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891B1 - 제어기기의 부착구 - Google Patents

제어기기의 부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0891B1
KR102460891B1 KR1020180128040A KR20180128040A KR102460891B1 KR 102460891 B1 KR102460891 B1 KR 102460891B1 KR 1020180128040 A KR1020180128040 A KR 1020180128040A KR 20180128040 A KR20180128040 A KR 20180128040A KR 102460891 B1 KR102460891 B1 KR 102460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portion
panel
slit
control device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0661A (ko
Inventor
요시오 즈보네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60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0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16Elements for restraining, 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parts, e.g. for zeroi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수나사부의 조임에 의한 손상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제어기기의 부착 작업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패널(P)에 형성된 개구부(P1)에, 부착구(20)를 통해 온도 조절계(10)를 부착한다. 온도 조절계는, 개구부에 삽입되는 케이스(11)를 구비하고 있다. 부착구는, 본체부(21)에 형성되어 패널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중심축(C)이 연장되는 암나사부(22)와,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하여 패널에 가압력을 가하는 수나사부(23)를 구비하고 있다. 암나사부는, 그 둘레 방향에서 슬릿(47, 48)에 의해 분할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체부 및 암나사부에서는 슬릿 둘레가 변위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다.

Description

제어기기의 부착구{FIXING MEMBER FOR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패널의 개구부에 삽입한 상태로 부착되는 제어기기의 부착구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각종 제어기기에 있어서는, 패널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된 상태로 부착된다. 이 부착에서는, 패널의 전면측으로부터 제어기기의 케이스를 개구부에 삽입한 후, 패널의 후면측으로서 케이스의 상하 양측에 부착구를 장착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의 부착구는, 후크부를 통해 제어기기의 케이스에 장착되는 부착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부착 부재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이 암나사에 스크루 드라이버에 의해 조임 가능한 수나사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부착구에 의해 제어기기를 부착하는 경우, 제어기기의 케이스에 후크부를 걸어 맞추고 나서 수나사를 조임 조작하여, 패널의 후면에 수나사의 선단을 눌러 대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7-132827호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부착구에서는, 필요 이상의 힘으로 수나사의 조임 조작을 행하면, 패널이나 부착구, 제어기기에 있어서 변형이나 손상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토크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소정의 토크로 수나사를 조이면 해소할 수 있지만, 이 경우, 이러한 공구를 준비하거나, 작업 시에 통상의 스크루 드라이버와 교환하거나 하는 부담이 강제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수나사부의 조임으로 손상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어기기의 부착 작업의 부담 경감을 도모할 수 있는 제어기기의 부착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어기기의 부착구는, 미리 정해진 패널에 형성된 개구부에 제어기기를 삽입하고 패널의 후면측으로부터 나사로 가압한 상태로 부착하는 부착구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기의 케이스의 외면을 따르는 위치에 부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패널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중심축이 연장되는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패널에 가압력을 가하는 수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암나사부는 그 둘레 방향에서 슬릿에 의해 분할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릿 둘레가 변위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수나사부의 조임 토크가 필요 이상으로 커진 채로 조임 조작을 계속했을 때에, 암나사부를 직경 확장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고, 수나사부의 중심축 방향의 진행을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수나사부가 패널을 가압하는 힘을 적절히 유지하여 패널이나 부착구, 제어기기에 있어서의 변형이나 손상을 회피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토크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불필요로 하여 준비나 작업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암나사부가 슬릿에 의해 분할된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수나사부의 조임으로 손상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어기기의 부착 작업의 부담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부착구에 의해 온도 조절계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을 우측방으로부터 일부 단면시하여 본 도면.
도 3은 수나사부를 생략한 부착구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 선 단면도.
도 5는 수나사부를 생략한 부착구의 정면도.
도 6은 도 4의 B-B 선 단면도.
도 7은 수나사부의 조임 시의 암나사부와의 상대 변위의 흐름을 나타내는 설명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제어기기의 부착구에 관한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제어기기로서 온도 조절계를 채용한 경우를 설명하지만, 제어기기로는, 타이머나, 압력계 등의 측정기를 채용하는 등, 하술하는 바와 같이 부착을 행할 수 있는 한에서 여러가지 기기를 채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도 조절계는, 온도 센서나 열전대 등으로부터의 입력에 대하여, 히터 등에 출력을 행하여 온도 제어하는 장치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상」, 「하」, 「좌」, 「우」, 「전」, 「후」는, 각 도면에 있어서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이용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형태에서의 각 구성의 방향은, 일례에 불과하고, 임의의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부착구에 의해 온도 조절계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도 조절계(제어기기)(1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통 형상의 케이스(11)와, 케이스(11)의 전방에 연장 형성된 플랜지부(12)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플랜지부(12)의 전면측에는, 측정치나 설정치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이나,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되는 버튼 등이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11)의 후면측에는 단자부가 형성되고, 케이스(11)의 내부에는 프린트 기판 등이 형성되지만,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패널(P)에는, 후방 혹은 전방으로부터 본 경우에 직사각형을 이루는 개구부(P1)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P1)에 케이스(11)가 거의 간극 없이 삽입된다. 그리고, 패널(P)의 전면에, 플랜지부(12)의 후면이 접촉함으로써, 패널(P)에 대한 온도 조절계(10)의 후방으로의 변위가 규제된다.
도 2는, 도 1을 우측방으로부터 일부 단면시하여 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1)의 상벽부(11a) 및 하벽부(11b)에는, 전후 2개소 위치에 피걸어맞춤부가 되는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상벽부(11a) 및 하벽부(11b)의 각 구멍(13)에는, 각각 부착구(20)가 걸어 맞춰져 설치되어 있고, 2개의 부착구(20)를 통해 온도 조절계(10)가 패널(P)에 부착되는 구조가 된다. 여기서, 2개의 부착구(20)는, 동일 구조로 되고, 상하의 방향이 서로 반대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의 부착구(20)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벽부(11a)에 장착되는 부착구(20)에 관하여 설명하고, 하벽부(11b)에 장착되는 부착구(20)에 관한 설명은 생략 또는 간략하게 한다.
부착구(20)는, 상벽부(11a)의 외면을 따르는 위치에 부착되는 본체부(21)와, 본체부(21)에 형성되는 암나사부(22)와, 암나사부(22)에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부(23)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암나사부(22)를 포함하는 본체부(21)는, 열가소성 수지재 등의 수지를 이용한 일체 성형품으로 되고, 수나사부(23)는 스크루 드라이버 등의 공구에 의해 조임 조작할 수 있는 금속제의 나사가 이용된다.
도 3은, 수나사부를 생략한 부착구의 평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21)는, 전후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측벽(25)과, 각 측벽(25)의 하단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베이스벽(26)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체부(21)는, 각 측벽(25)의 전단측에 형성되는 전벽(27)과, 각 측벽(25)의 전후 방향 중간에서 전후 2개소 위치에 형성되는 중간벽(28)을 구비하고 있다.
도 4는 도 3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벽(26)에는, 전후로 나란히 전방 걸어맞춤부(31) 및 후방 걸어맞춤부(32)가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방 걸어맞춤부(31) 및 후방 걸어맞춤부(32)는, 측면시로 L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선단이 후방 방향이 되도록 굴곡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걸어맞춤부(31) 및 후방 걸어맞춤부(32)는, 전후 2개소의 구멍(13)에 삽입 가능한 위치 및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각 걸어맞춤부(31, 32)의 선단과 베이스벽(26)에 구멍(13)의 후방에 있어서의 형성 가장자리 근방을 사이에 둠으로써 상벽부(11a)에 대한 본체부(21)의 상하 방향의 변위가 규제된다.
도 4로 되돌아가, 암나사부(22)는, 전후 방향으로 중심축(C)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바꿔 말하면, 패널(P)(도 2 참조)의 주면이 되는 전후의 각 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중심축(C)이 연장되어 있다. 암나사부(22)는, 그 중심축(C)의 연장 방향(전후 방향)으로 분할되어 복수 개소(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서술하면, 암나사부(22)는, 중심축(C)을 사이에 두는 일측이 되는 상측이 제1 나사부, 중심축(C)을 사이에 두는 타측이 되는 하측이 제2 나사부로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나사부는 전측 제1 나사부(41) 및 후측 제1 나사부(42)로 이루어지고, 제2 나사부는 전측 제2 나사부(43) 및 후측 제2 나사부(44)로 이루어진다. 또한, 전측 제1 나사부(41) 및 후측 제1 나사부(42)의 각 상부 위치에는, 중심축(C)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47, 48)이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수나사부를 생략한 부착구의 정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 제1 나사부(41)는, 전벽(27)의 하단면을 반원호상으로 절결하고, 그 내주면에 나사 홈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된다. 전벽(27) 및 전측 제1 나사부(41)에는, 좌우 방향 중앙부에 슬릿(47)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측 제1 나사부(41)는, 그 둘레 방향에서 슬릿(47)에 의해 2 분할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바꿔 말하면 둘레 방향에서 슬릿(47)을 사이에 두고 2개소 영역에 형성된다. 또한, 전벽(27)도 좌우로 분할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전측 제1 나사부(41)에 있어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 힘이 가해졌을 때에, 슬릿(47)의 좌우폭이 넓어지도록 슬릿(47) 둘레의 전측 제1 나사부(41), 전벽(27) 및 이것에 연속되는 측벽(25)이 좌우 방향 외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측벽(25)은 슬릿(47)을 사이에 두는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도 4의 B-B 선 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측 제1 나사부(42)는, 반원통상체의 내주면에 나사 홈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도 3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측 제1 나사부(42)는, 전후 2개소의 중간벽(28)에 연속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일체로 형성된 후측 제1 나사부(42) 및 각 중간벽(28)에는, 좌우 방향 중앙부에 슬릿(48)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후측 제1 나사부(42)는, 그 둘레 방향에서 슬릿(48)에 의해 2 분할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바꿔 말하면 둘레 방향에서 슬릿(48)을 사이에 두고 2개소 영역에 형성된다. 또한, 각 중간벽(28)도 좌우로 분할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후측 제1 나사부(42)에 있어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 힘이 가해졌을 때에, 슬릿(48)의 좌우폭이 넓어지도록 슬릿(48) 주위의 후측 제1 나사부(42), 각 중간벽(28) 및 이것에 연속되는 측벽(25)이 좌우 방향 외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측벽(25)은 슬릿(48)을 사이에 두는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전측 제2 나사부(43)는, 전방 걸어맞춤부(31)의 상방 위치에서 베이스벽(26)을 상방으로부터 반원호형으로 오목하게 하고, 그 내주면에 나사 홈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된다(도 4, 도 5 참조). 또한, 후측 제2 나사부(44)는, 후방 걸어맞춤부(32)의 상방 위치에서 베이스벽(26)을 상방으로부터 반원호형으로 오목하게 하고, 그 내주면에 나사 홈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된다(도 4, 도 6 참조).
여기서, 각 나사부(41∼44)는, 앞에서부터 후방을 향하여 전측 제1 나사부(41), 전측 제2 나사부(43), 후측 제1 나사부(42), 후측 제2 나사부(44)의 순으로 형성되고, 각각이 전후 방향에서 중복되지 않도록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 제1 나사부(41) 및 후측 제1 나사부(42)는, 본체부(21)의 하방으로부터 보아 노출되고, 전측 제2 나사부(43) 및 후측 제2 나사부(44)는, 본체부(21)의 상방으로부터 보아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나사부(41∼44)의 금형에 의한 성형의 용이화를 도모하고 있다.
도 2로 되돌아가, 수나사부(23)는, 후단이 나사 머리가 되고, 선단이 전벽(27)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수나사부(23)는, 조임 조작을 행함으로써 패널(P)의 후면에 후방으로부터 가압력을 가하고, 플랜지부(12)와 수나사부(23)에 의해 패널(P)을 두께 방향으로부터 끼워넣음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패널(P)에 대한 온도 조절계(10)의 부착 방법을 설명한다. 또, 이러한 부착 방법에 있어서도, 2개의 부착구(20)의 취급은 상하 반전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행해지기 때문에, 여기서는, 상벽부(11a)에 부착되는 부착구(20)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우선, 패널(P)의 전면측으로부터, 온도 조절계(10)의 케이스(11)를 삽입하고, 플랜지부(12)의 후면과 패널(P)의 전면을 접촉시킨다. 이것에 전후하여, 부착구(20)로 암나사부(22)에 수나사부(23)를 나사 결합시키고, 수나사부(23)의 선단이 전벽(27)보다 약간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해 둔다. 그 후, 케이스(11)의 각 구멍(13)에 전방 걸어맞춤부(31) 및 후방 걸어맞춤부(32)를 삽입하고 나서 부착구(20)를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21)의 베이스벽(26)과 각 걸어맞춤부(31, 32)로 구멍(13)의 후방을 끼워넣어, 상벽부(11a)에 대한 본체부(21)의 상하 방향의 변위가 규제된다.
이 상태로부터, 수나사부(23)를 조임 조작하여 전방으로 변위시키고, 수나사부(23)의 선단을 패널(P)의 후면에 눌러 대어 가압력을 가한다. 이에 따라, 패널(P)에 대하여, 플랜지부(12)와 부착구(20)로 전후로부터 끼워넣음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이 끼워넣음력에 의해, 온도 조절계(10)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여 위치 결정할 수 있고, 패널(P)에 대한 온도 조절계(10)의 부착을 완료할 수 있다.
여기서, 수나사부(23)의 조임 토크는, 패널(P)에 대한 온도 조절계(10)의 부착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필요 이상으로 커져 본체부(21)나 패널(P) 등에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조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점에 관하여, 비교 구조로서 상기 실시형태의 슬릿(47, 48)을 형성하지 않고, 각 제1 나사부(41, 42)가 좌우로 분할되지 않는 구성에 관하여 고찰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토크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수나사부(23)의 조임 토크를 필요 이상으로 강하게 하면, 수나사부(23)에서는 전방 방향, 본체부(21)에서는 후방 방향으로 큰 힘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각 걸어맞춤부(31, 32)나, 케이스(11)의 구멍(13)의 주변이 변형, 손상되고, 나아가서는, 이러한 변형에 의해 패널(P)이나 플랜지부(12)의 표시 영역이 왜곡되도록 변형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부착구(20)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슬릿(47, 48)을 형성함으로써, 수나사부(23)의 조임 토크가 필요 이상으로 강해진 경우의 작용에 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수나사부의 조임 시의 암나사부와의 상대 변위의 흐름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 수나사부(23)의 조임에 대한 전측 제1 나사부(41)의 변위와, 후측 제1 나사부(42)의 변위는 동일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여기서는, 후측 제1 나사부(42)의 변위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도 7a에서는, 수나사부(23)와 후측 제1 나사부(42)가 통상 시의 상태로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수나사부(23)의 선단이 패널(P)(도 2 참조)에 접촉하고 있으면, 수나사부(23)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게 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수나사부(23)에서 도면 중 부호 23A를 부여한 나사산과, 암나사부(22)에 있어서의 후측 제1 나사부(42)에서 수나사부(23)의 나사산(23A)의 후방에 대향하는 나사산(42A)에 주목한다. 도 7a의 상태로부터 수나사부(23)를 조임 조작하면, 도면에 나타내는 정점 위치에서 본 경우, 후측 제1 나사부(42)에 대하여 수나사부(23)의 나사산(23A)이 후방으로 변위하게 된다.
이 변위에 의해,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나사산(23A, 42A)의 플랭크(사면)끼리가 서로 마찰하여, 수나사부(23)로부터 후측 제1 나사부(42)에 대하여 직경 확장하는 방향(도 7b에서는 상방)의 힘이 작용한다. 이 때, 후측 제1 나사부(42)에 슬릿(48)이 형성되기 때문에, 슬릿(48)의 좌우 방향의 폭이 넓어지도록 탄성 변형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도 7a로부터 도 7b의 상태로 변위하도록, 슬릿(48) 주위가 되는 후측 제1 나사부(42)나 본체부(21)에 있어서의 측벽(25)(도 3 참조) 등이 무리없이 탄성 변형된다.
도 7b의 상태로부터 더욱 수나사부(23)의 나사산(23A)이 후방으로 변위하면,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나사산(23A, 42A)의 정상점끼리가 접촉하며, 또한, 후측 제1 나사부(42)에서는 측벽(25) 등의 탄성에 의해 도 7c에서 하방향의 힘이 발휘된다. 이 상태에서, 각 나사산(23A, 42A)의 정상점끼리의 마찰 저항이 작아지면, 후측 제1 나사부(42)에 작용하는 하방향의 힘에 의해 후측 제1 나사부(42)가 가속하면서 기세 좋게 하방으로 변위한다. 그리고, 도 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산(42A)이 나사산(23A)의 전방의 나사 홈에 수용되어 도 7a의 상태로 되돌아가게 되고, 패널(P)에 대한 수나사부(23)의 가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7c의 상태로부터 도 7d의 상태로 후측 제1 나사부(42)가 변위할 때에, 후측 제1 나사부(42)가 수나사부(23)에 충돌하게 되고, 상기 충돌에 의해 「딸깍」이라는 소리를 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암나사부(22)나 본체부(21)의 각 부에 있어서의 탄성 변형이 복원됨으로써, 슬릿(48) 주위가 되는 후측 제1 나사부(42)의 변위가 해제된 타이밍에서 발음하게 되고, 이러한 발음을 실현하는 각 부에 의해 발음부가 구성된다.
또, 전술한 나사산(23A, 42A)의 상대 변위는, 나사산(23A, 42A)과 동일하게 인접한 관계의 나사산끼리에 있어서도, 동일한 요령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슬릿(47, 48)을 형성했기 때문에, 수나사부(23)의 조임 토크가 필요 이상으로 되었을 때, 암나사부(22)의 각 제1 나사부(41, 42)를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경 확장하도록 탄성 변형하여 변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나사부(23)의 조임 조작을 필요 이상으로 계속하더라도, 수나사부(23)가 전진하는 것을 정지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수나사부(23)에 의한 패널(P)의 가압력을 적절히 유지하면서, 패널(P)이나 부착구(20), 온도 조절계(10)에 과대한 응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손상, 변형을 막을 수 있다. 더구나, 토크 드라이버 등의 특수한 공구를 준비, 사용할 필요가 없어져, 설비상의 부담이나 작업상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수나사부(23)의 조임 토크가 필요 이상으로 커졌을 때에, 도 7c 및 도 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1 나사부(41, 42)의 나사산 정상점에 수나사부(23)의 나사산 정상점이 통과하도록 탄성 변형한다. 그 후, 슬릿(47, 48) 주위의 각 구성의 탄성 변형의 복원에 의해 소리를 발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조임 조작하는 작업자에게 조임 토크가 충분한 것을 용이하게 인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리가 발생한 시점에서 수나사부(23)의 조임 조작을 완료할 수 있어, 수나사부(23)의 가압력을 적절히 유지하면서, 작업 시간의 용이화,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암나사부(22)의 각 제1 나사부(41, 42)는 중심축(C)보다 상반부로서 슬릿(47, 48)을 사이에 두는 좌우 2개소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암나사부(22)의 둘레 방향에서 수나사부(23)에 접촉하는 영역을 조정함으로써, 수나사부(23)로부터 직경 확장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 영역도 조정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수나사부(23)의 조임 토크의 허용치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암나사부(22)에서 중심축(C)을 사이에 두고 각 제1 나사부(41, 42)에 대하여 각 제2 나사부(43, 44)가 대향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각 제1 나사부(41, 42)를 직경 확장하도록 탄성 변형하여 수나사부(23)가 하방으로 가압되게 되더라도, 수나사부(23)의 조임에 요하는 회전력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경(위치나 방향을 포함함), 치환, 변형되어도 좋다. 나아가서는,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되는 별도 기술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른 방법으로 실현할 수 있으면, 그 방법을 이용하여 실시되어도 좋다. 따라서, 특허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모든 실시양태를 커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온도 조절계를 포함하는 제어기기의 부착구에 적용한 구성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전술한 작용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면, 부착구 이외의 나사 구조에 의해 수나사부의 가압력을 필요로 하는 각종 기기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암나사부(22)의 중심축(C)의 연장 방향은, 패널(P)의 후면에 교차하는 방향이면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암나사부(22)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슬릿(47, 48)에 의해 2 분할했지만, 암나사부(22)의 둘레 방향의 길이를 늘이거나, 슬릿의 형성수를 늘리거나 하여 3 분할 이상으로 복수 분할하는 형상으로 해도 좋다. 또한, 암나사부(22)를 1개소의 슬릿을 제외하는 둘레 방향 전역에 형성하여 단면시로 C 자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구멍(13)의 형성 위치 및 부착구(20)의 장착 위치는, 케이스(11)의 상벽부(11a) 및 하벽부(11b)에 한정되지 않고, 케이스(11)의 좌우의 벽부에 추가 혹은 변경해도 좋다.
10 : 온도 조절계(제어기기) 11 : 케이스
20 : 부착구 21 : 본체부
22 : 암나사부 23 : 수나사부
25 : 측벽 41 : 전측 제1 나사부(제1 나사부)
42 : 후측 제1 나사부(제1 나사부) 43 : 전측 제2 나사부(제2 나사부)
44 : 후측 제2 나사부(제2 나사부) 47 : 슬릿
48 : 슬릿 C : 중심축
P : 패널 P1 : 개구부

Claims (6)

  1. 미리 정해진 패널에 형성된 개구부에 제어기기를 삽입하고 패널의 후면측으로부터 나사로 가압한 상태로 부착하는 부착구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기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연장 형성된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의 외면을 따르는 위치에 부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패널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중심축이 연장되는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패널에 가압력을 가하는 수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패널은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수나사부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암나사부는 그 둘레 방향으로 슬릿에 의해 분할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릿 둘레가 변위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슬릿 둘레의 변위에 따라 발음하는 발음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기의 부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을 사이에 두는 양측에는 측벽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측벽은 상기 암나사부에 있어서의 상기 슬릿 둘레의 변위에 따라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기의 부착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부는, 그 둘레 방향으로 상기 슬릿을 사이에 두고 복수 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기의 부착구.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부는, 중심축 방향으로 분할되어 복수 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기의 부착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부는, 중심축 위치를 사이에 두는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나사부와, 타측에 형성되는 제2 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나사부와 상기 제2 나사부는, 중심축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기의 부착구.
KR1020180128040A 2017-11-24 2018-10-25 제어기기의 부착구 KR1024608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25928A JP7013816B2 (ja) 2017-11-24 2017-11-24 制御機器の取付具
JPJP-P-2017-225928 2017-1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661A KR20190060661A (ko) 2019-06-03
KR102460891B1 true KR102460891B1 (ko) 2022-10-28

Family

ID=66849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040A KR102460891B1 (ko) 2017-11-24 2018-10-25 제어기기의 부착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013816B2 (ko)
KR (1) KR102460891B1 (ko)
CN (1) CN109838444B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1310A (ja) * 1999-09-21 2001-04-06 Rkc Instrument Inc 計器ケースの取付装置
JP2007132827A (ja) * 2005-11-11 2007-05-31 Yokogawa Electric Corp パネル計器の取付装置
JP2010271195A (ja) * 2009-05-21 2010-12-02 Yokogawa Electric Corp パネル計器
JP2014126159A (ja) * 2012-12-27 2014-07-07 Yoshitaka Akino ナットの緩み止め装置
JP2016201406A (ja) * 2015-04-08 2016-12-01 富士電機株式会社 制御機器の取付具、制御機器の取付構造及び制御機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9503B2 (ja) * 1994-12-07 1999-12-13 鈴野化成株式会社 棒状化粧材繰出容器
JP3518297B2 (ja) * 1997-11-28 2004-04-12 理化工業株式会社 計器ケースの取付装置
JP3518298B2 (ja) * 1997-11-28 2004-04-12 理化工業株式会社 計器ケースの取付装置
JP3613322B2 (ja) * 1999-09-21 2005-01-26 理化工業株式会社 計器ケースの取付装置
CN203180320U (zh) * 2013-03-08 2013-09-04 广东南粤电气有限公司 配电设备的面板与支架连接结构
GB201312988D0 (en) * 2013-07-19 2013-09-04 Crampton David Locking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of
US20170167526A1 (en) * 2014-02-06 2017-06-15 Lock'n Bolt Corporation Bolt provided with locking function
JP5946202B1 (ja) * 2015-01-07 2016-07-05 株式会社松永工基 あと施工アンカー
JP5945661B1 (ja) * 2015-06-23 2016-07-05 和富 岡 雌ねじ部品、雄ねじ部品及び座金部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1310A (ja) * 1999-09-21 2001-04-06 Rkc Instrument Inc 計器ケースの取付装置
JP2007132827A (ja) * 2005-11-11 2007-05-31 Yokogawa Electric Corp パネル計器の取付装置
JP2010271195A (ja) * 2009-05-21 2010-12-02 Yokogawa Electric Corp パネル計器
JP2014126159A (ja) * 2012-12-27 2014-07-07 Yoshitaka Akino ナットの緩み止め装置
JP2016201406A (ja) * 2015-04-08 2016-12-01 富士電機株式会社 制御機器の取付具、制御機器の取付構造及び制御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838444A (zh) 2019-06-04
KR20190060661A (ko) 2019-06-03
JP7013816B2 (ja) 2022-02-15
CN109838444B (zh) 2021-12-28
JP2019095342A (ja) 2019-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50357B (zh) 应变计保持装置
KR101970451B1 (ko) 조절 가능한 헤드장착 구조
US9457440B2 (en) Chattering vibration preventing jig for workpiece
JP4867992B2 (ja) 切削工具
JP2015113950A (ja) 連結ジョイント
KR102460891B1 (ko) 제어기기의 부착구
JP2016201406A (ja) 制御機器の取付具、制御機器の取付構造及び制御機器
JP2014085016A (ja) タイクランプ
KR101881660B1 (ko) 패널 계기의 장착 브래킷
JP5767988B2 (ja) 電子機器の工具構造
KR20160014410A (ko) 일체형 커브드프레임과 그 제조방법 및 성형지그
JP6162038B2 (ja) 打ち込み工具
JP4687040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ための接続装置
JP6740653B2 (ja) 画像表示モジュール,画像表示モジュール組立用シールドケース,及び画像表示モジュールの組立方法
JP5039480B2 (ja) 抜け防止部材、それを用いた抜け防止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
JP2006327141A (ja) 型締め装置
WO2022019239A1 (ja) ホルダ部材
JP7443824B2 (ja) 画像表示装置
US11486426B2 (en) Snap-fit
KR20170038590A (ko) 외부 패널 성형용 금형
JP4260829B2 (ja) インサート成形金型、及びインサート成形品
JP6700103B2 (ja) ケーブル固定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電気機器
JP6614489B2 (ja) 位置検出センサ
EP4040617A1 (en) Cable clamp, plasma head, and cable clamping method
JP2008095758A (ja) 返しを有する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