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952B1 - 안과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안과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952B1
KR102497952B1 KR1020197006611A KR20197006611A KR102497952B1 KR 102497952 B1 KR102497952 B1 KR 102497952B1 KR 1020197006611 A KR1020197006611 A KR 1020197006611A KR 20197006611 A KR20197006611 A KR 20197006611A KR 102497952 B1 KR102497952 B1 KR 102497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olyoxyethylene
castor oil
ophthalmic composition
liquid paraff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6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3551A (ko
Inventor
마사타카 요시다
유미 타카무라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93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9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4Artificial tears; Irrigation solu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누액 오일층을 안정화시켜 외관이 징명한 안과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A) 유동파라핀 및 (B)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하고, (A) 성분과,
(B-1)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B-2)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B-3) (B-1) 및 (B-2) 이외의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배합 질량비가,
0.5≤((B-1)+(B-2)+(B-3))/(A), ((B-1)/0.75+(B-2)/2+(B-3)/0.05))/(A)≤10.0인 안과용 조성물.

Description

안과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유동파라핀을 함유하는 안과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누액 오일층은 눈물의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거나 이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눈의 기능 유지에는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고, 그 역할을 충분히 하기 위해서는 눈 표면에서 안정인 것이 필요하다. 이 누액 오일층은 마이봄샘으로부터 분비되어지는 지질(마이봄)로 구성되어 있고, 중요 성분은 왁스 에스테르,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인지질 등이다. 한편, 이들 성분은 가령이나 호르몬 변화에 의해 포화 지질의 비율이 증가하여 누액 오일층의 안정화에 영향을 주고, 누액 수분층의 증발이 항진되어 안구 건조 증상이 유발되는 원인이 된다. 또한, 눈 피로와도 깊은 관계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특별히, 마이봄샘 기능 부전에서는 지질의 포화화가 과도하게 진행되어 상기 증상이 악화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것에 대하여, 누액 오일층에 레시틴을 포함하는 안과용 조성물을 공급함으로써 누액 오일층을 균일화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7-211007호 공보). 그렇지만, 이들의 누액 오일층 안정화 효과는 불충분했다.
일본 특허 공개 2007-211007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누액 오일층을 안정화시켜 외관이 징명한 안과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예의검토한 결과, 유동파라핀이 가령 또는 호르몬 변화, 마이봄샘 기능 부전 등에 기인하는 포화 지질이 증가한 누액 오일층을 안정화할 수 있는 것을 지견했다.
한편, 유동파라핀을 함유하는 안과용 조성물에는 조성물의 외관이 징명(澄明)하기 어렵고, 수시간에 크리밍한다는 외관 안정성상의 과제가 있었다. 안과용 조성물은 이물 시험을 용이하게 하는 점에서 징명한 것이 바람직하고, 외관이 안정인 것이 필요하다. 이것에 대하여, 계면활성제를 유동파라핀이 가용화되는 양까지 배합하면, 징명이나 외관 안정화를 가능할 수 있지만, 다량의 계면활성제에 의해 가용화시킨 유동파라핀은 누액 오일층에 이행되기 어려워지고, 누액 오일층 안정화 효과를 잃게 된다는 새로운 과제가 발생했다. 그래서, 유동파라핀을 누액 오일층에 이행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점안 후에 누액에 희석됨으로써 유동파라핀과 계면활성제가 분리되고, 유동파라핀끼리의 합일을 촉진시킴으로써 수면에 유리하는 안과용 조성물을 목표로 하여 예의검토했다. 그 결과, 계면활성제로서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을 유동파라핀에 대하여 특정 비율 이하로 하는 것으로 이것을 실현할 수 있고, 누액 오일층 안정화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지견했다. 또한,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합계 배합량을 유동파라핀에 대하여 특정 비율 이상으로 하는 것으로, 징명성이나 외관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을 지견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발명을 제공한다.
[1]. (A) 유동파라핀 및 (B)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하고, (A) 성분과,
(B-1)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B-2)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B-3) (B-1) 및 (B-2) 이외의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배합 질량비가,
0.5≤((B-1)+(B-2)+(B-3))/(A), ((B-1)/0.75+(B-2)/2+(B-3)/0.2))/(A)≤10.0인 안과용 조성물.
[2]. [1]에 있어서, (B)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B-1)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및 (B-2)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안과용 조성물.
[3]. [1] 또는 [2]에 있어서, (C) 테르페노이드를 더 포함하는 안과용 조성물.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안과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고압 유화에 의한 미세화 공정을 포함하는 안과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누액 희석에 의해 유동파라핀을 누액 오일층에 이행시켜 누액 오일층을 안정화하고, 외관이 징명한 안과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 성분]
(A) 유동파라핀
유동파라핀은 포화 지질이 증가한 불안정한 누액 오일층에 대하여, 누액 오일층 안정화 효과가 높은 성분이다. 유동파라핀은 트리글리세리드로 이루어지는 식물유나 탄화수소 중에서도 탄소쇄 길이가 짧은 스쿠알란 등과 비교해서 극성이 낮은 유분이다. 또한, 유동파라핀은 원유로부터 얻어지는 탄화수소류의 혼합물이고, 상온에서 액체이다. 예를 들면, 원유의 상압 증류 잔유(殘油)를 원료로 감압 증류, 용제 탈력(脫歷) 처리를 행하고, 그 후 용제 정제법 또는 수소화 분해법 처리를 행하는 방법 등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동파라핀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히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탄화수소의 탄소쇄 길이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15~45개의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탄화수소에 있어서의 이중 결합의 유무에 대해서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포화 탄화수소를 많이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탄화수소의 구조로서는 직쇄, 분기쇄 및 환상 구조 중 어느 것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어느 비중의 유동파라핀이어도 사용할 수 있다. 특별히, 일본 약국방에 수재(收載)된 유동파라핀 및 경질 유동파라핀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정제로서 적당한 형태의 토코페롤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유동파라핀의 점도는 그 분자량과 상관하고 있고, 제 16 개정 일본 약국법 제 1 법(37.8℃)의 측정 방법에 있어서, 점도 30~100㎟/s의 것이 바람직하고, 점도 37~88㎟/s의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4~88㎟/s의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점도 범위 내의 2종 이상을 혼합해도 좋다. 점도를 30㎟/s 이상으로 하는 것으로 누액 오일층 안정화 효과를 보다 얻을 수 있고, 100㎟/s 이하로 하는 것으로 조성물의 징명성(투과율)을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유동파라핀 특유의 눈 자극을 보다 경감시킬 수 있다.
(A) 성분의 배합량은 조성물 중 0.001~25.0W/V%(질량/용적%, g/100㎖ 이하 같음)가 바람직하고, 0.001~2.5W/V%가 보다 바람직하고, 0.001~1.0W/V%가 더욱 바람직하고, 0.01~0.5W/V%가 특히 바람직하고, 0.05~0.25W/V%가 가장 바람직하다. 0.001W/V% 이상으로 누액 오일층 안정화 효과를 보다 얻을 수 있고, 25.0W/V% 이하로 하는 것으로 조성물의 징명성을 보다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유동파라핀 특유의 눈 자극을 보다 경감시킬 수 있다.
[(B) 성분]
(B) 비이온 계면활성제
(A) 유동파라핀을 함유하는 안과용 조성물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성물의 징명성이나 외관 안정성상의 과제가 있고, 계면활성제의 배합으로 과제를 해결할 수 있지만, 다량의 계면활성제에 의해 가용화시킨 유동파라핀은 누액 오일층 안정화 효과를 잃어버린다. 비이온 계면활성제 중에서도 (B-1)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및 (B-2)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B-3) (B-1) 및 (B-2) 이외의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배합 질량비를, 0.5≤((B-1)+(B-2)+(B-3))/(A), ((B-1)/0.75+(B-2)/2+(B-3)/0.2))/(A)≤10.0으로 하는 것으로, 조성물의 외관은 징명하면서 누액 희석에 의해 유동파라핀과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분리되고, 유동파라핀끼리의 합일을 촉진, 수면에의 유리를 촉진하여 누액 오일층 안정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B-1) 성분과 (B-2) 성분은 비교적 고농도 배합해도, 누액 오일층 안정화 효과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조성물의 징명성이 유리한 점에서 1종 이상 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성물의 징명성이나 외관 안정성의 점에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2종 이상 배합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HLB에 관해서는 누액 오일층 안정화 효과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기 때문에, 10 이상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2.8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3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B-1)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POE 피마자유)는 피마자유에 산화에틸렌을 부가 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화합물이고, 산화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가 다른 몇 개의 종류가 알려져 있다.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에 있어서의 산화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3~60몰이 예시된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3(수치는 산화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 이하 같음),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10,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20,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35,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40,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50,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60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히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누액 오일층 안정화 효과의 점에서,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35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1) 성분의 배합량은 상기 비율을 충족시키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조성물 중 0.0005~25.0W/V%가 바람직하고, 0.0005~20.0W/V%가 보다 바람직하고, 0.001~10.0W/V%가 더욱 바람직하고, 0.0025~6.0W/V%가 특히 바람직하다. 누액 오일층 안정화 효과의 점에서는 5.0W/V% 이하가 바람직하고, 2.5W/V%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W/V%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B-2)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POE 경화 피마자유)는 수첨한 피마자유에 산화에틸렌을 부가 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화합물이고, 산화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가 다른 몇 개의 종류가 알려져 있다.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에 있어서의 산화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5~100몰이 예시된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5(수치는 산화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 이하 같음),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1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2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3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4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5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6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8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100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히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누액 오일층 안정화 효과의 점에서,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4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6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2) 성분의 배합량은 상기 비율을 충족시키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조성물 중 0.0005~20.0W/V%가 바람직하고, 0.0010~10.0W/V%가 보다 바람직하고, 0.0025~6.0W/V%가 더욱 바람직하다. 누액 오일층 안정화 효과의 점에서는 5.0W/V% 이하가 바람직하고, 2.5W/V%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W/V%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B-3) (B-1) 및 (B-2) 이외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폴리소르베이트 80(모노라우린산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내 수치는 산화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 이하 같음)으로 대표되는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POE 소르비탄지방산 에스테르), 폴록사머로 대표되는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코폴리머(POEPOP 글리콜),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 글리콜(4),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 글리콜(10),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 글리콜(40),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 글리콜(100)로 대표되는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을 들 수 있고,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히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단, 계면으로부터 탈착하기 어려운 레시틴이나 수첨 레시틴, 포스파티딜콜린이나 포스파티딜글리세롤 등의 인지질류 등은 누액 희석에 의해 유동파라핀으로 분리되지 않아 유동파라핀이 누액 오일층으로 이행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포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B-3) 성분을 배합하는 경우, (B-3) 성분의 배합량은 하기 비율을 충족시키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누액 오일층 안정화 효과의 점에서는 조성물 중 1.0W/V% 이하가 바람직하고, 0.5W/V%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4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B) 성분의 배합 하한은 ((B-1)+(B-2)+(B-3))/(A)로 규정할 수 있고, 0.5≤((B-1)+(B-2)+(B-3))/(A)이고, 1.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5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배합 하한 미만에서는 조성물의 징명성은 나빠진다. 또한, ((B-1)+(B-2)+(B-3))/(A)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20 이하이다. 한편, 배합 상한은 ((B-1)/0.75+(B-2)/2+(B-3)/0.2))/(A)로 규정할 수 있고, ((B-1)/0.75+(B-2)/2+(B-3)/0.2))/(A)≤10.0이고, 8.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3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B-1)/0.75+(B-2)/2+(B-3)/0.2))/(A)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0.25 이상이다.
「((B-1)+(B-2)+(B-3))/(A)」는 (A) 성분에 대한 (B)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양을 규정한 것이다. ((B-1)/0.75+(B-2)/2+(B-3)/0.2))/(A)는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B-1), (B-2), (B-3)의 양을 규정한 것이다. 이들은 (B) 성분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면, (A) 성분 1.0W/V%의 경우, (B-1) 단독이면 0.5W/W% 이상, 7.5W/V% 이하, (B-2) 단독이면 0.5W/W% 이상, 20.0W/V% 이하, (B-3) 단독이면 0.5W/W% 이상, 2.0W/V%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복합 조성의 경우, (B-3)을 많이 배합하면 전체 비이온 계면활성제 배합 농도로서는 소량밖에 배합할 수 없고, 조성물의 징명성이나 안정성의 점에서 불리해지는 점에서 ((B-1)/0.75+(B-2)/2+(B-3)/0.05))/(A)로서 규정해도 좋다. 또한, 상기 비율은 W/V%비이지만, 질량비와 같은 값이 된다.
또한, 염화벤잘코늄이나 염화벤제토늄으로 대표되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라우릴 황산나트륨이나 소르빈산 또는 그 염으로 대표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라우라민옥사이드로 대표되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누액 희석에 의한 유동파라핀과 계면활성제의 분리를 저해하여 유동파라핀이 누액 오일층에 이행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조성물 중에 0.1W/V%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1W/V%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C) 성분]
본 발명의 안과용 조성물은 테르페노이드를 더 함유하면 좋다. (C) 테르페노이드의 배합에 의해, 조성물의 누액 희석에 의한 유동파라핀의 수면에의 유리성을 높이는 등, 유리성을 조정할 수 있고, 누액 오일층 안정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테르페노이드란 이소프렌 유닛을 구성단위로 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예를 들면 테르펜 탄화수소, 테르펜 알콜, 테르펜 알데히드, 테르펜 케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탄소수에 의해 모노테르펜, 세스퀴테르펜, 디테르펜, 트리테르펜, 테트라테르펜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멘톨, 멘톤, 캄퍼, 보르네올, 용뇌, 게라니올, 시네올, 리날롤, 시트로넬롤 및 리모넨 등의 모노테르펜, 레티놀 및 레티날 등의 디테르펜, 카로티노이드 등의 테트라테르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모노테르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테르페노이드는 d체, l체 또는 dl체 중 어느 것이어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멘톨, 멘톤, 캄퍼, 보르네올, 게라니올, 시네올, 리날롤이 바람직하고, 멘톨, 캄퍼, 보르네올, 게라니올, 시네올, 리날롤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테르페노이드로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정유(精油)를 사용해도 좋다. 이러한 정유로서는, 예를 들면 유칼리유, 베르가모트유, 페넬유, 로즈유, 박하유, 페퍼민트유, 스피어민트유, 및 이우시과 식물의 정유, 로즈마린유, 라벤더유 등을 들 수 있다. 누액 오일층 안정화 효과를 향상시키는 점에서, 베르가모트유, 유칼리유가 바람직하다.
(C) 성분의 배합량은 조성물 중 0.0001~0.2W/V%이고, (C) 성분의 종류, (B) 성분 등의 다른 배합 성분 및 그 배합량 등으로부터 적당히 선정된다. 0.001~0.1W/V%가 바람직하다. 이 배합 농도 범위에서는 다른 배합 성분의 종류나 배합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C) 테르페노이드류가 석출될 우려가 적다. 또한, 누액 오일층 안정화 효과의 관점에서 0.005W/V%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자극감을 저감시키는 관점에서 0.075W/V%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기타 성분]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기타 성분을 적량 배합할 수 있다. 기타 성분으로서는 유동파라핀 이외의 오일 성분, 방부제, 당류, 완충제, pH 조정제, 등장화제, 안정화제, 다가 알콜, 점조제, 약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성분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히 조합시켜 배합할 수 있다. 하기에 나타내는 성분의 배합량은 배합하는 경우의 바람직한 범위이고, 조성물 중의 양이다.
유동파라핀 이외의 오일 성분으로서, 피마자유, 대두유, 올리브유, 참깨유, 옥수수유, 야자유, 아몬드유,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아세트산-d-α-토코페롤, 레티놀 팔미트산 에스테르, 백색 바셀린, 정제 라놀린, 콜레스테롤, 믹스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다. 유동파라핀 이외의 오일 성분의 배합량은 0.001~1.0W/V%가 바람직하고, 0.001~0.5W/V%가 보다 바람직하고, 0.001~0.25W/V%가 가장 바람직하다.
방부제 중에서도 알킬쇄나 벤젠환 등의 소수부를 갖는 방부제로서, 티메로살, 페닐에틸알콜, 알킬아미노에틸글리신, 클로르헥시딘글루콘산, 파리옥시벤조산 메틸, 파라옥시벤조산 에틸 등을 들 수 있지만, 유동파라핀이 누액 오일층에 이행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조성물 중에 0.1W/V% 이하가 바람직하고,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당류로서는 글루코오스, 시클로덱스트린, 자일리톨, 소르비톨, 만니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은 d체, l체 또는 dl체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당류의 배합량은 조성물 중 0.001~5.0W/V%가 바람직하고, 0.001~1W/V%가 보다 바람직하고, 0.001~0.1W/V%가 더욱 바람직하다.
완충제로서는, 예를 들면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붕산, 붕사, 인산, 인산수소나트륨, 인산 2수소 나트륨, 빙초산, 트로메타몰, 염화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완충제의 배합량은 조성물 중 0.001~5.0W/V%가 바람직하고, 0.001~2W/V%가 보다 바람직하고, 0.001~1W/V%가 더욱 바람직하다.
pH 조정제로서는 무기산 또는 무기 알칼리제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무기산으로서는 (희)염산을 들 수 있다. 무기 알칼리제로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염화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조성물의 pH는 3.5~13.0으로 할 수도 있고, 누액 오일층 불안정화가 야기하는 여러 증상을 보다 개선시키는 점에서 3.5~8.0이 바람직하고, 5.5~8.0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pH의 측정은 25℃에서 pH미터(HM-25R, DKK-TOA CORPORATION)를 사용하여 행한다.
등장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염화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건조 탄산나트륨, 황산마그네슘, 인산수소나트륨, 인산 2수소 나트륨, 인산 2수소 칼륨 등을 들 수 있다. 누액 오일층 불안정화가 일으키는 여러 증상을 보다 개선시키는 점에서, 염화나트륨과 염화칼륨을 적어도 1종 이상 배합하여 등장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성물의 대 생리식염수 침투압비는 누액 오일층 불안정화가 일으키는 여러 증상을 보다 개선시키는 점에서 0.60~2.00이 바람직하고, 0.60~1.55가 보다 바람직하고, 0.83~1.20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침투압의 측정은 25℃에서 자동 침투압계(A2O, ADVANCED INSTRUMENTS, INC.)를 사용하여 행한다.
안정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데트산나트륨, 시클로덱스트린, 아황산염,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등을 들 수 있다. 안정화제의 배합량은 조성물 중 0.001~5.0W/V%가 바람직하고, 0.001~1W/V%가 보다 바람직하고, 0.001~0.1W/V%가 더욱 바람직하다.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은 누액 희석에 의한 유동파라핀과 계면활성제의 분리를 저해하여 유동파라핀이 누액 오일층에 이행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가 알콜로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알콜을 배합하는 경우, 다가 알콜의 배합량은 조성물 중 0.001~5.0W/V%가 바람직하고, 0.001~1W/V%가 보다 바람직하고, 0.001~0.1W/V%가 더욱 바람직하다.
점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피롤리돈,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콜,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나트륨, 폴리아크릴산,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점조제를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중 0.001~5.0W/V%가 바람직하고, 0.001~1W/V%가 보다 바람직하고, 0.001~0.1W/V%가 더욱 바람직하다.
약물(약학적 유효 성분)로서는, 예를 들면 충혈 제거 성분(예를 들면, 에피네프린, 염산 에피네프린, 에페드린 염산염, 염산 테트라히드로졸린, 나파졸린 염산염, 나파졸린 질산염, 페닐에프린 염산염, dl-메틸에페드린 염산염 등), 소염·수렴제(예를 들면, 네오스티그민 메틸황산염, 엡실론-아미노카프로산, 알란토인, 베르베린 염화물 수화물, 베르베린 황산염 수화물, 아줄렌술폰산나트륨, 글리시리진산 2칼륨, 황산아연, 젖산아연, 리소자임 염산염 등), 항히스타민제(예를 들면, 디펜히드라민 염산염, 클로르페니라민말레산염 등), 수용성 비타민류(플라빈 아데딘 디뉴클레오티드 나트륨, 시아노코발라민, 피리독신염산염, 판테놀, 판토텐산 칼슘, 판토텐산 나트륨 등), 아미노산류(예를 들면, L-아스파라긴산 칼륨, L-아스파라긴산 마그네슘, L-아스파라긴산 칼륨·마그네슘(등량 혼합물), 아미노에틸술폰산, 콘드로이틴황산 나트륨 등), 술파제 등을 들 수 있다. 약물을 배합하는 경우, 약물의 함유량은 각 약물의 유효한 적성량을 선택할 수 있지만 조성물 중 0.001~5.0W/V%가 바람직하고, 0.001~1W/V%가 보다 바람직하고, 0.001~0.1W/V%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A) 성분 등의 유성 성분과 (B) 성분 등의 계면활성제 성분의 혼합 용액을 수성 성분을 포함하는 수용액과 혼합해서 유화시키고, pH 조정 후, 총 체적을 물에 의해 조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각 액체의 혼합 방법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좋고, 펄세이터, 프로펠러 날개, 패들 날개, 터빈 날개 등을 사용하여 적당히 행해지지만, 회전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심하게 거품이 일지 않는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액체의 혼합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유성 성분과 계면활성제 성분이 모두 융해 온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40~95℃의 범위에서 적당히 선정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압 유화에 의한 미세화 공정을 행한다. 고압 유화 조건은 조성물의 징명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고압으로 패스 횟수를 많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저압으로 패스 횟수를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분사압은 100~245㎫가 바람직하고, 150~245㎫가 보다 바람직하고, 200~245㎫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배압을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10㎫가 바람직하고, 2~5㎫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패스 횟수는 1~10회가 바람직하고, 1~5회가 보다 바람직하다. 고압 유화시의 온도는 20~90℃의 범위에서 적당히 선정된다.
또한, 얻어지는 조성물을 수지제 용기에 충전 후, 포장체에 의해 더 밀봉하여 상기 용기와 상기 포장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불활성 가스 농도를 봉입해도 좋고, 안과용 조성물을 수지제 용기에 충전하여 탈산소제와 함께 포장체에 의해 밀봉해도 좋다.
[안과용 조성물]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성 안과용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성 안과용 조성물」이란 매질이 물인 안과용 조성물을 말한다. 또한, 물의 배합량은 누액과의 혼합을 용이하게 하여 유동파라핀 이행 지연을 방지하고, 누액 오일층 안정화 효과를 보다 얻는 점에서 조성물 중 90.0~99.5W/V%가 바람직하고, 95.0~98.0W/V%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눈에의 적응을 용이하게 하는 점에서 액체가 바람직하고, 25℃에 있어서의 점도는 누액과의 혼합을 용이하게 하여 유동파라핀 이행 지연을 방지하고, 누액 오일층 안정화 효과를 보다 얻는 점에서 20mPa·s 이하가 바람직하고, 10mPa·s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mPa·s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2mPa·s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점도의 측정 방법은 콘플레이트형 점도계(예를 들면, DV2T, EKO INSTRUMENTS INC.)를 사용하여 행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물 혼입시의 발견을 용이하게 하는 점에서 징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분광 광도계(UV-1800, SHIMADZU CORPORATION)를 사용하여 측정한 파장 600㎚의 투과율이 50~100%가 바람직하고, 75~100%가 보다 바람직하고, 90~100%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에 함유되는 계면활성제와 유동파라핀의 회합체의 중위 지름은 입자 지름 측정 장치(ELSZ-200ZS, Otsuka Electronics CO., LTD.제)로 측정하고, 조성물의 징명성이나 외관 안정성의 점에서 1~200㎚가 바람직하고, 1~100㎚가 보다 바람직하고, 1~60㎚가 더욱 바람직하고, 1~40㎚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점안제, 콘텍트렌즈용 점안제, 안구 세정제 등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누액 희석 배율이 높아 유동파라핀으로의 계면활성제의 이탈이 보다 촉진되어 유동파라핀 송달이 효율적으로 행해지는 점에서 특히 점안제, 콘텍트렌즈용 점안제(콘텍트렌즈 장착자용 점안제)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콘텍트렌즈로서는 하드 콘텍트렌즈, 소프트 콘택트렌즈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점안제 또는 콘텍트렌즈용 점안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1회에 10~100㎕를 1~3방울 1일에 1~6회 점안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눈으로부터 넘쳐나옴으로써 누액 오일층 안정화 효과가 감해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1회에 10~50㎕를 1~3방울 1일에 1~6회가 보다 바람직하고, 1회에 10~30㎕를 1~3방울 1일에 1~6회가 더욱 바람직하다. 안구 세정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1회에 3~6㎖, 1일에 3~6회 세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간단히 누액 오일층에 오일을 보급하는 것이나 마이봄샘으로부터의 오일 성분의 생산을 촉진하는 것은 아니고, 마이봄샘 기능 부전 등에 의해 불안정화한 누액 오일층을 안정화시키는 것이다. 단순하게 오일 성분의 생산을 촉진하는 것은 포화 지질까지 증가해서 오히려 증상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누액 오일층에 오일을 보급하는 것만으로는 불안정화한 누액 오일층을 안정화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누액 오일층 안정화용(누액 오일층 안정화제)으로서 유효하고, 또한 안구 건조 증상(눈의 피로, 눈의 흐림·침침함, 눈의 건조, 이물감, 눈의 통증, 눈이 부심, 눈이 무거움, 눈의 가려움, 눈의 불쾌감, 눈곱, 유루, 충혈 등) 및 눈 피로 증상(눈이 지침, 피로감, 어깨가 결림, 두통 등)의 개선용(안구 건조 증상 개선제)으로서 유효하다. 특히 누액 오일층 불안정화에 의해 발생하는 안구 건조 증상 및 눈 피로 증상의 개선용(눈의 피로, 눈의 흐림·침침함, 눈의 건조 또는 피로감 개선제)으로서 유효하다. 보다 효과적인 증상은 눈의 피로, 눈의 흐림·침침함, 눈의 건조, 피로감이고, 더 효과적인 증상은 눈의 피로, 눈의 흐림· 침침함이고, 가장 효과적인 증상은 눈의 흐림·침침함이다. 상기의 점에서, 마이봄샘 기능 부전 환자용, 안구 건조 환자용, 눈 피로 환자용, 특히 누액 오일층 불안정화 또는 마이봄샘 기능 부전에 의해 야기되는 안구 건조 환자용, 누액 오일층 불안정화 또는 마이봄샘 기능 부전에 의해 야기되는 눈 피로 환자용으로서 유용하다. 또한, 콘텍트렌즈 장착은 마이봄샘 기능 부전을 조장하는 점에서, 콘텍트렌즈 장용자용, 특히 소프트 콘택트렌즈 장용자용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효량, 투여 방법, 조제 방법 등은 상기에 기재한 대로이고, 예를 들면 유동파라핀량으로서 성인 1인당 0.01~1mg을 1일 1~6회로 나누어 눈에 투여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B-1)+(B-2)+(B-3))/(A), ((B-1)/0.75+(B-2)/2+(B-3)/0.2))/(A), ((B-1)/0.75+(B-2)/2+(B-3)/0.05))/(A)는 상기 비율은 W/V%비이고, 질량비와 같은 값이 된다.
[실시예, 비교예]
하기 표에 각 수성 성분을 90㎖의 물에 용해하고, 90℃ 15분간 가온 혼합했다. 별도로, (A) 유동파라핀과 (B)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프리믹스를 제작하여 90℃ 15분간 가열 혼합했다. 다음에, 프리믹스를 상기 수용액에 소정량 첨가하여 90℃ 15분간 더 가열 혼합했다. 그 후, 실온까지 냉각하고, pH 조정을 행하여 물로 100㎖가 되도록 물을 첨가했다. 또한, 고압 유화기(STAR BURST MINI, SUGINO MACHINE LIMITED CO., LTD.)를 사용하여 분사압 200㎫ 배압 3㎫로 5회 처리를 행하여 점안제를 조제했다. 얻어진 조성물에 대해서, 하기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 중에 병기한다. 또한, 제조 후 24시간 후, 40℃·6개월 보존 후의 외관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실시예에 있어서는 크리밍 등 보여지지 않아 외관 안정이었지만, 비교예 1, 3은 크리밍하고 있었다. 또한, 각 실시예의 점도는 0.5~2.0mPa·s의 범위이었다.
[희석에 의한 유동파라핀의 수면에의 유리성 시험]
인간의 누액은 평균 7㎕로 알려져 있고 점안제 30~60㎕를 점안한 경우, 약1.12~1.23배 희석되게 된다. 본 시험에서는 조성물의 누액 희석에 의한 유동파라핀의 수면에의 유리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모델 누액으로서 생리식염수를 사용하고, 희석 배율 약 1.2배로 희석했을 때의 수면 상에의 유동파라핀 유리를 관찰했다. 관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개구부가 좁은 매스플라스크를 사용했다. 구체적으로는 50㎖ 매스플라스크에 생리식염수 10㎖을 첨가하고, 조성물을 개구부까지 더 쏟았다. 또한, 개구부까지 쏟았을 때의 희석율이 1.2배가 되는 매스플라스크를 사용하고, 개구부의 면적은 152㎟이었다. 수면 상의 유동파라핀의 관찰은 형광등을 광원으로서 빛을 액면에 닿게 하고, 액면에 떠 있는 오일의 간섭광을 관찰하여 수면에 차지하는 오일의 간섭광의 면적의 비율을 산출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또한, 어느 실시예와 비교예에 있어서 비희석의 경우는 오일의 간섭광은 관찰되지 않았다.
[평가 기준]
◎: 수면의 10% 이상에서 오일의 간섭광이 관찰된다
○: 수면의 10% 미만에 오일의 간섭광이 관찰된다
×: 오일의 간섭광은 관찰되지 않는다
[누액 오일층 안정성 시험]
누액 오일층 안정성의 평가를 안구 건조 관찰 장치 DR-1(Kowa Company, Ltd.제)을 사용하여 누액 오일층의 BUT(break up time)를 측정함으로써 행했다. DR-1은 누액 오일층 표면과 누액 수분층의 경계면에서 반사되는 빛의 간섭상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이다. 건상안에서는 균일한 회색 또는 백색의 간섭상이 관찰되어 누액 오일층이 붕괴되면 간섭상이 소실된다. 피험자에게 각 점안제 30㎕를 점안하여 10분 경과 후 수차 깜박거리고, 그 깜박거림으로부터 누액 오일층의 붕괴까지의 시간(오일층 BUT)을 측정했다. 피험자는 점안 전의 오일층 BUT가 10초 이하인 사람 7명 13안을 선택했다. 결과를 7명 13안의 평균값으로부터 하기 평가 기준으로 나타낸다. 10초 이하이었던 오일층 BUT는 일내나 일간 변동, 유동파라핀을 포함하지 않는 점안제에 있어서는 10초를 초과하는 경우는 없고, 10초 이상으로의 개선은 충분한 유용성이 있는 것으로서 가능하다고 판단했다.
[평가 기준]
◎(우): 오일층 BUT가 60초 이상
○(양): 오일층 BUT가 30초 이상 60초 미만
●(가): 오일층 BUT가 10초 이상 30초 미만
×(불가): 오일층 BUT가 10초 미만
[투과율(%)(징명성)]
제조 직후의 점안제를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파장 600㎚의 투과율을 측정했다. 50% 이상을 합격으로 한다.
Figure 112019022907295-pct00001
Figure 112019022907295-pct00002
Figure 112019022907295-pct00003
Figure 112019022907295-pct00004
Figure 112022089760895-pct00012
Figure 112019022907295-pct00006
Figure 112019022907295-pct00007
Figure 112019022907295-pct00008
Figure 112019022907295-pct00009
Figure 112019022907295-pct00010
[시험예]
<in vitro 누액 오일층 안정성 시험>
각 오일 성분의 누액 오일층 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in vitro 평가계에서 평가를 행했다. 불안정화한 누액 오일층 모델로서, 토끼 눈꺼풀로부터 추출한 마이봄에 포화 지질로서 스테아린산 스테아릴과 스테아린산 코레스테릴을 100:3.3:6.7의 질량비로 혼합했지만 클로로포름 용액을 제작하고, 그 용액을 단위면적당 지질량이 5㎍/㎠(평균적인 눈의 단위면적당 지질량)가 되도록 폴리데트라플루오로에틸렌제 수조(45㎠) 중 생식 수면 상에 전개했다. 또한, 소정의 농도로 한 각 오일의 클로로포름 용액 675㎕(평균적인 눈의 크기 2㎠당 30㎕이 됨)를 전개하고, 37℃ 15분간 정치하여 클로로포름을 완전히 휘발시키고, 폴리데트라플루오로에틸렌 막대로 10회 압축 신장한 후, 오일층의 간섭광을 목시로 관찰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누액 오일층 안정성의 평가를 행했다. 누액에 있어서 수분층이 노출되지 않으면 일정 이상의 안정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에 가능하다고 판단했다.
[누액 오일층 안정성 평가]
◎(우): 균일한 오일층
○(양): 거의 균일한 오일층
●(가): 얼룩이 있지만 수분층은 노출되지 않음
×(불가): 수분층이 노출
Figure 112019022907295-pct00011
포화 지질이 증가한 불안정화 누액 오일층 모델에 있어서, 유동파라핀은 안정화 효과가 보여지지만, 피마자유, 참깨유,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레시틴은 안정화 효과가 보여지지 않았다.
상기 예에서 사용한 원료를 하기에 나타낸다. 또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표 중의 각 성분의 양은 순분 환산량이다.
유동파라핀 제 16 개정 일본 약국법 제 1 법(37.8℃) 점도 76.6㎟/s(KAYDOL, SHIMA TRADING CO., LTD.제)
유동파라핀 제 16 개정 일본 약국법 제 1 법(37.8℃) 점도 34.8㎟/s(HICALL M-172, KANEDA Co., Ltd.제)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35, UNIOX C35, NOF CORPORATION제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1: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60, HCO60, NIPPON SURFACTANT INDUSTRIES CO., LTD.제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2: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40, HCO40, NIPPON SURFACTANT INDUSTRIES CO., LTD.제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 글리콜*3: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 글리콜(4), MYS4V, NIPPON SURFACTANT INDUSTRIES CO., LTD.제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 글리콜*4: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 글리콜(10), MYS10V, NIPPON SURFACTANT INDUSTRIES CO., LTD.제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 글리콜*5: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 글리콜(40), MYS40MV, NIPPON SURFACTANT INDUSTRIES CO., LTD.제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 글리콜*6: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 글리콜(100), EMALEX8100, NIHON EMULSION Co., Ltd.제
POE 소르비탄지방산 에스테르*7: 폴리소르베이트 80(모노라우린산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KAO CORPORATION제
POEPOP 글리콜(폴리옥시에틸렌(196)-폴리옥시프로필렌(67) 블록 코폴리머*8: Lutrol F127, BASF Japan Ltd.제
붕산: KOZAKAI PHARMACEUTICAL CO., LTD.제
트로메타몰: KANTO CHEMICAL CO., INC.제
에데트산 나트륨 수화물: CLEWAT N, Nagase ChemteX Corporation제
염화나트륨: Tomita Pharmaceutical Co., Ltd.제
수산화나트륨: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제
피마자유: KANEDA Co., Ltd.제
참깨유: KANEDA Co., Ltd.제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NIKKOL 트리에스테르 F-810, Nikko Chemicals Co., Ltd.제
레시틴: 난(卵) 유래, MP Biomedicals, Inc.제
멘톨: l-멘톨, SUZUKI MENTHOL CO., LTD.제
dl-캄퍼: NIPPON FINE CHEMICAL CO., LTD.제
보르네올: d-보르네올, Yanagisawa Masami Shoten제
게라니올: TAKASAGO INTERNATIONAL CORPORATION제
시네올: TAKASAGO INTERNATIONAL CORPORATION제
리날롤: TAKASAGO INTERNATIONAL CORPORATION제
베르가모트유: YAMAMOTO PERFUMERY CO., LTD.제
유칼리유: Ogawa & Co., Ltd.제

Claims (5)

  1. (A) 제 16 개정 일본 약국법 제 1 법(37.8℃)의 측정 방법에 따른 점도가 74~88㎟/s인 유동파라핀, (B) (B-1)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및 (B-2)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C) 멘톨, 리날롤, 시네올, 베르가모트유, 유칼리유, 게라니올, 보르네올 및 캄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테르페노이드를 함유하고, (A) 성분과,
    (B-1)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B-2)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B-3)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코폴리머 및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 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의 배합 질량비가,
    0.5≤((B-1)+(B-2)+(B-3))/(A), ((B-1)/0.75+(B-2)/2+(B-3)/0.2))/(A)≤10.0인 안과용 조성물.
  2. (A) 제 16 개정 일본 약국법 제 1 법(37.8℃)의 측정 방법에 따른 점도가 74~88㎟/s인 유동파라핀, 및 (B) (B-1)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및 (B-2)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하고, (A) 성분과,
    (B-1)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B-2)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B-3)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코폴리머 및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 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의 배합 질량비가,
    1.0≤((B-1)+(B-2)+(B-3))/(A)인 안과용 조성물로서,
    개구부의 면적이 152㎟인 50㎖ 매스플라스크에 생리식염수 10㎖을 첨가하고, 상기 안과용 조성물을 개구부까지 더 쏟은, 생리식염수에 의한 1.2배 희석액에, 형광등을 광원으로서 빛을 액면에 닿게 하면, 액면에 떠 있는 오일의 간섭광이 관찰되는, 안과용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B)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B-1)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및 (B-2)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를 포함하는 안과용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C) 테르페노이드를 더 포함하는 안과용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안과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고압 유화에 의한 미세화 공정을 포함하는 안과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97006611A 2016-12-08 2017-12-07 안과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4979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38274 2016-12-08
JPJP-P-2016-238274 2016-12-08
PCT/JP2017/043924 WO2018105681A1 (ja) 2016-12-08 2017-12-07 眼科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551A KR20190093551A (ko) 2019-08-09
KR102497952B1 true KR102497952B1 (ko) 2023-02-09

Family

ID=62491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6611A KR102497952B1 (ko) 2016-12-08 2017-12-07 안과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6962663B2 (ko)
KR (1) KR102497952B1 (ko)
CN (1) CN109996538B (ko)
TW (1) TWI776831B (ko)
WO (1) WO20181056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1917A1 (ja) * 2017-12-07 2019-06-13 ライオン株式会社 水性眼科用組成物及びエマルション粒子の微粒化方法
JP7172438B2 (ja) * 2018-10-24 2022-11-16 ライオン株式会社 水性眼科用組成物及び保存効力向上方法
KR20210107607A (ko) * 2018-12-26 2021-09-01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안과용 조성물
JP7467911B2 (ja) 2019-12-25 2024-04-16 ライオン株式会社 眼科用組成物及び外観安定化方法
WO2022026805A1 (en) * 2020-07-31 2022-02-03 Altaire Pharmaceuticals, Inc. Ophthalmic compositions for removing meibum or inhibiting meibum buildup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3959A (ja) * 2007-04-04 2008-11-13 Taisho Pharmaceutical Co Ltd 点眼剤
WO2015080249A1 (ja) 2013-11-29 2015-06-04 ロート製薬株式会社 眼科用又は耳鼻科用水性組成物
WO2015152155A1 (ja) 2014-03-31 2015-10-08 ロート製薬株式会社 眼科用又は耳鼻科用水性組成物
JP2016027039A (ja) * 2014-07-03 2016-02-18 ロート製薬株式会社 局所粘膜用水性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7295B2 (ja) * 1989-07-04 1998-11-25 大正製薬株式会社 ビタミンa類含有点眼剤
JP2003095897A (ja) * 2001-09-27 2003-04-03 Lion Corp 毛髪褪色予防剤組成物
JP5748385B2 (ja) 2006-01-13 2015-07-15 大正製薬株式会社 O/w型エマルション水性点眼剤
JP5176132B2 (ja) * 2006-09-14 2013-04-03 大正製薬株式会社 眼科用剤
JP2008222638A (ja) * 2007-03-13 2008-09-25 Teika Seiyaku Kk 油成分含有眼用組成物
JP5722299B2 (ja) * 2012-12-07 2015-05-20 バイオアバイラビリティ,インク. 栄養学的に使用するための高濃度自己マイクロエマルジョン化コエンザイムq10調製物
WO2014153733A1 (en) * 2013-03-27 2014-10-02 Comprehensive Drug Enterprises, Ltd. Ophthalmic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use of the same
JP2016185940A (ja) * 2014-06-10 2016-10-27 ロート製薬株式会社 眼科用組成物
TWI707684B (zh) * 2014-09-11 2020-10-21 日商大日本住友製藥股份有限公司 點眼用懸濁製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3959A (ja) * 2007-04-04 2008-11-13 Taisho Pharmaceutical Co Ltd 点眼剤
WO2015080249A1 (ja) 2013-11-29 2015-06-04 ロート製薬株式会社 眼科用又は耳鼻科用水性組成物
WO2015152155A1 (ja) 2014-03-31 2015-10-08 ロート製薬株式会社 眼科用又は耳鼻科用水性組成物
JP2016027039A (ja) * 2014-07-03 2016-02-18 ロート製薬株式会社 局所粘膜用水性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62663B2 (ja) 2021-11-05
TW201825077A (zh) 2018-07-16
JPWO2018105681A1 (ja) 2019-12-12
JP7388418B2 (ja) 2023-11-29
JP2022001595A (ja) 2022-01-06
CN109996538A (zh) 2019-07-09
WO2018105681A1 (ja) 2018-06-14
TWI776831B (zh) 2022-09-11
CN109996538B (zh) 2023-03-07
KR20190093551A (ko) 2019-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7952B1 (ko) 안과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7047768B2 (ja) 眼科用組成物
JP7230825B2 (ja) 水性眼科用組成物及びエマルション粒子の微粒化方法
KR20160096376A (ko) 히알루론산, 미네랄 오일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안과용 조성물
KR102453524B1 (ko) 안과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7192766B2 (ja) 眼科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7467911B2 (ja) 眼科用組成物及び外観安定化方法
JP7056480B2 (ja) 眼科用組成物及び涙液油層安定化剤
JP7139703B2 (ja) 水性眼科用組成物
JP6904289B2 (ja) 水性眼科用組成物
JP6834434B2 (ja) 眼科用組成物
JP7102964B2 (ja) 眼科用組成物及び消泡促進方法
JP2021100918A (ja) 液体組成物、液体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安定化方法
JP2022099522A (ja) 眼科用組成物及び外観安定化方法
JP2019073502A (ja) 眼科用組成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