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779B1 - 창문형 복합기를 적용한 IoT 기반의 공기청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창문형 복합기를 적용한 IoT 기반의 공기청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779B1
KR102663779B1 KR1020220073823A KR20220073823A KR102663779B1 KR 102663779 B1 KR102663779 B1 KR 102663779B1 KR 1020220073823 A KR1020220073823 A KR 1020220073823A KR 20220073823 A KR20220073823 A KR 20220073823A KR 102663779 B1 KR102663779 B1 KR 102663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quality
outdoor air
window
type multi
re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72984A (ko
Inventor
김수경
최효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이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이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이알
Priority to KR1020220073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779B1/ko
Publication of KR20230172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2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실내외 공기질을 서로 비교하여 외기를 선택적으로 필터링하도록 한 공기청정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공기청정 시스템은, 독립 구획된 다수의 구역에 각각 설치되고, 실외 공기질을 감지하는 실외 공기질 센서를 구비한 창문형 복합기; 및 상기 구역마다 상기 창문형 복합기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실내 공기질을 감지하는 중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창문형 복합기는, 상기 실외 공기질 센서로부터 수신한 실외 공기질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중계유닛으로부터 실내 공기질 데이터를 수신하여 서로 비교하는 제어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수신한 실외 공기질 데이터에 의한 실외 공기질과 상기 수신한 실내 공기질 데이터에 의한 실내 공기질을 비교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외기를 선택적으로 필터링한다.

Description

창문형 복합기를 적용한 IoT 기반의 공기청정 시스템{IoT based air purifying system using window type multifunction device}
본 발명은 IoT 기반의 공기청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외 공기질을 서로 비교하여 외기를 선택적으로 필터링하도록 한 공기청정 시스템에 관련한다.
대기 상태가 황사,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등으로 오염되어 외부활동을 자제하고 실내활동을 하는 시간이 늘어남에 의하여 이산화탄소량의 증가로 실내 공기질의 문제가 대두된다.
실내 공기를 환기시기 위해서 통상 창문을 열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자연적으로 순환하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는데, 이러한 자연순환식 환기방법은 가장 편리하고 경제적인 환기방식이라 할 수 있겠으나 외부 공기가 황사,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등으로 오염된 경우에는 환기에 의하여 오히려 실내가 오염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자에 의한 다수의 창문형 공기청정기가 제시되었는데, 가령 등록 특허 10-2279407, 10-2346998, 10-2065176, 10-2022881 등이 있다.
이들 창문형 공기청정기는 외기를 필터링하여 실내로 유입시키는 구조에 주로 포커스를 맞추고 있어 실외 공기질에 따른 필터링을 선택적으로 할 수 없다.
그 결과, 실외 공기질이 좋은 경우에도 불필요한 필터링을 수행함으로써 전력 소모가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필터링시 필터, 특히 헤파필터를 통과함으로써 공기 흐름이 느려질 수밖에 없어 단위 시간당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량이 상당히 줄어든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외 공기질에 따라 선택적으로 외기를 필터링할 수 있는 IoT 기반의 공기청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창문형 복합기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IoT 기반의 공기청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외 공기질에 따라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최대화 할 수 있는 IoT 기반의 공기청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독립 구획된 다수의 구역에 각각 설치되고, 실외 공기질을 감지하는 실외 공기질 센서를 구비한 창문형 복합기; 및 상기 구역마다 상기 창문형 복합기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실내 공기질을 감지하는 중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창문형 복합기는, 상기 실외 공기질 센서로부터 수신한 실외 공기질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중계유닛으로부터 실내 공기질 데이터를 수신하여 서로 비교하는 제어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수신한 실외 공기질 데이터에 의한 실외 공기질과 상기 수신한 실내 공기질 데이터에 의한 실내 공기질을 비교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외기를 선택적으로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공기청정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창문형 복합기는, 상기 실내 공기질이 오염 기준치 이상일 때, 상기 실외 공기질이 오염 기준치 이하이면 외기를 필터링 없이 실내로 유입하고, 상기 실외 공기질이 오염 기준치 이상이면, 외기를 필터링 하여 실내로 유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창문형 복합기는,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외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복합필터, 상기 복합 필터의 전방에 설치되는 팬 어셈블리, 및 상기 복합 필터의 후방에 설치되는 크로스 팬 어셈블리를 구비하고,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외기를 필터링하는 경우, 상기 팬 어셈블리와 상기 크로스 팬 어셈블리를 동시에 구동하여 상기 팬 어셈블리가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복합 필터에 불어 넣고 상기 크로스 팬 어셈블리가 상기 복합 필터로부터 배출되는 청정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배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창문형 복합기와 상기 중계유닛은 RF 모듈을 포함하는 하나의 무선통신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중계유닛과 상기 통합관제유닛은 와이파이(WiFi) 또는 로라(Lora)를 포함하는 다른 무선통신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계유닛으로부터 감지된 공기질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중계유닛을 통하여 상기 창문형 복합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통합관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의 공기질이 나쁠 때 실외 공기질에 따라 선택적으로 외기를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창문형 복합기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가령, 외기의 쓸데없는 필터링을 방지함으로써 복합기의 구동에 따른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단위시간당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최대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의 공기청정 시스템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창문형 복합기의 외관을 보여준다.
도 3은 각 구성부분을 분해하여 보여준다.
도 4(a)와 4(b)는 각각 밸브 어셈블리를 보여준다.
도 5는 외기가 밸브 개구를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의 공기청정 시스템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공기청정 시스템은, 가령 독립 구획된 다수의 구역 A-D에 각각 설치된 창문형 복합기(100), 및 각 구역마다 창문형 복합기(100)에 대응하여 설치된 중계유닛(200)을 포함한다.
또한, 공기청정 시스템은 중계유닛(200)으로부터 감지된 공기질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중계유닛(200)을 통하여 창문형 복합기(100)의 구동을 제어하는 통합관제유닛(300)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구역 A에 설치된 창문형 복합기와 중계유닛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도 1에서 다른 구역은 도시의 편의상 창문형 복합기와 중계유닛을 생략한다.
창문형 복합기(100)는 실외 공기질을 감지하는 실외 공기질 센서(101)를 구비하고, 중계유닛(200)은 실내 공기질을 감지한다.
창문형 복합기(100)와 중계유닛(200)은 각각 가령 RF 모듈(102, 202)을 구비하여 RF 통신으로 무선 연결되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통신으로 무선 연결되거나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중계유닛(200)과 통합관제유닛(300)은 와이파이(WiFi) 또는 로라(Lora) 모듈(204, 304)을 포함하여 창문형 복합기(100)와 중계유닛(200) 간의 무선통신과 다른 방식으로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 의하면, 창문형 복합기(100)는 제어 모듈(103)을 구비하는데, 실외 공기질 센서(101)로부터 수신한 실외 공기질 데이터와 중계유닛(200)으로부터 수신한 실내 공기질 데이터를 비교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외기를 선택적으로 필터링한다.
일 예로, 창문형 복합기(100)는, 실외 공기질이 오염 기준치 이하이고 실내 공기질이 오염 기준치 이상이면 외기를 필터링 없이 실내로 유입하고, 실외 공기질이 오염 기준치 이상이고 실내 공기질이 오염 기준치 이상이면 외기를 필터링 하여 실내로 유입한다.
제어모듈(103)은 회로기판에 마이크로컴퓨터를 설치하는 구조로 창문형 복합기(10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공기청정 시스템에 적용되는 창문형 복합기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창문형 복합기의 외관을 보여주고, 도 3은 각 구성부분을 분해하여 보여준다.
도 3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이 실외에서 실내로 외기가 흐르는 방향을 나타내며, 이를 기준으로 각 구성부분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창문형 복합기(100)는 기구적으로 리어 플레이트(rear plate)(110), 리어 커버 어셈블리(120), 밸브 어셈블리(130), 필터 어셈블리(140), 미들 케이스 어셈블리(150), 및 프론트 커버 어셈블리(170)로 구성된다.
리어 플레이트(110)는 리어 커버(12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데,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리어 커버(121)와의 사이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결합하여 외기가 리어 커버(121)의 외기 유입구(122)를 통하여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한다.
리어 커버 어셈블리(120)는, 다수의 외기 유입구(122), 밸브 개구(123), 및 실외 공기질 센서(101)가 설치되는 센서 개구(124)가 일체로 형성된 단일체의 리어 커버(121)를 구비한다.
이 실시 예에서, 실외 공기질 센서(101)는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는 센서, 먼지 센서 및 VOCs 센서를 모두 포함한다.
다수의 외기 유입구(122)와 센서 개구(124)는 격자형 그릴로 막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한다.
밸브 개구(123)에는 밸브 어셈블리(130)가 설치되는데, 도 4(b)는 밸브 어셈블리를 분해하여 보여준다.
밸브 어셈블리(130)는 밸브 개구(12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밸브 개구(123)를 통하여 외기가 강제 유입되거나 외기기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밸브 어셈블리(130)는, 크게 구동부와 구동부에 의해 왕복 이송하는 밸브 판(131)으로 구성된다.
구동부(132)는, 지지 플레이트(137), 모터(134), 기어열(138, 138'), 이송 스크류(136), 주행 브래킷(135), 및 안내 브래킷(137)으로 이루어지는데, 밸브 판(131)의 안정적인 이동을 위해 밸브 판(131)의 양쪽 단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37)에는 모터(134)가 장착되고, 기어열(138, 138')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모터(134)의 축에 결합된 축 기어가 기어열(138)에 기어 결합한다.
지지 플레이트(137)의 전면에는 기어열(138')이 설치되는 관통구멍을 중심으로 주위에 4개의 안내 축(139)이 돌출되는데, 각 안내 축(139)은 안내 브래킷(133)의 안내 파이프(133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된다.
모터, 가령 스테핑 모터(134)는 지지 플레이트(137)의 전면에 고정되고, 모터 축에 결합된 축 기어, 기어(138), 및 기어(138')의 기어 결합을 통하여 모터(134)의 회전력이 이송 스크류(136)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모터(134)를 모터 축이 지지 플레이트(137)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거꾸로 설치함으로써 안내 축(133)만큼 차지하는 밸브 어셈블리(130)의 두께에 모터(134)에 의한 두께를 추가로 더하지 않기 때문에 밸브 어셈블리(130)의 두께가 얇아진다.
이송 스크류(136)의 일단은 기어 열(138')에 고정되고, 타단은 안내 브래킷(13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주행 브래킷(135)를 통과하면서 주행 브래킷(135)과 나사 결합한다.
또한, 주행 브래킷(135)의 일측에 결합 돌기(135a)가 돌출되어 밸브 판(131)에 결합된다.
안내 브래킷(133)은 이송 스크류(136)의 회전에 의해 주행 브래킷(135)이 직선 운동을 할 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 실시 예에서, 밸브 판(131)은 밸브 개구(123)에 정합할 수 있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개스킷(131')를 개재하여 밸브 개구(123)를 닫음으로써 밀폐가 신뢰성 있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필터 어셈블리(140)는, 팬 장착구(142)가 형성된 필터 케이스(141), 다수의 흡입 팬(145) 및 복합 필터(155)로 이루어진다.
복합 필터(155)는, 잘 알려진 것처럼, 미세먼지를 여과하는 헤파(HEPA: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필터,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필터, 및 박테리아와 세균을 여과하는 필터가 복합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종래 복합 필터(155)를 구성하는 헤파 필터에 의해 복합 필터(155)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이 적을 수밖에 없었다.
이 실시 예에 의하면, 다수의 흡입 팬(145)을 복합 필터(155)의 전방에 설치하여 외기를 복합 필터(155)를 향해 밀어주고, 후술하는 것처럼, 복합 필터(155)의 후방에 설치된 크로스 팬(cross fan)(153)으로 외기를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복합 필터(155)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필터 케이스(141)는 리어 커버(121)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되어, 필터 케이스(141)의 측벽과 리어 커버(121)의 측벽 사이에는 간극(125)이 마련되어 밸브 개구(123)를 통하여 자연적으로 유입되는 외기가 흐를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미들 케이스 어셈블리(150)는, 중앙에 개구(151a)가 형성되고 상하 양측에 외기 방출구(152)가 형성된 미들 케이스(151), 외기 방출구(15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미들 케이스(151)에 결합된 크로스 팬(153)으로 이루어진다.
미들 케이스(151)는 미들 플레이트(154)를 개재하여 리어 커버(121)와 결합하고, 그 결과 복합 필터(155)의 후방에는 미들 케이스(151)의 측벽 높이에 대응하는 공간이 마련된다.
크로스 팬(153)은 소음이 적은 장점을 구비하며, 블로워 구조를 구비하여 복합 필터(155)에서 방출되는 외기를 수직방향으로 흡입하여 미들 케이스(151)의 외기 방출구(152)를 통하여 수평방향으로 분사한다.
크로스 팬(153)의 길이는 미들 케이스(151)의 폭보다 작으며, 미들 케이스(151)의 내측에서 한쪽으로 치우쳐 설치하여 모터(153a) 쪽에서 미들 케이스(151)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한다.
외기 방출구(152)는 미들 케이스(151)의 폭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외기 방출구(152)의 일부는 미들 케이스(151)의 내측에서 크로스 팬(153)과 겹치지 않고 노출된다.
프론트 커버 어셈블리(170)는 미들 케이스(15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프론트 커버 브래킷(171)과 프론트 커버(172)로 구성된다.
프론트 커버 브래킷(171)은 미들 케이스(151)의 개구(151a)에 대응하는 크기를 구비하여 결합 후 외기 방출구(152)를 막지 않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창문형 복합기(100)는 음이온 발생유닛(160)을 구비할 수 있는데, 프론트 커버 브래킷(171)의 내측에 설치되어 복합 필터(155)로부터 방출되는 외기에 음이온을 발생시켜 크로스 팬(153)으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에 음이온을 실어 보내 공기 중의 세균 및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공기청정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창문형 복합기의 구조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각 구역 A-D에 각각 창문형 복합기(100)와 이에 대응하여 중계유닛(200)이 설치된다.
창문형 복합기(100)의 실외 공기질 센서(101)에서 온/습도와 먼지 농도 및 VOCs 농도가 측정되어 제어모듈(103)로 전송되고, 실시간으로 중계유닛(200)으로부터 실내의 온/습도와 먼지 농도 및 VOCs 농도가 측정되어 RF 모듈(102, 202) 간의 무선 통신에 의해 제어모듈(103)로 전송된다.
제어모듈(103)은 수신한 실외 공기질 데이터와 중계유닛(200)으로부터 수신한 실내 공기질 데이터를 비교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외기를 선택적으로 필터링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단 중계유닛(200)으로부터 수신한 실내 공기질 데이터에 의한 실내 공기질이 오염 기준치 이하이면 실내 공기가 청정한 것으로 판단하여 외기를 유입하지 않는다.
반면, 수신한 실내 공기질 데이터에 의한 실내 공기질이 오염 기준치 이상이면 실내 공기가 오염된 것으로 판단하여 외기를 유입하는데, 이때 외기의 오염 정도를 고려하여 유입 방법을 선택한다.
먼저, 실외 공기질 센서(101)로부터 수신한 실외 공기질 데이터에 의한 실외 공기질이 기준치, 가령 PM 10이 19㎍/㎥ 이하로 오염되지 않은 경우 밸브 개구(123)로부터 밸브 판(131)을 완전히 개방하도록 하여 외기가 밸브 개구(123)를 통하여 그대로 실내로 유입되도록 한다.
도 5는 외기가 밸브 개구를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보여준다.
밸브 판(131)이 내측으로 밀려나 밸브 개구(123)가 개방되면, 외기는 밸브 개구(123)를 통해 자연적으로 유입된다.
이때,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필터 케이스(141)가 리어 커버(121)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되어, 필터 케이스(141)의 측벽과 리어 커버(121)의 측벽 사이에는 간극(125)이 마련되어 밸브 개구(123)를 통하여 자연적으로 유입되는 외기가 흐를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여 밸브 개구(123)로 유입된 외기는 이 간극을 통하여 흐른다.
한편, 크로스 팬(153)의 길이는 미들 케이스(151)의 폭보다 작기 때문에 크로스 팬(153)의 모터(153a)와 미들 케이스(151)의 측벽 내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이 간극에 형성된 외기 방출구(152)를 통하여 실내로 외기가 유입된다.
이와 같이 외기가 밸브 개구를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경로는 도 9에 화살표로 도시되며, 마찬가지로 미들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된 크로스 팬을 통하여 같은 방식으로 외기가 실내에 유입된다.
반면, 실외 공기질 센서(101)로부터 수신한 실외 공기질 데이터에 의한 실외 공기질이 기준치, 가령 PM 10이 20㎍/㎥ 이상으로 오염된 경우 밸브 판(131)으로 밸브 개구(123)를 완전히 밀폐하도록 한다.
이어, 흡입 팬(145)을 구동하여 외기를 직접 흡입하여 복합 필터(155)로 배출하면, 복합 필터(155)에서 미세먼지, 유해가스, 및 박테리아와 세균이 여과되어 필터링된 공기가 배출된다.
배출된 청정 공기는 크로스 팬(153)에 의해 미들 케이스(151)의 외기 방출구(152)를 통해 분사되어 실내로 유입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될 수 없으며,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100: 창문형 복합기
101: 실외 공기질 센서
102, 202: RF 모듈
103: 제어모듈
200: 중계유닛
204, 304: 와이파이 모듈
300: 통합 관제유닛

Claims (6)

  1. 독립 구획된 다수의 구역에 각각 설치되고, 실외 공기질을 감지하는 실외 공기질 센서를 구비한 창문형 복합기; 및
    상기 구역마다 상기 창문형 복합기에 대응하여 분리되어 설치되고 상기 창문형 복합기와 통신 연결되고 실내 공기질을 감지하는 중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창문형 복합기는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방향을 따라 리어 플레이트, 리어 커버 어셈블리, 밸브 어셈블리, 필터 어셈블리, 미들 케이스 어셈블리, 및 프론트 커버 어셈블리로 구성되고,
    상기 리어 커버 어셈블리는 상기 밸브 어셈블리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밸브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창문형 복합기는, 상기 실외 공기질 센서로부터 수신한 실외 공기질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중계유닛으로부터 실내 공기질 데이터를 수신하여 서로 비교하는 제어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수신한 실외 공기질 데이터에 의한 실외 공기질과 상기 수신한 실내 공기질 데이터에 의한 실내 공기질을 비교하여,
    a) 상기 실내 공기질이 오염 기준치 이상이고 상기 실외 공기질이 오염 기준치 이하이면, 상기 밸브 개구를 열어 외기를 필터링 없이 실내로 유입하고,
    b) 상기 실내 공기질이 오염 기준치 이상이고 상기 실외 공기질이 오염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밸브 개구를 닫고 외기를 필터링 하여 실내로 유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공기청정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서,
    상기 창문형 복합기는,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외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복합필터, 상기 복합 필터의 전방에 설치되는 팬 어셈블리, 및 상기 복합 필터의 후방에 설치되는 크로스 팬 어셈블리를 구비하고,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외기를 필터링하는 경우, 상기 팬 어셈블리와 상기 크로스 팬 어셈블리를 동시에 구동하여 상기 팬 어셈블리가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복합 필터에 불어 넣고 상기 크로스 팬 어셈블리가 상기 복합 필터로부터 배출되는 청정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공기청정 시스템.
  4. 청구항 1에서,
    상기 중계유닛으로부터 감지된 공기질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중계유닛을 통하여 상기 창문형 복합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통합관제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공기청정 시스템.
  5. 청구항 4에서,
    상기 창문형 복합기와 상기 중계유닛은 RF 모듈을 포함하는 하나의 무선통신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중계유닛과 상기 통합관제유닛은 와이파이(WiFi) 또는 로라(Lora)를 포함하는 다른 무선통신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공기청정 시스템.
  6. 독립 구획된 다수의 구역에 각각 설치되고, 실외 공기질을 감지하는 실외 공기질 센서를 구비한 창문형 복합기;
    상기 구역마다 상기 창문형 복합기에 대응하여 분리되어 설치되고 상기 창문형 복합기와 통신 연결되고 실내 공기질을 감지하는 중계유닛; 및
    상기 중계유닛과 통신 연결되고, 상기 중계유닛으로부터 감지된 공기질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중계유닛을 통하여 상기 창문형 복합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통합관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창문형 복합기는, 상기 실외 공기질 센서로부터 수신한 실외 공기질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중계유닛으로부터 실내 공기질 데이터를 수신하여 서로 비교하는 제어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수신한 실외 공기질 데이터에 의한 실외 공기질과 상기 수신한 실내 공기질 데이터에 의한 실내 공기질을 비교하여,
    a) 상기 실내 공기질이 오염 기준치 이상이고 상기 실외 공기질이 오염 기준치 이하이면, 외기를 필터링 없이 실내로 유입하고,
    b) 상기 실내 공기질이 오염 기준치 이상이고 상기 실외 공기질이 오염 기준치 이상이면, 외기를 필터링 하여 실내로 유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공기청정 시스템.
KR1020220073823A 2022-06-16 2022-06-16 창문형 복합기를 적용한 IoT 기반의 공기청정 시스템 KR102663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823A KR102663779B1 (ko) 2022-06-16 2022-06-16 창문형 복합기를 적용한 IoT 기반의 공기청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823A KR102663779B1 (ko) 2022-06-16 2022-06-16 창문형 복합기를 적용한 IoT 기반의 공기청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984A KR20230172984A (ko) 2023-12-26
KR102663779B1 true KR102663779B1 (ko) 2024-05-07

Family

ID=89320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823A KR102663779B1 (ko) 2022-06-16 2022-06-16 창문형 복합기를 적용한 IoT 기반의 공기청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77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0633B1 (ko) * 2019-07-24 2019-12-30 서진공조(주) 공기 청정 기술이 적용된 공기 순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454B1 (ko) * 2016-08-11 2018-05-23 주식회사 리상 실내공기의 순환, 배출 및 흡입기능을 구비한 공기순환시스템
KR102203801B1 (ko) * 2018-06-15 2021-01-18 (주)공존에스앤티 창문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0633B1 (ko) * 2019-07-24 2019-12-30 서진공조(주) 공기 청정 기술이 적용된 공기 순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984A (ko) 202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168B1 (ko) 창문형 공기청정장치
KR100476156B1 (ko) 환기장치가 구비된 창
KR101237259B1 (ko) 실내공기 청정기능을 갖는 필터 및 열교환기가 내장된 창문형 환기장치
KR100674271B1 (ko) 환기 청정 장치
KR101860904B1 (ko) 청정 공기 공급기,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및 설치되는 창틀
KR101947018B1 (ko) 청정 공기 공급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청정 공기 공급기가 설치되는 창틀, 및 창틀에 형성된 천공홀을 막는 마개
CN105987426A (zh) 室内空气质量控制系统
KR102131439B1 (ko)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
KR102081237B1 (ko) 환기 및 에너지 절감형 공기청정기
KR100651861B1 (ko) 환기겸용 공기청정기
KR100622111B1 (ko) 열교환 기능을 갖는 창틀형 환기 장치
KR20200065454A (ko) 공기 청정기 및 이를 갖는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
KR102079212B1 (ko) 대용량 필터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KR102663779B1 (ko) 창문형 복합기를 적용한 IoT 기반의 공기청정 시스템
KR102036283B1 (ko) 공기질에 따른 가변형 환기 장치
KR102630811B1 (ko) 외기의 선택적 필터링이 가능한 창문형 복합기
CN105570998A (zh) 一种新风、空气净化两用系统
KR101719544B1 (ko) 다기능 자동환기장치
KR20060098281A (ko) 환기시스템
CN203893322U (zh) 空气净化机
KR20030063845A (ko) 환기장치
KR101211278B1 (ko) 환기 청정 장치
KR20040097613A (ko) 환기기능을 겸비한 벽걸이형 공기청정기
CN219367872U (zh) 用于回风口的导风装置及空气处理装置
KR100669026B1 (ko) 공기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