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550B1 -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 - Google Patents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550B1
KR102500550B1 KR1020200123197A KR20200123197A KR102500550B1 KR 102500550 B1 KR102500550 B1 KR 102500550B1 KR 1020200123197 A KR1020200123197 A KR 1020200123197A KR 20200123197 A KR20200123197 A KR 20200123197A KR 102500550 B1 KR102500550 B1 KR 102500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unit
ear
vinyl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0245A (ko
Inventor
양판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나메디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나메디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나메디컬
Priority to KR1020200123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550B1/ko
Publication of KR20220040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4Joining garment parts or blanks by gluing or welding ; Glu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14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 B65B25/145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packaging fo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2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transverse or longitudinal seams in web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6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a longitudinally-folded web, or in a web folded into a tube about th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placed upon 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는, 마스크 본체를 구성하는 원단들을 공급하는 원단투입부; 상기 원단들을 겹쳐서 융착하여 마스크 본체를 제작하는 초음파융착부; 상기 마스크 본체에 한 쌍의 귀끈을 융착하는 귀끈융착부; 상기 한 쌍의 귀끈을 마스크의 중심 쪽으로 접어서 모으는 귀끈프레스부; 상기 마스크를 집어서 파우치 비닐 속으로 투입하는 마스크 파지부; 및 상기 마스크가 투입된 파우치 비닐을 융착하여 포장하는 마스크 포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d packing mask}
본 발명은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마스크를 제조, 이송 및 포장할 수 있는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건용 마스크는 공기 중 미세물질을 차단하여 사람의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보건용 마스크는 공기 중 분진이나 휘발성 유기용제 농도가 높은 작업 현장에서 근로자들이 호흡시 이와 같은 유해물질을 흡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격리 병상이나 근접 시술을 하는 의료진들이나, 최근에는 일반인들이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을 막기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특수한 환경에서의 사용뿐만 아니라, 최근 황사나 미세먼지와 같은 대기 오염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면서 일반인들의 보건용 마스크 사용빈도가 현저히 증가하고 있다.
보건용 마스크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의약외품으로 허가를 받아 생산 판매해야 하는 제품으로서,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보건용 마스크 등급을 KF80, KF94, KF99의 세 종류로 나누고 있다. KF80는 황사 방지용 마스크로, 평균 입자크기가 0.6㎛(마이크로미터)인 미세입자를 80% 이상 차단함을 의미한다. KF94, KF99는 바이러스까지 차단할 수 있는 방역용 마스크다. KF94의 경우 평균 입자크기가 0.4㎛인 미세입자를 94% 이상 차단한다.
보건용 마스크의 유형도 다양한데, 마스크를 구성하는 재질 측면에서는 면과 같은 천연 소재 또는 부직포와 같은 합성 소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된 것, 복수층의 부직포와 필터층을 포함하는 것, 전면에 별도의 정화통이 구비된 것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에서 부직포와 필터층을 포함하는 마스크는 경제성과 성능면에서 모두 우수하고 휴대 및 착용의 편의성으로 인해 주로 이용되고 있다. 형태면에서도 일반적인 평면 형태의 것, 컵 형태를 갖는 것, 사용전에는 평면 형태이나 착용시 사람의 코와 입부분을 감쌀 수 있는 입체적인 형태로 변환되는 것 등 다양하다. 이 중에서 후자의 것이 착용시의 쾌적함과 휴대시의 편리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양한 유형에도 불구하고 보건용 마스크를 착용하여 안면에 고정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유연한 끈 또는 밴드 부재로 형성된 고리 모양의 귀끈을 양쪽 귀에 걸어 고정하는 방법이다. 위생상의 이유로 보건용 마스크는 개별 밀봉 포장되어 유통되는데, 유연성을 갖는 귀끈부로 인해 자동 포장방식을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필름을 이용한 자동 포장은 포장 필름위에 포장될 제품을 놓고 좌우측 필름을 접어 열접합하고, 상하부를 절단 및 열접합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이를 통상적으로 자동 삼방포장 방식이라 부른다. 그런데 귀끈부의 유연성으로 인해 제조과정 중 귀끈부가 꼬이거나 임의의 위치로 이동하기 쉽고, 따라서 자동 삼방포장 방식에 적용하는 경우 귀끈부가 포장지에 끼어 함께 접합되거나 포장지 외부로 돌출되는 등의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서 귀끈부의 임의의 위치를 고려하여 충분히 넓은 면적으로 마스크를 포장할 수는 있겠으나 이 경우에는 포장지의 낭비가 심하여 실질적인 대안이 될 수 없다.
위와 같은 이유로 효율성과 경제성면에서 모두 우수한 자동 삼방포장 방식을 보건용 마스크 포장에 사용할 수 없었고, 제품 투입구로 사용할 일면만 개봉된 형태의 패키지를 별도로 제작하여 수작업이나 반자동 방식의 제품 투입기를 사용하여 제품을 패키지에 투입한 다음 투입구를 밀봉하여 포장하는 포장 방법을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패키지의 사전 제작, 제품 투입 및 투입구 밀봉 과정에 각각 추가적인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작업 속도면에서도 자동 삼방포장 방식에 비해 불리하다. 근래에 급증하는 수요와 경제적인 면을 함께 고려할 때 자동 삼방포장 방식을 적용할 수 있는 보건용 마스크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2055606호
본 발명은 마스크를 정밀하고 쉽게 제작하며 자동으로 포장까지 할 수 있는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는, 마스크 본체를 구성하는 원단들을 공급하는 원단투입부; 상기 원단들을 겹쳐서 융착하여 마스크 본체를 제작하는 초음파융착부; 상기 마스크 본체에 한 쌍의 귀끈을 융착하는 귀끈융착부; 상기 한 쌍의 귀끈을 마스크의 중심 쪽으로 접어서 모으는 귀끈프레스부; 상기 마스크를 집어서 파우치 비닐 속으로 투입하는 마스크 파지부; 및 상기 마스크가 투입된 파우치 비닐을 융착하여 포장하는 마스크 포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귀끈프레스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를 눌러서 고정하는 본체고정부와, 상기 한 쌍의 귀끈을 마스크의 가운데 쪽으로 접는 한 쌍의 귀끈접이부와, 상기 한 쌍의 귀끈을 가열하며 누르는 한 쌍의 열프레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귀끈융착부의 다음에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귀끈을 당겨서 광센서에 의해 귀끈이 떨어지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귀끈검사부; 및 상기 귀끈검사부의 다음에 설치되어 귀끈이 떨어진 마스크를 취출하는 귀끈 불량 취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포장부는 상기 귀끈융착부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되어 파우치 비닐을 공급하는 비닐공급부와, 상기 마스크 파지부의 옆에 설치되어 상기 파우치 비닐을 벌리는 비닐벌림유닛과, 상기 마스크가 투입된 파우치 비닐을 융착하는 비닐융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포장부의 비닐융착부는 상기 귀끈프레스부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귀끈프레스부를 지나서 제작된 마스크를 받아서 상기 마스크 파지부로 이송하는 마스크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에 의하면, 마스크를 정밀하고 쉽게 제작하며 자동으로 포장까지 할 수 있다.
또한, 귀끈프레스부에 의해 한 쌍의 귀끈을 마스크 본체에 접어서 고정함으로써 이후의 포장 과정에서 귀끈이 간섭되거나 삐져나와서 제대로 포장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실시예의 경우 마스크 이송부가 제작된 마스크를 받아서 마스크 파지부로 이송해 줌으로써 귀끈프레스부에서 제작된 마스크를 마스크 포장부로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실시예의 경우 마스크 포장부의 비닐융착부가 비닐공급부에 대해 90도 절곡된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의 귀끈프레스부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4는 귀끈프레스부에서 귀끈접이부가 귀끈을 접어서 모은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5는 귀끈프레스부에서 열프레스부가 귀끈을 가열하여 누르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에서 마스크 이송부가 제작된 마스크를 이송하기 위해 마스크를 받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마스크 이송부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마스크를 이송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마스크 이송부가 마스크를 마스크 파지부로 이송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마스크 파지부가 마스크를 파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10은 마스크 파지부가 마스크를 파지한 후 마스크 이송부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11은 비닐벌림유닛이 파우치 비닐을 벌린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12는 마스크 파지부가 하방으로 회동하여 마스크를 파우치 비닐 속으로 투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1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제1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제2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제2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100)는 마스크 본체를 구성하는 원단들을 공급하는 원단투입부(110), 원단들을 겹쳐서 융착하여 마스크 본체를 제작하는 초음파융착부(120), 마스크 본체에 한 쌍의 귀끈을 융착하는 귀끈융착부(140), 한 쌍의 귀끈을 마스크의 중심 쪽으로 접어서 모으는 귀끈프레스부(170), 마스크를 집어서 파우치 비닐 속으로 투입하는 마스크 파지부(190), 및 마스크가 투입된 파우치 비닐을 융착하여 포장하는 마스크 포장부(200)를 포함한다.
마스크는 KF80, KF94, KF99 등의 보건용 마스크뿐만 아니라 비말차단 마스크, 덴탈 마스크 또는 일반 면 마스크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겉감과 안감 사이에 필터를 개재하여 봉합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는 양측에 한 쌍의 귀끈이 연결될 수 있다. 마스크는 제작시 평면 형태로 제작되고 사용시 입체적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마스크의 종류에 따라 안감이 2장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투입부(110)는 안감투입부(112), 필터투입부(114), 겉감투입부(116)로 구성될 수 있다. 마스크는 안감 위에 필터가 포개지고 필터 위에 겉감이 포개져서 봉합되므로, 안감투입부(112), 필터투입부(114), 겉감투입부(116)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높아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안감이 2장으로 구성되는 경우, 안감투입부(112)가 하나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초음파융착부(120)는 안감, 필터, 겉감이 포개진 상태에서 안감과 겉감의 가장자리를 따라 초음파 가열함으로써, 마스크 본체를 제작할 수 있다.
귀끈융착부(140)는 이송된 마스크 본체의 양측에 한 쌍의 귀끈을 융착하여 연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귀끈의 양단부는 겉감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겉감과 안감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겉감과 귀끈 단부와 안감을 초음파 가열함으로써 융착될 수 있다.
귀끈프레스부(170)는 한 쌍의 귀끈을 마스크의 중심 쪽으로 접어서 모을 수 있다. 귀끈이 마스크 본체의 윤곽 외측으로 배치될 경우, 파우치에 투입하여 포장할 때 귀끈이 간섭되어 제대로 포장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래서, 귀끈프레스부(170)에 의해 한 쌍의 귀끈을 마스크의 중심 쪽으로 접어서 모으고 연결부를 약간 가열하며 눌러줌으로써 귀끈을 흐트러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마스크 파지부(190)는 마스크 포장부(200) 상에 설치되어 제작된 마스크를 집어서 파우치 비닐(V, 도 8 참조) 속으로 투입할 수 있다. 마스크 파지부(190)는 한 쌍의 손가락 집게로 마스크(M)를 선택적으로 집어서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마스크 파지부(190) 전체가 모터에 의해 상하로 90도 회동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파지부(190)의 회동축이 모터에 의해 상하로 승강될 수 있다. 그래서, 마스크 파지부(190)는 수평하게 배치된 위치에서 마스크(M)를 파지하고, 하방으로 90도 회동된 다음 아래로 하강하여 마스크(M)를 놓아서 파우치 비닐(V)에 투입한 후, 다시 상승한 후 90도 회동하여 수평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마스크 파지부(190)는 하나의 마스크를 파우치 비닐(V)에 투입할 수도 있지만, 2개 내지 10개의 마스크를 파우치 비닐에 겹치도록 투입할 수도 있다.
마스크 포장부(200)는 마스크가 투입된 파우치 비닐(V)을 융착하여 마스크를 파우치에 포장할 수 있다. 마스크 포장부(200)는 롤에 권취된 파우치 비닐(V)을 권출하면서 가이드롤을 따라 공급하고, 마스크가 투입된 파우치 비닐(V)의 상측과 양측을 열융착하며 절단함으로써, 비닐 파우치에 마스크 포장을 완료할 수 있다.
포장된 마스크 파우치는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포장 완성품으로서 이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100)는 초음파융착부(120)에 의해 제작된 마스크 본체를 두 곳에 설치된 2개의 귀끈융착부(140)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원단투입부(110)와 초음파융착부(120)는 하나씩 설치되지만, 귀끈융착부(140), 귀끈프레스부(170), 마스크 파지부(190) 및 마스크 포장부(200)는 2세트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초음파융착부(120) 다음에 2개의 귀끈융착부(140) 중 하나로 마스크 본체를 선택적으로 이송하는 분배이송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배이송부(130)는 제작된 마스크 본체를 바로 좌측의 짧은 컨베이어 벨트로 이송하고, 다음에 마스크 본체를 바로 우측의 긴 컨베이어 벨트로 순차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음파융착부(120)는 마스크 본체를 0.5초에 하나씩 제작하고, 분배이송부(130)는 도면에서 우측에 있는 귀끈융착부(140)로 마스크 본체를 이송한 다음, 0.5초 후에 좌측에 있는 귀끈융착부(140)로 마스크 본체를 이송할 수 있다. 그러면 일측에 있는 귀끈융착부(140)에서 1초에 하나씩 귀끈을 융착하여 연결할 수 있다.
도 3은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의 귀끈프레스부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고, 도 4는 귀끈프레스부에서 귀끈접이부가 귀끈을 접어서 모은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며, 도 5는 귀끈프레스부에서 열프레스부가 귀끈을 가열하여 누르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상기 귀끈프레스부(170)는 마스크(M) 본체를 눌러서 고정하는 본체고정부(172)와, 한 쌍의 귀끈을 마스크(M)의 가운데 쪽으로 접는 한 쌍의 귀끈접이부(174)와, 한 쌍의 귀끈을 가열하며 누르는 한 쌍의 열프레스부(17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고정부(172)는 마스크(M)가 이송되어 귀끈이 부착된 면이 상방으로 향하도록 작업대 상에 놓이면, 하방으로 이동되어 마스크(M) 중앙 부위를 눌러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한 쌍의 귀끈접이부(174)는 작업대의 좌측 및 우측에 한 쌍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귀끈접이부(174)는 대체로 직사각형 판재의 내부에 직사각형 절개부가 형성되고, 마스크(M)를 향하는 가장자리 부위가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귀끈접이부(174)는 마스크(M) 중앙 쪽으로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한 쌍의 귀끈을 마스크(M) 중앙 쪽으로 접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열프레스부(176)는 마스크(M)의 한 쌍의 귀끈의 연결 부위 위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열프레스부(176) 내부 또는 하단면에는 히터가 구비되어, 한 쌍의 귀끈의 연결 부위를 열압착함으로써, 한 쌍의 귀끈이 중앙을 향해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100)는 귀끈융착부의 다음에 설치되고 한 쌍의 귀끈을 당겨서 광센서에 의해 귀끈이 떨어지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귀끈검사부(150), 및 귀끈검사부의 다음에 설치되어 귀끈이 떨어진 마스크를 취출하는 귀끈 불량 취출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귀끈검사부(150)는 한 쌍의 귀끈을 외측으로 당기는 한 쌍의 당김부재와, 한 쌍의 귀끈이 마스크 본체에 제대로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한 쌍의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귀끈검사부(150)는 한 쌍의 귀끈을 당겨서 광센서에 의해 귀끈이 떨어지는지 여부를 검사한 다음, 마스크 본체에서 귀끈이 떨어진 불량품 마스크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귀끈 불량 취출부(160)는 귀끈이 마스크 본체에 제대로 부착되어 있지 않고 떨어진 불량품을 장치 외측으로 취출하여 제거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에서 제작된 마스크를 이송하여 비닐 파우치에 포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는 마스크 이송부(180)가 필요하지만, 도 2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의 경우 마스크 이송부(180)가 필요하지 않다.
상기 마스크 포장부(200)는 귀끈융착부(140)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되어 파우치 비닐(V)을 공급하는 비닐공급부(210)와, 마스크 파지부(190)의 옆에 설치되어 파우치 비닐(V)을 벌리는 비닐벌림유닛(220)과, 마스크가 투입된 파우치 비닐(V)을 융착하는 비닐융착부(230, 240)를 포함할 수 있다.
비닐공급부(210)는 파우치를 구성하는 비닐(V)을 권취롤에서 권출하면서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파우치 비닐(V)은 하측이 연결되고 2겹이 겹친 상태로 공급되고, 나중에 비닐융착부(230, 240)에 의해 양측이 절단 및 융착되고 상측이 융착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벌림유닛(220)은 마스크 파지부(190)의 옆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진공흡착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진공흡착패드는 파우치 비닐(V)의 상부 외면에 선택적으로 흡착되어 파우치 비닐(V)을 벌려줄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진공흡착패드에는 축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축이 연결되고, 진공흡착패드 내부의 공기를 빨아들이는 호스와 펌프가 연결될 수 있다. 비닐벌림유닛(220)은 마스크 파지부(190)의 일측에 하나가 설치될 수도 있지만, 마스크 파지부(190)의 양측에 2개의 유닛이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융착부(230, 240)는 마스크가 투입된 파우치 비닐(V)의 측부를 세로방향으로 융착하는 세로비닐융착부(230)와, 파우치 비닐(V)의 상단부를 가로방향으로 융착하는 가로비닐융착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세로비닐융착부(230)는 파우치 비닐(V)의 수평방향 양측에 세로로 길게 배치된 한 쌍의 융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융착부재는 작동시 가열되고 밀착되어 그 사이로 지나가는 파우치 비닐(V)을 세로방향으로 융착하고 절단할 수 있다. 세로비닐융착부(230)는 마스크가 투입된 파우치 비닐(V)의 일측부를 세로방향으로 절단 및 융착한 다음, 파우치 비닐을 소정 거리 이동한 후 파우치 비닐(V)의 타측부를 세로방향으로 절단 및 융착할 수 있다.
가로비닐융착부(240)는 파우치 비닐(V)의 상단부 양측에 가로로 길게 배치되고 서로 밀착되고 가열되는 한 쌍의 융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융착부재는 작동시 가열되고 밀착되어 그 사이로 지나가는 파우치 비닐(V)의 상단부를 가로방향으로 융착할 수 있다.
마스크가 투입된 파우치 비닐(V)은 세로비닐융착부(230)에 의해 일측부가 융착 및 절단된 후 이동되고, 가로비닐융착부(240)에 의해 상단부가 융착된 다음, 세로비닐융착부(230)에 의해 타측부가 융착 및 절단된 후 이동됨으로써 포장이 완료될 수 있다. 세로비닐융착부(230)가 파우치 비닐(V)의 측부를 융착함과 동시에 절단할 수도 있으나, 파우치 비닐(V)의 양측부를 절단하는 절단기를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100)는 마스크 포장부(200)의 세로비닐융착부(230)와 가로비닐융착부(240)가 귀끈프레스부(170)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에 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100)는 마스크 포장부(200)의 세로비닐융착부(230)와 가로비닐융착부(240)가 귀끈프레스부(170)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그래서,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100)는 귀끈프레스부(170)를 지나서 제작된 마스크를 받아서 마스크 파지부(190)로 이송하는 마스크 이송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이송부(180)는 귀끈프레스부(170)에 수직으로 배치된 가이드레일 상에서 이동가능하고 회전 및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마스크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 받침대는 평판에 마스크 파지부(190)의 한 쌍의 손가락 집게와 간섭되지 않도록 한 쌍의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받침대는 평판 상에 놓인 마스크(M)가 떨어지지 않도록 마스크(M)의 세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마스크 이송부(180)는 제작된 마스크(M)를 받아서 90도 회전 및 상승하면서 수평하게 배치된 마스크 파지부(190)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파지부(190)는 마스크 이송부(180)에 놓인 마스크를 파지하고 하방으로 90도 회전되고 하강됨으로써, 파지하고 있던 마스크(M)를 파우치 비닐 속으로 투입할 수 있다. 이후에, 마스크 파지부(190)는 상승되고 상방으로 90도 회전됨으로써 원래의 수평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100)의 경우, 귀끈프레스부(170)를 거쳐서 제작된 마스크(M)는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송되어 바로 마스크 파지부(190)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이후, 파우치 비닐을 벌리고 파우치 비닐의 양측부와 상단부를 세로로 및 가로로 융착하는 것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진행될 수 있다.
도 13은 제1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4는 제1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15는 제2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6은 제2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100)는 귀끈융착부(140), 귀끈검사부(150), 귀끈 불량 취출부(160), 귀끈프레스부(170) 및 마스크 포장부(200)가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의 제1실시예의 경우, 한 쌍의 마스크 포장부(200) 전체가 귀끈융착부(140) 내지 귀끈프레스부(170)의 좌측에 그에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3의 제1실시예의 제1변형예의 경우, 한 쌍의 마스크 포장부(200) 전체가 귀끈프레스부(170)의 우측에 그에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4의 제1실시예의 제2변형예의 경우, 하나의 마스크 포장부(200) 전체가 좌측 귀끈프레스부(170)의 우측에 그에 평행하게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마스크 포장부(200) 전체가 우측 귀끈프레스부(170)의 좌측에 그에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2의 제2실시예의 경우, 한 쌍의 마스크 포장부(200) 중 좌측 비닐공급부(210)는 좌측 귀끈프레스부(170)의 좌측에 평행하게 설치되고, 비닐융착부(230, 240)는 귀끈프레스부(170)의 하류측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우측 비닐공급부(210)는 우측 귀끈프레스부(170)의 우측에 평행하게 설치되고, 비닐융착부(230, 240)는 귀끈프레스부(170)의 하류측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5의 제2실시예의 제1변형예의 경우, 한 쌍의 비닐공급부(210)가 한 쌍의 귀끈프레스부(170)의 우측에 그에 평행하게 설치되고, 한 쌍의 비닐융착부(230, 240)는 귀끈프레스부(170)의 하류측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6의 제2실시예의 제2변형예의 경우, 한 쌍의 비닐공급부(210)가 한 쌍의 귀끈프레스부(170)의 좌측에 그에 평행하게 설치되고, 한 쌍의 비닐융착부(230, 240)는 귀끈프레스부(170)의 하류측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2실시예의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는, 마스크 포장부의 비닐융착부가 비닐공급부에 대해 90도 절곡된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
M: 마스크
110: 원단투입부
112: 안감투입부
114: 필터투입부
116: 겉감투입부
120: 초음파융착부
130: 분배이송부
140: 귀끈융착부
150: 귀끈검사부
160: 귀끈 불량 취출부
170: 귀끈프레스부
172: 본체고정부
174: 귀끈접이부
176: 열프레스부
180: 마스크 이송부
190: 마스크 파지부
200: 마스크 포장부
210: 비닐공급부
V: 파우치 비닐
220: 비닐벌림유닛
230: 세로비닐융착부
240: 가로비닐융착부

Claims (5)

  1. 마스크 본체를 구성하는 원단들을 공급하는 원단투입부;
    상기 원단들을 겹쳐서 융착하여 마스크 본체를 제작하는 초음파융착부;
    상기 마스크 본체에 한 쌍의 귀끈을 융착하는 귀끈융착부;
    상기 한 쌍의 귀끈을 마스크의 중심 쪽으로 접어서 모으는 귀끈프레스부;
    상기 마스크를 집어서 파우치 비닐 속으로 투입하는 마스크 파지부; 및
    상기 마스크가 투입된 파우치 비닐을 융착하여 포장하는 마스크 포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귀끈프레스부는
    귀끈이 부착된 면이 위로 향하도록 마스크가 작업대에 놓이면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마스크 본체를 눌러서 고정하는 본체고정부와,
    작업대의 좌우에서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귀끈을 마스크의 가운데 쪽으로 접는 한 쌍의 귀끈접이부와,
    상기 한 쌍의 귀끈의 연결 부위 위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한 쌍의 귀끈을 가열하며 누르는 한 쌍의 열프레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스크 포장부는
    상기 귀끈융착부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되어 파우치 비닐을 공급하는 비닐공급부와,
    상기 마스크 파지부의 옆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진공흡착패드로 구성되어 상기 파우치 비닐을 벌리는 비닐벌림유닛과,
    상기 마스크가 투입된 파우치 비닐을 세로방향으로 융착하고 절단하는 세로비닐융착부와,
    상기 파우치 비닐의 상단부를 가로방향으로 융착하는 가로비닐융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귀끈융착부의 다음에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귀끈을 당겨서 광센서에 의해 귀끈이 떨어지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귀끈검사부; 및
    상기 귀끈검사부의 다음에 설치되어 귀끈이 떨어진 마스크를 취출하는 귀끈 불량 취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포장부의 비닐융착부는 상기 귀끈프레스부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귀끈프레스부를 지나서 제작된 마스크를 받아서 상기 마스크 파지부로 이송하는 마스크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
KR1020200123197A 2020-09-23 2020-09-23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 KR102500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197A KR102500550B1 (ko) 2020-09-23 2020-09-23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197A KR102500550B1 (ko) 2020-09-23 2020-09-23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245A KR20220040245A (ko) 2022-03-30
KR102500550B1 true KR102500550B1 (ko) 2023-02-17

Family

ID=80948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197A KR102500550B1 (ko) 2020-09-23 2020-09-23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5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70453B (zh) * 2022-04-15 2023-12-08 青岛大学附属医院 一种口罩生产设备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24525A (ja) * 2017-07-25 2019-02-2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KR102055606B1 (ko) * 2019-02-28 2020-01-14 용환기 보건용 마스크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102126080B1 (ko) 2020-03-22 2020-06-23 구한모 부직포수세미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525B1 (ko) * 2017-04-19 2022-12-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마스크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1968334B1 (ko) * 2017-07-03 2019-04-11 오성시스템 주식회사 로터리형 위생마스크 자동 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24525A (ja) * 2017-07-25 2019-02-2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KR102055606B1 (ko) * 2019-02-28 2020-01-14 용환기 보건용 마스크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102126080B1 (ko) 2020-03-22 2020-06-23 구한모 부직포수세미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245A (ko) 202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5606B1 (ko) 보건용 마스크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102485237B1 (ko) 마스크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JP5481007B2 (ja) マスクの耳掛け紐取付け装置
KR101651803B1 (ko) 마스크팩 제조장치
CN110062588B (zh) 用于在生产线中制造面罩的方法和系统
KR102013608B1 (ko) 안면 마스크 제조 프로세스에서 타이를 랩핑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500550B1 (ko)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
JP2004141628A (ja) 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
JP2018531853A (ja) 製造ラインにおいて、包装されたフェイスマスクをカートン内に自動的に積層させて充填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988201B1 (ko) 안면 마스크 제조 프로세스에서 타이를 랩핑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91048A (ko) 탐폰 제조 방법
JP6735343B2 (ja) 製造ラインにおいて、包装されたフェイスマスクをカートン内に自動的に積層させて充填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TW201103847A (en) Device for producing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absorbent article
KR20180016770A (ko) 마스크팩 제조장치
KR20180058435A (ko) 전자동 마스크시트 포장장치
KR102254640B1 (ko) 마스크 제조장치
KR102317307B1 (ko) 위생 마스크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마스크의 제조방법
CN206825942U (zh) 一种口罩耳带机
US8235958B2 (en)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absorbent article
KR20220030390A (ko) 클린기능을 보유한 마스크 제조장치
CN111137483B (zh) 麻醉包生产线
CN109606868A (zh) 一种纱布分拣装膜包装设备及包装方法
KR102348109B1 (ko) 한방침 자동 포장장치
KR102618186B1 (ko) 마이크로니들 패치 조립체의 제조 및 포장 장치
JP6188220B2 (ja) パンツ型着用物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