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667B1 - 귀걸이 일체형 다용도 마스크 - Google Patents

귀걸이 일체형 다용도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1667B1
KR101751667B1 KR1020170009997A KR20170009997A KR101751667B1 KR 101751667 B1 KR101751667 B1 KR 101751667B1 KR 1020170009997 A KR1020170009997 A KR 1020170009997A KR 20170009997 A KR20170009997 A KR 20170009997A KR 101751667 B1 KR101751667 B1 KR 101751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earring
mask body
present
tiss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빈
Original Assignee
유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빈 filed Critical 유빈
Priority to KR1020170009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16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9/00Cartridges with absorbing substances for respiratory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크를 귀에 고정하는 귀걸이가 별도의 봉제작업 없이도 마스크본체와 일체를 이루어 한 번에 제조할 수 있고, 특수한 환편 방식을 통해 귀걸이 부분에 신축성을 부여할 수 있어 착용하기도 쉽고 착용 후에도 귀가 당겨지지 않아 아프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마스크 용도 외에도 안대, 땀 닦이용 아대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귀걸이 일체형 다용도 마스크{Multipurpose Mask}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크를 귀에 고정하는 귀걸이가 별도의 봉제작업 없이도 마스크본체와 일체를 이루어 한 번에 제조할 수 있고, 특수한 환편 방식을 통해 귀걸이 부분에 신축성을 부여할 수 있어 착용하기도 쉽고 착용 후에도 귀가 당겨지지 않아 아프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마스크 용도 외에도 안대, 땀 닦이용 아대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귀걸이 일체형 다용도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와 입을 가리고 공기 중에 부유하는 분진이나 먼지를 들이마시지 않게 하는 방진,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흡입이나 비산을 막아 호흡기를 통하여 인체 내로 유해 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감기 등을 예방하는 보건 위생, 추운 날씨에 코와 입 주위의 방한 및 보온으로 찬공기로 인하여 피부를 상하게 하는 동절기 혹한으로부터 안면을 보호하는 방한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마스크는 주로 면직물이나 부직포로 이루어져 코와 입 부분을 가리면서 호흡할 수 있도록 된 마스크본체와, 상기 마스크본체의 양단에 봉제되어 귀에 걸어 마스크본체를 고정하는 귀걸이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마스크는 매우 다양한 형상과 형태가 있지만, 보편적으로 도 1의 예시와 같은 형상을 대표적으로 예시할 수 있다.
즉, 도 1에 따르면, 대표적인 마스크(100)는 마스크본체를 구성하는 외피(10)와 내피(20) 및 귀걸이(40)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외피(10)와 내피(20) 사이에 필터체를 구비하기도 한다.
그런데, 현재 개시되고 있는 대부분의 마스크들은 면직물 혹은 부직포를 일정형상으로 잘라낸 다음 둘레를 봉제하여 마감하면서 귀걸이(40)도 함께 봉제하여 고정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제조인력이 많이 소요되므로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별도의 봉제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그 만큼 생산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한 번 사용한 후에는 다른 용도로 재활용하기가 적당치 않아 대부분의 사람들이 폐기처분하고 있어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는 단점도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일환으로 환편기를 이용하여 별도의 귀걸이 고정을 위한 봉제공정없이 일체로 된 무봉제 마스크가 개시된 바 있지만, 이 경우에는 하나의 동일한 원사(주로 극세사)를 이용하여 단순 환편하여 편직하고 있기 때문에 귀걸이 부분의 신축성이 없어 한 번 착용하면 잘 벗겨지지 않으므로 오토바이 등을 탈 때에는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마스크를 착용하기가 매우 불편하고, 착용 후에도 마스크본체의 당김력 때문에 귀가 아파 착용을 기피하는 현상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614184호(2006.08.11.) '다기능 헤어웨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45421호(2010.05.03.) '무봉제 마스크'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2011-0011258호(2011.12.06.) '마스크'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마스크를 귀에 고정하는 귀걸이가 별도의 봉제작업 없이도 마스크본체와 일체를 이루어 한 번에 제조할 수 있고, 특수한 환편 방식을 통해 귀걸이 부분에 신축성을 부여할 수 있어 착용하기도 쉽고 착용 후에도 귀가 당겨지지 않아 아프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마스크 용도 외에도 안대, 땀 닦이용 아대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귀걸이 일체형 다용도 마스크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원통형상의 마스크본체; 상기 마스크본체의 양단에서 일정폭만큼 이격된 지점에 둘레방향으로 일정길이 터져 형성된 귀걸이공간; 상기 귀걸이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마스크본체와 일체를 이루고, 귀걸이공간과 대응되는 길이는 귀에 걸 수 있도록 형성된 귀걸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귀걸이공간을 기준으로 양측에는 제1,2풀림방지조직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2풀림방지조직부의 상단과 하단에는 마스크본체의 둘레방향으로 맞물기조직부가 일정폭 형성되며, 상기 맞물기조직부의 상하단은 탄성조직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2풀림방지조직부 및 맞물기조직부 및 탄성조직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는 제1,2일반조직부가 형성 조직구조를 갖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편기의 둘레방향으로 구비된 적어도 4개의 ①,②,③,④번 사도를 이용하여 귀걸이가 마스크본체에 일체화된 원통상의 마스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4개의 사도를 통해 실 공급을 단속(斷續)하여 제1일반조직부-제1풀림방지조직부, 맞물기조직부 및 상기 맞물기조직부에 연결되는 탄성조직부, 제2풀림방지조직부-제2일반조직부를 순차로 연속 편직하되, 상기 제1,2풀림방지조직부 사이에서는 귀걸이공간이 형성되게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마스크 제조방법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편기를 이용하여 마스크를 귀에 고정하는 귀걸이가 별도의 봉제작업 없이도 마스크본체와 일체를 이루어 한 번에 제조할 수 있고, 특수한 환편 방식을 통해 귀걸이 부분에 신축성을 부여할 수 있어 착용하기도 쉽고 착용 후에도 귀가 당겨지지 않아 아프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마스크 용도 외에도 안대, 땀 닦이용 아대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일회용으로 사용하던 마스크를 마스크로서 다수회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타용도로도 재활용이 가능하여 자원재활용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마스크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의 환편예 및 환편시 조직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의 착용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를 다른 용도로 활용한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의 다른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제조를 위한 조직구조를 부분 확대하여 보인 예시적인 실물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입, 눈, 코 등을 가릴 수 있는 마스크본체(200)와, 상기 마스크본체(200)를 안면에 밀착시키면서 마스크본체(200)가 얼굴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귀에 걸어 고정하는 귀걸이(210)를 포함한다.
다만, 기존과 다른 것은 귀걸이(210)를 무봉제 방식으로 제조하여 마스크본체(200)와 일체를 이루게 하되, 단일의 편직사를 이용하여 도 3의 (b)와 같이 4개의 사도(실 공급지점)를 통해 실을 공급하거나 공급하지 않거나를 조절하고 또한 각 사도별로 실을 짜는 방식을 달리함으로써 단일의 편직사임에도 불구하고 신축성, 강도, 터짐 등을 조절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서로 다른 특수사를 병합하게 되면 도 9와 도 10의 실물 제조예와 같이 색상을 부여할 수도 있고, 무늬를 넣을 수도 있으며, 두께를 조절할 수도 있고, 도 11처럼 특정부분, 이를 테면 코와 입이 위치하는 부위만을 더 보강하거나 방진성은 높이면서 숨쉬기는 더 편리하게 편직하거나 혹은 색상과 무늬 차이로 인해 서로 다른 느낌의 다양한 마스크를 만들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이다. 이때, 도 9와 도 10은 동일 마스크의 앞, 뒤를 보여주는 실물 사진이다. 나아가, 마스크본체(200)가 원통형이기 때문에 마스크본체(200)의 내부와 외부를 다르게 편직하여 또다른 느낌을 갖도록 도 12처럼 편직할 수도 있는데, 이것 역시 4개의 사도를 이용함으로써 가능하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의 마스크본체(200)는 원통형이기에 도 12와 같이 원통형의 내부와 외부가 서로 다르게 편직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원통형의 마스크 본체를 뒤집어 사용함으로서 새로운 느낌의 마스크를 구현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마스크본체(200)와 귀걸이(210)가 환편기를 통해 한 번에 편직되어 제조되기 때문에 별도의 귀걸이(210) 부착이나 혹은 마스크본체(200)의 둘레를 봉제하여 마감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즉, 기존에는 시트 형태의 마스크본체를 준비한 다음, 별도의 봉제공정을 거쳐 마스크본체의 둘레를 봉제하여 마감하면서 귀걸이(210)를 다시 봉제하여 붙이는 작업이 필요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그러한 공정 자체가 필요없게 되어 공정 간소화를 이루고, 나아가 봉제에 필요한 인력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본체(200)는 환편기를 통해 원통형상으로 편직되면서 귀걸이(210) 형성 부분에서는 부분적으로 편직하지 않도록 하여 귀걸이공간(220)을 만들고, 다시 연속하여 편직함으로써 귀걸이(210)가 일체로 구비되는 마스크를 만들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마스크본체(200)가 두 겹 형태가 되므로 이중 필터링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보온성, 방한성을 물론 방진성이 더욱 증대된다.
이러한 마스크는 도 4의 예시와 같이 귀걸이(210)를 귀에 걸어 마스크본체(200)의 양단부가 당겨지게 함으로써 얼굴에 밀착시키는 형태로 착용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예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마스크본체(200)가 환편된 원통형상을 직경방향을 따라 반으로 접어 사용하는 것이므로 황사가 극심하거나 먼지가 너무 많거나 미세먼지를 더 거를 필요가 있을 경우 두 겹의 마스크본체(200) 사이로 필터체(230)를 삽입하여 두 겹 사이에 개재시킨 상태로 착용하게 되면 방진 효과를 더욱 더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별도의 미세먼지 여과용 방진전용 마스크를 구매할 필요없이 그냥 필터체(230)만 끼워서 쓰면 그와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불필요시에는 필터체(230)만 빼내면 곧바로 일반 마스크로 사용할 수 있어 효용성이 현격히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필터체(230)를 필요에 따라서 교체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마스크는 한번 사용하게 되면 필터링 효과가 저하되므로 일회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었지만, 본 발명에 의한 마스크는 필터체(230)만 새로운 필터체로 교체하여 사용하면 되므로, 마스크본체(200)를 세척후에 새로운 필터체(230)를 삽입시켜서 마스크로서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기존 마스크가 1회 착용 후 마스크로는 사용할 수 없는데 다른 특별한 용도도 없어 폐기해야 했던 것과 달리, 세탁 후 도 5와 같이 원통형 마스크본체(200)를 벌려서 팔에 끼어 토시 혹은 운동할 때 땀을 닦을 수 있는 아대(200')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때, 귀걸이(210)는 엄지손가락에 걸어 사용하면 되고, 엄지손가락에 걸지 않은 부분의 탄성조직부(c)가 손목에 밀착 결합되어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1회 사용 후 세탁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버리지 않고, 도 6과 같이 안대(200")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그 형태가 원통형상이므로 마스크 본연의 방한, 방진 용도 외에 아대, 토시, 안대 등 다양한 형태로 용도 변경이 가능하여 다용도 특성도 갖는다는 점에서 기존 마스크와 차별화 된다.
덧붙여, 도 8의 예시와 같이, 환편기를 통해 환편할 때 귀걸이(210)가 두 군데 생기도록 마스크본체(200)의 양단 둘레에서 적어도 2군데의 귀걸이공간(220)이 생기도록 편직하면 착용 안정감을 더욱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는 귀걸이(210)가 2개 또는 4개 생기는 경우만 도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 그 갯수는 조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귀걸이(210)가 6개가 형성이 되면 마스크본체(200)를 세겹으로 접어서 마스크본체(200)의 한쪽에는 각각 3개의 귀걸이(210)가 위치하게 하여 사용한다. 이 경우에는 필터링 효과가 더욱 증대된다.
이러한 용도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도 3과 같은 형태의 조직 구조를 갖는다.
여기에서, 조직이란 환편기를 통해 환편할 때 부위별로 실을 짜는 방식을 달리하여 기존과 다른 효과, 즉 신축성을 가져 귀에 걸 때 쉽고 편리하게 하면서 착용 후 마스크본체(200)가 얼굴 쪽으로 잘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 귀걸이(210)가 귀걸이공간(220) 만큼 터져 있기 때문에 사용시 풀림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 귀걸이(210)가 연결되는 부분이 마스크본체(200)로부터 찢어지거나 터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 등의 효과를 통해 기존에는 얻을 수 없었던 본 발명만의 독특한 특징을 갖도록 마스크본체(200)의 양단부, 즉 귀걸이(210)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실짜기 형태, 이 형태를 조직이라고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환편기를 통해 편직되기 때문에 원통형태로 세웠다고 가정할 때 하단부터 서서히 올라오면서 원형상으로 편직되며, 따라서 하나의 환편기에서 마스크 전체가 만들어지게 되므로 별도의 봉제 공정이 필요없게 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의 조직은 도 3의 (a)에서와 같이, 마스크본체(200)의 대부분을 이루며 통상적으로 편직되는 제1,2일반조직부(A1,A2)와, 상기 마스크본체(200)의 양단부에 마련된 귀걸이공간(220)을 중심으로 외측은 귀걸이(210)가 되고 내측은 마스크본체(200)와 일체를 이루는데 이 부분은 각각 제1,2풀림방지조직부(D1,D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편직방법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제1,2일반조직부(A1,A2)와 제1,2풀림방지조직부(D1,D2)는 각각 동일한 조직으로서 설명의 편의상 나누어 설명하고 있을 뿐이다.
즉, 도 13의 실물 사진에서와 같이, 제1,2일반조직부(A1,A2)는 일반적인 직물의 편직방법으로서 형성되며, 이들 중 마스크본체(200)의 양단을 구성하는 제1일반조직부(A1)는 끝부분이 풀리지 않도록 올가매기식으로 구현함으로써 자연스럽게 말려들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올이 쉽게 풀리지 않고 보푸라기가 일지 않아 안정적인 마스크 구조를 갖추게 된다.
그리고, 제1,2풀림방지조직부(D1,D2)는 실, 즉 올이 풀리지 않도록 하여 사용시 풀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테면 편직에서 사용되는 '인터록 조직'이라고 보면 된다.
이러한 제1,2풀림방지조직부(D1,D2)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실물 사진과 같다.
또한, 제1,2일반조직부(A1,A2)는 상기 제1,2풀림방지조직부(D1,D2)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조직부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환편기로 실이 투입되는 공급지점, 즉 사도를 달리함으로써 가능하다.
동시에, 또다른 사도에서는 귀걸이공간(220)을 기준으로 연결되는 귀걸이(210)의 단부가 터지거나 찢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맞물기조직부(B)를 구성하는데, 이는 곱씹기 조직이라고 보면 된다. 물론, 귀걸이공간(220) 만큼은 편직이 이루어지지 않고 환편기가 공회전함으로써 공간을 갖도록 구성하게 된다.
즉, 도 16의 실물 사진에서와 같이, 귀걸이공간(220) 형성은 특정 사도를 통해 실을 공급하지 않음으로써 이루어지고, 귀걸이공간(220)이 더 커지지 않도록 마스크의 길이방향 양쪽이 맞물려 조직되도록 곱씹기 조직으로 편직하면 된다.
아울러, 통상 편직용어로 곱씹기란 겹쳐서 편직하는 것을 말하며, 겹쳐서 조직을 형성하기 때문에 겹친 부분의 고정력이 커져 쉽게 터지거나 찢어지지 않게 되어 귀걸이(210)을 안정적으로 결속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맞물기조직부(B)의 위쪽, 다시 말해 원통상이므로 후측 둘레는 모두 탄성조직부(C)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탄성조직부(C)는 일종의 펄편조직이라고 보면 이해하기 쉽다.
이 경우, 상기 탄성조직부(C)는 신축성을 갖기 때문에 조직완성 후 마스크본체(200)의 양단을 약간 안쪽으로 오므리는 특성이 있으며, 탄성 때문에 귀걸이(210)를 당겨 귀에 걸 때 걸기 쉽고 건 후에는 마스크본체(200)를 얼굴 쪽으로 밀착시키는 밀착력도 향상되어 방진성, 방한성을 더욱 더 증대시키게 된다.
특히, 탄성조직부(C)는 도 13 및 도 17에 예시한 실물 사진과 같이, 4개의 사도 중에서 일부 사도에 실이 공급되지 않아서 빈 공간이 생기고 이로 인해 다른 사도로 공급된 실들이 서로 밀착 결합되어서 조직이 촘촘하게 되며, 이에 따라 탄성을 갖게 된다.
아울러, 각 조직부를 조직하기 위한 모식적인 조직예는 도 2에서 부분별로 확대하여 예시한 'B', 'C', 'D1, D2'의 형태라고 보면 되는데, 각각 곱씹기, 펄편, 인터록 조직의 예라고 이해하면 된다.
이와 같은 조직을 갖추기 위한 편직방법, 즉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설명에 앞서, 도 3의 (b)에서 원(Circle)의 둘레방향으로 표시된 ①,②,③,④는 다수의 환편기 사도(실 공급지점)를 의미하고, 최대 4개의 사도를 응용하여 편조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가 제조된다.
때문에, 사도를 이용하여 실을 공급하거나 공급하지 않는 방식으로 귀걸이가 일체로 구비된 마스크를 만들 수 있으며, 조직 구조는 환편기 상의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제조방법은 도 3의 (a),(b)에서와 같이, ①,②,③,④번 사도를 통해 실의 공급을 조절할 수 있는 환편기를 이용하여 4개의 사도를 통해 실 공급을 단속(斷續)하여 제1일반조직부(A1)-제1풀림방지조직부(D1), 맞물기조직부(B) 및 상기 맞물기조직부(B)에 연결되는 탄성조직부(C), 제2풀림방지조직부(D2)-제2일반조직부(A2)를 순차로 연속 편직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2풀림방지조직부(D1,D2) 사이에서는 귀걸이공간(220)이 형성되며, 상술한 조직 구조 때문에 귀걸이(210)는 쉽게 풀리거나 양단이 쉽게 터지거나 찢어지지 않은 상태로 귀걸이공간(220)을 갖는 형태로 편직되게 된다.
이렇게 하면, 하나의 환편기를 통해 별도의 봉제공정없이 귀걸이(210)가 마스크본체(200)에 일체로 형성된 두 겹짜리 마스크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200: 마스크본체 210: 귀걸이
220: 귀걸이공간

Claims (5)

  1. 양단이 터진 원통형상에서 터진 양단이 양쪽 귀를 향하도록 겹쳐진 상태로 안면에 착용되는 마스크본체;
    상기 마스크본체의 양단에서 일정폭만큼 이격된 지점에 둘레방향으로 일정길이 터져 형성된 귀걸이공간;
    상기 귀걸이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마스크본체와 일체를 이루고, 귀걸이공간과 대응되는 길이는 귀에 걸 수 있도록 형성된 귀걸이;를 포함하며,
    상기 마스크본체와 귀걸이는 일체화되어 형성되되,
    상기 귀걸이공간을 기준으로 양측에는 제1,2풀림방지조직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2풀림방지조직부의 상단과 하단에는 마스크본체의 둘레방향으로 맞물기조직부가 일정폭 형성되며, 상기 맞물기조직부의 상하단은 탄성조직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2풀림방지조직부 및 맞물기조직부 및 탄성조직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는 제1,2일반조직부가 형성 조직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본체에는 상기 귀걸이 공간이 2개 또는 4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본체의 원통형 내부에 필터체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5. 삭제
KR1020170009997A 2017-01-20 2017-01-20 귀걸이 일체형 다용도 마스크 KR101751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997A KR101751667B1 (ko) 2017-01-20 2017-01-20 귀걸이 일체형 다용도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997A KR101751667B1 (ko) 2017-01-20 2017-01-20 귀걸이 일체형 다용도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1667B1 true KR101751667B1 (ko) 2017-07-11

Family

ID=59354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997A KR101751667B1 (ko) 2017-01-20 2017-01-20 귀걸이 일체형 다용도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166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048B1 (ko) 2019-04-10 2019-08-23 서병조 착용감을 개선한 편평한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방법
KR102112218B1 (ko) 2020-02-28 2020-05-19 (주)남영스타킹 무봉제 마스크 제조방법 및 무봉제 마스크
JP2021139083A (ja) * 2020-03-08 2021-09-16 順子 小林 急速拡大対応新型コロナウイルス感染・拡大防止マスク(地球環境対応リサイクルマスク)
KR20210144193A (ko) 2020-05-21 2021-11-30 김동만 다기능 마스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345B1 (ko) * 2012-03-28 2013-06-17 강호언 무봉제 마스크와 그의 제조방법.
JP2016107101A (ja) * 2014-12-02 2016-06-20 株式会社ワカイダ・エンジニアリング 着色識別領域を有する放射性物質除去用マ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345B1 (ko) * 2012-03-28 2013-06-17 강호언 무봉제 마스크와 그의 제조방법.
JP2016107101A (ja) * 2014-12-02 2016-06-20 株式会社ワカイダ・エンジニアリング 着色識別領域を有する放射性物質除去用マ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048B1 (ko) 2019-04-10 2019-08-23 서병조 착용감을 개선한 편평한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귀걸이밴드 제조방법
KR102112218B1 (ko) 2020-02-28 2020-05-19 (주)남영스타킹 무봉제 마스크 제조방법 및 무봉제 마스크
JP2021139083A (ja) * 2020-03-08 2021-09-16 順子 小林 急速拡大対応新型コロナウイルス感染・拡大防止マスク(地球環境対応リサイクルマスク)
KR20210144193A (ko) 2020-05-21 2021-11-30 김동만 다기능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1667B1 (ko) 귀걸이 일체형 다용도 마스크
KR101650167B1 (ko) 다기능 마스크
JP6744651B1 (ja) プリーツ型布マスク
CN114098189A (zh) 具有能够伸缩的耳挂部件的口罩
JP3227229U (ja) 再利用可能マスク、およびマスク
KR20180000919U (ko) 마스크
JP3185385U (ja) セパレート式着物の上衣、及びセパレート式着物
JP2006214021A (ja) 着回し自在被服
JP3166806U (ja) マスク
KR102240198B1 (ko)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00709A (ko) 편직 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1172900A (ja) マスク
JP4347155B2 (ja) 防塵用帽子
IT202000009418A1 (it) Mascherina facciale in tessuto e relativo metodo di produzione”
JP4349525B2 (ja) インナーキャップ
JP2008038316A (ja) 乳児用衣服
US20190343196A1 (en) Blind for skirt
KR102477882B1 (ko) 다용도 손수건
KR20220038891A (ko) 탈부착형 귀걸이끈을 갖는 안면 마스크
KR102450529B1 (ko) 서로 다른 여러 색상을 겹쳐 혼합된 색상이 표출되도록 제조되는 마스크의 제조방법 및 그 마스크
CN213188204U (zh) 一种3d透气防护口罩
CN209628676U (zh) 一种胸垫可拆睡裙
KR20220001421U (ko) 끈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천공이 된 마스크
WO2017223455A1 (en) Mask assembl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220029947A (ko) 마스크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