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5202A - 정화유닛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정화유닛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5202A
KR20100055202A KR1020080114168A KR20080114168A KR20100055202A KR 20100055202 A KR20100055202 A KR 20100055202A KR 1020080114168 A KR1020080114168 A KR 1020080114168A KR 20080114168 A KR20080114168 A KR 20080114168A KR 20100055202 A KR20100055202 A KR 20100055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member
coupled
purification unit
unit assembly
pur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4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1750B1 (ko
Inventor
김한국
김기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4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1750B1/ko
Priority to CN 200910008441 priority patent/CN101737936B/zh
Publication of KR20100055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5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정화유닛 어셈블리는 공기의 유동방향에 따라 나란히 배치되는 정화유닛, 상기 복수개의 정화유닛 각각에 결합되고, 어느 하나의 정화유닛를 다른 하나의 정화유닛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정화유닛 각각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 착탈부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정화유닛의 착탈이 용이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정화유닛 어셈블리를 구비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 정화유닛, 연결부재, 연결부재 착탈부, 연결부재 결합부

Description

정화유닛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Purification unit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결부재 착탈부가 각각 구비된 복수개의 정화유닛과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정화유닛을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정화유닛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화유닛은 액체나 기체 속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장치이다. 그리고 공기조화기, 공기청정기, 제습기 등의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질을 걸러내어서 사용자에게 정화된 공기를 제공한다.
즉 상기 공기조화기, 공기청정기, 제습기 등은 일정한 공간의 공기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변화 대상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고, 변화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토출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흡입부와 공기토출부 사이의 공간에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정화유닛이 설치된다.
나아가 최근의 심각해진 대기오염상황에 비추어 깨끗한 공기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는 더욱 많아졌다. 특히 최근의 새집 증후군, 황사, 애완동물의 털 등으 로부터 깨끗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능을 가진 정화유닛이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프리 필터, 전처리 필터, 탈취 필터, 헤파 필터, 향균 가습 필터, 무기물 제거 필터 등의 다양한 정화유닛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종류의 필터를 전부 사용하면 제품의 단가 상승 및 제품의 크기가 너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수요가 많은 복수개의 정화유닛를 제품에 장착을 하여 판매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기존의 정화유닛의 경우 제품에 복수개의 정화유닛이 일체화되어 판매가 되는 바, 사용자가 특수한 환경에서 필요한 정화유닛을 사용할 수가 없었다. 나아가 특수한 정화유닛을 장착을 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공기조화기 설치 기술자가 정화유닛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특유한 정화유닛을 설치해야 하는 등의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정화유닛간을 정화유닛에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정화유닛에 설치되는 연결부재 착탈부로 결합을 할 수 있는 정화유닛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개의 정화유닛간 연결부재 및 연결부재 착탈부를 공통화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정화유닛을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는 정화유닛 어 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화유닛 어셈블리는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전후 배치되는 복수개의 정화유닛, 상기 복수개의 정화유닛 각각에 결합되고, 어느 하나의 정화유닛를 다른 하나의 정화유닛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정화유닛 각각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착탈되는 연결부재 착탈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부재 착탈부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부재 착탈부 중 어느 하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마그네트와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자성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 착탈부에 걸리면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 착탈부는 상기 연결부재 결합시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 착탈부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결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 착탈부를 덮는 커버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는 연결부재 착탈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 결합시, 상기 연결부재 삽입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의 내측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분리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연결부재 착탈부를 덮을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 착탈부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상기 복수개의 연결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재 착탈부 중 일부 연결부재와 연결부재 착탈부에는 각각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와 자력에 의해서 결합되는 마그네트를 포함 하고,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재 중 자성체가 구비되지 않는 연결부재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 착탈부에 걸리면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정화유닛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연결부재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부재 결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 결합부는 상기 연결부재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부재 결합부에 슬라이딩 착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홈에 삽입된 경우 상기 연결부재의 임의 탈거를 방지하는 탈거방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그리고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된 송풍기 및 상기 송풍기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전후 배치되는 복수개의 정화유닛, 상기 복수개의 정화유닛 각각에 결합되고 어느 하나의 정화유닛를 다른 하나의 정화유닛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정화유닛 각각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착탈되는 연결부재 착탈부가 구비되는 정화유닛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각 정화유닛에 설치되는 연결부재 및 각 정화유닛에 형성되는 연결부재 착탈부에 의해서 각 정화유닛간을 착탈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에서 정화유닛을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둘째, 복수개의 정화유닛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연결부재 착탈부를 각 정화유닛에 공통적으로 설치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정화유닛을 결합한 정화유닛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필요한 개수의 정화유닛만으로 구성된 정화유닛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다.
셋째, 별도의 정화유닛 고정장치를 공기조화기 내부에 구비하지 않고 정화유닛간을 결합하여 복수개의 정화유닛을 공기조화기 내부에 고정한다. 따라서 공기조화기 내의 부품을 줄일 수 있고, 공기조화기 내부의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화유닛 어셈블리는 복수개의 정화유닛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정화유닛 어셈블리는 공기청정기, 제습기, 가습기 등에도 사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조화기에 사용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을 개방하였을 때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정화유닛 어셈블리가 설치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실내기는 사용자가 냉방 또는 난방을 원하는 장소에 위치한다. 그리고 공기 흡입부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한 후, 흡입공기를 열교환기(30)를 통하여 열교환시키고 공기 토출부를 통하여 실내로 다시 송풍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실내기는 전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전면에 전면패널(9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전면 패널(90)은 실내기의 전면 전체를 여닫도록 좌, 우 중 일측에 회동되게 연결된다. 전면패널(90)이 개방되면 후술하는 정화유닛 어셈블리(400)가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각각의 정화유 닛(100,200,300)을 실내기의 외부로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각 정화유닛(100,200,300)을 교체하거나, 순서를 바꾸어서 결합을 하거나, 청소를 할 수 있다.
캐비닛(20)은 실내기의 후방부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팬모터(47)가 결합되고, 팬하우징(43)과 함께 실내기 송풍기(40)의 공기토출부를 형성한다.
한편, 실내기는 송풍기(40), 열교환기(30)를 포함한다.
송풍기(40)는 팬모터(47), 팬모터(47)에 연결된 송풍팬(45), 송풍팬(45)과 팬모터(47)를 둘러싸고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팬 하우징(43), 팬 하우징(43)의 개구부에 배치된 오리피스(41)를 포함한다. 그리고 송풍기(40)는 공기흡입부를 통하여 실내공기를 유입하고, 열교환기(30)측으로 송풍시킨다. 한편, 후술하는 정화유닛 어셈블리(400)는 팬하우징(43) 또는 오리피스(4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오리피스(4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오리피스(41)에는 후술하는 최후방 정화유닛(30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오리피스(41)에는 최후방 정화유닛(300)에 결합되는 연결부재(360,380)가 결합되는 연결부재 착탈부(41a,41b,41c)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복수개의 정화유닛(100,200,300) 중 자신이 원하는 정화유닛을 오리피스(41)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정화유닛(100,200,300) 중 어느 하나가 오리피스(41)에 결합되지만, 복수개의 정화유닛(100,200,300) 중 어느 하나는 팬하 우징(43)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팬 하우징(43)에는 오리피스(41)에 형성된 연결부재 착탈부(41a,41b,41c)와 유사한 구성의 연결부재 착탈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열교환기(30)은 송풍기(40)에서 송풍된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켜서 공기를 냉방 또는 난방시킨다.
도3은 본 실시예의 정화유닛 어셈블리가 오리피스에 결합된 사시도이고, 도4는 본 실시예의 복수개의 정화유닛이 분리된 경우의 사시도이고, 도5는 본 실시예의 정화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6은 본 실시예에서 정화유닛의 프론트 커버의 배면사시도이고, 도7는 본 실시예의 리어 케이스의 배면사시도이다.
도3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정화유닛 어셈블리를 설명한다.
정화유닛 어셈블리(400)은 공기의 유동방향에 따라 나란히 배치되는 정화유닛(100)(200)(300), 상기 복수개의 정화유닛(100,200,300) 각각에 결합되고, 어느 하나의 정화유닛를 다른 하나의 정화유닛에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복수개의 정화유닛(100)(200)(300) 각각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 착탈부가 형성된다.
정화유닛 어셈블리(400)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개수와 다양한 순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정화유닛(100,200,300)으로 이루어지고, 편의상 공기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최전방 정화유닛(200), 최후방 정화유닛(300), 중앙 정화유닛(100)으로 칭하여 설명한다.
각 정화유닛(100,200,300)은 내부의 필터(150)의 종류가 다른 것을 제외하 고는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하, 중앙 정화유닛(100)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정화유닛(100)은 필터(150), 프론트 케이스(110) 및 리어 케이스(130)을 포함한다.
필터(150)는 프론트 케이스(110)와 리어 케이스(130)의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필터(150)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프리 필터, 전처리 필터, 탈취 필터, 헤파 필터, 향균 가습 필터, 무기물 제거 필터 등의 다양한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30)는 정화유닛(100)의 후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필터(150)를 통과한 공기가 후방의 정화유닛(300)으로 유입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프론트 케이스(110)과 다양한 체결수단에 의해서 결합된다.
리어 케이스(130)의 후면에는 후술하는 연결부재(160,170,180)가 결합되는 연결부재 결합부(132,134,136)가 형성된다. 연결부재(160,170,18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정화유닛(100,200,300)간을 연결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연결부재(160,170,180)에 의해서 정화유닛(100,200,300)간을 연결한다. 따라서 연결부재 결합부(132,134,136)도 3개가 리어 케이스(130)의 후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부재 결합부(132,134,136)는 리어 케이스(130)의 후면에 다양하게 위치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리어 케이스(130)의 상부와 좌, 우측 하부에 한 쌍이 형성된다. 이하 편의상 상부 연결부재 결합부(136)와 좌, 우측 하부 연결부재 결합부(132,134)로 설명한다.
그리고 연결부재 결합부(132,134,136)는 연결부재(160,170,180)와의 결합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연결부재 결합부(132,134,136)는 연결부재(160,170,180)가 슬라이딩 되면서 끼움결합 될 수 있는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홈은 리어케이스(130)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연결부재(160,170,18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개구 형성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결부재(160,170,180)가 연결부재 결합부(132,134,136)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안내하는 안내부(162,172, 182)가 형성된다. 또한 연결부재(160,170,180)가 연결부재 결합부(132,134, 136)로 완전히 삽입된 경우 연결부재(160,170,180)가 연결부재 결합부(132, 134,136)에서 임의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탈거방지돌기(164,174,184)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연결부재 결합부(136)는 상면이 개구된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 연결부재(160)가 상부에서 슬라이딩 삽입된다. 그리고 상부 연결부재(160)가 상부 연결부재 결합부(136)에 완전히 삽입이 되면 상부 연결부재(160)의 하부에 형성된 탈거방지돌기(164)는 상부 연결부재 결합부(136)의 하부면에 걸려서 상부 연결부재(160)의 임의 탈거를 방지한다.
그리고 좌, 우측 연결부재 결합부(132,134)는 좌, 우측면이 개구된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좌, 우측 연결부재(170,180)가 정화유닛(100)의 좌, 우측에서 슬라이딩 삽입된다. 그리고 좌, 우측 연결부재(170,180)가 완전히 삽입되면 좌, 우측 연결부재(170,180)에 형성된 탈거방지돌기(174,184)는 좌측 연결부재 결합부(134)의 우측면과 우측 연결부재 결합부(132)의 좌측면에 걸려서 좌, 우측 연결부재(170,180)의 탈거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130)의 전면 중 연결부재 결합부(132,134,136)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자성체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자성체는 중앙 정화유닛(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최전방 정화유닛(200)에 결합되는 연결부재가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경우 마그네트와 결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최전방 정화유닛(200)의 연결부재 모두에 마그네트가 설치되는 경우 3개가 설치될 수 있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연결부재와 상부 연결부재 착탈부만이 자력에 의해서 결합을 하는 바, 상부 연결부재 결합부(136)에 대향된 부분에만 자성체(137)가 설치된다.
연결부재는 각각의 정화유닛(100,200,300)간을 연결한다. 즉 최전방 정화유닛(200)의 리어 케이스에 형성된 연결부재 결합부에 결합된 연결부재는 중앙 정화유닛(100)의 연결부재 착탈부(112,114,116)에 결합되면서 최전방 정화유닛(200)과 중앙 정화유닛(100)을 연결한다. 그리고 중앙 정화유닛(100)의 연결부재 결합부(132,134,136)에 결합되는 연결부재(160,170,180)은 최후방 정화유닛(300)에 형성된 연결부재 착탈부(312,314,316)에 결합되면서 중앙 정화유닛(100)과 최후방 정화유닛(300)을 결합한다. 그리고 최후방 정화유닛(300)의 연결부재 결합부에 결합된 연결부재는 오리피스(41)에 형성된 연결부재 착탈부(41a, 41b, 41c)에 결합되면서 최후방 정화유닛(300)을 오리피스(41)에 결합한다. 한편,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정화유닛(100,200,300)에 형성된 연결부재 착탈부와 연결부재 결합부와 연결부재의 구성 및 위치는 중앙 정화유닛(100)에 형성된 연결부재 결합 부(132,134,136), 연결부재 착탈부(112,114,116) 및 연결부재(160,170,180)과 동일하다. 따라서 중앙 정화유닛(100)에 결합되는 연결부재(160,170,18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연결부재(160,170,180)는 중앙 정화유닛(100)의 리어 케이스(130)에 형성된 연결부재 결합부(132,134,136)에 결합된다. 따라서 연결부재(160,170,180)에는 홈 형상의 연결부재 결합부(132,134,136)에 연결부재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안내하는 안내부(162,172,182)가 돌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연결부재(160)에는 상면이 개구 형성된 상부 연결부재 결합부(136)의 홈 좌, 우측면을 따라 상부 연결부재(160)의 상, 하 착탈을 안내하도록 안내부(162)가 상부 연결부재(160)의 좌, 우측에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좌, 우측 연결부재(170,180)에는 좌, 우측면이 개구 형성된 좌, 우측 연결부재 결합부(132,134)의 홈 상, 하측면을 따라 좌, 우측 연결부재(170,180)의 좌, 우 착탈을 안내하도록 안내부(172,174)가 좌, 우측 연결부재(170,180)의 상, 하측에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부재(160,170,180)에는 연결부재(160,170,180)가 연결부재 결합부(132,134,136)에 완전히 결합된 경우 연결부재(160,170,180)의 임의 탈거를 방지하는 탈거방지돌기(164,174,184)가 돌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상부 연결부재(160)의 하부에는 상부 연결부재의 상방향의 탈거를 방지하는 탈거방지돌기(164)가 돌출 형성된다. 좌,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착탈되는 좌측 연결부재(170)의 우측과 우측 연결부재(180)의 좌측에는 탈거방지돌 기(174,184)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부재(160,170,180)가 최후방 정화유닛(300)의 연결부재 착탈부(312,314,316)과 자력에 의해서 결합하는 경우 연결부재(160,170,180)의 전방면에는 마그네트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160,170,180)가 최후방 정화유닛(300)의 연결부재 착탈부(312,314,316)와 걸림결합을 하는 경우에는 연결부재(160,170,180)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연결부재 결합부에 걸림결합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 연결부재(160)는 마그네트(166)가 설치되고, 최후방 정화유닛(300)의 상부 연결부재 결합부(316)에 설치된 자성체와 자력에 의해서 결합을 한다. 그리고 좌, 우측 하부 연결부재(170,180)는 최후방 정화유닛(300)의 좌, 우측 하부 연결부재 착탈부(312,314)와 걸림결합을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좌, 우측 하부의 연결부재(170,180)를 연결부재 착탈부(312,314)에 삽입시키면서 걸고, 상부 연결부재(160)를 상부 연결부재 착탈부(316)에 삽입시키면서 내부의 자성체에 결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연결부재(160)에는 마그네트(166)가 구비된다. 그리고 좌, 우측 하부 연결부재(170,180)에는 걸림돌기(170a, 180a)가 하향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재(160,170,180)가 연결부재 결합부(132,134,136)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연결부재(160,170,180)가 파손이 되거나 하는 경우 사용자가 연결부재(160,170,180)만을 간단히 교체를 하여 사용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연결부재(160,170,180)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지 않고, 리어 케이스(13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최후방 정화유닛(300)에 형성된 연결부재 착탈부(312,314,316)의 구성은 중앙 정화유닛(100)에 형성된 연결부재 착탈부(112,114,116)의 구성과 동일하고, 형성된 위치도 동일한 바,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프론트 케이스(110)는 정화유닛의 전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전면에 공기가 유입되어 필터(150)을 통과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프론트 케이스(110)은 다양한 체결수단에 의해서 리어 케이스(130)과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10)의 전면에는 최전방 정화유닛(200)에 결합된 연결부재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 착탈부(112,114,116)가 형성된다. 여기서 최전방 정화유닛(200)에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연결부재 결합부의 구성은 중앙 정화유닛(100)에 형성된 연결부재 결합부(132,134,136)와 연결부재(160,170,180)과 동일하다.
연결부재 착탈부(112,114,116)는 상기 설명한 연결부재 결합부(132,134,136)와 대향되는 위치에 3개가 형성된다. 즉 연결부재 착탈부(112,114,116)는 프론트 케이스(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연결부재 착탈부(112)와 프론트 케이스(110)의 좌, 우측 하단에 위치하는 좌, 우측 하부 연결부재 착탈부(114,116)를 포함한다.
그리고 각 연결부재 착탈부(112,114,116)는 연결부재(260,270,280)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정 화유닛(100,200,300)이 결합되는 경우 각 정화유닛(100,200,300)간의 간격을 줄여서 전방의 정화유닛을 통과한 공기가 정화유닛 사이의 간격으로 새어나기지 않고 후방의 정화유닛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연결부재 착탈부(112,114,116)는 프론트 케이스(110)에 개구 형성된다. 그리고 필터(150)는 프론트 케이스(110)과 리어 케이스(130) 중 개구 형성된 연결부재 착탈부(112,114,116)의 뒷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연결부재 착탈부(112,114,116)의 뒷부분에는 필터(150)의 두께만큼의 공간이 형성되고, 연결부재는 그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게 된다.
그리고 각 연결부재 착탈부(112,114,116)에는 연결부재가 결합되지 않는 경우, 연결부재 착탈부(112,114,116)를 덮는 커버(113,115,117)가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최전방 정화유닛(200)의 경우, 사용자가 전면패널(70)을 개방한 경우 연결부재 착탈부(212,214,216)는 커버(213,215,217)에 의해서 덮여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전면패널(90) 개방시 미감상 우수하고, 연결부재 착탈부(212,214,216)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본 실시예에서의 3개의 정화유닛(100,200,300)을 다 사용하지 않고, 일부의 정화유닛만을 사용하여 정화유닛 어셈블리(400)을 구성하는 경우, 사용하지 않는 정화유닛은 외부에 따로 보관을 하여야 한다. 이 경우에도 연결부재 착탈부(112,114,116)를 통하여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113,115,117)는 각 연결부재 착탈부(112, 114, 11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 결합시 연결부재에 의해서 연결부재 착탈 부(112,114,116)내부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나아가 커버(113,115,117)에는 탄성부재(119,120,121)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연결부재 착탈부(112,114,116)에서 분리되는 경우 탄성부재(119,120,121)의 탄성력에 의해서 커버(113,115,117)가 연결부재 착탈부(112,114,116)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결국 커버(113,115,117)는 연결부재(260,270,280)가 연결부재 착탈부(112,114,116)에 결합되는 경우 연결부재(260,270,280)에 의해서 밀리면서 연결부재 착탈부(112,114,116) 내측으로 회전되면서 들어간다. 그리고 연결부재(260,270,280)가 연결부재 착탈부(112,114,116)에서 분리되는 경우, 커버(113,115,117)는 탄성부재(119,120,121)의 탄성력에 의해서 연결부재 착탈부(112,114,116)를 자동적으로 덮게 된다.
한편,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정화유닛 어셈블리(400)가 오리피스(41)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오리피스(41)에는 후술하는 최후방 정화유닛(30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오리피스(41)에는 최후방 정화유닛(300)에 결합되는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연결부재 착탈부(41a,41b,41c)가 형성된다. 여기서 최후방 정화유닛의 연결부재와 연결부재 결합부는 상기 설명한 중앙 정화유닛(100)에 형성된 연결부재 결합부(132,134,136)와 연결부재 결합부(132,134,136)에 결합되는 연결부재(160,170,180)와 동일하다.
연결부재 착탈부(41a,41b,41c)는 연결부재(360,370,380)의 구성에 따라 전체적으로 자성체가 설치될 수도 있고, 걸림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착탈부(41a)에는 자성체가 설치되고, 좌, 우측 하부 착탈 부(41b,41c)는 연결부재(370,380)의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된다.
이하 본 실시예의 정화유닛(100,200,300)과 오리피스(41)의 착탈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정화유닛(100,200,300)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정화유닛(100,200,300)이 최전방 정화유닛(200), 중앙 정화유닛(100), 최후방 정화유닛(300)의 순서로 결합되지만, 결합되는 순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순서로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정화유닛에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추가 정화유닛을 결합하여 3개 이상의 정화유닛 어셈블리(40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정화유닛(100,200,300)간의 결합방법은 동일한 바, 이하 중앙 정화유닛(100)과 최후방 정화유닛(300)간의 결합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우선 중앙 정화유닛(100)의 연결부재 결합부(132, 134,136)에 연결부재(160,170,180)를 슬라이딩시켜 끼움결합한다. 그리고 하부 좌,우측 연결부재(170,180)를 최후방 정화유닛(300)의 하부 좌, 우측 연결부재 착탈부(312,314)측으로 삽입시킨다. 이 때 연결부재(170,180)는 커버(313,315)를 밀게 되고, 커버는 연결부재 착탈부(312,314)의 내부로 회동을 하면서 밀려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좌, 우측 연결부재(170,180)가 좌, 우측 연결부재 착탈부(312,314)의 내부로 어느 정도 삽입된 상태, 즉 좌, 우측 연결부재(170,180)에 형성된 돌기(170a, 180a)가 연결부재 착탈부(312,314)에 걸린 상태에서, 상부 연결부재(160)를 상부 연결부재 착탈부(316)의 내부로 삽입을 하면, 마그네트(166)와 자성체가 자력에 의해서 결합이 되게 된다.
중앙 정화유닛(100)을 최후방 정화유닛(300)에서 분리를 하는 경우에는 반대로 자력에 의해서 결합한, 상부 연결부재(160)의 마그네트(166)를 자성체에서 분리하면서 상부 연결부재(160)을 상부 연결부재 착탈부(316)에서 분리를 한다. 그리고 하부 좌, 우측에 걸림결합되어 있는 연결부재(170,180)을 연결부재 착탈부(312,314)에서 분리를 한다.
그리고 최후방 정화유닛(300)을 오리피스(41)에 결합하는 방법도 상기의 방법과 동일하다.
즉 전체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화유닛을 오리피스(41)에 결합을 하고, 오리피스(41)에 결합된 정화유닛에 원하는 정화유닛을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원하는 정화유닛 어셈블리(40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분리하는 경우에도, 전면패널(70)를 개방하고 가장 외부의 정화유닛부터 순차적으로 분리를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을 개방하였을 때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실시예의 정화유닛 어셈블리와 오리피스가 결합된 사시도;
도4는 본 실시예의 복수개의 정화유닛이 분리된 경우의 사시도;
도5는 본 실시예의 정화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6은 본 실시예에서 정화유닛의 프론트 커버의 배면사시도;
도7은 본 실시예에서 정화유닛의 리어 커버의 배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캐비닛 30: 열교환기
40: 송풍기 41: 오리피스
43: 팬 하우징 45: 송풍팬
47: 모터 100: 중앙 정화유닛
110: 프론트 케이스 112,114,116: 연결부재 착탈부
113,115,117: 커버 119,120,121: 탄성부재
130: 리어 케이스 132,134,136: 연결부재 결합부
137: 자성체 150: 필터
160,170,180: 연결부재 166: 마그네트
170a, 180a: 걸림돌기 200: 최전방 정화유닛
300: 최후방 정화유닛 400: 정화유닛 어셈블리.

Claims (13)

  1.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전후 배치되는 복수개의 정화유닛;
    상기 복수개의 정화유닛 각각에 결합되고, 어느 하나의 정화유닛를 다른 하나의 정화유닛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정화유닛 각각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착탈되는 연결부재 착탈부가 구비되는 정화유닛 어셈블리.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부재 착탈부 중 어느 하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마그네트와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정화유닛 어셈블리.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 착탈부에 걸리면서 결합되는 정화유닛 어셈블리.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착탈부는 상기 연결부재 결합시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함몰되어 형성되는 정화유닛 어셈블리.
  5.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착탈부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결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 착탈부를 덮는 커버가 설치되는 정화유닛 어셈블리.
  6.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연결부재 착탈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 결합시, 상기 연결부재 삽입방향으로 회전되는 정화유닛 어셈블리.
  7.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측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분리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연결부재 착탈부를 덮는 정화유닛 어셈블리.
  8.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 착탈부는 복수개가 구비되는 정화유닛 어셈블리.
  9. 청구항8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재 착탈부 중 일부 연결부재와 일부 연결부재 착탈부는 각각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와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재 중 마그네트 또는 자성체가 구비되지 않는 연결부재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 착탈부에 걸리면서 결합되는 정화유닛 어셈블리.
  10.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정화유닛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연결부재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부재 결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정화유닛 어셈블리.
  11. 청구항10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결합부는 상기 연결부재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부재 결합부에 슬라이딩 착탈되는 정화유닛 어셈블리.
  12. 청구항1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홈에 삽입된 경우 상기 연결부재의 임의 탈거를 방지하는 탈거방지돌기가 형성된 정화유닛 어셈블리.
  13.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된 송풍기; 및
    상기 송풍기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전후 배치되는 복수개의 정화유닛, 상기 복수개의 정화유닛 각각에 결합되고 어느 하나의 정화유닛를 다른 하나의 정화유닛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정화유닛 각각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착탈되는 연결부재 착탈부가 구비되는 정화유닛 어셈블리;
    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80114168A 2008-11-17 2008-11-17 정화유닛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1431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168A KR101431750B1 (ko) 2008-11-17 2008-11-17 정화유닛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CN 200910008441 CN101737936B (zh) 2008-11-17 2009-01-23 净化单元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168A KR101431750B1 (ko) 2008-11-17 2008-11-17 정화유닛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202A true KR20100055202A (ko) 2010-05-26
KR101431750B1 KR101431750B1 (ko) 2014-08-20

Family

ID=42279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4168A KR101431750B1 (ko) 2008-11-17 2008-11-17 정화유닛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17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664B1 (ko) * 2013-07-03 2013-11-04 이유택 에어컨 장착용 탈취 장치
KR20230013347A (ko) * 2021-07-19 2023-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87486Y (zh) * 1994-01-29 1995-01-18 中国建筑科学研究院空气调节研究所 一种带磁性连接装置的过滤器
CN2740927Y (zh) * 2004-06-25 2005-11-16 郑荣 具有空气净化系统的壁炉型取暖器
KR20080055012A (ko) * 2006-12-14 2008-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0457401Y1 (ko) * 2007-01-05 2011-12-20 주식회사 대연 자성체를 이용한 빨래건조대 커버 탈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664B1 (ko) * 2013-07-03 2013-11-04 이유택 에어컨 장착용 탈취 장치
KR20230013347A (ko) * 2021-07-19 2023-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1750B1 (ko) 2014-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28319B2 (ja) 空気清浄機
KR102131439B1 (ko)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
CN103388867B (zh) 换气装置及包括该换气装置的空调器
CN215260170U (zh) 空调器
JP6646032B2 (ja) 空気清浄装置
KR20100055202A (ko) 정화유닛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20090084474A (ko) 공기조화기
KR200419796Y1 (ko) 서랍식 필터 교환구조를 갖는 공기청정기
KR20000056581A (ko) 공기 조화기의 흡입 장치
KR20120125019A (ko) 공기 청정기
CN212746710U (zh) 壁挂式空调室内机和空调器
CN212719982U (zh) 空调室内机
WO2012140861A1 (ja) 熱交換形換気装置
KR10125980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WO2022257744A1 (zh) 空调器
KR20210055984A (ko) 환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0556313B1 (ko) 환기시스템
KR200382286Y1 (ko) 에어컨의 측면흡입그릴 도어구조
KR20100055203A (ko) 공기조화기
KR20100066177A (ko) 공기조화기
KR101556973B1 (ko) 정화유닛 어셈블리
CN101737936A (zh) 净化单元组件
CN216384458U (zh) 一种室内环保过滤的新风系统
KR20060097453A (ko) 공기조화기의 흡입장치
KR20040015874A (ko) 액자형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 패널 개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