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6973B1 - 정화유닛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정화유닛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6973B1
KR101556973B1 KR1020080115272A KR20080115272A KR101556973B1 KR 101556973 B1 KR101556973 B1 KR 101556973B1 KR 1020080115272 A KR1020080115272 A KR 1020080115272A KR 20080115272 A KR20080115272 A KR 20080115272A KR 101556973 B1 KR101556973 B1 KR 101556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voltage
voltage generator
filter
housing
electric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6207A (ko
Inventor
김한국
윤선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5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973B1/ko
Priority to CN 200910005185 priority patent/CN101737935B/zh
Publication of KR20100056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6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2Transportable units, e.g. for cleaning room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28Plant or installations without electricity supply, e.g. using electr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정화유닛 어셈블리는 공기중의 이물질을 전리시켜 포집하는 전기 집진 필터, 상기 전기 집진 필터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발생기 및 상기 고전압 발생기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기 집진 필터가 착탈되는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을 포함한다. 따라서 고전압 발생기의 설치 위치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전기 집진 필터를 설치할 수 있다.
정화유닛 어셈블리, 전기 집진 필터, 고전압 발생기,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

Description

정화유닛 어셈블리{Purification unit Assembly}
본 발명은, 전기 집진 필터를 구비하는 정화유닛 어셈블리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을 별도로 구비하고, 전기 집진 필터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정화유닛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화유닛은 액체나 기체 속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장치이다. 그리고 공기조화기, 공기청정기, 제습기 등의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질을 걸러내어서 사용자에게 정화된 공기를 제공한다.
즉 상기 공기조화기, 공기청정기, 제습기 등은 일정한 공간의 공기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변화 대상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고, 변화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토출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흡입부와 공기토출부 사이의 공간에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정화유닛이 설치된다.
나아가 최근의 심각해진 대기오염상황에 비추어 깨끗한 공기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는 더욱 많아졌다. 특히 최근의 새집 증후군, 황사, 애완동물의 털 등으로부터 깨끗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능을 가진 정화유닛이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프리 필터, 전처리 필터, 탈취 필터, 헤파 필터, 향균 가습 필터, 무기물 제거 필터, 전기 집진 필터 등의 다양한 정화유닛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종류의 필터를 전부 사용하면 제품의 단가 상승 및 제품의 크기가 너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수요가 많은 복수개의 정화유닛를 제품에 장착을 하여 판매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정화유닛을 추가로 설치를 하거나 교체를 하여 사용을 할 수가 없었다. 설사 교체를 하더라도 전기 집진 필터의 경우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는 고전압 발생기가 전기 집진 필터와 연결이 되어야 한다. 전기 집진 필터의 경우 분리 및 결합이 다른 필터에 비해서 현저히 어렵다. 또한 고전압 발생기의 위치에 따라서 전기 집진 필터를 설치할 수 있는 위치의 제약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전압 발생기를 수용하는 별도의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을 구비하고,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과 전기 집진 필터를 직접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정화유닛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 집진 필터와 다른 필터가 결합을 하는 경우 전체 정화유닛 어셈블리의 크기를 슬림화 할 수 있는 정화유닛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화유닛 어셈블리는 공기중의 이물질을 전리시켜 포집하는 전기 집진 필터, 상기 전기 집진 필터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발생기 및 상기 고전압 발생기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기 집진 필터가 착탈되는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은 상기 전기 집진 필터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전압 발생기가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전압 발생기는 전기 집진 필터 보다 두께가 두껍고, 상기 공간부의 두께는 상기 삽입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은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과의 사이에 상기 삽입부 및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 2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정화유닛 어셈블리는 상기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단자 브래킷, 상기 단자 브래킷에 설치되고 상기 고전압 발생기와 리드 와이어로 연결된 공급 단자 및 상기 전기 집진 필터 중 상기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단자와 접촉되는 필터 단자를 더 포함한다.
상기 단자 브래킷은 상기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공급단자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에는 상기 지지부가 결합되는 브래킷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에는 상기 안착부를 지지하는 안착부 받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 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지지부와 단차가 생기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는 상면이 개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 집진 필터는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정화유닛 어셈블리는 상기 전기 집진 필터의 전방과 후방 중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는 필터 유닛과 상기 전기 집진 필터와 상기 필터 유닛을 직접 연결시키도록 전기 집진 필터와 상기 필터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에는 상기 연결부재를 회피하는 연결부재 회피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고전압발생기 하우징은 상기 필터 유닛을 회피하는 필터 유닛 회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전기 집진 필터에 고전압 발생기를 수용하는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을 직접 결합시킨다. 따라서 고전압 발생기의 설치 위치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전기 집진 필터를 설치할 수 있다. 전기 집진 필터와 복수개의 필터 유닛간을 결합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순서의 정화유닛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다.
둘째,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이 전기 집진 필터와 결합이 되면서 고전압 발 생기를 둘러싸도록 형성이 되고, 또한 전기 집진 필터의 일부를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에 수용을 한다. 따라서 전체 정화유닛 어셈블리의 크기를 슬림화할 수 있으면서, 고전압 발생기를 외부의 이물질이나 수분으로 보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정화유닛 어셈블리는 공기청정기, 제습기, 가습기 등에도 사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조화기에 사용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을 개방하였을 때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정화유닛이 장착된 공기조화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실내기는 사용자가 냉방 또는 난방을 원하는 장소에 위치한다. 그리고 공기 흡입부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한 후, 흡입공기를 열교환기(30)를 통하여 열교환시키고 공기 토출부를 통하여 실내로 다시 송풍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실내기는 전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전면에 전면패널(9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전면 패널(90)은 실내기의 전면 전체를 여닫도록 좌, 우 중 일측에 회동되게 연결된다. 전면패널(90)이 개방되면 후술하는 정화유닛이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각각의 정화유닛(100,200,300)을 실내기의 외부로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각 정화유닛(100,200,300)을 교체하거나, 순서를 바꾸어서 결합을 하거나, 청소를 할 수도 있다.
캐비닛(20)은 실내기의 후방부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팬모터(47)가 결합되고, 팬하우징(43)과 함께 실내기 송풍기의 공기토출부를 형성한다.
한편, 실내기는 송풍기(40), 열교환기(30)를 포함한다.
송풍기(40)는 팬모터(47), 팬모터(47)에 연결된 송풍팬(45), 송풍팬(45)과 팬모터(47)를 둘러싸고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팬 하우징(43), 팬 하우징(43)의 개구부의 전면에 위치하는 오리피스(41)를 포함한다. 그리고 송풍기(40)는 실내기에 형성되는 공기흡입부를 통하여 실내공기를 유입하고, 열교환기(30)측으로 송풍시킨다. 한편, 후술하는 정화유닛 어셈블리(400)는 팬하우징(43) 또는 오리피스(4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오리피스(4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오리피스(41)에 형성되는 연결부재 착탈부(41a, 41b, 41c)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전기집진필터 및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의 결합 전 사시도이고, 도4는 도3의 분해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필터 와 필터 유닛의 결합 전 사시도이고, 도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어 케이스의 배면사시도이고, 도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케이스의 배면사시도이다.
도3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정화유닛 어셈블리를 설명한다.
정화유닛 어셈블리(400)는 전기집진필터(100), 고전압 발생기(143),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140) 및 필터유닛(200,300)을 포함한다.
전기 집진 필터(100)는 인가되는 고전압을 이용하여 공기중의 이물질을 전리 포집한다. 그리고 전기 집진 필터(100)는 프론트 케이스(110), 리어 케이스(130), 전리부(152) 및 포집부(154)를 포함한다.
전리부(152)는 방전극과 방전대응극으로 이루어져 공기 중의 먼지를 이온화시킨다. 그리고 포집부(154)는 포집부와 가속전극으로 이루어져 전리부(152)에서 이온화된 먼지 등을 포집한다. 전리부(152) 또는 포집부(154)에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필터 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리부(152)의 하부에 필터 단자(156)가 형성된다. 그리고 필터 단자(156)는 후술하는 프론트 케이스(110)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홀(112)를 통하여 전기 집진 필터(100)의 외부로 노출이 되고, 고전압 발생기(143)의 공급단자(143a)와 연결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30)는 전기집진필터(100)의 후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필터(150)를 통과한 공기가 후방의 정화유닛(300)으로 유입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프론트 케이스(110)과 다양한 체결수단에 의해서 결합된다.
리어 케이스(130)의 후면에는 후술하는 연결부재(160,170,180)가 결합되는 연결부재 결합부(132,134,136)가 형성된다. 연결부재(160,170,18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전기집진필터(100)를 필터 유닛(100,200)의 전면, 오리피스(41)의 전면 또는 팬하우징(43)의 전면에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연결부재(160,170,180)에 의해서 전기집진필터(100)를 후술하는 필터 유닛(200)의 전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따라서 연 결부재 결합부(132,134,136)도 3개가 리어 케이스(130)의 후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부재 결합부(132,134,136)는 리어 케이스(130)의 후면에 다양하게 위치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리어 케이스(130)의 상부와 좌, 우측 하부에 한 쌍이 형성된다. 이하 편의상 상부 연결부재 결합부(136)와 좌, 우측 하부 연결부재 결합부(132,134)로 설명한다.
그리고 연결부재 결합부(132,134,136)는 연결부재(160,170,180)와의 결합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연결부재 결합부(132,134,136)는 연결부재(160,170,180)가 슬라이딩 되면서 끼움결합 될 수 있는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홈은 리어케이스(130)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연결부재(160,170,18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개구 형성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결부재(160,170,180)가 연결부재 결합부(132,134,136)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안내하는 안내부(162,172, 182)가 형성된다. 또한 연결부재(160,170,180)가 연결부재 결합부(132,134, 136)로 완전히 삽입된 경우 연결부재(160,170,180)가 연결부재 결합부(132, 134,136)에서 임의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탈거방지돌기(164,174,184)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연결부재 결합부(136)는 상면이 개구된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 연결부재(160)가 상부에서 슬라이딩 삽입된다. 그리고 상부 연결부재(160)가 상부 연결부재 결합부(136)에 완전히 삽입이 되면 상부 연결부재(160)의 하부에 형성된 탈거방지돌기(164)는 상부 연결부재 결합부(136)의 하부면에 걸려서 상부 연결부재(160)의 임의 탈거를 방지한다.
그리고 좌, 우측 연결부재 결합부(132,134)는 좌, 우측면이 개구된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좌, 우측 연결부재(170,180)가 정화유닛(100)의 좌, 우측에서 슬라이딩 삽입된다. 그리고 좌, 우측 연결부재(170,180)가 완전히 삽입되면 좌, 우측 연결부재(170,180)에 형성된 탈거방지돌기(174,184)는 좌측 연결부재 결합부(134)의 우측면과 우측 연결부재 결합부(132)의 좌측면에 걸려서 좌, 우측 연결부재(170,180)의 탈거를 방지하게 된다.
연결부재는 전기 집진 필터(100)에 결합되어 전기 집진 필터(100)를 필터 유닛(200,300) 또는 오리피스(41)에 결합시킨다.
연결부재(160,170,180)는 전기 집진 필터(100)의 리어 케이스(130)에 형성된 연결부재 결합부(132,134,136)에 결합된다. 따라서 연결부재(160,170,180)에는 홈 형상의 연결부재 결합부(132,134,136)에 연결부재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안내하는 안내부(162,172,182)가 돌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연결부재(160)에는 상면이 개구 형성된 상부 연결부재 결합부(136)의 홈 좌, 우측면을 따라 상부 연결부재(160)의 상, 하 착탈을 안내하도록 안내부(162)가 상부 연결부재(160)의 좌, 우측에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좌, 우측 연결부재(170,180)에는 좌, 우측면이 개구 형성된 좌, 우측 연결부재 결합부(132,134)의 홈 상, 하측면을 따라 좌, 우측 연결부재(170,180)의 좌, 우 착탈을 안내하도록 안내부(172,174)가 좌, 우측 연결부재(170,180)의 상, 하측에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부재(160,170,180)에는 연결부재(160,170,180)가 연결부재 결 합부(132,134,136)에 완전히 결합된 경우 연결부재(160,170,180)의 임의 탈거를 방지하는 탈거방지돌기(164,174,184)가 돌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상부 연결부재(160)의 하부에는 상부 연결부재의 상방향의 탈거를 방지하는 탈거방지돌기(164)가 돌출 형성된다. 좌,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착탈되는 좌측 연결부재(170)의 우측과 우측 연결부재(180)의 좌측에는 탈거방지돌기(174,184)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부재(160,170,180)는 필터 유닛(200)에 형성되는 연결부재 착탈부(212, 214, 216)에 결합된다. 여기서 필터 유닛(200)에 형성되는 연결부재 착탈부(212,214,216)의 구성 및 위치는 후술할 전기 집진 필터(100)의 프론트 케이스(110)에 형성되는 연결부재 착탈부(112,114,116)와 동일한 바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연결부재(160,170,180)는 연결부재 착탈부(212,214,216)와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즉 자력에 의해서 결합을 할 수도 있고, 걸림결합을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연결부재(160)와 상부 연결부재 착탈부(216)는 자성체의 자력에 의해서 착탈가능하게 결합한다. 그리고 하부 좌, 우측 연결부재(170,180)와 하부 좌, 우측 연결부재 착탈부(212,214)는 걸림결합을 한다.
따라서 상부 연결부재(160)의 전면에는 자성체(166)가 삽입되고, 상부 연결부재 착탈부(216)의 내부에는 금속 브래킷이 설치된다. 그리고 하부 좌, 우측 연결부재(170,180)에는 걸림돌기(170a, 180a)가 형성되어 하부 연결부재 착탈부(212,214)의 내부로 걸림결합을 하게 된다.
프론트 케이스(110)는 정화유닛의 전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전면에 공기가 유입되어 통과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프론트 케이스(110)은 다양한 체결수단에 의해서 리어 케이스(130)과 결합될 수 있다.
전기 집진 필터(100)의 전면에는 필터 유닛(200,300)이 결합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론트 케이스(110)의 전면에는 필터 유닛(200,300)의 배면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연결부재 착탈부(112,114,116)가 형성된다. 여기서 필터 유닛(200,300)에 결합되는 연결부재의 구성 및 위치는 상기 설명한 전기 집진 필터(100)에 결합되는 연결부재(160,170,180)과 동일한 바,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연결부재 착탈부(112,114,116)는 상기 설명한 연결부재 결합부(132,134,136)와 대향되는 위치에 3개가 형성된다. 즉 연결부재 착탈부(112,114,116)는 프론트 케이스(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연결부재 착탈부(112)와 프론트 케이스(110)의 좌, 우측 하단에 위치하는 좌, 우측 하부 연결부재 착탈부(114,116)를 포함한다.
그리고 각 연결부재 착탈부(112,114,116)는 연결부재(260,270,280)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집진 필터(100)과 필터 유닛(200,300)간의 간격을 좁게 할 수 있다. 결국 필터 유닛(200,300)과 전기 집진 필터(100)를 순차적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간격을 통하여 새어나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전체 정화유닛 어셈블리(400)의 크기를 슬림화할 수 있어서 실내기 내부의 공간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연결부재 착탈부(112,114,116)는 프론트 케이스(110)에 개구 형성된다. 그리고 전리부(152)와 포집부(154)의 상부는 프론트 케이스(110)과 리어 케이스(130) 중 개구 형성된 연결부재 착탈부(112,114,116)의 뒷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연결부재 착탈부(112,114,116)의 뒷부분에는 전리부(152)와 포집부(154)가 형성하는 두께만큼의 공간이 형성되고, 연결부재는 그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게 된다.
그리고 각 연결부재 착탈부(112,114,116)에는 연결부재가 결합되지 않는 경우, 연결부재 착탈부(112,114,116)를 덮는 커버(113,115,117)가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전기 집진 필터(100)가 정화유닛 어셈블리(400)의 최전방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전면패널(70)을 개방한 경우 연결부재 착탈부(112,114,116)는 커버(113,115,117)에 의해서 덮여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전면패널(90) 개방시 미감상 우수하고, 연결부재 착탈부(112,114,116)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113,115,117)는 각 연결부재 착탈부(112, 114, 11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 결합시 연결부재에 의해서 연결부재 착탈부(112,114,116)내부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나아가 커버(113,115,117)에는 탄성부재(119,120,121)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연결부재 착탈부(112,114,116)에서 분리되는 경우 탄성부재(119,120,121)의 탄성력에 의해서 커버(113,115,117)가 연결부재 착탈부(112,114,116)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결국 커버(113,115,117)는 연결부재가 연결부재 착탈부(112,114,116)에 결합되는 경 우 연결부재에 의해서 밀리면서 연결부재 착탈부(112,114,116) 내측으로 회전되면서 들어간다. 그리고 연결부재가 연결부재 착탈부(112,114,116)에서 분리되는 경우, 커버(113,115,117)는 탄성부재(119,120,121)의 탄성력에 의해서 연결부재 착탈부(112,114,116)를 자동적으로 덮게 된다.
프론트 케이스(110)의 하면에는 개구홀(112)이 형성된다. 그리고 개구홀(112)을 통하여 집진부(152)의 필터 단자(156)가 고전압발생기(143)의 공급단자(143a)와 접촉을 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 단자(156), 개구홀(112) 및 공급단자(143a)는 각각 2개가 구비된다.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140)은 상기 전리부(152)와 포집부(154)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발생기(143)가 설치된다. 그리고 전기 집진 필터(100)와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정화유닛 어셈블리(100)은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140) 내부에 설치되는 단자 브래킷(190)과 상기 단자 브래킷(190)에 설치되고 상기 고전압 발생기(143)와 리드 와이어로 연결되는 공급 단자(143a)를 포함한다.
그리고 공급 단자(143a)는 프론트 케이스(110)에 형성된 개구홀(112)을 통하여 전기 집진 필터(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필터 단자(156)와 접촉된다. 그리고 공급단자(143a)는 탄성체로 이루어져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140)에 전기 집진 유닛(100)이 결합되면서 공급단자(143a)와 전기 집진 필터(100)의 하부로 노출되는 필터 단자(156)와 접촉을 할 때 결합력을 완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집진필터(100)가 상기 공급단자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부에서 결합시의 결합력를 완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공급단자(143a)는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단자 브래킷(190)은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140)에 지지되는 지지부(192)와 공급단자(143a)가 안착되는 안착부(194)가 형성된다. 지지부(192)는 공급단자 브래킷의 좌, 우 측면에 판형으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140)에 형성된 브래킷 고정부(142a)에 삽입되면서 고정된다. 양쪽 지지부(192)의 내측에는 안착부(194)가 한 쌍 형성된다. 그리고 안착부(194)의 내측에는 안착부(194)에 공급단자(143a)가 안착된 경우 상기 공급단자를 고정할 수 있도록 격벽(196)이 한 쌍 형성될 수 있다. 격벽(196)은 별도의 부재로 안착부(194)에 상향 돌출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안착부(194)와 일체의 부재이면서 상향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향 절곡된 내측면에는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140)에 형성된 격벽 지지부(142c)가 삽입되면서 단자 브래킷(190) 전체를 지지하게 된다.
한편, 안착부(194)와 지지부(192)는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급단자(143a)는 상기 설명한 격벽(196)과 안착부(194)와 지지부(192)사이에 형성된 단차진 면에 의해서 고정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안착부(194)와 지지부(192)의 사이에는 전기 집진 필터(100)가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140)에 결합된 경우 전지 집진 필터(100)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전지 집진 필터 지지부(198)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명한 스프링 형상의 공급단자(143a)는 상기 고전압 발생기 지지부(198)보다 높게 위치하여 공급단자(143a)와 필터 단자(156)가 잘 접촉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140)은 고전압 발생기(143)을 수용을 하면서, 전기 집진 필터(10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140) 내부로 전기 집진 필터(100)이 삽입이 된다. 따라서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140)은 전기 집진 필터(100)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부(S1)와 고전압 발생기(143)이 수용되는 공간부(S2)가 형성된다.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140)은 전기 집진필터(100)의 하부에 결합되고, 전기 집진 필터(100)은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140)에 끼움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공간부(S2)는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140)의 하부에 형성되고, 삽입부(S1)은 상기 공간부(S2)의 상부에 형성된다.
한편, 고전압 발생기(143)은 전기 집진 필터(100)보다 두께가 두껍고, 따라서 공간부(S2)도 삽입부(S1)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140)은 하우징 내부에 고전압 발생기(143) 등의 부품의 설치 편의를 위해서 복수개의 하우징의 결합으로 구성되다.
구체적으로 제1하우징과 제1하우징과의 사이에 상기 삽입부 및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2하우징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140)의 좌, 우측을 각각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140)의 전, 후면을 구성하도록 형성된다. 즉 제1하우징은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140)의 전면을 형성하고, 제2하우징은 고전압 발생기의 후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이하 제1하우징은 프론트 하우징(141)으로 제2하우징은 리어 하우징(142)으로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삽입부(S1)보다 공간부(S2)가 두껍게 형성되는 바,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 하우징(141) 또는 리어 하우징(142) 중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의 하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즉 프론트 하우징(141)이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거나, 프론트 하우징(141)이 전방으로 리어 하우징(142)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공간부(S2)를 삽입부(S1)보다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리어 하우징(142)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공간부(S2)를 삽입부(S1)보다 두껍게 형성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리어 하우징(142)의 하부 전체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나, 하부에서 고전압 발생기(143)이 위치하는 부분만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프론트 하우징(141)과 리어 하우징(142)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양자가 끼움결합된다.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140)은 전기 집진 필터(100)의 각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실내기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부분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정화유닛 어셈블리(400)의 하부의 공간을 충분히 활용을 하면서 실내기 전체의 크기의 슬림화 등을 위해서 전기 집진 필터(100)의 하부에 결합이 된다.
그리고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140)에 전기 집진 필터(100)가 끼움결합이 되면, 양자가 결합된 경우 실내기 내부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는 양자는 끼움결합이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전기 집진 필터(100)와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140)와 필터 유닛(200,300) 등을 직접 결합 하거나 분리하여 정화유닛 어셈블리(400)를 형성하는 바, 끼움결합방식으로 사용자가 별도의 체결부재 등 없이도 간단하게 결합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140)의 상면에는 전기 집진 필터(100)의 하부 중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140a)가 형성된다. 그리고 전기 집진 필터(100)의 하부는 개구부(140a)를 통과하면서 삽입부(S1)으로 삽입된다.
한편,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 집진 필터(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필터 유닛(200,300)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론트 하우징(141)과 리어 하우징(142) 중 어느 하나에는 필터 유닛(200,300)이 결합된 경우 필터 유닛(200,300)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필터 유닛 회피부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어 하우징(142)의 하부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바, 리어 하우징(142)의 상부는 상대적으로 리어 하우징(142)의 하부보다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전기 집진 필터(100)의 후면에 필터 유닛(200,300)이 결합되는 경우 필터 유닛(200,300)의 하부를 회피할 수 있는 필터 유닛 회피부(142d)가 형성된다. 다시 설명하면 리어 하우징(142)의 하부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리어 하우징(142)의 하부 내부의 공간에는 고전압 발생기(143)이 수용되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되고, 리어 하우징(142)의 상부 외측면에는 필터 유닛(200,300)의 하부를 회피할 수 있는 필터 유닛 회피부(142d)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론트 하우징(141)의 하부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경우에는 프론트 하우징(141)의 상부에도 필터 유닛 회피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론트 하우징(141)과 리어 하우징(142)의 하부 모두가 전,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경우에는 프론트 하우징(141)의 상부와 리어 하우징(142)의 상부 모두에 필터 유닛 회피부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 집진 필터(100)의 후면에 필터 유닛(200,300)이 결합된 경우 필터 유닛(200,300)의 하부 일부분(정확하게는 전기 집진 필터(100)가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140)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만큼의 부분)이 회피부(142d)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 집진 필터(100)와 필터 유닛(200,300)이 결합된 경우 정화유닛 어셈블리(400)의 크기를 슬림화 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론트 하우징(141)과 리어 하우징(142)의 상부에는 전기 집진 필터(100)가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140)에 끼움결합되는 경우 연결부재를 회피할 수 있는 연결부재 회피부(141e, 142e)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프론트 하우징(141)에는 전기 집진 필터(100)의 전방에 필터 유닛(200,300)이 결합되는 경우 전방의 필터 유닛(200,300)에 결합되는 연결부재 중 하부에 2개의 연결부재를 회피하는 연결부재 회피부(141e)가 연결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리어 하우징(142)에는 전기 집진 필터(100)의 후방에 필터 유닛(200,300)이 결합되는 경우 전기 집진 필터(100)에 결합된 연결부재(160,170,180) 중 하부 좌, 우측의 연결부재(170,180)를 회피하는 연결부재 회피부(142e)가 형성된다. 연결부재 회피부(142e)의 두께는 연결부재(170,180)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한편, 리어 하우징(142) 좌, 우측 내부면에는 단자 브래킷(190)에 형성된 지지부(192)가 결합되는 브래킷 고정부(142a)가 형성된다. 브래킷 고정부(142a)는 지지부(192)의 두께만큼의 간격을 두고 상, 하 이격된 복수개의 리브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리브 사이로 지지부(192)가 삽입된다.
그리고 리어 하우징(142)의 전면에는 단자 브래킷(190)에 형성된 안착부(194)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브래킷 받침부(142b)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급단자 브래킷(190)의 지지부(192)와 안착부(194)가 일정높이 단차지게 형성되는 경우 브래킷 고정부(142a)와 브래킷 받침부(142b)도 상기 단차진 거리만큼 떨어져서 형성된다.
또한 리어 하우징(142)에는 단자 브래킷(190)에 형성된 격벽(196)을 지지하는 격벽지지부(142c)가 형성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격벽(196)이 안착부(194)와 일체의 부재이면서 상향 절곡되어 형성되므로, 격벽 지지부(142c)는 상기 상향 절곡된 내측면에 삽입되면서 단자 브래킷(19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리어 하우징의 내면에 돌출 형성된다.
결국 단자 브래킷(190)은 리어 하우징(142)에 형성된 브래킷 고정주(142a), 브래킷 받침부(142b) 및 격벽지지부(142c)가 형성하는 공간 사이에 삽입되면서 결합이 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프론트 하우징(141)의 내측면에도 상기 리어 하우징(142)에 형성된 브래킷 고정부(142a), 브래킷 받침부(142b) 및 격벽 지지부(142c)가 형성될 수 있다.
필터 유닛(200,300)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 집진 필터(100)와 전체 적인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전기 집진 유닛(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전기 집진 필터(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리부(152)와 포집부(154) 등의 구성 대신 다양한 종류의 필터가 설치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서 오리피스의 사시도이다. 도8을 참조하면, 정화유닛 어셈블리(400)은 팬하우징(43) 또는 오리피스(4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오리피스(41)에 결합된다. 오리피스(41)에는 전기 집진 필터(100)과 필터 유닛(200,300)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전기 집진 필터(100)가 결합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오리피스(41)에는 전기 집진 필터(100)에 형성된 연결부재(160,170,18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 착탈부(41a,41b,41c)가 형성된다.
연결부재 착탈부(41a,41b,41c)는 연결부재(160,170,180)의 구성에 따라 전체적으로 금속 브래킷이 설치될 수도 있고, 걸림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착탈부(41a)에는 금속 브래킷이 설치되고, 좌, 우측 하부 착탈부(41b, 41c)는 좌, 우측 하부 연결부재(170,180)의 걸림돌기(170a,180a)가 걸리는 걸림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정화유닛 어셈블리(400)의 결합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 집진 유닛(100)의 배변에 형성되는 연결부재 결합부(132,134,136)와 연결부재 결합부(132,134,136)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연결부재(160,170,180)는 각 필터 유닛(200,300)의 배면에 형성되는 연결부재 결합부와 상기 연결부재 결합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위치와 구성이 같다. 그리 고 전기 집진 필터(100)의 전면에 형성되는 연결부재 착탈부(112,114,116)의 크기와 위치도 필터 유닛(200,300)의 전면에 형성되는 연결부재 착탈부와 위치 및 구성이 같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가 원하는 순서로 전기 집진 필터(100)와 필터 유닛(200,300)간을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 집진 필터(100)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140)이 실내기의 내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전기 집진 필터(100)의 하부에 별도로 끼움 결합되므로 사용자가 정화유닛 어셈블리(400)를 원하는 순서 또는 개수로 구성을 할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좌, 우측 하부 연결부재(160,170)를 필터 유닛(200)의 하부 연결부재 착탈부(212,214)로 밀어넣게 되면 커버가 내측으로 밀리면서 연결부재의 걸림돌기(170a, 180a)가 좌, 우측 하부 연결부재(160,170)의 내부로 걸리면서 결합이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부 연결부재(160)를 상부 연결부재 착탈부(216)로 밀어 넣게 되면 연결부재(160)에 형성된 마그네트(166)와 연결부재 착탈부(216) 내부에 설치되는 자성체가 자력에 의해서 결합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 집진 필터(100)는 오리피스(41)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즉 좌, 우측 하부 연결부재(170,180)의 걸림돌기(170a,180a)를 걸림홈 형상의 연결부재 착탈부(41b,41c)에 걸고, 상부 연결부재(160)을 오리피스(41)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부재 착탈부(41a) 내부로 밀어 넣으면서 전기 집진 유닛(100)을 오리피스(41)에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복수개의 필터 유 닛(200,300)을 전기 집진 유닛(100)의 전방에 결합시키면서 정화유닛 어셈블리(40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을 개방하였을 때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실시예의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필터와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의 결합 전 사시도;
도4는 본 실시예의 전기 집진 필터와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예의 전기 집진 필터와 필터 유닛의 결합 전 사시도;
도 6은 본 실시예의 리어 케이스의 배면 사시도;
도 7는 본 실시예의 프론트 케이스의 배면 사시도;
도 8은 본 실시예의 전기 집진 필터와 오리피스의 결합 전 시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캐비닛 30: 열교환기
40: 송풍기 41: 오리피스
43: 팬 하우징 45: 송풍팬
47: 모터 90: 흡입패널 어셈블리
100: 전기 집진 필터 110: 프론트 케이스
112,114,116: 연결부재 착탈부 113,115,117: 커버
119,120,121: 탄성부재 130: 리어 케이스
132,134,136: 연결부재 결합부 137: 자성체
140: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 141: 프론트 하우징
141e: 연결부재 회피부 142: 리어 하우징
142a: 브래킷 고정부 142b: 안착부 지지부
142c: 격벽 지지부 142d: 필터 유닛 회피부
142e: 연결부재 회피부 143: 고전압 발생기
152: 집진부 154: 포집부
156: 필터 단자 160, 170,180: 연결부재
190: 단자 브래킷 192: 지지부
194: 안착부 196: 격벽
198: 전기집진필터 지지부 200,300: 필터 유닛

Claims (14)

  1. 공기중의 이물질을 전리시켜 포집하는 전기 집진 필터; 상기 전기 집진 필터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발생기; 및 상기 고전압 발생기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기 집진 필터가 착탈되는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를 포함하고,
    상기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은
    상기 전기 집진 필터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고전압 발생기가 수용되는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단자 브래킷; 상기 단자 브래킷에 설치되고 상기 고전압 발생기와 리드 와이어로 연결된 공급 단자; 및 상기 전기 집진 필터 중 상기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단자와 접촉되는 필터 단자;를 포함하는 정화유닛 어셈블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 집진 필터는 상기 고전압 발생기 보다 두께가 얇고,
    상기 공간부의 두께는 상기 삽입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정화유닛 어셈블리.
  4. 청구항 3에 있어서,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은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과의 사이에 상기 삽입부 및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 2 하우징을 포함하는 정화유닛 어셈블리.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자 브래킷은 상기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공급단자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정화유닛 어셈블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에는 상기 지지부가 결합되는 브래킷 고정부가 형성되는 정화유닛 어셈블리.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에는 상기 안착부를 지지하는 안착부 받침부가 형성되는 정화유닛 어셈블리.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지지부와 단차가 생기도록 형성되는 정화유닛 어셈블리.
  10. 공기중의 이물질을 전리시켜 포집하는 전기 집진 필터;
    상기 전기 집진 필터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발생기; 및
    상기 고전압 발생기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기 집진 필터가 착탈되는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를 포함하고,
    상기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는 상면이 개구된 정화유닛 어셈블리.
  11. 삭제
  12. 공기중의 이물질을 전리시켜 포집하는 전기 집진 필터;
    상기 전기 집진 필터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발생기; 및
    상기 고전압 발생기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기 집진 필터가 착탈되는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집진 필터의 전방과 후방 중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는 필터 유닛;
    상기 전기 집진 필터와 상기 필터 유닛을 직접 연결시키도록 전기 집진 필터와 상기 필터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정화유닛 어셈블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에는 상기 연결부재를 회피하는 연결부재 회피부가 형성된 정화유닛 어셈블리.
  14. 청구항 12있어서,
    상기 고전압 발생기 하우징은 상기 필터 유닛을 회피하는 필터 유닛 회피부가 형성된 정화유닛 어셈블리.
KR1020080115272A 2008-11-17 2008-11-19 정화유닛 어셈블리 KR101556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272A KR101556973B1 (ko) 2008-11-19 2008-11-19 정화유닛 어셈블리
CN 200910005185 CN101737935B (zh) 2008-11-17 2009-02-06 净化单元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272A KR101556973B1 (ko) 2008-11-19 2008-11-19 정화유닛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207A KR20100056207A (ko) 2010-05-27
KR101556973B1 true KR101556973B1 (ko) 2015-10-02

Family

ID=42280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272A KR101556973B1 (ko) 2008-11-17 2008-11-19 정화유닛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69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34595B (zh) * 2014-12-29 2017-01-04 宁波市镇海捷登应用技术研究所 一种便于拆装的柜式空气净化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207A (ko) 201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78074A1 (en) Electrostatic air purifier with a laterally removable collection grid module
KR101556973B1 (ko) 정화유닛 어셈블리
KR20100077951A (ko) 에어컨의 전기집진기
KR101431750B1 (ko) 정화유닛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JP5696718B2 (ja) 放電ユニット及び空気清浄機
CN212319916U (zh) 空气处理装置、空调室内机及空调器
JPH11207208A (ja) 空気清浄装置
JPH06226139A (ja) 空気清浄機
EP4227589A1 (en) Air conditioner
KR101280373B1 (ko) 공기조화기
KR20060112419A (ko) 공기청정기
CN218523657U (zh) 用于空调器的消毒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CN216204030U (zh) 新风空调系统
KR101076941B1 (ko) 공기청정기
CN217057864U (zh) 一种便装式空气净化器滤芯
CN218355184U (zh) 家具柜
KR101217402B1 (ko) 공기청정기
CN109028380B (zh) 高压包组件及空气处理装置
US20240125487A1 (en) Air purification device and air conditioner
JP5293774B2 (ja) 空気調和機
CN214254814U (zh) 供电组件、空气净化装置和空调器
JP2013007552A (ja) 空気調和機
JP3596802B2 (ja) 固定ばね及びその取付構造並びに空気清浄装置
KR20050010581A (ko) 환기시스템
KR20060112757A (ko)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