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664B1 - 에어컨 장착용 탈취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컨 장착용 탈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664B1
KR101324664B1 KR1020130077852A KR20130077852A KR101324664B1 KR 101324664 B1 KR101324664 B1 KR 101324664B1 KR 1020130077852 A KR1020130077852 A KR 1020130077852A KR 20130077852 A KR20130077852 A KR 20130077852A KR 101324664 B1 KR101324664 B1 KR 101324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deodorizing
evaporator
ai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7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택
Original Assignee
이유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유택 filed Critical 이유택
Priority to KR1020130077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6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6Connections to a HVAC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 장착용 탈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탠드형 에어컨과, 벽걸이형 에어컨, 및 천장형 에어컨을 포함하는 통상의 에어컨에 구비되는 에어컨 필터와 이베퍼레이터(evaporator) 사이에 정체되는 공기의 정화를 위해 설치되는 에어컨 장착용 탈취 장치로서, 상기 에어컨 필터와 이베퍼레이터 사이에서 정체되는 공기에 대한 탈취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탈취 부재; 상기 탈취 부재를 내부에 수용하여 밀봉하는 편지봉투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탈취 부재를 수용하여 밀봉한 전면과 배면에 복수의 공기 출입 홀이 형성되는 탈취 부재 케이스; 및 상기 탈취 부재 케이스의 길이 방향 양쪽 일면에 부착 형성되어, 상기 이베퍼레이터와 근접된 에어컨 필터의 내측 일단에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도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에어컨 장착용 탈취 장치에 따르면, 스탠드형 에어컨과, 벽결이형 에어컨, 및 천장형 에어컨을 포함하는 통상의 에어컨에 구비되는 에어컨 필터와 이베퍼레이터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 양면테이프의 접착 부재를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는 탈취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에어컨 필터와 이베퍼레이터 사이에 정체된 공기를 탈취 정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탈취 부재와 탈취 부재 케이스 및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탈취 장치를 구성하되, 전체가 플렉시블하고 얇은 두께로 구성되며 접착 부재를 양면테이프로 구성함으로써, 통상의 에어컨에 협소한 공간으로 배치되는 에어컨 필터와 이베퍼레이터 사이에 사용자가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도 쉽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에어컨의 건조를 위한 작동 등 불필요한 가동을 최소화하는 등의 절전과 함께 사용자의 에어컨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탈취 부재 케이스에 형성되는 복수의 공기 출입 홀을 특정의 기호, 문양, 글씨체, 및 상표명으로 형성함으로써, 탈취 장치의 미관이 미려해짐은 물론, 광고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컨 장착용 탈취 장치{A DEODORIZER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에어컨 장착용 탈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탠드형 에어컨과, 벽결이형 에어컨, 및 천장형 에어컨을 포함하는 통상의 에어컨에 구비되는 에어컨 필터와 이베퍼레이터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 양면테이프의 접착 부재를 이용하여 부착함으로써, 에어컨 필터와 이베퍼레이터 사이에 정체된 공기를 탈취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컨 장착용 탈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사무실 또는 가정 등과 같은 실내의 한 공간에 설치되어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하는 기기로서,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팽창밸브, 실내 열교환기로 이루어진 일련의 냉동사이클을 구성한다. 이러한 에어컨은 실내의 온도, 습도, 기류 분포 등을 조절하는 동시에 공기 속의 먼지 등을 제거하여 활동하기에 알맞은 환경을 유지시키는 장치로써, 보통 프레온가스와 같이 저온에서도 쉽게 증발하는 냉매가 증발할 때 주위에서 열을 빼앗아 공기의 온도는 내려가고, 공기 속의 수분은 제거되어 차가운 공기를 강제적으로 송풍하는 방법으로 작동된다.
즉, 이러한 종래의 에어컨은 냉동사이클을 따라 차가운 바람을 발생하는 실내기와, 뜨거운 바람을 발생하는 실외기로 구분되고,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에어컨 필터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에어컨 필터는 실내 먼지 제거와 함께 수분에 의한 곰팡이 등이 번식되지 못하도록 주기적인 관리가 요구되고 있으나, 일반 사용자들이 쉽게 분리하여 청소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적정한 시기에 에어컨 필터가 교체되지 못하면 유해물질 및 오염물질이 에어컨 필터의 표면에 잔존하게 되어 필터의 필터링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공기정화 효율이 저하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탠드형 에어컨의 분해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일반적인 벽걸이형 에어컨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에어컨(10)의 실내기는 실내 공기를 흡입 냉각하여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에어컨(10)의 실내기는 에어컨 커버(13)의 내측으로 에어컨 필터(11)와 이베퍼레이터(12)와 에어컨 팬(14)을 순차로 구성하며, 에어컨 필터(11)와 이베퍼레이터(12) 사이의 공간은 협소하게 구성되어 있다. 많은 사용자는 에어컨 필터(11)를 분리하고 에어컨 필터(11)에 의해 걸러진 먼지만을 세척하는 방식으로 에어컨 청소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에어컨(10)의 사용 이후 오프된 상태에서 에어컨 필터(11)와 이베퍼레이터(12)의 사이에 정체된 공기는 악취와 세균, 및 곰팡이가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즉, 에어컨의 냉각과정에서 온도가 낮은 이베퍼레이터(12)의 냉각핀에서 실내와의 온도 차이에 의해 물기가 발생되고, 이 물기가 정체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 먼지와 엉켜 실내에 악취와 세균, 곰팡이를 발생시켜 에어컨의 재가동 시에 퀴퀴한 냄새를 동반하게 된다. 현재 스탠드형 에어컨과, 벽걸이형 에어컨 및 천장형 에어컨과 같은 통상의 에어컨(10)의 실내기는 구조적인 특성으로 인해 에어컨 필터(11)와 이베퍼레이터(12) 사이에 정체되는 공기의 탈취 정화는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실정이며, 대안으로는 에어컨(10)의 가동 이후 송풍으로 30분에서 1시간 정도 가동하여 내부의 물기와 습기를 제거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을 뿐이어서, 에어컨의 작동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와 함께 사용자의 관리가 요구되는 등 사용상의 불편함을 야기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에어컨 청소업자는 스프레이 방식의 탈취제를 에어컨 필터(10)에 뿌려주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1~2 주마다 주기적인 관리가 요구되는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으며, 현재 출시되고 있는 탈취제의 경우에는 별도의 부착수단을 구비하지 않은 관계로 에어컨 커버(13)와 에어컨 필터(11) 사이에 단순히 끼워 놓거나 별도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이 대부분으로 에어컨 필터(11)와 이베퍼레이터(12)의 협소한 공간에는 사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에어컨 필터(11)와 이베퍼레이터(12)의 사이에 단순히 끼워 놓게 되는 경우에는 후단의 에어컨 팬(14)으로 탈취제가 빨려들어가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에어컨(10) 실내기의 에어컨 팬(14)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 출원인은 자동차의 에어컨 필터 장착용 탈취 장치에 대해 출원하여 등록(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2239호)을 받은 바 있으며, 이러한 본 출원인이 기 등록받은 특허 발명은 앞서 설명 드린 바와 같이, 스탠드형 에어컨과, 벽걸이형 에어컨 및 천장형 에어컨과 같은 통상의 에어컨(10) 실내기의 구조적인 특성으로 인해 바로 설치 적용하기가 어려운 바, 에어컨(10) 실내기의 에어컨 필터(11)와 이베퍼레이터(12)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서도 사용자가 쉽게 부착하여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갖는 탈취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스탠드형 에어컨과, 벽결이형 에어컨, 및 천장형 에어컨을 포함하는 통상의 에어컨에 구비되는 에어컨 필터와 이베퍼레이터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 양면테이프의 접착 부재를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는 탈취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에어컨 필터와 이베퍼레이터 사이에 정체된 공기를 탈취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컨 장착용 탈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탈취 부재와 탈취 부재 케이스 및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탈취 장치를 구성하되, 전체가 플렉시블하고 얇은 두께로 구성되며 접착 부재를 양면테이프로 구성함으로써, 통상의 에어컨에 협소한 공간으로 배치되는 에어컨 필터와 이베퍼레이터 사이에 사용자가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도 쉽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에어컨의 건조를 위한 작동 등 불필요한 가동을 최소화하는 등의 절전과 함께 사용자의 에어컨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에어컨 장착용 탈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탈취 부재 케이스에 형성되는 복수의 공기 출입 홀을 특정의 기호, 문양, 글씨체, 및 상표명으로 형성함으로써, 탈취 장치의 미관이 미려해짐은 물론, 광고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컨 장착용 탈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에어컨 장착용 탈취 장치는,
스탠드형 에어컨과, 벽걸이형 에어컨, 및 천장형 에어컨을 포함하는 통상의 에어컨에 구비되는 에어컨 필터와 이베퍼레이터(evaporator) 사이에 정체되는 공기의 정화를 위해 설치되는 에어컨 장착용 탈취 장치로서,
상기 에어컨 필터와 이베퍼레이터 사이에서 정체되는 공기에 대한 탈취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탈취 부재;
상기 탈취 부재를 내부에 수용하여 밀봉하는 편지봉투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탈취 부재를 수용하여 밀봉한 전면과 배면에 복수의 공기 출입 홀이 형성되는 탈취 부재 케이스; 및
상기 탈취 부재 케이스의 길이 방향 양쪽 일면에 부착 형성되어, 상기 이베퍼레이터와 근접된 에어컨 필터의 내측 일단에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도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취 부재는,
평평한(flat) 사각 형상으로 플렉시블(flexible)한 소재의 종이류 또는 면직류 중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에어컨 필터와 이베퍼레이터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 정체된 공기에 포함된 악취 성분을 흡착 또는 중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취 부재는,
상기 에어컨 필터와 이베퍼레이터 사이에 정체된 공기의 탈취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교체시기를 냄새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제 기능을 더 포함하여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취 부재 케이스는,
상기 에어컨 필터와 상기 이베퍼레이터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컨 필터의 내측 일단에 상기 접착 부재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플렉시블(flexible)한 폴리계 비닐 수지로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취 부재 케이스는,
상기 탈취 부재를 수용하여 밀봉한 상태의 두께가 2㎜를 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착 부재는,
이면 커버를 형성하는 양면테이프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에어컨 장착용 탈취 장치에 따르면, 스탠드형 에어컨과, 벽결이형 에어컨, 및 천장형 에어컨을 포함하는 통상의 에어컨에 구비되는 에어컨 필터와 이베퍼레이터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 양면테이프의 접착 부재를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는 탈취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에어컨 필터와 이베퍼레이터 사이에 정체된 공기를 탈취 정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탈취 부재와 탈취 부재 케이스 및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탈취 장치를 구성하되, 전체가 플렉시블하고 얇은 두께로 구성되며 접착 부재를 양면테이프로 구성함으로써, 통상의 에어컨에 협소한 공간으로 배치되는 에어컨 필터와 이베퍼레이터 사이에 사용자가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도 쉽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에어컨의 건조를 위한 작동 등 불필요한 가동을 최소화하는 등의 절전과 함께 사용자의 에어컨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탈취 부재 케이스에 형성되는 복수의 공기 출입 홀을 특정의 기호, 문양, 글씨체, 및 상표명으로 형성함으로써, 탈취 장치의 미관이 미려해짐은 물론, 광고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탠드형 에어컨의 분해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벽걸이형 에어컨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장착용 탈취 장치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장착용 탈취 장치의 일부 절결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장착용 탈취 장치가 에어컨 필터의 내측 일단에 부착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장착용 탈취 장치가 벽걸이형 에어컨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장착용 탈취 장치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장착용 탈취 장치의 일부 절결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장착용 탈취 장치(100)는, 탈취 부재(110), 탈취 부재 케이스(120), 및 접착 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탈취 부재(110)는, 후술하게 될 탈취 부재 케이스(120)의 내부에 수용되어 밀봉되며, 탈취 부재 케이스(120)가 부착되는 위치 즉, 에어컨 필터(11)와 이베퍼레이터(12) 사이에서 정체되는 공기에 대한 탈취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탈취 부재(110)는 평평한(flat) 사각 형상으로 플렉시블(flexible)한 소재의 종이류 또는 면직류 중 하나로 구성되고, 에어컨 필터(11)와 이베퍼레이터(12)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 정체된 공기에 포함된 악취 성분을 흡착 또는 중화할 수 있다. 이때, 탈취 부재(110)가 흡착형의 경우 활성탄, 숯, 제올라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중화형의 경우에는 화학적 안정화 성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탈취 부재(110)는 에어컨 필터(11)와 이베퍼레이터(12) 사이에 정체된 공기의 탈취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교체시기를 냄새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제 기능을 더 포함하여 추가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탈취 부재(110)는 아로마나 피톤치드와 같은 방향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탈취 부재 케이스(120)는, 탈취 부재(110)를 내부에 수용하여 밀봉하는 편지봉투 형태로 구성되며, 탈취 부재(110)를 수용하여 밀봉한 전면(121)과 배면(122)에 복수의 공기 출입 홀(123)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탈취 부재 케이스(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 필터(11)와 이베퍼레이터(12)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 배치되고, 에어컨 필터(11)의 내측 일단에 접착 부재(130)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플렉시블(flexible)한 폴리계 비닐 수지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탈취 부재 케이스(120)는 탈취 부재(110)를 수용하여 밀봉한 상태의 두께가 2㎜를 넘지 않도록 구성한다. 즉, 탈취 부재(110)를 수용하여 밀봉한 상태의 탈취 부재 케이스(120)의 두께는 1㎜ 내외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탈취 부재 케이스(120)는 스탠드형 에어컨과, 벽걸이형 에어컨, 및 천장형 에어컨을 포함하는 통상의 에어컨(10)에 구비되는 에어컨 필터(11)와 이베퍼레이터(12)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탈취 부재 케이스(120)는 전면(121)과 배면(122)에 형성되는 복수의 공기 출입 홀(123)을 전체에 균등하게 배치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을 두지는 않으며, 전면(121)과 배면(122)의 일부에 집중적으로 배치하거나, 또는 복수의 공기 출입 홀(123)들의 전체 배열을 통해 특정의 기호, 문양, 글씨체, 및 상표명 중 하나로 형성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복수의 공기 출입 홀(123)은 단순히 외부의 공기를 통과시키는 기능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의 기호, 문양, 글씨체, 및 상표명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함으로써, 탈취 장치(100)의 미관을 수려하게 디자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접착 부재(130)는, 탈취 부재 케이스(120)의 길이 방향 양쪽 일면에 부착 형성되어, 이베퍼레이터(12)와 근접된 에어컨 필터(11)의 내측 일단에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도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접착 부재(130)는 이면 커버(131)를 형성하는 양면테이프(132)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는 탈취 장치(100)의 교체 시에 접착 부재(130)의 이면 커버(131)를 제거한 후 양면테이프(132)의 접착 면을 에어컨 필터(11)의 내측 일단에 쉽게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장착용 탈취 장치가 에어컨 필터의 내측 일단에 부착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스탠드형 에어컨과, 벽걸이형 에어컨, 및 천장형 에어컨을 포함하는 통상의 에어컨(10)에 구비되는 에어컨 필터(11)의 내측 일단에 접착 부재(130)의 이면 커버(131)를 제거한 후 양면테이프(132)의 접착 면을 견고하게 부착한 탈취 장치(100)를 나타낸다. 도 5의 (b)는 에어컨 필터(11)의 내측 일단에 견고하게 부착한 탈취 장치(100)를 에어컨 필터(11)의 다른 일면, 즉 바깥쪽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탈취 장치(100)는 전체적인 형상이 직사각 형상으로 플렉시블하며, 두께가 얇아 에어컨 필터(11)와 이베퍼레이터(12)의 협소한 공간에 사용자가 편리하고 쉽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장착용 탈취 장치가 벽걸이형 에어컨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탈취 장치(100)가 벽걸이형 에어컨(10)의 에어컨 필터(11)와 이베퍼레이터(12)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며, 실내 공기는 에어컨(10)의 에어컨 커버(12)를 통해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에어컨 필터(11)를 통해 먼지가 1차적으로 걸러지며, 에어컨 필터(11)를 통과한 공기는 이베퍼레이터(12)에 의해 냉각되어 하부의 송풍구를 통해 실내로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탈취 장치(100)는 에어컨 필터(11)의 내측 일단에 부착됨으로써, 에어컨 필터(11)와 이베퍼레이터(12) 사이에 정체된 공기에 대한 탈취 정화와 함께 공기에 포함된 악취 성분을 흡착 또는 중화할 수 있으며, 방향제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에어컨(실내기) 11: 에어컨 필터
12: 이베퍼레이터 13: 에어컨 커버
14: 에어컨 팬 100: 탈취 장치
110: 탈취 부재 120: 탈취 부재 케이스
121: 전면 122: 후면
123: 공기 출입 홀 130: 접착 부재
131: 이면 커버 132: 양면테이프

Claims (6)

  1. 스탠드형 에어컨과, 벽걸이형 에어컨, 및 천장형 에어컨을 포함하는 통상의 에어컨(10)에 구비되는 에어컨 필터(11)와 이베퍼레이터(12)(evaporator) 사이에 정체되는 공기의 정화를 위해 설치되는 에어컨 장착용 탈취 장치(100)로서,
    상기 에어컨 필터(11)와 이베퍼레이터(12) 사이에서 정체되는 공기에 대한 탈취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탈취 부재(110);
    상기 탈취 부재(110)를 내부에 수용하여 밀봉하는 편지봉투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탈취 부재(110)를 수용하여 밀봉한 전면(121)과 배면(122)에 복수의 공기 출입 홀(123)이 형성되는 탈취 부재 케이스(120); 및
    상기 탈취 부재 케이스(120)의 길이 방향 양쪽 일면에 부착 형성되어, 상기 이베퍼레이터(12)와 근접된 에어컨 필터(11)의 내측 일단에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도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접착 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장착용 탈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 부재(110)는,
    평평한(flat) 사각 형상으로 플렉시블(flexible)한 소재의 종이류 또는 면직류 중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에어컨 필터(11)와 이베퍼레이터(12)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 정체된 공기에 포함된 악취 성분을 흡착 또는 중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장착용 탈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 부재(110)는,
    상기 에어컨 필터(11)와 이베퍼레이터(12) 사이에 정체된 공기의 탈취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교체시기를 냄새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제 기능을 더 포함하여 추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장착용 탈취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 부재 케이스(120)는,
    상기 에어컨 필터(11)와 상기 이베퍼레이터(12)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컨 필터(11)의 내측 일단에 상기 접착 부재(130)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플렉시블(flexible)한 폴리계 비닐 수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장착용 탈취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 부재 케이스(120)는,
    상기 탈취 부재(110)를 수용하여 밀봉한 상태의 두께가 2㎜를 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장착용 탈취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130)는,
    이면 커버(131)를 형성하는 양면테이프(132)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장착용 탈취 장치.
KR1020130077852A 2013-07-03 2013-07-03 에어컨 장착용 탈취 장치 KR101324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852A KR101324664B1 (ko) 2013-07-03 2013-07-03 에어컨 장착용 탈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852A KR101324664B1 (ko) 2013-07-03 2013-07-03 에어컨 장착용 탈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4664B1 true KR101324664B1 (ko) 2013-11-04

Family

ID=49856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7852A KR101324664B1 (ko) 2013-07-03 2013-07-03 에어컨 장착용 탈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6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612B1 (ko) * 2016-01-25 2017-04-14 주식회사 명풍시스템 에어컨 및 공기청정기용 항균성 침지봉식 기능성 명풍향 공급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8422A (ja) 2002-06-06 2004-01-15 Silver Kk 脱臭フィルタ
JP3103464U (ja) * 2004-02-18 2004-08-12 広三 小島 消臭フィルター
KR20100055202A (ko) * 2008-11-17 2010-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화유닛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1172239B1 (ko) 2011-06-13 2012-08-07 이유택 자동차의 에어컨 필터 장착용 탈취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8422A (ja) 2002-06-06 2004-01-15 Silver Kk 脱臭フィルタ
JP3103464U (ja) * 2004-02-18 2004-08-12 広三 小島 消臭フィルター
KR20100055202A (ko) * 2008-11-17 2010-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화유닛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1172239B1 (ko) 2011-06-13 2012-08-07 이유택 자동차의 에어컨 필터 장착용 탈취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612B1 (ko) * 2016-01-25 2017-04-14 주식회사 명풍시스템 에어컨 및 공기청정기용 항균성 침지봉식 기능성 명풍향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6852B1 (ko) 공기 개질 기기 및 이것에 사용되는 이온 발생 장치
KR100502121B1 (ko) 살균 방법, 이온 발생 소자, 이온 발생 장치 및 공기 조절장치
JP4366406B2 (ja) 空気調和機
KR101685170B1 (ko) 공기살균기
JP4123211B2 (ja) 空気調和機
US20120234175A1 (en) Good smelling scented air filter
KR101324664B1 (ko) 에어컨 장착용 탈취 장치
KR20090035990A (ko) 천장형 공기청정기
JP2012037170A (ja) 加湿機能付脱臭装置
CN210220060U (zh) 一种自动杀菌装置外置式环保空调
KR100491767B1 (ko) 공기조화기
KR200379898Y1 (ko) 클린룸
RU2241492C2 (ru) Способ стерилизации, ионообразующий прибор, ионообраз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устройство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ха
JP4674616B2 (ja) 空気調和機
KR20030024146A (ko) 공기조화기의 흡입 장치
JP3780477B2 (ja) 冷蔵庫
JP3855413B2 (ja) 空気調和機
KR200384497Y1 (ko) 습기 및 악취 제거장치
JP4339104B2 (ja) 空気調和機
JP2005049048A (ja) 空気調和機
KR200247008Y1 (ko) 활성탄 휠타를 이용한 냄새제거 장치
JP4766076B2 (ja) 空気調和機
KR200373763Y1 (ko) 침대 매트리스의 자동 크리닝 장치
KR200413468Y1 (ko) 신발장용 살균 탈취기
KR20000020815U (ko) 공기조화기의 필터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