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449B1 - 금속성 토너 조성물 - Google Patents

금속성 토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449B1
KR102449449B1 KR1020170023461A KR20170023461A KR102449449B1 KR 102449449 B1 KR102449449 B1 KR 102449449B1 KR 1020170023461 A KR1020170023461 A KR 1020170023461A KR 20170023461 A KR20170023461 A KR 20170023461A KR 102449449 B1 KR102449449 B1 KR 102449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poly
resin
metallic pigment
bisphe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6198A (ko
Inventor
샘비 바룬
에이. 모랄레스 티라도 후안
엘. 스탬프 커크
Original Assignee
제록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록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제록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70106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Colouring agents for toner particles
    • G03G9/0902Inorganic compou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3Encapsulated toner particles
    • G03G9/09307Encapsulated toner particles specified by the shell material
    • G03G9/09342Inorganic compou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Colouring agents for toner part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02Preparation metho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02Preparation methods
    • G03G9/081Preparation methods by mixing the toner components in a liquefied state; melt kneading; reactive mix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21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characterised by physical parameters
    • G03G9/0823Electric parame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3Magnetic toner part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7Binders for toner particles
    • G03G9/08742Binders for toner particles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G03G9/08755Polyes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7Binders for toner particles
    • G03G9/08784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G03G9/08702 - G03G9/08775
    • G03G9/08797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G03G9/08702 - G03G9/08775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viscosity, solubility, melting temperature, softening temperatur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Colouring agents for toner particles
    • G03G9/0926Colouring agents for toner particles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3Encapsulated toner particles
    • G03G9/0935Encapsulated toner particles specified by the core material
    • G03G9/09357Macromolecular compounds
    • G03G9/0937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7Plasticisers; Charge controlling agents
    • G03G9/09708Inorganic compou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7Plasticisers; Charge controlling agents
    • G03G9/09708Inorganic compounds
    • G03G9/09716Inorganic compounds treated with organic compou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7Plasticisers; Charge controlling agents
    • G03G9/09783Organo-metallic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표면을 갖는 토너 입자(여기서, 토너 입자는 적어도 1종의 토너 수지를 포함함); 토너 입자의 표면에 결합된 금속성 안료; 및 금속성 안료 위에 배치된 절연성 표면 첨가제를 포함하는, 토너 조성물.

Description

금속성 토너 조성물{METALLIC TONER COMPOSITIONS}
본 명세서에서는 표면을 가진 토너 입자; 토너 입자의 표면에 결합된(bonded) 금속성 안료; 및 금속성 안료 위에 배치된 절연성 표면 첨가제를 포함하는 토너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토너 용도를 위한 통상의 인쇄 시스템은 사이안, 마젠타, 황색 및 흑색(CMYK) 토너 스테이션(station)들을 포함하는 4개의 스테이션으로 구성된다. 제록스(Xerox)(등록상표) 회사는 제5 컬러 또는 특정 컬러의 첨가를 통해서 전체 연장을 가능하게 하는 제5 제록스식(xerographic) 스테이션의 개념을 포함하는 인쇄 시스템을 개발 중에 있다.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 이 기계는 제5 스테이션에서 CMYK 토너 + 제5 컬러를 운용할 수 있다. 이 신규한 시스템의 능력을 더욱 증가시키고 소비자에게 신규한 인쇄 능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5 스테이션에서 또한 운용될 수 있는 금속성 잉크 제제를 개발하는 것이 요망된다. 금속성 색조, 특히, 은 또는 금을 만들 수 있는 토너들은, 예를 들어, 웨딩 카드, 초대장, 광고 등에서 그들의 심미적 호소를 위하여 인쇄소 소비자에 의해 특히 요망된다. 금속성 색조는 CMYK 원색 혼합물로부터 얻어질 수는 없다.
금속성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요건은 광을 반사하고 목적으로 하는 금속성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토너 내 평탄한 반사성 안료의 혼입이다. 알루미늄 플레이크 안료는 그의 상업적 입수 가능성 및 저렴한 비용으로 인해 금속성 은 토너를 제조하기 위한 하나의 가능한 선택지이다. 그러나, 금속성 색조 은 토너를 작성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플레이크 안료의 사용에 관한 도전 과제가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토너는 알루미늄 안료의 증가된 전도도로 인해 낮은 하전량을 지닐 수 있다. 커다란 알루미늄 금속 플레이크 안료를 토너 속으로 혼입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최대 금속성 색조를 달성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플레이크 안료의 배향을 최적화시키는 것도 곤란하다. 나아가, 폭발성 알루미늄 분말의 가공처리 및 취급에 대한 안전성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안료를 수지 속으로 용융 혼합하고 나서 분쇄, 분급화 및 첨가제 배합을 포함하는 통상의 방법에 의한 토너의 제조에 있어서, 분쇄 단계 동안 전도성 알루미늄으로부터의 스파크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현재 입수 가능한 토너 및 토너 공정(toner process)은 그들의 의도된 목적을 위하여 적합하지만, 개선된 금속성 토너 및 이를 제조하는 공정에 대한 요구가 남아 있다. 또한 은 금속성 토너를 제조하는 실행 가능한 공정에 대한 요구도 남아 있다.
표면을 갖는 토너 입자(여기서, 토너 입자는 적어도 1종의 토너 수지를 포함함); 토너 입자의 표면에 결합된 금속성 안료; 및 금속성 안료 위에 배치된 절연성 표면 첨가제를 포함하는, 토너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표면을 갖는 토너 입자(여기서, 토너 입자는 비정질 폴리에스터 수지를 포함함); 토너 입자의 표면에 결합된 금속성 안료; 및 금속성 안료 위에 배치된 절연성 표면 첨가제를 포함하는, 토너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적어도 1종의 토너 수지를 제공하는 단계; 임의로, 적어도 1종의 토너 수지를 용융, 혼련 및 냉각시키는 단계; 목적으로 하는 입자 크기를 가진 모 토너 입자(parent toner particle)를 얻도록 분쇄하는 단계; 모 토너 입자의 표면 상에 금속성 안료를 배치하는 단계(여기서 금속성 안료는 모 토너 입자의 표면에 결합됨); 및 임의로, 금속성 안료 위에 절연성 표면 첨가제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토너 공정이 기재되어 있다.
도 1은 토너 표면에 결합된 알루미늄 플레이크를 구비한 은 금속성 토너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 및 비교 토너 조성물에 따라서 2가지 토너 조성물에 대한 플롭 지수(Flop Index)(y-축) 대 TMA(mg/㎠, x-축)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오일 첨가제를 함유한 그리고 함유하지 않은 은 토너용의 마찰 하전량(Tribo Charge)(μC/g, y-축) 대 도료 진탕 시간(분, x-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개시내용은 표면을 가진 토너 입자; 토너 입자의 표면에 결합된 금속성 안료; 및 금속성 안료 위에 배치된 절연성 표면 첨가제를 포함하는 토너 조성물을 제공한다.
토너는 기계적 분쇄 공정에 의해 제조된 통상의 토너 및 에멀전 응집 및 현탁 중합 등과 같은 화학적 공정에 의해 제조된 화학적 토너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또는 바람직한 토너일 수 있다.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토너는 분쇄 및 분급화 방법에 의해 제조된 통상의 토너이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개시내용은 토너 표면에 결합된 알루미늄 플레이크 금속성 안료를 구비하는 통상의 (분쇄된) 토너 제제를 제공하고, 그리고 안정적인 하전을 가능하게 하는 절연성 실리콘 오일 표면 첨가제를 더 포함한다. 토너는 깨끗한 통상의 모 입자를 먼저 제조하고 나서 그 입자 표면에 금속성 알루미늄 플레이크를 결합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토너 표면에 알루미늄 플레이크를 결합시키는 것은, 임의의 적절한 또는 바람직한 공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금속성 안료는 믹서 내에서 임의의 상승된 온도에서 알루미늄 안료와 토너 입자를 기계적 배합함으로써 토너 수지 입자의 표면에 결합된다.
토너에 알루미늄 금속성 플레이크를 혼입시키는 것은 안전성 쟁점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알루미늄 플레이크의 결합은, 썬(SUN)(등록상표) 케미컬사에 의해서 수행된 블리츠(Blitz)(등록상표) 본딩 공정을 이용해서 수행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토너 표면 상에 금속성 플레이크를 결합시키는 것과 연관된 안정성 쟁점 및 금속성 토너의 추가의 가공 처리와 연관된 안전성 쟁점을 모두 저감 또는 제거할 수 있다.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토너 조성물은 높은 플롭 지수를 특징으로 하는 특출한 금속성 은 색조를 가진 인쇄물을 제공한다. 습식 증착법은 벤치에 대한 상이한 토너 설계의 컬러 특징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년간 이용되어 왔다. 특출한 금속성 색조를 지니는 통상의 토너를 얻는 것은 플레이크가 광을 반사시키도록 충분히 크고 그리고 또한 적절하게 배향된다고 하는 이러한 두 가지 모두를 필요로 하므로 매우 도전적인 과제이다. 본 실시형태의 토너 조성물은 이들 도전적인 과제에 대처한다.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벤치 하전량 측정치(bench charge measurement)는 실리콘 오일 첨가제가 첨가제 배합 동안 플레이크를 코팅하여 전도성 알루미늄 플레이크를 절연시키므로 안정적인 하전 특징을 나타낸다. 표면에 알루미늄 플레이크가 결합된 통상의 금속성 은 토너를 설계하는 것은 문제가 있었고, 안전성 쟁점들을 포함하는 많은 쟁점을 제공해왔다. 입자의 표면 상에 노출된 알루미늄 안료는 플레이클 둘러싸는 중합체 셸을 가진 화학적 토너와 같은 양호한 전하를 보유할 수 없는 더 많은 전도성 토너 표면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토너 조성물은 절연성 표면 첨가제,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토너 하전 특성을 안정화시키는 절연성 실리콘 오일 표면 첨가제를 포함한다.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서의 토너 조성물은 금속성 안료를 포함하며, 여기서 금속성 안료는 토너 입자의 표면 상에 결합된 금속성 알루미늄 안료이다. 이것은 이전의 입수 가능한 금속성 토너와 대조적이며, 여기서 안료는 표면보다는 오히려 토너 입자의 내부에 분산된다.
토너 샘플은 선택된 영역(zone)들, 예컨대, A, B 및 Z 영역에서 하룻밤 토너 또는 현상제 샘플을 조건 조절하고 나서 약 60분 동안 터블러 믹서(Turbula mixer)를 이용해서 대전시키는 등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A 영역은 약 80℉ 및 80% 상대 습도(RH)에서의 고습 영역이고, J 영역은 약 70℉ 및 약 10% RH에서의 낮은 습도 영역이다. B 영역은 약 70℉에서의 약 50% RH의 분위기 조건 영역이다. 토너 하전량(Q/d)은 100 V/cm 필드를 가진 전하 분광사진을 이용해서 측정될 수 있고, 그리고 시각적으로 토너 전하 분포의 중간점으로서 측정될 수 있다. 토너 하전량/질량비(Q/m)는 공기의 스트림 중에서 블로우-오프(blow-off)에 의해 토너를 제거한 후 현상제를 함유하는 패러데이 케이지 상의 전하를 측정하는, 총 블로우-오프 전하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케이지에서 수집된 총 전하는, Q/m 비를 제공하기 위하여 블로우-오프 전 후의 케이지를 칭량함으로써, 블로우-오프에 의해 제거된 토너의 질량으로 나뉜다.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서의 토너 조성물은 A 영역에서의 약 9 내지 약 30 마이크로쿨롱/그램, B 영역에서의 약 15 내지 약 40 마이크로쿨롱/그램 및 J 영역에서의 약 20 내지 약 60 마이크로쿨롱/그램의 토너 하전량을 지닌다.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서의 토너 조성물은 토너 입자(여기서, 토너 입자는 적어도 1종의 토너 수지를 포함함); 토너 입자의 표면에 결합된 금속성 안료; 및 금속성 안료 위에 배치된 절연성 표면 첨가제를 포함한다.
토너 수지.
임의의 적절한 또는 목적으로 하는 수지가 토너 입자에 대해서 선택될 수 있다. 적절한 수지는 비정질의 저분자량 직쇄형 폴리에스터, 고분자량 분지쇄형 및 가교형 폴리에스터 및 결정질 폴리에스터를 포함한다.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수지 코어를 형성하는데 이용된 중합체는, 미국 특허 제6,593,049호 및 제6,756,176호에 기재된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터 수지일 수 있다. 적절한 수지는 또한 미국 특허 제6,830,860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비정질 폴리에스터 수지와 결정질 폴리에스터 수지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수지는 선택적 촉매의 존재 하에 다이올을 이산(diacid)과 반응시킴으로써 형성된 폴리에스터 수지일 수 있다. 결정질 폴리에스터를 형성하기 위하여, 적절한 유기 다이올은 약 2 내지 약 3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지방족 다이올, 예컨대, 1,2-에탄다이올, 1,3-프로판다이올, 1,4-부탄다이올, 1,5-펜탄다이올, 1,6-헥산다이올, 1,7-헵탄다이올, 1,8-옥탄다이올, 1,9-노난다이올, 1,10-데칸다이올, 1,12-도데칸다이올 등; 알칼리 설포-지방족 다이올, 예컨대, 나트륨 2-설포-1,2-에탄다이올, 리튬 2-설포-1,2-에탄다이올, 칼륨 2-설포-1,2-에탄다이올, 나트륨 2-설포-1,3-프로판다이올, 리튬 2-설포-1,3-프로판다이올, 칼륨 2-설포-1,3-프로판다이올, 이들의 혼합물 등을 포함한다. 지방족 다이올은 예를 들어 약 40 내지 약 60 몰 퍼센트,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약 42 내지 약 55 몰 퍼센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약 45 내지 약 53 몰 퍼센트의 양으로 선택될 수 있고, 알칼리 설포-지방족 다이올은 수지의 약 0 내지 약 10 몰 퍼센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약 1 내지 약 4 몰 퍼센트의 양으로 선택될 수 있다.
결정질 수지의 제조를 위하여 선택된 비닐 이산 또는 비닐 다이에스터를 포함하는 유기 이산 또는 다이에스터의 예는,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운데칸이산, 도데칸이산, 1,11-운데칸 다이카복실산, 1,12-도데칸 다이카복실산, 1,13-트라이데칸 다이카복실산, 1,14-테트라데칸 다이카복실산, 푸마르산, 다이메틸 푸마레이트, 다이메틸 이타코네이트, 시스-1,4-다이아세톡시-2-뷰텐, 다이에틸 푸마레이트, 다이에틸 말레에이트, 프탈산, 아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나프탈렌-2,6-다이카복실산, 나프탈렌-2,7-다이카복실산, 사이클로헥산 다이카복실산, 말론산 및 메사콘산, 이들의 다이에스터 또는 무수물; 및 알칼리 설포-유기 이산, 예컨대, 다이메틸-5-설포-아이소프탈레이트의 나트륨, 리튬 또는 칼륨염, 다이알킬-5-설포-아이소프탈레이트-4-설포-1,8-나프탈산 무수물, 4-설포-프탈산, 다이메틸-4-설포-프탈레이트, 다이알킬-4-설포-프탈레이트, 4-설포페닐-3,5-다이카복시메톡시벤젠, 6-설포-2-나프틸-3,5-다이카복시메톡시벤젠, 설포-테레프탈산, 다이메틸-설포-테레프탈레이트, 5-설포-아이소프탈산, 다이알킬-설포-테레프탈레이트, 설포에탄다이올, 2-설포프로판다이올, 2-설포부탄다이올, 3-설포펜탄다이올, 2-설포헥산다이올, 3-설포-2-메틸펜탄다이올, 2-설포-3,3-다이메틸펜탄다이올, 설포-p-하이드록시벤조산, 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2-아미노 에탄 설포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유기 이산은, 예를 들어,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약 40 내지 약 60 몰 퍼센트,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약 42 내지 약 52 몰 퍼센트,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약 45 내지 약 50 몰 퍼센트의 양으로 선택될 수 있고, 그리고 알칼리 설포-지방족 이산은 수지의 약 1 내지 약 10 몰 퍼센트의 양으로 선택될 수 있다.
결정질 수지의 예는 폴리에스터, 폴리아마이드, 폴리이미드,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폴리뷰틸렌, 폴리아이소뷰티레이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이들의 혼합물 등을 포함한다. 구체적인 결정질 수지는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 폴리(프로필렌-아디페이트), 폴리(뷰틸렌-아디페이트), 폴리(펜틸렌-아디페이트), 폴리(헥실렌아디페이트), 폴리(옥틸렌-아디페이트), 폴리(노닐렌-아디페이트), 폴리(데실렌-아디페이트), 폴리(운데실렌-아디페이트), 폴리(도데실렌-아디페이트), 폴리(에틸렌-숙시네이트), 폴리(프로필렌-숙시네이트), 폴리(뷰틸렌-숙시네이트), 폴리(펜틸렌-숙시네이트), 폴리(헥실렌숙시네이트), 폴리(옥틸렌-숙시네이트), 폴리(노닐렌-숙시네이트), 폴리(데실렌-숙시네이트), 폴리(운데실렌-숙시네이트), 폴리(도데실렌-숙시네이트), 폴리(에틸렌-세바케이트), 폴리(프로필렌-세바케이트), 폴리(뷰틸렌-세바케이트), 폴리(펜틸렌-세바케이트), 폴리(헥실렌세바케이트), 폴리(옥틸렌-세바케이트), 폴리(노닐렌-세바케이트), 폴리(데실렌-세바케이트), 폴리(운데실렌-세바케이트), 폴리(도데실렌-세바케이트), 폴리(에틸렌-도데칸다이오에이트), 폴리(프로필렌-도데칸다이오에이트), 폴리(뷰틸렌-도데칸다이오에이트), 폴리(펜틸렌-도데칸다이오에이트), 폴리(헥실렌도데칸다이오에이트), 폴리(옥틸렌-도데칸다이오에이트), 폴리(노닐렌-도데칸다이오에이트), 폴리(데실렌-도데칸다이오에이트), 폴리(운데실렌-도데칸다이오에이트), 폴리(도데실렌-도데칸다이오에이트), 폴리(에틸렌-푸마레이트), 폴리(프로필렌-푸마레이트), 폴리(뷰틸렌-푸마레이트), 폴리(펜틸렌-푸마레이트), 폴리(헥실렌푸마레이트), 폴리(옥틸렌-푸마레이트), 폴리(노닐렌-푸마레이트), 폴리(데실렌-푸마레이트) 등과 같은 폴리에스터계, 코폴리(에틸렌-푸마레이트)-코폴리(에틸렌-도데칸다이오에이트) 등, 알칼리 코폴리(5-설포아이소프탈로일)-코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 알칼리 코폴리(5-설포아이소프탈로일)-코폴리(프로필렌-아디페이트), 알칼리 코폴리(5-설포아이소프탈로일)-코폴리(뷰틸렌-아디페이트), 알칼리 코폴리(5-설포-아이소프탈로일)-코폴리(펜틸렌-아디페이트), 알칼리 코폴리(5-설포-아이소프탈로일)-코폴리(헥실렌아디페이트), 알칼리 코폴리(5-설포-아이소프탈로일)-코폴리(옥틸렌-아디페이트), 알칼리 코폴리(5-설포-아이소프탈로일)-코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 알칼리 코폴리(5-설포-아이소프탈로일)-코폴리(프로필렌-아디페이트), 알칼리 코폴리(5-설포-아이소프탈로일)-코폴리(뷰틸렌-아디페이트), 알칼리 코폴리(5-설포-아이소프탈로일)-코폴리(펜틸렌-아디페이트), 알칼리 코폴리(5-설포-아이소프탈로일)-코폴리(헥실렌아디페이트), 알칼리 코폴리(5-설포-아이소프탈로일)-코폴리(옥틸렌-아디페이트), 알칼리 코폴리(5-설포아이소프탈로일)-코폴리(에틸렌-숙시네이트), 알칼리 코폴리(5-설포아이소프탈로일)-코폴리(프로필렌-숙시네이트), 알칼리 코폴리(5-설포아이소프탈로일)-코폴리(뷰틸렌-숙시네이트), 알칼리 코폴리(5-설포아이소프탈로일)-코폴리(펜틸렌-숙시네이트), 알칼리 코폴리(5-설포아이소프탈로일)-코폴리(헥실렌숙시네이트), 알칼리 코폴리(5-설포아이소프탈로일)-코폴리(옥틸렌-숙시네이트), 알칼리 코폴리(5-설포-아이소프탈로일)-코폴리(에틸렌-세바케이트), 알칼리 코폴리(5-설포-아이소프탈로일)-코폴리(프로필렌-세바케이트), 알칼리 코폴리(5-설포-아이소프탈로일)-코폴리(뷰틸렌-세바케이트), 알칼리 코폴리(5-설포-아이소프탈로일)-코폴리(펜틸렌-세바케이트), 알칼리 코폴리(5-설포-아이소프탈로일)-코폴리(헥실렌세바케이트), 알칼리 코폴리(5-설포-아이소프탈로일)-코폴리(옥틸렌-세바케이트), 알칼리 코폴리(5-설포-아이소프탈로일)-코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 알칼리 코폴리(5-설포-아이소프탈로일)-코폴리(프로필렌-아디페이트), 알칼리 코폴리(5-설포-아이소프탈로일)-코폴리(뷰틸렌-아디페이트), 알칼리 코폴리(5-설포-아이소프탈로일)-코폴리(펜틸렌-아디페이트), 알칼리 코폴리(5-설포-아이소프탈로일)-코폴리(헥실렌아디페이트) 등과 같은 공중합체일 수 있되, 여기서 알칼리는 나트륨, 리튬 또는 칼륨과 같은 금속이다. 폴리아마이드의 예는 폴리(에틸렌-아디프아마이드), 폴리(프로필렌-아디프아마이드), 폴리(뷰틸렌-아디프아마이드), 폴리(펜틸렌-아디프아마이드), 폴리(헥실렌아디프아마이드), 폴리(옥틸렌-아디프아마이드), 폴리(에틸렌-숙신아마이드) 및 폴리(프로필렌-세바카마이드)를 포함한다. 폴리이미드의 예는 폴리(에틸렌-아디프이미드), 폴리(프로필렌-아디프이미드), 폴리(뷰틸렌-아디프이미드), 폴리(펜틸렌-아디프이미드), 폴리(헥실렌아디프이미드), 폴리(옥틸렌-아디프이미드), 폴리(에틸렌-숙신이미드), 폴리(프로필렌-숙신이미드) 및 폴리(뷰틸렌-숙신이미드)를 포함한다.
결정질 수지는, 예를 들어, 약 5 내지 약 50 중량 퍼센트의 토너 성분,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약 5 내지 약 35 중량 퍼센트의 토너 성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결정질 수지는, 예를 들어, 약 30℃ 내지 약 120℃,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약 50℃ 내지 약 90℃의 각종 융점을 지닐 수 있다. 결정질 수지는,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은, 예를 들어, 약 1,000 내지 약 50,000,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약 2,000 내지 약 25,000의 수평균 분자량(Mn)과, 폴리스타이렌 표준을 이용하는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은, 예를 들어, 약 2,000 내지 약 100,000,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약 3,000 내지 약 80,000의 수평균 분자량(Mn)을 지닐 수 있다. 결정질 수지의 분자량 분포(Mw/Mn)는, 예를 들어, 약 2 내지 약 6,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약 2 내지 약 4일 수 있다.
비정질 폴리에스터의 제조를 위하여 선택된 비닐 이산, 또는 비닐 다이에스터를 포함하는 이산 또는 다이에스터의 예는 테레프탈산, 프탈산, 아이소프탈산, 푸마르산, 다이메틸 푸마레이트, 다이메틸 이타코네이트, 시스-1,4-다이아세톡시-2-뷰텐, 다이에틸 푸마레이트, 다이에틸 말레에이트, 말레산, 숙신산, 이타콘산, 숙신산 무수물, 도데실숙신산, 도데실숙신산 무수물, 도데센일숙신산, 도데센일숙신산 무수물, 글루타르산, 글루타르산 무수물,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도데칸 이산, 다이메틸 테레프탈레이트, 다이에틸 테레프탈레이트, 다이메틸아이소프탈레이트, 다이에틸아이소프탈레이트, 다이메틸프탈레이트, 프탈산 무수물, 다이에틸프탈레이트, 다이메틸숙시네이트, 다이메틸푸마레이트, 다이메틸말레에이트, 다이메틸글루타레이트, 다이메틸아디페이트, 다이메틸 도데실숙시네이트, 및 이들의 조합물 등과 같은 다이카복실산 또는 다이에스터를 포함한다. 유기 이산 또는 다이에스터는, 예를 들어, 수지의 약 40 내지 약 60 몰 퍼센트,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수지의 약 42 내지 약 52 몰 퍼센트,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수지의 약 45 내지 약 50 몰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비정질 폴리에스터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다이올의 예는 1,2-프로판다이올, 1,3-프로판다이올, 1,2-부탄다이올, 1,3-부탄다이올, 1,4-부탄다이올, 펜탄다이올, 헥산다이올, 2,2-다이메틸프로판다이올, 2,2,3-트라이메틸헥산다이올, 헵탄다이올, 도데칸다이올, 비스(하이드록시에틸)-비스페놀 A, 비스(2-하이드록시프로필)-비스페놀 A, 1,4-사이클로헥산다이메탄올, 1,3-사이클로헥산다이메탄올, 자일렌다이메탄올, 사이클로헥산다이올, 다이에틸렌 글리콜, 비스(2-하이드록시에틸) 옥사이드,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다이뷰틸렌,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선택된 유기 다이올의 양은 다양할 수 있고, 그리고 예를 들어, 수지의 약 40 내지 약 60 몰 퍼센트,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수지의 약 42 내지 약 55 몰 퍼센트,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수지의 약 45 내지 약 53 몰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수지는 축합 중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결정질 또는 비정질 폴리에스터를 위하여 이용될 수 있는 중축합 촉매는 테트라알킬 티타네이트, 다이알킬주석 옥사이드, 예컨대, 다이뷰틸주석 옥사이드, 테트라알킬주석, 예컨대, 다이뷰틸주석 다이라우레이트, 및 다이알킬주석 옥사이드 하이드록사이드, 예컨대, 뷰틸 주석 옥사이드 하이드록사이드, 알루미늄 알콕사이드, 알킬 아연, 다이알킬 아연, 아연 옥사이드, 산화제일주석,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촉매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터 수지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출발 이산 또는 다이에스터를 기준으로 하여 약 0.01 몰 퍼센트 내지 약 5 몰 퍼센트의 양으로 이용될 수 있다.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폴리에스터 수지는 포화 또는 불포화 비정질 폴리에스터 수지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공정 및 입자를 위하여 선택되는 포화 및 불포화 비정질 폴리에스터 수지의 예시적인 예는, 각종 비정질 폴리에스터,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뷰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펜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헥살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헵타덴-테레프탈레이트, 폴리옥탈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아이소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아이소프탈레이트, 폴리뷰틸렌-아이소프탈레이트, 폴리펜틸렌-아이소프탈레이트, 폴리헥살렌-아이소프탈레이트, 폴리헵타덴-아이소프탈레이트, 폴리옥탈렌-아이소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세바케이트, 폴리프로필렌 세바케이트, 폴리뷰틸렌-세바케이트,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 폴리프로필렌-아디페이트, 폴리뷰틸렌-아디페이트, 폴리펜틸렌-아디페이트, 폴리헥살렌-아디페이트, 폴리헵타덴-아디페이트, 폴리옥탈렌-아디페이트, 폴리에틸렌-글루타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루타레이트, 폴리뷰틸렌-글루타레이트, 폴리펜틸렌-글루타레이트, 폴리헥살렌-글루타레이트, 폴리헵타덴-글루타레이트, 폴리옥탈렌-글루타레이트 폴리에틸렌-피멜레이트, 폴리프로필렌-피멜레이트, 폴리뷰틸렌-피멜레이트, 폴리펜틸렌-피멜레이트, 폴리헥살렌-피멜레이트, 폴리헵타덴-피멜레이트, 폴리(에톡실화 비스페놀 A-푸마레이트), 폴리(에톡실화 비스페놀 A-숙시네이트), 폴리(에톡실화 비스페놀 A-아디페이트), 폴리(에톡실화 비스페놀 A-글루타레이트), 폴리(에톡실화 비스페놀 A-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톡실화 비스페놀 A-아이소프탈레이트), 폴리(에톡실화 비스페놀 A-도데센일숙시네이트), 폴리(프로폭실화 비스페놀 A-푸마레이트), 폴리(프로폭실화 비스페놀 A-숙시네이트), 폴리(프로폭실화 비스페놀 A-아디페이트), 폴리(프로폭실화 비스페놀 A-글루타레이트), 폴리(프로폭실화 비스페놀 A-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폭실화 비스페놀 A-아이소프탈레이트), 폴리(프로폭실화 비스페놀 A-도데센일숙시네이트), SPAR(딕시 케미컬즈사(Dixie Chemicals)), BECKOSOL(레이치홀드사(Reichhold Inc)), ARAKOTE(치바-가이기사(Ciba-Geigy Corporation)), HETRON(애시랜드 케미컬사), PARAPLEX(롬앤하스사(Rohm & Haas)), POLYLITE(레이치홀드사), PLASTHALL(롬앤하스사), CYGAL(아메리칸 사이안아마이드사(American Cyanamide)), ARMCO(암코 컴포지츠사(Armco Composites)), ARPOL(애시랜드 케미컬사), CELANEX(셀라니즈 이엔지사(Celanese Eng)), RYNITE(듀폰사(DuPont)), STYPOL(프리만 케미컬 사(Freeman Chemical Corporation)) 및 이들의 조합물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수지는 또한 예컨대, 카복실화, 설폰화 등, 특히, 필요한 경우, 설폰화나트륨 등과 같이 작용화되어 있을 수 있다.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는 라텍스 수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지의 예는 미국 특허 제6,063,827호에 개시된 것들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불포화 비정질 폴리에스터 수지는, 폴리(프로폭실화 비스페놀 A 코-푸마레이트), 폴리(에톡실화 비스페놀 A 코-푸마레이트), 폴리(뷰틸옥실화 비스페놀 A 코-푸마레이트), 폴리(코-프로폭실화 비스페놀 A 코-에톡실화 비스페놀 A 코-푸마레이트), 폴리(1,2-프로필렌 푸마레이트), 폴리(프로폭실화 비스페놀 A 코-말레에이트), 폴리(에톡실화 비스페놀 A 코-말레에이트), 폴리(뷰틸옥실화 비스페놀 A 코-말레에이트), 폴리(코-프로폭실화 비스페놀 A 코-에톡실화 비스페놀 A 코-말레에이트), 폴리(1,2-프로필렌 말레에이트), 폴리(프로폭실화 비스페놀 A 코-이타코네이트), 폴리(에톡실화 비스페놀 A 코-이타코네이트), 폴리(뷰틸옥실화 비스페놀 A 코-이타코네이트), 폴리(코-프로폭실화 비스페놀 A 코-에톡실화 비스페놀 A 코-이타코네이트), 폴리(1,2-프로필렌 이타코네이트),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적절한 직쇄형 비정질 폴리에스터 수지는 하기 화학식 (I)을 가진 폴리(프로폭실화 비스페놀 A 코-푸마레이트) 수지일 수 있다:
Figure 112017018358377-pat00001
식 중, m은 약 5 내지 약 1000일 수 있다.
라텍스 수지로서 사용될 수 있는 직쇄형 비정질 프로폭실화 비스페놀 A 푸마레이트 수지의 예는 레사나 S/A 인더스트리아스 퀴니카스(Resana S/A Industrias Quimicas)(브라질 상파울로에 소재)로부터 상표명 스파II(SPARII)(상표명) 하에 입수 가능하다. 기타 적절한 직쇄형 비정질 수지는, 미국 특허 제4,533,614호, 제4,957,774호 및 제4,533,614호에 개시된 것들을 포함하며, 이는 직쇄형 폴리에스터 수지, 예컨대, 도데실숙신산 무수물, 테레프탈산, 및 알킬옥실화 비스페놀 A를 포함할 수 있다. 이용될 수 있고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기타 알콕실화 비스페놀 A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카오사(Kao Corporation)(일본국 소재)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GTU-FC115 등을 포함한다.
적절한 결정질 수지는 미국 특허 제7,329,476호,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6/0216626호, 제2008/0107990호, 제2008/0236446호, 및 제2009/0047593호에 개시된 것들을 포함한다.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적절한 결정질 수지는 이하의 식을 가진 도데칸이산 코-단량체와 푸마르산 코-단량체의 혼합물 및 에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17018358377-pat00002
식 중, b는 5 내지 2000이고 그리고 d는 5 내지 2000이다.
예를 들어,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위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화학식 I의 폴리(프로폭실화 비스페놀 A 코-푸마레이트) 수지는 화학식 II의 결정질 수지와 배합되어 코어를 형성할 수 있다.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코어에 이용되는 비정질 수지 또는 비정질 수지들의 조합물은 약 30℃ 내지 약 80℃,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약 35℃ 내지 약 70℃의 유리전이온도를 지닐 수 있다. 추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코어에 이용되는 조합된 수지는 약 130℃에서 약 10 내지 약 1,000,000 Pa*S,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약 50 내지 약 100,000 Pa*S의 용융 점도를 지닐 수 있다.
1종, 2종 또는 그 이상의 토너 수지가 이용될 수 있다.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2종 이상의 토너 수지가 사용될 경우, 토너 수지는, 예를 들어, 약 10%(제1 수지)/90%(제2 수지) 내지 약 90%(제1 수지)/10%(제2 수지) 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비(예컨대, 중량비)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비정질 폴리에스터 수지는 토너의 총 중량에 기초하여 약 50 중량% 내지 약 8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직쇄형 비정질 폴리에스터는 더 높은 고온 오프셋 온도 등과 같은 개선된 토너 특성 및 인쇄 광택 특성의 제어를 제공하기 위하여 고분자량 분지쇄형 또는 가교형 비정질 폴리에스터와 조합될 수 있다. 이 고분자량 폴리에스터는,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예를 들어, 분지쇄형 수지 또는 중합체, 가교형 수지 또는 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가교가 실시된 비가교형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약 1중량% 내지 약 100중량%의 더욱 고분자량 수지가 분지쇄이거나 가교되어 있을 수 있고,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약 2중량% 내지 약 50중량%의 더욱 고분자량 수지가 분지쇄이거나 가교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고분자량 수지"는,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 대 표준 폴리스타이렌 기준 수지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수지의 클로로폼-가용성 분획의 중량-평균 분자량(Mw)이 약 15,000 이상이고 다분산 지수(PD)가 약 4인 수지를 지칭한다. PD 지수는 중량-평균 분자량(Mw)과 수-평균 분자량(Mn)의 비이다.
고분자량 비정질 폴리에스터 수지는 직쇄형 폴리에스터 수지를 분지시키거나 가교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작용성 또는 다작용성 단량체 등과 같은 분지화제가 이용될 수 있고, 이러한 제제는 통상 폴리에스터의 분자량과 다분산도를 증가시킨다. 적절한 분지화제는 글리세롤, 트라이메틸올 에탄, 트라이메틸올 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솔비톨, 다이글리세롤, 트라이멜리트산, 트라이멜리트산 무수물, 피로멜리트산, 피로멜리트산 무수물, 1,2,4-사이클로헥산트라이카복실산, 2,5,7-나프탈렌트라이카복실산, 1,2,4-부탄트라이카복실산, 이들의 조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분지화제는, 수지를 제조하는데 이용된 출발 이산 또는 다이에스터를 기준으로 약 0.1 몰 퍼센트 내지 약 20 몰 퍼센트의 유효량으로 이용될 수 있다.
고분자량 폴리에스터 수지를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다염기성 카복실산으로 변성된 폴리에스터 수지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미국 특허 제3,681,106호에 개시된 것들뿐만 아니라, 미국 특허 제4,298,672호; 제4,863,825호; 제4,863,824호; 제4,845,006호; 제4,814,249호; 제4,693,952호; 제4,657,837호; 제5,143,809호; 제5,057,596호; 제4,988,794호; 제4,981,939호; 제4,980,448호; 제4,960,664호; 제4,933,252호; 제4,931,370호; 제4,917,983호 및 제4,973,539호에 예시된 바와 같은 다가 산 또는 알코올로부터 유래된 분지쇄형 또는 가교형 폴리에스터를 포함한다.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가교형 폴리에스터 수지는 자유-라디칼 조건 하에서 반응할 수 있는 불포화 부위를 함유하는 직쇄형 폴리에스터 수지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수지의 예는 미국 특허 제5,227,460호; 제5,376,494호; 제5,480,756호; 제5,500,324호; 제5,601,960호; 제5,629,121호; 제5,650,484호; 제5,750,909호; 제6,326,119호; 제6,358,657호; 제6,359,105호; 및 제6,593,053호에 개시된 것들을 포함한다.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적절한 불포화 폴리에스터계 수지는, 예를 들어, 말레산 무수물, 푸마르산 등, 및 이들의 조합물, 및 다이올, 예를 들어, 프로폭실화 비스페놀 A, 프로필렌 글리콜 등, 및 이들의 조합물 등과 같은 이산 및/또는 무수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적절한 폴리에스터는 폴리(프로폭실화 비스페놀 A 푸마레이트)이다.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고분자량의 분지쇄형 또는 가교형 폴리에스터 수지는, GPC 대 표준 폴리스타이렌 기준 수지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약 15,000 초과,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약 15,000 내지 약 1,000,000, 다른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약 20,000 내지 약 100,000의 Mw, 및 약 4 초과,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약 4 내지 약 100 초과, 다른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약 6 내지 약 50의 다분산 지수(Mw/Mn)를 지닌다.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가교된 분지쇄형 폴리에스터는 고분자량 수지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에스터 수지는 2개 이상의 하이드록실기를 가진 적어도 1종의 폴리올 또는 이의 에스터, 적어도 3개의 작용기를 가진 적어도 1종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다작용성 산 또는 이의 에스터,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임의로 적어도 1종의 장쇄 지방족 카복실산 또는 이의 에스터, 또는 방향족 모노카복실산 또는 이의 에스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적어도 2종의 프레-겔 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2종의 성분이 개별의 반응기에서 실질적인 완료까지 반응하여, 제1 반응기에서, 카복실 말단기를 가진 프레-겔(pre-gel)을 포함하는 제1 조성물, 및 제2 반응기에서, 하이드록실 말단기를 가진 프레-겔을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2종의 조성물은 이어서 혼합되어 가교된 분지쇄형 폴리에스터 고분자량 수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에스터 및 이의 합성 방법의 예는 미국 특허 제6,592,913호에 개시된 것들을 포함한다.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분지쇄형 폴리에스터는 다이메틸테레프탈레이트, 1,3-부탄다이올, 1,2-프로판다이올, 및 펜타에리트리톨의 반응으로부터 얻어진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폴리올은 약 2 내지 약 10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고, 그리고 적어도 2개 이상의 하이드록시기, 이의 에스터를 가질 수 있다. 폴리올은 글리세롤, 펜타에리트리톨, 폴리글리콜, 폴리글리세롤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올은 글리세롤을 포함할 수 있다. 글리세롤의 적절한 에스터는 글리세롤 팔미테이트, 글리세롤 세바케이트, 글리세롤 아디페이트, 트라이아세틴 트라이프로피오닌 등을 포함한다. 폴리올은 반응 혼합물의 약 20% 내지 약 30중량%,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반응 혼합물의 약 20% 내지 약 26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작용기를 가진 지방족 다작용성 산은 약 2 내지 약 100개의 탄소 원자, 실시형태에 있어서, 약 4 내지 약 2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포화 및 불포화 산, 또는 이의 에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지방족 다작용성 산은 말론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말산, 시트르산, 푸마르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세바스산, 수베르산, 아렐라산, 세바스산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용될 수 있는 기타 지방족 다작용성 산은 C3 내지 C6 환식 구조를 포함하는 다이카복실산 또는 이의 위치 이성질체를 포함하고, 그리고 사이클로헥산 다이카복실산, 사이클로부탄 다이카복실산 또는 사이클로프로판 다이카복실산을 포함한다.
이용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작용기를 가진 방향족 다작용성 산은 테레프탈산, 아이소프탈산, 트라이멜리트산, 피로멜리트산 및 나프탈렌 1,4-, 2,3- 및 2,6-다이카복실산을 포함한다.
지방족 다작용성 산 또는 방향족 다작용성 산은 반응 혼합물의 약 40% 내지 약 65중량%,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반응 혼합물의 약 44% 내지 약 60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장쇄 지방족 카복실산 또는 방향족 모노카복실산은 약 12 내지 약 26개의 탄소 원자,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약 14 내지 약 18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것들, 또는 이들의 에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장쇄 지방족 카복실산은 포화 또는 불포화되어 있을 수 있다. 적절한 포화 장쇄 지방족 카복실산은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아라키돈산, 세로트산 등,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불포화 장쇄 지방족 카복실산은 도데실엔산, 팔미톨레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에루스산 등,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방향족 모노카복실산은 벤조산, 나프토산, 및 치환된 나프토산을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치환된 나프토산은 약 1 내지 약 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알킬기로 치환된 나프토산, 예컨대, 1-메틸-2 나프토산 및/또는 2-아이소프로필-1-나프토산을 포함할 수 있다. 장쇄 지방족 카복실산 또는 방향족 모노카복실산은 약 0% 내지 약 70중량%의 반응 혼합물,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반응 혼합물의 약 15% 내지 약 30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추가의 폴리올, 이온종, 올리고머 또는 이들의 유도체가 필요한 경우 이용될 수 있다. 이들 추가의 글리콜 또는 폴리올은 반응 혼합물의 약 0% 내지 약 50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추가의 폴리올 또는 이의 유도체는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탄다이올, 1,3-프로판다이올, 1,4-부탄다이올, 1,6-헥산다이올 다이에틸렌 글리콜, 1,4-사이클로헥산다이올, 1,4-사이클로헥산다이메탄올, 네오펜틸 글리콜, 트라이아세틴, 트라이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셀룰로스 에터, 셀룰로스 에스터, 예컨대,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수크로스 아세테이트 아이소-뷰티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토너 입자 중의 고분자량 수지의 양은, 코어에, 셸에 또는 둘 다에 있든지 간에, 토너의 약 1% 내지 약 30중량%,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약 2.5% 내지 약 20중량%, 또는 토너의 약 5% 내지 약 10중량%일 수 있다.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고분자량 수지, 예를 들어 분지쇄형 폴리에스터는, 본 개시내용의 토너 입자의 표면 상에 존재할 수 있다. 토너 입자의 표면 상의 고분자량 수지는 또한 실제로 입상체일 수 있고, 고분자량 수지 입자는 약 100 나노미터 내지 약 300 나노미터,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약 110 나노미터 내지 약 150 나노미터의 직경을 갖는다. 고분자량 수지 입자는 토너 표면의 약 10% 내지 약 90%,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토너 표면의 약 20% 내지 약 50%를 덮을 수 있다.
토너.
위에서 기재된 수지는 토너 조성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토너 조성물은 임의적 착색제 및 임의적 및 기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토너는 당업자의 이해의 범위 내에서 임의의 방법을 이용해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서의 토너는 조합, 분말화, 분쇄 및 분급화 공정에 의해 제조된 통상의 토너이다. 이것은 예를 들어 에멀전 응집 또는 현탁 중합 등과 같은 공정을 이용해서 제조된 화학적 토너로부터 구별된다.
금속성 안료.
토너 조성물은 금속성 안료를 함유한다. 임의의 적절한 또는 목적으로 하는 금속성 안료가 선택될 수 있다.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금속성 안료는 알루미늄, 아연, 구리-아연 합금,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금속성 안료는 알루미늄 플레이크를 포함한다.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토너는 추가의 착색제가 없고, 즉, 토너는 금속성 안료 이외의 임의의 착색제를 함유하지 않는다.
금속성 안료는 임의의 적절한 또는 목적으로 하는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금속성 안료는, 토너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10 퍼센트, 또는 약 1 내지 약 8 퍼센트, 또는 약 2 내지 약 6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한다.
금속성 안료는 모 토너 입자의 표면에 결합된다. 결합은 임의의 적절한 또는 목적으로 하는 공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금속성 안료는 믹서에서 알루미늄 안료와 토너 입자를 기계적 배합함으로써 토너 수지 입자의 표면에 결합된다.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배합 공정은 토너 입자 표면에의 알루미늄 플레이크 안료의 부착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승된 온도에서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약 50 내지 약 150 화씨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었다.
절연성 표면 첨가제.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토너는 절연성 표면 첨가제를 포함한다. 절연성 표면 첨가제는 토너에 결합된 금속성 안료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임의의 적절한 또는 목적으로 하는 절연성 표면 첨가제가 선택될 수 있다.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절연성 표면 첨가제는 미네랄 오일, 장쇄 지방산 및 실리콘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절연성 표면 첨가제는 실리콘 오일이다.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장쇄 지방산은 약 13 내지 약 21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지방족 탄소 테일(tail), 또는 약 22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가진 보다 긴 지방족 탄소 테일을 가진 지방산이다.
절연성 표면 첨가제는 임의의 적절한 또는 목적으로 하는 양으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절연성 표면 첨가제는, 토너의 총 중량으로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2 퍼센트, 또는 약 0.5 내지 약 1.5 퍼센트, 또는 약 0.15 내지 약 0.3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한다.
표면 첨가제.
본 실시형태의 토너 조성물은 절연성 표면 첨가제 이외에도 1종 이상의 표면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표면 첨가제는 토너 입자의 표면 상에 코팅되고, 이는 토너 입자의 약 50% 내지 약 99%, 약 60% 내지 약 90%, 또는 약 70% 내지 약 80%의 총 표면적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토너 조성물은 토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2.7% 내지 약 4.0%, 약 3.0% 내지 약 3.7%, 또는 약 3.1% 내지 약 3.5%의 표면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표면 첨가제는 실리카, 티타니아 및 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토너의 하전(혹은 대전) 및 흐름 특성은 토너 중의 표면 첨가제의 선택 및 농도에 의해 영향받는다. 표면 첨가제들의 농도 및 형상은 토너 입자 표면 상에서의 이들의 배열을 제어한다.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실리카는 2종의 코팅된 실리카를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2종의 실리카 중 하나는 (담체에 비해서) 음 하전 실리카일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실리카는 양 하전 실리카일 수 있다. 음 하전이란, 첨가제가 해당 첨가제와 함께 또는 이것 없이 토너 마찰 전기 하전량을 결정함으로써 측정된 토너 표면에 대해서 음으로 하전된 것을 의미한다. 유사하게, 양 하전이란, 첨가제가 해당 첨가제와 함께 또는 이것 없이 토너 마찰 전기 하전량을 결정함으로써 측정된 토너 표면에 대해서 양으로 하전된 것을 의미한다.
음 하전 실리카의 일례는 데구사(DeGussa)/닛폰 에어로실 코포레이션(Nippon Aerosil Corporation)으로부터 얻어진 NA50HS를 포함하며, 이것은 (대략 30 나노미터의 1차 입자 크기와 약 350 나노미터의 응집물 크기를 지니는) 헥사메틸다이실라잔과 아미노프로필트라이에톡시실란의 혼합물로 코팅된 발연 실리카이다.
비교적 양 하전 실리카의 예는, 폴리다이메틸실록산 단위 또는 세그먼트를 지니고 그리고 고도로 소수성인 발연 실리카의 표면 상에 화학적으로 결합된 아미노/암모늄 작용기를 가진 H2050 실리카를 포함하며, 코팅된 실리카는 (바커 케미사(Wacker Chemie)로부터 얻어지는) 약 110 내지 약 ±20 m2/g의 BET 표면적을 지닌다.
음 하전 실리카는 표면 첨가제의 약 1.6중량% 내지 약 2.4중량%, 약 1.8중량% 내지 약 2.2중량%, 약 1.9중량% 내지 약 2.1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양 하전 실리카는 표면 첨가제의 약 0.08% 내지 약 1.2%, 약 0.09% 내지 약 0.11%, 약 0.09% 내지 약 0.1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음 하전 실리카 대 양 하전 실리카의 비는, 예를 들어, 약 13:1 내지 약 30:1, 또는 약 15:1 내지 약 25:1(중량 기준)의 범위이다.
표면 첨가제는 또한 티타니아를 포함할 수 있다. 티타니아는 표면 첨가제의 약 0.53% 내지 약 0.9%, 약 0.68% 내지 약 0.83%, 약 0.7% 내지 약 0.8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하기 위한 적절한 티타니아는, 예를 들어, 데실실란으로 처리된 약 25 내지 약 55㎚의 크기를 가진 티타니아인, 테이카 코포레이션(Tayca Corp.)로부터 입수 가능한 SMT5103이다.
음 하전 실리카 대 티타니아의 중량비는 약 1.8:1 내지 약 4.5:1, 약 2.2:1 내지 약 3.2:1, 또는 약 2.5:1 내지 약 3.0:1이다.
표면 첨가제는 또한 윤활유 및 전도성 조제(conductivity aid), 예를 들어, 지방산의 금속염, 예컨대, 스테아르산아연, 스테아르산칼슘을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예는 페로 코포레이션(Ferro Corp.)으로부터의 스테아르산아연 L 또는 페로 코포레이션으로부터의 스테아르산칼슘을 포함한다. 이러한 전도성 조제는 토너의 약 0.10% 내지 약 1.00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토너 및/또는 표면 첨가제는 또한 전도성 조제, 예를 들어 지방산의 금속염, 예컨대, 스테아르산아연을 포함한다. 적절한 예는 페로 코포레이션으로부터의 스테아르산아연 L을 포함한다. 이러한 전도성 조제는 토너의 약 0.10% 내지 약 1.00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깨끗한 토너 조성물은, 토너 압출 디바이스, 예컨대, 베르너 플라이데레(Werner Pfleiderer)로부터 입수 가능한 ZSK25에서 수지 입자를 혼합, 예를 들어, 용융 혼합 및 가열하고, 형성된 토너 조성물을 이 디바이스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냉각에 이어서, 토너 조성물은, 예를 들어, 스투트반트 마이크로나이저(Sturtevant micronizer)를 이용해서 분쇄된다(미국 특허 제5,716,751호 참조). 이어서, 토너 조성물은, 예를 들어, 미립자를 제거할 목적으로 도날드슨 모델 B 분급기(Donaldson Model B classifier)를 이용해서 분급될 수 있고, 즉, 입자는 동일 재료의 매우 낮은 수준의 미립자를 수반한다. 예를 들어, 미립자의 수준은 토너의 약 0.1중량% 내지 약 3중량%의 범위이다. 과잉의 미립자 함량을 제거한 후에, 깨끗한 토너는 약 6 마이크론 내지 약 8 마이크론, 약 6.5 마이크론 내지 약 7.5 마이크론, 또는 약 7.0 마이크론의 평균 입자 크기를 지닐 수 있다. GSD란 (D84/D50)에 대해서 용적(조질의 수준)에 의한 상부 기하 표준 편차(geometric standard deviation: GSD)를 지칭하며, 약 1.10 내지 약 1.30, 또는 약 1.15 내지 약 1.25, 또는 약 1.18 내지 약 1.21일 수 있다. (D50/D16)에 대해서 개수(미립자 수준)에 의한 기하 표준 편차(GSD)는 약 1.10 내지 약 1.30, 또는 약 1.15 내지 약 1.25, 또는 약 1.22 내지 약 1.24일 수 있다. 총 토너 입자의 50%의 누적 백분율이 얻어지는 입자 직경은 용적 D50으로서 정의되고, 84%의 누적 백분율이 얻어지는 입자 직경은 용적 D84로서 정의된다. 이들 상기에서 언급된 용적 평균 입자 크기 분포 지수 GSDv는 누적 분포에서 D50 및 D84를 이용해서 표현될 수 있고, 여기서 용적 평균 입자 크기 분포 지수 GSDv는 (용적 D84/용적 D50)으로서 표현된다. 이들 상기에서 언급된 수평균 입자 크기 분포 지수 GSDn은 누적 분포에서 D50 및 D16을 이용해서 표현될 수 있고, 여기서 수평균 입자 크기 분포 지수 GSDn은 (수 D50/수 D16)로서 표현된다. GSD값이 1.0에 가까울수록, 입자 간에 더 작은 크기 분포가 있는 것이다. 토너 입자에 대한 상기 GSD값은 토너 입자가 좁은 입자 크기 분포를 갖도록 만들어진 것을 나타낸다. 입자 직경은 멀티사이저(Multisizer) III에 의해 결정된다.
그 후, 절연성 표면 첨가제 및 기타 첨가제는 얻어진 토너와 그의 배합에 의해 첨가될 수 있다. 용어 "입자"를 기준으로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입자 크기", 또는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크기"는 콜터사(Coulter, Inc.)에서 판매되는 멀티사이저 III 등과 같은 통상의 직경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바와 같은 용적 가중 직경을 의미한다. 평균 용적 가중 직경은, (각 입자의 질량의 합 × 동등한 입자 및 밀도의 구형 입자의 직경)/총 입자 질량이다.
토너의 크기 분포 및 첨가제 제제는 토너가 매우 낮은 질량 타깃에서 오프셋 리소그라피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작동할 수 있게 하는 반면 기재의 충분한 커버리지를 여전히 제공하도록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질량 타깃은 기재의 단위 면적 당 기재(즉, 종이 또는 기타 기재) 상에 현상되거나 놓인 토너 입자의 농도를 지칭한다. 토너의 크기 분포 및 첨가제 제형은, 시스템이 기재의 제곱 센티미터 당 0.3 내지 0.4㎎의 토너의 질량 타깃에서 작동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형태의 토너의 유동성은 또한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퓨저 롤(fuser roll)을 이용해서 퓨저에 대한 토너 오프셋의 위험을 저감시키고 광택을 최대화하도록 설계된다.
이하의 실시예는 각종 본 개시내용을 더욱 규정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으로 의도되었을 뿐,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의도된 것은 아니다. 또한, 부 및 퍼센트는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중량에 의한 것이다.
금속성 은 토너의 제조는, 베르너 앤 플라이데레사(Werner & Pfleiderer Corporation)(뉴저지주의 램지에 소재)로부터 입수 가능한 ZSK-25 압출기에서 원료를 압출함으로써 깨끗한 모 입자의 제조에서 시작하였다. 토너 조성물은, 레이콜드사(Reichold)로부터의 상표명 레사폴(Resapol)(등록상표) 하에 입수 가능한, 13000 그램/몰 정도의 분자량(Mw)을 가진 각종 수준의 프로폭실화 비스페놀-A/푸마르산 수지, 및 미국 특허 제6,359,10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프로폭실화 비스페놀-A/푸마르산 수지를 가교시킴으로써 제조된 10 내지 30중량%의 가교 겔 수지로 이루어진 믹스를 포함한다. 얻어진 압출물은 200 AFG 유체 베드 제트 밀(fluid bed jet mill)에서 8.5 및 21 마이크론의 목표 중앙 크기 D50으로 분쇄되었다. 이 목표 입자 크기는 과잉의 미립자 함량을 제거한 후에 8.5 및 21 마이크론 정도의 평균 크기가 될 수 있도록 선택되었다. 0.3% TS530 표면 처리된 발연 실리카인, 카보실 코포레이션(Cabosil Corporation) 실리카가 분쇄 공정 동안 유동 조제로서 첨가되었다. 입자는 마이크론 분말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B18 탄뎀 아쿠컷(Tandem Acucut)(등록상표) 분급기 시스템에서 분급되었다. 실시예 1 및 2는 위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합성된 토너 입자를 이용해서 제조된 은 토너 입자였다.
실시예 1 및 2는 이들 2개의 깨끗한 모 입자인 21 마이크론 및 8.5 마이크론을 각각 이용해서 제조하였다. 알루미늄 플레이크 안료는, 알루미늄 플레이크 안료를 코팅하고 모 입자에 안료를 표면 결합시키기 위하여 썬 케미컬사(벤다 루츠)의 블리츠(등록상표) 본딩 공정을 이용해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깨끗한 모 입자에 표면 결합되었다. 금속성 플레이크는 수지 입자 내에 캡슐화되는 대신에 토너 표면에 결합되었다. 코팅의 분리는 없다. 이 방법의 이점은 높은 금속성 효과(벌크 분말), 코팅의 분리 없음, 대량에 대한 비용 유익, 요구되는 보다 적은 안료,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총 안료의 약 6% 퍼센트, 또는 최대 6 퍼센트, 알루미늄 분말의 보다 안전한 취급 및 분말을 압출, 분쇄 및 분급할 필요 없음을 포함한다.
실시예 1
위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된 표면에 결합된 6% w/w 알루미늄 플레이크를 가진 21 마이크론 입자.
실시예 2
위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된 표면에 결합된 2% w/w 알루미늄 플레이크를 가진 8.5 마이크론 입자.
비교예 3
후지 제록스사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후지 제록스(Fuji Xerox)(등록상표) 컬러프레스용의 은 토너.
도 1은 토너 표면에 결합된 알루미늄 플레이크를 가진 은 금속성 토너의 대표적인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 이미지를 나타낸다.
금속성 색조 평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두 은 토너 입자는 토너 층 샘플을 형성하기 위하여 습식 증착 수법을 이용해서 금속성 색조에 대해서 평가되었다. 습식 증착 샘플은 수중 토너 입자를 분산시키고 나서 필터의 단위 면적 당 토너층의 공지된 질량(㎎/㎠)을 수득하기 위하여 상이한 농도로 토너 현탁액을 필터를 통해서 여과시킴으로써 작성되었다. 이것은 제록스식(Xerographic) 공정의 TMA의 양호한 벤치 시뮬레이션이고, 토너의 컬러 분석에 대해서 광범위하게 제록스(등록상표)에 의해 사용되어 왔다. 필터 상의 토너 층은 이어서 용융되어, BYK Mac-i 다중-각 분광계 상에서 평가된다.
플롭 지수.
플롭 지수는 시야각의 범위를 통해서 회전됨에 따라서 금속성 컬러의 반사율의 변화에 대한 측정치이다. 0의 플롭 지수는 솔리드 컬러(solid color)를 나타내는 한편, 매우 높은 플롭 지수, 예를 들어, 15 내지 17은, 금속성 또는 진주광택 베이스코트/클리어코트를 나타낸다.
Figure 112017018358377-pat00003
여기서 L*는 색의 광도, 즉, 이의 밝기의 정도이다. 밝기는 백색 또는 높은 투과도를 보이는 유사한 조명 영역의 휘도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판명된 영역의 휘도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실시형태 및 비교 토너 조성물에 따라서 두 토너 조성물에 대한 플롭 지수(y-축) 대 TMA(㎎/㎠, x-축)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6% 알루미늄을 가진 20 마이크론 입자는 비교예 3의 FX 은 입자와 비교되는 동등 또는 더 양호한 플롭 지수를 갖는다. 이것은 또한 훨씬 낮은 질량 목표에서 포화된다. 낮은 알루미늄 함량을 가진 실시예 2의 더 작은 크기 입자는 더 낮은(2%) 플레이크 장입량과 일치하는 낮은 플롭 지수를 지녔다. 제록스식 프린터기는 대략 0.3 내지 0.6 mg/㎠의 TMA 범위에서 동작하며, 0.45 TMA가 공칭 설정값이다.
표면 첨가제 배합.
실시예 4 및 실시예 5
은 모 입자 실시예 2(8.5 마이크론 크기/2% Al 플레이크)는 75ℓ 헨셸 수직 믹서에서 표면 첨가제와 혼합되어 토너 배합물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4: 이용된 충전된 초기 첨가제는 3.14%의 실리카, 1.29%의 티타니아, 및 0.5%의 스테아르산아연로 구성된 것이다.
실시예 5. 바커 케미사로부터의 0.3%의 실리콘 오일 X82인 추가의 오일 첨가제를 가진 다른 토너 배합물이 제조되었다.
표면에 결합된 Al 플레이크를 가진 금속성 토너는 플레이크를 캡슐화하는 중합체 셸을 가진 화학적 토너와 같이 양호한 전하를 보유할 수 없는 더 많은 전도성 토너 표면을 초래할 수 있다. 이것은 더 낮은 하전을 초래할 수 있다.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금속성 플레이크 상의 절연성 오일 코팅은 하전 특징을 개선시켰다. 이들 두 토너의 마찰 전기 하전량은 A, B 및 J 영역의 상이한 환경 조건 하에서 벤치 상에 측정되었다. A 영역은 약 80℉ 및 80% 상대 습도(RH)에서의 고습도 영역이고, J 영역은 약 70℉ 및 약 10% RH의 저습도 영역이다. B 영역은 약 70℉에서 약 50% RH의 분위기 조건 영역이다. 데이터는 4% TC에서 도료 진탕법을 이용해서 강철 코어 담체에 대해서 토너를 짝지음으로써 생성되었다. 표 1은 벤치 마찰(bench Tribo)의 결과를 나타낸다. 하전량은 마이크로쿨롱/그램이다.
실시예 기제 제제 A 영역 하전량 B 영역 하전량 J 영역 하전량
4 실시예 1 12.03 24.12 32.51
5 0.3%의 X82 오일을 함유한 실시예 1 15.83 28.83 37.05
마찰 전기 하전량 데이터는 더 낮은 쪽 상에 있는 것이 은 토너 대조군을 나타내지만, 이 범위 내에서 이 시스템에서 현재 운용되고 있는 다른 색에 대해서 관찰되었다. 작은 마찰 조절은, 첨가제 수준 최적화 및 시스템의 동작 TC(토너 농도)를 최적화시킴으로써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표면 첨가제로서 0.3%의 실리콘 오일을 첨가하는 것은 토너 마찰을 약 4 내지 5 단위만큼 증가시켰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이 대조군 및 0.3% 오일 은 토너의 하전율을 비교하였다.
도 3은 J 영역에서 실시예 4(오일 무함유) 및 실시예 5(오일 첨가제 함유)의 은 토너에 대해서 마이크로쿨롱/그램의 마찰 하전량(μC/g, y-축) 대 도료 진탕 시간(분, x-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삼각형으로 표시된 선은 오일 첨가제를 함유하지 않은 실시예 4의 은 토너를 나타낸다. 사각형으로 표시된 선은 0.3%의 X82 오일 첨가제를 함유하는 실시예 5의 은 토너를 나타낸다.
명백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적은 0.3%의 표면 오일 첨가제를 첨가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금속성 토너 하전율을 개선시켰다. 따라서,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표면 첨가제로서의 오일은 금속 플레이크를 가진 토너에서 더욱 안정적인 하전을 제공한다. 이것은 매우 낮은 하전량을 보이는 더 높은 %의 Al 플레이크를 가진 토너 설계에서 중요해질 수 있다.
따라서,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높은 플롭 지수로 표시되는 바와 같은 높은 금속성 색조 효과를 가능하게 하는 통상의 토너가 제공된다. 토너의 표면에 결합된 알루미늄 플레이크는 제조 용이성을 가능하게 하고 최대 금속성 색조를 위하여 토너 상에 적절하게 배향된 플레이크를 유지한다.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절연성 실리콘 오일 표면 첨가제는 전도성 알루미늄 플레이크 안료의 더 높은 장입을 가능하게 하고 토너 하전을 증가 및 안정화시킨다.

Claims (15)

  1. 표면을 가진 토너 입자;
    상기 토너 입자의 상기 표면에 결합된 금속성 안료; 및
    상기 금속성 안료 위에 배치된 절연성 표면 첨가제;를 포함하는 토너 조성물로서,
    상기 토너 입자는 적어도 하나의 토너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성 표면 첨가제는 실리콘 오일이고,
    상기 토너 조성물은 4 내지 15의 플롭 지수를 가지고,
    플롭 지수는 하기 식을 갖는 토너 조성물:
    Figure 112022059801214-pat00008

    여기서 L*는 색의 광도이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너 수지는 결정질 폴리에스터, 비정질 폴리에스터,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토너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너 수지는 프로폭실화 비스페놀 A 푸마레이트 수지, 폴리(프로폭실화 비스페놀 코-푸마레이트), 폴리(에톡실화 비스페놀 코-푸마레이트), 폴리(뷰틸옥실화 비스페놀 코-푸마레이트), 폴리(코-프로폭실화 비스페놀 코-에톡실화 비스페놀 코-푸마레이트), 폴리(1,2-프로필렌 푸마레이트), 폴리(프로폭실화 비스페놀 코-말레에이트), 폴리(에톡실화 비스페놀 코-말레에이트), 폴리(뷰틸옥실화 비스페놀 코-말레에이트), 폴리(코-프로폭실화 비스페놀 코-에톡실화 비스페놀 코-말레에이트), 폴리(1,2-프로필렌 말레에이트), 폴리(프로폭실화 비스페놀 코-이타코네이트), 폴리(에톡실화 비스페놀 코-이타코네이트), 폴리(뷰틸옥실화 비스페놀 코-이타코네이트), 폴리(코-프로폭실화 비스페놀 코-에톡실화 비스페놀 코-이타코네이트), 폴리(1,2-프로필렌 이타코네이트), 코폴리(프로폭실화 비스페놀 A 코-푸마레이트)-코폴리(프로폭실화 비스페놀 A 코-테레프탈레이트), 터폴리(프로폭실화 비스페놀 A 코-푸마레이트)-터폴리(프로폭실화 비스페놀 A 코-테레프탈레이트)-터폴리-(프로폭실화 비스페놀 A 코-도데실숙시네이트),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비정질 폴리에스터 수지인 토너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너 수지는 프로폭실화 비스페놀 A 푸마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비정질 폴리에스터 수지인 토너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너 수지는 하기 식을 가진 폴리(프로폭실화 비스페놀 A 코-푸마레이트) 수지인 토너 조성물:
    Figure 112022018400887-pat00004

    여기서 m은 5 내지 1000이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성 안료는 알루미늄, 아연, 구리-아연 합금,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토너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성 안료는 알루미늄 플레이크인 토너 조성물.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성 안료는 상기 토너 입자의 상기 표면에 결합된 금속성 알루미늄 안료인 토너 조성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너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토너 수지를 제공하는 단계;
    임의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너 수지를 용융, 혼련, 및 냉각시키는 단계;
    모 토너 입자를 얻도록 분쇄하는 단계;
    상기 모 토너 입자의 표면 상에 금속성 안료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성 안료 위에 절연성 표면 첨가제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금속성 안료는 상기 모 토너 입자의 상기 표면에 결합되고,
    상기 절연성 표면 첨가제는 실리콘 오일인 토너 조성물.
  11. 표면을 가진 토너 입자;
    상기 토너 입자의 상기 표면에 결합된 금속성 안료; 및
    상기 금속성 안료 위에 배치된 절연성 표면 첨가제;를 포함하는 토너 조성물로서,
    상기 토너 입자는 비정질 폴리에스터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성 표면 첨가제는 실리콘 오일이고,
    상기 토너 조성물은 4 내지 15의 플롭 지수를 가지고,
    플롭 지수는 하기 식을 갖는 토너 조성물:
    Figure 112022059801214-pat00009

    여기서 L*는 색의 광도이다.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금속성 안료는 알루미늄, 아연, 구리-아연 합금,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토너 조성물.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금속성 안료는 알루미늄 플레이크인 토너 조성물.
  14. 적어도 하나의 토너 수지를 제공하는 단계;
    임의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너 수지를 용융, 혼련, 및 냉각시키는 단계;
    모 토너 입자를 얻도록 분쇄하는 단계;
    상기 모 토너 입자의 표면 상에 금속성 안료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성 안료 위에 절연성 표면 첨가제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구항 1에 따른 토너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토너 공정으로서,
    상기 금속성 안료는 상기 모 토너 입자의 상기 표면에 결합되고,
    상기 절연성 표면 첨가제는 실리콘 오일인 토너 공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금속성 안료는 알루미늄, 아연, 구리-아연 합금,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토너 공정.
KR1020170023461A 2016-03-11 2017-02-22 금속성 토너 조성물 KR1024494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67,426 2016-03-11
US15/067,426 US9791797B2 (en) 2016-03-11 2016-03-11 Metallic toner composi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198A KR20170106198A (ko) 2017-09-20
KR102449449B1 true KR102449449B1 (ko) 2022-09-30

Family

ID=58261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461A KR102449449B1 (ko) 2016-03-11 2017-02-22 금속성 토너 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791797B2 (ko)
EP (1) EP3217222B1 (ko)
JP (1) JP6758223B2 (ko)
KR (1) KR102449449B1 (ko)
CN (1) CN107179661B (ko)
BR (1) BR102017004151A2 (ko)
CA (1) CA2958954C (ko)
MX (1) MX2017002197A (ko)
RU (1) RU2724292C2 (ko)
TW (1) TWI6996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20170B2 (ja) * 2014-05-26 2018-05-09 花王株式会社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
US10719021B2 (en) 2016-12-02 2020-07-21 Xerox Corporation Metallic toner comprising metal integrated particl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90552A (ja) * 2012-03-13 2013-09-26 Fuji Xerox Co Ltd 静電潜像現像用トナー、現像剤、トナー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1106A (en) 1970-12-11 1972-08-01 Atlas Chem Ind Electrostatic developer containing polyester resin and a process of using same
US4298672A (en) 1978-06-01 1981-11-03 Xerox Corporation Toners containing alkyl pyridinium compounds and their hydrates
JPS5911902B2 (ja) 1980-08-15 1984-03-19 コニカ株式会社 静電荷像現像用トナ−
US4533614A (en) 1982-06-01 1985-08-06 Canon Kabushiki Kaisha Heat-fixable dry system toner
JPS5945447A (ja) 1982-09-09 1984-03-14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静電荷像現像用トナ−
US4693952A (en) 1984-05-22 1987-09-15 Konishiroku Photo Industry Co., Ltd.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latent image
US4750940A (en) * 1985-09-07 1988-06-14 Asahi Kasei Metals Limited Novel resin-coated metallic pigment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DE3633120C2 (de) 1985-10-01 2001-03-22 Konishiroku Photo Ind Toner für die Entwicklung eines latenten elektrostatischen Bildes
DE3709535A1 (de) 1986-03-26 1987-10-01 Arakawa Chem Ind Elektrophotographische tonerzusammensetzung mit ausgezeichneten fixiereigenschaften bei niedriger temperatur
EP0250139A3 (en) 1986-06-11 1989-07-05 Kao Corporation Electrophotographic developer
US4960664A (en) 1986-07-31 1990-10-02 Konishiroku Photo Industry Co., Ltd. Developer composition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 and toner image forming process
JPH083663B2 (ja) 1986-11-10 1996-01-17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低温定着性に優れた電子写真用トナ−組成物
JPH079546B2 (ja) 1986-11-17 1995-02-01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トナ−用のバインダ−
JPH0786701B2 (ja) 1987-03-14 1995-09-20 コニカ株式会社 静電像現像用トナ−
JPS63280729A (ja) 1987-05-13 1988-11-17 Mitsubishi Rayon Co Ltd トナ−用ポリエステル樹脂の製造方法
US4931370A (en) 1987-12-15 1990-06-05 Dainippon Ink And Chemicals, Inc. Color toner composition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s
CA1331070C (en) 1988-03-17 1994-07-26 Noriyuki Tajiri Crosslinked polyester for toner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US4957774A (en) 1988-12-14 1990-09-18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of heat-fixing toner image
US4973539A (en) 1989-02-27 1990-11-27 Xerox Corporation Toner and developer compositions with crosslinked liquid crystalline resins
JP3020557B2 (ja) 1989-07-17 2000-03-15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トナー用架橋ポリエステル樹脂
JPH03185457A (ja) 1989-12-15 1991-08-13 Konica Corp カラートナー
US5376494A (en) 1991-12-30 1994-12-27 Xerox Corporation Reactive melt mixing process for preparing cross-linked toner resin
US5227460A (en) 1991-12-30 1993-07-13 Xerox Corporation Cross-linked toner resins
US5180650A (en) * 1992-01-31 1993-01-19 Xerox Corporation Toner compositions with conductive colored magnetic particles
US5591556A (en) * 1992-10-15 1997-01-07 Nippon Carbide Kogyo Kabushiki Kaisha Toners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
US5500324A (en) 1994-10-31 1996-03-19 Xerox Corporation Processes for low melt crosslinked toner resins and toner
US5480756A (en) 1994-10-31 1996-01-02 Xerox Corporation High gloss, low melt crosslinked resins and toners
JPH08152743A (ja) 1994-11-25 1996-06-11 Tomoegawa Paper Co Ltd 電子写真用トナ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979523B1 (en) * 1995-04-07 2005-12-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oner material and method utilizing same
US5650484A (en) 1995-07-12 1997-07-22 Xerox Corporation Feedback control system for polymer modification of toner resins and toners
US5716751A (en) 1996-04-01 1998-02-10 Xerox Corporation Toner particle comminution and surface treatment processes
US6063827A (en) 1998-07-22 2000-05-16 Xerox Corporation Polyester process
US6153348A (en) 1998-08-07 2000-11-28 Parelec Llc Electrostatic printing of conductors on photoresists and liquid metallic toners therefor
US6469129B1 (en) 1999-04-26 2002-10-22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crosslinked branched polyesters
US6326119B1 (en) 2000-03-07 2001-12-04 Xerox Corporation Toner and developer providing offset lithography print quality
US6406822B1 (en) 2000-09-29 2002-06-18 Xerox Corporation Color-blind melt flow index properties for toners
US6593053B1 (en) 2000-10-23 2003-07-15 Xerox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melt rheology of resin mixtures
US6359105B1 (en) 2000-10-26 2002-03-19 Xerox Corporation Cross-linked polyester toners and process of making such toners
US6593049B1 (en) 2001-03-26 2003-07-15 Xerox Corporation Toner and developer compositions
US6756176B2 (en) 2002-09-27 2004-06-29 Xerox Corporation Toner processes
EP1553460A4 (en) * 2002-10-02 2009-05-27 Panasonic Corp LECTROPHOTOGRAPHIC SUPPORT
US6830860B2 (en) 2003-01-22 2004-12-14 Xerox Corporation Toner compositions and processes thereof
US7326507B2 (en) * 2004-01-30 2008-02-05 Eastman Kodak Company Preparation of a toner for reproducing a metallic hue and the toner
JP2005283653A (ja) * 2004-03-26 2005-10-13 Fuji Xerox Co Ltd 透明トナー及びこれを用いた現像剤、光沢付与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US7494757B2 (en) 2005-03-25 2009-02-24 Xerox Corporation Ultra low melt toners comprised of crystalline resins
US7329476B2 (en) 2005-03-31 2008-02-12 Xerox Corporation Toner compositions and process thereof
JP2008540090A (ja) * 2005-05-06 2008-11-20 アクゾ ノーベル コーティングス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ビー ヴィ 粉体コーティングベースコート
ATE538414T1 (de) * 2005-07-13 2012-01-15 Eastman Kodak Co Toner und herstellungsverfahren
JP4472605B2 (ja) * 2005-09-15 2010-06-02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US7968266B2 (en) 2006-11-07 2011-06-28 Xerox Corporation Toner compositions
US7749673B2 (en) 2007-03-29 2010-07-06 Xerox Corporation Toner processes
US7695884B2 (en) 2007-08-15 2010-04-13 Xerox Corporation Toner compositions and processes
US8084180B2 (en) * 2008-06-06 2011-12-27 Xerox Corporation Toner compositions
US8178274B2 (en) * 2008-07-21 2012-05-15 Xerox Corporation Toner process
KR101236573B1 (ko) * 2008-12-31 2013-02-22 주식회사 삼양사 토너의 제조방법
US8221948B2 (en) * 2009-02-06 2012-07-17 Xerox Corporation Toner compositions and processes
JP5855808B2 (ja) * 2009-02-26 2016-02-09 株式会社リコー 静電潜像現像用トナー
US8614039B2 (en) * 2010-04-26 2013-12-24 Eastman Kodak Company Toner containing metallic flakes and method of forming metallic image
JP5807844B2 (ja) * 2011-03-09 2015-11-10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754215B2 (ja) * 2011-04-01 2015-07-2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方法、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8574803B2 (en) * 2011-12-23 2013-11-05 Xerox Corporation Toner compositions of biodegradable amorphous polyester resins
JP5929257B2 (ja) * 2012-02-01 2016-06-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トナー、現像剤、現像剤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5842690B2 (ja) * 2012-03-19 2016-01-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透明トナー、画像形成方法、及び、トナーセット
US20130295502A1 (en) * 2012-05-02 2013-11-07 Dinesh Tyagi Preparing toner images with metallic effect
US20130295504A1 (en) * 2012-05-02 2013-11-07 Dinesh Tyagi Preparing dry toner particles for metallic effect
US9323169B2 (en) 2012-05-02 2016-04-26 Eastman Kodak Company Preparing color toner images with metallic effect
JP2014038131A (ja) * 2012-08-10 2014-02-27 Fuji Xerox Co Ltd 光輝性トナー、現像剤、トナー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800864B2 (ja) * 2013-06-27 2015-10-2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静電潜像現像用トナー
US9340668B2 (en) * 2014-05-30 2016-05-17 Samsung Sdi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90552A (ja) * 2012-03-13 2013-09-26 Fuji Xerox Co Ltd 静電潜像現像用トナー、現像剤、トナー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161901A (ja) 2017-09-14
CA2958954A1 (en) 2017-09-11
RU2017105416A (ru) 2018-08-20
US9791797B2 (en) 2017-10-17
CN107179661A (zh) 2017-09-19
BR102017004151A2 (pt) 2017-09-19
JP6758223B2 (ja) 2020-09-23
MX2017002197A (es) 2018-08-15
CA2958954C (en) 2019-05-28
RU2017105416A3 (ko) 2020-04-23
KR20170106198A (ko) 2017-09-20
RU2724292C2 (ru) 2020-06-22
EP3217222A1 (en) 2017-09-13
TW201800879A (zh) 2018-01-01
US20170261877A1 (en) 2017-09-14
CN107179661B (zh) 2020-04-17
EP3217222B1 (en) 2021-11-10
TWI699632B (zh) 2020-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31246B1 (en) Toner compositions
CA2708069C (en) Toner compositions
CA2713647C (en) Toner having titania and processes thereof
JP6333030B2 (ja) 樹脂、トナー粒子、現像剤、および、方法
US11204562B2 (en) Fluorescent pink toners and related methods
KR102449449B1 (ko) 금속성 토너 조성물
CA2974037C (en) Toner compositions with white colorants and processes of making thereof
US20180173127A1 (en) Toner compositions with white colorants and processes of making thereof
JP6192497B2 (ja) トナー組成物および現像剤
KR102312140B1 (ko) 투명 토너 조성물
JP6325916B2 (ja) 改良されたトナー粒子処理
EP3474075A1 (en) Metallic toner carrier
CA2957111C (en) Hyperpigmented low melt toner
US20180157187A1 (en) Toner compositions with white colorants and processes of mak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