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6334Y1 - 공기조화기용 살균탈취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용 살균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6334Y1
KR200296334Y1 KR2020020024912U KR20020024912U KR200296334Y1 KR 200296334 Y1 KR200296334 Y1 KR 200296334Y1 KR 2020020024912 U KR2020020024912 U KR 2020020024912U KR 20020024912 U KR20020024912 U KR 20020024912U KR 200296334 Y1 KR200296334 Y1 KR 2002963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terilization
duct
air conditioner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49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원
Original Assignee
정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윤원 filed Critical 정윤원
Priority to KR20200200249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63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63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6334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용 살균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기조화기의 덕트에 설치되는 결합부재(10)(20)(30)(40)와; 결합부재(10)(20)(30)(40)에 결합되어 덕트를 통과하는 공기를 살균 및 탈취 처리하는 살균탈취재(13)(24)(35)(44)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용 살균탈취장치를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외부의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덕트를 통해 각 실내로 공급될시 공기가 덕트 내의 결합부재(10)(20)(30)(40)에 설치된 살균탈취재(13)(24)(35)(44)를 통과하면서 공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이 살균, 탈취되므로 실내에 깨끗이 정화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용 살균탈취장치 {sterilization and deodorizaton system for air conditioning system}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조화기용 살균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건물의 실내에 냉방 또는 난방을 공급하거나 습도조정, 방충제 첨가 등, 실내에서 필요한 조건에 대응하여 공기를 조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에는 적절히 조절된 공기를 각 실내로 배분하도록 공기덕트가 설치되어 있고, 이 공기덕트 내에는 필터가 설치되어 있어, 이를 통과하는 공기가 필터에 의해 여과되므로 실내에는 깨끗이 여과된 공기가 공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공기조화기를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필터에 이물질이 많이 걸러지게 되어 공기의 여과기능이 저하될 뿐 아니라 필터에 각종 유해한 미생물이 번식하여 공기조화기의 덕트를 통과하는 공기를 오염시키게 되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공기조화기의 덕트를 통과하는 공기를 살균 및 탈취시킬도록 한 공기조화기용 살균탈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공기조화기용 살균탈취장치는, 공기조화기용 살균탈취장치에 있어서, 공기조화기의 덕트에 설치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되어 덕트를 통과하는 공기를 살균 및 탈취 처리하는 살균탈취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 공기조화기용 살균탈취장치의 한 특징은, 결합부재가, 필터 일측의 그릴 상에 고정설치되고, 상하부에 살균탈취재의 상하단이 안내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상부가이드 및 하부가이드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본 고안 공조화기용 살균탈취장치의 다른 특징은, 결합부재가, 덕트 내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공기구멍이 형성되며 내부가 개방되는 케이스와, 다수의 살균탈취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대응 내측면에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 공기조화기용 살균탈취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결합부재가, 다수의 공기구멍이 형성되고 내부에 살균탈취재가 수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일측에 구비되어 이를 개폐하고 다수의 공기구멍이 형성되는 커버로 이루어져, 덕트 내에 다수 배열구비된다.
본 고안 공기조화기용 살균탈취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결합부재가, 덕트 내에 결합설치되고, 막대형상의 살균탈취재가 삽입되도록 긴 형상의 중공형상을 가지며, 둘레에 다수의 공기구멍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단부에 결합되는 캡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외부의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덕트를 통해 각 실내로 공급될시 공기가 덕트 내에 설치된 살균탈취재를 통과하면서 공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이 살균, 탈취되므로 실내에 깨끗이 정화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 내지 도4는 본 고안 공기조화기용 살균탈취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이는 개략적 정면도, 그 A-A'선 단면도, 부분 확대도 및 배면도
도5 및 도6은 본 고안 공기조화기용 살균탈취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개략적 사시도 및 그 분리 사시도
도7 및 도8은 본 고안 공기조화기용 살균탈취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개략적 평면도 및 그 분리 사시도
도9 내지 도11은 본 고안 공기조화기용 살균탈취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정면도 및 그 부분 확대도, 평면도
도12는 도11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평면도
10,20,30,40 ; 결합부재 11 ; 상부가이드
12 ; 하부가이드 13,24,35,44 ; 살균탈취재
21,31,41 ; 케이스 22,32,34,42 ; 공기구멍
23 ; 가이드홈 25,36,45 ; 덕트
33 ; 커버 43 ; 캡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1 내지 도4에서, 본 고안 공기조화기용 살균탈취장치는, 결합부재(10)와, 이 결합부재(10)에 결합되어 덕트를 통과하는 공기를 살균 및 탈취 처리하는 살균탈취재(13)로 이루어진다.
결합부재(10)는, 그릴(1) 중앙에 수평으로 길게 설치되는바, 이는 긴 길이를 가지는 상부가이드(11)와 하부가이드(12)가 한쌍을 이루도록 구비되며, 상부가이드(11) 및 하부가이드(12) 양단은 그릴(1)의 대응 양측에 고정지지된다.
이러한 상부가이드(11) 및 하부가이드(12)로 이루어진 결합부재(10)에는 본 고안의 특징인 살균탈취재(13)가 결합되는바, 도4와 같이 결합부재(10)의 가운데 부분에 살균탈취재(13)를 삽입하여 결합부재(10) 양측으로 밀어 넣는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공기조화기용 살균탈취장치는, 냉기 또는 난기 또는 적정 습도를 가지는 공기가 덕트로 내부로 유입된 후 필터(2) 및 본 고안 살균탈취재를 통과할시 공기 내부에 포함된 각종 유해 물질, 및 세균이 살균처리될 뿐 아니라 공기에 포함된 악취가 제거되며, 이와 같이 깨끗이 정화된 공기가 덕트를 따라 이송되어 각 실내로 공급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 공기조화기용 살균탈취장치는, 덕트를 통해 각 실내로 분배되는 급기가 본 고안 살균탈취재(13)에 의해 확실하게 정화되므로 냉,난방용 급기에 의해 발생되는 호흡기 질환이나 각종 질병을 미연에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도5 내지 도6은 본 고안 공기조화기용 살균탈취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들로써, 이는, 도1 내지 도4의 살균탈취장치에 비해 결합부재(10) 및 이에 결합되는 살균탈취재(24)의 형상만 다를 뿐 그 기능 및 효과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즉, 도5 내지 도6의 결합부재(20)는 덕트(25) 내부에 설치된다. 이 결합부재(10)는 다수의 가이드홈(23)이 형성된 케이스(21)를 가지는데, 이 케이스(21)는, 둘레에 다수의 공기구멍(22)이 형성되며 내부가 개방되며, 다수의 살균탈취재(24)가 삽입되도록 케이스(21)의 대응 내측면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가이드홈(23)이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부재(20)의 가이드홈(23)에는 판형의 살균탈취재(24)그 여러장 삽입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공기조화기용 살균탈취장치는 급기가 덕트(25)를 통과할시 케이스(21)의 다수의 구멍을 통해 결합부재(20) 내부로 유입되며, 이때 공기가 다수의 살균탈취재(24)를 통과하면서 살균,탈취되며, 이와 같이 정화된 공기는 덕트(25)의 출구를 통해 각 실내로 공급된다.
도7 및 도8의 공기조화기용 살균탈취장치는, 덕트(36) 내에 살균탈취재(35)가 내장된 다수의 결합부재(30)가 등간격으로 배열구비되는바, 여기서 결합부재(30)는, 다수의 공기구멍(32)이 형성되고 내부에 살균탈취재(35)가 수납되는 케이스(31)와, 케이스(31) 일측에 구비되어 이를 개폐하고 다수의 공기구멍(34)이 형성되는 커버(3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덕트(36)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시 케이스(31)의 공기구멍(32) 및 커버(33)의 공기구멍(34)을 통해 결합부재(30) 내부로 유입되며, 유입된 공기는 살균탈취재(35)를 통과하면서 정화처리된 후 배출된다.
도9 내지 도11은 본 고안 공기조화기용 살균탈취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들로써, 이 결합부재(40)는 케이스(41)와 캡(43)으로 이루어진다.
케이스(41)는 덕트(45) 내에 결합설치되고, 막대형상의 살균탈취재(44)가 삽입되도록 긴 형상의 중공형상을 가지며, 둘레에는 다수의 공기구멍(42)이 형성된다. 그리고 캡(43)은 케이스(41)의 개방단부에 결합된다.
또한 이러한 결합부재(40)의 케이스(41)에는 막대형상의 살균탈취재(44)가 삽입된다.
이러한 본 고안 살균탈취장치는 도9 내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길이의 덕트(45) 양측에 결합될 수도 있고, 도12와 같이 덕트(45)의 급기구 사이에 위치되도록 결합설치될 수도 있으며, 본 고안 살균탈취장치의 설치 위치는 상수한 바에 국한되지 않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범주 내에서 용이하게 변경실시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살균탈취장치에 의하면, 외부의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덕트를 통해 각 실내로 공급될시 공기가 덕트 내의 결합부재(10)(20)(30)(40)에 설치된 살균탈취재(13)(24)(35)(44)를 통과하면서 공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이 살균, 탈취되므로 실내에 깨끗이 정화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효과가 있다.

Claims (5)

  1. 공기조화기용 살균탈취장치에 있어서,
    공기조화기의 덕트에 설치되는 결합부재(10)(20)(30)(40)와;
    상기 결합부재(10)(20)(30)(40)에 결합되어 덕트를 통과하는 공기를 살균 및 탈취 처리하는 살균탈취재(13)(24)(35)(4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살균탈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10)가,
    필터(2) 일측의 그릴(1) 상에 고정설치되고, 상하부에 살균탈취재(13)의 상하단이 안내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상부가이드(11) 및 하부가이드(1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살균탈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20)가,
    덕트(25) 내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공기구멍(22)이 형성되며 내부가 개방되는 케이스(21)와, 다수의 살균탈취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케이스(21)의 대응 내측면에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가이드홈(2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살균탈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30)가,
    다수의 공기구멍(32)이 형성되고 내부에 살균탈취재(35)가 수납되는 케이스(31)와, 상기 케이스(31) 일측에 구비되어 이를 개폐하고 다수의 공기구멍(34)이 형성되는 커버(33)로 이루어져, 덕트(36) 내에 다수 배열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살균탈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40)가,
    덕트(45) 내에 결합설치되고, 막대형상의 살균탈취재(44)가 삽입되도록 긴 형상의 중공형상을 가지며, 둘레에 다수의 공기구멍(42)이 형성되는 케이스(41)와, 상기 케이스(41)의 개방단부에 결합되는 캡(4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살균탈취장치.
KR2020020024912U 2002-08-21 2002-08-21 공기조화기용 살균탈취장치 KR2002963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912U KR200296334Y1 (ko) 2002-08-21 2002-08-21 공기조화기용 살균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912U KR200296334Y1 (ko) 2002-08-21 2002-08-21 공기조화기용 살균탈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6334Y1 true KR200296334Y1 (ko) 2002-11-23

Family

ID=73127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4912U KR200296334Y1 (ko) 2002-08-21 2002-08-21 공기조화기용 살균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63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8721A (ko) 2022-08-25 2024-03-05 (주) 에스엠제이티 탈취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8721A (ko) 2022-08-25 2024-03-05 (주) 에스엠제이티 탈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23599B2 (ja) 空気環境調整機能付収納体
JP2000201752A (ja) 殺菌乾燥ボックス
JPH02156904A (ja) シューズボックス
KR200296334Y1 (ko) 공기조화기용 살균탈취장치
KR20090024890A (ko) 살균 및 탈취 기능을 갖는 공기정화장치
KR200461280Y1 (ko) 의류살균건조기
JPH01114633A (ja) 脱臭および殺菌装置付エア・コンディショナー
KR20190078976A (ko) 향기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조장치
KR20060066147A (ko) 장신발 수납기능을 갖는 다단식 신발살균탈취기
EP1050312B1 (en) Device and method for sanitizing air
KR200419106Y1 (ko) 의류관리기
JPH08312977A (ja) 空気調和装置
KR20000021172A (ko) 살균·탈취 필터조립체가 내장된 자동차용 송풍장치
KR100929508B1 (ko) 살균 탈취 기능을 갖는 환경친화형 화장실 칸막이 시스템
KR200333835Y1 (ko) 애완동물용 집
JPH11132488A (ja) 空気調和機
KR20220053126A (ko) 내외부 공기의 청정기능을 구비한 수납장
KR101324664B1 (ko) 에어컨 장착용 탈취 장치
KR200400759Y1 (ko) 살균 탈취기능을 갖는 위생 신발장
KR200164653Y1 (ko) 무균 항온 항습공조기
JP2005140457A (ja) 空気調和機及びその運転方法
JPH0370974B2 (ko)
KR102522370B1 (ko) 차압 공기 살균기
KR200254131Y1 (ko) 항균 공조기
WO2002035131A3 (en) Scent-dispersing fabric air 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