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401B1 -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 설치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81401B1 KR102481401B1 KR1020210020335A KR20210020335A KR102481401B1 KR 102481401 B1 KR102481401 B1 KR 102481401B1 KR 1020210020335 A KR1020210020335 A KR 1020210020335A KR 20210020335 A KR20210020335 A KR 20210020335A KR 102481401 B1 KR102481401 B1 KR 1024814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t
- outside air
- outdoor
- fixing
- discharge 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2012/007—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 by-pass for bypassing the heat-exchang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52—Weather protecting means, e.g. against wind, rain or snow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 및 이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케이스는 실외 쪽에 외기흡입포트와 내기배출포트가 좌우로 구비되고, 실내 쪽에 외기흡입포트와 내기배출포트와 각각 가깝게 외기배출포트와 내기흡입포트가 좌우로 구비되며, 내부 공간에 외기 유로와 메인 내기 유로와 바이패스 내기 유로가 형성된다. 외기용 송풍기는 외기흡입포트와 외기배출포트에 인접하여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외기를 송출한다. 내기용 송풍기는 내기흡입포트와 내기배출포트에 인접하여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내기를 송출한다. 바이패스 댐퍼는 바이패스 내기 유로를 개폐한다. 재순환 댐퍼는 열교환기의 내기 유입단 쪽에서 메인 내기 유로를 외기 유로와 선택적으로 통하게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창문에 설치되어 실내외 공기를 환기시키면서도 실내 열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 및 이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탁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환기장치가 사용되어 왔다. 한편, 하절기 및 동절기와 같이 실내와 실외의 기온차가 큰 계절에는 실내공간의 쾌적한 온도유지를 위하여 냉방 및 난방을 가동하게 되는데, 환기장치에 의해 실외의 공기가 그대로 실내로 유입되면, 실내의 냉난방 효율이 저하되므로 에너지 낭비가 심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하여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기에 앞서, 배출되는 실내공기와 열교환되도록 함으로써, 온도차로 인한 냉난방 부하의 증가요인이 감소되도록 하는 이른바 열교환 환기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열교환 환기장치는 주로 실내공간의 천장에 덕트 방식으로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건물의 외벽과 내벽을 관통해 덕트 설비를 시공해야 하므로, 시공 작업이 번거롭고 시공비용도 부담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설치 작업 편의성을 높이고, 설치 비용 부담도 줄일 수 있는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 및 이의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는 케이스와, 실외 그릴과, 실내 그릴과, 외기용 송풍기와, 내기용 송풍기와, 열교환기와, 필터들과, 바이패스 댐퍼, 및 재순환 댐퍼를 포함한다. 케이스는 실외 쪽에 외기흡입포트와 내기배출포트가 좌우로 구비되고, 실내 쪽에 외기흡입포트와 내기배출포트와 각각 가깝게 외기배출포트와 내기흡입포트가 좌우로 구비되며, 내부 공간에 외기 유로와 메인 내기 유로와 바이패스 내기 유로가 형성된다. 실외 그릴은 외기흡입포트와 통하게 외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내기배출포트와 통하게 내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케이스의 실외 쪽에 장착된다. 실내 그릴은 외기배출포트와 통하게 외기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기흡입포트와 통하게 내기 흡입구가 형성되어, 케이스의 실내 쪽에 장착된다. 외기용 송풍기는 외기흡입포트와 외기배출포트에 인접하여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외기를 송출한다. 내기용 송풍기는 내기흡입포트와 내기배출포트에 인접하여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내기를 송출한다. 열교환기는 외기 유로를 흐르는 외기와 메인 내기 유로를 흐르는 내기 간에 열교환시키도록 케이스 내에 배치된다. 필터들은 외기 유로와 메인 내기 유로를 흐르는 내,외기를 정화시킨다. 바이패스 댐퍼는 바이패스 내기 유로를 개폐한다. 재순환 댐퍼는 열교환기의 내기 유입단 쪽에서 메인 내기 유로를 외기 유로와 선택적으로 통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 설치구조는 전술한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를 상호 이격된 상,하측 창틀 사이의 설치 공간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 브라켓들과, 클램프 기구들을 포함한다. 고정 브라켓들은 케이스의 좌우 단에 각각 고정된다. 클램프 기구들은 고정 브라켓들을 상측 창틀에 고정한다.
여기서,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 설치구조는 실내,외 패널, 및 고정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외 패널은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가 상,하측 창틀 사이의 설치 공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설치 공간의 실내,외 쪽 개구를 각각 덮는다. 고정 부재들은 실외 패널을 상,하측 창틀에 고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는 구조적으로 슬림화되어 창호에 설치하기가 용이하므로, 기존 덕트 방식에 비해 설치 작업 편의성을 높이고, 설치 비용 부담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는 기온이나 실외 공기 오염 정도에 따라 일반 환기 모드, 바이패스 환기 모드, 재순환 모드를 적절히 구현할 수 있으므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 설치 구조는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가 상,하측 창틀 사이의 설치 공간 어디에 위치하더라도, 체결을 위한 상,하측 창틀의 가공 없이도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를 간편한 방식으로 상,하측 창틀에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 설치 구조는 실외 패널을 상,하측 창틀에 간편하게 고정해서 상,하측 창틀 사이의 설치 공간을 마감 처리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실외 쪽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 실내 쪽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의 모드별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 설치 구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고정 브라켓이 클램프 기구들에 의해 상측 창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클램프 기구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실외 패널이 고정 부재에 의해 상,하측 창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고정 부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실외 쪽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 실내 쪽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의 모드별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 설치 구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고정 브라켓이 클램프 기구들에 의해 상측 창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클램프 기구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실외 패널이 고정 부재에 의해 상,하측 창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고정 부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대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실외 쪽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 실내 쪽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의 모드별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100)는 케이스(110)와, 실외 그릴(120)과, 실내 그릴(130)과, 외기용 송풍기(140)와, 내기용 송풍기(150)와, 열교환기(160)와, 필터들(171, 172)과, 바이패스 댐퍼(180), 및 재순환 댐퍼(190)를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실외 쪽에 외기흡입포트(OA)와 내기배출포트(EA)가 좌우로 구비되고, 실내 쪽에 외기흡입포트(OA)와 내기배출포트(EA)와 각각 가깝게 외기배출포트(SA)와 내기흡입포트(RA)가 좌우로 구비된다.
예컨대, 외기흡입포트(OA)가 케이스(110)의 좌측에 배치된 경우, 외기배출포트(SA)도 케이스(110)의 좌측에 배치된다. 내기배출포트(EA)가 케이스(110)의 우측에 배치된 경우, 내기흡입포트(RA)도 케이스(110)의 우측에 배치된다.
케이스(110)는 내부 공간에 외기 유로(111)와 메인 내기 유로(112)와 바이패스 내기 유로(113)가 형성된다. 외기 유로(111)와 메인 내기 유로(112)와 바이패스 내기 유로(113)는 케이스(110) 내의 격벽에 의해 구획된다.
외기 유로(111)는 외기흡입포트(OA)로부터 흡입된 외기를 외기배출포트(SA)로 배출시킨다. 외기 유로(111)는 외기흡입포트(OA)로부터 흡입된 외기를 열교환기(160)를 거쳐 외기배출포트(SA)로 배출시키도록 형성된다. 외기흡입포트(OA)와 외기배출포트(SA)가 좌측에 배치된 경우, 외기 유로(111)는 외기를 열교환기(160)의 우측으로 유입시켜 열교환기(160)의 좌측으로 배출시키는 경로를 가질 수 있다.
메인 내기 유로(112)는 내기흡입포트(RA)로부터 흡입된 내기를 내기배출포트(EA)로 배출시킨다. 메인 내기 유로(112)는 내기흡입포트(RA)로부터 흡입된 내기를 열교환기(160)를 거쳐 내기배출포트(EA)로 배출시킨다. 내기흡입포트(RA)와 내기배출포트(EA)가 우측에 배치된 경우, 메인 내기 유로(112)는 내기를 열교환기(160)의 좌측으로 유입시켜 열교환기(160)의 우측으로 배출시키는 경로를 가질 수 있다.
바이패스 내기 유로(113)는 내기흡입포트(RA)로부터 흡입된 내기를 열교환기(160)를 거치지 않고 우회시켜 내기배출포트(EA)로 배출시키도록 메인 내기 유로(112)로부터 분기된다. 바이패스 내기 유로(113)는 내기흡입포트(RA)에 가깝게 배치되어 메인 내기 유로(112)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따라서, 바이패스 환기 모드시, 내기는 내기용 송풍기(150)에 의해 바이패스 내기 유로(113)를 거쳐 모두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실외 그릴(120)은 외기흡입포트(OA)와 통하게 외기 흡입구(122a)가 형성되고 내기배출포트(EA)와 통하게 내기 배출구(122b)가 형성되어, 케이스(110)의 실외 쪽에 장착된다. 실외 그릴(120)은 외기를 외기 흡입구(122a)를 통해 흡입해서 외기흡입포트(OA)로 전달하고, 내기배출포트(EA)로부터 배출된 내기를 내기 배출구(122b)로 전달해서 배출시킨다. 실외 그릴(120)은 외기흡입포트(OA)와 내기배출포트(EA)의 사이를 차단해서, 내,외기가 혼합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실외 그릴(120)은 루프 부재(121)와 그릴 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루프 부재(121)는 외기흡입포트(OA)와 내기배출포트(EA)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121a)에 의해 내부 공간이 구획된다. 따라서, 루프 부재(121)는 구획 공간들에 의해 외기 흡입구(122a)로부터 흡입된 외기와 내기배출포트(EA)로부터 배출된 내기를 분리시켜 외기흡입포트(OA)와 내기 배출구(122b)로 각각 전달할 수 있다.
루프 부재(121)는 상부가 볼록 곡면지면서 바깥쪽으로 연장되며 하부가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루프 부재(121)는 좌,우 부위가 볼록 곡면지면서 바깥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루프 부재(121)는 실외에 노출된 상태에서 빗물을 잘 흘려 보내면서 그릴 부재(122)의 외기 흡입구(122a)와 내기 배출구(122b)로 빗물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릴 부재(122)는 외기 흡입구(122a)와 내기 배출구(122b)가 좌우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중앙 부위가 막힌 형태로 루프 부재(121)의 하부 개구에 장착된다. 그릴 부재(122)는 외기 흡입구(122a)와 내기 배출구(122b)를 갖는 좌우 가장자리 부위가 루프 부재(121)의 내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바깥쪽으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그릴 부재(122)는 외기 흡입구(122a)와 내기 배출구(122b)로 빗물 유입을 차단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실내 그릴(130)은 외기배출포트(SA)와 통하게 외기 배출구(131a)가 형성되고 내기흡입포트(RA)와 통하게 내기 흡입구(131b)가 형성되어, 케이스(110)의 실내 쪽에 장착된다. 실내 그릴(130)은 중앙 안쪽 부위에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100)의 구동 회로기판을 장착할 수 있다.
실내 그릴(130)은 케이스(110)와 함께 외기 배출구(131a)와 내기 흡입구(131b) 사이를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 그릴(130)은 외기배출포트(SA)로부터 배출된 외기와 내기 흡입구(131b)로부터 흡입된 내기를 분리시켜 외기 배출구(131a)와 내기흡입포트(RA)로 각각 전달할 수 있다.
외기용 송풍기(140)는 외기흡입포트(OA)와 외기배출포트(SA)에 인접하여 케이스(110) 내에 배치되어 외기를 송출한다. 따라서, 외기용 송풍기(140)는 외기흡입포트(OA)로부터 외기를 흡입해서 외기배출포트(SA)로 배출시킨다.
외기배출포트(SA)가 좌측에 배치되는 경우, 외기용 송풍기(140)는 좌측에서 외기 배출단이 외기배출포트(SA)와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외기용 송풍기(140)는 외기 배출단이 댐퍼에 의해 개폐되어 외기 배출이 단속될 수 있다. 외기흡입포트(OA)도 댐퍼에 의해 개폐되어 외기 흡입이 단속될 수 있다.
내기용 송풍기(150)는 내기흡입포트(RA)와 내기배출포트(EA)에 인접하여 케이스(110) 내에 배치되어 내기를 송출한다. 따라서, 내기용 송풍기(150)는 내기흡입포트(RA)로부터 내기를 흡입해서 내기배출포트(EA)로 배출시킨다.
내기배출포트(EA)가 우측에 배치되는 경우, 내기용 송풍기(150)는 우측에서 내기 배출단이 내기배출포트(EA)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내기용 송풍기(150)는 내기 배출단이 댐퍼에 의해 개폐되어 내기 배출이 단속될 수 있다.
열교환기(160)는 외기 유로(111)를 흐르는 외기와 메인 내기 유로(112)를 흐르는 내기 간에 열교환시키도록 케이스(110) 내에 배치된다. 열교환기(160)는 외기 유로(111)와 통하는 열교환부와 메인 내기 유로(112)와 통하는 열교환부가 적층된 형태로 외기와 내기 간에 접촉 없이 열전달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열교환기(160)는 하절기 및 동절기와 같이 실내와 실외의 기온차가 큰 계절에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기에 앞서, 배출되는 내기와 열교환되도록 함으로써, 온도차로 인한 냉난방 부하를 줄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게 한다. 열교환기(160)는 공지의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들(171, 172)은 외기 유로(111)와 메인 내기 유로(112)를 흐르는 내,외기를 정화시킨다. 필터들(171, 172)은 외기용 필터(171)와 내기용 필터(172)로 구성될 수 있다. 외기용 필터(171)는 외기 유로(111)로부터 흡입된 외기가 열교환기(160)로 유입되기에 앞서 외기를 정화시킴으로써, 열교환기(160)의 오염을 방지하면서, 정화된 외기가 실내로 공급될 수 있게 한다.
내기용 필터(172)는 메인 내기 유로(112)로부터 흡입된 내기가 열교환기(160)로 유입되기에 앞서 내기를 정화시킴으로써, 열교환기(16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필터들(171, 172)은 공기를 정화시키는 범주에서 공지의 다양한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바이패스 댐퍼(180)는 바이패스 내기 유로(113)를 개폐한다. 바이패스 댐퍼(180)는 바이패스 내기 유로(113)를 폐쇄한 상태에서 일반 환기 모드와 재순환 모드가 작동될 수 있게 한다. 바이패스 댐퍼(180)는 바이패스 내기 유로(113)를 개방한 상태에서 바이패스 환기 모드가 작동될 수 있게 한다.
재순환 댐퍼(190)는 열교환기(160)의 내기 유입단 쪽에서 메인 내기 유로(112)를 외기 유로(111)와 선택적으로 통하게 한다. 재순환 댐퍼(190)는 메인 내기 유로(112)를 외기 유로(111)와 통하게 한 상태에서 재순환 모드가 작동될 수 있게 한다. 재순환 댐퍼(190)는 메인 내기 유로(112)를 외기 유로(111)와 차단한 상태에서 일반 환기 모드 또는 바이패스 환기 모드가 작동될 수 있게 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모드별 작동에 대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환기 모드에서, 바이패스 내기 유로(113)는 바이패스 댐퍼(180)에 의해 폐쇄되고, 메인 내기 유로(112)는 재순환 댐퍼(190)에 의해 외기 유로(111)와 차단된다. 외기흡입포트(OA)는 댐퍼에 의해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내기는 실내로부터 내기용 송풍기(150)에 의해 메인 내기 유로(112)로 흡입되어 내기용 필터(172)와 열교환기(160)를 거쳐 실외로 배출된다. 외기는 실외로부터 외기용 송풍기(140)에 의해 외기 유로(111)로 흡입되어 외기용 필터(171)와 열교환기(160)를 거쳐 실내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외기는 외기용 필터(171)에 의해 정화된 상태로 열교환기(160)에 의해 내기와 열교환되어 실내로 공급될 수 있다. 그 결과, 실내가 환기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 환기 모드에서, 바이패스 내기 유로(113)는 바이패스 댐퍼(180)에 의해 개방되고, 외기흡입포트(OA)는 댐퍼에 의해 개방된다. 메인 내기 유로(112)는 재순환 댐퍼(190)에 의해 외기 유로(111)와 차단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내기는 실내로부터 내기용 송풍기(150)에 의해 바이패스 내기 유로(113)로 흡입되어 실외로 배출된다. 외기는 실외로부터 외기용 송풍기(140)에 의해 외기 유로(111)로 흡입되어 외기용 필터(171)에 의해 정화된 후, 열교환기(160)에서 내기와 열교환 없이 실내로 공급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순환 모드에서, 메인 내기 유로(112)는 재순환 댐퍼(190)에 의해 외기 유로(111)와 통하게 되며, 바이패스 내기 유로(113)는 바이패스 댐퍼(180)에 의해 폐쇄된다. 외기흡입포트(OA)는 댐퍼에 의해 폐쇄된다. 내기용 송풍기(150)는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 외기는 외기흡입포트(OA)를 통해 흡입되지 않는다. 내기는 외기용 송풍기(140)에 의해 실내로부터 메인 내기 유로(112)로 흡입되어 외기 유로(111)로 유입된 후, 외기용 필터(171)와 열교환기(150)를 거쳐 실내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내기는 외기와 열교환 없이 외기용 필터(171)를 거쳐 반복적으로 정화되면서 실내를 순환하여 실내 공기질을 높이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100)는 케이스(110) 중앙에 열교환기(160)를 배치하고, 열교환기(160)의 한쪽 옆에 외기흡입포트(OA)와 외기배출포트(SA)와 외기용 송풍기(140)를 배치하며, 열교환기(160)의 다른 쪽 옆에 내기흡입포트(RA)와 내기배출포트(EA)와 내기용 송풍기(150)를 배치하여, 외기 유로(111)와 메인 내기 유로(112)와 바이패스 내기 유로(113)를 케이스(110) 내에 구획하여 구성하므로, 실내외 방향으로 전후 깊이를 줄이고, 상하 폭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100)는 구조적으로 슬림화되어 창호에 설치하기가 용이하므로, 기존 덕트 방식에 비해 설치 작업 편의성을 높이고, 설치 비용 부담도 줄일 수 있다. 또한,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100)는 기온이나 실외 공기 오염 정도에 따라 일반 환기 모드, 바이패스 환기 모드, 재순환 모드를 적절히 구현할 수 있으므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 설치 구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고정 브라켓이 클램프 기구들에 의해 상측 창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클램프 기구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 설치 구조는 전술한 예의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100)를 상호 이격된 상,하측 창틀(10, 20) 사이의 설치 공간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 브라켓(200)들 및 클램프 기구(300)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하측 창틀(10, 20)은 건물 시공시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100)의 설치를 위해 구성되거나, 기존 창틀에 부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200)들은 케이스(110)의 좌우 단에 각각 고정된다. 클램프 기구(300)들은 고정 브라켓(200)들을 상측 창틀(10)에 고정한다. 예컨대, 각각의 고정 브라켓(200)은 상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수평 연장된 연장편(210)을 구비할 수 있다. 연장편(210)은 고정 브라켓(200)의 상부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균일한 폭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편(210)은 실내외 방향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클램프 기구(300)들은 고정 브라켓(200)에 복수 개씩 할당되어 해당 연장편(210)을 상측 창틀(10)에 고정할 수 있다. 각각의 클램프 기구(300)는 제1 클램프 부재(310)와, 제2 클램프 부재(320), 및 볼트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클램프 부재(310)는 걸림 헤드(311)가 상측 창틀(10)에 좌우로 길게 연장된 안내 홈(11)에 끼워져 걸림 처리된 상태로 체결 보스(312)가 하방으로 인출된다. 안내 홈(11)은 T자형 홈으로 상측 창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안내 홈(11)은 입구 주변에 제1 클램프 부재(310)의 걸림 헤드(311)를 걸림 처리한 상태로 제1 클램프 부재(310)를 상측 창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조정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걸림 헤드(311)는 단폭과 장폭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걸림 헤드(311)는 단폭 방향으로 안내 홈에 끼워진 후 장폭 방향으로 회전해서 안내 홈(11)에 걸림 처리될 수 있다. 체결 보스(312)는 외관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 보스(312)는 내부에 볼트부재와 나사 체결을 위한 나사홈을 갖는다. 체결 보스(312)는 홀 내면에 나사탭이 가공되는 방식으로 나사홈을 갖거나, 나사탭을 갖는 너트가 인서트 사출되는 방식으로 나사홈을 가질 수 있다.
제2 클램프 부재(320)는 몸체(321) 상단으로부터 안착 홈(322)이 형성되어 상단 개구를 통해 체결 보스(312)를 끼워서 안착시킨다. 체결 보스(312)의 외관이 원통형인 경우, 안착 홈(322)은 원형 홈으로 이루어져 내주면이 체결 보스(312)의 외주면과 맞닿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제2 클램프 부재(320)는 안착홈(322)의 저면으로부터 원형의 끼움 블록(323)이 돌출되고, 체결 보스(312)는 하단으로부터 원형의 끼움 홈(313)이 함몰되어 끼움 블록(323)을 끼울 수 있다. 여기서, 체결 보스(312)는 끼움 홈(313) 주변에 링형 플랜지(313a)가 형성되고, 제2 클램프 부재(320)는 끼움 블록(323) 주변에 링형 홈(323a)이 형성되어 링형 플랜지(313a)를 끼울 수 있다. 따라서, 체결 보스(312)는 제2 클램프 부재(320)에 요철 형태로 더욱 안정되게 끼워져 지지될 수 있다.
제2 클램프 부재(320)는 고정 리브(324)가 안착 홈(322)의 상단 개구 주변으로부터 연장편(210)의 하부로 수평 연장되어 상측 창틀(10)과의 사이에 연장편(210)을 끼운다. 고정 리브(324)가 연장편(210)의 하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 클램프 부재(320)가 제1 클램프 부재(310)에 볼트부재(330)로 죄어지면, 고정 리브(324)는 연장편(210)을 상측 창틀(10) 하면에 압박해서 고정할 수 있다. 고정 리브(324)는 상면이 평탄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리브(324)는 하부가 보강 리브(324a)들로 몸체(321)에 연결되어 강건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클램프 부재(320)는 몸체(321)에 체결홀이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체결홀은 볼트부재(330)의 나사부를 통과시킨다. 볼트부재(330)는 제2 클램프 부재(320)의 체결홀을 통해 끼워져 체결 보스(312)에 나사 체결된다. 제2 클램프 부재(320)는 몸체(321) 하단에 홈이 함몰되어 볼트부재(330)의 헤드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볼트부재(330)는 헤드가 제2 클램프 부재(320)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체결 보스(312)에 체결될 수 있다.
전술한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 설치 구조에 의해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100)를 상,하측 창틀(10, 20) 사이의 설치 공간에 고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고정 브라켓(200)들을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100)의 케이스(110) 좌우 단에 고정한다. 그 다음,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100)를 상,하측 창틀(10, 20) 사이의 설치 공간에 삽입한 후 위치 조정한다. 이 상태에서, 제1 클램프 부재(310)의 걸림 헤드(311)를 상측 창틀(10)의 안내 홈(11)에 걸어 목표 위치까지 안내 홈(11)을 따라 이동시킨다.
그 다음, 제2 클램프 부재(320)의 안착 홈(322)에 제1 클램프 부재(310)의 체결 보스(312)를 안착시키고, 제2 클램프 부재(320)의 고정 리브(324)를 고정 브라켓(200)의 연장편(210)의 하부에 대응시킨다. 그 다음, 제2 클램프 부재(320)의 체결홀에 볼트부재(330)를 끼워 제1 클램프 부재(310)의 체결 보스(312)와 나사 체결해 조인다. 나머지 클램프 기구(300)들도 전술한 방식으로 고정 브라켓(200)들의 연장편(210)들에 장착하게 되면,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100)를 상,하측 창틀(10, 20) 사이의 설치 공간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 설치 구조에 따르면,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100)가 상,하측 창틀(10, 20) 사이의 설치 공간 어디에 위치하더라도, 체결을 위한 상,하측 창틀(10, 20)의 가공 없이도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100)를 간편한 방식으로 상,하측 창틀(10, 20)에 고정할 수 있다.
도 12는 실외 패널이 고정 부재에 의해 상,하측 창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고정 부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도 7 및 도 8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 설치 구조는 실내,외 패널(400, 500)과, 고정 부재(600)들을 포함한다.
실내,외 패널(400, 500)은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100)가 상,하측 창틀(10, 20) 사이의 설치 공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설치 공간의 실내,외 쪽 개구를 각각 덮는다. 즉, 상,하측 창틀(10, 20) 사이의 설치 공간이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100)의 좌우 폭보다 넓은 폭을 갖는 경우, 설치 공간은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100)가 위치되지 않은 곳에 빈 영역을 갖게 된다. 실내,외 패널(400, 500)은 빈 영역을 덮어서 마감 처리할 수 있게 한다.
실외 패널(500)은 실내로부터 상,하측 창틀(10, 20) 사이의 설치 공간에 삽입되어 상하 가장자리가 상,하측 창틀(10, 20)의 실외 쪽 내면에 맞닿아 지지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부재(600)들은 실외 패널(500)을 상,하측 창틀(10, 20)에 고정한다.
예컨대, 실외 패널(500)은 상,하부로부터 실내 쪽으로 돌출된 고정 블록(510)들을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고정 부재(600)는 고정 몸체(610)와, 고정 헤드(620)와, 가압 리브(630), 및 지지 리브(640)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 헤드(620)는 고정 몸체(610)의 한쪽 단에 형성되어 상,하측 창틀(10, 20) 중 어느 한쪽의 안내 홈(11)에 끼워져 걸림 처리된다. 고정 헤드(620)는 단폭과 장폭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헤드(620)는 단폭 방향으로 안내 홈(11)에 끼워진 후 장폭 방향으로 회전해서 안내 홈(11)에 걸림 처리될 수 있다.
가압 리브(630)는 고정 몸체(610)의 옆 면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게 연장되어 탄성력으로 실외 패널(500)을 상,하측 창틀(10, 20) 주변에 가압해서 고정한다. 고정 헤드(620)가 안내 홈(11)에 끼워진 후 회전해서 걸림 처리될 때, 가압 리브(630)는 실외 패널(500)의 고정 블록(510) 안쪽 면에 맞닿아 탄성 변형된다. 그에 따라, 가압 리브(630)는 탄성력으로 실외 패널(500)을 상,하측 창틀(10, 20) 주변에 가압해서 고정할 수 있다.
가압 리브(630)는 균일한 두께를 갖고 고정 몸체(610)의 둘레 방향으로 곡면지게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압 리브(63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고정 몸체(610)의 양쪽에 위치될 수 있다. 가압 리브(630)들은 고정 몸체(610)를 중심으로 동일 방향으로 연장된다. 사용자는 안내 홈(11)에 대한 고정 헤드(620)의 끼움 방향에 상관없이 가압 리브(630)들 중 어느 것이라도 편리하게 이용해서 실외 패널(500)을 상,하측 창틀(10,20)에 고정할 수 있다.
지지 리브(640)는 고정 몸체(610)의 다른 쪽 단으로부터 수평 연장되어 고정 블록(510)을 걸어서 지지한다. 고정 헤드(620)가 안내 홈(11)에 끼워진 후 회전해서 걸림 처리될 때, 지지 리브(640)는 고정 블록(510)의 걸림 면으로 이동해서 고정 블록(510)을 걸어서 고정한다.
지지 리브(640)는 가압 리브(630)가 실외 패널(500)의 고정 블록(510) 안쪽 면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고정 블록(510)의 걸림 면으로 이동할 수 있게 위치된다. 지지 리브(640)는 고정 블록(510)의 걸림 면과 마주하는 면이 평탄한 형태로 이루어져 면접촉될 수 있다. 가압 리브(630)가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경우, 지지 리브(640)도 한 쌍으로 구비되어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전술한 고정 부재(600)에 의해 실외 패널(500)을 상,하측 창틀(10, 20)에 고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실외 패널(500)을 실내로부터 상,하측 창틀(10, 20) 사이의 설치 공간에 삽입해서 상,하측 창틀(10, 20)의 실외 쪽 내면에 밀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고정 부재(600)의 고정 헤드(620)를 상측 창틀(10)의 안내 홈(11)에 끼운 후 회전시켜 걸림 처리한다.
이와 동시에, 고정 부재(600)의 가압 리브(630)는 실외 패널(500)의 고정 블록(510) 안쪽 면에 맞닿아 탄성 변형되고, 고정 부재(600)의 지지 리브(640)는 고정 블록(510)의 걸림 면으로 이동해 맞닿는다. 그에 따라, 실외 패널(500)은 가압 리브(630)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측 창틀(10, 20) 주변에 가압되어 고정됨과 아울러, 지지 리브(640)에 의해 걸림 처리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고정 부재(600)의 고정 헤드(620)를 상측 창틀(10)의 안내 홈(11)에 끼운 후 회전시키는 작업만으로 실외 패널(500)을 상,하측 창틀(10, 20)에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다.
실내 패널(400)은 중앙 부위가 실내로부터 상,하측 창틀(10, 20) 사이의 설치 공간에 끼움 결합된 상태로 상,하 가장자리가 상,하측 창틀(10, 20)의 바깥쪽 면에 맞닿아 지지되는 형태로 상,하측 창틀(10, 20)의 실내 쪽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OA..외기흡입포트 SA..외기배출포트
RA..내기흡입포트 EA..내기배출포트
10..상측 창틀 11..안내홈
20..하측 창틀 110..케이스
111..외기 유로 112..메인 내기 유로
113..바이패스 내기 유로 120..실외 그릴
121..루프 부재 122..그릴 부재
130..실내 그릴 140..외기용 송풍기
150..내기용 송풍기 160..열교환기
171, 172..필터 180..바이패스 댐퍼
190..재순환 댐퍼 200..고정 브라켓
210..연장편 300..클램프 기구
310..제1 클램프 부재 311..걸림 헤드
312..체결 보스 320..제2 클램프 부재
322..안착 홈 324..고정 리브
330..볼트부재 400..실내 패널
500..실외 패널 510..고정 블록
600..고정 부재 620..고정 헤드
630..가압 리브 640..지지 리브
RA..내기흡입포트 EA..내기배출포트
10..상측 창틀 11..안내홈
20..하측 창틀 110..케이스
111..외기 유로 112..메인 내기 유로
113..바이패스 내기 유로 120..실외 그릴
121..루프 부재 122..그릴 부재
130..실내 그릴 140..외기용 송풍기
150..내기용 송풍기 160..열교환기
171, 172..필터 180..바이패스 댐퍼
190..재순환 댐퍼 200..고정 브라켓
210..연장편 300..클램프 기구
310..제1 클램프 부재 311..걸림 헤드
312..체결 보스 320..제2 클램프 부재
322..안착 홈 324..고정 리브
330..볼트부재 400..실내 패널
500..실외 패널 510..고정 블록
600..고정 부재 620..고정 헤드
630..가압 리브 640..지지 리브
Claims (6)
- 삭제
- 삭제
- 삭제
- 실외 쪽에 외기흡입포트와 내기배출포트가 좌우로 구비되고, 실내 쪽에 상기 외기흡입포트와 내기배출포트와 각각 가깝게 외기배출포트와 내기흡입포트가 좌우로 구비되며, 내부 공간에 외기 유로와 메인 내기 유로와 바이패스 내기 유로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외기흡입포트와 통하게 외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내기배출포트와 통하게 내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실외 쪽에 장착된 실외 그릴; 상기 외기배출포트와 통하게 외기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내기흡입포트와 통하게 내기 흡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실내 쪽에 장착된 실내 그릴; 상기 외기흡입포트와 외기배출포트에 인접하여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외기를 송출하는 외기용 송풍기; 상기 내기흡입포트와 내기배출포트에 인접하여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내기를 송출하는 내기용 송풍기; 상기 외기 유로를 흐르는 외기와 상기 메인 내기 유로를 흐르는 내기 간에 열교환시키도록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된 열교환기; 상기 외기 유로와 메인 내기 유로를 흐르는 내,외기를 정화시키는 필터들; 상기 바이패스 내기 유로를 개폐하는 바이패스 댐퍼; 및 상기 열교환기의 내기 유입단 쪽에서 상기 메인 내기 유로를 상기 외기 유로와 선택적으로 통하게 하는 재순환 댐퍼를 포함하는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를 상호 이격된 상,하측 창틀 사이의 설치 공간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케이스의 좌우 단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들; 및 상기 고정 브라켓들을 상측 창틀에 고정하는 클램프 기구들;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고정 브라켓은 상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수평 연장된 연장편을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클램프 기구는,
걸림 헤드가 상측 창틀에 좌우로 길게 연장된 안내 홈에 끼워져 걸림 처리된 상태로 체결 보스가 하방으로 인출된 제1 클램프 부재;
몸체 상단으로부터 안착 홈이 형성되어 상단 개구를 통해 상기 체결 보스를 끼워서 안착시키고, 고정 리브가 상기 안착 홈의 상단 개구 주변으로부터 상기 연장편의 하부로 수평 연장되어 상측 창틀과의 사이에 상기 연장편을 끼우며, 몸체에 체결홀이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된 제2 클램프 부재; 및
상기 제2 클램프 부재의 체결홀을 통해 끼워져 상기 체결 보스에 나사 체결되는 볼트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 설치구조. - 실외 쪽에 외기흡입포트와 내기배출포트가 좌우로 구비되고, 실내 쪽에 상기 외기흡입포트와 내기배출포트와 각각 가깝게 외기배출포트와 내기흡입포트가 좌우로 구비되며, 내부 공간에 외기 유로와 메인 내기 유로와 바이패스 내기 유로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외기흡입포트와 통하게 외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내기배출포트와 통하게 내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실외 쪽에 장착된 실외 그릴; 상기 외기배출포트와 통하게 외기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내기흡입포트와 통하게 내기 흡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실내 쪽에 장착된 실내 그릴; 상기 외기흡입포트와 외기배출포트에 인접하여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외기를 송출하는 외기용 송풍기; 상기 내기흡입포트와 내기배출포트에 인접하여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내기를 송출하는 내기용 송풍기; 상기 외기 유로를 흐르는 외기와 상기 메인 내기 유로를 흐르는 내기 간에 열교환시키도록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된 열교환기; 상기 외기 유로와 메인 내기 유로를 흐르는 내,외기를 정화시키는 필터들; 상기 바이패스 내기 유로를 개폐하는 바이패스 댐퍼; 및 상기 열교환기의 내기 유입단 쪽에서 상기 메인 내기 유로를 상기 외기 유로와 선택적으로 통하게 하는 재순환 댐퍼를 포함하는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를 상호 이격된 상,하측 창틀 사이의 설치 공간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케이스의 좌우 단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들;
상기 고정 브라켓들을 상측 창틀에 고정하는 클램프 기구들;
상기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가 상,하측 창틀 사이의 설치 공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설치 공간의 실내,외 쪽 개구를 각각 덮는 실내,외 패널; 및
상기 실외 패널을 상,하측 창틀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들;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 설치구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패널은 상,하부로부터 실내 쪽으로 돌출된 고정 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고정 부재는,
고정 몸체와,
상기 고정 몸체의 한쪽 단에 형성되어 상,하측 창틀 중 어느 한쪽에 좌우로 길게 연장된 안내 홈에 끼워져 걸림 처리되는 고정 헤드와,
상기 고정 몸체의 옆 면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게 연장되어 탄성력으로 상기 실외 패널을 상,하측 창틀 주변에 가압해서 고정하는 가압 리브, 및
상기 고정 몸체의 다른 쪽 단으로부터 수평 연장되어 상기 고정 블록을 걸어서 지지하는 지지 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 설치구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0335A KR102481401B1 (ko) | 2021-02-16 | 2021-02-16 |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 설치구조 |
KR1020220086865A KR102529128B1 (ko) | 2021-02-16 | 2022-07-14 |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0335A KR102481401B1 (ko) | 2021-02-16 | 2021-02-16 |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 설치구조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86865A Division KR102529128B1 (ko) | 2021-02-16 | 2022-07-14 |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6904A KR20220116904A (ko) | 2022-08-23 |
KR102481401B1 true KR102481401B1 (ko) | 2022-12-27 |
Family
ID=830925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20335A KR102481401B1 (ko) | 2021-02-16 | 2021-02-16 |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 설치구조 |
KR1020220086865A KR102529128B1 (ko) | 2021-02-16 | 2022-07-14 |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86865A KR102529128B1 (ko) | 2021-02-16 | 2022-07-14 |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481401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1439B1 (ko) * | 2019-11-13 | 2020-07-08 | 주식회사 포원솔루션그룹 |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 |
JP6732570B2 (ja) | 2016-07-01 | 2020-07-29 | 株式会社Lixil | 換気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64445B1 (ko) * | 2003-07-21 | 2006-03-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환기시스템 |
-
2021
- 2021-02-16 KR KR1020210020335A patent/KR10248140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07-14 KR KR1020220086865A patent/KR10252912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732570B2 (ja) | 2016-07-01 | 2020-07-29 | 株式会社Lixil | 換気装置 |
KR102131439B1 (ko) * | 2019-11-13 | 2020-07-08 | 주식회사 포원솔루션그룹 |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29128B1 (ko) | 2023-05-08 |
KR20220116904A (ko) | 2022-08-23 |
KR20220117175A (ko) | 2022-08-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127329A (ko) | 다기능 전열교환기 | |
KR102052348B1 (ko) | 환기장치 | |
KR102105127B1 (ko) | 스탠드형 전열교환장치 | |
RU2531735C2 (ru) | Вентиля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кон | |
KR102481401B1 (ko) | 창호형 열교환 환기장치 설치구조 | |
JP7304962B2 (ja) | 換気装置用温度調節装置 | |
KR20210106836A (ko) | 건물 환기 시스템 | |
KR102304226B1 (ko) | 전열교환기 | |
KR102115696B1 (ko) | 공기 청정 기능을 가지는 폐열 회수형 환기장치 | |
KR101555199B1 (ko) | 공기조화기 | |
KR102235582B1 (ko) | 환기장치 | |
KR102202404B1 (ko) | 환기장치 | |
JP7228836B2 (ja) | 加圧型熱交換換気式建屋 | |
US20050186901A1 (en) | Adjustable ceiling mounted filter access frame and return system | |
KR100895136B1 (ko) | 환기시스템 | |
KR200331905Y1 (ko) | 창틀 장착형 환기시스템 | |
KR200451455Y1 (ko) | 전열교환기의 흡입유도구조 | |
KR20190052485A (ko) | 공기청정 환기장치 | |
KR102679672B1 (ko) | 전열교환 환기장치 | |
KR102067232B1 (ko) | 벽부형 전열교환기 | |
KR20050010569A (ko) | 환기시스템의 팬하우징 고정구조 | |
KR20060098277A (ko) | 환기시스템 | |
KR20090022642A (ko) | 공기조화시스템 | |
KR200429551Y1 (ko) | 자외선 살균기능을 가진 자동 환풍장치 | |
JP3999883B2 (ja) | 浴室暖房乾燥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