하며, 제1 캐비티의 측벽에는 제1 소리투과공과 제2 소리투과공이 개공되고, 제2 캐비티의 측벽에는 제3 소리투과공과 제4 소리투과공이 개공되고, 제1 소리투과공이 내는 소리의 위상은 제3 소리투과공이 내는 소리의 위상과 동일하고, 제2 소리투과공이 내는 소리의 위상은 제4 소리투과공이 내는 소리의 위상과 동일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소리투과공과 제3 소리투과공은 하우징의 동일한 측벽에 배치되고, 제2 소리투과공과 제4 소리투과공은 하우징의 동일한 측벽에 배치되고, 제1 소리투과공과 제2 소리투과공은 하우징의 인접되지 않는 측벽에 배치되고, 제3 소리투과공과 제4 소리투과공은 하우징의 인접되지 않는 측벽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피커 조립체는 자기장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자기회로조립체와 제2 자기회로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제1 자기회로조립체는 상기 제1 진동막으로 하여금 진동을 생성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제2 자기회로조립체는 제2 진동막으로 하여금 진동을 생성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제1 캐비티와 제2 캐비티는 연통되고, 제1 자기회로조립체와 제2 자기회로조립체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음성신호원은 사용자가 음성신호를 제공할 때의 진동부위이고, 사용자가 음향입출력장치를 착용할 때, 마이크로폰과 사용자의 진동부위의 거리는 제3 역치보다 크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마이크로폰은 사용자의 성대, 후두, 입, 비강 중 적어도 하나의 부근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음향입출력장치는 고정조립체를 더 포함하며, 고정조립체는 음향입출력장치와 사용자의 안정된 접촉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며, 고정조립체는 스피커 조립체와 고정연결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음향입출력장치는 머리착용식 이어폰이며, 고정조립체는 머리띠 및 머리띠의 양측에 연결되는 2개의 귀덮개를 포함하고, 머리띠는 사용자의 두골과 고정되고 2개의 귀덮개를 사용자의 두골의 양측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며, 마이크로폰과 스피커 조립체는 각각 2개의 귀덮개 내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음향입출력장치는 양귀 머리착용식 이어폰이며, 각 귀덮개의 사용자와 접촉하는 일측에는 스펀지 커버가 배치되며, 마이크로폰은 스펀지 커버 내에 수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신호의 강도와 제3 신호의 강도의 비율은 역치보다 크다.
본 출원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는, 또한, 제1 기계적 진동을 생성하여 음파를 전달하는 스피커 조립체; 및 음성신호원이 음성신호를 제공할 때 생성하는 제2 기계적 진동을 수신하고, 상기 제1 기계적 진동과 상기 제2 기계적 진동의 작용하에서 각각 제1 신호와 제2 신호를 생성하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고, 마이크로폰의 진동방향과 제1 기계적 진동의 방향이 형성하는 제1 협각은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일정한 주파수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기계적 진동의 강도와 상기 제1 신호의 강도의 비율값이 상기 제2 기계적 진동의 강도와 상기 제2 신호의 강도의 비율값보다 크게 하는, 음향입출력장치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협각은 20º~90º의 각도 범위 내에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협각은 90º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마이크로폰의 진동방향과 제2 기계적 진동의 방향이 형성하는 제2 협각은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상기 제1 기계적 진동의 강도와 상기 제1 신호의 강도의 비율값이 상기 제2 기계적 진동의 강도와 상기 제2 신호의 강도의 비율값보다 크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협각은 0º~85º의 각도 범위 내에 있다.
본 출원은 예시적인 실시예의 방식으로 더 설명하며, 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된다. 이 실시예들은 제한적이 아니며, 이 실시예들에서, 동일한 부호는 유사한 구조를 표시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입출력장치의 구조블록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입출력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입출력장치의 일부분 구조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입출력장치의 진동전달의 간이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입출력장치의 다른 하나의 기계적 진동 전달모형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입출력장치의 진동전달의 다른 하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쌍축 마이크로폰이 계산하여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신호와 제1 신호의 강도 곡선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신호와 제1 신호의 다른 하나의 강도 곡선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전도 마이크로폰과 진동흡수구조가 연결된 단면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진동흡수구조를 구비하는 음향입출력장치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입출력장치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입출력장치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2개의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를 구비하는 음향입출력장치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2개의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를 구비하는 음향입출력장치의 다른 하나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머리착용식 이어폰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단일 귀 머리착용식 이어폰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양귀 머리착용식 이어폰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안경의 구조 개략도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방안을 더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아래에서는 실시예들의 설명에서 사용하여야 하는 도면들을 간단히 소개한다. 물론, 아래의 설명에서 첨부도면은 단지 본 출원의 일부 예 또는 실시예이며,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창조적인 노동을 하지 않고, 이러한 첨부도면들에 근거하여 본 출원을 기타 유사한 장면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해하여야 할 것은,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제공하는 것은 단지 관련 분야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하고 구현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임의의 방식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하문에서 명확히 얻을 수 있거나 별도로 설명된 경우 외에,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조나 동작을 표시한다.
본 출원과 청구범위에서 기재하는 바와 같이, 문맥에서 별도로 명확하게 지시하지 않는 한, "하나", "일" 및 "상기" 등 단어는 단수만 특정적으로 가리키는 것이 아니고 복수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용어 "포함", "포괄"은 단지 명시된 절차들 및 요소들을 포함함을 의미하며, 이러한 절차들 및 요소들은 배타적인 나열을 형성하지 않으며, 방법 또는 장치는 기타 단계 또는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에 근거하여 "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 근거하여"의 의미이다. 용어 "하나의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표시하고, 용어 "다른 하나의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다. 기타 용어의 관련 정의는 아래의 설명에서 제공한다. 아래에서, 일반성을 잃지 않는 정황하에서, 본 발명 중의 골전도 관련 기술을 설명할 때, "골전도 마이크로폰", "골전도 마이크로폰 조립체", "골전도 스피커", "골전도 스피커 조립체" 또는 "골전도 이어폰"의 서술을 적용한다. 본 발명에서 기전도 관련 기술을 설명할 때, "기전도 마이크로폰", "기전도 마이크로폰 조립체", "기전도 스피커",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 또는 "기전도 이어폰"의 서술을 적용한다. 이러한 서술은 골전도 응용의 일종 형식으로서,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장치" 또는 "이어폰"은 기타 같은 유형의 단어, 예를 들면, "플레이어", "보청기",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 사실상, 본 발명 중의 각 종 구현방식은 매우 편리하게 기타 비스피커 유형의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분야의 전문가에 있어서, 장치의 기본 원리를 요해한 후, 이 원리를 이탈하지 않는 정황하에서, 장치의 구체적인 양태 및 단계들에 대해 형식상 및 세부상에서 각 종 수정과 변화를 실시할 수 있으며, 특히, 장치에 환경소음 픽업 및 처리기능을 추가하여, 해당 장치가 보청기의 기능을 구현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골전도 마이크로폰 등 마이크로폰은 사용자/착용자의 주위 환경속의 소리를 픽업하고, 일정한 알고리즘하에서, 소리를 처리한 후(또는 생성하는 전기신호) 스피커 조립체 부분에 전송한다. 즉, 골전도 마이크로폰은 일정한 수정을 거쳐, 환경속 소리를 픽업하는 기능을 추가하고, 일정한 신호처리를 거친 후 스피커 조립체 부분을 통해 소리를 사용자/착용자에게 전달하여, 보청기의 기능을 구현한다. 예를 들면, 여기서 일컫는 알고리즘은 소음제거, 자동게인제어, 소리피드백억제, 대폭 동적범위 압축, 능동 환경식별, 능동 소음방지, 방향처리, 이명처리, 다중채널 대폭 동적범위 압축, 능동 하울링 억제, 음량제어 등 중 하나 또는 여러개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입출력장치의 구조블록도이다. 도 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음향입출력장치(100)는 스피커 조립체(110), 마이크로폰 조립체(120) 및 고정조립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 조립체(110)는 소리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소리신호("음성신호"라고도 부를 수 있다)로 전환시키는 데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피커 조립체(110)는 소리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한 데 응답하여, 기계적 진동을 생성하여 음파(즉, 소리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스피커 조립체(110)가 생성하는 기계적 진동을 "제1 기계적 진동"이라고 부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피커 조립체는 진동소자 및/또는 진동소자와 연결되는 진동전달소자(예를 들면, 음향입출력장치(100)의 적어도 일부분의 하우징, 진동전달편)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 조립체(110)는 제1 기계적 진동이 발생할 때 에너지 전환이 따르며, 스피커 조립체(110)는 소리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의 기계적 진동으로의 전환을 구현할 수 있다. 전환과정은 여러 가지 상이한 유형의 에너지의 공존과 전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신호(즉, 소리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는 스피커 조립체(110)의 진동소자 중의 에너지 전환장치를 통해 직접 제1 기계적 진동으로 전환될 수 있고, 스피커 조립체(110)의 진동전달소자를 통해 제1 기계적 진동을 전달하여 음파를 전달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소리정보는 광신호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일종의 특정된 에너지 전환장치는 광신호를 진동신호로 전환시키는 과정을 구현할 수 있다. 에너지 전환장치의 작동과정에서 공존하고 전환될 수 있는 기타 유형의 에너지는 열에너지, 자기장 에너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에너지 전환장치의 에너지 전환방식은 가동코일식, 정전기식, 압전기식, 가동철편식, 기동식, 전자기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 조립체(110)는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 및/또는 골전도 스피커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피커 조립체(110)는 진동소자와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피커 조립체(110)가 골전도 스피커 조립체일 때, 스피커 조립체(110)의 하우징은 사용자 신체의 어느 부위(예를 들면, 얼굴)와 접촉하여 진동소자가 생성하는 제1 기계적 진동을 골격을 경과하여 청각신경에 전달하여, 사용자가 소리를 듣게 하는 데 이용될 수 있으며, 음향입출력장치(100)의 적어도 일부분 케이스로서 진동소자와 마이크로폰 조립체(120)를 수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피커 조립체(110)가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일 때, 진동소자는 공기진동을 추동하여 공기 밀도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소리를 듣게 하고, 하우징은 음향입출력장치(100)의 적어도 일부분 케이스로서 진동소자와 마이크로폰 조립체(120)를 수용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피커 조립체(110)와 마이크로폰 조립체(120)는 상이한 하우징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진동소자는 소리신호를 기계적 진동신호로 전환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기계적 진동을 생성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소자(즉, 에너지 전환장치)는 자기회로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회로조립체는 자기장을 제공할 수 있다. 자기장은 소리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기계적 진동신호로 전환시키는 데 이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리정보는 특정된 데이터 형식의 비디오 및 오디오 파일 또는 특정된 방식으로 소리로 전환될 수 있는 데이터 또는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소리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는 음향입출력장치(100) 자체의 저장조립체로부터 올 수 있으며, 음향입출력장치(100) 이외의 정보생성, 저장, 또는 전달시스템으로부터 올 수도 있다. 소리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는 전기신호, 광신호, 자기신호, 기계신호 등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소리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는 하나의 신호원 또는 복수의 신호원으로부터 올 수 있다. 복수의 신호원은 관련되거나 관련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음향입출력장치(100)는 여러 가지 상이한 방식을 통해 소리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획득할 수 있으며, 신호의 획득은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또는 지연되어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입출력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의 방식을 통해 소리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직접 저장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여, 소리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 예를 들면, 음향입출력장치(100)에는 소리수집기능을 구비하는 조립체(예를 들면, 기전도 마이크로폰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환경속의 소리를 픽업함으로써 소리의 기계적 진동을 전기신호로 전환시키고, 증폭기로 처리한 후 특정된 요구를 만족시키는 전기신호를 획득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유선연결은, 예를 들면, 동축 케이블, 통신 케이블, 가요성 케이블, 나선형 케이블, 비금속 피복 케이블, 금속 피복 케이블, 다중코어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리본 케이블, 차폐 케이블, 원격통신 케이블, 쌍심 케이블, 병렬 트윈코어 도체, 트위스트 페어 와이어, 등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과 같은 금속 케이블, 광 케이블, 또는 금속 케이블과 광케이블의 혼합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예들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유선연결의 매체는 다른 유형들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전기신호 또는 광신호 등, 기타 전송반송파일 수 있다.
무선연결은 무선통신, 자유공간 광통신, 음향통신, 전자기 유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통신은 IEEE802.11 계열 표준, IEEE802.15 계열 표준(예를 들면, 블루투스 기술과 지그비 기술, 등), 1세대 이동통신 기술(1G), 2세대 이동통신 기술(2G)(예를 들면, FDMA, TDMA, SDMA, CDMA, SSMA, 등), 통용 패킷 라디오 서비스 기술, 3세대 이동통신 기술(3G)(예를 들면, CDMA2000, WCDMA, TD-SCDMA, WIMAX, 등), 4세대 이동통신 기술(4G)(예를 들면, TD-LTE, FDD-LTE, 등), 위성 통신(예를 들면, GPS 기술, 등), 근거리 통신(NFC), 및 ISM 주파수대역(예를 들면, 2.4GHz, 등)에서 운행되는 다른 기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자유공간 광통신은 가시광선, 적외선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통신은 음파, 초음파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 유도는 근거리 통신 기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예들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무선연결의 매체는 다른 유형들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Z-파 기술, 기타 유료의 민용 무선 주파수대역 및 군용 무선 주파수대역, 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기술의 일부 적용 장면으로서, 음향입출력장치(100)는 블루투스 기술을 통해 기타 음향입출력장치로부터 소리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얻을 수 있다.
마이크로폰 조립체(120)는 소리신호("음성신호"라고 불리울 수도 있다)를 픽업하고 소리신호를 소리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예를 들면, 전기신호)로 전환시키는 데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폰 조립체(120)는 음성신호원이 음성신호를 제공할 때 생성되는 기계적 진동을 픽업하고 그 것을 전기신호로 전환시킨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가 음성신호를 제공할 때 생성하는 기계적 진동을 "제2 기계적 진동"이라고 부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마이크로폰 조립체(120)는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마이크로폰의 작동 원리에 따라 마이크로폰을 골전도 마이크로폰 및/또는 기전도 마이크로폰으로 나눌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출원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에서, 골전도 마이크로폰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유의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 중의 골전도 마이크로폰은 기전도 마이크로폰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골전도 마이크로폰은 사용자의 골격, 피부 등 조직이 전달하는 임의의 골전도 마이크로폰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기계적 진동(예를 들면, 제1 기계적 진동과 제2 기계적 진동)을 수집하는 데 이용할 수 있으며, 수신된 기계적 진동은 골전도 마이크로폰(120)의 내부소자(예를 들면, 마이크로폰 진동막)로 하여금 상응한 기계적 진동(예를 들면, 제3 기계적 진동과 제4 기계적 진동)을 발생하게 하고, 그 것을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신호(예를 들면, 제1 신호와 제2 신호)로 변환시키고, 제1 신호는 골전도 마이크로폰이 생성하는 에코신호로 이해할 수 있고, 제2 신호는 골전도 마이크로폰이 생성하는 음성신호로 이해할 수 있다. 기전도 마이크로폰은 공기가 전달하는 기계적 진동(즉, 음파)을 수집하고, 기계적 진동을 소리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예를 들면, 전기신호)로 전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피커 조립체(110)가 기전도 스피커를 포함하면, 기전도 마이크로폰은 기전도 스피커가 전달하는 에코신호(기전도를 통해 전달)를 수신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스피커 조립체(110)가 골전도 스피커를 포함하면, 기전도 마이크로폰은 동시에 골전도 스피커가 전달하는 기계적 진동과 골전도 스피커가 기전도 경로를 통해 전달하는 에코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마이크로폰 조립체(120)는 마이크로폰 진동막과 기타 전자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음성신호원의 기계적 진동은 마이크로폰 진동막에 전달된 후, 마이크로폰 진동막이 상응한 기계적 진동을 생성하게 하고, 전자소자는 기계적 진동신호를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예를 들면, 전기신호)로 전환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마이크로폰 조립체(120)는 리본 마이크로폰, 마이크로 전자기계적(MEMS)마이크로폰, 동적 마이크로폰, 압전 마이크로폰, 전기용량식 마이크로폰, 탄소 마이크로폰, 아날로그 마이크로폰, 디지털 마이크로폰 등,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예를 들면, 골전도 마이크로폰은 전방향 마이크로폰, 단일 방향 마이크로폰, 쌍방향 마이크로폰, 하트형 마이크로폰, 등,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피커 조립체(110)와 마이크로폰 조립체(120)가 동시에 작동할 때, 마이크로폰 조립체(120)는 스피커 조립체(110)가 생성하는 제1 기계적 진동과 음성신호원이 생성하는 제2 기계적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기계적 진동에 응답하여, 마이크로폰 조립체(120)는 제3 기계적 진동을 생성하고 제3 기계적 진동을 제1 신호로 전환시킬 수 있다. 제2 기계적 진동에 응답하여, 마이크로폰 조립체(120)는 제4 기계적 진동을 생성하고 제4 기계적 진동을 제2 신호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피커 조립체(110)를 에코신호원이라고 부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피커 조립체(110)와 마이크로폰 조립체(120)가 동시에 작동할 때, 일정한 주파수 범위 내에서, 제1 기계적 진동의 강도와 제1 신호의 강도의 비율값은 제2 기계적 진동의 강도와 제2 신호의 강도의 비율값보다 크다. 주파수 범위는200Hz~10kHz, 또는 200Hz~5000Hz, 또는 200Hz~2000Hz, 또는 200Hz~1000Hz,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조립체(130)는 스피커 조립체(110) 및 마이크로폰 조립체(120)에 대해 지지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고정조립체(130)는 호형의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호형의 중간부로 되튀는 힘을 형성할 수 있음으로써, 인체의 두골과 안정되게 접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고정조립체(13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연결부재는 스피커 조립체(110) 및/또는 마이크로폰 조립체(120)와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고정조립체(130)는 양귀식 착용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조립체(130)의 양단부는 각각 2개 조의 스피커 조립체(110)와 고정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음향입출력장치(100)를 착용할 때, 고정조립체(130)는 2개 조의 스피커 조립체(110)를 각각 사용자의 좌우 귀 부근에 고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고정조립체(130)는 단일 귀식 착용을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고정조립체(130)는 한 조의 스피커 조립체(110)와만 고정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음향입출력장치(100)를 착용할 때, 고정조립체(130)는 스피커 조립체(110)를 사용자의 일측 귀의 부근에 고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고정조립체(130)는 안경(예를 들면, 선글라스, 증강현실안경, 가상현실안경), 헤드셋, 머리띠 등 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으며, 여기서 제한하지 않는다.
이상의 음향입출력장치의 구조에 대한 묘사는 단지 구체적인 예일 뿐, 유일한 가능한 실시방안으로 간주하지 말아야 한다. 물론, 본 분야의 전문가에 있어서, 음향입출력장치(100)의 기본 원리를 요해한 후, 이 원리를 이탈하지 않는 정황하에서, 음향입출력장치(100)를 실시하는 구체적인 양태와 절차에 대해 형식상 및 세부상 각종 수정과 변경을 진행할 수 있지만, 이러한 수정과 변경은 여전히 위에서 묘사한 범위 내에 있다. 예를 들면, 음향입출력장치(1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처리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처리기는 하나 또는 복수의 소리신호처리 알고리즘을 실행할 수 있다. 소리신호처리 알고리즘은 소리신호를 수정 또는 강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리신호에 대해 소음감소, 소리피드백억제, 대폭 동적범위 압축, 자동게인제어, 능동 환경식별, 능동 소음방지, 방향처리, 이명처리, 다중채널 대폭 동적범위 압축, 능동 하울링 억제, 음량제어, 또는 기타 유사한, 또는 이상의 임의의 조합의 처리를 진행하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은 여전히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 내에 있다. 또 예를 들면, 음향입출력장치(1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센서, 예를 들면, 온도센서, 습도센서, 속도센서, 변위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사용자 정보 또는 환경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도 2a와 도 2b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기재한 음향입출력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a와 도 2b에 나타내는 바를 결합하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음향입출력장치(200)는 귀집게식 이어폰일 수 있으며, 귀집게식 이어폰은 이어폰 코어(210), 고정조립체(230), 제어회로(240) 및 배터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폰 코어(210)는 스피커 조립체(미도시)와 마이크로폰 조립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조립체는 귀걸이(231), 이어폰 하우징(232), 회로 케이스(233)및 배면걸이(2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폰 하우징(232)과 회로 케이스(233)는 각각 귀걸이(231)의 양단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배면걸이(234)는 또한 회로 케이스(233)상의 귀걸이(231)로부터 비교적 먼 일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어폰 하우징(232)은 상이한 이어폰 코어를 수용할 수 있다. 회로 케이스(233)는 제어회로(260)과 배터리(270)를 수용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배면걸이(234)의 양단부는 각각 상응한 회로 케이스(233)에 연결될 수 있다. 귀걸이(231)는 사용자가 음향입출력장치(200)를 착용할 때, 귀집게식 이어폰을 사용자의 귀에 현수시키는 구조일 수 있으며, 이어폰 하우징(232)과 이어폰 코어(210)를 사용자의 귀에 상대적인 사전 설정된 위치에 고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귀걸이(231)는 탄성금속선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금속선은 귀걸이(231)가 사용자의 귀와 매칭되는 형상을 유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일정한 탄성을 가지고, 사용자가 귀집게식 이어폰을 착용할 때, 사용자의 귀의 형상과 머리의 형상에 따라 일정한 탄성변형이 발생하여, 상이한 귀 형상과 머리 형상의 사용자들에 적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탄성금속선은 양호한 변형회복능력을 구비하는 기억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귀걸이(231)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도, 외력이 제거될 때, 원래의 형상으로 회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귀집게식 이어폰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탄성금속선은 비기억합금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탄성금속선에 도선을 제공하여, 이어폰 코어(210)와 기타 부재(예를 들면, 제어회로(260), 배터리(270)등) 사이에 전기연결을 구축하여, 이어폰 코어(210)에 전원과 데이터 전송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귀걸이(231)는 또한 보호 슬리브(236) 및 보호 슬리브(236)와 일체로 형성된 케이스 보호장치(237)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어폰 하우징(232)은 이어폰 코어(210)를 수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어폰 코어(21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스피커 조립체 및/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로폰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스피커 조립체는 골전도 스피커 조립체,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로폰 조립체는 골전도 마이크로폰 조립체, 기전도 마이크로폰 조립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 조립체와 마이크로폰 조립체의 구조와 배치에 관해서는 본 출원의 다른 부분의 설명, 예를 들면, 도 3 내지 도 15 및 그 상세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이어폰 코어(210)와 이어폰 하우징(232)의 수량은 2개일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사용자의 왼쪽 귀와 오른쪽 귀에 대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귀걸이(231)와 이어폰 하우징(232)은 양자를 직접 함께 성형하지 않고, 단독으로 성형되고, 그 다음 함께 조립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어폰 하우징(232)에는 접촉표면(2321)이 배치될 수 있다. 접촉표면(2321)은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할 수 있다. 귀집게식 이어폰을 사용할 때, 이어폰 코어(210)의 하나 또는 복수의 골전도 스피커가 생성하는 음파는 접촉표면(2321)을 통해 이어폰 케이스(232)의 외부(예를 들면, 사용자의 고막으로 이동)로 이동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표면(2321)의 재료와 두께는 골전도 음파의 사용자로의 전파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따라서, 음질에 영향을 준다. 예를 들면, 접촉표면(2321)의 재료의 탄성이 비교적 크면, 골전도 음파의 저주파수 범위에서의 전송은 골전도 음파의 고주파수 범위에서의 전송보다 우수할 수 있다. 반대로, 접촉표면(2321)의 재료의 탄성이 비교적 작으면, 골전도 음파의 고주파수 범위에서의 전송은 저주파수 범위에서의 골전도 음파의 전송보다 나을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서 이어폰 하우징(232)과 본 출원의 기타 실시예 중의 하우징은 모두 음향입출력장치(200)상의 사용자와 접촉하는 부재를 가리킨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기재한 음향입출력장치의 일부분 구조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음향입출력장치(300)는 스피커 조립체(310)와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피커 조립체(310)는 제1 기계적 진동을 생성하여 음파를 전달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은 음성신호원이 음성신호를 제공할 때 생성하는 제2 기계적 진동을 수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음향입출력장치(300)는 고정조립체(3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도 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조립체(330)는 스피커 조립체(310)와 고정연결되고, 사용자가 음향입출력장치(300)를 착용할 때, 스피커 조립체(310) 및 골전도 마이크로폰(320)과 사용자의 얼굴(340)의 접촉을 유지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골전도 마이크로폰(320)과 스피커 조립체(310)가 동시에 작동할 때,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은 제1 기계적 진동과 제2 기계적 진동을 수신할 수 있으며, 제1 기계적 진동과 제2 기계적 진동의 작용하에서 각각 제3 기계적 진동과 제4 기계적 진동을 생성하고, 제3 기계적 진동과 제4 기계적 진동을 각각 제1 신호와 제2 신호로 전환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일정한 주파수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기계적 진동의 강도와 상기 제1 신호의 강도의 비율값이 상기 제2 기계적 진동의 강도와 상기 제2 신호의 강도의 비율값보다 크다. 본 문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제3 기계적 진동은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이 수신하는 제1 기계적 진동", 즉,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이 수신하는 에코신호" 라고도 부를 수 있으며, 제4 기계적 진동은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이 수신하는 제2 기계적 진동", 즉,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이 수신하는 음성신호" 라고도 부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주파수 범위는200Hz~10kHz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주파수 범위는 200Hz~9000Hz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주파수 범위는 200Hz~8000Hz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주파수 범위는 200Hz~6000Hz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주파수 범위는 200Hz~5000Hz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 조립체(310)는 제1 기계적 진동을 생성하여 음파를 전달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소리를 듣게 할 수 있다. 스피커 조립체(310)가 음파를 전달하는 방식은 기전도와 골전도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전도를 통해 음파를 전달하는 데 대응되는 것은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이고,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는 파의 형식으로 공기를 통해 음파를 전파하고, 음파는 사용자의 고막-청소골-달팽이관을 경과하여 청각신경에 전달되어, 사용자가 소리를 들을 수 있게 한다. 골전도를 통해 음파를 전달하는 데 대응되는 것은 골전도 스피커 조립체이며, 골전도 스피커 조립체는 사용자의 얼굴(340)과 접촉하여(예를 들면, 골전도 스피커 조립체의 하우징(350)이 사용자의 얼굴(340)과 접촉), 기계적 진동을 사용자의 얼굴(340)의 피부, 골격에 전달하고, 골격을 통해 청각신경에 전달하여, 사용자가 소리를 들을 수 있게 한다. 골전도 스피커 조립체이든,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이든,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은 스피커 조립체(310)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피커 조립체(310)가 골전도 스피커 조립체일 때, 하우징(350)은 골전도 스피커 조립체의 진동전달소자 중의 하나이고, 골전도 스피커 조립체 중의 진동소자는 하우징(350)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진동을 사용자의 피부, 골격에 전달하여야 한다.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은 하우징(350)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하여, 사용자가 말할 때 생성하는 진동을 수집하여야 한다. 골전도 스피커가 음파를 전달할 때 하우징(350)의 기계적 진동을 일으킬 수 있고, 하우징(350)은 기계적 진동을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에 전달하고,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은 기계적 진동을 수신한 후 대응되는 제3 기계적 진동을 생성하고 제3 기계적 진동에 근거하여 소리정보를 포함하는 제1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스피커 조립체(310)가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일 때, 하우징(350)은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와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을 수용하기 위한, 음향입출력장치(300)의 케이스에 해당되며,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 중의 진동소자는 하우징(350)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를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를 종합하면,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은 하우징(350)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말할 때 생성하는 진동을 수집하여야 한다. 기전도 스피커가 음파를 전달할 때 하우징(350)의 기계적 진동을 일으킬 수 있으며, 하우징(350)은 기계적 진동을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에 전달하며,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은 기계적 진동을 수신한 후 대응되는 제3 기계적 진동을 생성하고, 제3 기계적 진동에 근거하여 소리정보를 포함하는 제1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피커 조립체(310)가 생성하는 제1 기계적 진동은 적어도 일부분이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에 전달되어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으로 하여금 제3 기계적 진동을 생성하게 한다. 스피커 조립체(310)가 전달하는 제1 기계적 진동 외에,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은 사용자의 얼굴(340)의 피부와 접촉하여 사용자가 말할 때 생성하는 제2 기계적 진동(예를 들면, 피부와 골격의 진동)을 수신하고, 골전도 마이크로폰(320)로 하여금 제4 기계적 진동을 생성하게 한다.
골전도 마이크로폰(320)과 스피커 조립체(310)가 동시에 작동할 때, 예를 들면,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이 음성신호를 수신(예를 들면, 사람이 말할 때 피부 등 위치의 진동을 픽업함으로써, 사람이 말하는 음성신호를 수신한다)하는 동시에, 스피커 조립체(310)는 진동을 통해 음성신호(예를 들면, 음악)를 전달하고,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은 동시에 제1 기계적 진동과 제2 기계적 진동을 수신할 수 있다.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의 마이크로폰 진동막(미도시)은 제1 기계적 진동 및 제2 기계적 진동에 각각 대응되는 제3 기계적 진동과 제4 기계적 진동을 생성하고, 제3 기계적 진동과 제4 기계적 진동을 각각 제1 신호와 제2 신호로 전환시킬 수 있다. 마이크로폰 진동막이 픽업한 제1 기계적 진동에 응답하여 제3 기계적 진동을 생성할 때,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은 제2 기계적 진동이 전달하는 음성정보를 제외한 제1 기계적 진동이 전달하는 음성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따라서, 마이크로폰이 픽업하는 소리신호의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기계적 진동이 전달하는 신호를 에코신호(또는, 서브 음성신호)라고 부를 수 있으며, 제1 기계적 진동을 생성하고 전달하는 부재(예를 들면, 스피커 조립체(310), 하우징(350))는 "에코신호원(또는, 서브 음성신호원)"라고 부를 수 있다. 제2 기계적 진동을 "음성신호(또는, 메인 음성신호)"라고 부를 수 있으며, 제2 기계적 진동을 생성하고 전달하는 부재(예를 들면, 사용자의 성대, 비강, 입등)를 "음성신호원(또는, "메인 음성신호원"라고 부른다)"라고 부를 수 있다. 도 3은 음성신호원, 에코신호원 및 골전도 마이크로폰의 진동방향을 나타내며, 여기서, 화살표시A가 가리키는 방향은 제1 기계적 진동의 방향, 즉, 에코신호원의 진동방향이고, 화살표시B가 가리키는 방향은 골전도 마이크로폰의 진동방향, 즉, 제3 기계적 진동과 제4 기계적 진동의 방향이며, 화살표시C가 가리키는 방향은 제2 기계적 진동의 방향, 즉, 음성신호원의 진동방향이다.
상술한 원인에 의해, 음향입출력장치(300)에 대해 일부 설계를 진행하여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이 생성하는 에코신호의 강도(즉, 제1 신호의 강도)를 저하시켜야 한다. 나아가서,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이 생성하는 에코신호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동시에,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이 생성하는 음성신호의 강도(즉, 제2 신호의 강도)를 향상시켜, 제1 신호의 강도를 저하시키고 제2 신호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목적을 구현하고, 상기 제1 기계적 진동의 강도와 상기 제1 신호의 강도의 비율값이 상기 제2 기계적 진동의 강도와 상기 제2 신호의 강도의 비율값보다 크게 하고, 골전도 마이크로폰이 생성하는 소리신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기재한 음향입출력장치의 진동의 전달의 개략도이다. 도 3과 도 4가 표시하는 바를 결합하면, 음향입출력장치(300) 중의 골전도 마이크로폰(320)과 스피커 조립체(310)가 동시에 작동할 때, 음향입출력장치(300)의 기계적 진동 전달모형은 도 4에 표시하는 모형과 등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성신호원(360)(예를 들면, 사용자의 골격 또는 성대)의 기계적 진동(즉, 제2 기계적 진동)의 강도는 L1이고, 에코신호원(380)(예를 들면, 스피커 조립체(310))의 기계적 진동(즉, 제1 기계적 진동)의 강도는 L2이고, 골전도 마이크로폰(320)과 음성신호원(360) 사이는 제1 탄성연결부(370)이고, 제1 탄성연결부(370)의 탄성계수는 k1이고, 골전도 마이크로폰(320)과 에코신호원(380) 사이는 제2 탄성연결부(390)일 수 있고, 제2 탄성연결부(390)의 탄성계수는 k2이고,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의 질량은 m이다. 여기서, 음성신호원(360)과 골전도 마이크로폰(320) 사이의 제1 탄성연결부(370)는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이 사용자의 얼굴(340)과 접촉하는 부재(예를 들면, 진동전달층, 금속편, 일부분의 하우징(350), 등), 사용자의 피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골전도 마이크로폰(320)과 에코신호원(380) 사이의 제2 탄성연결부(390)는 음향입출력장치(300)의 일부분이다. 예를 들면, 골전도 마이크로폰(320)과 에코신호원(380)은 동시에 하우징(350)과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 때, 제2 탄성연결부(390)는 하우징(3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골전도 마이크로폰(320)과 에코신호원(380)은 각각 연결부재를 통해 하우징(350)과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 때, 제2 탄성연결부(390)는 하우징(350)과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표시하는 실시예에서, 음성신호원(360)의 진동방향과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의 진동방향이 평행되고, 에코신호원(380)의 진동방향과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의 진동방향이 평행된다고 가정할 수 있으며, 골전도 마이크로폰은 최대한으로 음성신호원(360)의 진동과 에코신호원(380)의 진동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의 진동방향은 마이크로폰 진동막이 진동하는 방향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 4에 근거하여,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이 수신하는 기계적 진동의 강도 L은 아래와 같음을 알 수 있다.
(1)
여기서, L1은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이 수신하는 제2 기계적 진동의 강도(즉, 제4 기계적 진동강도)이고, L2는 수신한 제1 기계적 진동의 강도(즉, 제3 기계적 진동강도)이고, m는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의 질량이다. ω는 신호의 각주파수이고, 신호는 음성신호 및/또는 에코신호를 포함한다. L에 대한 L1(즉, 제2 기계적 진동)의 영향을 표시할 수 있고, L에 대한 L2(즉, 제1 기계적 진동)의 영향을 표시할 수 있다.
이로부터, 제1 탄성연결부(370)의 탄성계수 k1이 클수록,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이 수신하는 기계적 진동의 강도 L에 대한 음성신호원(360)의 진동강도 L1의 영향이 더 크고, 제2 탄성연결부(390)의 탄성계수 k2가 작을수록,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이 수신하는 기계적 진동의 강도 L에 대한 에코신호원(380)의 진동강도 L2의 영향이 작으며,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이 수신하는 에코신호가 작음을 알 수 있다.
공식(1)에 의해,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이 수신하는 에코신호를 감소시키기 위해, 여러 방면으로부터 음향입출력장치를 설계하여, 예를 들면, L1 및/또는 k1를 될수록 증가시키고, L2 및/또는 k2를 될수록 감소시켜, L에 대한 L1의 영향을 증가시키고, L에 대한 L2의 영향을 감소시켜, 골전도 마이크로폰이 생성하는 소리신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기재한 음향입출력장치의 다른 하나의 기계적 진동 전달모형의 개략도이다. 도 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골전도 마이크로폰(520)은 단일 축 골전도 마이크로폰일 수 있으며, 단일 축 골전도 마이크로폰의 마이크로폰 진동막은 하나의 방향에서만 진동을 생성할 수 있으며, 즉, 마이크로폰 진동막은 상기 방향에서의 기계적 진동만을 전기신호(예를 들면, 제1 신호)로 전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를 예로 들면, 골전도 마이크로폰(520)의 진동방향은 상하방향이고, 기계적 진동의 방향과 골전도 마이크로폰(520)의 진동방향이 평행될 때(즉, 모두 상하방향임), 마이크로폰 진동막은 수신한 기계적 진동을 최대한으로 전기신호(예를 들면, 제1 신호와 제2 신호)로 전환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수신한 기계적 진동을 최대한으로 전기신호로 전환시킨다는 것은, 저항력 등의 영향을 받아 발생하는 손실(예를 들면, 기계적 진동이 제1 탄성연결부(570), 제2 탄성연결부(590)를 경과하여 전달될 때 일부분이 손실됨) 외의 기계적 진동이 거의 모든 마이크로폰 진동막에 의해 수신되고 전기신호로 전환된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기계적 진동의 방향이 골전도 마이크로폰(520)의 진동방향과 수직이 될(즉, 좌우방향임)때, 수신한 기계적 진동은 소부분만 마이크로폰 진동막에 의해 전기신호로 전환되며, 따라서, 전기신호의 강도가 가장 작으며, 즉, 골전도 마이크로폰(520)의 진동방향과 기계적 진동의 방향이 수직이 될 때, 골전도 마이크로폰(520)이 생성하는 전기신호의 강도가 가장 작고, 생성되는 소리신호의 강도가 가장 작다.
상술한 원리에 의하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골전도 마이크로폰(520)의 장착위치에 대해 설계를 진행하여, 골전도 마이크로폰(520)의 진동방향과 에코신호원(580)(예를 들면, 도 3에 표시하는 스피커 조립체(310))의 진동방향(즉, 제1 기계적 진동방향)이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 있게끔 하여, 골전도 마이크로폰(520)이 생성하는 제1 신호의 강도를 감소시키며, 즉, 골전도 마이크로폰(520)이 생성하는 에코신호의 강도를 감소시킨다. 나아가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골전도 마이크로폰(520)의 진동방향과 음성신호원(560)(예를 들면, 도 3에 표시하는 사용자의 얼굴(340))의 진동방향이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 있게끔 하여, 골전도 마이크로폰(520)이 생성하는 제2 신호의 강도를 증가시키며, 즉, 골전도 마이크로폰(520)이 생성하는 음성신호의 강도를 증가시킨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기재한 음향입출력장치의 진동전달의 다른 하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골전도 마이크로폰(620)의 진동방향과 에코신호원(680)(예를 들면, 도 3에 표시하는 스피커 조립체(310))의 진동방향이 형성하는 협각은 제1 협각 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협각 α는 20º~90º의 각도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협각 α는 45º~90º의 각도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협각 α는 60º~90º의 각도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협각 α는 75º~90º의 각도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협각 α은 90º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20º~90º의 범위 내에서, 제1 협각 α의 각도가 클수록, 마이크로폰 진동막의 진동방향과 에코신호원(680)의 진동방향이 수직이 될 가능성이 더 높고, 이 때, 마이크로폰 진동막이 전환시킨 제1 신호의 강도가 더 작으며, 제1 협각 α가 90º일 때, 마이크로폰 진동막이 전환시킨 제1 신호의 강도가 가장 작으며, 즉, 골전도 마이크로폰(620)이 생성하는 에코신호의 강도가 가장 작음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공식(1)에 근거하면, 골전도 마이크로폰(620)이 수신하는 기계적 진동의 강도 L에 대한 음성신호원(660)의 진동강도 L1의 영향이 클수록, 즉, 골전도 마이크로폰(620)이 수신하는 음성신호원(660)의 진동강도 L1이 클수록, 골전도 마이크로폰(620)이 수신하는 기계적 진동의 강도에 대한 에코신호원(680)의 진동강도 L2의 영향을 감소시킨 것에 해당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골전도 마이크로폰(620)이 생성하는 소리신호에 대한 음성신호원(660)의 진동강도 L1의 영향을 증가시키기 위해, 골전도 마이크로폰(620)의 진동방향과 음성신호원(660)의 진동방향 사이의 협각을 일정한 범위 내로 설계할 수 있다. 여기서, 골전도 마이크로폰(620)의 진동방향과 음성신호원(660)의 진동방향 사이의 협각은 제2 협각 β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협각 β는 0º~85º의 각도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협각 β는 0º~75º의 각도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협각 β는 0º~60º의 각도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협각 β는 0º~45º의 각도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협각 β는 0º~30º의 각도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협각 β는 0º~15º의 각도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협각 β 는0º~5º의 각도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협각 β는 0º일 수 있으며, 즉, 골전도 마이크로폰(620)의 진동방향과 음성신호원(660)의 진동방향은 평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0º~90º의 범위 내에서, 제2 협각 β의 각도가 작을수록, 마이크로폰 진동막의 진동방향과 음성신호원(660)의 진동방향은 평행될 가능성이 더 높고, 마이크로폰 진동막이 전환시킨 제2 신호의 강도가 더 크며, 제2 협각 β가 0º일 때, 마이크로폰 진동막이 전환시킨 제1 신호의 강도가 가장 크고, 이 때, 골전도 마이크로폰(620)이 생성하는 제2 신호의 강도가 가장 크며, 즉, 생성되는 음성신호의 강도가 가장 큼을 의미한다. 본 문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2개의 방향 사이의 협각은 2개의 방향에서의 직선이 서로 교차되어 형성하는 최소 양의 각이다.
유의해야 할 것은, 제1 협각 α를 설정된 각도의 범위로 제어하는 방안은 제2 협각 β를 설정된 각도의 범위로 제어하는 방안과 결합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협각 α를 90º로 설정할 수 있으며, 제2 협각 β를 30º로 설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협각 α를 90º로 설정할 수 있으며, 제2 협각 β를 45º로 설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협각 α를 90º로 설정할 수 있으며, 제2 협각 β를 60º로 설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협각 α를 45º로 설정할 수 있으며, 제2 협각 β를 30º로 설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협각 α를 90º로 설정할 수 있으며, 제2 협각 β를 15º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협각 α를 90º로 설정하고, 제2 협각 β를 0º로 설정할 때, 도 6과 도 5는 동일하다. 이 실시예에서, 골전도 마이크로폰(620)은 수신하는 음성신호원(660)의 진동을 최대한으로 제2 신호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생성하는 제1 신호의 강도가 가장 작으며, 골전도 마이크로폰(620)이 생성하는 소리신호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기재한 제2 신호와 제1 신호의 강도 곡선도이다. 도 8은 골전도 마이크로폰이 도 4 중의 에코신호원(380)이 생성하는 기계적 진동(즉, 제1 기계적 진동) 및 음성신호원(360)이 생성하는 기계적 진동(즉, 제2 기계적 진동)에 근거하여 전환시키는 제1 신호의 강도곡선 810과 제2 신호의 강도곡선 820이고, 여기서, 가로축은 주파수이고, 세로축은 소리강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8에 표시하는 제1 신호와 제2 신호의 강도곡선도는 제1 협각 α가 0º이고, 제2 협각 β도 0º인 경우 획득한 것이다. 도 3, 도 4 및 도 8을 결합하면, 약 0~500Hz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이 생성하는 제1 신호의 강도가 제2 신호의 강도보다 작음을 알 수 있다. 주파수가 500Hz를 초과한 후, 예를 들면, 500Hz~10000Hz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이 생성하는 제1 신호의 강도는 모두 제2 신호의 강도보다 크며,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이 생성하는 에코가 비교적 큼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골전도 마이크로폰(320)과 스피커 조립체(310)의 장착위치를 설계하여,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이 생성하는 에코신호의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기재한 제1 신호와 제2 신호의 다른 하나의 강도 곡선도이다. 도 9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골전도 마이크로폰(620) 및 에코신호원(680)(예를 들면, 도 3에 표시하는 스피커 조립체(310))의 위치에 대해 일정한 설계를 진행하여, 제1 협각 α가 90º로 되고, 제2 협각 β가 60º로 되게 한다. 제1 신호의 강도곡선 810과 제1 신호의 강도곡선 910 및 제2 신호의 강도곡선 820과 제2 신호의 강도곡선 920으로부터, 상기 설계를 통해(즉, 제1 협각 α과 제2 협각 β를 조절함), 골전도 마이크로폰(620)이 생성하는 제1 신호의 강도가 선명히 저하됨(도 9에 표시)을 알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설계는 골전도 마이크로폰(620)이 생성하는 제2 신호의 강도에 대한 약화효과가 매우 작거나 또는 거의 무시할 정도이며, 골전도 마이크로폰(620)이 생성하는 제1 신호의 강도가 감소되는 강도가 제1 신호의 강도가 감소되는 강도보다 선명히 작으며, 제1 기계적 진동의 강도와 제1 신호의 강도의 비율값이 제2 기계적 진동의 강도와 제2 신호의 강도의 비율값보다 크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설계를 적용한 후, 0~800Hz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골전도 마이크로폰(620)이 생성하는 제1 신호의 강도는 비교적 작고, 도 8과 비교하면, 더 광범위한 저주파수 범위 내에서, 골전도 마이크로폰(620)이 생성하는 제1 신호의 강도가 비교적 작고, 즉, 골전도 마이크로폰(620)이 생성하는 에코신호의 강도가 더 작으며,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더 명료한 음성신호를 들을 수 있게 하고, 음질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며, 사용자의 체험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골전도 마이크로폰(620)과 에코신호원(680)(예를 들면, 스피커 조립체(310))의 위치에 대해 일정한 설계를 진행한 후, 제2 신호의 강도가 감소되는 폭을 제1 신호의 강도가 감소되는 폭보다 선명히 작게 하며, 나아가서 제2 신호의 강도와 제1 신호의 강도의 비율을 역치보다 클 수 있게 하여, 골전도 마이크로폰(620)이 생성하는 소리신호 중에서 음성신호가 차지하는 비율을 향상시키고, 음성신호를 더 명료하게 하고, 사용자의 체험을 더 양호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신호의 강도와 제1 신호의 강도의 비율은 1/4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신호의 강도와 제1 신호의 강도의 비율은 1/3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신호의 강도와 제1 신호의 강도의 비율은 1/2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신호의 강도와 제1 신호의 강도의 비율은 2/3보다 클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제1 협각과 제2 협각을 조절하여 마이크로폰 조립체(예를 들면, 도 3에 표시하는 마이크로폰 조립체(320))가 수신하는 음성신호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에코신호의 강도를 감소시키는 방안은, 기전도 마이크로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단일 축 골전도 마이크로폰은 단지 예로써 설명한다. 이 외에, 골전도 마이크로폰(예를 들면, 도 3에 표시하는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은 기타 유형의 마이크로폰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은 쌍축 마이크로폰, 삼축 마이크로폰, 진동센서, 가속도계, 등일 수 있다.
계속하여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은 쌍축 마이크로폰일 수 있으며, 즉,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은 수신하는 2개의 방향에서의 기계적 진동을 전기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쌍축 마이크로폰이 계산하여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개략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2개의 방향은 일정한 협각(즉, 제3 협각)을 가질 수 있다. 제3 협각의 각도 범위는 0º~90º이다. 도 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방향은 X축 방향과 Y축 방향을 표시하며, X축은 Y축에 수직이 된다. 에코신호원(380)과 골전도 마이크로폰의 X축 사이의 협각은 α(e)이고, 음성신호원(360)과 골전도 마이크로폰의 X축의 협각은 β(s)이고, 에코신호원(380)이 생성하는 에코신호(즉, 제1 기계적 진동)는 e(t)이고, 음성신호원(360)이 생성하는 음성신호(즉, 제2 기계적 진동)는 s(t)이면, 골전도 마이크로폰의 X축에서의 에코신호원(380)과 음성신호원(360)의 진동분량은 아래와 같다.
, (2)
골전도 마이크로폰의 Y축에서의 에코신호원(380)과 음성신호원(360)의 진동분량은 아래와 같다.
, (3)
골전도 마이크로폰의 X축에서의 에코신호원(380)과 음성신호원(360)의 진동분량 x(t) 및 골전도 마이크로폰의 Y축에서의 에코신호원(380)과 음성신호원(360)의 진동분량 y(t)에 가중치를 가하여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의 에코신호를 제거하면,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의 총 소리신호는 아래와 같다.
, (4)
여기서, 골전도 마이크로폰의 X축에서의 에코신호원(380)과 음성신호원(360)의 진동분량 x(t)에 대응되는 가중계수는 이며, 골전도 마이크로폰의 Y축에서의 에코신호원(380)과 음성신호원(360)의 진동분량 y(t)에 대응되는 가중계수는 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코신호원(380)과 골전도 마이크로폰의 X축 사이의 협각 α(e)는 음향입출력장치를 조립할 ? 획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α(e)는,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의 현재 신호가 음성신호 s(t)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현재 신호에 음성신호 s(t)가 없을 때, 아래의 공식(5)내지(7)을 통해 α(e)의 크기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 (5)
, (6)
공식(5)와 공식(6)에 근거하여 아래의 공식(7)을 얻을 수 있다.
, (7)
일부 실시예들에서, x(t)와 y(t)에 대해 가중치를 부가한 후, 공식(7)에 근거하여 α(e)를 구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공식(9)에 근거하여 α(e)를 구하며, α(e)에 대해 시간상 평활을 진행하여 안정된 α(e)의 추정값을 얻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은 삼축 마이크로폰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폰은 X축, Y축과 Z축을 구비하고, 삼축 마이크로폰이 생성하는 소리신호는 음성신호 s(t)와 에코신호 e(t)에 근거하여 골전도 마이크로폰의 X축, Y축 및 Z축상의 분량에 가중치를 부가하여 계산하여 얻을 수 있다. 삼축 마이크로폰이 계산하여 소리신호를 생성하는 원리가 쌍축 마이크로폰과 유사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중복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코신호원(380)의 진동방향은 하나의 단일 방향이 아닐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에코신호원(380)의 진동방향은 원호 궤적에 따라 확산될 수 있다. 이런 상황하에서, 에코신호원(380)이 생성하는 진동 중에서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의 진동방향과 수직이 되지 않는 진동은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에 의해 수신되고 제1 신호로 전환될 수 있으며, 즉, 에코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피커 조립체(310)와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을 설계하여, 골전도 마이크로폰(320)과 스피커 조립체(310)(예를 들면, 하우징(350)) 사이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고정되게 하여,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이 수신하는 에코신호원(380)이 전달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협각 α와 제2 협각 β를 설계하는 방식 외에, 제1 탄성연결부(370)의 탄성계수 k1와 제2 탄성연결부(390)의 탄성계수 k2를 변경시키는 방식을 통해서도 에코를 감소시키는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골전도 마이크로폰(320)과 에코신호원(380) 사이의 제2 탄성연결부(390)의 탄성강도 k2를 감소시켜, 골전도 마이크로폰(320)이 수신하는 제1 기계적 진동(즉, 제3 기계적 진동)의 강도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기재한 골전도 마이크로폰과 진동흡수구조가 연결된 단면 개략도이고, 도 11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기재한 진동흡수구조를 구비하는 음향입출력장치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10과 도 11을 결합하면, 음향입출력장치(1000)는 골전도 마이크로폰(1020)과 스피커 조립체(1010)를 포함할 수 있다. 골전도 마이크로폰(1020)과 스피커 조립체(1010)는 동일한 하우징 내에 배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음향입출력장치(1000)는 진동흡수구조(11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골전도 마이크로폰(1020)은 진동흡수구조(1100)를 통해 스피커 조립체(1010)와 연결될 수 있다. 골전도 마이크로폰(1020)과 스피커 조립체(1010)가 동시에 작동할 때, 스피커 조립체(1010)는 제1 기계적 진동을 통해 음성신호(음파)를 전달할 수 있고, 골전도 마이크로폰(1020)은 음성신호원이 음성신호를 제공할 때 생성하는 제2 기계적 진동을 수신하거나 전달하여 음성신호를 픽업할 수 있다. 스피커 조립체(1010)의 제1 기계적 진동은 진동흡수구조(1100)를 통해 골전도 마이크로폰(1020)에 전달될 수 있으며, 이 때 골전도 마이크로폰(1020)은 제1 기계적 진동과 제2 기계적 진동의 작용하에서 제3 기계적 진동과 제4 기계적 진동을 생성할 수 있다. 진동흡수구조(1100)는 골전도 마이크로폰(1020)이 수신하는 스피커 조립체(1010)(에코신호원)의 제1 기계적 진동의 강도를 감소시키고, 나아가서 골전도 마이크로폰(1020)이 생성하는 제1 신호의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진동흡수구조(1100)는 일정한 탄성을 가지는 구조일 수 있으며, 그 탄성을 통해 에코신호원(1080)으로부터 전달하는 기계적 진동의 강도를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흡수구조(1100)는 탄성부재로서, 전달되는 기계적 진동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진동흡수구조(1100)의 탄성은 진동흡수구조의 재료, 두께, 구조 등 다방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흡수구조(1100)는 탄성률이 제1 역치보다 작은 진동흡수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역치는 5000MPa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역치는 4000MPa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역치는 3000Mpa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흡수재료의 탄성률은 0.01MPa~1000MPa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흡수재료의 탄성률은 0.015MPa~2500MPa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흡수재료의 탄성률은 0.02MPa~2000MPa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흡수재료의 탄성률은0.025MPa~1500MPa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흡수재료의 탄성률은 0.03MPa~1000MPa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흡수재료는 발포면, 플라스틱(예를 들면, 고분자 폴리에틸렌, 블로우 몰딩 나일론,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에 제한되지 않는다), 고무, 실리콘,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흡수재료는 발포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흡수구조(110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10에 표시하는 바를 참조하면, 진동흡수구조(1100)의 두께는 X축 방향, Y축 방향 또는 Z축 방향 중의 임의의 하나의 방향에서의 크기로 이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흡수구조(1100)의 두께는 0.5mm~5mm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흡수구조(1100)의 두께는 1mm~4.5mm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흡수구조(1100)의 두께는 1.5mm~4mm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흡수구조(1100)의 두께는 2mm~3.5mm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흡수구조(1100)의 두께는 2mm~3mm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흡수구조(1100)의 탄성은 그 구조상의 설계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흡수구조(1100)는 탄성구조체일 수 있으며, 즉, 진동흡수구조(1100)를 제조하는 재료의 강성을 비교적 높게 하고, 그 구조를 통해 탄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흡수구조(1100)는 스프링과 유사한 구조, 고리형 또는 유사 고리형 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골전도 마이크로폰(1020)의 표면은 제1 부분(1021)과 제2 부분(10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부분(1021)은 사용자의 얼굴(1040)과 접촉하여 음성신호원에서 제공하는 제2 기계적 진동을 전달하는 데 이용될 수 있고, 제2 부분(1022)은 음향입출력장치(1000)의 기타 부재와 연결(예를 들면, 스피커 조립체(1010)와 연결)하는 데 이용될 수 있으며, 제2 부분(1022)에는 진동흡수구조(1100)가 배치될 수 있고, 그리고, 진동흡수구조(1100)를 통해 스피커 조립체(1010)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피커 조립체(1010)와 골전도 마이크로폰(1020) 사이에 배치된 진동흡수구조(1100)는 일정한 탄성을 구비하고, 스피커 조립체(1010)가 전달하는 제1 기계적 진동을 감소시키고, 골전도 마이크로폰(1020)이 수신하는 제1 기계적 진동의 강도를 저하시켜, 골전도 마이크로폰(1020)이 생성하는 에코신호를 더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부분(1021)에 진동흡수구조(1100)를 배치하지 않는 원인은, 골전도 마이크로폰(1020)의 표면의 제1 부분(1021)이 사용자의 얼굴(1040)과 접촉하여 제2 기계적 진동을 전달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제1 부분(1021)은 마이크로폰 진동막에 가까운 일측일 수 있으며, 제2 기계적 진동이 표시하는 것은 음성신호원에서 제공하는 음성신호이며, 따라서, 제2 기계적 진동이 약화되지 않도록 확보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도 10 및 도 11에 표시되는 바를 결합하면, 진동흡수구조(1100)은 골전도 마이크로폰(1020)의 표면의 제2 부분(1022)을 포위하며, 제1 부분(1021)을 비워서 제1 부분(1021)이 사용자의 얼굴(1040)과 직접 접촉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흡수구조(1100)는 겔을 통해 골전도 마이크로폰의 표면의 제2 부분(1022)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흡수구조(1100)는 용접연결, 스냅연결, 리벳연결, 나사연결(예를 들면, 나사못, 나사, 나사봉, 볼트, 등 부재를 통해 연결), 클램프 연결, 핀 연결, 웨지 키 연결, 일체성형의 방식으로 골전도 마이크로폰(1020)과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골전도 마이크로폰(1020)의 표면의 제1 부분(1021)에는 진동전달층(1023)이 배치될 수 있다. 골전도 마이크로폰(1020)의 강성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제1 부분(1021)이 사용자의 얼굴(1040)과 집접 접촉하면,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느끼게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체험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제1 부분(1021)에 진동전달층(1023)을 배치한 후, 사용자와 접촉할 때 촉감이 더 좋고,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전달층(1023)은 일정한 탄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제2 기계적 진동의 전달과정에서의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가 음향입출력장치(1000)를 착용한 후 촉감이 양호하도록 확보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전달층(1023)의 재료의 탄성률이 지나치게 작으면, 진동전달층(1023)의 재료의 탄성이 비교적 작음을 의미하며, 제2 기계적 진동의 강도를 약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전달층(1023)을 제조하는 재료의 탄성률은 제2 역치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역치는 0.01Mpa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역치는 0.015Mpa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역치는 0.02Mpa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역치는 0.025Mpa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역치는 0.03Mpa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전달층(1023)의 탄성률은 0.03MPa~3000MPa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전달층(1023)의 탄성률은 5MPa~2000MPa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전달층(1023)의 탄성률은 10MPa~1500MPa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전달층(1023)의 탄성률은 10MPa~1000MPa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전달층(1023)을 제조하는 재료는 실리콘(실리콘의 탄성률은 10Mpa이다), 고무 또는 플라스틱(플라스틱의 탄성률은 1000Mpa이다)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전달층(1023)의 두께를 감소시켜 제2 기계적 진동의 전달과정에서의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진동전달층(1023)의 두께가 비교적 얇을 때, 진동전달층(1023)을 제조하는 재료의 탄성률이 비교적 작아도, 제2 기계적 진동의 강도는 대폭적으로 손실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전달층(1023)의 두께는 30mm보다 작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전달층(1023)의 두께는 25mm보다 작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전달층(1023)의 두께는 20mm보다 작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전달층(1023)의 두께는 15mm보다 작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전달층(1023)의 두께는 10mm보다 작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전달층(1023)의 두께는 5mm보다 작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두께가 5mm인 고무 또는 실리콘을 이용하여 진동전달층(1023)을 제조하여, 양호한 촉감을 확보하는 동시에 골전도 마이크로폰(1020)이 수신하는 제2 기계적 진동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상술한 음향입출력장치(1000)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골전도 스피커 조립체에 적용할 수 있는 동시에, 전도 스피커 조립체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골전도 스피커 조립체인 경우, 하우징(1050)은 골전도 스피커 조립체의 일부분일 수 있고, 골전도 마이크로폰(1020)은 진동흡수구조(1100)를 통해 골전도 스피커 조립체의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다.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인 경우,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와 골전도 마이크로폰(1020)은 모두 하우징과 연결될 수 있고(예를 들면, 진동막과 하우징이 연결되고, 골전도 마이크로폰(1020)과 하우징이 연결됨), 골전도 마이크로폰(1020)과 하우징 사이에는 진동흡수구조가 더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음향입출력장치(1000)가 사용자와 접촉하는 부분이 받는 조임력을 증가시켜, 골전도 마이크로폰이 수신하는 제2 기계적 진동(즉, 제4 기계적 진동)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음향입출력장치(1000)가 사용자와 접촉하는 부분(예를 들면, 사용자의 얼굴(1040))의 접촉이 긴밀할수록, 제2 기계적 진동의 전달과정에서의 손실이 더 적으며, 그러나 음향입출력장치(1000)가 사용자와 접촉하는 부분이 받는 조임력이 비교적 크면, 사용자는 아픔을 느낄 수 있고, 사용 체험이 비교적 나쁘다. 따라서, 조임력을 일정한 범위 내로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피커 조립체(1010)가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일 때, 즉, 음향입출력장치(1000)는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를 통해 사용자에게 소리신호를 전송하고, 골전도 마이크로폰(1020)을 통해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수신하며, 이런 상황하에서, 조임력은 0.001N~0.3N범위 내로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조임력은 0.0025N~0.25N범위 내로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조임력은 0.005N~0.15N범위 내로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조임력은 0.0075N~0.1N범위 내로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조임력은 0.01N~0.05N범위 내로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골전도 스피커 조립체는 진동소자가 생성하는 기계적 진동을 하우징을 거쳐 사용자의 얼굴에 전달하여 사용자가 소리를 듣게 하기 때문에, 스피커 조립체(1010)가 골전도 스피커 조립체일 때, 조임력은 다소 상이하다. 예를 들면, 음향입출력장치(1000)의 스피커 조립체(1010)가 골전도 스피커 조립체를 포함할 때, 조임력이 과소하면, 골전도 스피커 조립체가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기계적 진동의 강도도 과소할 수 있으며, 즉, 음향입출력장치(1000)가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소리의 음량이 작은 편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신하는 기계적 진동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들에서, 음향입출력장치(1000)의 스피커 조립체(1010)가 골전도 스피커 조립체를 포함할 때, 조임력을 일정한 범위 내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조임력은 0.01N~2.5N범위 내로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조임력은 0.025N~2N범위 내로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조임력은 0.05N~1.5N범위 내로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조임력은 0.075N~1N범위 내로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조임력은 0.1N~0.5N범위 내로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피커 조립체(1010)와 골전도 마이크로폰(1020) 사이는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골전도 마이크로폰(1020)은 스피커 조립체(1010)의 하우징(1050)(골전도 스피커 조립체의 하우징)과 직접 연결되고 하우징(1050) 내에 수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골전도 마이크로폰과 스피커 조립체는 간접연결될 수 있다.
도 12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기재한 음향입출력장치의 단면 개략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음향입출력장치(1200)는 스피커 조립체(1210)와 골전도 마이크로폰(1220)을 포함한다. 스피커 조립체(1210)는 골전도 스피커 조립체이다. 스피커 조립체(1210)는 하우징(1250) 및 음파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제1 기계적 진동을 생성하기 위한 진동소자(12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진동소자(1211)는 하우징(1250)와 연결된다. 골전도 마이크로폰(1220)은 하우징(1250)과 연결된다. 도 1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진동소자(1211)는 진동전달편(1213), 자기회로조립체(1215)와 코일(1217)(또는 음성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자기회로조립체(1215)는 자기장을 형성하는 데 이용될 수 있으며, 코일(1217)은 상기 자기장에서 기계적 진동을 생성하여, 진동전달편(1213)의 진동을 일으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일(1217)에 신호전류가 통할 때, 코일(1217)은 자기회로조립체(1215)가 형성하는 자기장에 놓이고, 암페어힘의 작용을 받아 기계적 진동을 생성한다. 코일(1217)의 진동은 진동전달편(1213)을 구동하여 기계적 진동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진동전달편(1213)의 기계적 진동은 진일보로 하우징(1250)에 전달된 후, 하우징(1250)을 통해 사용자와 접촉하여 사용자가 소리를 듣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골전도 마이크로폰(1220)은 하우징(1250)의 내벽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12에 표시하는 하우징(1250)의 하측 내벽과 왼쪽 내벽의 연결부에 배치된다. 또 예를 들면, 하우징(1250)의 하측의 내벽에서, 왼쪽 또는 오른쪽 내벽과 접촉하지 않게 배치된다. 음향입출력장치(1200)는 상술한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와 결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12에 표시하는 골전도 마이크로폰(1220)과 하우징(1250) 사이에 진동흡수구조를 배치하여, 골전도 마이크로폰(1220)이 수신하는 제1 기계적 진동의 강도를 감소시킨다.
도 13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기재한 음향입출력장치의 단면 개략도이다. 음향입출력장치(1300)는 스피커 조립체(1310)와 골전도 마이크로폰(1320)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피커 조립체(1310)는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이며, 스피커 조립체(1310)는 하우징(1350)과 진동소자(1311)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소자(1311)는 진동막(1313), 자기회로조립체(1315) 및 코일(1317)을 포함할 수 있다. 자기회로조립체(1315)는 자기장을 형성하는 데 이용될 수 있으며, 코일(1317)은 상기 자기장에서 기계적 진동을 생성하여 진동막(1313)의 진동을 일으킬 수 있다. 하우징(1350)과 진동소자(1311) 사이에는 제1 연결구조를 구비한다. 제1 연결구조는 제1 진동흡수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가 작동할 때, 진동막(1313)은 기계적 진동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한 진동막(1313)과 하우징(1350)이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도 1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따라서, 진동막(1313)이 진동할 때 하우징(1350)의 기계적 진동을 일으킨다. 도 12에 표시하는 골전도 스피커 조립체와의 차이점은,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는 하우징(1350)의 진동을 통해 음파를 전달할 필요가 없으며, 하우징에 개공한 몇개의 소리투과공(예를 들면, 제1 소리투과공(1351)과 제2 소리투과공(1352))을 통해 음파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진동소자(1311)와 하우징(1350) 사이에 제1 진동흡수구조를 배치하여 하우징(1350)의 기계적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골전도 마이크로폰(1320)이 수신하는 하우징(1350)이 전달하는 기계적 진동의 강도를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진동흡수구조는 상술한 실시예 중의 진동흡수구조(1100)의 배치방식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진동흡수구조(1100)와 동일한 두께, 동일한 재료, 동일한 구조를 적용하여 제1 진동흡수구조를 제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진동흡수구조는 진동흡수구조(1100)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진동흡수구조는 일정한 탄성을 가지는 스트립형 부재 또는 시트형 부재일 수 있다. 스트립형 부재 또는 시트형 부재의 양단부는 각각 진동막(1313)과 하우징(1350)에 연결되어, 진동막(1313)이 하우징(1350)에 전달하는 기계적 진동의 강도를 하강시킨다. 제1 진동흡수구조는 고리형 부재일 수도 있다. 고리형 부재의 중간부는 진동막과 연결되며, 고리형 부재의 외측은 하우징(1350)과 연결되며, 마찬가지로, 진동막(1313)이 하우징(1350)에 전달하는 기계적 진동의 강도를 하강시킬 수 있다.
계속하여 도 13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우징(1350)과 골전도 마이크로폰(1320) 사이에는 제2 연결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구조는 제2 진동흡수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진동흡수구조를 통해 하우징(1350)을 통해 골전도 마이크로폰(1320)에 전달되는 기계적 진동(즉, 제3 기계적 진동)의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골전도 마이크로폰(1320)과 스피커 조립체(1310)는 각각 음향입출력장치의 상이한 구역에 배치하고, 그리고, 골전도 마이크로폰(1320)과 스피커 조립체(1310)의 하우징(1350) 사이에 제2 진동흡수구조를 배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골전도 마이크로폰(1320)은 단독으로 음향입출력장치의 기타 구역에 배치되고, 그리고, 제2 진동흡수구조를 통해 하우징(1350)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7에 표시하는 실시예를 예로 들면, 음향입출력장치(1700)는 단일 귀 머리착용식 이어폰이며, 골전도 마이크로폰(1720)과 스피커 조립체(1710)는 각각 고정조립체(1730)의 양측의 2개의 귀덮개(1731) 내에 배치되고, 그리고, 고정조립체(1730)를 통해 연결된다. 도 17에 표시하는 실시예에서, 제2 연결구조는 고정조립체(1730)와 고정조립체(1730)의 양측에 배치되는 귀덮개(1731)를 포함하고, 고정조립체(1730)와 귀덮개(1731)에 제2 진동흡수구조를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조립체(1730)의 외부에 한 층의 진동흡수재료를 씌워서 배치하여 제2 진동흡수구조로 한다. 또 예를 들면, 도 18에 표시하는 실시예에서, 음향입출력장치(1800)는 양귀 머리착용식 이어폰이며, 귀덮개(1831)에는 스펀지 커버(1833)가 배치되고, 골전도 마이크로폰(1820)은 스펀지 커버(1833) 내에 배치되고, 스펀지 커버(1833)를 통해 스피커 조립체(1810)의 하우징(1850)과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 스펀지 커버(1833)는 제2 진동흡수구조에 해당되며, 골전도 마이크로폰(1820)에 전달되는 제1 기계적 진동의 강도를 감소시킨다. 제2 진동흡수구조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출원의 기타 실시예(도 17, 도 18과 도 19의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중복하지 않는다.
상기 제2 진동흡수구조에 관한 실시예는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골전도 스피커 조립체에도 적용된다. 예를 들면, 도 17, 도 18에 표시하는 실시예 중의 스피커 조립체는 도 12에 표시하는 골전도 스피커 조립체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7을 예로 들면, 골전도 스피커 조립체와 골전도 마이크로폰(1720)은 각각 2개의 귀덮개(1731) 내에 배치되고, 고정조립체(1730)에는 여전히 한 층의 진동흡수재료를 씌워서 배치하여 제2 진동흡수구조로 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골전도 마이크로폰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 골전도 마이크로폰과 하우징이 직접 연결될 때, 제2 진동흡수구조는 상술한 실시예 중의 진동흡수구조와 동일하며, 더 많은 설명은 도 10과 도 11의 관련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중복하지 않는다.
도 13에 도시한 바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소자(1311)와 하우징(1350) 사이에 제1 진동흡수구조를 더 배치하여 하우징(1350)의 기계적 진동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타 방식을 통해 이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소자(1311)의 질량을 감소시켜 진동소자(1311)가 진동할 때 하우징(1350)에 대한 영향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하우징(1350)의 기계적 진동강도를 감소시킨다. 진동소자(1311)는 진동막(1313)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우징(1350)의 기계적 진동은 진동막(1313)이 진동하여 일으키는 것이며, 진동소자(1311)(예를 들면, 진동막(1313))의 질량이 비교적 작으면, 진동소자(1311)가 진동할 때 하우징(1350)에 대한 영향이 작아지며, 하우징(1350)이 생성하는 기계적 진동의 강도가 작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막(1313)의 질량을 0.001g~1g의 범위 내로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막(1313)의 질량을 0.002g~0.9g의 범위 내로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막(1313)의 질량을0.003g~0.8g의 범위 내로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막(1313)의 질량을 0.004g~0.7g의 범위 내로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막(1313)의 질량을 0.005g~0.6g의 범위 내로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막(1313)의 질량을 0.005g~0.5g의 범위 내로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막(1313)의 질량을 0.005g~0.3g의 범위 내로 제어할 수 있다.
유사하게, 하우징(1350)의 질량이 진동막(1313)의 질량보다 훨씬 크면, 진동막(1313)의 기계적 진동의 하우징(1350)에 대한 영향도 비교적 작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우징(1350)의 질량을 증가시켜 하우징(1350)의 기계적 진동의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우징(1350)의 질량을 2g~20g의 범위 내로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우징(1350)의 질량을 3g~15g의 범위 내로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우징(1350)의 질량을 4g~10g의 범위 내로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우징(1350)의 질량과 진동막(1313)의 질량의 비율을 제어하여, 하우징(1350)의 질량을 진동막(1313)의 질량보다 훨씬 크게 하고, 하우징(1350)에 대한 진동막(1313)의 기계적 진동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우징(1350)의 질량과 진동막(1313)의 질량의 비율을10~100의 범위 내로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우징(1350)의 질량과 진동막(1313)의 질량의 비율을 15~80의 범위 내로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우징(1350)의 질량과 진동막(1313)의 질량의 비율을 20~60의 범위 내로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우징(1350)의 질량과 진동막(1313)의 질량의 비율을 25~50의 범위 내로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우징(1350)의 질량과 진동막(1313)의 질량의 비율을 30~50의 범위 내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4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기재한 2개의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를 구비하는 음향입출력장치의 단면 개략도이고, 도 15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기재한 2개의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를 구비하는 다른 하나의 음향입출력장치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14와 도 15에 표시하는 실시예에서, 스피커 조립체는 모두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이다. 도 1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피커 조립체(1410)는 제1 진동소자(1411)와 제2 진동소자(1412)를 포함하고, 제1 진동소자(1411)는 제1 진동막(1413), 제1 자기회로조립체(1415) 및 제1 코일(1417)을 포함하고, 제2 진동소자(1412)는 제2 진동막(1414), 제2 자기회로조립체(1416) 및 제2 코일(1418)(또는 음성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진동막(1413)과 제2 진동막(1414)의 진동방향은 서로 반대된다. 예를 들면, 도 14는 어느 시각의 제1 진동막(1413)과 제2 진동막(1414)의 진동방향을 표시하고, 여기서, 제1 진동막(1413)의 진동방향은 위로부터 아래로이고, 제2 진동막(1414)의 진동방향은 아래로부터 위로이다. 사용자에게 들리는 소리는 사용자의 골격, 피부 등 감지되는 진동으로부터 오는 것이 아니고, 제1 진동막(1413)과 제2 진동막(1414)이 공기진동을 추동하여 공기 밀도를 변경시켜 사용자가 소리를 듣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가 출력하는 소리신호의 음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상황하에서, 하우징(1450) 및 하우징(1450)과 연결되는 부재(즉, 에코신호원)의 기계적 진동(즉, 제1 기계적 진동)의 강도를 감소시켜서 골전도 마이크로폰(미도시)이 수신하는 하우징(1450)이 전달하는 기계적 진동(즉, 제3 기계적 진동)의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서 골전도 마이크로폰이 생성하는 제1 신호의 강도를 감소시킨다. 이 외에, 스피커 조립체(1410)에는 제1 진동막(1413)의 진동방향과 반대되는 제2 진동막(1414)이 더 배치될 수 있다.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에 2개의 진동막을 배치하였고, 제1 진동막(1413)이 생성하는 기계적 진동은 하우징(1450)의 진동을 일으킬 수 있으며, 제2 진동막(1414)이 생성하는 기계적 진동도 하우징(1450)의 진동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제1 진동막(1413)의 진동방향과 제2 진동막(1414)의 진동방향이 반대되기 때문에, 하우징에서 생성하는 2가지 기계적 진동은 서로 상쇄되며, 따라서, 하우징의 기계적 진동의 강도를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2개의 진동막은 동일한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 내의 부재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음향입출력장치(1400)는 제1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와 제2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진동막(1413)과 제2 진동막(1414)은 각각 제1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와 제2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 내의 부재이다. 도 14에 표시하는 실시예에서, 2개의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가 각각 하우징(1450)의 상이한 구역에 위치하며, 각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는 하나의 진동막, 자기회로조립체 및 코일을 포함한다고 간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우징(1450)은 제1 캐비티(1455)와 제2 캐비티(1456)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진동막(1413)과 제2 진동막(1414)은 각각 제1 캐비티(1455)와 제2 캐비티(1456) 내에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1450)은 제1 캐비티(1455)에 대응되는 제1 부분과 제2 캐비티(1456)에 대응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캐비티(1455)의 측벽(즉, 하우징(1450)의 제1 부분의 측벽)에는 제1 소리투과공(1451)과 제2 소리투과공(1452)이 개공되어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소리투과공(1451)과 제2 소리투과공(1452)은 하우징(1450)의 제1 부분의 상이한 측벽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소리투과공(1451)과 제2 소리투과공(1452)은 하우징(1450)의 제1 부분의 인접되지 않는 측벽에 배치되고, 즉, 제1 소리투과공(1451)과 제2 소리투과공(1452)은 하우징(1450)의 제1 부분의 상대측 위치(도 1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캐비티(1456)(즉, 하우징(1450)의 제2 부분의 측벽)의 측벽에는 제3 소리투과공(1453)과 제4 소리투과공(1454)이 개공되어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3 소리투과공(1453)과 제4 소리투과공(1454)은 하우징(1450)의 제2 부분의 상이한 측벽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3 소리투과공(1453)과 제4 소리투과공(1454)은 하우징(1450)의 제2 부분의 인접되지 않는 측벽에 배치되고, 즉, 제3 소리투과공(1453)과 제4 소리투과공(1454)은 하우징(1450)의 제2 부분의 상대측 위치(도 1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소리투과공(1451)과 제3 소리투과공(1453)은 하우징(1450)의 동일한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소리투과공(1452)과 제4 소리투과공(1454)은 하우징(1450)의 동일한 측에 배치되어, 제1 소리투과공(1451)이 내는 소리의 위상이 제3 소리투과공(1453)이 내는 소리의 위상과 동일하고, 제2 소리투과공(1452)이 내는 소리의 위상이 제4 소리투과공(1454)이 내는 소리의 위상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450)은 2개의 서로 연통되지 않는 캐비티로 나뉘고, 즉, 제1 캐비티(1455)와 제2 캐비티(1456), 제1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 또는 (제1 진동소자(1411))와 제2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또는 제2 진동소자(1412))는 각각 2개의 캐비티 내에 위치한다. 제1 캐비티(1455)는 제1 진동막(1413)에 의해 전캐비티와 후캐비티로 나뉘고, 제2 캐비티(1456)는 제2 진동막(1414)에 의해 전캐비티와 후캐비티로 나뉜다. 제1 소리투과공(1451)과 제3 소리투과공(1453)은 제1 캐비티(1455)와 제2 캐비티(1456)의 전캐비티 소리투과공에 해당되고, 제2 소리투과공(1452)와 제4 소리투과공(1454)은 제1 캐비티(1455)과 제2 캐비티(1456)의 후캐비티 소리투과공에 해당되며, 제1 캐비티(1455)와 제2 캐비티(1456)의 전캐비티 소리투과공의 소리의 위상이 동일하고, 후캐비티 소리투과공의 소리의 위상도 동일할 때, 2개의 진동막이 내는 소리의 위상이 동일하며, 따라서, 기전도되는 음량을 감소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피커 조립체(1410)의 진동막의 수량이 복수개일 때, 스피커 조립체(1410)의 구조를 조절하여 전체적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피커 조립체(1510)는 제1 진동소자(1511)와 제2 진동소자(15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진동소자(1511)는 제1 진동막(1513), 제1 자기회로조립체(1515)와 제1 코일(1517)을 포함하고, 마찬가지로, 제2 진동소자(1512)도 제2 진동막(1514), 제2 자기회로조립체(1516)와 제2 코일(1518)(또는 음성코일)을 포함하고, 제1 캐비티(1555)와 제2 캐비티(1556)는 연통될 수 있다. 제1 자기회로조립체(1515)와 제2 자기회로조립체(1516)는 하나의 전체로 결합되어, 전체적 스피커 조립체(1510)가 점유하는 공간을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와 제2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는 2개의 동일한 스피커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와 제2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는 2개의 동일하지 않은 스피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음향입출력장치(1500)에는, 제1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와 제2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를 주로 사용자에게 들리는 소리신호를 생성하는 메인 스피커로 한다. 제2 기전도 스피커 조립체는 보조 스피커로 할 수 있다. 보조 스피커의 기계적 진동의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보조 스피커로 하여금 하우징(1550)에 대해 메인 스피커와 반대되는 힘을 생성하게 하며, 하우징(1550)의 진동강도를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피커 조립체(1510)는 메인 스피커와 보조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장치는 하우징(1550)에 대해 메인 스피커의 진동방향과 반대되는 진동을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보조장치는 진동모터일 수 있으며, 진동모터는 하우징(1550)에 대해 메인 스피커의 진동방향과 반대되는 진동을 생성하여, 하우징(1550)의 진동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보조 스피커가 생성하는 기계적 진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피커 조립체(1510)는 보조 스피커의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조 스피커의 제어장치는 메인 스피커의 기계적 진동의 강도와 방향을 획득할 수 있으며, 메인 스피커의 기계적 진동의 강도와 방향에 근거하여 보조 스피커가 생성하는 기계적 진동의 강도와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보조 스피커의 하우징에 대한 힘과 메인 스피커의 하우징(1550)에 대한 힘을 서로 상쇄시켜 하우징(1550)의 진동을 감소시키고, 나아가서 하우징(1550)이 골전도 마이크로폰(1520)에 전달하는 진동을 감소시켜서 골전도 마이크로폰(도 15에 미도시)이 생성하는 에코신호의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2개의 진동막의 진동방향을 반대로 배치하는 구현형태는 상술한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개의 진동막의 진동방향을 반대로 배치하는 실시예에서, 제1 진동막(예를 들면, 제1 진동막(1413))과 하우징(예를 들면, 하우징(1450)) 사이 및 제2 진동막(예를 들면, 제2 진동막(1414))과 하우징(1450) 사이에 모두 제2 진동흡수구조를 배치하여, 하우징(1450)이 수신하는 기계적 진동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골전도 마이크로폰이 수신하는 제1 기계적 진동의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음성신호원은 사용자가 음성신호를 제공할 때의 진동부위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말할 때, 성대, 입, 비강, 후두, 등 부위의 진동의 강도는 선명히 귀, 눈, 등 부위보다 높으며, 따라서, 이러한 부위들은 음성신호원으로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골전도 마이크로폰(1920)을 설계할 때, 골전도 마이크로폰(1920)이 사용자의 입, 비강 또는 성대 중 적어도 하나의 부근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입출력장치(1900)가 도 19에 표시하는 안경일 때, 골전도 마이크로폰(1920)을 안경의 코걸이(1935)에 배치할 수 있으며, 골전도 마이크로폰(1920)이 사용자의 콧등에 가깝기 때문에서, 따라서, 수신하는 기계적 진동의 강도가 더 크며, 도 19에 표시하는 안경에 대한 더 많은 설명은 본 출원의 기타 실시예에서 찾을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중복하지 않는다. 도 19에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가 음향입출력장치(1900)를 착용할 때, 골전도 마이크로폰(1920)과 사용자의 진동부위(미도시)의 거리는 제3 역치보다 작게끔 음향입출력장치(1900)를 배치할 수 있다. 본 문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골전도 마이크로폰(1920)과 사용자의 후두 사이의 거리를 예로 들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3 역치는 20cm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3 역치는15cm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3 역치는 10cm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3 역치는 2cm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골전도 마이크로폰(1920)이 사용자의 진동부위에 더 가깝기 때문에, 따라서, 수신한 제2 기계적 진동(즉, 제4 기계적 진동)의 강도가 더 크고, 골전도 마이크로폰(1920)이 생성하는 제2 신호의 강도가 클수록, 음성신호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6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기재한 머리착용식 이어폰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음향입출력장치(1600)는 머리착용식 이어폰일 수 있으며, 고정조립체(1630)를 포함한다. 고정조립체(1630)는 머리띠(1632) 및 머리띠(1632)의 양측에 연결되는 2개의 귀덮개(163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머리띠(1632)는 머리착용식 이어폰을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하고, 2개의 귀덮개(1631)를 사용자의 머리의 양측에 고정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각 귀덮개(1631)에는 모두 골전도 마이크로폰(1620)과 스피커 조립체(1610)가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골전도 마이크로폰(1620)은 귀덮개(1631) 중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골전도 마이크로폰(1620)은 귀덮개(1631)의 위쪽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골전도 마이크로폰(1620)은 귀덮개(1631)의 아래쪽의 위치(도 1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에 위치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음향입출력장치(1600)를 착용할 때, 골전도 마이크로폰(1620)과 사용자의 진동부위의 거리를 단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골전도 마이크로폰(1620)이 사용자가 말할 때의 진동부위에 더 가까우면, 골전도 마이크로폰(1620)이 사용자가 말할 때 수신하는 진동부위의 진동(즉, 제4 기계적 진동)강도가 더 크고, 골전도 마이크로폰(1620)이 생성하는 제2 신호의 강도를 더 크게 할 수 있다. 나아가서 제2 신호의 강도와 제4 신호의 강도의 비율을 더 크게 하고, 골전도 마이크로폰이 생성하는 소리신호 중의 에코신호가 점하는 비율을 더 작게 하며, 사용자의 체험을 더 좋게 한다.
도 17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기재한 단일 귀 머리착용식 이어폰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음향입출력장치(1700)는 단일 귀식 머리착용 이어폰일 수 있으며, 즉, 골전도 마이크로폰(1720)과 스피커 조립체(1710)는 각각 2개의 귀덮개(1731) 내에 배치되고, 각 귀덮개(1731)에는 하나의 스피커 조립체(1710) 또는 하나의 골전도 마이크로폰(1720)만 배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골전도 마이크로폰(1720)과 스피커 조립체(1710)는 각각 상이한 귀덮개(1731)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머리의 양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골전도 마이크로폰(1720)과 스피커 조립체(1710) 사이의 거리는 비교적 멀고, 따라서, 골전도 마이크로폰(1720)이 수신하는 스피커 조립체(1710)가 생성하는 제1 기계적 진동의 강도가 비교적 작으며, 즉, 제3 기계적 진동의 강도가 더 작으며, 골전도 마이크로폰(1720)이 생성하는 소리신호 중의 에코신호가 점유하는 비율을 더 작게 하고, 사용자의 체험을 더 좋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머리띠(1732)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진동흡수구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머리띠(1732)를 통해 전달하는 제1 기계적 진동의 강도를 감소시키는 데 이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머리띠(1732)에는 발포면을 배치하고, 발포면을 통해 스피커 조립체(1710)가 골전도 마이크로폰(1720)에 전달하는 제1 기계적 진동의 강도를 저하시킨다. 다른 일부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머리띠(1732)는 제2 진동흡수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진동흡수재료는 상술한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 중의 진동흡수재료와 동일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머리띠(1732)는 실리콘 또는 고무 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골전도 마이크로폰(1720) 또는 스피커 조립체(1710)는 귀덮개(1731) 내에 배치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골전도 마이크로폰은 도 16과 도 17에 표시하는 머리띠상의 D점에 배치될 수 있으며, D점은 사용자의 머리 꼭대기에 대응되고, 스피커 조립체는 귀덮개 내에 배치된다. 또 예를 들면, 스피커 조립체는 도 16과 도 17에 표시하는 머리띠상의 D점에 배치될 수 있고, D점은 사용자의 머리 꼭대기에 대응될 수 있고, 골전도 마이크로폰은 귀덮개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8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기재한 양귀 머리착용식 이어폰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16과 도 18에 표시하는 바를 결합하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음향입출력장치(1800)는 양귀 머리착용식 이어폰일 수 있으며, 고정조립체(1830)를 포함한다. 고정조립체(1830)는 머리띠(1832) 및 머리띠(1832)의 양측에 연결되는 2개의 귀덮개(1831)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귀덮개(1831)상의 사용자의 얼굴(1840)과 접촉하는 일측에는 스펀지 커버(1833)가 배치될 수 있고, 골전도 마이크로폰(1820)은 스펀지 커버(1833)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스펀지 커버(1833)를 배치한 후, 골전도 마이크로폰(1820)과 스피커 조립체(1810)의 하우징(1850) 사이에 진동흡수구조, 즉, 상술한 실시예 중의 제2 진동흡수구조를 추가 배치한 것과 동등하며, 하우징(1850)을 거쳐 전달하는 스피커 조립체(1810)가 생성하는 제1 기계적 진동의 강도를 감소시킨다. 또한, 스펀지 커버(1833)의 탄성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사용자의 얼굴(1840)을 거쳐 전달하는 제2 기계적 진동의 강도를 약화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펀지 커버(1833)의 표면의 일부분에 강성이 비교적 큰 진동전달구조를 배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전달구조는 시트형 부재, 예를 들면, 금속편 또는 플라스틱편(금속편과 플라스틱편은 모두 미도시)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트형 부재의 외측은 사용자의 얼굴(1840)과 접촉할 수 있으며, 시트형 부재의 내측은 골전도 마이크로폰(1820)과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강성이 비교적 큰 시트형 부재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1840)과 골전도 마이크로폰(1820)을 접촉시키고, 골전도 마이크로폰(1820)이 사용자가 말할 때 수신하는 진동부위의 진동(즉, 제2 기계적 진동)의 전달과정에서의 손실을 될 수록 감소시키고, 제4 기계적 진동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나아가서 골전도 마이크로폰(1820)이 생성하는 음성신호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도 19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기재한 안경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9에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음향입출력장치(1900)는 스피커와 마이크로폰의 기능을 구비하는 안경일 수 있으며, 안경은 고정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조립체는 안경테(1930)일 수 있으며, 상기 안경테(1930)는 안경틀(1932)과 2개의 안경다리(1933)를 포함할 수 있고, 안경다리(1933)는 안경틀(1932)과 연결되는 안경다리 본체(193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안경다리 본체(1934)는 상술한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스피커 조립체(19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피커 조립체(1910)는 골전도 스피커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골전도 스피커 조립체는 안경다리(1933)에서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안경틀(1932)은 안경틀(1932)을 사용자의 콧등 위에 지지하는 코걸이(193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코걸이(1935) 내에는 상술한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골전도 마이크로폰(1920)이 배치될 수 있다. 비강은 사용자가 음성신호를 제공할 때의 진동부위로서, 그 기계적 진동의 강도는 비교적 크며, 골전도 마이크로폰을 코걸이(1935) 내에 배치하는 좋은 점은, 한방면으로는 골전도 마이크로폰(1920)이 수신하는 음성신호의 기계적 진동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다른 한 방면으로는 골전도 마이크로폰(1920)과 스피커 조립체(1910)가 안경의 상이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따라서, 골전도 마이크로폰(1920)이 수신하는 스피커 조립체(1910)가 음파를 전파할 때 생성하는 제1 기계적 진동의 강도가 더 작으며, 골전도 마이크로폰(1920)이 생성하는 에코신호가 더 작은 것이다.
유의해야 할 것은, 상기 실시예에서 기재하는 안경은 각 종 유형의 안경, 예를 들면, 선글라스, 근시안경, 원시안경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안경은 VR(Virtual Reality) 기능 또는AR(Augmented Reality) 기능을 구비하는 안경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한 유익효과는 아래의 효과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1)골전도 마이크로폰의 진동방향과 에코신호원의 진동방향이 형성하는 제1 협각을 설정된 각도 범위 내로 설정함으로써, 골전도 마이크로폰이 수신하는 에코신호원의 진동의 강도를 감소시키고, 생성되는 에코신호(즉, 제1 신호)의 강도를 감소시킨다.(2)골전도 마이크로폰의 진동방향과 음성신호원의 진동방향이 형성하는 제2 협각을 설정된 각도 범위 내로 설정함으로써, 골전도 마이크로폰이 수신하는 음성신호원의 진동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생성되는 음성신호(즉, 제2 신호)의 강도를 향상시킨다.(3)음향입출력장치상의 사용자와 접촉하는 부분이 받는 조임력을 일정한 범위 내로 제어함으로써, 골전도 마이크로폰이 사용자와 더 긴밀하게 접촉하게 하고, 수신하는 음성신호원의 진동의 강도(즉, 제4 기계적 진동의 강도)를 더 높게 한다.(4)골전도 마이크로폰과 스피커 조립체의 하우징 사이에 진동흡수구조를 증가하여 배치함으로써, 수신하는 스피커 조립체의 진동의 강도(즉, 제3 기계적 진동의 강도)를 감소시킨다.(5)스피커 조립체의 진동소자와 하우징 사이에 진동흡수구조를 증가하여 배치함으로써, 진동흡수구조를 통해 하우징에 대한 진동소자의 진동의 영향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하우징이 생성하는 기계적 진동의 강도를 감소시키며, 나중에 골전도 마이크로폰이 수신하는 스피커 조립체의 진동의 강도를 감소시키는 목적을 구현한다.(6)골전도 마이크로폰을 사용자가 음성신호를 제공할 때의 진동부위에 더 가깝게 배치함으로써, 수신하는 음성신호원의 진동의 강도를 증가시킨다. 유의해야 할 것은, 상이한 실시예가 생성할 수 있는 유익효과는 상이하며, 상이한 실시예에서, 생성할 수 있는 유익효과는 상술한 유익효과 중의 임의의 하나 또는 여러개의 조합일 수 있으며, 기타 임의의 획득할 수 있는 유익효과일 수도 있다.
위에서는 기본 개념을 설명하였다. 물론,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 상술한 발명의 개시는 단지 예로서, 본 출원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명기하지 않았지만, 본 분야의 기술자들은 본 출원에 대해 각 종 변경, 개량과 수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 개량과 수정은 본 출원에서 제안하려는 바이며, 따라서 이러한 변경, 개량과 수정은 여전히 본 출원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지와 범위 내에 속한다.
동시에, 본 출원은 특정된 단어를 이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를 기술한다. 예를 들면, "하나의 실시예", "일실시예" 및/또는 "일부 실시예"는 본 출원 중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와 관련되는 어느 특징, 구조 또는 특점을 가리킨다. 따라서, 여기에서 강조하고 주의해야 할 것은, 본 명세서 중의 상이한 위치에서 두번 또는 여러번 언급하는 "일실시예" 또는 "하나의 실시예"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는 꼭 동일한 실시예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리고, 본 출원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 중의 어떤 특징, 구조 또는 특점은 적당히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청구범위에서 명시적으로 주장하지 않는 한, 본 출원에서 기술하는 처리요소와 서열의 순서, 숫자자모의 사용 또는 기타 명칭의 사용은 본 출원의 흐름과 방법의 순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상술한 개시는 다양한 예들을 이용하여 본 개시의 현재 유용하다고 생각되는 발명 실시예들을 토론하지만, 이해해야 할 것은, 이러한 상세한 설명은 단지 설명의 목적에만 의한 것으로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반대로, 청구범위의 요지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실질과 범위에 부합되는 모든 수정과 등가조합을 커버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술한 상기 시스템 부재들은 하드웨어 장치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지만, 상기 시스템 부재들은 소프트웨어 해결방안만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시스템을 기존의 서버 또는 이동장치에 장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유의해야 할 것은, 본 출원에서 개시하는 표현을 간단화하여 따라서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앞의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서술에서, 복수의 특징들은 어떤 경우 하나의 예, 도면, 또는 그 설명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시방법은 본 출원의 대상이 필요하는 특징이 청구범위에서 언급한 특징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사실상, 상기 실시예들의 특징들은 상술한 단일 실시예의 전부의 특징보다 적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성분 및 속성의 수량을 표시하는 여러 가지 숫자가 사용되며, 이해해야 할 것은, 이러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데 이용되는 숫자들은, 일부 예에서 수식어 "약", "근사" 또는 "대체로" 등을 이용하여 수식하였다.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약", "유사" 또는 "대체로"는 그 묘사하는 값이 ±20%의 변화가 허용됨을 표시할 수 있다. 상응하게, 일부 실시예들에서,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수치 데이터는 모두 근사치이며, 그 근사치는 개별 실시예에서 필요한 특징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치 데이터는 규정된 유효 자릿수를 고려하고 일반적인 자릿수 보유방법을 적용해야 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범위의 크기를 결정하는 수치 범위 및 수치는 근사치이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수치의 설정은 가능한 범위 내에서 될수록 정확하다.
최종적으로,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 중의 상기 실시예는 단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기타 변형도 본 출원의 범위에 속할 수 있다. 따라서, 한정적이 아닌 예로써, 본 출원의 실시예의 대체적인 배치는본 출원의 교시와 일치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 상응하게, 본 출원의 실시예는 본 출원에서 명확하게 소개하고 기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29)

  1. 음향입출력장치로서,
    제1 기계적 진동을 생성하여 음파를 전달하는 스피커 조립체; 및
    음성신호원이 음성신호를 제공할 때 생성하는 제2 기계적 진동을 수신하고, 상기 제1 기계적 진동과 상기 제2 기계적 진동의 작용하에서 각각 제1 신호와 제2 신호를 생성하는 마이크로폰으로서, 여기서, 일정한 주파수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기계적 진동의 강도와 상기 제1 신호의 강도의 비율값이 상기 제2 기계적 진동의 강도와 상기 제2 신호의 강도의 비율값보다 큰, 상기 마이크로폰
    을 포함하는, 음향입출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조립체는 골전도 스피커 조립체이며, 상기 골전도 스피커 조립체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는 제1 기계적 진동을 생성하기 위한 진동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하우징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음향입출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음향입출력장치를 착용할 때, 상기 음향입출력장치가 상기 사용자와 접촉하는 부분이 받는 조임력은 0.1N~0.5N인, 음향입출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진동흡수구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진동흡수구조를 통해 상기 스피커 조립체와 연결되는, 음향입출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구조는 탄성률이 제1 역치보다 작은 진동흡수재료를 포함하는, 음향입출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재료의 탄성률은 0.01Mpa~1000Mpa인, 음향입출력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구조의 두께는 0.5mm~5mm인, 음향입출력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의 표면의 제1 부분은 상기 제2 기계적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마이크로폰의 표면의 제2 부분에는 상기 진동흡수구조가 배치되며 상기 진동흡수구조를 통해 상기 스피커 조립체와 연결되는, 음향입출력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의 표면의 제1 부분에는 진동전달층이 배치되는, 음향입출력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전달층의 재료의 탄성률은 제2 역치보다 큰, 음향입출력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조립체는 하우징과 진동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진동소자 사이에는 제1 연결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로폰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는 제2 연결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구조는 제1 진동흡수구조를 포함하는, 음향입출력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구조는 제2 진동흡수구조를 포함하는, 음향입출력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소자의 질량은 0.005g~0.3g의 범위 내에 있는, 음향입출력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음향입출력장치를 착용할 때, 상기 음향입출력장치가 상기 사용자와 접촉하는 부분이 받는 조임력은 0.01N~0.05N인, 음향입출력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조립체는 제1 진동막과 제2 진동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진동막과 상기 제2 진동막의 진동방향은 서로 반대인, 음향입출력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조립체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1 캐비티와 제2 캐비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진동막과 상기 제2 진동막은 각각 상기 제1 캐비티와 상기 제2 캐비티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캐비티의 측벽에는 제1 소리투과공과 제2 소리투과공이 개공되고, 상기 제2 캐비티의 측벽에는 제3 소리투과공과 제4 소리투과공이 개공되고, 상기 제1 소리투과공이 내는 소리의 위상은 상기 제3 소리투과공이 내는 소리의 위상과 동일하고, 상기 제2 소리투과공이 내는 소리의 위상은 상기 제4 소리투과공이 내는 소리의 위상과 동일한, 음향입출력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리투과공과 상기 제3 소리투과공은 상기 하우징의 동일한 측벽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소리투과공과 상기 제4 소리투과공은 상기 하우징의 동일한 측벽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소리투과공과 상기 제2 소리투과공은 상기 하우징의 인접되지 않는 측벽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소리투과공과 상기 제4 소리투과공은 상기 하우징의 인접되지 않는 측벽에 배치되는, 음향입출력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조립체는 자기장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자기회로조립체와 제2 자기회로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는 상기 제1 진동막이 진동을 생성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자기회로조립체는 상기 제2 진동막으로 하여금 진동을 생성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캐비티와 상기 제2 캐비티는 연통되고,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와 상기 제2 자기회로조립체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음향입출력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원은 사용자가 음성신호를 제공할 때의 진동부위이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향입출력장치를 착용할 때, 상기 사용자의 상기 진동부위와 상기 마이크로폰의 거리는 제3 역치보다 작은, 음향입출력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사용자의 성대, 후두, 입, 비강 중 적어도 하나의 부근에 위치하는, 음향입출력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입출력장치는 고정조립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조립체는 상기 음향입출력장치와 사용자의 안정된 접촉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고정조립체는 상기 스피커 조립체와 고정연결되는, 음향입출력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입출력장치는 머리착용식 이어폰이며, 상기 고정조립체는 머리띠 및 상기 머리띠의 양측에 연결되는 2개의 귀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띠는 사용자의 두골과 고정되고 상기 2개의 귀덮개를 상기 사용자의 두골의 양측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마이크로폰과 상기 스피커 조립체는 각각 상기 2개의 귀덮개 내에 배치되는, 음향입출력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입출력장치는 양귀 머리착용식 이어폰이며, 각 상기 귀덮개상의 상기 사용자와 접촉하는 일측에는 스펀지 커버가 배치되며,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스펀지 커버 내에 수용되는, 음향입출력장치.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의 강도와 상기 제1 신호의 강도의 비율은 역치보다 큰, 음향입출력장치.
  25. 음향입출력장치로서,
    제1 기계적 진동을 생성하여 음파를 전달하는 스피커 조립체; 및
    음성신호원이 음성신호를 제공할 때 생성하는 제2 기계적 진동을 수신하고, 상기 제1 기계적 진동과 상기 제2 기계적 진동의 작용하에서 각각 제1 신호와 제2 신호를 생성하는 마이크로폰
    을 포함하되, 상기 마이크로폰의 진동방향과 상기 제1 기계적 진동의 방향이 형성하는 제1 협각은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일정한 주파수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기계적 진동의 강도와 상기 제1 신호의 강도의 비율값이 상기 제2 기계적 진동의 강도와 상기 제2 신호의 강도의 비율값보다 크게 하는, 음향입출력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협각은 20º~90º의 각도 범위 내에 있는, 음향입출력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협각은 90º를 포함하는, 음향입출력장치.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의 진동방향과 상기 제2 기계적 진동의 방향이 형성하는 제2 협각은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상기 제1 기계적 진동의 강도와 상기 제1 신호의 강도의 비율값이 상기 제2 기계적 진동의 강도와 상기 제2 신호의 강도의 비율값보다 크게 하는, 음향입출력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협각은 0º~85º의 각도 범위 내에 있는, 음향입출력장치.
KR1020237032768A 2021-04-27 2021-04-27 음향입출력장치 KR202301477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1/090298 WO2022226792A1 (zh) 2021-04-27 2021-04-27 声学输入输出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7729A true KR20230147729A (ko) 2023-10-23

Family

ID=83847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2768A KR20230147729A (ko) 2021-04-27 2021-04-27 음향입출력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19463A1 (ko)
EP (1) EP4277296A4 (ko)
JP (1) JP2024511098A (ko)
KR (1) KR20230147729A (ko)
CN (1) CN116762364A (ko)
WO (1) WO20222267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68512B2 (en) * 2022-06-22 2024-04-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peaker devices with dual-transducer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15506B2 (ja) * 2006-03-22 2013-10-16 ボーン・トーン・コミュニケイションズ・リミテッド 骨伝導音伝播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CN107750026A (zh) * 2017-10-31 2018-03-02 江西联创电声有限公司 头戴式耳机
CN108307256A (zh) * 2018-03-07 2018-07-20 珠海格力智能装备有限公司 声响装置、智能音响及机器人
CN112637737B (zh) * 2018-04-26 2021-11-30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耳机系统
CN117241182A (zh) * 2019-01-05 2023-12-15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骨传导扬声装置
WO2020220722A1 (zh) * 2019-04-30 2020-11-05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声学输出装置
WO2021067750A1 (en) * 2019-10-02 2021-04-08 NOTO Technologies Limited Bone conduc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CN110881160B (zh) * 2019-11-12 2021-08-31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发声装置
CN111212346A (zh) * 2020-02-06 2020-05-29 北京声智科技有限公司 语音交互模组及语音交互设备
CN111757219B (zh) * 2020-06-29 2021-08-27 歌尔股份有限公司 出声装置以及头戴式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19463A1 (en) 2023-10-05
WO2022226792A1 (zh) 2022-11-03
EP4277296A4 (en) 2024-04-10
JP2024511098A (ja) 2024-03-12
CN116762364A (zh) 2023-09-15
EP4277296A1 (en) 202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227514A1 (zh) 一种耳机
KR101176827B1 (ko) 오디오 장치
JP6359807B2 (ja) 音響再生機器
WO2017168903A1 (ja) 音響再生装置
JP2007165938A (ja) 受話装置
US20200068284A1 (en) Wearable device
CN214125513U (zh) 骨传导耳机
JP2023520434A (ja) 音響出力装置
CN111670581B (zh) 听音装置
CN115250395A (zh) 声学输入输出设备
JP7018205B2 (ja) 聴音装置
US20230319463A1 (en) Acoustic input-output devices
CN115250392A (zh) 声学输入输出设备
KR102100845B1 (ko) 마이크를 외장한 난청 보상 장치
CN214381390U (zh) 骨传导听音装置
TWI853236B (zh) 聲學輸入輸出設備
JPH08195994A (ja) 骨伝導イヤホンマイク
JP7222352B2 (ja) 骨伝導音響伝達装置
CN113099339A (zh) 耳廓夹持结构、骨传导听音装置和听音方法
TW202242847A (zh) 聲學輸入輸出設備
WO2022054714A1 (ja) 聴音装置
TWI851980B (zh) 一種耳機
WO2022050380A1 (ja) 聴音装置、聴音装置用クレードル
WO2020116253A1 (ja) 電気音響変換器及び音響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