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588Y1 - 방향제 용기 - Google Patents

방향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588Y1
KR200448588Y1 KR2020090012582U KR20090012582U KR200448588Y1 KR 200448588 Y1 KR200448588 Y1 KR 200448588Y1 KR 2020090012582 U KR2020090012582 U KR 2020090012582U KR 20090012582 U KR20090012582 U KR 20090012582U KR 200448588 Y1 KR200448588 Y1 KR 2004485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hole
cover
locking jaw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25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병희
Original Assignee
송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병희 filed Critical 송병희
Priority to KR20200900125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5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5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5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7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wi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향제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향제 용기는 내부에는 방향 액이 수용되는 방향 액 저장 홈이 형성되고, 상부 중심부분에는 개구부(開口部)를 갖는 입구 부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 부의 내주 면에는 걸림 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 턱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보조 홀이 형성되는 바디; 중심부분에 상기 방향 액 저장 홈과 연통되는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걸림 턱에 걸리는 플랜지 부가 형성되는 향 유도용 튜브; 및 상기 입구 부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입구 부의 개구부를 커버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모세관 원리를 이용하여 방향 액을 심지를 통해서 향 유도튜브 상부 쪽으로 유도하고, 입구 부의 걸림 턱에 형성된 보조 홀 안으로 공기를 유입시켜서 커버에 형성된 향 발산 홀을 통해서 방향제를 효과적으로 발산시킬 수 있다.
입구 부, 개구부, 향 유도용 튜브, 걸림 턱, 보조 홀, 향 발산 홀, 커버

Description

방향제 용기{AROMATIC CASE}
본 고안은 방향제 용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모세관 원리를 이용하여 방향 액을 심지를 통해서 향 유도튜브 상부 쪽으로 유도하고, 입구 부의 걸림 턱에 형성된 보조 홀 안으로 공기를 유입시켜서 커버에 형성된 향 발산 홀을 통해서 방향제를 효과적으로 발산시킬 수 있는 방향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향제는 좋은 향을 가진 물질을 말하는 것으로, 자체 향을 실내에 퍼트려 사람들의 기분을 상쾌하게 한다. 방향제는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차의 실내 또는 화장실 등에 주로 사용된다.
방향제는 방향성 있는 물질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보관 또는 휴대의 용이성 등으로 인해 각종 용기에 담겨 사용된다. 방향제는 액체, 고체 및 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방향제의 형태에 따라 방향제의 용기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체로 된 방향제는 통기공이 형성된 용기에 충전되어 사용된다. 그리고 고체로 된 방향제는 용기에 담기거나 천 등으로 감싸서 사용할 수 있다.
종래 가정이나 자동차와 같은 실내에서 사용되는 방향제 용기는 상부에 캡이 씌워지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개구부를 통해 용기 내의 방향제 향을 발 산할 수 있게 구성된다. 종래 방향제 용기의 경우, 용기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만을 통하여 방향제 향을 발산하게 되는데, 이는 방향제가 대기 중의 공기와 접촉하여 향을 발산하게 되는 것으로 향 발산량이 적을 수밖에 없는 것이며, 또한 공기보다 무거운 방향제 향이 상부의 개구부를 통해 발산되어야 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향 발산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한편, 실용신안등록출원 1985-0006069호에는 방향제 용기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 방향제 용기에 있어서는, 용기의 입구 부에 저면 부와 장 공이 있는 지지 관에 공간 부를 이루되,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하고 지지 편의 하부에 연결편과 걸림 턱을 평행으로 형성한 상부에 연결편과 간격을 두어 돌출 편으로 침지 포를 통과시킨 것을 장 공으로 고리와 침지 포의 상측 일부가 공간 부로 노출되게 관통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방향제 용기는 침지 포를 알맞게 지지 관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에 의해 향 발산량을 조절하는 구조로 효과적인 향 발산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세관 원리를 이용하여 방향 액을 심지를 통해서 향 유도튜브 상부 쪽으로 유도하고, 입구 부의 걸림 턱에 형성된 보조 홀 안으로 공기를 유입시켜서 커버에 형성된 향 발산 홀을 통해서 방향제를 효과적으로 발산시킬 수 있음은 물론 향 발산 홀이 형성된 커버 혹은 향 발산 홀이 형성되지 않은 커버를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향 발산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방향제 용기는 내부에는 방향 액이 수용되는 방향 액 저장 홈이 형성되고, 상부 중심부분에는 개구부(開口部)를 갖는 입구 부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 부의 내주 면에는 걸림 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 턱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보조 홀이 형성되는 바디; 중심부분에 상기 방향 액 저장 홈과 연통되는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걸림 턱에 걸리는 플랜지 부가 형성되는 향 유도용 튜브; 및 상기 입구 부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입구 부의 개구부를 커버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향 유도용 튜브의 상기 관통 홀 안에 심지가 삽입된다.
상기 커버에는 향 발산 홀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고,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에 향 발산 홀이 형성된 경우에는 바디의 입구 부의 걸림 턱에 형성된 보조 홀 안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방향 액 저장 홈에 저장된 방향 액의 향은 상기 관통 홀을 통해서 향 발산 홀로 발산된다. 이때 상기 보조 홀을 통해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서 많은 양의 방향제 향이 신속하게 향 발산 홀로 발산된다.
반면에, 상기 커버에 향 발산 홀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방향 액 저장 홈에 저장된 방향 액의 향은 상기 관통 홀을 통해서 보조 홀로 발산되는데, 적은 양의 방향제 향이 은은하게 발산된다.
상기 커버의 하부에는 상기 입구 부의 상부 내주 면에 걸리기 위한 위치 결정 턱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와 상기 플랜지 부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고, 상기 틈새로 향이 통과한다.
상기 바디, 상기 향 유도용 튜브, 그리고 상기 커버는 크리스털 글라스로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일체의 금속 및 플라스틱류를 사용하지 않고 크리스털 글라스로 제조되므로 방향제의 알코올과 정유(에센스오일)로부터 화학 반응이 없어 인체에 무해한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은 크리스털 글라스로 제조되므로 주형(Mould)이 불필요하고 제작이 쉬우며 소량생산과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심미감이 탁월하고 안정성과 견고함이 우수하며, 사용수명이 반영구적이다.
또 본 고안은 방향 액의 리필이 용이하여 어떠한 향수나 방향 액도 쉽게 교 체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향 발산 홀이 형성된 커버를 사용하거나 향 발산 홀이 형성되지 않은 커버를 사용함에 따라 향 발산 강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햇볕에 오랫동안 놓이더라도 용기 자체가 개방된 구조를 가지므로 밀폐용기처럼 온도 상승으로 인한 폭발 위험이 전혀 없다.
또 본 고안은 모세관 원리를 이용하여 방향 액을 심지를 통해서 향 발산 홀 쪽으로 유도하고, 방향 액을 대류 순환 방식으로 순환시켜서 향 발산 효과가 매우 뛰어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방향제 용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방향제 용기를 보인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방향제 용기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방향제 용기를 보인 종단면도로, 제2 향 발산 홀이 있는 커버의 사용을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방향제 용기를 보인 종단면도로, 제2 향 발산 홀이 없는 커버의 사용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방향제 용기(100)는 내부에 방향 액이 수용되는 방향 액 저장 홈(111)이 형성되고, 상부 중심부분에 개구부(開口部)(112)를 갖는 입구 부(113)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 부(113)의 내주 면에 걸림 턱(114)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 턱(114)에 외부와 연통(연결)되는 보조 홀(115)이 형성되는 바디(Body)(110); 중심부분에 상기 방향 액 저장 홈(111)과 연통되는 관통 홀(12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걸림 턱(114)에 걸리는 플랜지 부(122)가 형성되는 향 유도용 튜브(120); 및 상기 입구 부(113)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입구 부(113)의 개구부(112)를 커버하는 커버(Cover)(13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방향제 용기(100)의 구성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바디(110)의 하부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바디(110)의 상부에는 원형의 입구 부(113)가 형성된다.
상기 바디(110)의 하부 내부에는 방향 액이 수용되는 방향 액 저장 홈(111)이 형성된다. 상기 방향 액 저장 홈(111)의 크기는 제조시에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혹은 사용장소에 따라 적당한 크기로 설계된다. 가정용이나 사무실용은 다소 크고 차량용은 가정용이나 사무실용보다는 다소 작게 제조된다.
상기 입구 부(113)는 상기 바디(110)의 상면 중심부분에 돌출 형성되며, 그 내주면에는 상기 방향 액 저장 홈(111)과 연통되는 개구부(開口部)(112)가 형성된다.
상기 입구 부(113)의 내주 면에는 걸림 턱(114)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 턱(114)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보조 홀(115)이 형성된다. 여기서 보조 홀(115)은 여러 개 형성할 수도 있지만, 두 개의 걸림 턱(114)이 양쪽에 대향되게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향 유도용 튜브(120)의 상기 관통 홀(121) 안에 심지(123)가 삽입된다. 상기 심지(123)는 부직포 혹은 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향 발산 홀(131)이 형성된 것(도 3 참조)과 향 발산 홀(131)이 형성되지 않은 것(도 4 참조)이 있다.
커버(130)에 향 발산 홀(131)이 형성된 경우에는 바디(110)의 입구 부(113)의 걸림 턱(114)에 형성된 보조 홀(115) 안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그 공기의 압력에 의해서 방향 액 저장 홈(111)에 저장된 방향 액의 향은 상기 관통 홀(121)을 통해서 향 발산 홀(115)로 발산된다. 이때 상기 보조 홀(115)을 통해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서 많은 양의 방향제 향이 신속하게 향 발산 홀(131)로 발산된다(도 3 참조).
반면에, 커버(130')에 향 발산 홀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방향 액 저장 홈(111)에 저장된 방향 액의 향은 상기 관통 홀(121)을 통해서 보조 홀(115)로 발산되는데, 이때 적은 양의 방향제 향이 은은하게 발산된다(도 4 참조).
상기 커버(130)의 하부에는 상기 입구 부(113)의 상부 내주 면에 걸리기 위한 원형의 위치 결정 턱(132)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130)와 상기 플랜지 부(122) 사이에는 틈새(G)가 형성되고, 상기 틈새(G)로 향이 통과한다.
상기 바디(110), 상기 향 유도용 튜브(120), 그리고 상기 커버(130)는 크리스털 글라스(Crystal Glass)로 형성되는 데, 이와 같이 크리스털 글라스로 제조될 경우 방향제의 알코올과 정유(에센스오일)로부터 화학 반응이 없어 인체에 무해한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방향제 용기의 사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바디(110)의 입구 부(113)에 형성된 개구부(開口部)(112) 안으로 향 유도용 튜브(120)를 삽입한다. 이때 걸림 턱(114)에 플랜지 부(122)가 걸쳐진다.
그리고 상기 입구 부(113)의 상부에 커버(130)를 안착시켜서 상기 입구 부(113)의 개구부(112)를 커버링한다.
상기 커버(130)의 하부에 형성된 위치 결정 턱(132)은 상기 입구 부(113)의 상부 내주 면에 걸리기 때문에 커버(130)의 위치를 세팅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향 유도용 튜브(120)의 심지(123)가 방향 액 저장 홈(111) 안에 있는 방향 액에 함침(含浸)되고, 방향 액은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향 유도용 튜브(120) 상단으로 상승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후 방향 액의 향은 대류 현상에 의하여 틈새(G)를 거치고 향 발산 홀(131)을 통해서 상기 바디(110) 외부로 발산(發散)되는데, 이때 상기 바디(110)의 입구 부(113)의 걸림 턱(114)에 형성된 보조 홀(115) 안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그 공기의 압력에 의해 많은 양의 향이 향 발산 홀(131)을 통해서 상기 바디(110) 외부로 발산(發散)된다(도 3 참조).
반면에, 상기 커버(130')에 향 발산 홀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방향 액 저장 홈(111)에 저장된 방향 액의 향은 상기 관통 홀(121)을 통해서 보조 홀(115)로 발산되는데, 이때 적은 양의 방향제 향이 은은하게 발산된다(도 4 참조).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모세관 원리를 이용하여 방향 액을 심지(123)를 통 해서 향 유도튜브(120) 상부 쪽으로 유도하고, 입구 부(113)의 걸림 턱(114)에 형성된 보조 홀(115) 안으로 공기를 유입시켜서 커버(130)에 형성된 향 발산 홀(131)을 통해서 방향제를 효과적으로 발산시킬 수 있음은 물론 향 발산 홀(131)이 형성된 커버(130) 혹은 향 발산 홀이 형성되지 않은 커버(130')를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향 발산 강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방향제 용기를 보인 결합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방향제 용기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방향제 용기(200)는 내부에 방향 액이 수용되는 방향 액 저장 홈(211)이 형성되고, 상부 중심부분에 개구부(開口部)(212)를 갖는 입구 부(213)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 부(213)의 내주 면에 걸림 턱(214)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 턱(214)에 외부와 연통되는 보조 홀(215)이 형성되는 바디(210); 중심부분에 상기 방향 액 저장 홈(211)과 연통되는 관통 홀(22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걸림 턱(214)에 걸리는 플랜지 부(222)가 형성되는 향 유도용 튜브(220); 및 상기 입구 부(213)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입구 부(213)의 개구부(212)를 커버하는 커버(23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210)의 하부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바디(210)의 상부에는 사각형의 입구 부(213)가 형성된다. 상기 입구 부(213)의 상부에는 사각의 커버(230)가 안착된다. 상기 커버(130)의 하부에는 상기 입구 부(113)의 상부 내주 면에 걸리기 위한 원형의 위치 결정 턱(132)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 결정 턱(132)에는 향 발산 홀(23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방향제 용기(200)는 상기 바디(210)의 상부에 사각형의 입구 부(213)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 부(213)의 상부에는 사각의 커버(230)가 안착되는 구조를 제외하고는 전술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방향제 용기(100)의 구조 및 작용과 동일하므로, 동일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일체의 금속 및 플라스틱류를 사용하지 않고 크리스털 글라스로 제조되므로 방향제의 알코올과 정유(에센스오일)로부터 화학 반응이 없어 인체에 무해한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은 크리스털 글라스로 제조되므로 주형(Mould)이 불필요하고 제작이 쉬우며 소량생산과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심미감이 탁월하고 안정성과 견고함이 우수하며, 사용수명이 반영구적이다.
또 본 고안은 방향 액의 리필이 용이하여 어떠한 향수나 방향 액도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향 발산 홀이 형성된 커버를 사용하거나 향 발산 홀이 형성되지 않은 커버를 사용함에 따라 향 발산 강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햇볕에 오랫동안 놓이더라도 용기 자체가 개방된 구조를 가지므로 밀폐용기처럼 온도 상승으로 인한 폭발 위험이 전혀 없다.
또 본 고안은 모세관 원리를 이용하여 방향 액을 심지를 통해서 향 발산 홀 쪽으로 유도하고, 방향 액을 대류 순환 방식으로 순환시켜서 향 발산 효과가 매우 뛰어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권리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방향제 용기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방향제 용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방향제 용기를 보인 종단면도로, 향 발산 홀이 있는 커버의 사용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방향제 용기를 보인 종단면도로, 향 발산 홀이 없는 커버의 사용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방향제 용기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방향제 용기를 보인 분리 사시도
*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부호
100: 방향제 용기
110: 바디
111: 방향 액 저장 홈
112: 개구부(開口部)
113: 입구 부
114: 걸림 턱
115: 보조 홀
120: 향 유도용 튜브
121: 관통 홀
122: 플랜지 부
123: 심지
130: 커버
131: 향 발산 홀
132: 위치 결정 턱

Claims (6)

  1. 내부에는 방향 액이 수용되는 방향 액 저장 홈이 형성되고, 상부 중심부분에는 개구부(開口部)를 갖는 입구 부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 부의 내주 면에는 걸림 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 턱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보조 홀이 형성되는 바디; 중심부분에 상기 방향 액 저장 홈과 연통되는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걸림 턱에 걸리는 플랜지 부가 형성되는 향 유도용 튜브; 및 상기 입구 부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입구 부의 개구부를 커버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향 유도용 튜브의 상기 관통 홀 안에 심지가 삽입되며, 상기 커버에 향 발산 홀이 형성된 경우에는 바디의 입구 부의 걸림 턱에 형성된 보조 홀 안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그 공기의 압력에 의해서 방향 액 저장 홈에 저장된 방향 액의 향은 상기 관통 홀을 통해서 상기 향 발산 홀로 발산되어, 상기 보조 홀을 통해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서 많은 양의 방향제 향이 신속하게 상기 향 발산 홀로 발산되며, 상기 커버에 향 발산 홀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방향 액 저장 홈에 저장된 방향 액의 향은 상기 관통 홀을 통해서 보조 홀로 발산되어 적은 양의 방향제 향이 은은하게 발산되고, 상기 커버의 하부에는 상기 입구 부의 상부 내주 면에 걸리기 위한 위치 결정 턱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와 상기 플랜지 부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 상기 향 유도용 튜브, 그리고 상기 커버는 크리스털 글라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090012582U 2009-09-24 2009-09-24 방향제 용기 KR2004485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582U KR200448588Y1 (ko) 2009-09-24 2009-09-24 방향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582U KR200448588Y1 (ko) 2009-09-24 2009-09-24 방향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588Y1 true KR200448588Y1 (ko) 2010-04-26

Family

ID=44237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2582U KR200448588Y1 (ko) 2009-09-24 2009-09-24 방향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58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517B1 (ko) 2013-04-09 2015-02-09 한테크생활건강(주) 휘산물질용 카트리지
KR101522936B1 (ko) * 2013-03-06 2015-05-28 조용수 방향제 용기
KR20210157256A (ko) 2020-06-19 2021-12-28 주식회사 이디연 커버를 개폐하여 발향 조절이 가능한 디퓨져 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6831A (ja) * 2006-04-07 2007-10-25 Toppan Printing Co Ltd 液体芳香剤用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6831A (ja) * 2006-04-07 2007-10-25 Toppan Printing Co Ltd 液体芳香剤用容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936B1 (ko) * 2013-03-06 2015-05-28 조용수 방향제 용기
KR101491517B1 (ko) 2013-04-09 2015-02-09 한테크생활건강(주) 휘산물질용 카트리지
KR20210157256A (ko) 2020-06-19 2021-12-28 주식회사 이디연 커버를 개폐하여 발향 조절이 가능한 디퓨져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0432B2 (en) Passive dispensing device
ES2327867T3 (es) Aparato para la difusion de un liquido volatil.
WO2007096432A1 (es) Dispositivo desechable para la difusión de sustancias volátiles
ATE439871T1 (de) Duftspender mit mehreren düften
EA029811B1 (ru) Освежитель воздуха
KR200448588Y1 (ko) 방향제 용기
US10265431B2 (en) Volatile diffuser pods and related systems
KR200461330Y1 (ko) 고분자 비드 방향제가 내장된 하향식 방향제 용기
US5299736A (en) Air freshener device with a ceramic container and an absorbent pad
KR102119933B1 (ko) 방향제 용기
CA2840292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emanating liquids
TWM576997U (zh) Aromatizer structure
JP7072372B2 (ja) 香り見本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香り見本
KR101522936B1 (ko) 방향제 용기
KR200483524Y1 (ko) 장식기능이 우수한 액상 방향제 용기
KR200406741Y1 (ko) 방향장식물의 방향체 결합구조
TWM562685U (zh) 可重複填充使用之香氛裝置
WO2011058093A1 (en) Air-freshening device
KR102302510B1 (ko) 휴대용 발향 캡슐
JP5371223B2 (ja) 揮散剤収容器および揮散器
KR200414524Y1 (ko) 향수가 내재된 휴대폰 케이스
KR200170290Y1 (ko) 방향제 발산구
ES2834998A1 (es) Dispositivo de difusión de sustancias volátiles
TWM564454U (zh) Flared bottle device
KR200353594Y1 (ko) 방향스텐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