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752B1 - 렌즈 경통 및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렌즈 경통 및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752B1
KR102520752B1 KR1020190015824A KR20190015824A KR102520752B1 KR 102520752 B1 KR102520752 B1 KR 102520752B1 KR 1020190015824 A KR1020190015824 A KR 1020190015824A KR 20190015824 A KR20190015824 A KR 20190015824A KR 102520752 B1 KR102520752 B1 KR 102520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lens
optical axis
retaining frame
lens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9128A (ko
Inventor
아츠토 노다
노부요시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99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12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hree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렌즈 경통에서, 제3의 렌즈 보유 프레임은, 제1의 구동부를 구동함으로써, 제1의 렌즈 보유 프레임 및 제2의 렌즈 보유 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제1의 렌즈 보유 프레임에 가이드 축의 일단이 고정되고, 제2의 렌즈 보유 프레임에 가이드 축의 타단이 고정된다.

Description

렌즈 경통 및 촬상 장치{LENS BARREL AND IMAGE CAP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렌즈 경통 및 이 렌즈 경통을 내장하는 디지탈 카메라나 비디오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줌에 의해 복수의 렌즈 군이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구성을 갖는 줌렌즈 경통의 광학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렌즈끼리의 상대 위치 등의 정밀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종래부터 고정밀도로 수행되는 것이 요구되는 렌즈끼리의 기울기, 편심 등을 조정하는 조정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조정 기구의 사용은, 렌즈 경통의 구조가 복잡하고 그 렌즈 경통이 대형화한다는 점에서 불리하다.
다른 구성 예에서는, 일본 특허공개평 6-94964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복수의 렌즈 군을 동일한 가이드 축을 사용하여 지지시키는 것에 의해 렌즈끼리의 기울기와 편심을 억제한다.
그렇지만, 일본 특허공개평 6-94964호 공보에 기재된 구성 예는, 긴 가이드 축을 필요로 하여, 접어들이식(retractable)의 줌렌즈 경통에 그 구성을 적응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은, 접어들이식의 줌렌즈 경통에 있어서,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복수의 렌즈 군 중에서 상대 위치의 정밀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렌즈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른, 렌즈 경통은,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1의 렌즈 보유 프레임; 상기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1의 렌즈 보유 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의 렌즈 보유 프레임; 상기 광축방향으로 상기 제1의 렌즈 보유 프레임과 상기 제2의 렌즈 보유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된 제3의 렌즈 보유 프레임; 상기 광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축; 및 상기 가이드 축을 따라 상기 제3의 렌즈 보유 프레임을 상기 제1의 렌즈 보유 프레임 및 상기 제2의 렌즈 보유 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의 구동부를 구비하는 렌즈 경통으로서, 상기 가이드 축은, 상기 제1의 렌즈 보유 프레임 및 상기 제2의 렌즈 보유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결정되고, 상기 제1의 렌즈 보유 프레임과 상기 제2의 렌즈 보유 프레임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가이드 축을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결정하면서 상기 가이드 축에 대하여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복수의 제1의 캠 홈 및 복수의 제2의 캠 홈이 내측에 형성된 캠 통; 및 상기 캠 통을 회전 구동하는 제2의 구동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의 렌즈 보유 프레임은, 각각, 상기 제1의 캠 홈과 맞물리는 복수의 제1의 캠 핀을 구비하고, 상기 제2의 렌즈 보유 프레임은, 각각, 상기 제2의 캠 홈과 맞물리는 복수의 제2의 캠 핀을 구비하며, 상기 캠 통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의 캠 홈에 추종해서 상기 제1의 캠 핀이 광축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제2의 캠 홈에 추종해서 상기 제2의 캠 핀이 광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의 캠 홈과 맞물리는 상기 제1의 캠 핀은, 각각, 상기 제1의 캠 홈에 대하여 상기 렌즈 경통의 지름방향으로 바이어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경통의 접어들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2는 촬영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경통을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경통을 나타내는 분해도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경통에 있어서의 주요 부품을 나타내는 입체 단면도다.
도5a 및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경통에 있어서의 바이어싱 캠 핀(pin)부를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6a는 종래기술에 따른 렌즈 경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경통을 나타내는 모식도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경통에 있어서의 가이드 바 주변 및 바이어싱 캠 핀부 주변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경통에 있어서의 가이드 바와 바이어싱 캠 핀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다.
도9a 및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경통의 그 밖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렌즈 보유 프레임을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를 각각 나타내는 모식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첨부하고,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기기의 일례로서, 촬상 장치를 설명한다.
우선, 도1 내지 도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경통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경통의 접어들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2는 촬영시의 해당 렌즈 경통을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3은 해당 렌즈 경통을 나타내는 분해도다.
도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특징적인 요소를 나타내는 입체 단면도다.
도5a 및 5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바이어싱 캠 핀부를 각각 나타내는 입체 단면도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경통은 제1군 렌즈L1, 제2군 렌즈L2, 제3군 렌즈L3, 제4군 렌즈L4, 제5군 렌즈L5 및 제6군 렌즈L6으로 구성되는 6군 렌즈 광학계다.
제1군통(1)은 제1군 렌즈L1을 보유한다. 제1군통(1)의 내주면 하부에 배치된 1조 6개의 캠 핀(1a)은 캠 통(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캠 홈(10a)과 맞물린다.
제1군통(1)에는, 제1군통(1)의 내주면 3군데에 (도시되지 않은) 직진 홈(1b)이 구비되어 있다. 직진 홈(1b)은, 직진 통(11)의 외주면 상단에 형성된 직진 키(11a)와 맞물린다.
제2군통(2)은 제2군 렌즈L2를 보유한다. 제2군통(2)의 외주면 하부에 배치된 1조 3개의 캠 핀(2a)은 상기 캠 통(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캠 홈(10b)과 맞물린다.
제2군통(2)에는, 캠 핀(2a)에 대응한 장소에 직진 키(2b)가 구비되어 있다. 직진 키(2b)는, 직진 통(11)에 형성된 직진 홈(11b)과 맞물린다.
화상 흐림(blur) 보정장치(3)는, 제3군 렌즈L3을 보유한다. 화상 흐림 보정장치(3)의 외주면에 배치된 1조 3개의 캠 핀(3a)은 캠 통(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캠 홈(10c)과 맞물린다.
화상 흐림 보정장치(3)에는, 캠 핀(3a)에 대응한 장소에 직진 키(3b)가 구비되어 있다. 직진 키(3b)는, 직진 통(11)에 형성된 직진 홈(11c)과 맞물린다.
제4군 보유 프레임(4)은 제4군 렌즈L4를 보유한다. 제4군 보유 프레임(4)의 외주면 하부에 배치된 1조 3개의 캠 핀(4a)은 구동통(14)의 내주면에 형성된 캠 홈(14a)과 맞물린다.
캠 핀(4a) 중 1개는, 캠 홈(14a)에 대하여 바이어싱 힘을 가하는 바이어싱 캠 핀부(4c)로서의 역할을 함으로써, 캠 맞물림에서의 반동을 흡수한다.
예를 들면, 도5a 및 도5b에 나타낸 것 같은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도5a는, 캠 핀(4a) 중 1개로 구성되는 바이어싱 캠 핀부(4c)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으로, 탄성변형을 수반하면서 캠 맞물림을 이루는 구성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바이어싱 캠 핀부(4c)가 판 스프링과 같이 변형되기 때문에, 캠 홈(14a)에 대하여 바이어싱 된다.
추가로, 예를 들면, 도5b와 같이, 바이어싱 캠 핀부(4c)를 별체로서 구성하고, 캠 바이어싱 용수철(41)로 지름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다른 구성이 있다.
제4군 보유 프레임(4)에는, 제4군 보유 프레임(4)의 외주면 하부에 3군데에 직진 키(4b)가 구비되어 있다. 직진 키(4b)는, 고정 통(13)에 형성된 직진 홈(13d)과 맞물린다.
제5군 보유 프레임(5)은 제5군 렌즈L5를 보유한다.
제5군 보유 프레임(5)에 형성된 위치결정부(5a)와 흔들림 방지부(5b)는, 메인 가이드 바(61) 및 서브 가이드 바(62)와 맞물리고,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상기 메인 가이드 바(61) 및 서브 가이드 바(62)는, 제6군 보유 프레임(6)에 배치된다.
(도시되지 않은) 래크(rack)(51)는, 제5군 보유 프레임(5)에 배치되어 있고, 제6군 보유 프레임(6)에 배치된 제1구동부로서의 역할을 하는 스테핑 모터(63)에 나사로 장착된다.
스테핑 모터(63)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제5군 보유 프레임(5)이 구동된다.
그 결과, 제5군 보유 프레임(5)은, 위치결정부(5a), 흔들림 방지부(5b), 메인 가이드 바(61) 및 서브 가이드 바(62)의 작용에 의해, 회전하지 않고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제6군 보유 프레임(6)은 제6군 렌즈L6을 보유한다.
제6군 보유 프레임(6)의 외주면 하부에 배치된 1조 3개의 캠 핀(6a)은, 구동통(14)의 내주면에 형성된 캠 홈(14b)과 맞물린다.
전술한 캠 핀(4a)과 같이, 캠 핀(6a) 중 1개가, 캠 홈(14b)에 대하여 바이어싱 되는 바이어싱 캠 핀부(6c)로서의 역할을 함으로써, 캠 맞물림의 반동을 흡수한다.
제6군 보유 프레임(6)에는, 제6군 보유 프레임(6)의 외주면 하부에서 3군데에 직진 키(6b)가 구비되어 있다. 직진 키(6b)는, 고정 통(13)에 형성된 직진 홈(13e)과 맞물린다.
제1의 렌즈 보유 프레임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제6군 보유 프레임(6)은,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제2의 렌즈 보유 프레임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제4군 보유 프레임(4)은,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1의 렌즈 보유 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제3의 렌즈 보유 프레임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제5군 보유 프레임(5)은, 제1의 렌즈 보유 프레임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제6군 보유 프레임(6)과 제2의 렌즈 보유 프레임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제4군 보유 프레임(4)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축(shaft)인 메인 가이드 바(guide pin)(61)는, 광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의 구동부로서의 역할을 하는 스테핑 모터(63)는, 메인 가이드 바(61)를 따라 제3의 렌즈 보유 프레임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제5군 보유 프레임(5)을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1의 구동부로서의 역할을 하는 스테핑 모터(63)는, 제3의 렌즈 보유 프레임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제5군 보유 프레임(5)을, 제1의 렌즈 보유 프레임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제6군 보유 프레임(6) 및 제2의 렌즈 보유 프레임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제4군 보유 프레임(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도록 구동된다.
제1의 렌즈 보유 프레임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제6군 보유 프레임(6)에 메인 가이드 바(61)의 일단이 고정되고, 제2의 렌즈 보유 프레임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제4군 보유 프레임(4)에 메인 가이드 바(61)의 타단이 고정되어 있다.
조리개 장치(7)에는, 조리개 장치(7)의 외주면에 배치된 1조 3개의 캠 핀(7a)이 구비되어 있다. 그 캠 핀(7a)은, 캠 통(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캠 홈(10d)과 맞물린다.
또한, 조리개 장치(7)에는, 캠 핀(7a)에 대응한 그 장소에 직진 키(7b)가 구비되어 있다. 직진 키(7b)는, 직진 통(11)에 형성된 직진 홈(11d)과 맞물린다.
셔터 중립 밀도(ND)장치(8)는, (도시되지 않은) 나사에 의해 화상 흐림 보정장치(3)에 고정되어 있다.
캠 통(10)의 외주면 하부에 배치된 1조 3개의 캠 핀(10e)은 고정 통(13)의 내주면에 형성된 캠 홈(13a)과 맞물린다.
캠 통(10)의 외주면 하부에 배치된 1조 3개의 구동 핀(10f)은, 고정 통(13)에 형성된 홈(13c)을 관통하고, 상기 구동통(14)의 내주면에 형성된 직진 홈(14d)과 맞물린다.
캠 통(10)은, 직진 통(11)과 직진판(12)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끼워 두어지고, 직진 통(11)과 일체로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가동 커버 통(16)은, (도시되지 않은) 부에 의해 캠 통(10)에 고정되어 있다.
가동 커버 통(16)의 외주면 하부에 배치된 1조 3개의 캠 핀(16a)은, 고정 통(13)에 형성된 캠 홈(13b)에 삽입되고, 이때 작은 간극이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직진 통(11)은 제1군통(1), 제2군통(2), 화상 흐림 보정장치(3), 및 조리개 장치(7)의 선형 이동을 규제한다. 직진 통(11)은 (도시되지 않은) 부에 의해 직진판(12)에 고정되어 있다.
직진판(12)의 외주면에 형성된 3개의 직진 키(12a)는 고정 통(13)에 형성된 직진 홈(13f)과 맞물린다.
구동통(14)의 외주면 하부에 형성된 기어부(14e)는, 직류(DC) 모터(91)와 복수의 기어(92)로 구성되는 구동통(14) 구동장치에 연결된다.
구동통(14) 구동장치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구동통(14)이 회전되면, 캠 통(10)의 캠 핀(10e)이 고정 통(13)의 캠 홈(13a)과 작용한다.
또한, 상기 구동통(14)은, 캠 통(10)의 구동 핀(10f)과 구동통(14)의 직진 홈(14d)과의 작용에 의해 회전하면서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군통(1)은, 제1군통(1)의 캠 핀(1a)과 캠 통(10)의 캠 홈(10a)과의 작용, 제1군통(1)의 직진 홈(1b)(도시되지 않음)과 직진 통(11)의 직진 키(11a)와의 작용에 의해, 회전하지 않고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군통(2)은, 제2군통(2)의 캠 핀(2a)과 캠 통(10)의 캠 홈(10b)과의 작용, 제2군통(2)의 직진 키(2b)와 직진 통(11)의 직진 홈(11b)과의 작용에 의해, 회전하지 않고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화상 흐림 보정장치(3)는, 화상 흐림 보정장치(3)의 캠 핀(3a)과 캠 통(10)의 캠 홈(10c)과의 작용, 화상 흐림 보정장치(3)의 직진 키(3b)와 직진 통(11)의 직진 홈(11c)과의 작용에 의해, 회전하지 않고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제4군 보유 프레임(4)은, 제4군 보유 프레임(4)의 캠 핀(4a)과 구동통(14)의 캠 홈(14a)과의 작용, 제4군 보유 프레임(4)의 직진 키(4b)와 고정 통(13)의 직진 홈(13d)과의 작용에 의해, 회전하지 않고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제6군 보유 프레임(6)은, 제6군 보유 프레임(6)의 캠 핀(6a)과 구동통(14)의 캠 홈(14b)과의 작용, 제6군 보유 프레임(6)의 직진 키(6b)와 고정 통(13)의 직진 홈(13e)과의 작용에 의해, 회전하지 않고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조리개 장치(7)는, 조리개 장치(7)의 캠 핀(7a)과 캠 통(10)의 캠 홈(10d)과의 작용, 조리개 장치(7)의 직진 키(7b)와 직진 통(11)의 직진 홈(11d)과의 작용에 의해, 회전하지 않고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촬상 소자S와 광학 필터F는 고정 지판(base plate)(9)에 보유되어 있다. 고정 통(13)과 고정 커버 통(15)은 나사(17)에 의해 고정 지판(9)에 고정되어 있다.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메인 가이드 바(61) 및 서브 가이드 바(62)는, 제6군 보유 프레임(6)에 압입되고, 광축방향 및 광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제5군 보유 프레임(5)은 상술한 대로 메인 가이드 바(61) 및 서브 가이드 바(62)의 각각과 맞물리고, 제6군 보유 프레임(6)과는 독립적으로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5군 보유 프레임(5)은 메인 가이드 바(61)에 대하여 광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광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제5군 보유 프레임(5)과 서브 가이드 바(62)간의 맞물림은, 메인 가이드 바(61)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적 흔들림을 방지한다.
제1의 렌즈 보유 프레임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제6군 보유 프레임(6)에 메인 가이드 바(61)의 일단이 압입되고, 제2의 렌즈 보유 프레임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제4군 보유 프레임(4)에 상기 메인 가이드 바(61)의 타단이 맞물린다.
제1의 렌즈 보유 프레임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제6군 보유 프레임(6)은, 제3의 렌즈 보유 프레임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제5군 보유 프레임(5)보다도 상면(image plane)에 가깝게 위치된다. 제2의 렌즈 보유 프레임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제4군 보유 프레임(4)은, 제3의 렌즈 보유 프레임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제5군 보유 프레임(5)보다도 피사체에 가깝게 위치된다.
제1의 캠 홈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3개의 캠 홈 14b, 18b 및 제2의 캠 홈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3개의 제2의 캠 홈 14a, 18a는, 각각, 상기 구동통(14)과 캠 통(18)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2의 구동부로서의 역할을 하는 액추에이터(64)는, 대응한 캠 통을 회전 구동한다.
제1의 렌즈 보유 프레임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제6군 보유 프레임(6)은, 복수의 제1의 캠 핀, 즉 각각이 제1의 캠 홈과 맞물리는 캠 핀(6a), 직진 키(6b) 및 바이어싱 캠 핀부(6c)로 이루어진 3개의 캠 핀을 구비하고 있다.
제2의 렌즈 보유 프레임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제4군 보유 프레임(4)은, 복수의 제2의 캠 핀, 즉 각각이 제2의 캠 홈과 맞물리는 캠 핀(4a), 직진 키(4b) 및 바이어싱 캠 핀부(4c)로 이루어진 3개의 캠 핀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동통(14)과 상기 캠 통(18)이 회전 함으로써, 제1의 캠 홈에 추종해서 제1의 캠 핀(6a, 6b, 6c)이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의 캠 홈에 추종해서 제2의 캠 핀(4a, 4b, 4c)이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의 캠 홈(14b)과 맞물리는 제1의 캠 핀 중 하나(6c)는, 제1의 캠 홈에 대하여 렌즈 경통의 지름방향으로 바이어싱되어 있다.
제1의 캠 핀의 나머지(6a, 6b)는, 제1의 캠 홈에 대하여 렌즈 경통의 지름방향으로 바이어싱되어 있지 않다.
제1의 캠 홈에 대하여 렌즈 경통의 지름방향으로 바이어싱되어 있는 제1의 캠 핀 중 하나 6c는, 렌즈 경통의 둘레방향으로 제1의 캠 핀 6a, 6b, 6c 중에서 가장 메인 가이드 바(61)에 가깝게 위치되어 있다.
제2의 캠 홈(14a)과 맞물리는 제2의 캠 핀 중 하나(4c)는, 제2의 캠 홈에 대하여 렌즈 경통의 지름방향으로 바이어싱되어 있다.
제2의 캠 핀의 나머지(4a, 4b)는, 제2의 캠 홈에 대하여 렌즈 경통의 지름방향으로 바이어싱되어 있지 않다.
제2의 캠 홈에 대하여 렌즈 경통의 지름방향으로 바이어싱되어 있는 제2의 캠 핀 중 하나 4c는, 렌즈 경통의 둘레방향으로 제2의 캠 핀 4a, 4b, 4c 중에서 가장 메인 가이드 바(61)에 가깝게 위치되어 있다.
메인 가이드 바(61)는, 제6군 보유 프레임(6)의 압입부에서 부품의 정밀도에 따라서 약간 경사져 있다.
이에 따라, 제5군 보유 프레임(5)은 메인 가이드 바(61)의 경사 방향을 따라간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5군 보유 프레임(5)과 같이, 제4군 보유 프레임(4)에 있어서, 위치결정부로서의 역할을 하는 직진 키(4b)는 메인 가이드 바(61)와 맞물리고, 흔들림 방지부로서의 역할을 하는 바이어싱 캠 핀부(4c)는 서브 가이드 바(62)와 맞물린다.
제4군 보유 프레임(4)에 있어서, 상술한 대로, 광축은, 캠 핀(4a)과 상기 구동통(14)의 캠 홈(14a)간의 맞물림에 의해 위치결정된다.
그 때문에, 메인 가이드 바(61)의 위치, 즉 가이드 바의 작은 경사가 강제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각 렌즈의 광축을 고정밀도로 위치결정하면서, 제4군 렌즈L4, 제5군 렌즈L5 및 제6군 렌즈L6간에 상대적인 위치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술한 구성을 이용한 이로운 효과에 대해서 도6a 및 6b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과 비교해서 설명한다.
도6a는 종래 기술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다.
도6b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다.
종래 기술에서는, 도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5군 보유 프레임(5)이, 제6군 보유 프레임(6)에 압입된 메인 가이드 바(61)에 맞물리기 때문에, 메인 가이드 바(61)상에 지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5군 보유 프레임(5)은 메인 가이드 바(61)의 경사 방향을 따라간다.
이 경우에, 제4군 보유 프레임(4)과 제6군 보유 프레임(6)은 구동통(14)과의 캠 맞물림에 의해 위치결정된다.
그 때문에, 제4군 보유 프레임(4)과 제6군 보유 프레임(6)의 상대적인 위치 정밀도는, 구동통(14)의 캠 홈(14a 및 14b)의 부품오차에 따라 결정된다.
캠 홈(14a 및 14b)의 부품오차로 인한 제4군 보유 프레임(4)과 제6군 보유 프레임(6)간의 위치 어긋남 방향과, 메인 가이드 바(61)의 경사로 인한 제5군 보유 프레임(5)의 위치 어긋남 방향이 다른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제4군 보유 프레임(4)과 제5군 보유 프레임(5)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 양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구성에서는, 도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군 보유 프레임(4)이 메인 가이드 바(61)와 맞물린다.
이 때문에, 메인 가이드 바(61)의 경사 방향이 강제되어, 제4군 보유 프레임(4)과 제5군 보유 프레임(5)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4군 렌즈L4, 제5군 렌즈L5 및 제6군 렌즈L6간의 상대적인 위치 정밀도를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로, 메인 가이드 바(61)의 경사를 강제하기 위해서, 제6군 보유 프레임(6)의 메인 가이드 바(61)의 압입부가 변형 가능하게 되도록, 메인 가이드 바(61)의 경사에 따라 변형되는 변형부(6d)를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6군 보유 프레임(6)의 메인 가이드 바(61)의 압입부는 변형 가능하게 되도록, 압입부 부근의 영역을 얇게 한다.
도7은 메인 가이드 바(61)의 압입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부(6d)를 설치함으로써, 메인 가이드 바(61)와 제4군 보유 프레임(4)과의 사이의 마찰을 감소하고, 또한 구동에의 악영향을 감소시킨다.
추가로, 메인 가이드 바(61)가 도7의 파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경사져 있다.
이 경사를 제4군 보유 프레임(4)과의 맞물림과 변형부(6d)의 탄성변형에 의해 도7의 화살표 "A"로 나타낸 방향으로 보정하는 경우에, 제4군 보유 프레임(4)에는 반력으로서 F1의 힘이 도7의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 방향으로,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이어싱 캠 핀부(4c)에 의해 생긴 바이어싱 힘F2와 반대의 힘이 작용할 수 있다.
F1>F2을 유지하면, 바이어싱 캠 핀부(4c)의 캠 홈(14a)에 대한 바이어싱으로 인한 반동 제거 효과가 얻어질 수 없다. 이 때문에, 적어도 F1 <F2인 조건이 필요하다.
제2의 캠 홈에 대하여 렌즈 경통의 지름방향으로 바이어싱되어 있는 제2의 캠 핀(4c)의 바이어싱 힘F2는, 메인 가이드 바(61)의 일단이 제1의 렌즈 보유 프레임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제6군 보유 프레임(6)에 압입되는 압입부에서 생긴 탄성력의 반력F1보다도 크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바이어싱 캠 핀부(4c, 6c)는, 각각의 3개의 캠 핀(4a, 6a) 중에서 가장 메인 가이드 바(61)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에서 변형부(6c)의 변형은, 제6군 보유 프레임(6)의 부품에 영향을 미친다.
메인 가이드 바(61)를 강제할 때 제4군 보유 프레임(4)의 부품의 제4군 보유 프레임(4)에 작용하는 힘의 영향을, 메인 가이드 바(61) 부근에서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렌즈에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제6군 보유 프레임(6)에 메인 가이드 바(61)를 고정하고 제4군 보유 프레임(4)이 메인 가이드 바(61)와 맞물리는 구성을 설명했지만, 그 부품간의 위치 관계가 반대일 수 있다.
즉, 메인 가이드 바(61)는 제4군 보유 프레임(4)에 고정될 수 있고, 제6군 보유 프레임(6)은 메인 가이드 바(61)와 맞물릴 수 있다.
제4군 보유 프레임(4) 및 제6군 보유 프레임(6)이 상기 구동통(14)과의 캠 맞물림에 의해 광축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성을, 제4군 보유 프레임(4) 및 제6군 보유 프레임(6)이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부로서 상술하였다. 추가로, 이하, 제4군 보유 프레임(4) 및 제6군 보유 프레임(6)을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그 밖의 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군 보유 프레임(4) 및 제6군 보유 프레임(6)은, 제4군 보유 프레임(4)의 캠 핀(4a)과 맞물리는 캠 홈 18a, 및 제6군 보유 프레임(6)의 캠 핀(6a)과 맞물리는 캠 홈 18b가 형성된 캠 통(18)과의 캠 맞물림에 의해 광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추가로, 예를 들면, 도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군 보유 프레임(4) 및 제6군 보유 프레임(6)이, 각각 스테핑 모터등의 액추에이터(64)에 의해 광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6군 렌즈 보유 프레임(6)에 메인 가이드 바(61)를 고정한다.
또한, 메인 가이드 바(61)는,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해서 제6군 보유 프레임(6)로 상대적으로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제4군 보유 프레임(4), 및 제4군 보유 프레임(4)과 제6군 보유 프레임(6)의 사이에 배치된 제5군 보유 프레임(5)에 의해, 지지된다.
게다가, 제4군 보유 프레임(4) 및 제6군 보유 프레임(6)과 독립적으로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5군 보유 프레임(5)은, 상기 메인 가이드 바(61)와 맞물린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이 구성이 접어들이식 렌즈 경통에 적응 가능하면서,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복수의 렌즈 군끼리의 상대적인 위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렌즈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렌즈 경통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10)

  1.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1의 렌즈 보유 프레임;
    상기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1의 렌즈 보유 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의 렌즈 보유 프레임;
    상기 광축방향으로 상기 제1의 렌즈 보유 프레임과 상기 제2의 렌즈 보유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된 제3의 렌즈 보유 프레임;
    상기 광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축; 및
    상기 가이드 축을 따라 상기 제3의 렌즈 보유 프레임을 상기 제1의 렌즈 보유 프레임 및 상기 제2의 렌즈 보유 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의 구동부를 구비하는 렌즈 경통으로서,
    상기 가이드 축은, 상기 제1의 렌즈 보유 프레임 및 상기 제2의 렌즈 보유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결정되고,
    상기 제1의 렌즈 보유 프레임과 상기 제2의 렌즈 보유 프레임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가이드 축을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결정하면서 상기 가이드 축에 대하여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복수의 제1의 캠 홈 및 복수의 제2의 캠 홈이 내측에 형성된 캠 통; 및
    상기 캠 통을 회전 구동하는 제2의 구동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의 렌즈 보유 프레임은, 각각, 상기 제1의 캠 홈과 맞물리는 복수의 제1의 캠 핀을 구비하고,
    상기 제2의 렌즈 보유 프레임은, 각각, 상기 제2의 캠 홈과 맞물리는 복수의 제2의 캠 핀을 구비하며,
    상기 캠 통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의 캠 홈에 추종해서 상기 제1의 캠 핀이 광축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제2의 캠 홈에 추종해서 상기 제2의 캠 핀이 광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의 캠 홈과 맞물리는 상기 제1의 캠 핀은, 각각, 상기 제1의 캠 홈에 대하여 상기 렌즈 경통의 지름방향으로 바이어싱되어 있는, 렌즈 경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렌즈 보유 프레임에 상기 가이드 축의 일단이 광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압입되고, 상기 제2의 렌즈 보유 프레임에 의해 상기 가이드 축의 타단이 광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렌즈 경통.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렌즈 보유 프레임은, 상기 제3의 렌즈 보유 프레임보다도 상면에 가깝게 위치되고,
    상기 제2의 렌즈 보유 프레임은, 상기 제3의 렌즈 보유 프레임보다도 피사체에 가깝게 위치되는, 렌즈 경통.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캠 홈에 대하여 상기 렌즈 경통의 지름방향으로 바이어싱되어 있지 않은 상기 제1의 캠 핀이 설치되고,
    상기 제1의 캠 홈에 대하여 상기 렌즈 경통의 지름방향으로 바이어싱되어 있는 상기 제1의 캠 핀이, 상기 렌즈 경통의 둘레방향으로 상기 제1의 캠 핀 중에서 가장 상기 가이드 축에 가깝게 위치되는, 렌즈 경통.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캠 홈과 맞물리는 상기 제2의 캠 핀은, 각각, 상기 제2의 캠 홈에 대하여 상기 렌즈 경통의 지름방향으로 바이어싱되어 있는, 렌즈 경통.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캠 홈에 대하여 상기 렌즈 경통의 지름방향으로 바이어싱되어 있지 않은 상기 제2의 캠 핀이 설치되고,
    상기 제2의 캠 홈에 대하여 상기 렌즈 경통의 지름방향으로 바이어싱되어 있는 상기 제2의 캠 핀은, 상기 렌즈 경통의 둘레방향으로 상기 제2의 캠 핀 중에서 가장 상기 가이드 축에 가깝게 위치되는, 렌즈 경통.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캠 홈에 대하여 상기 렌즈 경통의 지름방향으로 바이어싱된 상기 제2의 캠 핀의 바이어싱 힘은, 상기 가이드 축의 일단이 상기 제1의 렌즈 보유 프레임에 압입되는 압입부에 생긴 탄성력의 반력보다도 큰, 렌즈 경통.
  8.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렌즈 경통; 및
    촬상 소자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15824A 2018-02-16 2019-02-12 렌즈 경통 및 촬상 장치 KR1025207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26309A JP7059037B2 (ja) 2018-02-16 2018-02-16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JP-P-2018-026309 2018-0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128A KR20190099128A (ko) 2019-08-26
KR102520752B1 true KR102520752B1 (ko) 2023-04-12

Family

ID=65433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824A KR102520752B1 (ko) 2018-02-16 2019-02-12 렌즈 경통 및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67769B2 (ko)
EP (1) EP3528025A1 (ko)
JP (1) JP7059037B2 (ko)
KR (1) KR102520752B1 (ko)
CN (1) CN1101616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19489B2 (en) * 2019-07-30 2022-12-06 Panavision International, L.P. Motor gear systems for cameras
CN111983768B (zh) * 2020-08-21 2022-03-01 中国科学院国家天文台南京天文光学技术研究所 用于天文光谱仪的精密调节兼高稳定的镜筒结构
JP7539078B2 (ja) 2020-09-17 2024-08-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レンズ支持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レンズ鏡筒、カメラ
WO2024050818A1 (en) * 2022-09-09 2024-03-1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amera assembly and electrical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1770A (ja) 2004-02-05 2005-08-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鏡筒ならびに鏡筒を備えた撮像装置
JP2008175906A (ja) * 2007-01-16 2008-07-31 Canon Inc 光学装置
JP2011028093A (ja) 2009-07-28 2011-02-10 Canon Inc レンズ装置および撮影装置
JP2011064996A (ja) 2009-09-18 2011-03-31 Canon Inc 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021B2 (ja) * 1988-10-20 1995-01-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テレビカメラのレンズマウント切換機構
JPH0694964A (ja) * 1992-09-17 1994-04-08 Olympus Optical Co Ltd レンズ鏡筒
US6069745A (en) * 1998-02-04 2000-05-30 Olympus Optical Co., Ltd. Lens barrell
JP2000321478A (ja) 1999-05-13 2000-11-24 Fuji Photo Film Co Ltd 光学機器
JP4959407B2 (ja) * 2006-09-04 2012-06-20 株式会社リコー レンズ駆動装置、ズーム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カメラ
JP2008102427A (ja) * 2006-10-20 2008-05-01 Tamron Co Ltd 光学装置および撮像装置
WO2008096455A1 (ja) 2007-02-02 2008-08-14 Shicoh Engineeri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携帯電話
JP5328249B2 (ja) * 2008-07-16 2013-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5235570B2 (ja) * 2008-09-16 2013-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装置及び撮像装置
JP2010097016A (ja) * 2008-10-17 2010-04-30 Mitsumi Electric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弾性部材の付勢力調整方法
JP2010224306A (ja) * 2009-03-24 2010-10-07 Sony Corp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5765957B2 (ja) * 2011-02-03 2015-08-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6198616B2 (ja) * 2014-01-22 2017-09-20 Hoya株式会社 レンズ鏡筒
JP6700801B2 (ja) * 2015-01-28 2020-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1770A (ja) 2004-02-05 2005-08-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鏡筒ならびに鏡筒を備えた撮像装置
JP2008175906A (ja) * 2007-01-16 2008-07-31 Canon Inc 光学装置
JP2011028093A (ja) 2009-07-28 2011-02-10 Canon Inc レンズ装置および撮影装置
JP2011064996A (ja) 2009-09-18 2011-03-31 Canon Inc 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67769B2 (en) 2021-07-20
CN110161647A (zh) 2019-08-23
JP2019144319A (ja) 2019-08-29
EP3528025A1 (en) 2019-08-21
CN110161647B (zh) 2022-04-26
KR20190099128A (ko) 2019-08-26
US20190258022A1 (en) 2019-08-22
JP7059037B2 (ja) 202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0752B1 (ko) 렌즈 경통 및 촬상 장치
US6990291B2 (en) Lens barrel having a moving optical element support frame
JP4045290B2 (ja) 撮像装置
US8248709B2 (en) Zoom lens barrel that attains a higher photographing magnification
JP5868016B2 (ja) 光学装置
US7574121B2 (en) Imaging device having an optical image stabilizer
WO2019064946A1 (ja)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US7173772B2 (en) Lens barrel
JP5208855B2 (ja) レンズ鏡筒
JP4821847B2 (ja) 光学部品の切換機構、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US7532418B2 (en) Lens barrel and image pickup apparatus
JP2012150368A (ja) レンズ鏡胴、撮像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9121997B2 (en) Lens barrel
JP6662348B2 (ja)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2011237471A (ja) レンズ鏡胴、撮像装置および情報装置
CN113227865B (zh) 镜头镜筒及光学设备
US11307379B2 (en) Lens barrel and optical apparatus
JP6136089B2 (ja)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4605439B2 (ja) 沈胴式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US20190285832A1 (en) Lens barrel with slit through which wiring is let out, and image pickup apparatus
JP2017116715A (ja) レンズ鏡筒およびそれを有する光学機器
JPH07159834A (ja) 振れ防止装置
JP5991774B2 (ja) 光学装置
JP2019066870A (ja) 駆動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レンズユニット
JP2003222924A (ja) 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