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439B1 -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1439B1
KR102131439B1 KR1020190145366A KR20190145366A KR102131439B1 KR 102131439 B1 KR102131439 B1 KR 102131439B1 KR 1020190145366 A KR1020190145366 A KR 1020190145366A KR 20190145366 A KR20190145366 A KR 20190145366A KR 102131439 B1 KR102131439 B1 KR 102131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outside air
air
bet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원솔루션그룹
김학겸
주식회사 휴테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원솔루션그룹, 김학겸, 주식회사 휴테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원솔루션그룹
Priority to KR1020190145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4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24F2003/161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은 수납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한 쌍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1통로 및 제2통로를 갖는 전열 교환기,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제1통로와 각각 연통된 한 쌍의 외기 유입부, 상기 전열 교환기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통로와 연결된 외기 배출부 및 상기 외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외기 배출부로 외기를 유도하는 제1 팬을 포함하는 외기 제공 유닛,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제2통로와 각각 연통된 한 쌍의 내기 유입부, 상기 전열 교환기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통로와 연통된 내기 배출부 및 상기 내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내기 배출부로 내기를 유도하는 제2 팬을 포함하는 내기 토출 유닛 및 상기 내기 및 상기 외기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격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window-mounted hybrid multi-function air clean and ventilation system}
본 발명은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학교의 교실, 사무실, 창고 등 다양한 건축물의 창문에 설치되어 오염된 내기를 외부로 배출, 신선한 외기를 실내로 도입, 미세 먼지 필터에 의한 실내 공기 청정, 환기시 폐열 회수에 의한 온도 조절 기능 및 간단한 조작으로 필터 교체 기능 등을 포함하는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실내 환경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실내 공기 청정을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실내 공기를 정화 또는 여과하기 위해서는 바닥에 놓여지는 플로어형 공기 청정기가 주로 사용되는데, 이와 같은 플로어형 공기 청정기는 플로어형 공기 청정기의 주변 공기는 정화되지만 전체적으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플로어형 공기 청정기의 경우 환기가 이루어지 않아 이산화탄소 등의 농도가 개선되지 않는 기술적 제약점이 있다.
최근에는 실내 공기를 정화 또는 환기를 위해 창문에 공기 청정기를 장착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창문에 장착되는 공기청정장치는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9-0064700호, 창문 장착형 공기청정장치 및 공기청정방법(공개일 : 2019년 6월 11일 공개)가 대표적이다.
상기 창문 장착형 공기청정장치 및 공기 청정방법은 창문에 장착되어 공기청정 및 환기가 가능하지만, 실내 및 실외의 온도 차이를 이용한 폐열 활용이 어렵고, 필터를 교체하기 매우 불편한 구조이며, 실내외 공기를 환기할 때 일부 공기를 바이패스하거나, 정화하는 정화 기능을 포함하지 않아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지 못하는 기술적 제약점을 갖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9-0064700호, 창문 장착형 공기청정장치 및 공기청정방법(공개일 : 2019년 6월 11일 공개)
본 발명은 창틀의 상부에 장착되어 실내외 공기를 신속하게 환기시킬 수 있고, 실내외 공기의 온도차를 이용하는 전열 교환기를 통해 실내 온도를 쾌적하게 조절할 수 있고, 전열 교환기가 포함되었음에도 전열 교환기의 후단에 있는 필터를 쉽고 빠르게 교환할 수 있으며, 실내외 공기를 환기하는 도중 일부 공기를 수거 및 여과하여 공기 정화 기능을 수행 또는 외기를 열교환 없이 곧바로 실내로 도입할 수 있는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은 수납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한 쌍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1통로 및 제2통로를 갖는 전열 교환기;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제1통로와 각각 연통된 한 쌍의 외기 유입부, 상기 전열 교환기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통로와 연결된 외기 배출부 및 상기 외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외기 배출부로 외기를 유도하는 제1 팬을 포함하는 외기 제공 유닛;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제2통로와 각각 연통된 한 쌍의 내기 유입부, 상기 전열 교환기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통로와 연통된 내기 배출부 및 상기 내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내기 배출부로 내기를 유도하는 제2 팬을 포함하는 내기 토출 유닛; 및 상기 내기 및 상기 외기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격벽을 포함한다.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의 상기 하우징은 바닥판,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연장된 실외측 측벽,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연장된 실내측 측벽, 상기 실외측 및 실내측 측벽들을 연결하는 연결 측벽 및 상기 바닥판과 마주하며 상기 실외측 및 실내측 측벽들과 결합하는 상판을 포함한다.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의 한 쌍의 상기 외기 유입부는 상기 실외측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외기 배출부는 상기 실내측 측벽에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내기 유입부는 실내측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내기 배출부는 상기 실외측 측벽에 형성된다.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의 상기 하우징의 상기 바닥판 및 상기 상판에는 상기 하우징이 창틀에 결합 되었을 때 상기 하우징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가 돌출된다.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은 상기 하우징의 한 쌍의 상기 내기 유입부들에 형성된 유량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유량 조절 유닛은 상기 전열 교환기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기 전열 교환기로부터 회동되고, 상기 유량 조절 유닛이 상기 전열 교환기에 결합될 때 상기 유량 조절 유닛은 상기 전열 교환기의 모서리를 가압하여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전열 교환기의 움직임을 방지한다.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어 하우징의 내부를 상기 전열 교환기가 배치된 제1 수납공간 및 상기 제1 수납공간과 인접한 제2 수납공간으로 구분하는 공기청정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 유닛; 상기 외기가 상기 외기 배출부를 통해 실내로 유입될 때 개방되어 실내 공기를 상기 필터 유닛으로 제공하기 위해 상기 필터 유닛에 인접한 상기 제1 수납 공간에 형성된 개폐 유닛; 상기 제2 수납공간과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 유닛을 통과한 내기를 상기 실내로 제공하는 토출부; 상기 토출부와 연통된 제3 팬; 및 외기가 유입되는 유입부를 더 포함한다.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은 외기가 유입되는 상기 전열 교환기의 상기 제1 통로에 각각 배치된 헤파 필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은 창틀의 상부에 장착되어 실내외 공기를 신속하게 환기시킬 수 있고, 실내외 공기의 온도차를 이용하는 전열 교환기를 통해 실내 온도를 쾌적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전열 교환기가 포함되었음에도 전열 교환기의 후단에 있는 필터를 쉽고 빠르게 교환할 수 있으며, 실내외 공기를 환기하는 도중 일부 공기를 수거 및 여과하여 공기 정화 기능을 수행 또는 외기를 곧바로 실내로 도입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 및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의 하우징의 일부를 분해하여 내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a의 내부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횡단면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각각 기재되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별다른 기재가 없더라도 상이한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호 병합 및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의 하우징의 일부를 분해하여 내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a의 내부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900)은 하우징(100), 한 쌍의 전열 교환기(200,300), 외기 제공 유닛(400), 내기 토출 유닛(500) 및 격벽(600)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900)은 도 2b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유량 조절 유닛(700)은 하우징(100)의 전면에 배치되어 심미성을 향상시키는 전면 커버(890)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한 쌍의 전열 교환기(200,300), 외기 제공 유닛(400), 내기 토출 유닛(500) 및 격벽(600)을 수납하기에 충분한 수납공간을 제공한다.
하우징(100)은, 예를 들어,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직육면체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2a 및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바닥판(110), 실외측 측벽(120), 실내측 측벽(130), 한 쌍의 연결 측벽(140,150) 및 상판(16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은 합성수지 소재 또는 경량 금속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바닥판(110)은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외측 측벽(120)은 바닥판(110)의 일측 장변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며, 실외측 측벽(120)은 실외에 배치된다.
실내측 측벽(130)은 바닥판(110)의 타측 장변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며, 실내측 측벽(120)은 실내에 배치된다. 실내측 측벽(130)은 실외측 측벽(120)과 마주하게 배치된다.
연결 측벽(140, 150)들은 바닥판(110)의 한 쌍의 단변으로부터 각각 상부로 연장되며, 연결 측벽(140,150)들은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다.
상판(160)은 바닥판(110)과 마주하게 배치되며 실외측 및 실내측 측벽(120,130)들, 연결 측벽(140,150)들과 각각 결합 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횡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바닥판(110) 및 상판(160)의 외측면에는 각각 하우징(100)이 창틀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100)이 창틀로부터 임의로 분리 및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부(162,164)들이 형성된다.
이탈 방지부(162,164)들은 바닥판(110) 및 상판(160)으로부터 플레이트 형상으로 일정 높이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하우징(100)이 결합 되는 창틀에는 이탈 방지부(162,164)들에 걸려 하우징(100)이 창틀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미도시)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전열 교환기(200,3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배치되며, 전열 교환기(200,3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상호 이격되게 한 쌍이 배치된다.
물론, 도 2a 및 도 3에는 한 쌍의 전열 교환기(200,300)들이 배치된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전열 교환기(200,300)들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1개 또는 3개 이상이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각 전열 교환기(200,300)는 실내의 내기의 온도 및 실외의 외기의 온도 편차에 의한 열교환을 통해 실내의 온도를 쾌적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각 전열 교환기(200,300)는 외관상으로 육면체 블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으며, 전열 교환기(200,300)는 육면체 블록 형상 이외에 다양한 입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 전열 교환기(200,300)에는 도 2a에 정의된 제1 방향(FD)으로 통로가 형성된 제1 통로 및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SD)으로 통로가 형성된 제2 통로를 포함하며, 제1 통로 및 제2 통로는 복수개가 적층되며, 제1 통로 및 제2 통로는 열 교환 효율을 극대화 시키기 위해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실내의 내기 또는 실외의 외기는 각각 제1 통로 또는 제2 통로로만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열교환에 의하여 실내의 내기의 온도는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통로로는, 예를 들어, 외기가 유입되고, 제2 통로로는, 예를 들어, 내기가 유입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육면체 블록 형상을 갖는 전열 교환기(200,300)의 입구 또는 출구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하우징(100)의 실외측 측벽(120) 및 실외측 측벽(130)에 대하여,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약 45°의 각도로 배치될 수 있는데, 이는 후술 될 한 쌍의 외기 유입부 또는 후술 될 한 쌍의 내기 유입부로부터 각각 외기 또는 내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한 쌍의 전열 교환기(200,300) 중 외기가 유입되는 제1 통로의 일측에는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 하는 헤파 필터(210,310)가 각각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한 쌍의 전열 교환기(200,300)들 및 헤파 필터(210,310)들은 주기적으로 교환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열 교환기(200,300) 및 헤파 필터(210,310)는 하우징(100)으로부터 탈착 및 교체가 가능한 구조를 가져야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한 쌍의 전열 교환기(200,300)들이 하우징(100)의 내부의 지정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육면체 박스 형상을 갖는 전열 교환기(200,300)의 3 개의 모서리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3개의 모서리들을 지지하는 서포트 부재(미도시)들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외기 제공 유닛(400)은 실외의 외기를 실내로 유입한다. 외기 제공 유닛(400)은 한 쌍의 외기 유입부(410,420), 외기 배출부(430) 및 제1 팬(44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외기 유입부(410,420)들은 하우징(100)의 실외측 측벽(120)에 형성되며, 외기 유입부(410,420)는 실외의 외기를 하우징(100)의 내부로 도입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외기 배출부(430)는 외기 유입부(410,420)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도입된 외기가 실내로 토출 될 수 있도록 실내측 측벽(130)에 형성되며, 외기 배출부(430)는 실외의 외기를 실내로 토출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팬(440)은 외기가 외기 유입부(410,420) 및 전열 교환기(200,300)를 통과한 후 외기 배출부(430)로 토출 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팬(440)은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내기 제공 유닛(500)은 실내의 내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내기 제공 유닛(500)은 한 쌍의 내기 유입부(510,520), 내기 배출부(530) 및 제2 팬(540)을 포함한다.
한 쌍의 내기 유입부(510,520)들은 하우징(100)의 실내측 측벽(130)에 형성되며, 내기 유입부(510,520)는 실내의 내기를 하우징(100)의 내부로 도입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내기 배출부(530)는 내기 유입부(510,520)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도입된 내기가 실외로 토출 될 수 있도록 실외측 측벽(120)에 형성되며, 내기 배출부(530)는 실내의 내기를 실외로 토출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팬(540)은 내기가 내기 유입부(510,520) 및 전열 교환기(200,300)를 통과한 후 내기 배출부(530)로 토출 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팬(540)은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팬(440) 및 제2 팬(540)의 사이에는 격벽(600)이 형성되며, 이 격벽(600)은 외기 제공 유닛(400)의 외기 및 내기 토출 유닛(500)의 내기가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격벽(600)의 양쪽 단부에는 전열 교환기(200,300)를 하우징(100)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b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내기 유입부(510,520)와 대응하는 하우징(100)의 실내측 측벽(130)에는 유량 조절 유닛(700)이 배치된다.
유량 조절 유닛(700)은 내기 유입부(510,520)로부터 흡입되는 내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역할 및 전열 교환기(200,300)를 하우징(100)의 지정된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2a 및 도 2b를 다시 참조하면, 유량 조절 유닛(700)은 회동 몸체(710), 모터(720) 및 유량 조절판(730)을 포함한다.
회동 몸체(710)는 내기 유입부(510,520)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며, 회동 몸체(710)는 하우징(100)의 실내측 측벽(13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된다. 회동 몸체(710)는 중앙부에 개구가 형성된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동 몸체(710)의 내측면은 전열 교환기(200,300)의 모서리와 접촉되고, 회동 몸체(710)의 내측면에는 전열 교환기(200,300)의 모서리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회동 몸체(710)가 실내측 측벽(130)과 평행하게 배치되었을 때 전열 교환기(200,300)의 모서리는 회동 몸체(710)의 홈에 삽입되고 이로 인해 전열 교환기(200,300)는 하우징(100)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회동 몸체(710)의 내측면에는 모터(720)가 고정되고, 모터(720)의 회전축에는 유량 조절판(730)이 결합 된다.
유량 조절판(73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유량 조절판(730)의 사이즈는 회동 몸체(710)에 형성된 개구와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된다.
따라서, 유량 조절판(730)이 회동 몸체(710)와 평행하게 배치될 경우 실내로부터 실외로 배기되는 내기의 유량이 최소가 되고, 유량 조절판(730)이 회동 몸체(710)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될 경우 실내로부터 실외로 배기되는 내기의 유량은 최대가 된다.
도 2a 내지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900)은 공기 청정 기능 및 외기의 온도 조절 없이 외기를 곧바로 실내로 도입하는 기능들을 추가하기 위해 필터 유닛(810), 개폐 유닛(830), 토출부(850), 유입부(870) 및 제3 팬(88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유닛(810)은 하우징(100)의 수납공간에 배치되며, 필터 유닛(810)은 하우징(100)의 수납공간을 제1 수납공간(101) 및 제2 수납공간(102)으로 구분한다.
제1 수납공간(100)은 앞서 설명한 전열 교환기(200,300)가 배치되며, 제2 수납공간(102)에는 토출부(850), 유입부(870) 및 제3 팬(880)이 배치된다.
필터 유닛(810)은 공기정화, 공기 청정에 적합한 필터들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필터 유닛(810)은 5개가 겹쳐진 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유닛(810)은 교체 및 교환이 용이하도록 하우징(100)의 실내측 측벽(130)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조로 배치된다.
개폐 유닛(830)은 제1 수납공간(101) 중 필터 유닛(810)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며, 개폐 유닛(830)은 외기가 외기 배출부(430)를 통해 실내로 유입될 때 개방되어 실내 공기를 필터 유닛(810)으로 제공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개폐 유닛(830)은 실내의 내기가 배출될 때에는 폐쇄될 수 있다.
한편, 전열 교환기(200,300)를 통과하지 않는 실외의 외기를 곧바로 실내로 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2 수납공간(102)에는 토출부(850), 유입부(870) 및 제3 팬(990)이 설치된다.
토출부(850)는 제2 수납공간(102)에 대응하는 실외측 측벽(120)에 형성되고, 유입부(870)는 제2 수납공간(102)에 대응하는 실내측 측벽(130)에 각각 형성된다.
제3 팬(880)은 제2 수납공간(102)에 배치되며, 제3 팬(880)은 유입부(870)로 유입된 외기를 곧바로 토출부(850)로 토출 될 수 있도록 한다. 제3 팬(880)은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은 창틀의 상부에 장착되어 실내외 공기를 신속하게 환기시킬 수 있고, 실내외 공기의 온도차를 이용하는 전열 교환기를 통해 실내 온도를 쾌적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전열 교환기가 포함되었음에도 전열 교환기의 후단에 있는 필터를 쉽고 빠르게 교환할 수 있으며, 실내외 공기를 환기하는 도중 일부 공기를 수거 및 여과하여 공기 정화 기능을 수행 또는 외기를 곧바로 실내로 도입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 및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하우징 200,300...전열 교환기
400...외기 제공 유닛 500...내기 토출 유닛
600...격벽 700...유량 조절 유닛

Claims (7)

  1. 창틀에 결합되며, 수납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한 쌍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1통로 및 제2통로를 갖는 전열 교환기;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제1통로와 각각 연통된 한 쌍의 외기 유입부와 상기 전열 교환기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통로와 연결된 외기 배출부 및 상기 외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외기 배출부로 외기를 유도하는 제1 팬을 포함하는 외기 제공 유닛;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제2통로와 각각 연통된 한 쌍의 내기 유입부와 상기 전열 교환기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통로와 연통된 내기 배출부 및 상기 내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내기 배출부로 내기를 유도하는 제2 팬을 포함하는 내기 토출 유닛;
    상기 내기 및 상기 외기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격벽; 및
    상기 하우징의 한 쌍의 상기 내기 유입부들에 형성된 유량 조절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유량 조절 유닛은 상기 전열 교환기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기 전열 교환기로부터 회동부를 기준으로 회동되는 회동 몸체, 상기 회동 몸체의 내측면에 결합된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유량 조절판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부의 반대쪽인 상기 회동 몸체의 끝단의 내측면에는 상기 전열 교환기의 모서리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는 상기 유량 조절 유닛을 덮는 전면 커버가 배치되며,
    상기 회동 몸체의 상기 홈에 상기 전열 교환기의 상기 모서리가 결합되면 상기 전열 교환기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전면 커버가 제거된 후 상기 회동 몸체가 상기 전열 교환기로부터 회동되면 상기 전열 교환기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바닥판,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연장된 실외측 측벽,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연장된 실내측 측벽, 상기 실외측 및 실내측 측벽들을 연결하는 연결 측벽 및 상기 바닥판과 마주하며 상기 실외측 및 실내측 측벽들과 결합하는 상판을 포함하는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외기 유입부는 상기 실외측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외기 배출부는 상기 실내측 측벽에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내기 유입부는 실내측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내기 배출부는 상기 실외측 측벽에 형성된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바닥판 및 상기 상판에는 상기 하우징이 창틀에 결합 되었을 때 상기 하우징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가 돌출된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어 하우징의 내부를 상기 전열 교환기가 배치된 제1 수납공간 및 상기 제1 수납공간과 인접한 제2 수납공간으로 구분하는 공기청정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 유닛;
    상기 외기가 상기 외기 배출부를 통해 실내로 유입될 때 개방되어 실내 공기를 상기 필터 유닛으로 제공하기 위해 상기 필터 유닛에 인접한 상기 제1 수납 공간에 형성된 개폐 유닛;
    상기 제2 수납공간과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 유닛을 통과한 내기를 상기 실내로 제공하는 토출부;
    상기 토출부와 연통된 제3 팬; 및
    외기가 유입되는 유입부를 더 포함하는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외기가 유입되는 상기 전열 교환기의 상기 제1 통로에 각각 배치된 헤파 필터를 더 포함하는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
KR1020190145366A 2019-11-13 2019-11-13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 KR102131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366A KR102131439B1 (ko) 2019-11-13 2019-11-13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366A KR102131439B1 (ko) 2019-11-13 2019-11-13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1439B1 true KR102131439B1 (ko) 2020-07-08

Family

ID=71599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366A KR102131439B1 (ko) 2019-11-13 2019-11-13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43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6904A (ko) * 2021-02-16 2022-08-23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 설치구조
KR102434618B1 (ko) * 2021-09-28 2022-08-23 김학겸 멀티 모드 창문형 공기 조화 시스템
CN115823665A (zh) * 2023-02-14 2023-03-21 中海(山东)净化工程有限公司 一种集成式洁净室空气净化系统及控制方法
KR102515148B1 (ko) * 2021-09-28 2023-03-29 김학겸 창문 설치형 공기 조화 시스템용 하우징
KR20230045426A (ko) * 2021-09-28 2023-04-04 김학겸 창문 설치형 공기 조화 시스템
KR20240023792A (ko) 2022-08-16 2024-02-23 주식회사 윈체 정전기 필터를 이용한 창문 설치형 공기 살균 청정시스템
KR102679636B1 (ko) * 2022-06-21 2024-06-27 윤영상 창문형 공기 청정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6250A (ja) * 1998-10-30 2000-05-26 Daikin Ind Ltd 換気装置
KR100564445B1 (ko) * 2003-07-21 200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시스템
KR100650164B1 (ko) * 2005-12-09 2006-11-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폐열회수 환기장치
KR101555212B1 (ko) * 2015-03-13 2015-09-23 동서콘트롤(주) 자동환기장치
KR20180054011A (ko) * 2016-11-14 2018-05-24 주식회사 하츠 열교환 환기시스템
KR20190064700A (ko) 2017-11-30 2019-06-11 배진수 창문 장착형 공기청정장치 및 공기청정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6250A (ja) * 1998-10-30 2000-05-26 Daikin Ind Ltd 換気装置
KR100564445B1 (ko) * 2003-07-21 200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시스템
KR100650164B1 (ko) * 2005-12-09 2006-11-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폐열회수 환기장치
KR101555212B1 (ko) * 2015-03-13 2015-09-23 동서콘트롤(주) 자동환기장치
KR20180054011A (ko) * 2016-11-14 2018-05-24 주식회사 하츠 열교환 환기시스템
KR20190064700A (ko) 2017-11-30 2019-06-11 배진수 창문 장착형 공기청정장치 및 공기청정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6904A (ko) * 2021-02-16 2022-08-23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 설치구조
KR20220117175A (ko) * 2021-02-16 2022-08-23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
KR102481401B1 (ko) * 2021-02-16 2022-12-27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 설치구조
KR102529128B1 (ko) * 2021-02-16 2023-05-08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
KR102434618B1 (ko) * 2021-09-28 2022-08-23 김학겸 멀티 모드 창문형 공기 조화 시스템
KR102515148B1 (ko) * 2021-09-28 2023-03-29 김학겸 창문 설치형 공기 조화 시스템용 하우징
KR20230045426A (ko) * 2021-09-28 2023-04-04 김학겸 창문 설치형 공기 조화 시스템
KR102539174B1 (ko) * 2021-09-28 2023-06-02 김학겸 창문 설치형 공기 조화 시스템
KR102679636B1 (ko) * 2022-06-21 2024-06-27 윤영상 창문형 공기 청정기
KR20240023792A (ko) 2022-08-16 2024-02-23 주식회사 윈체 정전기 필터를 이용한 창문 설치형 공기 살균 청정시스템
CN115823665A (zh) * 2023-02-14 2023-03-21 中海(山东)净化工程有限公司 一种集成式洁净室空气净化系统及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1439B1 (ko)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
KR100690987B1 (ko) 환기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청정시스템
CN100383464C (zh) 通风系统
KR101237259B1 (ko) 실내공기 청정기능을 갖는 필터 및 열교환기가 내장된 창문형 환기장치
US20060174596A1 (en) Ventilation system
KR101070648B1 (ko) 공기식 열교환기
KR102175153B1 (ko) 환기겸용 실내공기정화시스템
KR200407836Y1 (ko) 환기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청정시스템
WO2004111545A1 (ja) 調湿装置
KR102265470B1 (ko)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
KR20080083942A (ko) 전열교환 환기시스템
KR102200729B1 (ko) 처짐 방지 기능을 갖는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
KR20180002978U (ko) 소형 공기청정기
KR20120094731A (ko) 공기청정기
KR102200728B1 (ko) 흡기 및 배기 혼합 방지 기능을 갖는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
KR102091061B1 (ko) 복수 개의 회전식 열교환기를 포함한 환기장치
TWI291006B (en) Air conditioner
JP2012220129A (ja) 熱交換形換気装置
KR102630811B1 (ko) 외기의 선택적 필터링이 가능한 창문형 복합기
JP2015205224A (ja) 空気清浄機
US20240142135A1 (en) Damper device and ventilation system comprising same
KR102445933B1 (ko) 배기바이패스 무덕트 환기장치
KR102105014B1 (ko) 전열교환부 하부에 대용량 필터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KR102539174B1 (ko) 창문 설치형 공기 조화 시스템
KR102663779B1 (ko) 창문형 복합기를 적용한 IoT 기반의 공기청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