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1553B1 -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1553B1
KR102501553B1 KR1020187010933A KR20187010933A KR102501553B1 KR 102501553 B1 KR102501553 B1 KR 102501553B1 KR 1020187010933 A KR1020187010933 A KR 1020187010933A KR 20187010933 A KR20187010933 A KR 20187010933A KR 102501553 B1 KR102501553 B1 KR 102501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link
vehicle door
door
cam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0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4680A (ko
Inventor
마누 샤르마
히만슈 챠만
비 마드한 쿠마르
도시카즈 마키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신
Publication of KR20180074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4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60R13/043Door edge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F16H21/1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21/18Crank gearings; Eccentric gearings
    • F16H21/22Crank gearings; Eccentric gearings with one connecting-rod and one guided slide to each crank or eccentric
    • F16H21/28Crank gearings; Eccentric gearings with one connecting-rod and one guided slide to each crank or eccentric with cams or additional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1)는, 프로텍터(28), 캠 부재(24), 및 링크 기구(25)를 구비한다. 캠 부재(24)에는, 캠부(37, 38)가 형성되고, 도어(2)의 개폐 상태에 따른 입력에 의해 회전한다. 링크 기구(25)는, 캠부(37, 38)에 걸어맞추어진 캠 팔로워(48, 51)를 구비하고, 프로텍터(28)가 장착되어 있다. 캠부(37, 38)와 캠 팔로워(48, 51)의 걸어맞춤에 의해, 캠 부재(24)의 회전과 연동하여 링크 기구(25)가 동작한다. 캠부(37, 38)는, 링크 기구(25)의 동작에 의해, 도어(2)의 폐쇄 상태에 대응하는 수납 위치 P1과, 도어(2)의 폐쇄 상태에 대응하여 도어 에지(2c)를 덮는 셋팅 위치 P2를 포함하는 궤적 T을 따라 프로텍터(28)가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
본 발명은, 도어 에지 프로텍터(protector)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는, 가동(可動)의 프로텍터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이 프로텍터는, 차량 도어의 해방 시에만 도어 에지를 보호하도록, 차량 도어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원호형의 궤적을 따라 이동한다. 도어 에지는, 차량 도어의 길이 방향 양 단부 중, 힌지 측단부의 반대측의 단부(端部)(선단측 단부)의 에지이다.
미국 특허 제8,826,596호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에서는, 링크 기구와 레버의 곡면부를 조합한 기구(機構)에 의해, 프로텍터의 이동을 실현하고 있다. 그러므로, 차량 도어의 두께나 형상이 상이한 다른 차종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링크 기구와 레버의 형상을 각각 변경할 필요가 있다. 즉, 이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가 상이한 차종에 대한 적용은, 대폭적인 설계 변경을 필요로 하는 점에서 곤란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도어의 두께나 형상이 상이한 다른 차종에 대한 적용이 용이한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態樣)은, 차량 도어의 에지인 도어 에지를 덮어 보호하기 위한 프로텍터와, 캠부가 형성되고, 상기 차량 도어의 개폐 상태에 따른 입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된 캠 부재와, 상기 프로텍터를 유지하고, 상기 캠부에 걸어맞추어진 캠 팔로워(cam follower)를 구비하고, 상기 캠부와 상기 캠 팔로워의 걸어맞춤에 의해, 상기 캠 부재의 회전과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된 링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캠부는, 상기 링크 기구의 동작에 의해, 상기 차량 도어의 폐쇄 상태에 대응하는 수납 위치와, 상기 차량 도어의 개방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 에지를 덮는 셋팅 위치를 포함하는 궤적을 따라 상기 프로텍터가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에 의하면, 캠 부재에 형성된 캠부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프로텍터가 이동하는 궤적을 변경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는, 링크 기구는 변경시키지 않고 캠 부재만을 변경함으로써, 차량 도어의 두께나 형상이 상이한 다른 차종에 대한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전술 및 다른 특징은,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 기재된 예시적인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해 명확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를 구비한 차량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하우징을 개방 상태로 한 입력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출력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하우징을 개방 상태로 한 출력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6a는 출력 유닛의 내부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출력 유닛의 내부 기구의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a는 캠 부재 및 랙(rack)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캠 부재 및 랙의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a는 캠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8b는 캠 부재의 우측면도이다.
도 8c는 캠 부재의 좌측면도이다.
도 8d는캠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8e는 캠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9는 직동(直動) 링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요동(搖動) 링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직동 링크 및 요동 링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캠 회전 각도와 직동 링크 및 요동 링크의 변위(變位)(스트로크)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캠 회전 각도와 프로텍터의 변위(스트로크)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a는 캠 회전 각도와 프로텍터의 변위의 관계를 나타낸 모식도(캠 부재의 회전 각도는 0°).
도 14b는 캠 회전 각도와의 프로텍터 변위의 관계를나타내는 모식도(캠 부재의 회전 각도는 60°).
도 14c는 캠 회전 각도와 프로텍터의 변위의 관계를 나타낸 모식도(캠 부재의 회전 각도는 110°).
도 14d는 캠 회전 각도와 프로텍터의 변위의 관계를 나타낸 모식도(캠 부재의 회전 각도는 150°).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가 구비하는 캠 부재 및 링크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캠 부재 및 링크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캠 부재 및 링크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18은 캠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선 XIX―XIX선에 따른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가 구비하는 출력 유닛의 내부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출력 유닛의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2는 출력 유닛의 저면도이다.
도 23a는 캠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3b는 캠 부재의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가 구비하는 출력 유닛의 내부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출력 유닛의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6은 출력 유닛의 저면도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1)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후술하는 플런저(plunger)(17), 프로텍터(28), 및 요동 링크(42)의 선단측을 제외하고,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1)의 대부분이, 차량 도어(2) 내에 수용되어 있다.
차체(3)에는 힌지 브래킷(bracket)(4A, 4B)이 설치되고, 이들 힌지 브래킷(4A, 4B)에 장착된 힌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차량 도어(2)가 차체(3)에 대하여 선회축(旋回軸)(S) 주위로 선회(旋回)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하, 차량 도어(2)의 길이 방향의 양단 중, 힌지에 근접하는 측을 힌지 측단부(2a)라고 하고, 힌지 측단부(2a)와는 반대측의 단부를 선단측 단부(2b)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선단측 단부(2b)의 에지를 도어 에지(2c)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도면에 나타낸 직교 좌표계(XYZ 좌표계)는, 차량 도어(2)에 대하여 고정되어 설정되어 있다. 즉, 선회축(S) 주위로 차량 도어(2)가 선회하면, 이 직교 좌표계도 선회축(S) 주위로 선회한다.
X축은 차량 도어(2)의 길이 방향을 나타낸다. X축의 화살표는, 선단측 단부(2b)[도어 에지(2c)를 포함함]를 향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이하, X축의 화살표의 방향을 +X방향이라고 하고, 그와는 반대의 방향을 ―X방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즉, ―X방향은, 힌지 측단부(2a)를 향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X방향과 ―X방향을 총칭하여, 단지 X방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Y축은 차량 도어(2)의 폭 방향을 나타낸다. Y축의 화살표는, 차량 도어(2)의 폭 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이하, Y축의 화살표의 방향을 +Y방향이라고 하고, 그와는 반대의 방향을 ―Y방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즉, ―Y방향은, 차량 도어(2)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Y방향과 ―Y방향을 총칭하여, 단지 Y방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Z축은 차량 도어(2)의 높이 방향을 나타낸다. Z축의 화살표는, 차량 도어(2)의 높이 방향 위쪽을 향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이하, Z축의 화살표의 방향을 +Z방향이라고 하고, 그와는 반대의 방향을 ―Z방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즉, ―Z방향은, 차량 도어(2)의 높이 방향 아래쪽을 향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Z방향과 ―Z방향을 총칭하여, 단지 Z방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 도어(2)가 폐쇄 위치에 있으면, X방향은 차량 길이 방향을 나타내고, Y방향은 차폭 방향을 나타내고, Z방향은 차고(車高) 방향을 나타낸다.
도 2를 병행하여 참조하면,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1)는, 인풋 유닛(input unit)(6), 아웃풋(output) 유닛(7), 및 케이블(8)을 구비한다. 인풋 유닛(6)은, 차량 도어(2)의 힌지 측단부(2a)의 부근에 수용되고, 아웃풋 유닛(7)은 차량 도어(2)의 선단측 단부(2b)의 부근에 수용되어 있다. 케이블(8)은, 전체가 차량 도어(2) 내에 수용되고, 인풋 유닛(6)과 아웃풋 유닛(7)을 기계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블(8)은, 아우터 케이블(8a)과, 아우터 케이블(8a)로 이동 가능하게 삽통(揷通)된 이너 케이블(8b)을 구비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인풋 유닛(6)은, 나사로 서로 고정된 보디(11A, 11B)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2)을 구비한다. 하우징(12) 내에는, 액추에이터 부품(13)이 수용되어 있다. 액추에이터 부품(13)은, Y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지지부(14)에 의해 보디(11A)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액추에이터 부품(13)은, 스프링(15)에 의해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고 있다.
액추에이터 부품(13)에는, 핀(16)에 의해 플런저(17)의 기단(基端)이 연결되어 있다. 플런저(17)는, 보디(11A)에 설치된 양단 개구의 통형부(18)에 의해, 화살표 B1, B2로 나타낸 바와 같이, X방향으로 직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플런저(17)의 선단은, 통형부(18)를 통하여 하우징(1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액추에이터 부품(13)의 플런저(17)는 반대측의 부분에는, 이너 케이블(8b)의 일단(一端)이 연결되어 있다. 아우터 케이블(8a)은 캡(19)을 통하여 보디(11A)에 고정되어 있다.
인풋 유닛(6)은 케이블(8)을 통하여, 차량 도어(2)의 개폐 상태를 아웃풋 유닛(7)에 전달한다. 먼저, 차량 도어(2)가 폐쇄 상태이면, 화살표 B1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런저(17)의 선단이 차체(3)에 의해 하우징(12) 내를 향해 압입(押入)되므로, 액추에이터 부품(13)은 스프링(15)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화살표 A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로 된다. 그 결과, 차량 도어(2)가 폐쇄 상태이면, 인풋 유닛(6)은, 액추에이터 부품(13)의 회전량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이너 케이블(8b)을 하우징(12) 내로 끌어들인다. 바꾸어 말하면, 차량 도어(2)가 폐쇄 상태이면, 인풋 유닛(6)은, 아웃풋 유닛(7)으로부터 이너 케이블(8b)을 인장시킨다. 한편, 차량 도어(2)가 개방 상태이면, 스프링(15)의 가압력에 의해, 플런저(17)가 화살표 B2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직동하고, 또한 액추에이터 부품(13)이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차량 도어(2)가 개방 상태이면, 인풋 유닛(6)은, 액추에이터 부품(13)의 회전량에 대응하는 길이의 이너 케이블(8b)을, 아웃풋 유닛(7)을 향해 송출한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아웃풋 유닛(7)은, 나사로 서로 고정된 보디(21A, 21B, 21C)로 이루어지는 하우징(22)을 구비한다. 하우징(22) 내에는, 랙(23), 캠 부재(24), 및 링크 기구(25)가 수용되어 있다. 보디(21A)의 X방향의 일단에는, 슬릿(slit)(2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21a)을 통하여 이너 케이블(8b)의 타단이 하우징(22) 내로 진입하고 있다. 아우터 케이블(8a)은 캡(26)을 통하여 슬릿(21a)에 고정되어 있다. 보디(21A)의 X방향의 타단에는, 후술하는 요동 링크(42)의 선단부(42b)의 삽통을 허용하는 슬릿(21b)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21b)을 통하여 하우징(22)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요동 링크(42)의 선단부(42b)에는, 핀(27)에 의해 프로텍터(28)가 고정되어 있다. 즉, 요동 링크(42)가 프로텍터(28)를 유지하고 있다. 슬릿(21b)은, 요동 링크(42)의 요동을 허용하도록, Y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형상을 가진다. 하우징(22)에는, 방수를 위한 그로밋(gro㎜et)(30)이 장착되어 있다.
랙(23)은, 보디(21A)의 내면과, 랙 커버(29)에 의해 구획되는 가이드홈(31)을 따라 직동 가능하다(도 6a, 도 6b의 화살표 C1, C2 참조). 가이드홈(31), 즉 랙(23)이 직동하는 궤적은, XZ 평면에 포함되고, 또한 X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랙(23)의 기단측(基端側)에는, 이너 케이블(8b)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랙(23)의 기단과 가이드홈(31)의 단벽(端壁)과의 사이에는, 스프링(32)이 배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32)은, 랙(23)을 +X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있다.
캠 부재(24)는, 캠 본체(34)와, 캠 본체(34)에 고정된 회전축(35)을 구비한다. 회전축(35)는, Y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하우징(2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8a의 화살표 R1, R2). 회전축(35)에는 피니언(36)이 고정되어 있다. 도 7a 및 도 7b에 가장 명료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피니언(36)은 랙(23)과 치합되어 있다. 랙(23)과 피니언(36)의 치합에 의해, 랙(23)의 직동 운동은, 회전축(35) 주위의 캠 본체(34)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된다.
도 8a∼도 8e를 참조하면, 캠 본체(34)의 피니언(36)은 반대측의 측면(34a)(제1 면)에는, 제1 캠홈(제1 캠부)(3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캠 본체의 주위면(34b)(제2 면)에는, 제2 캠홈(제2 캠부)(38)이 형성되어 있다. 즉, 캠 본체(34)의 회전축(35)과 직교하는 면에 제1 캠홈(37)이 형성되고, 캠 본체(34)의 회전축(35)과 평행한 면에 제2 캠홈(38)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캠홈(37)에는, 후술하는 직동 링크(41)에 설치된 제1 캠 팔로워(48)가 걸어맞추어져 있다. 제2 캠홈(38)에는, 후술하는 요동 링크(42)에 설치된 제2 캠 팔로워(51)가 걸어맞추어져 있다. 제1 캠홈(37)과 제2 캠홈(38)의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도 4 내지 도 6b, 및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링크 기구(25)는, 직동 링크(41)와 요동 링크(42)를 구비한다.
직동 링크(41)는, Z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Y방향으로 연장되는 직동 암(arm)(43A, 43B)을 구비한다. 도 9에 가장 명료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의 직동 암(43A, 43B)은, 기단측이 제1 연결부(44)와 서로 연결되고, 선단측이 두께가 얇은 제2 연결부(45)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1 연결부(44)에는 ―X방향으로 돌출하는 스트레이트의 로드부(46)가 설치되어 있다. 로드부(46)는, 하우징(22)의 보디(21B)의 기단부(基端部)(21c)(도 4 참조)의 내부에, X방향으로 직동 가능한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그러므로, 직동 링크(41) 전체는, X방향으로 직동 가능하다(도 6a 및 도 6b의 화살표 D1, D2 참조). 로드부(46)에는, 스프링(47)이 장착되어 있다. 스프링(47)은, 일단이 제1 연결부(44)와 맞닿고, 타단이 기단부(21c)와 맞닿아 있다. 스프링(47)은, 직동 링크(41)을 +X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있다. 제2 연결부(45)에는, ―Y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캠 팔로워(48)가 설치되어 있다. 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직동 링크(41)는, 캠 부재(24)의 제1 캠홈(37)과 제1 캠 팔로워(48)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캠 부재(24)의 회전에 따라 X방향[차량 도어(2)의 길이 방향]으로 직동한다. 직동 암(43A, 43B)의 제1 연결부(44)에 인접한 부분에는, 장착공(49A, 49B)이 형성되어 있다.
요동 링크(42)는, 기단부(42a)로부터 선단부(42b)까지 X방향으로 대략 똑바로 연장되어 있다. 요동 링크(42)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근에는, ―Y방향으로 돌출하는 분기부(42c)가 설치되어 있다. 분기부(42c)의 선단에는, 제2 캠 팔로워(51)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캠 팔로워(51)는, 분기부(42c)로부터 ―X방향으로 돌출한다. 요동 링크(42)의 기단부(42a)에는, 베어링공(5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요동 링크(42)의 선단부(42b)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텍터(28)가 고정되어 있다.
도 11에 가장 명료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 링크(42)는, 직동 링크(41)에 대하여, XY 평면 내에서 Y방향(차량 도어(2)의 폭 방향]과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4에 가장 명료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Z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지지 핀(53)의 양단이 장착공(49A, 49B)에 수용되고, 나사(50A, 50B)에 의해 직동 암(43A, 43B)에 고정되어 있다. 이 축지지 핀(53)이 요동 링크(42)의 베어링공(52)에 삽통되어 있다. 그러므로, 요동 링크(42)는 축지지 핀(53) 주위로 요동 가능하다(도 6b의 화살표 E1, E2 참조). 축지지 핀(53)에 장착된 스프링(54)은, 일단(54a)이 요동 링크(42)에 걸어맞추어지고, 타단(54b)이 직동 링크(41)에 걸어맞추어짐으로써, 화살표 E1로 나타내는 방향, 즉 프로텍터(28)를 Y방향으로 요동하도록, 요동 링크(42)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있다. 직동 링크(41)의 제2 연결부(45)가 요동 링크(42)에 간섭하지 않도록 요동 링크(42)의 요동 각도를 규제하고 있다.
도 6a 및 도 6b에 가장 명료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링크 기구(25), 즉 직동 링크(41)와 거기에 연결된 요동 링크(42)는, 캠 부재(24)에 대하여 +Y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6b에 부호 β1으로 개념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지지 핀(53)[요동 링크(42)의 요동 중심]은 회전축(35)[캠 본체(34)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X방향으로 비교적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직동 링크(41)의 ―Y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캠 팔로워(48)는, 캠 본체(34)의 측면(34a)에 형성된 제1 캠홈(37)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47)이 직동 링크(41)을 +X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제1 캠 팔로워(48)는, 제1 캠홈(37)의 1개의 홈 측벽면(37a)과 접촉한다. 도 8a에 있어서 파선(破線) F로 나타낸 바와 같이, 캠 부재(24)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1 캠홈(37) 내를 제1 캠 팔로워(48)가 이동하고, 그에 따라 캠 부재(24)의 회전 운동이 직동 링크(41)의 X방향의 직동 운동으로 변환된다.
요동 링크(42)의 제2 캠 팔로워(51)는, 캠 본체(34)의 측면(34a)에 형성된 제2 캠홈(38)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도 8d에 개념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54)에 의해 요동 링크(42)가 탄성적으로 가압됨으로써, 제2 캠 팔로워(51)는 제2 캠홈(38)의 1개의 홈 측벽면(38a)과 접촉한다. 도 8a 내지 도 8e를 참조하면 명백한 바와 같이, 홈 측벽면(38a)의 Y방향의 위치는, 제2 캠홈(38)의 위치에 따라서 상이하다. 그러므로, 캠 본체(34)의 회전 운동이 요동 링크(42)의 Y방향의 요동 운동[축지지 핀(53) 주위의 요동 운동]으로 변환된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6b는, 차량 도어(2)가 폐쇄 상태, 즉 인풋 유닛(6)이 이너 케이블(8b)을 인입한 상태에서의, 아웃풋 유닛(7)의 랙(23), 캠 부재(24), 및 링크 기구(25)의 상태를 나타낸다. 차량 도어(2)가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선회축(S) 주위로 선회되면, 인풋 유닛(6)은 아웃풋 유닛(7)으로 이너 케이블(8b)을 송출한다. 스프링(32)에 의해 랙(23)이 가압되고, 스프링(47)에 의해 직동 링크(41)가 가압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너 케이블(8b)이 아웃풋 유닛(7)으로 송출되면, 그에 따라 랙(23)이 화살표 C1 방향으로 직동하고, 또한 캠 부재(24)가 화살표 R1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제1 캠 팔로워(48)가 도 8a에 있어서 화살표 G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캠홈(37)을 따라 캠 부재(2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제2 캠 팔로워(51)도 제2 캠홈(38)을 따라 캠 부재(2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제1 캠 팔로워(48)의 캠 부재(24)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직동 링크(41)의 X방향의 직동 운동이 생긴다(도 6b의 화살표 D1, D2). 직동 링크(41)의 이동량은, 캠 부재(24)의 회전 각도에 따라 변화한다. 또한, 제2 캠 팔로워(51)의 캠 부재(24)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축지지 핀(53) 주위의 요동 링크(42)의 요동 운동이 생긴다(도 6b의 화살표 E1, E2). 요동 링크(42)의 요동량은, 캠 부재(24)의 회전 각도에 따라 변화한다. 직동 링크(41)의 이동량과 요동 링크(42)의 요동량과의 합에 따라 프로텍터(28)의 차량 도어(2)에 대한 위치가 변화한다. 상세하게는, 차량 도어(2)의 선회 각도에 따른 프로텍터(28)의 Y방향의 이동은 직동 링크(41)에 의해서도 주어지고, 차량 도어(2)의 선회 각도에 따른 프로텍터(28)의 X방향의 이동은 요동 링크(42)에 의해서도 주어진다. 바꾸어 말하면, 프로텍터(28)는, 캠 부재(24)의 회전 각도에 따른 직동 링크(41)의 이동량과 요동 링크(42)의 요동량과의 합으로 정해지는 궤적 T(도 13 참조)을 따라 이동한다.
차량 도어(2)가 폐쇄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에 선회축(S) 주위로 선회되면, 이너 케이블(8b)이 인풋 유닛(6)으로 끌여들여진다. 이 이너 케이블(8b)의 인입에 의해 랙(23)이 화살표 C2 방향으로 직동하여, 이 직동에 의한 구동으로 캠 부재(24)가 화살표 R2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프로텍터(28)는, 궤적 T 상을 차량 도어(2)가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선회하는 경우와는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2는, 캠 부재(24)의 회전 각도에 대하여, 프로텍터(28)의 Y방향의 위치[이 도면에서는 정상면(頂面) 스트로크라고 하고 있음]와, 프로텍터(28)의 X방향의 위치(이 도면에서는 측면 스트로크라고 하고 있음)가 각각,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나타낸다. 도 13은, 프로텍터(28)의 궤적 T을 나타낸다. 이 도 13에서는, 프로텍터(28)의 Y방향의 위치를 전후 스트로크라고 하고, 프로텍터(28)의 Z방향의 위치를 가로 방향 스트로크라고 하고 있다. 도 13의 궤적 T는, 도 12의 정상면 스트로크와 측면 스트로크와의 중첩에 의해 얻어진다.
도 13 및 도 14a 내지 도 14d를 참조하면, 궤적 T는 프로텍터(28)가 차량 도어(2)의 폐쇄 상태에 대응하는 수납 위치 P1과, 차량 도어(2)의 폐쇄 상태에 대응하여 도어 에지(2c)를 덮는 셋팅 위치 P2를 포함한다. 수납 위치 P1에서는, 프로텍터(28)는 도 1에 나타낸 위치에 있고, 차량 도어(2)가 폐쇄 상태라도 프로텍터(28)는 차체(3)와 간섭하지 않는다. 셋팅 위치 P2에서는, 도 14d에 개념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텍터(28)는 도어 에지(2c)를 덮어 보호한다. 또한, 궤적 T는, 수납 위치 P1과 셋팅 위치 P2와의 사이에, 도 4c에 개념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 에지(2c)보다 차량 도어(2)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하고, 또한 도어 에지(2c)보다 차량 도어의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돌출 위치 P3을 포함한다. 돌출 위치 P3로부터 셋팅 위치 P2까지의 이동 시에는, 프로텍터(28)는 차량 도어(2)의 길이 방향으로 후퇴하면서, 일단 차량 도어(2)의 폭 방향 외측으로 약간 이동하고, 이어서, 차량 도어(2)의 폭 방향 내측으로 약간 이동한다. 바꾸어 말하면, 돌출 위치 P3로부터 셋팅 위치 P2까지의 이동 시에는, 프로텍터(28)는 ―X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일단 +Y방향으로 약간 이동하고, 이어서 ―Y방향으로 약간 이동한다.
본 실시형태의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1)에서는, 캠 부재(24)에 형성된 제1 캠홈(37)이나 제2 캠홈(38)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프로텍터(28)가 이동하는 궤적 T을 변경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1)는, 링크 기구(25)는 변경시키지 않고 캠 부재(24)만을 변경함으로써, 차량 도어(2)의 두께나 형상이 상이한 다른 차종에 대한 적용이 가능하다.
프로텍터(28)가 수납 위치 P1로부터 셋팅 위치 P2까지 돌출할 때는, 스프링(32, 47, 54)의 가압력에 의해, 차량 도어(2)의 개방 동작에 따라 링크 기구(25)가 원활하게 동작하여 프로텍터(28)를 확실하게 셋팅 위치 P2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 도어(2)의 폐쇄 동작 시에는, 차량 도어(2)의 폐쇄 동작에 연동(連動)한 인풋 유닛(6)에 의한 이너 케이블(8b)의 인입에 의해, 강제적으로 랙(23), 캠 부재(24), 및 링크 기구(25)를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차량 도어(2)의 폐쇄 동작에 지연이 없이, 프로텍터(28)를 수납 위치 P1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단일의 캠 부재(24)에 2개의 캠부, 즉 제1 캠홈(37)과 제2 캠홈(38)을 설치함으로써, 부품수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차량 도어(2)의 개폐 동작에 연동한 프로텍터(28)의 이동을 실현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15는, 본 발명은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풋 유닛(6)과 케이블(8)(예를 들면, 도 2 참조)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하, 특히 언급하지 않는 구성이나 동작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형태의 캠 부재(24)의 캠 본체(34)는, 측면(34a)에 형성된 단일의 캠홈(61)(캠부)을 구비한다. 링크 기구(25)의 직동 링크(41)에는, 캠 팔로워(예를 들면, 도 9의 부호 "48" 참조)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링크 기구(25)의 요동 링크(42)에는, ―Y방향으로 돌출하는 단일의 캠 팔로워(62)가 설치되어 있다.
캠 팔로워(62)는 캠홈(61)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캠홈(홈)(61)의 1개의 홈 측벽면(61a)에 캠 팔로워(62)가 접촉한다. 홈 측벽면(61a)(제1 캠면)은 링크 기구(25)에 의한 프로텍터(28)의 X방향의 이동을 규정한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캠홈(61)의 홈 측벽면(61a)은, 제1 실시형태의 제1 캠홈(37)의 홈 측벽면(37a)에 대응한다. 프로텍터(28)의 Y방향의 이동량을 도 17에 있어서 부호 α로 나타낸다.
캠홈(61)의 홈바닥 벽면(61b)에도 캠 팔로워(62)가 접촉한다. 홈바닥 벽면은 링크 기구(25)에 의한 프로텍터(28)의 Y방향의 이동을 규정한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캠홈(61)의 홈바닥 벽면(61b)(제2 캠면)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2 캠홈(38)의 홈 측벽면(38a)에 대응한다. 프로텍터(28)의 X방향의 이동량은, 도 19의 길이 L1과 길이 L2의 차(L1―L2)이다.
(제3 실시형태)
도 20 내지 도 23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풋 유닛(6)과 케이블(8)(예를 들면, 도 2 참조)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하, 특히 언급하지 않는 구성이나 동작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도 22에 부호 β2로 개념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지지 핀(53)[요동 링크(42)의 요동 중심]은 회전축(35)[캠 본체(34)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X방향으로 비교적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도 6b의 부호 β1을 병행하여 참조). 이 축지지 핀(53)의 배치에 의해, 아웃풋 유닛(7)의 X방향의 치수를 저감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캠 본체(34)에는, 제2 캠홈(38)(예를 들면, 도 8a∼도 8e 참조)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제2 캠홈(38) 대신에, 캠 본체(34)의 제1 캠홈(37)이 설치된 측면(제1 면)과 서로 마주 보는 측면(제3 면)(34c)에, 캠면(55)이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54)에 의해 요동 링크(42)가 탄성적으로 가압됨으로써, 요동 링크(42)가 구비하는 제2 캠 팔로워(51)는, 캠면(55)과 접촉한다. 예를 들면, 도 23b를 참조하면 명백한 바와 같이, 캠면(55)의 Y방향의 위치는 캠면(55) 상의 위치[회전축(35) 주위의 회전 각도 위치]에 따라 상위하다. 그러므로, 캠면(55)과 제2 캠 팔로워(51)에 의해, 캠 본체(34)의 회전 운동이 요동 링크(42)의 Y방향의 요동 운동으로 변환된다.
도 22의 부호 TH1과 도 8b의 부호 TH2를 비교하면 명백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캠 본체(34)는, 주위면(34b)의 제2 캠홈(38) 대신에 측면(34c)에 캠면(55)을 형성했으므로, 두께가 저감되어 있다. 이 캠 본체(34)의 구조에 의해, 아웃풋 유닛(7)의 Y방향의 치수를 저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지지 핀(53)의 배치와 캠 본체(34)의 구조에 의해, 아웃풋 유닛(7)이 소형화되어 있다.
(제4 실시형태)
도 24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풋 유닛(6)과 케이블(8)(예를 들면, 도 2 참조)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하, 특히 언급하지 않는 구성이나 동작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축지지 핀(53)[요동 링크(42)의 요동 중심]은 회전축(35)[캠 본체(34)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X방향으로 비교적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도 26의 부호 β3 참조). 이 축지지 핀(53)의 배치에 의해, 인풋 유닛(7)의 X방향의 치수를 저감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캠 본체(34)에는, 한쪽의 측면(제1 면)(34a)에 제1 캠홈(37)이 형성되고, 측면(34a)과 서로 마주 보는 측면(제3 면)(34c)에 캠면(55)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54)에 의해 요동 링크(42)가 탄성적으로 가압됨으로써, 요동 링크(42)가 구비하는 제2 캠 팔로워(51)는, 캠면(55)과 접촉한다. 이 구성에 의해 캠 본체(34)의 두께가 저감되고, 아웃풋 유닛(7)의 Y방향의 치수를 저감할 수 있다.
도 6b 및 도 21을 참조하면, 제1 및 제3 실시형태에서는, 링크 기구(25)를 구성하는 직동 링크(41)와 요동 링크(42)는 대략 캠 본체(34)의 한쪽의 측면(34a)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피니언(36)은 캠 본체(34)의 측면(34a)은 서로 마주 보거나, 내지는 반대측의 주위면(34b)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링크 기구(25)를 구성하는 직동 링크(41)와 요동 링크(42)는 대략 캠 본체(34)의 한쪽의 측면(34a)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에 더하여, 피니언(36)도 측면(34a)에 대향하도록 직동 링크(41)와 요동 링크(42)와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캠 본체(34)의 1개의 측면(34a) 측에, 직동 링크(41), 요동 링크(42), 및 피니언(36)이 서로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서도, 아웃풋 유닛(7)의 Y방향의 치수를 저감할 수 있다. 이하, 이 배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직동 링크(41)가 구비하는 Z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직동 암(43A), (43B) 중, 직동 암(43A)의 X방향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직동 암(43B)의 Z방향 상에 피니언(36)을 배치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요동 암(42)을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하는 축지지 핀(53)은 직동 암(41b)의 바닥면 측(―Z방향)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다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기단부(42a)에는, 축지지 핀(53)을 지지하는 베어링공(52)이 형성되어 있다. 직동 암(43B)과 요동 암(42)에 의해 축지지 핀(53)에 장착된 스프링(54)을 끼워넣은 상태로 하고 있다. 요동 암(42)은 나사에 의해 축지지 핀(53)에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즉, 요동 암(42)의 기단부(42a), 직동 암(43B), 피니언(36)(예를 들면, 도 7a 참조), 및 랙(23)이 Z방향으로 중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요동 암(42)이 분기부(42c)로부터 캠 부재(24) 측으로 굴곡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다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요동 암(42)의 선단부(42b)의 후방에 중복되도록 캠 부재(24)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피니언(36)과 랙(23)은, 링크 기구(25)를 협지하여 캠 부재(24)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Z방향[회전축(35)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직동 링크(41)와 중첩되도록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제3 실시예보다 아웃풋 유닛(7)의 Y방향의 치수를 대폭 저감할 수 있다.
1: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
2: 차량 도어
2a: 힌지 측단부
2b: 선단측 단부
2c: 도어 에지
3: 차체
4A, 4B: 힌지 브래킷
6: 인풋 유닛
7: 아웃풋 유닛
8: 케이블
8a: 아우터 케이블
8b: 이너 케이블
11A, 11B: 보디
12: 하우징
13: 액추에이터 부재
14: 축지지부
15: 스프링
16: 핀
17: 플런저
18: 통형부
19: 캡
21A∼21C: 보디
21a, 21b: 슬릿
21c: 기단부
22: 하우징
23: 랙
24: 캠 부재
25: 링크 기구
27: 핀
28: 프로텍터
30: 그로밋
31: 가이드홈
32: 스프링
34: 캠 본체
34a, 34c: 측면
34b: 주위면
35: 회전축
36: 피니언
37: 제1 캠홈
38: 제2 캠홈
41: 직동 링크
42: 요동 링크
42a: 기단부
42b: 선단부
42c: 분기부
43A, 43B: 직동 암
44: 제1 연결부
45: 제2 연결부
46: 로드부
47: 스프링
48: 제1 캠 팔로워
49A, 49B: 장착공
50A, 50B: 나사
51: 제2 캠 팔로워
52: 베어링공
53: 축지지 핀
54: 스프링
55: 캠면

Claims (13)

  1. 차량 도어의 에지인 도어 에지를 덮어 보호하기 위한 프로텍터(protector);
    캠부가 형성되고, 상기 차량 도어의 개폐 상태에 따른 입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된 캠 부재; 및
    상기 프로텍터를 유지하고, 상기 캠부에 걸어맞추어진 캠 팔로워(cam follower)를 구비하고, 상기 캠부와 상기 캠 팔로워의 걸어맞춤에 의해, 상기 캠 부재의 회전과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된 링크 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캠부는, 상기 링크 기구(機構)의 동작에 의해, 상기 차량 도어의 폐쇄 상태에 대응하는 수납 위치와, 상기 차량 도어의 개방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 에지를 덮는 셋팅 위치를 포함하는 궤적을 따라 상기 프로텍터가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궤적은, 상기 수납 위치와 상기 셋팅 위치 사이에, 상기 도어 에지보다 상기 차량 도어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하고, 또한 상기 도어 에지보다 상기 차량 도어의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돌출 위치를 포함하는,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제1 캠부와, 제2 캠부를 구비하고,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제1 캠부와 걸어맞추어지는 제1 캠 팔로워를 구비하는 직동(直動) 링크와, 상기 제2 캠부와 걸어맞추어지는 제2 캠 팔로워를 구비하는 요동(搖動)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직동 링크는, 상기 제1 캠부와 상기 제1 캠 팔로워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상기 캠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차량 도어의 길이 방향으로 직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요동 링크는, 일단(一端)에 상기 프로텍터를 유지하고, 상기 직동 링크에 대하여 상기 차량 도어의 폭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캠부와 상기 제2 캠 팔로워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상기 캠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직동 링크에 대하여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캠 본체와,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캠부는, 상기 캠 본체의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교차하여 넓어지는 제1 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캠부는, 상기 캠 본체의 상기 회전축을 따라 넓어지는 제2 면에 형성되어 있는,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직동 링크 및 상기 요동 링크는,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캠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캠 팔로워는, 상기 회전축을 따른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캠부에 걸어맞추어지고,
    상기 제2 캠 팔로워는, 상기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캠부에 걸어맞추어지는,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캠 본체와,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캠부는, 상기 캠 본체의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교차하여 넓어지는 제1 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캠부는, 상기 캠 본체의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교차하여 넓어지고, 또한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3 면에 형성되어 있는,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직동 링크 및 상기 요동 링크는,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캠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캠 팔로워는, 상기 회전축을 따른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캠부에 걸어맞추어지고,
    상기 제2 캠 팔로워는, 상기 회전축을 따른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캠부에 걸어맞추어지는,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동 가능한 랙(rack); 및
    상기 차량 도어의 개폐 운동을 상기 랙에 전달하는 케이블;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캠부는,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고, 상기 랙과 치합(齒合)된 피니언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랙에 전달된 상기 차량 도어의 개폐 운동이, 상기 랙과 상기 피니언의 치합에 의해, 상기 캠부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되는,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직동 가능한 랙; 및
    상기 차량 도어의 개폐 운동을 상기 랙에 전달하는 케이블;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캠부는,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고, 상기 랙과 치합된 피니언을 구비하고,
    상기 피니언은,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캠 본체, 상기 직동 링크, 및 상기 요동 링크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랙에 전달된 상기 차량 도어의 개폐 운동이, 상기 랙과 상기 피니언의 치합에 의해, 상기 캠부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되는,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랙과 상기 피니언은 상기 직동 링크에 대하여 상기 캠부의 상기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직동 링크를, 상기 도어 에지를 향해, 상기 차량 도어의 길이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1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하는,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링크를, 상기 프로텍터가 상기 차량 도어의 폭 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2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하는,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상기 캠 부재에 형성된 홈을 구획하는 홈 벽면인 제1 캠면과 제2 캠면을 구비하고,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제1 캠면과 제2 캠면과의 양쪽에 걸어맞추어지는 단일의 캠 팔로워를 구비하는,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
KR1020187010933A 2015-10-26 2016-10-25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 KR1025015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5737/CHE/2015 2015-10-26
IN5737CH2015 2015-10-26
PCT/JP2016/081572 WO2017073558A1 (ja) 2015-10-26 2016-10-25 ドアエッジプロテクター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680A KR20180074680A (ko) 2018-07-03
KR102501553B1 true KR102501553B1 (ko) 2023-02-17

Family

ID=58630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0933A KR102501553B1 (ko) 2015-10-26 2016-10-25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06479B2 (ko)
JP (1) JP6714012B2 (ko)
KR (1) KR102501553B1 (ko)
CN (1) CN108290482B (ko)
DE (1) DE112016004882B4 (ko)
WO (1) WO20170735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308252B6 (cs) * 2017-01-12 2020-03-25 Brano A.S. Zařízení pro ochranu hran dveří automobilu
WO2019120337A1 (de) * 2017-12-18 2019-06-27 Skoda Auto A.S. Aktivator einer türkantenschutzeinrichtung für eine fahrzeugtür
JP7016075B2 (ja) * 2017-12-25 2022-02-04 国立大学法人山梨大学 関節補助ユニット、歩行補助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40534A1 (en) 2007-12-01 2009-06-04 Martin Lichter Door edge protection device
US20130300150A1 (en) 2010-05-18 2013-11-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oor edge protec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78232A (en) * 1952-10-07 1954-05-11 Joseph R Barry Retractable door guard for automobiles
US3280510A (en) * 1964-07-21 1966-10-25 Leonard C Vaux Retractable door bumper
US3473264A (en) * 1967-12-20 1969-10-21 Ford Motor Co Door edge guard
JPS546226A (en) 1977-06-15 1979-01-18 Souji Kawada Device of protecting door painting in automobile
JPS62258076A (ja) * 1986-05-01 1987-11-10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アクチユエ−タ装置
US4839991A (en) * 1988-05-04 1989-06-20 Rathgeb Peter M Retractable guard for motor vehicle door
US5052714A (en) * 1989-10-10 1991-10-01 Muscat Anthony J Hood ornament retraction device
JPH03103437U (ko) * 1990-02-07 1991-10-28
US5305969A (en) * 1991-07-16 1994-04-26 The Boeing Company Aircraft door latch lock mechanism
DE19934404A1 (de) 1999-07-22 2000-11-09 Daimler Chrysler Ag Einrichtung zum Betätigen des Kantenschutzes einer Kraftfahrzeug-Schwenktür
JP3099296U (ja) 2003-07-17 2004-04-02 有限会社 ダイヨシ 自動車用ドアの保護装置
GB0319996D0 (en) 2003-08-27 2003-10-01 Nissan Technical Ct Europ Ltd Door protector
DE102005026937A1 (de) 2005-06-06 2006-12-0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Kraftfahrzeugtürbaueinheit zum Einbau in ein Kraftfahrzeug
DE102006053275A1 (de) * 2006-11-03 2008-05-08 Schefenacker Vision Systems Germany Gmbh Schutzeinrichtung für Kanten an Fahrzeugen, vorzugsweise für Türkanten eines Kraftfahrzeuges
CZ2012901A3 (cs) 2012-12-17 2014-06-25 Ĺ KODA AUTO a.s. Ochranný prostředek hrany dveří
CN103122744B (zh) * 2013-03-06 2015-03-04 上海应用技术学院 车门开启防护器
KR101926878B1 (ko) * 2013-08-20 2018-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엣지 프로텍터
CN203623555U (zh) * 2013-10-25 2014-06-04 崔翰辰 一种车门保护套
KR20150073885A (ko) * 2015-01-05 2015-07-01 김의석 차량 도어 충격흡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40534A1 (en) 2007-12-01 2009-06-04 Martin Lichter Door edge protection device
US20130300150A1 (en) 2010-05-18 2013-11-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oor edge protec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290482B (zh) 2022-01-04
WO2017073558A1 (ja) 2017-05-04
CN108290482A (zh) 2018-07-17
US10906479B2 (en) 2021-02-02
JPWO2017073558A1 (ja) 2018-08-16
US20180281704A1 (en) 2018-10-04
JP6714012B2 (ja) 2020-06-24
DE112016004882B4 (de) 2021-12-16
DE112016004882T5 (de) 2018-07-12
KR20180074680A (ko)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1553B1 (ko)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
US10683685B2 (en) Reciprocating device
WO2010018683A1 (ja) ヒンジ装置及び収容装置
US20160273247A1 (en) Outer handle device for vehicle door
JP5811462B2 (ja)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装置
JP5150678B2 (ja) 検出部品組立体
US10914109B2 (en) Hinge device
US11255113B2 (en) Outer handle device for vehicle door
KR102468179B1 (ko)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
CN106401330B (zh) 门把手装置
WO2013085044A1 (ja) 弁装置
JP5026594B2 (ja) フューエルリッド開閉装置
JP4628171B2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
JP2010209638A (ja) ヒンジ装置
JP6672009B2 (ja) 車両のハンドル装置
JP4999445B2 (ja) コンソールのヒンジ構造
EP1805061B1 (en) A pivot connection
JP2008006967A (ja) アシストグリップ
US9550451B2 (en) Case-equipped mechanism device
KR102115743B1 (ko) 차량의 연료 뚜껑 개폐장치
JP7143230B2 (ja) 車両用内装装置
JP5227750B2 (ja) レバー装置
JP2017190005A (ja) 入力操作装置
JP4110590B2 (ja) 自動車用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
JP2019185889A (ja) ターンレバー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