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431B1 - 살포 차량 용 살포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살포 차량 용 살포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431B1
KR102497431B1 KR1020207018175A KR20207018175A KR102497431B1 KR 102497431 B1 KR102497431 B1 KR 102497431B1 KR 1020207018175 A KR1020207018175 A KR 1020207018175A KR 20207018175 A KR20207018175 A KR 20207018175A KR 102497431 B1 KR102497431 B1 KR 102497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base body
spreading
wall section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8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3629A (ko
Inventor
요하네스 발너
Original Assignee
그마이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마이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그마이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83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3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1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with spray booms or the like rotating around an axis by means independent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discharg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01C19/16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for applying or spreading liquid materials, e.g. bitumen slurries
    • E01C19/17Application by spraying or throwing
    • E01C19/176Spraying or throwing elements, e.g. nozzles; Arrangement thereof or supporting structures therefor, e.g. spray-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01C19/20Apparatus for distributing, e.g. spreading, granular or pulverulent materials, e.g. sand, gravel, salt, dry binders
    • E01C19/201Apparatus for distributing, e.g. spreading, granular or pulverulent materials, e.g. sand, gravel, salt, dry binders with driven loosening, discharging or spreading parts, e.g. power-driven, drive derived from road-wheels
    • E01C19/202Apparatus for distributing, e.g. spreading, granular or pulverulent materials, e.g. sand, gravel, salt, dry binders with driven loosening, discharging or spreading parts, e.g. power-driven, drive derived from road-wheels solely rotating, e.g. discharging and spreading drums
    • E01C19/203Centrifugal spreader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01C19/21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for simultaneously but separately applying liquid material and granular or pulverulent material, e.g. bitumen and grit, with or without spreading ; for filling grooves and gritting the f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01H10/007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or applying liquid or semi-liquid thawing material or spreading granular material on wintry roa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7/00Fertilisers or seeders with centrifugal wheels
    • A01C17/001Centrifugal throwing devices with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4Distributing under pressure; Distributing mud; Adaptation of watering systems for fertilising-liquids
    • A01C23/047Spraying of liquid fertilis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1/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combined liquid- and powder-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Nozzles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살포될 액체 살포제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탱크(2, 2') 및 제공된 공급 유닛(3)을 통해 탱크(2, 2')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구동 토출 디바이스(4)를 포함하는 살포제를 토출하기 위한 살포 차량들(100) 용 살포 디바이스(1)가 설명된다. 토출 디바이스(4)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몸체(5) 및 베이스 몸체(5)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하나의 커버(6)를 가지며, 베이스 몸체(5)는 공급된 액체 살포제를 위한 수용 챔버(AR)를 정의하고 실질적으로 실린더의 형상으로 설계된다. 베이스 몸체(5)는 유입구 개구(12)를 갖는 토출 디바이스(4)의 밑면(U)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단 섹션(5.1) 및 하단 섹션(5.1)으로부터 돌출하고 회전 축(RA)을 동심원적으로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벽 섹션(5.2)을 갖는다. 토출 디바이스(4)는, 상기 수용 챔버(AR)로부터 상기 액체 살포제를 분배하기 위해, 토출 개구(7.1)를 각각 갖는, 다수의 토출 유닛들(7)을 가지며, 토출 유닛들(7)은 베이스 몸체(5)의 벽 섹션(5.2)의 영역에 정렬되고 벽 섹션(5.2)에 제공되는 유출구 개구들(13)과 상호작용한다. 토출 디바이스(4)는 특히 액체 살포제가 회전 축(RA)을 중심으로 회전에 의해 생성되는 원심력으로 인해 토출 유닛들(7)을 통한 제트형 방식으로 수용 챔버(AR)로부터 외측으로 분배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설계되고, 상기 토출 유닛들(7)은 유출 액체 살포제의 제트의 방향이 토출 개구(7.1)에서 조정될 수 있는 그러한 방식으로 가변적으로 조정가능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살포 차량 용 살포 디바이스
본 발명은 살포 차량들을 위한 살포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살포 디바이스들(Spreading devices) 또는 살포 장치들(spreading apparatuses)은 당업자에게 충분히 공지되어 있고 또한 살포 머신들(spreading machines)로서 지정된다. 그러한 살포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겨울 도로 유지 살포 디바이스들로서 설계되지만, 그러나 또한 다른 용도들을 위해, 예를 들어, 세정제들, 비료들, 또는 농작물 보호제들 등등을 토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나열된 유형의 살포 디바이스들은 지지 차량의 화물 구역 상에 부착되는 소위 셋-톱 디바이스들로서 장착되거나, 살포 차량, 예를 들어, 겨울 도로 유지 차량의 고정된 구성요소들 또는 조립체들이다. 겨울 도로 유지 차량은 특히, 시의 청소(municipal clearing) 및 살포 용도를 위한 겨울 도로 유지 차량, 예를 들어, 상업용 차량일 수 있다.
겨울 도로 유지의 범위에서의 살포, 및 또한 비료 또는 식물 보호제의 살포는 고체 및/또는 액체 살포제들 또는 살포 물질들을 토출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어서, 이들 유형들의 살포 디바이스들은 특히, 살포될 고체 및/또는 액체 살포제를 토출하도록 설계된다. 특히 겨울 도로 유지에 있어서, 도포 표면들 상의 고체 살포제의 토출은 예를 들어, 살포제 저장소들을 통해 수행되며, 이는 고체 살포제, 특히 도로 염을 슈트를 통해 회전 살포 플레이트에 공급하며, 이 에지로부터 살포 물질은 방사상 외측으로 산란, 즉 살포된다. 지지 차량들의 가변 이동 속도들 및 산란 밀도들로 인해, 그리고 또한 교통 존들의 표면들의 상태에 따라, 균일한 살포 패턴은 고체 살포제만을 사용하여 달성하는 것이 여전히 어렵다.
따라서, 최근에, 겨울 도로 유지에서의 고체 살포제는 소위 습염(wet salt)으로서 압도적으로 살포된다. 이러한 습염 살포에서, 염은 살포 동안 또는 살포 전에 액체로 습윤됨으로써, 도로 염 및 액체는 공동으로 살포된다. 액체는 일반적으로 염용액(salt solution), 소위 염수(brine)이며, 이는 토출 디바이스에서 또는 토출 디바이스로 가는 도중에 살포될 염에 첨가된다. 토출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회전 살포 플레이트이다. 건염은 예를 들어, 살포 플레이트 상에서 또는 살포 플레이트에 도달하기 직전에 염수와 함께 종래의 방식으로 분무된다. 일반적으로, 소위 FS30 습염은 그것에 의해 토출되며, 이는 30%의 염수 함량 및 대응하는 70%의 건염 함량을 갖는다.
살포 디바이스들에 의해 달성가능한 살포 패턴들은, 무엇보다도, 사용되는 습염에 의존하고 연방 고속도로 연구소(Federal Highway Research Institute; BAST)에 의한 인증 및 승인을 받는다. 특히, 30% 염수 비율(FS30)을 갖는 습염에 대한 인증은 겨울 도로 유지에서 대부분 사용되는 살포 디바이스들에 대해 존재한다. 염수 비율을 증가 시, 살포 패턴들 및 살포 위치들은 일반적인 살포 디바이스들을 사용할 때 대응하여 변경됨으로써, 획득된 인증은 그것에 의해 실효될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염수 비율을 증가시키고 동시에 건염을 감소시키는 것은 살포 패턴에 상당히 우호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방식에서, 향상된 횡방향 분포가 전체 살포 폭에 걸쳐 관찰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유리하게, 용융 효과의 더 빠른 시작은 용해된 염이 일반적으로 건염보다 더 빠른 해동을 초래함에 따라, 더 높은 염수 함량을 사용할 때 관찰된다. 따라서, 살포제에서 염수 함량을 증가시키거나, 각각 "액체 살포(liquid spreading)", 즉 순수 액체 살포제의 적용을 촉진시키기 위한 노력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살포 디바이스는 DE 20 2017 101 056 U1로부터 공지되며, 이에 의해 습염 및 액체 살포제는 살포 플레이트를 통해 살포될 수 있음으로써, 토출된 살포 물질은 상당히 더 높은 염수 비율을 갖는다. 적용된 염수가 습염에 혼합되거나 염수로서 직접 사용되는 것에 관계없이, 염수의 토출은 살포 플레이트를 통해 DE 20 2017 101 056 U1의 살포 디바이스에 따라 수행되며, 이 수단에 의해 특히 달성가능한 캐스팅 거리(casting distance)가 원하는 살포 패턴을 위해 제한됨으로써, 최적의 살포 패턴을 유지하는 동안 액체 살포제에 대한 캐스팅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더욱이, 문서 KR 10 2004 0 018 671 A는 액체 및 고체 살포제를 토출하기 위한 살포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디바이스는 고체 살포제를 분포하기 위한 살포 플레이트 및 액체 살포제를 분포하기 위한 노즐 조립체를 포함한다. 노즐 조립체에서, 회전하도록 설계되는 원통형 베이스 몸체의 주변 상에 실질적으로 방사상으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노즐들이 제공되며, 이 노즐들을 통해 액체 살포제는 베이스 몸체의 회전 동안 분무된다. 노즐들은 그들의 방사상 거리에 대해 살포 플레이트의 반경에 적응됨으로써, 고체 및 액체 살포제는 살포 공정 동안 가장 효율적으로 혼합되고 대략 동일한 캐스팅 거리로 토출된다. 그것은 고정된, 미리결정된, 불변의 캐스팅 거리가 결정되고, 따라서 불변의 살포 패턴을 동반하는 KR 10 2004 0 018 671 A의 살포 디바이스에서 불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출 액체 살포제를 토출하기 위한 살포 차량들 용 살포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는 종래 기술의 단점들을 극복하고 이에 의해 더 큰 캐스팅 거리에서 액체 살포제의 토출이 대응하는 필요성에 최적으로 적응될 수 있고 살포 패턴이 미리결정된 조건들에 매칭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독립 청구항 1항에 따른 디바이스 및 청구항 20항에 따른 토출 디바이스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유리한 양태들, 상세들, 및 실시예들은 종속항들,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로부터 발생한다.
본 발명은 살포제를 토출하기 위한 살포 차량들 용 살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살포 디바이스는 살포될 액체 살포제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탱크 및 제공된 공급 유닛을 통해 탱크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구동 토출 디바이스(discharge device)를 포함하며, 토출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몸체 및 베이스 몸체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커버를 포함한다. 베이스 몸체는 그것에 의해 공급된 액체 살포제를 위한 수용 챔버를 정의하고 실질적으로 원통형으로 설계되며, 여기서, 베이스 몸체는 토출 디바이스의 밑면을 형성하고 유입구 개구(inlet opening)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단 섹션, 및 하단 섹션으로부터 돌출하고 회전 축을 동심원적으로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벽 섹션을 갖는다. 토출 디바이스는 다수의 토출 유닛들을 포함하며, 그 각각은 수용 챔버로부터 액체 살포제를 분배하기 위한 토출 개구를 가지며, 여기서, 토출 유닛들은 베이스 몸체의 벽 섹션의 영역에 정렬되고 벽 섹션에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유출구 개구들(outlet openings)과 상호작용한다. 살포 디바이스는 특히 액체 살포제가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 동안 생산되는 원심력으로 인해 제트형 방식으로 토출 유닛들에 의해 수용 챔버로부터 외측으로 분포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토출 디바이스가 설계되고, 토출 유닛들이 가변적으로 조정가능하도록, 즉 유출 액체 살포제의 제트의 방향이 토출 개구에서 조정될 수 있는 그러한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액체 살포제는 예를 들어, 미리결정된 염 농도를 갖는 겨울 도로 유지에 적합한 염용액(salt solution)으로 현재 이해되며, 여기서, 용해된 염들은 주로 염화나트륨(NaCl)이지만 또한 염화칼슘(CaCl2) 또는 염화마그네슘(MgCl2)일 수 있고, 특히 또한 나열된 염들의 혼합물들일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염용액은 또한 염수(brine)로서 지정된다. 예를 들어, 염수는 22%의 염화나트륨 함량을 갖는 겨울 도로 유지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염수일 수 있다. 액체 살포제는 액체 살포 물질 또는 살포 염수로서 현재 또한 지정될 수 있다. 액체 살포제의 토출은 또한, 본 개념에 대응하여, 액체 산란 또는 염수 산란으로서 또는 염수 방출로서 또는 또한 염수의 스피닝 오프(spinning off)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액체 살포제는, 본 개념에 따라, 또한 임의의 액체, 예를 들어 액체 화합물 또는 용액 또는 또한 단순한 물일 수 있다. 물에 용해된 고체들, 액체 비료들 또는 식물 보호제는 액체 화합물 또는 용액의 예들을 나타낸다.
특히 큰 캐스팅 거리를 갖고 조정가능한 분산 패턴 또는 산란 패턴을 갖는 순수 액체 토출, 즉 액체 살포제, 특히 염수의 토출은 본 살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특히 유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본 살포 디바이스는 그것에 의해 포괄적인 살포 패턴 또는 분무 패턴을 용이하게 하며, 즉 민감한 에지 또는 외부 영역들까지 포괄적인, 균일한 살포제 분포를 갖는다. 분포는 그것에 의해 공지된 분무 바들과 같은 종래의 분무 시스템들과 비교하여 바람에 훨씬 덜 민감함으로써, 살포제는, 균일하고, 포괄적이고, 철저한 분포로, 특히 또한 외부 살포 또는 분무 영역에서, 즉, 예를 들어 고속도로의 에지 영역들에서, 안전하고 신뢰가능하게 토출될 수 있다. 이러한 유리하게 가능한, 포괄적인 살포 패턴 또는 분무 패턴으로 인해, 겨울 도로 유지의 영역에 적용가능한 규정들 및 요건들은 또한 본 살포 디바이스에 의해 만족된다. 예를 들어, 본 살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DIN EN 15597-2:2010-02 표준에 규정된 조항들, "겨울 유지 장비 - 살포 머신들 - 파트 2: 살포 머신들에 대한 일반적인 요건들 및 정보"가 유지된다. 따라서, 처음에 언급된 연방 고속도로 연구소(Federal Highway Research Institute; BAST)에 의한 인증 및 승인은 특별히 상당히 더 높은 염수 비율에서 또는 특히 순수 액체 살포를 위해 본 살포 장치에 대해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출 디바이스는 베이스 몸체를 포함하며, 이는 공급된 액체 살포제, 특히 공급된 염수를 위한 수용 챔버를 형성한다. 이러한 수용 챔버는 실질적으로 이동될 살포제의 미리결정된 양에 대해, 특히 염수에 대해 한정된 공급 또는 저장을 나타내며, 여기서, 액체 살포제는 공급 유닛에 의해 탱크로부터 수용 챔버로 연속적으로 보충될 수 있다. 수용 챔버에 위치되는 액체 살포제는 베이스 몸체의 회전으로 인해 최종적으로 이동으로 설정된다. 베이스 몸체는 드럼 형 베이스 몸체로서, 또는 드럼 형, 회전 베이스 몸체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여기서, 수용 챔버는 드럼의 내부 공간에 의해 형성된다. 베이스 몸체는 그것에 의해 실린더의 형태로, 특히 우측 원형 실린더 또는 직선 원형 실린더의 형상으로 설계되며, 원형 바닥 영역은 하단 섹션에 의해 형성되고 측방향 표면은 벽 섹션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그것은 또한 베이스 몸체가 실질적으로 원통형 섹션의 형상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베이스 몸체는 바람직하게는 고도의 내마모(wear-resistant)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토출 디바이스를 회전시키기 위해, 그것은 드라이브 또는 모터에 동작적으로 연결된다. 게다가, 토출 디바이스의 상부 측면을 형성하는 커버는 모두 베이스 몸체에 견고하게 연결되고 또한 드라이브에 결합된다. 커버는 예를 들어, 또한 동시에 드라이브 또는 모터 자체의 회전 부분일 수 있음으로써, 그러한 실시예에서, 베이스 몸체는 모터 상에 직접 고정되거나 도킹된다.
토출 디바이스의 회전으로 인해, 설정된 회전 속도에 의존하는 대응하는 원심력 또는 원심 파워는, 수용 챔버로 공급되고 거기에 위치되는, 액체 살포제, 특히 염수에 작용함으로써, 염수는 원심력을 따라서 외측으로 분배되거나 스핀 오프되며, 즉, 토출 유닛들을 통해, 회전 축으로부터 시작하여 방사상 외측으로 지향된다. 따라서, 액체 살포제, 특히 염수의 분배는, 거기에 존재하는 살포제의 양 및 회전 속도에 따라, 회전 베이스 몸체의 수용 챔버에 생성되는 액체 압력으로 인해 수행된다.
액체 살포제 또는 염수는 토출 유닛들로부터의 분산 동안에, 즉 토출 유닛들에서 유출 시, 특히 유리하게 번들링됨으로써, 액체 살포제는 분산 제트에서 제트형 방식으로 토출 디바이스를 떠나며, 이 수단에 의해 원하지 않은 또는 간섭성 연무 또는 초미세 액적들의 형성 또는 에어로졸 형성이 효과적으로 대응된다. 토출 개구에서 유출되는 액체 살포제의 제트, 즉 분산 제트는 그것에 의해 토출 개구에서, 즉 유출구에서 또는 유출구 개구에서 직접적으로 토출 개구에서 직접적으로 유출 시, 토출 유닛들의 조정에 대응하는 방향을 갖는다. 이러한 방향은 제트의 토출 방향 또는 직접 토출 방향으로서 이해될 수 있고 토출 유닛들의 가변 조정에 의해 변경되거나 정렬될 수 있다.
살포제의 제트형 출력으로 인해, 특히 염수 액적들, 바람직하게는 큰 염수 액적들의 제트의 형태로의 출력으로 인해, 바람 및 난류들로 인한 손실들은 그들이 종래의 분무 시스템들 또는 디바이스들에서 분배됨에 따라 초미세 염수 액적들과 비교하여 최소화될 수 있다. 게다가, 살포 패턴의 에지 영역까지 및 따라서 도로의 측면까지의 균일한, 포괄적인 토출은 큰 염수 액적들로 인해 달성되며, 이 수단에 의해 방해받지 않은 교통 흐름이 지지된다. 토출 높이 또는 살포 높이는 그것에 의해 또한 대응적으로 선택됨으로써, 도로들 상에서 이동하는 차량들은 훨씬 덜 손상된다. 처리될 도로의 폭에 대한 살포 패턴의 조정은 또한 토출 유닛들의 조절가능성(adjustability)으로 인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이점들은 예를 들어, 토출 유닛들의 유출구 개구 또는 유출구 개구부의 영역에 배열될 수 있는, 부착가능한 또는 통합가능한 또는 통합된 노즐 요소들 또는 유출구 노즐들을 추가적으로 가질 때 발생한다. 유로에 통합되거나 포함되는 또는 유출구 개구부에 인접하여 배열되는 그러한 노즐 요소들로 인해, 예를 들어 토출 액체 살포제의 유로 또는 또한 제트 형상 및/또는 토출 속도는 추가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노즐 특성들을 갖는 상이한 유출구 노즐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예를 들어, 토출 액체 살포제의 제트 직경 또는 토출 압력 또는 토출 속도는 노즐 특성들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추가적인, 부착가능한 또는 통합가능한 또는 통합된 노즐 요소들 또는 유출구 노즐들은 또한 삽입 노즐들 또는 푸시-인(push-in) 노즐들로서 또는 또한 미니(mini) 노즐들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전에 상술된 바와 같이, 가변적으로 조정가능한 토출 유닛들을 조정함으로써, 분산 제트의 방향은 토출 유닛들의 유출구 개구에서, 즉 토출 개구에서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거나 조작될 수 있다. 다른 말로 표현되면, 토출 액체 살포제의 제트는 원하는 방식으로 토출 디바이스로부터 유출구에서 즉시 배향되거나 지향될 수 있다. 성공적인, 원하는 조정 후에, 선택된, 최적의 방향 또는 조정에서 토출 유닛들의 고정이 또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 액체 살포제의 방향은 방사상 방향에서 벗어나고 살포제는 방사상 방향에 대해 미리결정된 각도로 방출된다. 특히 높은 캐스팅 거리들을 달성하기 위해, 토출 유닛들은 특히 각각의 토출 개구들이 베이스 몸체의 회전 방향에 반대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유리하게 조정될 수 있음으로써, 토출 개구로부터 유출구 포인트 바로에서의 분산 제트는 회전 방향에 반대로 배향되는 방향을 갖는다.
캐스팅 거리 및 산란 패턴는, 한편으로는 토출 디바이스의 회전 속도 및 다른 한편으로는 토출 유닛들의 조정이 가변적으로 선택되고 서로 조정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조정가능하다. 예를 들어, 회전 속도는 토출 디바이스가 분당 10 내지 500 회전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분당 50 내지 400 회전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분당 150 내지 350회전의 범위에서의 회전 속도로 회전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토출 유닛들의 대응적으로 조정된 회전 속도 및 적합한 조정에서, 10 m 초과의 유리한 캐스팅 거리들, 특히 13 m까지의 캐스팅 거리들이 달성가능하다. 액체 살포제의 분포 및 캐스팅 거리는 또한, 특히 이전에 언급된 유출구 노즐들 또는 통합된 노즐 요소들을 사용하여, 최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살포제의 특히 균일한 살포 패턴 및 균일한 분포는 그것에 의해 가변적으로 조정가능한 토출 유닛들이 바람직하게는 벽 섹션의 주변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되고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다는 점에서 달성될 수 있다. 베이스 몸체의 주변에 걸쳐 분포되는 토출 유닛들의 수는 베이스 몸체의 직경에 따라 상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베이스 몸체 당 5개 내지 12개의 토출 유닛들의 범위에서,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몸체 당 6개 내지 10개의 토출 유닛들 사이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몸체 당 8개의 토출 유닛들에 놓여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토출 유닛은 토출 개구를 지닌 토출 유닛의 자유 단부가 수직 방향으로 편향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수직 방향으로 조정가능하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각각의 토출 유닛은 토출 개구를 지닌 토출 유닛의 자유 단부가 수평 방향으로 편향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수평 방향으로 조정가능하다. 토출 개구를 수직 방향으로 상향 지지하는 자유 단부의 바람직한 편향의 경우에서, 살포제는 수평 방향에서 벗어나고 직접적으로 약간 경사지게 상향인 대응하는 토출 방향으로 토출 개구에서 유출된다. 예를 들어, 토출 유닛들의 그러한 상향 조정에서 유출 살포제의 토출 방향은 베이스 몸체의 하단 섹션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수평 평면과 예각(acute angle)을 정의한다. 토출 개구를 지닌 자유 단부가 수평 방향으로 편향되는 경우, 토출 개구는 유출 살포제의 토출 방향이 방사상 방향에서 벗어나고, 예를 들어 회전 축을 수용하는 수직 평면과 예각을 정의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피봇될 수 있다. 각각의 토출 유닛은 하나의 메인 축을 가지며, 여기서, 토출 유닛들은 바람직하게는 가변 조정을 위해 각각의 메인 축들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예를 들어, 살포제에 대한 특히 큰 캐스팅 거리를 달성하기 위해, 토출 유닛들의 자유 단부들은 수직 방향으로 상향 편향되고 토출 디바이스의 회전 방향에 반대 방향인 수평 방향으로 피봇됨으로써, 토출 개구들은 경사지게 상향으로 향하고 동시에 바람직한 위치에서 회전의 방향에 반대 방향이다. 실질적 초승달 형상 패턴 또는 초승달 형상 진행은 토출 개구들로부터 유출되는 살포제의 제트들에 대해 그것으로부터 야기되며, 이 수단에 의해 살포 패턴은 이상적인 형상으로 조정가능하고 캐스팅 거리는 상당히 증가될 수 있다.
하나의 유리한 실시 변형예에 따르면, 각각의 토출 유닛은 다수의 부품들(parts)로부터 설계되고 베이스 몸체의 벽 섹션에 대한 고정을 위해 설계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피스 및 베이스 부분에 관절식으로 연결되고 토출 개구를 포함하는 하나의 헤드 피스를 포함한다. 매우 특징적인 이점들은, 헤드 피스가 볼 조인트 섹션을 갖고 베이스 피스가 볼 조인트 섹션을 위한 조인트 소켓 유형 리셉터클(receptacle)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이로부터 야기된다. 헤드 피스와 베이스 피스 사이의 이러한 유형의 볼 조인트 유형 연결로, 헤드 피스는 유리하게는 베이스 피스에 대해 임의의 방향으로 피봇가능하다.
각가의 토출 유닛은 하나의 메인 축을 갖고 각각의 메인 축이 회전 축에 대해 방사상 방향으로 배열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베이스 몸체의 벽 섹션 상에 유리하게 고정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 변형예들에 따르면, 토출 유닛들은 또한 토출 개구들이 베이스 몸체의 벽 섹션들에 미리결정된 거리에서 배열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그들이 베이스 몸체의 주변을 지나서 그들의 각각의 메인 축을 따라 연장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 유닛들은 메인 축의 방향으로 토출 유닛의 연장부를 실질적으로 형성하는 관형 피스(tubular piece) 또는 관형 섹션(tubular section)을 각각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그것은 예를 들어, 토출 개구들이 베이스 몸체의 벽 섹션에 동심원으로 연장되는 더 큰 원 상에 배열되고, 따라서 링과 같이 정의된 공간에서 베이스 몸체를 둘러싸는 원을 형성하는 것이 추가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특히, 다수의 부품들(parts)로부터 설계되는 토출 유닛들의 경우, 연장 관형 피스 또는 관형 섹션이 조인트 볼 섹션들과 토출 개구 사이에 배열되는 실시예들이 가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관형 피스는, 관형 섹션 자체가 대응하여 등가의 토출 개구를 갖는 경우, 토출 개구와 관련하여 배열될 수 있다. 연장 관형 피스는 헤드 피스에 연결가능한 별개의 요소일 수 있거나 헤드 피스의 섹션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연장 관형 피스는 토출 개구의 최적 정렬을 위해 또한 만곡된 관형 피스로서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르면, 이러한 유형의 관형 피스는 또한 토출 튜브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적어도 2개의 부품들에 의해 형성되는 토출 유닛의 헤드와 베이스 피스 사이의 관절식 연결 없이 진행되는 실시예들의 경우에서, 관형 피스 또는 토출 튜브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진 관형 피스로서, 즉 제1 튜브 섹션이 메인 축을 따라 연장되고 제2 튜브 섹션이 토출 축을 따라 연장되는 각진 튜브로서 형성될 수 있다. 토출 개구는 그것에 의해 토출 축을 따라 연장되는 제2 관형 피스의 자유 단부 상에 배열된다. 각진 튜브는 바람직하게는 서로에 대해 각도로 배향되는 튜브 섹션들이 미리결정된 각도를 정의하도록 설계되며, 여기서, 제1 및 제2 튜브 섹션들은 예를 들어, 115°내지 16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20°내지 155°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25°내지 150°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130°내지 145°의 범위 및 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대략 135°또는 대략 140°의 각도를 정의한다. 다른 말로 표현되면, 제2 튜브 섹션은 토출 축 및 메인 축이 20°내지 65°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5°내지 6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30°내지 55°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35°내지 50°의 범위의 각도에서,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대략 40°또는 대략 45°의 각도에서 교차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제1 튜브 섹션에 대해 각도를 이룬다.
본 개념에 따르면, 토출 개구에서 유출되는 액체 살포제의 제트, 즉 분산 제트의 방향은, 유출구 개구 또는 토출 개구에서 바로, 토출 축의 방향에 대응한다.
토출 튜브로서 각진 튜브를 갖는 토출 유닛들의 설명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토출 유닛은 실질적으로 특정 각도로 조정됨으로써, 액체 살포제의 분산 제트는 토출 유닛의 조정된 각도로 토출 유닛에서 바로 유출된다. 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진 것으로 설계되는 토출 튜브들은 그것에 의해 토출 축을 따라 연장되는 제2 튜브 섹션의, 토출 개구를 지닌 자유 단부가 베이스 몸체의 회전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향하도록 토출 디바이스의 베이스 몸체의 벽 섹션 상에 배열된다. 높은 캐스팅 거리들 또는 분무 거리들은 그것에 의해 동시에 특히 균일한 살포 패턴에서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이것을 심지어 더욱 지지하기 위해, 토출 튜브들은 토출 유닛들의 가변 조정을 위해 메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음으로써, 토출 개구들을 지닌 토출 튜브들의 자유 단부들은 추가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상향 편향된다. 토출 개구들은 경사지게 위쪽으로 향하고 동시에 바람직한 위치에서 회전 방향에 반대 방향이다. 토출 개구들로부터 유출되는 살포제의 제트들에 대한 초승달 형상 또는 초승달 형상 진행들은 그것에 의해 야기되며, 이 수단에 의해 살포 패턴은 이상적인 형상으로 조정가능하고 캐스팅 거리는 상당히 증가될 수 있다. 산란 높이는 그것에 의해 최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소(reservoir)는 추가적으로 살포될 고체 살포제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공급 및 피딩 유닛은 토출 디바이스의 상부 표면 상에 고체 살포제를 적용하기 위해 제공되며, 여기서, 살포 디바이스는 액체 및 고체 살포제의 동시 토출을 위해 설정된다.
특히, 토출 디바이스의 커버는 그것에 의해 액체 및 고체 살포제의 동시 토출을 위해 살포 플레이트의 형태로 설계되며, 여기서, 살포 플레이트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몸체의 베이스 몸체 반경보다 더 큰 플레이트 반경을 갖는다. 상향 돌출하는 가이드 벽들은 이러한 유형의 살포 플레이트 상에, 특히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몸체로부터 멀리 향하는 상부 측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토출 디바이스에서, 커버 스크린은 추가적으로 베이스 몸체의 수용 챔버에 배열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서, 커버 스크린은 내부 측면 상의 벽 섹션에서 유출구 개구들 중 적어도 하나를 차폐하도록 설계된다. 커버 스크린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그것에 의해 만곡된 것으로 설계되는 스크리닝 표면을 포함하며, 여기서, 스크리닝 표면 영역의 곡률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스크리닝 표면 영역이 벽 섹션의 내부 측면과 접촉하거나 실제로 접촉할 수 있는 그러한 방식으로 벽 섹션의 곡률에 적응된다. 스크리닝 표면 영역의 높이 및 스크리닝 표면 영역의 주변 길이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스크리닝 표면 영역이 벽 섹션에 적응되고 적어도 하나의 유출구 개구를 완전히 커버하거나 커버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그러나, 특정 이점들은 스크리닝 표면 영역의 높이 및 주변 길이가 다수의 유출구 개구들이 동시에 완전히 커버되거나 커버될 수 있도록 선택되는 경우 발생한다.
커버 스크린은 바람직하게는 커버 스크린이 베이스 몸체의 회전으로부터 분리되고 베이스 몸체와 함께 회전하지 않는 그러한 방식으로 수용 챔버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고정적으로 배열 및 고정된다. 따라서, 베이스 몸체의 벽 섹션은 커버 스크린을 지나서 슬라이딩한다. 특정 이점들은 커버 스크린의 위치가 제어된 방식으로 조정가능한 경우 발생한다. 예를 들어, 위치는 살포 플레이트의 제공된 플레이트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조정될 수 있다.
하나의 다른 커버 스크린 및 베이스 몸체의 벽 섹션의 내부 측면을 지나는 가장 방해받지 않는 슬라이딩을 보장하기 위해, 커버 스크린은 낮은 마찰 계수들을 갖는 재료로부터 생산되며, 여기서, 재료는 동시에 낮은 마모를 받고 고도의 내마모성이다. 커버 스크린은 바람직하게는 테플론(Teflon)으로부터 제조된다.
커버 스크린이 고정되도록 배열되므로, 베이스 몸체의 회전에 관계없이, 각각의 교번 출력 개구(들)은 베이스 몸체의 터닝(turning) 또는 회전에 따라 커버됨으로써, 유출구 개구(들)이 대응하는 주변 위치 또는 회전 위치를 "지나서 이동"함에 따라 각각 커버된다는 것이 본 발명에 따라 이해되어야 한다.
커버 스크린은 토출된 살포제 또는 토출될 살포제를 위한 살포 패턴이 대응하는 포지셔닝 또는 조정으로 인해, 즉, 특히 살포제가 차량의 후방의 방향에서 캐스팅되지 않는 그러한 방식으로 가변될 수 있는 특정 이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대략 10°내지 20°의 특정 각도의 범위는 "제외"될 수 있으며, 여기서 살포제의 캐스팅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차량은 그것에 의해 특히 유리하게 보호되고, 살포 차량들에 대해 제공되는 종래의 분무 보호 디바이스가 제외될 수 있다.
차량의 후방으로부터 아래로 수직으로 매달리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 플랩들(rubber flaps)에 의해 통상적으로 형성되는 그러한 종래의 분무 보호 디바이스들은 거기에 충돌하는 살포제가 초기에 수집되고, 특정 질량에 도달 시, 비제어된 방식으로 도로를 향하여 아래로 슬라이딩하는 상당한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불규칙한 거리들에서 도로에 충돌하는 살포 물질의 이들 클러스터들은 살포 패턴에서 "상실(lost)"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 스크린은, 토출된 살포제의 전체 양이 도로 상에 생성될 살포 패턴에 대해 이용가능함에 따라, 살포제가 절약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본 살포 디바이스의 하나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2개 이상의 토출 디바이스들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토출 디바이스들은 토출 디바이스들의 각각의 회전 축들이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서로에 대해 옆에 배열될 수 있다. 토출 디바이스들은 대략 동일한 높이에 배열될 수 있음으로써, 높이 레벨에 대해, 예를 들어, 베이스 몸체들의 각각의 하단 섹션들은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호 평면에 수용되거나, 그들은 상이한 높이 레벨들에 배열될 수 있음으로써, 베이스 몸체들의 각각의 하단 섹션들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수평 평면들에 수용된다.
대안적으로, 2개 이상의 토출 디바이스들은 또한 베이스 몸체들의 각각의 하단 섹션들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수평 평면들에 수용되고, 각각의 토출 디바이스들의 회전 축들이 각각 하나의 상호 회전 축으로 일치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겹쳐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토출 디바이스들은 수직 방향에 대해 서로 같은 높이로 정렬된다.
2개 이상의 인접하게 배열된 토출 디바이스들을 갖는 이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특히 유리하게 극단의(extreme) 캐스팅 거리들을 달성한다. 예를 들어, 그러한 실시 변형예를 갖는 살포 차량들은 공항들 또는 다른 큰 표면들에 대해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토출 디바이스는 각각 살포 차량 또는 겨울 도로 유지 차량의 후방 상에, 즉 우측 및 좌측 측면들 상의 살포 차량의 측면을 지나서 돌출하도록 배열됨으로써, 대략 2배의 산란 거리 또는 캐스팅 거리가 달성될 수 있다. 토출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공되는 적합한 브라켓들 상에 장착된다.
그것은 또한 유리하게는, 2개 이상의 토출 디바이스들을 사용함으로써, 저에서 고까지, 살포제의 양의 매우 큰 범위를 커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위에 배열되는 토출 디바이스들은 각각의 작은 및 큰 처리량들로 교호하면서 전환될 수 있는 시스템들로 결합될 수 있다. 토출 디바이스들은 그것에 의해 서로로부터 별도로 또는 조합으로 동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살포제를 토출하기 위한 살포 차량을 위한 살포 디바이스 용 토출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토출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몸체 및 베이스 몸체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커버를 가지며, 여기서, 베이스 몸체는 공급된 액체 살포제에 대한 수용 챔버를 정의하고 실질적으로 실린더의 형상으로 설계되고, 여기서, 베이스 몸체는 유출구 개구를 갖는 토출 디바이스의 밑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단 섹션 및 하단 섹션으로부터 돌출하고 회전 축을 동심원적으로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벽 섹션을 갖고, 여기서, 회전-구동가능 토출 디바이스는 수용 챔버로부터 액체 살포제를 분배하기 위한 각각의 토출 개구를 갖는 다수의 토출 유닛들을 포함한다. 토출 유닛들은 베이스 몸체의 벽 섹션의 영역에 배열되고 벽 섹션에 제공되는 유출구 개구들과 상호작용한다. 토출 디바이스는 특히 그것이 액체 살포제가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에 의해 생성되는 원심력으로 인해 제트형 방식으로 상기 토출 유닛들(7)을 통해 수용 챔버로부터 외측으로 분배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설계되고, 토출 유닛들이 토출 개구에서 액체 살포제의 제트의 방향이 조정될 수 있는 그러한 방식으로 가변적으로 조정가능하도록 설계된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개선들, 이점들, 및 잠재적인 적용들은 예시적 실시예들의 후속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발생한다. 모든 설명되고/되거나 그래픽으로 묘사되는 도면들은, 청구항들 또는 그들의 종속항에서 그들의 요약에 관계없이, 자체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그것에 의해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발명 대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토출 액체 살포제를 토출하기 위한 살포 차량들 용 살포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는 종래 기술의 단점들을 극복하고 이에 의해 더 큰 캐스팅 거리에서 액체 살포제의 토출이 대응하는 필요성에 최적으로 적응될 수 있고 살포 패턴이 미리결정된 조건들에 매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후 도면들과 함께 예시적 실시예들에 의해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된 살포 디바이스(spreading device)를 갖는 겨울 도로 유지 차량의 위로부터의 상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된 살포 디바이스를 갖는 측면도의 겨울 도로 유지 차량이고;
도 2는 토출 디바이스(discharge device)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3은 토출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4는 베이스 몸체 상에 고정되는 토출 유닛들이 사시도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되는 베이스 몸체의 일 실시예이고;
도 5는 수용 챔버의 추가적인 커버 스크린이 사시도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되는 도 4로부터의 베이스 몸체이고;
도 6은 대략적으로 개략적인 측면도에서 토출 디바이스의 토출 유닛의 일 실시예의 분해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상이한 조정 위치들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장착된 토출 유닛의 수직 단면이고; 도 7c 및 도 7d는: 상이한 조정 위치들에서 고정된 토출 유닛을 갖는 베이스 몸체의 단면의 위로부터의 상면도이고;
도 8은 베이스 몸체 상에 고정된 토출 유닛이 사시도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되는 베이스 몸체의 대안적인 실시예이고;
도 9a는: 도 8로부터의 토출 유닛의 수직 단면이고, 도 9b는: 도 8에 따른 고정된 토출 유닛을 갖는 베이스 몸체의 단면 섹션의 위로부터의 상면도이다.
살포제들(spreading agents)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살포 디바이스(1)의 예시적 실시 변형예를 각각의 경우에서 갖는 겨울 도로 유지 차량(100)이 도 1a 및 도 1b에 각각 도시되며, 여기서, 살포 디바이스(1)는 특히 종래의 지지 차량 상에 설정되도록 설계된다. 도 1a의 겨울 도로 유지 차량(100)은 상면도로 도시되고 도 1b의 겨울 도로 유지 차량은 측면도이다.
이들 유형들의 겨울 도로 유지 차량들(100)의 구조는 종래 기술로부터 충분히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겨울 도로 유지 차량(100)은 종래의 상업용 차량으로서 설계되고, 특히 적재 또는 운반 표면 및 캡(cab)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방 제설기(snowplow)로서 전방 상에 또는 측면 제설기로서 측면 상에 설계되는 제설기(101)는 겨울 도로 유지 차량(100) 상에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예에서, 전방 제설기(101)는, 이동 방향(FR)으로 겨울 도로 유지 차량(100)의 이동 동안 도로로부터, 겨울 도로 유지 차량(100)의 전방에 놓여 있는, 눈을 제거할 수 있는, 전방 측면 상에 배열된다.
살포 디바이스(1)는 도 1a에 도시된 예에서 액체 살포제를 토출하도록 설계되고 도 1b에 도시된 예에서 고체 및 액체 살포제들을 동시에 토출하도록 설계된다.
각각의 경우에서, 살포 디바이스(1)는 살포될 액체 살포제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탱크(2, 2') 및 추가로 공급된 공급 유닛(3)을 통해 탱크(2, 2')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구동 토출 디바이스(4)를 포함한다. 본 예에서 염수 탱크를 형성하고 또한 염수(brine) 탱크로서 설계되는 탱크(2, 2')는 겨울 도로 유지 차량(100)의 지지 표면을 형성하는 지지 프레임 상에 장착된다. 토출 디바이스(4)는 후방 측면 상에, 즉, 이동 방향(FR)에 대해 겨울 도로 유지 차량(100) 상의 뒤에 배열된다.
공급 유닛(3)은 염수 탱크(2, 2')로부터 후방 측면 상에 배열되는 토출 디바이스(4)로 염수를 공급 또는 안내하도록 기능하고 이러한 목적을 위해 공급 라인(3a)을 가지며, 이를 통해 염수 탱크(2, 2')는 누출방지 방식으로 토출 디바이스(4)에 연결된다.
도 1b에 도시된 겨울 도로 유지 차량(100)의 경우, 살포 디바이스(1)는 추가적으로 살포될 고체 살포제를 수용하기 위한 저장소(10) 및 고체 살포제를 저장소(10)로부터 토출 디바이스(4)로 운반하고 고체 살포제를 토출 디바이스(4) 상으로 적용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이송 및 적재 유닛을 포함한다 .
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그러나, 살포 디바이스(1)가 2개 이상의 토출 디바이스들(4)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은 겨울 도로 유지 차량(100) 상에서 서로 옆에 또는 위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항들에서의 사용 시, 겨울 도로 유지 차량(100)의 후방 측면 상에서 서로 옆에 장착되는 2개의 토출 디바이스들(4)의 배열은 더 큰, 즉 대략 두 배의 캐스팅 거리(casting distance)가 이러한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음에 따라 특히 유익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토출 디바이스들(4)은 예를 들어, 겨울 도로 유지 차량(100)의 좌측 및 우측 측면 상에서 차량의 측면을 지나서 미리결정된 양만큼 돌출하기 위해 이를 위해 제공되는 브라켓들 상에 장착될 수 있다.
토출 디바이스(4)의 일 예시적 실시예는 측면도의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여기서, 예시적 토출 디바이스(4)는 확장될 액체 살포제, 특히 염수를 토출하도록 설계된다. 토출 디바이스(4)는 회전 축(RA)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고 베이스 몸체(5) 및 베이스 몸체(5)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커버(6)를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실린더 또는 또한 실린더 섹션의 형상으로 설계되는 드럼형 베이스-몸체(5)는 토출 디바이스(4)의 밑면(U)을 형성하는 하단 섹션(5.1), 및 하단 섹션(5.1)으로부터 돌출하고 회전 축(RA)을 동심원으로 둘러싸는 벽 섹션(5.2)을 갖는다. 베이스 몸체(5)는 그것에 의해 베이스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공급된 액체 살포제를 위해 하단 섹션(5.1) 및 벽 섹션(5.2)(도 4 및 도 5 참조)에 의해 한정되는 수용 챔버(AR)를 정의한다. 수용 챔버(AR)로의 액체 살포제의 공급은 토출 디바이스(4) 상의 아래로부터 공급 유닛(3)을 통해 수행되며, 여기서, 베이스 몸체(5)의 하단 섹션(5.1)은 공급 라인(3a)에 연결되는 유입구 개구(12)(도 2에서 보이지 않으며, 도 4를 참조)를 갖는다.
커버(6)는 토출 디바이스(4)의 상부 측면(O)을 형성하며, 여기서, 베이스 몸체(5)는 적합한 고정 수단을 사용하여 커버(6)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커버(6)는 결과적으로, 커버(6)를 회전 축(RA)을 중심으로 한 회전으로 설정하는, 도시되지 않은, 드라이브에 동작 연결된다. 커버(6) 상의 베이스 몸체(5)의 고정으로 인해, 베이스 몸체(5)는 드라이브에 의해 미리결정된 동일한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D)으로 커버(6)와 함께 회전한다. 커버(5)는 동시에 드라이브 또는 모터의 회전 부분일 수 있음으로써, 그러한 실시 변형예에서, 베이스 몸체(5)는 모터에 직접적으로 고정되거나 도킹된다.
토출 디바이스(4)는 수용 챔버(AR)로부터 액체 살포제를 분배하기 위한 다수의, 가변적으로 조정가능한 토출 유닛들(7)을 장착하며, 여기서, 가변적으로 조정가능한 토출 유닛들(7)은 벽 섹션(5.2)의 영역에 배열되고 서로 이격된 벽 섹션(5.2)의 주변(periphery)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된다. 각각의 토출 유닛(7)은 그것에 의해 베이스 몸체(5)의 벽 섹션(5.2)에 제공되는 유출구 개구(13)(도 2에 도시되지 않으며, 도 4 및 도 5 참조)와 각각 상호작용한다. 각각의 토출 유닛(7)은 그것의 자유 단부 측면 상에 토출 개구(7.1)를 포함한다. 회전 축(RA)을 중심으로 한 토출 디바이스(4)의 회전으로 인해, 수용 챔버(AR)로 공급되고 거기에 유지되는 액체 살포제는 생성된 원심력에 기초하여 토출 유닛들(7)을 통해 수용 챔버(AR)로부터 외측으로 분배된다. 액체 살포제는 그것에 의해 제트형(jet-like), 번들형(bundled) 방식으로 각각의 토출 개구들(7.1)을 통해 토출 유닛들(7)로부터 유출되며, 여기서, 액체 살포제의 원하지 않은, 간섭성 연무(nebulization) 또는 초미세 액적들의 형성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토출 디바이스(4)의 회전 속도에 따라, 캐스팅 거리는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염수의 최적 토출을 위한 회전 속도는 분 당 대략 10 내지 500 회전 범위의 회전 카운트에 대한 값을 가질 수 있다. 회전 카운트에 따라, 13 m 까지의 특히 유리한 캐스팅 거리들이 따라서 달성될 수 있고, 동시에 미세 분무(spraying)를 통한 연무 또는 에어로졸 형성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토출 디바이스(4)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가 도 3에 도시되며, 이는 살포될 고체 및 액체 살포제의 동시 토출을 위해 설계된다. 도 3에 따른 토출 디바이스(4)는 주로 커버(6)가 살포 플레이트(spreading plate)의 형태로 설계된다는 점에서 도 2에 도시된 실시 변형예와 다르다. 살포 플레이트(6)는 그것에 의해 살포 플레이트(6)를 회전 축(RA)을 중심으로 한 회전으로 설정하는, 다시 도시되지 않은, 드라이브에 동작적으로 결합된다. 베이스 몸체(5)는 살포 플레이트(6)의 밑면(6b) 상에 고정되고 회전 축(RA)을 중심으로, 살포 플레이트(6)와 함께, 회전한다.
살포 플레이트(6)는 공지된 방식으로 설계되고 특히 고체 살포제를 토출하기 위해, 특히 습염(wet salt)을 토출하기 위해 설계된다. 살포 플레이트(6)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베이스 몸체(5)의 베이스 몸체 반경(rG)보다 더 큰 플레이트 반경(rT)을 갖는다. 베이스 몸체(5)로 부터 멀리 향하는 그것의 상부 측면(6a) 상에서, 살포 플레이트(6)는 위쪽으로 돌출하는 가이드 벽들(8)을 장착하며, 이는 그들이 살포제에 대해, 파이 웨지들(pie wedges)과 같이 형상화되고 가이드 벽들(8) 사이에 배열되는, 각각의 안내 채널들을 측방향으로 한정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스로잉 블레이드들(throwing blades)의 형태로 설계되고 방사상 방향으로 배열된다.
고체 살포제, 특히 도로 염은 이송 및 적재 유닛(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살포 플레이트의 상부 측면(6a) 상으로 적용되며, 여기서, 이송 및 적재 유닛은 고체 살포제, 특히 도로 염이 살포 플레이트(6)의 중심에서 상부 측면(6a)과 충돌하도록 설계되는 슈트(chute)를 포함할 수 있다. 충돌 돔(impact dome)(14)은 살포 플레이트(6)의 중심에 배열될 수 있으며, 이는 슈트로부터 아래쪽으로 충돌하는 도로 염을 수집하고 그것을 가이드 채널들을 통해 방사상 외측으로 지향시킨다. 고체 살포제는 추가적으로 염수로 습윤되거나 추가적인 염수가 살포 플레이트(6) 상에서 고체 살포제에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예를 들어, 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은 염수 라인(brine line)은, 공급 유닛(3)의 공급 라인(3a)의 분기기(branching off)인, 살포 플레이트(6)의 상부 측면(6a)으로 안내될 수 있으며, 상기 염수 라인은 추가적으로 분무 조립체에 연결될 수 있다. 염수 분무 제트는 염수 라인 또는 이에 연결되는 분무 조립체에 의해 슈트에서 유출되는 도로 염의 방향으로 지향될 수 있으며, 염수 분무 제트는 추가적으로 자유 낙하 동안 또는 이미 살포 플레이트(6)의 중심에서 도로 염을 습윤시킬 수 있다. 분무 조립체는 그것에 의해 고정적으로 또는 조정가능하게 배열될 수 있다.
도 2에 따른 실시 변형예와 유사하게, 베이스 몸체(5)는 또한 살포 플레이트(6) 상의 그것의 고정으로 인해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드라이브에 의해 미리결정된 동일한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D)으로 살포 플레이트와 함께 회전한다. 회전으로 인해, 고체 살포제, 예를 들어, 습염, 및 또한 액체 살포제, 예를 들어 염수 둘 다는 그것에 의해 동시에 토출된다. 회전 카운트에 따라, 특히 13 m까지의 유리한 캐스팅 거리들이 따라서 고체 살포제 및 또한 염수 둘 다에 대해 달성될 수 있고, 동시에 미세 분무를 통한 연무 또는 에어로졸 형성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토출 유닛들(7)이 그 상에 고정되는 베이스 몸체(5)의 실시예가 사시도로 각각 도 4 및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여기서, 베이스 몸체(5)는 커버 스크린(11)이 수용 챔버(AR)에 추가적으로 배열된 채로 도 5에 도시된다. 실린더의 형상으로 설계되는 베이스 몸체(5)는 원형 단면을 갖고 상부 측면 상에서, 즉 하단 섹션(5.1)으로부터 멀리 향하고 커버(6)에 대한 고정을 위해 제공되는 그것의 단부 상에서 또는 살포 플레이트 상에서 개방형으로서 설계된다. 공급 유닛(3)이 염수를 누출방지 방식으로 베이스 몸체(5)에 공급하기 위해 연결되는 유입구 개구(inlet opening)(12)는 하단 섹션(5.1)의 중심에서 중앙으로 배열된다.
공급 유닛(3)은 바람직하게는 회전 축(RA)에 동축으로 배열되는 공급 단부 피스 또는 공급 연결 피스(3.1)가 고정 방식으로 수용 챔버(AR)로 돌출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베이스 몸체(5)의 유입구 개구(12)에 결합되며, 여기서, 베이스 몸체(5)의 하단 섹션(5.1)의 유입구 개구(12) 및 공급 연결 피스(3.1)는 베이스 몸체(5)가 고정 공급 연결 피스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그러한 방식으로 결합된다.
실질적으로 원통형 베이스 몸체(5)의 측방향 표면을 형성하는 벽 섹션(5.2)은 연장되어 하단 섹션(5.1)으로부터 돌출되고 하단 섹션(5.1)에 직접 연결된다. 다수의 토출 개구들(13)은 베이스 몸체(5)의 주변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되고 서로 이격되어, 벽 섹션(5.2)에 제공되며, 각각의 토출 개구는 베이스 몸체(5)에 고정되는 각각의 하나의 토출 유닛(7)과 상호작용한다. 토출 유닛들(7)은 각각의 토출 유닛(7)의 각각의 메인 축(HA)이 회전 축(RA)에 대해 방사상으로 배향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베이스 몸체(5)에 연결된다.
개별 유출구 개구들(13)을 커버하거나 스크린하기 위해, 조정가능한, 특히 제어가능한 커버 스크린(11)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될 수 있다. 커버 스크린(11)은 그것에 의해 곡선으로서 설계되는 보호 실드형(shield-like) 스크리닝 표면 영역(11)을 포함하며, 여기서, 스크리닝 표면 영역(11a)은 그것의 기하학적 구조에 대해 벽 섹션(5.2)에 적응되고, 특히, 벽 섹션(5.2) 상의 내부 측면 상에 인접하거나 실질적으로 인접한 접촉에 도달하도록 설계된다. 스크리닝 표면 영역(11a)의 높이(h) 및 주변 길이(lu)는 그것에 의해 각각 스크리닝 표면 영역(11a)이 벽 섹션(5.2)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출구 개구(13)를 완전히 커버하거나 폐쇄하거나 차폐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다. 스크리닝 표면 영역(11a)의 높이(h)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몸체(5)의 벽 섹션(5.2)의 적어도 절반에 대응하며, 스크리닝 표면 영역(11a)의 높이(h)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벽 섹션(5.2)의 높이의 적어도 2/3 또는 적어도 3/4이다. 스크리닝 표면 영역(11a)의 주변 길이(lu)는 바람직하게는 벽 섹션(5.2)의 적어도 2개 또는 적어도 3개의 유출구 개구들(13)이 동시에 완전히 커버되거나 폐쇄되거나 차폐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커버 스크린(11)은 스트럿들(struts)(11b)에 의해 공급 연결 피스(3.1) 상에 고정되고, 따라서 베이스 몸체(5)와 함께 회전하지 않지만, 그 대신 회전 축(RA)을 중심으로 한 베이스 몸체(5)의 회전 동안에도 이전에 조정된, 고정된 위치에 있다. 스트럿들(11b)은 스크리닝 표면 영역(11a)이 벽 섹션(5.2)의 내부 측면에 대해 미리결정된 힘으로 가압되도록 공급 연결 피스(3.1)에 대해 스프링 장착될 수 있으며, 여기서, 벽 섹션(5.2) 및 스크리닝 표면 영역(11a)이 방해받지 않고 서로를 지나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되어야만 한다.
커버 스크린(11)은 고정적으로 배열되므로, 베이스 몸체(5)의 회전과는 관계없이, 교호하는 유출구 개구(들)(13)은 베이스 몸체의 회전에 따라 각각 커버되며, 여기서, 유출구 개구(들)(13)은 그들이 대응하는 주변 위치 또는 회전 위치를 "지나서 이동함"에 따라 각각 커버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커버 스크린(11) 조정가능하며, 특히 제어가능하도록, 즉 스크리닝 표면 영역(11a)의 위치가 변경가능한 또는 조정가능한 그러한 방식으로 설계된다. 토출될 또는 살포될 살포제에 대한 살포 패턴은 커버 스크린(11)의 대응하는 포지셔닝(positioning) 또는 조정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특히, 커버 스크린(11)은 그것에 의해 바람직하게 배열됨으로써 그것은 토출 유닛(4)의 회전 축(RA)의 전방에서 겨울 도로 유지 차량(100)(도 1a, 도 1b와 비교)의 이동 방향(FR)으로 배열되고 따라서 차량의 후방을 향한다. 이러한 방식에서, 살포 패턴은 살포제가 원통형 베이스 몸체(5)의 전체 주변에 대해 토출 유닛들(7)의 균일한 분포 또는 배열에도 불구하고 차량의 후방의 방향에서 밖으로 캐스팅되지 않도록 조정된다. 예를 들어, 살포 패턴은 그것에 의해 살포제의 토출이 수행되지 않는, 파이 웨지와 유사한 하나의 영역이 배제되는, 분산 원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며, 여기서, 이러한 배제된 파이 웨지 영역은 겨울 도로 유지 차량(100)을 향한다.
커버 스크린(11)의 조정 또는 변위는 바람직하게는 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은 컨트롤러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베이스 몸체가 살포 플레이트(6) 상에서 밑면 상에 고정되는 도 3에 따른 일 실시 변형예에서, 커버 스크린(11)은 예를 들어, 플레이트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변위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변형예에 따른 토출 유닛들(7)의 가변 조정기능(adjustability)이 도 6 및 도 7에 예시된다. 이러한 유형의 조정가능한 토출 유닛(7)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 변형예가 도 6의 사시도에 도시된다. 도시된 토출 유닛(7)은 다수의 부품들(parts)로부터 설계되고 베이스 몸체(5)의 벽 섹션(5.2)에 대한 고정을 위한 베이스 피스(7a)를 포함하며, 이 베이스 피스는 슬리브형 고정 링(7a'), 및 볼 조인트 섹션(9) 및 토출 개구(7.1)를 포함하는, 베이스 피스(7a)에 관절식으로 연결되는, 헤드 피스(7b)를 더 구비한다. 연결된 상태 또는 사용 위치에서, 볼 조인트 섹션(9)을 갖는 헤드 피스(7b)는 토출 개구(7.1)가 헤드 피스(7b)로부터 멀리 향하고 토출 유닛(7)의 자유 단부를 형성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조인트 소켓을 형성하는 베이스 피스(7a)에 수용된다. 베이스 피스(7a)에 헤드 피스(7b)의 볼 조인트 섹션(9)을 수용함으로써, 볼 조인트 연결이 형성되며 이는 도 7에서 보다 상세히 증명되는 바와 같이,임의의 방향에서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토출 유닛(7)의 초기 위치에서, 베이스 피스(7a)에 그것의 볼 조인트 섹션(9)과 함께 수용되는 헤드 피스(7b)는 토출 개구(7.1)가 마찬가지로 메인 축(HA)을 따라 배열되고 따라서 유출 살포제의 토출 방향(RAUS)이 메인 축(HA)의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정렬된다. 이러한 유형의 초기 위치는 도 7에서 부분 A 및 부분 C로 표현되며, 여기서, 도 7a는 회전 축(RA)의 방향에서 수직 단면으로 토출 유닛(7)을 도시하고 도 7c는 위로부터의 상면도에서 베이스 몸체(7)의 단면도를 표현한다.
베이스 피스(7a)에 대한 헤드 피스(7b)의 볼 조인트형 연결로 인해, 토출 유닛(7)의 헤드 피스(7b)는 수직 방향(RV) 및 또한 수평 방향(RH) 둘 다에서 편향될 수 있다. 도 7b 및 도 7d는 각각 대응하는 편향 위치를 나타낸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개구(7.1)는 유출 살포제의 토출 방향(RAUS)이 베이스 몸체(5)의 하단 섹션(5.1)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토출 유닛(7.1)의 메인 축(HA)을 포함하는 수평 평면(E1)과 각도(α)를 정의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수직 방향(RV)에서 헤드 피스(7b)의 바람직한 방향으로 상향 편향된다. 수평 방향(RH)에서 헤드 피스(7b)의 바람직한 편향에서, 토출 개구(7.1)는 유출 살포제의 토출 방향(RAUS)이,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축(RA)을 포함하는 수직 평면(E2)과 각도(β)를 정의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피봇된다.
토출 유닛들(7)의 대응하는 조정을 통해, 살포 패턴의 필요-기반(needs-based) 조정은 특히 유리하게 달성될 수 있고 살포제에 대한 캐스팅 거리는 동시에 조정, 특히 증가될 수 있다. 특히 큰 캐스팅 거리를 달성하기 위해, 토출 유닛들(7)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수직 방향(RV)에서의 초기 위치로부터 상향 편향되고 토출 디바이스(4)의 방향 회전(D)에 반대 방향으로 수평 방향(RH)에서 편향된다. 이러한 바람직한 위치에서의 토출 개구들(7.1)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쪽을 향하고,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시에 회전 방향(D)에 반대 방향이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 토출 개구들(7.1)로부터 유출되는 살포제의 제트의 실질적으로 초승달 형상의 제트 형상이 발생하고, 이 수단에 의해 살포 패턴은 이상적인 형상으로 조정가능하고, 캐스팅 거리는 상당히 증가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토출 유닛들(7)이 그 상에 고정된 베이스 몸체(5)의 대안적인, 유사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도 8은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9a 및 도 9b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토출 유닛들(7)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다. 도 9a는 그것에 의해 회전 축(RA)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단면에서 베이스 몸체(5)의 벽 섹션(5.2) 상에 고정되는 토출 유닛(7)을 도시하고 도 9b는 위로부터의 상면도를 단면적으로 도시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의 원통형 베이스 몸체(5)는 그것의 구조 및 그것의 구성에 대해 도 4 및 도 5에 따른 실시예들의 그것들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며, 여기서, 커버 스크린(11)을 갖는 베이스 몸체(5)의 대응하는 구성은 예로서만 도 8에 도시된다. 베이스 몸체(5)는 또한 커버 스크린(11) 없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자연적으로 이해된다.
도 8의 실시예는 먼저 대안적으로 설계된 토출 유닛들(7)로 인해 도 4 및 도 5의 그것과 상이하며, 이 중 4개만이 더 양호한 명료성을 위해 도 8에 도시된다. 도 8에 따른 예시적 실시 변형예에서, 더 많은 토출 유닛들(7)이 베이스 몸체(5)의 전체 주변에 걸쳐 자연스럽게 배열 분포되며, 여기서, 도시된 예는 베이스 몸체(5)의 주변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되는 12개의 토출 유닛들(7)을 갖는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10개 또는 8개의 토출 유닛들(7)은 또한 베이스 몸체(5)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a, 도 9b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토출 유닛들(7)은 토출 튜브로서 설계되는 관형 피스(15)를 포함한다. 본 예에서의 관형 피스(15)는 각진 튜브에 의해 형성되고 제1 관형 섹션(15.1) 및 제2 관형 섹션(15.2)을 갖는다. 메인 축(HA)을 따라 연장되는 제1 관형 섹션(15.1)은 베이스 몸체(5)의 벽 섹션(5.2)에 연결되고, 제1 관형 섹션(15.1)에 각도로 연결되고 토출 축(AA)을 따라 연장되는 제2 관형 섹션(15.2)은 그것의 자유 단부에서 토출 개구(7.1)를 포함한다.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는 각진 관형 피스(15)는 따라서 토출 유닛들(7)의 연장부(extension)로서 고려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토출 개구들(7.1)은 베이스 몸체(5)의 벽 섹션(5.2)으로부터 미리결정된 거리를 갖는다. 토출 개구들(7.1)은 그것에 의해 베이스 몸체(5)의 벽 섹션(5.2)을 동심원적으로 둘러싸는 원 상에 배열되며, 상기 원은 베이스 몸체 반경(rG)과 비교하여 더 큰 반경을 갖는다(도 3 참조).
예를 들어, 제1 관형 섹션(15.1)은 제1 길이(L1)를 가지며, 이는 대략 1.3 배의 베이스 몸체 반경(rG)에 대응하고, 따라서 베이스 몸체(5)의 직경의 대략 2/3에 대응하고, 예를 들어, 약 150 mm 이다. 제2 관형 섹션(15.2)은 제2 길이(L2)를 가지며, 이는 예를 들어, 제1 길이(L1)의 대략 40% 내지 50%에 대응하고, 예를 들어 60 mm이다. 제1 및 제2 관형 섹션들(15.1, 15.2)은 그들이 도시된 예에서 약 135°인 미리결정된 각도(γ)를 정의하도록 서로에 대해 조정된다. 관형 피스(15)의 외부 직경은 예를 들어, 16 mm 내지 20 mm의 범위에 놓여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18 mm이다. 약 1 mm 내지 2 mm의 재료의 벽 두께에서, 내부 직경은 따라서 12 mm 내지 16 mm의 범위에 놓여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14 mm이다.
도 8 및 도 9a, 도 9b로부터 도시된 예에서, 관형 피스(15)는 제1 관형 섹션(15.1)이 실질적으로 방사상 방향에서 벽 섹션(5.2)으로부터 멀리 돌출하고 제2 관형 섹션(15.2)이 방사상 방향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을 갖는 그러한 방식으로 베이스 몸체(5)의 벽 섹션(5.2)에 고정된다. 도 9b에 표시된 바와 같이, 토출 개구(7.1)는 그것에 의해 회전 방향(D)에 반대 방향인 방향으로 가리키며, 여기서, 토출 축(AA)은 회전 축(RA)을 포함하는 수직 평면(E2)과 각도(β)를 정의하며, 이 각도는 본 예에서 약 45°이다.
관형 피스(15)는 메인 축(HA)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대응적으로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음으로써, 토출 유닛들(7)의 가변 조정이 또한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능하다. 예를 들어, 관형 피스(15)는 그것에 의해 토출 개구(7.1)가 도 9a에 표시된 바와 같이, 약간 위쪽으로 향하도록 캐스팅 거리 및 살포 패턴의 최적 조정을 위해 조정된다. 토출 축(AA)은 그것에 의해 베이스 몸체(5)의 하단 섹션(5.1)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토출 유닛(7)의 메인 축(HA)을 포함하는 수평 평면(E1)과 각도(α)를 정의한다.
이러한 바람직한 위치에서의 토출 개구들(7.1)은 회전 방향(D)에 반대 방향으로 및 동시에 위쪽으로 향한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 토출 개구들(7.1)로부터 유출되는 살포제의 제트의 실질적으로 초승달 형상의 제트 형상이 생성되며, 이 수단에 의해 산란 패턴은 이상적인 형상으로 조정가능하고, 캐스팅 거리는 상당히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 살포제에 대한 큰 캐스팅 거리는 약 12 내지 13 m의 특히 유리하게 달성될 수 있다.
관형 피스(15)는 예를 들어, 나사체결(screwing)을 통해 베이스 몸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고정 나사들은 메인 축(HA)을 중심으로 회전에 의한 조정을 위해 약간 느슨해지고, 원하는 위치에 대한 관형 피스(15)의 성공적인 회전 후에, 다시 조여질 수 있다. 도 8 및 도 9a, 도 9b에 따른 토출 유닛들(7)에서, 도 6에서와 같이 도시된 헤드 피스(7a) 및 할당된 고정 링(7a')을 갖는 관형 피스(15)는 또한 토출 유닛(7)으로 각각 조립되고 따라서 벽 섹션(5.2)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예의 커버 스크린(11)은 2개의 작동 실린더들(16)를 통해 유지되고, 도 5로부터의 예에 대안적으로, 벽 섹션(5.2)의 내부 측면에 대해 가압된다. 자연적으로, 그러나, 도 5에 따른 스트럿들(11b)은 또한 도 8로부터의 예에 대해 사용될 수 있고, 그 역도 또한 같으며, 도 8에 따른 작동 실린더(16)는 도 5로부터의 예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참조 번호들의 목록
1 살포 디바이스
2, 2' 탱크
3 공급 유닛
3.1 공급 연결 피스
3a 공급 라인
4 토출 디바이스
5 베이스 몸체
5.1 하단 섹션
5.2 벽 섹션
6 커버
6a 살포 플레이트의 상부 측면
6b 살포 플레이트의 밑면
7 토출 유닛들
7.1 토출 개구
7a 베이스 피스
7a' 고정 링
7b 헤드 피스
8 가이드 벽들
9 볼 조인트 섹션
10 저장
11 커버 스크린
11a 스크리닝 표면 영역
11b 스트럿들
12 유입구 개구
13 유출구 개구들
14 충돌 돔
15 관형 피스
15.1 제1 관형 섹션
15.2 제2 관형 섹션
16 작동 실린더
100 겨울 도로 유지 차량
101 제설기
AA 토출 축
AR 수용 챔버
D 회전 방향
E1 수평 평면
E2 수직 평면
FR 이동 방향
h 스크리닝 표면 영역의 높이
HA 메인 축
L1 제1 길이
L2 제2 길이
lu 스크리닝 표면 영역의 주변 길이
O 상부 측면
RA 회전 축
RAUS 토출 방향
RH 수평 방향
rG 베이스 몸체 반경
rT 플레이트 반경
RV 수직 방향
U 밑면
α, β 각도
γ 각도

Claims (20)

  1. 살포될 순수 액체로 이루어진 액체 살포제(spreading agents)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탱크(tank)(2, 2') 및 제공된 공급 유닛(3)을 통해 상기 탱크(2, 2')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구동 토출 디바이스(discharge device)(4)를 포함하는 살포제를 토출하기 위한 살포 차량들(100) 용 살포 디바이스(Spreading device)(1)에 있어서,
    상기 토출 디바이스(4)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몸체(base body)(5) 및 상기 베이스 몸체(5)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하나의 커버(cover)(6)를 갖고,
    상기 베이스 몸체(5)는 상기 공급된 순수 액체로 이루어진 액체 살포제를 위한 수용 챔버(receiving chamber)(AR)를 정의하고 실질적으로 실린더의 형상으로 설계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5)는 유입구 개구(inlet opening)(12)를 갖는 상기 토출 디바이스(4)의 밑면(U)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단 섹션(bottom section)(5.1) 및 상기 하단 섹션(5.1)으로부터 돌출하고 회전 축(RA)을 동심원적으로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벽 섹션(wall section)(5.2)을 갖고,
    상기 수용 챔버(AR)에서 상기 벽 섹션(5.2)과 인접한 접촉에 도달하도록 배열되는 커버 스크린(cover screen)(11)이 제공되며,
    상기 커버 스크린(11)은, 상기 벽 섹션(5.2)에서 상기 벽 섹션(5.2)에 제공되는 유출구 개구들(outlet openings)(13)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 측면 차폐를 위해 설계되고,
    상기 토출 디바이스(4)는, 상기 수용 챔버(AR)로부터 상기 액체 살포제를 분배하기 위해, 토출 개구(discharge opening)(7.1)를 각각 갖는 다수의 토출 유닛들(discharge units)(7)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 유닛들(7)은 상기 베이스 몸체(5)의 상기 벽 섹션(5.2)의 영역에 정렬되고 상기 벽 섹션(5.2)에 제공되는 유출구 개구들(outlet openings)(13)과 상호작용하며,
    상기 토출 디바이스(4)는 상기 액체 살포제가 상기 회전 축(RA)을 중심으로 회전에 의해 생성되는 원심력으로 인해 상기 토출 유닛들(7)을 통한 분산 제트 내에서 번들링되는 제트형 방식으로 상기 수용 챔버(AR)로부터 외측으로 분배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설계되고,
    상기 토출 유닛들(7)의 조정에 대응하는 유출 액체 살포제의 상기 제트의 방향이 상기 토출 개구(7.1)에서 조정될 수 있고, 상기 토출 유닛(7)들의 가변 조절에 의해 변경되거나 정렬될 수 있고,
    상기 유입구 개구(12)에는 회전 축(RA)에 동축으로 배열되는 공급 연결 피스(3.1)가 결합되고,
    상기 공급 연결 피스(3.1)는,
    상기 유입구 개구(12)에 고정 방식으로 상기 수용 챔버(AR)로 돌출하는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공급 연결 피스(3.1)의 외주면에는 상기 공급 연결 피스(3.1)의 외주면으로부터 부채꼴 형상으로 스트럿들(11b)이 연장되고,
    상기 커버 스크린(11)은 상기 스트럿들(11b)에 의해 상기 공급 연결 피스(3.1)상에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 몸체(5)는 상기 공급 연결 피스(3.1)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베이스 몸체(5)가 상기 공급 연결 피스(3.1)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커버 스크린(11)은 상기 연결 피스(3.1) 상에 고정되어 정지상태를 유지하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 디바이스(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적으로 조정가능한 토출 유닛들(7)은 상기 벽 섹션(5.2)의 주변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되고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 디바이스(1).
  3.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토출 유닛(7)은 상기 토출 개구(7.1)를 지닌 상기 토출 유닛(7)의 자유 단부가 수직 방향(RV)으로 편향될 수 있는 그러한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직 방향(RV)으로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 디바이스(1).
  4.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토출 유닛(7)은 상기 토출 개구(7.1)를 지닌 상기 토출 유닛(7)의 자유 단부가 수평 방향(RH)으로 편향될 수 있는 그러한 방식으로 적어도 상기 수평 방향(RH)으로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 디바이스(1).
  5.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토출 유닛(7)은 가변 조정을 위해 각각의 메인 축(H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 디바이스(1).
  6.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토출 유닛(7)는 복수의 부품들(parts)로부터 설계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5)의 상기 벽 섹션(5.2) 상의 고정을 위해 설계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피스(base piece)(7a) 및 상기 베이스 피스(7a)에 관절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토출 개구(7.1)를 포함하는 헤드 피스(head piece)(7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 디바이스(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피스(7b)는 볼 조인트 섹션(ball joint section)(9)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피스(7a)는 상기 볼 조인트 섹션(9)을 위한 볼 조인트 소켓형 리셉터클(receptacle)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 디바이스(1) .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유닛들(7)은 상기 각각의 메인 축(HA)이 상기 회전 축(RA)에 대해 방사상 방향으로 배열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상기 베이스 몸체(5)의 상기 벽 섹션(5.2) 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 디바이스(1).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유닛들(7)은 관형 피스들(15) 또는 관형 섹션들을 갖고 토출 개구들(7.1)이 상기 베이스 몸체(5)의 상기 벽 섹션(5.2)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미리결정된 거리를 갖는 그러한 방식으로 상기 메인 축(HA)의 방향으로 이러한 수단에 의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 디바이스(1).
  10.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토출 유닛(7)은 제1 관형 섹션(tubular section)(15.1) 및 제2 관형 섹션(15.2)을 갖는 각진 튜브(angled tube)로서 설계되는 관형 피스(tubular piece)(15)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관형 섹션(15.1)은 상기 메인 축(HA)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관형 섹션(15.2)은 토출 축(AA)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 디바이스(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관형 섹션들(15.1, 15.2)은 약 135°에서 미리결정된 각도(γ)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 디바이스(1).
  12. 제11항에 있어서,
    그것은 추가적으로 살포될 고체 살포제를 수용하기 위한 저장소(reservoir)(10) 및 상기 고체 살포제를 상기 토출 디바이스(4)의 상부 측면(O) 상에 적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송 및 적재 유닛(conveying and loading unit)을 포함하며, 상기 살포 디바이스(1)는 액체 및 고체 살포제를 동시에 토출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토출 디바이스(4)의 상기 커버(6)는 액체 및 고체 살포제의 동시 토출을 위해 살포 플레이트(spreading plate)의 형상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 디바이스(1).
  13. 제12항에 있어서,
    살포 플레이트로서 설계되는 상기 커버(cover)(6)는 상기 베이스 몸체(5)의 베이스 몸체 반경(rG)보다 더 큰 플레이트 반경(rT)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 디바이스(1).
  14. 제13항에 있어서,
    상향 돌출하는 가이드 벽들(guide walls)(8)은 상기 베이스 몸체(5)로부터 멀리 향하는 상기 살포 플레이트의 상부 측면(6a)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 디바이스(1).
  15. 삭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스크린(11)은 만곡된 것으로서 설계되는 스크리닝 표면 영역(screening surface area)(11a)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리닝 표면 영역(11a)의 높이(h) 및 상기 스크리닝 표면 영역(11a)의 주변 길이(lu)는 상기 스크리닝 표면 영역(11a)이 상기 벽 섹션(5.2)에 적응되고 적어도 하나의 유출구 개구(outlet opening)(13)를 완전히 커버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 디바이스(1).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스크린(11)은 미리결정된 위치에서 상기 수용 챔버(AR)에 고정식으로 배열 및 고정되고/되거나, 상기 벽 섹션(5.2)의 내부 영역에 대해 상기 커버 스크린(11)의 상기 스크리닝 표면 영역(11a)을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가능 작동 실린더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 디바이스(1).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스크린(11)의 상기 위치는 제어된 방식으로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 디바이스(1).
  19. 제18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토출 디바이스들(4)이 제공되며, 상기 2개 이상의 토출 디바이스들(4)은 서로 옆에 및/또는 서로 위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 디바이스(1).
  20.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몸체(base body)(5) 및 상기 베이스 몸체(5)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커버(cover)(6)를 갖는, 살포제들(spreading agents)을 토출하기 위한 살포 차량(spreading vehicle)(100)의 살포 디바이스(spreading device)(1) 용 토출 디바이스(Discharge device)(4)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5)는 공급된 순수 액체로 이루어진 액체 살포제를 위한 수용 챔버(receiving chamber)(AR)를 정의하고 실질적으로 실린더의 형상으로 설계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5)는 유입구 개구(inlet opening)(12)를 갖는 상기 토출 디바이스(4)의 밑면(U)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단 섹션(bottom section)(5.1) 및 상기 하단 섹션(5.1)으로부터 돌출하고 회전 축(RA)을 동심원적으로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벽 섹션(wall section)(5.2)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 챔버(AR)에서 상기 벽 섹션(5.2)과 인접한 접촉에 도달하도록 배열되는 커버 스크린(cover screen)(11)이 제공되며,
    상기 커버 스크린(11)은, 상기 벽 섹션(5.2)에서 상기 벽 섹션(5.2)에 제공되는 유출구 개구들(outlet openings)(13)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 측면 차폐를 위해 설계되고,
    상기 토출 디바이스(4)는, 상기 수용 챔버(AR)로부터 상기 액체 살포제를 분배하기 위해, 토출 개구(discharge opening)(7.1)를 각각 갖는 다수의 토출 유닛들(discharge units)(7)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 유닛들(7)은 상기 베이스 몸체(5)의 상기 벽 섹션(5.2)의 영역에 정렬되고 상기 벽 섹션(5.2)에 제공되는 유출구 개구들(outlet openings)(13)과 상호작용하며,
    상기 토출 디바이스(4)는 상기 액체 살포제가 상기 회전 축(RA)을 중심으로 회전에 의해 생성되는 원심력으로 인해 상기 토출 유닛(7)들을 통한 분산 제트 내에서 번들링되는 제트형 방식으로 상기 수용 챔버(AR)로부터 외측으로 분배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설계되고,
    상기 토출 유닛들(7)의 조정에 대응하는 유출 액체 살포제의 상기 제트의 방향이 토출 개구(discharge opening)(7.1)에서 조정될 수 있고, 상기 토출 유닛(7)들의 가변 조절에 의해 변경되거나 정렬될 수 있고,
    상기 유입구 개구(12)에는 회전 축(RA)에 동축으로 배열되는 공급 연결 피스(3.1)가 결합되고,
    상기 공급 연결 피스(3.1)는,
    상기 유입구 개구(12)에 고정 방식으로 상기 수용 챔버(AR)로 돌출하는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공급 연결 피스(3.1)의 외주면에는 상기 공급 연결 피스(3.1)의 외주면으로부터 부채꼴 형상으로 스트럿들(11b)이 연장되고,
    상기 커버 스크린(11)은 상기 스트럿들(11b)에 의해 상기 공급 연결 피스(3.1)상에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 몸체(5)는 상기 공급 연결 피스(3.1)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베이스 몸체(5)가 상기 공급 연결 피스(3.1)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커버 스크린(11)은 상기 연결 피스(3.1) 상에 고정되어 정지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디바이스(4).
KR1020207018175A 2017-12-05 2018-12-03 살포 차량 용 살포 디바이스 KR1024974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7107399.8U DE202017107399U1 (de) 2017-12-05 2017-12-05 Streuvorrichtung für Streufahrzeuge
DE202017107399.8 2017-12-05
PCT/EP2018/083279 WO2019110471A1 (de) 2017-12-05 2018-12-03 Streuvorrichtung für streufahrzeu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629A KR20200083629A (ko) 2020-07-08
KR102497431B1 true KR102497431B1 (ko) 2023-02-08

Family

ID=60890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175A KR102497431B1 (ko) 2017-12-05 2018-12-03 살포 차량 용 살포 디바이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427974B2 (ko)
EP (1) EP3721014A1 (ko)
JP (1) JP6961836B2 (ko)
KR (1) KR102497431B1 (ko)
CN (1) CN111527266B (ko)
CA (1) CA3084490C (ko)
DE (1) DE202017107399U1 (ko)
RU (1) RU2750685C1 (ko)
WO (1) WO20191104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81451B1 (de) * 2018-05-17 2022-02-23 Siemens Mobility GmbH Gleiskonditioniereinheit mit vorrichtung zur schienentrocknung
US11193249B2 (en) * 2019-05-28 2021-12-07 Ari J. Ostrow Robotic de-icer
CN111424596B (zh) * 2020-04-27 2020-10-20 杭州富阳马太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能完全除雪的除雪车
CN111851389B (zh) * 2020-07-08 2021-08-17 山东省高速路桥养护有限公司 桥梁道路用可旋转式除冰液喷头
CN113832902B (zh) * 2021-08-31 2023-05-26 河北聚邦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工程道路铺设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9781B2 (ja) * 1998-04-08 2001-07-16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465480B1 (ko) * 2002-08-26 2005-01-13 주식회사 자동기 제설재 살포장치
JP2010024723A (ja) * 2008-07-18 2010-02-04 Handa Kikai Kk 凍結防止剤散布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06535A (fr) * 1964-06-01 1965-07-23 Lorraine Houilleres Perfectionnement apporté aux appareillages de pulvérisation centrifuge
DK117188C (ko) * 1967-04-29
AT360070B (de) * 1975-12-15 1980-12-29 Kahlbacher Anton Vorrichtung zum bestreuen von verkehrsflaechen
SU727238A1 (ru) * 1976-02-04 1980-04-25 Казан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И Проектный Институт Химикофотографическ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Распылитель жидкости
DE2949224C2 (de) * 1979-12-07 1983-05-11 Amazonen-Werke H. Dreyer Gmbh & Co Kg, 4507 Hasbergen Schleuderstreuer
DE3235755C2 (de) * 1982-09-27 1994-03-24 Kuhn Sa Vorrichtung zum Ausstreuen von Stallmist, Handelsdünger und/oder ähnlichem
DE3243133A1 (de) * 1982-11-22 1984-05-24 Ernst Roederstein Spezialfabrik für Kondensatoren GmbH, 8300 Landshut Rotationszerstaeuber-handgeraet
US4549697A (en) * 1983-06-09 1985-10-29 Swenson Spreader Company Spreader guard
SU1206360A1 (ru) * 1983-12-27 1986-01-23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 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 Академия Коммунального Хозяйства Им.К.Д.Памфилова Разбрасыватель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US4892255A (en) * 1988-10-14 1990-01-09 Waldrum John E Centrifugal applicating device
DE4303188C1 (de) * 1993-02-04 1994-05-26 Kies Karl Heinz Strahldüse für ein Sandstrahlgerät zur Bestrahlung planebener Flächen
ATE162361T1 (de) 1993-07-21 1998-02-15 Rauch Landmaschfab Gmbh Schleuderstreuer
JP3166999B2 (ja) * 1994-04-19 2001-05-14 株式会社共立 下葉除去用自動液体散布装置
RU2139970C1 (ru) * 1996-10-07 1999-10-2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Брянский Арсенал"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брасывания антигололедных и других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FR2776474B1 (fr) * 1998-03-31 2000-06-16 Carre Dispositif de pulverisation orientee destine a equiper une bineuse tractee
JP4275849B2 (ja) * 2000-11-09 2009-06-10 新潟トランシス株式会社 凍結防止剤の湿式散布装置
US6793154B2 (en) 2001-02-27 2004-09-21 The Louis Berkman Company Spreader shield
JP2002336751A (ja) * 2001-05-14 2002-11-26 Shin Meiwa Ind Co Ltd 液体散布車の散布幅調整装置
KR100859522B1 (ko) 2002-06-24 2008-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색필터 기판 및 액정 표시 장치
ITBO20050522A1 (it) 2005-08-04 2007-02-05 Studio Tecnico Piazzi Macchina per spargere sale
US7819346B2 (en) * 2008-01-07 2010-10-26 Rex W Perkes Process for accelerating the wetting of and the application of salt to surfaces
US7819339B2 (en) * 2009-01-01 2010-10-26 David Douglas Dieziger Rotary propulsion nozzle set
RU2394126C1 (ru) * 2009-03-03 2010-07-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Экомтех-Трейдинг" Способ борьбы с зимней скользкостью дорожных покрыти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US8511589B2 (en) * 2010-01-29 2013-08-20 Henderson Products, Inc. Apparatus for spreading granular materials from vehicle
US9085863B2 (en) * 2012-03-06 2015-07-21 Swenson Spreader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ing spreader spray
JP6030433B2 (ja) * 2012-12-17 2016-11-24 第一精工株式会社 撒き餌容器
EP2826919B1 (en) * 2013-07-16 2016-08-31 Epoke A/S A spreading device
JP3189781U (ja) * 2013-12-10 2014-04-03 陳淵田 全方向散水機
US20160222603A1 (en) * 2015-02-03 2016-08-04 Gary Cervelli Spreader apparatus and method
CN205188886U (zh) * 2015-10-20 2016-04-27 昌邑市满国环卫工程有限公司 道路清洗车用万向喷头
KR200481961Y1 (ko) * 2016-04-04 2016-12-01 채갑연 무인 방제장치
CA3022672C (en) * 2016-05-02 2020-12-29 Roadtec, Inc. Spray assembly for a working machine employing direct acting valves
CN106717337B (zh) * 2017-01-17 2023-07-28 上海美瑞实业有限公司 撒播装置
DE202017101056U1 (de) 2017-02-24 2017-04-04 Gmeiner Gmbh Streugerät für Winterdienstfahrzeuge
US10982097B2 (en) * 2017-08-30 2021-04-20 Asphalt Systems, Inc. Coating system for asphalt and related metho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9781B2 (ja) * 1998-04-08 2001-07-16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465480B1 (ko) * 2002-08-26 2005-01-13 주식회사 자동기 제설재 살포장치
JP2010024723A (ja) * 2008-07-18 2010-02-04 Handa Kikai Kk 凍結防止剤散布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50685C1 (ru) 2021-07-01
WO2019110471A1 (de) 2019-06-13
DE202017107399U1 (de) 2017-12-20
CA3084490C (en) 2023-04-04
US20200318295A1 (en) 2020-10-08
EP3721014A1 (de) 2020-10-14
CN111527266B (zh) 2022-06-14
KR20200083629A (ko) 2020-07-08
CA3084490A1 (en) 2019-06-13
JP2021505803A (ja) 2021-02-18
US11427974B2 (en) 2022-08-30
CN111527266A (zh) 2020-08-11
JP6961836B2 (ja) 202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7431B1 (ko) 살포 차량 용 살포 디바이스
US6332581B1 (en) Rotary sprinkler nozzle
US7137214B2 (en) Snow removal machine with system for applying a surface treatment material
US8511589B2 (en) Apparatus for spreading granular materials from vehicle
US7819339B2 (en) Rotary propulsion nozzle set
KR101954124B1 (ko) 약제 살포 보트
US543594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sulphur seed particles for sulphur granule production
US6793154B2 (en) Spreader shield
US4009967A (en) Road roller vehicle with water applicator
AU753619B2 (en) Fluid injection spray system for a wind machine
KR100650527B1 (ko) 송풍식 입제 변량 살포기
US20110315797A1 (en) Salt wetting apparatus and brine applicator
US9221065B1 (en) Helical water distribution restrictor
DK2718505T3 (en) Sprinkle Interior
JP4046840B2 (ja) 肥料散布機
US11484901B2 (en) Drop spreader chutes, drop spreader assemblies and spreading vehicles
JP3784627B2 (ja) 湿式散布装置
KR20170110937A (ko) 살포방향조절부가 구비된 염화칼슘 살포장치
US6079643A (en) Spread path modifier for agricultural spreader
KR20160048685A (ko) 비료의 파쇄 및 휘날림을 방지하는 살포기
KR20040018671A (ko) 제설재 살포장치
RO123180B1 (ro) Cap pulverizator, pentru o instalaţie de granulare
JP4315743B2 (ja) 回転散水防除機のノズル構造
DE7601865U1 (de) Vorrichtung zum Bestreuen von Verkehrsflächen
KR102138236B1 (ko) 횡단 보도용 도색장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