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237B1 - 마스크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마스크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237B1
KR102485237B1 KR1020220082787A KR20220082787A KR102485237B1 KR 102485237 B1 KR102485237 B1 KR 102485237B1 KR 1020220082787 A KR1020220082787 A KR 1020220082787A KR 20220082787 A KR20220082787 A KR 20220082787A KR 102485237 B1 KR102485237 B1 KR 102485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string
disposed
forming
mas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2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1062A (ko
Inventor
정현석
원정희
김금옥
이정래
조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220082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237B1/ko
Publication of KR20220101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2Handling garment parts or blanks, e.g. feeding, piling, separating or reversing
    • A41H43/0235Feeding or advanc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2Handling garment parts or blanks, e.g. feeding, piling, separating or reversing
    • A41H43/025Folding, unfolding or turning over
    • A41H43/0257Fold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4Joining garment parts or blanks by gluing or welding ; Glu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14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03Packaging lines, e.g. general layo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장치는, 마스크 본체를 형성하는 본체 형성 유닛 및 상기 마스크 본체에 귀걸이부를 형성하여 마스크를 형성하는 마스크 형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 형성 유닛은 귀걸이부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귀걸이부 형성부는 상기 귀걸이부의 원재료인 끈을 공급하는 끈 공급 부재 및 상기 끈 공급 부재로부터 공급된 상기 끈을 이동시키는 끈 이동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스크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APPARATUS FOR MANUFACTURING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마스크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는 유해한 물질이 사람의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용된다. 예를 들어, 마스크는 공사 현장에서의 근로자들이 공사 중에 발생되는 먼지 및 분진 등이 인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야외 활동 시 코 또는 입으로 황사와 같은 유해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용된다.
최근 황사와 같은 대기오염으로 마스크 사용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황사는 사막의 모래 및 먼지 등을 포함하는 모래 바람으로 인체에 유해한 그을음, 황, 일산화탄소, 수은, 카드뮴, 납, 아연, 구리 등의 기타 중금속 및 발암물질 등을 포함하고 있어 어린이, 노약자, 호흡기 질환자 또는 심혈관 질환자들에게 유해하다. 황사에 노출될 경우 기침, 기관지염 등이 발생될 수 있고, 장시간 노출될 경우, 폐렴, 천식, 폐암 등의 호흡기 질환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해 물질이 인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마스크가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면에 정화통이 구비된 마스크, 면으로 형성된 마스크 및 필터를 포함하는 마스크 등 다양한 마스크가 제공되고 있다. 이 중에서 필터를 이용한 마스크는 가볍고, 보관하기 쉽고, 착용이 편리하기 때문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필터를 이용한 마스크는 착용자의 코와 입 주변을 덮는 마스크 본체 및 상기 마스크 본체를 착용자의 코와 입 주변에 위치시키고 고정시킬 수 있는 귀걸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귀걸이부는 착용자에 귀에 착용할 수 있는 귀걸이 끈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종래에는 상기 귀걸이부를 형성하기 전에 상기 귀걸이부의 원재료인 끈을 수작업으로 미리 재단하거나, 반자동으로 재단해주는 장치를 이용하여 재단하였다. 그러나, 재단되는 끈의 길이가 균일하지 않고, 상기 끈을 재단하는 과정에서 폐기되는 부분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마스크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상기 귀걸이부의 길이가 변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전체적인 작업 조건을 변경해야 되기 때문에 공정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끈을 마스크 본체에 연결하여 귀걸이부를 형성하는 공정은, 작업자가 상기 끈을 수동 또는 반자동으로 고정한 후 연결하기 때문에 공정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즉, 연속적으로 공정이 진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정으로 형성되는 귀걸이부는 작업자에 따라 상기 귀걸이부가 형성되는 위치 및 상기 귀걸이부의 길이가 균일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수동 또는 반자동으로 마스크를 제작하기 때문에 공정 효율이 낮으며, 불량률이 높아 제조 수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마스크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이 요구된다.
실시예는 마스크의 원자재 공급부터 상기 원자재로 제조한 마스크의 포장까지 인라인(in-line)으로 진행할 수 있는 마스크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마스크 본체에 연결되는 끈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상기 끈 공급 시 상기 끈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마스크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상기 끈 공급 시, 설정된 길이의 상기 끈을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마스크 본체에 접합할 수 있는 마스크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상기 마스크 본체에 형성되는 귀걸이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를 자동으로 형성할 수 있는 마스크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즉, 실시예는 제조 비용, 제조 시간 및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어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마스크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장치는, 마스크 본체를 형성하는 본체 형성 유닛 및 상기 마스크 본체에 귀걸이부를 형성하여 마스크를 형성하는 마스크 형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 형성 유닛은 귀걸이부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귀걸이부 형성부는 상기 귀걸이부의 원재료인 끈을 공급하는 끈 공급 부재 및 상기 끈 공급 부재로부터 공급된 상기 끈을 이동시키는 끈 이동 부재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장치는 마스크를 인라인(in-line)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자세하게,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장치는 부직포 공급 유닛, 본체 형성 유닛, 귀걸이부 형성 유닛, 후공정 유닛 및 포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유닛들은 서로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스크 제조 장치는 상기 마스크를 자동으로 제조하고 포장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장치는 마스크 본체에 귀걸이부를 자동으로 형성할 수 있다. 자세하게,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장치는 상기 귀걸이부의 원재료인 끈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고, 상기 끈을 상기 마스크 본체에 자동으로 접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스크 제조 장치의 불량률은 감소되어 공정 효율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장치는 길이조절부를 형성할 수 있다. 자세하게,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장치는 폴딩 영역 형성부 및 폴딩 영역 접합부에 의해 조절 부재 및 고리 부재를 포함하는 길이조절부를 자동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장치는 마스크를 자동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고 생산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스크를 대량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장치의 부직포 공급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장치의 본체 형성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본체 형성 유닛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 본체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장치의 마스크 형성 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장치의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장치의 폴딩 영역 형성부의 구성 및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장치의 귀걸이부 형성부의 구성 및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장치의 고리 형성부의 구성 및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장치의 포장 유닛의 구성 및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장치의 마스크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8은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9는 실시예에 따른 포장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마스크(1)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는 마스크 본체(10), 상기 마스크 본체(10)와 연결된 귀걸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귀걸이부(20)는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양쪽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귀걸이부(20)는 착용자의 좌측 및 우측 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착용자의 입과 코를 가릴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부는 착용자의 콧등과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착용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본체(10) 상단에는 굽힘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코부에는 굽힘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굽힘 부재는 반 강성(semi-rigid)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굽힘 부재는 자유롭게 절곡이 가능한 금속 와이어를 포함하는 스펀지 또는 합성수지일 수 있다. 상기 굽힘 부재는 착용자의 콧등 형상에 따라 절곡될 수 있다. 상기 굽힘 부재는 착용자의 콧등과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착용자의 얼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외피 및 내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피 및 상기 내피의 크기는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외피 및 내피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외피 및 상기 내피는 접합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피 및 상기 내피는 부직포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피 및 상기 내피는 폴리에틸렌 및 나일론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외피 및 내피 사이에는 필터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의 크기는 상기 외피 및 상기 내피의 크기와 동일 또는 작을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는 정전기능을 포함하는 정전 필터 또는 나노(nano) 섬유로 형성된 나노 필터일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외피 및 상기 내피에 의해 육안으로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귀걸이부(20)는 탄성을 가진 밴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귀걸이부(20)의 길이조절 없이 착용자는 상기 마스크(1)를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1)는 길이조절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길이조절부(30)는 상기 마스크(1)의 양쪽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길이조절부(30)는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양쪽 측면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30)는 고리 부재(31) 및 조절 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리 부재(31)는 상기 귀걸이부(20)의 일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내부에 홀이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리 부재(32)는 홀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조절 부재(32)는 상기 고리 부재(31)를 통과한 상기 귀걸이부(20)의 일부로, 상기 조절 부재(32)에 의해 상기 귀걸이부(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스크 본체(10)는 착용자의 얼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1)는 후술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5는 마스크(1)를 제조하기 위한 마스크 제조 장치(1000)에 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장치(1000)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마스크 제조 장치(1000)는 부직포 공급 유닛(100), 본체 형성 유닛(200), 마스크 형성 유닛(300), 후공정 유닛(400) 및 포장 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닛들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유닛들은 인라인(in-line) 공정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장치는 원자재 공급부터 완제품 포장까지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인 마스크 제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장치의 각각의 유닛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장치의 부직포 공급 유닛(100)의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부직포 공급 유닛(100)은 외피 부직포(110), 내피 부직포(130) 및 필터 부재(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피 부직포(110), 상기 내피 부직포(130) 및 상기 필터 부재(150)는 상기 마스크 본체(10)를 제조하기 위한 원재료로 롤(Roll) 형태로 감겨져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 공급 유닛(100)은 상기 외피 부직포(110)가 권취되는 제 1 롤러(120), 상기 내피 부직포(130)가 권취되는 제 2 롤러(140) 및 상기 필터 부재(150)가 권취되는 제 3 롤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롤러(120), 상기 제 2 롤러(140) 및 상기 제 3 롤러(160)는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롤러들(120, 140, 160)에 감겨 있는 상기 외피 부직포(110), 상기 내피 부직포(130) 및 상기 필터 부재(150)는 설정된 경로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롤러(120), 상기 제 2 롤러(140) 및 상기 제 3 롤러(160)는 상기 외피 부직포(110), 상기 내피 부직포(130) 및 상기 필터 부재(150)가 합지되도록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 공급 유닛(100)은 제 1 장력 조절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장력 조절부(180)는 상기 제 1 롤러(120), 상기 제 2 롤러(140) 및 상기 제 3 롤러(16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장력 조절부(18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장력 조절부(180)는 상기 제 1 롤러(120), 상기 제 2 롤러(140) 및 상기 제 3 롤러(160)와 인접한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피 부직포(110), 상기 내피 부직포(130) 및 상기 필터 부재(150)는 일정한 장력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부직포 공급 유닛(100)은 상기 외피 부직포, 상기 필터부재 및 상기 내피 부직포가 합지된 합지물을 공급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장치의 본체 형성 유닛(200)의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마스크 본체 형성 유닛(200)은 제 2 장력 조절부(210), 제 1 절단부(220), 회수부(230), 가이드부(240), 굽힘 부재 투입부(250), 제 1 접합부(260) 및 정렬부(2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본체 형성 유닛(200)은 상기 부직포 공급 유닛(100)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장력 조절부(210)는 상기 부직포 공급 유닛(100)과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장력 조절부(210)는 상기 제 1 장력 조절부(18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장력 조절부(210)는 상기 제 1 장력 조절부(180)와 동일한 장력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장력 조절부(180) 및 상기 제 2 장력 조절부(21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 1 장력 조절부(180) 또는 상기 제 2 장력 조절부(210)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합지물은 상기 제 1 장력 조절부(180) 및 상기 제 2 장력 조절부(210) 중 적어도 하나의 장력 조절부에 의해 일정한 장력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절단부(220)는 상기 제 2 장력 조절부(2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절단부(220)는 상기 합지물을 절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합지물은 상기 제 1 절단부(220)에 의해 상기 마스크 본체(10)를 형성하기 위한 크기로 절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절단부(220)는 패턴 형성 부재, 절단 부재 및 초음파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턴 형성 부재 및 절단 부재는 롤러(roller)일 수 있다. 상기 패턴 형성 부재 및 상기 절단 부재의 표면에는 상기 마스크 본체(10)와 대응되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은 돌출 패턴일 수 있다. 즉, 상기 합지물은 상기 패턴 형성 부재 및 상기 절단 부재에 의해 상기 마스크 본체(10)를 형성하기 위한 크기로 절단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초음파혼에 의해 상기 절단된 합지물의 가장자리는 접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초음파혼에 의해 상기 외피 부직포(110), 상기 내피 부직포(130) 및 상기 필터 부재(150)는 접합될 수 있다.
상기 합지부가 접합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부직포를 포함하는 상기 합지부는 상기 초음파혼의 진동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 용융될 수 있다. 즉, 상기 부직포가 용융되면서 접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합지물은 제 1 합지물 및 제 2 합지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합지물은 상기 제 1 절단부(220)에 의해 절단된 부분으로, 상기 마스크 본체(10)를 형성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합지물은 상기 합지물에서 상기 제 1 합지물을 제외한 부분으로, 즉, 상기 제 2 합지물은 상기 제 1 합지물의 테두리 부분으로 제거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 1 절단부(220)에 의해 절단된 상기 합지물은 설정된 경로로 이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합지물 및 상기 제 2 합지물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합지물은 가이드부(240)로 이송될 수 있고, 상기 제 2 합지물은 회수부(230)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회수부(230)는 잔여물인 상기 제 2 합지물을 회수할 수 있다. 상기 회수부(230)는 상기 제 2 합지물을 회수하는 권취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수부(230)는 상기 제 2 합지물은 상기 권취롤러에 롤(Roll) 형태로 권취되어 상기 제 1 합지물과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스크 본체(10)를 제조하는데 있어 불필요한 상기 제 2 합지물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수부(230)가 상기 본체 형성 유닛(20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상기 회수부(230)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 1 합지물은 상기 가이드부(240)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합지물은 상기 가이드부(240)에 의해 형태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합지물은 상기 가이드부(240)에 의해 굴곡되거나 접힌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40)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 부재(240)는 상기 제 1 합지물 상에 배치되는 제 1 가이드 부재 및 제 2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 1 합지물의 일 끝단에서 상기 제 1 합지물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 1 합지물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 1 합지물의 이송 방향을 따라 폭이 점점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합지물은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에 의해 이송되는 도중에 가압되어 접힐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합지물의 일 끝단은 상기 제 1 합지물의 중앙부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는 상기 상기 제 1 합지물의 타 끝단을 상기 제 1 합지물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 1 합지물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 1 합지물의 이송 방향을 따라 폭이 점점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합지물은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에 의해 이송되는 도중에 가압되어 접힐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합지물의 타 끝단은 상기 제 1 합지물의 중앙부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합지물은 상기 마스크 본체(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접힐 수 있다.
상기 제 1 합지물은 상기 굽힘 부재 투입부(250)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굽힘 부재 투입부(250)는 굽힘 부재 공급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굽힘 부재 공급기는 상기 1 합지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굽힘 부재 공급기는 상기 제 1 합지물이 설정된 장소로 이송되는 경우, 상기 제 1 합지물 상에 굽힘 부재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굽힘 부재는 반 강성(semi-rigid)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굽힘 부재는 자유롭게 절곡이 가능한 금속 와이어를 포함하는 스펀지 또는 합성수지일 수 있다.
이후, 상기 제 1 합지물은 상기 제 1 접합부(260)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접합부(260)는 초음파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혼은 상기 제 1 합지물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접합부(260)는 상기 가이드부(240)에 의해 굴곡된 상기 제 1 합지물을 접합하여, 상기 제 1 합지물을 상기 마스크 본체(10) 형상으로 접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마스크(1)와 같이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정렬부(270)는 상기 제 1 접합부(26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접합부(260)에서 접합된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상기 정렬부(270)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정렬부(270)는 상기 마스크 본체(10)를 정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본체 형성 유닛(200)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 본체(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제 1 본체(11) 및 제 2 본체(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본체(12)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길이조절부(30)로 형성되는 부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본체(11)는 상기 마스크 본체(10) 전체에서 상기 제 2 본체(12)를 제외한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 1 본체(11) 및 상기 제 2 본체(12)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접합 영역(JA) 및 폴딩 영역(F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합 영역(JA) 및 상기 폴딩 영역(FA)은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합 영역(JA) 및 상기 폴딩 영역(FA)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합 영역(JA)은 상기 마스크 본체(10)에 상기 귀걸이부(20)가 접합되는 영역일 수 있고, 상기 폴딩 영역(FA)은 상기 길이조절부(30)를 형성하기 위해 접히는 영역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폴딩 영역(FA)은 상기 제 1 본체(11) 및 상기 제 2 본체(12)의 경계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 2 본체(12)는 상기 폴딩 영역(FA)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본체(11)의 중심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본체(12)는 상기 제 1 본체(11) 및 상기 제 2 본체(12)의 경계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본체(11)의 중심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스크 본체(10)에는 길이조절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추후 서술할 마스크 형성 유닛(300)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13은 마스크 형성 유닛(300)의 구성 및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장치의 마스크 형성 유닛(3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마스크 형성 유닛(300)은 투입부(310), 폴딩 영역 형성부(330), 귀걸이부 형성부(350) 및 고리 형성부(3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형성 유닛(300)은 상기 마스크 본체(10)에 상기 귀걸이부(20)를 연결하는 유닛일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형성 유닛(300)은 상기 마스크 본체 형성 유닛(200)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투입부(310)는 상기 마스크 본체 형성 유닛(200)과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장치의 지지대(311)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 형성 유닛(200)에서 제조된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상기 마스크 형성 유닛(300)에서 지지대(311) 상에 배치되어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311)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마스크 본체(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311) 상에 복수 개의 상기 마스크 본체(10)들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마스크 본체(10)들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311)는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대(311)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대(311) 상에는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스크 본체(10)가 상기 지지대(31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본체(10)가 상기 마스크 형성 유닛(300) 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311) 상에는 고정 홀더(31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홀더(312)는 상기 마스크 본체(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홀더(312)는 상기 지지대(311)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홀더(312)는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상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홀더(312)는 상기 지지대(311) 상에 배치된 상기 마스크 본체(10)를 고정하기 위한 부재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상기 지지대(311)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고정 홀더(312)는 상기 지지대(311) 상에 상기 마스크 본체(10)가 배치된 이후에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상기 지지대(311) 상에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311)에는 관통홀(315)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대(311)에는 상기 마스크 본체(10)가 배치되는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3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315)는 상기 마스크 본체(10)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관통홀(315)은 상기 접합 영역(JA) 및 상기 폴딩 영역(FA)과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311) 상에는 제 1 플레이트(31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313)는 상기 지지대(311)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313)는 상기 관통홀(315)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313)는 상기 관통홀(315)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313)는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측면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플레이트(313)는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313)는 상기 제 2 본체(12)와 대응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313)는 상기 제 2 본체(12)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313) 상에는 고정 부재(3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314)는 추후 서술할 귀걸이부 형성부(350)에서 상기 귀걸이부(20)의 원재인 끈을 고정하기 위한 부재일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314)는 상기 제 1 플레이트(313) 상에 적어도 두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314)들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314)들은 상기 마스크 본체(1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314)는 상기 제 1 플레이트(313)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 부재(314)는 상기 제 1 플레이트(313)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로드(rod)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314)의 위치, 형태 및 개수는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조하고자 하는 마스크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상기 마스크 본체(10)에 연결되는 상기 귀걸이부(20)의 위치는 상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314)의 위치, 형태 및 개수는 상기 귀걸이부(20)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플레이트(313)는 상기 지지대(3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작하고자 하는 마스크의 형태에 따라 상기 제 1 플레이트(313)를 변경하여 다양한 마스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 부재(314)가 상기 제 1 플레이트(313) 상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고정 부재(314)는 상기 지지대(311)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플레이트(313)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상기 지지대(311)상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대(311)와 함께 이송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상기 투입부(310)로부터 상기 폴딩 영역 형성부(330)로 이송될 수 있다.
도 8은 폴딩 영역 형성부(330)의 구성 및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폴딩 영역 형성부(330)는 제 1 프레스(3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레스(331)는 상기 지지대(3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프레스(311)는 상기 관통홀(31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레스(311)는 상기 관통홀(315)과 대응되는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프레스(311)는 상기 관통홀(315)과 중첩되는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레스(331)의 폭은 상기 관통홀(315)의 폭보다 작거나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프레스(331)는 상기 관통홀(315)을 향해 이동할 경우, 상기 관통홀(315)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레스(331)는 상기 마스크 본체(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프레스(331)는 상기 제 1 본체(11) 및 상기 제 2 본체(12)의 경계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레스(331)는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대(311)의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프레스(331)는 상기 관통홀(315)과 중첩되는 영역인 상기 제 1 본체(11) 및 상기 제 2 본체(12)의 경계 영역을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본체(11) 및 상기 제 2 본체(12)의 경계 영역에는 상기 폴딩 영역(F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프레스(331)에 의해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최 외곽인 상기 제 2 본체(12)의 일 끝단은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중심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프레스(331)는 상기 제 1 본체(11) 및 상기 제 2 본체(12)의 경계 영역인 폴딩 영역(FA)을 가절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본체(12)의 일 끝단은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중심 방향으로 효과적으로 접힐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은 귀걸이부 형성부(350)의 구성 및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상기 폴딩 영역 형성부(330)로부터 상기 귀걸이부 형성부(350)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귀걸이부 형성부(350)는 이송된 상기 마스크 본체(10)에 상기 귀걸이부(2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귀걸이부 형성부(350)는 끈 공급 부재(351), 끈 이동 부재(352), 제 3 장력 조절 부재(353), 제 2 접합부(354) 및 제 1 지지축(35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축(357)은 상기 마스크 본체(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축(357)은 상기 마스크 본체(10)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이송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끈 공급 부재(351)는 상기 마스크 본체(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끈 공급 부재(351)는 상기 제 1 지지축(357)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끈 공급 부재(351)는 상기 제 1 지지축(357)에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끈 공급 부재(351)는 상기 제 1 지지축(357)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끈 공급 부재(351)는 상기 제 1 지지축(357)이 연장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끈 공급 부재(351)는 상기 제 1 지지축(357)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끈 공급 부재(351)는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이송 방향과 평행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끈 공급 부재(351)는 상기 귀걸이부(20)의 원재인 끈(25)을 공급하는 부재일 수 있다. 상기 끈 공급 부재(351)는 일 끝단 및 타 끝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끈 공급 부재(351)의 타 끝단은 상기 제 1 지지축(357)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끈 공급 부재(351)의 일 끝단은 상기 끈 공급 부재(351)의 타 끝단과 반대되는 끝단으로 상기 끈 공급 부재(351)의 일 끝단은 상기 접합 영역(J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끈 공급 부재(351)의 일 끝단에는 끈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끈 배출구는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상면과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끈 배출구는 상기 접합 영역(JA)과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끈 공급 부재(351)는 상기 접합 영역(JA) 상에 상기 끈(25)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끈 공급 부재(351)는 상기 마스크 본체(10)에 상기 끈(25)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끈 공급 부재(351)는 상기 귀걸이부(20)의 총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의 상기 끈(25)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끈 공급 부재(351)는 설정된 길이의 끈(25)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끈 공급 부재(351)는 상기 귀걸이부(20)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의 상기 끈(25)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끈 이동 부재(352)는 상기 끈(25)을 이동시키는 부재일 수 있다. 상기 끈 이동 부재(352)는 상기 끈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끈(25)을 고정한 후 이동시키는 부재일 수 있다.
상기 끈 이동 부재(352)는 상기 마스크 본체(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끈 이동 부재(352)는 상기 제 1 지지축(357)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끈 이동 부재(352)는 상기 제 1 지지축(357)이 연장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끈 이동 부재(352)는 상기 제 1 지지축(357)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끈 이동 부재(352)는 일 끝단 및 상기 타 끝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 끝단은 상기 끈 공급 부재(351)의 타 끝단과 접촉하는 끝단일 수 있다. 상기 끈 이동 부재(352)의 일 끝단은 상기 끈 공급 부재(351)의 일 끝단과 대응되는 끝단일 수 있다. 상기 끈 이동 부재(352)의 일 끝단에는 끈 홀더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끈 홀더는 상기 끈 배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끈 홀더는 상기 끈 배출구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끈(25)을 고정시키기 위한 집게일 수 있다.
상기 끈 이동 부재(352)는 상기 끈 공급 부재(351)와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끈 이동 부재(352)의 타 끝단은 상기 끈 공급 부재(351)의 타 끝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끈 이동 부재(352)의 타 끝단은 상기 끈 공급 부재(351)의 타 끝단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끈 이동 부재(352)는 상기 끈 공급 부재(351)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끈 이동 부재(352)는 이동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끈 이동 부재(352)는 상기 지지대 상에서 상기 제 1 지지축(357)을 축으로 원을 그리며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끈 이동 부재(352)는 상기 끈 공급 부재(351)로부터 공급된 상기 끈(25)을 상기 끈 홀더로 고정한 후 이동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끈 이동 부재(352)는 상기 끈(25)을 고정한 후 이동시켜 상기 끈(25)이 상기 고정 부재(314) 둘레 일부를 감싸도록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3 장력 조절 부재(353)는 상기 끈 공급 부재(351) 및 상기 끈 이동 부재(352)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장력 조절 부재(353)는 상기 제 1 지지축(357)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끈 공급 부재(351)는 상기 끈(25)을 상기 제 3 장력 조절 부재(353)에 의해 일정한 장력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장력 조절 부재(353)는 장력을 조절하여 상기 끈(25)을 회수할 수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끈 공급 부재(351)로부터 공급된 끈(25)은 상기 끈 이동 부재(352)에 상기 고정 부재(314)의 둘레를 감쌀 수 있다. 이후, 상기 제 3 장력 조절 부재(353)가 상기 끈(25)을 회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끈(25)은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끈(25)은 상기 제 3 장력 조절 부재(353)에 의해 설정된 길이만큼 공급될 수 있어 상기 끈(25)을 재단하는 과정에서 폐기되는 부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3 장력 조절 부재(353)가 상기 제 1 지지축(357) 상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상기 제 3 장력 조절 부재(353)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접합부(354)는 초음파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접합부(354)는 상기 지지대(311)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접합부(354)는 상기 관통홀(315)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접합부(354)는 상기 관통홀(315)과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접합부(354)는 상기 접합 영역(JA)과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접합부(354)는 상기 마스크 본체(10)에 상기 끈(25)을 접합시켜 상기 귀걸이부(20)를 형성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접합부(354)는 상기 접합 영역(JA) 상에 배치된 상기 끈(25)을 상기 마스크 본체(10)에 접합시킬 수 있다. 상기 끈(25)이 상기 마스크 본체(10)에 접합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상기 마스크 본체(10) 및/또는 상기 끈(25)은 상기 초음파혼의 진동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 용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끈(25)은 상기 마스크 본체(10)에 접합되고, 상기 마스크 본체(10)에는 상기 귀걸이부(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스(355)는 상기 지지대(3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스(355)는 상기 마스크 본체(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프레스(355)는 상기 접합 영역(J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스(355)는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마스크 본체(10)를 가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프레스(355)는 상기 접합 영역(JA)을 가압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프레스(355)는 상기 접합 영역(JA) 상에 접합된 상기 끈(25)을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합 영역(JA)에 접합된 상기 끈(25)의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상기 귀걸이부 형성부(350)는 상기 귀걸이부(20)의 원재인 상기 끈(25)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상기 끈(25)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끈(25)을 공급하고 재단하는 과정에서 폐기되는 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끈(25)을 접합 시 상기 고정 부재(314) 및 상기 귀걸이부 형성부(350)에 의해 상기 끈(25)을 고정할 수 있어 상기 끈(25)을 고정하기 위한 작업자가 불필요하다.
또한, 설정된 길이의 상기 끈(25)을 설정된 위치에 고정한 후 상기 마스크 본체(10)에 접합하기 때문에, 상기 마스크 본체(10)에 접합되는 상기 끈(25)의 위치는 일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314)의 개수, 위치 등을 변경하여 상기 귀걸이부(20)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어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고리 형성부(370)의 구성 및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상기 귀걸이부 형성부(350)로부터 상기 고리 형성부(370)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고리 형성부(370)는 상기 마스크 본체(10)에 길이조절부(3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고리 형성부(370)는 누름 부재(371), 접이 부재(372), 제 3 접합부(373), 제 3 프레스(374) 및 제 2 지지축(37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축(377)은 상기 제 2 지지축(377)은 상기 지지대(3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축(377)은 상기 마스크 본체(10) 및 상기 지지대(311)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축(377)는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이송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축(377)은 상, 하, 좌 및 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지지축(377)은 구동부에 의해 설정된 X축, Y축 및 Z축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누름 부재(371)는 로드(rod)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누름 부재(371)는 상기 제 2 지지축(377)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누름 부재(371)는 상기 제 2 지지축(377)이 연장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누름 부재(371)는 상기 제 2 지지축(377)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상기 누름 부재(371)는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이송 방향과 평행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누름 부재(371)는 상기 지지대(3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누름 부재(371)는 상기 마스크 본체(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누름 부재(371)는 상기 관통홀(315)와 대응되는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누름 부재(371)는 상기 폴딩 영역(F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누름 부재(371)는 상기 제 2 지지축(377)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폴딩 영역(FA)을 가압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누름 부재(371)는 접히거나 가절단된 상기 폴딩 영역(FA)을 가압할 수 있다. 즉, 상기 누름 부재(371)는 상기 제 1 본체(11) 및 상기 제 2 본체(12)의 경계 영역을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폴딩 영역(FA)은 접힐 수 있고, 상기 제 2 본체(12)의 일 끝단은 상기 지지대(311)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접이 부재(372)는 로드(rod)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접이 부재(372)는 상기 누름 부재(371)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이 부재(372)는 상기 누름 부재(371)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이 부재(372)는 상기 제 2 지지축(377)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접이 부재(372)는 상기 제 2 지지축(377)이 연장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이 부재(372)는 상기 제 2 지지축(377)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접이 부재(372)는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이송 방향과 평행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이 부재(372)는 상기 누름 부재(371)와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접이 부재(372)는 상기 지지대(3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접이 부재(372)는 상기 마스크 본체(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이 부재(372)는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이 부재(372)는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본체(12)의 상기 일 끝단은 접힐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누름 부재(371)에 의해 상기 지지대(311)로부터 이격된 상기 제 2 본체(12)는 상기 접이 부재(372)의 이동에 의해 접힐 수 있다. 즉, 상기 누름 부재(371)는 상기 제 2 본체(12)의 일 끝단을 가압하여 상기 제 2 본체(12)의 일 끝단을 상기 제 1 본체(11)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끈(25)의 일부는 상기 제 1 본체(11) 및/또는 상기 제 2 본체(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끈의 일부는 상기 폴딩 영역(F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이 부재(372)에 의해 상기 제 2 본체(12)의 일 끝단이 접히게 될 경우, 상기 끈(25)의 일부는 상기 제 1 본체(11) 및 상기 제 2 본체(1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접합부(373)는 상기 지지대(311)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접합부(373)는 상기 관통홀(315)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접합부(373)는 상기 관통홀(315)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접합부(373)는 상기 관통홀(315)과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3 접합부(373)는 상기 누름 부재(371)에 의해 상기 제 2 본체(12)의 일 끝단이 상기 제 1 본체(11)와 접촉하는 영역과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접합부(373)는 상기 제 2 본체(12)의 일 끝단을 상기 제 1 본체(11)에 접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 3 접합부(373)는 초음파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본체(12)의 일 끝단 및 상기 제 2 본체(12)의 일 끝단과 접촉하는 상기 제 1 본체(11)는 상기 초음파혼의 진동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 용융되어 접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스크 본체(10)에는 길이조절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본체(12)의 일 끝단이 상기 제 1 본체(11)에 접합됨에 따라 상기 마스크 본체(10)에는 고리부재(3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부재(31) 내부에는 상기 끈(25)의 일부가 배치되어, 상기 마스크 본체(10)에는 귀걸이부(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재(3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프레스(374)는 상기 지지대(3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프레스(374)는 상기 마스크 본체(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3 프레스(374)는 상기 제 2 본체(12)의 일 끝단 및 상기 제 1 본체(11)가 접합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프레스(374)는 상기 마스크 본체(10)를 가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프레스(374)는 상기 제 3 접합부(373)에 의해 접합된 영역을 가압하여 상기 제 2 본체(12)의 일 끝단이 상기 제 1 본체(11)에 접합되는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귀걸이부(20) 및 길이조절부(30)를 포함하는 마스크(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고리 형성부(370)는 길이조절부(30)를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자 없이 자동으로 상기 마스크 본체(10)에 길이조절부(3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제조 비용 및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어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마스크(1)는 후공정 유닛(400)(도 2 참조)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후공정 유닛(400)은 검사부 및 정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사부는 상기 마스크(1)를 검사할 수 있는 감지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 장비는 상기 마스크(10)의 외형, 상기 귀걸이부(20)의 부착 위치, 상기 길이조절부(30)의 형성 여부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장비일 수 있다.
상기 정렬부는 상기 검사부와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정렬부는 진동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발생기는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마스크(1)을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하는 기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스크(1)는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이송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5는 포장 유닛(500)의 구성 및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마스크(1)는 후공정 유닛(400)으로부터 상기 포장 유닛(500)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포장 유닛(500)은 용기(511) 내부에 상기 마스크(1)를 포장하는 유닛일 수 있다. 상기 포장 유닛(500)은 로터리(Rotary)식 일 수 있다.
상기 포장 유닛(500)은 회전 프레임(510), 용기 공급부(520), 투입구 확장부(530), 하부 확장부(540), 마스크 투입부(550), 용기 밀봉부(560) 및 용기 배출구(5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프레임(510)은 상기 회전 프레임(510)의 중앙에 배치된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프레임(510)은 복수 개의 그립퍼(5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그립퍼(515)들은 상기 회전 프레임(510)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그립퍼(515)는 상기 용기(511)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그립퍼(515)에는 적어도 하나의 용기(511)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용기 공급부(520)는 상기 회전 프레임(510)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 공급부(520)는 납작하게 압축된 상기 용기(511)를 상기 그립퍼(515)에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기 공급부(520)는 롤러, 컨베이어 벨트 등의 이송 부재를 통해 상기 용기(511)를 상기 그립퍼(515)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용기 공급부(520)는 상기 그립퍼(515)에 상기 용기(511)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용기(511)는 상기 그립퍼(515)에 의해 상기 용기 공급부(520)로부터 상기 투입구 확장부(530)로 이동되며, 설정된 위치에 도착하면 상기 그립퍼(515)는 회전을 정지할 수 있다.
상기 투입구 확장부(530)는 상기 그립퍼(515)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투입구 확장부(530)는 흡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입구 확장부(530)는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511)의 양면을 흡착할 수 있는 흡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투입구 확장부(530)는 상기 그립퍼(515)에 고정된 상기 용기(511)의 투입구를 확장시킬 수 있다.
투입구과 확장된 상기 용기(511)는 상기 그립퍼(515)에 의해 상기 투입구 확장부(530)로부터 상기 하부 확장부(540)로 이동되며, 설정된 위치에 도착하면 상기 그립퍼(515)는 회전을 정지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확장부(540)는 상기 그립퍼(515)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확장부(540)는 상기 용기(511) 내부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구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분사구는 상기 용기(511)의 투입구와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용기(511)의 하부는 확장되어 마스크(1)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투입구 및 하부가 확장된 상기 용기(511)는 상기 그립퍼(515)에 의해 상기 하부 확장부(540)로부터 상기 마스크 투입부(550)로 이동되며, 설정된 위치에 도착하면 상기 그립퍼(515)는 회전을 정지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투입부(550)는 상기 후공정유닛(40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투입부(550)는 상기 후공정 유닛과 연결되는 이송 부재(5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스크(1)는 상기 후공정유닛(400)으로부터 상기 용기(511)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이송 부재(553)는 롤러, 컨베이어 벨트 등 상기 마스크(1)를 이송할 수 있는 이송 수단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투입부(550)는 이송된 상기 마스크(1)를 투입구 및 하부가 확장된 상기 용기(511) 내부에 투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마스크 투입부(550)는 상기 그립퍼(515)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마스크 투입부(550)는 상기 용기(511)의 투입구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 투입부(550)는 제 4 프레스(55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4 프레스(551)는 상기 마스크 투입부(550)의 상기 이송 부재(55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4 프레스(551)는 상기 마스크(1) 상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511) 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마스크(1)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스크(1)는 부피가 감소되어 상기 용기(511)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내부에 효과적으로 투입될 수 있다.
내부에 마스크(1)가 투입된 상기 용기(511)는 상기 그립퍼(515)에 의해 상기 마스크 투입부(550)로부터 상기 용기 밀봉부(560)로 이동되며, 설정된 위치에 도착하면 상기 그립퍼(515)는 회전을 정지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밀봉부(560)는 상기 그립퍼(515)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밀봉부(560)는 제 1 밀봉부(561) 및 제 2 밀봉부(56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밀봉부(561)는 상기 용기(511)의 투입구를 가열하는 가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 부재는 히터일 수 있다. 상기 가열 부재는 상기 용기(511) 투입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가열 부재는 상기 용기(511) 투입구와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열 부재는 상기 마스크(1)가 투입된 상기 용기(511)의 투입구를 가열하여 상기 용기(511)의 투입구를 접합시켜 밀봉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밀봉부(566)는 냉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 부재는 상기 용기(511) 투입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냉각 부재는 상기 용기(511) 투입구와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 부재는 상기 제 1 밀봉부(561)에 의해 가열된 상기 용기(511)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용기(511)는 밀봉될 수 있다.
밀봉된 상기 용기(511)는 상기 그립퍼(515)에 의해 상기 용기 밀봉부(560)로부터 상기 용기 배출부(570)로 이동되며, 설정된 위치에 도착하면 상기 그립퍼(515)는 회전을 정지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배출부(570)는 상기 그립퍼(515)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배출부(570)는 상기 그립퍼(515) 및 상기 용기(511)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배출부(570)는 이송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기 배출부(570)는 롤러, 컨베이어 벨트 등 상기 그립퍼(515)로부터 분리된 상기 용기(511)를 이송할 수 있는 이송 수단 중 하나일 수 있다. 밀봉된 상기 용기(511)는 상기 용기 배출부(570)에 의해 설정된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성된 마스크(1)는 상기 용기(511)에 포장되어 고객에게 공급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포장 유닛(500)은 상기 마스크(1)를 자동으로 포장할 수 있다. 또한, 제조된 상기 마스크(1)를 연속적으로 포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 시간을 단축하여 공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본 제조 방법에 관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마스크 제조 장치에 대한 설명을 참고한다. 앞서 설명한 마스크 제조 장치에 대한 설명은 본 제조 방법에 관한 설명에 본질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방법은, 부직포를 공급하는 단계(S100), 마스크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S200),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S300), 검사하는 단계(S400) 및 포장하는 단계(S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를 공급하는 단계(S100)는 앞서 서술한 상기 부직포 공급 유닛(100)을 이용하여 마스크(1)의 원재료인 부직포 및 필터 부재를 공급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 및 상기 필터 부재 각각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롤러에 감겨져 설정된 경로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즉, 상기 부직포를 공급하는 단계(S100)는 상기 부직포 및 상기 필터 부재는 설정된 경로로 이송하면서, 상기 부직포 및 상기 필터 부재가 합지된 합지물을 공급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직포 및 상기 필터 부재는 상기 부직포 공급 유닛(100)에 배치된 제 1 장력 조절부(180)에 의해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며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S200)는 상기 부직포를 공급하는 단계(S100)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S200)는 상기 부직포를 공급하는 단계(S100)에서 합지된 상기 합지물을 가공하여 마스크 본체(10)를 제조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S200)에서 상기 합지물은 앞서 서술한 상기 본체 형성 유닛(200)을 이용하여 상기 마스크 본체(10)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S200)는 합지물을 절단하는 단계, 합지물을 변형하는 단계 및 합지물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관련하여서는 도 17을 이용하여 추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S300)는 상기 마스크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S200)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300)는 상기 마스크 본체(10)에 귀걸이부(20) 및 길이조절부(30)를 형성하기 위한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S300)는 폴딩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귀걸이부를 접합하는 단계 및 고리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관련하여서는 도 18을 이용하여 추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검사하는 단계(S400)는 상기 귀걸이부를 형성하는 단계(S300)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상기 검사하는 단계(S400)는 제조된 마스크(1)를 포장하기 위해 정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포장하는 단계(S500)는 상기 검사하는 단계(S400)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상기 포장하는 단계(S500)는 제조된 마스크(1)를 자동으로 포장할 수 있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포장하는 단계(S500)에서 상기 마스크(1)는 포장 유닛(500)에 의해 용기(511)에 포장될 수 있다. 상기 포장하는 단계(S500)에 관련하여서는 도 19를 이용하여 추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7은 상기 마스크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S200)에 대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17을 참조하여 상기 마스크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S2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마스크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S200)는 합지물을 절단하는 단계(S210), 합지물을 변형하는 단계(S220), 굽힘 부재를 투입하는 단계(S230), 합지물을 접합하는 단계(S240) 및 마스크 본체를 정렬하는 단계(S2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S200)는 상기 마스크 본체 형성 유닛(200)을 이용하여 상기 합지물을 가공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합지물을 절단하는 단계(S210)는 상기 부직포 공급 유닛(100)으로부터 이송된 합지물을 절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단계(S210)에서 상기 합지물은 패턴 형성 부재, 절단 부재 및 초음파 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1 절단부(220)에 의해 절단될 수 있다. 상기 합지물을 절단하는 단계(S210)에서 상기 합지물은 상기 마스크 본체(10)를 형성할 수 있는 크기로 절단될 수 있다.
이후, 합지물을 변형하는 단계(S220)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합지물을 변형하는 단계(S220)는 상기 합지물을 절단하는 단계(S210)에서 절단된 상기 합지물의 형태를 변형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절단된 합지물은 이송되는 도중에 이송 경로 상에 배치된 가이드부(240)에 의해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즉, 상기 합지물은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의해 굴곡되거나 접힌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합지물은 상기 마스크 본체(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접힐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합지물 상에 굽힘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S230)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굽힘 부재를 투입하는 단계(S230)는 굽힘 부재 공급기를 이용하여 상기 합지물 상에 굽힘 부재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굽힘 부재 공급기는 자유롭게 절곡이 가능한 금속 와이어를 포함하는 스펀지 또는 합성 수지를 상기 마스크 본체(10) 상에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단계(S230)에서 상기 굽힘 부재 일면에 접착 부재가 도포되어 상기 굽힘 부재는 상기 마스크 본체(10)에 접착될 수 있다.
이후, 합지물을 접합하는 단계(S240)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합지물을 접합하는 단계(S240)는 상기 변형하는 단계(S220)에서 변형된 상기 합지물을 접합하여 형태를 고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접합하는 단계(S240)는 초음파혼을 이용하여 상기 합지물을 접합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합지물은 초음파혼의 진동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 용융될 수 있고, 용융된 상기 부직포는 서로 접합될 수 있다. 즉, 이 단계(S240)에서 상기 합지물은 상기 마스크 본체(10)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합지물은 돌출된 형태를 가지는 상기 마스크 본체(10)로 성형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10)를 정렬하는 단계(S250)가 진행될 수 있다. 이 단계(S250)에서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이송될 수 있다.
상기 도 18은 상기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S300)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귀걸이부를 형성하는 단계(S300)는 마스크 본체를 투입하는 단계(S310), 폴딩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S320), 귀걸이부를 접합하는 단계(S330) 및 고리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S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귀걸이부를 형성하는 단계(S300)는 앞서 서술한 상기 마스크 형성 유닛(300)을 이용하여 상기 마스크 본체(10)에 귀걸이부(20) 및 길이조절부(30)를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S300)에서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상기 지지대(311) 상에 배치되어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311)에는 관통홀(315) 및 복수 개의 고정 부재(314)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본체를 투입하는 단계(S310)에서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상기 지지대(3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상기 고정 부재(314)들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지지대(311) 상에 일정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본체(11) 및 제 2 본체(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본체(11) 및 상기 제 2 본체(12)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본체(12)는 도 1에 도시된 길이조절부(30)로 형성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접합 영역(JA) 및 폴딩 영역(F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합 영역(JA)은 상기 귀걸이부(20)의 원재인 끈(25)이 접합되는 영역일 수 있고, 상기 폴딩 영역(FA)은 상기 제 1 본체(11) 및 상기 제 2 본체(12)의 경계 영역으로, 상기 길이조절부(30)를 형성하기 위해 접히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폴딩 영역(FA)은 후술할 폴딩 영역 형성부(33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폴딩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S320)에서, 상기 지지대(311) 상에 배치된 마스크 본체(10)는 상기 폴딩 영역 형성부(330)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폴딩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S320)는 상기 마스크 본체(10)에 상기 폴딩 영역(FA)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폴딩 영역 형성부(330)는 상기 마스크 본체(10) 상에 배치되는 제 1 프레스(3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딩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S320)에서 상기 제 1 프레스(331)는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가장자리 영역을 가압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본체(11) 및 상기 제 2 본체(12)의 경계 영역을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본체(11) 및 상기 제 2 본체(12)의 경계 영역에는 상기 폴딩 영역(F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본체(12)의 일 끝단은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중심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딩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S320)에서 상기 제 1 프레스(331)는 상기 제 1 본체(11) 및 상기 제 2 본체(12)의 경계 영역을 가절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본체(12)의 일 끝단은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중심 방향으로 효과적으로 굴곡되어 접힐 수 있다.
이후,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상기 귀걸이부 형성부(350)로 이송되어 상기 마스크 본체(10)에 귀걸이부를 접합하는 단계(S330)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귀걸이부를 접합하는 단계(S330)는 상기 귀걸이부(20)의 원재인 끈을 상기 마스크 본체(10)에 연결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단계(S330)에서,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상기 귀걸이부 형성부(350)와 대응되는 영역에 이송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상기 끈 공급 부재(351)와 마주하는 위치로 이송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상기 접합 영역(JA)이 상기 끈 공급 부재(351)의 끈 배출구와 마주하는 위치로 이송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끈(25)을 공급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끈 배출구에서 상기 귀걸이부(20)의 원재료인 상기 끈(25)이 공급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상기 끈(25)은 상기 접합 영역(JA)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끈(25)을 이동시키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끈 공급 부재(351)와 인접하게 배치된 끈 이동 부재(352)는 상기 끈(25)을 고정한 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끈 이동 부재(352)는 제 1 지지축(357)을 기준 축으로 원을 그리며 회전하며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끈 이동 부재(352)는 상기 끈 배출구를 통해 공급된 상기 끈(25)을 고정한 후 상기 지지대(311) 상에 형성된 고정 부재(314) 둘레 일부를 감싸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끈 이동 부재(352)는 상기 제 1 지지축(357)을 축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원위치로 되돌아올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끈 이동 부재(352)는 상기 끈 배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끈(25)을 고정한 상태로 회전을 시작하여 상기 끈 배출구와 대응되는 위치로 되돌아 올 수 있다.
상기 끈 공급 부재(351)는 상기 끈 이동 부재(352)가 상기 끈(25)을 고정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끈(25)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즉, 상기 끈(25)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끈(25)을 이동시키는 단계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끈 이동 부재(352)가 회전 후 원위치로 되돌아올 경우 상기 귀걸이부(20)의 길이보다 긴 길이의 끈(25)이 상기 마스크 본체(10) 상에 공급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끈(25)을 회수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끈(25)은 상기 제 3 장력 조절 부재(353)에 의해 길이가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스크 본체(10) 상에 배치되는 상기 끈(25)은 상기 귀걸이부(20)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끈 이동 부재(352)는 원을 그리며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마스크 본체(10) 상에 배치된 상기 끈(25)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원형을 가질 수 있다. 이후, 상기 제 3 장력 조절 부재(353)는 상기 끈 이동 부재(352)가 상기 끈(25)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끈(25)을 회수할 수 있다. 상기 끈(25)이 상기 마스크 본체(10) 상에 설정된 길이만큼 남으면 상기 제 3 장력 조절 부재(353)는 회수를 멈출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끈(25)은 상기 끈 이동 부재(352) 및 상기 고정 부재(314)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도 10과 같이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끈(25)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끈(25)의 시작 부분과 끝 부분인 일 끝과 타 끝은 상기 접합 영역(JA)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고정 부재(314), 상기 끈 이동 부재(352) 및 상기 제 3 장력 조절 부재(353)에 의해 상기 마스크 본체(10) 상에는 설정된 길이의 끈(25)을 공급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마스크 본체(10) 상에 공급된 상기 끈(25)의 길이는 상기 귀걸이부(20)의 길이와 대응될 수 있다. 즉, 상기 마스크 본체(10) 상에는 설정된 길이의 끈(25)이 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끈(25)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폐기되는 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끈(25)을 연결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와 같이 설정된 길이의 끈(25)이 다각형 형상으로 고정되면, 상기 끈(25)은 초음파혼을 포함하는 제 2 접합부(354)에 의해 상기 마스크 본체(1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접합부(354)는 상기 접합 영역(JA)에 배치된 상기 끈(25)을 접합하여 귀걸이부(2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접합 영역(JA)을 가압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접합 영역(JA) 상에 배치된 제 2 프레스(355)가 상기 접합 영역(JA)을 가압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접합 영역(JA) 상에 접합된 상기 끈(25)을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합 영역(JA)에 접합된 상기 끈(25)의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방법은 귀걸이부(20)의 원재인 상기 끈(25)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며 재단할 수 있고, 상기 끈(25)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폐기되는 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끈(25) 접합 시, 상기 귀걸이부 형성부(350) 및 상기 고정 부재(314)에 의해 상기 끈(25)을 고정할 수 있어, 상기 끈(25)을 고정하기 위한 작업자가 불필요하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314)의 개수, 위치 등을 변경하여 상기 귀걸이부(20)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어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어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이송되어 고리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S340)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고리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S340)는 상기 폴딩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S320)에서 형성된 상기 폴딩 영역(FA)을 이용하여 상기 마스크 본체(10)에 길이조절부(30)를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단계(S340)에서,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상기 고리 형성부(370)와 대응되는 영역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귀걸이부(20)는 상기 고정 부재(314)들에 의해 삼각형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귀걸이부를 접합하는 단계(S330)에서 형성된 상기 귀걸이부(20)의 일부는 상기 폴딩 영역(FA)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귀걸이부(20)의 일부는 상기 폴딩 영역(F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폴딩 영역(FA)을 가압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폴딩 영역(FA)을 가압하는 단계에서 상기 마스크 본체(10) 상에 배치되는 누름 부재(371)는 상기 마스크 본체(10)를 가압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누름 부재(371)는 상기 제 1 본체(11) 및 상기 제 2 본체(12)의 경계 영역을 가압할 수 있다. 즉, 상기 누름 부재(371)는 일정 각도로 접어지거나 가절단된 상기 제 1 본체(11) 및 상기 제 2 본체(12)의 경계 영역을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본체(12)의 일 끝단은 상기 지지대(311)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마스크 본체(10)를 접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가장자리 영역을 접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2 본체(12)를 접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본체(10)를 접는 단계에서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접이 부재(372)에 의해 접힐 수 있다. 상기 접이 부재(372)는 회전하며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이 부재(372)는 상기 제 누름 부재(371)에 의해 상기 지지대(311)로부터 이격된 상기 제 2 본체(12)를 가압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접이 부재(372)는 상기 제 2 본체(12)의 일 끝단을 상기 제 1 본체(11)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접이 부재(372)는 상기 제 2 본체(12)를 가압하여 상기 제 2 본체(12)를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중심 방향으로 접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딩 영역(FA) 상에 배치된 상기 귀걸이부(20)의 일부는 상기 제 1 본체(11) 및 상기 제 2 본체(1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폴딩 영역(FA) 상에 배치된 상기 귀걸이부(20) 일부는 상기 접이 부재(372)에 의해 접혀 형성된 공간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10)를 접합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3 접합부(373)에 의해 상기 제 1 본체(11) 및 상기 제 2 본체(12)는 접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접합부(373)는 상기 제 2 본체(12)의 일 끝단 및 상기 제 1 본체(11)가 직접 접촉하는 영역을 접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본체(12) 및 상기 제 1 본체(11)는 접합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 1 본체(11) 및 상기 제 2 본체(12)가 접합된 영역은 상기 제 3 프레스(374)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본체(11) 및 상기 제 2 본체(12)의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본체(11) 및 상기 제 2 본체(12)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마스크(1)에는 홀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고리 부재(3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딩 영역(FA) 상에 배치된 상기 귀걸이부(20)의 일부는 상기 고리 부재(3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스크(1)에는 조절 부재(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10), 귀걸이부(20) 및 길이조절부(30)를 포함하는 마스크(1)가 제조될 수 있다. 즉, 별도의 작업자 없이 상기 마스크 본체(10)에 상기 길이조절부(3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귀걸이부를 형성하는 단계(S300)는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고리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S340)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분리하는 단계는 제조된 상기 마스크(1)를 상기 지지대(311)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방법은 마스크 본체(10)에 자동으로 길이조절부(3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어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검사하는 단계(S400)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검사하는 단계(S400)는 외관 확인 단계 및 배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사하는 단계(S400)는 앞서 서술한 후공정 유닛(400)을 이용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외관 확인 단계는 상기 마스크(1)를 검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관 확인 단계는 상기 마스크(1)의 외형, 상기 귀걸이부(20)의 부착 위치, 상기 길이조절부(30) 형성 여부 등 상기 마스크(1)의 외관을 검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배열 단계는 상기 외관 확인 단계에서 이송된 상기 마스크(1)를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정렬하는 단계에서 상기 마스크(1)는 상기 마스크(1)를 정렬할 수 있는 상기 배열부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도 18은 상기 포장하는 단계(S500)에 대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18을 참조하여 상기 포장하는 단계(S5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포장하는 단계(S500)는 용기를 투입하는 단계(S510), 용기 투입구를 확장하는 단계(S520), 용기 하부를 확장하는 단계(S530), 마스크를 투입하는 단계(S540), 밀봉하는 단계(S550) 및 배출하는 단계(S5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장하는 단계(S500)는 앞서 서술한 포장 유닛(500)을 이용하여 상기 마스크(1)를 포장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포장 유닛(500)은 로터리(Rotary)식 일 수 있다.
상기 용기를 투입하는 단계(S510)는 용기 공급부(520)를 용기(511)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용기를 투입하는 단계(S510)는 납작하게 압축된 상기 용기(511)를 회전 프레임(510)에 배치된 그립퍼(515)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단계(S510)에서 적어도 하나의 용기(511)는 상기 그립퍼(515)에 고정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용기 투입구를 확장하는 단계(S520)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용기 투입구를 확장하는 단계(S520)는 앞서 서술한 투입구 확장부(530)를 이용한 단계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그립퍼(515)에 의해 고정된 상기 용기(511)는 상기 투입구 확장부(530)로 이송되고, 설정된 위치에 도착하면 상기 그립퍼(515)는 정지될 수 있다. 이 단계(S520)에서 상기 투입구 확장부(530)로 이송된 상기 용기(511)의 양면 상단부에는 상기 용기(511)를 흡착할 수 있는 흡착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착 부재는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며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흡착 부재는 상기 용기(511)의 양면에 각각 배치되어 내부에 진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흡착 부재는 상기 용기(511)의 양면 상단부에 흡착될 수 있고 흡착된 상태로 이동하여 상기 용기(511)의 투입구는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용기(511)의 투입구가 확장된 이후, 상기 흡착 부재는 내부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용기(511)의 양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어서, 용기 하부를 확장하는 단계(S530)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용기 하부를 확장하는 단계(S530)는 앞서 서술한 하부 확장부(540)를 이용한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용기 투입구를 확장하는 단계(S520)에서 투입구가 확장된 상기 용기(511)는 상기 그립퍼(515)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하부 확장부(540)로 이송되고, 설정된 위치에 도착하면 상기 그립퍼(515)는 정지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확장부(540)는 상기 용기(511) 내부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분사구는 설정된 위치에 도착된 상기 용기(511)의 내부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용기(51)의 하부를 확장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용기 투입구를 확장하는 단계(S520) 및 상기 용기 하부를 확장하는 단계(S530)에 의해 납작하게 압축된 상기 용기(511)는 마스크(1)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후, 마스크를 투입하는 단계(S540)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를 투입하는 단계(S540)는 앞서 서술한 마스크 투입부(550)를 이용한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용기 하부를 확장하는 단계(S530)에서 내부가 확장된 상기 용기(511)는 상기 그립퍼(515)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마스크 투입부(550)로 이송되고, 설정된 위치에 도착하면 상기 그립퍼(515)는 정지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마스크(1)는 상기 후공정유닛(400)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상기 마스크 투입부(550)로 이송될 수 있고, 내부가 확장된 상기 용기(511) 내부에 투입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를 투입하는 단계(S540)는 마스크를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마스크를 가압하는 단계는 상기 용기(511)로 이송되는 상기 마스크(1)를 제 4 프레스(551)로 가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스크(1)의 부피는 감소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마스크(1)는 상기 용기(511)에 투입될 수 있다. 즉, 상기 마스크(1)는 부피가 감소되어 상기 용기(511) 내부에 효과적으로 투입될 수 있다.
이어서, 밀봉하는 단계(S550)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밀봉하는 단계(S550)는 상기 용기(511)의 투입구를 밀봉하는 단계일 수 있다. 자세하게, 이 단계(S550)에서는 상기 마스크(1)가 투입된 용기(511)가 상기 그립퍼(515)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밀봉부(560)로 이송되고, 설정된 위치에 도착하면 상기 그립퍼(515)는 정지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밀봉하는 단계(S550)는 제 1 밀봉 단계 및 제 2 밀봉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밀봉 단계는 상기 용기(511)의 투입구를 가열하여 접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제 1 밀봉 단계는 상기 용기 투입구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 1 밀봉부(561)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밀봉 단계는 상기 제 1 밀봉 단계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밀봉 단계는 상기 제 1 밀봉 단계보다 낮은 온도에서 진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밀봉 단계는 상기 제 1 밀봉 단계에서 가열된 상기 용기(511)의 투입구를 냉각하여 안정화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용기(511)는 밀봉될 수 있다.
이어서, 배출하는 단계(S560)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배출하는 단계(S530)는 앞서 서술한 배출부(570)를 이용한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배출하는 단계(S560)는 상기 마스크(1)가 밀봉된 상기 용기(511)를 배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단계(S560)에서 상기 마스크(1)는 용기 배출부(570)에 의해 설정된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방법은 상기 마스크(1)를 상기 용기(511)에 자동으로 포장되어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기기 및 제조 방법은 인라인(in-line) 공정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공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자동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마스크 본체를 형성하는 본체 형성 유닛; 및
    상기 마스크 본체에 귀걸이부를 형성하여 마스크를 형성하는 마스크 형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 형성 유닛은, 귀걸이부 형성부; 및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에 상기 귀걸이부의 끈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를 형성하는 고리 형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호 절단 영역 없이 일체로 형성된 제1 본체 및 제2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길이조절부는, 내부에 홀이 형성되며 상기 귀걸이부의 끈이 관통하는 원기둥 형상의 고리 부재 및 상기 제2 본체가 상기 제1 본체와의 경계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본체 방향으로 접혀서 형성되며 상기 귀걸이부의 끈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마스크 제조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부 형성부는,
    상기 귀걸이부의 원재료인 끈을 공급하는 끈 공급 부재; 및 상기 끈 공급 부재로부터 공급된 상기 끈을 이동시키는 끈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마스크 제조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형성 유닛은, 상기 마스크 본체를 이송시키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지지대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 및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마스크 본체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고정 부재들을 포함하는, 마스크 제조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끈은 상기 끈 이동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마스크 본체 상에 배치되는 마스크 제조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부 형성부는,
    상기 끈을 설정된 길이만큼 공급하는 제 3 장력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제조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 형성부는,
    상기 지지대 하부에 배치되는 제 2 접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접합부는 상기 관통홀과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마스크 제조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형성 유닛은 폴딩 영역 형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폴딩 영역 형성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 상에 배치되는 제1 프레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스는 상기 관통홀과 대응되는 영역 상에 배치되는 마스크 제조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 형성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 상에 배치되는 누름 부재; 및
    상기 마스크 본체의 일 끝단을 상기 마스크 본체의 중심 방향으로 접는 접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관통홀과 대응되는 영역 상에 배치되며,
    상기 고리 형성부는,
    상기 지지대 하부에 배치되는 제 3 접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접합부는 상기 관통홀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마스크 제조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를 포장하는 포장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포장 유닛은 로터리(rotary)식인 마스크 제조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제조 장치는 부직포 및 필터 부재를 공급하는 부직포 공급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직포 공급 유닛은 상기 부직포 및 상기 필터 부재를 일정한 장력으로 공급하는 제1 장력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마스크 제조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의 포장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스크 포장 장치는, 상기 마스크가 내부에 투입되는 용기 및 상기 마스크가 투입된 용기의 밀봉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제조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상기 마스크가 투입된 용기의 투입구를 제1 온도로 가열하는 제1 밀봉부와,
    가열된 상기 용기의 투입구를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로 냉각하는 제2 밀봉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제조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220082787A 2017-04-19 2022-07-05 마스크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2485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787A KR102485237B1 (ko) 2017-04-19 2022-07-05 마스크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317A KR102481525B1 (ko) 2017-04-19 2017-04-19 마스크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20220082787A KR102485237B1 (ko) 2017-04-19 2022-07-05 마스크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317A Division KR102481525B1 (ko) 2017-04-19 2017-04-19 마스크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062A KR20220101062A (ko) 2022-07-19
KR102485237B1 true KR102485237B1 (ko) 2023-01-06

Family

ID=6410128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317A KR102481525B1 (ko) 2017-04-19 2017-04-19 마스크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20220082787A KR102485237B1 (ko) 2017-04-19 2022-07-05 마스크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317A KR102481525B1 (ko) 2017-04-19 2017-04-19 마스크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815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801A (ko) 2017-04-18 2019-12-16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인단카르보알데히드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606B1 (ko) 2019-02-28 2020-01-14 용환기 보건용 마스크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102129111B1 (ko) * 2019-03-19 2020-07-01 전익희 마스크 제조장치
KR102104232B1 (ko) * 2019-03-25 2020-04-24 박성배 귀끈을 이용한 마스크용 귀걸이 제조 자동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용 귀걸이 제조방법
KR102014048B1 (ko) * 2019-04-10 2019-08-23 서병조 착용감을 개선한 편평한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방법
KR102186973B1 (ko) 2019-04-15 2020-12-04 주식회사 이앤더블유 (E&W) 마스크 귀걸이끈 접철장치
KR102124279B1 (ko) * 2019-06-10 2020-06-17 김태식 걸이끈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및 마스크에 걸이끈을 장착하는 장치
KR102185325B1 (ko) * 2019-09-16 2020-12-01 현한울 방진 마스크
KR102314087B1 (ko) * 2019-11-27 2021-10-22 이강우 접이식 마스크 제조장치
CN111227386B (zh) * 2020-03-30 2021-11-30 杭州新珂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高速全防护口罩生产线
KR102222529B1 (ko) 2020-04-10 2021-03-04 제이와이이노센트주식회사 자동 포장을 위한 마스크 분배 장치
CN111165967B (zh) * 2020-04-13 2020-08-04 山东华滋自动化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口罩机
CN111531075A (zh) * 2020-04-14 2020-08-14 苏州江锦自动化科技有限公司 鼻梁全自动加工组件及口罩裁切装置
KR102405078B1 (ko) 2020-04-20 2022-06-07 (주)우인기연 마스크의 귀걸이를 형성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438326B1 (ko) * 2020-04-22 2022-08-31 윤정식 마스크 제조 장치
KR102196958B1 (ko) * 2020-04-29 2021-01-04 (주)이로운 마스크 조립체의 제조장치
KR102355677B1 (ko) * 2020-05-13 2022-01-27 (주)프로티앤씨 보건마스크용 연성밴드의 접합장치
KR102401032B1 (ko) * 2020-05-18 2022-05-20 정덕화 슬라이딩 방식 마스크 제조 시스템
KR102381593B1 (ko) 2020-05-28 2022-04-01 노동주 마스크 제조장치
KR102394247B1 (ko) * 2020-06-01 2022-05-09 주식회사 대양기술 마스크 이어 밴드 부착장치
JP2022533280A (ja) * 2020-06-03 2022-07-22 ソク ノ、ヨン マスク連続包装装置
CN111557516A (zh) * 2020-06-06 2020-08-21 湖北宏瑞防护用品有限公司 平面口罩、口罩生产设备及生产方法
KR102147862B1 (ko) * 2020-06-10 2020-08-26 주식회사 엘엠에스 마스크용 걸이밴드 부착장치
KR102147860B1 (ko) * 2020-06-10 2020-08-26 주식회사 엘엠에스 마스크 제조장치
KR102173849B1 (ko) * 2020-06-17 2020-11-04 이용태 마스크 제조장치
KR102148709B1 (ko) * 2020-06-29 2020-08-27 주식회사 웨트마니아 마스크 제조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재배열 모듈
KR102382677B1 (ko) * 2020-06-29 2022-04-11 주식회사 에스엠테크코리아 마스크 제조 시스템
KR102415987B1 (ko) * 2020-07-02 2022-07-01 주식회사 씨케이엘 마스크 제조 장치용 마스크 고리 융착 장치
KR102427143B1 (ko) * 2020-07-02 2022-07-29 주식회사 씨케이엘 마스크 제조 장치
KR102452118B1 (ko) 2020-07-06 2022-10-11 (주)에이엔에이치 안면 마스크 제조 시스템
CN111745989A (zh) * 2020-07-07 2020-10-09 东莞市焦点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口罩耳带高速超声波焊接方法及设备
KR102380082B1 (ko) * 2020-07-09 2022-03-29 (주)안마이크론시스템 마스크 제조 장치
KR20220007223A (ko) 2020-07-10 2022-01-18 왕 중 김 마스크 고리 부착 장치
KR102234722B1 (ko) * 2020-07-24 2021-03-31 한동희 마스크 제조용 밴드 부착장치
KR102409427B1 (ko) 2020-07-29 2022-06-15 손화숙 마스크용 귀걸이 끈 배출장치
KR102432137B1 (ko) * 2020-08-06 2022-08-16 임영서 마스크 제조 장치
KR102240033B1 (ko) 2020-08-10 2021-04-15 이상봉 마스크 끈의 유통용 박스세트
KR102231376B1 (ko) * 2020-08-13 2021-03-24 주식회사 제이엠텍 마스크 제조장치
KR102344916B1 (ko) * 2020-08-20 2022-01-03 주식회사 앤피홀딩스 용착 장치 및 방법
KR102262915B1 (ko) * 2020-08-20 2021-06-10 남원식 마스크 제조 설비 및 방법
KR102212778B1 (ko) 2020-08-21 2021-02-04 한동희 마스크 검사장치
KR102277737B1 (ko) 2020-08-21 2021-07-14 한동희 마스크 검사장치
KR102459944B1 (ko) 2020-09-03 2022-10-27 서우엠에스 주식회사 복사열을 이용해 마스크 끈 부착 불량을 방지하는 마스크 제조장치
KR102246641B1 (ko) 2020-09-14 2021-04-30 한석영 마스크 개별 인출 장치
KR102500550B1 (ko) * 2020-09-23 2023-02-17 주식회사 다나메디컬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
KR102281183B1 (ko) * 2020-09-25 2021-07-23 주식회사 에스알 마스크 제조 장치
KR102241393B1 (ko) * 2020-10-12 2021-04-16 주식회사 세계로시스템 마스크 제조장치
KR102228983B1 (ko) 2020-10-14 2021-03-17 고광옥 마스크 제작시스템용 이어밴드 제작장치
KR102356297B1 (ko) * 2020-10-21 2022-02-07 한동희 마스크 포장 장치
KR102259037B1 (ko) * 2020-10-21 2021-05-31 한동희 마스크 포장 장치
KR102344946B1 (ko) * 2020-10-26 2022-01-03 나기현 일렬 배치구조를 가지는 마스크 제조 설비
KR102305977B1 (ko) * 2020-10-30 2021-09-29 주식회사 에스제이하이테크 연속식 마스크 제조장치
KR102206013B1 (ko) 2020-11-03 2021-01-21 박태성 마스크 스택장치
KR20220063948A (ko) 2020-11-11 2022-05-18 주식회사 와이엠 이어밴드 열처리 및 텐션 장치를 구비한 안면 마스크 제조 시스템
KR20220063967A (ko) 2020-11-11 2022-05-18 왕현철 안면 마스크 제조 시스템의 정전기량 검사 장치
KR102511011B1 (ko) 2020-11-11 2023-03-15 왕현철 안면 마스크 제조용 초음파 혼의 온도 제어 장치
KR102548880B1 (ko) 2020-11-13 2023-06-30 (주)애니토이 마스크 제조 장치
KR102527973B1 (ko) 2020-11-17 2023-05-02 주식회사 뉴파스 마스크 필터부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마스크 필터부 제조방법
KR102538026B1 (ko) * 2020-11-17 2023-05-31 방지철 위생 마스크 제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2381301B1 (ko) * 2020-11-20 2022-03-31 오영환 마스크 제조 시스템
KR102500614B1 (ko) * 2020-11-24 2023-02-16 주식회사 에버그린 보건 마스크의 제조 장치
KR102548372B1 (ko) * 2020-11-30 2023-06-27 주식회사 에버그린 보건 마스크 제조용 귀끈 부착 장치
KR102454046B1 (ko) * 2020-12-15 2022-10-14 대경에이티 주식회사 장력유지 롤러장치
KR102242207B1 (ko) 2021-01-15 2021-04-19 박태성 마스크 번들을 이송시키는 푸셔를 포함하는 마스크 스택장치
KR102343821B1 (ko) * 2021-02-17 2021-12-27 최승효 컬러 마스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325451B1 (ko) 2021-02-19 2021-11-12 제이와이이노센트주식회사 마스크 자동 분배 장치
KR102409492B1 (ko) * 2021-03-29 2022-06-16 김태식 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되는 마스크 귀걸이끈의 초음파 접착시스템 및 그 마스크
KR102304482B1 (ko) * 2021-04-07 2021-09-17 현한울 마스크 제조장치
KR102601714B1 (ko) * 2021-04-19 2023-11-10 김일권 가드부를 구비한 마스크 제조방법
KR102561684B1 (ko) * 2021-05-04 2023-08-01 주식회사 코티 살균챔버를 구비한 마스크 제조장치
KR102402203B1 (ko) * 2021-05-14 2022-05-25 김정민 일회용 마스크 생산시스템
KR102345962B1 (ko) 2021-06-09 2021-12-30 한동희 접힌 마스크 검사장치
KR20230078031A (ko) 2021-11-26 2023-06-02 (주)에이엔에이치 생산효율 관리가 가능한 안면 마스크 제조 시스템
KR20230078032A (ko) 2021-11-26 2023-06-02 (주)에이엔에이치 생산공정 관리가 가능한 안면 마스크 제조 시스템
KR102422551B1 (ko) * 2021-12-08 2022-07-20 췐훙 왕 마스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2403042B1 (ko) * 2021-12-14 2022-05-27 김재청 원단 공급의 효율성을 강화한 마스크 제조 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7180A (ja) * 2006-06-30 2008-01-17 Tokyo Autom Mach Works Ltd 包装装置
US20080251214A1 (en) * 2007-04-16 2008-10-16 Hung-Ho Chen Face mask manufacturing machine
JP2016032870A (ja) * 2014-07-30 2016-03-10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熱溶着方法およ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376B2 (ja) * 1987-06-26 1995-02-0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押出プレスのシャ−装置
KR100374386B1 (ko) * 1998-11-26 2003-06-12 대국기업 주식회사 1회용방진마스크
KR101072467B1 (ko) * 2009-05-11 2011-10-11 (주)파인텍 걸이 밴드 길이조절을 위한 구조를 일체로 형성한 방진마스크
KR101788685B1 (ko) * 2014-06-20 2017-10-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마스크
KR101656734B1 (ko) * 2015-03-06 2016-09-21 한국신발피혁연구원 무재봉 신발 갑피용 패턴제조장치
KR101600005B1 (ko) * 2015-03-27 2016-03-15 주식회사 아미 일체형 방진마스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조방법
KR101597735B1 (ko) * 2015-03-27 2016-02-26 주식회사 아미 합지형 방진마스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조방법
JP7083769B2 (ja) * 2019-03-25 2022-06-13 トッパン・フォームズ株式会社 分散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7180A (ja) * 2006-06-30 2008-01-17 Tokyo Autom Mach Works Ltd 包装装置
US20080251214A1 (en) * 2007-04-16 2008-10-16 Hung-Ho Chen Face mask manufacturing machine
JP2016032870A (ja) * 2014-07-30 2016-03-10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熱溶着方法およ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801A (ko) 2017-04-18 2019-12-16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인단카르보알데히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1525B1 (ko) 2022-12-26
KR20180117338A (ko) 2018-10-29
KR20220101062A (ko) 202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5237B1 (ko) 마스크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2020114B1 (ko) 마스크 제조방법
JP5481007B2 (ja) マスクの耳掛け紐取付け装置
JP5762804B2 (ja) マスクの製造方法、マスク
TWI406685B (zh) Printed mask manufacturing method
CN105283300B (zh) 超声波焊头、具备该超声波焊头的熔接机以及利用了超声波焊头的一次性尿布的制造方法
CN105682895B (zh) 片熔接体的制造装置和制造方法
JP5913594B2 (ja) 複合伸縮部材を用いた着用物品及び該着用物品の製造方法
WO2010089964A1 (ja) 使い捨て着用物品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2012217651A5 (ko)
CN109692078A (zh) 制造透气网材的方法和设备以及相应的网材
TWI748702B (zh) 具表情視窗之對稱摺擺平面口罩及其製作方法和該生產使用之設備
JPWO2019054314A1 (ja) 着用物品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2013500814A (ja) パンツタイプのおむつ又はおしめの製造において外側タブを圧着する装置及び方法
CN108032555A (zh) 一种过滤组件的生产方法
KR102254640B1 (ko) 마스크 제조장치
TW200940122A (en) Mask with elastic non-woven fabric ear strap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6556788B2 (ja) 集塵機用フィルタとそのためのフィルタバグ製作方法
KR102500550B1 (ko)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
CN215991184U (zh) 一次性无纺布话筒罩自动生产装置
KR102405078B1 (ko) 마스크의 귀걸이를 형성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438326B1 (ko) 마스크 제조 장치
KR20230008966A (ko) 마스크 제조 장치
KR101796066B1 (ko) 산업 정수용 백필터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22076294A (ja) マスクの製造装置及びマスク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