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0527B1 - 송풍식 입제 변량 살포기 - Google Patents
송풍식 입제 변량 살포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50527B1 KR100650527B1 KR1020050026509A KR20050026509A KR100650527B1 KR 100650527 B1 KR100650527 B1 KR 100650527B1 KR 1020050026509 A KR1020050026509 A KR 1020050026509A KR 20050026509 A KR20050026509 A KR 20050026509A KR 100650527 B1 KR100650527 B1 KR 1006505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anular
- sprayed
- discharge
- hopper
- boo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5—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4—Means for protecting against undesired influence, e.g. magnetic radiation or static electricity
Landscapes
- Fertiliz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포장내 위치별로 필요한 입제 피살포물의 살포량을 좌우측 각각 독립적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하며, 입제 피살포물이 살포폭간 균일한 분포로 살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입제 피살포물을 저장하며, 두 개의 토출구를 가지는 호퍼; 상기 호퍼의 각 토출구측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각 토출구로부터 나와 상기 호퍼의 중앙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분사되는 입제 피살포물의 배출량을 독립적이고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배출량조절부들; 상기 배출량조절부 통해 배출된 입제 피살포물을 이송하는 공기를 공급시키는 공기공급부; 상기 호퍼의 중앙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공기공급부로부터 나온 공기에 의해 입제 피살포물이 이송되며, 등간격으로 개구들이 형성된 붐관쌍; 및 이송된 입제 피살포물이 살포폭간에 균등하게 살포될 수 있도록 상기 붐관의 개구에 각각 배치되며, 각각 상기 붐관 내부로 출입이 가능한 충돌판 및 반사판을 구비한 복수 개의 분두들을 포함하는 송풍식 입제 변량 살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식 입제 변량 살포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호퍼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출량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홈롤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홈롤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공기공급부로부터 나온 공기가 배출량조절부를 통해 배출된 입제 피살포물을 붐관까지 이송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공기공급부 및 분지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붐관 및 붐관의 접철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수단을 구비하는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붐관에 설치되어 있는 분두를 통하여 입제 피살포물이 살포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분두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호퍼 10a : 토출구
11 : 스크린 20 : 배출량조절부
21 : 홈롤러 22 : 모터
23 : 열림량조절판 30 : 공기공급부
40 : 분지관 50 : 붐관
51 : 구부러짐 가능한 호스 52 : 사각관
53 : 브라켓 55 : 전기실린더
60 : 호퍼 프레임 61, 62 : 거치대
70 : 분두 70a : 충돌판
70b : 반사판 80 : 입제 피살포물
본 발명은 입제 비료, 입제 농약 또는 종자의 살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포장내 위치별 입제 피살포물의 양을 조절하고, 균등하게 살포될 수 있게 하기 위한 송풍식 입제 변량 살포기에 관한 것이다.
시비나 방제작업인 비료나 농약의 살포는 작물 재배관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요한 농작업인데, 우라나라의 벼 재배에 있어 표준 적정 시비량에 비하여 실제 농민들이 사용하는 시비량은 적게는 1.5배에서 많게는 2배에 이르는 등 비료를 남용하고 있고, 토양의 비옥도에 관계없이 시비량을 모든 포장에 일률적으로 적용 하여 자원의 낭비와 환경오염, 식품안정성의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따라서 향후 포장내 위치별로 토양, 작물의 생육상태, 수확량 등을 측정 분석하여 필요한 양의 비료, 농약, 종자를 살포하는 친환경 정밀농업이 요구되는데, 이를 위하여는 포장내 위치별로 살포량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살포중인 포장내에서 균등하게 살포할 수 있는 변량 살포기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한편 비료의 경우 대부분의 화학비료가 유기질 비료를 제외하고는 100%가 입제형태로 생산되며 농약의 경우에도 전체 농약 대비 입제 농약의 사용비율은 65% 이상으로 전체 농약에서 입제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바 입제의 살포량을 가변적으로 조절하고 살포폭간 균일한 분포로 살포 가능한 입제 변량 살포기가 꼭 필요한 실정이다.
입제를 살포하는 원리에는 크게 고속의 기류를 이용하는 송풍식과 입제에 원심력을 가하여 멀리 날려보내는 원심식으로 구분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원심식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날개차 위로 호퍼밑의 개구부에서 입제가 공급되면 원심력으로 입제를 가속하여 멀리 날려 산포하는 방식이다. 원심식 시비기의 살포량은 배출구 개폐판의 열림정도를 바꾸어 줌으로 조절할 수 있고 살포폭은 날개차의 회전속도와 높이에 따라 변화한다. 보통 최대 살포폭은 8 ~ 10m 이지만 입제가 균일하게 살포되지 않고 중심 부근으로 집중되는 경향이 있어서 중첩시비가 불가피하며, 이에 따라 유효 살포폭도 감소하여 대개 6 ~ 7m 정도가 된다. 현재 시비작업에는 대부분 원심식 입제살포기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종래의 원심식 입제살포기는 정밀농업이 요구하는 균등 살포에는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송풍식은 입제를 저장하는 호퍼의 하부에, 상기 호퍼로부터 입제를 토출하는 복수개의 토출파이프가 병설되고, 상기 토출파이프의 단부가 살포관내에 삽입되고, 상기 살포관에 다수 설치되어 있는 배출구로 공기공급부로부터 나온 바람에 의해 이송된 입제가 살포되는 방식이거나 상기 복수개의 토출파이프의 단부가 복수개의 배출구 각각으로 연결되어 있고, 바람에 의해 이송된 입제가 살포되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 전자와 같은 종래의 송풍식 입제 살포기에 의하면 첫째, 입제의 대부분은 토출구의 가까운 살포관에 설치되어 있는 배출구에 배출되므로 각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입제량이 다르다는 문제점과 둘째, 공기공급부로부터 나온 바람에 의해 이송된 입제는 그 속도로 인해 어느 특정 궤적을 표현하고 흐르는 경향이 있어, 각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입제가 균등하게 살포되지 않는 문제점 및 셋째, 좌우측 배출량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후자와 같은 종래의 송풍식 입제 살포기도 첫째, 그 구조가 너무 복잡하다는 문제점, 둘째, 좌우측 배출량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포장내 위치별로 필요한 입제 피살포물의 살포량을 좌우측 각각 독립적으로 조절가능한 송풍식 입제 변량 살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제 피살포물이 균등하게 살포될 수 있는 송풍식 입 제 변량 살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여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입제 피살포물을 저장하며, 두 개의 토출구를 가지는 호퍼; 상기 호퍼의 각 토출구측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각 토출구로부터 나와 상기 호퍼의 중앙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분사되는 입제 피살포물의 배출량을 독립적이고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배출량조절부들; 상기 배출량조절부 통해 배출된 입제 피살포물을 이송하는 공기를 공급시키는 공기공급부; 상기 호퍼의 중앙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공기공급부로부터 나온 공기에 의해 입제 피살포물이 이송되며, 등간격으로 개구들이 형성된 붐관쌍; 및 이송된 입제 피살포물이 살포폭간에 균등하게 살포될 수 있도록 상기 붐관의 개구에 각각 배치되며, 각각 상기 붐관 내부로 출입이 가능한 충돌판 및 반사판을 구비한 복수 개의 분두들을 포함하는 송풍식 입제 변량 살포기를 개시한다.
상기 호퍼는 상기 배출량조절부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호퍼 내의 하부에 걸쳐져 있고, 중앙부로 갈수록 비스듬히 내려가게 되어 있으며, 복수의 홈을 갖는 스크린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배출량조절부는, 상기 호퍼의 토출구로부터 나온 입제 피살포물이 유입되며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는 유입구들; 유입구의 하부에 위치하는 홈롤러; 상기 홈롤러의 축에 연결되어 상기 홈롤러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모터; 및 상기 홈롤러를 통해 배출된 입제 피살포물이 상기 공기공급부에서 나온 공기와 혼합되어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홈롤러는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는 배출셀들을 구획하는 격벽을 구비한다.
상기 좌우 대칭되는 각 배출셀들은, 상기 홈롤러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고 셀 부피가 서로 다른 제1 배출셀들 및 제2 배출셀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홈롤러의 배출셀들의 상기 홈롤러의 길이 방향 폭은 상기 배출량조절부의 유입구들의 폭과 대응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배출량조절부는, 상기 유입구 중 면적이 큰 유입구내로 출입이 가능한 열림량 조절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배출량조절부의 배출량을 독립적이고 가변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각 배출량조절부의 모터의 회전속도는 독립적이고 가변적으로 조절된다.
상기 좌우 대칭되는 각 배출셀들은, 상기 홈롤러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고 셀 부피가 서로 다른 제1 배출셀들 및 제2 배출셀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홈롤러의 배출셀들의 상기 홈롤러의 길이 방향 폭은 상기 배출량조절부의 유입구들의 폭과 대응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배출량조절부는, 상기 유입구 중 면적이 큰 유입구내로 출입이 가능한 열림량 조절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배출량조절부의 배출량을 독립적이고 가변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각 배출량조절부의 모터의 회전속도는 독립적이고 가변적으로 조절된다.
삭제
상기 분두는 윗면과 아랫면이 개방되어 있는 입체 사다리꼴 형태의 본체, 상기 분두내로 배출되는 입제 피살포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면을 따라 입제 피살포물이 진행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상기 분두 내부로 출입이 가능한 충돌판 및 상기 분두내로 배출된 입제 피살포물이 균일한 분포로 살포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분두내의 충돌판이 있는 쪽의 면에 설치된 반사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식 입제 변량 살포기는 상기 공기공급부의 토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량조절부로 공기를 분배시키는 분지관을 더 구비하며, 상기 분지관의 일단(first end)의 단면은 하나의 원형이고 타단(the other end)는 적어도 두 개인 짝수개의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분지관의 일단은 상기 공기공급부와 직접 연결되며, 상기 분지관의 타단은 상기 배출량조절부들과 구부러짐 가능한 호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지관의 타단의 단면은 상하좌우 대칭되도록 네 개의 원형을 이루어지고, 상기 좌측과 우측의 각 붐관은 내측 붐관과 외측 붐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분지관의 타단 중 하부 두 개의 관은 구부러짐 가능한 호스에 의해 상기 각 붐관의 외측 붐관과 각각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붐관은 살포높이를 다단계로 하여 장착가능하도록 상기 붐관을 위한 거치대가 적어도 두 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출량조절부와 상기 붐관은 일측면에 있는 각각의 붐관이 서로 겹치는 부위가 없도록 구부러짐 가능한 호스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송풍식 입제 변량 살포기는 상기 붐관을 진행방향에 대하여 수평 또는 수직하도록 접철이 가능하게 하는 회전수단을 가진 구조물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붐관은 살포높이를 다단계로 하여 장착가능하도록 상기 붐관을 위한 거치대가 적어도 두 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출량조절부와 상기 붐관은 일측면에 있는 각각의 붐관이 서로 겹치는 부위가 없도록 구부러짐 가능한 호스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송풍식 입제 변량 살포기는 상기 붐관을 진행방향에 대하여 수평 또는 수직하도록 접철이 가능하게 하는 회전수단을 가진 구조물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식 입제 변량 살포기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송풍식 입제 변량 살포기는 포장내 위치별 입제 피살포물의 살포량을 좌우측 독립적으로 조절하고, 살포폭간 균일한 분포로 살포될 수 있게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송풍식 입제 변량 살포기는 호퍼 프레임(60), 호퍼(10), 배출량조절부(20), 공기공급부(30), 분지관(40), 붐관(50), 분두(70)를 구비한다.
작업기(1)의 후면에는 본 발명인 송풍식 입제 변량 살포기가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승용관리기가 사용되고 있으나, 트랙터와 같이 후미에 동력취출장치(Power Take Off shaft)를 가진 승용형 작업기라면 어느 것도 사용될 수 있다.
호퍼 프레임(60)은 작업기(1)의 후미에 장착되어 있다.
호퍼(10)는 호퍼 프레임(60)의 상부에 지지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호퍼(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호퍼(10)는 하부에 두 개의 토출구(10a)가 있고, 호퍼(10) 내의 하부에 스크린(11)이 걸쳐져 있다. 스크린(11)은 복수의 홈이 있고, 중앙부로 갈수록 비스듬히 내려가게 되어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한 호퍼(10)의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하면, 호퍼(10) 내의 스크린(11)은 입제 피살포물이 쌓여 있는 퇴적고에 의해 토출구(10a)에 미치는 압력의 변화를 방지하여 호퍼(10)내 퇴적된 입제 피살포물의 잔량에 관계없이 일정한 압력으로 입제 피살포물이 배출량조절부(20)로 토출되도록 하고, 아래로 볼록한 포물선 형태를 취함으로써 스크린(11)상에 입제 피살포물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11)상에 뚫려 있는 홈이 전체 스크린(11) 면적에서 차지하는 개구율이 너무 크면 위에서 설명한 압력 분산유지 기능이 약화되고, 개구율이 너무 작으면 상기 호퍼(10)의 토출구(10a)로 배출되지 못하고 스크린(11)상에 놓여 있는 입제 피살포물들이 생기게 되므로 상기 개구율은 대략 40% ~ 70% 정도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송풍식 입제 변량 살포기는 주로 논 등의 침하가 많은 작업지에서 사용되므로 입제 살포기 장착에 따른 바퀴의 침하와 후방전도 등 기체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상기 호퍼(10)는 경량이면서 강도가 큰 FRP 재질로 제작하고, 표준시비량 중 최대 살포량과 본체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한 번에 적재해서 0.5ha의 작업면적을 처리하기 위하여는 상기 호퍼(10)의 용량이 200리터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량조절부(20)는 호퍼(10)의 토출구(10a)측에 각각 연결이 되어 있다. 도 3은 도1의 배출량조절부(2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로서, 도 3을 참조하면, 배출량조절부(20)의 상부에는 상기 호퍼(10)의 토출구(10a)로부터 나온 입제 피살포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면적이 서로 다른 한 쌍의 유입구(20a, 20b)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밑에는 상기 유입된 입제 피살포물의 배출량을 한정하는 배출셀들(21d, 21e)을 구비하는 홈롤러(21)가 장착되어 있다. 이때, 홈롤러의 배출셀들(21d, 21e)은 홈롤러축과 수직한 방향의 격벽과 나란한 방향의 격벽(21b, 21c)에 의하여 구획된다. 배출량조절부(20)의 하부에는 홈롤러(21)를 통해 이송된 입제 피살포물이 배출되는 배출구(20d)가 구비되어 있다. 홈롤러의 축(21a)에는 홈롤러(21)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모터(22)가 연동되어 있는데, 차량용 와이퍼모터와 같이 저렴한 DC모터를 사용하면 간단한 부속장치를 부착하여 배출장치에 간편하게 연결 가능하며 대량생산을 통해 가격도 저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속도가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배출량조절부(20)에는 상기 한 쌍의 유입구(20a, 20b)중에 큰 유입구(20a)내로 출입이 가능한 열림량조절판(23)이 두 개 구비되어 있다.
도 4는 도 3의 홈롤러(21)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홈롤러(21)를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홈롤러(21)축과 수직한 방향의 격벽은 배출량조절부(20)의 상부에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유입구(20a, 20b)의 너비와 동일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따라서 홈롤러(21)축과 수직한 방향의 격벽과 나란한 방향의 격벽(21b, 21c)에 의해 형성된 배출셀들(21d, 21e)도 체적이 서로 다른 한쌍이 좌우대칭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배출량조절의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홈롤러축과 나란한 방향의 격벽(21b, 21c)을 제외한 홈롤러의 나머지 부분은 내부식성이 강한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입제 비료나 농약 또는 종자 등의 부서짐을 적게 하기 위해 홈롤러(21)의 재질은 고무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한 배출량조절부(20)의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하면, 배출량조절부(20)의 상부 안쪽의 2개의 작은 유입구(20b)는 입제 피살포물의 물성에 따라 배출공간을 이원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제 농약처럼 입경이 입제 비료에 비해서 작고 살포하는 양이 적은 경우에는 열림량조절판(23)으로 바깥쪽의 2개의 큰 유입구(20a)를 닫음으로써 홈롤러(21)의 회전수와 공간의 배출체적만으로 입제 피살포물의 배출량을 제어하기가 어려운 경우에 유용하다. 열림량조절판(23)은 열림량에 따라 호퍼(10)의 토출구(10a)로부터 유입되는 입제 피살포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홈롤러(21)는 모터(22)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입제 피살포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량조절부(20)는 호퍼(10)에 있는 두 개의 토출구(10a)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므로 작업기(1)의 좌측과 우측에 살포되는 양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공기공급부(30)는 호퍼(10) 프레임(60)의 후미에 장착되어 상기 배출량조절부(20)로부터 배출된 입제 피살포물을 이송시키는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공기공급부(30)는, 입제 피살포물이 배출량조절부(20)에서 공기와 혼합되어 이송되는 형태가 균질형으로 살포장소까지 원활히 이송되기 위해서는 송풍속도가 부양속도보다 커야하므로 입제의 물리적 성질을 분석하여 송풍량이 충분한 공기공급부(30)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공급부(30)로는 원심식 송풍기를 사용하였으며, 작업기(1) 본체의 동력을 이용하도록 작업기(1)의 동력취출장치(Power Take Off shaft)에 송풍기를 종속연결할 수 있다.
분지관(40)의 일측은 공기공급부(30)의 토출구에 연결이 되어 있고, 타측은 구부러짐 가능한 호스(51a)에 의해 배출량조절부(20)의 유입구에 연결이 되어 있다.
붐관(50)은 호퍼 프레임(60)의 좌우측 후미에 있는 회전수단을 구비한 사각관(52)에 의해 지지되며, 배출량조절부(20)의 배출구와는 구부러짐 가능한 호스(51b)에 의해 연결이 되어 있다.
도 6은 공기공급부(30)로부터 나온 공기가 배출량조절부(20)를 통해 배출된 입제 피살포물을 붐관(50)까지 이송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공기공급부(30)의 토출구에 연결된 분지관(40) 중 하부에 있는 분지관(40c, 40d)은 각각 구부러짐 가능한 호스(51a)를 통해 좌우측에 있는 배출량조절부(20)로 유입되고, 배출량조절부(20)의 배출구(20d)는 다시 구부러짐 가능한 호스(51b)를 통해 좌우측 바깥쪽에 있는 붐관(50c, 50d)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는 하부에 있는 분지관(40c, 40d)을 통해 나온 공기의 속도가 상부에 있는 분지관(40a, 40b)를 통해 나온 공기의 속도보다 빠르기 때문에, 더 많은 거리를 이동하면서 생기는 압력손실을 보상하기 위함이다.
도 7은 도 1의 공기공급부(30) 및 분지관(40)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로서, 도 7을 참조하면, 분지관(40)의 공기공급부(30)측은 하나의 원통관이고, 타측은 4개의 원통관(40a, 40b, 40c, 40d)이어서 공기가 분배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하나의 관과 4개의 관(40a, 40b, 40c, 40d)이 맞닿은 면 중에 4개의 관(40a, 40b, 40c, 40d)이 차지하는 면 이외의 면은 모두 막혀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부(30)의 토출구에서 나온 공기가 새지 않게 하고, 풍량을 분할하는 상기 분지관(40)은 풍속 강하가 최소화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분지관(40)의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하면, 원심식 송풍 기의 송풍 특성상 원심력에 의해 하부의 2개의 원통관(40c, 40d)을 통해 나오는 공기의 속도가 상부의 2개의 원통관(40a, 40b)을 통해 나오는 공기의 속도에 비해 더 빠르기 때문에 상기 속도차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하부의 2개의 원통관(40c, 40d)을 4개의 붐관(50) 중 좌측과 우측의 바깥쪽에 있는 붐관(50c, 50d)쪽으로 연결시킴으로써 멀리까지 균질한 형태로 입제 피살포물이 이송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붐관(50) 및 붐관(50)의 접철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수단을 구비하는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로서, 도 8을 참조하면, 호퍼 프레임(60)의 일측에 지면으로부터 95cm정도의 높이로 상기 구조물을 위한 거치대(61)가 마련되어 있고, 거치대(61)에 전기실린더(55)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브라켓(53)이 고정되어 있다. 브라켓(53)에 있는 볼트를 회전축(54)으로 하여 사각관(52)이 90도로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사각관(52)에 작업기(1)의 우측 살포용인 2개의 붐관(50a, 50d)이 통과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한 붐관(50)의 높이를 2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호퍼 프레임(60)의 거치대(61)보다 50cm 정도 높은 곳의 호퍼 프레임(60)의 또 다른 위치에 거치대(62)가 설치되어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한 붐관(50) 및 붐관(50)의 접철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수단을 구비하는 구조물의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하면, 작업기(1)의 살포작업시에는 전기실린더(55) 로드(55a)의 신장에 의하여 붐관(50)은 작업기(1)의 진행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펴지고, 비작업중인 때에는 전기실린더 로드(55a)의 수축에 의하여 붐관(50)은 작업기(1)의 진행방향에 대해 수평하게 접혀진다. 한편, 작업지의 종류에 따라 작업기(1)의 침하가 일어나고, 벼와 같은 피살포대상물의 높이는 시기에 따라 변화되는 바, 피살포대상물의의 키가 큰 경우에는 피살포대상물에 의해 균등 살포가 방해받을 수 있다. 따라서 2단계 높이로 된 거치대(61, 62)를 이용하여 붐관(50)의 높이를 조절하므로써 피살포대상물의 높이에 관계없이 균등하게 살포할 수 있게 된다.
분두(70)는 붐관(50)의 저면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9는 붐관(50)에 설치되어 있는 분두(70)를 통하여 입제 피살포물이 살포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1의 분두(7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와 10을 참조하면, 분두(70)는 윗면과 아랫면이 개방되어 있는 입체 사다리꼴 형태의 본체, 분두(70)내로 유입되는 입제 피살포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본체의 내측면을 따라 입제 피살포물이 진행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분두(70)로내 출입이 가능한 충돌판(70a) 및 분두(70)내로 유입된 입제 피살포물이 균일한 분포로 살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분두(70)내의 충돌판(70a)이 있는 쪽의 면에 설치된 반사판(70b)을 구비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한 분두(70)의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하면, 충돌판(70a)의 관입길이에 따라서 분두(70)내로 유입되어 배출되는 입제 피살포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제 피살포물의 물성에 따라 충돌판(70a)의 관입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각 분두(70)에 유입되어 배출되는 양을 일정하게 하여 균등 살포도를 향상 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반사판(70b)은 충돌판(70a)에 의하여 분두(70)내로 유입된 입제 피살포물이 관성에 의하여 입제 피살포물의 대부분이 진행방향쪽으로 살포되는 것을 방지하여 균등하게 살포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입제 피살포물을 담는 호퍼내에 설치된 스크린에 의하여 입제 피살포물의 퇴적고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이 배출량조절부를 누르는 압력을 분산시킴으로써 혼합 입제 피살포물의 잔량에 관계없이 살포량을 조절하고 균등 살포가 가능할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좌우측에 두 개의 배출구를 갖는 호퍼의 하부에 연결된 홈이 형성된 좌우측 홈롤러의 축과 나란한 방향의 격벽은 고무 같은 재질로 되어 있어 입제 피살포물의 부스러짐을 방지하고, 상기 좌우측 홈롤러의 축에 연결되어 있는 좌우측 모터의 독립적인 회전 속도 제어에 의하여 좌우측 살포량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모터의 가변 속도 범위의 한계로 인하여 입제 피살포물의 물성에 따른 살포량 조절에 한계가 있으므로, 배출량조절부의 상단면 아래에 있는 2개의 열림량조절판의 관입량에 의하여 입제 피살포물의 물성에 따른 살포량 조절 범위를 늘릴 수가 있게 된다.
분두내에 설치된 충돌판의 관입길이에 따라서 분두내로 배출되는 입제 피살포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제 피살포물의 물성에 따라 상기 충돌판의 관입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각 분두에 배출되어 배출되는 양을 분두별로 일정하게 하여 균등 살포도를 향상 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반사판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충돌판에 의하여 분두내로 배출된 입제 피살포물이 균등하게 살포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작물의 생육상태에 따라 붐관의 높이를 2단계로 조절함으로써 작물의 키에 의해 입제 피살포물이 균등하게 살포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송풍식 입제 변량 살포기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좌측과 우측에 살포되는 입제 피살포물의 양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균등 살포도를 높일 수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6)
- 입제 피살포물을 저장하며, 두 개의 토출구를 가지는 호퍼;상기 호퍼의 각 토출구측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각 토출구로부터 나와 상기 호퍼의 중앙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분사되는 입제 피살포물의 배출량을 독립적이고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배출량조절부들;상기 배출량조절부 통해 배출된 입제 피살포물을 이송하는 공기를 공급시키는 공기공급부;상기 호퍼의 중앙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공기공급부로부터 나온 공기에 의해 입제 피살포물이 이송되며, 등간격으로 개구들이 형성된 붐관쌍; 및이송된 입제 피살포물이 살포폭간에 균등하게 살포될 수 있도록 상기 붐관의 개구에 각각 배치되며, 각각 상기 붐관 내부로 출입이 가능한 충돌판 및 반사판을 구비한 복수 개의 분두들을 포함하는 송풍식 입제 변량 살포기.
- 제1 항에 있어서,상기 호퍼는, 상기 호퍼 내의 하부에 걸쳐져 있고 중앙부로 갈수록 비스듬히 내려가는 스크린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은 복수의 개구를 가지고, 상기 스크린의 개구율은 40 내지 70%의 범위인 송풍식 입제 변량 살포기.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상기 각 배출량조절부는, 상기 호퍼의 토출구로부터 나온 입제 피살포물이 유입되며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는 유입구들; 유입구의 하부에 위치하는 홈롤러; 상기 홈롤러의 축에 연결되어 상기 홈롤러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모터; 및 상기 홈롤러를 통해 배출된 입제 피살포물이 상기 공기공급부에서 나온 공기와 혼합되어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홈롤러는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는 배출셀들을 구획하는 격벽을 구비하는 송풍식 입제 변량 살포기.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대칭되는 각 배출셀들은,상기 홈롤러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고 셀 부피가 서로 다른 제1 배출셀들 및 제2 배출셀들로 이루어진 송풍식 입제 변량 살포기.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홈롤러의 배출셀들의 상기 홈롤러의 길이 방향 폭은 상기 배출량조절부의 유입구들의 폭과 대응하게 형성된 송풍식 입제 변량 살포기.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배출량조절부는,상기 유입구 중 면적이 큰 유입구내로 출입이 가능한 열림량 조절판을 더 구비하는 송풍식 입제 변량 살포기.
- 제4 항에 있어서,상기 각 배출량조절부의 배출량을 독립적이고 가변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각 배출량조절부의 모터의 회전속도는 독립적이고 가변적으로 조절되는 송풍식 입제 변량 살포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공기공급부의 토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각 배출량조절부로 공기를 분배시키는 분지관을 더 구비하는 송풍식 입제 변량 살포기.
- 제9 항에 있어서,상기 분지관의 일단(first end)의 단면은 하나의 원형이고 타단(the other end)는 적어도 두 개인 짝수개의 원형으로 이루어진 송풍식 입제 변량 살포기.
- 제9 항에 있어서,상기 분지관의 일단은 상기 공기공급부와 직접 연결되며, 상기 분지관의 타단은 상기 배출량조절부들과 구부러짐 가능한 호스에 의해 연결되는 송풍식 입제 변량 살포기.
- 제9 항에 있어서,상기 분지관의 타단의 단면은 상하좌우 대칭되도록 네 개의 원형을 이루어지고, 상기 좌측과 우측의 각 붐관은 내측 붐관과 외측 붐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분지관의 타단 중 하부 두 개의 관은 구부러짐 가능한 호스에 의해 상기 각 붐관의 외측 붐관과 각각 연결된 송풍식 입제 변량 살포기.
- 제3 항 또는 제12 항에 있어서,상기 각 배출량조절부의 배출구와 상기 각 외측 붐관과 내측 붐관은 구부러짐 가능한 호스에 의해 연결되는 송풍식 입제 변량 살포기.
- 제1 항에 있어서,상기 각 붐관을 진행방향에 대하여 수평 또는 수직하도록 접철이 가능하게 하는 회전수단을 더 구비하는 송풍식 입제 변량 살포기.
- 제1 항에 있어서,입제 피살포물의 살포높이를 다단계로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붐관을 위한 거치대가 살포기의 후방 양측 상하에 적어도 두 개 설치되어 있는 송풍식 입제 변량 살포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분두는,윗면과 아랫면이 개방되어 있는 입체 사다리꼴 형태의 본체;상기 분두내로 배출되는 입제 피살포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면을 따라 입제 피살포물이 진행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상기 분두 내부로 출입이 가능한 충돌판; 및상기 분두내로 배출된 입제 피살포물이 균등하게 살포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분두내의 상기 충돌판이 있는 쪽의 면에 설치된 반사판;을 포함하는 송풍식 입제 변량 살포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26509A KR100650527B1 (ko) | 2005-03-30 | 2005-03-30 | 송풍식 입제 변량 살포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26509A KR100650527B1 (ko) | 2005-03-30 | 2005-03-30 | 송풍식 입제 변량 살포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04382A KR20060104382A (ko) | 2006-10-09 |
KR100650527B1 true KR100650527B1 (ko) | 2006-11-29 |
Family
ID=37634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26509A KR100650527B1 (ko) | 2005-03-30 | 2005-03-30 | 송풍식 입제 변량 살포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50527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7878B1 (ko) * | 2012-11-13 | 2013-06-21 | 서진모 | 살포기 |
KR101394349B1 (ko) * | 2014-02-18 | 2014-05-14 | 송대환 | 분제농약 살포기 |
WO2014119920A1 (ko) * | 2013-02-01 | 2014-08-07 | Seo Jin Mo | 살포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3822B1 (ko) * | 2006-06-15 | 2007-12-11 | 대한민국 | 송풍방식을 이용한 직파장치 |
KR100749934B1 (ko) * | 2007-06-14 | 2007-08-16 | 대한민국 | 송풍방식을 이용한 직파장치 |
KR101111147B1 (ko) * | 2008-02-22 | 2012-02-15 | 김준환 | 지피에스를 이용한 트랙터용 비료살포장치 |
KR102210471B1 (ko) * | 2019-11-22 | 2021-02-01 | 주식회사 엔에이치대풍 | 드론 살포장치 |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826088A (en) | 1987-11-23 | 1989-05-02 | Charles Balmer | Pneumatic distribution system with split ducts |
JPH078049A (ja) * | 1993-06-29 | 1995-01-13 | Iseki & Co Ltd | 粉粒剤散布機 |
JPH07115807A (ja) * | 1993-10-28 | 1995-05-09 | Iseki & Co Ltd | 粉粒剤散布機 |
JPH07227116A (ja) * | 1994-02-21 | 1995-08-29 | Iseki & Co Ltd | 粒状物の散布装置 |
JPH0819317A (ja) * | 1994-07-06 | 1996-01-23 | Iseki & Co Ltd | 粉粒剤散布機 |
JPH09168360A (ja) * | 1995-08-07 | 1997-06-30 | Kioritz Corp | 粉粒状物散布用噴頭及び同噴管 |
JPH09289812A (ja) * | 1996-04-26 | 1997-11-11 | Iseki & Co Ltd | 粉粒剤散布機の散布案内装置 |
JPH10155324A (ja) | 1996-11-28 | 1998-06-16 | Iseki & Co Ltd | 粉粒体散布機の粉粒体繰出搬送装置 |
JPH10248470A (ja) | 1997-03-13 | 1998-09-22 | Kubota Corp | 薬剤散布装置 |
JP2000324918A (ja) | 1999-05-19 | 2000-11-28 |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 田植機 |
-
2005
- 2005-03-30 KR KR1020050026509A patent/KR10065052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826088A (en) | 1987-11-23 | 1989-05-02 | Charles Balmer | Pneumatic distribution system with split ducts |
JPH078049A (ja) * | 1993-06-29 | 1995-01-13 | Iseki & Co Ltd | 粉粒剤散布機 |
JPH07115807A (ja) * | 1993-10-28 | 1995-05-09 | Iseki & Co Ltd | 粉粒剤散布機 |
JPH07227116A (ja) * | 1994-02-21 | 1995-08-29 | Iseki & Co Ltd | 粒状物の散布装置 |
JPH0819317A (ja) * | 1994-07-06 | 1996-01-23 | Iseki & Co Ltd | 粉粒剤散布機 |
JPH09168360A (ja) * | 1995-08-07 | 1997-06-30 | Kioritz Corp | 粉粒状物散布用噴頭及び同噴管 |
JPH09289812A (ja) * | 1996-04-26 | 1997-11-11 | Iseki & Co Ltd | 粉粒剤散布機の散布案内装置 |
JPH10155324A (ja) | 1996-11-28 | 1998-06-16 | Iseki & Co Ltd | 粉粒体散布機の粉粒体繰出搬送装置 |
JPH10248470A (ja) | 1997-03-13 | 1998-09-22 | Kubota Corp | 薬剤散布装置 |
JP2000324918A (ja) | 1999-05-19 | 2000-11-28 |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 田植機 |
Non-Patent Citations (3)
Title |
---|
08019317 |
10248470 |
논문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7878B1 (ko) * | 2012-11-13 | 2013-06-21 | 서진모 | 살포기 |
WO2014119920A1 (ko) * | 2013-02-01 | 2014-08-07 | Seo Jin Mo | 살포기 |
KR101394349B1 (ko) * | 2014-02-18 | 2014-05-14 | 송대환 | 분제농약 살포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04382A (ko) | 2006-10-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50527B1 (ko) | 송풍식 입제 변량 살포기 | |
CA2151020E (en) | Multi compartment air seeder | |
US7083069B2 (en) | Bulk material discharge assembly with feeding apparatus | |
US10427113B2 (en) | Horizontal product distribution system using static baffles in a distributor | |
BR102018010579A2 (pt) | sistema e método de distribuição de produtos agrícolas | |
US4790484A (en) | Apparatus for distributing granular material | |
US4215824A (en) | Pneumatically-operated machine for spreading granular material | |
US11555726B2 (en) | Metering system for distributing particulate material | |
US11310955B2 (en) | Pneumatic conveying system for an agricultural product applicator | |
CA3042603C (en) | Drop chute deflector for enhancing entrainment of granular product in an airstream of an agricultural product applicator | |
JP4046840B2 (ja) | 肥料散布機 | |
KR100885705B1 (ko) | 정량 배출구조를 갖는 유기질 비료 살포기 | |
GB1601896A (en) | Machine for pneumatically spreading granular material | |
JP3343481B2 (ja) | 粉粒状物散布用噴頭及び同噴管 | |
JPH09289812A (ja) | 粉粒剤散布機の散布案内装置 | |
JP6611764B2 (ja) | 散布装置及び散布車 | |
KR101387559B1 (ko) | 운송수단 부착형 줄 뿌림 비료 및 입제 살포장치 | |
US11986852B2 (en) | Dry product spreader | |
JPH0649195Y2 (ja) | 散布機装着自走車両 | |
JPH0675443B2 (ja) | 粉・粒状物散布装置 | |
JP7169756B2 (ja) | 圃場作業機 | |
JP3018762U (ja) | 肥料散布装置 | |
JPS5928695Y2 (ja) | 顆粒散布パイプ | |
JPH0819317A (ja) | 粉粒剤散布機 | |
JPH104720A (ja) | 圃場用資材の成形,散布又は播種方法及び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