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148B1 - 소취 장치 - Google Patents

소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148B1
KR102518148B1 KR1020237003388A KR20237003388A KR102518148B1 KR 102518148 B1 KR102518148 B1 KR 102518148B1 KR 1020237003388 A KR1020237003388 A KR 1020237003388A KR 20237003388 A KR20237003388 A KR 20237003388A KR 102518148 B1 KR102518148 B1 KR 102518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ell
container
pair
deodor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3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6513A (ko
Inventor
게이코 이시모토
마사루 기누가와
아키히로 나카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37011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8570A/ko
Publication of KR20230026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소취 효과를 장기간 지속시킬 수 있는 소취 장치를 제공한다. 소취 장치는, 한쌍의 서로 마주 보는 측면 각각에 한쌍의 용기 개구부 각각이 마련되고, 상기 한쌍의 용기 개구부 중 일방으로부터 타방에 걸쳐서 마련된 칸막이면에 의해서 내부의 공간이 분할됨으로써 형성된 영역인 복수의 셀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셀부에 소취제를 격납하는 용기와, 제1 덮개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덮개 개구부에서 상기 복수의 셀부 중 하나 또는 복수를 외기에 개방하며, 상기 제1 덮개 개구부가 아닌 장소에서 상기 한쌍의 용기 개구부 중 일방을 막도록 마련된 제1 덮개와, 상기 용기 또는 상기 제1 덮개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복수의 셀부 중 상기 제1 덮개가 외기에 개방하는 셀부를 다른 셀부로 변화시키는 구동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소취 장치
본 개시는, 소취(消臭)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은, 엘리베이터의 소취 장치를 개시한다. 당해 소취 장치는, 소취 성분이 부가된 공기를 엘리베이터의 칸의 내부로 보낸다. 당해 소취 장치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칸 내부를 소취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 제2008-201530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소취 장치는, 휘발성의 소취제를 사용하고 있다. 휘발성의 소취제는, 휘발 특성이 다른 복수의 소취 성분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당해 소취제는, 사용됨에 따라, 소취 성분의 함유 비율이 변화하여 버린다. 당해 소취제는, 소취 성분의 함유 비율이 변화하면, 소취 효과가 저감된다. 이 때문에, 당해 소취 장치를 일정 기간 이상 사용하면, 소취 효과가 저감된다.
본 개시는, 앞서 설명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본 개시의 목적은, 소취 효과를 장기간 지속시킬 수 있는 소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 관한 소취 장치는, 한쌍의 서로 마주 보는 측면 각각에 한쌍의 용기 개구부 각각이 마련되고, 상기 한쌍의 용기 개구부 중 일방으로부터 타방에 걸쳐서 마련된 칸막이면에 의해서 내부의 공간이 분할됨으로써 형성된 영역인 복수의 셀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셀부에 소취제를 격납하는 용기와, 제1 덮개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덮개 개구부에서 상기 복수의 셀부 중 하나 또는 복수를 외기에 개방하며, 상기 제1 덮개 개구부가 아닌 장소에서 상기 한쌍의 용기 개구부 중 일방을 막도록 마련된 제1 덮개와, 상기 용기 또는 상기 제1 덮개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복수의 셀부 중 상기 제1 덮개가 외기에 개방하는 셀부를 다른 셀부로 변화시키는 구동기를 구비하였다.
본 개시에 의하면, 소취 장치는, 제1 덮개 개구부에서 복수의 셀부 중 하나 또는 복수를 외기에 개방하고, 제1 덮개 개구부 이외의 장소에서 한쌍의 용기 개구부 중 일방을 막도록 마련된 제1 덮개를 구비하였다. 이 때문에, 소취 효과를 장기간 지속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소취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소취 장치의 소취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소취 장치의 소취기의 화살표 X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소취 장치의 소취기의 화살표 X방향으로 본 도면을 기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소취 장치의 비교예인 종래형의 소취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소취 장치의 소취 성분의 향기 강도가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소취 장치의 소취 성분의 향기 강도의 비가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소취 장치의 소취 성분의 토탈의 향기 강도가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소취 장치의 소취기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소취 장치의 소취기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소취 장치의 소취기의 제2 변형예에서의 소취 장치의 소취 성분의 토탈의 향기 강도가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소취 장치의 소취기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소취 장치의 소취기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 2에서의 소취 장치의 소취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 3에서의 소취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 3에서의 소취 장치의 구동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개시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첨부의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여진다. 당해 부분의 중복 설명은 적절하게 간략화 내지 생략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소취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예를 들면, 소취 장치(1)는, 엘리베이터에 이용된다.
승강로(100)는, 도시되지 않은 건축물의 각 층을 관통한다. 엘리베이터의 칸(101)은, 승강로(100)의 내부에 마련된다. 칸(101)은, 승강로(100)의 내부를 상승 또는 하강한다. 칸(101)은, 도시되지 않은 제어반에 의해서, 상승 또는 하강의 동작이 제어된다.
소취 장치(1)는, 격납 상자(2)와 팬(3)과 소취기(10)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소취 장치(1)는, 칸(101)의 상부에 마련된다.
예를 들면, 격납 상자(2)는, 직방체 형상의 상자이다. 격납 상자(2)는, 서로 마주 보는 한쌍의 측면에서, 한쌍의 상자 덮개(2a)를 구비한다. 격납 상자(2)는, 제어기(2b)를 구비한다. 격납 상자(2)는, 칸(101)의 상면에 마련된다. 격납 상자(2)는, 한쌍의 상자 덮개(2a) 중 일방이 승강로(100)의 측벽과 대향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면, 격납 상자(2)는, 연직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 한쌍의 상자 덮개(2a) 중 일방이 칸(101)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면, 격납 상자(2)는, 제어반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격납 상자(2)는, 제어반으로부터 칸(101)의 제어 정보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한쌍의 상자 덮개(2a) 각각은, 경첩을 이용하여,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다. 예를 들면, 한쌍의 상자 덮개(2a) 각각은, 격납 상자(2)의 당해 한쌍의 측면 각각 중 일부의 영역을 개폐한다.
제어기(2b)는, 제어반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어기(2b)는, 제어반으로부터 제어 정보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제어기(2b)는, 한쌍의 상자 덮개(2a) 각각의 개폐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기(2b)는,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한쌍의 상자 덮개(2a) 각각의 개폐 동작을 제어한다. 한쌍의 상자 덮개(2a) 각각은, 칸(101)이 상승 또는 하강의 동작을 행하는 경우, 제어기(2b)의 제어에 따라서 열림 동작을 행한다. 한쌍의 상자 덮개(2a) 각각은, 칸(101)이 정지했을 경우, 제어기(2b)의 제어에 따라서 닫힘 동작을 행한다. 한쌍의 상자 덮개(2a) 각각은, 칸(101)이 정지 상태인 경우, 닫힘 상태이다.
팬(3)은, 날개(3a)와 흡입구(3b)와 흡출구(3c)를 구비한다. 팬(3)은, 칸(101)의 상면에 마련된다. 팬(3)은, 격납 상자(2)의 측방에 마련된다. 팬(3)은, 날개(3a)를 회전시킴으로써, 흡입구(3b)로부터 흡출구(3c)를 향하여 기류를 발생시킨다. 팬(3)은, 흡입구(3b)로부터 기체를 빨이들인다. 팬(3)은, 흡출구(3c)로부터 기체를 불어 낸다.
흡입구(3b)는, 한쌍의 상자 덮개(2a) 중 타방에 접속된다.
흡출구(3c)는, 칸(101)의 상면에 접속된다. 흡출구(3c)는, 칸(101)의 내부에 접속된다.
소취기(10)는, 격납 상자(2)의 내부에 마련된다. 소취기(10)는, 내부를 통과한 기체에 소취 성분을 부여한다.
소취 장치(1)는, 칸(101)이 승강 동작을 행하는 동안, 소취 성분을 부여한 기체를 칸(101)의 내부로 송풍한다.
예를 들면, 칸(101)이 상승 동작을 행하는 경우, 제어기(2b)는, 한쌍의 상자 덮개(2a) 각각을 열림 상태로 한다. 팬(3)은, 한쌍의 상자 덮개(2a)가 열림 상태인 경우, 흡입구(3b)를 통해서 격납 상자(2)의 내부의 기체를 빨아 들인다. 팬(3)은, 격납 상자(2)의 내부에서, 한쌍의 상자 덮개(2a) 중 일방으로부터 타방으로 향하는 기체의 흐름을 발생시킨다. 당해 기체는, 소취기(10)의 내부를 통과한다. 소취기(10)는, 당해 기체에 소취 성분을 부여한다. 팬(3)은, 당해 기체를, 흡출구(3c)로부터 칸(101)의 내부로 불어 낸다.
예를 들면, 칸(101)이 정지했을 경우, 제어기(2b)는, 한쌍의 상자 덮개(2a) 각각을 닫힘 상태로 한다. 예를 들면, 칸(101)이 정지했을 경우, 소취 장치(1)는, 소취 성분을 부여한 기체를 칸(101)의 내부로 송풍하는 것을 정지한다.
다음으로 도 2를 이용하여, 소취기(10)의 기구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소취 장치의 소취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는, 소취기(10)의 예의 사시도이다. 도 2의 (B)는, 소취기(10)의 단면도이다. 도 2의 (C)는, 도 2의 (B)에서의 화살표 Y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소취기(10)는, 용기(11)와 소취제(12)와 메쉬(13)와 제1 덮개(14)와 제2 덮개(15)와 덮개축(16)과 구동기(20)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용기(11)는, 원통 형상이다. 용기(11)는, 내부에 공동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용기(11)는, 한쌍의 용기 개구부(11a)와 복수의 칸막이면(11b)과 복수의 셀부(11c)를 구비한다.
한쌍의 용기 개구부(11a) 각각은, 용기(11)의 한쌍의 서로 마주 보는 측면 각각에 마련된다. 예를 들면, 한쌍의 용기 개구부(11a) 각각은, 용기(11)에서, 한쌍의 저면 각각에 마련된다. 예를 들면, 한쌍의 용기 개구부(11a) 각각은, 용기(11)에서, 한쌍의 저면 각각의 전체에 상당한다.
복수의 칸막이면(11b) 각각은, 용기(11)의 내부에 마련된다. 복수의 칸막이면(11b) 각각은, 한쌍의 용기 개구부(11a) 중 일방으로부터 타방에 걸쳐서 마련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칸막이면(11b) 각각은, 한쌍의 용기 개구부(11a) 각각에 대해서 수직하게 마련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칸막이면(11b) 각각은, 용기(11)의 원통의 중심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마련된다. 복수의 칸막이면(11b)은, 용기(11)의 내부를 분할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칸막이면(11b)은, 16매 마련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칸막이면(11b)은, 용기(11)의 내부를 16등분한다.
복수의 셀부(11c) 각각은, 복수의 칸막이면(11b)에 의해서 분할된 용기(11)의 내부의 각 영역이다. 복수의 셀부(11c) 각각은, 한쌍의 용기 개구부(11a)를 저면으로 하는 기둥 모양의 형상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셀부(11c) 각각의 횡단면은, 부채꼴의 형상이다. 예를 들면, 복수의 셀부(11c)는, 용기(11)에 16개 마련된다.
예를 들면, 소취제(12)는, 다공질의 수지 비즈에 향료가 함침된 것이다. 예를 들면, 당해 향료는, 정유(精油), 정유를 용제로 엷게 한 것 등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당해 향료는, 휘발성의 소취 성분이다. 예를 들면, 소취제(12)는, 복수의 휘발성의 소취 성분을 구비한다. 당해 복수의 휘발성의 소취 성분 각각은, 향기를 이용하여, 악취에 대해서 마스킹 소취 효과를 미친다.
소취제(12)는, 복수의 셀부(11c) 각각에 마련된다. 소취제(12)의 내부는, 기체를 자유롭게 통과시킨다. 예를 들면, 소취제(12)는, 내부에 기체를 통과시킴으로써, 통과한 기체에 소취 성분을 부여한다.
예를 들면, 복수의 메쉬(13)는, 그물망 구조를 구비한다. 복수의 메쉬(13) 각각은, 복수의 셀부(11c) 각각의 양단에 마련된다. 복수의 메쉬(13)는, 기체를 통과시킨다. 복수의 메쉬(13) 각각은, 복수의 셀부(11c) 각각으로부터 소취제(12)가 빠져 나오는 것을 방해한다.
예를 들면, 제1 덮개(14)는, 원반 모양으로 성형된다. 제1 덮개(14)는, 제1 덮개 개구부(14a)를 구비한다. 제1 덮개(14)는, 한쌍의 용기 개구부(11a) 중 일방에 대향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면, 제1 덮개(14)의 원반의 중심은, 용기(11)의 원통축의 연장선 상에 위치한다. 예를 들면, 제1 덮개(14)의 측면은, 한쌍의 용기 개구부(11a) 중 일방에 대향한다.
예를 들면, 제1 덮개(14)는, 도시되지 않은 상자 덮개(2a)를 흐르는 기류에 있어서, 용기(11)의 풍상측(風上側)(바람이 불어 오는 측)에 마련된다. 제1 덮개(14)는, 복수의 셀부(11c) 중, 제1 덮개 개구부(14a)에 대향하지 않는 것의 일단을 막도록 마련된다. 제1 덮개(14)는, 복수의 셀부(11c) 중, 제1 덮개 개구부(14a)에 대향하는 것의 일단을 막지 않도록 마련된다. 제1 덮개(14)는, 제1 덮개(14)에 막혀진 복수의 셀부(11c)를, 용기(11)의 외측의 기체로부터 격리한다.
예를 들면, 제1 덮개 개구부(14a)는, 제1 덮개(14)의 일부가 잘라내어짐으로써 형성된다. 제1 덮개 개구부(14a)는, 복수의 셀부(11c) 중 몇개의 횡단면을 연결한 형상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제1 덮개 개구부(14a)는, 부채꼴의 형상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제1 덮개 개구부(14a)는, 복수의 셀부(11c) 중 3개의 횡단면을 연결한 부채꼴이다. 제1 덮개 개구부(14a)는, 복수의 셀부(11c) 중 2 이상이면서 또한 전수(全數) 미만의 단면적의 합과 동일한 면적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제1 덮개 개구부(14a)는, 복수의 셀부(11c) 중 3개의 횡단면을 합한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가진다.
예를 들면, 제2 덮개(15)는, 원반 모양으로 성형된다. 제2 덮개(15)는, 제2 덮개 개구부(15a)를 구비한다. 제2 덮개(15)는, 한쌍의 용기 개구부(11a) 중 타방에 대향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면, 제2 덮개(15)의 원반의 중심은, 용기(11)의 원통축의 연장선 상에 위치한다. 예를 들면, 제2 덮개(15)의 측면은, 한쌍의 용기 개구부(11a) 중 타방에 대향한다.
예를 들면, 제1 덮개(14)는, 상자 덮개(2a)를 흐르는 기류에 있어서, 용기(11)의 풍하측(風下側)(바람이 불어 가는 측)에 마련된다. 제2 덮개(15)는, 복수의 셀부(11c) 중, 제2 덮개 개구부(15a)에 대향하지 않는 것의 타단을 막도록 마련된다. 제2 덮개(15)는, 복수의 셀부(11c) 중, 제2 덮개 개구부(15a)에 대향하는 것의 타단을 막지 않도록 마련된다. 제2 덮개(15)는, 제2 덮개(15)에 막혀진 복수의 셀부(11c)를, 용기(11)의 외측의 기체로부터 격리한다.
제2 덮개(15)는, 제2 덮개 개구부(15a)에 대향하는 복수의 셀부(11c)와 제1 덮개 개구부(14a)에 대향하는 복수의 셀부(11c)가 일치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면, 제2 덮개 개구부(15a)는, 제2 덮개(15)의 일부가 잘라내어짐으로써 형성된다. 제2 덮개 개구부(15a)는, 복수의 셀부(11c) 중 몇개의 횡단면을 연결한 형상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제2 덮개 개구부(15a)는, 부채꼴의 일부의 형상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제2 덮개 개구부(15a)는, 복수의 셀부(11c) 중 3개의 횡단면을 연결한 부채꼴이다. 제2 덮개 개구부(15a)는, 복수의 셀부(11c) 중 2이상이면서 또한 전수 미만의 단면적의 합과 동일한 면적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제2 덮개 개구부(15a)는, 복수의 셀부(11c) 중 3개의 횡단면을 합한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가진다.
예를 들면, 덮개축(16)은, 막대 모양의 형상을 구비한다. 덮개축(16)은, 제1 덮개(14)의 회전에 동기하도록, 제1 덮개(14)의 중심에 접속된다. 덮개축(16)은, 제2 덮개(15)의 회전에 동기하도록, 제2 덮개(15)의 중심에 접속된다. 덮개축(16)은, 제1 덮개(14)와 제2 덮개(15)에 동기하여 회전한다. 덮개축(16)은, 제1 덮개 개구부(14a)와 제2 덮개 개구부(15a)를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시킨다.
예를 들면, 구동기(20)는, 모터(21)와 벨트(22)와 덮개 제어기(23)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구동기(20)는, 덮개축(16)에 접속된다. 예를 들면, 구동기(20)는, 덮개축(16)을 회전시킨다. 구동기(20)는, 덮개축(16)을 통해서, 제1 덮개(14)와 제2 덮개(15)를 이동시킨다. 구동기(20)는, 제1 덮개(14) 및 제2 덮개(15)와 용기(11)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킨다. 제1 덮개(14) 및 제2 덮개(15)와 용기(11)의 상대 위치가 변화하였을 경우, 복수의 셀부(11c) 중 제1 덮개(14) 및 제2 덮개(15)에 막혀지는 셀부(11c)의 위치가 변화한다.
예를 들면, 모터(21)는, 회전축을 구비한다. 모터(21)는, 회전 구동력을 회전축에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벨트(22)는, 무단 모양의 벨트이다. 벨트(22)의 일단은, 덮개축(16)의 회전에 추종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덮개축(16)에 감겨진다. 벨트(22)의 타단은, 모터(21)의 회전축에 추종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모터(21)의 회전축에 감겨진다. 예를 들면, 벨트(22)는, 모터(21)의 회전 구동력을 덮개축(16)에 전달한다.
덮개 제어기(23)는, 모터(2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덮개 제어기(23)는, 모터(21)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덮개 제어기(23)는, 모터(21)를 임의의 회전수만큼 구동시킨다. 예를 들면, 덮개 제어기(23)는, 모터(21)를 통해서, 제1 덮개(14)와 제2 덮개(15)를 임의의 각도만큼 회전시킨다.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은 격납 상자(2)에서, 기체는, 제1 덮개(14) 또는 제2 덮개(15)에 막혀 있지 않은 복수의 셀부(11c)의 내부를 통과한다. 복수의 셀부(11c)의 내부에서, 소취기(10)는, 당해 기체에 소취 성분을 부여한다. 이후, 복수의 셀부(11c)에서, 내부에 기체가 통과하는 상태에 있는 셀부(11c)는, 「사용 중의 셀」이라고 불려진다.
다음으로, 도 3과 도 4를 이용하여, 소취기(10)가 사용 중의 셀을 변화시키는 과정의 예를 설명한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소취 장치의 소취기의 화살표 X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소취 장치의 소취기의 화살표 X방향으로 본 도면을 기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예를 들면, 소취기(10)는, 16개의 복수의 셀부(11c)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소취기(10)에서, 복수의 셀부(11c) 중 3개는, 사용 중의 셀이다. 제1 덮개 개구부(14a)는, 시계의 12시 방향에서 시계 방향으로 위치한다. 도 3에서의 소취기(10)는, 기체를 통과시키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도 3에서의 소취기(10)의 상태는, 초기 상태라고 정의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셀부(11c) 각각은, 12시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a로부터 p까지의 부호가 붙여진다. 예를 들면, 복수의 셀부(11c) 중 시계의 12시의 위치에 존재하는 셀부는, 셀 a이다. 복수의 셀부(11c) 중 셀 a의 오른쪽 이웃의 셀부는, 셀 b이다. 마찬가지로 하여, 셀 c로부터 셀 p는, 시계 방향으로 차례로 마련된다.
예를 들면, 제1 덮개(14)와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은 제2 덮개(15)는, 규정 기간마다, 복수의 셀부(11c) 중 1개에 상당하는 각도만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예를 들면, 제1 덮개(14)와 제2 덮개(15)는, 1개월마다, 22.5도만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소취제(12)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소취 성분을 부여하는 효과가 저하한다. 예를 들면, 소취제(12)는, 사용된 기간에 따라서 구별된다. 예를 들면, 사용된 기간이 1개월 미만인 경우, 소취제(12)는, 「신(新)」의 상태이다. 예를 들면, 사용된 기간이 1개월 이상 2개월 미만인 경우, 소취제(12)는, 「고(古) 1」의 상태이다. 예를 들면, 사용된 기간이 2개월 이상인 경우, 소취제(12)는, 「고(古) 2」의 상태이다. 예를 들면, 초기 상태에서, 셀 a와 셀 b와 셀 c의 소취제(12)는, 「신」의 상태이다. 이후, 셀 a로부터 셀 p까지의 소취제(12)는, 각각 소취제(12a)로부터 소취제(12p)로 정의된다.
도 4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예를 들면, 소취기(10)는, 1개월마다 사용 중의 셀의 위치를 변화시킨다. 도 4의 (A)는, 초기 상태의 소취기(10)를 나타낸다. 도 4의 (B)는, 초기 상태로부터 1개월 경과한 소취기(10)를 나타낸다. 도 4의 (C)는, 초기 상태로부터 2개월 경과한 소취기(10)를 나타낸다. 도 4의 (D)는, 초기 상태로부터 3개월 경과한 소취기(10)를 나타낸다.
도 4의 (A)에서, 소취제(12a)와 소취제(12b)와 소취제(12c)는, 「신」의 상태이다.
도 4의 (B)에서, 제1 덮개(14)와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은 제2 덮개(15)는, 초기 상태와 비교하여, 22.5도만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이다. 셀 a는, 사용 중의 셀이 아니다. 셀 d는, 사용 중의 셀이다. 소취제(12b)와 소취제(12c)는, 「고 1」의 상태이다. 소취제(12d)는, 「신」의 상태이다. 소취기(10)는, 「고 1」과 「신」의 상태의 소취 성분이 혼합된 기체를 방출한다.
도 4의 (C)에서, 제1 덮개(14)와 제2 덮개(15)는, 도 4의 (B)에 나타나는 상태와 비교하여, 22.5도만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이다. 셀 b는, 사용 중의 셀이 아니다. 셀 e는, 사용 중의 셀이다. 소취제(12c)는, 「고 2」의 상태이다. 소취제(12d)는, 「고 1」의 상태이다. 소취제(12e)는, 「신」의 상태이다. 소취기(10)는, 「고 2」와 「고 1」과 「신」의 상태의 소취 성분이 혼합된 기체를 방출한다.
도 4의 (D)에서, 제1 덮개(14)와 제2 덮개(15)는, 도 4의 (C)에 나타나는 상태와 비교하여, 22.5도만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이다. 셀 c는, 사용 중의 셀이 아니다. 셀 f는, 사용 중의 셀이다. 소취제(12d)는, 「고 2」의 상태이다. 소취제(12e)는, 「고 1」의 상태이다. 소취제(12f)는, 「신」의 상태이다. 소취기(10)는, 「고 2」와 「고 1」과 「신」의 상태의 소취 성분이 혼합된 기체를 방출한다.
그 후, 소취기(10)는, 1개월마다, 상기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한다. 초기 상태로부터 13개월 경과할 때까지의 기간, 소취기(10)는, 「고 2」와 「고 1」과 「신」의 상태의 소취 성분이 혼합된 기체를 방출한다.
초기 상태로부터 14개월 경과했을 경우, 사용 중의 셀은, 셀 o와 셀 p와 셀 a이다. 셀 a에서, 소취제(12a)는, 「고 1」의 상태이다. 소취기(10)는, 「고 2」와 「고 1」의 상태의 소취 성분이 혼합된 기체를 방출한다.
초기 상태로부터 15개월 이상 경과했을 경우, 소취기(10)는, 「고 2」의 상태의 소취 성분이 혼합된 기체를 방출한다.
다음으로, 도 5로부터 도 8까지를 이용하여, 소취기(10)의 소취 효과가 변화하여 가는 모습을, 종래 구조의 소취기(50)에서의 마찬가지의 모습과 비교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소취 장치의 비교예인 종래형의 소취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소취 장치의 소취 성분의 향기 강도가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소취 장치의 소취 성분의 향기 강도의 비가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소취 장치의 소취 성분의 토탈의 향기 강도가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예를 들면, 종래 구조의 소취기(50)는, 원통 형상을 구비한다. 소취기(50)는, 내부에 소취제(12)를 구비한다. 소취기(50)는, 실시 형태 1의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은 소취기(10)과 비교하여, 복수의 셀부(11c)와 제1 덮개(14)와 제2 덮개(15)를 구비하지 않는다. 소취기(50)는, 내부의 소취제(12)의 전체를 이용하여, 기체에 소취 성분을 부여한다.
도 6에서, 소취 장치(1)를 통과한 후의 기체에 포함되는 소취 성분의 향기 강도와 경과한 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된다. 향기 강도는, 인간이 느끼는 소취 성분의 향기의 강도이다. 향기 강도는, 기체에 포함되는 소취 성분의 농도와 정의 상관을 가진다. 향기 강도의 단위는, 임의 단위 [a.u.]이다.
세로축은, 소취 장치(1)를 통과한 후의 기체에 포함되는 소취 성분의 향기 강도를 나타낸다. 세로축의 단위는, 임의 단위 [a.u.]이다.
가로축은, 초기 상태로부터 경과한 기간을 나타낸다. 가로축의 단위는, 임의 단위 [a.u.]이다. 예를 들면, 가로축의 단위는, 1개월이다.
예를 들면, 소취제(12)는, 소취 성분 A와 소취 성분 B를 구비한다. 소취 성분 A는, 휘발성이 비교적 높은 성분이다. 소취 성분 B는, 소취 성분 A에 비해 휘발성이 낮은 성분이다. 예를 들면, 소취제(12)는, 접촉한 기체 중의 소취 성분 A의 농도와 소취 성분 B의 농도와의 합이 일정한 값보다 큰 경우, 소취 효과를 발휘한다. 예를 들면, 소취제(12)는, 접촉한 기체 중의 소취 성분 A의 농도와 소취 성분 B의 농도와의 비의 값이 일정한 범위에 있는 경우, 소취 효과를 발휘한다.
소취제(12)가 기체에 부여하는 향기 강도는, 시간과 함께 감소한다. 향기 강도 x(t)는, 다음의 식(1)으로 나나내어진다.
x(t)=A*exp(-t/ε)   (1)
t는, 초기 상태로부터 경과한 시간이다. A는, 초기 상태에서의 향기 강도를 나타내는 초기 강도이다. ε은, 소취 성분마다 고유한 감쇠 계수이다. 예를 들면, 소취 성분 A의 ε의 값은, 소취 성분 B의 ε의 값의 2배이다.
도 6의 그래프에서, 실시 형태 1의 소취기(10)가 나타내는 관계는, 실선으로 그려진다. 당해 실선 중 가는 선은, 소취 성분 A의 관계를 의미한다. 당해 실선 중 굵은 선은, 소취 성분 B의 관계를 의미한다.
소취기(10)에서, 소취 성분 A의 향기 강도는, 초기 상태의 6으로부터 감소한다. 초기 상태로부터 1개월 경과했을 경우, 사용 중의 셀은, 다른 셀로 교체된다.사용 중의 셀이 교체되는 경우, 소취 성분 A의 향기 강도는, 상승한다. 소취 성분 A의 그래프의 지그재그 형상은, 사용 중의 셀이 교체되는 것을 나타낸다. 초기 상태로부터 2개월 이상이면서 또한 14개월 미만의 기간에서, 소취 성분 A의 향기 강도는, 일정한 범위 내의 값을 나타낸다. 초기 상태로부터 14개월 이후의 기간에서, 소취 성분 A의 향기 강도는, 저하한다.
소취기(10)에서, 소취 성분 B의 향기 강도는, 초기 상태의 3으로부터 감소한다. 소취 성분 B의 향기 강도의 그래프는, 소취 성분 A의 향기 강도의 그래프와 마찬가지의 경향을 나타낸다.
도 6의 그래프에서, 종래 구조의 소취기(50)가 나타내는 관계는, 파선 또는 일점 쇄선으로 그려진다. 당해 파선은, 소취 성분 A의 농도의 관계를 의미한다. 당해 일점 쇄선은, 소취 성분 B의 농도의 관계를 의미한다. 조건을 평등하게 하기 위해서, 종래 구조의 소취기(50)에 흐르는 풍량은, 소취기(10)에 흐르는 풍량의 3/16배의 값으로 설정된다.
소취기(50)에서, 소취 성분 A의 향기 강도는, 초기 상태의 6으로부터 단조(單調)로 감소한다. 당해 감소의 속도는, 설정된 풍량이 다르기 때문에, 소취기(10)에서의 소취 성분 A의 향기 강도의 감소 속도보다도 늦다.
소취기(50)에서, 소취 성분 B의 향기 강도는, 초기 상태의 3으로부터 단조로 감소한다. 당해 감소의 속도는, 설정된 풍량이 다르기 때문에, 소취기(10)에서의 소취 성분 B의 향기 강도의 감소 속도보다도 늦다.
소취기(50)에서, 소취 성분 A의 향기 강도는, 초기 상태로부터 약 8개월 경과하였을 경우, 소취 성분 B의 향기 강도보다도 약하다.
도 7에서, 소취 장치(1)를 통과한 후의 기체에 포함되는 소취 성분의 비와 경과한 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된다.
세로축은, 소취 장치(1)를 통과한 후의 기체의 향기 강도의 비 A/B를 나타낸다. 세로축의 단위는, 임의 단위 [a.u.]이다. 향기 강도의 비 A/B는, 소취 성분 A의 향기 강도와 소취 성분 B의 향기 강도와의 비이다.
예를 들면, 소취제(12)는, 접촉한 기체 중의 향기 강도의 비 A/B의 값이 일정한 범위에 있는 경우, 소취 효과를 발휘한다. 당해 일정한 범위는, 최적 성분비라고 불려진다. 예를 들면, 최적 성분비는, 1.0에서 1.6의 사이이다.
가로축은, 초기 상태로부터 경과한 기간을 나타낸다. 가로축의 단위는, 임의 단위 [a.u.]이다. 예를 들면, 가로축의 단위는, 1개월이다.
도 7의 그래프에서, 실시 형태 1의 소취기(10)가 나타내는 관계는, 실선으로 그려진다. 소취기(10)의 그래프의 지그재그 형상은, 사용 중의 셀이 교체되는 것을 나타낸다. 초기 상태로부터 2개월 이상이면서 또한 14개월 미만의 기간에서, 향기 강도의 비는, 최적 성분비의 값을 나타낸다.
도 7의 그래프에서, 종래 구조의 소취기(50)가 나타내는 관계는, 파선으로 그려진다. 조건을 평등하게 하기 위해서, 종래 구조의 소취기(50)에 흐르는 풍량은, 소취기(10)에 흐르는 풍량의 3/16배의 값으로 설정된다.
소취기(50)에서, 향기 강도의 비 A/B는, 초기 상태의 2로부터 단조로 감소한다. 소취기(50)에서, 향기 강도의 비 A/B는, 초기 상태로부터 약 8개월 경과했을 경우, 1.0을 하회한다. 향기 강도의 비 A/B가 1을 하회하였을 경우, 소취제(12)로부터 발생하는 향기는, 초기 상태에 비해서 완전히 다른 향기가 된다.
도 7의 그래프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소취기(10)는, 소취기(50)에 비해서, 보다 긴 기간에 걸쳐서 소취 효과를 지속시킨다. 소취기(10)는, 향기의 질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마스킹 효과를 장기간에 걸쳐서 지속시킨다.
도 8에서, 소취 장치(1)를 통과한 후의 기체에 포함되는 토탈의 향기 강도와 경과한 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된다. 토탈의 향기 강도는, 개개의 소취 성분의 향기 강도의 합계를 의미한다.
세로축은, 소취 장치(1)를 통과한 후의 기체에 포함되는 소취 성분의 토탈의 향기 강도를 나타낸다. 세로축의 단위는, 임의 단위 [a.u.]이다.
예를 들면, 소취제(12)는, 접촉한 기체 중의 토탈의 향기 강도의 값이 일정한 범위에 있는 경우, 소취 효과를 발휘한다. 당해 일정한 범위는, 칸내 최적 농도라고 불려진다. 예를 들면, 칸내 최적 농도는, 2.5에서 5.0의 사이이다.
가로축은, 초기 상태로부터 경과한 기간을 나타낸다. 가로축의 단위는, 임의 단위 [a.u.]이다. 예를 들면, 가로축의 단위는, 1개월이다.
도 8의 그래프에서, 실시 형태 1의 소취기(10)가 나타내는 관계는, 실선으로 그려진다. 소취기(10)의 그래프의 지그재그 형상은, 사용 중의 셀이 교체되는 것을 나타낸다. 초기 상태로부터 2개월 이상이면서 또한 14개월 미만의 기간에서, 토탈의 향기 강도는, 칸내 최적 농도의 값을 나타낸다.
도 8의 그래프에서, 종래 구조의 소취기(50)가 나타내는 관계는, 파선으로 그려진다. 종래 구조의 소취기(50)에 흐르는 풍량은, 각각 케이스 X와 케이스 Y와 케이스 Z로 하여 소취기(10)에 흐르는 풍량의 3/16배의 값과 2/16배의 값과 1/16배의 값으로 설정된다.
소취기(50)에서, 케이스 X의 경우, 토탈의 향기 강도는, 초기 상태의 9로부터 단조로 감소한다. 그 후, 토탈의 향기 강도는, 초기 상태로부터 약 9개월 경과했을 경우, 2.5를 하회한다.
소취기(50)에서, 케이스 Y 또는 케이스 Z의 경우, 토탈의 향기 강도는, 케이스 X의 경우보다도 완만하게 감소한다. 케이스 Y 또는 케이스 Z의 경우, 초기 상태에서의 토탈의 향기 강도는, 케이스 X의 경우의 향기 강도보다도 약하다. 케이스 Y의 경우, 토탈의 향기 강도는, 초기 상태로부터 약 9개월 경과 후에 2.5를 하회한다. 케이스 Z의 경우, 토탈의 향기 강도는, 초기 상태로부터 약 4개월 경과 후에 2.5를 하회한다.
도 8의 그래프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소취기(10)는, 소취기(50)에 비해서, 보다 긴 기간에 걸쳐서 소취 효과를 지속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소취 장치(1)는, 용기(11)와 소취제(12)와 제1 덮개(14)와 구동기(20)를 구비한다. 용기(11)는, 한쌍의 용기 개구부(11a)를 구비한다. 용기(11)는, 복수의 셀부(11c)를 3이상 구비한다. 소취제(12)는, 복수의 셀부(11c) 중 2이상에 격납된다. 소취제(12)는, 접촉한 기체에 소취 효과를 준다. 제1 덮개(14)는, 제1 덮개 개구부(14a)를 구비한다. 제1 덮개(14)는, 복수의 셀부(11c) 중 일부를 외기로부터 격리한다. 구동기(20)는, 제1 덮개(14)를 이동시킴으로써, 사용 중의 셀을 다른 셀로 변화시킨다. 이 때문에, 소취 장치(1)는, 소취제(12)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소취 장치(1)는, 사용할 소취제(12)를 교체할 수 있다. 그 결과, 소취 장치(1)는, 복수의 소취 성분의 비율이 크게 변화하는 것을 장기간에 걸쳐서 억제할 수 있다. 소취 장치(1)는, 소취 효과를 장기간 지속시킬 수 있다.
또, 소취 장치(1)는, 원통 형상의 용기(11)를 구비한다. 복수의 셀부(11c) 각각은, 부채꼴의 형상을 구비한다. 제1 덮개 개구부(14a)는, 부채꼴의 형상을 구비한다. 이 때문에, 제1 덮개(14)를 회전시킴으로써, 복수의 셀부(11c)를 막을 수 있다. 그 결과, 소취 장치(1)는, 용기(11)와 제1 덮개(14)와의 상대 위치를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소취기(10)는, 소형화될 수 있다.
또한, 용기(11)는, 직방체의 형상을 구비해도 괜찮다. 복수의 셀부(11c) 각각은, 병행(竝行)하게 늘어서도록 마련된다. 이 때문에, 용기(11)는, 좁은 설치 장소에도 마련될 수 있다.
또, 소취 장치(1)는, 제2 덮개(15)와 덮개축(16)을 구비한다. 제2 덮개(15)는, 제2 덮개 개구부(15a)를 구비한다. 제2 덮개(15)는, 복수의 셀부(11c) 중 일부를 외기로부터 격리한다. 제2 덮개(15)가 외기에 개방하는 셀부는, 제1 덮개(14)가 외기에 개방하는 셀부와 동일하다. 덮개축(16)은, 제1 덮개(14)와 제2 덮개(15)에 동기하여 회전한다. 이 때문에, 소취기(10)는, 복수의 셀부(11c) 각각의 양단을 막을 수 있다. 소취기(10)는, 복수의 셀부(11c) 각각의 양단에 기체를 통과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소취 효과를 장기간 지속시킬 수 있다.
또, 소취 장치(1)는, 격납 상자(2)를 구비한다. 격납 상자(2)는, 엘리베이터의 칸(101)의 상면에 마련된다. 격납 상자(2)는,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한쌍의 상자 덮개(2a)를 측면에 구비한다. 격납 상자(2)는, 용기(11)와 소취제(12)와 제1 덮개(14)와 제2 덮개(15)와 덮개축(16)을 격납한다. 이 때문에, 소취 장치(1)는, 용기(11)의 주변을 통과하는 기류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소취 장치(1)는, 소취 효과를 구비한 기체를 확실하게 칸(101)의 내부로 보낼 수 있다.
또, 격납 상자(2)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정보를 취득한다. 격납 상자(2)는, 칸(101)이 상승 또는 하강 운동을 행하는 경우,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한쌍의 상자 덮개(2a)를 개방시킨다. 이 때문에, 격납 상자(2)는, 승강시에만 기류를 내부에 통과시킨다. 그 결과, 소취 장치(1)는, 소취 효과를 장시간 지속시킬 수 있다.
또한, 한쌍의 상자 덮개(2a)는, 개폐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한쌍의 상자 덮개(2a)는, 항상 개방 상태이다.
또한, 셀부(11c)의 수는, 16개가 아니어도 괜찮다. 셀부(11c)가 3개 이상 있는 경우, 소취 장치(1)는, 유효 시간을 지속시키는 효과를 달성한다.
또한, 소취제(12)의 소취 성분은, 방향 효과를 미치는 것이 아니어도 괜찮다. 예를 들면, 소취제(12)는, 다공질의 수지 비즈에 휘발성의 탈취 성분이 함침된 것이다. 예를 들면, 소취제(12)는, 접촉한 기체로부터 악취를 없애는 성분을 구비한다.
또한, 제1 덮개 개구부(14a)는, 복수의 셀부(11c) 중 3개를 연결한 형상이 아니어도 괜찮다. 예를 들면, 제1 덮개 개구부(14a)는, 복수의 셀부(11c) 중 2개 이상을 연결한 형상이다.
또한, 제2 덮개 개구부(15a)는, 복수의 셀부(11c) 중 3개를 연결한 형상이 아니어도 괜찮다. 예를 들면, 제2 덮개 개구부(15a)는, 복수의 셀부(11c) 중 2개 이상을 연결한 형상이다.
또한, 소취기(10)는, 제2 덮개(15)를 구비하지 않아도 괜찮다. 예를 들면, 소취제(12)가 방출하는 소취 성분의 양이 미량인 경우, 소취기(10)는, 제2 덮개(15)를 구비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소취제(12)의 향료의 증기압이 낮은 경우, 입경(粒徑)이 작기 때문에 소취제(12)에 공기가 통과하기 어려운 경우, 소취제(12)가 방출하는 소취 성분의 양은, 미량이다.
또한, 구동기(20)는, 용기(11)를 이동시켜도 괜찮다. 예를 들면, 구동기(20)는 용기(11)를 제1 덮개(14)에 대해서 상대 이동시킨다. 예를 들면, 구동기(20)는, 용기(11)를 이동시킴으로써, 사용 중의 셀을 다른 셀로 변화시킨다.
또한, 규정 기간의 단위는, 1개월이지 않아도 괜찮다. 예를 들면, 규정 기간은, 1주간이다. 예를 들면, 규정 기간은, 3개월이다.
다음으로, 도 9를 이용하여, 소취기(10)의 제1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소취 장치의 소취기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 (A)는, 제1 변형예에서의 소취기(10)의 평면도이다. 도 9의 (B)는, 도 9의 (A)의 B-B' 단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제1 변형예에서, 제1 덮개(14)와 도 9에는 도시되지 않은 제2 덮개(15)는, 연속적으로 이동한다. 예를 들면, 제1 덮개(14)는, 복수의 셀부(11c)에 속하는 셀 z와의 사이에, 셀 z의 개구부 α를 형성한다. 개구부 α는, 제1 덮개(14)의 이동 중에, 셀 z의 일단과 제1 덮개 개구부(14a)가 겹쳐지는 영역이다. 개구부 α의 면적은, 셀 z의 일단의 면적보다도 작다.
제1 변형예에서의 제1 덮개(14) 및 제2 덮개(15)와 비교하여, 실시 형태 1에서의 제1 덮개(14) 및 제2 덮개(15)는, 간헐적으로 빠르게 이동한다. 변형예가 아닌 소취기(10)에서, 개구부 α가 존재하는 시간은 짧다. 제1 비교예에서의 개구부 α가 존재하는 시간은, 실시 형태 1에서의 개구부 α가 존재하는 시간보다도 길다.
제1 변형예에서, 새로운 셀 z의 개방이 시작되었을 경우, 개구부 α의 면적은, 0으로부터 서서히 증가한다.
개구부 α의 면적이 작은 경우, 셀 z의 내부에 흐르는 기체의 양은 적다. 개구부 α의 면적이 커짐에 따라서, 셀 z의 내부에 흐르는 기체의 양은 증가한다. 이 때문에, 소취기(10)를 통과한 후의 기체에 있어서, 향기 강도는, 개구부 α의 면적이 커짐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증가한다.
개구부 α의 면적의 값이 어느 값보다 큰 경우, 셀 z의 내부에 흐르는 기체의 양은, 일정값을 취한다. 이 이유는, 개구부 α의 면적의 값이 어느 면적값보다 큰 경우, 개구부 α에서의 컨덕턴스는, 셀 z의 내부에서의 컨덕턴스보다도 크기 때문이다. 컨덕턴스는, 어느 장소에서의 기체의 통과하기 쉬운 정도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개구부 α의 면적의 값이 셀 z의 일단의 면적의 절반의 값보다 큰 경우, 셀 z의 내부에 흐르는 기체의 양은, 일정한 포화량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1의 제1 변형예에서, 제1 덮개(14)와 제2 덮개(15)는, 연속적으로 이동한다. 개구부 α의 면적은, 비교적 시간을 들여서 변화한다. 이 때문에, 소취기(10)는, 통과한 기체에서, 소취 성분의 농도 변화를 완만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소취기(10)는, 통과한 기체에서의 급격한 향기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덮개(14)와 제2 덮개(15)가 간헐적으로 이동하였을 경우, 소취기(10)가 발(發)하는 소취 성분의 농도는, 불연속이 된다. 이 경우, 소취기(10)를 통과한 기체의 향기는, 급격하게 변화한다. 제1 변형예에서, 소취기(10)는, 당해 향기의 급격한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과 도 11을 이용하여, 소취기(10)의 제2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소취 장치의 소취기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소취 장치의 소취기의 제2 변형예에서의 소취 장치의 방향 성분의 합계의 농도가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제2 변형예에서, 초기 상태에서 개방되는 복수의 셀 중 1개는, 소취제(12)를 구비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2 변형예에서, 초기 상태로부터 1개월 경과 후에 막혀지는 셀은, 소취제(12)를 구비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2 변형예에서, 셀 a는, 소취제(12)를 구비하지 않는다.
도 11에서, 제2 변형예의 소취 장치(1)를 통과한 후의 기체에 포함되는 토탈의 향기 강도와 경과한 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된다. 그래프의 세로축과 가로축은, 변형예가 아닌 도 8에 도시되는 그래프의 세로축과 가로축과 마찬가지이다. 칸내 최적 농도의 값은, 변형예가 아닌 도 8에 도시되는 그래프의 칸내 최적 농도의 값과 마찬가지이다.
도 11의 그래프에서, 제2 변형예의 소취기(10)가 나타내는 관계는, 실선으로 그려진다. 소취기(10)의 그래프의 지그재그 형상은, 사용 중의 셀이 교체되는 것을 나타낸다. 초기 상태로부터 2개월 이상이면서도 또한 14개월 미만의 기간에서, 토탈의 향기 강도는, 칸내 최적 농도의 값을 나타낸다.
제2 변형예에서, 초기 상태의 토탈의 향기 강도는, 7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1의 제2 변형예에서, 초기 상태에서 개방되는 복수의 셀 중 1개는, 소취제(12)를 구비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소취기(10)를 통과한 기체에서, 토탈의 향기 강도는, 초기 상태와 그 이후의 상태에서 가까운 값으로 할 수 있다. 초기 상태에서, 토탈의 향기 강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변형예가 아닌 소취기(10)에서, 초기 상태에서 통과한 기체의 소취 성분의 농도는, 제2 변형예에서의 당해 농도보다도 진하다. 실시 형태 1에서, 초기 상태의 소취기(10)가 발하는 강도가 높은 향기는, 이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가능성이 있다. 제2 변형예에서, 소취기(10)는, 초기 상태의 향기의 강도를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를 이용하여, 소취기(10)의 제3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소취 장치의 소취기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제3 변형예에서, 복수의 셀부(11c) 중 마지막에 개방되는 셀은, 소취제(12')를 구비한다. 소취제(12')는, 소취제(12)와 비교하여 포함하는 소취 성분이 다르다. 소취제(12')는, 소취제(12)와 비교하여 향기가 다르다. 예를 들면, 제3 변형예에서, 셀 p는, 소취제(12')를 구비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1의 제2 변형예에서, 복수의 셀부(11c) 중 마지막에 개방되는 셀은, 소취제(12)와는 다른 소취 성분을 포함한 소취제(12')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소취기(10)는, 다른 향기를 이용하여, 도 12에는 도시되지 않은 제1 덮개(14)와 도 12에는 도시되지 않은 제2 덮개(15)가 일주 회전한 것을 알릴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수원은, 소취제의 교체 시기가 온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을 이용하여, 소취기(10)의 제4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소취 장치의 소취기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의 (A)는, 제4 변형예에서의 소취기(10)의 평면도이다. 도 13의 (B)는, 도 13의 (A)한 C-C' 단면도이다.
도 13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제4 변형예에서, 소취기(10)는, 복수의 칸막이면(11b)를 구비하지 않는다. 제4 변형예에서, 소취기(10)는, 복수의 셀부(11c)를 구비하지 않는다. 제4 변형예에서, 소취기(10)의 높이 방향 길이는, 한쌍의 용기 개구부(11a)의 지름에 비해서 충분히 작다. 예를 들면, 제4 변형예에서, 소취기(10)의 높이 방향 길이는, 한쌍의 용기 개구부(11a)의 직경의 10분의 1의 길이이다.
제1 덮개 개구부(14a)를 통과한 기체는, 용기(11)의 내부에서, 제1 덮개 개구부(14a)와 제2 덮개 개구부(15a) 사이에 끼인 영역 및 당해 영역의 근방을 통과한다. 당해 영역에 존재하지 않는 소취제(12)는, 용기의 밖의 기체에 접촉하지 않는다. 당해 영역에 존재하지 않는 소취제(12)는, 소취 성분을 부여하는 효과가 저하되지 않는다.
제1 덮개(14)와 제2 덮개(15)가 회전했을 경우, 소취기(10)를 통과하는 기체는, 소취 성분을 충분히 포함한 소취제(12)를 통과한다.
제4 변형예에서, 예를 들면, 제1 덮개(14)와 제2 덮개(15)는, 간헐적으로 이동한다. 제4 변형예에서, 예를 들면, 제1 덮개(14)와 제2 덮개(15)는, 연속적으로 이동해도 괜찮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1의 제4 변형예에서, 소취기(10)는, 복수의 칸막이면(11b)를 구비하지 않는다. 제4 변형예에서, 소취기(10)의 높이 방향 길이는, 한쌍의 용기 개구부(11a)의 지름에 비해서 충분히 작다. 이 때문에, 제1 덮개 개구부(14a)를 통과한 기체는, 용기(11)의 내부에서, 제1 덮개 개구부(14a)와 제2 덮개 개구부(15a) 사이에 끼인 영역 및 당해 영역의 근방을 통과한다. 소취기(10)는, 당해 영역에 존재하지 않는 소취제(12)의 소취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4 변형예에서, 소취기(10)는, 복수의 셀부(11c)를 구비하지 않는 상태에서, 변형예가 아닌 소취기(10)에 가까운 효과를 미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14는 실시 형태 2에서의 소취 장치의 소취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의 (A)는, 소취기의 사시도이다. 도 14의 (B)는, 소취기의 상면도이다. 도 14의 (C)는, 한쌍의 시트가 박리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의 (D)는, 도 14의 (B)의 D-D' 단면도이다. 또한, 실시 형태 1의 부분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가 붙여진다. 당해 부분의 설명은 생략된다.
실시 형태 2에서, 사용 중의 셀의 수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증가한다.
도 14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소취 장치(1)는, 격납 상자(2)의 내부에 소취기(30)를 구비한다.
소취기(30)는, 용기(31)와 소취제(12)와 메쉬(33)와 한쌍의 시트(34)와 박리기(35)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용기(31)는, 직방체 형상을 구비한다. 용기(31)는, 내부에 공동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용기(31)는, 한쌍의 용기 개구부(31a)와 복수의 칸막이면(31b)과 복수의 셀부(31c)를 구비한다.
한쌍의 용기 개구부(11a) 각각은, 용기(31)의 한쌍의 서로 마주 보는 측면 각각에 마련된다. 예를 들면, 한쌍의 용기 개구부(31a) 각각은, 용기(31)에서, 한쌍의 측면 각각의 전체에 상당한다.
복수의 칸막이면(31b) 각각은, 용기(31)의 내부에 마련된다. 복수의 칸막이면(31b) 각각은, 한쌍의 용기 개구부(31a)의 일방으로부터 타방에 걸쳐서 마련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칸막이면(31b) 각각은, 한쌍의 용기 개구부(31a) 각각에 대해서 수직하게 마련된다. 예를 들면, 한쌍의 용기 개구부(31a) 각각은, 서로 평행하게 마련된다. 복수의 칸막이면(31b)은, 용기(31)의 내부를 분할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칸막이면(31b)은, 5매 마련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칸막이면(31b)은, 용기(31)의 내부를 6등분한다.
복수의 셀부(31c) 각각은, 복수의 칸막이면(31b)에 의해서 분할된 용기(31)의 내부의 각 영역이다. 복수의 셀부(31c) 각각은, 한쌍의 용기 개구부(31a)를 저면으로 하는 기둥 모양의 형상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셀부(31c) 각각의 횡단면은, 장방형의 형상이다. 예를 들면, 복수의 셀부(31c)는, 용기(31)에 6개 마련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셀부(31c) 각각은, 병행하게 늘어서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면, 소취제(12)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소취제이다.
예를 들면, 복수의 메쉬(33)는, 그물망 구조를 구비한다. 복수의 메쉬(33) 각각은, 복수의 셀부(31c) 각각의 양단에 마련된다. 복수의 메쉬(33)는, 기체를 통과시킨다. 복수의 메쉬(33) 각각은, 복수의 셀부(31c) 각각으로부터 소취제(12)가 빠져 나오는 것을 방해한다.
예를 들면, 한쌍의 시트(34) 각각은, 장방형의 형상을 구비한다. 한쌍의 시트(34) 각각은, 접착제(34a)를 구비한다. 한쌍의 시트(34) 각각은, 접착제(34a)를 개재하여, 한쌍의 용기 개구부(31a) 각각에 박리 가능하게 접착된다. 한쌍의 시트(34) 각각은, 한쌍의 시트(34)에 의해 막혀진 복수의 셀부(31c)를, 용기(31)의 외측의 기체로부터 격리한다.
예를 들면, 박리기(35)는, 용기(31)의 측방에 마련된다. 예를 들면, 박리기(35)는, 한쌍의 시트(34) 각각의 일단에 접속된다. 예를 들면, 박리기(35)는, 한쌍의 시트(34) 각각의 일단을 끌어 당긴다. 박리기(35)는, 한쌍의 시트(34) 각각을 용기(31)로부터 박리시킨다. 박리기(35)는, 한쌍의 시트(34) 각각의 박리 위치를 제어한다.
소취기(30)는, 한쌍의 시트(34) 각각을 박리함으로써, 사용 중의 셀의 수를 증가시킨다. 소취기(30)는, 일정 기간마다 사용 중의 셀의 수를 증가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용기(31)는, 직방체의 형상을 구비한다. 복수의 셀부(31c) 각각은, 병행하게 늘어서도록 마련된다. 이 때문에, 용기(31)는, 좁은 설치 장소에도 마련될 수 있다.
또, 소취 장치(1)는, 한쌍의 시트(34)를 구비한다. 한쌍의 시트(34) 각각은, 한쌍의 용기 개구부(31a) 각각에 박리 가능하게 접착된다. 이 때문에, 소취기(30)는, 일정 기간마다 새로운 소취제(12)를 사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소취 장치(1)는, 소취 효과를 장기간 지속시킬 수 있다.
또한, 소취기(30)이 발생시키는 향기의 강도나 질의 변화에 있어서, 실시 형태 1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휘발성이 높은 소취 성분이 주는 영향은, 휘발성의 낮은 성분이 주는 영향보다도 크다. 이 때문에, 새로운 소취제(12)를 사용하는 경우, 소취기(30)는, 사용 시간이 긴 셀을 밀폐하지 않고, 소취 효과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용기(31)의 형상은, 장방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용기(31)는, 실시 형태 1의 용기(11)와 동일한 형상이다. 이 경우, 한쌍의 시트(34) 각각은, 원형이다. 예를 들면, 한쌍의 시트(34)는, 방사상의 칼집을 구비한다. 한쌍의 시트(34) 각각은, 일정 기간마다, 복수의 셀부(11c) 중 하나의 영역이, 당해 칼집을 따라서 박리된다.
또한, 소취기(30)는, 일정 기간마다 한쌍의 시트(34) 각각을 박리할 수 있으면, 박리기(35)를 구비하지 않아도 괜찮다. 예를 들면, 소취기(30)는, 박리기(35)를 구비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보수원은, 일정 기간마다 한쌍의 시트(34) 각각을 박리하는 작업을 행한다.
또한, 사용 중의 셀이 시간의 경과와 함께 증가한다면, 소취기(30)는, 한쌍의 시트(34)를 구비하지 않아도 괜찮다. 예를 들면, 소취기(30)는, 변형예가 아닌 도 14에는 도시되지 않은 용기(11)를 용기(31) 대신에 구비한다. 예를 들면, 도 14에는 도시되지 않은 제1 덮개(14)와 도 14에는 도시되지 않은 제2 덮개(15)는, 부채 모양의 구조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제1 덮개(14)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도 14에는 도시되지 않은 제1 덮개 개구부(14a)를 넓힌다. 예를 들면, 제2 덮개(15)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도 14에는 도시되지 않은 제2 덮개 개구부(15a)를 넓힌다.
실시 형태 3.
도 15는 실시 형태 3에서의 소취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 3에서의 소취 장치의 구동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실시 형태 1 또는 실시 형태 2의 부분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가 붙여진다. 당해 부분의 설명은 생략된다.
도 15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실시 형태 3에서, 소취 장치(1)는, 구동기(40)를 구비한다.
구동기(40)는, 프로펠라(41)를 구비한다.
프로펠라(41)는, 프로펠라 팬(41a)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프로펠라(41)는, 회전 가능하게 격납 상자(2)의 상방(上方)에 마련된다. 예를 들면, 프로펠라(41)는, 한쌍의 상자 덮개(2a) 중 일방의 상방에 마련된다.
프로펠라 팬(41a)의 일부는, 승강로(100)와 칸(101)과의 사이의 공간의 직상(直上)에 위치한다. 예를 들면, 당해 공간의 폭은, 1미터이다.
프로펠라(41)는, 칸(101)이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경우에, 칸(101) 근방에 발생하는 기류를 이용하여 회전한다. 당해 기류는, 칸(101)이 승강로(100)에 대해서 상대 이동할 때, 칸(101)으로부터 관측된다. 당해 기류는, 칸(101)이 상승하는 경우, 칸(101)에 대한 하강 기류이다. 당해 기류는, 칸(101)이 하강하는 경우, 칸(101)에 대한 상승 기류이다.
프로펠라(41)는, 프로펠라 팬(41a)에서 당해 기류를 받음으로써 회전한다. 예를 들면, 프로펠라(41)는, 칸(101)이 상승하는 경우, 순서 방향으로 회전한다. 예를 들면, 프로펠라(41)는, 칸(101)이 하강하는 경우,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16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구동기(40)는, 프로펠라(41)와 제1 치차(齒車)(42)와 제2 치차(43)와 이스케이프 휠(escape wheel)(44)과 앵클(ankle)(45)과 클로우(claw)(46)와 한쌍의 스톱퍼(47)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구동기(40)는, 격납 상자(2)에 접속된다. 구동기(40)는, 덮개축(16)을 회전시킨다.
예를 들면, 제1 치차(42)는, 헬리컬 기어이다. 제1 치차(42)는, 프로펠라(41)의 축에 접속된다. 제1 치차(42)는, 프로펠라(41)의 회전에 동기하여 회전한다.
예를 들면, 제2 치차(43)는, 헬리컬 기어이다. 제2 치차(43)의 치(齒)는, 제1 치차(42)의 치에 대응한다. 제2 치차(43)는, 제1 치차(42)에 서로 맞물리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예를 들면, 제2 치차(43)는, 제1 치차(42)와 함께 나사 치차를 형성한다. 예를 들면, 제2 치차(43)의 회전축은, 덮개축(16)에 평행이다.
이스케이프 휠(44)은, 원반의 형상을 구비한다. 이스케이프 휠(44)은,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체(44a)를 구비한다. 이스케이프 휠(44)은, 덮개축(16)에 접속된다. 이스케이프 휠(44)의 중심축은, 덮개축(16)과 동축이다. 예를 들면, 이스케이프 휠(44)은, 덮개축(16)의 회전에 동기하여 회전한다.
앵클(45)의 일단은, 두 갈래의 형상을 구비한다. 앵클(45)은, 일단에서 한쌍의 넣음 클로우(45a)를 구비한다. 앵클(45)은, 두 갈래의 붙어 있는 위치에서, 축(45b)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다. 앵클(45)의 타단은, 제2 치차(43)의 회전축에 접속된다. 앵클(45)은, 두 갈래의 사이에 이스케이프 휠(44)이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앵클(45)은, 한쌍의 넣음 클로우(45a)가 복수의 돌기체(44a)에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된다.
앵클(45)은, 축(45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앵클(45)은, 제2 치차(43)로부터 회전 구동력이 주어진다. 예를 들면, 제2 치차(43)가 순(順)방향으로 회전했을 경우, 앵클(45)의 일단은, 일방향으로 이동한다. 앵클(45)의 일단이 일방향으로 이동했을 경우, 앵클(45)의 타단은, 타방향으로 이동한다. 예를 들면, 제2 치차(43)가 역(逆)방향으로 회전했을 경우, 앵클(45)의 일단은, 타방향으로 이동한다. 앵클(45)의 일단이 타방향으로 이동했을 경우, 앵클(45)의 타단은, 일방향으로 이동한다.
한쌍의 넣음 클로우(45a)는, 복수의 돌기체(44a)에 대해서, 일방향으로부터만 외력을 준다. 한쌍의 넣음 클로우(45a)가 타방향으로부터 복수의 돌기체(44a) 중 하나에 접촉하는 경우, 한쌍의 넣음 클로우(45a)는, 당해 돌기체(44a)의 위치를 움직이게 하지 않는다. 한쌍의 넣음 클로우(45a)는, 돌기체(44a)의 위치를 움직이게 하지 않고, 타방향으로 이동한다.
예를 들면, 클로우(46)는, 막대 모양의 형상을 구비한다. 클로우(46)의 일단은, 제2 치차(43)의 중심에 접속된다. 클로우(46)는, 일단을 중심으로 하여 진자 모양으로 운동한다. 클로우(46)는, 제2 치차(43)의 회전에 동기하여 운동한다.
한쌍의 스톱퍼(47)의 일방은, 클로우(46)의 일측방에 마련된다. 한쌍의 스톱퍼(47)의 일방은, 클로우(46)의 타측방에 마련된다. 한쌍의 스톱퍼(47) 각각은, 클로우(46)의 운동에 간섭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한쌍의 스톱퍼(47) 각각은, 클로우(46)를 운동할 수 있는 폭을 규정한다. 예를 들면, 한쌍의 스톱퍼(47)의 일방은, 클로우(46)가 일측방으로 이동했을 경우, 충돌함으로써 클로우(46)의 운동을 정지시킨다.
구동기(40)는, 칸(101)의 승강 운동에 의해서 생기는 기류를 이용하여, 덮개축(16)을 회전시킨다. 구동기(40)는, 덮개축(16)을 통해서, 제1 덮개(14)와 제2 덮개(15)를 이동시킨다. 구동기(40)는, 제1 덮개(14) 및 제2 덮개(15)와 용기(11)와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킨다.
예를 들면, 구동기(40)는, 칸(101)이 상승하는 경우, 덮개축(16)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예를 들면, 구동기(40)는, 칸(101)이 하강하는 경우, 덮개축(16)을 회전시키지 않는다.
예를 들면, 칸(101)이 상승하는 경우, 프로펠라(41)는, 하강 기류를 받는다. 프로펠라(41)는, 하강 기류를 받는 경우, 순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치차(42)는, 프로펠라(41)에 동기하여, 순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치차(43)는, 제1 치차(42)에 동기하여 순방향으로 회전한다. 앵클(45)은, 제2 치차(43)에 회전 구동력을 줄 수 있다. 앵클(45)의 일단은, 일방향으로 이동한다. 한쌍의 넣음 클로우(45a)는, 복수의 돌기체(44a) 중 하나에 대해서, 일방향으로부터 외력을 준다. 이스케이프 휠(44)은, 순방향으로 회전한다. 덮개축(16)은, 이스케이프 휠(44)의 회전에 동기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예를 들면, 칸(101)이 하강하는 경우, 덮개축(16)은 회전하지 않는다. 칸(101)이 하강하는 경우, 앵클(45)의 일단은, 타방향으로 이동한다. 한쌍의 넣음 클로우(45a)는, 타방향으로부터 복수의 돌기체(44a) 중 하나에 접촉한다. 한쌍의 넣음 클로우(45a)는, 돌기체(44a)의 위치를 움직이게 하지 않고, 타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3에 의하면, 구동기(40)는, 프로펠라(41)를 구비한다. 프로펠라(41)는, 엘리베이터의 칸(101)의 상방에 마련된다. 프로펠라(41)는, 구동기(4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프로펠라(41)는, 칸(101)이 상승 또는 하강 운동을 행할 때 칸(101) 주변에 발생하는 기류에 의해서 회전한다. 구동기(40)는, 당해 회전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용기(11)와 제1 덮개(14)와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킨다. 이 때문에, 소취 장치(1)는, 전력 설비를 구비하지 않고 소취기(10)의 제1 덮개(14)와 제2 덮개(15)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한쌍의 넣음 클로우(45a)는, 복수의 돌기체(44a)에 대해서, 타방향으로부터만 외력을 주도록 마련되어도 괜찮다.
이상과 같이, 본 개시에 관한 소취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소취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1 : 소취 장치 2 : 격납 상자
2a : 상자 덮개 2b : 제어기
3 : 팬 3a : 날개
3b : 흡입구 3c : 흡출구
10 : 소취기 11 :용기
11a : 용기 개구부 11b : 칸막이면
11c : 셀부 12, 12a~12p, 12' : 소취제
13 : 메쉬 14 : 제1 덮개
14a : 제1 덮개 개구부 15 : 제2 덮개
15a : 제2 덮개 개구부 16 : 덮개축
20 : 구동기 21 : 모터
22 : 벨트 23 : 덮개 제어기
30 : 소취기 31 : 용기
31a : 용기 개구부 31b : 칸막이면
31c : 셀부 33 : 메쉬
34 : 시트 34a : 접착제
35 : 박리기 40 : 구동기
41 : 프로펠라 41a : 프로펠라 팬
42 : 제1 치차 43 : 제2 치차
44 : 이스케이프 휠 44a : 돌기체
45 : 앵클 45a : 넣음 클로우
45b : 축 46 : 클로우
47 : 스톱퍼 50 : 소취기
100 : 승강로 101 : 칸
a~p, z : 셀 α : 개구부

Claims (7)

  1. 한쌍의 서로 마주 보는 측면에 한쌍의 용기 개구부 각각이 마련되고, 상기 한쌍의 용기 개구부 중 일방으로부터 타방에 걸쳐서 마련된 칸막이면에 의해서 내부의 공간이 분할됨으로써 형성된 영역인 복수의 셀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셀부에 소취제를 격납하는 용기와,
    제1 덮개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덮개 개구부에서 상기 복수의 셀부 중 하나 또는 복수를 외기에 개방하며, 상기 제1 덮개 개구부가 아닌 장소에서 상기 한쌍의 용기 개구부 중 일방을 막도록 마련된 제1 덮개와,
    상기 용기 또는 상기 제1 덮개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복수의 셀부 중 상기 제1 덮개가 외기에 개방하는 셀부를 다른 셀부로 변화시키는 구동기와,
    엘리베이터의 칸의 상방에 마련되고, 상기 구동기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며, 상기 칸이 상승 또는 하강 운동을 행할 때에 상기 칸의 주변에 발생하는 기류에 의해서 회전하는 프로펠라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기는, 상기 프로펠라가 회전하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용기와 상기 제1 덮개와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키는 소취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원반 모양으로 성형되고, 제2 덮개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덮개 개구부에서 상기 복수의 셀부 중 하나 또는 복수를 외기에 개방하고, 상기 제2 덮개 개구부가 아닌 장소에서 상기 한쌍의 용기 개구부의 타방을 막도록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셀부 중 외기에 개방하는 셀부는 상기 제1 덮개가 외기에 개방하는 셀부와 동일한 제2 덮개와,
    상기 제1 덮개의 중심과 상기 제2 덮개의 중심에 접속되고, 상기 제1 덮개와 상기 제2 덮개에 동기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덮개 개구부와 상기 제2 덮개 개구부를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덮개축을 구비한 소취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원통 형상으로 성형되고,
    상기 복수의 셀부 각각의 단면은, 부채꼴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덮개는, 원반 모양으로 성형되고,
    상기 제1 덮개 개구부는, 부채꼴의 형상을 가지는 소취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직방체 형상으로 성형되고,
    상기 복수의 셀부 각각은, 병행하게 늘어서도록 마련된 소취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칸에 마련되고,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한쌍의 상자 덮개를 측면에 구비하며, 상기 용기와 상기 제1 덮개를 내부에 격납하는 격납 상자를 구비한 소취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격납 상자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칸이 상승 또는 하강 운동을 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한쌍의 상자 덮개를 개방시키는 소취 장치.
  7. 삭제
KR1020237003388A 2020-07-02 2020-07-02 소취 장치 KR102518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11103A KR20230048570A (ko) 2020-07-02 2020-07-02 소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0/025958 WO2022003891A1 (ja) 2020-07-02 2020-07-02 消臭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1103A Division KR20230048570A (ko) 2020-07-02 2020-07-02 소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513A KR20230026513A (ko) 2023-02-24
KR102518148B1 true KR102518148B1 (ko) 2023-04-05

Family

ID=7696802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1103A KR20230048570A (ko) 2020-07-02 2020-07-02 소취 장치
KR1020237003388A KR102518148B1 (ko) 2020-07-02 2020-07-02 소취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1103A KR20230048570A (ko) 2020-07-02 2020-07-02 소취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6912013B1 (ko)
KR (2) KR20230048570A (ko)
CN (2) CN117180485A (ko)
WO (1) WO202200389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33006A (ja) 2014-09-30 2017-11-09 ヴァレオ システム テルミク 少なくとも1つの揮発性物質を拡散させるための装置
CN210457090U (zh) 2019-04-29 2020-05-05 佛山市绿映红电梯装饰有限公司 一种能快速换气通风的电梯轿厢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0048U (ko) * 1986-12-17 1988-06-29
JPH0512211Y2 (ko) * 1987-02-04 1993-03-29
JPH04208161A (ja) * 1990-11-30 1992-07-29 Aichi Kasei Kogyo:Yugen 芳香発生装置
JPH04128750U (ja) * 1991-05-20 1992-11-25 美喜雄 椛木 香り発生装置
US5178327A (en) * 1991-08-02 1993-01-12 Summit Products, Inc. Air freshener
GB9501065D0 (en) * 1995-01-18 1995-03-08 Kennedy Eng Holding David Air freshener unit and cartridge therefor and method of dispensing air freshening vapour
US5565148A (en) * 1995-03-16 1996-10-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evice for selectively providing a multiplicity of aromas
JP4208161B2 (ja) 1998-12-25 2009-01-14 株式会社エンプラス Icソケットの操作機構
US6086591A (en) 1999-01-29 2000-07-11 Smith & Nephew, Inc. Soft tissue anchor
US6654664B1 (en) 2000-06-14 2003-11-25 Multisen Technology, Inc. Multimedia and scent storage medium and playback apparatus
JP2004065617A (ja) * 2002-08-07 2004-03-04 Duskin Co Ltd 芳香消臭装置
JP2006021923A (ja) * 2004-07-09 2006-01-26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香り供給装置
JP2008201530A (ja) 2007-02-20 2008-09-04 Deodor Japan Co Ltd エレベーター専用の消臭方法とその消臭器
US20090212124A1 (en) 2007-09-12 2009-08-27 Kevin Brian Kenn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a volatile composition
KR101488792B1 (ko) * 2013-08-27 2015-02-04 주식회사 동남엘리베이터 풍력발전설비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PL2989912T3 (pl) 2014-09-01 2020-01-31 Fontem Holdings 1 B.V. Elektroniczne urządzenie do palenia
CN105673332A (zh) * 2016-03-06 2016-06-15 刘倩 电梯风发电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33006A (ja) 2014-09-30 2017-11-09 ヴァレオ システム テルミク 少なくとも1つの揮発性物質を拡散させるための装置
CN210457090U (zh) 2019-04-29 2020-05-05 佛山市绿映红电梯装饰有限公司 一种能快速换气通风的电梯轿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12013B1 (ja) 2021-07-28
JP7423572B2 (ja) 2024-01-29
KR20230026513A (ko) 2023-02-24
WO2022003891A1 (ja) 2022-01-06
JP2022013677A (ja) 2022-01-18
KR20230048570A (ko) 2023-04-11
CN117180485A (zh) 2023-12-08
JPWO2022003891A1 (ko) 2022-01-06
CN115916270A (zh) 2023-04-04
CN115916270B (zh) 202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07578A (zh) 一种带香薰器的车载空气净化器
KR102518148B1 (ko) 소취 장치
EP1107800A1 (en) Odor dispensing device and odor dispensing cartridge
US20100284783A1 (en) Diffuser of natural aromas for refrigerated environments
CN208343864U (zh) 一种可自动调节的香薰器
JP4368934B1 (ja) 液体収容システム、液体収容容器、および液体導出制御方法
JPH06296671A (ja) 脱臭・香発生装置
JPH0530762Y2 (ko)
JP7367971B2 (ja) 放香装置
JP2000249460A (ja) 冷蔵庫の製氷装置
JP6514170B2 (ja) レンジフード
JP2009018245A (ja) 消臭効果を説明する消臭実演装置
JP2737501B2 (ja) 芳香容器
JP2004208896A (ja) 香り発生器
ITMI20020145U1 (it) Dispositivo deodorante-profumante per veicoli
JP2002306579A (ja) 空気清浄装置
KR20240059254A (ko) 방향기능을 갖는 창
KR200349969Y1 (ko) 공기 청정기의 개선 구조
JP3577443B2 (ja) 室内脱臭機
JPH059552U (ja) ロータリー式芳香装置
JP2001037859A (ja) 芳香剤散布器
JPH0415431A (ja) 空気調和機の香料芳香装置
JP2007020741A (ja) 芳香・消臭装置
KR20050092510A (ko) 공기정화기용 도어시스템
JP2009011760A (ja) 芳香消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