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9254A - 방향기능을 갖는 창 - Google Patents

방향기능을 갖는 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9254A
KR20240059254A KR1020220140302A KR20220140302A KR20240059254A KR 20240059254 A KR20240059254 A KR 20240059254A KR 1020220140302 A KR1020220140302 A KR 1020220140302A KR 20220140302 A KR20220140302 A KR 20220140302A KR 20240059254 A KR20240059254 A KR 20240059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indow frame
sensor
uni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0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채인
Original Assignee
오채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채인 filed Critical 오채인
Priority to KR1020220140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9254A/ko
Publication of KR20240059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925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1Feedback to user, e.g. tactile
    • E05Y2400/818Visu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방향기능을 갖는 창이 제공된다. 방향기능을 갖는 창은, 창틀 프레임과 상기 창틀 프레임에 배치되어 이동하는 창문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창문과, 창문에 배치되고, 방향성분의 저장 및 배출을 안내하는 방향수단 및 창문 프레임의 개방 여부에 따라 방향수단으로부터 방향성분이 배출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방향기능을 갖는 창{A window with a scent function}
본 발명은 방향기능을 갖는 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문 프레임의 개폐여부에 따라 방향성분이 배출되도록 하는 방향기능을 갖는 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건축물의 환기가 가능하도록 창틀 프레임과 창문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창문이 배치되고, 특히, 창문 프레임을 개방시켜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창문은 실내 및 실외를 차단하는 기능 외에는 다른 기능을 전혀 제공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757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창문 프레임의 개폐여부에 따라 방향성분이 배출되도록 하는 방향기능을 갖는 창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창문 프레임이 개방되는 횟수에 따라 방향성분이 배출되도록 하는 방향기능을 갖는 창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방향성분이 분출 또는 분사됨으로써 몸과 마음의 긴장이 풀리면서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기능을 갖는 창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기능을 갖는 창은, 창틀 프레임과 상기 창틀 프레임에 배치되어 이동하는 창문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창문과, 상기 창문에 배치되고, 방향성분의 저장 및 배출을 안내하는 방향수단 및 상기 창문 프레임의 개방 여부에 따라 방향수단으로부터 방향성분이 배출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방향수단은, 상기 방향성분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방향성분의 배출을 안내하도록 저장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창틀 프레임 내부에서 창문 프레임이 열리거나 닫히는 것을 감지하는 제1 센서와, 상기 제1 센서에서 감지되는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부 및 상기 카운트부에서 감지된 횟수에 따라 개폐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의 작동된 이후의 시간을 측정하는 제2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각 센서의 작동 여부 및 각 센서에서 측정된 결과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기능을 갖는 창에 의하면, 창문 프레임의 개폐여부에 따라 방향성분이 분출되도록 하거나, 창문 프레임이 개방되는 횟수에 따라 방향성분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몸과 마음의 긴장이 풀리면서 건강한 생활을 영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밀폐된 실내에서 발생하는 채취 또는 악취를 제거함으로써 상쾌함을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기능을 갖는 창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기능을 갖는 창의 제어수단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기능을 갖는 창의 센서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기능을 갖는 창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기능을 갖는 창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기능을 갖는 창의 제어수단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기능을 갖는 창의 센서부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기능을 갖는 창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기능을 갖는 창(100)은, 방향수단(120)이 창문에 설치되어 방향성분을 배출하는 것으로, 창문(110), 방향수단(120), 제어수단(130)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창문(110)은 건축물의 벽면에 배치되어 실내와 실외가 연통되게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창문(110)은 벽면에 배치된 창틀 프레임(111)과 창틀 프레임(111)에 배치되어 이동하는 창문 프레임(112)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통상의 창문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창문(110)은 설치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설치공간은 창틀 프레임(111) 상단 부분에 형성되고, 방향수단(120) 및 제어수단(130)을 수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설치공간은 창틀 프레임(111)의 하단 부분 또는 중간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방향수단(120)은 창틀 프레임(111) 또는 창문 프레임(112)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향수단(120)은 방향성분의 저장 및 방향성분의 배출을 안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향수단(120)은 저장부(121), 개폐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저장부(121)는 방향성분을 저장하는 용기일 수 있다. 여기서, 방향성분은 좋은 냄새가 퍼져 기분을 상쾌하고 산뜻하게 하는 약제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향성분은 방향제를 포함하고, 방향제는 일반 가정이나 공중화장실 등지에서 사용되는 소비재이며, 일반적으로 방향 화합물을 발산해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제를 의미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향수 대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용도 및 사용 장소 등에 따라 분무기, 양초, 유류, 젤, 구슬, 플러그인 등 다양한 형태의 방향제가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개폐부(122)는 저장부(121)에 저장된 방향성분의 배출을 안내하도록 저장부(121)를 개폐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개폐부(122)는 방향성분의 분출 또는 분사되도록 제어수단(130)에 의해 저장부(121)를 개폐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개폐부(122)는 외력에 의해 수직 반대방향으로 가압력이 생성되는 스프레이 타입의 개폐부 또는 외력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력이 생성되는 회전 타입의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개폐부(122)의 개방으로 저장부(122)에 저장된 방향성분이 분출될 때, 분출되는 방향성분은 제어수단(130)의 제어에 따라 회전하는 송풍기에 의해 실내로 공급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수단(130)은 창문 프레임(112)의 개방 여부에 따라 방향수단(120)으로부터 방향성분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수단(130)은 센서부(131), 카운트부(132), 제어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센서부(131)를 창문 프레임(112)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센서부(131)는 제1 센서(131a)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센서(131a)는 창틀 프레임(111) 내에서 창문 프레임(112)이 열리거나 닫히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131a)는 접점 스위치, 택트 스위치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카운트부(132)는 제1 센서(131a)에서 감지되는 횟수를 카운트하고, 이를 제어부(133)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운트부(132)는 창틀 프레임(111)에서 창문 프레임(112)이 열리거나 닫히는 횟수를 감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부(133)는 카운트부(132)에서 카운트된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이면, 개폐부(122)를 작동시켜 저장부(121)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저장부(121)에 저장된 방향성분이 분출 및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3)의 제어에 따라 개폐부(122)를 통해 방향성분이 창문 프레임(112)이 배치된 실내로 배출되어 실내의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부(133)는 카운트부(132)에서 카운트된 횟수를 표시부(134)로 전송하고, 표시부(134)에서는 카운트부(132)에서 카운트된 횟수를 출력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센서부(131)는 제2 센서(13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센서(131b)는 개폐부(122)의 작동된 이후의 시간을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센서(131b)는 개폐부(122)의 작동된 이후의 시간을 측정하고, 이를 제어부(133)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3)는 측정된 개폐부(122)의 작동된 이후의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범위 이상이면, 개폐부(122)를 작동시켜 방향성분이 분출 및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부(133)는 개폐부(122)의 작동된 이후의 시간을 표시부(134)로 전송하고, 표시부(134)에서는 개폐부(122)의 작동된 이후의 측정 시간을 출력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센서(131b)는 개폐부(122)가 작동된 상태에서 다음 개폐부(122)가 작동되기 전 시간을 측정하여 제어부(133)로 전송하고, 제어부(133)의 제어에 따라 다음 개폐부(122)가 작동되기 전 시간을 출력하여 표시부(134)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센서부(131)는 제3 센서(13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센서(131c)는 창문 프레임(112)이 배치된 실내의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센서(131c)는 실내의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고, 이를 제어부(133)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3)는 측정된 실내의 공기 오염농도가 기 설정된 범위 이상이면, 개폐부(122)를 작동시켜 방향성분인 이 분출 및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부(133)는 실내의 공기오염도를 표시부(134)로 전송하고, 표시부(134)에서는 실내의 공기 오염농도를 출력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 창문 프레임(112)을 개폐시키면서 실내 공기가 환기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133)의 제어에 따라 창문 프레임(112)을 자동으로 개폐시켜 실내 공기를 환기시킬 수도 있다. 이때,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창문(110)의 개방은, 제어부(133)의 제어에 따라 제1 모터(141)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창문 프레임(112)에 연결된 와이어를 감아 창문 프레임(112)을 이동시키면서 창틀 프레임(111) 내부를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모터(141)가 회전하여 창문 프레임(112)을 당길 경우, 제1 모터(141)의 타측에 위치한 제2 모터(142)는 작동하지 않은 상태로, 창문 프레임(112)의 이동방향인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와이어가 풀릴 수 있다. 또한, 창문(110)의 폐쇄는 제어부(133)의 제어에 따라 제2 모터(142)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창문 프레임(112)에 연결된 와이어를 감아 창문 프레임(112)을 이동시키면서 창틀 프레임(111) 내부를 폐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모터(142)가 회전하여 창문 프레임(112)을 당길 경우, 제2 모터(142)의 타측에 위치한 제1 모터(141)는 작동하지 않은 상태로 창문 프레임(112)의 이동방향인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와이어가 풀릴 수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창틀 프레임(111)이 열리거나 닫히는 횟수를 제1 센서(131a)에서 감지하고, 이를 카운트부(132)에서 카운트한 후, 제어부(133)의 제어에 따라 방향수단(120)을 작동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센서부(131)는 제4 센서(131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4 센서(131d)는 실내의 유독물질 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4 센서(131d)는 실내의 유독물질 오염도를 측정하고, 이를 제어부(133)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3)는 실내의 유독물질 오염도가 기 설정된 범위 이상이면, 측정된 실내의 유독물질 오염도를 표시부(134)로 전송하고, 표시부(134)에서는 실내의 유독물질 오염도를 출력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 창문 프레임(112)을 개폐시키면서 실내 공기가 환기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133)의 제어에 따라 창문 프레임(112)을 자동으로 개폐시켜 실내 공기를 환기시킬 수도 있다. 이때,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창문(110)의 개방은, 제어부(133)의 제어에 따라 제1 모터(141)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창문 프레임(112)에 연결된 와이어를 감아 창문 프레임(112)을 이동시키면서 창틀 프레임(111) 내부를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모터(141)가 회전하여 창문 프레임(112)을 당길 경우, 제1 모터(141)의 타측에 위치한 제2 모터(142)는 작동하지 않은 상태로, 창문 프레임(112)의 이동방향인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와이어가 풀릴 수 있다. 또한, 창문(110)의 폐쇄는 제어부(133)의 제어에 따라 제2 모터(142)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창문 프레임(112)에 연결된 와이어를 감아 창문 프레임(112)을 이동시키면서 창틀 프레임(111) 내부를 폐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모터(142)가 회전하여 창문 프레임(112)을 당길 경우, 제2 모터(142)의 타측에 위치한 제1 모터(141)는 작동하지 않은 상태로 창문 프레임(112)의 이동방향인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와이어가 풀릴 수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창틀 프레임(111)이 열리거나 닫히는 횟수를 제1 센서(131a)에서 감지하고, 이를 카운트부(132)에서 카운트한 후, 제어부(133)의 제어에 따라 방향수단(120)을 작동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센서부(131)는 제5 센서(131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5 센서(131e)는 실내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5 센서(131e)는 실내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고, 이를 제어부(133)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3)는 측정된 실내의 미세먼지 농도가 기 설정된 범위 이상이면, 실내의 미세먼지 농도를 표시부(134)로 전송하고, 표시부(134)에서는 실내의 미세먼지 농도를 출력하여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 창문 프레임(112)을 개폐시키면서 실내 공기가 환기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133)의 제어에 따라 창문 프레임(112)을 자동으로 개폐시켜 실내 공기를 환기시킬 수도 있다. 이때,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창문(110)의 개방은, 제어부(133)의 제어에 따라 제1 모터(141)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창문 프레임(112)에 연결된 와이어를 감아 창문 프레임(112)을 이동시키면서 창틀 프레임(111) 내부를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모터(141)가 회전하여 창문 프레임(112)을 당길 경우, 제1 모터(141)의 타측에 위치한 제2 모터(142)는 작동하지 않은 상태로, 창문 프레임(112)의 이동방향인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와이어가 풀릴 수 있다. 또한, 창문(110)의 폐쇄는 제어부(133)의 제어에 따라 제2 모터(142)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창문 프레임(112)에 연결된 와이어를 감아 창문 프레임(112)을 이동시키면서 창틀 프레임(111) 내부를 폐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모터(142)가 회전하여 창문 프레임(112)을 당길 경우, 제2 모터(142)의 타측에 위치한 제1 모터(141)는 작동하지 않은 상태로 창문 프레임(112)의 이동방향인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와이어가 풀릴 수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창틀 프레임(111)이 열리거나 닫히는 횟수를 제1 센서(131a)에서 감지하고, 이를 카운트부(132)에서 카운트한 후, 제어부(133)의 제어에 따라 방향수단(120)을 작동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센서부(131)는 제6 센서(131f)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6 센서(131f)는 실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6 센서(131f)는 실내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를 제어부(133)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3)는 측정된 실내의 온도가 기 설정된 범위 이상이면, 실내의 온도를 표시부(134)로 전송하고, 표시부(134)에서는 실내 온도를 출력하여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 창문 프레임(112)을 개폐시키면서 실내 공기가 환기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133)의 제어에 따라 창문 프레임(112)을 자동으로 개폐시켜 실내 공기를 환기시킬 수도 있다. 이때,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창문(110)의 개방은, 제어부(133)의 제어에 따라 제1 모터(141)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창문 프레임(112)에 연결된 와이어를 감아 창문 프레임(112)을 이동시키면서 창틀 프레임(111) 내부를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모터(141)가 회전하여 창문 프레임(112)을 당길 경우, 제1 모터(141)의 타측에 위치한 제2 모터(142)는 작동하지 않은 상태로, 창문 프레임(112)의 이동방향인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와이어가 풀릴 수 있다. 또한, 창문(110)의 폐쇄는 제어부(133)의 제어에 따라 제2 모터(142)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창문 프레임(112)에 연결된 와이어를 감아 창문 프레임(112)을 이동시키면서 창틀 프레임(111) 내부를 폐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모터(142)가 회전하여 창문 프레임(112)을 당길 경우, 제2 모터(142)의 타측에 위치한 제1 모터(141)는 작동하지 않은 상태로 창문 프레임(112)의 이동방향인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와이어가 풀릴 수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창틀 프레임(111)이 열리거나 닫히는 횟수를 제1 센서(131a)에서 감지하고, 이를 카운트부(132)에서 카운트한 후, 제어부(133)의 제어에 따라 방향수단(120)을 작동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수단(130)은 표시부(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부(134)는 창틀 프레임(111)에 배치되고, 제어부(133)의 제어에 따라 센서의 작동 여부 및 센서에서 측정되는 결과를 출력하여 표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서 표시부(134)는 창틀 프레임(111)의 설치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부(134)에는 개폐부(122)의 개방으로 저장부(122)에 저장된 방향성분이 분출 및 분사될 때, 방향성분이 배출되도록 통공이 관통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방향기능을 갖는 창
110: 창문
111: 창틀 프레임
112: 창문 프레임
120: 방향수단
121: 저장부
122: 개폐부
130: 제어수단
131: 센서부
131a: 제1 센서
131b: 제2 센서
131c: 제3 센서
131d: 제4 센서
131e: 제5 센서
131f: 제6 센서
132: 카운트부
133: 제어부
134: 표시부

Claims (5)

  1. 창틀 프레임과 상기 창틀 프레임에 배치되어 이동하는 창문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창문;
    상기 창문에 배치되고, 방향성분의 저장 및 배출을 안내하는 방향수단; 및
    상기 창문 프레임의 개방 여부에 따라 방향수단으로부터 방향성분이 배출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방향기능을 갖는 창.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수단은,
    상기 방향성분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방향성분의 배출을 안내하도록 저장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방향기능을 갖는 창.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창틀 프레임 내부에서 창문 프레임이 열리거나 닫히는 것을 감지하는 제1 센서;
    상기 제1 센서에서 감지되는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부; 및
    상기 카운트부에서 감지된 횟수에 따라 개폐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향기능을 갖는 창.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의 작동된 이후의 시간을 측정하는 제2 센서를 더 포함하는 방향기능을 갖는 창.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각 센서의 작동 여부 및 각 센서에서 측정된 결과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방향기능을 갖는 창.
KR1020220140302A 2022-10-27 2022-10-27 방향기능을 갖는 창 KR202400592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302A KR20240059254A (ko) 2022-10-27 2022-10-27 방향기능을 갖는 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302A KR20240059254A (ko) 2022-10-27 2022-10-27 방향기능을 갖는 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9254A true KR20240059254A (ko) 2024-05-07

Family

ID=91078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0302A KR20240059254A (ko) 2022-10-27 2022-10-27 방향기능을 갖는 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925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7579A (ko) 2015-10-23 2017-05-08 조하늘 냄새 및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창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7579A (ko) 2015-10-23 2017-05-08 조하늘 냄새 및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창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4338B2 (en) Fragrance control
CA2777625A1 (en) Air treatment agent dispenser with improved odour sensor functionality
US6202938B1 (en) Scent emitting blind operating rod
EP2488220B1 (en) Air treatment agent dispenser with improved odour sensor functionality
US20140103479A1 (en) Dispensing Systems with Improved Sensing Capabilities
KR102111772B1 (ko) 신선도 유지를 위한 농작물 저온저장고
EP2488221B1 (en) Air treatment agent dispenser with improved odour sensor functionality
WO2011045615A1 (en) Air treatment agent dispenser with improved odour sensor functionality
EP2111875A1 (en) Emanator for air treatment agent with odour detection
KR20240059254A (ko) 방향기능을 갖는 창
US20180353636A1 (en) Volatile diffuser pods and related systems
KR102111771B1 (ko) 신선도 유지를 위한 농작물 저온저장고에서의 신선도 유지 방법
JP2003254665A (ja) 空気清浄器及びこれを備えた自動販売機
CN108081917A (zh) 一种扩香设备及车辆
JP6906216B2 (ja) 溶剤噴霧ボックス
CN111840620A (zh) 一种臭氧消毒与智能监测一体机
JP2009000049A (ja) 虫侵入阻止システム
KR102305929B1 (ko) 피톤치드 방출벽 구조체
KR102619476B1 (ko) 현관용 오존 살균 시스템
JP4480092B2 (ja) 光触媒散布機能付きエアーカーテン装置
JP2642842B2 (ja) 防虫除菌装置
JP2001228791A (ja) 脱臭フィルタによる脱臭効果体感装置
WO2011138943A1 (ja) 農作物貯蔵装置及び農作物貯蔵方法
JPH02126855A (ja) 芳香器
KR20210094294A (ko) 방취제 반복분사형 발냄새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