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048B1 - 착용감을 개선한 편평한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착용감을 개선한 편평한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048B1
KR102014048B1 KR1020190041678A KR20190041678A KR102014048B1 KR 102014048 B1 KR102014048 B1 KR 102014048B1 KR 1020190041678 A KR1020190041678 A KR 1020190041678A KR 20190041678 A KR20190041678 A KR 20190041678A KR 102014048 B1 KR102014048 B1 KR 102014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member
steam
roller
unit
pa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병조
Original Assignee
서병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병조 filed Critical 서병조
Priority to KR1020190041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0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단가가 낮은 원형 단면의 실부재를 이용해 편평하게 성형된 귀걸이밴드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스크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시킴은 물론 마스크의 착용감을 개선하고 귀걸이밴드의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착용감을 개선한 편평한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방법{Manufacturing device for flat type mask band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착용감을 개선한 편평한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형 단면의 실부재를 편평하게 가공 성형하여, 처음부터 원가가 상대적으로 높은 편평한 실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마스크의 제조원가를 대폭 하락시킬 수 있으며 편평한 실부재를 사용하여 마스크를 제조하는 만큼 마스크의 착용감이 편안해지고 터치감이 좋아지며 귀걸이밴드의 높은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는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황사는 바람에 의하여 하늘 높이 불어 올라간 미세한 모래먼지 등이 대기 중에 퍼져서 하늘을 덮었다가 서서히 떨어지는 현상으로 아주 오래전부터 발생된 자연현상이었으며, 봄철에 단 며칠간만 발생하여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는 수준이었지만 최근 지구의 온난화와 급격한 산업화로 인해 대기오염이 심해지면서 황사에 오염물질이 부착되어 국민의 건강을 위협하는 위험요소가 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중국에서 발생한 황사가 10km의 고공에서 편서풍을 타고 수천km를 날아오기 때문에 그 입자의 크기가 통상의 황사입자의 크기로 알려져 있는 직경 0.2~20㎛의 범위가 아니라 대부분은 2㎛이하의 미세한 것이기 때문에 더욱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최근에는 황사뿐만 아니라 공기 중의 분진, 먼지, 자동차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 그리고 중국에서 유입되는 중금속 오염물질과 스모그 등이 공기 중에 다량 함유되어 있어 사람이 그대로 노출되면 호흡기 질환뿐만 아니라 눈병, 피부병 등을 앓을 염려가 있으며, 이러한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 증가와 어린이들의 각종 알레르기성 증상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이렇게 산업화가 가속되고 환경오염물질의 지속적인 증가와 황사로 인한 미세먼지 등이 증가하는 추세이고, 여기에 신종 바이러스의 발현으로 인한 위협이 높아짐에 따라 호흡기로 침투하는 것을 막기 위해 마스크의 착용이 필수가 되고 있다.
마스크의 착용이 일반화됨에 따라 마스크의 필터링의 성능 외에도 마스크의 착용감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일반적인 마스크는 귀에 걸어 안면에 착용하기 때문에 오랜시간 착용하게 되면 귀걸이밴드가 귀를 압박해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마스크의 착용감 향상을 위해선 귀걸이밴드의 재질, 형태 등이 마스크 선택에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일반적인 마스크의 경우 귀걸이밴드가 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신축성 있는 천연 또는 합성수지 원사로 직, 편조되거나, 인발 사출되어 제조된다.
원형 단면의 귀걸이밴드의 경우 제조가 간단하여 단가가 저렴하기 때문에 마스크 제조에 따른 원가절감 측면에서 유리한 부분이 있으나, 장시간 착용하게 되면 피부를 압박해 혈액의 흐름을 방해하거나 통증을 쉽게 유발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피부와의 접촉면적을 넓게 하여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편평한 귀걸이밴드가 사용되고 있으나, 편평한 귀걸이밴드의 경우 제조 방법이 까다롭고 신규투자설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대량생산을 요구하는 일회용 마스크에 적용하기에는 원가절감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51667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상대적으로 단가가 낮은 원형 단면의 실부재를 이용해 편평하게 성형된 귀걸이밴드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스크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시킴은 물론 마스크의 착용감을 개선하고 귀걸이밴드의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방법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원형 단면의 실부재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에서부터 공급되는 실부재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며 상기 실부재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비틀려있는 실부재를 풀어주는 전처리부; 상기 전처리부의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전처리부를 통과한 실부재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부; 및 상기 스팀부의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스팀부를 통과한 실부재를 가열 압착하는 압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처리부는, 상기 실부재가 통과되는 삽입구와 배출구가 마련되며 격판에 의해 내부 공간이 복수 개의 챔버로 구획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복수 개의 챔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챔버에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되며 챔버를 통과하는 실부재의 표면에 일정 주기로 접촉되는 롤러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챔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챔버를 통과하는 실부재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는 진동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롤러부재는, 회전축에서부터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며 끝단에는 실부재가 통과되는 통과홈이 절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 및 상기 통과홈을 통과하는 실부재의 표면을 쓸어내도록 상기 통과홈의 양측 벽면에 대칭 형성되는 브러쉬;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부재는 챔버를 통과하는 실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교호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팀부는, 스팀공급유닛; 상기 스팀공급유닛에 직결되는 직결라인이 마련되고 상기 스팀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이 충전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실부재가 통과되는 터널이 관통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충전된 스팀을 상기 터널을 통과하는 실부재에 분사하도록 상기 터널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분사노즐;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직결라인의 직하방에 배치되며 스팀공급유닛으로부터 토출되는 스팀의 토출압을 감쇄시키는 감쇄판;을 포함하며, 상기 압착부는, 히터가 내장된 메인롤러; 상기 메인롤러와 평행한 상태에서 메인롤러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메인롤러에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보조롤러; 및 상기 복수 개의 보조롤러에 무한궤도 형태로 밴딩되는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장치를 이용한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방법에 있어서, 전처리부를 향해 공급되는 비틀려진 실부재를 롤러부재와 진동롤러에 순차적으로 접촉시켜 원상태로 펴주는 단계; 원상태로 펴진 상태에서 터널을 통과하는 실부재에 스팀을 공급하는 단계; 및 원형 단면의 실부재가 편평한 실부재가 되도록 스팀이 공급된 실부재를 가열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원가가 낮은 원형 단면의 실부재를 편평한 실부재로의 가공 성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처음부터 원가가 상대적으로 높은 편평한 실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마스크의 제조원가를 대폭 하락시킬 수 있으며 편평한 실부재를 사용하여 마스크를 제조하는 만큼 마스크의 착용감이 편안해지고 귀걸이밴드의 높은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평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전처리부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롤러부재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롤러부재의 일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스팀부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B-B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압착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장치로 제조된 실부재를 이용해 제조된 마스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평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전처리부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롤러부재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롤러부재의 일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스팀부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B-B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압착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밴드 제조장치는 크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단면의 실부재를 공급하는 공급부(100), 상기 공급부(100)에서부터 공급되는 실부재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며 상기 실부재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비틀려있는 실부재를 풀어주는 전처리부(200), 상기 전처리부(200)의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전처리부(200)를 통과한 실부재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부(300) 및 상기 스팀부(300)의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스팀부(300)를 통과한 실부재를 가열 압착하는 압착부(4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공급부(100)에서부터 공급되는 실부재는 전처리부(200), 스팀부(300), 압착부(40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뒤 압착부(400)의 후단에 배치된 회수부(500)의 회수롤(510)에 말려 회수되는 구조를 갖춘다.
먼저, 공급부(100)에는 귀걸이밴드의 제조를 위한 실부재가 공급롤(110)에 감겨있으며 공급롤(110)에 감겨있는 실부재가 회수부(500) 측으로 와인딩되면서 실부재의 이동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전처리부(200), 스팀부(300), 압착부(400)는 공급부(100)와 회수부(500) 사이에서 귀걸이밴드의 제조를 위한 각각의 역할을 수행한다.
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실부재를 회수부(500) 측으로 와인딩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마련되거나, 회수롤(510) 자체가 회전하여 실부재를 와인딩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실부재가 공급부(100)에서 회수부(500) 측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실부재에 비틀림 하중이 가해지면서 실부재가 도 1에 확대 도시된 것처럼 뒤틀린 상태로 압착부(400)를 통과하게 될 우려가 발생된다.
실부재가 비틀려진 상태로 압착부(400)를 통과해 압착부(400)에 의해 가열 압착되면 압착된 실부재 상에 불특정 접철선이 발생되거나 실부재가 편평한 상태로 압착될 수 없기 때문에 이는 불량품 생산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밴드 제조장치는 압착부(400)를 통과하기 전 비틀려진 실부재를 원상태로 풀어줌으로써 불량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전처리부(200)는 실부재에 물리적인 접촉을 가해 비틀려진 실부재를 풀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처리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기 실부재가 통과되는 삽입구(211)와 배출구(212)가 마련되며 격판(213)에 의해 내부 공간이 복수 개의 챔버로 구획 형성되는 케이싱(210), 상기 복수 개의 챔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챔버에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되며 챔버를 통과하는 실부재의 표면에 일정 주기로 접촉되는 롤러부재(220) 및 상기 복수 개의 챔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챔버를 통과하는 실부재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는 진동롤러(2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2점쇄선은 챔버를 통과하는 실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이다.
케이싱(210)은 함체 형상으로 전면과 후면에 각각 삽입구(211)와 배출구(212)가 마련되고 내부 공간은 상기 격판(213)에 의해 제1 챔버(215), 제2 챔버(216) 및 제3 챔버(217)로 구획 구성된다.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실부재는 삽입구(211)를 통해 케이싱(210)의 챔버로 유입되고 챔버를 가로질러 배출구(212)를 향해 케이싱(2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실부재가 챔버를 가로지르는 과정에서 롤러부재(220)와 진동롤러(230)에 의해 뒤틀림이 풀어지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롤러부재(220)는 제1 챔버(215)와 제3 챔버(217)에, 진동롤러(230)는 제2 챔버(216)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롤러부재(220)는 챔버를 통과하는 실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교호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챔버(215)에 설치되는 롤러부재(220)의 경우 제1 챔버(215)를 통과하는 실부재의 상부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제3 챔버(217)에 설치되는 롤러부재(220)의 경우 제3 챔버(217)를 통과하는 실부재의 하부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롤러부재(220)의 회전 방향은 실부재의 이동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3을 기준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되는 실부재를 기준으로 제1 챔버(215)에 설치된 롤러부재(220)는 이에 반대되는 정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제3 챔버(217)에 설치된 롤러부재(220)는 역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비틀려진 실부재를 보다 쉽게 풀어줄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일 수 있다.
롤러부재(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21)에서부터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며 끝단에는 실부재가 통과되는 통과홈(223)이 절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222) 및 상기 통과홈(223)을 통과하는 실부재의 표면을 쓸어내도록 상기 통과홈(223)의 양측 벽면에 대칭 형성되는 브러쉬(224)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회전축(221)이 회전하면 이와 연동하여 블레이드(222)가 회전하게 되고 복수 개가 등각도로 배치된 블레이드(222)가 실부재의 표면에 순차적으로 접촉되면서 뒤틀린 실부재를 풀어주게 된다.
회전축(221)의 회전방향에 따라 블레이드(222)의 끝단이 실부재까지 회전이동되면 블레이드(222)의 통과홈(223)에 실부재가 수용된다. 이때, 통과홈(223)의 양측 벽면에 형성된 브러쉬(224)가 회전축(221)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실부재를 쓸어넘기게 되면 비틀려진 실부재가 원상태로 펴지게 되는 것이다.
진동롤러(230)는 제2 챔버(216)를 통과하는 실부재에 접촉해 실부재를 향해 미세진동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비틀려진 실부재가 원상태로 풀어지도록 하는데 기여한다.
진동롤러(230)의 내부에는 미세진동 또는 초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공지의 진동자 또는 초음파 혼이 내장될 수 있다.
정리하면, 전처리부(200)를 끊임 없이 통과되는 실부재에 롤러부재(220)와 진동롤러(230)가 작용하여 비틀려진 실부재를 원상태로 펴주게 되는 것이다.
설명하지 않았지만, 각각의 격판(213)에는 실부재가 통과되는 안내홈(214)이 관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팀부(300)는 실부재가 압착부(400)에 의해 압착될 때 압착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실부재에 스팀을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스팀부(300)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공급유닛, 상기 스팀공급유닛에 직결되는 직결라인(311)이 마련되고 상기 스팀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이 충전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실부재가 통과되는 터널(312)이 관통 형성되는 하우징(310),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 공간에 충전된 스팀을 상기 터널(312)을 통과하는 실부재에 분사하도록 상기 터널(312)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분사노즐(320) 및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직결라인(311)의 직하방에 배치되어 스팀공급유닛으로부터 토출되는 스팀의 토출압을 감쇄시키는 감쇄판(330)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스팀공급유닛은 고압 고온의 스팀을 생성하여 하우징(310)으로 공급할 수 있는 공지의 스팀발생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편의상 별도 도시는 생략하였다.
하우징(310)은 스팀공급유닛과 직결되어 고온 고압의 스팀을 전달받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310)의 터널(312)은 하우징(310)의 중심 부분에 형성되며 터널(312)을 통과하는 실부재에 스팀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받은 스팀이 분사된다.
하우징(31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된 스팀은 분사노즐(320)을 통해 터널(312)로 분사되는 구조를 갖추고 상기 분사노즐(320)은 터널(312)의 벽면을 따라 복수 개가 연이어 병렬 설치된다. 이때, 분사노즐(320)은 터널(312)을 통과하는 실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도록 터널(312)의 상부 내벽면과 하부 내벽면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스팀공급유닛으로부터 하우징(310)의 내부로 공급되는 스팀은 고압 상태이기 때문에 강한 압력으로 하우징(310)의 내부 공간을 향해 토출된다. 강한 압력으로 토출되는 스팀에 분사노즐(320)의 흡입단이 노출될 경우 스팀이 분사노즐(320)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없음과 아울러 복수 개의 분사노즐(320) 각각에 스팀을 균일하게 공급할 수 없게 된다.
이를 방지하고자, 상기 감쇄판(330)은 스팀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스팀이 하우징(310)의 내부 공간으로 확산되기 전 차폐하여 스팀의 압력을 감쇄시키고, 스팀이 하우징(310)의 내부 공간에 고루 확산되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특히, 감쇄판(330)은 도 7을 기준으로 좌, 우측 양단이 하향 경사지는 절곡 형태를 이루고 복수 개의 흐름구(331)가 타공될 수 있다.
즉, 스팀공급유닛으로부터 하우징(310)의 내부로 공급되는 스팀은 감쇄판(330)에 충돌하여 일부는 흐름구(331)를 통해 감쇄판(330)의 직하방으로 이동되고 일부는 감쇄판(330)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하우징(310)의 내부 공간 전체적인 부분으로 확산된다.
다음으로, 압착부(400)는 스팀부(300)를 통과해 수분을 머금은 실부재가 편평하게 형태 변형되도록 가열 압착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압착부(400)는 일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가 내장된 메인롤러(410), 상기 메인롤러(410)와 평행한 상태에서 메인롤러(4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메인롤러(410)에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보조롤러(420) 및 상기 복수 개의 보조롤러(420)에 무한궤도 형태로 밴딩되는 벨트(4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도 8의 확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부(400)를 통과하기 전 실부재는 원형 단면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부재가 압착부(400)를 통과해 압착이 이루어지면 편평한 상태의 실부재로 영구 변형되어 마스크 귀걸이밴드에 적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
복수 개의 보조롤러(420) 각각은 도 8을 기준으로 메인롤러(410)의 상부, 하부, 우측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고 이 상태의 보조롤러(420)에 벨트(430)가 대략 '⊃'자 형태로 밴딩되는 것이다.
스팀부(300)를 통과한 실부재는 메인롤러(410)의 접선방향을 따라 메인롤러(410)와 벨트(430) 사이 공간으로 이동되면서 압착이 이루어지는데, 위와 같은 보조롤러(420)의 배치구성을 통해 실부재가 대략 'S'자 형태로 이동되면서 압착이 이루어지게 되며 압착이 완료된 실부재는 메인롤러(410)의 하부 측으로 배출된다. 도 8에 도시된 2점쇄선은 챔버를 통과하는 실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이다.
압착부(400)를 통과한 실부재는 편평한 상태가 되어 회수부(500)에 권취 보관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에 대해 설명하겠다. 본 작용에서는 전술한 귀걸이밴드 제조장치를 이용해 마스크 귀걸이밴드의 제조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귀걸이밴드 제조장치의 구성에 대해선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실부재가 전처리부(200), 스팀부(300), 압착부(400)를 지나 회수부(500)에 권취되도록 세팅한다. 그 다음, 회수부(500)에서 실부재를 와인딩하여 회수롤(510)에 권취하면서 마스크 귀걸이밴드의 제조를 개시한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부재가 전처리부(200)를 통과하게 되면 전처리부(200)를 향해 공급되는 비틀려진 실부재를 롤러부재(220)와 진동롤러(230)에 순차적으로 접촉시켜 원상태로 펴준다.
전처리부(200)를 통과하는 실부재는 케이싱(210)의 챔버를 가로지르게 되는데 챔버에 설치된 롤러부재(220)와 진동롤러(230)가 실부재에 접촉하여 비틀려진 실부재를 풀어주게 된다.
롤러부재(220)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실부재에 일정 주기로 접촉하게 되는데 회전축(221)을 기준으로 블레이드(222)들이 회전하면서 블레이드(222)의 끝단이 실부재에 교번적으로 접촉하는 원리이다.
블레이드(222)의 끝단이 실부재에 접근하면 실부재가 통과홈(223)에 수용되면서 브러쉬(224)가 실부재를 쓸어내려 비틀려진 실부재를 풀어주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실부재가 원상태로 펴진 상태에서 터널(312)을 통과하는 실부재에 스팀을 공급한다. 압착부(400)에 의해 가열 압착되기 전 스팀부(300)에 의해 스팀을 충분히 머금은 실부재는 압착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원형 단면의 실부재가 편평한 실부재가 되도록 스팀이 공급된 실부재를 가열 압착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실부재의 가열 압착하는 공정은 압착부(400)에 의해 이루어지며 특히, 스팀부(300)를 통과한 실부재는 메인롤러(410)의 접선방향을 따라 메인롤러(410)와 벨트(430) 사이 공간으로 이동되면서 압착이 이루어지는데, 실부재가 대략 'S'자 형태로 이동되면서 압착이 이루어지게 되며 압착이 완료된 실부재는 메인롤러(410)의 하부 측으로 배출된다.
압착부(400)에 의해 압착이 완료된 실부재는 회수부(500)의 회수롤(510)에 권취되어 보관되다가 마스크 귀걸이밴드의 제조를 위해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마스크 본체에 결합시키는 과정이 수행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된 귀걸이밴드를 채용한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귀걸이밴드(B)가 편평하게 성형되기 때문에 피부와의 접촉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마스크를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피부해 가지는 자극이 최소화되며 내구성 측면에서도 원형 단면의 귀걸이밴드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원가가 낮은 원형 단면의 실부재를 편평한 실부재로의 가공 성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처음부터 원가가 상대적으로 높은 편평한 실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마스크의 제조원가를 대폭 하락시킬 수 있으며 편평한 실부재를 사용하여 마스크를 제조하는 만큼 마스크의 착용감이 편안해지고 귀걸이밴드의 높은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공급부 200: 전처리부
300: 스팀부 400: 압착부
500: 회수부 210: 케이싱
220: 롤러부재 230: 진동롤러
410: 메인롤러 420: 보조롤러
430: 벨트 211: 삽입구
212: 배출구 213: 격판
214: 안내홈 215: 제1 챔버
216: 제2 챔버 217: 제3 챔버
221: 회전축 222: 블레이드
223: 통과홈 224: 브러쉬
310: 하우징 320: 분사노즐
330: 감쇄판 331: 흐름구
510: 회수롤 110: 공급롤

Claims (5)

  1. 원형 단면의 실부재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에서부터 공급되는 실부재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며 상기 실부재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비틀려있는 실부재를 풀어주는 전처리부;
    상기 전처리부의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전처리부를 통과한 실부재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부; 및
    상기 스팀부의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스팀부를 통과한 실부재를 가열 압착하는 압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을 개선한 편평한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
    상기 실부재가 통과되는 삽입구와 배출구가 마련되며 격판에 의해 내부 공간이 복수 개의 챔버로 구획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복수 개의 챔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챔버에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되며 챔버를 통과하는 실부재의 표면에 일정 주기로 접촉되는 롤러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챔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챔버를 통과하는 실부재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는 진동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을 개선한 편평한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는,
    회전축에서부터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며 끝단에는 실부재가 통과되는 통과홈이 절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 및
    상기 통과홈을 통과하는 실부재의 표면을 쓸어내도록 상기 통과홈의 양측 벽면에 대칭 형성되는 브러쉬;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부재는 챔버를 통과하는 실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교호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을 개선한 편평한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팀부는,
    스팀공급유닛;
    상기 스팀공급유닛에 직결되는 직결라인이 마련되고 상기 스팀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이 충전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실부재가 통과되는 터널이 관통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충전된 스팀을 상기 터널을 통과하는 실부재에 분사하도록 상기 터널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분사노즐;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직결라인의 직하방에 배치되며 스팀공급유닛으로부터 토출되는 스팀의 토출압을 감쇄시키는 감쇄판;을 포함하며,
    상기 압착부는,
    히터가 내장된 메인롤러;
    상기 메인롤러와 평행한 상태에서 메인롤러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메인롤러에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보조롤러; 및
    상기 복수 개의 보조롤러에 무한궤도 형태로 밴딩되는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을 개선한 편평한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장치.
  5. 청구항 4의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장치를 이용한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방법에 있어서,
    전처리부를 향해 공급되는 비틀려진 실부재를 롤러부재와 진동롤러에 순차적으로 접촉시켜 원상태로 펴주는 단계;
    원상태로 펴진 상태에서 터널을 통과하는 실부재에 스팀을 공급하는 단계; 및
    원형 단면의 실부재가 편평한 실부재가 되도록 스팀이 공급된 실부재를 가열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을 개선한 편평한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방법.
KR1020190041678A 2019-04-10 2019-04-10 착용감을 개선한 편평한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방법 KR102014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678A KR102014048B1 (ko) 2019-04-10 2019-04-10 착용감을 개선한 편평한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678A KR102014048B1 (ko) 2019-04-10 2019-04-10 착용감을 개선한 편평한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4048B1 true KR102014048B1 (ko) 2019-08-23

Family

ID=67763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678A KR102014048B1 (ko) 2019-04-10 2019-04-10 착용감을 개선한 편평한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048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279B1 (ko) * 2019-06-10 2020-06-17 김태식 걸이끈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및 마스크에 걸이끈을 장착하는 장치
KR102147862B1 (ko) * 2020-06-10 2020-08-26 주식회사 엘엠에스 마스크용 걸이밴드 부착장치
KR102237295B1 (ko) 2020-08-25 2021-04-07 주재영 연속식 마스크 제조장치
KR102262915B1 (ko) 2020-08-20 2021-06-10 남원식 마스크 제조 설비 및 방법
KR102276238B1 (ko) 2020-11-04 2021-07-13 (주)앤피에스 용착 장치
KR102305977B1 (ko) 2020-10-30 2021-09-29 주식회사 에스제이하이테크 연속식 마스크 제조장치
KR102344916B1 (ko) 2020-08-20 2022-01-03 주식회사 앤피홀딩스 용착 장치 및 방법
WO2022019678A1 (ko) * 2020-07-24 2022-01-27 한동희 마스크 제조용 밴드 부착장치
KR102501023B1 (ko) 2021-08-11 2023-02-17 주식회사 영도트림아트 마스크용 이어밴드 제조장치
KR20230023889A (ko) 2021-08-11 2023-02-20 주식회사 영도트림아트 마스크용 이어밴드 인쇄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750Y1 (ko) * 2005-06-01 2005-08-17 홍순복 포장용 밴드 성형을 위한 건식용 연신장치
KR20070047253A (ko) * 2007-02-14 2007-05-04 대은산업(주) 밴드원단 연신용 가열장치 및 포장용 밴드 생산방법
KR101600005B1 (ko) * 2015-03-27 2016-03-15 주식회사 아미 일체형 방진마스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조방법
KR20170058330A (ko) * 2015-10-16 2017-05-26 아벤트, 인크. 안면마스크 제조 프로세스에서 노우즈 와이어를 절단 및 배치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751667B1 (ko) 2017-01-20 2017-07-11 유빈 귀걸이 일체형 다용도 마스크
KR20180117338A (ko) * 2017-04-19 2018-10-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마스크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750Y1 (ko) * 2005-06-01 2005-08-17 홍순복 포장용 밴드 성형을 위한 건식용 연신장치
KR20070047253A (ko) * 2007-02-14 2007-05-04 대은산업(주) 밴드원단 연신용 가열장치 및 포장용 밴드 생산방법
KR101600005B1 (ko) * 2015-03-27 2016-03-15 주식회사 아미 일체형 방진마스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조방법
KR20170058330A (ko) * 2015-10-16 2017-05-26 아벤트, 인크. 안면마스크 제조 프로세스에서 노우즈 와이어를 절단 및 배치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751667B1 (ko) 2017-01-20 2017-07-11 유빈 귀걸이 일체형 다용도 마스크
KR20180117338A (ko) * 2017-04-19 2018-10-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마스크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279B1 (ko) * 2019-06-10 2020-06-17 김태식 걸이끈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및 마스크에 걸이끈을 장착하는 장치
KR102147862B1 (ko) * 2020-06-10 2020-08-26 주식회사 엘엠에스 마스크용 걸이밴드 부착장치
WO2022019678A1 (ko) * 2020-07-24 2022-01-27 한동희 마스크 제조용 밴드 부착장치
KR102262915B1 (ko) 2020-08-20 2021-06-10 남원식 마스크 제조 설비 및 방법
KR102344916B1 (ko) 2020-08-20 2022-01-03 주식회사 앤피홀딩스 용착 장치 및 방법
KR102237295B1 (ko) 2020-08-25 2021-04-07 주재영 연속식 마스크 제조장치
KR102305977B1 (ko) 2020-10-30 2021-09-29 주식회사 에스제이하이테크 연속식 마스크 제조장치
KR102276238B1 (ko) 2020-11-04 2021-07-13 (주)앤피에스 용착 장치
KR102501023B1 (ko) 2021-08-11 2023-02-17 주식회사 영도트림아트 마스크용 이어밴드 제조장치
KR20230023889A (ko) 2021-08-11 2023-02-20 주식회사 영도트림아트 마스크용 이어밴드 인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4048B1 (ko) 착용감을 개선한 편평한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방법
US3050430A (en) Jet and method of filter manufacture
US4363682A (en) Process for the superficial treatment of a fibrous filtering layer, which is non-woven and highly aerated, forming electret
US452261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cigarette filter rods
FR2583645A1 (fr) Respirateur
AU2008285800B2 (en) Filter and method for making a filter for a cigarette
RU2007126801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ержнеобразных курительных изделий
EP360935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heet like tobacco material
US2344106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reating tobacco
KR102188170B1 (ko) 플라즈마 피부 미용장치
US520375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obacco smoke filter rods
KR20190075275A (ko) 패치 삽입형 마스크
KR20030093350A (ko) 궐련용 필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US3405717A (en) Method of associating a filter section with a tobacco section or with one or more additional filter sections
US510635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obacco smoke filter rods
US2954773A (en) Cigarette filters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03027832A (zh) 压缩套筒
HU215013B (hu) Eljárás és berendezés hálószerű anyag előállítására, valamint hálószerű anyag
PL366814A1 (en) Method and appliance designed for manufacture of filter strip as well as filter or filter element
ATE256976T1 (de) Vorrichtung zum verbinden von axial fluchtenden zigaretten- filterstopfen- gruppen
JP2022008072A5 (ja) 防護衣
CN111568748A (zh) 一种眼部灸疗仪的制作方法
IE45153B1 (en) Biaxially orientated nonwoven fabrics
JP2005511073A (ja) フィルター、喫煙物品及びフィルターを含むフィルターストランド並びにかようなフィルター及び喫煙物品の製造方法と製造装置
CN203988986U (zh) 一种隔烟式多功能艾灸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