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055B1 - 시간과 향의 조절이 가능한 방향제 케이스 - Google Patents

시간과 향의 조절이 가능한 방향제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055B1
KR102267055B1 KR1020200012730A KR20200012730A KR102267055B1 KR 102267055 B1 KR102267055 B1 KR 102267055B1 KR 1020200012730 A KR1020200012730 A KR 1020200012730A KR 20200012730 A KR20200012730 A KR 20200012730A KR 102267055 B1 KR102267055 B1 KR 102267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ase
negative pressure
space
pressur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이민규
Original Assignee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12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0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35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methods for adding the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5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emanating multiple odou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3Replaceable cartridges, ref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5Vaporisers for active compon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시간 동안 조작이 없을 경우 방향제의 토출구가 자동으로 막히도록 구성하여 차량의 객실에 사람이 없을 때 방향제가 불필요하게 발향되는 것을 막음으로써 방향제의 불필요한 소모를 막고, 이종의 방향제 각각의 고유 향기를 선택적으로 토출시키도록 하여 각각의 향기가 서로 혼재되지 않고 발향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제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간과 향의 조절이 가능한 방향제 케이스{Air freshener case capable of time and scent control}
본 발명은 시간과 향의 조절이 가능한 방향제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시간 동안 조작이 없을 경우 방향제의 토출구가 자동으로 막히도록 구성하여 차량의 객실에 사람이 없을 때 방향제가 불필요하게 발향되는 것을 막음으로써 방향제의 불필요한 소모를 막고, 이종의 방향제 각각의 고유 향기를 선택적으로 토출시키도록 하여 각각의 향기가 서로 혼재되지 않고 발향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제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탈취제 또는 방향제는 각종 세균번식의 억제와 더불어 이를 이용한 악취(냄새)제거의 효과를 발휘함에 따라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며, 대부분의 것들이 별도의 용기에 담긴 채로 사용한다.
이제까지 사용해 오던 통상의 탈취제 및 방향제 케이스의 구조는, 상단이 개구된 용기본체 내부에 탈취제 또는 방향제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담도록 되어 있고, 이러한 용기본체의 상단 개구부를 개폐토록 된 뚜껑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탈취 또는 방향 성분이 외부로 휘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한 뚜껑으로 용기의 개구부를 무조건 전면 개방해야만 하기 때문에 탈취나 방향 효과를 오랜 기간 지속시키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다양한 향기를 제공할 수 없게 되는 사용구조상의 한계가 뒤따랐다.
방향제로는 고체형 또는 액체형의 방향제가 사용되는데, 보통 1~2개월 사용하면 유효 성분이 소모되어 교체가 필요하다. 따라서, 개구부의 개도량을 조절해 방향제의 소모량을 조절하기도 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7215호(제목: 제습탈취제와 방향제를 포함하는 이중 격실 용기)에는 종래 방향제 용기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간략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종래 기술은 격벽(911)에 의해 분리된 제1격실(901a)과 제2격실(901b)을 갖는 본체(901)와; 상기 제1격실(901a) 내에 수용되는 제습탈취제(902)와; 상기 제2격실(901b) 내에 수용되는 방향제(903)와; 상기 제1,2격실(901a)(901b)이 외기와 연통하도록 다수의 슬릿 또는 소공을 갖는 뚜껑(904)으로 구성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상기한 용기(900) 내부가 상기 격벽(911)에 의해 제1,2격실(901a)(901b)로 나뉘어 구획됨에 따라, 제습탈취제(902)와 방향제(903)를 함께 담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제1,격실(901a)(901b) 내에 제습탈취제(902)와 방향제(903)를 나누어 수용하였을 뿐 그들 성분의 동시 발산에 의한 역효과로 인해, 탈취효과에 의하여는 방향효과를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게 되거나 방향효과로 인해서 탈취효과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이러한 종래 기술을 차량용으로 사용하였을 경우 차량의 객실 내 승객이 없을 때에도 방향제가 지속적으로 소모되기 때문에 방향제의 불필요한 소모를 막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뒤따랐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7215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일정 시간 동안 조작이 없을 경우 방향제의 토출구가 자동으로 막히도록 구성하여 차량의 객실에 사람이 없을 때 방향제가 불필요하게 발향되는 것을 막음으로써 방향제의 불필요한 소모를 막고, 이종의 방향제 각각의 고유 향기를 선택적으로 토출시키도록 하여 각각의 향기가 서로 혼재되지 않고 발향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제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격판에 의해 이종의 방향제가 각각 개별 수용되도록 복수의 수용공간이 구획 형성되며 각각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방향제의 향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되 각각의 배출구들은 서로 높이차를 두고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씌워진 상태에서 승강하는 컵 형태로 이루어져 케이스와의 사이 내부 공간에 부압공간이 형성되고, 케이스의 삽입 깊이에 따라 복수의 배출구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는 연통구가 형성되며, 상면에는 공기가 통하는 흡배기구멍이 관통 형성되는 커버; 및 상기 부압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를 하강이동시키면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됨과 동시에 부압공간 내의 공기가 상기 흡배기구멍을 통해 배출되면서 부압공간에 부압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구가 복수의 배출구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며, 공기가 상기 흡배기구멍을 통해 상기 부압공간으로 유입되어 부압공간의 부압이 파괴되면 상기 커버는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승하되, 커버의 상사점에서는 커버에 의해 복수의 배출구가 모두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흡배기구멍에 설치되어 공기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부재; 및 상기 부압공간에 설치되며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커버를 하방으로 견인하는 작동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재는, 중앙에 공기흐름구가 형성되도록 서로 마주보게 대칭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흡배기구멍의 벽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막부재; 및 막부재의 하부 개방을 제한하도록 상기 한 쌍의 막부재 각각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한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재는, 모터; 상기 모터의 출력단에 설치되는 풀리; 및 일단은 상기 커버의 내벽면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풀리에 고정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며, 모터가 풀리를 회전시키면 상기 와이어가 풀리에 권취되면서 커버가 하방으로 견인되며,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는 설치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에는 케이스에 씌워진 커버의 내주면과 구름 접촉되는 구름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구름부재는, 구름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이 개방 형성된 하우징; 상기 구름공간에 삽입 배치되고, 개방된 상기 하우징의 일단을 통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커버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스틸볼; 및 상기 구름공간에서 상기 스틸볼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스틸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리테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의 상단 외주면과 커버의 내주면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개재되며,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는 상, 하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하단에는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케이스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서로 다른 방향제의 향이 순차적으로 발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종의 방향제 향기가 서로 혼재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사용자의 별도 조작 없이도 제1 배출구와 제2 배출구가 모두 차폐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게 되므로, 차량에 승객이 없는 상태에서 불필요하게 방향제의 향기가 발향되어 소모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케이스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향제 케이스에서 커버가 상부로 상대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방향제 케이스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방향제 케이스의 전체적인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밸브부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걸림돌기가 하부 걸림홈에 걸림된 상태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걸림돌기가 중앙 걸림홈에 걸림된 상태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 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케이스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향제 케이스에서 커버가 상부로 상대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방향제 케이스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방향제 케이스의 전체적인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밸브부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걸림돌기가 하부 걸림홈에 걸림된 상태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걸림돌기가 중앙 걸림홈에 걸림된 상태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케이스는 크게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판(11)에 의해 이종의 방향제가 각각 개별 수용되도록 복수의 수용공간(12,13)이 구획 형성되며 각각의 수용공간(12,13)에 수용된 방향제의 향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4,15)가 각각 형성되되 각각의 배출구(14,15)들은 서로 높이차를 두고 형성되는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외부로 씌워진 상태에서 승강하는 컵 형태로 이루어져 케이스(10)와의 사이 내부 공간에 부압공간(21)이 형성되고, 케이스(10)의 삽입 깊이에 따라 복수의 배출구(14,15)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는 연통구(22)가 형성되며, 상면에는 공기가 통하는 흡배기구멍(23)이 관통 형성되는 커버(20) 및 상기 부압공간(21)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20)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수용공간이 제1 수용공간(12)과 제2 수용공간(13)으로 구획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하며, 이때, 상기 배출구가 제1 수용공간(12)에 수용된 방향제의 향기가 배출되는 제1 배출구(14), 제2 수용공간(13)에 수용된 방향제의 향기가 배출되는 제2 배출구(15)로 예시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0)의 내부가 하나의 격판(11)에 의해 제1 수용공간(12) 및 제2 수용공간(13)의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 구성된 실시예를 예시하나, 필요에 따라 격판(11)의 형태를 변형시켜 수용공간의 개수를 늘릴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에 따라 추가적인 배출구의 형성이 고려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케이스(10)와 커버(20)는 차량의 컵홀더 등에 거치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 대략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20)는 사용자의 수조작 등에 의해 케이스(10)의 외측에서 상, 하 방향으로 왕복이동될 수 있다.
커버(20)의 연통구(22)는 케이스(10)의 삽입 깊이에 따라 상기 제1 배출구(14)와 제2 배출구(15)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될 수 있다.
커버(20)의 상, 하 방향 왕복이동에 따라 연통구(22)의 상대위치가 변동되며, 이때, 연통구(22)는 제1 배출구(14) 및 제2 배출구(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시키거나, 연통구(22)가 제1 배출구(14) 및 제2 배출구(15)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지 않았을 경우 커버(20) 자체가 제1 배출구(14) 및 제2 배출구(15) 모두를 차폐시키도록 하는 구성을 갖춘다.
커버(20)의 연통구(22)는 커버(20)의 중앙 부분에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연통구(22)의 하방으로 연장편(24)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편(24)은 제1 배출구(14)와 제2 배출구(15)를 차폐하는 작용을 담당할 수 있다.
커버(20)가 케이스(10)의 외측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하방으로 이동될 경우 부압공간(21) 내의 공기가 흡배기구멍(23)으로 배기되면서 부압이 형성될 수 있다. 부압공간(21)에 부압이 형성되면 일정 시간 동안 커버(20)의 상방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흡배기구멍(23)을 통해 서서히 공기가 부압공간(21)으로 유입되면 부압공간(21) 내 부압이 파괴되면서 커버(20)가 상승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커버(20)가 상방으로 견인될 수 있다.
제1 배출구(14)와 제2 배출구(15)는 서로 높이차이를 둠으로써 상, 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커버(20)의 연통구(22)에 개별적으로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연통구(22)가 일정 높이에서 제1 배출구(14)에 대응되었을 경우 제2 배출구(15)는 커버(20)에 의해 차폐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연통구(22)가 일정 높이에서 제2 배출구(15)에 대응되었을 경우, 제1 배출구(14)는 연장편(24)에 의해 차폐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아울러, 커버(20)의 상사점에서 연통구(22)가 제1 배출구(14)와 제2 배출구(15) 모두에 대응되지 않게 되면 연장편(24)에 의해 제1 배출구(14)와 제2 배출구(15) 모두가 차폐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제1 수용공간(12)과 제2 수용공간(13)에 수용되는 각각의 방향제의 향기는 커버(20)의 상대이동에 따라 개별적으로 외부로 발향될 수 있다.
방향제의 충전을 위해 케이스(10)는 2조 한 쌍으로 분할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케이스(10)를 이루는 각각의 부재는 나사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케이스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배기구멍(23)에 설치되어 공기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부재(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밸브부재(40)는 커버(20)의 상, 하 왕복이동시 부압공간(21)의 공기는 쉽게 배출되도록 하되, 반대로, 부압공간(21) 내로 공기가 쉽게 유입되지 못하게 함으로써 부압공간(21) 내의 부압 형성 및 유지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밸브부재(40)는, 중앙에 공기흐름구(41)가 형성되도록 서로 마주보게 대칭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흡배기구멍(23)의 벽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막부재(42) 및 막부재(42)의 하부 개방을 제한하도록 상기 한 쌍의 막부재(42) 각각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한돌기(43)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막부재(42)는 고무, 실리콘 등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박막 부재로서, 커버(20)가 하강하게 될 경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압공간(21) 내 압축된 공기는 막부재(42)를 상부로 개방시키면서 공기흐름구(41)를 확장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반대로, 부압공간(21)에 부압이 형성된 상태에서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돌기(43)가 흡입력에 의한 막부재(42)의 변형을 막게 되므로 개방되지 못한 공기흐름구(41)를 통해서만 부압공간(21) 내로 공기가 천천히 유입될 수 있다.
즉, 커버(20)의 하방이동은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커버(20)의 상방 이동시 부압공간(21) 내로 공기의 유입이 점진적으로 일어나 커버(20)의 상방 이동에 저항이 발생되는 구조가 된다.
이에 따라 부압공간(21) 내 부압이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으며, 나아가, 케이스(10)의 제1 배출구(14) 또는 제2 배출구(15)에 연통구(22)가 일정시간 대응되도록 커버(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구조가 실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케이스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압공간(21)에 설치되며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커버(20)를 하방으로 견인하는 작동부재(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작동부재(50)는 사용자의 수조작 없이도 커버(20)를 하방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특히, 작동부재(50)는 작동부재(50)의 동작스위치를 온시킨다거나, 차량 내 시동이 걸려 진동이 발생하였을 때 이와 연동하여 구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갖춘다.
이를 위해, 작동부재(50)는 모터(51), 상기 모터(51)의 출력단에 설치되는 풀리(52) 및 일단은 상기 커버(20)의 내벽면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풀리(52)에 고정되는 와이어(53)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작동부재(50)는 모터(51)를 동작시키는 동작스위치 또는 진동을 감지해 진동신호를 생성하는 진동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모터(51)는 상기 진동신호를 근거로 동작될 수 있다. 즉, 동작스위치를 온시켜 모터(51)를 구동시키거나, 별도 동작스위치의 조작 없이도, 차량의 시동시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해 모터(51)를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모터(51)의 구동에 따라, 모터(51)가 풀리(52)를 회전시키면 상기 와이어(53)가 풀리(52)에 권취되면서 커버(20)가 하방으로 견인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커버(20)가 하사점으로 견인되면 커버(20)에 부착된 스탑돌기가 케이스(10)에 부착된 스탑센서를 가압해 스탑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스탑신호를 근거로, 모터(51)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구성을 추가로 마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0)의 외주면에는 상, 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걸림홈(16)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20)의 하단에는 상기 걸림홈(16)에 걸림되는 걸림돌기(2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25)가 복수의 걸림홈(16)에 단계적으로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커버(20)의 위치를 일정 시간 동안 고정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걸림홈(16)은, 중앙 걸림홈(16b), 상기 중앙 걸림홈(16b)의 상부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상부 걸림홈(16a) 및 상기 중앙 걸림홈(16b)의 하부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부 걸림홈(16c)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으며, 걸림돌기(25)가 상부 걸림홈(16a)에 걸림되었을 경우, 커버(20)가 상사점에 위치하여, 커버(20)에 의해 제1 배출구(14)와 제2 배출구(15)가 모두 차폐된 상태가 유지되고, 걸림돌기(25)가 중앙 걸림홈(16b)에 걸림되었을 경우 제1 배출구(14)는 차폐되고 제2 배출구(15)와 연통구(22)가 서로 연통되어 제2 수용공간(13) 내의 방향제 향기만 외부로 발향될 수 있는 구조가 되고, 걸림돌기(25)가 하부 걸림홈(16c)에 걸림되었을 경우, 커버(20)가 하사점에 위치하여, 제2 배출구(15)는 차폐됨과 동시에 제1 배출구(14)와 연통구(22)가 서로 연통되어 제1 수용공간(12) 내의 방향제 향기만 외부로 발향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상기 하부 걸림홈(16c)의 하방으로는 커버(20)의 하방이동을 제한하도록 걸림턱(17)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작용은 시간과 향의 조절이 가능한 방향제 케이스가 사용되는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방향제 케이스의 사용 전 서로 다른 향의 방향제가 수용된 케이스(10) 상에 커버(20)를 결합시킨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의 걸림돌기(25)를 케이스(10)의 상부 걸림홈(16a)에 걸림되도록 구성하여 커버(20)의 연장편(24)이 케이스(10)의 제1 배출구(14)와 제2 배출구(15) 모두를 차폐할 수 있도록 해 방향제의 향기가 서로 혼재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보관함이 바람직하다.
승객이 차량에 탑승하면 제1 배출구(14)와 제2 배출구(15)가 모두 차폐된 상태의 방향제 케이스에서 수조작, 동작스위치 온, 차량 시동을 통한 진동 발생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커버(20)를 하방이동시킨다.
상기 커버(20)를 하강이동시키면 상기 탄성부재(30)가 압축됨과 동시에 부압공간(21) 내의 공기가 상기 흡배기구멍(23)을 통해 배출되면서 부압공간(21)에 부압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구(22)가 제1 배출구(14)와 제2 배출구(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통될 수 있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가 하사점으로 이동되었을 경우, 걸림돌기(25)가 하부 걸림홈(16c)에 걸림되면서 제2 배출구(15)는 차폐됨과 동시에 제1 배출구(14)와 연통구(22)가 서로 연통되어 제1 수용공간(12) 내의 방향제 향기만 외부로 발향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걸림돌기(25)가 하부 걸림홈(16c)에 물리적으로 걸림되어 있고, 커버(20)의 상방이동에 저항이 걸리고 있는 상태가 되므로, 제1 배출구(14)와 연통구(22)의 연통 상태가 일정 시간 유지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이 흐르게 되면 공기가 상기 흡배기구멍(23)을 통해 상기 부압공간(21)으로 유입되어 부압공간(21)의 부압이 파괴되고, 탄성부재(30)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상기 커버(20)는 탄성부재(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승하게 된다. 이때, 하부 걸림홈(16c)에 걸림된 걸림돌기(25)가 자연스럽게 하부 걸림홈(16c)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일정 시간 더 경과하게 될 경우, 걸림돌기(25)가 중앙 걸림홈(16b)에 걸림되는 높이까지 점진적으로 상승하게 되며, 걸림돌기(25)가 중앙 걸림홈(16b)에 걸림되었을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출구(14)는 연장편(24)에 의해 차폐되고 제2 배출구(15)와 연통구(22)가 서로 연통되어 제2 수용공간(13) 내의 방향제 향기만 외부로 발향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 더 경과하게 될 경우, 걸림돌기(25)가 상부 걸림홈(16a)에 걸림되는 높이까지 점진적으로 상승하여 커버(20)가 상사점에 위치하였을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에 의해 제1 배출구(14)와 제2 배출구(15)가 모두 차폐된 상태로 복원되어, 제1 수용공간(12)과 제2 수용공간(13)에 수용된 방향제의 발향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케이스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서로 다른 방향제의 향이 순차적으로 발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종의 방향제 향기가 서로 혼재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1 배출구(14)와 제2 배출구(15)가 모두 차폐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게 되므로, 차량에 승객이 없는 상태에서 불필요하게 방향제의 향기가 발향되어 소모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해 전술한 실시예 대비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케이스(10) 외주면에는 설치홈(18)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18)에는 케이스(10)에 씌워진 커버(20)의 내주면과 구름 접촉되는 구름부재(19)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름부재(19)는, 커버(20)가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될 때 케이스(10)의 외면과 마찰저항을 줄여 커버(20)의 원활한 피스톤 운동을 보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구름부재(19)는, 구름공간(19a)이 형성되고, 일단이 개방 형성된 하우징(19b), 상기 구름공간(19a)에 삽입 배치되고, 개방된 상기 하우징(19b)의 일단을 통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커버(20)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스틸불(19c) 및 상기 구름공간(19a)에서 상기 스틸불(19c)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스틸불(19c)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리테이너(19d)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커버(20)가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될 때 스틸불(19c)이 하우징(19b)의 구름공간(19a) 내에서 리테이너(19d)에 회전 지지된 채 제자리 회전됨으로써 구름부재(19)가 커버(20)를 미끄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의 상단 외주면과 커버(20)의 내주면 사이에는 실링부재(O)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O)는 케이스(10)의 상단에 케이스(1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실링부재(O)는 실리콘 형태의 오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O)는 흡배기구멍(23)을 제외한 부분에서 공기가 부압공간(21) 내로 유입 또는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부압공간(21)의 기밀을 형성하는데 기여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케이스 20: 커버
30: 탄성부재 40: 밸브부재
50: 작동부재 11: 격판
12: 제1 수용공간 13: 제2 수용공간
14: 제1 배출구 15: 제2 배출구

Claims (5)

  1. 격판에 의해 이종의 방향제가 각각 개별 수용되도록 복수의 수용공간이 구획 형성되며 각각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방향제의 향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되 각각의 배출구들은 서로 높이차를 두고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씌워진 상태에서 승강하는 컵 형태로 이루어져 케이스와의 사이 내부 공간에 부압공간이 형성되고, 케이스의 삽입 깊이에 따라 복수의 배출구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는 연통구가 형성되며, 상면에는 공기가 통하는 흡배기구멍이 관통 형성되는 커버; 및
    상기 부압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를 하강이동시키면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됨과 동시에 부압공간 내의 공기가 상기 흡배기구멍을 통해 배출되면서 부압공간에 부압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구가 복수의 배출구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며,
    공기가 상기 흡배기구멍을 통해 상기 부압공간으로 유입되어 부압공간의 부압이 파괴되면 상기 커버는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승하되, 커버의 상사점에서는 커버에 의해 복수의 배출구가 모두 차폐되며,
    상기 흡배기구멍에 설치되어 공기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부재; 및
    상기 부압공간에 설치되며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커버를 하방으로 견인하는 작동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재는,
    중앙에 공기흐름구가 형성되도록 서로 마주보게 대칭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흡배기구멍의 벽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막부재; 및
    막부재의 하부 개방을 제한하도록 상기 한 쌍의 막부재 각각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한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재는,
    모터;
    상기 모터의 출력단에 설치되는 풀리; 및
    일단은 상기 커버의 내벽면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풀리에 고정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가 풀리를 회전시키면 상기 와이어가 풀리에 권취되면서 커버가 하방으로 견인되며,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는 설치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에는 케이스에 씌워진 커버의 내주면과 구름 접촉되는 구름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구름부재는,
    구름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이 개방 형성된 하우징;
    상기 구름공간에 삽입 배치되고, 개방된 상기 하우징의 일단을 통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커버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스틸볼; 및
    상기 구름공간에서 상기 스틸볼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스틸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리테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의 상단 외주면과 커버의 내주면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개재되며,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는 상, 하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하단에는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과 향의 조절이 가능한 방향제 케이스.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커버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과 향의 조절이 가능한 방향제 케이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2조 한 쌍으로 분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과 향의 조절이 가능한 방향제 케이스.
KR1020200012730A 2020-02-03 2020-02-03 시간과 향의 조절이 가능한 방향제 케이스 KR102267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730A KR102267055B1 (ko) 2020-02-03 2020-02-03 시간과 향의 조절이 가능한 방향제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730A KR102267055B1 (ko) 2020-02-03 2020-02-03 시간과 향의 조절이 가능한 방향제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7055B1 true KR102267055B1 (ko) 2021-06-17

Family

ID=76603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730A KR102267055B1 (ko) 2020-02-03 2020-02-03 시간과 향의 조절이 가능한 방향제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0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231A (ko) * 2020-07-28 2022-02-04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디퓨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75172A1 (en) * 2002-03-18 2003-09-18 Eliocell S.R.L. Deodorising-perfuming device for motor vehicles
KR200357215Y1 (ko) 2004-04-26 2004-07-27 최성용 제습탈취제와 방향제를 포함하는 이중 격실 용기
WO2017156167A1 (en) * 2016-03-08 2017-09-14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providing an odor-rich environment
CN209301801U (zh) * 2018-12-29 2019-08-27 宁波大学 香料散发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75172A1 (en) * 2002-03-18 2003-09-18 Eliocell S.R.L. Deodorising-perfuming device for motor vehicles
KR200357215Y1 (ko) 2004-04-26 2004-07-27 최성용 제습탈취제와 방향제를 포함하는 이중 격실 용기
WO2017156167A1 (en) * 2016-03-08 2017-09-14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providing an odor-rich environment
CN209301801U (zh) * 2018-12-29 2019-08-27 宁波大学 香料散发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231A (ko) * 2020-07-28 2022-02-04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디퓨져
KR102402500B1 (ko) 2020-07-28 2022-05-25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디퓨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0334B1 (en) Cleansing and freshening unit intended for suspension from a rim of a toilet bowl
KR102267055B1 (ko) 시간과 향의 조절이 가능한 방향제 케이스
EP1142593B1 (en) Aromatizer
JPH0530762Y2 (ko)
KR200448588Y1 (ko) 방향제 용기
KR20190078976A (ko) 향기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조장치
KR20190043891A (ko) 스마트 디퓨저
JPH06296671A (ja) 脱臭・香発生装置
JPH06181975A (ja) 芳香発生装置
EP1432879A1 (en) A dispenser
CN216969278U (zh) 定量出液装置、车载香水装置和香水挂件
KR102533167B1 (ko) 부품 간 결합이 견고한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
JPH03231677A (ja) 揮発性薬剤の放散装置
KR100583295B1 (ko) 진동자를 이용한 방향제 휘산기
JPH02126855A (ja) 芳香器
KR100515570B1 (ko) 발향장치 및 향을 발산하는 방법
JPH0234296Y2 (ko)
KR200461671Y1 (ko) 방향제 발향 장치
JPH0529265Y2 (ko)
EP4049685A1 (en) Aromatic deodorizing device
KR100341036B1 (ko) 향 발산 장치
KR200229203Y1 (ko) 서랍식 방향제 수납부를 갖는 차량
IE54578B1 (en) Dispensing device
KR20220082596A (ko) 멀티 수납형 방향제 용기
JPS6013477Y2 (ja) 揮散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