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8976A - 향기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향기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8976A
KR20190078976A KR1020170180831A KR20170180831A KR20190078976A KR 20190078976 A KR20190078976 A KR 20190078976A KR 1020170180831 A KR1020170180831 A KR 1020170180831A KR 20170180831 A KR20170180831 A KR 20170180831A KR 20190078976 A KR20190078976 A KR 20190078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erfume
air conditioner
flow path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4445B1 (ko
Inventor
김재호
김기홍
박지용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0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445B1/ko
Publication of KR20190078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14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2003/0675Photocatalytic filters

Abstract

본 발명은 향기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히는 베르누이의 원리에 따른 향기 발생 장치의 내부 하우징과 유로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향기 발생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다양한 위치에 본 발명에 의한 향기 발생 장치를 설치할 수 있으며, 제작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향기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향기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조장치{Apparatus for diffusing scent and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thereof}
본 발명은 향기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히 본 발명에 의한 향기 발생 장치는, 별도의 장치에 연결하지 않더라도 향료에서 발생한 향기성분을 포함하는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어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설치할 수 있는 위치의 제약이 적고, 제작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향기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공조장치는 자동차의 실내를 냉난방 하거나, 실내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장치이다.
차량의 공조장치는 블로어 유닛, 증발기 유닛 및 히터코어 유닛의 독립적인 구조에 따라 상기 세 개의 유닛들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 피스 타입, 증발기 유닛과 히터코어 유닛이 공조케이스에 내장되고 블로어 유닛이 별도의 유닛으로 구비되는 세미 센터 타입 및 상기 세 개의 유닛이 모두 공조케이스에 내장되는 센터 마운팅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최근 탑승자의 필요 및 기호에 따라 차량 실내에 향기를 발생시키기 위해, 차량의 공조장치에 향기발생기를 설치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종래 차량의 공조장치에 향기발생기를 설치한 기술로써,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50634호("차량용 좌, 우 독립 공조장치", 공고일 2014.10.15., 이하 선행기술 1)가 있다.
도 1은 선행기술 1의 도면 중 하나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을 참고하여 종래 차량의 공조장치에 설치된 향기발생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기발생기(20)는 공조장치(10)의 외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향기를 발생시키는 향료가 구비된다. 향기발생기(20) 내부에는 향기를 발생시키는 향료가 구비되어 있고, 향기발생기(20)의 인입구(21)는 입구호스(23)를 통해 송풍장치(30)와 연결되며, 향기발생기(20)의 토출구(22)는 출구호스(24)를 통해 공조장치(10)의 공급통로(11)와 연결된다. 송풍장치(30)는 공조장치(10)로 공기(내기 또는 외기)를 유입시키거나 공급함과 동시에 일부 공기를 입구호스(23)와 인입구(21)를 통해 향기 발생기(20) 내부로 유입시킨다. 향기발생기(2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향료에서 발생한 성분과 혼합되어 토출구(22) 및 출구호스(24)를 통해 공조장치(10)의 내부로 유입되고, 공조장치(10)는 차량 내부로 향기가 포함된 공기를 공급한다.
도 1과 같은 종래 향기발생기(10)는 송풍장치(30)와 같이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에 연결되어, 송풍장치(30)에서 발생하는 공기를 향기발생기(10)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해야 했는데, 향기발생기(10)와 송풍장치(30)의 연결을 위해 장치가 복잡해지고, 향기발생기(10)가 설치될 수 있는 위치는 한정될 수밖에 없으며, 송풍장치(30)와 연결하기 위해 입구호스(23)와 같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배관이 필요했기 때문에 향기발생기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제작단가가 상승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50634호("차량용 좌, 우 독립 공조장치", 공고일 2014.10.15.)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향기 발생 장치의 목적은 종래 향기발생장치에 비해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종래 향기발생장치에 비해 설치할 수 있는 위치가 다양하며, 송풍장치와 같은 장치에 연결되지 않고도 향기를 공조장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어 제작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향기 발생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향기 발생 장치는, 향료가 내부에 구비되고, 인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및 일단이 상기 토출구에 연결되고, 타단이 공조장치 유로의 내부에 삽입되되, 타단의 방향이 유로의 방향과 동일한 토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인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하우징 내부와 토출관의 타단 부분의 압력차로 상기 공조장치 유로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인입구를 더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토출관 타단 부분의 상기 공조장치의 유로는 상기 하우징 내부 보다 압력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향료는 카트리지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향기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공조장치로서, 향기 발생 장치; 상기 토출관의 타단이 삽입되는 유로; 상기 유로 내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한 송풍장치; 및 상기 공기를 차갑게 하기 위한 증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출관의 타단은 상기 증발기의 전단 또는 후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토출관의 타단이 상기 증발기의 전단에 설치될 경우, 상기 향료는 살균, 항균 또는 탈취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송풍 장치와 상기 증발기 사이에 배치되어 악취를 탈취하는 광촉매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로는 상기 토출관의 삽입에 의해 단면적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토출관 타단 부분의 상기 공조장치의 유로는 상기 하우징 내부 보다 압력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향기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조장치에 의하면, 향기 발생 장치의 하우징 내부와 유로 중 토출관의 타단 부분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유로 내부로 배출시키기 때문에 인입구에 별도의 장치와 연결을 위한 배관이 필요하지 않아 장치가 단순화되고, 이로 인해 제작 단가가 절감되며, 종래의 향기 발생 장치에 비해 본 발명에 의한 향기 발생 장치의 설치 위치의 제약이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향기발생기가 설치된 공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향기 발생 장치의 단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향기 발생 장치의 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향기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공조장치.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향기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공조장치.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향기 발생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 의한 향기 발생 장치]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향기 발생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향기 발생 장치(1000)는 하우징(100) 및 토출관(2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은 내부에 향료(110)가 구비되고, 내부와 연결된 인입구(120)와 토출구(130)가 각각 형성된다.
향료(110)는 액체 향료 또는 고체 향료일 수 있고, 향료 자체에서 기화된 향기성분이 외부에서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혼합되어 공기에 향을 부가한다. 향료(110)는 단순히 향기를 부가하는 것 뿐 아니라, 살균, 항균 또는 탈취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향료일 수 있다.
향료(110) 자체는 사용기간이 정해져 있다. 즉, 향료(110)에서 향기성분이 기화됨에 따라 부피가 줄어들고, 향기를 부가하는 능력이 시간이 갈수록 저하될 수 있어, 주기적으로 교환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향기 발생 장치는 향료(110)의 교환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향료(110)가 포함된 카트리지를 하우징(100)에 장착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인입구(120)는 외부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인입구(120)를 통해 외부에서 하우징(10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고,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는 향료(110)에서 발생한 향기성분과 혼합되어, 하우징(100)의 일측에 형성된 토출구(130)로 배출된다. 인입구(120)를 통해 연결된 외부는 다양한 장소일 수 있으며, 특히 기압이 변화하지 않아 하우징(100) 내부와 기압차가 없는 장소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관(200)은 일단이 토출구(130)와 연결되고, 타단이 배관(41)에 의해 형성된 유로(40)의 내부에 연결되며, 인입구(110)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유로(40)로 배출된다. 토출관(200)의 타단은 유로(40)에 흐르는 유체의 방향을 향해 절곡되어 있는데, 이는 베르누이 원리를 통해 하우징(100)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를 유로(40)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토출관(200)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과 유로(40)를 따라 흐르는 유체의 방향을 일시키기 위한 것이다.
베르누이 원리는 공기가 느리게 흐를 때에는 압력이 높고, 공기가 빠르게 흐를 때에는 압력이 낮아진다는 것으로, 본 발명은 베르누이의 원리를 이용하여 토출관(200)의 타단과 하우징(100)의 내부간의 압력차를 발생시키고, 이를 이용해 공기의 흐름을 만들어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40)에는 전단에서 후단으로(도 2에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공기가 흐른다. 토출구(200)의 전단에서 유로(40)의 단면의 면적, 즉 배관(41)의 내면적은 넓지만, 토출관(200)의 타단에서는 토출관(200) 때문에 면적이 좁아진다. 이에 따라 유로(40) 내 공기의 흐름이 빨라져 토출관(200)의 타단에서의 압력은 유로(40)의 전단보다 낮아지게 되고, 하우징(100)의 내부 압력에 비해서도 낮아지게 되며, 하우징(100)의 내부와 토출관(200)의 타단에서의 압력차로 인해 하우징(100) 내부의 공기는 토출관(200)의 타단으로 배출된다. 즉, 별도의 동력장치를 통해 공기의 흐름을 만들어내지 않더라도, 하우징(100) 내부의 공기를 유로(40)로 배출할 수 있어, 구조가 단순화 되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배관(41)으로 형성되는 유로(40)에는 다양한 종류의 유체가 통과할 수 있지만, 베르누이의 법칙이 적용될 수 있는 비압축성 유동(Incompressible flow)이 적용되는 유체가 통과하는 것으로 한정하며,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향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유로(40)로는 공기가 흐르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향기 발생 장치는 개폐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수단은 토출구(130)를 개폐하는 제1개폐수단(310)이 될 수 있다. 제1개폐수단(310)은 다양한 방식으로 토출구(130)를 개폐할 수 있으며, 모터(311) 및 모터(311)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개폐부재(312)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312)는 일단이 모터(311)에 연결되어 상측으로 회동하여 토출구(130)를 열거나, 하측으로 회동하여 토출구(130)를 닫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모터가 회동이 아닌 선형으로 왕복 이동하는 리니어 모터(Linear Motor)이고, 개폐수단은 모터에 연결되어 일측으로 왕복 이동하는 형태일 수 있다.
제1개폐수단(310)이 리니어 모터와 리니어 모터에 연결된 개폐부재를 이용하여 토출구(130)를 개폐할 경우, 개폐수단의 이동 방향이 토출구(13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과 직교한다.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312)가 회동하여 토출구(130)를 닫는 경우보다 개폐부재(312)에 작용하는 공기의 저항이 적게 되므로, 보다 작은 힘으로 토출구(130)를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개폐수단은 유로(40)의 후단에 위치한 공간으로 향기를 포함한 공기의 배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설치된다. 즉, 유로(40)의 후단에 위치한 공간에 있는 사용자가 향기가 발생하기를 원할 경우, 사용자는 별도의 제어수단을 통해 개폐수단을 동작시켜 토출구(130)를 열면, 하우징(100) 내부의 공기가 유로(40)를 통해 배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향기의 발생을 원하지 않을 경우 제어수단을 통해 개폐수단을 동작시켜 토출구(130)를 막아, 향료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제1개폐수단(310)이 토출구(130)를 개방하는 정도에 따라 향기 발생 장치에서 발생시킬 수 있는 향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개폐수단의 동작예에서 개폐수단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동작하지만, 이와는 별개로 유로(40)의 후단에 위치한 공간에 별도의 센서를 포함하는 개폐수단의 제어장치가 설치되고, 센서에서 측정되는 값에 따라 제어장치에서 향기발생기의 동작이 필요하다고 판단했을 경우, 개폐수단으로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토출구(130)를 개방하여 향기발생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제2실시예에 의한 향기 발생 장치]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향기 발생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향기 발생 장치는 제1실시예의 구성에서 제2개폐수단(3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개폐수단(320)은 인입구(120)를 개폐한다. 제1실시예의 경우 하우징(100)의 내부와 인입구(120)는 개방되어 외부와는 항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100)의 내부와 인입구(120)측의 외부의 기압차는 없더라도, 향료(110)에서 기화된 향기성분이 하우징(100) 내부의 공기와 혼합되어 인입구(120)를 통해 소량 배출될 수 있고, 이 경우 향료(110)의 수명을 단축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잇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향기 발생 장치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인입구(120)측에 별도의 제2개폐수단(320)을 설치하여 향료(110)에서 기화된 향기성분이 인입구(120)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2개폐수단(320)은 제1개폐수단(310)이 토출구(130)를 닫을 경우 인입구(120)를 닫아 향료(110)의 누출을 방지하고, 제1개폐수단(310)이 토출구(130)를 열 경우 제2개페수단(320) 또한 인입구(120)를 열어 외부-하우징(100)-유로(40)내부 순으로 공기가 흐르게 할 수 있다.
제2개폐수단(320)은 제1개폐수단(310)과 동일하게 모터와 개폐부재로 이루어져, 제1개폐수단(310)과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의한 향기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공조장치]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향기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공조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공조장치는 앞서 설명한 향기 발생 장치(1000)가 설치된 공조장치(2000)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공조장치에서 상술한 향기 발생 장치(1000)의 유로는 공조장치의 내부가 될 수 있으며, 유로를 따라 흐르는 유체는 공조장치에 유입되어 배출되는 공기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기 발생 장치(1000)의 인입구에는 별도의 인입관이 형성되지 않고, 인입구가 공조장치 또는 다른 차량의 구성과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인입구에 인입관이 형성된 종래의 향기 발생 장치보다 향기 발생 장치(1000)가 설치되는 위치의 제약이 없으며, 장치를 단순화 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공조장치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한다. 공조장치 케이스(400)의 일측에 내기 유입구(510)와 외기 유입구(520)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기 유입구(510) 및 외기 유입구(520)와 인접하여 송풍팬(600)이 설치된다. 송풍팬(600)은 공조장치 내부의 유로에 공기의 흐름을 만들어 내는 송풍장치의 일예로써, 송풍팬(600)에 의해 내기 또는 외기는 외부에서 공조장치 케이스(40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일측에서 타측으로(도 4를 기준으로 우측에서 좌측) 흐른다. 공조장치 케이스(4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내기 또는 외기는 내외기 전환도어(530)의 동작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공조장치 케이스(4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810)를 통해 좌측에 위치한 벤트(410a, 410b, 410c)로 배출되며, 온도조절도어(420)의 동작에 따라 히터코어(820)를 통과하여 벤트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배출되는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증발기(810)에서는 전단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낮추기 때문에 물이 맺힐 수 있어 악취가 발생할 수 있는데, 광촉매필터(700)가 증발기(810)의 전단에 배치되어 악취를 흡착해 탈취할 수 있다. 공조장치 케이스(400)의 후단에 형성된 각각의 벤트(410a, 410b, 410c)에는 벤트의 개폐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모드도어(411a, 411b, 411c)가 형성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기 발생 장치(1000)의 토출관(200)은 공조장치 케이스(400)의 내부로 삽입되되, 증발기(810)의 후단(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에 위치한다. 토출관(200)의 타단은 공조장치 케이스(400) 내부의 공기의 흐름 방향으로 굴곡되어 향기 발생 장치(100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공조장치 케이스(400) 내부의 공기의 흐름 방향과 일치시켜, 향기 성분이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향기 발생 장치(1000)의 하우징 내부에서 토출관(200)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기 발생 장치(1000)의 토출관(200)이 증발기(810)의 후단에 배치되는 이유는 향기 발생 장치(1000)의 전단에 배치될 경우, 향기 발생 장치(1000)의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향료로부터 발생한 향기성분이 증발기(810)로 유입되어 증발기(810)의 내부에서 변질될 수 있고, 증발기(810) 또한 향기성분이 침착될 수 있기 때문으로, 공조장치 케이스(400) 내부를 흐르는 공기가 증발기(810)를 통과한 이후에 향기성분과 혼합되게 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의한 향기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공조장치]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향기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공조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향기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공조장치(2000)는 제1실시예에서 향기 발생 장치(1000)가 증발기(810)의 후단에 배치된 것과 달리, 제2실시예에서는 향기 발생 장치(1000)가 증발기(810)의 전단에 배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기 발생 장치(1000)가 증발기(810)의 전단에 배치될 경우, 향기 발생 장치(1000)에서 발생하는 향기 성분은 증발기(810)를 거쳐 벤트(410a, 410b, 410c)로 배출된다. 이러한 경우, 향기 발생 장치(1000) 내부에 구비되는 향료는 살균, 항균 또는 탈취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성 향료일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향기 발생 장치(1000)에서 구비되는 기능성 향료를 통해 증발기(810) 내부의 살균, 향균 또는 탈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향기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공조장치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토출관(200)을 이용해 면적을 감소시켜, 토출관(200) 타단 부근의 압력을 낮춘다. 만약 토출관(200)을 공조장치 케이스(400)의 내부에 위치시키더라도 토출관(200) 타단 부근의 압력저하가 용이하게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토출관(200)의 부근의 공조장치 케이스(400)를 축소시켜, 축소된 부분의 면적이 전단의 면적보다 작도록 하여 본 발명의 향기 발생 장치에 필요한 충분한 압력저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는 향기 발생 장치(1000)가 설치되는 위치를 몇몇에 한정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향기 발생 장치(1000)의 토출관(200)을 공조장치 케이스(400)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면 어느 곳이든 설치 가능하다. 특히, 향기 발생 장치(1000)의 하우징(100)을 사용자의 접근 및 조작이 용이하도록 차량 내부의 특정 위치에 설치하고 향료(110)를 카트리지에 실장된 상태로 하우징(100)에 장착할 경우, 사용자가 기호 또는 필요에 따라 향료(11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공조장치 11 : 공급통로
20 : 향기 발생기 21 : 인입구
22 : 토출구 23 : 입구호스
24 : 출구호스 30 : 송풍장치
40 : 유로 41 : 배관
100 : 하우징 110 : 향료
120 : 인입구 130 : 토출구
200 : 토출관
310 : 제1개폐수단 311 : 모터
312 : 개폐부재 320 : 제2개폐수단
400 : 공조장치
410a, 410b, 410c : 벤트
411a, 411b, 411c : 모드도어
420 : 온도조절도어
510 : 내기유입구 520 : 외기유입구
530 : 전환도어
600 : 송풍팬
700 : 광촉매
810 : 증발기 820 : 히터코어
1000 : 향기 발생 장치
2000 : 향기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공조장치

Claims (11)

  1. 향료가 내부에 구비되고, 인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및
    일단이 상기 토출구에 연결되고, 타단이 공조장치 유로의 내부에 삽입되되, 타단의 방향이 유로의 방향과 동일한 토출관;
    을 포함하고,
    상기 인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하우징 내부와 토출관의 타단 부분의 압력차로 상기 공조장치 유로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발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발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인입구를 더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발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 타단 부분의 상기 공조장치 유로는 상기 하우징 내부보다 압력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발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는 카트리지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발생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향기 발생 장치;
    상기 토출관의 타단이 삽입되는 유로;
    상기 유로 내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한 송풍장치; 및
    상기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의 타단은 상기 증발기의 전단 또는 후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의 타단이 상기 증발기의 전단에 설치될 경우, 상기 향료는 살균, 항균 또는 탈취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장치와 상기 증발기 사이에 배치되어 악취를 탈취하는 광촉매필터를 더 포함하는 공조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토출관의 삽입에 의해 단면적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의 타단 부분의 상기 공조장치의 유로는 상기 하우징 내부보다 압력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
KR1020170180831A 2017-12-27 2017-12-27 향기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조장치 KR102444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831A KR102444445B1 (ko) 2017-12-27 2017-12-27 향기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831A KR102444445B1 (ko) 2017-12-27 2017-12-27 향기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976A true KR20190078976A (ko) 2019-07-05
KR102444445B1 KR102444445B1 (ko) 2022-09-20

Family

ID=67225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831A KR102444445B1 (ko) 2017-12-27 2017-12-27 향기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4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22569A (zh) * 2020-12-31 2021-04-09 湖北中恒汽车装备有限公司 一种纯电动房车高效双向蓄能空调系统
KR20220112038A (ko) 2021-02-03 2022-08-10 문지수 환경정보를 이용한 훈증 방식의 향기 발생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9562A (ja) * 2004-02-04 2005-08-18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空調装置、芳香剤入りケース及びフィルタユニット
KR20100086775A (ko) * 2009-01-23 2010-08-02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
KR20130058810A (ko) * 2011-11-28 2013-06-05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공급장치
KR101450634B1 (ko) 2011-12-14 2014-10-15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9562A (ja) * 2004-02-04 2005-08-18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空調装置、芳香剤入りケース及びフィルタユニット
KR20100086775A (ko) * 2009-01-23 2010-08-02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
KR20130058810A (ko) * 2011-11-28 2013-06-05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공급장치
KR101450634B1 (ko) 2011-12-14 2014-10-15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22569A (zh) * 2020-12-31 2021-04-09 湖北中恒汽车装备有限公司 一种纯电动房车高效双向蓄能空调系统
KR20220112038A (ko) 2021-02-03 2022-08-10 문지수 환경정보를 이용한 훈증 방식의 향기 발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4445B1 (ko) 202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1886A (en) Air treatment apparatus
CN107031350B (zh) 用于车辆的通风孔调风器
JP2007137282A (ja) 空調装置
JP6314441B2 (ja) 芳香装置
KR20190078976A (ko) 향기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조장치
JP5368844B2 (ja) 静電霧化装置を備えた空調装置
JP4948108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1253235A (ja) 空気清浄装置
JP2014240598A (ja) 収納装置
CN108697818B (zh) 机动车辆的乘客舱中的具有改善性能的香气扩散器装置
KR20100069918A (ko) Havc 모듈 내부의 공기 정화장치
KR101515884B1 (ko) 차량용 향기 발산장치
KR101228016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JPH11132488A (ja) 空気調和機
JP3031087U (ja) 車両空調装置用の付属構造
KR100353058B1 (ko) 자동차 공기조화용 에어필터 교체시기 알림장치
US20090250526A1 (en) Fragrance Device
JP5355323B2 (ja) 室内浄化装置
KR200296334Y1 (ko) 공기조화기용 살균탈취장치
KR101022695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부설 방향장치
JPS6285709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7045174A (ja) 車両用換気除菌システム
JP3029872U (ja) 車両空調装置用の付属構造
KR20130000136A (ko) 차량용 방향장치
KR101423216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